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678B1 - 지폐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678B1
KR100335678B1 KR1020000025722A KR20000025722A KR100335678B1 KR 100335678 B1 KR100335678 B1 KR 100335678B1 KR 1020000025722 A KR1020000025722 A KR 1020000025722A KR 20000025722 A KR20000025722 A KR 20000025722A KR 100335678 B1 KR100335678 B1 KR 100335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stacker
loader
shaped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7267A (ko
Inventor
이토유키오
고다마야스유키
야마기시노보루
하타마치다다시
Original Assignee
오까다 마사하루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까다 마사하루,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filed Critical 오까다 마사하루
Publication of KR2000007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7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6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자동판매기, 환전기, 빠칭코구슬대여기, 메탈대여기 등에 사용되는 지폐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폐를 안정하게 반송할 수 있고 또한 지폐회수시 등에 적재기내의 수용지폐의 낙하를 가급적 저지하기 위해, 지폐처리장치의 적재기는 선단이 위쪽을 향해서 형성되고, 이 선단에 보조롤러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L자형상의 레버와 이 L자형상의 레버에 대해 장치본체의 지폐반송벨트측으로 상시 힘을 가하는 부세수단을 구비하고, 적재기를 장치본체에 장착했을 때에는 삽입지폐를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의해 장치본체의 지폐반송벨트와 보조롤러 사이에 끼워유지해서 반송시킴과 동시에 적재기를 장치본체에서 이탈시킬 때에는 L자형상의 레버에 의해 적재기내에 수용된 지폐가 적재기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지폐를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의해 지폐반송벨트와 보조롤러 사이에 끼워유지시켜 반송시킴과 동시에 L자형상의 레버에 의해 적재기에 수용된 지폐가 적재기에서 낙하하는 것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지폐처리장치{BILL PROCESSOR}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환전기, 빠칭코구슬대여기(슬롯머신), 메탈대여기 등에 사용되는 지폐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쿠폰권 등을 포함한다)를 취급하는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본체내에는 삽입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함과 동시에 진권으로 간주된 지폐만을 축적수용하도록 한 지폐처리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도 8은 종래의 지폐처리장치를 도시한 주요부 절단개념 측면도이다.
이 종래의 지폐처리장치(21)은 장치본체(22)와 상기 장치본체(22)의 배면(22a)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 적재기(52)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장치본체(22)에는 지폐삽입구(23)에서 삽입된 지폐(101)을 L자형상의 지폐반송로(24)를 따라서 반송하는 지폐반송벨트(26)으로 이루어지는 지폐반송수단(25), 지폐(101)의 진위를 판별하는 자기헤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폐식별수단(42) 및 상기 지폐식별수단(42)에 의해 진권이라고 판단된 지폐(101)을 1장씩 적재기(52)측으로 이동시키는 지폐이동수단(3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중, 지폐반송수단(25)는 지폐반송로(24)의 수평부(24a) 및 수직부(24b)를 따라 설치된 무단(無端)의 지폐반송벨트(26)과 상기 지폐반송벨트(26)을 회전구동시키는 풀리(27), (28), (29), (30)으로 이루어지는 지폐반송벨트 구동수단(31)로 구성되어 있다.
또, 지폐이동수단(35)는 본원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일본국 특허출원 평성5-276592호의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장치본체(22)의 양측 긴쪽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상하단을 축으로 해서 한쪽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한쌍의 지폐안내드럼(36)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지폐안내드럼(36)은 도 8의 주요부 개념단면도로 도시한 도 9와 같이, 그의 둘레면에 지폐(101)의 폭방향 끝부를 끼워삽입하는 슬릿(36a)가 지폐반송로(24)의 수직부(24b)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의 (32), (33)은 각각 지폐반송로(24)를 형성하고 있는 상부슈트, 하부슈트이다.
