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294B1 -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 Google Patents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294B1
KR100494294B1 KR10-2002-0068104A KR20020068104A KR100494294B1 KR 100494294 B1 KR100494294 B1 KR 100494294B1 KR 20020068104 A KR20020068104 A KR 20020068104A KR 100494294 B1 KR100494294 B1 KR 100494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o
feed roller
tray
transf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9873A (ko
Inventor
강석호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8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294B1/ko
Publication of KR20040039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로장표(100)의 투입이 이루어지고, 투입 후 스캐닝과 이송작업이 이루어지게 한 인입부(2)와; 투입된 지로장표(100)를 상기 PC제어부(A6)의 신호에 따라 이송모터(45) 및 제1 이송롤러(44)와 이송벨트(48)의 구동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트레이(4)와; 전단에는 상기 인입부(2)가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트레이(4)가 설치되며, 내측 하부에 다수의 지로장표(100)를 적재시킬 수 있는 수납판(8) 및 제2 이송롤러(69), 제1, 2, 3 감지센서(82, 84, 86)를 구비시켜 구성된 케이스(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수의 지로장표를 연속으로 투입할 수 있고, 투입시 스캐닝과 PC제어부의 연산처리에 의해 즉시로 판독한 후 상기 PC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트레이가 구동되어 수납되게 한 다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에러발생시 지로장표가 다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어 다수의 지로장표를 자동적으로 접수 및 결제처리를 함으로써 인력 및 시간낭비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 a automatic receipt machine for OCR and MICR card }
본 발명은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지로장표를 접수, 판독하여 결제되는 과정이 프로세서 및 일련의 구동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로장표는 각종 공과금 납부, 세금 납부, 대학 원서의 접수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전산화된 처리시스템에 의해 다량의 지로장표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때문에 매우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로장표의 경우 컴퓨터에 의하여 처리되도록 장표의 규격, 지질, 주요부문의 인쇄위치, 색상 등이 금융결제원이 정한 "장표구비요건"에 따라 규격화되어 있고, 지로장표는 "지로영수증", "지로의뢰서" 및 "지로통지서"의 3매 1조로 구성되어 있다.
근래 들어 금융기관은 창구업무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자동 예금 인출예입 장치(ATM : automated teller machine)를 늘리는 추세에 있으나, 고유업무가 아닌 위탁업무인 상기 지로공과금 수납 대행 업무는 자동화되지 못하여 고유업무의 효율을 저해하고 있다.
이로 인해 창구를 통한 지로공과금 수납대행 업무의 중단을 추진하고 있으나 고객들의 민원 및 공공기관으로서의 금융기관의 책무로 인해 창구를 통한 지로공과금 수납업무를 지속하고 있으며, 고객들은 특정일에 집중되는 지로공과금의 납부를 위해 한정된 은행 창구에 줄을 서서 대기해야 하므로 고객에게는 시간적인 낭비와 불편을 감수해야 하고, 은행측에도 별도의 전담 인력을 배치해야 하므로 인력 소모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지로장표를 연속으로 투입할 수 있고, 투입시 스캐닝과 PC제어부(A6)의 연산처리에 의해 즉시로 판독한 후 상기 PC제어부(A6)의 제어에 의해 트레이가 구동되어 수납되게 한 다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에러발생시 지로장표가 다시 배출되도록 하여 인력 및 시간을 최소한으로 절감할 수 있게 한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로장표의 투입이 이루어지고, 투입 후 스캐닝과 이송작업이 이루어지게 한 인입부와; 투입된 지로장표를 PC제어부(A6)의 신호에 따라 이송모터 및 이송롤러와 이송벨트의 구동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트레이와; 상기 인입부와 트레이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며, 내측 하부에 다수의 지로장표를 적재시킬 수 있는 수납판 및 이송롤러, 감지센서를 구비시켜 구성된 케이스와; 상기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여 계속진행 또는 방출에 