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620Y1 -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620Y1
KR200287620Y1 KR2020020017267U KR20020017267U KR200287620Y1 KR 200287620 Y1 KR200287620 Y1 KR 200287620Y1 KR 2020020017267 U KR2020020017267 U KR 2020020017267U KR 20020017267 U KR20020017267 U KR 20020017267U KR 200287620 Y1 KR200287620 Y1 KR 200287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ischarge
giro
uni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주)스켄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켄웍스 filed Critical (주)스켄웍스
Priority to KR2020020017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6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620Y1/ko

Links

Landscapes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본 고안은, 지로장표의 투입 및 스캐닝이 이루어지는 투입 및 스캔부(10); 투입된 지로장표의 일시정지 및 이후 스캐닝데이터의 오류여부에 따라 계속실행 또는 배출을 수행하는 배지부(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로장표를 적재시킴과 아울러 일괄처리시의 에러여부에 따라 구획된 배출부(30) 또는 수납부(40)로 적재된 지로장표를 이송시키는 트레이(50); 및 상기 투입 및 스캔부(10), 배지부(20), 트레이(50)의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지로장표의 일괄처리가 이루어지고 에러발생시 배출이 이루어지는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일괄처리를 통한 시간적 손실을 최소화시키고, 낱장처리에 따른 여러번의 조작과정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automatedpayment machine of GIRO}
본 고안은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지로장표에 대해 일괄처리가 가능하고, 일괄처리시 발생할 수 있는 에러 등을 고려하여 투입된 다수의 지로장표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공과금의 수납은 주로 납부자가 지로장표와 지불 금액을 지참하고 금융기관에서 수납함으로써 결제처리된다. 이렇게 수납된 지로장표는 다시 각종 공과금 종목 별로 구분 정리되어서 일일 수납 금액 집계 및 집계표로 작성된 다음에 금융기관의 본점으로 수집되고, 본점에에서 수납 금액을 전산 입력한 다음에 지로 일계표와 통지서를 금융결제원으로 보내는 한편, 공과금 명세는 해당 공과금 발행처로 보내 주는 것으로 금융기관의 업무는 끝나게 된다. 금융결제원은 금융기관에서 보내진 지로 일계표와 통지서 집계표와 지로장표를 전산 입력하고, 집계, 분류, 마이크로필름 촬영 등의 제반 필요 작업을 행한 다음, 그 결과치를 토대로 지로 발행업체의 주거래 은행에 대한 지급지시와 지로발행업체에 대해서는 수납 명세 자료를 보내 준다.
이상과 같은 지로 수납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로장표는 영수증과 은행 보관용, 그리고 금융결제원용의 3가지 종목으로 구분된 1장의 용지를 사용하고 있지만, 발행업체별로 용지의 규격이 다양하여 자동 수납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현재까지 지로 수납 시스템의 무인 자동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자동화하였을 때, 공과금 수납 서류의 집계 방법 전산화에 따르는 업무 효율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인력의 절감과 집계의 산술적 오류를 근절할 수 있으며, 공과금 수납 창구의 무인 점포화로 24시간 지속적인 수납이 가능하여 금융기관의 공과금 창구 혼잡을 막을 수 있고, 납부자도 거주지 부근의 무인점포를 활용할 수 있어서 대단히 편리해 질 뿐만 아니라, 전산 데이터의 온 라인을 통해 금융기관에서 금융결제원으로의 지로장표 이송을 생략할 수 있어서 수납 집계에 필요한 인력과 장비를 절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요성으로 국내 특허출원번호 96-27268 등과 같은 지로 수납 시스템의 고안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런데, 기존의 지로 수납 시스템은 낱장으로 결제처리가 이루어짐으로 인해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즉, 각 개인 또는 가정별로 결제일자가 비슷한 지로장표를 한꺼번에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인 결제처리 과정인 것을 고려하면, 상기한 지로 수납 시스템은 낱장별로 결제처리하는 알고리즘과 시스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다수의 지로장표에 대한 일괄처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여러장의 지로장표에 대해 일괄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알고리즘을 구성하고, 일괄처리시 발생할 수 있는 에러 등을 고려하여 투입된 다수의 지로장표를 배출할 수 있는 트레이를 구성함으로써 신속한 결제처리와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의 투입 및 스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의 배지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의 트레이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의 투입 및 스캔부, 배지부, 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트레이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의 제어회로블록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고안의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투입 및 스캔부 20 : 배지부
30 : 배출부 40 : 수납부
50 : 트레이 501 : 임시적재함
503 : 배출용롤러 505 : 적재함이송모터
507 : 롤러이송모터 519 : 제1 적재함위치감지센서
521 : 제2 적재함위치감지센서 523 : 제3 적재함위치감지센서