또한, 이 지폐이동수단(35)의 상세에 대해서는 일본국 특허출원 평성 5-276592호의 명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적재기(52)는 정면을 향해서 개구부(53a)가 형성된 하우징(53)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53)의 하단(53b)에서 지폐반송벨트(26)과 대향하는 적재기(52)의 부분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반송벨트(26)과의 사이에 지폐를 끼워유지해서 상기 지폐를 반송하는 보강롤러(55)가 직접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종래의 지폐처리장치(21)에서는 도 8에 도시한 지폐삽입구(23)내에 지폐(101)이 삽입되고 도시하지 않는 지폐검출센서에 의해서 지폐(101)의 유무가 검출되면, 그 검출신호에 따라서 지폐반송벨트(26)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지폐(101)은 그의 반송력에 의해 지폐반송로(4)의 수평부(4a)를 따라서 수평반송된다. 또한, 그 때 셔터수단(41)이 구동되고, 그것에 의해 셔터는 도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지폐반송로(24)의 수직부(24b)가 확대 개방된다.
또, 이 지폐(101)이 지폐반송로(24)의 수직부(24b)를 따라 대략 90도 위쪽으로 반송되면, 지폐식별수단(42)에 의해 지폐(101)의 진위가 판정되고, 지폐(101)이 위권이라고 판단되면 지폐반송벨트(26)이 반전(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폐(101)은 지폐삽입구(23)에서 반환된다.
한편, 지폐(101)이 지폐식별수단(42)에 의해 진권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그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지폐반송벨트(26)의 정회전이 지속되고, 지폐(101)은 또 수직부(24b)의 하류로 반송된다.
그리고, 지폐(101)이 도 9에 도시한 보강롤러(55)에 도달하면, 지폐(101)은 정회전하는 지폐반송벨트(26)과 보조롤러(55) 사이에 끼워유지되어 또 하류의 슬릿(36a)내로 확실하게 반송된다.
다음에, 이 지폐(101)의 선단이 지폐안내드럼(36)의 슬릿(36a) 하단에 끼워삽입되면, 지폐(101)은 동시에 지폐안내드럼(36)의 슬릿(36a)의 끝부와 지폐반송벨트(26) 사이에 끼워유지되고, 이것에 의해 지폐(101)은 또 슬릿(36a)를 따라서 위쪽으로 반송되고, 그 후 지폐(101)이 슬릿(23)내의 소정위치에 도달한 것이 도시하지 않는 센서 등에 의해 검출되면, 지폐반송벨트(26)의 정회전이 정지함과 동시에 지폐안내드럼(36)이 반대방향으로 동위상에서 회전하고, 이것에 의해 슬릿(36a)내에 끼워삽입된 지폐(101)은 적재기(52)측으로 평행이동한다.
그리고, 이 적재기측으로 평행이동하는 지폐(101)이 적재기(52)에 도달하면, 지폐(101)은 도시하지 않는 적재스프링을 거쳐서 도시하지 않는 적재기플레이트와지폐안내드럼(36)의 외주면 사이에 끼워유지되고, 그 때 동시에 지폐안내드럼(36)의 회전에 따라서 적재기(52)측으로 이동하는 도시하지 않는 슈트에 의해서 압압되기 때문에 지폐(101)은 슬릿(36a)에서 해방되고, 이것에 의해 적재기(52)내로 확실하게 밀어 넣어져 수용된다.
