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333B1 - 지폐분류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지폐분류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333B1
KR100245333B1 KR1019970032334A KR19970032334A KR100245333B1 KR 100245333 B1 KR100245333 B1 KR 100245333B1 KR 1019970032334 A KR1019970032334 A KR 1019970032334A KR 19970032334 A KR19970032334 A KR 19970032334A KR 100245333 B1 KR100245333 B1 KR 100245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anknote
sensor
drive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812A (ko
Inventor
김성암
장상환
Original Assignee
장상환
기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환, 기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상환
Priority to KR1019970032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333B1/ko
Publication of KR19990009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15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reciprocating and rotatable in one directi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 B65H2511/514Particular portion of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기관등에서 투입된 지폐를 낱매씩 분리하여 지폐의 종류 및 매수를 계수함과 동시에 지폐의 진위감정을 실시하여 분류하는 지폐분류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동력전달풀리(9)를 갖춘 하부바디(10)와, 이 하부바디(10)에 힌지식 피동축(11)으로 연결되어 하부바디(10)의 동력전달용기어(12a)에 맞물린 동력전달용기어(12b)를 갖춘 상부바디(13)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바디(10)의 지폐진입 선단쪽에는 하부피동롤러축(16)과 하부두께롤러(18), 하부전방지폐안내판(19a), 하부센서바디(20), 일렬의 전·후방지폐밀착롤러들(21a,21b), 및 하부후방지폐안내판(19b)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한편, 상기 상부바디(13)의 지폐진입 선단쪽에는 롤러(22)를 갖춘 상부피동전달축(23)과, 상부두께롤러(24), 상부지폐안내판(19c), 상부지폐밀착롤러(25) 및, 센서들이 설치되는 상부센서바디(26)로 이루어져, 투입된 지폐의 인식 및 반응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권종별 분류 작업이 정확한 데이터에 의해 확실하게 이루어지면서 소형의 콤팩트화가 가능하고, 더욱이 정사의 정도를 관리자의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지폐분류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
본 발명은, 금융기관등에서 투입된 지폐를 낱매씩 분리하여 지폐의 종류 및 매수를 계수함과 동시에 지폐의 진위감정을 실시하여 분류하는 지폐분류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관 등에서는 사회의 급속한 환경변화와 인해 사무자동화의 일환으로 현금지금기, 지폐교환기, A. T. M. 기기들이 설치되어 사무업무의 효율을 제고시키고 있는바, 이러한 업무자동화기기들에서 정확한 작동과 운용을 위해서는 보다 깨끗한 지폐들이 공급되어야 운용에 지장이 없을 뿐만 아니라 고객들도 보다 깨끗한 지폐들을 공급받기를 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수작업으로 지폐분류 및 계수를 하게 되는 비효율적인 업무를 개선시키기 위해 종래에도 지폐분류정사기 외국에서 도입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 지폐분류정사기는 국내 지폐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지폐를 분류 정사하기 때문에 작동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또한 고가의 장비 뿐만 아니라 그 크기도 대형화인 관계로 널리 보급되지 못한 실정이다.
종래 이러한 지폐분류정사기의 기능을 살펴보면, 지폐투입구로 일괄 투입된 지폐는 낱장씩 분리되어 지폐의 종류 및 매수를 계수함과 더불어 지폐의 진위를 감정한 후 수취배출구인 포켓쪽으로 금종별로 분류 취출되는바,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국내의 만원권, 오천원권, 천원권 지폐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여 작동오류가 빈번하게 발생됨에 따라 관리자는 재세팅한 후 다시 지폐를 재투입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도 지니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투입된 지폐의 인식 및 반응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권종별 분류 작업이 정확한 데이터에 의해 확실하게 이루어지면서 소형의 콤팩트화가 가능하고, 더욱이 정사의 정도를 관리자의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된 지폐분류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분류정사기의 외관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I-I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인 지폐판독인식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서 하부바디와 상부바디의 열림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제3도의 측단면도.
제6도는 하부바디의 평면도.
제7도는 상부바디의 평면도.
제8도는 판독인식장치에서 센서들의 구성배열을 기호로 표시한 개략도.
제9도는 지폐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지폐의 밀착성을 나타낸 설명도.
