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631B1 -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 - Google Patents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631B1
KR100514631B1 KR10-2003-0001481A KR20030001481A KR100514631B1 KR 100514631 B1 KR100514631 B1 KR 100514631B1 KR 20030001481 A KR20030001481 A KR 20030001481A KR 100514631 B1 KR100514631 B1 KR 100514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roller
bills
bil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3490A (ko
Inventor
김형봉
Original Assignee
(주)미래생활환경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생활환경연구원 filed Critical (주)미래생활환경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01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631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지폐(50)의 투입시점부터 지폐(50)에 대한 불량 유무를 감지하여 양품권과 불량권으로 자동 구분시키는 것은 물론, 구분된 정상 지폐와 불량 지폐 각각에 대한 정확한 계수동작이 이루어져 표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지폐(50)의 분권작업과 계수작업을 별도로 해야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이를 위해 지폐(50)의 유무를 감지하는 유무감지센서(30)와, 이송되는 지폐(50)가 피딩롤러(23)와 컨트롤롤러(21)를 통해 플레인벨트(44)쪽 중간부위로 이송될 때 오염 및 소손을 감지하는 오염감지센서(33) 및 소손감지센서(31)와, DC모터(41)와 동력 연결된 픽업롤러(20)와 피딩롤러(23) 및 컨트롤롤러(21)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센서(34)와, 지폐(50)의 불량 유무가 확인되면 지폐(50)의 방출방향을 전환시키는 솔레노이드부(43)와, 방출되는 정상 지폐 및 불량 지폐에 대해 계수하는 지폐계수센서(32)와, 지폐(50)의 전체적인 개수 및 양품권과 불량권에 대한 각각의 개수가 표시되는 화면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 {A Cash Process System With A Counter & Shunt Winding Function}
본 발명은 지폐에 대한 불량 유무의 구분 및 계수를 함께 할 수 있는 현금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의 불량 유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구분된 정상 지폐 및 불량 지폐 각각에 대한 정확한 계수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지폐의 분권작업과 계수작업을 한 개의 기기에서 동시에 할 수 있는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소개된 지폐계수기는 단순히 지폐를 계수하는 역할만 할 뿐 정상 지폐와 불량 지폐를 선별할 수 있는 분권기능이 없는 관계로 은행직원들은 고객들로부터 입금된 지폐를 계수하여 보관하였으며, 다시 현금자동지급기인 CD기나 ATM기를 통하여 출금시키고자 할 때 불량 지폐에 의하여 이들 현금자동지급기가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보관된 지폐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정상 지폐와 불량지폐를 선별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하였다.
특히, 기기 제작사마다 횟수는 다르지만 고객의 현금 인출의사에 따라 기기가 작동되면서 현금이 정상적으로 인출 동작되지 못하고 여러 번 리젝트(Reject)되면 기기가 동작을 멈추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은행직원이 기기를 다시 개국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발생시키게 될 수밖에 없어 이러한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별수 없이 기기에 장입시킬 지폐를 별도로 수기 선별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지폐의 투입시점부터 지폐에 대한 불량 유무를 감지하여 정상 지폐와 불량 지폐로 자동 구분시키는 것은 물론, 구분된 정상 지폐와 불량 지폐 각각에 대한 정확한 계수동작이 이루어져 표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지폐의 분권작업과 계수작업을 별도로 해야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는 한 개의 기기에서 분권작업과 계수작업이 동시에 처리된 지폐의 전체 개수 및 정상 지폐와 불량지폐에 대한 각각의 개수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화면 표시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선별된 정상 지폐 또는 불량 지폐에 대해 선택적으로 연결 사용될 수 있는 별도의 밴딩기로서 각각 구별하여 편리하게 밴딩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는 기본적으로 케이스 상측의 지폐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의 유무를 감지하는 유무감지센서와, 픽업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가 피딩롤러와 컨트롤롤러를 통해 플레인벨트쪽 중간부위로 이송될 때 지폐의 오염 및 소손을 감지하는 오염감지센서 및 소손감지센서와, 휠기어를 통해 DC모터와 동력 연결된 이들 픽업롤러와 피딩롤러 및 컨트롤롤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센서와, 지폐의 불량 유무가 이들 오염감지센서 및 소손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어 컨트롤부에 의해 확인되면 양품권방출부 또는 불량권방출부로 지폐의 방출방향을 전환시키는 솔레노이드부와, 방출롤러에 의해 이들 양품권방출부 또는 불량권방출부쪽으로 방출되는 정상 지폐 및 불량 지폐에 대해 계수하는 지폐계수센서와, 선별된 지폐가 케이스 밖으로 원활하게 방출될 수 있게 안내하는 가이드와, 지폐의 전체적인 개수 및 양품권과 불량권에 대한 각각의 개수가 표시되는 화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레인벨트는 각각 양쪽에 피딩롤러가 설치되어 타이밍벨트를 통해 스테밍모터와 동력 연결되며, 지폐투입부쪽의 피딩롤러 및 솔레노이드부쪽의 방출롤러에는 지폐의 원활한 이송 동작을 유도하는 윙이 설치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고객으로부터 입금되는 시점에서 CD기나 ATM기에서 유통될 수 없는 지폐를 선별하고 정상 지폐와 불량 지폐에 대해 각각 계수할 수 있도록 발명한 본 발명의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금지급기의 외부구조 및 내부구조를 각각 도시한 것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현금처리기의 센서부분 작동구조 및 솔레노이드부 작동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10) 상측에는 지폐(50)를 투입시키기 위한 지폐투입부(51) 및 투입된 지폐(50)를 이송시키는 픽업롤러(Pick Up Roller)(20)가 설치되며, 상기 지폐투입부(51) 안쪽으로는 픽업롤러(20)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50)가 케이스(10) 내부 중간부위에 위치하는 소손감지센서(31) 및 오염감지센서(33)쪽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컨트롤롤러(Control Roller)(21)와 피딩롤러(Feeding Roller)(23)가 설치된다.
