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5419A - 지폐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5419A
KR20010085419A KR1020010008367A KR20010008367A KR20010085419A KR 20010085419 A KR20010085419 A KR 20010085419A KR 1020010008367 A KR1020010008367 A KR 1020010008367A KR 20010008367 A KR20010008367 A KR 20010008367A KR 20010085419 A KR20010085419 A KR 20010085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unit
bank
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6720B1 (ko
Inventor
야수다시게루
이토유키오
하타마치타다시
야마기시노보루
아키바코지
Original Assignee
아카이 가즈유키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콘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카이 가즈유키,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콘락스 filed Critical 아카이 가즈유키
Publication of KR20010085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4Testing magnetic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hereof, e.g. by detection of magnetic impri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지폐반송벨트수단과 지폐식별수단의 보수점검작업을 간단히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폐처리장치(1)의 지폐수용수단을 제외하고, 지폐처리장치(1)의 지폐반송벨트수단(4)과 지폐식별수단(5)을 적어도 포함하는 유닛박스(11)를 장치본체 (3)에 대해 지폐투입구(2)측과 면하는 반송벨트(21)가 노출되도록 개폐가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했다.

Description

지폐처리장치{apparatus for handling paper money}
본 발명은 투입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동시에, 진권을 스태커(stacker)내에 축적 및 수용하도록 한 지폐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 등의 기관 내에는 투입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동시에, 진권을 수용하도록 한 지폐처리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지폐처리장치는 크게 나누어 아래에 나타내는 네 가지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1) 지폐투입구를 구비한 광체(筐體)로 이루어지는 장치본체,
(2) 이 장치본체 내에 배설되며, 투입지폐를 장치본체 내로 반송하는 지폐반송벨트수단,
(3) 이 지폐반송벨트수단과 똑같이 장치본체 내에 배설되며, 해당 지폐반송벨트수단에 의해 반송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지폐식별수단,
(4) 이 지폐식별수단에 의해 진권으로 간주된 지폐를 수용하는 스태커로 이루어지는 지폐수용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장치본체의 지폐투입구 내에 투입된 지폐는, 모터 등에 의해 회전구동된 반송벨트로 이루어지는 상기 지폐반송벨트수단에 의해 장치본체 내로 반송되며, 그 사이에 지폐식별용 센서인 자기헤드, 광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폐식별수단에 의해 그 진위가 판별된다.
그리고, 이 지폐식별수단에 의해 투입지폐가 위조권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지폐반송벨트수단의 반송벨트를 역전시켜, 해당 위조권으로 판단된 투입화폐를 지폐투입구에서 반각한다(返却:되돌려보낸다).
또한, 지폐식별수단에 의해 투입지폐가 진권으로 간주된 경우에는 지폐반송벨트수단에 의해 스태커 내로 반송하고 그 곳에 수용한다.
본 발명은 장치본체 내에 지폐투입구에서 삽입된 지폐를 대략 U자모양의 지폐반송로를 따라 반송벨트로 반송하는 지폐반송벨트수단과, 상기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지폐식별수단과, 이 지폐식별수단에 의해 진권으로 간주된 지폐를 수용하는 지폐수용수단을 적어도 구비한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수용수단을 제외하고, 적어도 상기 지폐반송벨트수단과 상기 지폐식별수단을 포함하는 유닛박스를 상기 장치본체에 대해 지폐투입구 측과 면하는 상기 반송벨트가 노출되도록 개폐가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지폐처리장치의 요부 파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지폐처리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파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지폐처리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파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지폐처리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파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축수수단의 작용을 나타내는 지폐처리장치의 요부 파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축수수단의 작용을 나타내는 지폐처리장치의 요부 파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지폐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파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2도는 제10도의 요부 파단면도.
제13도는 제10도의 요부 파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유닛박스의 개념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지폐처리장치 20: 지폐안내통로
2: 지폐투입구 21: 반송벨트
3: 장치본체 22: 모터
4: 지폐반송 벨트수단 23: 구동수단
5: 지폐반송 식별수단 24: 구동풀리
6: 스태커 25: 종동풀리
7: 프런트 마스크 26: 구동풀리 지지축
8: 프런트 플레이트 27: 구동축
9: 광체 31: 발광센서
10: 축 32: 수광센서
11: 유닛박스 33: 자기센서
12: 축수수단 50: 지폐이동수단
13: 그루브 61: 가이드 그루브
14: 돌기 300: 기어동력 전달장치
15: 랫치레버 301: 기어
이하 본 발병에 관한 지폐처리장치의 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지폐처리장치(1)의 요부 파단면도이다.