제10도는 반사광 감지형태의 지폐보정성과 밀착성을 나타낸 설명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분류정사기의 전체 운영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지폐투입구
3a,3b,3c : 배출포켓부 4 : 표시부
5 : 판독인식장치 6a,6b : 절환블레이드
7 : 전원부 8 : 동력부
9 : 동력전달풀리 10 : 하부바디
11 : 피동축 12a,12b : 동력전달용기어
13 : 상부바디 14a,14b : 상·하부이송벨트
15 : 하부롤러 16 : 하부피동롤러축
17 : 벨트 18 : 하부두께롤러
19a,19b : 지폐안내판 20 : 하부센서바디
21a,21b : 지폐밀착롤러 22 : 상부롤러
23 : 상부피동전달축 24 : 상부두께롤러
25 : 상부밀착롤러 26 : 상부센서바디
27 : 수광소자 28 : 발광소자
29 : 로타리엔코더 30 : 칼라센서
31 : 반사센서 32 : 적외선광원
33 : 상부지폐안내판 34a,34b : 칼라센서 보정면
35 : 포토센서 36 : 두께센서
37 : 칼라센서 38 : 반사센서
39 : 자기센서 40 : 두께센서축
41 : 스프링 42 : 이송경로
43 : 분리기구 로울러 101 : 운영소프트웨어
102 : 운영보조소프트웨어 103 : 연산주제어 CPU
104 : 구동장치 105 : 표시장치
106 : 제어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전에 후술 기재되는 용어의 일부를 정의하면, 지폐의 정사기능은 신권과 구권 즉, 헌지폐와 새지폐를 분류하는 기능이고, 지폐의 권종기능은 금액별 지폐의 지정액수만큼을 가려내어 분류하는 기능을 말하며, 지폐의 표리기능은 지폐의 앞, 뒷면을 분류하여 가려내는 것이며, 지폐의 위폐 감별기능은 지폐의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정사하고자 하는 지폐뭉치를 투입하는 지폐투입구와, 투입된 지폐를 낱장씩 이송하여 판별인식하는 판독인식장치, 이 판독인식장치를 통과한 지폐가 절환블레이드의 절환작용에 의해 단계로 분류포켓부로 정사 분류되어 카운팅 처리되는 지폐분류정사기에 있어서, 상기 지폐판독인식장치는 동력부에서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으로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풀리를 갖춘 하부바디와 이 하부 바디에 힌지식 피동축으로 연결되어 동력전달용기어들이 설치된 상부바디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바디의 진입선단 쪽에는 동력전달풀리의 축과 이송벨트를 매개로 연결된 롤러를 갖춘 하부피동전달축과, 이 하부피동전달축과 다른 벨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하부두께롤러, 상기 하부두께롤러와 피동전달축의 롤러사이에 설치된 전방지폐안내판, 이 지폐안내판의 뒤쪽에 설치된 하부센서바디, 상기 하부 두께롤러의 후방쪽에 설치되어 통과하는 지폐를 밀착하는 일렬의 전·후방지폐안내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상부바디의 진입선단쪽에는 이 동력전달용기어를 갖춘 피동축과 이송벨트를 매개로 연결된 롤러를 갖춘 상부피동전달축과, 이 상부 피동전달축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두께롤러에 대향위치된 상부두께롤러, 이 상부두께롤러에 이웃하여 설치되어 통과되는 지폐를 밀착하는 상부 지폐밀착롤러 및, 센서들이 설치되는 상부센서바디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피동롤러축의 롤러와 하부두께롤러 사이에는 상부바디의 수광소자들에 대향된 발광소자가 설치되고, 진입된 지폐를 카운팅하는 로타리엔코더를 갖추고, 하부센서바디에는 상부칼라센서 보정면에 대응된 칼라센서들과 반사센서가 설치되면서 상기 적외선광원이 상부바디의 포토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바디의 지폐진입부인 지폐안내판에는 하부바디의 발광소자에 대응된 수광소자들이 설치되고, 후술하는 지폐의 삽입위치와 투과율을 판단하는 회전각센서인 두께센서가 설치되면, 상기 적외선광원에 대응하여 포토센서가 그리고 이 포토센서에 이웃하여 칼라센서와 반사센서 및, 자기센서들이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폐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는 데이터버스를 매개로 운영소프트웨어 회로부와 운영보조소프트웨어 회로부를 갖춘 연산주제어 CPU와 상호 연결되고 상기 연산주제어 CPU는 제어장치를 통하여 구동장치부와 표시장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과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의 외관에는 정사하고자 하는 지폐뭉치를 투입하는 지폐투입구(2)와, 각종 정사 분류된 지폐를 배출하는 배출 포켓부들(3a,3b,3c) 및 각종 기능 및 오작동표시부(4)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이 투입구(2)에 투입된 지폐를 공지의 로울러들을 매개로 낱장씩 이송하여 