KR101379827B1 -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827B1
KR101379827B1 KR1020070035154A KR20070035154A KR101379827B1 KR 101379827 B1 KR101379827 B1 KR 101379827B1 KR 1020070035154 A KR1020070035154 A KR 1020070035154A KR 20070035154 A KR20070035154 A KR 20070035154A KR 101379827 B1 KR101379827 B1 KR 101379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coordinate
sewing machin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1971A (ko
Inventor
이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스타
Priority to KR1020070035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827B1/ko
Publication of KR20080091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5/00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 D05C5/02Embroidering machines with 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by electrical or magnetic 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06Control knobs or display mea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08Arrangements for inputting stitch or pattern data to memory ; Editing stitch or pattern data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5/00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machine
    • D05D2205/02Operator to the machine
    • D05D2205/08Buttons, e.g. for pattern selection; Key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틀, 재봉기, 운용패널이 포함되는 자수미싱에 있어서, 수틀의 이송 위치정보를 윈도우를 통하여 X, Y 좌표값으로 입력 기록하며 표시하고 자동과 수동의 이송 명령신호를 입력하며 수틀의 X축과 Y축 이송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운용패널부; 운용패널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수틀을 X 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X 축 구동부; 및 운용패널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수틀을 Y 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Y 축 구동부; 가 포함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여, 자수미싱에서 수틀을 이송할 위치의 X, Y 좌표정보를 미리 알고 있는 경우 표시부의 좌표입력 윈도우를 통하여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수미싱, 수틀, 좌표정보

Description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INPUT COORDINATE VALUE ON EMBROIDERY MACHINE}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수미싱의 기능구성 설명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다두자수미싱의 기능구성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기능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방법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운용패널부 110,210 : 키버튼부
120 : 제어부 130,230 : 표시부
140 : 저장부 150,220 : 이송키부
200 : 터미널부 300 : X 축 구동부
400 : Y 축 구동부
본 발명은 자수미싱에서 수틀을 임의 X, Y 좌표값 위치로 자동 이송시키는 것으로, 특히 터미널의 선택창을 이용하여 좌표값을 직접 입력하므로 수틀을 신속하게 지정된 위치로 이송시키는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날줄과 씨줄의 실을 소정의 규격과 순서로 반복 직조한 직물은 무늬가 매우 단순하거나 또는 없으므로, 이러한 직물에 다수 색상의 실을 이용하여 다양한 무늬의 수를 놓게 되며 이러한 것을 자수라 하고 재봉기를 응용한 자수미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를 놓는다.
재봉기 또는 미싱은 직물의 조각을 바느질 또는 누비어 서로 잇대므로 원하는 형상으로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재봉기에 색실을 꿰고 직물 위를 재봉하거나 누비므로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 자수미싱이다.
자수미싱으로 수를 놓는 경우 자수미싱을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하기 어려우므로 직물을 직접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직물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여 자수가 잘 놓이도록 고정하는 것이 수틀이며, 수틀의 2 차원평면에 의한 움직임은 X, Y 좌표값으로 표현된다.
도 1 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자수미싱을 설명하면, 재봉기(10); 바늘(20); 수틀(30); 고정판(40); 운용패널(50); 이 포함되는 구성이다.
재봉기(10)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바늘(20)을 상하 방향으로 고속 구동하며, 바늘(20)에 꿰어진 색실을 직물 위에 누비므로 수를 놓는다. 직물은 수 틀(30) 위에 놓이고 고정판(40)에 의하여 고정되며, 수틀(30)은 X 축과 Y 축으로 각각 동시 이송하므로 2 차원 평면에서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이고, 운용패널(50)은 수틀(30)의 X 축값과 Y 축값을 표시하는 동시에 기록하고, 재생되는 경우에 지정된 X, Y 좌표값에 자수가 놓이도록 2 차원 이송을 제어한다.
운용패널(50)은 수틀(30)을 2 차원 평면에 대한 지정된 X, Y 좌표값으로 구동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파일 단위의 일정한 용량으로 기록하고, 자수를 놓는 경우에 파일 단위로 기록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수틀(30)을 2 차원 평면으로 연속 구동하므로 자수를 놓으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동일한 모양의 자수를 다수 생산한다.