또, 이와 같은 종래의 지폐처리장치(21)에서는 적재기(52)는 장치본체(22)에 착탈이 자유로우므로, 장치본체(22)의 보수점검이나 적재기(52)내의 수용지폐를 회수할 때에는 적재기(52)를 장치본체(22)에서 이탈시켜 그 작업을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의 지폐처리장치(21)에서는 지폐(101)을 내부에 수용하는 적재기(52)에는 장치본체(22)를 향해서 개구부(53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치본체(22)의 보수점검이나 적재기(52)내의 수용지폐를 회수할 때 적재기(52)를 장치본체(22)에서 이탈시키면, 적재기(52)내의 수용지폐(101)이 적재기(52)에서 아래쪽으로 낙하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폐를 안정하게 반송할 수 있고 또한 지폐회수시 등에 적재기내의 수용지폐의 낙하를 가급적 저지하는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지폐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적재기의 주요부 절단개념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지폐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적재기가 장치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지폐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적재기를 장치본체에 장착했을 때의 동작을 도시한 주요부 개념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지폐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적재기를 장치본체에 장착했을 때의 동작을 도시한 주요부 개념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지폐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적재기를 장치본체에서 이탈시켰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개념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지폐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적재기를 장치본체에서 이탈시켰을 때의 동작을 도시한 주요부 개념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지폐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적재기를 장치본체에서 이탈시켰을 때의 동작을 도시한 주요부 개념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지폐처리장치를 도시한 주요부 절단개념 측면도,
도 9는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주요부 개념단면도.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지폐삽입구에서 삽입된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반송벨트를 구비한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상기 지폐반송벨트에 의해 반송된 상기 지폐를 내부에 수용하는 적재기로서, 상기 지폐반송벨트와 대향해서 배치되고 상기 지폐반송벨트와의 사이에 상기 지폐를 끼워유지하여 반송하는 보조롤러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적재기로 이루어지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기는 선단이 위쪽을 향해서 형성되고, 상기 선단에 상기 보조롤러를 지지하는 L자형상의 레버와 상기 L자형상의 레버에 대해서 상기 지폐반송벨트측으로 상시 힘을 가하는 부세(付勢)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적재기를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했을 때에는 상기 지폐를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지폐반송벨트와 상기 보조롤러 사이에 끼워유지시켜 반송시킴과 동시에, 상기 적재기가 상기 장치본체에서 이탈할 때는 상기 L자형상의 레버에 의해 상기 적재기에 수용된 상기 지폐가 상기 적재기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에 의해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지폐처리장치의 1실시예를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에 관한 지폐처리장치(1)은 도 8에 도시한 종래의 장치본체(22) 및 상기 장치본체(22)의 배면(22a)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도 1에 도시한 적재기(2)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도 1에 도시한 적재기(2)는 정면을 향해서 개구부(3a)가 형성된 하우징(3), 하우징(3)의 개구부(3a)측 하단(3b)에 배치된 L자형상의 레버(4), 상기 L자형상의 레버(4)의 선단(4a)에 축(7)을 거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보조롤러(5) 및 L자형상의 레버(4)에 대해 정면측으로 상시 힘을 가하는 부세수단(6)(도 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은 장치본체(22)에서 이탈한 적재기(2)의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 개념 절단면도이다.