판별하는 판독인식장치(5)를 갖추고 이 판독인식장치(5)를 통과한 지폐는 절환블레이드들(6a,6b)의 절환작용에 의해 단계적으로 분류되어 배출포켓부(3a,3b,3c)로 배출되어 지는바, 즉 본 발명의 구조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전원부(7)에 연결된 동력부(8)와 정사하고자 하는 지폐뭉치를 투입하는 지폐투입구(2), 투입된 지폐를 낱장씩 이송하여 판별 인식하는 지폐판독인식장치(5), 이 판독인식장치(5)를 통과한 지폐가 이송경로(42)를 거쳐 절환블레이드(6a,6b)들에 의해 단계별로 분류포켓부(3a,3b,3c)로 정사분류되어 카운팅처리되는 지폐분류정사기에 있어서, 상기 지폐판독인식장치(5)는 상기 동력부(8)에서 공지의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 수단으로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풀리(9)를 갖춘 하부바디(10)와, 이 하부바디(10)에 힌지식 피동축(11)으로 연결되어 하부바디(10)의 동력전달용기어(12a)에 맞물린 동력전달용기어(12b)를 갖춘 상부바디(13)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바디(10)의 지폐진입 선단쪽에는 동력전달출리(9)의 축(9a)과 하부이송벨트(14a)를 매개로 연결된 롤러(15)를 갖춘 하부피동롤러축(16)과, 이 하부피동전달축(16)과 다른 벨트(17, 제5도에 도시됨)를 매개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하부두께롤러(18), 상기 하부두께롤러(18)와 하부피동롤러축(16)의 롤러(15) 사이에 설치된 하부전방지폐안내판(19a), 이 하부전방지폐안내판(19a)의 뒤쪽으로 설치되는 하부센서바디(20), 상기 하부두께롤러(18)의 후방쪽으로 설치되어 통과하는 지폐를 밀착하는 일렬의 전·후방 지폐밀착롤러들(21a,21b) 및, 상기 후방지폐밀착롤러(21b)의 뒤쪽에 설치된 하부 후방지폐안내판(19b)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한편, 상기 상부바디(130의 지폐진입 선단쪽에는 이 하부바디(10)의 동력전달용기어(12a)에 맞물린 기어(12b)를 갖춘 피동축(11)에 상부이송벨트(14a)를 매개로 연결된 롤러(22)를 갖춘 상부피동전달축(23)과, 이 상부피동전달축(23)의 뒤쪽에 설치되어 하부두께롤러(18)에 대향위치된 상부두께롤러(24), 상기 하부전방지폐안내판(19a)에 대응된 상부지폐안내판(19c), 이 상부두께롤러(24)에 이웃하여 설치되어 통과하는 지폐를 밀착하는 상부지폐밀착롤러(25) 및, 센서들이 설치되는 상부센서바디(26)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피동롤러축(16)의 롤러(150와 하부두께롤러(18) 사이에는 상부바디(13)의 수광소자(27)들에 대향된 발광소자(28)가 설치되고 진입된 지폐를 카운팅하는 로타리엔코더(29)를 갖추고, 이 하부센서바디(20)에는 상부칼라센서 보정면(34b)에 대응된 칼라센서들(30)과 반사센서(31)가 설치되면서 이의 적외선광원(32)이 설치된 상부바디(13)의 포토센서(35)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바디(13)의 지폐진입부인 상부지폐안내판(33)에는 하부바디(10)의 발광소자(28)의 대응위치에 수광소자(27)가 설치되고, 후술하는 지폐의 삽입위치와 투과율을 판단하는 회전각센서인 두께센서(36)가 설치되며, 이 상부센서바디(26)에는 상기 적외선광원(32)에 대응하여 포토센서(35), 그리고 이 포토센서(35)에 이웃하여 칼라센서(37)와 반사센서(38) 및 자기센서(39)들이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하고자 하는 지폐를 투입부(4)에 넣게되면, 지폐는 분리기구 로울러(43)에 1매씩 분리되어 이송경로(42)를 따라 지폐판독인식장치(5)로 진입한다. 그리고 지폐는 상기 지폐판독인식장치(5)에서 후술하는 각각의 센서들과 로울러 등에 의해서 지폐의 정사, 권종, 표리 및 진위여부를 감별 및 검지되어 이송경로(42)의 로울러들에 의해 이송되어 판정된 지폐는 절환블레이들(6a,6b)에 의해서 각각의 배출포켓부(3a,3b,3c)로 반출되어 카운팅되어 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지폐의 권종과 면을 판단하는 패턴인식을 위해서 칼라 센서들(30,37)을 이용하고 있는바, 종래 장치에서는 지폐의 패턴인식을 위해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고 있는데, 국내지폐는 이 적외선 반사식센서의 반응정도가 약하여 패턴인식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적외선이 지폐를 투과하는 투과율은 문양과 색상이 달라도 변화가 거의 없음에 따라 지폐의 문양에 사용되는 염료에 대한 적외선 의존성이 미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칼라센서들(30,37)을 이용하여 지폐의 색상을 판단함에 따라 권종인식에서는 상당히 효과적이다. 