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698B1 - 지폐식별기및 지폐식별방법 - Google Patents

지폐식별기및 지폐식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698B1
KR100271698B1 KR1019970031777A KR19970031777A KR100271698B1 KR 100271698 B1 KR100271698 B1 KR 100271698B1 KR 1019970031777 A KR1019970031777 A KR 1019970031777A KR 19970031777 A KR19970031777 A KR 19970031777A KR 100271698 B1 KR100271698 B1 KR 100271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sensor unit
sensor
identifier
b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0884A (ko
Inventor
에이지 이타코
유키오 이토
Original Assignee
오까다 마사하루
가부시키가이샤 닛본 콘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202824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31774A/ja
Priority claimed from JP8204150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31775A/ja
Application filed by 오까다 마사하루, 가부시키가이샤 닛본 콘럭스 filed Critical 오까다 마사하루
Publication of KR980010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자동판매기, 환전기, 게임장치 등에 사용되는 지폐식별기 및 그 지폐식별기에 의한 지폐식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센서의 수를 적게 해서 식별데이타를 얻는 지폐의 측정개소를 한정하면, 지폐식별기의 구조 특히 지폐식별을 위한 지폐측정위치를 연구해서 그 지폐식별기를 무사통과하는 위조 또는 변조지폐를 만들어내는 사람이 나타나게 된다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지폐의 전영역중의 일부에서 식별데이타를 얻는 센서부를 지폐식별기 본체에 그의 부착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또한 착탈가능하게 해서 센서부가 지폐식별기 본체에 형성된 지폐반송로를 통과하는 지폐에서 식별데이타를 얻는 부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며, 지폐에서 식별데이타를 얻기 위한 센서부를 유닛화하고, 이 유닛화한 센서부를 지폐식별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이 자유릅게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서, 지폐식별기를 자동판매기 등의 장치에 부착한채 자동판매기가 설치되어 있는 현장에서 센서부의 보수나 고장에 대해서 용이하게 대처할 수가 있고, 또 위조지폐 등이 발생했을 때 등, 지폐의 검사하는 위치나 수를 변경한 센서유닛으로 교환하고, 진위판정데이타를 교환한 센서유닛에 대응하는 것으로 변경하였으므로 용이하게 위조지폐를 배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지폐식별기 및 지폐식별방법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환전기, 게임장치 등에 사용되는 지폐식별기 및 그 지폐식별기에 의한 지폐식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 등에서 사용되는 지폐식별기는 지폐삽입구에 삽입된 지폐를 반송수단에 의해 지폐수납부까지 반송하고, 그 반송로상에 자기센서나 광학센서로 구성되는 센서부를 마련하고 지폐의 반송과 동기해서 지폐의 인쇄잉크에 포함되는 자기패턴 등의 식별데이타를 자기센서에 의해 검출하거나 또는 광학센서에 의해 지폐를 투과한 광량의 패턴 등의 식별데이타를 검출하고 이들 식별데이타에 의해서 지폐의 진위, 종별을 식별하고 있다(일본의 특허문헌인 특허공개공보 평성6-195543 및 특허공개공보 평성7-92853).
자기센서를 구성하는 자기헤드나 광학센서를 구성하는 발광소자, 수광소자 등의 센서부품은 종래에는 지폐식별기 본체에 직접 부착되어 있다.
자동판매기나 환전기 등에 탑재되는 지폐식별기는 센서부를 지폐반송로상에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자기센서나 광학센서를 배치하는 위치의 제약이 있고, 지폐전역을 측정하여 식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지폐전역을 측정하려고 하면 자기센서나 광학센서수가 증가하고 또한 각 센서에 의해 검출된 식별데이타와 기준으로 되는 패턴 등의 기준데이타를 각 센서마다 설정해서 기억하고, 각각의 비교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회로부품을 필요로 하여 제조비용이 높아진다는 결점이 있다.
한편, 센서의 수를 적게 해서 식별데이타를 얻는 지폐의 측정개소를 한정하면, 지폐식별기의 구조 특히 지폐식별을 위한 지폐측정위치를 연구해서 그 지폐식별기를 무사통과하는 위조 또는 변조지폐를 만들어내는 사람이 나타나게 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종래는 위조나 변조지폐가 발견되면 지폐식별기의 식별정밀도를 높게 하도록 반환해서 대처하고 있지만, 식별정밀도를 높이면 진짜지폐임에도 불구하고 지폐의 더러움이나 구겨짐 등에 의해서 위조지폐로 식별되어 상기 지폐를 반환하고, 지폐의 접수효율을 저하시킨다는 폐해가 발생한다.
또, 야외에 설치되는 자동판매기 등의 환경이 나쁜 곳에 설치된 지폐식별기는 식별센서부품에 미치는 악영향이 많고,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나쁜 환경에 설치된 자동판매기 등의 지폐식별기는 다른 자동판매기 등의 부품보다 수명이 짧다. 식별센서부품이 고장나면 지폐식별기를 자동판매기 등에서 떼어내어 공장 등으로 가져가 분해해서 센서부품을 교환하고, 다시 조립하여 자동판매기등에 장착한다는 보수작업을 실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수작업이 용이하고 위조지폐에 대한 대처가 용이한 지폐식별기 및 지폐식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지폐식별기의 앞면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지폐식별기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지폐식별기에 있어서의 지폐수납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지폐식별기의 중앙종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지폐식별기에 있어서의 앞면측 센서유닛의 분해도.
제6도는 제1도의 지폐식별기에 있어서의 이면측 센서유닛의 분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지폐식별기의 앞면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지폐식별기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
제9도는 제7도의 지폐식별기에 있어서의 지폐수납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10도는 제7도의 지폐식별기의 중앙종단면도.
제11도는 제7도의 지폐식별기에 있어서의 앞면측 센서부 및 그의 장착부의 분해도.
제12도는 제7도의 지폐식별기에 있어서의 이면측 센서부 및 그의 장착부의 분해도.
제13도는 제7도의 지폐식별기에 있어서의 센서보드를 한쪽의 위치에 고정시켰을 때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대향상태를 도시한 센서부의 단면도.
제14도는 제7도의 지폐식별기에 있어서의 센서보드를 다른쪽의 위치에 고정시켰을 때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대향상태를 도시한 센서부의 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지폐식별기에 있어서의 기준데이타를 특정하여 기억하는 처리흐름도.
본 발명에 의한 지폐식별기는 지폐에서 식별데이타를 얻기 위한 센서부가 지폐식별기 본체에 형성된 지폐반송로에 대해서 그의 부착 위치를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센서부는 지폐의 일부 영역만 검출해서 그곳에서 식별데이타를 얻는다. 센서부의 부착위치가 변경되면 그것에 따라서 그의 센서부에 의해서 검출되는 지폐의 식별데이타도 달라진다. 그 때문에, 지폐에서 식별데이타를 얻는 센서의 수를 적게해서 지폐의 전체 영역이 아니라 그의 일부에서 식별데이타를 얻도록 지폐식별기를 구성하더라도, 센서의 수가 적은 것을 감안한 위조지폐의 사용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지폐식별기의 1실시예에서는 지폐에서 식별데이타를 얻기 위한 센서부는 유닛화되고, 그 유닛화된 센서부가 지폐식별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따라서, 센서부의 착탈은 간단하게 할 수 있으므로 다른 센서로 교환하는 것에 의해서 위조지폐의 사용 등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가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제6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지폐식별기(100)은 부착판(1)과 지폐식별기본체(2)로 구성된다. 부착판(1)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재(4)에는 축(5)(제4도 참조)가 고정되고, 지폐식별기본체(2)의 하부에는 부착부재(50)이 형성되어 있고,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식별기본체(2)는 그의 축(5)를 중심으로 해서 부착판(1)에 대해서 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착판(1) 및 지폐식별기본체(2)의 상부에는 래치기구(6)이 마련되어 있다. 이 래치기구(6)에 의해서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판(1)과 지폐식별기 본체(2)는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부착판(1)의 앞면에는 앞쪽마스크부(3)이 고착된다. 이 앞쪽마스크부(3)에는 지폐삽입구(3a)가 마련되어 있다.
