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4298A - 지폐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4298A
KR20020054298A KR1020020032273A KR20020032273A KR20020054298A KR 20020054298 A KR20020054298 A KR 20020054298A KR 1020020032273 A KR1020020032273 A KR 1020020032273A KR 20020032273 A KR20020032273 A KR 20020032273A KR 20020054298 A KR20020054298 A KR 20020054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unit
identificatio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대문
Original Assignee
양대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대문 filed Critical 양대문
Priority to KR1020020032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4298A/ko
Publication of KR20020054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29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1Testing electronic circuits therei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지폐의 비정상적인 배출을 방지하면서 지폐수납함으로의 수납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실행되도록 설계되어 자동판매기라든지 ATM단말기에 적용가능한 지폐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폐식별장치는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지폐의 식별을 위한 지폐식별경로를 형성하면서 지폐투입검출센서와 자성검출지원부재 및 회전로울러가 배치된 유니트하우징을 갖춘 지폐식별유니트와; 그 지폐식별유니트에 의해 식별된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수납함을 구비하는 지폐수납유니트; 상기 지페식별유니트와 대응하여 상기 지폐식별경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투입된 지폐의 인입과 배출 및 저장과 상기 지폐의 강제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지폐수납구동유니트;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에 결합되어 상기 지폐의 식별제어와 저장 및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지폐식별장치{PAPER MONEY IDENT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지폐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판매기라든지 현금수납기에 채용되어 지폐의 정확한 식별 및 수납과 그 내부에 투입된 지폐의 비정상적인 강제 배출을 방지하도록 된 지폐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무인점포의 형태를 취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음료라든지 기호식품을 자동으로 판매하기 위한 상품자동판매기가 다수의 개소에 설치되어 편리함을 제공하는 상황이고, 금융거래에 관련된 다수의 무인창구의 경우에도 현금의 입금을 위해 지폐식별 및 수납구조를 구비한 소위 'ATM'단말기가 설치되어 편리성을 제공하는 상황이다.
통상적으로, 그러한 상품자동판매기라든지 ATM단말기에는 투입된 지폐를 식별하고 수납하기 위한 지폐식별장치가 구비되는 바, 그 지폐식별장치는 대개 지폐투입구에 투입되는 지폐가 지폐식별경로를 통과하도록 작용하는 지폐유입유니트와 그 식별된 지폐의 진권만을 수납저장하는 지폐수납유니트가 구비된다.
따라서, 그 지폐식별장치에서는 지폐투입구에 투입된 지폐는 지폐유입유니트에 의해 지폐식별경로를 통과하면서 진권 여부의 판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 판정이 이루어진 지폐는 지폐수납유니트에 의해 지폐수납함에 수납/저장된다.
그런데, 상기한 지폐식별장치에서는 지폐가 정확하게 지폐식별경로를 통과하지 않게 되면 지폐의 식별기능에 오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즉, 지폐식별장치에서는 자성검출센서를 적용하여 지폐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자성 성분을 검출상태에 따라 지폐의 진권여부를 판정하게 되는 바, 그 자성검출센서에 지폐가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지폐식별경로의 상측에서 지폐를 가압하는 로울러를 채용하게 되면 그 로울러상에도 자성 성분이 잔존하게 되어 장시간 사용시 위권이 투입되어도 진권으로 오판정하는 경우가 초래되거나, 진권이 투입되는 경우에도 그 로울러상에 잔존하는 자성 성분의 영향에 의해 수입률이 현저하게 감소될 가능성도 초래된다.
또, 상기한 지폐식별장치에서는 진권으로 판정된 지폐가 지폐식별경로를 통과하여 지폐수납함에 수납되기 이전에 반출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게 된다.
즉, 지폐의 일단에 예컨대 투명테이프와 줄을 연결하여 진권판정 및 투임금액의 산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줄을 당겨서 지폐를 역으로 반출하는 행위에 대해서도 대비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또, 진권으로 판정된 지폐에 대해서는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지폐수납함에 수납/저장이 이루어져야만 되는 바, 종래의 지폐식별장치에서는 그 지폐수납을 위한 구조가 다수의 기어를 채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당히 복잡하다는 단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지폐식별경로를 통과하는 지폐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면서 비정상적인 지폐의 반출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와 지폐수납함에 대한 지폐의 수납저장을 위한 구조가 상호 연동적으로 설계되어 전체적인 지폐수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지폐식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지폐의 식별을 위한 지폐식별경로를 형성하면서 지폐투입검출센서와 자성검출지원부재 및 회전로울러가 배치된 유니트하우징을 갖춘 지폐식별유니트와; 그 지폐식별유니트에 의해 식별된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수납함을 구비하는 지폐수납유니트; 상기 지페식별유니트와 대응하여 상기 지폐식별경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투입된 지폐의 인입과 배출 및 저장과 상기 지폐의 강제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지폐수납구동유니트;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에 결합되어 상기 지폐의 식별제어와 저장 및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지폐식별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지폐식별유니트의 유니트하우징은 상기 지폐식별유니트에 대해 착탈구조로 형성되도록 그 유니트하우징의 양측면 하측에는 고정나사가 설치되고, 그 고정나사로부터 일정한 이격위치에 형성된 장공에는 해당하는 유니트하우징의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설되는 하우징착탈로드의 양단이 수납되며, 그 하우징착탈로드의 양단에는 회전지지나사가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의 외측으로부터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착탈로드의 양단에서 상기 장공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고정나사의 사이에는 그 하우징착탈로드를 상기 장공의 후방으로 당기는 텐션스프링의 양단이 결합된다.
또, 상기 유니트하우징의 후방에는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로부터 전달되는 전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지폐를 식별위치와 수납저장위치로 인입하고 불량의 지폐를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지폐입출로울러가 단일의 회전축상에 설치되고, 상기 지폐식별유니트의 유니트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폐식별본체에서 상기 다수의 회전로울러의 각 양측에는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각 회전로울러에 대해서는 로울러가압플레이트가 제공되고, 각 로울러가압플레이트는 대체로 평단면이 'H'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양측의 로울러수납구에 상기 1조의 회전로울러가 회전돌기의 가압형태로 개재되며, 각 로울러가압플레이트의 중앙부분은 고정나사에 의해 상기 지폐식별본체상에 형성된 나사결합리브에 결합고정되고, 그 고정나사와 상기 로울러가압플레이트의 사이에는 텐션스프링이 개재되며, 상기 회전로울러의 하측에는 상기 지폐식별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로울러수납부가 각 회전로울러의 설치위치에 제공되고, 각 로울러수납부의 중앙은 상기 회전로울러가 노출되도록 관통되면서 그 양측벽은 각 회전로울러의 회전돌기를 수납하기 위해 절개된다.