아울러 이들 컨트롤롤러(21)와 피딩롤러(23)가 DC모터(41)의 구동에 따라 일정속도로 회전 동작되면서 지폐(50)를 케이스(10) 중간부위에 위치하는 피딩롤러(23)쪽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DC모터(41)와 위쪽의 피딩롤러(21)가 휠기어(40)로 동력 연결되며, 상기 휠기어(40)쪽에는 컨트롤롤러(21)와 피딩롤러(23)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DC모터(51)의 구동속도를 조절하게 되는 속도조절센서(34)가 설치된다.
그리고 피딩롤러(23) 아래쪽의 케이스(10) 중간부분에는 상기 피딩롤러(23)와 컨트롤롤러(21)에 의해 이송되어 낙하되는 지폐(50)가 소손감지센서(31) 및 오염감지센서(33)를 통과하여 솔레노이드부(43)가 위치한 케이스(10) 하측부위쪽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플레인벨트(44)가 설치되며, 상기 플레인벨트(44)는 각각 양쪽의 피딩롤러(2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스테핑모터(42)와 동력 연결된다.
즉, 한쪽의 피딩롤러(23)가 타이밍벨트(45)를 통해 스테핑모터(42)와 동력 연결되어 상기 스테핑모터(42)의 동력에 의해 양쪽의 플레인벨트(44)를 함께 회전 동작되도록 하며, 상기 플레인벨트(44)의 일측에는 이송 통과되는 지폐(50)의 소손 및 오염이 자동으로 감지되어 컨트롤부(도면도시 생략)로 신호 전달될 수 있도록 소손감지센서(31)와 오염감지센서(33)가 설치된다.
그리고 플레인벨트(44)를 통과하는 지폐(50)의 불량 유무가 소손감지센서(31)및 오염감지센서(33)에 의해 감지되어 확인되면 정상 화폐와 불량 화폐로 구별되어 양품권방출부(52)와 불량권방출부(53)쪽으로 각각 방출될 수 있도록 지폐(50)의 방출방향을 전환시키는 솔레노이드부(43)가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부(43)를 중심으로 플레인벨트(44)와 이들 양품권방출부(52) 및 불량권방출부(53) 사이에는 지폐(50)를 이송시키게 되는 해당 방출롤러(24)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방출롤러(24)와 피딩롤러(23)에는 각각 이송되는 지폐(50)가 위치 이탈되지 않고 정확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의 윙(25)이 설치 돌출되며, 각각의 방출롤러(24)에는 외부 방출되는 지폐(50)의 개수를 계수하게 되는 지폐계수센서(34)가 설치되는데, 이들 지폐개수센서(34)는 정상 지폐와 불량 지폐의 전체 개수가 계수될 수 있으면서 각각의 개수도 계수되어 케이스(10) 외부상측의 화면부(12)에 표시될 수 있도록 컨트롤부와 신호 연결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방출롤러(24)에 의해 지폐(50)가 케이스(10) 밖으로 정확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11)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11) 중앙과 양측으로는 게이트(16)와 접이식가이드(15)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케이스(10) 외부일측에는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커넥터(14)가 구성됨은 물론이다.