또, 이중의 하우징(3)에는 옆쪽에 지폐낙하방지용 발톱(10)이 배치되어 있고, 또, 하단(3b)에는 개구부(3a)를 향해서 돌출하는 지폐역귀환 방지용 레버(11)이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지폐역귀환 방지용 레버(11)은 제1 레버(11a)와 제2 레버(11b)로 이루어지는 2단 절곡레버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3b)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장치본체(22)에 장착했을 때의 적재기(2)의 상태를 도시한 개념정면도로서, 도 1과 동일부분을 동일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L자형상의 레버(4)는 위쪽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는 선단(4a)와 하우징(3)에 지지되는 후단(4b)로 이루어지고, 이 L자형상의 레버(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의 하단(3b)에 있어서 지폐역귀환 방지용 레버(11)을 사이에 끼운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각 L자형상의 레버(4)는 지폐처리장치(1)의 주요부 개념단면도로 도시한 도 3과 같이, 후단(4b)측이 하우징(3)내의 지지홈(3c)내에 끼워삽입됨과 동시에 그 후단(4b)측에 형성된 안내홈(8)에 의해서 하우징(3)의 지지부(3d)에 걸어맞춰져 있고, 이것에 의해 각 L자형상의 레버(4)는 하우징(3)에 대해서 소정 거리내에서 미끄러짐(슬라이드)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 각 L자형상의 레버(4)에 대해 적재기(2)의 정면측으로 힘을 가하는 부세수단(6)은 하우징(3)내의 지지홈(3c)내에 배치된 스프링으로서, 각 L자형상의 레버(4)의 후단(4b)에 연결되는 선단(6a)와 적재기(2)의 하우징(3)에 연결되는 후단(6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도 1, 도 8과 동일부분을 동일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상술한 지폐처리장치(1)의 동작을 설명함과 동시에 지폐처리장치(1)의 구성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도 1에 도시한 적재기(2)에는 그의 위쪽에 돌출부(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적재기(2)의 돌출부(9)를 장치본체(22)의 배면(22a)에 있어서 긴쪽방향 위쪽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장착용 홈에 끼워맞추면, 도 8에 도시한 종래의 지폐처리장치(21)과 마찬가지로 적재기(2)를 장치본체(52)에 장착할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이 적재기(2)가 장치본체(52)에 장착되면, 적재기(2)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낙하방지용 발톱(10)이 개구부(3a)에서 퇴피하고 또 지폐역귀환 방지용 레버(11)이 지폐처리장치(1)의 주요부 개념단면도로 도시한 도 4와 같이 한쌍의 지폐안내드럼(36) 사이에 배치된다.
또, 각 L자형상의 레버(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세수단(6)에 의한 부세력에 대항해서 지지홈(3c)내를 안내홈(8)을 따라서 지폐반송벨트(26)과 반대측(화살표 A의 방향)으로 미끄러지고, 또 각 L자형상의 레버(4)의 선단(4a)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각 보조롤러(5)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반송벨트(26)과 대향해서 배치됨과 동시에 부세수단(6)에 의한 부세력에 의해서지폐반송벨트(26)에 압접된다.
따라서, 이 때 장치본체(22)에 배치된 지폐식별수단(42)에 의해 진권이라고 판단된 지폐(101)이 지폐반송벨트(26)의 정회전에 의해서 지폐반송로(24)의 수직부(24b)로 반송되면, 지폐(10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세수단(6)에 의한 부세력에 의해서 지폐반송벨트(26)과 보조롤러(5) 사이에 끼워유지되므로, 지폐(101)을 확실하게 하류의 슬릿(36a)내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슬릿(36a)내로 반송된 지폐(1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후 지폐반송벨트(26)과 지폐반송드럼(26)의 끝부에 의해 파지(hold)되고, 적재기(2)의 개구부(3a)를 향해서 평행이동하지만, 이 때 지폐역귀환 방지용 레버(11)은 지폐(101)의 하단에 압압되고 도시하지 않는 부세수단에 대항해서 도시하지 않는 구멍내로 퇴피하기 때문에 지폐(101)의 수용동작은 원활하게 실행되고, 또 지폐(101)이 적재기(2)의 하우징(3)내에 수용되면, 지폐역귀환 방지용 레버(11)은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초기 상태로 복귀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된 지폐(101)의 하단 대략 중앙을 덮고 구속하기 때문에 지폐의 폭방향 대략 중앙이 지폐반송로(24b)에서 돌출하여 다음에 수용되는 지폐(101)의 반송을 방해할 우려는 가급적 방지된다.
한편, 이 적재기(2)를 장치본체(22)에서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한 적재기(2)의 돌출부(9)와 장치본체(22)의 상기 장착용 홈의 끼워맞춤을 해제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해서 적재기(2)를 장치본체(22)에서 이탈시키면, 이탈된적재기(2)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평면도로 도시한 도 5와 같이, 동시에 지폐낙하방지용 발톱(10)이 개구부(3a)를 향해서 돌출함과 동시에, L자형상의 레버(4)는 도 3과 동일부분으로 도시한 도 6과 같이 부세수단(6)에 의한 부세력에 의해서 지지홈(3c)내를 안내홈(8)을 따라서 지폐반송벨트(26)측(화살표 B의 방향)으로 미끄러져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또, 도 6은 지폐처리장치(1)의 주요부 개념단면도로서, (4c)는 하우징(3)의 지지부(3d)와 당접해서 L자형상의 레버(4)의 지폐반송벨트(26)측으로의 미끄러짐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도시하고 있다.