525 : 제1 롤러위치감지센서 527 : 제2 롤러위치감지센서
60 : 마이크로 프로세서 70 : 키입력부
80 : 디스플레이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는, 지로장표의 투입이 이루어지며, 투입시 스캐닝이 이루어지는 투입 및 스캔부(10); 투입된 지로장표의 진행을 일시정지시켜 스캐닝데이터의 오류여부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계속실행 또는 투입구(101)로의 배출을 수행하는 배지부(20); 상기 배지부(20)를 거쳐 내부로 유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로장표를 적재시킴과 아울러 일괄처리시의 에러여부에 따라 구획된 배출부(30) 또는 수납부(40)로 적재된 지로장표를 이송시키는 트레이(50); 및 상기 지로장표의 투입감지신호에 따른 지로장표의 투입 및 스캐닝에 관련된 제어신호, 스캐닝데이터의 판독 및 이의 정상처리유무에 따라 계속진행 또는 배출에 관련된 제어신호, 및 일괄처리에 따른 에러신호 또는 사용자 요구신호에 대응하여 지로장표의 이송에 관련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는 크게, 지로장표의 투입 및 투입과 동시에 스캐닝이 이루어지는 투입 및 스캔부(10)와, 지로장표를 일시정지시켜 스캐닝데이터의 오류여부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계속실행 또는 배출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지부(20)와, 정상처리되어 지로장표를 일시수납함과 동시에 일괄처리가 완료되면 정상처리 여부에 따라 배출부(30) 또는 수납부(40)로 다수의 지로장표를 이송시키는 트레이(5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의 처리과정에 대한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더 마련되며, 상기 트레이(50)의 수납부(40) 하단에는 지로장표를 대량으로 저장할 수 있는 수납통(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본 고안의 지로장표 처리장치의 설치 높이는 주요 사용자의 키높이를 고려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 참조번호들은 하기한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의 투입 및 스캔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투입 및 스캔부(10)는 지로장표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투입구(101)와, 투입구(101) 근처에 설치되어 투입되는 지로장표를 감지하는 투입감지센서(103)와, 이 투입감지센서(103)에 의해 구동되는 투입모터(105)와, 그리고 상기 투입모터(105)의 구동에 의해 연동되어 지로장표를 밀착시켜 투입 및 스캔부(10) 내부로 진행시키는 이송롤러(107)와, 상기 이송롤러(107)에 의해 진행하는 지로장표를 스캐닝하는 스캐너(109)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송롤러(107)는 지로장표의 입력위치에 상관없이 밀착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투입구(101) 넓이의 영역에 주기적인 간격으로 요소에 설치되며, 전방투입롤러(107a)와 후방투입롤러(107b)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송롤러(107)는 투입모터(105)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감속 기어 트레인을 경유하여 구동된다. 그리고, 전방투입롤러(107a)와 후방투입롤러(107b) 사이에 스캐너(109)가 마련되며 투입구(101) 넓이와 동일한 영역을 스캔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3은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의 배지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지부(20)는 인입채널을 통해 이송된 지로장표를 최초로 감지하기 위해 전방에 마련되어 지로장표를 감지하는 제1 지로위치감지센서(201)와,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지로위치감지센서(201)로부터 출력된 지로장표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이 이루어지는 배지모터(203)와, 상기 배지모터(203)의 구동에 따라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고 지로장표의 밀착 배송이 이루어지는 배지롤러(205)와, 상기 도 2의 투입감지센서(103)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제2 지로위치감지센서(20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배지롤러(205)는 이송되는 지로장표의 경로에 관계없이 밀착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투입구(101) 넓이의 영역에 주기적인 간격으로 요소에 설치되며, 전방배지롤러(205a)와 후방배지롤러(205b)로 이루어진다. 또한, 배지롤러(205)는 배지모터(203)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제1 벨트(B1)를 이용하여 구동된다. 그리고, 제1 지로위치감지센서(201)는 배지모터(203)의 구동에 관여하므로 지로장표 진행방향에 대해 배지부(20) 전단에 위치시키고, 제2 지로위치감지센서(207)는 투입감지센서(103)의 구동에 관여하므로 지로장표의 총길이를 고려하여 위치시킨다. 즉, 다양한 종류의 지로장표에서 가장 긴 지로장표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설정하여 투입감지센서(103)와 제2 지로위치감지센서(207)의 거리를 설정하면 된다. 