운용패널(50)은 특정 무늬의 자수를 위하여 펀칭된 X, Y 좌표정보를 파일(FILE) 단위로 기록하고 출력하여 수틀을 2 차원 평면에 의한 상하좌우로 자동 이송하도록 제어 및 감시하며, 이송키를 이용하여 수틀이 지정된 특정 위치로 이송하도록 제어하고 원하는 임의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미세 조정이 가능하다.
수틀(30)은 운용패널(50)의 제어에 의하여 X, Y 좌표값에 의한 2차원 평면을 이송하고, 재봉기(10)는 바늘(20)에 색실을 꿰어 수틀(30)에 고정된 직물을 계속 누비므로, 직물에 2 차원 평면의 자수가 놓인다.
수틀(30)을 상하좌우의 2 차원 X, Y 좌표 상에서 가운데의 보편적인 위치로 이송하는 경우 운용패널(50)에 구비된 이송키를 이용하여 수틀을 직접 수동으로 제어하면서 자수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운용패널(50)의 이송키를 이용하여 수틀을 특정한 임의 위치로 제어 하고자 하는 경우는 미세하게 조정하여야 하고, 특히 수틀은 X, Y 좌표에 의한 상하좌우의 2 차원을 자유롭게 이송하므로 일정한 구동반경을 확보하여야 하며, 운용패널은 수틀의 구동반경을 벗어난 위치에 고정된다.
도 2 는 여러 개의 자수미싱(70)을 하나의 축으로 동시에 구동하는 다두자수미싱(75)의 정면도이다.
첨부된 도 2 에는 일예로, 18개의 자수미싱(70)이 동일한 축에 일체로 구성되고 24개까지 구성되는 경우도 있으며, 동일한 모양의 자수 무늬를 동시에 생산하는 장점이 있다.
다두자수미싱(75)의 경우 전면 일측 끝단에 운용패널(50)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일예로, 특정 자수미싱(70)을 수틀의 상하좌우 지정된 상대적 위치로 이송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서는 운용패널(50)의 이송키를 수동으로 제어하여 다두자수미싱(75)을 구성하는 해당 자수미싱(70)을 2 차원의 상하좌우에 의한 수틀에서의 지정된 상대적 위치로 이송시키고, 해당 자수미싱(70)의 위치로 이동하여 바늘이 지정된 상대적 위치로 정확하게 안착하는지를 확인하며, 오차가 발생한 경우 운용자는 다시 운용패널(50)의 위치로 이동하고 이송키로 수틀의 상하좌우 위치를 수동 수정한다.
따라서 수틀을 X, Y 좌표 상에서 특정하게 지정된 임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경우, 운용패널(50)의 이송키를 이용하여 제어하고, 수틀이 해당 위치로 이송하였는지 확인하며 다시 이송키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하는 사용상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다두자수미싱의 경우 수틀을 지정된 특정 위치로 정확하게 이송하기 위하여 운용패널과 수틀 사이를 운용자가 여러 번 왕복하면서 확인하여야 하는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자수미싱의 수틀을 특정하게 지정된 위치로 이송하는 경우, 좌표값을 입력하므로 특정하게 지정된 위치로의 이송을 간편하게 하는 것으로 특히, 운용패널에 연계된 터미널에 지정된 X, Y 좌표값을 직접 입력하므로 수틀을 2 차원의 지정된 위치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송하는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수틀, 재봉기, 운용패널이 포함되는 자수미싱에 있어서, 수틀의 이송 위치정보를 윈도우를 통하여 X, Y 좌표값으로 입력 기록하며 표시하고 자동과 수동의 이송 명령신호를 입력하며 수틀의 X축과 Y축 이송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운용패널부; 운용패널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수틀을 X 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X 축 구동부; 및 운용패널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수틀을 Y 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Y 축 구동부; 가 포함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자수미싱 운 용패널을 구성하는 제어부에 의하여 자수미싱의 수틀을 수동제어하는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윈도우를 통하여 X, Y 좌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 입력된 X, Y 좌표 정보를 수정하지 않을 경우는 수틀의 이송을 실행할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 및 수틀의 이송을 실행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입력된 X, Y 좌표 정보에 의하여 수틀을 제어하고 지정 위치로 이송되도록 제어하는 과정; 이 포함되는 구성을 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 3 은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방법 순서도 이다.