이 경화처리장치(1)도 종래와 똑같이,
(1) 지폐삽입구(2)를 구비한 광체로 이루어지는 장치본체(3)와,
(2) 이 장치본체(3) 내에 배설되어, 투입지폐를 해당 장치본체(3) 내로 반송하는 지폐반송벨트수단(4)과,
(3) 이 지폐반송벨트수단(4)에 의해 반송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지폐식별수단(5)과,
(4) 이 지폐식별수단(5)에 의해 진권으로 간주된 지폐를 수용하는 스태커(6)로 이루어지는 지폐수용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장치본체(3)는, 지폐투입구(2)가 형성되며 도시하지 않은 자동판매기의 정면을 구성하는 문짝의 일부로부터 노출되도록 배설(配設:지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프런트 마스크(7)와, 이 프런트 마스크(7)를 정면에 장착한 프런트 플레이트 (8)와, 이 프런트 플레이트(8)에 고착된 직시각형 모양의 광체(9)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지폐반송벨트수단(4)과 지폐식별수단(5)은, 광체(9)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설치한 축(10)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유닛박스(11) 내에 배설되어 있다.
또한, 지폐식별장치(5)에 의해 진권으로 간주된 지폐를 수용하는 지폐수용수단의 주요 구성요소인 스태커(6)는 광체(9) 아래쪽에 축수수단(12)을 통하여 회동및 탈착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유닛박스(11)는 하단에 형성된 U자모양의 그루브(13)를 상기 광체(9)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축(10)내에 감삽(嵌揷)시킴으로써, 해당 광체(9)에 대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유닛박스(11)는 장치본체(3)에 대해 그 상단에 돌출되게 설치된 돌기(14)와 대응하는 위치의 프런트 플레이트(8)에 회동이 자유롭게 배설된 랫치레버(latch lever)(15)로 이루어지는 랫치수단(16)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지지되어 있다.
한편, 본원에서는 상술한 유닛박스(11)의 상단에 돌출되게 설치된 상기 돌기(14)를 제1 계지수단(係止手段)이라 칭하며, 또한 장치본체(3)에 배설된 상기 랫치레버(15)를 제2 계지수단이라 칭한다.
상술한 구조에 따르면, 이 유닛박스(11)는, 스태커(6)를 축수수단(12)을 통해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회전각도를 회동시키고 다시 랫치수단(16)의 랫치레버(15)를 올려 해당 랫치레버(15)와 돌기(14)와의 계합(係合)을 해제하며, 다시 제2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체(9)의 축(1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회전각도를 회동시키면, 그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제2도에서 나타내는 유닛박스(11)의 자세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반송벨트수단(4)과 상기 지폐식별수단(5)을 포함하는 유닛박스(11)를, 상기 장치본체 (3)에 대해 지폐투입구(2) 측과 면하는 반송벨트(21)가 노출되도록 넓게 열 수가 있다.
다시, 이 제2도에서 나타내는 위치에서 유닛박스(11)를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쪽으로 이동시키면, 해당 유닛박스(11) 전체가 제3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본체(3)의 광체(9) 내에서 간단히 떼어낼 수가 있다.
한편, 제1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유닛박스(11) 내에 배설된 지폐반송벨트수단(4)과 지폐식별수단(5) 중 지폐반송벨트수단(4)은 지폐투입구(2)에 연통(연(連通)하여 형성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지폐안내통로(20) 중 대략 U자모양으로 사행(蛇行)으로 형성된 부분의 지폐안내통로(20)를 따라서 장설(張設:장력을 가한 상태로 설치)된 무단(無端)의 반송벨트(21)와, 해당 반송벨트(21)를 회전구동하는 모터(22)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상술한 지폐안내통로(20) 중 지폐투입구(2)에서 유닛박스 (11) 내의 반송벨트(21)에 이를 때까지의 지폐안내통로(20)의 일부를 제1 지폐안내수단이라 칭하며, 또한 유닛박스(11) 내에 형성된 U자모양으로 사행으로 형성된 지폐안내통로(20)의 일부를 제2 지폐안내수단이라 칭한다.
상술한 지폐반송벨트수단(4) 중, 무단의 반송벨트(21)는 상하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설된 구동풀리(24)와 종동풀리(25)와의 사이에 장설되며, 또한 구동풀리 (24)를 지지하는 축(26)과 구동수단(23)을 구성하는 모터(22)의 구동축(27)과의 사이의 유닛박스(11) 내에는 제9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열로 구성된 기어동력 전달수단(300)이 배설되어 있다.
한편, 이 기어동력 전달수단(300)(제9도)의 최종 단을 구성하는 기어(301)는 제11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풀리(24)를 지지하는 축(26)에 고착되어 있으며, 이 최종 단을 구성하는 기어(301)와 이 기어(301)와 치합하는 상기 기어동력 전달수단(300)(제9도)의 최종 단 직전의 기어(302)(제9도)는 절리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제어장치의 구동신호에 의거해 제1도에서 나타내는 모터(22)의 구동축(27)이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열로 이루어지는 기어동력 전달수단(300)(제9도)을 통해 구동풀리(24)를 지지하는 축(26)이 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로써 구동풀리(24)가 회전하여 반송벨트(21)가 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이 반송벨트(21)의 주면에는 복수개의 종동롤러(28)가 압접(壓接)되어 있으며, 투입지폐는 해당 종동롤러(28)와 반송벨트(21)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므로, 반송벨트(21)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투입지폐는 지폐안내통로(20)를 따라서 해당 지폐안내통로(20)의 하류로 안정적으로 반송되어진다.
