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861A -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입금기 - Google Patents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입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861A
KR20230102861A KR1020210193312A KR20210193312A KR20230102861A KR 20230102861 A KR20230102861 A KR 20230102861A KR 1020210193312 A KR1020210193312 A KR 1020210193312A KR 20210193312 A KR20210193312 A KR 20210193312A KR 20230102861 A KR20230102861 A KR 20230102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sensor
pressing member
media
magneto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식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3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861A/ko
Publication of KR20230102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4Testing magnetic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hereof, e.g. by detection of magnetic impri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9Monitoring, auditing or diagnose of functioning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의 반송 장애 없이 매체의 위폐 여부 감별이 가능한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입금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은, 매체에 인쇄된 자성물질의 유무를 감지하는 자기저항센서와 접촉되며, 상기 자기저항센서와의 사이로 매체가 통과되도록 유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입금기{Magnetoresistance sensor tension module and Medium deposit device}
본 발명은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입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에 인쇄된 자성물질의 유무를 감지하여 매체의 위폐 여부를 감별할 수 있는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입금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대부분의 금융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장치로서, 현금자동지급기(CDU; Cash Dispenser Unit), 현금자동입출금기(BRM; Bill Recycling Machine), 다수매의 현금 및 수표 등의 매체를 번들(bundle) 단위로 동시에 입금 및 리젝트 처리할 수 있는 현금 및 수표 번들 입금기(CCIM; CASH AND CHECK IN MODULE) 등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매체 입금기는, 매체(M)를 번들(Bundle) 단위로 투입 및 수취하기 위한 번들모듈(10), 상기 번들모듈(10)에 투입된 매체(M)를 낱장으로 분리하는 분리부(20), 상기 분리부(20)를 통과하여 반송되는 입금 매체의 정보 및 진위를 감별하기 위한 이미지센서(CIS,30), 상기 이미지센서(30)를 통과한 매체가 일시 저장되는 일시저장부(40), 상기 일시저장부(40)에 저장된 매체 중에서 상기 이미지센서(30)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매체(수표)에 필요한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50), 상기 프린터(50)를 통과한 매체가 저장되는 카세트(60), 및 상기 일시저장부(40)에 저장된 매체 중에서 상기 이미지센서(30)에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매체 또는 입금 수납 취소된 매체가 반환되어 저장된 후에 리젝트권을 번들 단위로 상기 번들모듈 측으로 반송하는 리젝트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매체 입금기에 구비된 이미지센서(30)는 매체에 인쇄된 식별정보인 숫자나 문자 정보를 판독하여 매체의 위폐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미지센서(30)는 매체에 인쇄된 식별정보인 자성물질을 검출하는 기능이 없어 비자성 잉크로 식별정보를 인쇄한 위폐의 진위 여부를 판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자기저항센서(MR,80)를 이용하여 매체에 인쇄된 식별정보인 자성물질을 검출함으로써 매체의 위폐 여부를 판별하고 있다. 상기 자기저항센서(80)는 전기 저항이 자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자기장의 크기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매체와 접촉된 상태에서 자성물질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매체 입금기의 경우, 상기 자기저항센서(80)의 하측에는 통과하는 매체의 두께를 고려하여 0.2mm ~ 0.3mm의 간극(G)을 두고 갭 롤러(9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자기저항센서(80)와 사이에 갭 롤러(90)를 설정된 간극(G)에 정확하게 맞추어 세팅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상기 간극(G)이 정확하게 맞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기저항센서(80)에서 검출되는 정보가 부정확해지는 문제가 있고, 간극(G)이 설정된 간극보다 작은 경우에는 매체의 잼(jam) 발생에 의해 기기 장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매체 입금기의 사양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상기 갭 롤러(90)에 연결된 갭 조절용 스크류를 회전시켜 매체 입금기의 사양에 따라 정위치 상태가 되도록 다시 간극을 조정해야 하므로, 기기 운용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매체 입금기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144988호에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매체의 반송 장애 없이 매체의 위폐 여부 감별이 