이 지폐식별기(100)을 자동판매기 등의 장치에 부착할 때에는 부착판(1)의 하부의 돌출부재(4)를 자동판매기 등의 장치의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의 부착구멍에 삽입하고, 상부의 구멍(H1), (H1)을 거쳐서 부착나사 등에 의해서 장치의 하우징에 고정시키고, 앞쪽마스크부(3)이 상기 자동판매기 등의 장치의 앞면에 노출되도록 장착한다.
지폐에서 지폐의 진위 등을 판별하기 위한 데이타를 검출하는 센서는 유닛화되어 식별기본체(7)에 형성된 지폐반송로(36)(제4도 참조, 그의 설명은 후술)를 사이에 두고 전방측에(부착판(1)측의) 배치되는 앞면측 센서유닛(7a)와 후방측에 배치되는 이면측 센서유닛(7b)로 이루어진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기본체(2)의 앞면측에 앞면측 센서유닛(7a)를 수납해서 식별기본체(2)에 부착하기 위한 장착부(45a)가 마련되어 있다. 센서유닛(7a)의 가이드리브(8)을 장착부(45a)에 마련된 홈(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맞추어서 부착나사(V1)을 조이면, 앞면측 센서유닛(7a)는 식별기본체(2)에 장착부(45a)에 있어서 고정된다. 또한 제1도에서 (18)은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롤러이다.
여기서, 앞면측 센서유닛(7a)의 구조를 제5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앞면측 센서유닛(7a)는 센서케이스(10)과 센서보드(11)로 이루어진다. 이 센서케이스(10)을 구성하는 한쪽 판에는 부착나사(V1)(제1도 참조)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부착부재(9)가 마련되어 있다. 또, 센서케이스(10)을 구성하는 측판에서 부착부재(9)가 마련된 측판과 대향하는 측의 것에는 가이드 리브(8)(제1도 참조)이 마련되어 있다.
센서보드(11)은 센서케이스(10)내에 끼워 맞출 수 있는 사이즈를 구비하고, 부착나사(V2)에 의해서 센서케이스(10)내에 고정된다. 이 센서보드(11)에는 회로배선이 프린트되고, 또 자기센서를 구성하는 한쌍의 자기헤드(12) 및 3개의 발광소자(13)이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들 발광소자(13)은 발광다이오드로서 광학센서를 구성한다. 자기센서(자기헤드(12)) 및 광학센서(발광소자(13))에 접속된 도선은 중계하니스(harness)(14)에 집선된다. 이상의 구성의 앞면측 센서유닛(7a)에 의하면, 지폐는 지폐반송로(36)을 통과할 때 지폐상의 2개의 라인의 자기가 2개의 자기헤드(12)에 의해 검출되고, 또 3개의 라인의 투과광이 3개의 발광소자(13)에 의해 검출된다.
이 앞면측 센서유닛(7a)를 지폐식별기본체(2)의 장착부(45a)에 장착했을 때에는 상기 중계하니스(14)를 장착부(45a)에 마련되어 있는 중계커넥터(15)(제1도 참조)에 삽입하고, 지폐식별기본체(2)에 마련된 제어기판(16)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어기판(16)에는 마이크로칩 컴퓨터(17)이 소켓식으로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한편, 지폐식별기본체(2)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수납부(20)이 마련되어 있다. 이 지폐수납부(20)은 그의 하단에 마련된 원추형 접합부(도시하지 않음)을 중심으로 지폐식별기본체(2)에 대해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폐식별기본체(2)의 배면측에는 지폐수납부(20)을 지폐식별기본체(2)에 대해서 닫은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래치기구(19)(제2도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이 래치기구(19)를 조작하여 래치를 해방하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수납부(20)은 상기 지폐수납부의 하단에 마련된 원추형 접합부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고 지폐수납부(20)이 개방된다.
지폐식별기본체(2)의 이면측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면측 센서유닛(7b)를 장착하는 장착부(45b)가 마련되어 있다. 이 장착부(45b)에 이면측 센서유닛(7b)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지폐수납부(20)을 개방한 상태로 실행한다.
이면측 센서유닛(7b)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체가 케이스(21)에 수납된 형태를 하고 있고, 케이스(21)의 1개의 횡측면으로부터는 가이드보스(22)가 돌출되어 있고, 또 하측면으로부터는 한쌍의 부착부재(23)이 돌출되어 있다. 이 센서유닛(7b)의 가이드보스(22)를 지폐식별기본체(2)측에 마련된 가이드홈을 따라서 삽입하여 위치결정을 한 후 부착부재(23)에 마련된 구멍에 부착나사(V3)을 통해서 나사고정시키면, 센서유닛(7b)는 지폐식별기본체(2)에 있어서의 장착부(45b)에 부착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유닛(7b)의 중계하니스(24)를 지폐식별기본체(2)에 마련된 커넥터(25)에 삽입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센서유닛(7b)는 제어기판(16)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또 3에 있어서, (35)는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반송벨트이다.
다음에, 이면측 센서유닛(7b)의 구조를 제6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면측 센서유닛(7b)의 케이스(21)의 바닥면(앞면측의 센서유닛(7a)와 대향하는 면)에는 좌우로 배열된 2개의 구멍(H2)와 또 그의 아래쪽에 좌우로 배열된 3개의 구멍(H3)(제6도에서는 그 중의 2개만 도시되어 있다)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2개의 구멍(H2)는 앞면측 센서유닛(7a)의 자기헤드(12)와 대향하고, 또 3개의 구멍(H3)은 앞면측 센서유닛(7a)의 발광소자(13)과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또, 이 케이스(21)의 바닥면에서 각 구멍(H2)에 인접한 위치에는 축가이드(26)이 각각 세워 마련되어 있다(제6도에서는 이들 한쌍의 축가이드(26)중의 한쪽만 도시하고 있다).
축가이드(26)에는 한쌍의 자기헤드 압압롤러(28)을 마련한 축(27)을 여유있게 끼을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축브래킷(27)는 양끝에 탄성변형하는 고리(27a)를 구비하고 있고, 그 고리(29a)가 축가이드(26)에 형성한 걸어맞춤 구멍과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축가이드(26)의 홈에 느슨하게(헐겁게) 끼워진 축(27)은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축브래킷(29)에 의해 축가이드(26)의 홈에 지지된 축(27)은 축브래킷(29)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스프링(30)에 의해서 케이스(21)의 바닥면 쪽을 향해서 힘을 받는다. 그 결과,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27)에 마련된 자기헤드 압압롤러(28)은 그의 일부가 구멍(H2)에서 나와 앞면측 센서유닛(7a)의 자기헤드(12)를 압압한다. 즉, 압압롤러(28)의 일부는 지폐반송로(36)에까지 돌출하고 마찬가지로 그의 일부가 지폐반송로(36)까지 돌출한 자기헤드(12)와 지폐반송로(36)에 있어서 대향한다.
