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113B1 -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 - Google Patents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113B1
KR100990113B1 KR1020080001804A KR20080001804A KR100990113B1 KR 100990113 B1 KR100990113 B1 KR 100990113B1 KR 1020080001804 A KR1020080001804 A KR 1020080001804A KR 20080001804 A KR20080001804 A KR 20080001804A KR 100990113 B1 KR100990113 B1 KR 100990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eed roller
contact
banknote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061A (ko
Inventor
정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카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카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카트로
Priority to KR1020080001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113B1/ko
Publication of KR20090076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지폐투입부는, 피드롤러; 지폐의 투입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피드롤러와 외주면이 상호 맞닿도록 장착되는 가압롤러, 게이트롤러, 정렬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롤러와 정렬롤러는 상기 피드롤러의 외주면 중 서로 다른 부위에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드롤러는, 상기 가압롤러와 정렬롤러가 접촉되어 회전하는 부위의 외주면에는 합성고무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롤러가 접촉되어 회전하는 부위의 외주면은 상기 합성고무부보다 마찰력이 작은 플라스틱부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는, 정렬롤러와 피드롤러 간의 마찰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가압롤러와 피드롤러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적재된 지폐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지폐만이 이송라인으로 투입되며, 정렬롤러가 가압롤러보다 피드롤러의 양 끝단 부위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므로 이송라인으로 투입되는 지폐가 틀어지거나 휘는 현상이 현저히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지폐계수기, 지폐투입, 가압롤러, 게이트롤러, 정렬롤러, 피드롤러

Description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Bill insert structure for bill c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지폐가 1장씩만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폐투입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를 많이 다루는 사업체나 금융기관 등에서는, 최근 위조범죄 증가로 인해 지폐의 위조 여부를 감식하는 작업이 늘어나고 있고, 다양한 종류의 지폐를 각각의 종류별로 분류하는 작업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급속한 산업발전으로 인해 사무자동화가 일반화되어 지폐교환기, 현금인출기 등이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거리 곳곳에 설치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지폐교환기나 현금인출기와 같은 금융업무 자동화기기의 올바른 작동과 운용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보다 깨끗하고 정격규격에 맞는 지폐가 금융업무 자동화기기에 공급되어야하는데, 깨끗하고 정격규격에 맞는 지폐를 분류하는 작업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한다는 것은 너무나 비효율적이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지폐인식 계수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지폐계수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지폐계수기의 지폐이송경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지폐계수기는, 지폐가 투입되어 이송되는 몸체(100)와, 지폐의 이송을 위한 각종 롤러와, 이송되는 지폐가 정상 지폐인지를 감지하는 각종 감지수단과, 지폐를 한 장씩 적재하기 위한 스택휠(400)과, 지폐이송 및 스택휠(400) 회전을 위한 메인모터(510) 및 휠모터(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에는, 지폐가 투입되는 지폐투입구(102)와, 투입된 지폐가 이송되는 이송라인(110)과, 이송된 지폐가 적재 및 반출되는 적재부(104) 및 반출부(106)가 구비된다. 또한, 이송라인(110)은 중단이 만곡되어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분된다. 이에 따라 이송롤러 역시 이송라인(110)의 전반부에 장착된 전반부 이송롤러(262)와 이송라인(110)의 후반부에 장착된 후반부 이송롤러(264)로 구분된다.
상기 각 이송롤러들은 모터벨트(512)를 통해 메인모터(5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지폐계수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지폐를 지폐투입구(102)에 투입하면, 픽업롤러(210)에 의해 적재된 상기 다수의 지폐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지폐가 피드롤러(220)로 급지되고, 급지되지 아니하는 그 밖의 지폐들은 게이트롤러(230)에 의해 급지가 방지된다. 이때, 상기 게이트롤러(230)의 앞쪽에는 급지되는 지폐를 피드롤러(220)에 밀착시키는 가압롤러(240)가 구비되고, 상기 게이트롤러(230)의 뒤쪽에는 가압롤러(240)를 지난 지폐를 정렬하기 위한 정렬롤러(250)가 구비된다.
따라서 급지된 지폐는 정렬롤러(250)에 의해 비틀리거나 휘는 현상 없이 정렬되어 전반부 이송롤러(262)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라인(110)의 전반부에는 지폐의 진위여부 및 훼손여부를 감지하고 지폐의 이미지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한 지폐감지센서(310) 및 이미지정보 입력센서(320)가 장착되는바, 이송라인(110)의 전반부를 지나는 지폐는 상기 지폐감지센서(310) 및 이미지정보 입력센서(320)에 의해 판별된 후 이송라인(110) 후반부를 지나게 된다.