또한, 본원에서는 상술한 복수개의 종동롤러(28) 중, 장치본체(3)의 광체(9) 측에 배설되어 있는 복수개의 종동롤러(28)를 제1 복수 종동롤러라고 칭하며, 또한 유닛박스(11)에 배설되어 있는 복수개의 종동롤러(28)를 제2 복수 종동롤러라고 칭한다.
또한, 제1도에서 기호 "30"은 지폐안내통로(20)를 따라서 형성된 지폐안내슈트이다.
한편, 상술한 지폐식별수단(5)은, 상술한 반송벨트(21)를 경계와 대치되게 배설되며, 통과하는 투입지폐의 특정위치에서의 농담(濃淡:진함과 묽음)을 검출하는 광센서인 발광센서(31) 및 수광센서(32)와, 통과하는 투입지폐의 특정위치에서의 자기를 검출하는 자기센서(3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발광센서(31)와 자기센서(32)는, 유닛박스(11) 내에 수용된 한쪽의 인쇄배선기판(35)에 탑재되며, 수광센서(32)는 다른 쪽의 인쇄배선기판(36)에 탑재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지폐처리장치(1)의 작용을 설명하며, 아울러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입지폐(F)를 지폐투입구(2) 내에 삽입하면, 그 선단이 지폐검출센서(40)에 의해 검출되므로, 그 검출신호에 의거해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는 지폐반송벨트수단(4)의 모터(22)를 켜서 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처럼 지폐반송벨트수단(4)의 모터(22)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시하지 않은 기어동력전달수단을 통해 구동풀리(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반송벨트 (21)를 한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투입지폐를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지폐안내통로(20)를 따라서 스태커 측으로 반송한다.
또한, 동시에 지폐안내통로(20)를 개폐하는 셔터수단(41)의 솔레노이드(42)가 켜지며, 이로써 셔터(43)가 작동하여 해당 지폐안내통로(20)를 넓게 개방시킨다.
그러면, 지폐투입구(2)내에 투입된 투입지폐(F)가 지폐안내통로(20)를 따라서 스태커(6)측으로 반송되지만, 그 사이 지폐식별수단(5)의 발광센서(31) 및 수광센서(32)와 자기센서(33)에 의해 해당 투입지폐의 진위가 판별된다.
그리고, 투입지폐가 진권으로 판단되면, 지폐안내통로(20)의 보다 하류에 위치하는 스태커(6)의 정면으로 안내되며, 그 후 해당 진권으로 간주된 투입지폐는 지폐수용수단의 구성요소인 링크식의 주지의 지폐이동수단(50)을 통해 스태커(6) 내로 이동되어 그 곳에 수용된다.
또한, 지폐수용수단은 상술한 지폐이동수단(50)과 스태커(6)로 구성된다.
한편, 지폐식별수단(5)에 의해 투입지폐(F)가 위조권으로 판별되면 도시하지않은 제어장치는 지폐반송벨트수단(4)의 모터(22)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로써 반송벨트(21)를 다른 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투입지폐(F)를 지폐투입구(2)에서 반각한다. 그 후,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는 지폐안내통로(20)를 개폐하는 셔터수단(41)의 솔레노이드(42)를 꺼서 셔터(43)를 동작시키며, 이로써 해당 지폐안내통로(20)를 폐쇄한다.
다음으로 보수점검시의 동작을 설명하며, 아울러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지폐반송벨트수단(4)의 반송벨트(21)랑 지폐식별수단(5)의 발광 및 수광센서 (31)(32) 및 자기센서(33)를 청소하는 등의 보수점검시에는, 먼저, 제2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태커(6)를 축수수단(12)을 통해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회전각도를 회동시켜 위치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랫치수단(16)의 랫치레버(15)를 올려 해당 랫치레버(15)와 돌기 (14)의 계합을 해지하며, 그 후, 유닛박스(11)를 광체(9)의 축(1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ㅇ으로 소정의 회전각도를 회동시킨다.
그러면 지폐반송벨트수단(4)과 지폐식별수단(5)을 적어도 포함하는 유닛박스 (11)가 장치본체(3)에 대해 지폐투입구(2) 측과 면하는 반송벨트(21)를 노출시키도록 넓게 개방하므로 이 상태에서 면봉 등의 치구를 사용하여 해당 반송벨트(21)를 간단히 청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제2도에서 나타내는 유닛박스(11)의 회동위치에서는 지폐식별수단 (5)의 발광 및 수광센서(31)(32) 및 자기센서(33)는 지폐반송벨트수단(4)의 반송벨트(21)의 뒷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2도에서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곧바로 청소할 수가 없다.