또, 이면측 센서유닛(7b)의 케이스(21)에는 센서보드(31)과 센서커버(33)이 모두 한쌍의 부착나사(V4)를 거쳐서 부착되어 있다. 이 센서보드(31)에는 3개의 수광소자(포토트랜지스터)(32)가 납땜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들 3개의 수광소자(32)는 센서보드(31)이 케이스(21)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앞면측 센서유닛(7b)의 3개의 발광소자(13)과 지폐반송로(36)을 거쳐서 대향한다. 따라서, 앞면측 센서유닛(7b)의 3개의 발광소자(13)으로부터의 지폐반송로를 통과하는 지폐를 투과한 광은 이면측 센서유닛(7b)의 케이스(21)의 바닥면에 형성된 3개의 구멍(H3)을 각각 통과하고 상기 수광소자(32)에서 수광되며, 이 수광량의 패턴이 식별데이타로서 검출되고, 상기 식별데이타에 의해서 지폐의 진위 더 나아가서는 종류의 판별이 실행된다. 수광소자(32)에 접속되는 도선은 중계하니스(24)에 집선되어 상기 커넥터(25)를 거쳐서 제어기판(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에, 이 지폐식별기(100)의 동작을 제4도를 참조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지폐삽입구(3a)에서 지폐가 삽입되고 상기 지폐의 삽입을 검출하면 지폐식별기(100)의 지폐반송구동부(40)이 작동을 개시하고, 반송벨트(35)(제3도 참조), 반송롤러(18)(제1도 참조) 등을 구동하여 지폐를 반송로(36)을 따라서 반송한다. 지폐는 3개의 발광소자(13)과 3개의 수광소자(32)의 사이를 통과하고, 2개의 자기헤드 압압롤러(28)에 의해 2개의 자기헤드(12)에 압압되면서 지폐반송로(36)으로 반송된다. 이 지폐반송과정에 있어서 수광소자(32)는 발광소자(13)으로부터의 지폐를 투과한 광을 수광하고, 자기헤드(12)는 지폐의 자기를 검출한다. 그 결과, 수광소자(32)에서는 지폐상에 있어서의 상기 수광소자 및 발광소자가 배치된 위치의 반송로(36)을 따른 라인의 수광량의 패턴의 식별데이타를 얻는다. 또, 자기헤드(12)도 상기 위치의 지폐상의 라인에 있어서의 자기패턴의 식별데이타를 얻는다. 각 식별데이타는 마이크로칩 컴퓨터(17)로 전송된다.
상기 마이크로칩 컴퓨터(17)에는 진짜지폐에 있어서 검출되는 수광량패턴 및 자기패턴에 따라서 판정용의 기준데이타가 미리 설정기억되어 있고, 마이크로칩 컴퓨터(17)은 검출한 식별데이타와 기준데이타에 따라서 지폐의 진위판정을 실행한다.
이 판정결과는 지폐의 종단이 인출방지레버(41)의 위치를 통과하기 전에 출력되고, 삽입지폐가 부적합(위조지폐)하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지폐반송구동부(40)이 반송수단을 역송으로 전환하고, 지폐를 지폐삽입구 방향으로 반송하여 반환한다. 또, 지폐가 적합하여 진짜지폐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지폐는 그대로 지폐수납부(20)까지 반송되고, 상기 위치에 도달하면 지폐수납 구동수단(42)가 동작을 개시해서 지폐를 지폐수납부에 수납한다.
또한, 지폐반송수단, 지폐수납 구동수단 및 마이크로칩 컴퓨터(17)에 의해 지폐의 적부(適否)를 판별하는 방법 등은 종래의 지폐식별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은 설명을 생략한다.
자기헤드(12)나 발광소자(13), 수광소자(32) 등의 센서부가 고장났을 때에는 센서유닛(7a), (7b)를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본 발명은 이 교환이 매우 용이하다.
앞면측 센서유닛(7a)를 검사할 때에는 래치기구(6)의 래치(제2도 참조)를 해제해서 지폐식별기본체(2)를 부착판(1)에서 개방한다(제1도의 상태). 그 상태에서 부착나사(V1)을 풀고 센서유닛(7a)를 지폐식별기본체(2)에서 떼어낸다. 또, 부착나사(V2)를 풀고 센서보드(11)을 센서케이스(10)에서 떼어내서 자기헤드(12)의 고장인지 발광소자(13)의 고장인지를 검사하고, 이들이 고장났으면 센서유닛(7a) 자체 또는 센서보드(11) 자체를 새 것으로 교환한다.
또, 이면측의 센서유닛(7b)를 검사할 때에는 래치기구(19)(제2도 참조)의 래치를 해제하고 지폐수납부(20)을 지폐식별기본체(2)에서 개방한다(제3도의 상태). 그 상태에서 부착나사(V3)을 풀고 센서유닛(7b)를 지폐식별기본체(2)에서 떼어낸다. 또, 부착나사(V4)를 풀고 센서유닛커버(33)을 센서유닛케이스(21)에서 떼어내고 센서보드(31)을 케이스(21)에서 떼어낸다. 그리고, 수광소자(32)를 검사하고 고장났으면 이면측의 센서유닛(7b) 또는 센서보드(31)을 새 것으로 교환하면 좋다.
이와 같이, 지폐식별기(100)을 구성하는 지폐식별기본체(2)와 부착판(1)의 양쪽에 마련된 래치기구(6) 및 지폐식별기본체(2)측에 마련된 래치기구(19)를 해제하면, 지폐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앞면측의 센서유닛(7a)와 이면측의 센서유닛(7b)는 작업자가 액세스할 수 있는 위치에 오기 때문에, 센서유닛(7a), (7b)를 지폐식별기본체(2)에 고정시키고 있는 부착나사(V1), (V3)를 느슨하게 해서 센서유닛(7a), (7b)를 지폐식별기본체(2)에서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센서유닛(7a), (7b)의 검사, 수리, 교환, 부착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지폐식별기(100)에 대해서 위조지폐가 사용되었을 때에는 센서유닛(7a), (7b)를 모두 새 것으로 교환한다. 새로운 센서유닛(7a), (7b)라는 것은 지폐의 검사라인을 이전의 센서유닛(7a), (7b)와는 다른 것으로 하거나 또는 그 수를 증가시킨 것으로서, 지폐에 대한 발광소자(13) 및 수광소자(32)의 설치위치나 자기헤드(12) 및 자기헤드 압압롤러(28)의 설치위치를 변경하거나 또는 발광소자(13) 및 수광소자(32)의 수 또는 자기헤드(12) 및 자기헤드 압압롤러(28)의 수를 증가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센서유닛(7a), (7b)를 다른 것으로 교환하면 지폐의 검사라인이 다르므로, 수광소자(32)에서 검출하는 식별데이타, 자기헤드(12)가 검출하는 식별데이타가 다르다. 그 때문에, 새로운 센서유닛(7a), (7b)에 대응하는 판정용의 기준데이타가 설정기억되어 있는 마이크로칩 컴퓨터(17)도 교환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마이크로칩 컴퓨터(17)은 소켓에 삽입된 형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므로, 이 마이크로칩 컴퓨터(17)의 교환도 매우 용이하다. 또, 마이크로칩 컴퓨터(17)의 용량이 큰 것이라면 발광소자(13) 및 수광소자(32)의 부착위치 또는 수, 자기헤드(12)의 부착위치 또는 수가 다른 센서유닛(1a), (7b)에 대한 각 기준데이타를 미리 기억시켜 두고, 커넥터의 배선신호에 의해서 센서유닛(7a), (7b)를 식별하여 자동적으로 기준데이타를 교환하도록 한다. 또는 전환스위치 등에 의해서 교환한 센서유닛에 대응하는 기준데이타를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또, 기준데이타 자체를 기억하는 ROM을 각 센서유닛에 대응해서 준비해 두고, 상기 ROM만을 소켓식으로 교환이 자유롭게 하고, 대응하는 ROM을 교환하도록 해도 좋다.
또, 센서의 배치위치나 수가 다른 여러개의 센서유닛 및 각 센서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ROM이나 마이크로칩 컴퓨터(마이크로칩 컴퓨터내에 각 센서유닛마다의 기준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1개의 마이크로칩 컴퓨터라도 좋다)를 세트로 해서 미리 준비해 두고,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센서유닛(7)을 교환함과 동시에 ROM이나 마이크로칩 컴퓨터 등을 교환하여 기준데이타를 대응해서 변경하면 위조지폐를 작성하려고 하는 사람에 있어서는 지폐식별기의 식별기준이 불명확하게 되어 위조지폐 작성을 단념하게 되는 요인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지폐에서 지폐의 진위 등을 판별하기 위한 데이타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유닛화하고, 상기 센서유닛을 착탈교환이 자유롭게 하였으므로, 상기 지폐식별기를 자동판매기등의 장치에 부착한 채, 자동판매기가 설치되어 있는 현장에서 센서부의 보수나 고장에 대해서 용이하게 대처할 수가 있다.
