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2185A - 힌지 핸들을 포함하는 도어 로크, 특히 차량 로크용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힌지 핸들을 포함하는 도어 로크, 특히 차량 로크용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2185A
KR20010042185A KR1020007010672A KR20007010672A KR20010042185A KR 20010042185 A KR20010042185 A KR 20010042185A KR 1020007010672 A KR1020007010672 A KR 1020007010672A KR 20007010672 A KR20007010672 A KR 20007010672A KR 20010042185 A KR20010042185 A KR 20010042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lap
door
pivo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0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6649B1 (ko
Inventor
만프레트 롤핑
Original Assignee
코페슐레거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페슐레거,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코페슐레거
Publication of KR20010042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2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6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04Lock assembling or manufact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Miscellaneous hardware, e.g. bushing, carpet fastener, caster, door closer, panel hanger, attachable or adjunct handle, hinge, window sash balance
    • Y10S16/24Handle fasten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82Kno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85Knob-attaching devic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힌지 핸들(40)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에 있어서 도어 내측(14)에 설치되는 지지체(20)에 힌지 가능한 플랩(30)용 지지핀(26)이 존재한다. 상기 핸들(40)은 단부 측의 두 고정점에 의해 플랩(30)과 연결되며, 또한 도어(10) 내 관통구(11, 12)를 통과하는 두 링크(21, 22)는 핸들(40)과 플랩(30) 사이에 존재한다. 간단한 조립을 할 수 있도록 제1 링크(21)에 제공되는 제1 고정 면을 피벗 베어링으로서 구성한다. 상기 피벗 베어링은 도어 평면(36)에 수직으로 서로 끼워 맞춰질 수 있는 하나의 피벗(41)과 하나의 시트(31)로 구성된다. 그런 다음 상기 회전축(35) 둘레에서 핸들(40)은 제2 고정점에 속하는, 제 2링크 상의 부분들(23, 24, 42)이 상호 정렬될 때까지 왜곡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정렬된 부분(23, 24, 42)들은 문제없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힌지 핸들을 포함하는 도어 로크, 특히 차량 로크용 작동 장치 {ACTUATING DEVICE FOR A DOOR LOCK WITH A HINGED HANDLE, ESPECIALLY FOR A VEHICLE LOCK}
지금까지 도어 내에 힌지 핸들을 포함하는 작동 장치를 장착하는 것은 번거롭고, 만족스럽지 못했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세 가지 컴포넌트로 구성되는데, 즉 실제로 도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나의 지지 핀을 포함하는 도어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체, 그러한 지지체에 연결되는 힌지 플랩(hinged flap) 및 도어 외측에 배치되는 핸들 등으로 구성된다. 핸들은 고정된 후에 플랩과 더불어 전체적으로 힌지 가능한 하나의 기본 유닛을 형성한다.
최초 공지된 작동 장치의 경우 핸들은 플랩과 더불어 일체형으로 형성되었으며, U자 형태의 공동을 나타내는 도어 스킨(door skin)의 섹션은 플랩과 통합되었다. 핸들의 세로방향 상부 에지와 플랩 사이에는 휘어진 스트립이 있었다. 상기 스트립은 도어 스킨 내 그에 상응하는 슬롯 내에 끼워 맞추어졌다. 그럼으로써 인접한 도어 스킨 부분에 대한 실링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 외에도 플랩에 놓인 섹션은 도어스킨 각각의 색상에 개별적으로 일치되어야만 했다. 이러한 점은 번거롭고, 모든 색층 분포도에 대한 높은 원료유지 비용을 야기했다.
실링과 관련한 바람직한 형태는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 내에 명시된 유형의 작동 장치이다. 그러한 공지된 작동 장치의 경우 핸들은 두 링크에 핸들의 두 단부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기 링크는 도어 내측 상에 정렬되는 플랩의 견고한 컴포넌트이다. 이러한 경우 도어 트림(door trim) 내에 단지 두 개의 관통구만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링크들은 장치 조립 시에 상기 도어트림을 통과하게 된다. 링크 단부들은 핸들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핸들의 요동 위치 뿐만 아니라 접는 위치 내에서의 고정위치는 도어 외측 상에 놓이게 되어 분명히 방해가 될 수 있으며 그리고 비 자격자가 조작하게 되는 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 공지된 장치의 경우 대개 고정 수단으로서 단지 2개의 나사만을 사용했다. 상기 나사는 한편에서는 플랩측의 링크와 다른 한편에서는 손잡이 단부 사이에서 항상 태브 쌍(tab-pair)을 결합시켰다. 플랩에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것 또한 시간 소비량이 컸으며, 번거로웠다.