또, 이와 같이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L자형상의 레버(4)는 그의 선단(4a)가 위쪽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적재기(2)내에 수용된 지폐(101)은 그의 하단이 아래쪽 및 정면에서 L자형상의 레버(4)에 의해서 덮여져 구속받고, 그 때문에 이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적재기(2)를 장치본체(22)에서 이탈시킬 때, 적재기(2)내의 수용지폐(101)이 적재기(2)의 아래쪽에서 낙하하는 것을 가급적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장치본체(22)의 보수점검작업이나 적재기(2)내의 지폐의 회수작업을 실행할 때, 장치본체(22)에서 적재기(2)를 이탈시키는 경우에 적재기(2)내에 수용된 지폐(101)이 적재기(2)의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것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고, 또, 이것에 의해 장치본체(22)의 보수점검작업이나 적재기(2)내의 수용지폐(101)의 회수작업을 간단하고 또한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이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L자형상의 레버(4)를 적재기(2)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도 4와 동일부분을 동일부호로 도시한 도 7과 같이지폐(101)은 이들 2개의 L자형상의 레버(4)에 의해서 그의 하단의 폭방향 양측이 덮여져 구속받게 되고, 그 때문에 지폐(101)이 적재기(2)의 아래쪽에서 낙하하는 것을 한층더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이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L자형상의 레버(4)의 선단(4a)에는 보조롤러(5)가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적재기(2)내에 수용된 지폐(101)은 그의 하단이 L자형상의 레버(4)에 의해서 아래쪽 및 정면에서 덮여짐과 동시에 보조롤러(5)에 의해서도 정면에서 덮여져 구속받기 때문에, 이 보조롤러(5)에 의해서 지폐(101)이 적재기(2)의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것을 한층더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이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적재기(2)가 장치본체(22)에서 이탈되었을 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낙하방지용 발톱(10)이 개구부(3a)를 향해서 돌출하므로, 지폐(101)은 그의 옆쪽이 지폐낙하방지용 발톱(10)에 의해 덮여져 구속받고, 이것에 의해, 장치본체(52)에서 적재기(22)를 이탈시킬 때 적재기(2)내의 지폐(101)이 적재기(2)의 옆쪽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이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적재기(2)의 폭방향 대략 중앙에는 지폐역귀환 방지용 레버(11)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지폐역귀환 방지용 레버(11)은 적재기(2)가 장치본체(22)에서 이탈될 때 지폐의 수용동작을 종료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 상태로 복귀하고 있으므로, 지폐(101)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의 폭방향 양측이 L자형상의 레버(4)에 의해서 덮여져 구속받음과 동시에 아래쪽의 대략 중앙이 지폐역귀환 방지용 레버(11)에 의해서 덮여져 구속받게 된다.그 때문에, 적재기(2)내에 수용된 지폐(101)이 적재기(2)의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것을 한층더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장치본체(22)에서 적재기를 이탈시키고 장치본체(22)의 보수점검작업이나 적재기(2)내의 수용지폐(101)의 회수작업을 실행할 때, 적재기(2)내에 수용된 지폐(101)이 적재기(2)의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것을 더욱 가급적 방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장치본체(22)의 보수점검작업이나 적재기(2)내의 