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307B1 - 지폐감별장치 및 지폐인출수단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지폐감별장치 및 지폐인출수단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307B1
KR100314307B1 KR1019997002111A KR19997002111A KR100314307B1 KR 100314307 B1 KR100314307 B1 KR 100314307B1 KR 1019997002111 A KR1019997002111 A KR 1019997002111A KR 19997002111 A KR19997002111 A KR 19997002111A KR 100314307 B1 KR100314307 B1 KR 100314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banknote
rotating
tim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8549A (ko
Inventor
오카와가쓰토시
사이토유키
스즈키야스마사
오카모토가즈히코
Original Assignee
가미히가시고이치로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미히가시고이치로,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미히가시고이치로
Priority to KR1019997002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307B1/ko
Publication of KR20000068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초기위치에서 반송통로(3)와 일치하는 슬릿(41)을 구비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진 회전체(40)와, 회전체(40)를 회전시키는 회전체구동장치(70)와, 감별센서 (34,35)의 출력에 의해 지폐의 진위를 판단함과 동시에, 회전체구동장치(70)를 제어하는 감별제어회로(50)를 지폐감별장치에 설치한다. 감별제어회로(50)는 지폐가 회전체(40)의 슬릿(41)을 통과한 후, 회전체구동장치(70)에 의해 회전체(40)를 회전시켜, 지폐에 접속된 인출수단을 회전체(40)의 바깥둘레에 감고, 회전체(40)의 회전속도를 측정하여 부정한 지폐인출수단의 존재를 검출한다.

Description

지폐감별장치 및 지폐인출수단 검출방법{BANK NOTE DISCRIMINATING APPARATUS AND BANK NOTE DRAWING MEANS DETECTING METHOD}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화 63-89181호 공보에는 지폐감별기의 지폐인출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인출방지장치에서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구(207)로부터 프레임(201)의 수직부(202,203) 사이에 삽입된 지폐는 벨트(211) 및 롤러(212)에 의해 반송되고, 또 지폐는 프레임(201)에 설치된 돌출편(209)과 플레이트(205)에 설치된 돌출편(210)의 사이를 통과한다.
돌출편(209과 210)을 통과할 때, 지폐는 약간 굴곡되지만 이송에 지장은 없다. 지폐가 배출구(208)를 통과한 후에, 지폐에 결합한 실등을 손으로 조작하여 지폐를 삽입구(207)로부터 밖으로 부정하게 인출하려고 하면, 지폐가 돌출편(209,210)에 걸려 부정인출이 방지된다.
또한,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평성 7-20790호 공보에는 지폐감별장치의 지폐통로내에 돌출하는 스토퍼를 설치하고, 지폐감별장치의 감별신호에 의거하여 지폐통로 밖으로 회전운동시키는 지폐인출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지폐인출방지장치에서는 진폐가 보내져 출구로 향하여 통과하지 않는 한, 스토퍼가 지폐통로 밖으로 회전운동하지 않아 인출방지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지폐인출방지장치에서는, 지폐에 접속된 끈 또는 테이프등의 인출수단을 검출할 수 없다. 또한, 돌출편(209) 및 (210)의 돌출량을 크게하면, 벨트(211)에 의한 지폐의 반송중에 지폐가 돌출편(209) 또는 (210)에 걸림고정되어 지폐의 반송이 곤란하게 되므로, 돌출편(209) 및 (210)의 돌출량을 최대로 확보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지폐에 부착된 실등의 인출수단을 강하게 당기면, 지폐의 부정인출이 가능하게 되고, 인출을 방지할 수 있어도 돌출편(209,210)에 의해 지폐를 손상할 위험이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평성 7-20790호 공보에 개시된 인출방지장치에서도 지폐의 부정인출을 검출하는 것은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지폐인출장치, 특히 지폐감별장치내로 반송되는 지폐에 접속된 끈, 테이프등의 인출수단에 의한 지폐의 부정인출을 방지하는 지폐감별장치 및 인출수단을 검출할 수 있는 지폐인출수단 검출방법 및 지폐감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도 3의 Ⅰ-Ⅰ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3의 Ⅱ-Ⅱ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감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레버와 회전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6은 회전체와 회전체구동장치의 기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7은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한 본 발명에 의한 지폐감별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5의 감별제어회로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디스크리트회로에 의해 구성한 본 발명에 의한 지폐감별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0은 피드센서, 회전체모터 및 위치센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챠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의 회전체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스태커장치를 접속한 도 11에 나타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회전체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형태의 회전체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형태의 회전체구동장치를 나타내는 회전체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형태의 회전체구동장치의 기어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지폐감별기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측면도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지폐가 반송통로에 부착된 회전체를 통과한 후, 회전체를 회전시켜 인출수단을 검출하는 지폐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반송통로에 회전체를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고, 인출수단을 회전체에 감는 것에 의해 지폐의 부정인출을 방지하는 지폐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은 지폐의 부정인출을 방지하는 지폐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폐의 부정인출을 방지하는 회전체를 소정의 위치에서 확실하게 정지시키는 지폐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폐 접수후에 회전체를 회전시켜 회전체의 회전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지폐감별장치내에 반송된 지폐에 접속된 인출수단을 검출하여, 지폐의 부정인출을 방지하는 지폐인출수단 검출방법 및 지폐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체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는 경우에 모터의 관성력에 의한 회전체 또는 회전체의 회전구동장치의 손상을 방지하는 지폐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폐감별장치는, 케이스(2)와, 케이스(2) 내에 형성되어 지폐가 통과하는 반송통로(3)와, 반송통로(3)의 일끝단에 형성된 입구(4)로부터 삽입된 지폐를 반송통로(3)를 따라 반송통로(3)의 다른끝단에 형성된 출구로 반송하는 반송장치(6)와, 반송통로(3)에 인접하여 배치된 감별센서(34,35)를 가진다. 