본 발명은 힌지 핸들을 포함하는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특별한 핸들-링크-조합물이 고정되기 전에 장착되는 플랩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지지체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어셈블리에 고정되어야 할 조합물의 내부도이며,
도 3은 부분적인 수평단면도로서 도어 스킨의 지지체에 장치되는 힌지 플랩의 섹션과 이미 도 2에서 도시된, 지지체에 고정되기 전 조합물의 평면도이고,
도 4는 평면도로서 도 3 내에 개략 도시된 절단선(IV-IV)에 따르며, 2단식 교정 이동(straightening movement)의 제 1 이동 단계 동안의 조합물과 플랩 간의 제1 고정점에 의한 횡단면이며,
도 5는 마찬가지로 확대된 도로서 조정 연결부의 로킹 부재 두 절반에서 최종 이동단계가 완전히 이루어진 후, 도 4의 절단선 V-V에 따르는 제 1 고정점에 의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확대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두 링크 단면이 인접하여 장착될 때, 도 3의 절단선(VI-VI)에 따라, 서로 마주보고 있는 핸들 단부에 배치되는 제 2 링크의 두 부분에 대한 횡단면도이며,
도 7은 확대된 평면도로서, 도 1의 돌출된 절단선(VII-VII)에 따라 부분적으로 절결되는, 핸들과 플랩 사이에 있는 제 2 고정점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절단선(VIII-VIII)에서 바라본 도 7의 절결된 측면도이며,
도 9는 도어 스킨이 파선으로 개략 도시되며, 핸들과 플랩으로 구성되는 기본 유닛이 두 힌지 위치, 즉 완전한 요동 위치와 완전한 접는 위치에서 도시되는. 완벽하게 정렬된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수평 단면 내 제 1 고정점의 교정 연결부의 대체 형태인 도 5에 상응하는 횡단면의 개략도이며,
도 11은 제 1 이동 단계가 완료 된 후 도 10의 절단선(XI-XI)에 따라서 도 10 내에 도시된 제 2 교정 연결부의 절결된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상응하는 평면도로서, 제 2 이동 단계가 완료된 후 제 1 고정점의 교정 연결부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 10에 상응하는 횡단면도로서 제 1 고정점의 제 3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에 따르는 도로서, 도 13의 절단선(XIV-XIV)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의 두 컴포넌트에 대한 절결된 평면도이며,
도 15는 도 12에 따르는 도로서, 제 2 이동 단계 후 도 13의 컴포넌트 연결부에 대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서문에 따라 빠르고 편리하게 장착 및 해체되는 유형의 신뢰할 수 있는 장치를 제조하는데 있다. 이러한 점은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항 제 1항의 특징에 인용되고, 아래와 같은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는 조치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핸들과 플랩 사이의 제 1 링크에 제공되는 고정점은 연결 가능한 피벗과 시트를 상호 끼워 맞춰 넣음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시트는 연결되는 경우 도어 평면에 수직으로 회전축을 결정한다. 그럼으로써 매우 간편한 핸들 조립이 이루어진다.
우선적으로 플랩은 지지체 내에 부착되는 지지핀에 힌지 가능하도록 정렬되며, 그러한 어셈블리는 도어 내측에 조립된다. 그런 다음 플랩은 요동 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층에서 플랩에 제공되는 고정점은 도어스킨 내 두 관통구와 함께 정렬된다. 하나의 관통구를 통해 언급한 피벗과 시트간의 연결이 제 1 링크에서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핸들은 두 번째 고정점에 제공되는 두 링크부가 자체 고정점과 반경방향으로 정렬될 때까지의 각도로 왜곡되어야 한다. 그리고 플랩의 최종적인 고정위치에서 핸들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정렬된 두 고정점은 단지 적합한 고정구를 통해서만 상호 연결되어야 한다. 제 2 링크에서의 고정 도어 외측으로부터 편안하게 지지체의 요동 위치에서 조작할 수 있다. 핸들과 플랩으로 구성되는 기본 유닛의 접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구는 눈에 띄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조치방법 및 장점은 종속항, 하기의 명세서 및 도면에 제시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실시예로 표현된다.
본 측정 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스킨(10)에 의해 표시되는 도어의 상호 마주보고 있는 측면 상에 완벽하게 혹은 부분적으로 정렬되는 구성부분들(20, 30, 40)로 구분된다. 우선 상기 구성부분들 중 한 가지는 도 9 내에 도시되며, 자체 요동 위치(40')에 표시되는, 도어 외측(13) 상에 정렬되어질 힌지 핸들(40)이 존재한다. 상기 핸들(40)은 핸들을 접는 위치로 전환하고자 하는 복원력의 작용 하에 놓인다. 핸들(40)의 접는 위치는 도 9 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어 스킨(10) 뒤쪽의 도어 내측(14)으로 도 1에 따라 적절한 고정점(28, 29)을 나타내는 지지체(20)를 배치한다. 상기 지지체(20)는 특히, 도어 평면에 실제로 평행하며, 도어 스킨(10)의 연장방향에도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지지핀(26)용 베어링을 포함한다. 지지핀(26)은 수평면에 경사지게 정렬될 수 있으며 그리고 플랩의 힌지 지지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랩은 그에 상응하게 도 1에 도시된 대향 지지부 위치(37)를 포함한다. 지지핀(26) 상에는, 지지체(20)와 플랩(30) 사이에서 작용하며, 앞서 언급한 플랩(30)에 고정될 핸들(40)용 복원력을 공급하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25)을 배치한다. 도 9에서는 30'로 표시된 플랩의 요동 위치가 도시되며 반면 플랩의 접는 위치(30)는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핸들(40)의 고정 후에 핸들(30)과 플랩(40)은 일체형으로 하나의 힌지 기본 유닛을 형성한다.