상기 지폐식별본체의 대체로 중앙에 형성된 지폐가압공에 대해 일단에 형성된 대체로 하향의 지폐가압돌기가 노출된 지폐가압탄성판이 제공되고, 그 지폐가압탄성판의 타단은 상기 지폐식별본체상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판지지리브상에 탄성판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되며, 그 지폐가압탄성판과 상기 탄성판고정나사의 사이에는 그 지폐가압탄성판을 하향가압하는 탄성판텐션스프링이 개재된다.
상기 지폐식별본체의 대체로 'ㄱ'형상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는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설치되는 지폐입출로울러에 대해서는 그 지폐입출로울러의 외측으로 연장된 회전축의 양측 단부를 지지하는 회전축지지부재가 제공되고, 각 회전축지지부재는 그 일단이 회전축지지부재고정나사에 의해 상기 지폐식별본체의 후방의 양측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회전축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지지부재고정나사와의 사이에는 회전축지지부재텐션스프링이 대응적으로 개재되고, 각 회전축지지부재텐션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지폐식별본체상에 지지됨과 더불어 그 타단은 상기 대응하는 회전축지지부재(240)의 소정위치에 돌설된 텐션스프링고정돌기에 지지되며, 각 회전축지지부재의 하측 일면에는 상기 지폐입출로울러가 양단에 결합된 상기 회전축의 각 단부가 수용되는 회전축수용요홈이 형성된다.
상기 지폐수납유니트에서 상기 지폐수납함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와 회동가능하게 착탈되도록 하는 선회축을 형성하는 체결부재가 설치되는 회동체결공이 형성되고, 그 지폐수납함의 상부 양측에는 그 지폐수납함이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에 착탈되도록 작용하는 지폐수납함착탈레버가 설치되며, 상기 지폐수납함착탈레버는 상기 지폐수납함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레버작동장공내에 수용되고, 그 레버작동장공내에서 상기 지폐수납함착탈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레버지지스프링이 제공되고,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의 양측 하면에는 상기 지폐수납함착탈레버가 수용되는 레버수납요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는 본체하우징내에 수용되면서 지폐의 인입과 인출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지폐입출구동부와, 지폐의 불량한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지폐강제배출방지부, 상기 지폐수납함에 지폐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지폐수납작동부, 해당하는 지폐식별장치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제어부 및, 그 제어부에 연계되어 지폐의 감지에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지폐감지센서가 설치되는 지폐감지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폐입출구동부에는 지폐의 인입과 배출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1전동모터와, 지페의 식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지폐를 배출시키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2전동모터가 포함되고, 상기 제 1전동모터에 대해서는 동일한 지폐입출회전축의 양측에 설치된 전동기어를 매개하여 지폐의 인입과 배출에 적용되는 다수의 지폐인입/배출로울러가 대응하는 회전로드의 양단에설치되며, 각 지폐인입/배출로울러는 상기 지폐식별유니트의 회전로울러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각 회전로드의 양단은 상기 본체하우징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각 지폐인입/배출로울러는 상기 제 1전동모터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대응하는 타이밍벨트에 의해 상호 연계된다.
상기 지폐강제배출방지부는 상기 제 2전동모터의 축에 연계되는 지폐입출제어기어가 구비되고, 그 지폐입출제어기어의 일측에는 지폐의 정상적인 인입과 강제적인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지폐입출제어기어에 대해서는 지폐의 정상적인 인입과 강제적인 배출을 통제하기 위한 지폐입출제어부재가 제공되고, 그 지폐입출제어부재는 그 선단측에 형성된 지폐차단돌기가 복수로 형성되며, 그 지폐차단돌기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지폐차단돌기출입구에 대해 출입하면서 지폐의 인입과 배출을 제어하게 되고, 상기 지폐입출제어부재는 그 중앙에 그 작동방향으로 형성된 작동장공이 형성되고, 그 작동장공에는 그 지폐입출제어부재의 결합을 위한 결합로드가 수용되며, 그 지폐입출제어부재에 대해서는 일단이 고정핀에 결합된 위치복원스프링의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지폐입출제어부재의 후방에는 상기 지폐입출제어기어의 스토퍼에 연계되는 스토퍼구동돌기가 형성되고, 그 지폐입출제어부재의 후단은 상기 제어부에 형성되는 위치검출센서에 대한 광로개폐편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폐수납작동부는 선단이 상기 지폐입출제어기어의 소정위치에 결합된 지폐수납동력전달편을 구비하게 되고, 상기 지폐수납동력전달편은 그 양측이 상향 절곡되면서 그 상향 절곡된 측면에는 지폐수납동작을 지지하기 위한 횡바의 작동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장공형태의 작동공이 형성되며, 그 지폐수납동력전달편의 양측 후방에는 지폐의 수납을 위한 작동력이 형성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링크결합장공이 형성되고, 각 링크결합장공에서는 상호 교차되는 제 1 및 제 2지폐수납링크부재의 회동핀이 수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지폐수납링크부재의 제 1단부에는 지폐를 상기 지폐수납함으로 밀어넣기 위한 지폐수납판이 회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지폐수납링크부재의 제 2단부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양측에 각기 대응하는 회동부재를 매개하여 선회적으로 결합된다.
유리하게, 상기 제 1 및 제 2지폐수납링크부재의 제 2단부와 상기 횡바의 양단 사이에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외측에서 지폐수납동작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한 텐션스프링이 대응적으로 제공된다.
