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092Y1 - 지폐계수기 - Google Patents

지폐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092Y1
KR200215092Y1 KR2020000025981U KR20000025981U KR200215092Y1 KR 200215092 Y1 KR200215092 Y1 KR 200215092Y1 KR 2020000025981 U KR2020000025981 U KR 2020000025981U KR 20000025981 U KR20000025981 U KR 20000025981U KR 200215092 Y1 KR200215092 Y1 KR 200215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ensor
counter
bills
revers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명식
Original Assignee
염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명식 filed Critical 염명식
Priority to KR2020000025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0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092Y1/ko

Links

Landscapes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폐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체(10) 상부에 호퍼(11)와, 호퍼(11) 저부에 지폐공급을 위한 구동롤러(13) 및 두 장 이상 지폐의 급지방지를 위한 역회전부(30)가 형성되고 역회전부(30)의 하부에 상기 역회전부(30)의 역회전롤러(31)와 접면되어 공급된 지폐를 낱개로 안내 이송시켜주기 위한 급지롤러(12) 및 구동롤러(13) 그리고 본체(10) 전방의 날개(20)와 일측 메인콘트롤러가 포함되어 구성된 통상의 지폐계수기에 있어서, 급지롤러(12)의 반대편에 설치된 가이드부재(50)의 중앙 상측 및 중앙에 지폐의 유동방지를 위한 핀치롤러(70,70')를 급지롤러(12)에 접면되게 설치하고 상기 핀치롤러(70,70') 사이에 UV센서(52) 및 그 양쪽에 마그네틱센서(53,53')를 설치하여 지폐의 진위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이드부재(50)는 그 양측에 급지된 지폐의 수평폭 및 수직폭을 감지할 수 있는 수광센서부(51)를 설치하여 이를 반대편 설치부재(40) 안쪽에 설치된 발광센서부(41)와 대향되게 설치하는 한편, 본체(10)의 일측면 저부에 설치된 모터(M)축에는 측면에 다수의 감지공(61)이 환설된 카운터플레이트(60)를 축설하여 상기 카운터플레이트(60)의 외주 일측에 메인콘트롤러와 연결된 카운터센서(62)를 설치하여 주되, 카운터플레이트(60)를 구동롤러(13)와 타이밍벨트(80')로 연결된 급지롤러(12)와 타이밍벨트(80)로 연결하여 된 구조이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사용이 편리하고 지폐의 안정적인 급지는 물론, 같은 종류의 지폐에 섞인 이권종 지폐의 선별과 아울러 지폐의 진위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구성을 단일의 본체에 구성하여 각각 별도의 제품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한 기능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지폐유통이 많은 은행이나 금융회사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폐계수기{BANKNOTE COUNTER}
본 고안은 지폐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지폐의 안정적인 급지는 물론 지폐계수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조지폐 및 이권종지폐의 선별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같이 다수의 지폐를 취급하는 은행등의 경우 많은 량의 지폐를 용이하게 계수하기 위하여 여러대의 지폐계수기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같이 제공되는 지폐계수기 대부분이 지폐의 계수에는 어느정도 그 진가를 발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고 또 일부 계수기는 계수중 반쪽의 훼손된 지폐를 찾아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들도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제공되고 있는 지폐계수기는 계수시 액면가가 다른 이권종지폐의 선별이 불가능하여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동반하고 있을뿐 아니라 자칫 지폐계수상의 오류를 범하게 될 우려가 높다 따라서 여러장의 지폐를 선별자의 눈으로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하는 등 그 보완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지폐계수기는 내부구성 또한 복잡하기 때문에 잔고장의 우려가 높으며 지폐계수기의 구동에 따른 동력전달구조도 그리 효율적이이 못하다.