그리고 지폐의 오손권을 판별할 때, 통상적으로 지폐는 사용정도에 따라 각종 오염물질이 묻혀진 상태이며, 접힘과 오염의 정도는 빛의 투과율을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대두됨에 따라 지폐의 투과율과 오손권을 검출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포토다이오드 어레이센서인 면센서(36)와 적외선광원(32)들을 사용하여 지폐의 전 영역을 감시 판독하여 이용하고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지폐판독인식장치(5)에 이용되는 각각의 센서들이 작용과 기능 및 역할 등을 설명하면, 우선 상기 칼라센서들(30,37)은 통상 국내에서 제조된 지폐의 앞뒷면의 문양과 색상을 읽어서 지폐의 권종을 판정하는바, 지폐가 신권일 경우 지질은 평탄하고 백색을 띠고 있지만 사용함에 따라 표면은 거칠어지고 오염정도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지폐의 앞뒷면의 동일한 데이터를 얻기위해서 상부 및 하부칼라센서(37,30)들을 이용한 색비교회로를 사용하여 지폐의 색상변화에 따라 권종의 패턴인식을 점검한다.
그리고, 포토다이오드 어레이센서로 이루어진 포토센서(35)는 적외선광원(32)의 광량검출여부에 따라 지폐의 천공, 겹침 등을 구분할 수 있으며, 이 포토센서(35)의 광량이 각 셀의 값을 얻어서 보정벡터를 만들어 테이블작성이 가능하다.
또 상기 포토센서(35)는 지폐의 삽입위치, 즉 좌우로 치우친 정도, 기울어진 정도를 판단하는 용도 및, 지폐의 투과율을 계산하여 오손정도를 판단하는데 이용된다.
면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반사센서(31,38)는 지폐의 오염 및 오손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바, 예컨대 지폐의 오염정도가 심하면, 반사율의 정도가 반사값의 변화율로 나타낸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 지폐의 주임부를 비롯한, 오염정도가 심한 곳에 설치하여 특정위치를 읽는 것 보다는 가급적 넓은 지폐면을 읽어 인식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무접점 포텐셔미터로 이루어진 두께센서(36, 제3도에 도시됨)는 지폐의 정확한 두께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바, 예컨대 지폐의 두께는 상당히 얇기 때문에 상·하부두께롤러(18,24)에 묻은 먼지찌꺼기와 이들 롤러(18,24)의 가공불균일 등에 의해 오차가 발생되는 원인을 제공하여 정확한 두께값을 검출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지폐가 지나가는 부위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두께센서축(40)을 이들 상부롤러(22)에 설치하여 하부롤러(15)를 기준면으로하여 이 상부롤러(22)의 상하이동량을 무접점 포텐셔미터인 두께센서(44)로 검출하여 지폐의 이물질부착, 겹침, 접힘 등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자기센서(39)는 지폐의 위폐여부를 감식하도록 되어 있는바, 즉 앞서 설명한 색상만으로는 위폐를 감식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폐의 특정부위에 표시된 자성성분을 검출하여 위폐여부를 점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자기센서(39)가 넓은면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지폐의 삽입위치 변화에 때하여 효과적으로 적응될 뿐만 아니라 지폐가 좌우로 뒤집혀 삽입되어도 용이하게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상·하부밀착롤러(21a,21b,25)는 지폐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발성스프링(4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상·하부밀착롤러(21a,21b,25)의 상·하부칼라센서 보정면(34a,34b)에 상·하부칼라센서들(30,37)이 정확하게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어 이들 각각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본체(1)의 지폐투입구(2)에 투입된 지폐뭉치가 배출포켓부(3a,3b,3c)로 정사분류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전원부(7)에 의해 구동되는 동력부(8)에서 풀리를 매개로 동력이 판독인식장치(5)의 동력전달풀리(9)를 구동시킨다. 이어 상·하부이송벨트(14a,14b)가 회동하여 지폐이송준비를 완료하게되면, 지폐의 투입을 확인하는 발광 및 수광소자(28,27)가 작용하여 투입되는 지폐를 점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지폐안내판(19a,19b)에서 지폐의 길이를 확인함과 더불어 두께센서(36)에 의해 지폐의 두께를 인식점검하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27,28)가 지폐의 겹침상태와 천공산태 등을 인식한다.