상기 지폐감지부에는 상기 지폐식별유니트의 유니트하우징의 결합시 형성되는 직폐식별경로에서 지폐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의 본체하우징의 상면에 노출되는 상태로 상기 지폐투입검출센서와 연계되는 지폐투입검출센서와, 상기 자성검출지원부재에 대응하는 자성검출센서, 상기 다수의 광검출센서에 연계되는 다수의 광검출센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폐식별경로에 투입된 지폐가 상기 상기 지폐입출제어부재의 지폐차단돌기가 눌려진 상태로 유지되면 그 투입된 지폐의 강제 배출을 위한 제어를 포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폐식별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폐식별장치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폐식별유니트의 유니트하우징의 착탈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폐식별유니트의 유니트하우징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지폐수납유니트의 지폐수납함의 분리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폐수납함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지폐수납구동유니트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체하우징의 구성을 설명하는 요부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지폐강제배출방지부와 지폐수납작동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요부도,
도 10은 도 8과 도 9에 도시된 지폐강제배출방지부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지폐강제배출방지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도,
도 12a와 도 12b는 도 9에 도시된 지폐수납작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지폐식별장치, 200: 지폐식별유니트,
201: 지폐투입구, 202: 유니트하우징,
300: 지폐수납유니트, 301: 지폐수납함,
400: 지폐수납구동유니트, 402: 본체하우징,
410a: 지폐입출구동부, 410b: 지폐강제배출방지부,
410c: 지폐수납작동부, 410d: 제어부,
410e: 지폐감지부, 421: 지폐입출제어기어,
422: 지폐입출제어부재.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폐식별장치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0로 표시된 지폐수납장치는 지폐의 투입과 진권의 판정 및 지폐의 정상적인 반환 과정이 이루어지는 지폐식별유니트(200)와, 진권으로 판정된 지폐의 수납을 위한 지폐수납유니트(300) 및, 상기 지폐식별유니트(200)와 상기 지폐수납유니트(300)의 실제적인 구동에 의해 지폐의 인입/반환 및 수납을 행하는 지폐수납구동유니트(400)로 대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폐식별유니트(200)와 상기 지폐수납유니트(300)는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400)에 대해 착탈되는 구조로 설계되는 바,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폐식별유니트(200)의 유니트하우징(202)은 회전지지나사(203)를 중심으로 상기 지폐투입구(201)의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선회된다.
또, 상기 지폐수납유니트(300)를 구성하는 지폐수납함(301)도 선회축(302)에 의해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400)에 대해 상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폐식별유니트(200)의 유니트하우징(202)에 따르면, 그 저면에 상기 지폐투입구(201)를 통해 투입된 지폐의 인입과 배출을 지원하는 다수(본 발명에서는 4)의 회전로울러(204)가 지폐의 양측을 가이드하도록 배치됨과 더불어 지폐의 초기 투입을 검출하는 지폐투입검출센서(205)가 대체로 중앙 전방위치에 설치된다.
또, 그 지폐투입검출센서(205)의 후방에는 지폐의 진권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자성(磁性)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자성검출지원부(206)와 그 자성검출지원부(206)의 좌측과 우측에 다수의 광검출센서(207)가 제공된다.
상기 유니트하우징(202)의 후방에는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400)로부터 전달되는 전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지폐를 식별위치와 수납저장위치로 인입하고 불량의 지폐를 배출/반환시키기 위한 복수의 지폐입출지지로울러(208)가 단일의 회전축(209)상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폐수납유니트(300)에 따르면, 상기 지폐식별유니트(200)의 지폐투입구(201)를 통해 투입된 지폐를 수납저장하는 상기 지폐수납함(301)은 그 내부에 지폐를 평평하게 수납지지하는 지폐수납플레이트(303)가 설치되고, 그 지폐수납플레이트(303)의 하측에는 지폐의 수납 양에 따라 그 지폐수납플레이트(303)를 탄성지지하는 지폐수납플레이트탄성지지부재(304)가 제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폐식별유니트(200)의 유니트하우징(202)의 양측면 하측에는 고정나사(210)가 설치되고, 그 고정나사(210)로부터 일정한 이격위치에는 장공(211)이 형성되는 바, 그 장공(211)에는 그 유니트하우징(202)의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설되는 하우징착탈로드(212)의 양단(212a)이 수납되며, 그 하우징착탈로드(212)의 양단(212a)에는 상기 회전지지나사(203)가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400)의 외측으로부터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착탈로드(212)의 양단에서 상기 장공(211)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212b)과 상기 고정나사(210)의 사이에는 그 하우징착탈로드(212)를 상기 장공(211)의 후방으로 당기는 텐션스프링(211)의 양단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지폐식별유니트(200)의 유니트하우징(202)이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400)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지폐식별유니트(200)의 유니트하우징(202)은 그 선단에 돌출된 착탈턱(213)이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400)에 설치된 상기 지폐투입구(201)의 후방에 형성된 착탈턱수납홈(도시는 생략)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그 경우 상기 텐션스프링(211)은 상기 하우징착탈로드(212)가 상기 장공(211)의 후방으로 위치되도록 당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지폐식별유니트(200)의 유니트하우징(202)을 탈거시키기 위해 그 유니트하우징(202)을 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회전지지나사(203)가 결합된 상기 하우징착탈로드(212)가 상기 텐션스프링(211)의 방해없이 상기 장공(211)의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착탈턱(213)이 상기 지폐투입구(201)의 후방에 형성된 착탈턱수납홈으로부터 이탈되어 그 유니트하우징(202)이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400)로부터 상기 회전지지나사(203)의 지지하에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분리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폐식별유니트(200)의 유니트하우징(202)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폐식별본체(220)에서 상기 다수의 회전로울러(204)는 각기 양측에 회전돌기(204a)가 구비되는 바, 상기 지폐투입구(201)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의 인입을 유리하게 하기 위해 상기 회전로울러(204)에 대해서는 로울러가압플레이트(221)가 제공된다.
즉, 상기 로울러가압플레이트(221)는 대체로 평단면이 'H'자 형상을 이루게 되고, 그 로울러가압플레이트(221)의 양측의 로울러수납구(221a)에 상기 1조의 회전로울러(204)가 개재되면서 각 회전돌기(204a)가 그 로울러가압플레이트(221)에의해 가압된다.