상기 이송라인(110)의 후반부를 지난 지폐는 절환안내깃(120)에 의해 분류되어 적재부(104) 또는 반출부(106)에 적재된다. 이때, 적재부(104)에는 정상적으로 계수된 지폐가 쌓이게 되고, 반출부(106)에는 비정상적인 지폐라고 판단된 지폐가 쌓이게 된다. 또한 상기 적재부(104)에 적재되는 지폐는 휠모터(520)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스택휠(400)에 의해 한 장씩 정렬되어 상기 적재부(104)에 적재된다.
도 2는 종래 지폐계수기의 지폐 투입부분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3은 종래 지폐계수기에 포함되는 가압롤러(240) 및 정렬롤러(250)의 배열 구조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며, 도 4는 종래 지폐계수기에 포함되는 피드롤러(220)의 사시도이다.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는 지폐투입구(102)에 적재된 지폐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지폐를 순차적으로 이송롤러로 유입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맞물리는 게이트롤러(230) 및 피드롤러(220)와, 상기 게이트롤러(230)의 회전축에 힌지구조로 장착되어 상기 피트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가압롤러(240) 및 정렬롤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롤러(240)와 정렬롤러(250)는 피드롤러(220)의 동일한 부위와 접촉되도록 즉, 가압롤러(240)가 지난 부위를 정렬롤러(250)가 지나도록 나란하게 배열된다. 또한 피드롤러(220)의 외주면 절반은 비교적 마찰계수가 작은 플라스틱부(222)로 형성되고 나머지 절반은 비교적 마찰계수가 큰 합성고무부(224)로 형성된다.
따라서 정렬롤러(250)가 피드롤러(220)의 합성고무부(224)와 접촉되는 동안 지폐는 이송라인(110)으로 투입되고, 정렬롤러(250)가 피드롤러(220)의 플라스틱부(222)와 접촉되는 동안에는 지폐가 이송라인(110)으로 투입되지 아니하게 된다. 즉, 이송라인(110)으로 연달아 투입되는 두 장의 지폐는 정렬롤러(250)가 피드롤러(220)의 플라스틱부(222)와 접촉되는 거리만큼 이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가압롤러(240)와 정렬롤러(250)는 모두 합성고무부(224)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가압롤러(240)와 피드롤러(220) 간의 마찰력이 커짐으로 인하여 적재된 지폐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지 아니하는 지폐가 가압롤러(240)와 피드롤러(220) 사이로 인입되어 이송롤러로 투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적재된 지폐 중 중단에 위치하는 지폐나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지폐가 가압롤러(240)와 피드롤러(220) 간의 마찰력에 의해 이송라인(110)으 로 투입되어 지폐 계수에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정렬롤러(250)와 피드롤러(220) 간의 마찰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가압롤러(240)와 피드롤러(220)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적재된 지폐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지폐만이 이송라인(110)으로 투입되도록 구성되는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지폐투입부는,
피드롤러;
지폐의 투입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피드롤러와 외주면이 상호 맞닿도록 장착되는 가압롤러, 게이트롤러, 정렬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롤러와 정렬롤러는 상기 피드롤러의 외주면 중 서로 다른 부위에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드롤러는, 상기 정렬롤러가 접촉되어 회전하는 부위의 외주면에는 합성고무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롤러가 접촉되어 회전하는 부위의 외주면은 상기 합성고무부보다 마찰력이 작은 플라스틱부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피드롤러의 중단 외주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 되고,
상기 정렬롤러는, 상기 피드롤러의 외주면 중 상기 가압롤러가 접촉되는 지점보다 양측 끝단과 가까운 지점에 각각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게이트롤러는, 상기 피드롤러의 외주면 중 상기 정렬롤러가 접촉되어 회전하는 지점보다 양측 끝단과 가까운 지점에 각각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게이트롤러보다 직경이 작도록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롤러에 장착되며, 외주면이 상기 피드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보조급지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는, 정렬롤러(250)와 피드롤러(220) 간의 마찰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가압롤러(240)와 피드롤러(220)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적재된 지폐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지폐만이 이송라인(110)으로 투입되며, 정렬롤러(250)가 가압롤러(240)보다 피드롤러(220)의 양 끝단 부위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므로 이송라인(110)으로 투입되는 지폐가 틀어지거나 휘는 현상이 현저히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지폐계수기 중 지폐가 투입되는 부위 즉, 지폐투입부에 있는바, 지폐투입부 이외의 구성요소들은 종래의 지폐계수기에 적용되고 있는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지폐투입부를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그 이외의 지폐계수기 구조에 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계수기에 포함되는 가압롤러(240) 및 정렬롤러(250)의 배열 구조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계수기에 포함되는 피드롤러(220)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폐투입부는, 피드롤러(220)와 가압롤러(240)와 게이트롤러(230)와 정렬롤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롤러(240)와 게이트롤러(230)와 정렬롤러(250)는, 지폐의 투입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외주면이 상기 피드롤러(220)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즉, 상기 피드롤러(220)의 상측 외주면에 안착되도록 장착된다.
