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6652A - 지폐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6652A
KR20060066652A KR1020050121760A KR20050121760A KR20060066652A KR 20060066652 A KR20060066652 A KR 20060066652A KR 1020050121760 A KR1020050121760 A KR 1020050121760A KR 20050121760 A KR20050121760 A KR 20050121760A KR 20060066652 A KR20060066652 A KR 20060066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anknote identification
lift member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유키 이이다
노보루 야마기시
유키오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닛본 콘럭스
Publication of KR20060066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sensing the quantity of valuable papers in contain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지폐수용부 안에서 지폐의 묶음을 압축하는 리프트 부재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동시에, 지폐식별부가 지폐식별장치의 본체부로부터 제거된 것을 검출할 수 있는 지폐식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폐식별장치는 삽입된 지폐를 식별하는 지폐식별부(2)와, 유효하다고 판정된 지폐를 수용하고, 유효한 지폐를 정렬시켜 누르는 리프트 부재(4)를 구비하는 지폐수용부(7)와, 지폐식별부(2)와 지폐수용부(7)가 설치되는 본체부(1)를 포함하는 지폐식별장치로서, 지폐식별부(2)에 설치된 전기적 기능을 가지는 제 1 스위치 부분(5)과, 리프트 부재(4) 위에 배치되며, 전기적 기능을 가지지 않는 제 2 스위치 부분(4a)을 포함하고, 지폐식별부(2)가 본체부(1)에 설치되고, 리프트 부재(4)가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 제 1 스위치 부분(5)과 제 2 스위치 부분(4a)이 조합됨으로써 하나의 스위치 수단을 형성하고, 그 하나의 스위치 수단은 제 1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지폐식별, 지폐수용

Description

지폐식별장치{Banknote Discrimination Apparatus}
도 1은 리프트 부재가 홈 포지션에 있으며, 지폐식별부가 지폐식별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통상의 동작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지폐식별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식별장치의 검지수단 주변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식별장치의 검지수단 주변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지폐수용부 안에 배치된 리프트 부재가, 지폐를 누르기 위해 홈 포지션으로부터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리프트 부재가 홈 포지션에 있는 상태에서, 지폐식별장치 본체로부터 지폐식별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지폐수용부 안에서 지폐의 묶음을 압축하는 리프트 부재가 홈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동시에, 지폐식별부 가 지폐식별장치의 본체부로부터 제거된 것을 검출할 수 있는 지폐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에 사용되는 지폐식별장치는, 일반적으로 지폐의 유효성을 판정하여 유효하다고(진짜 지폐라고) 판정된 지폐만을 지폐수용부에 축적한다. 이 때, 지폐의 묶음을 정렬시켜 누르는 압착판을 사용하여 그 지폐의 묶음을 압축함으로써 지폐수용부에 지폐를 축적시킨다. 지폐가 가득찬 상태이면, 압착판을 동작시킬 수 없으며 더 이상 지폐를 축적할 수 없기 때문에, 지폐가 가득찬 상태가 된 것을 어떠한 방법으로든 검출할 필요가 있다. 하나의 방법으로서, 압착판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지폐를 축적하고 있는 지폐수용부가 가득찬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평9-16829호 공보에는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팬터그래프 형상의 부재를 압축하고, 그 팬터그래프 형상의 부재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는 압착판을 구동시키는 특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지폐식별장치에서는 모터 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항는 랙(rack)을 지폐수용부 안에 설치해 두고, 그 움직임을 지폐식별부에 설치한 검출부재에 의해 검출하여, 압착판이 소정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고 있다. 