본 발명의 일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 없고, 잘 알려져 있는 기술 내용에 대하여서는 도면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명확하게 전달한다.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를 설명하면, 수틀의 X축과 Y축의 이송을 제어하는 운용패널부(100); 자동과 수동의 이송제어명령을 입력하는 터미널부(200); X 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X 축 구동부(300); Y 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Y 축 구동부(400); 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운용패널부(100)는 X, Y 좌표값을 좌표입력 윈도우에 입력하고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키버튼부(110); X, Y 좌표값을 기록 관리하고 재봉기 전체의 운용을 제어와 감시하는 제어부(120); X, Y 좌표값을 표시하고 윈도우를 표시하는 표시부(130); X, Y 좌표값을 기록하는 저장부(140); 수틀의 상하좌우 이송 명령을 수동 입력하는 이송키부(150); 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터미널부(200)는 X, Y 좌표값과 명령신호를 입력하고 운용패널부에 전송하는 키버튼부(210); 수틀의 수동제어 명령을 입력하고 운용패널부에 전송하는 이송키부(220); 운용패널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X, Y 좌표값을 표시하고 윈도우를 표시하는 표시부(230); 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운용패널부(100)를 구성하는 제어부(120)는 자수미싱의 각 기능부 운용상태를 감시한다. 제어부(120)에 의하여 키버튼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고 수틀(30)을 이송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수동이송 모드인지 자동이송 모드인지를 확인한다.
제어부(120)에 의하여 자동이송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저장부(140)로부터 해당 파일단위의 X, Y 좌표값 정보를 읽어 X 축 구동부(300)와 Y 축 구동부(400)의 이송을 제어하고, 수틀(30)을 X 축과 Y 축의 지정된 방향으로 이송하며, 표시부(130)에는 수틀의 이송 위치에 의한 X 축과 Y 축 좌표값을 표시한다. X 축과 Y 축의 구동에 의하여 수틀(30)은 2 차원에 의한 상하좌우의 지정된 위치로 이송된다.
제어부(120)에 의하여 키버튼부(110)로부터 수동제어 모드가 선택되어 설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좌표입력을 위한 전용 윈도우(WINDOW)를 표시한다. 제어부(120)는 키버튼부(110)와 이송키부(150)를 각각 감시하여 키버튼부(110)로부터 X, Y 좌표값이 수동으로 입력되는지 또는, 이송키부(150)로부터 이송키를 이용하여 X 축 구동부(300)와 Y 축 구동부(400)를 수동 이송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
제어부(120)에 의하여, 수동제어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키버튼부(110)로부터 표시부(130)에 표시된 좌표입력 윈도우를 통하여 X, Y 좌표 정보를 직접 수동 입력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저장부(14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하며, 수정을 요청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제어부(120)가 입력된 명령신호를 수정 요청의 명령신호로 확인하는 경우는 표시부(130)의 좌표입력 윈도우를 통하여 X, Y 좌표값의 정보를 수정된 상태로 재입력 및 저장부(140)의 할당된 영역에 로그 정보와 함께 기록 및 저장하고, 수정하지 않는 동시에 실행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하는 경우는 저장부(14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 저장된 X, Y 좌표값을 검색하여 X 축 구동부(300)와 Y 축 구동부(400)에 각각 제공한다. 이러한 X 축 구동부(300)와 Y 축 구동부(400)의 구동에 의하여 수틀(30)이 지정된 X, Y 좌표 위치로 이송되고, 표시부(130)에는 수틀(30)이 이송된 X, Y 좌표값 정보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저장부(140)에 기록 저장된 X, Y 좌표값의 정보는 삭제할 때 까지 기록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작업자에 의하여 나중에 재검색 및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에 의하여 수동제어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이송키부(150)로부터 X 축과 Y 축을 수동제어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X 축구동부(300)와 Y 축 구동부(400)를 각각 제어하므로 수틀(30)을 수동 제어된 X, Y 좌표 정보가 지정하는 위치로 이송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수동 제어된 X, Y 좌표값 정보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터미널부(200)가 데이터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었는지 확인하고, 접속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모든 정보를 표시부(230)에 동일하게 표시한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터미널부(200)의 키버튼부(210)로부터 수동제어 모드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운용패널부(100)의 키버튼부(110)로부터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상태와 동일하게 운용한다. 또한, 이송키부(220)로부터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이송키부(150)로부터 해당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운용한다. 또한, 표시부(230)에 표시되는 정보는 표시부(130)에 동일하게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운용패널부(100) 또는 터미널부(200)를 이용하여 수동제어 모드를 설정하고, 좌표입력 윈도우를 통하여 X, Y 좌표값 정보를 직접 입력하므로 수틀을 지정된 위치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송하는 장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방법 을 설명하면, 좌표입력 윈도우를 통하여 X, Y 좌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 수틀의 이송 실행을 확인하는 과정; X, Y 좌표 정보에 의하여 수틀을 이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한 것으로,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20)에 의하여 동작전원이 공급되고 자수미싱을 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면(S100), 운용패널부(100)의 키버튼부(110)를 감시하고, 데이터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된 터미널부(200)의 키버튼부(210)를 동시에 감시하여 수틀의 이송을 수동제어하는 모드 설정의 설정 명령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S110).