수용지폐(101)의 회수작업을 한층더 간단하고 또한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2개의 L자형상의 레버(4)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적재기(2)내의 지폐(101)의 낙하를 한층더 방지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의 지폐처리장치에서는 L자형상의 레버(4)의 갯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지폐반송벨트(26)에 따라서 L자형상의 레버(4)를 1개 배치하는 것이라도 좋고, 그 경우에도 L자형상의 레버(4)의 선단(4a)가 지폐(101)의 아래쪽을 덮어 구속하여 수용지폐(101)이 적재기(2)의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것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이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적재기(2)에 지폐역귀환 방지용 레버(11)을 배치하는 것으로 하고, 장치본체(22)에서 적재기(2)를 이탈시킬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지폐역귀환 방지용 레버(11)에 의해서도 적재기(2)내의 지폐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용지폐 낙하방지의 효과를 한층더 높이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의 지폐처리장치는 적재기(2)에 L자형상의 레버(4)를 구비하고 있으면 지폐역귀환 방지용 레버(11)을 배치하고 있지 않은 것이라도 좋고, 그와 같은 지폐처리장치라도 L자형상의 레버(4)의 선단(4a)가 지폐(101)의 아래쪽을 덮어 구속하여 수용지폐(101)이 적재기(2)의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것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이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지폐낙하방지용 발톱(10)을 배치하는 것으로 하고, 장치본체(22)에서 적재기(2)를 이탈시킬 때 지폐낙하방지용 발톱(10)에 의해서도 적재기(2)내의 지폐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용지폐 낙하방지의 효과를 한층더 높이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의 지폐처리장치는 적재기(2)에 L자형상의 레버(4)를 구비하고 있으면 지폐낙하방지용 발톱(10)을 배치하고 있지 않은 것이라도 좋고, 이러한 지폐처리장치라도 적재기(2)내의 수용지폐의 낙하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폐처리장치에서는 지폐삽입구에서 삽입된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반송벨트를 구비한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지폐반송벨트에 의해 반송된 지폐를 내부에 수용하는 적재기로서, 지폐반송벨트와 대향해서 배치되고 지폐반송벨트와의 사이에 지폐를 끼워유지하여 반송하는 보조롤러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적재기로 이루어지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적재기는 선단이 위쪽을 향해서 형성되고 상기 선단에 보조롤러를 지지하는 L자형상의 레버와 상기 L자형상의 레버에 대해 상기 지폐반송벨트측으로 상시 힘을 가하는 부세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적재기를 장치본체에 장착했을 때에는 지폐를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의해 지폐반송벨트와 보조롤러 사이에 끼워유지시켜 반송시킴과 동시에, 적재기가 장치본체에서 이탈할 때에는 L자형상의 레버에 의해 적재기에 수용된 지폐가 적재기에서 낙하하는 것을 가급적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지폐를 안정하게 반송할 수 있고, 또 지폐회수시 등에 적재기내의 수용지폐의 낙하를 가급적 저지하는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의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에서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하등 구속받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전부 본 발명의 범위내인 것이다.