상기 랙은 복수의 기어와 피니온에 의해 모터 축의 회전과 연동하여 운동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복수의 기어와 피니온의 일부가 불완전하게 맞물리는 등에 의해, 랙의 소정의 위치와 압착판의 소정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게 된 경우에는, 압착판의 위치를 오검출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일본 실용신안출원 평2-93124호 명세서에도, 압착판이 소정의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폐수용부 안에 설치된 복귀위치 검출센서에 의해, 압입장치의 압착판이 소정의 복귀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압착판이 소정의 복귀위치에 없다는 것을 복귀위치 검출센서로부터의 신호가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모터를 역전시켜 압착판을 소정의 복귀위치로 되돌린다. 모터의 회전과는 관계없이 압착판이 소정의 복귀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상기 구성에 따르면, 모터의 공전(空轉) 등에 기인하여 모터의 회전과 압착판의 위치가 정확하게 대응하지 않은 경우에도, 압착판의 위치를 오검출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는 있다. 하지만, 상기의 구성에서는 센서수단을 지폐수용부 안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소자가 지폐식별부와 지폐수용부에 걸쳐 배치되게 되어 기판을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통상 전자소자는 외부환경, 특히 바깥기온, 강우 등에 의한 습기 등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이들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전자소자를 실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복수의 기판이 물리적으로 떨어져 존재한다는 것은, 실링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복수의 기판을 물리적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기 위하여, 제조공정도 복잡화되고 제조비용이 증대된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지폐식별장치에서는 지폐가 가득차면 축적된 지폐를 꺼내는데, 동시에 지폐식별부를 보수(maintenance)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수를 하는 경우에는, 지폐식별장치 본체로부터 지폐식별부를 꺼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지폐식별장치 본체로부터 지폐식별부가 제거된 것을 검출하도록 해두면 편리하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2003-22463호 공보는, 센서수단을 사용하여 지폐식별장치 본체에 대한 지폐식별부의 미세한 열림을 검출하는 지폐식별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폐식별부에는 지폐반송용 모터에 연동한 슬릿이 들어간 디스크가 배치되며, 그 아랫쪽에 그 디스크를 사이에 끼우는 방법으로 한쌍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는 검지수단이 배치된다. 그 검지수단과 슬릿이 들어간 디스크는, 협동하여 하나의 센서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검지수단이 차광과 수광을 번갈아 소정의 주기로 검출하는 경우에는, 지폐식별부는 지폐식별장치 본체에 대하여 닫혀 있는 상태에 있으며, 수광만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지폐식별부는 지폐식별장치 본체에 대하여 열려 있는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지폐식별부의 개폐를 검지하는 것은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센서수단을 사용하여 압착판이 소정의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다른 센서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지폐식별장치는 전자소자의 실링시의 문제와, 제조공정의 복잡화에 따른 제조비용의 증대에 직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즉, 첫번째로, 지폐식별부에 설치된 하나의 검지수단만을 사용하여, 지폐수용부 안에서 지폐의 묶음을 압축하는 리프트 부재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동시에, 지폐식별부가 지폐식별장치의 본체로부터 제거된 것을 검출할 수 있는 