도2와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들(40)은 도어스킨(10) 쪽으로 향하는 오목한 휨측(45)을 포함하여 휨형태로 형성된다. 핸들(40)은 자체 두 휨 단부(46, 47)의 영역에서, 특히 기술된 방식에 더욱 근접하여 플랩(30)에 고정된다. 고정 후에 오목한 휨측(45)은 도어스킨(10)에 대해 사람의 손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허용한다. 도 9에 도시되는 요동 운동(15)의 경우 핸들(40)은 사람의 손으로 도 3에 도시된 중앙 휨 영역(48) 내에 풀 핸들(pull handle)의 유형에 따라 완전히 감쌀 수 있다. 핸들(4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고정점 (31, 41)이며, 두 핸들 단부(46, 47)에서는 고정점 (32, 42)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두 단부는 2개의 링크(21,22)의 영역 내에 장착된다. 그러한 두 링크(21,22)는 두 개로 분리되며, 도어스킨(10) 내에 제공되는 관통구를 통과한다. 그러한 두 고정점(31, 41); (32, 42)은 매우 다르게 형성되며, 핸들(40)을 지지체(20)에 조립할 때 동시에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차례로 작용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핸들 단부(46)에 제공되는 제1 링크(21)는 핸들(40)의 일체형 컴포넌트이며 그리고 상기 핸들과 더불어 핸들-링크-조합물(40, 21)을 형성한다. 상기 조합물에 속하는 것으로 또한 도 7에 따라 상호 마주보고 놓이는 핸들 단부(47)에 도시된 제2 링크(22)의 제1 섹션(23)이 있다. 플랩(30)의 견고한 컴포넌트는 제2 링크(22)의 제2 섹션(24)이다. 상기 제2 링크-섹션(2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30)과 함께 일체형, 비대칭 플랩 어셈블리(24, 30)를 형성한다.
핸들(40)에 존재하는 제1 링크(21)의 자유 단부에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피벗(41)이 존재하며, 이는 제1 고정점의 한 부분을 형성한다. 그러한 고정점의 다른 부분은 지지체 내에 정렬되는 시트(31)를 형성한다. 핸들 조립을 위해 플랩(30)은 도 3에 표시할 수 있는 자체 요동 위치로 전환된다. 그런 다음 핸들(40)은 도어 외측(13)으로부터 자체 피벗(41)과 더불어 도어 스킨(10) 내 표시된 제1 관통구(11)를 통과하며, 이때 도 3과 도 5 내 도시된 화살표(16)의 의미에 있어서 플랩(30)의 시트(31) 내에 끼워진다. 그러나 이러한 삽입 이동(16) 시에 핸들(40)은 도 1 내에 파선으로 표시된 일정한 상대 위치(relative position)(17)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에 대한 이유는 두 부분(31, 41)이 여전히 상호 마주보면서 보완적인, 교정 연결부(50)의 두 로킹부재 절반(51, 52)으로서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 구조 및 작동 방식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경우 교정 연결부(40)의 한 로킹부재 절반(locking part half)은 두 개의 반경방향 돌출부(51)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들은 피벗(41)의 직경 위치에 정렬된다. 교정 연결부(50)의 다른 로킹부재 절반은 돌출부(51)들의 윤곽(contour)에 보완적으로 형성되는, 시트(31)의 반경방향 확장부(52)로 형성된다. 단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링크(21)를 포함하는 핸들(40)이 앞서 기술된 도 1 내 도시된 상대 위치(17)를 취하는 때에만, 교정 연결부(50)의 두 링크부재 절반(51, 52)이 축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피벗(41)의 시트(31) 내로 언급한 삽입이동(16)을 허용한다. 삽입이동(16) 범위는 칼라(collar)(49) 또는 칼라-세그먼트에 의해 링크(21)에 제한될 수 있다. 칼라(49)의 정지 위치에는 플랩(30)의 내부 숄더(34)의 뒤쪽의 축상에 표시되어 있는 반경 방향 돌출부(51)들이 존재한다. 삽입이동(16)은 2단식 교정 이동의 제1 이동 단계이다. 삽입 단계(16) 후에 교정 이동의 회전단계(18)가 이루어지는데, 이는 도 4뿐만 아니라 도 1 내에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단계는 이중의 결과를 갖는다.
핸들의 회전(18) 시에 도 4와 도 5 내에 가장 잘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경 방향 돌출부(51)는 자체 축 에지로 내부 숄더(34)를 지지 이동시키며 그로 인해 피벗(41)의 연결 위치를 자체 시트(31) 내에 로크한다. 또한 그러한 회전 시에 상기 제1 고정점(31, 32)은 핸들(40)의 제2 회전단계용 회전축(35)을 생성시킨다. 그러한 회전축(35)은 실제로 도 3 내에 마찬가지로 파선으로 표시된 도어 평면(36)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상기 도어 평면(36)은 도어 스킨(10)의 연장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회전 이동(18)이 끝날 때 도어 핸들은 실제로 최종 고정위치에 존재한다. 상기 고정위치는 도 1에 수평한 파선(19)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는 파선으로 그리고 도 5에서는 인출되어 도시된 로킹 위치(51')에서 삽입 이동에 반대하여 시트(31)로부터 피벗(41)의 인출 이동(16')은 도 5에 따라 억제된다. 그래서 플랩(30)과 핸들(40)간 제1 고정점의 두 부분(31, 41)의 윤곽 형성부(51, 52)는 상기 부분(31, 41)에서의 두 컴포넌트(30, 40)를 연결하는 고정구를 동시에 생성한다.
그리고 회전운동(18)의 결과로서, 핸들(40)이 자체 타단부(47)와 함께 앞서 기술한 고정위치(19)에 도달하면, 제2 고정점의 두 부분(32,42)은 자동으로 상호 정렬된다. 이러한 점은 우선 회전 한계 정지부(rotation limit stopper)(38, 39)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한 회전 한계 정지부(38, 39)는 제2 링크(22)의 두 링크 섹션(23, 24)의 에지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다음 특징도 상기 결과에 속한다.