또, 상기 로울러가압플레이트(221)에 의한 상기 회전로울러(204)의 가압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로울러가압플레이트(221)의 중앙부분은 고정나사(222)에 의해 상기 지폐식별본체(220)상에 형성된 나사결합리브(223)에 결합고정되고, 그 고정나사(222)와 상기 로울러가압플레이트(221)의 사이에는 텐션스프링(224)이 개재되어 항시 로울러가압플레이트(221)를 하향 가압함으로써 결국 각 회전로울러(204)의 가압이 최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회전로울러(204)의 하측에는 상기 지폐식별본체(220)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로울러수납부(225)가 각 회전로울러(204)의 설치위치에 제공되는 바, 그 로울러수납부(225)의 중앙은 각 회전로울러(204)의 일부가 지폐의 인입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노출되도록 관통되고, 각 로울러수납부(225)의 양측벽은 각 회전로울러(204)의 회전돌기(204a)를 수납하기 위해 절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울러수납부(225)는 상기 'H'자형상의 로울러가압플레이트(221)의 양측 로울러수납부(221a)의 사이에 수용되는 치수로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로울러(204)가 대응하는 로울러수납부(225)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H'자형상의 로울러가압플레이트(221)를 상기한 구조로 체결하게 되면 각 회전로울러(204)의 회전돌기(204a)는 대응하는 로울러수납부(225)의 측면 절개부와 대응하는 로울러가압플레이트(221)에 의해 가압되어 이탈되지 않는 상태에서 지폐의 인입에 연동하여 회전구동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자성검출지원부(206)에 대해서는 상기 지폐투입구(201)를통해 투입된 지폐의 대체로 중앙부분에 형성된 자성을 검출하기 위해 그 지폐의 자성패턴부분에 직접 접촉되지 않으면서 지폐를 가압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게 되는 바, 그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폐식별본체(220)의 대체로 중앙에 형성된 지폐가압공(226)에 대해 일단에 형성된 대체로 하향의 지폐가압돌기(227a)가 노출된 지폐가압탄성판(227)이 제공된다. 그 지폐가압탄성판(227)의 타단은 상기 지폐식별본체(220)상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판지지리브(228)상에 탄성판고정나사(229)에 의해 고정되고, 그 지폐가압탄성판(227)과 상기 탄성판고정나사(229)의 사이에는 그 지폐가압탄성판(227)을 하향가압하는 탄성판텐션스프링(230)이 개재된다.
또, 상기 지폐식별본체(220)의 대체로 'ㄱ'형상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는 상기 회전축(209)의 양단에 설치되는 지폐입출지지로울러(208)에 대해서는 지폐와의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상기 양측의 지폐입출지지로울러(208)의 외측으로 연장된 회전축(209)의 양측 단부(209a)를 지지하는 회전축지지부재(240)가 제공된다.
각 회전축지지부재(240)는 대응적으로 그 일단이 회전축지지부재고정나사(241)에 의해 상기 지폐식별본체(220)의 후방의 양측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그 회전축지지부재(240)에 대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지지부재고정나사(241)와의 사이에는 회전축지지부재텐션스프링(242)이 대응적으로 개재된다.
각 회전축지지부재텐션스프링(242)의 일단은 상기 지폐식별본체(220)상에 지지됨과 더불어 그 타단은 상기 대응하는 회전축지지부재(240)의 소정위치에 돌설된 텐션스프링고정돌기(240a)에 지지된다.
그와 더불어, 각 회전축지지부재(240)의 하측 일면에는 상기 지폐입출로울러(208)가 양단에 결합된 상기 회전축(209)의 각 단부(209a)가 수용되는 회전축수용요홈(240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폐입출로울러(208)가 양단에 설치된 상기 회전축(209)은 상기 회전축지지부재텐션스프링(242)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회전축지지부재(240)의 회전축수용요홈(240b)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되어 지폐의 입출시 충분한 가압력이 확보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지폐수납유니트(300)의 지폐수납함(301)의 분리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폐수납함(301)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지폐수납유니트(300)에서 상기 지폐수납함(301)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400)와 회동가능하게 착탈되도록 하는 상기 선회축(도 2에서 302)를 형성하는 체결부재가 설치되는 회동체결공(305)이 형성되고, 그 지폐수납함(301)의 상부 양측에는 그 지폐수납함(301)이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400)에 착탈되도록 작용하는 지폐수납함착탈레버(306)가 설치된다.
상기 지폐수납함착탈레버(306)는 상기 지폐수납함(301)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레버작동장공(307)내에 수용되는 바, 그 레버작동장공(307)내에서 상기지폐수납함착탈레버(306)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레버지지스프링(308)이 제공된다.
즉, 상기 레버지지스프링(308)의 일단(308a)은 그 지폐수납함(301)의 측면에 지지되고 그 레버지지스프링(308)의 타단(308b)은 상기 지폐수납함착탈레버(306)의 중앙부분 하측에 접면된다.
그에 대해,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400)의 양측 하면에는 상기 지폐수납함착탈레버(306)가 수용되는 레버수납요부(401; 도 5 참조)가 형성되는 바, 상기 지폐수납함착탈레버(306)는 상기 레버지지스프링(308)에 의해 항시 상기 레버작동장공(307)의 상측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그 지폐수납함(301)을 상기 지폐식별유니트(200)에 결합하는 경우 그 지폐수납함착탈레버(306)가 그 레버수납요부(401)에 계지되어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는 반면, 그 지폐수납함착탈레버(306)를 하방향으로 내리누르면 그 레버수납요부(401)로부터 그 지폐수납함착탈레버(306)가 이탈되어 상기 지폐수납함(301)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지폐수납구동유니트(400)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400)는 본체하우징(402)내에 수용되면서 지폐의 인입과 인출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지폐입출구동부(410a)와, 지폐의 불량한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지폐강제배출방지부(410b), 상기 지폐수납함(301)에 지폐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지폐수납작동부(410c), 해당하는지폐식별장치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제어부(410d) 및, 그 제어부(410d)에 연계되어 지폐의 감지에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지폐감지센서가 설치되는 지폐감지부(410e)로 대별된다.