한편, 상기 제1 지로위치감지센서(201)와 제2 지로위치감지센서(207)는 지로장표의 투입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지로장표의 감지가 가능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갖고 다수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의 트레이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투입 및 스캔부, 배지부, 트레이의 평면도인데, 트레이는 임시적재함의 상판을 제거한 상태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트레이(50)는 크게, 배지부(20)를 통해 이송되어 적재된 지로장표를 높이별로 분리된 배출부(30) 또는 수납부(40)로 수직이동시키는 임시적재함(501)과, 이 임시적재함(501)에 내재시켜 쌓인 지로장표를 상기한 배출부(30) 또는 수납부(40)로 밀어내는배출용롤러(503)와, 상기 임시적재함(501)과 배출용롤러(503)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동부는 구체적으로, 상기 임시적재함(501)을 수직이동시키는 적재함이송모터(505)와, 상기 배출용롤러(503)를 수평이동시키는 롤러이송모터(50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적재함이송모터(505)는 프레임의 일측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임시적재함(501)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임시적재함(501)에 고정됨과 동시에 제2 벨트(B2)를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재(509)를 마련하고, 상기 적재함이송모터(505)의 구동시 제2 벨트(B2)가 승하강함에 따라 임시적재함(501)이 승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롤러이송모터(507)는 임시적재함(501)의 하단에 결합되어 배출용롤러(503)를 수평이동시키게 되는데, 상기 배출용롤러(503)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해 배출용롤러(503)에 고정됨과 동시에 제3 벨트(B3)를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재(511)를 마련하고, 상기 롤러이송모터(507)의 구동시 제3 벨트(B3)가 수평이동함에 따라 배출용롤러(503)가 수평이동하게 된다.
한편, 임시적재함(501)의 균일한 승하강을 지원하기 위해 양측 전후로 상기 임시적재함(501)과 결합된 가이드바 지지부재(513)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가이드바(515)를 형성시키고 있다. 이들 가이드바(515)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삽입되는 가이드바 지지부재(513)에는 상기 임시적재함(501)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제1 차단막(517)이 결합되어 있다. 이 제1 차단막(517)에 의해 센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출부(30), 수납부(40), 및 최상부 위치를 지정하는 제1 적재함위치감지센서(519), 제2 적재함위치감지센서(521), 제3적재함위치감지센서(523)가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각 해당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용롤러(503)가 수평이동할 경우에 이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롤러위치감지센서(525) 및 제2 롤러위치감지센서(527)가 지로장표가 쌓이는 상판(529)과 하판(53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롤러위치감지센서(525) 및 제2 롤러위치감지센서(527)를 동작시키는 제2 차단막(533)은 상기 배출용롤러(503)의 하단에 설치하고, 상기 제1 롤러위치감지센서(525) 및 제2 롤러위치감지센서(527)보다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535)을 타고 이동함에 따라 제2 차단막(533)에 의해 센싱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5를 통해 상기한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전방투입롤러(107a), 후방투입롤러(107b), 전방배지롤러(205a), 후방배지롤러(205b)가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지로위치감지센서(201) 및 제2 지로위치감지센서(207)도 다수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109)는 지로장표의 투입 위치에 상관없이 스캐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투입구(101) 영역 넓이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투입감지센서(103)는 투입구(101)의 좌우측에 각각 발광부와 수광부를 배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트레이의 분리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6은 도 4와 도 5에서의 트레이의 측면 및 평면을 통해 도시된 불명확한 영역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부연설명하고자 제시한 도면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적재함(501)은 좌측프레임(537)과 우측프레임(539)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한좌측프레임(537) 및 우측프레임(539)은 저면프레임(541)에 결합되게 된다. 이 때, 좌측프레임(537) 및 우측프레임(539)의 비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해 횡바(543)가 좌측프레임(537) 및 우측프레임(539)의 상부에 가로질러 형성된다. 한편, 임시적재함(501)은 상판(529)과 하판(531) 사이에 가이드레일(535)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레일(535)을 따라 배출용롤러(503)가 이동하게 되며, 상기 배출용롤러(503) 아래에는 배출용롤러(503)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제3 벨트(B3) 등이 마련된다. 또한, 이 배출용롤러(503)의 동력원은 하판(531)의 밑면에 부착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판(529)과 하판(531) 사이에 배출용롤러(503)가 마련됨에 따라 배출용롤러(503)에 일체로 형성된 측벽에는 상기 상판(529)를 가로지르는 영역을 제외한 부분이 천공(H1)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된 배출용롤러(503)는 상판(529)에 형성된 가이드홀(H2)을 따라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임시적재함(501)에 결합되는 가이드바 지지부재(513), 제1 고정부재(509), 제2 벨트(B2) 등은 상기 좌측프레임(537) 및 우측프레임(539)의 외부로 형성시킴에 따라 가이드바 지지부재(513) 및 제1 고정부재(509)를 임시적재함(501)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임시적재함(501)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측프레임(537) 및 우측프레임(539) 각각에 대칭되게 승하강홀(H3)을 형성시키고 있다.