도 6 내에 도시된 두 링크 섹션(23, 24)의 정지 위치는 로킹부재 고정부(60)를 통해서도 또한 일시적으로 보장된다. 상기 로킹부재 고정부(60)는 한 링크 섹션(23)에는 두 링크 섹션(23, 24)의 에지 부분에 제공되는 로킹부재 하이 스폿(61)를 그리고 타 링크 섹션(24)에는, 하부가 절단된 로킹부재 로 스폿(62)을 포함하고 있다. 도 6 내 마찬가지로 화살표(18)로 명시된 회전운동의 최종 단계에서 로킹부재 하이 스폿(61)은 로킹부재 로 스폿(62) 내에 스냅방식으로 잠기게 된다. 그럼으로써 핸들을 일시적으로 상기 원하는 고정 위치(19)에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그러한 점은 최종적으로 제2 고정점에 있는 고정구(32,42)를 통해 보장되며, 이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실현된다.
제2 고정점(32, 42)에 대한 두 고정구는 두 링크 섹션(23 내지 24) 내에 통합되며 그리고 도 6, 7, 및 8 의 정지 위치에서 자동으로 반경방향으로 상호 정렬된다. 특히 로킹부재 고정부(60)가 작용할 때, 상기 고정구들은 핸들(40)을 특별히 정렬시키지 않고도, 즉시 연결할 수 있다. 제2 고정점의 상기 두 부품들은 핸들(40)의 측 상에서 나사부재(42)로서, 즉 앞에 제시된 경우에 있어 관련 링크 섹션(23)에 통합되는 스터드 볼트(43)와 그 볼트에 나사고정 가능한 너트(44)로 구성된다. 제2 고정점의 타부품은 하나의 나사부재-수용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용부는 여기서 또한 한단부에 개방된 슬롯(32)으로서 형성된다. 앞서 언급한 회전(18)동안 플랩은 항상, 도 9에 표시된 요동 위치(30') 내에 존재한다. 그래서 슬롯(32)을 포함하며, 상기 요동 위치에 장착되는 제2 링크 섹션(24)는 도어 외측(13)에까지 이르게 된다. 그런 다음 볼트(43)은 제1 고정점(31)에서의 회전축(35)의 안내 기능 하에 슬롯 개구(33)에 의해 허용되게 슬롯(32) 내에 감겨 들어간다. 그런 다음 단지 너트(44)를 도 7과 도 8에 명시된 숄더 표면(54)에 단단히 고정시키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핸들은 도 1의 파선(19)에 따라 자체 최종적인 고정위치에 고정된다.
이미 여러 번 앞서 언급한 도 9의 요동 이동(15)의 경우 핸들(40)과 플랩(30)으로 형성되는 기본 유닛은 일체형으로 이동한다 ; 상기 기본 유닛은 요동 위치(40', 30')로 전달된다. 그리고 도 9 내에 마찬가지로 파선으로 도시된 정지위치(55)로부터 자체 인출되어 도시된 작동 위치(actuating position)(55')로 전달되는 작동 암(actuating arm)(55)이 상기 기본 유닛과 견고히 연결된다. 상기 작동 암(55, 55')에서 한편으로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도어 로크로 리드되는 로크 링키지가 연결된다. 상기 로크 링키지는 예를 들어 도 9의 화살표(56)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래서 요동이동(15)을 통해 도어 로크 역시 정지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전달된다.
그런다음 32, 42에서 고정이 완전히 이루어진 후 플랩(30)과 핸들(40)로 이루어진 기본 유닛은 다시 도 9 내에 파선으로 표시된 자체 접는 위치로 다시 이동하게 되며, 이는 이미 앞서 언급한 반동 스프링(25)으로 인해 가능해진다. 그런 다음 도 2와 도 3의 두 핸들 단부(46, 47)에 표시된 단부 면들이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도어 스킨(10) 내 두 관통구(11, 12)를 밀폐한다. 이때 고무패킹 또는 그와 유사부품이 도어스킨(10) 상에 삽입된다. 그러나 대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통구(12)는 핸들(40)과 더불어 또 다른 기능 부재(58, 59)를 사용할 수 있도록 더욱 큰 크기로 할당된다. 상기 기능 부재는 도 3에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핸들(40)과 플랩(30)으로 구성된 기본 유닛과 더불어 도 3과 도 1에 명시된 추가적 기능부재(58, 59)용 자계(53)가 장치되며, 상기 기능부재는 관통구(12) 전체를 커버한다. 상기 기능부재에 속하는 것으로 로크 실린더-어셈블리(59)가 있다. 이는 키 작동을 통해 마찬가지로 도어 로크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어셈블리(59)는 스타일링 캡(styling cap)(59) 내에 설치되며, 상기 캡은 자체 접는 위치 내 존재하는 핸들(50)의 윤곽에 이어진다. 두 기능부재(58, 59)는 도어 내측(14)에서부터 도어스킨(10)에 장착되고, 그런 다음 제2 관통구(20)의 로킹부재를 밀폐한다. 특히 상기 기능부재(58, 59)는 제2 고정점(32, 42)으로의 입구를 덮는다. 즉, 도 9의 기본 유닛의 접는 위치(30) 내에 도어 내측(14)에서의 고정점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비 자격자가 도어외측(13)으로부터 더 이상 핸들을 즉각적으로 해체할 수 없다. 그러나 이는 키를 이용하여 도어 내측(14)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직원의 경우 가능하다.