그 중, 상기 지폐입출구동부(410a)에는 지폐의 인입과 배출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1전동모터(403)와 지페의 식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지폐를 배출시키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2전동모터(404)가 포함되는 바, 그 제 1전동모터(403)에 대해서는 동일한 지폐입출회전축(405)의 양측에 설치된 전동기어(406)를 매개하여 지폐의 인입과 배출에 적용되는 다수의 지폐인입/배출로울러(407)가 대응하는 회전로드(408)의 양단에 설치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로드(408)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기 지폐인입/배출로울러(407)는 상기 지폐식별유니트(200)에 제공되는 회전로울러(204)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각 회전로드(408)의 양단은 상기 본체하우징(402)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폐인입/배출로울러(407)에 대해서는 상기 제 1전동모터(403)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대응하는 타이밍벨트(409a,409b)에 의해 상호 연계된다(도 8 참조).
그리고, 상기 지폐강제배출방지부(410b)에는 상기 제 2전동모터(404)의 축에 직접 또는 중계기어(예컨대 도 7과 도 9 및 도 10에서 420 참조)를 매개하여 치합되는 지폐입출제어기어(421)가 구비되는 바, 그 지폐입출제어기어(421)는 상기 지폐입출회전축(405)의 중간부분에 위치하면서 그 양측의 전동기어(406)와는 별개로작동되게 된다.
바람직하게, 그 지폐입출제어기어(421)의 일측에는 지폐의 정상적인 인입과 강제적인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421a; 도 9와 도 10 참조)가 형성되고, 그 지폐입출제어기어(421)에 대해서는 지폐의 정상적인 인입과 강제적인 배출을 통제하기 위한 지폐입출제어부재(422)가 제공된다.
상기 지폐입출제어부재(422)는 그 선단측에 형성된 지폐차단돌기(422a)가 복수로 형성되는 바, 그 지폐차단돌기(422a)는 상기 본체하우징(402)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지폐차단돌기출입구(402a; 도 8 참조)에 대해 출입하면서 지폐의 인입과 배출을 제어하게 된다.
또, 상기 지폐입출제어부재(422)는 그 중앙에 그 작동방향으로 형성된 작동장공(423)이 형성되고, 그 작동장공(423)에는 상기 제 2전동모터(404)의 고정브라켓(예컨대 도 10에서 424 참조)에서 연설되는 결합로드(424)가 수용된다. 그 지폐입출제어부재(422)에 대해서는 정상적인 지폐의 인입을 위해 그 지폐입출제어부재(422)를 대기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위치복원스프링(425)이 제공되는 바, 그 위치복원스프링(425)의 일단은 상기 작동장공(423)을 통해 입설된 고정핀(426)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지폐입출제어부재(422)의 소정 위치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폐입출제어부재(422)의 후방에는 상기 지폐입출제어기어(421)의 스토퍼(421a)에 연계되는 스토퍼구동돌기(422b)가 형성되고, 그 지폐입출제어부재(422)의 후단은 상기 제어부(410d)에 형성되는 포터커플러에 의한 위치검출센서(도 7과 도 11에서 430)에 대한 광로개폐편(422c)으로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지폐수납작동부(410c)는 선단이 상기 지폐입출제어기어(421)의 소정위치에 결합된 지폐수납동력전달편(440)을 구비하게 되는 바, 그 지폐수납동력전달편(440)은 그 양측이 상향 절곡되면서 그 상향 절곡된 측면에는 지폐수납동작을 지지하기 위한 횡바(441)의 작동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장공형태의 작동공(44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횡바(441)의 양단은 상기 본체하우징(402)의 양측면에 고정설치된다.
또, 상기 지폐수납동력전달편(440)의 양측 후방에는 지폐의 수납을 위한 작동력이 형성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링크결합장공(443)이 형성되고, 각 링크결합장공(443)에서는 상호 교차되는 제 1 및 제 2지폐수납링크부재(444;445)의 회동핀(446)이 수용된다.
상기 지폐수납함(301)에 지폐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지폐수납링크부재(444;445)의 제 1단부(444a;445a)에는 지폐를 상기 지폐수납함(301)으로 밀어넣기 위한 지폐수납판(447)이 회동적으로 결합된다.
그에 대해, 상기 제 1 및 제 2지폐수납링크부재(444;445)의 제 2단부(444b;445b)는 상기 본체하우징(402)의 양측에 각기 대응하는 회동부재(448)를 매개하여 선회적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및 제 2지폐수납링크부재(444)의 제 2단(444b;445b)와 상기 횡바(441)의 양단 사이에는 상기 본체하우징(402)의 외측에서 지폐수납동작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한 텐션스프링(449)이 대응적으로 제공된다.
또,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지폐감지부(410e)에는 상기 지폐식별유니트(200)의 유니트하우징(202)의 결합시 형성되는 직폐식별경로에서 지폐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400)의 본체하우징(402)의 상면에 노출되는 상태로 상기 지폐투입검출센서(205)와 연계되는 지폐투입검출센서(450)와, 상기 자성검출지원부재(206)에 대응하는 자성검출센서(451), 상기 다수의 광검출센서(207)에 연계되는 다수의 광검출센서(452)가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400)의 본체하우징(402)에 대해 상기 지폐식별유니트(200)와 지폐수납유니트(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폐투입구(201)를 통한 지폐의 투입을 대기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지폐입출제어기어(421)에 의해 상기 지폐입출제어부재(422)의 지폐차단돌기(422a)가 상기 본체하우징(402)의 지폐차단돌기출입구(402a)에서 후진된 상태로 유지되고, 그에 따라 상기 지폐수납작동부(410c)도 지폐수납대기위치(즉, 도 12a 참조)로 유지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지폐입출제어부재(422)의 후단에 형성된 광로개폐편(422c)은 상기 제어부(410d)상의 위치검출센서(430)에 의해 검출되어 상기 제어부(410d)에 전달됨에 따라 해당하는 지폐식별장치가 전체적으로 지폐투입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상태서, 상기 지폐투입구(201)를 통해 지폐가 투입되는 경우 그 상태는상기 지폐투입검출센서(205)와 상기 지폐투입검출센서(450)의 상호 작용에 의해 검출되어 상기 제어부(410d)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410d)는 상기 지폐입출구동부(410a)의 제 1전동모터(403)를 활성화시키게 되고, 그 제 1전동모터(403)의 지폐인입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전동기어(406)에 대해 타이밍벨트(409a,409b)에 의해 연계되는 상기 지폐인입/배출로울러(407)가 연동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지폐인입/배출로울러(407)의 회전시 대응하는 상기 회전로울러(204)도 회전하게 되어 지폐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 투입되는 지폐는 상기 자성검출지원부재(206)에 대응하는 자성검출센서(451)와 상기 다수의 광검출센서(207)에 연계되는 다수의 광검출센서(452)에 의해 진권의 검출신호가 상기 제어부(410d)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410d)는 상기 진권의 검출신호를 기초로 해당하는 지폐가 진권인지를 판단함과 더불어 투입액의 산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그 경우에 상기 지폐는 그 투입선단에 대향하는 후단이 도 8의 화살표 'A'로 표시된 위치에서 대기하게 된다.