이때, 게이트롤러(230)는 지폐가 투입되는 반대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원웨이 클러치가 장착되어 적재된 다수의 지폐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지폐만이 상기 게이트롤러(230)와 피드롤러(220) 사이를 통과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피드롤 러(220)와 게이트롤러(230) 간의 결합구조 및 동작구조는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지폐투입부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롤러(240)와 정렬롤러(250)의 크기 및 형상이 상이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정렬롤러(250)는 상기 피드롤러(220)와 접촉되는 양측단 외주면부위(우상측에서 좌하측으로 빗금친 부위)가 가압롤러(240)가 피드롤러(220)에 접촉되는 양측단 외주면부위(좌상측에서 우하측으로 빗금친 부위)보다 피드롤러(220)의 양 끝단을 향해 넓게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가압롤러(240)와 정렬롤러(250)는 피드롤러(220)의 외주면 중 서로 다른 부위에 접촉되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피드롤러(2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롤러(240)가 접촉되어 회전하는 부위의 외주면은 모두 플라스틱부(222)로 제작되고, 상기 가압롤러(240)와 정렬롤러(250)가 접촉되어 회전하는 부위의 외주면에는 상기 플라스틱부(222)보다 마찰력이 큰 합성고무부(224)가 구비된다. 즉, 상기 가압롤러(240)와 피드롤러(220) 간의 마찰력은, 상기 가압롤러(240) 및 정렬롤러(250)와 피드롤러(220) 간의 마찰력보다 작게 된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부(222)와 합성고무부(224)는 마찰력이 상이한 두 재료의 대표적인 실시예일 뿐이며, 반드시 플라스틱과 합성고무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마찰력이 서로 다른 다양한 물질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지폐투입부가 장착된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구(102)(도 1 참조)에 다수의 지폐가 적재되어 공급될 때, 상기 정렬롤러(250)는 종래의 지폐계수기에 장착된 정렬롤러(250)와 마찬가지로 피드롤러(220)의 합성고무부(224)와 접촉되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지폐를 정렬하면서 이송라인(110)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동일하게 구현한다. 그러나, 상기 가압롤러(240)는 합성고무부(224)와는 접촉되지 아니하고 플라스틱부(222)와만 접촉되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가압롤러(240)와 피드롤러(220) 간의 마찰력에 의해 의도하지 아니한 지폐(가장 하측에 위치하지 아니하는 지폐)가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즉, 상기 가압롤러(240)는 단순히 지폐를 피드롤러(220) 측으로 가압하는 역할만을 할 뿐 지폐를 투입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역할은 하지 아니하므로, 적재된 지폐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지폐만이 한 장씩 정렬롤러(250)를 지나 이송라인(110)으로 투입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지폐투입부는, 상기 가압롤러(240)가 상기 피드롤러(220)의 중단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렬롤러(250)가 상기 피드롤러(220)의 외주면 중 상기 가압롤러(240)가 접촉되는 지점보다 양측 끝단과 가까운 지점에 각각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게이트롤러(230)가 상기 피드롤러(220)의 외주면 중 상기 정렬롤러(250)가 접촉되는 지점보다 양측 끝단과 가까운 지점에 각각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지폐투입부는 투입되는 지폐를 정렬하여 이송라인(110)으로 이송시키는 정렬롤러(250)가 가압롤러(240)보다 더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므로, 지폐의 가운데 부위를 끌어 당겨 이송라인(110)으로 이송시키는 것이 아니라 지폐의 좌우측 부위를 끌어 당겨 이송라인(110)으로 이송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지폐 이송 시 지폐가 좌우로 틀어지거나 휘는 현상이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압롤러(240)는 일단이 상기 게이트롤러(230)의 회전축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롤러(240)의 회전축에 힌지 결합되는 별도의 가압롤러 결합링크에 의해 상기 게이트롤러(230)의 회전축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가압롤러(240)와 정렬롤러(250)가 별도의 결합링크에 의해 게이트롤러(230)의 회전축에 체결되면, 상기 가압롤러(240)와 정렬롤러(250)가 자중에 의해 상기 피드롤러(220)의 외주면 상측 부위에 밀착되므로, 자연스럽게 지폐를 피드롤러(220)측으로 가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게이트롤러의 외측에는 상기 게이트롤러보다 직경이 작도록 형성된 보조급지롤러(232)가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보조급지롤러(232)는 지폐를 피드롤러(220)의 외주면 측단으로 지폐 양단을 밀착시켜서 피드롤러(220)에 의한 지폐 공급력을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급지롤러(232)는 지폐의 표면 마찰계수가 낮은 경우에 비정상적으로 지폐가 공급되는 현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호주(Australia) 지폐와 같이 재질이 플라스틱인 경우에 더욱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지폐계수기의 지폐이송경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지폐계수기의 지폐 투입부분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종래 지폐계수기에 포함되는 가압롤러 및 정렬롤러의 배열 구조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4는 종래 지폐계수기에 포함되는 피드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계수기의 지폐 투입부분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계수기에 포함되는 가압롤러 및 정렬롤러의 배열 구조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계수기에 포함되는 피드롤러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02 : 지폐투입구