또, 위조지폐등이 발생했을 때 등, 지폐의 검사하는 위치나 수를 변경한 센서유닛으로 교환하고 진위 기준데이타를 교환한 센서유닛에 대응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위조지폐를 배제할 수가 있다. 또, 이 교환을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교환하는 것에 의해서, 위조지폐 작성자의 위조작업을 곤란하게 하여 위조지폐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지폐식별기본체는 동일하더라도 센서유닛 등을 다른 것(예를 들면,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개소가 많은 것이나 적은 것 등)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식별성능이 다른 지폐식별기를 얻을 수가 있고, 저렴하고 저성능에서 고성능의 식별기능을 갖는 각 지폐식별기를 얻을 수가 있다.
신권발행시에도 상기 신지폐의 식별에 적합한 센서위치의 센서유닛, 상기 센서유닛에 대응하는 기준데이타로 간단하게 교환할 수가 있으므로, 대응 비용이 감소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7도∼제15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지폐식별기(200)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판(1)과 지폐식별기본체(2)로 구성된다. 부착판(1)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재(4)에는 축(5)(제10도 참조)가 고정되고, 지폐식별기본체(2)의 하부에는 부착부재(50)이 형성되어 있어서 지폐식별기본체(2)는 그의 축(5)를 중심으로 해서 부착판(1)에 대해서 후방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착판(1) 및 지폐식별기본체(2)의 상부에는 래치기구(6)이 마련되어 있다. 이 래치기구(6)에 의해서 제8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판(1)과 지폐식별기본체(2)는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부착판(1)의 앞면에는 앞쪽마스크부(3)이 고착된다. 이 앞쪽마스크부(3)에는 지폐삽입구(3a)가 마련되어 있다.
이 지폐식별기(200)을 자동판매기 등의 장치에 부착할 때에는 부착판(1)의 하부의 돌출부재(4)를 자동판매기 등의 장치의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의 부착구멍에 삽입하고, 상부의 구멍(H1), (H1)을 거쳐서 부착나사 등에 의해서 장치의 하우징에 고정시키고, 앞쪽마스크부(3)이 상기 자동판매기 등의 장치의 앞면에 노출되도록 장착한다.
지폐식별기본체(2)의 앞면측에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폐식별기의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기판(16)이 부착되어 있고, 이 제어기판(16)에는 이 지폐식별기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칩 컴퓨터(17)이 부착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칩 컴퓨터(17)의 ROM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폐의 진위를 판정하는 데에 이용되는 기준데이타가 2종류 기억되어 있다. 또, 지폐식별기본체(2)의 앞면측에는 앞면측 센서부(60a)의 장착부(57a)가 마련되어 있다. 후술하겠지만, 이 앞면측 센서부(60a)는 이면측 센서부(60b)와 한쌍으로 되어 센서부를 구성한다.
여기서, 앞면측 센서부(60a)와 그의 장착부(57a)에 대해서 제11도의 분해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앞면측 센서부(60a)는 소정 간격 떨어져서 2개의 발광소자(발광다이오드)(63a), (63b)가 부착된 제1센서보드(61) 및 2개의 자기헤드(64a), (64b)와 1개의 발광소자(발광다이오드)(63c)가 부착된 제2센서보드(62)로 구성되어 있다. 장착부(57a)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1쌍의 가이드보스(65a), (65b)가 돌출되어 있다.
제1센서보드(61)에는 가이드보스(65a)와 (65b)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제1의 한쌍의 걸어맞춤구멍(H2a), (H2b)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제1의 한쌍의 걸어맞춤구멍(H2a), (H2b)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그들로부터 한쪽으로 소정 거리 d만큼 시프트한 위치에 제2의 한쌍의 걸어맞춤구멍(H3a), (H3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제1센서보드(61)의 긴쪽 방향 중간부에는 긴 구멍(H4)가 뚫려 있다.
따라서, 제1센서보드(61)을 장착부(57a)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장착부(57a)의 가이드보스(65a), (65b)에 센서보드(61)의 제1의 한쌍의 걸어맞춤구멍(H2a), (H2b)를 걸어 맞추거나 또는 제2의 한쌍의 걸어맞춤구멍(H3a), (H3b)를 걸어맞춘다. 장착부(57a)의 가이드보스(65a), (65b)에 센서보드(61)의 제1 또는 제2의 한쌍의 걸어맞춤구멍(H2a), (H2b) 및 (H3a), (H3b)를 걸어맞추어 부착나사(B1)을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의 스프링(66)을 거쳐서 상기 긴 구멍(H4)를 관통시키고, 장착부(57a)에 마련된 나사받이부(67)의 나사구멍에 나사부착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1센서보드(61)은 장착부(57a)에 장착되어 스프링(66)의 부세력(付勢力)에 의해서 그의 위치에 유지된다.
또, 장착부(57a)에는 센서보드(61)상의 발광소자(63a), (63b)와 대향하는 위치에 한쌍의 긴 구멍(H6a), (H6b)가 뚫려 있고, 발광소자(63a), (63b)로부터의 광을 지폐반송로에 조사하여 상기 지폐반송로를 통과하는 지폐에 대해서 광을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제11도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제1센서보드(61)은 그 대로 바로 아래로 하강시키면 그의 제1의 한쌍의 부착구멍(H2a), (H2b)를 가이드보스(65a), (65b)에 걸어맞출 수 있는 위치에 있다. 마찬가지로, 점선으로 도시한 제1센서보드(61)은 그 대로 바로 아래로 하강시키면 그의 제2의 한쌍의 부착구멍(H3a), (H3b)를 가이드보스(65a), (65b)에 걸어맞출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즉, 실선으로 도시한 제1센서보드(61)은 점선으로 도시한 제1센서보드(61)보다 제1센서보드(61)의 긴쪽 방향으로 거리 d만큼 좌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다.
이상과 같이, 제1센서보드(61)은 장착부(57a)에 대해서 제1위치 또는 그의 위치에서 거리 d만큼 긴쪽 세로방향으로 치우친 제2위치에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제1센서보드(61)이 그들 제1, 제2중 어느 위치에 장착되어도 센서보드(61)상의 발광소자(63a), (63b)에서 나온 광은 장착부(57a)에 형성된 긴 구멍(H6a), (H6b)를 통과할 수가 있다. 또, 긴 구멍(H4)는 그의 긴 구멍(H4)내에 나사받이부(67)의 나사구멍에 나사부착된 부착나사(B1)이 삽입 관통되어 있을 때에 제1센서보드(61)이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제2센서보드(62)에는 임의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자기헤드(64a), (64b)가 부착되어 있다. 또, 이 제2센서보드(62)에서 자기헤드(64a), (64b)의 중간위치에는 발광소자(63c)가 부착되어 있다.
제2센서보드(62)는 부착구멍(H5)에 부착나사(B2)를 관통시켜 장착부(57a)의 나사받이부(68)의 나사구멍에 돌려 맞추는 것에 의해서 장착부(57a)에 고정된다. 한편, 장착부(57a)에는 상기 자기헤드(64a), (64b)와 대향하는 위치 및 상기 발광소자(63c)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멍(H7a), (H7b), (H6c)가 형성되어 있다. 자기헤드(64a), (64b)는 상기 구멍(H7a), (H7b)에서 지폐반송로(36)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제10도 참조). 또, 발광소자(63c)로부터의 광은 지폐반송로(36)을 향해서 조사된다.