도 7은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한 투입감지센서(103), 제1 지로위치감지센서(201), 제2 지로위치감지센서(207),제1 적재함위치감지센서(519), 제2 적재함위치감지센서(521), 제3 적재함위치감지센서(523), 제1 롤러위치감지센서(525), 제2 롤러위치감지센서(527)는 마이크로 프로세서(60)의 입력포트의 해당 포트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 해당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해당 구동부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투입모터(105), 배지모터(203), 적재함이송모터(505), 롤러이송모터(507)의 구동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각 센서들은 수광부와 발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의 근접센서, 리미트스위치 등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각 모터는 직류 및 교류 모터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거리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스테핑모터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처리되는 과정에 대해 확인 및 배출에 대한 요구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부(70)가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 접속되며, 이의 처리과정 및 지로장표의 결제처리 과정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80)가 더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결제처리의 결과물로서 프린트물을 출력시킬 수 있는 프린터 등이 더 부가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고안의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영수영역, 즉 사용자가 소유하는 영수영역을 절취하여 삽입한다(S1). 물론, 영수영역의 절취과정은 생략하고 진행될 수 있다. 투입구(101)에 지로장표를 삽입하면 투입구(101) 양측에 설치된 투입감지센서(103)에서 이를 감지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60)로 지로장표가 삽입되었음을 알리는 투입감지신호를 전송한다(S3). 이에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는 투입감지신호에 대응한 투입모터(105)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투입모터(105)가 구동되게 되어(S5) 삽입된 지로장표를 전방투입롤러(107a)에 밀착되어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S7). 이후 투입모터(105)가 계속구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지로장표가 계속진행하게 되고, 지로장표가 스캐너(109) 위치에 도달시에는 스캐닝이 이루어진다(S9). 즉, 지로장표가 진행하면서 연속적으로 스캐닝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때, 스캐너(109)의 동작조건은 모터의 회전속도와 진행거리와의 비에 따라 설정시간 후에 자동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지로장표가 계속진행하여 제1 지로위치감지센서(201)의 위치에 도달하면 제1 지로위치감지센서(201)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60)로 지로감지신호를 출력하고(S11), 이에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는 상기 지로장표의 계속진행을 위해 배지모터(203)에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배지모터(203)가 구동되고(S13), 지로장표는 전방배지롤러(205a)에 밀착되어 계속진행이 이루어진다. 이후, 배지모터(203)가 계속진행되다가 제1 지로위치감지센서(201)가 지로장표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면(off)(S15), 스캐닝을 종료함과 동시에 투입모터(105), 배지모터(203)를 모두 정지시키고, 투입감지센서(103)의 동작도 일시정지시킨다(S17). 이 때, 있을 수 있는 지로장표의 투입에 대해서는(S19) 투입감지센서(103)가 동작이 일시정지됨에 따라 상기 투입감지센서(103)에 의해 연동되는 투입모터(105)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새로운 지로장표의 투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S21). 한편, 상기 스캐닝을 완료한 이미지 데이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 전송하여 이미지를 판독하고 이를 디지털 데이터화하는 판독과정을 진행한다(S23). 상기 판독과정이 모두 완료되면 이 결과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80)에 디스플레이시켜 사용자에게 인지시킨다(S25).