이어 상기 하부칼라센서(30)에 의해 지폐의 진행색상 상태를 인식한 후, 반사센서(31)들에 의해 지폐의 진행면 상태가 인식된다. 이후 적외선광원(32)과 포토센서(35)에 의해 지폐의 적외선의 투과상태가 인식된다. 그리고 상부 칼라센서(37)에 의해 다시 지폐의 색상 상태가 인식점검된 후, 자기센서(39)에 의해 지폐의 자기성분을 검출한 후 상기 상·하부밀착롤러(21a,21b,25)에 의해 지폐의 밀착성을 유도하게되면, 상기 판독인식장치(5)를 지폐는 완전히 통과하게 된다. 그런후에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로울러들과 절환블레이드(6a,6b)를 매개로 이송경로(42)를 거쳐 배출포켓부(3a,3b,3c)로 정사되어 분류 안착된다.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정사기의 전체운영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판독인식장치(50는 데이터버스를 매개로 운영소프트웨어(101)와 운영 보조소프트웨어(102)를 갖춘 연산주제어 CPU(103)와 상호 접속되고, 이 연산주제어 CPU(103)는 구동장치(104)와 표시장치(105)에 병렬연결된 제어장치(106)와 상호 접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폐분류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는 여러센서들을 이용하여 투입된 지폐를 정확하게 정사 분류하여 카운팅처리 할 뿐만 아니라 위폐의 감별기능도 명료하게 이루어지고 장비의 소형화로 인해 콤팩트화 할 수 있는 장점등이 있다.

Claims (4)

  1. 전원부(7)에 연결된 동력부(8)와 정사하고자 하는 지폐뭉치를 투입하는 지폐투입구(2), 투입된 지폐를 낱장씩 이송하여 판별 인식하는 지폐판독인식장치(5), 이 판독인식장치(5)를 통과한 지폐가 이송경로(42)를 거쳐 절환블레이드(6a,6b)들에 의해 단계별로 분류포켓부(3a,3b,3c)로 정사분류되어 카운팅처리되는 지폐분류정사기에 있어서, 상기 지폐판독인식장치(5)는 상기 동력부(8)에서 공지의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으로 동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풀리(9)를 갖춘 하부바디(10)와, 이 하부바디(10)에 힌지식 피동축(11)으로 연결되어 하부바디(10)의 동력전달용기어(12a)에 맞물린 동력전달용기어(12b)를 갖춘 상부바디(13)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바디(10)의 지폐진입 선단쪽에는 동력전달출리(9)의 축(9a)과 하부이송벨트(14a)를 매개로 연결된 롤러(15)를 갖춘 하부피동롤러축(16)과, 이 하부피동전달축(16)과 다른 벨트(17, 제5도에 도시됨)를 매개로 연결되어연동되는 하부두께롤러(18), 상기 하부도께롤러(18)와 하부피동롤러축(16)의 롤러(15) 사이에 설치된 하부전방지폐안내판(19a), 이 하부전방지폐안내판(19a)의 뒤쪽으로 설치되는 하부센서바디(20), 상기 하부두께롤러(18)의 후방쪽으로 설치되어 통과하는 지폐를 밀착하는 일렬의 전·후방지폐밀착롤러들(21a,21b) 및, 상기 후방지폐밀착롤러(21b)의 뒤쪽에 설치된 하부후방지폐안내판(19b)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한편, 상기 상부바디(13)의 지폐진입선단쪽에는 이 하부바디(10)의 동력전달용기어(12a)에 맞물린 기어(12b)를 갖춘 피동축(11)에 상부이송벨트(14a)를 매개로 연결된 롤러(22)를 갖춘 상부피동전달축(23)과, 이 상부피동전달축(23)의 뒤쪽에 설치되어 하부두께롤러(18)에 대향위치된 상부두께롤러(24), 상기 하부전방지폐안내판(19a)에 대응된 상부지폐안내판(19c), 이 상부두께롤러(24)에 이웃하여 설치되어 통과하는 지폐를 밀착하는 상부지폐밀착롤러(25) 및, 센서들이 설치되는 상부센서바디(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분류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피동롤러축(16)의 롤러(15)와 하부두께롤러(18) 사이에는 상부바디(13)의 수광소자(27)들에 대향된 발광소자()28)가 설치되어 진입된 지폐를 카운팅하는 로타리엔코더(29)를 갖추고, 이 하부센서바디(20)에는 상부 칼라센서 보정면(34)에 대응된 칼라센서들(30)과 반사센서(31)가 설치되면서 이의 적외선광원(32)의 상부바디(13)의 포토센서(35)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분류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13)의 지폐진입부인 상부지폐안내판(33)에는 하부바디(10)의 발광소자(28)의 대응위치에 수광소자(27)가 설치되고, 후술하는 지폐의 삽입위치와 투과율을 판단하는 회전각센서인 면센서(36)가 설치되며, 상기 적외선광원(32)에 대응하여 포토센서(35), 그리고 이 포토센서(35)에 이웃하여 칼라센서(37)와 반사센서(38) 및 자기센서(39)들이 차례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분류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밀착롤러(21a,21b,25)는 지폐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발성스프링(41)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분류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