관련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PC제어부(A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의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인입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요부확대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일부절개 측면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인입부, 트레이, 케이스, PC제어부(A6)의 구성수단 외에 지로장표의 처리과정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A5) 및 키입력부(A7)가 더 마련되며, 상기 수납판의 후단에는 지로장표를 대량으로 저장할 수 있는 수납통이 설치되고, 상기 인입부의 하부에는 지로장표를 방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입부(2)는 도 1 및 도 3에서 보이듯이 상면의 전후방에 다수의 하부이송롤러(220)가 돌출되게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하부이송롤러(220)를 구동시키는 투입모터(224) 및 유성기어(226)가 설치된 몸체(22)와, 저면에 상기 하부이송롤러(220)와 대응되는 상부이송롤러(240)가 축설된 덮개부(24)가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복수의 하부이송롤러(220) 사이에는 지로장표(100)를 스캐너(242)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적정한 탄성을 갖는 일정 길이의 가압편(222)이 가로방향으로 탄설되며, 상기 가압편(222)과 대응되는 상기 덮개부(24)의 저면에는 일정 길이의 스캐너(242)가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체(22) 및 덮개부(24)의 전단 즉, 투입구(28) 측에는 다수의 발광센서(261) 및 수광센서(262)로 이루어진 광감지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가압편(222)이 삽입되어지는 삽입공(228)의 양끝단 하부에 일정 길이의 축봉(221)을 수직되게 설치하고, 상기 가압편(222)의 양단에는 상기 축봉(221)에 끼워질 수 있도록 관통공(223)을 형성하며, 상기 축봉(221)을 관통공(223)에 관통시켜 스프링(25)을 축설시킨 후 체결부재(27)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가압편(222)이 상하로 탄동될 수 있게 하였다.
이때 상기 가압편(222)은 지로장표(100)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전면에 경사부(225)를 형성시켰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이송롤러(220) 또는 상부이송롤러(240) 중 어느 하나에는 외면에 고무코팅처리를 하여 지로장표(100)와의 접지력이 향상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상부이송롤러(240)의 축에는 판스프링(244)이 지지되도록 하여 상부이송롤러(240)가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 탄동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이송롤러(220)와 밀착될 수 있어 접지력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인입부(2)의 몸체(22)를 철판으로 제작하고, 상기 덮개부(24)의 저면에 자성체(243)를 설치하여 자착에 의해 몸체(22)와 덮개부(24)가 고정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몸체(22) 및 덮개부(24)의 전후단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지로장표(100)의 투입 및 이송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였다.
상기 트레이(4)는 프레임(40)의 중앙 양측에 케이스(6)의 피니언기어(65)와 치합되는 일정 길이의 렉기어(42)가 수직으로 설치되며, 프레임(40) 내부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제1 이송롤러(44)가 다열로 축설되어 있고, 상기 각 열의 제1 이송롤러(44)들은 각각의 이송벨트(48)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1 이송롤러(44) 중에 최후단의 이송롤러의 축에는 풀리기어(47)가 구비되고, 상기 풀리기어(47)에는 이송모터(45) 및 연결벨트(46)가 연결됨으로써 이송모터(45)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이송롤러(44)와 이송벨트(48)가 구동되도록 하였다.
한편 PC제어부(A6)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상기 케이스(6)의 일측벽에 설치된 승강모터(61)가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렉기어(42)에 치합된 피니언기어(65)가 회전됨으로써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4) 전체가 승하강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트레이(4)의 프레임(40)의 전후방 끝단 외면에 다수의 가이드돌기(43)를 형성시키고, 상기 가이드돌기(43)가 케이스(6)의 장홈(66)에 슬라이드되게 결합되도록 하여, 트레이(4)가 승하강할 때 일측으로 편향되지 않고 장홈(66)을 타고 균일하게 움직이도록 하였다.