이 지폐감별장치는, 초기위치에서 반송통로(3)와 일치하는 슬릿(41)을 구비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회전체(40)와, 회전체(40)를 회전시키는 회전체구동장치(70)와, 감별센서(34,35)의 출력에 의해 지폐의 진위를 판단함과 동시에, 회전체구동장치(70)를 제어하는 감별제어회로(50)를 구비하고 있다. 감별제어회로(50)는 지폐가 회전체(40)의 슬릿(41)을 통과한 후, 회전체구동장치(70)에 의해 회전체(40)를 회전시키고, 지폐에 접속된 인출수단을 회전체(40)의 바깥둘레에 감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지폐를 안내하는 테이퍼부(46)를 회전체(40)의 슬릿(41)에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폐인출수단 검출방법은, 입구(4)에 삽입된 지폐를 반송장치(6)에 의해 반송통로(3)를 따라서 이동시키고, 반송통로(3)를 따라서 부착된 감별센서(34,35)에 의해 감별출력을 출력함과 동시에, 반송통로(3)에 회전가능하게 배치한 회전체(40)의 슬릿(41)을 통과시켜 지폐를 이동시키는 과정과, 지폐감별장치에 의해 지폐의 진위를 판단하고, 진폐로 판단할 때 지폐를 지폐 반송장치(6)에서 지폐를 수납하는 스태커장치(80)로 보내는 과정과, 지폐가 반송통로(3)를 통과한 후에, 슬릿(41)이 반송통로(3)에 대하여 일치하는 초기위치로부터 일정각도 회전체(40)를 회전시켜, 회전체(40)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을 측정하는 과정과, 회전체(40)의 통상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을 비교하여 회전체(40)의 회전속도가 늦어질 때 또는 회전시간이 길어질 때 인출수단의 존재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지폐가 입구(4)에 삽입될 때, 반송통로(3)에 슬릿(41)이 일치하는 초기위치로 회전체(40)를 회전시키는 과정, 지폐가 반송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 각도범위로의 회전체(40)의 회전시간 또는 회전속도를 미리 기억하는 과정, 슬릿(41)이 반송통로(3)와 일치하는 초기위치를 검출하는 과정, 초기위치로 회전체(40)를 위치결정하고 초기위치에 있는 회전체(40)의 일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과정, 회전체(40)를 회전시키는 회전체모터(71)에 연결된 엔코더(77)로부터 발생하는 펄스의 펄스폭을 측정하는 과정 또는 회전체(40)를 회전시키는 회전체모터(71)에 연결된 엔코더(77)로부터 발생하는 펄스의 시간간격을 계산하여 회전체 (40)의 회전시간을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지폐를 반송하기 전에 소정각도만큼 회전체(40)를 회전시키는 회전체모터(71)에 연결된 엔코더(77)로부터 발생하는 펄스의 펄스폭 및 시간간격을 계산하여 회전체(40)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을 미리 측정하는 과정과, 미리 측정한 회전체(40)의 회전속도를 기억하는 과정과, 입구(4)에 삽입된 지폐를 반송통로(3)를 따라 이동시켜 이동중에 지폐의 감별을 행함과 동시에, 반송통로(3)의 출구(5)로부터 배출하는 과정과, 지폐를 출구(5)로부터 배출한 후에 소정각도만큼 회전체(40)를 회전시키고, 회전체모터(71)에 연결된 엔코더(77)로부터 발생하는 펄스의 펄스폭 및 시간간격을 계산하여 회전체(40)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을 후에 측정하는 과정과, 후에 측정한 회전체(40)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을 기억하는 과정과, 이미 측정한 회전체(40)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을 후에 측정한 회전체(40)의 회전속도 또는 고정시간을 비교하여 후에 측정한 회전체 (40)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이 이미 측정한 회전체(40)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보다 일정범위이상 클때에 인출수단의 존재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후에 회전체(40)가 소정각도 회전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앞서 회전체(40)가 소정각도 회전하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일정시간이상 길 때, 인출수단의 존재를 검출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지폐감별장치는, 회전체(40)를 포위하여 부착되어진 커버부재(47)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체(40)와 커버부재(47)의 각각에 서로 대응하는 끝단부(44)를 적어도 한곳에 형성한다. 반송장치(6)에 의해 지폐를 감별센서(34,35) 및 회전체(40)의 슬릿(41)으로 통과시킨 후, 회전체(40)를 회전시키면, 지폐에 접속된 끈, 실, 테이프 등의 인출수단이 회전체(40)의 주위에 감겨져 지폐의 부정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40)의 회전에 의해 회전체(40)와 커버부재(47)의 극히 좁은 클리어런스(47a)에 인출수단이 강제적으로 끼어 들어가기 때문에, 회전체(40)의 회전이 방해되어 회전체(40)의 회전속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인출수단이 없는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회전속도 또는 소정각도로의 회전에 필요한 회전시간과, 인출수단이 접속된 상태에서의 회전속도 또는 소정각도로의 회전에 필요한 회전시간을 비교하여 회전체(40)의 회전속도가 지연되거나 또는 회전시간이 길어지면, 회전체(40)의 주위에 존재하는 인출수단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폐감별장치는, 일끝단에 롤러(61)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축(62)에 의해 요동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60)와, 레버(60)에 부착된 롤러 (61)를 회전체(40)의 바깥면에 가압하는 스프링(63)과, 레버(60)의 회전을 검출하는 위치센서(66)를 구비한다. 감별제어회로(50)는 지폐가 회전체(40)의 슬릿(41)를 통과한 후, 회전체구동장치(70)에 의해 회전체(40)를 일정시간 회전시킨다. 회전체(40)의 바깥둘레부에 형성된 절결부(65)에 끼워맞춤하는 레버(60)의 롤러(61)에 의하여 회전체(40)는 슬릿(41)이 반송통로(3)에 일치하는 초기위치로 위치결정됨과 동시에, 회전체(40)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므로, 초기위치에 있는 회전체(40)를 강제적으로 회전시켜 인출수단을 회전체(40)로부터 제거할 수 없다.
또한, 회전체(40)는 일정각도만큼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회전체구동장치 (70)에 연결되는 것이므로, 회전체(40)의 바깥면에 형성된 반원형의 절결부(65)에 롤러(61)가 끼워맞춤할 때, 회전체(40)는 회전체구동장치(70)의 회전속도보다 스프링(63)에 의해 회전속도가 증가하여 롤러(61)가 절결부(65)에 끼워맞춤되고, 선행하는 회전체(40)와 회전체구동장치(70) 사이의 회전각도방향으로 틈새(48)가 형성된다. 롤러(61)가 절결부(65)에 끼워맞춤되면, 회전체(40)의 회전이 기계적으로 정지된다. 이 때문에 위치센서(66)는 레버(60)의 초기위치를 검출하여 위치센서 (66)로부터 발생하는 신호가 감별제어회로(50)에 부여되고, 감별제어회로(50)의 출력정지에 의해, 회전체모터(71)의 작업이 정지된다. 따라서 회전체모터(71)의 작업이 정지된 상태에서 회전체구동장치(70)가 틈새(48) 만큼 회전하는 사이에 회전체구동장치(70)의 관성력은 감소하여, 회전체구동장치(70)가 회전체(40)에 맞닿을 때의 충격력이 완화된다. 또한, 고정체(40)의 슬릿(41)이 반송통로(3)에 일치하는 초기위치로 회전체(40)가 확실하게 위치결정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체구동장치(70)는 회전체모터(71)와, 회전체모터(71)에 구동되도록 연결되는 기어(45)를 구비하고, 회전체(40)는 기어(45)와 동축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회전체(40)와 기어(45)는 회전각도방향으로 일정각도만큼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기어(45)는 한 쌍의 돌기(45a)를 가지고, 회전체(40)는 기어(45)의 돌기(45a)가 끼워맞춤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절결부(40a)를 가진다.