210 : 픽업롤러 220 : 피드롤러
230 : 게이트롤러 240 : 가압롤러
250 : 정렬롤러

Claims (5)

  1. 피드롤러(220);
    지폐의 투입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피드롤러(220)와 외주면이 상호 맞닿도록 장착되는 가압롤러(240), 게이트롤러(230), 정렬롤러(250);
    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롤러(240)와 정렬롤러(250)는 상기 피드롤러(220)의 외주면 중 서로 다른 부위에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드롤러(220)는, 상기 정렬롤러(250)가 접촉되어 회전하는 부위의 외주면과 상기 가압롤러(240)가 접촉되어 회전하는 부위의 외주면이 마찰계수가 상이한 재료로 제작되고,
    상기 가압롤러(240)는, 상기 피드롤러(220)의 중단 외주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렬롤러(250)는, 상기 피드롤러(220)의 외주면 중 상기 가압롤러(240)가 접촉되는 지점보다 상기 피드롤러(220)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과 가까운 지점에 각각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롤러(220)는, 상기 정렬롤러(250)가 접촉되어 회전하는 부위의 외주면에는 합성고무부(224)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롤러(240)가 접촉되어 회전하는 부위의 외주면은 상기 합성고무부(224)보다 마찰력이 작은 플라스틱부(22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롤러(230)는, 상기 피드롤러(220)의 외주면 중 상기 정렬롤러(250)가 접촉되어 회전하는 지점보다 상기 피드롤러(220)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과 가까운 지점에 각각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롤러(230)보다 직경이 작도록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롤러(230)에 장착되며, 외주면이 상기 피드롤러(22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보조급지롤러(23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
KR1020080001804A 2008-01-07 2008-01-07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 KR100990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804A KR100990113B1 (ko) 2008-01-07 2008-01-07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804A KR100990113B1 (ko) 2008-01-07 2008-01-07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061A KR20090076061A (ko) 2009-07-13
KR100990113B1 true KR100990113B1 (ko) 2010-10-29

Family

ID=41333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804A KR100990113B1 (ko) 2008-01-07 2008-01-07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1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322B1 (ko) * 2014-04-16 2015-07-13 김선호 지폐 투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314B1 (ko) * 2020-05-14 2022-01-14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종이 및 폴리머 재질 매체의 통합 분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0833A1 (ja) * 2004-10-12 2006-04-20 Glory Ltd. 紙幣識別計数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0833A1 (ja) * 2004-10-12 2006-04-20 Glory Ltd. 紙幣識別計数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322B1 (ko) * 2014-04-16 2015-07-13 김선호 지폐 투입 장치
WO2015160123A1 (ko) * 2014-04-16 2015-10-22 김선호 지폐 투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061A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8327B2 (en) Paper sheet handling machine
JP4680302B2 (ja) 紙幣繰出装置
US7458572B2 (en) Banknote feeding apparatus
JP5091628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4715656B2 (ja) 媒体処理装置
KR100990113B1 (ko)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
KR101120931B1 (ko) 지엽류 분리 기구
KR100434124B1 (ko) 지폐분류 정사기
KR101414754B1 (ko) 지엽류 속출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JP5266918B2 (ja) 媒体分離方法および媒体分離構造
KR101876503B1 (ko) 지폐 계수기의 지폐 걸림 방지구조
KR200472152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 구조
JP5176739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金銭処理機
JP5287277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金銭処理機
JP6531668B2 (ja) 硬貨処理装置
KR200259659Y1 (ko) 지폐분류 정사기
WO2010004845A1 (ja) 媒体収納操出装置
KR100992078B1 (ko) 지폐계수기의 지폐배출 가속장치
KR102037404B1 (ko) 지폐계수기의 덮개 개폐구조
US9990793B2 (en) Media item separation
KR100966678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KR10142354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JP5458634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金銭処理機
JP4608814B2 (ja) 媒体処理装置
KR20070121341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반송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