지폐식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두번째로, 모터의 회전과 관계없이 압착판이 소정의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톱니바퀴 등의 부정확한 맞물림 등에 기인하는 리프트 부재의 위치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는 지폐식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세번째로, 센서수단 등의 전자소자를 지폐식별부에 집중 배치함으로써, 전자소자의 실링이 쉬워지는 동시에 제조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지폐식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폐식별장치는 삽입된 지폐를 식별하는 지폐식별부와, 유효하다고 판정된 지폐를 수용하고, 유효한 지폐를 정렬시켜 누르는 리프트 부재를 구비하는 지폐수용부와, 지폐식별부와 지폐수용부가 설치되는 본체부분을 포함하는 지폐식별장치로서, 지폐식별부에 설치된 전기적 기능을 가지는 제 1 스위치 부분과, 리프트 부재 위에 배치되며, 전기적 기능을 가지지 않는 제 2 스위치 부분을 포함하고, 지폐식별부가 본체 부분에 설치되고 리프트 부재가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 제 1 스위치 부분과 제 2 스위치 부분이 조합됨으로써 하나의 스위치 수단을 형성하고, 그 하나의 스위치 수단은 제 1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폐식별장치에서, 지폐식별부가 본체 부분에 설치된 상태에서 리프트 부재가 소정 위치에 없을 때, 또는 리프트 부재가 소정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지폐식별부가 본체 부분으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하나의 스위치 수단은 제 2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지폐식별부에 설치된 하나의 검지수단만을 사용하여, 지폐수용부 안에서 지폐의 묶음을 압축하는 리프트 부재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동시에, 지폐식별부가 지폐식별장치의 본체로부터 제거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모터가 정확하게 회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톱니바퀴 등 의 부정확한 맞물림 등에 의해 실제로는 리프트 부재가 이동하지 않았을 때에도 검지수단이 리프트 부재가 이동했다고 판정하고, 따라서 리프트 부재가 홈 포지션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홈 포지션에 있다고 판정해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폐수용부 안에는 일절 검지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검지수단 등의 전자부품을 배치하는 기판을 지폐식별부 안에 집중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식별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폐식별장치는 본체부(1)와 지폐식별부(2)와 지폐수용부(7)로 이루어진다. 본체부(1)는, 본체부(1)의 앞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삽입되는 지폐를 받아들이는 지폐삽입구(8)를 구비한다. 지폐식별부(2)는, 지폐식별부(2)가 본체부(1)에 설치되었을 때 지폐삽입구(8)에 접속되며, 지폐수용부(7) 안의 스택커(stacker)로 지폐를 유도하는 지폐수송로(6)와, 지폐수송로(6) 안에서 반송되고 있는 지폐를 식별하는 지폐식별센서(도시하지 않음. 이하, 마찬가지임)를 구비하고 있다. 지폐식별부(2)는 지폐삽입구(8)의 긴 변과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12)에 의해, 지폐식별장치의 본체부(1)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지폐수용부(7)는 지폐식별장치의 본체부(1)의 지폐식별부(2)가 위치하는 부분의 아랫쪽에 설치된다. 지폐수용부(7)는 지폐식별장치의 앞면 및 뒷면에 평행하며, 지폐식별부(2)의 지폐반송로(6)의 일부를 구성하는 면과 평행하게 마주보는 면을 가진다. 지폐식별장치의 앞면 및 뒷면에 평행하며, 지폐식별부(2)의 지폐반송로(6)의 일부를 구성하는 면과 평행하게 마주보는 지폐수용부(7)의 그 면은, 지폐식별부(2)가 지폐식별장치의 본체 부분에 설치되었을 때, 지폐식별부(2)의 지폐반송로(6)의 일부를 구성하는 면과 함께, 지폐반송로(6) 의 일부를 형성한다. 지폐수용부(7)는 스택커에 유도된 지폐를 지폐식별장치의 뒷면을 향하여 그 뒷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누르는 리프트 부재(4)와, 스택커 모터(도시하지 않음. 이하, 마찬가지임)와 팬터그래프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며, 스택커 모터를 구성함으로써 팬터그래프 형상의 부재를 신축시키고, 그리고 리프트 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9)를 구비한다. 