사용자의 인지결과(S27), 판독결과가 정상이라고 판별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키입력부(70)에 형성된 확인키를 입력시키게 된다(S29). 이 때,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는 스캐닝이 이루어진 후 사용자가 입력한 확인키의 횟수를 카운팅하여(S31) 이를 누적시키고 2회 이상일 경우에는 이전에 스캐닝된 데이터를 출력시켜 누적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킨다(S33). 이는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일괄처리를 위한 과정으로써 필수 과정이며, 디스플레이부(80)에는 누적된 데이터의 총계 결제금액 등이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상기 누적 결과데이터의 디스플레이와 동시에 상기 확인키 입력에 따라 배지모터(203)가 구동되어(S35) 지로장표가 임시적재함(501)에 쌓이게 되고, 상기 지로장표가 제2 지로위치감지센서(207)가 지로장표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면(off)(S37) 설정시간 후에 투입감지센서(103)를 재동작시킨다(S39). 상기 설정시간은 지로장표 투입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짧으면 짧을수록 좋을 것이다. 이 때, 지로장표가 삽입되는가를 판별하여(S41) 지로장표가 삽입될 경우에는 상기한 단계 S15로 진행하고, 삽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지금까지 입력된 지로장표의 총계 결제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키게 되고 이에 사용자가 키입력부(70)에 형성된 결제처리키를 누르게 되면 결제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S43). 이 때, 결제처리키 입력과 동시에 투입감지센서(103)의 동작이 오프되는데(S45), 이는 결제처리 과정에서 투입되는 지로장표의 처리에 의해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결제처리가 이루지는 과정으로는 대표적으로, 자동이체, 신용카드, 이머니(e-Money) 등을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고, 이들 결제처리 과정에서 잔여요금 부족, 결제액 한도 초과와 같은 결제처리 불능상태에 있지 않는 한 정상적인 결제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결제처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다음으로 이들 결제와 관련된 지로장표를 수납부(40)로 이송시키는 과정이 진행되게 되고, 결제처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임시적재함(501)에 쌓인 지로장표를 배출구로 이송시키는 과정이 진행되게 된다. 이는 도 8c 및 도 8d에서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단계 S27에서 판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디스플레이된 결과가 지로장표에 표시된 요금과 다를 경우에는 사용자가 키입력부(70)에 형성된 배출키를 입력시키게 된다(S49). 이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는 배출신호에 부응하여 배지모터(203)를 역회전시키는 구동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S51). 이에 전방배지롤러(205a)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투입구(101)쪽을 향해 역진행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역진행에 따라 제1 지로위치감지센서(201)에서 지로를 감지하게 되면(S53), 상기 지로장표의 계속역진행을 유지시키기 위해 투입모터(105)의 역회전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S55). 이에 따라, 계속역진행이 이루어지다고, 제1 지로위치감지센서(201)에서 지로장표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off)(S57), 배지모터(203)의 역회전 구동이 정지되게 된다(S59). 이후, 투입감지센서(103)에서 지로장표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off)(S61), 투입모터(105)의 역회전 구동도 정지되게 된다(S63). 이로써 배출이 완료되는 것이다(S65). 이와 같이, 낱장 투입에 따른 에러가 발생시에는 투입구(101)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하고, 이후 설명되는 다수의 지로장표 투입후의 에러시에는 배출구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트레이(50)의 구동과정을 설명하기 이전에,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의 시스템 초기화된 이후에 임시적재함(501)은 최상단에 위치한 제1 적재함위치감지센서(519)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배출용롤러(503)는 제1 롤러위치감지센서(525)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1 적재함위치감지센서(519)와 제1 롤러위치감지센서(525)가 각각 임시적재함(501)과 배출용롤러(503)를 감지함으로써 초기화시 정상상태임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한 단계 S47에서 결제처리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는 적재함이송모터(505)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키게 되고, 이에 적재함이송모터(505)의 구동이 이루어져(S67) 임시적재함(501)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S69). 임시적재함(501)의 계속하강이 이루어져 제2 적재함위치감지센서(521)를 거쳐 제3 적재함위치감지센서(523)에 도달하였다고 판별되면(S71), 적재함이송모터(505)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S73). 이 때, 임시적재함(501)의 상판 높이가 수납부(40)의 높이와 평행을 이루게 된다. 