Claims (8)

  1. 지폐삽입구에서 삽입된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반송벨트를 구비한 장치본체 및; 상기 장치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상기 지폐반송벨트에 의해 반송된 상기 지폐를 내부에 수용하는 적재기로서, 상기 지폐반송벨트와 대향해서 배치되고 상기 지폐반송벨트와의 사이에 상기 지폐를 끼워유지하여 반송하는 보조롤러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적재기로 이루어지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재기는 선단이 위쪽을 향해서 형성되고 상기 선단에 상기 보조롤러를 지지하는 L자형상의 레버와 상기 L자형상의 레버에 대해 상기 지폐반송벨트측으로 상시 힘을 가하는 부세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적재기를 상기 장치본체에 장착했을 때에는 상기 지폐를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지폐반송벨트와 상기 보조롤러 사이에 끼워유지시켜 반송시킴과 동시에, 상기 적재기가 상기 장치본체에서 이탈할 때에는 상기 L자형상의 레버에 의해 상기 적재기에 수용된 상기 지폐가 상기 적재기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상의 레버는 상기 적재기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기는 지폐역귀환 방지용 레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상의 레버는 상기 적재기의 폭방향 양측으로서 상기 지폐역귀환 방지용 레버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기는 지폐낙하방지용 발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상의 레버는 상기 적재기의 하우징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지폐낙하방지용 발톱은 상기 적재기의 하우징의 옆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기는 지폐역귀환 방지용 레버와 지폐낙하방지용 발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상의 레버는 상기 적재기의 하우징의 하단으로서, 상기 적재기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지폐역귀환 방지용 레버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상기 지폐낙하방지용 발톱은 상기 적재기의 하우징의 옆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KR1020000025722A 1999-05-18 2000-05-15 지폐처리장치 KR100335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137617 1999-05-18
JP13761799A JP4176914B2 (ja) 1999-05-18 1999-05-18 紙幣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7267A KR20000077267A (ko) 2000-12-26
KR100335678B1 true KR100335678B1 (ko) 2002-05-08

Family

ID=15202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722A KR100335678B1 (ko) 1999-05-18 2000-05-15 지폐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17021B1 (ko)
JP (1) JP4176914B2 (ko)
KR (1) KR1003356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043B1 (ko) 2020-04-02 2020-12-14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5185B1 (en) * 2000-10-20 2002-04-23 Gamemax Corporation Paper currency receiving control assembly for currency-coin exchange machine
JP5110940B2 (ja) * 2007-04-03 2012-12-26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JP5166089B2 (ja) * 2008-03-24 2013-03-21 レシッ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紙幣還流式運賃箱及び釣り銭用紙幣スタック部品
US20100320056A1 (en) * 2008-03-31 2010-12-23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Bill acceptor that prevents arching of each received bil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5607A (en) * 1985-03-08 1988-08-23 Mars, Incorporated Stacker apparatus
JPS63208440A (ja) * 1987-02-26 1988-08-29 Sanyo Electric Co Ltd 紙葉類収納装置
JPH0346955A (ja) * 1989-07-14 1991-02-28 I M Denshi Kk 紙幣識別・スタック装置
US5286017A (en) * 1993-03-15 1994-02-15 Electrocom Gard Ltd. Bill escrow/return device
JPH06325241A (ja) * 1993-05-11 1994-11-25 Nippon Conlux Co Ltd 紙幣処理装置
US5509646A (en) * 1994-05-10 1996-04-23 Gamemax Corporation Money box with an anti-thef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043B1 (ko) 2020-04-02 2020-12-14 주식회사 우정이엔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76914B2 (ja) 2008-11-05
KR20000077267A (ko) 2000-12-26
JP2000331216A (ja) 2000-11-30
US6217021B1 (en) 2001-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8837A (en) Note hopper/dispenser
JP2006143383A (ja) 紙幣取扱装置、及び紙幣収納ユニット
JPH07125896A (ja) 紙幣処理装置
US8245830B2 (en) Paper currency handling device
KR0120913B1 (ko) 지폐처리장치
KR20170099495A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및 그 지폐집적방법
KR100335678B1 (ko) 지폐처리장치
US8215634B2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JP5462637B2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0352525B1 (ko) 지폐 처리장치
JP5308449B2 (ja) 硬貨処理装置
CN109920123B (zh) 纸片类收纳装置、纸片类处理装置
JP4281085B2 (ja) 紙幣処理装置
JP6834248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6615656B2 (ja) 貨幣処理装置
JP2019125143A (ja) キャシュレス決済機及びサービス機器
JP3393624B2 (ja) 紙幣処理装置
KR101077317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박스
JP3779094B2 (ja) 紙幣処理装置
JP2680339B2 (ja) 自動取引装置
JP2004070647A (ja) 紙幣処理装置
JP2014174893A (ja) 紙葉類集積装置および紙葉類集積方法
KR101440856B1 (ko) 매체 공급 장치
JPH11175804A (ja) 紙幣処理装置
WO1999020554A1 (fr) Guide pour materiau en feuil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