지폐수용부(7)는 구동부(9)를 수용하는 케이스 부분(7a)과 지폐수용 케이스(7b)로 구성된다. 리프트 부재(4)는 지폐반송로(6)를 통하여 지폐수용부(7) 안의 스택커에 유도된 지폐를 정렬시켜, 지폐수용 케이스(7b)에 수용한다. 지폐식별부(2)는 상기 지폐식별부(2)의 지폐반송로(6)의 일부를 구성하는 면 아랫쪽에 위치하며, 지폐식별장치의 앞면 및 뒷면에 평행한 표면 위에 검지수단(5)을 구비한다. 검지수단(5)은 주기판(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프트 부재(4)는 지폐식별부(2)에 배치된 검지수단(5)과 마주보는 면을 가지고 있으며, 그 면은 리프트 부재(4)로부터 돌출하는 리브(4a)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식별장치에 있어서, 지폐식별부(2)가 지폐식별장치의 본체부(1)에 설치되어 있고, 리프트 부재(4)가 홈 포지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지폐식별부(2)는 지폐식별장치의 본체(1)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있다. 도 1의 상태에서 지폐삽입구(8)에 지폐를 삽입하면, 지폐삽입센서(도시하지 않음. 이하, 마찬가지임)가 지폐의 삽입을 검지한다. 지폐삽입센서에 의해 지폐의 삽입이 검출되면, 지폐반송로(6)가 지폐를 반송하도록 구동된다. 지폐반송로(6)를 따라 반송위치 검출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반송위치 검출센서는 지폐의 반송위치를 검출한다. 삽입지폐가 반송위치 검출센서를 통과하면, 통과한 지폐가 지폐반송 로(6)를 거꾸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셔터부재(도시하지 않음. 이하, 마찬가지임)에 의해 지폐반송로를 폐쇄한다. 셔터부재에 의해 지폐반송로가 폐쇄되기까지의 동안에, 지폐위치 검출센서, 지폐삽입센서의 순서로 지폐를 검출한 경우에는, 지폐의 부정 추출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여 지폐식별센서는 지폐진품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셔터부재가 지폐반송로(6)를 폐쇄하고 있는 동안, 지폐식별센서가 지폐의 유효성을 판정한다. 지폐의 식별은 자기센서와 광센서를 병용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삽입된 지폐에 대하여 패턴매칭함으로써 지폐의 진위를 판정한다. 지폐식별센서는 상기 판정시에, 어느 레인지(range)의 범위안에 있는 지폐를 유효한 지폐라고 판정한다. 지폐식별부(2)는 이 레인지를 조정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폐식별부(2)의 보수후에, 지폐식별부(2)를 지폐식별장치의 본체부(1)에 완전히 설치하지 않고 방치한 경우에는, 틈으로부터의 노광(露光) 등에 의해 광센서의 감도에 영향을 준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레인지를 조정하지 않고 진위를 판정하면, 지폐식별센서는 본래 유효하다고 판단해야 할 지폐를 거절하거나, 혹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해야 할 지폐를 유효하다고 판단하게 된다. 지폐식별센서가 삽입된 지폐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셔터부가 지폐반송로를 개방하고, 그 지폐는 지폐반송로를 거꾸로 통과하여 지폐삽입구로 되돌아간다. 지폐식별센서가 삽입된 지폐가 유효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지폐식별수단(도시하지 않음. 이하, 마찬가지임)은 지폐판정신호를 출력하고, 그 지폐는 지폐식별장치의 본체(1) 안의 스택커로 반송된다.
지폐수용부(7)는 리프트 부재(4) 및 리프트 부재(4)를 구동하는 구동부(9)를 수용하는 케이스(7a)와, 지폐수용 케이스(7b)로 이루어진다. 지폐수용 케이스(7b)에는 배판(背板; 10)이 배치되며, 배판(10)은 스프링 등에 의해 눌려, 수용된 지폐의 묶음을 리프트 부재(4)를 향하여 누른다. 지폐식별부(2)를 통과한 지폐는 지폐식별부(2)와 지폐수용부(7)의 사이에 있는 슬릿을 통하여 지폐수용부(7) 안의 스택커로 유도된다. 리프트 부재(4)는 스택커에 수용된 지폐의 묶음을 정렬시켜, 지폐수용 케이스(7b)에 수용하도록 그 묶음을 배판(10)을 향하여 누른다. 리프트 부재(4)는 구동부(9)에 의해 구동되는데, 구동부(9)가 리프트 부재(4)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이는 지폐식별부(2)에 배치된 검지수단(5)에 의해 리프트 부재(4)의 소정 위치를 검출하기 때문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상태 즉, 지폐식별부(2)가 지폐식별장치의 본체부(1)에 설치되어 있으며 리프트 부재(4)가 홈 포지션에 있는 상태에서, 검출수단(5)과 리프트 부재(4)의 리브(4a)가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a는 지폐식별장치를 우측면으로부터 본 경우의 도 2a의 B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즉, 지폐식별장치의 윗면으로부터 아랫쪽을 향하여 상기 부분을 본 경우의 확대도이다.