제어부(120)에 의하여 수동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명령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운용패널부(100)의 표시부(130)와 터미널부(200)가 데이터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터미널부(200)의 표시부(230)를 제어하여 좌표입력 윈도우를 각각 표시하고, 해당 키버튼부(110, 210)에 의하여 X, Y 좌표정보를 입력한다. 즉, 제어부(120)는 운용패널부(100)의 키버튼부(110)와 터미널부(200)의 키버튼부(210)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X, Y 좌표정보를 운용패널부(100)의 표시부(130)와 터미널부(200)의 표시부(230)에 각각 동시 출력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터미널부(200)는 운용패널부(100)와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키버튼부(210), 표시부(230), 이송키부(220)가 동일하게 구비되어 있으나 독자적으로 운용되지 못하고 반드시 운용패널부에 접속되어 운용되는 것으로 일종의 더미(DUMMY) 터미널이다.
제어부(120)는 좌표입력윈도우를 통하여 입력된 X, Y 좌표 정보를 수정하는 명령신호가 키버튼부(110) 또는 키버튼부(210)로부터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입력과정(S110)으로 궤환(FEEDBACK)하여 수동제어모드에서 좌표입력윈도우에 X, Y 좌표정보 입력하는 과정을 반복한다(S130).
제어부(120)에 의하여 수정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대신에 실행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확인되면(S140), 좌표입력윈도우를 통하여 입력된 X, Y 좌표정보에 의하여 수틀을 지정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S150), 수틀의 이동제어를 계속할 것인지 판단하여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입력과정(S110)으로 궤환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로 진행한다(S160).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자수미싱의 수틀을 사전에 알고 있는 특정 위치로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 좌표입력 윈도우를 통하여 X, Y 좌표값 정보를 직접 입력하므로, 사전에 알고 있는 지정된 위치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송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일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자수미싱에서 수틀을 이송할 위치의 X, Y 좌표정보를 미리 알고 있는 경우 표시부의 좌표입력을 위한 윈도우를 통하여 X, Y 좌표값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위치의 X, Y 좌표값 정보를 좌표입력 윈도우를 통하여 직접 입력하므로 다두자수미싱의 각 수틀 이송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제어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Claims (8)

  1. 수틀, 재봉기, 운용패널이 포함되는 자수미싱에 있어서,
    상기 수틀의 이송 위치정보를 윈도우를 통하여 X, Y 좌표값으로 입력 기록하며 표시하고 자동과 수동의 이송 명령신호를 입력하며 수틀의 X축과 Y축 이송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운용패널부;
    상기 운용패널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수틀을 X 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X 축 구동부; 및
    상기 운용패널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수틀을 Y 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Y 축 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패널부와 소정 길이의 데이터 케이블로 접속하고 상기 수틀의 상하좌우 2 차원 평면 이송정보를 윈도우를 통하여 X, Y 좌표값으로 입력 표시하며 자동과 수동 이송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터미널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패널부는,
    상기 수틀을 상하좌우로 이송시키는 X, Y 좌표값을 윈도우에 입력하고 운용을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키버튼부;
    상기 키버튼부와 터미널부에 접속하고 수틀의 상하좌우 이송을 제어하며, 윈도우를 통해 입력되는 X, Y 좌표값을 기록 관리하고 재봉기 전체의 운용을 제어와 감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수틀의 이송에 의한 X, Y 좌표값을 숫자로 표시하고 X, Y 좌표값을 입력하는 윈도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수틀을 상하좌우 이송하는 X, Y 좌표값과 운용데이터를 기록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접속하고 수틀의 상하좌우 이송 명령을 수동 입력하는 이송키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는,
    상기 수틀을 상하좌우로 이송시키는 X, Y 좌표값을 윈도우에 입력하고 운용을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운용패널부에 전송하는 키버튼부;
    상기 수틀의 상하좌우 이송을 수동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운용패널부에 전송하는 이송키부; 및
    상기 운용패널부의 제어와 감시에 의하여 상기 키버튼부가 입력한 X, Y 좌표값과 상기 수틀이 위치하는 X, Y 좌표값을 표시하고 X, Y 좌표값을 입력하는 윈도우를 표시하는 표시부; 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패널부의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에 입력되는 X, Y 좌표값을 저장부에 기록 저장하고 실행하며 저장된 값을 검색하여 실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6. 자수미싱 운용패널을 구성하는 제어부에 의하여 자수미싱의 수틀을 수동제어하는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윈도우를 통하여 X, Y 좌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