상기 케이스(6)는 양측벽의 전면에는 상기 인입부(2)를 장착시킬 수 있는 요입부(62)가 형성되며, 양측벽의 중앙 외면에는 상기 렉기어(42)가 삽입되는 써포터(68)가 입설되어 있고, 그 전방과 후방 일측에는 상기 트레이(4)의 가이드돌기(43)가 삽입되는 수직의 장홈(6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벽의 외면에는 상기 렉기어(42)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65) 및 유성기어(63)와 승강모터(61)가 치합된 채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6)의 내측 하부에는 상면에 다수의 통공(85)이 형성되고, 전후단과 중간에 복수의 제1 감지센서(82) 및 제2 감지센서(84), 제3 감지센서(86)가 설치된 수납판(8)이 고정된다.
상기 수납판(8)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부(2)의 후단보다 하부에 설치하여 인입부(2)를 통과한 지로장표(100)가 상기 수납판(8)의 상면에 적재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수납판(8)의 전단은 에러발생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지로장표(100)가 방출될 수 있도록 한 배출구(200)와 연통되도록 하였고, 상기 수납판(8)의 후단에는 정방향으로 이송된 지로장표(100)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통(30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납판(8) 중간에 설치된 제2 감지센서(84)는 지로장표(100)가 수납판(8) 상에 적재되어있는지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감지센서(82)는 배출구(200) 측에 설치되어 지로장표(100)가 배출될 때 완전하게 배출되었는지를 감지하여 PC제어부(A6)로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제3 감지센서(86)는 수납통(300) 측에 설치되어 지로장표(100)가 정방향으로 정확히 이송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PC제어부(A6)로 신호를 송출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수납판(8)의 하부에는 다열의 제2 이송롤러(69)를 축설시키되, 이 제2 이송롤러(69)의 상부가 상기 통공(85)을 통해 돌출되도록 하였으며, 특히 상기 제2 이송롤러(69)의 축에는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67)을 지지시켜 상기 제2 이송롤러(69)와 제1 이송롤러(44)가 접지될 때 약간의 탄발력에 의해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지로장표(100)와의 접지력이 향상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의 양측벽에는 상기 제2 이송롤러(69)의 축이 끼워져 탄발력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장공(6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의 제어회로 블럭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한 광감지부(26)와 제1 감지센서(82), 제2 감지센서(84), 제3 감지센서(86)는 PC제어부(A6)의 입력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 센서에서 입력된 신호를 받아 PC제어부(A6)에서 연산처리한 후 해당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해당 구동부 즉, 투입모터(224)와 승강모터(61) 및 이송모터(45)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PC제어부(A6)에는 공지된 형태의 프린터가 구비된 디스플레이부(A5) 및 키입력부(A7)가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의사를 정확하게 입력시킬 수 있게 하였고, 사용자가 직접 결제처리과정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지로장표(100)를 인입부(2)의 투입구(28)로 삽입하면(S1), 인입부(2)의 전단에 설치된 광감지부(26)에서 이를 감지(S2)하여 PC제어부(A6)로 지로장표(100)가 삽입되었음을 알리는 투입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곧바로 PC제어부(A6)에서는 투입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투입모터(224)의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투입모터(224)가 구동(S3)하게 되어 상,하부이송롤러(220, 240)가 밀착 구동되면서 지로장표(100)가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투입모터(224)가 구동됨과 동시에 승강모터(61)가 구동(S23)되어 상기 트레이(4)가 승강(S24)된다.
이후 투입모터(224)가 계속 구동됨으로써 지로장표(100)가 진행하다가 상기 가압편(222)에 눌리면서 덮개부(24)의 스캐너(242)에 밀착 이동하게 되고, 이때 스캐닝이 이루어진다.(S5)
이때 상기 스캐너(242)의 동작조건은 투입모터(224)의 회전속도와 진행거리를 감안하여 설정시간 후에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하였다.
상기 스캐닝이 완료된 지로장표(100)는 계속 진행하여 인입부(2)의 후단으로 송출되어 상기 수납판(8)에 적재되면서 제2 감지센서(84)에서 적재 여부를 감지하여 PC제어부(A6)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광감지부(26)에서 지로장표의 투입을 더이상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스캐닝을 종료함과 동시에 투입모터(224)를 정지시키고, 광감지부(26)의 동작도 정지(S9)시킨다.