이후,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는 롤러이송모터(507)에 구동신호를 출력시키고, 이에 롤러이송모터(507)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되며(S75), 배출용롤러(503)가 전방을 향해 전진함으로써 적재된 지로장표를 밀어내게 된다(S77). 이 때,배출용롤러(503)에 결합된 제2 차단막(533)이 제2 롤러위치감지센서(527)를 차단하여 배출용롤러(503)를 감지하였는가를 판별하여(S79) 배출용롤러(503)를 감지할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는 이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롤러이송모터(507)를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S81). 이는 지로장표가 모두 수납부(40)로 밀려나간 것을 판단하여 이후, 제2 롤러위치감지센서(527)의 감지와 동시에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는 롤러이송모터(507)의 역회전 구동신호를 출력시킨다. 이에 롤러이송모터(507)의 역회전이 이루어지고(S83), 배출용롤러(503)는 원상복귀되고, 원상복귀되는 과정에서 제1 롤러위치감지센서(525)의 감지가 이루어지면(S85)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는 롤러이송모터(507)의 역회전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S87). 다음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는 임시적재함(501)을 원상복귀시키기 위해 적재함이송모터(505)의 역회전 구동신호를 출력시킨다. 이에 적재함이송모터(505)의 역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S89), 임시적재함(501)이 상승하여 제2 적재함위치감지센서(521)를 거쳐 제1 적재함위치감지센서(519)에서 임시적재함(501)의 감지가 이루어졌는가를 판별하여(S91) 감지가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적재함이송모터(505)의 역회전 구동정지신호를 출력시킨다(S93). 이에 트레이(50) 초기상태로 복귀되어 초기화상태를 유지시키게 되고, 다음으로 진행될 수 있는 지로장표 처리를 대기하게 된다(S95).
이 때, 임시적재함(501)의 빠른 복귀를 지원하기 위해 상기 단계83에서 단계87까지와 상기 단계89에서 단계93까지의 동작의 제어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임시적재함(501)이 상승하면서 배출용롤러(503)를 후진시키는 동작이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한 단계 S47에서 결제처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임시적재함(501)에 쌓인 지로장표를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구, 또는 시스템 자체적으로 마련된 에러코드에 해당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배출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는데(S97), 이 배출신호에 의해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는 적재함이송모터(505)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키게 되고, 이에 적재함이송모터(505)의 구동이 이루어져(S99) 임시적재함(501)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S101). 임시적재함(501)의 계속하강이 이루어져 제2 적재함위치감지센서(521)를 거쳐 제3 적재함위치감지센서(523)에 도달하였다고 판별되면(S103), 적재함이송모터(505)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S105). 이 때, 임시적재함(501)의 상판 높이가 수납부(40)의 높이와 평행을 이루게 된다. 이후,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는 롤러이송모터(507)에 구동신호를 출력시키고, 이에 롤러이송모터(507)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되며(S107), 배출용롤러(503)가 전방을 향해 전진함으로써 적재된 지로장표를 밀어내게 된다(S109). 이 때, 배출용롤러(503)에 결합된 제2 차단막(533)이 제2 롤러위치감지센서(527)를 차단하여 배출용롤러(503)를 감지하였는가를 판별하여(S111) 배출용롤러(503)를 감지할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는 이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롤러이송모터(507)를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S113). 이는 지로장표가 모두 수납부(40)로 밀려나간 것을 판단하여 이후, 제2 롤러위치감지센서(527)의 감지와 동시에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는 롤러이송모터(507)의 역회전 구동신호를 출력시킨다. 이에 롤러이송모터(507)의 역회전이 이루어지고(S115), 배출용롤러(503)는 원상복귀되고, 원상복귀되는 과정에서 제1 롤러위치감지센서(525)의 감지가 이루어지면(S117)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는 롤러이송모터(507)의 역회전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S119). 다음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서는 임시적재함(501)을 원상복귀시키기 위해 적재함이송모터(505)의 역회전 구동신호를 출력시킨다. 이에 적재함이송모터(505)의 역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S121), 임시적재함(501)이 상승하여 제2 적재함위치감지센서(521)를 거쳐 제1 적재함위치감지센서(519)에서 임시적재함(501)의 감지가 이루어졌는가를 판별하여(S123) 감지가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적재함이송모터(505)의 역회전 구동정지신호를 출력시킨다(S125). 이에 트레이(50) 초기상태로 복귀되어 초기화상태를 유지시키게 되고, 다음으로 진행될 수 있는 지로장표 처리를 대기하게 되는 상기 단계 S95로 진행한다.