자기헤드(64a), (64b) 및 발광소자(63a)∼(63c)에 접속된 도선은 도시하지 않은 중계하니스에 집선되고, 상기 중계하니스를 장착부(57a)에 마련된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제어기판(16)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지폐식별기본체(2)의 배면에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기구(19)에 의해서 지폐수납부(20)이 래치되어 닫혀 있지만, 상기 래치기구(19)를 조작하여 래치를 해방하면,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수납부(20)은 상기 지폐수납부의 하단에 마련된 원추형 접합부(도시하지 않음)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운동하고, 지폐수납부(20)이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지폐식별기본체(2)의 이면측에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면측에 마련된 앞면측 센서부(60a)의 장착부(57a)와 대향하는 위치에 이면측 센서부(60b)를 장착하는 장착부(57b)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면, 이면측 센서부(60b)와 그의 장착부(57b)를 제12도의 분해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이면측 센서부(60b)는 소정 간격 떨어져서 2개의 수광소자(포토트랜지스터)(78a), (78b)가 부착된 제3센서보드(76)과 1개의 수광소자(78c)가 부착된 제4센서보드(77)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장착부(57b)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한쌍의 가이드보스(79a), (79b)(단, 제12도에서는 그 중 한쪽의 가이드보스(79b)만 도시되어 있다)가 돌출되어 있다.
이면측 센서부(60b)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57b)는 지폐식별기본체(2)에 형성된 지폐반송로(36)(제10도 참조)을 사이에 두고, 앞면측 센서부(60a)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57a)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57b)의 바닥면(앞면측 센서부(60a)와 대향하는 면)에는 앞면측 센서부(60a)를 구성하는 자기헤드(64a), (64b)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멍(H8a), (H8b)가, 또 앞면측 센서부(60a)를 구성하는 발광소자(63a), (63b), (63c)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멍(H9a), (H9b), (H9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57b)에는 또 2개의 구멍(H8a), (H8b)에 인접해서 한쌍의 축가이드(71)이 세워 마련되어 있다(단, 제12도에서는 한쌍의 축가이드(71)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들 한쌍의 축가이드(71)에는 축(72)를 느슨하게 끼울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축(72)에는 한쌍의 압압롤러(73)이 마련되어 있고 축(72)가 축가이드(71)의 홈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는 한쌍의 압압롤러(73)은 앞면측 센서부(60a)를 구성하는 자기헤드(64a), (64b)와 대향한다.
축(72)는 한쌍의 축브래킷(75)에 의해 한쌍의 압압스프링(74)를 거쳐서 한쌍의 축가이드(71)에 각각 마련된 홈내에 축지지된다. 축브래킷(75)의 양끝에는 탄성변형하는 고리(75a)를 구비하고, 상기 고리(75a)는 축가이드(71)의 걸어맞춤구멍과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서 축가이드(71), (71)에 고정되고, 축(72)를 압압스프링(74), (74)에 의해서 자기헤드(64a), (64b)측으로 압압한다. 그 결과, 자기헤드 압압롤러(73), (73)은 구멍(H8a), (H8b)를 통하여 지폐반송로에 노출되고 대향하는 자기헤드(64a), (64b)를 압압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제3센서보드(76)에 부착된 수광소자(78a), (78b)는 앞면측 센서부(60a)의 제1센서보드(61)에 부착된 발광소자(63a), (63b)로부터의 광을 각각 수광한다. 이 제3센서보드(76)은 제1센서보드(61)과 마찬가지로, 가이드보스(79a)와 (77b)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제1의 한쌍의 걸어맞춤구멍(H10a), (H10b)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제1의 한쌍의 걸어맞춤구멍(H10a), (H10b)와 동일간격을 두고 그들로부터 한쪽으로 소정거리 d만큼 시프트한 위치에 제2의 한쌍의 걸어맞춤구멍(H11a), (H11b)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제3센서보드(76)은 제1센서보드(61)이 제1 또는 제2위치중 어느 곳에 장착되는지에 대응해서 장착부(57b)에 대해서 제1위치 또는 그의 위치에서 거리 d만큼 긴쪽 방향으로 치우친 제2위치에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부착나사(B3)을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의 스프링(80)을 거쳐서 상기 긴구멍(H12)를 관통시키고, 장착부(57b)에 마련된 나사받이부(81)의 나사구멍에 나사부착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3센서보드(76)은 장착부(57b)에 장착되어 스프링(80)의 부세력에 의해 그의 위치에 유지된다. 이 긴 구멍(H12)는 그의 긴 구멍(H12)내에 나사받이부(81)의 나사구멍에 나사부착된 부착나사(B3)이 삽입 관통하고 있을 때에, 제3센서보드(76)이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또, 제4센서보드(77)에는 부착구멍(H13)이 형성되어서 그의 부착구멍(H13)에 부착나사(B4)를 삽입 관통시키고 장착부(57b)의 나사받이부(82)의 나사구멍에 나사부착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4센서보드(77)은 장착부(57b)측에 고정된다. 제4센서보드(77)이 장착부(57b)측에 고정되었을 때 이 제4센서보드(77)에 부착된 수광소자(78c)는 앞면측 센서부(60a)의 제2센서보드(62)에 부착된 발광소자(63c)로부터의 광을 수광할 수가 있다.
또, 센서커버(83)이 한쌍의 부착나사(B5)에 의해서 장착부(57b)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각 수광소자(78a), (78b), (78c)에 접속된 도선은 중계하니스(84)에 집선되고, 중계하니스(84)를 장착부(57b)에 마련된 커넥터(85)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제어기판(16)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발광소자(63a), (63b)와 수광소자(78a), (78b)가 대향하는 상태를 제13 및 제14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13도에 있어서, 장착부(57a)의 가이드보스(65a), (65b)에는 제1센서보드(61)의 제2의 한쌍의 걸어맞춤구멍(H3a), (H3b)가 걸어맞춰지고, 그것에 대응해서 장착부(57b)의 가이드보스(79a), (79b)에는 제3센서보드(76)의 제2의 한쌍의 걸어맞춤구멍(H11a), (H11b)가 걸어맞춰져 있다.
제1센서보드(61)상의 발광소자(63a), (63b)는 장착부(57a)에 형성된 긴 구멍(H6a), (H6b)를 거쳐서 각각 지폐반송로(36)에 노출되어 있다. 또, 제3의 센서보드(76)상의 수광소자(78a), (78b)는 장착부(57b)에 형성된 긴 구멍(H9a), (H9b)를 거쳐서 각각 지폐반송로(36)에 노출되어 있다. 각각 지폐반송로(36)에 노출된 발광소자(63a), (63b)와 수광소자(78a), (78b)는 각각 대향한다. 그 결과, 발광소자(63a), (63b)로부터의 광은 지폐반송로(36)에서 반송되는 지폐를 투과하고, 그의 투과광은 수광소자(78a), (78b)에서 수광된다. 이 수광량의 패턴이 식별데이타로서 검출되고 상기 식별데이타에 의해서 지폐의 진위 더 나아가서는 종류의 판별이 실행된다.