검지수단(5)은 예를 들어,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는 한 쌍의 발광 다이오드(LED) 등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진다.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는 회전축(12)에 평행한 방향으로 광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배치된다. 리프트 부재(4)는 지폐식별부(2)에 배치된 검지수단(5)과 마주보는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그 표면은 리프트 부재(4)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리브(4a)를 가지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식별부(2)가 지폐식별장치의 본체부(1)에 설치되어 있으며, 리프트 부재(4)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리프트 부재(4)로부터 돌출하는 리브(4a)는 검지수단(5)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서, 검출수단의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이 경우,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은 리브(4a)에 의해 차광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검지수단(5)은 리프트 부재(4)가 홈 포지션에 있다는 것을 검출한다. 리프트 부재(4)가 홈 포지션에 있는 상태에서 지폐식별부(2)가 지폐식별장치의 본체(1)로부터 제거된 경우에는, 리프트 부재(4) 위의 리브(4a)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의 위치로부터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리브(4a)에 의해 차단되었던 광이 수광소자에 의해 수광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검지수단(5)은 지폐식별부(2)가 지폐식별장치 본체(1)로부터 제거된 것을 검출한다.
또한, 검지수단(5)은 예를 들어, 제 1 스위치 부분이 유도 코일, 홀 소자(hall device), 자기저항소자 등의 자기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자기센서는 지폐식별부(2)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 2 스위치 부분은 상기 자기센서에 대응하여 적당히 선택되는데, 예를 들어 유도 코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속부재가 선택된다. 유도 코일과 금속부재의 조합의 경우, 유도 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흘려, 상기 유도 코일에 근접하는 금속부재와의 전자(電磁) 작용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홀 소자 또는 자기저항소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그네트 등의 자성 부재가 선택된다. 홀 소자 또는 자기저항소자와 자성부재의 조합의 경우에는, 홀 소자 또는 자기저항소자에 근접하는 마그네트 등의 자성부재의 자계를 검출 하여 이용할 수 있다. 금속부재 또는 자성부재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리프트 부재(4)로부터 돌출한 리브(4a) 대신에 금속부재 또는 자성부재를 리프트 부재(4)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검출수단(5)으로서 자기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폐식별부(2)가 지폐식별장치의 본체부(1)에 설치되어 있으며, 리프트 부재(4)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여 있을 때, 상기 금속부재 또는 자성부재와 자기센서는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리프트 부재(4)가 홈 포지션에 위치해 있을 때, 상기 자기센서는 주지의 원리에 의해 그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리프트 부재(4)가 홈 포지션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 지폐식별부(2)가 지폐식별장치의 본체부(1)로부터 제거된 경우, 지폐식별부(2)에 설치되어 있는 자기센서는 리프트 부재(4)에 설치되어 있는 금속부재 또는 자성부재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이에 의해 검출수단(5)은 지폐식별부(2)가 지폐식별장치의 본체부(1)로부터 제거된 것을 검출한다.