도 10에서 도 12까지에 있어서 제1 고정점에 부착되는 컴포넌트의 제1 대체 형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컴포넌트의 명명을 위해 도 1에서 9까지의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가 적용되며, 그러기 때문에 그런 점에 한해서 지금까지 기술된 내용이 적용된다. 단지 차이점만을 기술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그 본질은 피벗(41)이 핸들(40)에 속하는 제1 링크(21)에서 여기서 회전 대칭 핀헤드(57)의 형태로 상기 링크보다 더 모든 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해 있는 돌출부를 포함한다는 점에 있다. 상기 피벗(41)에 키홀 형태의 개구 프로필을 포함하는 개구부(63, 64)가 정렬된다. 상기 프로필은 하나의 좁은 개구부(63)와 하나의 넓은 개구부(64)로 구성된다. 넓은 개구부(64)는 핀헤드(57)의 프로필보다 더욱 큰 치수를 갖는다. 그러므로 앞서 언급한 삽입이동은 도 10의 프로필(66)의 의미에서 즉각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핀헤드(57)는 피벗(41) 쪽을 향하는 자체 숄더 표면과 더불어 다시금 플랩(30)에 정렬되며, 삽입이동(66)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숄더(34) 뒤로 향한다. 삽입 위치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경우 또한 제어수단이 삽입 이동(66) 시에 핸들(40)의 정의된 각도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40)은 가령 도 11에 파선(67)에 의해 정의된 상대 위치를 취하게 된다. 그러한 제어 수단은 한편에서는 핸들과 다른 한편에서는 지지체 내지 플랩(30) 사이에 정렬될 수 있다. 대체되는 방법으로 개구 프로필(64)과 핀헤드(57) 내에 윤곽 역시 제공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의 삽입 이동 후 도 11의 화살표(65)의 의미에서 기본 유닛(40)의 재배치 단계가 이어진다. 그럼으로써 피벗(41)은 개구 프로필의 앞서 언급한 좁은 개구부(63) 내에 도달하게 된다. 이는 도 12에 제시되어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좁은 개구부(63)는 그 뒤에 이어지며, 도 12 내 화살표(68)에 의해 표시되는 회전운동을 위한 시트를 형성한다. 상기 운동은 핸들(40)을 다시금, 치수인출선(extension line)에 의해 도 12 내에 표시되는 최종적인, 플랩(30)에서의 고정위치(69) 내로 리드하며, 이미 앞서 이루어진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제2 고정점의 부분(32, 42)이 작용하게 된다. 회전(68) 시에 또한 다시금 도 10 내 명시된 핸들(40)과 플랩(30) 사이의 회전축(35)이 작동한다.
제1 고정점(31, 41)에서 도 1에서 도 9까지의 제1 실시예의 경우 회전-교정 연결부가 다루어지는 것에 반해 대개 제2 이동 단계를 나타내는 재배치(65)단계 때문에 도 10에서 도 12까지의 제2 실시예의 경우 그곳의 고정점(41, 63)의 슬라이딩(이동)-교정 연결부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3번째 변형예는 도 13에서 도 15까지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러한 변형예는 도 10에서 도 12까지의 제2 실시예의 교정 연결부로부터 유도된다. 도 13에서 도 15까지는 도 10에서 도 12까지에서 제2 실시예의 경우에 선행해서 언급되었던 것과 유사한 관계를 기술한다. 반복을 회피하기 위해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기로 한다. 단지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제3 실시예의 차이점만을 다루는 것으로도 충분할 것이다.
이러한 제3 실시예는 도10에서 도 12까지에 따르는 제1 실시예의, 플랩(30)에 속하는 컴포넌트를 떼어 낼 때 이루어지는데, 그럼으로써 제 3 실시예에서는 그 곳의 넓은 개구부(64)가 없어지게 된다. 플랩(30)은 포크 스템(fork stem)(72) 사이에 나타나는 분기(70)를 포함한다. 포크 개구부(73) 앞쪽에 존재하는 자유공간(74)은 여기서 언급한 피벗(41)의 삽입이동(66)을 실행할 수 있도록 관통로로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점은 도 13과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그런 다음 다시금 재배치이동(65)단계로 돌아간다. 그럼으로써 핀헤드(57)는 포크 개구부(70) 내로 삽입되고 그리고 그곳에서 포크 베이스(71)까지 도달하게 된다. 포크 베이스(71)는 도 15에 따라 피벗(41)용 시트를 형성한다. 상기 시트에서 다시금 핸들(40)의 최종적인 고정 위치(69)에 이를 때까지 도 5 내 명시된 회전 동(68)을 위한 도 13에서 명시된 회전축(35)이 생긴다.