케이스(2)는 감별센서(34,35)를 수용하고 반송통로(3)의 앞부분 통로(3a)를 가지는 앞부분 하우징(2a)과, 앞부분 통로(3a)에 연속하여 형성된 뒤부분 통로(3b)를 가지며, 앞부분 하우징(2a)에 인접하여 배치된 뒤부분 하우징(2b)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체(40) 및 회전체구동장치(70)는 앞부분 하우징(2a) 또는 뒤부분 하우징(2b)중 어느 한 쪽에 배치된다. 뒤부분 하우징(2b)은 앞부분 하우징(2a)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입구(4)로부터 공구의 부정한 삽입 및 스태커장치내 지폐의 부정한 꺼냄을 방지하기 위해, 지폐가 입구(4)에 삽입되기 전의 대기상태에서는, 회전체(40)의 슬릿(41)은 반송통로(3)에 일치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회전체(40)의 슬릿 (41) 및 출구센서(36)를 통하여 지폐를 이동시킨 후, 회전체(40)를 회전시켜, 출구센서(36)에 의해 인출수단의 존재를 검출할 때, 감별제어회로(50)는 경보기(80)에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감별장치(1)는 케이스(2)와, 케이스(2)내에 형성되고 지폐가 통과하는 반송통로(3)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통로(3)는 케이스(2)의 일끝단에 형성된 입구(4)와, 다른 끝단에 형성된 출구(5)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반송통로(3)를 따라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장치(6)는, 반송모터(7)와, 반송모터(7)의 출력축(8)에 설치된 피니온(9)과, 피니온(9)에 접속된 중간 큰기어(10)와, 중간 큰기어(10)의 축(11)에 접속된 중간 작은기어(12)와, 중간 작은기어(12)에 접속된 구동기어(13)와, 구동기어(13)의 축(14)에 접속된 구동풀리(15)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풀리(15)에 감긴 구동벨트(16)는, 3개의 롤러 (17,18,19)의 풀리부 및 풀리(20)에도 감겨 있다.
풀리(20)에 구동벨트(16)를 감아서 구동벨트(16)가 부분적으로 하방으로 굽어있다. 또한 구동벨트(16)는 장력조절풀리(21)에 의해 가압된다. 지지레버(22)의 일 끝단은 축(22a)에 의해 프레임(2)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장력조절풀리 (21)는 지지레버(22)의 다른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진다. 축(22a)에 감긴 토션스프링(23)의 일 끝단은 지지레버(22)에 걸림고정되고, 토션스프링(23)의 다른 끝단은 핀(24)에 걸림고정된다. 지지레버(22)는 토션스프링(23)에 의해 탄성력을 갖게 되고, 장력조절풀리(21)는 구동벨트(16)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벨트를 팽팽하게 당기게 된다. 각 롤러(17∼19)에 대향하는 가압롤러(25∼27)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반송할 지폐를 롤러(17,18,19)와 가압롤러(25∼27)와의 사이에 끼워 확실하게 출구(5)로 향하여 반송통로(3)를 따라 반송한다.
반송모터(7)의 출력축(8)에 부착되는 반송엔코더(30)는, 둘레방향으로 일정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절결부(32)가 형성된 디스크(31)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엔코더(30)는 도시하지 않은 포토커플러를 구비하고, 포토커플러로부터 발생하는 광이 절결부(32)에 의해 투과되는 것을 검출하여,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 도 7에 나타내는 감별제어회로(50)로 출력을 송출한다. 감별제어회로(50)는 단위시간당 포토커플러의 출력을 계산하여 반송모터(7)의 회전수 및 회전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감별제어회로(5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광 감별센서(34) 및 자기 감별센서 (35)의 출력을 수신하여 진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진폐로 판단할 때, 출구센서 (36)의 출력을 수신한 후, 회전체모터(71)를 구동함과 동시에, 진폐로 판단하지 않을 때, 반송모터(7)를 역회전시켜 지폐를 입구(4)로 되돌려 보내는 판별수단과, 기준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수단과, 회전체(40)의 회전중에 펄스발생수단의 기준 펄스수를 계산하여 지폐를 반송하는 전,후에서의 회전체(40)의 회전시간 및 회전속도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기억수단에 기억되고 지폐를 반송하는 전,후에서의 회전체(40)의 회전시간 및 회전속도를 비교하여 지폐의 반송후의 회전체(40)의 회전시간 또는 회전속도가 지폐의 반송전의 회전시간 또는 회전속도에 비교하여 기준범위 밖에 있을 때 경보출력을 발생하는 비교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구(4)로부터 투입되는 지폐를 검출하는 입구센서(33)가 입구(4)의 근방에서 반송통로(3)에 인접하여 부착된다. 또한 입구센서 (33)의 내에 광 감별센서(34)와 자기 감별센서(35)가 부착되고, 반송통로(3)의 출구 근방에는 출구센서(36)가 부착된다. 입구센서(33)는 예를 들면 발광다이오드와 수광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포토커플러로서 구성된다. 광 감별센서(34)는 발광부로부터 발생된 적외선을 지폐의 표면에 반사시켜 또는 지폐를 투과시킨 후, 수광하여 지폐의 광학적 패턴(광학적 특징)을 인식할 수 있는 포토커플러이다. 자기 감별센서(35)는 지폐에 인쇄된 잉크의 자기성분(자기적 특징)을 검출하는 자기헤드 또는 홀센서이다. 광 감별센서(34) 및 자기 감별센서(35)의 출력은 각각 감별제어회로(50)에 송출된다. 출구센서(36)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벤드레버(37)와, 벤드레버(37)에 인접하여 부착된 포토커플러(38)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통로(3)내의 지폐가 벤드레버(37)의 일 끝단에 닿으면 벤드레버(37)는 지폐에 의해 회전되고, 이로써 벤드레버(37)의 다른 끝단이 포토커플러(38)의 광을 차단 또는 투과시킨다. 따라서 출구센서(36)의 포토커플러(38)는 지폐의 앞 끝단과 뒤 끝단의 통과를 검출하여 감별제어회로(50)에 출력을 송출할 수 있다. 출구(5)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스태커장치는, 출구(5)에서 배출되는 지폐를 적층상태로 순차 수용한다.