도 3은 홈 포지션에 있는 리프트 부재(4)의 검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리프트 부재(4)는 스택커에 수용된 지폐의 묶음을 정렬시켜, 지폐수용 케이스(7b)에 수용하도록 그 묶음을 배판(10)을 향하여 누른다. 이 경우,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의 위치에 있던 리브(4a)는, 리프트 부재(4)의 운동에 따라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의 위치로부터 이동한다. 이 경우, 리브(4a)에 의해 차광되어 있던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수광소자가 수광하게 된다. 따라서, 검지수단(5)은 리프트 부재가 홈 포지션으로부터 이동한 것을 검출한다. 지폐의 묶음이 축적되어, 리프트 부재(4)가 다시 홈 포지션으로 돌아간 경우에는, 리브(4a)에 의해 발광소자 의 광이 다시 차광되기 때문에, 검지수단(5)은 리프트 부재(4)가 다시 홈 포지션으로 되돌아간 것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평9-1682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팬터그래프 형상의 부재를 신축시켜, 그 팬터그래프 형상의 부재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는 압착판을 구동시키는 지폐식별장치에 있어서, 모터 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랙을 지폐수용부 안에 설치해 두고, 그 움직임을 지폐식별부에 설치한 검출부재에 의해 검출하여 압착판이 소정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기어와 피니온의 일부가 불완전하게 맞물리는 등에 의해 랙의 소정 위치와 압착판의 소정 위치가 일치하지 않게 된 경우에는, 압착판의 위치를 오검출하여, 압착판이 홈 포지션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홈 포지션에 있다고 판정해버리는 사태를 일으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모터의 회전과 관계없이 리프트 부재(4)의 소정 위치를 검출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리프트 부재(4)가 홈 포지션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지폐식별부(2)를 지폐식별장치의 본체부(1)로부터 제거했을 때, 그 제거를 검출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지폐식별부(2)가 지폐식별장치의 본체(1)에 설치되어 있으며, 리프트 부재(4)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리프트 부재(4)로부터 돌출한 리브(4a)는 검지수단(5)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지폐식별부(2)를 회전축(12)의 둘레로 회전시켜 지폐식별장치의 본체부(1)로부터 제거한 경우, 지폐식별부에 설치된 검지수단(5)은 지폐식별부(2)의 회전운동에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리프트 부재(4)의 리브 (4a)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사이의 위치로부터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리브(4a)에 의해 차광되어 있던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수광소자가 수광하게 되어, 검지수단(5)은 지폐식별부(2)가 지폐식별장치의 본체부(1)로부터 제거된 것을 검지한다. 상기 검지는 차광이 해제된 순간 즉, 리브(4a)의 단부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잇는 직선을 통과한 순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폐식별부(2)의 매우 작은 회전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예를 들어, 지폐식별부(2)의 보수후에 지폐식별부(2)를 지폐식별장치의 본체(1)에 완전히 설치하지 않고 방치한 경우에는, 매우 작은 틈이 있을 때에도 장치 외부로부터의 노광 등의 영향을 상쇄하기 때문에, 지폐식별부(2)는 지폐식별시의 레인지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모드로 들어간다. 그리고, 조정후 즉, 그 노광환경에 지폐식별부(2)가 적합한 후에, 그 틈이 닫혀 지폐식별부(2)가 완전히 설치된 경우, 최적의 레인지로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지폐의 유효성을 잘못 판정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폐식별부(2)와 지폐식별장치의 본체부(1) 사이에 매우 작은 틈이 있다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즉시 지폐식별장치의 동작을 정지시켜, 이와 같은 불완전한 상태에서의 사용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지폐식별부(2)가 지폐식별장치의 본체부(1)로부터 제거되었다는 검지가, 리브(4a)의 단부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잇는 직선을 통과한 순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폐식별부(2)의 매우 작은 회전도 검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와 같이 지폐식별부(2)와 직폐식별장치의 본체부(1) 사이에 매우 작은 간격이 있다는 것을 검출한 경우, 바로 지폐식별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폐식별부(2)에 설치된 검지수단(5)만을 사용하여 지폐수용부(7) 안에서 지폐의 묶음을 압축하는 리프트 부재(4)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동시에, 지폐식별부(2)가 지폐식별장치의 본체(1)로부터 제거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을 함으로써, 지폐수용부(7) 안에는 일절 검지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검지수단 등의 전자부품을 배치하는 기판을 지폐식별부(2) 안에 집중할 수 있다. 검지수단 등의 전자부품은 비, 바람 등의 가혹한 외부환경에 약하기 때문에 이를 실링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관점에서도 상기 구성은 유익하다. 더욱이, 검지수단 등의 전자부품을 배치하는 기판을 지폐식별부(2) 안에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는 이것에 의해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는 당업자라면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한데, 그 결과 발생한 실시물이 균등한 것인 한, 이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지폐수용부 안에서 지폐의 묶음을 압축하는 리프트 부재가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동시에, 지폐식별부가 지폐식별장치의 본체부로부터 제거된 것을 검출할 수 있는 지폐식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삽입된 지폐를 식별하는 지폐식별부와, 유효하다고 판정된 지폐를 수용하고, 상기 유효한 지폐를 정렬시켜 누르는 리프트 부재를 구비하는 지폐수용부와, 상기 지폐식별부와 상기 지폐수용부가 설치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지폐식별장치로서,
    상기 지폐식별부에 설치된 전기적 기능을 가지는 제 1 스위치 부분과,
    상기 리프트 부재 위에 배치되며 전기적 기능을 가지지 않는 제 2 스위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지폐식별부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리프트 부재가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스위치 부분과 상기 제 2 스위치 부분이 조합됨으로써 하나의 스위치 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하나의 스위치 수단은 제 1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지폐식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식별부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트 부재가 소정 위치에 없을 때, 또는 상기 리프트 부재가 소정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지폐식별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상기 하나의 스위치 수단은 제 2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지폐식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출력신호는 상기 리프트 부재가 소정의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지폐식별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출력신호는 상기 지폐식별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제거되었다는 것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지폐식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스위치 부분은 한 쌍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는 지폐식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스위치 부분은 자기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스위치 부분은 금속부재 또는 자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지폐식별장치.