Claims (24)

  1. 특히 차량 로크용으로 도어 외측(13)에 정렬된 힌지(15) 핸들(40)을 포함하며,
    힌지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플랩(20)용으로 실제 도어 평면(36)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지지핀(26)을 포함하는, 도어스킨(10) 뒤쪽의 도어 내측(14)에 장착가능한 지지체(20)를 포함하며,
    동시에 플랩(20)이 도어스킨(10) 앞쪽의 도어 외측(13)에 위치 설정되는 핸들(40)의 두 단부(46, 47)용 두 고정점(31, 41; 32, 42)을 가지며 그리고 플랩(30)이 플랩에 고정되는 핸들(40)과 함께, 핸들-고정점(31, 41; 32, 42)의 영역에서 도어스킨(10) 내 관통구(11, 12)를 통과하는 링크를 포함하는 일체형 힌지 기본 유닛을 형성하는 도어로크용 작동장치에 있어서,
    제1 링크(21)에 제공되는 제1 고정점이 피벗(41)과 시트(31)로 이루어진 피벗 베어링이며,
    상기 베어링의 회전축(35)이 실제로 도어 평면(36)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또한 시트(31)내에 피벗(41)이 정류되는 삽입방향(16)을 결정하며,
    동시에 시트(31) 내에 피벗(41)을 삽입할 때 핸들(40)이 플랩(30)에서의 자체 최종 고정 위치(19)에 대해 어느 각도 정도 왜곡되고,
    피벗(41)의 자유 단부에, 시트(31)에서 하나의 관통로(52)가 할당되는 적어도 한 반경 방향 돌출부(51)가 정렬되고, 피벗(41)의 삽입 시에 상기 통로로 돌출부(51)가 통과하고,
    관통로(52) 뒤쪽에 -삽입 방향에 보이는- 시트(31)가, 삽입된 피벗(42)의 돌출부(51)에 의해 뒤로 고정되고, 그런 다음 핸들(40)과 플랩(30) 사이의 피벗 베어링이 축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통로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숄더(34)를 포함하며,
    제2 링크(22)에 제공된 제2 고정점이, 한 부분(42)은 핸들(40)에 속하고, 타 부분(32)은 플랩(30)에 속하는 두 부분(32, 42)으로 구성되고,
    제2 고정점의 두 부분(32, 42)이 상호 반경방향으로 정렬될 때까지 도어 외측 상의 핸들(40)이 자체 제1 고정점(31, 41)의 피벗 베어링(35) 내에서 왜곡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제2 고정점의 설치된 두 부분(32, 42)과 상호 연결되고, 핸들(40)의 최종 고정위치(19)가 플랩(3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로크용 작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두 포크 스템(72) 사이에 존재하는 분기(70)의 포크 베이스(71)가 시트를 형성하며,
    포크 개구부(73) 앞의 자유공간(74)이, 돌출부(57)가 포크 개구부(70)의 뒤쪽에 축 상으로 도달할 때까지 피벗(41)의 삽입(66) 시에 상기 돌출부(57)용 관통로로서 역할을 하고, 그리고 피벗(41)이 분기(7) 내로 삽입되고, 자체 반경 방향 돌출부(57)가 두 포크 스템(72) 중 적어도 하나의 스텝을 뒤로 고정시킬 때까지, 도어 외측(13)에 존재하는 핸들(40)이 재배치되며(65),
    동시에 포크 스템(72)이 축상으로 분리되지 않는 피벗 베어링용 내부 숄더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분기(70)가 실제로 도어 평면(36)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분기의 포크 개구부(73)가 핸들(40)과 플랩(30) 사이의 제2 고정점(32, 42)으로부터 멀어지며,
    피벗(41)이 분기(70) 내에서 재배치(65) 시에 제2 고정점(32, 42)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편에서는 자체 반경 방향 돌출부(51)를 포함하는 피벗(41)과 다른 한편에서는 상기 돌출부(51)용 관통로(52)를 포함하는 시트(31)가 교정 연결부(50)의 보완적인 두 로킹부재 절반이 되며,
    두 로킹부재 절반의 교정이동이 두 이동 단계(16, 18)로 이루어지는 이동 순서이며,
    상기 제1 이동 단계가 피벗(41)과 시트(31) 사이의 삽입이동(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피벗(41)에 키 홀 모양의 개구 프로필을 가지는 개구부(63, 64)가 할당되며, 상기 개구부는 하나의 좁은 개구부(63)와 하나의 넓은 개구부(64)를 포함하고,
    동시에 좁은 개구부(63)는 시트를 형성하고, 반면에 넓은 개구부(64)는 피벗(41)의 돌출부(57)용 관통로를 생성하며,
    제 2 이동 단계가, 피벗(41)을 넓은 개구부(64)에서 좁은 개구부(63)로 전달하는 재배치(65)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재배치(65)가 직선으로 이루어지며,
    개구 프로필의 좁은 개구부(63)가 넓은 개구부(64)보다 핸들(40)의 제2 고정점(32, 42)에 더 근접하여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7. 제 5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부(63, 64) 내 피벗(41)의 삽입(66) 및/또는 재배치(65) 시에 제어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도어의 핸들 최종 고정 위치(69)에 대한 각도 위치(69)에 존재하며,