한편, 상술한 지폐반송벨트수단(4)의 반송벨트(21)를 장력을 가한 상태로 설치하는 구동풀리(24)의 축(26)과 종동풀리(25)의 축(70)은, 유닛박스(11)에 대해 축(51)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지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유닛(52)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도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유닛(52)을 축(5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4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벨트(21)의 뒷쪽도 노출되며, 아울러 이 반송벨트(21)의 뒷쪽에 위치하는 지폐식별수단(5)의 발광 및 수광센서(31)(32) 및 자기센서(33)도 노출되므로, 이 제4도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면봉 등의 치구를 사용하면 지폐식별수단(5)의 발광 및 수광센서(31)(32) 및 자기센서(33)도 간단히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원발명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즉, 지폐처리장치는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지폐를 취급하는 일에서부터 먼지 또는 티끌 등이 부착된 지폐가 투입되는 경우도 많고, 이 때문에 지폐반송벨트수단의 반송벨트나 지폐식별수단의 자기헤드, 광센서 등에 티끌이 부착되어 지폐의 오반송나 오식별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폐처리장치에서는 지폐반송벨트수단의 반송벨트나 지폐식별수단의 자기헤드, 광센서 등을 정기적으로 청소 또는 교환 등의 보수점검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에서는 이러한 지폐반송벨트수단이나 지폐식별수단이 장치본체 내에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배설되어 있으므로, 청소작업이 번잡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장치전체를 분해처리하여 청소작업을 실행해야 하는 등 그 작업이 매우 번잡하다.
그런데 본원발명의 지폐처리장치(1)에 따르면, 유닛박스(11)를 광체(9)의 축(1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회전각도를 회동시키며, 또한 유닛박스 (11)에 대해 유닛(52)을 축(5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폐반송벨트수단(4)의 반송벨트(21) 및 지폐식별수단(5)의 발광 및 수광센서(31)(32) 및 자기센서(33)가 간단히 노출되므로 그 보수점검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박스(11)를 광체(9)의 축(1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회전각도를 회전한 상태로 지폐반송벨트수단(4) 및 지폐식별수단(5)의 청소작업을 실행하는 경우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이 청소작업은 제3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 유닛박스(11) 전체를 광체(9)로부터 떼어낸 후 청소작업을 실행해도 된다.
한편, 상술한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제1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태커 (6)를 장치본체(3)의 광체(9)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수수단(12)은 스태커 (6)의 양 측방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한쌍의 원호를 중합(重合)시킨 대략 단면이 쌍안경 모양인 돌기(60)와, 이것을 감삽하기 위해 똑같이 한쌍의 원호를 중합시킨 단면이 쌍안경 모양인 벽면부(61a)를 갖는 가이드 그루브(61)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축수수단(12)에 따르면 제2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태커(6)를 돌기(60)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기(60)의 평면부(60a)와 가이드그루브(61)의 수직벽(61b)이 서로 당접(當接)하며, 이로써 해당 스태커(6)를 소정의 회전각도의 위치에서 위치결정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스태커(6)의 회전위치에서는 해당 스태커(6)가 해방된 상단이 노출되므로 이 상단에서 스태커(6) 내로 수용된 지폐를 간단히 빼낼 수 있다.
한편, 이 스태커(6)를 광체(9)로부터 떼어내려면 제2도에 나타내는 스태커 (6)의 위치에서 제5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스태커(6)를 윗쪽으로 수직이동시킨다.
그러면 해당 스태커(6)의 돌기(60)가 가이드 그루브(61)를 따라 윗쪽으로 이동하여 해당 가이드 그루브(61)의 해방구(61c)에 도달하므로 이 제5도에서 나타내는 스태커(6)의 위치에서 제6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스태커(6)를 수평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스태커(6)의 돌기(60)와 가이드 그루브(61)와의 계합이 해제되어 스태커(6)가 광체(9)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한편, 상술한 축수수단(12)에 따르면 제2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태커 (6)를 소정의 회전각도를 경사시킨 자세에서 위치결정을 했을 때 돌기(60)의 원호부(60b)가 가이드 그루브(61)에 형성된 단면이 쌍안경 모양인 벽면부(61a)의 한쪽 원호부(61c)에 계합되어 있으므로 잘못하여 스태커(6)를 제2도에서 나타내는 위치에서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도 돌기(60)의 원호부(60b)가 가이드 그루브(61)의 한쪽 원호부(61c)와 다른 쪽 원호부(61d)와의 사이에 형성된 산부(61e)를 넘어가는 일이 없으며, 이 때문에 스태커(6)가 잘못하여 가이드 그루브(61) 내에서 탈락되어 내부에 수용된 지폐를 흩뿌릴 염려를 