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4124B1 - 지폐분류 정사기 - Google Patents

지폐분류 정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4124B1
KR100434124B1 KR10-2001-0055752A KR20010055752A KR100434124B1 KR 100434124 B1 KR100434124 B1 KR 100434124B1 KR 20010055752 A KR20010055752 A KR 20010055752A KR 100434124 B1 KR100434124 B1 KR 100434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nknote
feed roller
bills
b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2909A (ko
Inventor
차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신우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신우아이티
Priority to KR10-2001-0055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124B1/ko
Publication of KR20030022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6Testing the dimens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사하고자 투입된 다수의 지폐를 1매씩 분리하여 차례로 정사기 내부로 이송하는 급지부, 지폐의 종류 및 진위, 훼손정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아 지폐를 분류하는 절환부, 절환부에 의해 분류된 지폐들을 각각 적재하는 적재부, 급지부로부터 급지된 지폐를 적재부까지 이송할 수 있도록 급지부부터 적재부까지 지폐의 세로 길이보다 짧은 간격을 두며 연속적으로 위치해 있으며 서로 맞닿아 구동하는 다수의 상, 하부 이송롤러와, 상, 하부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가 이송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해 주는 상, 하부 지폐안내판을 구비하는 이송부, 각 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져있는 지폐분류 정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폐분류 정사기{Apparatus for discriminating and sorting bank note}
본 발명은 투입된 다수의 지폐를 낱장씩 분리하여 지폐의 매수를 계수함과 동시에 지폐의 진위 및 종류, 훼손상태 등을 감정하여 분류하는 지폐분류 정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를 많이 다루는 사업체나 금융기관 등에서는, 최근 위조범죄 증가로 인해 지폐의 위조 여부를 감식하는 작업이 늘어나고 있고, 다양한 종류의 지폐를 각각의 종류별로 분류하는 작업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급속한 산업발전으로 인해 사무자동화가 일반화되어 지폐교환기, 현금인출기 등이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거리 곳곳에 설치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지폐교환기나 현금인출기와 같은 금융업무 자동화기기의 올바른 작동과 운용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보다 깨끗하고 정격규격에 맞는 지폐가 금융업무 자동화기기에 공급되어야하는데, 깨끗하고 정격규격에 맞는 지폐를 분류하는 작업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한다는 것은 너무나 비효율적이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지폐분류 정사기가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외국산 지폐분류 정사기는 가격이 고가이며 국내 지폐의 특성을 정확히 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폐의 분류에 있어서 잦은 오작동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고, 종래의 국산 지폐분류 정사기는 이송 벨트를 사용하여 지폐를 이송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구조가 복잡하고 구성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생산원가가 높고고장율이 많아 장치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여 원가가 절감되고 고장율이 적으며, 다수의 센서를 구비하여 권종별로 다양한 분류(위폐분류, 권종분류, 훼손지폐분류)가 가능한 지폐분류 정사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분류 정사기의 지폐이송경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분류 정사기의 동력전달 경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분류 정사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분류 정사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분류 정사기의 상부바디를 개방시킨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분류 정사기의 상부바디를 개방시킨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분류 정사기의 후면을 개방시킨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분류 정사기의 후면을 개방시킨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분류 정사기의 하부바디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바디 2 : 하부바디
12 : 전면개방손잡이 14 : 후면개방손잡이
20 : 지폐이송경로 110 : 지폐투입구
120 : 입송롤러 125 : 입송롤러 축
130 : 자동급지롤러 135 : 자동급지롤러 축
140 : 분리롤러 150 : 정렬롤러
211~216 : 상부 이송롤러 221~226 : 하부 이송롤러
230 : 상부 지폐안내판 240 : 하부 지폐안내판
310 : 제 1 밀착 이미지센서 320 : 마그네틱 센서
330 : 제 2 밀착 이미지센서 340 : 자외선 센서
410 : 절환기 420 : 절환 안내깃
510 : 적재 안내깃 520 : 적재 모터
530 : 상단 적재함 540 : 하단 적재함
610 : 메인 모터 620 : 모터 벨트
622 : 공전 벨트 624 : 메인 벨트
626 : 자동급지 벨트 630 : 공전 롤러
640 : 텐션 롤러 650 : 클러치
660 : 브레이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사하고자 투입된 다수의 지폐를 1매씩 분리하여 차례로 정사기 내부로 이송하는 급지부, 지폐의 종류 및 진위, 훼손정도를 감지하는 여러 종류의 센서를 구비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아 지폐를 분류하는 절환부, 상기 절환부에 의해 분류된 지폐들을 각각 적재하는 적재부, 상기 급지부로부터 급지된 지폐를 상기 적재부까지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각 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져있는 지폐분류 정사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급지부부터 상기 적재부까지 지폐의 세로 길이보다 짧은 간격을 두며 연속적으로 위치해 있으며 서로 맞닿아 구동하는 다수의 상, 하부 이송롤러와, 상기 상, 하부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가 이송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해 주는 상, 하부 지폐안내판을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에 포함되는 다수의 센서들은 상기 이송롤러간의 간격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분류 정사기를 제공한다.