가능한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입금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은, 매체에 인쇄된 자성물질의 유무를 감지하는 자기저항센서와 접촉되며, 상기 자기저항센서와의 사이로 매체가 통과되도록 유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은, 상기 매체의 미통과 시에서는 상기 자기저항센서와 접촉하고, 상기 매체의 통과 시에는 상기 매체의 두께만큼 유동하며 상기 매체와 접촉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를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각각 양단이 지지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자기저항센서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단과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단은 상호 힌지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타측단과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단에 양단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자기저항센서와 상기 가압부재의 양측부에는, 유입되는 매체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기저항센서는, 매체의 반송로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의 영역에 걸쳐서 구비되어 상기 매체에 인쇄된 자성물질의 유무를 감지하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체 입금기는, 매체에 인쇄된 자성물질의 유무를 감지하는 자기저항센서와 접촉되며, 상기 자기저항센서와의 사이로 매체가 통과되도록 유동 가능하게 구비된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자기저항센서는, 매체의 반송로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의 영역에 걸쳐서 구비되어 상기 매체에 인쇄된 자성물질의 유무를 감지하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채널에서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로 송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채널에서 감지된 정보를 합산하여 기 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매체의 위폐 여부를 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정상권으로 감별된 매체는 일시저장부에 일시 저장된 후에 카세트로 이송되어 적재되도록 제어하고, 위폐로 감별된 매체는 일시저장부에 일시 저장된 후에 리젝트부로 반송되어 번들 단위로 취합된 후에 번들모듈을 통해 반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입금기에 의하면, 매체에 인쇄된 자성물질의 유무를 감지하는 자기저항센서와 간극 없이 접촉되며 자기저항센서와의 사이로 매체가 통과되도록 유동 가능한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을 구비함으로써, 매체의 잼 발생에 의한 반송 장애 없이 매체를 원활하게 반송하며 매체의 위폐 여부 감별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매체 입금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매체 입금기에 구비된 자기저항센서와 갭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입금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입금기에 구비된 위폐 감별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입금기에 구비된 위폐 감별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입금기에 구비된 위폐 감별 장치가 반송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입금기(1)는, 매체(M)를 번들(Bundle) 단위로 투입 및 수취하기 위한 번들모듈(100), 상기 번들모듈(100)에 투입된 매체(M)를 낱장으로 분리하는 분리부(200), 상기 분리부(200)를 통과하여 반송되는 입금 매체의 진위를 감별하기 위한 위폐 감별 장치(300), 상기 위폐 감별 장치(300)를 통과한 매체의 정보 및 진위를 감별하기 위한 이미지센서(CIS,400), 상기 이미지센서(400)를 통과한 매체가 일시 저장되는 일시저장부(500), 상기 일시저장부(500)에 저장된 매체 중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매체(수표)에 필요한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600), 상기 프린터(600)를 통과한 매체가 저장되는 카세트(700), 및 상기 일시저장부(500)에 저장된 매체 중에서 위폐를 포함한 비정상권으로 감별된 매체 또는 입금 수납 취소된 매체가 반환되어 저장된 후에 리젝트권을 번들 단위로 상기 번들모듈(100) 측으로 반송하는 리젝트부(800), 및 상기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위폐 감별 장치(300)는 자기저항센서(311)를 이용하여 매체에 인쇄된 식별정보인 자성물질을 검출함으로써, 매체의 위폐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를 검출한다. 즉, 상기 자기저항센서(311)에서 매체의 자성물질이 검출된 경우에는 매체가 정상권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고, 상기 자기저항센서(311)에서 매체의 자성물질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매체가 위폐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400)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매체에 인쇄된 식별정보인 숫자나 문자 정보를 판독하여 매체의 위폐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매체의 위폐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매체 입금기(1)에서 상기 이미지센서(400)는 옵션 사항으로서 이미지센서(400)를 생략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위폐 감별 장치(300)는, 매체에 인쇄된 자성물질을 감지하기 위한 자기저항센서 모듈(310)과, 상기 자기저항센서 모듈(310)이 매체와 접촉된 상태에서 자성물질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자기저항센서 모듈(310)과 간극 없이 접촉되되 매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유동 가능하게 구비된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320)를 포함한다.