제13도에 도시된 배치의 발광소자(63a), (63b)와 수광소자(78a), (78b)는 지폐의 투과광을 검출하는 위치 즉, 지폐의 식별라인을 결정하고 있다. 이 지폐의 식별라인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실행한다. 제1센서보드(61)을 스프링(66)의 힘에 대항해서 부착나사(B1)의 축선방향으로 지폐반송로(36)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서 그의 걸어맞춤구멍(H3a), (H3b)와 장착부(57a)의 가이드보스(65a), (65b)의 걸어맞춤을 해제한다. 그리고, 그의 제1센서보드(61)을 제13도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다른 걸어맞춤구멍(H2a), (H2b)에 장착부(57a)의 가이드보스(65a), (65b)를 걸어 맞춘다. 마찬가지로, 제3센서보드(76)을 스프링(80)의 힘에 대항해서 부착나사(B3)의 축선방향으로 지폐반송로(36)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서 그의 걸어맞춤구멍(H11a), (H11b)와 장착부(57b)의 가이드보스(79a), (79b)의 걸어 맞춤을 해제한다. 그리고, 그의 제3센서보드(76)을 제13도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다른 걸어맞춤구멍(H10a), (H10b)에 이면측 센서부(57b)의 가이드보스(79a), (79b)를 걸어맞춘다. 그 결과, 장착부(57a), (57b)에 있어서의 제1, 제3센서보드(61), (76)의 위치관계는 제13도의 상태에서 제14도의 상태로 되어 지폐의 식별라인은 변경된다.
다음에, 이 지폐식별기(200)의 동작을 제10도를 참조하면서 간단히 설명한다. 지폐삽입구(3a)에서 지폐가 삽입되고 상기 지폐의 삽입을 검출하면 지폐식별기(200)의 지폐반송구동부(40)이 작동을 개시하고, 반송벨트(35)(제12도 참조), 반송롤러(88)(제7도 참조) 등을 구동하여 지폐를 반송로를 따라 반송한다. 지폐는 발광소자(63a), (63b), (63c)와 수광소자(78a), (78b), (78c) 사이를 통과하고, 자기헤드 압압롤러(73), (73)에 의해 자기헤드(64a), (64b)에 압압되면서 반송된다. 이 반송과정에 있어서, 수광소자(78a), (78b), (78c)는 발광소자(63a), (63b), (63c)로부터의 지폐를 투과한 광을 수광하고, 자기헤드(64a), (64b)는 지폐의 자기를 검출한다. 그 결과, 수광소자(78a), (78b), (78c)에서는 지폐상에 있어서의 상기 수광소자 및 발광소자가 배치된 위치의 반송로를 따른 선의 수광량의 패턴의 식별데이타를 얻는다. 또, 자기헤드(64a), (64b)도 상기 위치의 지폐상의 라인에 있어서의 자기패턴의 식별데이타를 얻는다. 각 식별데이타는 마이크로칩 컴퓨터(17)로 전송된다. 상기 마이크로칩 컴퓨터(17)에는 진짜지폐에 있어서 검출되는 수광량패턴 및 자기패턴에 따른 기준데이타가 미리 설정기억되어 있고, 마이크로칩 컴퓨터(17)은 검출한 식별데이타와 기준데이타에 따라서 지폐의 진위판정을 실행한다.
이 판정결과는 지폐의 종단이 인출방지레버(41)의 위치를 통과하기 전에 출력되고, 삽입지폐가 부적합(위조지폐)하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지폐반송 구동장치(40)의 반송수단을 역송으로 전환하고, 지폐를 지폐삽입구 방향으로 반송하여 반환한다. 또, 지폐가 적합하여 진짜지폐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지폐는 그 대로 지폐수납부(20)까지 반송되고, 상기 위치에 도달하면 지폐수납 구동수단(42)가 동작을 개시해서 지폐를 지폐수납부에 수납한다.
또한, 지폐반송수단, 지폐수납 구동수단 및 마이크로칩 컴퓨터(17)에 의해 지폐의 적부를 판별하는 방법 등은 종래의 지폐식별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은 설명을 생략한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3센서보드(61), (76)의 장착부(57a), (57b)로의 부착위치의 선택에 따라서 발광소자(63a), (63b)와 수광소자(78a), (78b)에서의 지폐의 검사위치(식별라인)가 달라진다. 그 때문에, 이 제1, 제3센서보드(61), (76)의 부착위치에 따른 기준데이타를 마이크로칩 컴퓨터(17)에 기억시켜 두고, 부착위치에 따라서 이 기준데이타를 선택하도록 한다.
그러면, 마이크로칩 컴퓨터(17)이 이 기준데이타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처리 및 지폐의 판정처리에 대해서 제15도의 흐름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 흐름도에 있어서 제1, 제3센서보드(61), (76)이 제13도의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를 센서 제1측이라 하고, 제14도의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를 센서 제2측이라 한다.
상기 지폐식별기(200)에 전원이 투입되면 초기화처리가 실행되고 후술하는 기준데이타를 특정하는 CHG플래그를 「0」으로 설정한다(스텝S1). 그리고, 기준데이타를 선택하기 위해 진짜지폐를 지폐삽입구(3a)에서 삽입한다. 지폐식별기(200)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지폐가 삽입되었는지 아닌지를 지폐삽입구(3a)의 근방에 마련한 광센서 등에 의해 검출하고 있고 지폐가 삽입된 것을 검출하면(스텝S2), 종래와 마찬가지로 자기헤드(64a), (64b), 수광소자(78a)∼(78c)에서 검출되는 식별데이타를 수집한다(스텝S3). 그리고, CHG플래그가 「0」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S4), 전원투입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화처리에서 「0」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스텝S8로 이행하고, 마이크로컴퓨터(17)의 메모리내에 설정기억되어 있는 센서 제1측의 기준데이타와 비교해서 삽입지폐의 진위판정을 실행한다. 진짜지폐로 판정되면 CHG플래그를 「1」로 설정하고(스텝S9), 스텝S7로 이행해서 종래와 동일한 지폐처리를 실행한다. 즉, 지폐를 지폐수납부(20)까지 반송하고 지폐수납구동수단(42)를 구동해서 지폐를 지폐수납부(20)에 수납한다. 이후는 스텝S2로 되돌아가 지폐의 삽입을 대기하는 상태에 있다.
한편, 스텝S8에서 센서 제1측의 기준데이타에 적합하지 않아 진짜지폐로 판정되지 않을 때에는 스텝S10으로 이행해서 센서 제2측의 기준데이타에 의해서 지폐의 진위판정을 실행한다. 진짜지폐라고 판정되면 CHG플래그를 「2」로 설정하고 스텝S7로 이행한다. 또한 스텝S10에서 진짜지폐라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종래와 동일한 삽입지폐의 반환처리가 실행되고(스텝S13), 지폐는 지폐삽입구(3a)로 반환된다. 지폐가 반환되었을 경우에는 다른 진짜지폐를 삽입하여 다시 상기 스텝S2 이하의 처리를 실행시키고, 지폐가 반환되지 않고 지폐수납부(20)에 수납되기까지 상기 조작을 실행한다.
지폐가 반환되지 않을 때는 CHG플래그가 「1」 또는 「2」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후는 이 지폐식별기(200)이 장착된 자동판매기 등을 판매동작상태로 한다.
이렇게 해서 CHG플래그가 「1」 또는 「2」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지폐가 삽입되면 스텝S2, S3, S4로 처리하고, 스텝S4에서는 CHG플래그가 「0」이 아니라고 판단되므로, 스텝S5로 진행하여 상기 CHG플래그가 「1」이면 센서 제1측의 기준데이타에 의해서 지폐의 진위를 판정하고(스텝S6), CHG플래그가 「1」이 아닐 때(「2」일 때)에는 센서 제2측의 기준데이타에 의해서 지폐의 진위판정을 실행한다(스텝S12). 지폐의 판정결과가 진짜지폐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S7로 이행하여 지폐를 지폐수납부에 수납하고 자동판매기 등에 판매가능의 신호를 송출한다. 판정결과가 불량(기준데이타에 합치하지 않음)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S13으로 진행하여 지폐를 반환한다.
이렇게 해서 상기 지폐식별기(200)을 사용중에 위조지폐가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제1, 제3센서보드(61), (76)의 부착위치를 변경한다. 즉, 제11도에 도시한 센서 제1측에 부착되어 있던 경우에는 제12도의 센서 제2측으로, 센서 제2측이었을 경우에는 센서 제1측으로 전환한다.