상기 급지부는, 정사되기 위해 투입된 지폐를 정사기 내부로 입송하는 입송롤러와, 상기 입송롤러에 의해 입송된 지폐를 한 장씩 공급하는 자동급지롤러와, 지폐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자동급지롤러와 맞닿아 있으며 상기 자동급지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한 장의 지폐 이외의 다른 지폐들을 마찰력으로 정지시켜 정사기 내부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분리롤러와, 상기 자동급지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리롤러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분리롤러의 회전을 제어하는 베어링 부시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구비된 발광다이오드가 지폐를 향해 빛을 발광하였을 때 지폐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지폐의 종류를 감지하는 제 1 밀착 이미지센서와,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지폐를 향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장치와, 상기 발광장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있으며 상기 발광장치에 의해 발광된 빛의 지폐 투과율을 감지하여 지폐의 낡고 훼손된 정도를 판단하는 제 2 밀착 이미지센서와, 지폐에 함유된 자성성분을 감지하여 지폐의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마그네틱 센서와, 지폐에 함유된 자외선 감응물질을 감지하여 지폐의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자외선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절환부는, 지폐의 이송경로를 선택적으로 변경시켜주는 절환 안내깃과,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절환 안내깃을 제어하는 절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절환부에 의해 분류된 지폐를 나누어 적재할 수 있는 다수의 적재함과, 적재함으로부터 인출된 지폐를 한 장씩 정렬하며 적재함에 적재하는 적재 안내깃과, 상기 적재 안내깃을 회전시키는 적재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전원과 연결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모터와, 상기 메인모터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는 공전 롤러와, 상기 메인 모터와 상기 공전 롤러와 연결되어 모터의 동력을 공전롤러로 전달하는 모터 벨트와, 상기 공전 롤러와 상기 상부 이송롤러 축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공전 벨트와, 상기 공전 벨트와 연결된 상부 이송롤러 축에 전달된 동력을 각 상부 이송롤러 및 급지롤러에 전달하기 위하여 다수의 상부 이송롤러 축과 상기 자동급지롤러 축, 동력전달의 효율을 높여주는 텐션롤러 등과 연결된 메인 벨트와, 상기 자동급지롤러에 전달된 동력을 상기 입송롤러에 전달하는 자동급지벨트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분류 정사기의 지폐이송경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이 정사될 다수의 지폐(10)를 지폐투입구(110)에 투입하면, 입송롤러(120)에 의해 적재된 상기 다수의 지폐(10)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지폐가 자동급지롤러(120)로 급지되고, 급지되지 아니하는 그 밖의 지폐들은 분리롤러(140)에 의해 급지가 방지되며, 급지된 지폐는 정렬롤러(150)에 의해 비틀리거나 휘는 현상 없이 정렬되어 제 1 상부 이송롤러(211)와 제 1 하부 이송롤러(221)로 이송된다. 상기 제 1 상부 이송롤러(211)와 제 1 하부 이송롤러(221)를 지난 지폐는 각 상, 하부 이송롤러를 통해 지폐이송경로(20)를 따라 이송되며 절환 안내깃(420)에 의해 분류되어 상단 적재함(530) 또는 하단 적재함(540)에 적재되고, 상기 하단 적재함(540)에 적재되는 지폐는 적재모터(520)에의해 회전 운동하는 다수의 적재 안내깃(510)을 통해 한 장씩 정렬되어 상기 하단 적재함(530)에 적재되며, 이송되는 지폐가 지폐이송경로(20)를 이탈하지 않도록 지폐를 가이드 하는 상부지폐안내판(230)과 하부지폐안내판(33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자동급지롤러(130) 및 정렬롤러(150)와 상기 제 1 상부 이송롤러(211) 및 제 1 하부 이송롤러(221) 사이에는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되어 지폐에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지폐의 