가급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3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박스(11)내에 지폐식별수단(5) 및 지폐반송벨트수단(4)을 적어도 배치하며, 아울러 이 유닛박스 (11) 자체를 장치본체(3)의 광체(9)에 대해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했으므로, 예를 들어, 발광 및 수광센서(31)(32) 및 자기센서(33) 등의 부착위치가 실시예의 것과 다른 지폐식별수단(5)을 장착한 별도의 동일형상의 유닛박스(11)를 임의사양으로 해서 미리 준비하고, 이것을 실시예의 것과 바꾸어 광체(9) 내에 교환장착하면 장난으로 만든 지폐의 발생 등에 대한 광 및 자기센서 위치의 신속한 변경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지폐형상 등 규격이 다른 세계각국의 지폐에 대응하여 지폐식별수단 (5)의 부착위치 또는 지폐반송벨트수단(4)의 부착위치 등이 다른, 각종의 유닛박스 (11)를 준비해두면 지폐처리장치(1) 전체에 대한 큰 설계변경 없이 단순히 세계각국의 지폐에 대응한 유닛박스(11)를 교환하여 배치함으로써 규격이 다른 세계각국의 지폐에 신속하게 대응시킨 지폐처리장치를 간단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4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박스(52)에 지폐식별수단(5)의 일부인 발광센서(31) 및 자기센서(33) 등의 지폐식별용 센서 및 지폐반송벨트수단(4)의 일부를 구성하는 반송벨트(21) 등을 장착시키고, 이 유닛 (52)을 축(51)을 통해 유닛박스(11)에 대해 단순히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2도와 동일부분을 동일부호로 나타내는 제7도와 같이 유닛(52)의 축(51)을 예를 들면 단면을 대략 D자모양으로 형성하며 또한 이 축(51)이 방향성을 갖고 유닛박스(11)에 탈착이 자유롭게 그리고 장착 후에는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할 수 있는 축수를 해당 유닛박스(11)에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7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52)에 탑재된 지폐반송벨트수단(4)과 지폐식별수단(5)의 각 일부(반송벨트(21) 구동 및 종동풀리(24) (25), 발광센서(31), 자기센서(33) 등)를 유닛박스(11) 내에 배치된 지폐반송벨트수단(4)과 지폐식별수단(5)의 각 일부(복수개의 종동롤러(28)로 이루어지는 제2의 복수 종동롤러, 수광센서(32) 등)에 대해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유닛박스(11)에 대해 유닛(52)을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도록 구성하고, 제7도에서 나타내는 유닛(52)의 위치에서 해당 유닛(52)을 축(5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폐처리장치(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8도의 사시도와 같이 유닛박스(11)에 대해 유닛(52)가 회전하여 일어난다.
이 상태에서 제9도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52)의 축(51)을 유닛박스(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축수공(80)과 연통하는 절결(81)에서 탈출시키면 유닛(52) 자체를 유닛박스(11)에서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8도 및 제9도에서 기호 "200"은 스태커(6) 내에 수용된 지폐이다.
이처럼 발광센서(31), 자기센서(33) 등의 지폐식별용 센서의 일부 및 반송벨트(21) 등의 지폐반송벨트수단(4)의 일부를 탑재한 유닛(52)을 유닛박스(11)에서 때어내면 그 사시도로 나타내는 제10도와 같이 유닛(52)에 탑재되며 또한 구동풀리(24)와 종동풀리(25)와의 사이에 장력을 가한 상태로 설치된 모든 반송벨트(21)가 노출되는 동시에 지폐식별수단(5)의 일부를 구성하는 발광센서(31), 자기센서(33) 등 각종 지폐식별용 센서도 노출되어진다.
따라서, 이 제10도에서 나타내는 유닛(52)의 떼어냄 상태에서는 유닛(52)에 탑재된 지폐식별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발광센서(31), 자기센서(33) 등 각종 지폐식별용 센서에 대한 청소를 간단히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유닛(52)에 탑재된 지폐반송벨트수단(4)의 일부를 구성하는 반송벨트(21)의 교환작업을 실행할 때에도 제11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반송벨트(21)를 구동풀리(24)와 종동풀리(25)의 트러스트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간단히 해당 반송벨트(21)의 떼어냄 및 부착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반송벨트(21)의 떼어냄 작업시, 반송벨트(21)를 감은 구동풀리(24)와 종동풀리(25)를 각각 트러스트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 구동풀리(24)와 종동풀리(25)가 그것을 지지하는 축(26)(70)에서 탈락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 구동풀리 (24)와 종동풀리(25)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제10도의 요부 파단면도에서 나타내는 제12도와 같이 구동풀리(24)와 종동풀리(25)와 인접하는 위치의 유닛판(52a)에 상기 각 구동 및 종동풀리(24)(25)의 트러스트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풀리이동방지용 갈고랑이(90)을 입설(立設)해도 된다.
이처럼, 구동풀리(24)와 종동풀리(25)와 인접하는 위치의 유닛판(52a)에 풀리이동방지용 갈고랑이(90)를 입설시키면, 제13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리이동방지용 갈고랑이(90)의 선단부(90a)가 트러스트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풀리(24)와 종동풀리(25)의 외주 가장자리와 당접하여 빠짐방지를 꾀하므로, 반송벨트(21)의 떼어냄 교환 등의 보수점검 작업시에 각 풀리(24)(25)의 탈락이 방지되어 반송벨트(21)의 교환작업이 간단해진다.