이때 있을 수 있는 지로장표의 투입(S11)에 대해서는 광감지부(26)의 동작 및 투입모터(224)의 동작이 정지되므로 새로운 지로장표의 투입은 차단된다.(S25)
한편 상기 PC제어부(A6)에서는 상기 스캐너(242)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데이터화하는 판독과정을 진행한다.(S12)
상기 판독과정이 모두 완료되면 그 결과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A5)에 표출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킨다.(S13)
사용자가 인지하여 판독결과가 정상(S14)이라고 판별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키입력부(A7)의 확인키를 입력(S15)시킨 후 확인된 총결제금액을 사용자가 키입력부(A7)를 통해 자동이체 또는 신용카드 등으로 결제처리한다.(S16)
상기 결제처리방식은 통상의 ATM에서 진행되는 프로세서를 따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제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이송모터(45)가 구동(S17)되면서 상기 이송벨트(48)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지로장표(100)를 전진시겨 상기 수납통(300)으로 이송시킨다.(S18)
이때 지로장표(100)의 이송이 완료되어 상기 제2 감지센서(84) 및 제3 감지센서(86)에서 더이상 지로장표(100)를 감지하지 못하면(S19) 결제완료 현황이 디스플레이부(A5)에서 표출(S20)되어 사용자에게 인지시킨다.
이와 같이 일회의 지로장표 접수 및 결제과정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 광감지부(26)가 작동되면서 새로운 지로장표의 투입을 대기하게 된다.(S22)
한편 상기 판독결과가 틀리거나 에러발생 또는 결제 잔액이 부족하여 결제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용자가 키입력부(A7)의 배출키를 입력시킨다.(S26)
상기 배출키가 입력되면 이송모터(45)가 역회전(S27)함과 동시에 트레이(4)의 이송벨트(48)가 역회전함으로써 지로장표(100)를 후진시켜 상기 배출구(200)를 통해 배출시킨다.
지로장표(100)가 배출구(200)를 통해 완전히 배출되어 상기 제1감지센서(82)에서 더이상 지로장표(100)를 감지하지 못하면(S28), 상기 이송모터(45)의 역회전이 정지(S31)하게 되고 배출이 완료된다.(S32)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는 다수의 지로장표를 연속으로 투입할 수 있고, 투입시 스캐닝과 PC제어부의 연산처리에 의해 즉시로 판독한 후 상기 PC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트레이가 구동되어 수납되게 한 다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에러발생시 지로장표가 다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어 다수의 지로장표를 자동적으로 접수 및 결제처리를 함으로써 인력 및 시간낭비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의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인입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요부확대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일부절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의제어회로 블럭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의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인입부 4 : 트레이
6 : 케이스 8 ; 수납판
22 : 몸체 24 : 덮개부
26 : 광감지부 28 : 투입구
40 : 프레임 42 ; 렉기어
43 : 가이드돌기 44 : 제1 이송롤러
45 : 이송모터 46 : 연결벨트
47 : 풀리기어 48 : 이송벨트
61 : 승강모터 62 : 요입부
63, 226 : 유성기어 64 : 장공
65 : 피니언기어 66 : 장홈
68 : 써포터 69 : 제2 이송롤러
82 : 제1 감지센서 84 : 제2 감지센서
85 : 통공 86 : 제3 감지센서
100 : 지로장표 200 : 배출구
220 : 하부이송롤러 222 : 가압편
240 : 상부이송롤러 242 : 스캐너
243 : 자성체 244, 67 : 판스프링
261 : 발광센서 262 : 수광센서
300 : 수납통

Claims (8)

  1. 지로장표(100)의 투입감지신호에 따른 지로장표의 투입 및 스캐닝에 관련된 제어신호, 스캐닝데이터의 판독 및 이의 정상처리유무에 따라 계속진행 또는 배출에 관련된 제어신호 및 일괄처리에 따른 에러 신호 또는 사용자 요구신호에 대응하여 지로장표의 이송에 관련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PC제어부(A6)와; 프린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부(A5)와; 키입력부(A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의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에 있어서,
    지로장표(100)의 투입이 이루어지고, 투입 후 스캐닝과 이송작업이 이루어지게 한 인입부(2);
    투입된 지로장표(100)를 상기 PC제어부(A6)의 신호에 따라 이송모터(45) 및 제1 이송롤러(44)와 이송벨트(48)의 구동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트레이(4);