한편, 위조지폐의 경우에는 이종권지폐와는 달리 선별자의 눈으로 직접적으로 선별하기가 여간 까다롭기 때문에 지폐계수기와는 별도의 위조지폐 감식기를 구비하여야 하며 의심스러운 지폐를 매번 검사하는 일도 또한 매우 번거로울 수 밖에 없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지폐의 안정적인 급지는 물론 지폐계수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조지폐 및 이권종지폐의 선별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본체 상부에 호퍼와, 호퍼 저부에 지폐공급을 위한 구동롤러 및 두 장 이상 지폐의 급지방지를 위한 역회전부가 형성되고 역회전부의 하부에 상기 역회전부의 역회전롤러와 접면되어 공급된 지폐를 낱개로 안내 이송시켜주기 위한 급지롤러 및 구동롤러 그리고 본체 전방의 날개와 일측 메인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가 포함되어 구성된 통상의 지폐계수기에 있어서, 급지롤러의 반대편에 설치된 가이드부재의 중앙 상측 및 중앙에 지폐의 유동방지를 위한 핀치롤러를 급지롤러에 접면되게 설치하고 상기 핀치롤러 사이에 UV센서 및 그 양쪽에 마그네틱센서를 설치하여 지폐의 진위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이드부재는 그 양측에 급지된 지폐의 수평폭 및 수직폭을 감지할 수 있는 수광센서부를 설치하여 이를 반대편 설치부재 안쪽에 설치된 발광센서부와 대향되게 설치하는 한편, 본체의 일측면 저부에 설치된 모터축에는 측면에 다수의 감지공이 환설된 카운터플레이트를 축설하여 상기 카운터플레이트의 외주 일측에 메인콘트롤러와 연결된 카운터센서를 설치하여 주되, 카운터플레이트를 구동롤러와 타이밍벨트로 연결된 급지롤러와 타이밍벨트로 연결하여된 일련의 관련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 가이드부재의 발췌 평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 가이드부재의 발췌 배면구성도
도 6은 본 고안 설치부재의 발췌 측면구성도
도 7은 본 고안 설치부재의 발췌 정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호퍼
12 : 급지롤러 13 : 구동롤러
20 : 날개 30 : 역회전부
31 : 역회전롤러 40 : 설치부재
41 : 발광센서부 41a : 수평폭 발광센서
41b : 수직폭 발광센서 50 : 가이드부재
51 : 수광센서부 51a : 수평폭 수광센서
51b : 수직폭 수광센서 52 : UV센서
53,53' : 마그네틱센서 60 : 카운터플레이트
61 : 감지공 62 : 카운터센서
70,70' : 핀치롤러 M : 모터
본 고안은 본체(10) 상부에 호퍼(11)와, 호퍼(11) 저부에 지폐공급을 위한 구동롤러(13) 및 두 장 이상 지폐의 급지방지를 위한 역회전부(30)가 형성되고 역회전부(30)의 하부에 상기 역회전부(30)의 역회전롤러(31)와 접면되어 공급된 지폐를 낱개로 안내 이송시켜주기 위한 급지롤러(12) 및 구동롤러(13) 그리고 본체(10) 전방의 날개(20)와 일측 메인콘트롤러가 포함되어 구성된 통상의 지폐계수기에 있어서, 급지롤러(12)의 반대편에 설치된 가이드부재(50)의 중앙 상측 및 중앙에 지폐의 유동방지를 위한 핀치롤러(70,70')를 급지롤러(12)에 접면되게 설치하고 상기 핀치롤러(70,70') 사이에 UV센서(52) 및 그 양쪽에 마그네틱센서(53,53')를 설치하여 지폐의 진위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이드부재(50)는 그 양측에 급지된 지폐의 수평폭 및 수직폭을 감지할 수 있는 수광센서부(51)를 설치하여 이를 반대편 설치부재(40) 안쪽에 설치된 발광센서부(41)와 대향되게 설치하는 한편, 본체(10)의 일측면 저부에 설치된 모터(M)축에는 측면에 다수의 감지공(61)이 환설된 카운터플레이트(60)를 축설하여 상기 카운터플레이트(60)의 외주 일측에 메인콘트롤러와 연결된 카운터센서(62)를 설치하여 주되, 카운터플레이트(60)를 구동롤러(13)와 타이밍벨트(80')로 연결된 급지롤러(12)와 타이밍벨트(80)로 연결하여 된 구조이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11')은 호퍼센서, (21)은 날개구동용 모터, (80,80')은 타이밍벨트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본체(10)의 호퍼(11) 입구측으로 투입된 지폐가 구동롤러(13)의 구동에 의해 호퍼(11)의 말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역회전부(30)쪽으로 공급되어 여기서 훼손된 지폐를 먼저 1차로 선별하여 이를 다시 호퍼(11)쪽으로 반송시켜주게 되며 이를 무리없이 통과한 지폐가 급지롤러(12)의 회전구동에 의해 지폐가 본체(10)의 날개(20)쪽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동작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핀치롤러(70,70')가 가이드부재(5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급지롤러(12)의 외주 두지점 즉, 상측과 