그러한 지폐인입과정이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410d)는 상기 제 2전동모터(404)를 활성화시켜 중계기어(420)를 매개하여 상기 지폐입출제어기어(421)를 회전시키게 되고, 그 지폐입출제어기어(421)의 회전에 따라 그 지폐입출제어기어(421)의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421a)가 상기 지폐입출제어부재(422)의 스토퍼구동돌기(422b)를 해제시키게 됨에 따라 그지폐입출제어부재(422)가 상기 위치복원스프링(425)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폐입출제어부재(422)의 선단에 형성된 상기 지폐차단돌기(422a)가 상기 본체하우징(402)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지폐차단돌기출입구(402a)를 통해 노출됨에 따라 지폐의 강제적인 인출이 방지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410d)의 판단결과 상기 투입된 지폐가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1전동모터(403)를 지폐배출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 2전동모터(404)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그 제 2전동모터(404)에 연계되는 상기 지폐입출제어기어(421)가 역회전하면서 그 측면의 스토퍼(421a)가 상기 지폐입출제어부재(422)의 스토퍼구동돌기(422b)를 후방으로 밀어내는 동작을 하게 되어 상기 지폐차단돌기(422a)가 상기 지폐차단돌기출입구(402a)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그 상태에서 도 8의 화살표 'A'의 위치에 후단이 위치되는 지폐가 상기 역회전하는 제 1전동모터(403)와 상기 다수의 지폐인입/배출로울러(407) 및 상기 회전로울러(204)의 역회전작용에 의해 상기 지폐투입구(201)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한 지폐식별과정에서, 해당하는 지폐의 대체로 중앙에 형성되는 자성부분은 상기 지폐가압탄성판(227)의 선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지폐가압돌기(227a)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자성검출센서(451)에 의해 검출되는 바, 그 경우 상기 지폐가압돌기(227a)에는 지폐의 자성부분과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자성의 에러적인 검출이 방지되면서 효과적으로 지폐를 자성검출센서(451)측으로 가압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된 지폐에 대해 그 지폐의 후단에 예컨대 접착테이프라든지 줄을 이용하여 강제로 배출시키기 위한 행위에 따라 상기 지폐차단돌기(422a)가 완전하게 노출되지 않게 되면, 상기 지폐입출제어부재(422)의 후단에 형성된 광로개폐편(422c)이 상기 제어부(410d)상의 위치검출센서(430)에 유지(도 11 참조)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410d)는 해당하는 지폐의 불법적인 배출로 판단하여 상기한 지폐배출과정에 따라 그 지폐를 배출해주면서 투입된 금액의 산정을 행하지 않게 된다.
상기한 지폐식별과정에 따라 상기 투입된 지폐에 대한 산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 1전동모터(403)를 더욱 구동하여 지폐가 도 8의 화살표 'A'지점을 통과하도록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투입된 지폐는 상기 지폐수납판(447)과 상기 지폐수납함(301)의 지폐수납플레이트(303)의 사이에 위치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 2전동모터(404)가 재차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지폐입출제어기어(421)에 선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지폐수납동력전달편(440)의 선단이 그 지폐입출제어기어(421)의 재차 역방향 회전에 따라 들어올려지게 되고, 그 지폐수납동력전달편(440)의 선단이 들어올려짐에 따라 상기 작동공(442)을 통해 횡방향으로 연설된 횡바(441)가 회동축으로 기능하면서 그 후방의 경사진 링크결합장공(443)에서 교차되는 상기 제 1 및 제 2지폐수납링크부재(444;445)의 교차점이 하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지폐수납링크부재(444;445)의 제 2단(444b;445b)는 상기 본체하우징(40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임에 따라 결국 그 제 1 및 제 2지폐수납링크부재(444;445)의 제 1단(444a;445b)에 결합된 상기지폐수납판(447)이 밀려지면서 지폐를 상기 지폐수납함(301)으로 밀어넣게 된다(도 12a와 도 12b 참조).
그리고, 상기 텐션스프링(449)은 상기 횡바(405)와 상기 제 1 및 제 2지폐수납링크부재(444;445)의 사이에 대응적으로 개재되어 상기 지폐의 수납을 위한 지원작용을 행하게 된다.
그러한 지폐수납함(301)에서는 지폐의 수납 양에 따라 상기 지폐수납플레이트탄성지지부재(304)가 밀려지면서 최대로 지폐수납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 지폐수납함(301)에 지폐가 만충전되면 상기 제어부(410d)의 제어하에 지폐만충전상태의 경보도 이루어지게 된다.
그 지폐가 만충전된 지폐수납함(301)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태로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400)로부터 분리하여 지폐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폐식별장치에 의하면 지폐식별경로를 통과하는 지폐의 밀착성이 향상되면서 지폐의 불법적인 배출행위도 적극적으로 방지되고, 식별된 지폐를 지폐수납함에 수납하기 위한 구조도 종래에 비해 대폭적으로 간소화된다.