    전단에는 상기 인입부(2)가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트레이(4)가 설치되며, 내측 하부에 다수의 지로장표(100)를 적재시킬 수 있는 수납판(8) 및 상기 수납판(8)에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85)에 상부가 노출되어 적재된 지로장표(100)의 저면을 지지하는 제2 이송롤러(69), 상기 수납판(8)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1감지센서(82)와 상기 수납판(8)의 중간에 설치되는 제2감지센서(84)와 상기 수납판(8)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3감지센서(86)를 구비시켜 구성된 케이스(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2)는 상면의 전후방에 다수의 하부이송롤러(220)가 돌출되게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하부이송롤러(220)를 구동시키는 투입모터(224) 및 유성기어(226)가 설치된 몸체(22)와,
    저면에 상기 하부이송롤러(220)와 대응되는 상부이송롤러(240)가 축설된 덮개부(24)가 힌지결합되어 구성된 것이며,
    상기 복수의 하부이송롤러(220) 사이에는 지로장표(100)를 덮개부(24)의 저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전면에 경사부(225)를 갖는 가압편(222)이 탄설되고,
    상기 가압편(222)과 대응되는 상기 덮개부(24)의 저면에는 스캐너(242)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22) 및 덮개부(24)의 전단 즉, 투입구(28) 측에는 다수의 발광센서(261) 및 수광센서(262)로 이루어진 광감지부(2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2)의 상면에는 가압편(222)이 삽입되어지는 삽입공(228)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228)의 양끝단 하부에 일정 길이의 축봉(221)을 수직되게 설치하고, 상기 가압편(222)의 양단에는 상기 축봉(221)에 끼워질 수 있도록 관통공(223)을 형성시킨 후 상기 가압편(222)을 상기 축봉(221)에 끼우고 스프링(25)을 축설시킴으로써 가압편(222)이 상하로 탄동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이송롤러(220) 또는 상부이송롤러(240) 중 어느 하나에는 외면에 고무코팅처리를 하여 지로장표(100)와의 접지력이 향상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상부이송롤러(240)의 축에는 판스프링(244)이 지지되도록 하여 상부이송롤러(240)가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 탄동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이송롤러(220)와 밀착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2)의 몸체(22)를 철판으로 제작하고, 상기 덮개부(24)의 저면에 자성체(243)를 설치하여 자착에 의해 몸체(22)와 덮개부(24)가 고정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몸체(22) 및 덮개부(24)가 맞닿아 형성된 투입구(28)의 전후단 변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지로장표(100)의 투입 및 이송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4)는 전후방 끝단 외면에 다수의 가이드돌기(43)가 형성된 프레임(40)의 중앙부 외면에 일정 길이의 렉기어(42)가 수직되게 설치되며, 프레임(40) 내부에는 이송벨트(48)에 의해 연결된 다수의 제1 이송롤러(44)가 축설되되,
    상기 제1 이송롤러(44) 중에 최후단의 이송롤러의 축에는 풀리기어(47)가 구비되고, 상기 풀리기어(47)에는 이송모터(45) 및 연결벨트(46)가 연결됨으로써 이송모터(45)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이송롤러(44)와 이송벨트(48)가 구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6)는 양측벽의 전면에는 상기 인입부(2)를 장착시킬 수 있는 요입부(62)가 형성되며,
    양측벽의 중앙 외면에는 트레이(4)의 렉기어(42)가 삽입되는 써포터(68)가 입설되어 있고, 그 전방과 후방 일측에는 상기 트레이(4)의 가이드돌기(43)가 삽입되는 수직의 장홈(6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홈(66) 사이의 양측벽 하부에는 장공(6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공(64)에는 판스프링(67)이 지지된 제2 이송롤러(69)의 축이 삽입되어 상기 제2 이송롤러(69)가 탄성에 의해 상기 장공(64)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하였으며,
    일측벽의 외면에는 상기 렉기어(42)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65) 및 유성기어(63)와 승강모터(61)가 설치되어, 상기 승강모터(61)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기어(65)가 회전함으로써 트레이(4)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8. 삭제
KR10-2002-0068104A 2002-11-05 2002-11-05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KR100494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104A KR100494294B1 (ko) 2002-11-05 2002-11-05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104A KR100494294B1 (ko) 2002-11-05 2002-11-05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047U Division KR200302637Y1 (ko) 2002-11-05 2002-11-05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873A KR20040039873A (ko) 2004-05-12