저부측에 각각 접면된 상태로 설치되어 호퍼(11)로 공급된 지폐의 공급을 더욱 안정되게 하고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50)의 양쪽에는 급지된 지폐의 수평폭 및 수직폭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수광센서부(5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수광센서부(51)는 그 반대편에 대향되게 설치된 설치부재(40) 안쪽에 설치되어 수광센서쪽으로 전기적인 발광신호를 보내주기 위한 발광센서부(41)가 설치되며 양쪽 수광 및 발광센서부(41) 사이를 통과하는 지폐의 수평폭 및 수직폭 변화에 따라 이권종지폐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본체(10) 일측에는 측면에 다수의 감지공(61)이 형성된 카운터플레이트(60)가 모터(M)축에 축설되고 구동롤러(13)와 타이밍벨트(80')로 연결된 급지롤러(12)가 또 다른 타이밍벨트(80)로 연결되며 상기 카운터플레이트(60)의 외주 일측에는 상기 카운터플레이트(60)의 회전비를 감지할 수 있는 카운터센서(62)가 설치되어 상기 수광 및 발광센서부(41)의 센서(41a,41b,51a,51b) 작동과 동시에 카운터센서(62)가 카운터플레이트(60)의 감지공(61) 회전간격에 대한 변화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지폐의 수평 및 수직폭 변화에 따른 이권종지폐의 식별을 정확히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양측에 수광센서가 설치된 가이드부재(50)는 그 중앙에 UV센서(52) 및 양쪽 수광센서의 상측에 마그네틱센서(53,53')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UV센서(52) 및 마그네틱센서(53,53')의 감지에 의해 공급된 지폐의 진위여부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수광 및 발광센서부(41)의 센서(41a,41b,51a,51b) 그리고 카운터플레이트(60)의 카운터 센서, UV센서(52), 마그네틱센서(53,53')는 메인콘트롤러와 각각 연결되어 지폐계수중 이권종지폐나 위조지폐 감지시 그 이상유무를 본체(10)의 액정표시부로 디스플레이 하거나 기기의 동작을 중단시켜주는 기능을 하게 정상적인 지폐의 계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먼저 본체(10)에 전원을 넣어준 상태에서 선별이 안된 지폐를 호퍼(11)로 투입시켜주게 되면 호퍼(11) 저부에 설치된 호퍼센서(11')가 상기 지폐의 공급여부를 감지하여 모터(M)를 회전시켜 주게 되며 이와 타이밍벨트(80)로 연결된 구동롤러(13)가 상기 모터(M)구동에 의해 공급된 지폐를 한 장씩 본체(10)의 내측으로 유입시켜 주게 된다.
이때 훼손된 지폐는 본체(10)상부에 구성된 역회전부(30)의 역회전롤러(31)에 의해 그 진입이 정지되면서 상기 지폐를 다시 호퍼(11)의 입구측으로 반송시켜주게 되고 또, 상기 역회전부(30)를 통과한 지폐는 가이드부재(50)의 핀치롤러(70,70')를 통과하여 급지롤러(12)의 외주를 따라 계속적으로 진입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부재(50) 중앙 및 상부 양측에 설치된 UV센서(52) 및 마그네틱 센서가 지폐의 진위여부를 확인하게 되어 이상이 있는 지폐 즉, 위조지폐를 검출함과 동시에 본체(10)의 카운터 동작을 자동적으로 중지시켜 줌으로써 상기 위조지폐를 간단히 선별할 수 있게 되며 이어서 가이드 부재 양쪽에 설치된 수광센서부(51) 및 설치부재(40) 내측에 설치된 발광센서부(41)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수광 및 발광센서부(41,51)는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이드 부재(50)의 양측에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이에 대응되게 설치된 발광센서부(41)로 부터 발신되는 지속적인 신호가 가이드 부재의 수광센서부(51) 쪽으로 수광되고 있는 상태에서 일정한 수평폭을 갖는 지폐가 상기 수광센서부(51)의 센서(51a)부위를 가리운 상태로 통과하다가 수평폭이 다른 어느 한 이종권지폐가 진입하게 되면 센서(41a)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센서(51a)가 검출하게 되며 동시에 센서(41a)의 안쪽에 대향되게 결합된 발광 및 수광센서부(41,51)의 센서(41b,51b)도 마찬가지로 지폐의 진입과 동시에 지폐의 수직폭 변화여부에 따른 이권종지폐를 신속히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수직폭감지를 위한 센서(41b,41b)는 카운터플레이트(60)의 카운터센서(62)와 동시에 작동하게 되는 바,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되면 지폐가 발광 및 수광센서부(41,51)의 사이로 처음 진입하게 되면 상기 센서부(41,51)의 각 센서(41b,51b)가 그 위치를 파악하게 됨과 동시에 본체(10) 일측에 설치된 카운터센서(62)도 작동하게 된다.