또한 케이스(10) 상부 일측에는 솔레노이드부(43)의 제어 동작에 따라 선별되어 방출되는 정상 지폐 또는 불량 지폐에 대해 별도의 밴딩기(도면도시 생략)로서 밴딩처리될 수 있도록 접이식가이드(15)를 접힘 동작시키게 하는 밴딩스위치(13)가 부착되며, 미설명한 도면부호 22는 해당 방출롤러(24) 및 피딩롤러(23)가 아이들링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아이들롤러(22)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장치 구성되는 본 발명의 현금처리기는 지폐(50)를 장입시키기 위하여 지폐투입부(51)에 올려놓으면, 투입되는 지폐(50)의 유무가 유무감지센서(30)에 의해 감지되면서 컨트롤부의 명령에 따라 DC모터(41)가 구동되며, 휠기어(40)를 매개로 상기 DC모터(41)와 동력 연결된 위쪽의 피딩롤러(23) 및 컨트롤롤러(21)와 함께 픽업 롤러(20)가 회전되면서 상기 지폐투입부(51)로부터의 지폐(50)를 케이스(10) 내부중간의 플레인벨트(44)쪽으로 이송 낙하시키게 된다.
이때 피딩롤러(23)를 타고 아래쪽의 플레인벨트(44)쪽으로 이송되는 지폐(50)는 상기 피딩롤러(23)에 설치 돌출된 윙(25)에 의해 위치 이탈되지 않고 정확하게 낙하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인벨트(44)는 양쪽의 피딩롤러(23)에 의해 회전 동작되면서 이송 통과되는 지폐(50)는 소손감지센서(31) 및 오염감지센서(33)에 의해 소손 및 오염 정도가 자동으로 감지되어 콘트롤부로 신호 전달된다.
아울러 플레인벨트(44)는 타이밍벨트(45)를 통해 스테핑모터(42)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 동작되며, 소손감지센서(31) 및 오염감지센서(33)를 통해 감지되는 지폐(50)의 불량 유무는 콘트롤부에 의해 판단되어 지폐(50)가 정상이면 양품권방출부(52)쪽으로 정상 지폐가 방출되고 동시에 지폐(50)가 불량이면 불량권방출부(53)쪽으로 불량 지폐가 방출되는데, 이들 양품권방출부(52)와 불량권방출부(53)쪽으로의 해당 지폐(50)에 대한 방출방향은 솔레노이드부(43)에 의해 자동 조절되어 작동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부(43)를 통해 자동 조절되어 양품권방출부(52) 및 불량권방출부(53)로 각각 방출되는 지폐(50)는 이들 해당 방향의 방출롤러(24)쪽에 설치된 지폐계수센서(32)에 의해 각각 감지 계수되며, 계수된 전체적인 지폐(50)의 개수 및 불량 지폐 또는 정상 지폐의 개수가 콘트롤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화면부(12)에 표시된다.
한편, 지폐(50)에 불량 유무 및 개수가 판단되어 방출되면 케이스(10) 외부상측에 설치된 밴딩스위치(13)를 작동시켜 솔레노이드부(43)의 제어 동작에 따라 선별되어 방출된 정상 지폐 또는 불량 지폐가 별도의 밴딩기에 의해 편리하게 밴딩처리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는 단순히 지폐를 계수하는 역할을 할 뿐 불량권을 선별하지 못하였던 기존의 지폐계수기와는 달리, 지폐의 불량 유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구분된 정상 지폐 및 불량 지폐 각각에 대한 정확한 계수동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지폐의 분권작업과 계수작업을 한 개의 기기에서 동시에 할 수 있게 됨으로서, 입금된 지폐를 ATM기나 CD기를 통하여 출금시키고자 할 때 지폐의 불량 여부를 은행 직원들이 하나하나 수작업으로 선별해야만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지폐의 상태(구겨짐, 찢어짐, 오염정도 등)를 자동으로 선별하고 화면부를 통하여 유통 가능한 지폐의 개수 및 자동지급기로 사용 불가능한 지폐의 개수까지도 편리하고 정확하게 표시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현금취급자는 자동화기기로 취급이 불가능한 지폐를 사용 가능한 지폐로 교환하여 주면 다른 작업 없이 계수된 지폐를 자동지급기에 바로 투입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결과적으로 은행직원이 기기를 다시 개국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구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현금지급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현금지급기 내부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현금처리기의 센서부분 작동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현금처리기의 솔레노이드부 작동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스 11 : 가이드
12 : 화면부 13 : 밴딩스위치
14 : 커넥터 15 : 접이식가이드
16 : 게이트 20 : 픽업롤러
21 : 컨트롤롤러 22 : 아이들롤러
23 : 피딩롤러 24 : 방출롤러
25 : 윙 30 : 유무감지센서
31 : 소손감지센서 32 : 지폐계수센서
33 : 오염감지센서 34 : 속도조절센서
40 : 휠기어 41 : DC모터
42 : 스텝핑모터 43 : 솔레노이드부
44 : 플레인벨트 45 : 타이밍벨트
50 : 지폐 51 : 지폐투입부
52 : 양품권방출부 53 : 불량권방출부

Claims (3)

  1. 지폐의 투입시점부터 지폐에 대한 불량 유무를 감지하여 양품권과 불량권으로 자동 구분시키는 현금처리기에 있어서,