KR100494294B1 true KR100494294B1 (ko) 2005-06-13

Family

ID=3733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104A KR100494294B1 (ko) 2002-11-05 2002-11-05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2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688B1 (ko) 2005-10-12 2010-11-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KR101009111B1 (ko) 2005-10-12 2011-01-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KR101120895B1 (ko) 2005-10-12 2012-02-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KR101135261B1 (ko) * 2005-10-12 2012-04-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4771A (en) * 1981-02-12 1982-08-20 Toshiba Corp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JPS62287368A (ja) * 1986-08-12 1987-12-14 Toshiba Corp 自動取引装置
KR19990050467A (ko) * 1997-12-17 1999-07-05 구자홍 사무 자동화 기기용 지로 용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10094199A (ko) * 2000-04-04 2001-10-31 최윤 다기능 장표처리장치
KR20030093720A (ko) * 2002-06-05 2003-12-11 (주)스켄웍스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4771A (en) * 1981-02-12 1982-08-20 Toshiba Corp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JPS62287368A (ja) * 1986-08-12 1987-12-14 Toshiba Corp 自動取引装置
KR19990050467A (ko) * 1997-12-17 1999-07-05 구자홍 사무 자동화 기기용 지로 용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10094199A (ko) * 2000-04-04 2001-10-31 최윤 다기능 장표처리장치
KR20030093720A (ko) * 2002-06-05 2003-12-11 (주)스켄웍스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688B1 (ko) 2005-10-12 2010-11-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KR101009111B1 (ko) 2005-10-12 2011-01-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KR101120895B1 (ko) 2005-10-12 2012-02-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KR101135261B1 (ko) * 2005-10-12 2012-04-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873A (ko)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316B1 (ko)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카세트장치
JPH11232527A (ja) 取引媒体を所望の場所まで搬送する搬送ユニットと当該搬送ユニットを有する自動取引システム
KR100494294B1 (ko)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EP2509051B1 (en) Media processing device
KR200302637Y1 (ko)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EP3992933B1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US6241150B1 (en) Sheet dispensing mechanism
US8235381B2 (en) Device for processing paper sheets or the like
KR200393252Y1 (ko) 리싸이클박스의 스택유니트
KR20120078306A (ko) 지폐입출금부의 프론트 플레이트와 백 플레이트 구동장치
KR200287620Y1 (ko)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KR200374272Y1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0992688B1 (ko)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KR20090092638A (ko) 종이매체 저장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2425143B1 (ko) 매체 입금기의 얼라인모듈
KR100980367B1 (ko) 휴대용 전자동 위조지폐 감별기
KR20100038698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AU2020343703C1 (en) Banknote deposit-withdrawal system and architecture
JP2517053Y2 (ja) 紙幣自動支払装置
KR101177936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인출구조
KR200215843Y1 (ko) 자동 이서 장치
KR100277997B1 (ko) 현금자동 지급기의 인자장치
KR20070040473A (ko)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KR200324386Y1 (ko) 지로용지 자동 접수장치
KR101120895B1 (ko)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