이 때, 임시적재함(501)의 빠른 복귀를 지원하기 위해 상기 단계115에서 단계119까지와 상기 단계121에서 단계125까지의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음은 도 8c와 동일하다.
이후, 스캐닝된 데이터 및 이의 디지털데이터를 금융결제원에 전송하여 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은 네트워크화된 데이터의 전송에 의해 이루어지는 통상의 과정을 거치므로 이후의 과정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는, 금융기관의 공과금 수납 업무의 전산화에 따른 인력 절감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일괄처리를 통한 시간적 손실을 최소화시키고, 낱장처리에 따른 여러번의 조작과정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그리고, 낱장처리시 발생하는 오류에 대한 대응이 낱장 개개별 지로장표에 대해 수행되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고, 결제 처리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에러 발생시 적재된 지로장표 모두를 한꺼번에 배출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Claims (5)

  1. 지로장표의 투입이 이루어지며, 투입시 스캐닝이 이루어지는 투입 및 스캔부(10);
    투입된 지로장표의 진행을 일시정지시켜 스캐닝데이터의 오류여부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계속실행 또는 투입구(101)로의 배출을 수행하는 배지부(20);
    상기 배지부(20)를 거쳐 내부로 유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로장표를 적재시킴과 아울러 일괄처리시의 에러여부에 따라 구획된 배출부(30) 또는 수납부(40)로 적재된 지로장표를 이송시키는 트레이(50); 및
    상기 지로장표의 투입감지신호에 따른 지로장표의 투입 및 스캐닝에 관련된 제어신호, 스캐닝데이터의 판독 및 이의 정상처리유무에 따라 계속진행 또는 배출에 관련된 제어신호, 및 일괄처리에 따른 에러신호 또는 사용자 요구신호에 대응하여 지로장표의 이송에 관련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60)에는 사용자 조작을 지원하는 키입력부(70)와, 일괄처리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80)를 더 접속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및 스캔부(10)는,
    지로장표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투입구(101) 근처에 설치되어 투입감지신호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에러 또는 사용자요구에 의해 배출시 배출완료신호를 발생시키는 투입감지센서(103);
    상기 투입감지신호 또는 배출완료신호에 따라 구동 또는 정지되는 투입모터(105);
    상기 투입모터(105)의 구동에 의해 연동되어 지로장표를 밀착시켜 이송시키는 이송롤러(107); 및
    상기 이송되는 지로장표를 스캐닝하는 스캐너(109)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부(20)는,
    상기 투입 및 스캔부(10)로부터 전달된 지로장표가 배지부(20)로 입력되는가의 여부를 감지하여 입력감지신호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상기 입력감지후 감지신호가 오프될 경우에 배지부(20)의 구동을 일시정지시키는 일시정지신호를 출력시키거나, 에러 및 사용자요구에 따라 배출시 상기 투입 및 스캔부(10)의 구동을 위한 배출감지신호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상기 배출감지후 감지신호가 오프될 경우에 배지부(2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배지부 동작정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지로위치감지센서(201);
    상기 입력감지신호, 일시정지신호, 및 배지부 동작정지신호에 대응하여 구동되거나 정지되는 배지모터(203);
    상기 배지모터(203)의 구동에 연동되어 지로장표의 밀착 배송이 이루어지는 배지롤러(205); 및
    상기 지로장표의 투입에 연이어 새로운 지로장표의 투입이 있을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로장표 감지시 투입 및 스캔부(10)의 동작을 일시정지시키고, 정상처리에 따라 계속진행시에 설정시간 이후에 상기 투입 및 스캔부(10)의 동작을 복귀시키는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지로위치감지센서(207)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50)는,
    상기 배지부(20)로부터 전달된 지로장표를 적재시키고, 그 상판에 가이드홈(H2)을 형성시킨 임시적재함(501);
    상기 임시적재함(501)에 결합된 제1 고정부재(509)에 압착된 벨트(B2)를 통해 상기 임시적재함(501)을 승하강시키는 동력원을 발생시키는 적재함이송모터(505);
    상기 임시적재함(501)에 내재시키고, 상기 가이드홈(H2)을 따라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천공(H1)된 측벽에 의해 적재된 지로장표를 배출부(30) 또는 수납부(40)로 밀어내는 배출용롤러(503);
    상기 배출용롤러(503)에 결합된 제2 고정부재(511)에 압착된 벨트(B3)를 통해 상기 배출용롤러(503)를 수평이동시키는 동력원을 발생시키는 롤러이송모터(507);