또한, 제1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52) 내에는 발광센서(31), 자기센서(33) 등 지폐식별용 센서를 탑재한 인쇄배선기판(35)이 배치되며, 또한 이 인쇄배선기판(35)과 신호의 송수신을 실행하는 인쇄배선기판(36)이 유닛박스(11) 내에 배설되어 있으므로, 실제로는 유닛(52)에서는 인쇄배선기판(35)에 접속된 복수개의 케이블이 연설(延設)되어 있지만, 이 케이블(100)은 유닛박스(11)의 사시도로 나타내는 제14도와 같이 유닛박스(11)의 측방에 형성된 케이블수용 요부(11a) 내에 수용되며, 또한 이 케이블수용 요부(11a) 내에 배설된 커넥터(101)를 통해 유닛박스(11) 내에 배설된 인쇄배선기판(36)(제1도)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블수용 요부(11a)는 개폐가 자유로운 덮개체(11b)로 덮여지며, 또한 이 덮개체(11b)는 케이블수용 요부(11a)를 덮을 때 도시하지 않은 랫치수단을 통해 유닛박스(11)의 측방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케이블수용 요부(11a)를 형성하면 유닛박스(11)를 장치본체(3)에서 떼어내는 등의 보수점검 작업시에 케이블(100)이 주위에 있는 물체에 걸리는 등의 장애를 해소하여 작업 효율화를 한층 촉진시킬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폐처리장치에서는 지폐반송벨트수단과 지폐식별수단을 적어도 포함하는 유닛박스를 장치본체에 대해 지폐투입구 측과 면하는 반송벨트가 노출되도록 개폐가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했으므로, 이러한 지폐반송벨트수단과 지폐식별수단의 청소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지폐반송벨트수단과 지폐식별수단을 장치본체와는 별체인 유닛박스 내에 수용배치하고 이 유닛박스 자체를 장치본체에 대해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했으므로, 지폐식별수단의 부착위치 또는 반송벨트수단의 부착위치 등이 다른 각종의 유닛박스를 미리 임의사양으로 하여 준비해 두면 지폐규격이 다른 각국 대응의 지폐처리장치를 큰 폭의 설계변경 없이 간단히 그리고 싼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난으로 만든 지폐에 대해서도 지폐식별수단의 부착위치의 변경을 간단 및 신속하게 실행하여 그 피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한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가지의 다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그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므로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로 나타내며 명세서 본문에는 전혀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Claims (20)

  1. 장치본체 내에 지폐투입구에서 삽입된 지폐를 대략 U자모양의 지폐반송로를 따라 반송벨트로 반송하는 지폐반송벨트수단과,
    상기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지폐식별수단과,
    이 지폐식별수단에 의해 진권으로 간주된 지폐를 수용하는 지폐수용수단을 적어도 구비한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수용수단을 제외하고, 상기 지폐반송벨트수단과 상기 지폐식별수단을 적어도 포함하는 유닛박스를, 상기 장치본체에 대해 지폐투입구 측과 면하는 상기 반송벨트가 노출되도록 개폐가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박스가 상기장치본체에 대해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식별수단은 발광부 및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광센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식별수단은 발광부 및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광센서와 적어도 한개의 자기센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반송벨트수단과 상기 지폐식별수단의 일부를 포함하여 유닛을 구성하며, 이 유닛을 상기 유닛박스에 대해 개폐가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이 상기 유닛박스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식별수단의 상기 일부가 복수의 광센서 발광부 또는 수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식별수단의 상기 일부가 복수의 광센서 발광부 또는 수광부 및 적어도 한개의 자기센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9. 지폐투입구에서 삽입된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반송벨트수단과 상기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지폐식별수단을 적어도 구비한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투입구와, 이 지폐투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지폐반송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지폐안내수단과,
    상기 지폐반송벨트수단의 반송벨트와 당접하여 상기 제1 지폐안내수단과 함께 상기 지폐반송로를 형성하는 제1 복수 종동롤러를 갖는 장치본체와,
    이 장치본체에 개폐가 자유롭게 장착되며, 상기 지폐반송벨트수단과, 상기 반송벨트와 당접하여 상기 지폐반송로를 형성하는 제2 복수 종동롤러와, 상기 지폐반송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 지폐안내수단과, 상기 지폐반송벨트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기 위한 상기 지폐식별수단을 갖는 유닛박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식별수단은 발광부 및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광센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식별수단은 발광부 및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광센서와 적어도 한개의 자기센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반송벨트수단과 상기 지폐식별수단의 일부를 포함하여 유닛을 구성하며, 이 유닛을 상기 유닛박스에 대해 개폐가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이 상기 유닛박스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을 상기 유닛박스에서 연 