    케이스(10) 상측의 지폐투입부(51)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50)의 유무를 감지하는 유무감지센서(30)와,
    픽업롤러(20)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50)가 피딩롤러(23)와 컨트롤롤러(21)를 통해 플레인벨트(44)쪽 중간부위로 이송될 때 지폐의 오염 및 소손을 감지하는 오염감지센서(33) 및 소손감지센서(31)와,
    휠기어(40)를 통해 DC모터(41)와 동력 연결된 이들 픽업롤러(20)와 피딩롤러(23) 및 컨트롤롤러(21)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조절하는 속도조절센서(34)와,
    지폐(50)의 불량 유무가 이들 오염감지센서(33) 및 소손감지센서(31)를 통해 감지되어 컨트롤부에 의해 확인되면 양품권방출부(52) 또는 불량권방출부(53)로 지폐(50)의 방출방향을 전환시키는 솔레노이드부(43)와,
    방출롤러(24)에 의해 이들 양품권방출부(52) 또는 불량권방출부(53)쪽으로 방출되는 정상 지폐 및 불량 지폐에 대해 계수하는 지폐계수센서(32)와,
    선별된 지폐(50)가 케이스(10) 밖으로 원활하게 방출될 수 있게 안내하는 가이드(11)와,
    지폐(50)의 전체적인 개수 및 양품권과 불량권에 대한 각각의 개수가 표시되는 화면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플레인벨트(44)는 각각 양쪽에 피딩롤러(23)가 설치되는 타이밍벨트(45)를 통해 스테밍모터(42)와 동력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투입부(51)쪽의 피딩롤러(23) 및 솔레노이드부(43)쪽의 방출롤러(24)에는 지폐(50)의 원활한 이송 동작을 유도하는 윙(25)이 설치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
KR10-2003-0001481A 2003-01-09 2003-01-09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 KR100514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481A KR100514631B1 (ko) 2003-01-09 2003-01-09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481A KR100514631B1 (ko) 2003-01-09 2003-01-09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343U Division KR200309135Y1 (ko) 2002-09-19 2002-09-19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490A KR20030013490A (ko) 2003-02-14
KR100514631B1 true KR100514631B1 (ko) 2005-09-14

Family

ID=27730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481A KR100514631B1 (ko) 2003-01-09 2003-01-09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4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101B1 (ko) * 2008-10-13 2009-02-19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기기상태 표시를 위한 엘이디램프가 구비된 지폐계수기 및 지폐정사기
KR102417037B1 (ko) * 2015-09-11 2022-07-06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949B1 (ko) * 1993-07-01 1997-12-22 구자홍 지폐출납기의 전환(diverting)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949B1 (ko) * 1993-07-01 1997-12-22 구자홍 지폐출납기의 전환(diverting)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490A (ko) 200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39766B2 (ja) 貨幣選別装置
JP3741893B2 (ja) 紙幣整理機
JP3537697B2 (ja) 紙幣整理機
JP2000259895A (ja) 紙幣整理機
WO1993007588A1 (en) Changing machine having function of judging wear of bill
JPS6145278B2 (ko)
JPS6114557B2 (ko)
KR100514631B1 (ko)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
JPS6141439B2 (ko)
KR200309135Y1 (ko)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
JP3547648B2 (ja) 硬貨入出金機
KR101876503B1 (ko) 지폐 계수기의 지폐 걸림 방지구조
JP3288252B2 (ja) 貨幣入出金機
JPH06342487A (ja) 紙葉類計数装置
JP3652556B2 (ja) 硬貨入出金機
JP3336226B2 (ja) 硬貨処理機
JP3359840B2 (ja) 紙幣処理機
JPH0319017Y2 (ko)
JP3288952B2 (ja) 硬貨処理機
JP2680336B2 (ja) 自動取引装置
JP2000090316A (ja) 貨幣処理装置
JP3234156B2 (ja) 紙幣処理機
JP2589242Y2 (ja) 硬貨収納投出装置
JP2637152B2 (ja) 自動取引装置
JP2636543B2 (ja) 硬貨整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