롤러(18)과 출구센서(36) 사이에는 회전체(40)가 회전가능하게 또한 반송통로(3)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설치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체(40)는 거의 원주형상으로 형성되고 또 바깥둘레부에 복수의 단부(44)가 형성된 회전체본체(42)와, 회전체본체(42)에 원주형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41)과, 회전체본체(42)의 중심에 배치된 샤프트(43)와, 회전체본체(42)와샤프트(43) 사이에 배치된 원웨이클러치(43a)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체본체(42)의 주위에는 회전체본체(42)의 단부(44)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커버부재 (47)가 회전체본체(42)의 바깥측을 포위하여 설치된다. 회전체(40)와 커버부재 (47)와의 사이에는 0.5㎜ 정도의 작은 클리어런스(47a)가 형성되고, 지폐가 반송통로(3)를 통과할 때에 클리어런스(47a)에 침입하여 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부(44)가 형성된다. 회전체구동장치(7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체(40)는, 원웨이클러치(43a)에 의하여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만 회전되어 롤러(61)와 반원형상의 절결부(65)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회전체(40)는 반시계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다.
슬릿(41)은 반송통로(3)와 일치할 때에, 반송통로(3) 및 슬릿(41)을 통해 지폐를 출구(5)로 향하여 반송할 수 있다. 슬릿(41)은, 반송방향을 향하여 좁아지는 테이퍼부(46)에 의해 슬릿(41)을 통과한 지폐를 출구(5)로 향하여 반송통로(3)에 원활하게 안내하고, 잼의 발생을 방지하여 지폐를 확실하게 반송함과 동시에, 수지로 성형되는 회전체본체(42)의 제조시 금형빼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샤프트 (43)의 양 끝단은 각 축받이부(43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2 및 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체(40)가 초기위치에 있을 때, 회전체(40) 바깥둘레의 일부에 형성된 반원형의 절결부(65)에는 중앙부에서 축(62)에 의해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된 레버(60)의 롤러(61)가 걸어맞춤한다. 롤러(61)는 축(61a)에 의해 레버(60)의 일 끝단(60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프링(63)의 일 끝단(63a)은 레버(60)의 다른 끝단(60b) 부근에 접속되고, 스프링(63)의 다른끝단(63b)은 케이스(2)에 접속된다. 롤러(61)가 회전체(40)의 바깥면에 항상 맞닿아서 반원형 절결부(65)에 걸어맞춤하도록 레버(60)는 스프링(63)의 탄력에 의해 지지축(62)을 중심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포토커플러등으로 구성되는 비접촉형의 위치센서(66)는 레버(60)의 다른 끝단(60b) 부근에 부착되고, 롤러(61)가 반원형의 절결부(65)에 걸림고정한 상태 또는 레버(60)의 회전운동 상태를 검출한다. 롤러 (61)가 절결부(65)내에 배치될 때, 레버(60)의 다른 끝단(60B)이 위치센서(66)를 구성하는 포토커플러의 광을 차단하므로 위치센서(66)는 「0」출력을 발생한다. 회전체(40)가 회전하여 롤러(61)가 절결부(65)에서 이탈하면, 레버(60)의 다른 끝단(60b)이 위치센서(66)로부터 이격되므로 위치센서(66)는「1」의 출력을 발생한다.
회전체(40)를 회전시키는 도 2에 나타낸 회전체구동장치(70)는, 회전체모터 (71)와, 회전체모터(71)의 출력축에 부착되어진 피니온(72)과, 피니온(72)에 이맞물림하는 큰기어(73)와, 큰기어(73)의 축(74)에 고정되는 작은기어(75)와, 회전체 (40)의 샤프트(43)에 부착된 기어(45)와 작은기어(75)에 이맞물림하는 중간기어 (76)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체모터(71)를 구동하면, 회전체(40)의 반원형 절결부 (65)에 끼워맞춤한 레버(60)의 롤러(61)는, 스프링(63)의 탄력에 대항하여 회전체 (40)의 회전에 따라 절결부(65)에서 밀려나온다. 이로써 반원형의 절결부(65)와 롤러(61)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레버(60)가 스프링(63)의 탄력에 저항하여 도 2에서 지지축(6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6(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체(40)는 한 쌍의 원호형상의 절결부(40a)와, 절결부(40a)의 끝단부에 형성된 연결부(40b)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체(40)의 각 절결부(40a)에는 기어(45)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45a)가 끼워맞춤된다. 돌기 (45a)는 기어(45)의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절결부(40a) 내에서 회전각도방향으로 일정각도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별제어회로(50)의 각 입력단자에는, 입구센서 (33)와, 광 감별센서(34)와, 자기 감별센서(35)와, 출구센서(36)와, 위치센서(66)가 접속된다. 감별제어회로(50)의 각 출력단자에는, 반송모터(7)와, 반송엔코더 (30)와, 회전체모터(71)와, 회전체 엔코더(77)와, 경보기(80)가 접속된다. 회전체모터(71)의 출력축에 부착되어지는 회전체 엔코더(77)는, 둘레방향에 일정각도간격으로 복수의 절결부(79)가 형성된 디스크(78)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체 엔코더 (77)는, 도시하지 않은 포토커플러를 구비하고, 포토커플러로부터 발생하는 광이 절결부(79)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검출하여, 감별제어회로(50)에 출력을 송출한다. 감별제어회로(50)는 단위시간당의 포토커플러의 출력을 계산하여, 회전체모터(71)의 회전수 및 회전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내는 감별제어회로(50)의 동작을 도 8에 의거 설명한다.