상태에서 반송벨트가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식별수단의 상기 일부가 복수의 광센서 발광부 또는 수광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식별수단의 상기 일부가 복수의 광센서 발광부 또는 수광부 및 자기센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박스의 한 측방에는 개폐가 자유로운 덮개체가 덮여지며 상기 장치본체에서 연설(延設)되는 케이블 커넥터 부가 배설(配設)된 수납부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박스의 한쪽 단에 제1의 계지수단, 다른 쪽 단에 U자형 그루브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장치본체에는 상기 제1 계지수단과 계합되는 제2 계지수단과, 상기 U자모양의 그루브가 감삽(嵌揷)되는 축을 가지며, 상기 유닛박스가 상기 장치본체에 개폐가 자유롭게 또는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 및 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폐반송벨트수단은 상기 반송벨트를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로 이루어지는 풀리수단에 장력을 가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벨트를 장력을 가한 상태로 설치하는 상기 풀리수단과 인접하는 위치에, 풀리의 트러스트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풀리이동방지용 갈고랑이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KR10-2001-0008367A 2000-02-25 2001-02-20 지폐처리장치 KR1003667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49678 2000-02-25
JP49678/2000 2000-02-25
JP2000160563A JP4038321B2 (ja) 2000-02-25 2000-05-30 紙幣処理装置
JP160563/2000 2000-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419A true KR20010085419A (ko) 2001-09-07
KR100366720B1 KR100366720B1 (ko) 2003-01-06

Family

ID=26586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367A KR100366720B1 (ko) 2000-02-25 2001-02-20 지폐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57586B2 (ko)
JP (1) JP4038321B2 (ko)
KR (1) KR100366720B1 (ko)
DE (1) DE10107242A1 (ko)
GB (1) GB2360621B (ko)
MY (1) MY1306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73428A1 (en) 1995-04-06 1996-10-07 Donald W. Church Electronic parking meter
GB0118531D0 (en) * 2001-07-30 2001-09-19 Innovative Technology Ltd Handling banknotes and the like
US6749515B2 (en) * 2001-09-28 2004-06-15 Igt Rotating bill acceptor for use with a gaming device
US6896115B2 (en) * 2002-04-16 2005-05-24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Paper currency receiver for ticket vendor
KR20020054298A (ko) * 2002-06-10 2002-07-06 양대문 지폐식별장치
CA2395726C (en) * 2002-07-26 2011-01-11 Cashcode Company Inc. Banknote validator with improved drive path
AU2003291769A1 (en) * 2002-12-27 2004-07-29 Japan Cash Machine Co., Ltd. Optical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optical features of valuable papers
GB2403333B (en) * 2003-06-25 2006-09-13 Int Currency Tech Banknote acceptor
US7007789B2 (en) * 2003-07-15 2006-03-07 Singleton Iii Eugene G Security cover for vending machine bill validator
JP4571813B2 (ja) * 2004-03-15 2010-10-27 富士通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の構築方法
JP4560343B2 (ja) * 2004-07-09 2010-10-13 サンデン株式会社 紙幣識別装置
JP2006143383A (ja) * 2004-11-18 2006-06-08 Aruze Corp 紙幣取扱装置、及び紙幣収納ユニット
JP2006143384A (ja) * 2004-11-18 2006-06-08 Aruze Corp 紙幣取扱装置および紙幣収納ユニット
US20060113162A1 (en) * 2004-11-29 2006-06-01 Kenneth Ottesen Validator guide
JP4644474B2 (ja) * 2004-11-30 2011-03-02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JP2006185076A (ja) * 2004-12-27 2006-07-13 Nippon Conlux Co Ltd 紙幣識別装置
US20070084695A1 (en) * 2005-10-17 2007-04-19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Bill acceptor
US20090192950A1 (en) * 2005-12-02 2009-07-30 Ips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removable meter unit
US8595054B2 (en) * 2005-12-02 2013-11-26 Ips Group Inc. Parking meter and a device therefor
KR100721647B1 (ko) * 2006-05-17 2007-05-2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2단락구조
GB2446181B (en) * 2007-01-30 2009-04-08 Int Currency Tech Detachable bill acceptor mounting arrangement
GB0702191D0 (en) * 2007-02-05 2007-03-14 Innovative Technology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Banknote Validation
MX2008002669A (es) 2007-02-27 2009-02-25 Ips Group Inc Parquimetro.