종류를 감지하는 제 1 밀착 이미지센서(310)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밀착 이미지센서(310)와 상기 제 1 상부 이송롤러(211) 및 제 1 하부 이송롤러(221) 사이에는 지폐에 함유된 자성성분을 감지하여 지폐의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마그네틱 센서(320)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상부 이송롤러(211) 및 제 1 하부 이송롤러(221)와 제 2 상부 이송롤러(212) 및 제 2 하부 이송롤러(222) 사이에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이송되는 지폐를 향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장치(332)와 상기 발광장치(332)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있으며 상기 발광장치(332)에 의해 발광된 빛의 지폐 투과율을 감지하여 지폐의 낡고 훼손된 정도를 판단하는 제 2 밀착 이미지센서(330)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하부 이송롤러(222)와 제 3 하부 이송롤러(223) 사이에는 지폐에 함유된 자외선 감응물질을 감지하여 지폐의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자외선 센서(340)를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분류 정사기의 동력전달 경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메인 모터(610)에서 발생된 동력은 모터 벨트(620)와 공전 벨트(622)를 통해 공전 롤러(630)를 거쳐 제 2 상부 이송롤러 축(252)으로전달되고, 상기 제 2 상부 이송롤러 축(252)으로 전달된 동력은 메인 벨트(624)를 통해 각 상부 이송롤러 및 자동급지롤러 축(135)으로 전달되며, 자동급지롤러 축(135)으로 전달된 동력은 자동급지 벨트(626)에 의해 입송롤러 축(125)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메인 벨트(624)의 장착 경로에는 상기 메인 벨트(624)의 동력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메인 벨트(624)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 롤러(640)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분류 정사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분류 정사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자동급지롤러(130)와 동일 축 상에 설치된 클러치(650)가 온(ON)되면 자동급지롤러(130)의 동력은 자동급지 벨트(626)를 통해 입송롤러(120)로 전달되어 지폐의 입송이 실시되고, 상기 클러치(650)를 오프(OFF)시키고 브레이크(660)를 온(ON)시키면 상기 자동급지롤러(130)와 상기 입송롤러(120)가 정지되어 지폐의 입송이 중단된다. 이때, 상기 자동급지롤러(130)와 상기 입송롤러(120)를 제외한 다른 롤러들은 계속 회전동작을 하므로 정사기내에 투입되어있는 지폐는 상단 적재함 또는 하단 적재함으로의 적재동작을 완료하게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분류 정사기의 상부바디를 개방시킨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분류 정사기의 상부바디를 개방시킨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6에서 보는바와 같이, 전면개방손잡이(12)를 작동시켜 상부바디(1)와 하부바디(2)간의 잠금 장치를 풀어 상부바디를 개방시킴으로써, 정사기내의 이송부 또는 절환부 등에서 지폐의 걸림 현상 발생 시 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분류 정사기의 후면을 개방시킨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분류 정사기의 후면을 개방시킨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8에서 보는바와 같이, 후면개방손잡이(14)를 작동시켜 후면을 개방시킴으로써, 정사기내의 후면에서 지폐의 걸림 현상 발생 시 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정사기의 전방 사시도에서는 표현될 수 없었던 제 1 밀착 이미지센서(310)와 마그네틱 센서(320), 제 2 밀착 이미지센서(330)의 형상과 위치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분류 정사기의 하부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9에서 보는바와 같이, 절환부는 감지부에 속해있는 다수의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아 절환동작을 실시하는 절환기(410)와, 지폐의 적재경로를 안내하는 다수의 적재 안내깃(420)과, 상기 절환기(410)와 상기 적재 안내깃(420)을 연결하는 절환 회전축(4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있다. 