    상기 입력된 X, Y 좌표 정보를 수정하지 않을 경우는 수틀의 이송을 실행할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수틀의 이송을 실행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입력된 X, Y 좌표 정보에 의하여 수틀을 제어하고 지정 위치로 이송되도록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과정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자수미싱이 운용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운용상태 설정으로 확인되면 수틀의 이송을 수동제어하는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수동제어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수틀이 이송될 X, Y 좌표 정보를 윈도우로 입력하는 과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X, Y 좌표 정보에 의한 수틀 이송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X 축 구동부를 X 좌표 정보에 의한 위치로 이송 제어하고, Y 축 구동부를 Y 좌표 정보에 의한 위치로 이송 제어하여 수틀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방법.
KR1020070035154A 2007-04-10 2007-04-10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및 방법 KR101379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154A KR101379827B1 (ko) 2007-04-10 2007-04-10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154A KR101379827B1 (ko) 2007-04-10 2007-04-10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971A KR20080091971A (ko) 2008-10-15
KR101379827B1 true KR101379827B1 (ko) 2014-04-01

Family

ID=4015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154A KR101379827B1 (ko) 2007-04-10 2007-04-10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443B1 (ko) * 2019-11-01 2020-03-17 (주)썬테크 패턴 재봉기 및 패턴 편집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079Y1 (ko) * 2002-02-18 2002-06-03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자수기
KR20030068877A (ko) * 2002-02-18 2003-08-25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자수기
KR100434896B1 (ko) * 1999-04-02 2004-06-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
KR20060114958A (ko) * 2005-05-03 2006-11-08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다두형 자동 자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896B1 (ko) * 1999-04-02 2004-06-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
KR200277079Y1 (ko) * 2002-02-18 2002-06-03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자수기
KR20030068877A (ko) * 2002-02-18 2003-08-25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자수기
KR20060114958A (ko) * 2005-05-03 2006-11-08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다두형 자동 자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443B1 (ko) * 2019-11-01 2020-03-17 (주)썬테크 패턴 재봉기 및 패턴 편집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971A (ko)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68760A (ja) 刺繍機
US6173665B1 (en) Sewing machine control system
US9885131B2 (en) Sewing machine
US7878133B2 (en)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sewing machine operation program
US20230203730A1 (en) Sewing machine
US20110120359A1 (en) Controller,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and sewing machine
US6237516B1 (en) Sewing machine having a display
US10626534B2 (en) Sewing machin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8561559B2 (en) Sewing system, multi-needle sewing machine, storag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1379827B1 (ko)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및 방법
US7493867B2 (en) Sewing machine
US8763544B2 (en)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sewing machine control program
KR100878602B1 (ko) 재봉틀 프로그램 작성 장치
JP2010124865A (ja) ミシンの縫い速度データ作成方法
US8651034B2 (en) Embroidery frame and sewing machine
US8033232B2 (en) Embroidery data processing apparatus, sewing machine equipped with the embroidery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recorded embroidery data processing computer program
JP3345614B2 (ja) アップリケの刺繍データ作成方法
KR101364555B1 (ko) 자수기의 테두리 재봉 운용 장치 및 방법
US11028512B2 (en) Sewing machin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2003071176A (ja) 刺しゅうミシン
JP2921199B2 (ja) 縫製データ処理装置
JP2002224474A (ja) ミシン
JP5507052B2 (ja) 刺繍縫い可能なミシン
JP2927078B2 (ja) 縫製データ処理装置
CN114746600A (zh) 精密刺绣设计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