먼저, 래치기구(6)을 해제하고 지폐식별기본체(2)를 부착판(1)에서 개방하여 제13도의 상태로 해서 제1센서보드(61)을 들어 올려 가이드보스(65a), (65b)와 걸어맞춤구멍((H2a), (H2b) 또는 (H3a), (H3b))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여 상기 제1센서보드(61)을 이동시켜서 다른 쪽의 걸어맞춤구멍과 가이드보스(65a), (65b)를 걸어맞춘다. 그리고, 지폐식별기본체(2)를 부착판(1)로 닫고 래치기구(6)에 의해 래치하여 제8도의 상태로 한다. 또, 래치기구(19)를 해제하고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수납부(20)을 개방하고 센서커버(83)을 제거하여 제3센서보드(76)을 들어 올려 가이드보스(65a), (55b)와 걸어맞춤구멍((H10a), (H10b) 또는 (H11a), (H11b))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상기 제3센서보드(76)을 이동시켜서 다른 쪽의 한쌍의 걸어맞춤구멍과 가이드보스(65a), (65b)를 걸어 맞춘다. 그리고, 센서커버(83)을 부착해서 지폐수납부(20)을 닫고 래치기구(19)에 의해 지폐수납부(20)을 래치하고, 지폐식별기(200)에 전원을 투입하고 진짜지폐를 삽입해서 제13도에 도시한 처리를 실행하여 지폐기준데이타를 선택(CHG플래그의 전환)해서 전환작업은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해서, 제1, 제3센서보드(61), (76)을 제11도의 상태에서 제12도의 상태로 또는 그의 반대로 전환할 수가 있다.
제1, 제3센서보드(61), (76)의 배치위치를 전환할 수 있으므로, 그때까지의 발광소자(63a), (63b), 수광소자(78a), (78b)의 위치에서 식별데이타를 검출하고 있던 지폐의 위치(라인)가 변경되고, 이 변경된 지폐위치(라인)의 수광량의 패턴에 의해 지폐의 진위판정이 실행되므로, 식별위치(라인)의 변경전에 위조지폐를 진짜지폐로서 수령하고 있더라도 이 식별위치(라인)의 변경에 의해서 위조지폐를 위조지폐로서 배제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간단한 작업만으로 지폐의 식별위치(라인)을 변경하여 지폐를 판정할 수 있고, 또한 지폐식별기를 자동판매기 등의 장치에 장착한 채 변경할 수가 있으므로, 위조지폐 발생시 등에 설치현장에서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제3센서보드(61), (76)을 가이드보스와 걸어맞춤구멍의 걸어맞춤 및 스프링(66), (80)에 의해 각 센서보드를 압압하면서 부착나사(B1), (B3)에 의한 고정에 의해 장착부(57a), (57b)에 부착하도록 해서 드라이버등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이들 센서보드(61), (76)을 스프링(66), (80)의 힘에 대항해서 들어 올려 그의 배치위치를 변경하도록 했지만, 제1, 제3센서보드(61), (76)을 부착나사에 의해서 장착부(57a), (57b)에 부착고정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부착나사가 끼워지는 나사구멍의 위치를 변경해서 마련하여 지폐의 식별위치(라인)을 변경하도록 하면 좋다. 또는, 센서보드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여 클릭동작으로 고정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제1, 제3센서보드(61), (76)에 마련한 한쌍의 걸어맞춤구멍의 수를 증가시켜 상기 제1, 제3센서보드(61), (76)을 3개의 위치 이상의 위치로 전환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자기헤드가 부착된 제2센서보드(62)나 제4센서보드(77)도 제1, 제3센서보드와 같이 그의 배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자기헤드와 대향하는 자기헤드압압롤러(73), (73)을 갖는 축도 교환할 수 있도록 해도 좋지만, 단지 자기헤드압압롤러(73), (73)의 폭(회 전축방향의 길이)를 길게해서 자기헤드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자기헤드를 압압할 수 있도록 해 두면 좋다. 또, 제1, 제2센서보드(61), (62) 및 제3, 제4센서보드(76), (77)을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이들의 센서보드의 배치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준데이타를 특정해서 결정할 때에는 상기 지폐식별기에 전원을 투입했을 때의 초기화처리에서 CHG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고 기준데이타를 특정하지 않은 상태로 했지만, CHG플래그를 「0」로 설정하는 스위치나 코맨드를 마련해서 상기 CHG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이 CHG플래그를 불휘발성 메모리 등에 기억시켜 두면 지폐식별기의 전원을 끊은 경우에도 현재의 센서보드의 배치위치에 대응하는 기준데이타를 특정하여 기억하는 것으로 되므로, 전원을 재투입했을 때 진짜지폐를 삽입해서 기준데이타를 특정(CHG플래그를 「1」 또는 「2」로 설정)할 필요는 없어진다. 또, 단순히 수동으로 스위치 등에 의해서 기준데이타를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즉, 센서부의 위치(센서보드의 위치)에 따라서 기준데이타를 선택하는 스위치를 1, 2, 3,‥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도록 하여 선택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센서부의 위치를 간단히 변경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식별데이타를 검출하는 지폐의 위치(라인)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위조지폐가 발생했을 때의 대처가 용이하다.
또, 제2실시예의 앞면측의 센서부(60a), 이면측의 센서부(60b)를 제1실시예와 같이 유닛화해서 각각 앞면측 센서유닛, 이면측유닛으로 하고 또 그들 앞면측 센서유닛 및 이면측유닛의 각 장착부(57a), (57b)로의 부착위치를 여러개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지폐에 대한 식별데이타의 검출위치를 여러개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폐에서 지폐의 진위 등을 판별하기 위한 데이타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유닛화하고, 상기 센서유닛을 착탈교환이 자유롭게 하였으므로, 상기 지폐식별기를 자동판매기 등의 장치에 부착한 채 자동판매기가 설치되어 있는 현장에서 센서부의 보수나 고장에 대해서 용이하게 대처할 수가 있다.
또, 위조지폐 등이 발생했을 때 등, 지폐의 검사하는 위치나 수를 변경한 센서유닛으로 교환하고, 진위판정데이타를 교환한 센서유닛에 대응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위조지폐를 배제할 수 있다. 또, 이 교환을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교환하는 것에 의해서 위조지폐 작성자의 위조작업을 곤란하게 하여 위조지폐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지폐식별기본체는 동일하더라도 센서유닛 등을 다른 것(예를 들면,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개소가 많은 것이나 적은 것 등)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식별성능이 다른 지폐식별기를 얻을 수가 있고, 저렴하고 저성능에서 고성능의 식별기능을 갖는 각 지폐식별기를 얻을 수가 있다.
신권발광시에도 상기 신지폐의 식별에 적합한 센서위치의 센서유닛, 상기 센서유닛에 대응하는 판정데이타로 간단히 교환할 수 있으므로, 대응비용이 감소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지폐에서 식별데이타를 얻기 위한 센서부를 유닛화하고, 그의 유닛화한 센서부를 지폐식별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지폐식별기 본체에 형성된 지폐반송로를 사이에 두고 앞면측에 장착되는 앞면측 센서유닛과 이면측에 장착되는 이면측 센서유닛으로 2분되고, 상기 앞면측 센서유닛과 이면측 센서유닛은 모두 지폐식별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식별기 본체는 하우징에 수납되고, 상기 하우징의 앞면측 및 이면측의 부분이 각각 개방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앞면측 부분을 개방하면 상기 앞면측 센서유닛을 상기 지폐식별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하우징의 이면측 부분을 개방하면 상기 이면측 센서유닛을 상기 지폐식별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앞면측의 부분은 지폐식별기의 부착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이면측의 부분은 지폐식별기의 지폐수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기.