상기 자기저항센서 모듈(310)은, 자기저항센서(MR,311)와, 상기 자기저항센서(311)가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312), 및 상기 자기저항센서(3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기저항센서(311)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PCB,313)을 포함한다.
상기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320)은, 자기저항센서(311)와의 사이로 매체의 미통과 시에서는 자기저항센서(311)와 접촉하고, 자기저항센서(311)와의 사이로 매체의 통과 시에는 매체의 두께만큼 하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매체와 접촉되는 가압부재(321), 상기 가압부재(321)를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고정부재(322), 및 상기 가압부재(321)와 고정부재(322)에 각각 양단이 지지되어 가압부재(321)를 자기저항센서(311)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3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323)는 매체의 통과 시 매체가 미는 힘에 의해 가압부재(321)가 하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적절한 탄성계수를 갖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321)의 일측단과 고정부재(322)의 일측단은 힌지축(322a)과 힌지축 삽입홀(321b)이 형성되어 상호 힌지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323)는 가압부재(321)의 타측단과 고정부재(322)의 타측단에 양단이 각각 지지된다. 상기 가압부재(321)의 타측단에는 탄성부재(323)의 상단부가 끼워져 지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 지지돌기(321c)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22)의 타측단에는 탄성부재(323)의 하단부가 끼워져 지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 지지홈(322c)을 포함하는 탄성부재 지지구(32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기저항센서(311)와 상기 가압부재(321)의 양측부에는, 유입되는 매체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311a,32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자기저항센서(311)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부재(321)의 상단부를 상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기저항센서(311)와 가압부재(321)의 양측에는 매체의 반송을 위한 구성으로, 상하로 접촉되는 제1롤러(331)와 제2롤러(332), 및 제3롤러(333)와 제4롤러(334)가 구비되고, 상기 제1롤러(331)를 제2롤러(332)를 향해 가압하기 위한 제1탄성부재(341)와, 상기 제3롤러(333)를 제4롤러(334)를 향해 가압하기 위한 제2탄성부재(34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압부재(321)가 탄성부재(323)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자기저항센서(311)와 간극 없이 접촉되고, 상기 자기저항센서(311)와 가압부재(321) 사이로 매체가 통과하는 경우에는 가압부재(321)가 매체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힌지축(322a)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하되 자기저항센서(311)와 가압부재(321) 사이에 매체가 협지되어 자기저항센서(311)가 매체와 접촉된 상태에서 자성물질의 유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설명한 종래기술과 달리 자기저항센서와 그 하측에 위치하는 롤러 사이의 간극을 조정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기기 운용의 작업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자기저항센서(311)는, 매체(M)의 반송로(900)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300L)의 영역에 걸쳐서 구비되어 상기 매체(M)에 인쇄된 자성물질의 유무를 감지하는 복수의 채널(CH)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320)은 너비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매체(M)가 반송로(900)의 어느 일측으로 편심된 상태로 반송되더라도 매체(M)자성이 인쇄된 부분(M1)은 상기 복수의 채널(CH)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복수의 채널(CH)은 9개의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채널(CH)에서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로 송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채널(CH)에서 감지된 정보를 합산하여 기 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매체(M)의 위폐 여부를 감별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채널(CH)에서 감지되어 합산된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정보에 대응되는 경우에는 정상권 매체로 판별할 수 있고, 복수의 채널(CH)에서 감지되어 합산된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정보 미만으로 검출된 경우에는 위폐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정상권으로 감별된 매체(M)는 일시저장부(500)에 일시 저장된 후에 카세트(700)로 이송되어 적재되도록 제어하고, 위폐로 감별된 매체는 일시저장부(500)에 일시 저장된 후에 리젝트부(800)로 반송되어 번들 단위로 취합된 후에 번들모듈(100)을 통해 반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번들모듈 20 : 분리부
30 : 이미지센서(CIS) 40 : 일시저장부
50 : 프린터 60 : 카세트
70 : 리젝트부 80 : 자기저항센서(MR)
90 : 갭 롤러 G : 간극
1 : 매체 입금기 100 : 번들모듈
200 : 분리부 300 : 위폐 감별 장치
300L : 위폐 감별 장치의 너비 310 : 자기저항센서 모듈
311 : 자기저항센서(MR) 311a : 경사면
312 : 지지부재 313 : 인쇄회로기판(PCB)
320,320a,320b :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321 : 가압부재 321a : 경사면