스텝(100)에서 스텝(101)으로 진행하여, 감별제어회로(50)는 입구(4)에 지폐가 투입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지폐가 입구(4)에 삽입되기 전의 대기상태에서는, 회전체(40)의 슬릿(41)은 반송통로(3)에 일치하지 않은 도 4에 나타내는 직각인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반송통로(3)의 일 끝단에 설치된 입구(4)에 지폐를 투입하면, 입구센서(33)가 지폐의 삽입을 검출하여 감별제어회로(50)에 출력을 송출한다. 다음에, 스텝(102)에서 감별제어회로(50)는 반송모터(7)를 구동하여 반송통로(3)를 따라 지폐를 반송함과 동시에, 스텝(103)에서 광 감별센서(34)및 자기 감별센서(35)를 온시킨다. 그 후, 감별제어회로(50)는, 스텝 (104)에서 회전체모터(71)를 구동하여 스텝(105)에서 위치센서(66)가 온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프링(63)의 탄력에 의해 레버(60)의 롤러(6l)가 회전체(40)의 반원형의 절결부(65)에 걸어맞춤하고, 위치센서(66)에 의해 롤러(61)의 반원형의 절결부(65)로의 걸어맞춤을 검출하여, 감별제어회로(50)로 출력을 송출한다. 위치센서(66)가 온된 후, 감별제어회로(50)는 스텝(106)에서 회전체모터(71)의 구동 및 회전체 엔코더(77)의 작동을 정지한다.
이 때, 롤러(6l)가 절결부(65)에 걸어맞춤하는 회전체(40)의 초기위치에서는, 회전체(40)의 슬릿(41)이 반송통로(3)에 일치한다. 스텝(107)에서는 회전체 (40)의 회전체 엔코더(77)로부터 송출된 1회전에 필요한 회전시간 및 회전속도를 기억수단에 기억한다. 계속해서 지폐는 반송통로(3)및 회전체(40)의 슬릿(41)을 통과하여 출구(5)로 향해 이동된다.
반송통로(3)를 따라 이동하는 지폐가 광 감별센서(34) 및 자기 감별센서(35)를 통과할 때, 감별제어회로(50)는 광 감별센서(34) 및 자기 감별센서(35)의 출력을 수신하여, 반송되는 지폐가 진폐인지 아닌지 지폐의 진위를 판단하는(스텝108). 지폐의 광학적 특징 및 자기적 특징으로부터 감별제어회로(50)가 진폐를 판단하면, 스텝(109)에서 출구센서(36)가 지폐의 통과를 검출하였는지 안하였는지를 검출한다. 반송되는 지폐의 앞끝단이 출구센서(36)의 벤드레버(37)를 통과할 때, 지폐의앞끝단은 벤드레버(37)를 회전시키고, 출구센서(36)의 포토커플러(38)는 지폐의 앞끝단을 검출한 검출출력을 발생한다. 또한, 지폐의 뒤끝단이 벤드레버(37)를 통과하면, 벤드레버(37)는 자중에 의해 초기의 위치로 복귀하므로, 포토커플러(38)는 지폐의 뒤끝단의 통과를 검출한 출력을 발생한다. 스텝(109)에서 출구센서(36)가 지폐의 통과를 검출한 것으로 되면, 지폐는 출구센서(36) 및 출구(5)를 완전히 통과하여, 스텝(110)에서 반송모터(7)가 정지된다.
지폐가 출구(5) 및 출구센서(36)를 통과하고, 반송모터(7)가 정지한 후, 스텝(111)에서 감별제어회로(50)는 회전체모터(71)에 출력을 송출하여 회전체(40)를 1회전시킨다. 판별제어회로(50)는 스텝(1l2)에서 회전체(40)가 1회전 하였는지 안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회전체(40)가 360도의 각도로 1회전하면, 위치센서(66)가 레버(60)의 위치를 검출하여, 회전체모터(71)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스텝(l12)에서 회전체(40)를 1회전시키는 것은, 지폐를 스태커장치내에 수납한 후에 회전체(40)를 1회전시켜, l회전에 필요한 시간을 스텝(l07)에서 기억수단에 기억한 회전시간 및 회전속도와 비교하기 위해서 이다.
출구센서(36)가 지폐의 통과를 검출할 때, 출구센서(36)는, 도 l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을 발생하지만, 지폐가 출구센서(36)를 완전히 통과한 시점에서 감별제어회로(50)의 출력에 의해 회전체모터(7l)가 구동되어, 도 6(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45)의 돌기(45a)가 회전체(40)의 연결부(40b)를 구동하므로 회전체(40)가 회전된다. 이 때, 도 5(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61)가 스프링(63)의 탄력에 저항하여 회전체(40)의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레버(60)의 다른끝단(60b)은 위치센서(66)로부터 이격되므로 위치센서(66)가「1」출력을 발생한다. 회전체(40)가 더욱 회전되어, 도 5(3) 및 도 6(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61)가 절결부(65)의 앞으로 회전되었을 때, 롤러(61)는 스프링(63)의 탄력에 의해서 절결부(65)의 끝단부를 회전방향으로 누른다. 이 때문에, 도 5(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61)가 절결부(65)내에 끼워맞춤될 때, 도 6(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체(40)는 기어(45)보다 먼저 회전하여, 기어(45)의 돌기(45a)와 회전체(40)의 연결부(40b)와의 사이에 각도상의 틈새(48)가 형성된다. 도 5(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위치센서(66)의 출력이「1」에서 「0」로 되는(도 l0) 것이므로, 회전체모터 (7l)의 작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회전체모터(71)의 작동이 정지한 상태에서, 회전체모터(71), 큰기어(73) 및 중간기어(76)를 포함하는 회전체구동장치(70)의 관성력은, 돌기(45a)가 틈새(48) 부분을 회전하는 사이에 감소하고, 도 5(5) 및 도 6(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45)의 돌기(45a)가 회전체(40)의 연결부(40b)에 접촉하지 않고 틈새(48)가 잔존하므로, 연결부(40b)에 대한 돌기(45a)의 충격력을 발생하지않고서 도 5(1)에 나타내는 초기위치로 회전체(40)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체(40)의 슬릿(41)이 반송통로(3)에 일치하는 초기위치로 회전체(40)가 확실하게 위치 결정된다.
이어서, 감별제어회로(50)는 회전체엔코더(77)의 펄스폭이 소정 시간간격인지 아닌지(스텝113) 및 회전체(40)의 l회전에 필요한 시간이 스텝(107)에서 기억한 회전시간 및 회전속도와 비교하여 기준범위내에 있는지 아닌지(스텝114)를 판단한다.