  5. 지폐에서 식별데이타를 얻기 위한 센서부를 유닛화하고, 그의 유닛화한 센서부를 지폐식별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유닛화한 센서부를 여러종류 준비해 두고 또, 이들 센서부가 지폐에서 얻은 식별데이타를 지폐의 진위판정에 사용하기 위한 기준데이타를 각 센서부에 대응해서 각각 준비하고, 상기 기준데이타는 지폐식별기 본체에 장착된 센서부에 대응해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종류의 기준데이타는 지폐식별기가 구비하는 제어장치에 센서부에 대응해서 기억되어 있는 젓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종류의 기준데이타는 각각 기억소자에 저장되어 있고, 그의 기억소자는 지폐식별기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기.
  8. 지폐에서 지폐식별데이타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유닛화해서 이루어지는 센서유닛을 식별데이타를 검출할 지폐의 부위 또는 수를 각각 다르게 한 것을 여러개 준비하고, 상기 여 러 개의 센서유닛중의 1개를 선택해서 지폐식별기에 장착하고, 상기 선택된 센서유닛중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기준데이타 또는 선택된 센서유닛에 장착되어 있는 전자부품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기준데이타와 상기 선택된 센서유닛이 검출한 식별데이타에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판별방법.
  9. 지폐식별데이타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부착하기 위한 센서장착부 및 상기 센서부와 상기 센서장착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센서부의 상기 센서장착부로의 부착위치를 여러개 선택할 수 있는 부착위치 선택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의 상기 센서장착부로의 부착위치를 상기 위치선택기구를 동작시켜 선택가능한 것 중 어느 1개로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식별데이타를 검출할 지폐의 부위를 특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1장의 보드에 1 또는 2이상의 센서를 부착한 것이며, 그 보드를 상기 장착부에 여러개의 부착위치에 각각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보스가 돌출되어 있고 또 상기 보드에는 그들 가이드보스에 대해서 제1위치에서 걸어맞출 수 있는 제1걸어맞춤구멍군과 그의 제1위치와는 다른 제2위치에서 걸어맞출 수 있는 제2걸어맞춤구멍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기.
  12. 제9항에 있어서, 센서부의 배치위치에 대응하는 지폐의 진위를 판정하기 위한 기준데이타를 각각 지폐식별기의 제어수단내에 기억해 두고, 기준데이타를 특정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지폐식별기에 지폐를 삽입하고 센서부의 배치위치에 대응하는 각 기준데이타에 따라서 지폐의 진위판정을 실행시키고 진짜지폐라고 판정한 기준데이타를 특정하여 상기 기준데이타를 이후의 삽입지폐의 진위판정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지폐반송로의 앞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폐반송로를 향하는 제1센서군과 상기 지폐반송로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폐반송로를 향하는 제2센서군으로 구성되고, 그들 제1 및 제2센서군은 각각 유닛화되고, 그의 유닛화된 센서부 자체를 상기 장착부에 그의 부착위치를 여러개 선택해서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식별기.
KR1019970031777A 1996-07-15 1997-07-09 지폐식별기및 지폐식별방법 KR100271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02824A JPH1031774A (ja) 1996-07-15 1996-07-15 紙幣識別機及び紙幣識別方法
JP96-202824 1996-07-15
JP96-204150 1996-07-16
JP8204150A JPH1031775A (ja) 1996-07-16 1996-07-16 紙幣識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884A KR980010884A (ko) 1998-04-30
KR100271698B1 true KR100271698B1 (ko) 2000-11-15

Family

ID=2651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777A KR100271698B1 (ko) 1996-07-15 1997-07-09 지폐식별기및 지폐식별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964336A (ko)
KR (1) KR1002716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2284A (en) * 1999-03-22 2000-11-07 Cashcode Company Inc. Modular bill acceptor
US7104383B1 (en) * 2000-02-14 2006-09-12 Leon Saltsov Validator with removable flash memory
JP4038321B2 (ja) * 2000-02-25 2008-01-23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RU2259594C2 (ru) * 2001-01-08 2005-08-27 Де Ля Рю Интернэшнл Лимитед Устройство считывания магнитной нити
EP1241637A3 (en) * 2001-03-16 2004-01-07 Glory Ltd. Bill counter
US6795173B2 (en) * 2002-01-22 2004-09-21 Camille Romano Counterfeit detection viewer apparatus for paper currency
ES2367177T5 (es) * 2002-12-27 2020-07-20 Nippon Kinsen Kikai Kk Dispositivo de detección óptico para detectar características ópticas de documentos de valor
US6897461B2 (en) * 2003-01-17 2005-05-24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Bill slot panel for a vending machine
JP4279596B2 (ja) * 2003-05-22 2009-06-17 サンデン株式会社 紙幣識別装置
US7007789B2 (en) * 2003-07-15 2006-03-07 Singleton Iii Eugene G Security cover for vending machine bill validator
US20070084695A1 (en) * 2005-10-17 2007-04-19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Bill acceptor
JP4671932B2 (ja) * 2006-08-22 2011-04-20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幣処理装置
US20080173832A1 (en) * 2007-01-24 2008-07-24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Valuable paper validator
GB0702191D0 (en) * 2007-02-05 2007-03-14 Innovative Technology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Banknote Validation
JP5210012B2 (ja) * 2008-03-19 2013-06-12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葉類処理装置
US7703592B2 (en) * 2008-05-28 2010-04-27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Bill accetor with improved face panel
US7857114B2 (en) * 2008-07-07 2010-12-28 Glory, Ltd. Banknote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banknote discrimination method
CN103971447B (zh) * 2013-02-04 2017-11-14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纸币识别装置及其处理方法和纸币处理状态记录方法
ES2908179T3 (es) 2015-09-30 2022-04-28 Fujitsu Frontech Ltd Dispositivo de manejo de hoja de papel, y método de corrección de dispositivo de manejo de hoja de papel
CN114582063A (zh) * 2022-03-18 2022-06-03 苏州日宝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纸币清分鉴伪设备、方法、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7421A (en) * 1966-02-24 1969-07-22 Transmarine Corp Radiation sensitive paper security validation apparatus
US5222584A (en) * 1991-04-18 1993-06-29 Mars Incorporated Currency validator
US5662201A (en) * 1992-04-16 1997-09-02 Mars Incorporated Banknote reader
US5657846A (en) * 1995-07-13 1997-08-19 Cashcode Company Inc. Currency validator with split hou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64336A (en) 1999-10-12
KR980010884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1698B1 (ko) 지폐식별기및 지폐식별방법
EP2046513B1 (en) Document handling apparatus
US5381019A (en) Currency validator using a photocoupler for image recognition using cylindrical lens
KR100714584B1 (ko) 유가증권의 광학적 특징 검출용 광학센서장치
US7489456B2 (en) Lens module
EP0982691B1 (en) Paper-leaves discriminating apparatus and sensor mounting construction of same apparatus
GB2066541A (en) Coin changer for a vending machine
US20060272921A1 (en) Banknote acceptor using ultraviolet ray for verification
JP5061724B2 (ja) 硬貨収納管理装置
RU2447007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документов
US7641037B2 (en) Bill handling apparatus
US8684156B1 (en) Bill acceptor with bill passage anti-light pollution arrangement
GB2088832A (en) Bank note receiving apparatus
JPH1031774A (ja) 紙幣識別機及び紙幣識別方法
KR200215092Y1 (ko) 지폐계수기
JPH1031775A (ja) 紙幣識別機
JP2973385B2 (ja) 自動販売機等の硬貨選別装置
JP4562265B2 (ja) 紙葉類識別収納装置
JP2008299568A (ja) 硬貨収納管理装置
RU73091U1 (ru) Линзовый модуль
EP2759987B1 (en) Bill acceptor with bill passage anti-light pollution arrangement
EP1557799B1 (en) Spacer for coin storage device, coin storage device, and coin processing device.
KR200303526Y1 (ko) 지폐계수장치
KR20060066652A (ko) 지폐식별장치
JP5323336B2 (ja) 紙葉類識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