KR1020050121760A 2004-12-13 2005-12-12 지폐식별장치 KR200600666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59808A JP2006171852A (ja) 2004-12-13 2004-12-13 紙幣識別装置
JPJP-P-2004-00359808 2004-1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652A true KR20060066652A (ko) 2006-06-16

Family

ID=36583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760A KR20060066652A (ko) 2004-12-13 2005-12-12 지폐식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26913A1 (ko)
JP (1) JP2006171852A (ko)
KR (1) KR20060066652A (ko)
CN (1) CN1790423A (ko)
CA (1) CA25297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1035B2 (ja) * 2007-12-10 2013-04-24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葉類処理装置
CN108877034A (zh) * 2018-06-21 2018-11-23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介质残留检测结构、暂存装置及介质处理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5824A (en) * 1986-10-08 1988-10-04 Mars, Incorporated Motor control for banknote handing apparatus
US5632367A (en) * 1995-01-23 1997-05-27 Mars, Incorporated Validation housing for a bill validator made by a two shot molding process
JP4247406B2 (ja) * 2003-03-11 2009-04-02 旭精工株式会社 紙幣収納装置における状態検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29779A1 (en) 2006-06-13
JP2006171852A (ja) 2006-06-29
CN1790423A (zh) 2006-06-21
US20060126913A1 (en)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2041A (en) Apparatus for currency validation
US7607662B2 (en) Bill handling apparatus
TWI360791B (ko)
KR100271698B1 (ko) 지폐식별기및 지폐식별방법
AU2007209785B2 (en) Bill handling apparatus
US8695778B2 (en) Modular security gate
KR20060066652A (ko) 지폐식별장치
WO2006095899A1 (ja) 紙幣識別装置の紙幣挿入センサ装置
JP2010152611A (ja) 紙幣識別装置
JPH1031775A (ja) 紙幣識別機
JP2010146162A (ja) 紙幣識別装置
JP5200889B2 (ja) 紙幣識別装置
JP2004139189A (ja) 紙幣処理装置
JP2010198337A (ja) 紙幣識別装置
JP5241267B2 (ja) 紙葉類鑑別装置
JP3956256B2 (ja) 紙葉類識別方法及び紙葉類識別装置
KR101974601B1 (ko) 지폐 계수기의 더블 검지 센서구조
JP5020583B2 (ja) 紙葉類識別機
KR200398965Y1 (ko) 카드리더기용 셔터장치
KR100344639B1 (ko) 지폐식별장치
KR20060132132A (ko) 지폐 식별 장치
KR100314307B1 (ko) 지폐감별장치 및 지폐인출수단 검출방법
JP2005122427A (ja) 紙幣識別装置
JP2009042958A (ja) 紙葉類識別機の紙葉類引き抜き防止機構
JP2579036Y2 (ja) 紙葉類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