출구(5)를 통과한 지폐에 끈, 실, 테이프등의 인출수단이 접속되어 있으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폐에 접속된 인출수단은 반송통로(3) 및 회전체(40)의 슬릿(41)내로 연이어진 것이므로 스텝(1l2)에서 회전체(40)를 1회전시키면, 인출수단은 회전체(40)와 커버부재(47) 사이의 작은 클리어런스(47a) 내에 끼여 회전체 (40)의 바깥둘레에 감긴다. 인출수단이 회전체(40)와 커버부재(47)의 사이에 끼여질 때, 인출수단에 의해서 회전체(40)의 회전이 방해되기 때문에, 회전체엔코더 (77)의 펄스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지폐 반송 전의 회전속도에 비교하여 회전체(40)의 회전속도가 저하한다. 따라서, 스텝(113)에 있어서 회전체엔코더(77)의 펄스폭이 소정시간 간격이 아닐 때 또는 스텝(114)에서 회전체(40)의 1회전에 필요한 시간이 스텝(107)에서 기억한 회전시간과 비교하여 기준범위내에 없을 때는, 감별제어회로(50)는 인출수단이 지폐에 접속된 것으로 판단하여, 스텝(125)에서 경보기(80)에 경보신호를 송출하여 경보기(80)를 작동시킨 후, 스텝(126)으로 진행한다. 회전체(40)의 바깥둘레에 감긴 인출수단은, 케이스(2)를 개방한 후, 회전체 (40)를 회전시켜 제거할 수 있다. 스텝(113)에서 회전체엔코더(77)의 펄스폭이 소정 시간간격일 때 및 스텝(114)에서 회전시간이 기준범위내에 있을 때는, 감별제어회로(50)는 인출수단이 지폐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스텝(ll5)으로 진행한다.
그 후, 스텝(115)에서 회전체모터(71)를 작동하여 회전체(40)를 0.75회전 (3/4회전)시키고, 감별제어회로(50)는 회전체(40)가 소정시간 회전하여 스텝(116)에서 3/4회전한 것으로 판단하면, 스텝(117)에서 회전체모터(71)의 작동을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회전체(40)의 슬릿(41)이 반송통로(3)에 대하여 직각인 상태가 되고, 회전체(40)는 반송통로(3)를 막게되므로 입구(4)로부터의 부정한 공구의 삽입 및 스태커장치내의 부정한 지폐 빼냄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스텝(118)에서 감별제어회로(50)는 출구센서(36)가 온으로 되어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지폐가 스태커장치내에 수용되어 있으면, 출구센서(36)는 오프상태로 유지되지만, 인출수단에 의해서 방출되는 지폐는 출구센서(36)를 통과하여 또는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스텝(118)에서 출구센서(36)가 온상태인 경우는 지폐가 인출수단에 의해서 방출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스텝(125)에서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스텝(l18)에서 출구센서(36)가 오프상태일 때는, 스텝(1l9)에서 스태커장치내에 지폐를 수납한 후, 스텝(126)으로 진행한다.
스텝(109)에서 감별제어회로(50)가 진폐로 판단하지 않을 때, 스텝(120) 및 (l21)에서 반송모터(7)를 정지하고 역회전하여, 지폐를 입구(4)로 되돌려 보낸다. 스텝(122)에서 입구센서(33)가 오프로 되었을 때, 감별제어회로(50)는 반송모터(7)의 구동을 정지(스텝123)하고, 지폐의 배출을 완료(스텝124)하여, 스텝(l26)으로 진행한다.
도 9는 감별제어회로(50)를 디스크리트회로에 의해 구성한 형태를 나타낸다. 입구센서(33)가 지폐의 삽입을 검출하면, 원쇼트 멀티바이브레터 등의 펄스성형회로(130)는 R/S 플립플롭(131)을 세트상태로 전환하고, 오아게이트(132)를 통하여 회전체모터(71)를 구동한다. 회전체모터(71)의 구동중에는 앤드게이트(140)에 회전체 엔코더(77)의 펄스가 부여되기 때문에, 회전체 엔코더(77)의 펄스가 온상태일 때, 펄스발생기(14l)의 펄스수가 제 1 카운터(142)에 의해 계산된다. 제 1 카운터 (142)는, 펄스발생기(14l)의 기준펄스를 계산하여, 회전체 엔코더(77)가 발생하는 각 펄스의 펄스폭을 계산함으로써 회전체(40)의 회전속도 변화를 리얼타임으로 측정한다. 또한, 제 1 카운터(142)는 회전체(40)가 1회전할 때까지 회전체모터(71)의 회전에 필요한 전시간을 계산한다. 판별회로(143)는 광 감별센서(34) 및 자기 감별센서(35)의 출력을 수신하여, 지폐가 소정의 광학적 특징 또는 자기적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판별회로(l43)는 진폐라고 판단하면, OK 단자로부터 출력을 발생하고, 펄스성형회로(l44)를 통해 출구센서(36)가 출력을 발생할 때에, 앤드게이트(145)가 온으로 되어, R/S 플립플롭(146)이 세트된다. 회전체 엔코더(77)의 펄스가 온상태일 때, R/S 플립플롭(146)의 출력에 의해, 제 2 카운터(148)는 앤드게이트(147)를 통하여 펄스발생기(141)의 펄스수는 제 2 카운터(148)에 의해 계산된다. 제 2 카운터(148)는, 지폐가 슬릿(41)을 통과한 후에, 펄스발생기(141)가 발생하는 각 펄스의 펄스폭을 계산함으로써 단위시간당 펄스발생기의 기준펄스를 계산하여, 회전체(40)의 회전속도 변화를 리얼타임으로 측정한다. 또한, 지폐가 슬릿(4l)을 통과한 후의, 제 2 카운터(148)는 회전체(40)가 1회전할 때까지 회전체모터(71)의 회전에 필요한 전체시간을 계산한다. 회전체 (40)가 1회전하면, 위치센서(66)가 출력을 발생하여 펄스성형회로(133)의 펄스에 의해 R/S 플립플롭(l46)이 리세트되어, 회전체모터(71)의 구동이 정지된다. 비교수단(150)은 제 1 카운터(142)에 기억된 지폐 반송전 회전체(40)의 회전속도 및 전체회전시간과 제 2 카운터(148)에 기억된 지폐 반송후 회전체(40)의 회전속도 및 전체회전시간을 비교한다. 비교수단(150)은, 제 2 카운터(148)에 기억된 회전체 (40)의 회전속도 및 전체회전시간이 제 1 카운터(142)에 기억된 회전체(40)의 회전속도 및 전체회전시간에 비교해서, 소정 회전시간의 기준내에 있지 않을 때, 경보기(80)를 작동한다. 판별회로(l43)에서 진폐로 판단되지 않을 때, NG 단자로부터 출력을 발생하고, R/S 플립플롭(149)을 세트하여, 반송모터(7)를 역회전시킨다. 입구(4)로 지폐를 되돌려 보내 입구센서(33)로부터 출력이 발생하면, R/S 플립플롭 (149)은 리세트된다.