    상기 임시적재함(501)에 결합된 제1 차단막(517)에 의해 배출부(30) 또는 수납부(40)의 수직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신호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초기화 및 원상복귀시 위치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적재함위치감지센서(519), 제2 적재함위치감지센서(521), 제3 적재함위치감지센서(523)로 이루어진 수직센서부; 및
    상기 배출용롤러(503)에 결합된 제2 차단막(533)에 의해 지로장표의 배출 또는 수납여부의 판별기준으로 수평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신호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초기화 및 원상복귀시 위치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롤러위치감지센서(525) 및 제2 롤러위치감지센서(527)로 이루어진 수평센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KR2020020017267U 2002-06-05 2002-06-05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KR200287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267U KR200287620Y1 (ko) 2002-06-05 2002-06-05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267U KR200287620Y1 (ko) 2002-06-05 2002-06-05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541A Division KR100468328B1 (ko) 2002-06-05 2002-06-05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620Y1 true KR200287620Y1 (ko) 2002-08-30

Family

ID=7312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267U KR200287620Y1 (ko) 2002-06-05 2002-06-05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62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534A (ko) * 2002-08-22 2004-02-27 주식회사 내외시스템 지로 공과금 무인 결제장치의 지로용지 배출용 압축장치
KR100558673B1 (ko) * 2003-10-28 2006-03-13 태남자동화기기 주식회사 자동정렬기능을 부가한 지로장표 인입장치
KR100898498B1 (ko) * 2007-06-07 2009-05-20 주식회사 푸른기술 용지 접수장치용 용지 임시저장장치
KR100898499B1 (ko) 2007-06-07 2009-05-20 주식회사 푸른기술 지로용지 처리장치
KR101009111B1 (ko) 2005-10-12 2011-01-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534A (ko) * 2002-08-22 2004-02-27 주식회사 내외시스템 지로 공과금 무인 결제장치의 지로용지 배출용 압축장치
KR100558673B1 (ko) * 2003-10-28 2006-03-13 태남자동화기기 주식회사 자동정렬기능을 부가한 지로장표 인입장치
KR101009111B1 (ko) 2005-10-12 2011-01-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KR100898498B1 (ko) * 2007-06-07 2009-05-20 주식회사 푸른기술 용지 접수장치용 용지 임시저장장치
KR100898499B1 (ko) 2007-06-07 2009-05-20 주식회사 푸른기술 지로용지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35631B1 (en) Bundle processing apparatus
KR102112615B1 (ko) 횡방향 입출금 방식이 적용된 환류형 지폐/수표 입출금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지폐/수표 처리방법
KR100809478B1 (ko) 현금 및 수표 자동 수납처리장치
KR200287620Y1 (ko)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JP3744719B2 (ja) 媒体発行装置及びカード発行装置
KR100468328B1 (ko)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4414625B2 (ja) 紙葉処理装置
JP4465140B2 (ja) 紙葉類処理装置
US20110243421A1 (en) Check processing apparatus
KR20130118142A (ko) 우편물 접수처리 장치
KR200302637Y1 (ko)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KR100494294B1 (ko)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JP2005228100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3932537B2 (ja) 硬貨入出金装置
JPH0424895A (ja) 媒体処理装置
JP3761944B2 (ja) カード発券装置
KR980010885A (ko) 지로 장표 무인 자동 수납 장치와 시스템
JPH1083477A (ja) 自動販売機
JPS61288273A (ja) 自動取引装置
JP3799020B2 (ja) 紙幣入出金装置
KR100202747B1 (ko) 카드 발권장치
JP2023055376A (ja) 紙幣処理装置
JP2023039370A (ja) 媒体処理装置
JP2005228098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38679A (ko) 지로 공과금 무인 결제장치의 배출경로 조절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