321b : 힌지축 삽입홀 322 : 고정부재
322a : 힌지축 322b : 탄성부재 지지구
322c : 탄성부재 지지홈 323 : 탄성부재
331 : 제1롤러 332 : 제2롤러
333 : 제3롤러 334 : 제4롤러
341 : 제1탄성부재 342 : 제2탄성부재
400 : 이미지센서(CIS) 500 : 일시저장부
600 : 프린터 700 : 카세트
800 : 리젝트부 900 : 반송로
M : 매체 M1 : 자성이 인쇄된 부분
CH : 채널

Claims (7)

  1. 매체에 인쇄된 자성물질의 유무를 감지하는 자기저항센서와 접촉되며;
    상기 자기저항센서와의 사이로 매체가 통과되도록 유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미통과 시에서는 상기 자기저항센서와 접촉하고, 상기 매체의 통과 시에는 상기 매체의 두께만큼 유동하며 상기 매체와 접촉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를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각각 양단이 지지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자기저항센서와 접촉되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일측단과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단은 상호 힌지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타측단과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단에 양단이 각각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저항센서와 상기 가압부재의 양측부에는, 유입되는 매체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저항센서는, 매체의 반송로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의 영역에 걸쳐서 구비되어 상기 매체에 인쇄된 자성물질의 유무를 감지하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6. 매체에 인쇄된 자성물질의 유무를 감지하는 자기저항센서와 접촉되며, 상기 자기저항센서와의 사이로 매체가 통과되도록 유동 가능하게 구비된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자기저항센서는, 매체의 반송로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의 영역에 걸쳐서 구비되어 상기 매체에 인쇄된 자성물질의 유무를 감지하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채널에서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로 송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채널에서 감지된 정보를 합산하여 기 설정된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매체의 위폐 여부를 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입금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상권으로 감별된 매체는 일시저장부에 일시 저장된 후에 카세트로 이송되어 적재되도록 제어하고, 위폐로 감별된 매체는 일시저장부에 일시 저장된 후에 리젝트부로 반송되어 번들 단위로 취합된 후에 번들모듈을 통해 반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입금기.
KR1020210193312A 2021-12-30 2021-12-30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입금기 KR20230102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312A KR20230102861A (ko) 2021-12-30 2021-12-30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입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312A KR20230102861A (ko) 2021-12-30 2021-12-30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입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861A true KR20230102861A (ko) 2023-07-07

Family

ID=87154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312A KR20230102861A (ko) 2021-12-30 2021-12-30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입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28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0165B2 (en) Paper sheet storing apparatus
JP5603259B2 (ja) 紙葉類識別装置
US8695776B2 (en) Bundle bill/check acceptor
KR101094512B1 (ko) 매체두께 감지장치 및 금융 자동화 기기
KR10095915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이매검지장치
JP2004083172A (ja) 紙葉類厚さ検知装置
JP4431328B2 (ja) 紙葉類判別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JP4650568B2 (ja) 紙幣識別装置
KR200199843Y1 (ko) 적외선투과 어레이 모듈을 이용한 위폐감지장치
US8789751B2 (en)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KR20230102861A (ko) 자기저항센서 텐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입금기
JP4998127B2 (ja) 記録媒体収納装置および記録媒体処理装置
JP2019204377A (ja) 厚み検出装置および媒体取引装置
EP1437604B1 (en) Object detector
US20130342855A1 (en) Device for cancelling checks
JPH1031774A (ja) 紙幣識別機及び紙幣識別方法
KR100716068B1 (ko) 지폐인식모듈의 자성검출기구
US7296735B2 (en) Media thickness sensor assembly
KR101055923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인식모듈
KR101413954B1 (ko) 매체 감지 장치 및 금융기기
KR10266422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장치
JP4869998B2 (ja) 硬貨入出金装置
JP4608814B2 (ja) 媒体処理装置
KR101125214B1 (ko) 정사기능을 제공하는 스캐너 장치
KR101815384B1 (ko) 매체 두께 감지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