도 1 및 도 4는, 케이스(2)의 앞부분 하우징(2a)내에 감별센서(34,35)를 수용하여, 반송통로(3)의 앞부분 통로(3a)를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반드시 앞부분 하우징(2a) 내에 회전체(40) 또는 회전체구동장치(70)를 배치할 필요는 없고, 케이스(2)와 케이스(2)로부터 배출된 지폐를 수납하는 스태커장치까지의 반송통로중 어느 장소에 회전체(40) 또는 회전체구동장치(7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케이스(2)와 스태커장치와의 사이 연결부에 회전체(40), 회전체구동장치 (7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도 18은, 앞부분 통로(3a)에 연속하여 형성된 뒤부분 통로(3b)를 가지는 뒤부분 하우징(2b)을 앞부분 하우징(2a)에 인접하여 배치하고, 뒤부분 하우징(2b)내에 회전체(40) 및 회전체구동장치(70)를 배치한 예를 나타낸다. 뒤부분 하우징(2b)은 앞부분 하우징(2a)에 대하여 끼워맞춤식으로 장착하여 후크등으로 걸림고정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1∼도 1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뒤부분 하우징(2b)에 회전체(40)를 설치하여, 회전체(40)의 뒤부분에 출구센서(36) 및 지폐의 끝단부를 검출하는 끝단부센서(39)를 설치한다. 회전체(40)의 슬릿(41)을 통과하는 뒤부분 통로(3b)는 출구센서(36)의 후방에 연이어진다. 또한, 뒤부분 통로(3b)의 입구를 구성하는 가이드부재(3c)는 뒤부분 하우징(2b)에서 전방으로 돌출하고, 앞부분 하우징(2a)내의 앞부분 통로(3a)와 연결되어 원활한 반송통로(3)를 형성한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구센서(36)의 바깥쪽에 스태커장치(80)가 설치되고, 스태커장치 (80)내에 지폐(90)를 수납할 때에 끝단부센서(39)에 의해서 지폐(90)의 위치를 확인한다. 인출수단이 지폐(90)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 지폐(90)는 출구센서(36)의 안쪽에 배치되어, 출구센서(36)에서는 검출되지 않는다.
도 8의 스텝(119)에서, 감별제어회로(50)는 출구센서(36)가 온으로 되어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지폐가 스태커장치(80)내에 수용되어 있으면, 출구센서 (36)는 오프상태로 유지되지만,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출수단(91)에 의해서 방출되는 지폐(90) 또는 인출수단(91)이 출구센서(36)를 통과하거나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스텝(119)에서 출구센서(36)가 온상태인 경우는 지폐(90)가 인출수단(91)에 의해서 방출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스텝(125)에서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출구센서(36)가 오프상태일 때는 스텝(126)으로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스텝(l12)에서는, 1회전에 필요한 회전체(40)의 회전시간 또는 회전속도를 계산하였지만, 소정의 회전각도로 회전체(40)를 회전시켜 인출수단을 검출하도록 검출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스텝(107)에서 회전체(40)의 1회전에 필요한 시간과 속도를 기억수단에 기억한 후, 스텝(112)에서 회전체(40)를 1회전시켜1회전에 필요한 시간을 스텝(107)에서 기억수단에 기억한 회전시간 및 회전속도와 비교하였지만, 스텝(l07)을 생략하고, 스텝(1l3)과 스텝(114)에서 미리 프로그램제어에 의해서 설정한 기준펄스폭 및 기준시간에 대하여 회전체(40)를 1회전시켰을 때의 펄스폭과 회전시간을 비교하여도 좋다.
회전체(40)에 복수의 반원형의 절결부(65)를 형성하여도 좋다. 회전체(40)와 절결부(40a)의 대신에, 기어(45)에 원호형상의 절결부를 형성하거나, 회전체 (40)에 형성한 돌기와 회전체구동장치(70)의 기어(45)에 형성한 돌기(45a)를 돌기 대 돌기로 접촉시켜도 좋다.
또한, 도 l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체모터(71) 및 큰기어(73)를 포함하는 회전체구동장치(70)로서는, 중간기어(76)를 생략하여 회전체(40)의 샤프트(43)에 부착되어진 기어(45)에 작은기어(75)를 직접 이맞물림하여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지폐에 연결되어 회전체에 감긴 인출수단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고, 지폐의 부정인출 및 지폐감별장치의 부정사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폐의 인출을 방지하는 회전체를 소정의 위치에서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회전체를 소정의 위치에 정지시킬 때에 모터의 관성력에 의한 회전체 또는 회전체구동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3)

  1. 케이스와, 케이스내에 형성되어 지폐가 통과하는 반송통로와, 반송통로의 일끝단에 형성된 입구로 삽입된 지폐를 반송통로를 따라 반송통로의 다른 끝단에 형성된 출구로 반송하는 반송장치와, 반송통로에 인접하여 배치된 감별센서를 가지는 지폐감별장치에 있어서,
    초기위치에서 반송통로와 일치하는 슬릿을 구비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와,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체구동장치와,
    감별센서의 출력에 의해 지폐의 진위를 판단함과 동시에, 회전체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감별제어회로를 구비하며,
    감별제어회로는 지폐가 회전체의 슬릿을 통과한 후, 회전체구동장치에 의해 회전체를 회전시켜, 지폐에 접속된 인출수단을 회전체의 바깥둘레로 감고, 회전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눌러지며, 회전체를 초기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롤러를 레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감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체구동장치에 작동연결되고,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엔코더와,
    회전체를 포위하여 부착된 커버부재를 더욱 구비하고,
    레버는 회전체를 초기위치로 위치결정함과 동시에, 회전체를 한쪽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감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축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레버의 한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롤러와,
    레버에 부착된 롤러를 회전체의 바깥면으로 누르는 스프링과,
    레버의 회전을 검출하는 위치센서를 더욱 구비하고,
    회전 구동장치는 회전체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각도상의 틈새를 갖고, 상대적으로 구동 연결되며,
    감별제어회로는 지폐가 회전체의 슬릿을 통과한 후, 회전체구동장치에 의해 회전체를 일정시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감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체구동장치는 회전체모터와, 회전체모터에 구동하도록 연결된 기어를 구비하고, 회전체는 기어와 동축상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체와 기어는 회전각도방향으로 틈새를 갖고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감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기어는 한 쌍의 돌기를 가지며, 회전체는 기어의 돌기가 끼워맞춤되고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절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감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는 감별센서를 수용하고, 반송통로의 앞부분 통로를 가지는 앞부분 하우징과, 앞부분 통로에 연속하여 형성된 뒤부분 통로를 가지고 앞부분 하우징에 인접하여 배치된 뒤부분 하우징을 구비하고,
    회전체 및 회전체구동장치는 앞부분 하우징 또는 뒤부분 하우징중 어느 한 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감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뒤부분 하우징은 앞부분 하우징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감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지폐가 입구에 삽입되기 전의 대기상태에서는, 회전체의 슬릿은 반송통로에 일치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감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체의 슬릿 및 출구센서를 통하여 지폐를 이동시킨 후, 회전체를 회전시켜, 출구센서에 의해 인출수단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감별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출구센서에 의해 인출수단의 존재를 검출하였을 때, 감별제어회로는 경보기에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감별장치.