    그리고 제어수단이 삽입 이동(66, 65)이 완전히 이루어진 후에 비로소 핸들(40)이 회전되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각도를 결정하는 제어수단이 한편에서는 핸들(40)과 다른 한편에서는 지지체(20) 내지 플랩(30) 사이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9. 제 7 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도를 결정하는 제어수단이 한편에서는 개구부(63, 64) 내 윤곽 및 다른 한편에서는 피벗(41) 내지 피벗의 반경 방향 돌출부(5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벗의 반경방향 돌출부가 단부측의 확장된 하나의 핀헤드(5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핀헤드(57)가 실제로 피벗(41)의 축에 회전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2. 제 4항에 있어서, 돌출부(51)용 관통로가 시트(31)의 한 반경방향 확장부(52)로 구성되며, 반경방향 확장부(52)가 반경방향 돌출부(51)의 윤곽 프로필에 적합하게 형성되며,
    - 플랩(30) 내 핸들(40)의 최종 고정위치(19)에서 보여지는 것으로-, 돌출부(51)의 윤곽은 반경방향 확장부(52)에 반대해서 제2 고정점(32, 42)의 두 단부가 반경방향으로 정렬될 때까지 핸들(40)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각도만큼 왜곡되고,
    상기 회전(18)이 동시에 교정 이동의 제2 이동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고정점(31, 41)에 속하는 링크(21)의 적어도 한 부품이 핸들(40)의 견고한 컴포넌트이며 그리고 상기 링크와 관련 핸들-링크-조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물의 링크(21)가 자체 자유 단부에서 피벗(41)을 지지하고, 플랩(30)에 핸들 조립을 위해 도어 외측(13)으로부터 도어스킨(10) 내 관통구(11)를 통해서 도어 내측(14)까지 통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고정점(32, 42)에 속하는 타 링크(22)의 적어도 한 섹션(24)이 플랩(30)의 견고한 컴포넌트가 되고, 그리고 비대칭 플랩 어셈블리(24, 30)를 형성하며,
    - 도어 내측에 지지체(30)를 장착한 후에 -, 플랩 어셈블리의 (24, 30)의 상기 링크 섹션(24)이 최소한, 상기 링크에 존재하는 제2 고정점의 고정부(32)를 포함하는 요동위치(30')에서 도어 외측(13) 상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힌지 기본 유닛의 정지위치로 표시되는 접는 위치에서 핸들(40)과 플랩(30) 사이에 존재하는 제2 고정점(32, 42)이 도어 내측(14) 상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40)과 플랩(30) 사이의 제2 고정점(32, 42)이 도어 외측(13)에서부터 요동위치(30', 40')까지 접근할 수 있는 부분과 인접한 지지체(20)가 자체 스타일링 캡(59)을 포함하는 로크실린더 어셈블리(58)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기능부재(58, 59)용 자계(53)를 포함하며,
    기능부재(58, 59)의 설치가 도어 내측(14)으로부터 이루어지며,
    장착된 기능부재(58, 59)가 제2 고정점(32, 42)에 도어 외측(13)으로부터 접근할 수 없도록 하고 및/또는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기능부재(59)가 도어 로크의 폐쇄할 수 없는 형태를 위한 하나의 블라인드-스타일링 캡(blind-styling cap)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링크(22)가, 한 섹션(23)은 핸들(40)에 그리고 타 섹션(24)은 플랩(30)에 놓이는 두 섹션(23, 42)으로 구성되며,
    제2 고정점의 상호 보완적인 두 고정구(32, 42)가 각각 섹션 단부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특히 핸들측의 링크 섹션(23)의 한 섹션이 고정구로서 나사부재(43, 44)를 포함하며,
    반면에 특히 플랩측의 링크 섹션(24)의 타 섹션에 대향-고정구로서 작용하는 나사부재-수용부(3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나사부재가 볼트 상에 나사고정 가능한 너트(44)를 포함하는 하나의 고정 스터드 볼트(43)로 구성되며,
    나사부재-수용부가 한 단부측이 개방된(33) 하나의 슬롯(32)으로 구성되며, 동시에 상기 슬롯 개구부(33)가 핸들(40)의 회전방향(18)을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22. 제 19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링크(22)의 두 섹션(23, 24)이 자체 사이에 회전 한계 정지부(38, 39)를 포함하며, 상기 정지부는 삽입 시 자체 상대위치(17)와 플랩의 최종 고정위치(19) 사이에 있는 핸들(40)의 회전(18)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23. 제 19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링크(22)의 두 섹션(23, 24)이 자체 사이에 로킹부재 고정부(60)의 보완적인 두 부재, 즉 한 링크 섹션(23)에는 로킹부재 하이 스폿(61)과 타 링크 섹션(24)에는 로킹부재 로 스폿(62)을 포함하며,
    플랩(30)에 대해 상호 반경방향으로 설치되는 핸들(40)의 회전 한계 위치에서 로킹부재 고정부(60)의 상기 두 부재(61, 62)는 상호 스냅방식으로 잠기며 그리고 플랩(30)에서의 핸들의 일시적 고정위치(19)를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작동장치.
  24. 제 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힌지 핸들(40)이 휘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도어스킨(10) 쪽으로 향하는 핸들의 오목한 휨측(45) 상에서 사람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통로를 허용하며,
    힌지 이동(15)을 위해 핸들의 중앙 휨부(48)가 풀-핸들의 유형에 따라 사람 손으로 감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장치.