카운터센서(62)는 측면에 다수의 감지공(61)이 환설된 카운터플레이트(60)의 회전에 대한 감지공(61)의 회동여부에 따라 감지공(61)의 수가 일정하게 체크된 상태에서 수직폭이 다른 이권종지폐가 상기 발광 및 수광센서부(41,51)를 통과하게 되면 기 통과된 감지공(61)의 수와 수직폭 차이에 따른 이권종지폐의 감지공(61) 수가 다르게 채크됨으로서 이러한 차이점을 메인콘트롤러로 전송하여 본체(10)의 동작을 즉시 중지시켜 주어 이권종 지폐의 선별을 정확히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사용이 편리하고 지폐의 안정적인 급지는 물론, 같은 종류의 지폐에 섞인 이권종 지폐의 선별과 아울러 지폐의 진위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구성을 단일의 본체에 구성하여 각각 별도의 제품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한 기능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지폐유통이 많은 은행이나 금융회사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본체(10) 상부에 호퍼(11)와, 호퍼(11) 저부에 지폐공급을 위한 구동롤러(13) 및 두 장 이상 지폐의 급지방지를 위한 역회전부(30)가 형성되고 역회전부(30)의 하부에 상기 역회전부(30)의 역회전롤러(31)와 접면되어 공급된 지폐를 낱개로 안내 이송시켜주기 위한 급지롤러(12) 및 구동롤러(13) 그리고 본체(10) 전방의 날개(20)와 일측 메인콘트롤러가 포함되어 구성된 통상의 지폐계수기에 있어서, 급지롤러(12)의 반대편에 설치된 가이드부재(50)의 중앙 상측 및 중앙에 지폐의 유동방지를 위한 핀치롤러(70,70')를 급지롤러(12)에 접면되게 설치하고 상기 핀치롤러(70,70') 사이에 UV센서(52) 및 그 양쪽에 마그네틱센서(53,53')를 설치하여 지폐의 진위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이드부재(50)는 그 양측에 급지된 지폐의 수평폭 및 수직폭을 감지할 수 있는 수광센서부(51)를 설치하여 이를 반대편 설치부재(40) 안쪽에 설치된 발광센서부(41)와 대향되게 설치하는 한편, 본체(10)의 일측면 저부에 설치된 모터(M)축에는 측면에 다수의 감지공(61)이 환설된 카운터플레이트(60)를 축설하여 상기 카운터플레이트(60)의 외주 일측에 메인콘트롤러와 연결된 카운터센서(62)를 설치하여 주되, 카운터플레이트(60)를 구동롤러(13)와 타이밍벨트(80')로 연결된 급지롤러(12)와 타이밍벨트(80)로 연결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
KR2020000025981U 2000-09-15 2000-09-15 지폐계수기 KR200215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981U KR200215092Y1 (ko) 2000-09-15 2000-09-15 지폐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981U KR200215092Y1 (ko) 2000-09-15 2000-09-15 지폐계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092Y1 true KR200215092Y1 (ko) 2001-03-02

Family

ID=7308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981U KR200215092Y1 (ko) 2000-09-15 2000-09-15 지폐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092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124B1 (ko) * 2001-09-11 2004-06-09 (주)신우아이티 지폐분류 정사기
KR100456424B1 (ko) * 2002-06-14 2004-11-10 염명식 지폐계수기용 크기센서의 신호처리장치
KR100456423B1 (ko) * 2002-06-14 2004-11-10 염명식 크기센서를 이용한 지폐계수기
KR100481680B1 (ko) * 2002-06-14 2005-04-11 염명식 이권종 및 위폐판별기능과 이권종 지폐의 합산기능을 갖는지폐계수기
KR100613423B1 (ko) 2004-08-30 2006-08-17 주식회사 프러스상사 지폐 계수기
KR100796269B1 (ko) 2003-01-27 2008-01-21 학교법인 인하학원 마찰식 지폐계수기에서의 이권종 지폐 검출방법