  11. 입구에 삽입된 지폐를 반송장치에 의해 반송통로를 따라 이동시키고, 반송통로를 따라 설치한 감별센서에 의해 감별출력을 출력함과 동시에, 반송통로에 회전가능하게 배치한 회전체의 슬릿을 통과시켜 지폐를 이동시키는 과정과,
    지폐감별장치에 의해 지폐의 진위를 판정하여, 진폐로 판단하였을 때 지폐를 지폐반송장치에서 지폐를 수납하는 스태커장치로 보내는 과정과,
    지폐가 반송통로를 통과한 후에, 슬릿이 반송통로에 대하여 일치하는 초기위치로부터 일정각도 회전체를 회전시켜,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체모터에 연결된 엔코더로부터 발생하는 펄스의 펄스폭 또는 펄스의 시간 간격을 계산하여 회전체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을 측정하는 과정과,
    회전체의 통상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과 비교하여, 회전체의 회전속도가 느릴 때 또는 회전시간이 길 때, 인출수단의 존재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인출수단 검출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지폐를 반송하기 전에, 소정각도만큼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체모터에 연결된 엔코더로부터 발생하는 펄스의 펄스폭 및 시간간격을 계산하여 회전체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을 미리 측정하는 과정과,
    미리 측정한 회전체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을 기억하는 과정과,
    입구에 삽입된 지폐를 반송통로를 따라 이동시키고, 이동중에 지폐의 감별을 행함과 동시에, 반송통로의 출구로 배출하는 과정과,
    지폐를 출구로 배출한 후에, 소정각도만큼 회전체를 회전시키고, 회전체모터에 연결된 엔코더로부터 발생하는 펄스의 펄스폭 및 시간간격을 계산하여 회전체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을 후에 측정하는 과정과,
    후에 측정한 회전체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을 기억하는 과정과,
    미리 측정한 회전체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을 후에 측정한 회전체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과 비교하여, 후에 측정한 회전체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이 미리 측정한 회전체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시간보다 일정범위이상 클 때에 인출수단의 존재를 검출하는 과정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인출수단 검출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후에 회전체가 소정각도 회전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앞서 회전체가 소정각도 회전하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일정시간 이상 길 때, 인출수단의 존재를 검출하는 과정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인출수단 검출방법.
KR1019997002111A 1999-03-12 1999-03-12 지폐감별장치 및 지폐인출수단 검출방법 KR100314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2111A KR100314307B1 (ko) 1999-03-12 1999-03-12 지폐감별장치 및 지폐인출수단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2111A KR100314307B1 (ko) 1999-03-12 1999-03-12 지폐감별장치 및 지폐인출수단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549A KR20000068549A (ko) 2000-11-25
KR100314307B1 true KR100314307B1 (ko) 2001-11-16

Family

ID=54750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111A KR100314307B1 (ko) 1999-03-12 1999-03-12 지폐감별장치 및 지폐인출수단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3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042B1 (ko) * 2006-06-30 2007-08-3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감별장치의 간격유지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02775A1 (en) * 1992-12-17 1994-06-22 Mars Incorporated Document handler with shutter
KR960034113A (ko) * 1995-03-07 1996-10-22 전재석 장식용 판유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02775A1 (en) * 1992-12-17 1994-06-22 Mars Incorporated Document handler with shutter
WO1994014141A1 (en) * 1992-12-17 1994-06-23 Mars Incorporated Document handler
KR960034113A (ko) * 1995-03-07 1996-10-22 전재석 장식용 판유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549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7575B2 (ja) 紙葉収納払出装置
US7255216B2 (en) Bill handling machine
US20030116400A1 (en) Banknote accumulator
EP0940781A1 (en) Bank note discriminating apparatus and bank note drawing means detecting method
US5513773A (en) Single denomination bill dispensing apparatus
US8245830B2 (en) Paper currency handling device
US5547061A (en) Currency-identifying apparatus
JP5199619B2 (ja) 紙葉類識別機の異常紙葉類早期検出方法および紙葉類識別機
WO2002026606A1 (fr) Unite d'alimentation en feuille de papier
US8215634B2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JP3817342B2 (ja) 紙幣鑑別装置
KR100314307B1 (ko) 지폐감별장치 및 지폐인출수단 검출방법
JP2007102471A (ja) 紙幣識別装置
JP5176137B2 (ja) 紙幣処理装置、紙幣取扱装置、及び蓋部材の開放検知方法
JP3739465B2 (ja) 紙幣鑑別装置及び紙幣引抜手段検出方法
EP4350650A1 (en) Fraud prevention mechanism, sheet transport device, and sheet handling device
JP3765850B2 (ja) 紙幣処理装置
JP2567046Y2 (ja) 紙幣取扱装置
JP2558983Y2 (ja) 紙幣取扱装置
JPS5965388A (ja) 銀行窓口装置
JP3225990B2 (ja) 紙幣処理装置
KR19990026174A (ko) 자동판매기의 지폐걸림 방지 제어 방법
JPH07152941A (ja) 紙葉類識別装置
KR20060132132A (ko) 지폐 식별 장치
JPH0824763B2 (ja) 遊技機のカード管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