US8479909B2 (en) 2007-03-30 2013-07-09 Ips Group Inc. Coin validation unit with clip feature
US8513832B2 (en) * 2007-03-30 2013-08-20 Ips Group Inc. Power supply unit
DE102007020752A1 (de) * 2007-05-03 2008-11-06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zur Annahme und zur Ausgabe von Wertdokumenten
US9002723B2 (en) * 2008-01-18 2015-04-07 Ips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location-specific configuration management of a removable meter unit
CA2664291C (en) 2008-04-25 2013-09-17 J.J. Mackay Canada Limited Improved data collection system for electronic parking meters
JP2010146162A (ja) * 2008-12-17 2010-07-01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紙幣識別装置
US20110316716A1 (en) 2008-12-23 2011-12-29 George Allan Mackay Low power wireless parking meter and parking meter network
WO2011029062A2 (en) 2009-09-04 2011-03-10 Ips Group, Inc. Parking meter communications for remote payment with updated display
CA2773132C (en) * 2009-09-04 2015-11-03 Ips Group Inc. Location-aware advertising to parking location users
JP5484866B2 (ja) * 2009-11-16 2014-05-07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US8250887B2 (en) 2010-05-26 2012-08-28 J.J. Mackay Canada Limited Tamper resistant lock
US8430395B2 (en) * 2010-11-16 2013-04-30 Ncr Corporation Pick unit
CA3178279A1 (en) 2011-03-03 2012-09-03 J.J. Mackay Canada Limited Parking meter with contactless payment
US9127964B2 (en) 2011-07-25 2015-09-08 Ips Group Inc. Low power vehicle detection
CN104205177B (zh) * 2012-01-23 2017-04-12 日本金钱机械株式会社 文件回收箱
CA145137S (en) 2012-04-02 2013-07-22 Jj Mackay Canada Ltd Single space parking meter
JP2015082298A (ja) * 2013-10-24 2015-04-27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鑑別装置
JP6522332B2 (ja) 2014-12-22 2019-05-29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US9508198B1 (en) 2014-12-23 2016-11-29 Ips Group Inc. Meters and upgraded meter cover with sensor
JP6488800B2 (ja) * 2015-03-20 2019-03-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搬送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CA2894350C (en) 2015-06-16 2023-03-28 J.J. Mackay Canada Limited Coin chute with anti-fishing assembly
USRE48566E1 (en) 2015-07-15 2021-05-25 J.J. Mackay Canada Limited Parking meter
CA3176773A1 (en) 2015-08-11 2017-02-11 J.J. Mackay Canada Limited Single space parking meter retrofit
USD813059S1 (en) 2016-02-24 2018-03-20 J.J. Mackay Canada Limited Parking meter
CA3031936A1 (en) 2019-01-30 2020-07-30 J.J. Mackay Canada Limited Spi keyboard module for a parking meter and a parking meter having an spi keyboard module
USD911857S1 (en) 2019-02-20 2021-03-02 Ips Group Inc. Sensor enhanced parking meter
USD959298S1 (en) 2020-11-19 2022-08-02 Ips Group Inc. Meter cover
USD986082S1 (en) 2020-11-19 2023-05-16 Ips Group Inc. Sensor enhanced meter
USD996237S1 (en) 2020-11-19 2023-08-22 Ips Group Inc. Sensor enhanced meter
USD959299S1 (en) 2020-11-19 2022-08-02 Ips Group Inc. Meter cover
USD959997S1 (en) 2020-11-19 2022-08-09 Ips Group Inc. Meter cov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3325B2 (ja) 1980-10-17 1984-10-22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エアコン制御装置
US4784274A (en) * 1983-10-03 1988-11-15 Kabushiki Kaisha Nippon Coinco Bill device
US4628194A (en) * 1984-10-10 1986-12-09 Ma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urrency validation
KR910009308B1 (ko) 1986-03-18 1991-11-09 가부시기가이샤 닛본곤락스 지폐장치
JPH0639379Y2 (ja) 1990-07-30 1994-10-12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3135628B2 (ja) * 1991-09-12 2001-02-19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識別装置
US5411249A (en) * 1994-01-10 1995-05-02 Mars Incorporated Currency validator and cassette transport alignment apparatus
JP3168828B2 (ja) * 1994-06-15 2001-05-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紙幣識別装置
US5547062A (en) 1995-05-31 1996-08-20 Diversified Technologies, Inc. Universal currency acceptor
US5657846A (en) 1995-07-13 1997-08-19 Cashcode Company Inc. Currency validator with split housing
KR100271698B1 (ko) * 1996-07-15 2000-11-15 오까다 마사하루 지폐식별기및 지폐식별방법
US6158565A (en) * 1997-08-28 2000-12-12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Bill processor
US6142284A (en) 1999-03-22 2000-11-07 Cashcode Company Inc. Modular bill accep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38321B2 (ja) 2008-01-23
GB2360621A (en) 2001-09-26
KR100366720B1 (ko) 2003-01-06
DE10107242A1 (de) 2001-09-20
GB0104270D0 (en) 2001-04-11
MY130645A (en) 2007-07-31
US6457586B2 (en) 2002-10-01
JP2001312759A (ja) 2001-11-09
GB2360621B (en) 2002-05-15
US20010017276A1 (en) 200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720B1 (ko) 지폐처리장치
JPH07125896A (ja) 紙幣処理装置
ES2357170T3 (es) Alimentador de documentos a granel con cartucho extraíble.
US6412619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paper money
JPH06325241A (ja) 紙幣処理装置
US8387977B2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KR19990023928A (ko) 지폐처리장치
EP1415281B1 (en) Handling banknotes
KR100352525B1 (ko) 지폐 처리장치
JP2009080749A (ja) 紙幣計数機
KR100335678B1 (ko) 지폐처리장치
JP2002109613A (ja) 紙葉類識別収納装置
EP0960846B1 (en) Sheet material guide
JP3302504B2 (ja) 紙幣処理装置
JP3779094B2 (ja) 紙幣処理装置
JP3779093B2 (ja) 紙幣処理装置
JPH06290329A (ja) 紙幣処理装置
JP4799933B2 (ja) 紙幣処理装置
JPH07129816A (ja) 紙幣処理装置
JP2002260064A (ja) 紙幣識別収納装置
JP2004013499A (ja) 紙幣処理装置
JP2006079300A (ja) 紙幣搬送ユニットの紙幣投入口
MXPA96005378A (en) Ba ticket management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