Claims (13)

  1. 지폐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지폐의 식별을 위한 지폐식별경로를 형성하면서 지폐투입검출센서와 자성검출지원부재 및 회전로울러가 배치된 유니트하우징을 갖춘 지폐식별유니트와;
    상기 지폐식별유니트에 의해 식별된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수납함을 구비하는 지폐수납유니트;
    상기 지페식별유니트와 대응하여 상기 지폐식별경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투입된 지폐의 인입과 배출 및 저장과 상기 지폐의 강제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지폐수납구동유니트;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에 결합되어 상기 지폐의 식별제어와 저장 및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식별유니트의 유니트하우징은 상기 지폐식별유니트에 대해 착탈구조로 형성되도록 그 유니트하우징의 양측면 하측에는 고정나사가 설치되고, 그 고정나사로부터 일정한 이격위치에 형성된 장공에는 해당하는 유니트하우징의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설되는 하우징착탈로드의 양단이 수납되며, 그 하우징착탈로드의 양단에는 회전지지나사가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의 외측으로부터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착탈로드의 양단에서 상기 장공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고정나사의 사이에는 그 하우징착탈로드를 상기 장공의 후방으로 당기는 텐션스프링의 양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3. 제 1항과 제 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하우징의 후방에는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로부터 전달되는 전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지폐를 식별위치와 수납저장위치로 인입하고 불량의 지폐를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지폐입출로울러가 단일의 회전축상에 설치되고,
    상기 지폐식별유니트의 유니트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지폐식별본체에서 상기 다수의 회전로울러의 각 양측에는 회전돌기가 형성되며, 각 회전로울러에 대해서는 로울러가압플레이트가 제공되고, 각 로울러가압플레이트는 대체로 평단면이 'H'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양측의 로울러수납구에 상기 1조의 회전로울러가 회전돌기의 가압형태로 개재되며, 각 로울러가압플레이트의 중앙부분은 고정나사에 의해 상기 지폐식별본체상에 형성된 나사결합리브에 결합고정되고, 그 고정나사와 상기 로울러가압플레이트의 사이에는 텐션스프링이 개재되며,
    상기 회전로울러의 하측에는 상기 지폐식별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로울러수납부가 각 회전로울러의 설치위치에 제공되고, 각 로울러수납부의 중앙은 상기 회전로울러가 노출되도록 관통되면서 그 양측벽은 각 회전로울러의 회전돌기를 수납하기 위해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식별본체의 대체로 중앙에 형성된 지폐가압공에 대해 일단에 형성된 대체로 하향의 지폐가압돌기가 노출된 지폐가압탄성판이 제공되고, 그 지폐가압탄성판의 타단은 상기 지폐식별본체상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판지지리브상에 탄성판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되며, 그 지폐가압탄성판과 상기 탄성판고정나사의 사이에는 그 지폐가압탄성판을 하향가압하는 탄성판텐션스프링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식별본체의 대체로 'ㄱ'형상의 후방 하측에 설치되는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설치되는 지폐입출로울러에 대해서는 그 지폐입출로울러의 외측으로 연장된 회전축의 양측 단부를 지지하는 회전축지지부재가 제공되고, 각 회전축지지부재는 그 일단이 회전축지지부재고정나사에 의해 상기 지폐식별본체의 후방의 양측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회전축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지지부재고정나사와의 사이에는 회전축지지부재텐션스프링이 대응적으로 개재되고,
    각 회전축지지부재텐션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지폐식별본체상에 지지됨과 더불어 그 타단은 상기 대응하는 회전축지지부재(240)의 소정위치에 돌설된 텐션스프링고정돌기에 지지되며,
    각 회전축지지부재의 하측 일면에는 상기 지폐입출로울러가 양단에 결합된 상기 회전축의 각 단부가 수용되는 회전축수용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수납유니트에서 상기 지폐수납함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와 회동가능하게 착탈되도록 하는 선회축을 형성하는 체결부재가 설치되는 회동체결공이 형성되고, 그 지폐수납함의 상부 양측에는 그 지폐수납함이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에 착탈되도록 작용하는 지폐수납함착탈레버가 설치되며,
    상기 지폐수납함착탈레버는 상기 지폐수납함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레버작동장공내에 수용되고, 그 레버작동장공내에서 상기 지폐수납함착탈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레버지지스프링이 제공되고,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의 양측 하면에는 상기 지폐수납함착탈레버가 수용되는 레버수납요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는 본체하우징내에 수용되면서 지폐의 인입과 인출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지폐입출구동부와, 지폐의 불량한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지폐강제배출방지부, 상기 지폐수납함에 지폐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지폐수납작동부, 해당하는 지폐식별장치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제어부 및, 그 제어부에 연계되어 지폐의 감지에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지폐감지센서가 설치되는 지폐감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입출구동부에는 지폐의 인입과 배출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1전동모터와, 지폐의 식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지폐를배출시키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2전동모터가 포함되고,
    상기 제 1전동모터에 대해서는 동일한 지폐입출회전축의 양측에 설치된 전동기어를 매개하여 지폐의 인입과 배출에 적용되는 다수의 지폐인입/배출로울러가 대응하는 회전로드의 양단에 설치되며, 각 지폐인입/배출로울러는 상기 지폐식별유니트의 회전로울러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각 회전로드의 양단은 상기 본체하우징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각 지폐인입/배출로울러는 상기 제 1전동모터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대응하는 타이밍벨트에 의해 상호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강제배출방지부는 상기 제 2전동모터의 축에 연계되는 지폐입출제어기어가 구비되고, 그 지폐입출제어기어의 일측에는 지폐의 정상적인 인입과 강제적인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지폐입출제어기어에 대해서는 지폐의 정상적인 인입과 강제적인 배출을 통제하기 위한 지폐입출제어부재가 제공되고, 그 지폐입출제어부재는 그 선단측에 형성된 지폐차단돌기가 복수로 형성되며, 그 지폐차단돌기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지폐차단돌기출입구에 대해 출입하면서 지폐의 인입과 배출을 제어하게 되고,
    상기 지폐입출제어부재는 그 중앙에 그 작동방향으로 형성된 작동장공이 형성되고, 그 작동장공에는 그 지폐입출제어부재의 결합을 위한 결합로드가 수용되며, 그 지폐입출제어부재에 대해서는 일단이 고정핀에 결합된 위치복원스프링의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지폐입출제어부재의 후방에는 상기 지폐입출제어기어의 스토퍼에 연계되는 스토퍼구동돌기가 형성되고, 그 지폐입출제어부재의 후단은 상기 제어부에 형성되는 위치검출센서에 대한 광로개폐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수납작동부는 선단이 상기 지폐입출제어기어의 소정위치에 결합된 지폐수납동력전달편을 구비하게 되고, 상기 지폐수납동력전달편은 그 양측이 상향 절곡되면서 그 상향 절곡된 측면에는 지폐수납동작을 지지하기 위한 횡바의 작동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장공형태의 작동공이 형성되며, 그 지폐수납동력전달편의 양측 후방에는 지폐의 수납을 위한 작동력이 형성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링크결합장공이 형성되고, 각 링크결합장공(443)에서는 상호 교차되는 제 1 및 제 2지폐수납링크부재의 회동핀이 수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지폐수납링크부재의 제 1단부에는 지폐를 상기 지폐수납함으로 밀어넣기 위한 지폐수납판이 회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지폐수납링크부재의 제 2단부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양측에 각기 대응하는 회동부재를 매개하여 선회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지폐수납링크부재의 제 2단부와 상기 횡바의 양단 사이에는 상기 본체하우징의 외측에서 지폐수납동작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한 텐션스프링이 대응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감지부에는 상기 지폐식별유니트의 유니트하우징의 결합시 형성되는 직폐식별경로에서 지폐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지폐수납구동유니트의 본체하우징의 상면에 노출되는 상태로 상기 지폐투입검출센서와 연계되는 지폐투입검출센서와, 상기 자성검출지원부재에 대응하는 자성검출센서, 상기 다수의 광검출센서에 연계되는 다수의 광검출센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폐식별경로에 투입된 지폐가 상기 상기 지폐입출제어부재의 지폐차단돌기가 눌려진 상태로 유지되면 그 투입된 지폐의 강제 배출을 위한 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장치.