KR101003311B1 (ko) 2009-07-02 2010-12-22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지폐계수기 및 지폐정사기의 마그네틱 센서 가이드
WO2012124843A1 (ko) * 2011-03-16 2012-09-20 기산전자 주식회사 자동으로 다국가 권종을 식별하는 지폐계수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82779A (ko) * 2017-01-11 2018-07-19 문병철 지폐공급기
KR101876503B1 (ko) 2017-02-20 2018-08-09 주식회사 넥스빌 지폐 계수기의 지폐 걸림 방지구조
KR101884866B1 (ko) * 2017-02-20 2018-09-06 (주)넥스빌 이권종 분류 및 위폐 식별 계수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124B1 (ko) * 2001-09-11 2004-06-09 (주)신우아이티 지폐분류 정사기
KR100456424B1 (ko) * 2002-06-14 2004-11-10 염명식 지폐계수기용 크기센서의 신호처리장치
KR100456423B1 (ko) * 2002-06-14 2004-11-10 염명식 크기센서를 이용한 지폐계수기
KR100481680B1 (ko) * 2002-06-14 2005-04-11 염명식 이권종 및 위폐판별기능과 이권종 지폐의 합산기능을 갖는지폐계수기
KR100796269B1 (ko) 2003-01-27 2008-01-21 학교법인 인하학원 마찰식 지폐계수기에서의 이권종 지폐 검출방법
KR100613423B1 (ko) 2004-08-30 2006-08-17 주식회사 프러스상사 지폐 계수기
KR101003311B1 (ko) 2009-07-02 2010-12-22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지폐계수기 및 지폐정사기의 마그네틱 센서 가이드
WO2012124843A1 (ko) * 2011-03-16 2012-09-20 기산전자 주식회사 자동으로 다국가 권종을 식별하는 지폐계수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82779A (ko) * 2017-01-11 2018-07-19 문병철 지폐공급기
KR101886557B1 (ko) 2017-01-11 2018-08-07 문병철 지폐공급기
KR101876503B1 (ko) 2017-02-20 2018-08-09 주식회사 넥스빌 지폐 계수기의 지폐 걸림 방지구조
KR101884866B1 (ko) * 2017-02-20 2018-09-06 (주)넥스빌 이권종 분류 및 위폐 식별 계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5092Y1 (ko) 지폐계수기
US20080054544A1 (en) Document sorting machine
WO1993007588A1 (en) Changing machine having function of judging wear of bill
KR101383632B1 (ko) 지폐 선별기
WO2010086994A1 (ja) 紙葉類識別計数機およびその識別計数方法
KR200199843Y1 (ko) 적외선투과 어레이 모듈을 이용한 위폐감지장치
KR200394059Y1 (ko) 지폐 계수기
KR100753562B1 (ko) 현금지급기의 지폐 감지방법
KR200399249Y1 (ko) 위폐 감식 기능을 가진 지폐 계수 장치
US4058194A (en) Multiple document recognition apparatus
JP2004529420A (ja) 書類確認方法および装置
KR101876503B1 (ko) 지폐 계수기의 지폐 걸림 방지구조
JPH0585074B2 (ko)
KR100245333B1 (ko) 지폐분류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
JP2930786B2 (ja) 両替機
KR20000066274A (ko) 위조 지폐 감식장치
JPH06342487A (ja) 紙葉類計数装置
KR20050111684A (ko) 이미지센서를 이용한 이권종 및 위폐감별 지폐계수 분류장치
KR20030075664A (ko) 위조지폐 검출장치
CN216719165U (zh) 多国货币cis点验钞机
KR19990043358A (ko) 지폐식별계수기 및 그 구동제어방법
KR950007845Y1 (ko) 현금자동인출기의 불량지폐 검출장치
CN218038054U (zh) 一种带长度检测的点验钞机
CN1234103C (zh) 票券传输线上的激光检测装置
KR200294081Y1 (ko) 지폐계수기의 로울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