KR1019970032334A 1997-07-11 1997-07-11 지폐분류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 KR100245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334A KR100245333B1 (ko) 1997-07-11 1997-07-11 지폐분류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334A KR100245333B1 (ko) 1997-07-11 1997-07-11 지폐분류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812A KR19990009812A (ko) 1999-02-05
KR100245333B1 true KR100245333B1 (ko) 2000-02-15

Family

ID=19514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334A KR100245333B1 (ko) 1997-07-11 1997-07-11 지폐분류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53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124B1 (ko) * 2001-09-11 2004-06-09 (주)신우아이티 지폐분류 정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779B1 (ko) * 2000-10-19 2003-02-26 태남정보통신 주식회사 현금자동지급기의 지폐두께 검지장치
KR100761613B1 (ko) * 2005-08-31 2007-09-27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적층 지폐의 공급을 방지하는 지폐 출력 제어 장치
KR200452340Y1 (ko) * 2009-03-26 2011-02-17 기산전자 주식회사 세컨드 런 기능을 가진 지폐계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124B1 (ko) * 2001-09-11 2004-06-09 (주)신우아이티 지폐분류 정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812A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0406A (en) Bill validator with bar code detector
US59664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and counting documents
KR860001787B1 (ko) 지폐 선별 계수기
EP0613104B1 (en) Changing machine having function of judging wear of bill
JP5042223B2 (ja) 変形硬貨検知装置
US8915346B2 (en) Device for handling notes of value, comprising two intermediate storage units for the intermediate storage of notes of value
KR20070068293A (ko) 시트 처리 방법 및 시트 처리 장치
KR100245333B1 (ko) 지폐분류정사기의 지폐판독인식장치
US20030043365A1 (en) Optical media detection system
KR101992387B1 (ko) 계수기용 통합센서모듈 구조
KR200199843Y1 (ko) 적외선투과 어레이 모듈을 이용한 위폐감지장치
KR100812254B1 (ko) 지폐 감별기
KR100961576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877029B (zh) 媒介校验处理
JPH04199489A (ja) 紙幣処理装置
JP2004240778A (ja) 券類処理装置、および券類処理システム
KR100514631B1 (ko)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
JPH027165A (ja) 電子機器
RU218934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толщины банкноты для электронного банковского автомата рециклирования валюты
JP2007034601A (ja) 紙葉類識別装置
JP2011034141A (ja) 硬貨入出金装置
JPH0597323A (ja) 両替機
JP6825415B2 (ja) 硬貨鑑別装置及び現金処理装置
KR200309135Y1 (ko) 계수 분권기능을 갖는 현금처리기
WO2001061655A1 (en) Multiple type document cou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