상기 절환기(410)가 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절환 회전축(430)을 좌, 우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430)과 결합되어있는 다수의 상기 적재 안내깃(420)도 함께 회전하게되어 상기 적재 안내깃(420)의 상, 하 거치각도가 변하게되고, 이에 따라 이송되는 지폐의 이송경로가 상단 적재함 또는 하단 적재함으로 선택적으로 변경됨으로써 지폐를분류하여 적재할 수 있게된다. 또한, 자외선 센서(340)의 형상 및 장착 위치를 도 9의 좌상단에 분해하여 도시한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과 실시 예를 가지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폐분류 정사기는, 이송벨트를 사용하지 않고 이송롤러와 지폐안내판을 사용하여 지폐를 이송하고 다수의 센서를 이송롤러간의 간격에 위치시킴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여러 종류의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권종별로 다양한 분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정사하고자 투입된 다수의 지폐를 1매씩 분리하여 차례로 정사기 내부로 이송하는 급지부, 지폐의 종류 및 진위, 훼손정도를 감지하는 여러 종류의 센서를 구비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아 지폐를 분류하는 절환부, 상기 절환부에 의해 분류된 지폐들을 각각 적재하는 적재부, 상기 급지부로부터 급지된 지폐를 상기 적재부까지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각 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져있는 지폐분류 정사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급지부부터 상기 적재부까지 지폐의 세로 길이보다 짧은 간격을 두며 연속적으로 위치해 있으며 서로 맞닿아 구동하는 다수의 상, 하부 이송롤러와, 상기 상, 하부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가 이송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해 주는 상, 하부 지폐안내판을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는 상기 이송롤러간의 간격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분류 정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구비된 발광다이오드가 지폐를 향해 빛을 발광하였을 때 지폐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지폐의 종류를 감지하는 제 1 밀착 이미지센서와,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지폐를 향해 빛을 발광하는 발광장치와, 상기 발광장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있으며 상기 발광장치에 의해 발광된 빛의 지폐 투과율을 감지하여 지폐의 낡고 훼손된 정도를 판단하는 제 2 밀착 이미지센서와, 지폐에 함유된 자성성분을 감지하여 지폐의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마그네틱 센서와, 지폐에 함유된 자외선 감응물질을 감지하여 지폐의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자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분류 정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밀착 이미지센서는 상기 급지부와 제 1 상부 이송롤러 및 제 1 하부 이송롤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틱 센서는 상기 제 1 밀착 이미지센서와 상기 제 1 상부 이송롤러 및 제 1 하부 이송롤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제 1 상부 이송롤러 및 제 1 하부 이송롤러와 제 2 상부 이송롤러 및 제 2 하부 이송롤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밀착 이미지센서는 상기 발광장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자외선 센서는 상기 제 2 하부 이송롤러와 제 3 하부 이송롤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분류 정사기.