KR1020020032273A 2002-06-10 2002-06-10 지폐식별장치 KR20020054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273A KR20020054298A (ko) 2002-06-10 2002-06-10 지폐식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273A KR20020054298A (ko) 2002-06-10 2002-06-10 지폐식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577U Division KR200287638Y1 (ko) 2002-06-10 2002-06-10 지폐식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298A true KR20020054298A (ko) 2002-07-06

Family

ID=27726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273A KR20020054298A (ko) 2002-06-10 2002-06-10 지폐식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429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123B1 (ko) * 2006-06-30 2007-09-1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감별장치의 간격조절구조
KR100818094B1 (ko) * 2006-11-27 2008-03-31 (주)한틀시스템 보수가 용이한 자판기용 지폐수납장치
KR101022429B1 (ko) * 2008-11-20 2011-03-15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인식장치
CN104063950A (zh) * 2014-06-12 2014-09-24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有价介质处理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774A (ja) * 1996-07-15 1998-02-03 Nippon Conlux Co Ltd 紙幣識別機及び紙幣識別方法
KR19980053120U (ko) * 1996-12-31 1998-10-07 윤학범 지폐식별기용 지폐저장장치
KR0133668Y1 (ko) * 1996-01-17 1999-03-30 윤학범 지폐의 강제역송 차단잠금장치
KR200145504Y1 (ko) * 1996-12-31 1999-06-15 윤학범 지폐식별기용 지폐 강제역송 차단장치
KR20000037478A (ko) * 2000-04-27 2000-07-05 양대문 지폐수납장치
JP2001312759A (ja) * 2000-02-25 2001-11-09 Nippon Conlux Co Ltd 紙幣処理装置
KR200264077Y1 (ko) * 2001-10-22 2002-02-19 주식회사 한국코인 지폐 식별기의 부정 사용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668Y1 (ko) * 1996-01-17 1999-03-30 윤학범 지폐의 강제역송 차단잠금장치
JPH1031774A (ja) * 1996-07-15 1998-02-03 Nippon Conlux Co Ltd 紙幣識別機及び紙幣識別方法
KR19980053120U (ko) * 1996-12-31 1998-10-07 윤학범 지폐식별기용 지폐저장장치
KR200145504Y1 (ko) * 1996-12-31 1999-06-15 윤학범 지폐식별기용 지폐 강제역송 차단장치
JP2001312759A (ja) * 2000-02-25 2001-11-09 Nippon Conlux Co Ltd 紙幣処理装置
KR20000037478A (ko) * 2000-04-27 2000-07-05 양대문 지폐수납장치
KR200264077Y1 (ko) * 2001-10-22 2002-02-19 주식회사 한국코인 지폐 식별기의 부정 사용 방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123B1 (ko) * 2006-06-30 2007-09-1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감별장치의 간격조절구조
US7703593B2 (en) 2006-06-30 2010-04-27 Nautilus Hyosung, Inc. Structure for adjusting gap of paper money discriminating apparatus
KR100818094B1 (ko) * 2006-11-27 2008-03-31 (주)한틀시스템 보수가 용이한 자판기용 지폐수납장치
KR101022429B1 (ko) * 2008-11-20 2011-03-15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인식장치
CN104063950A (zh) * 2014-06-12 2014-09-24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有价介质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0543A (en) Multiple denominator bank note depositor/dispenser with automatic loading to and from storage section
RU2309107C2 (ru) Устройство выдачи денег в банкомате
KR101413893B1 (ko) 지폐 입출금기
US20070296202A1 (en) Document handling apparatus
KR101412393B1 (ko) 매체 수납 장치
US20080007146A1 (en) Cash dispenser
US6176423B1 (en) Shutter device having linkage which locks shutter as well as opens and closes the same
GB2139602A (en) Paper sheet dispensing apparatus
JPH11232527A (ja) 取引媒体を所望の場所まで搬送する搬送ユニットと当該搬送ユニットを有する自動取引システム
US6585260B1 (en) Bill stacker with an observation window
KR200287638Y1 (ko) 지폐식별장치
KR20020054298A (ko) 지폐식별장치
KR100992641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960000491B1 (ko) 지폐 등의 인출방지장치
JP4254596B2 (ja) 紙幣識別装置
JPS5943739A (ja) 紙葉類収納箱
JP3052436U (ja) バリデータ
KR100494294B1 (ko)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JP3914333B2 (ja) 紙幣処理装置
JP2002145462A (ja) 紙幣処理装置
CN213582327U (zh) 客制化微型验钞存款机
JPS61168087A (ja) 貨幣自動処理装置
CN214449550U (zh) 一种抽拉式的嵌入式热敏打印机
JP4259367B2 (ja) 紙幣識別ユニット
KR200411897Y1 (ko) 지폐인식기용 지폐 강제인출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