KR10-2001-0055752A 2001-09-11 2001-09-11 지폐분류 정사기 KR100434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752A KR100434124B1 (ko) 2001-09-11 2001-09-11 지폐분류 정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752A KR100434124B1 (ko) 2001-09-11 2001-09-11 지폐분류 정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806U Division KR200259659Y1 (ko) 2001-09-11 2001-09-11 지폐분류 정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909A KR20030022909A (ko) 2003-03-19
KR100434124B1 true KR100434124B1 (ko) 2004-06-09

Family

ID=2772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752A KR100434124B1 (ko) 2001-09-11 2001-09-11 지폐분류 정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1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630A2 (ko) * 2009-03-26 2010-09-30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 정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and sorting banking}
KR101003311B1 (ko) 2009-07-02 2010-12-22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지폐계수기 및 지폐정사기의 마그네틱 센서 가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402B1 (ko) * 2005-04-18 2006-09-20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KR100761613B1 (ko) * 2005-08-31 2007-09-27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적층 지폐의 공급을 방지하는 지폐 출력 제어 장치
KR100832123B1 (ko) * 2006-11-27 2008-05-27 엘지엔시스(주) 매체정렬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매체자동지급기
KR100884101B1 (ko) * 2008-10-13 2009-02-19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기기상태 표시를 위한 엘이디램프가 구비된 지폐계수기 및 지폐정사기
CN102568092B (zh) * 2010-12-17 2014-04-23 辽宁聚龙金融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模块化清点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941A (ko) * 1996-08-19 1998-05-25 윤학범 지폐식별기의 지폐이송장치
JPH11134469A (ja) * 1997-10-31 1999-05-21 Sugai Sogyo:Kk 紙葉類計数処理装置
KR100245333B1 (ko) * 1997-07-11 2000-02-15 장상환 지폐분류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
KR20000036310A (ko) * 1999-12-28 2000-07-05 정훈 미국달러의 위조여부 판별장치 및 방법
KR20010009029A (ko) * 1999-07-07 2001-02-05 조영환 지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0215092Y1 (ko) * 2000-09-15 2001-03-02 염명식 지폐계수기
KR200223519Y1 (ko) * 2000-12-08 2001-05-15 주식회사엠텍월드 위조지폐판별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941A (ko) * 1996-08-19 1998-05-25 윤학범 지폐식별기의 지폐이송장치
KR100245333B1 (ko) * 1997-07-11 2000-02-15 장상환 지폐분류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
JPH11134469A (ja) * 1997-10-31 1999-05-21 Sugai Sogyo:Kk 紙葉類計数処理装置
KR20010009029A (ko) * 1999-07-07 2001-02-05 조영환 지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6310A (ko) * 1999-12-28 2000-07-05 정훈 미국달러의 위조여부 판별장치 및 방법
KR200215092Y1 (ko) * 2000-09-15 2001-03-02 염명식 지폐계수기
KR200223519Y1 (ko) * 2000-12-08 2001-05-15 주식회사엠텍월드 위조지폐판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630A2 (ko) * 2009-03-26 2010-09-30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 정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and sorting banking}
WO2010110630A3 (ko) * 2009-03-26 2011-02-10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 정사 장치 및 방법
KR200452340Y1 (ko) * 2009-03-26 2011-02-17 기산전자 주식회사 세컨드 런 기능을 가진 지폐계수기
CN102341829A (zh) * 2009-03-26 2012-02-01 起山电子株式会社 用于鉴别和分选钞票的设备和方法
CN102341829B (zh) * 2009-03-26 2014-06-11 起山电子株式会社 用于鉴别和分选钞票的设备和方法
KR101003311B1 (ko) 2009-07-02 2010-12-22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지폐계수기 및 지폐정사기의 마그네틱 센서 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909A (ko) 200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39766B2 (ja) 貨幣選別装置
EP2254096B1 (en) Bulk document feeder with removable cartridge
EP2110352A1 (en) Paper money feeder
US7458572B2 (en) Banknote feeding apparatus
TW200911668A (en) Paper leaf accumulation apparatus
US7044463B2 (en) Document feeder and method
KR100434124B1 (ko) 지폐분류 정사기
KR200259659Y1 (ko) 지폐분류 정사기
WO1993001117A1 (en) System for conveying and stacking paper pieces
KR100990113B1 (ko)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
RU227359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бумаг
JP2004529420A (ja) 書類確認方法および装置
KR101876503B1 (ko) 지폐 계수기의 지폐 걸림 방지구조
WO2012073613A1 (ja) 自動取引装置
KR860009362A (ko) 자동 입출 금전기
KR20190003261A (ko) 지폐처리장치 및 방법
KR100514631B1 (ko)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
KR100430517B1 (ko) 지폐 자동 정리 장치
KR10142354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KR100992078B1 (ko) 지폐계수기의 지폐배출 가속장치
JP2002362827A (ja) 媒体処理装置
JP3254514B2 (ja) 自動販売機等の紙幣取込・排出部
KR101070589B1 (ko) 손상용지 선별장치
KR200309135Y1 (ko)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
KR200286122Y1 (ko) 현금 자동 지급기용 지폐 급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