KR1020007010672A 1998-03-26 1999-03-01 힌지 핸들을 포함하는 도어 로크, 특히 차량 로크용 작동장치 KR100566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8113316 DE19813316A1 (de) 1998-03-26 1998-03-26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 Türschloß mit klappbeweglichem Griff,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schloß
DE19813316.2 1998-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2185A true KR20010042185A (ko) 2001-05-25
KR100566649B1 KR100566649B1 (ko) 2006-03-31

Family

ID=7862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0672A KR100566649B1 (ko) 1998-03-26 1999-03-01 힌지 핸들을 포함하는 도어 로크, 특히 차량 로크용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439626B1 (ko)
EP (1) EP1066439B1 (ko)
JP (1) JP2002507683A (ko)
KR (1) KR100566649B1 (ko)
CN (1) CN1187511C (ko)
AU (1) AU738586B2 (ko)
BR (1) BR9909033A (ko)
DE (2) DE19813316A1 (ko)
ES (1) ES2172315T3 (ko)
PT (1) PT1066439E (ko)
WO (1) WO19990491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7977C1 (de) * 1999-10-05 2001-05-03 Huf Huelsbeck & Fuerst Gmbh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elektronischen Schließsystems und/oder eines in einer Tür, einer Klappe od. dgl. eingebauten Schlosses, insbesondere bei einem Fahrzeug
DE10002215C1 (de) * 2000-01-20 2001-10-04 Huf Huelsbeck & Fuerst Gmbh Fahrzeugtürgriff, ausgestattet mit einer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Längeneinstellung eines Seilzuges
DE10033081B4 (de) * 2000-07-07 2004-04-0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außenbetätiger, insbesondere für Fahrzeuge
DE10037912A1 (de) 2000-08-03 2002-02-14 Huf Huelsbeck & Fuerst Gmbh Türbeschlag zur Außenbetätigung einer Tür, insbesondere einer Fahrzeugtür
DE10037913C2 (de) * 2000-08-03 2002-06-20 Huf Huelsbeck & Fuerst Gmbh Türbeschlag zur Außenbetätigung einer Tür, insbesondere einer Fahrzeugtür
DE10048917A1 (de) * 2000-10-04 2002-04-18 Huf Huelsbeck & Fuerst Gmbh Griff für Türen oder Klappen, insbesondere bei Fahrzeugen
DE10056042B4 (de) * 2000-11-11 2008-02-28 Daimler Ag Türgriffanordnung für eine Tür eines Kraftfahrzeuges
DE10104473A1 (de) * 2001-01-31 2002-08-01 Valeo Sicherheitssysteme Gmbh Türgriff für eine Fahrzeugtür
JP4394314B2 (ja) * 2001-07-31 2010-01-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DE10146026C1 (de) * 2001-09-18 2002-10-31 Huf Huelsbeck & Fuerst Gmbh Griffbeschlag
DE10217488B4 (de) * 2002-04-19 2005-06-2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s Verschlusses von Türen, Klappen od.dgl., insbesondere an Fahrzeugen
DE50300798D1 (de) * 2002-09-20 2005-08-25 Porsche Ag Schliesseinrichtung für eine Fahrzeugtür
US7097216B2 (en) 2002-12-11 2006-08-29 Tri/Mark Corporation Latch assembly for movable closure element
JP2004232300A (ja) * 2003-01-29 2004-08-19 Aisin Seiki Co Ltd 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KR100501240B1 (ko) * 2003-09-16 2005-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아웃사이드핸들의 핸들이탈방지구조
JP2005299085A (ja) * 2004-04-06 2005-10-27 Honda Motor Co Ltd 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DE102005015643A1 (de) * 2005-04-05 2006-11-0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JP4645324B2 (ja) * 2005-06-29 2011-03-0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
DE102007027848A1 (de) * 2007-06-13 2008-12-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s Verschlusses eines beweglichen Teils
DE102007027845A1 (de) * 2007-06-13 2008-12-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s Verschlusses eines beweglichen Teils
CN101797416B (zh) * 2010-03-11 2012-05-30 何定甫 一次性阴道扩张器
JP5162617B2 (ja) * 2010-04-15 2013-03-13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US9022436B2 (en) * 2011-05-05 2015-05-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tuator arrangement for a vehicle door latch
CN102900268B (zh) * 2011-07-29 2015-04-01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尾门拉手装置
US9422766B2 (en) 2013-07-17 2016-08-23 Hunter Douglas, Inc. Handle and brake arrangement for a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9708850B2 (en) * 2013-07-17 2017-07-18 Hunter Douglas Inc. Arrangement for mounting an actuator button onto a rail of a window covering
DE102013110485A1 (de) * 2013-09-23 2015-03-2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griff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CN104895428B (zh) * 2015-04-28 2017-05-17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车门把手安全装置
EP3106594A1 (en) * 2015-06-16 2016-12-21 U-Shin Italia S.p.A. Handle for a vehicle door
DE102016104372A1 (de) * 2016-03-10 2017-09-1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griff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CN106050019B (zh) * 2016-07-29 2018-02-16 奇瑞新能源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车门外把手安装结构
CN106193835A (zh) * 2016-07-29 2016-12-07 奇瑞新能源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车门外把手安装方法
DE102018107503A1 (de) * 2018-03-28 2019-10-0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vorrichtung für eine Tür oder eine Klapp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3866A (en) * 1937-04-27 1938-07-19 Nat Lock Co Latch and handle mechanism
US2355978A (en) * 1941-05-29 1944-08-15 Keeler Brass Co Door handle or the like
US2567565A (en) * 1945-12-08 1951-09-11 Keeler Brass Co Handle
US3020076A (en) * 1960-06-15 1962-02-06 Gen Motors Corp Combined door handle and pull-to for vehicle door
US3426385A (en) * 1967-04-10 1969-02-11 Illinois Tool Works Socket-type fastener
US4232892A (en) * 1977-03-31 1980-11-11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Out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s
GB8701875D0 (en) * 1987-01-28 1987-03-04 Rolls Royce Motor Cars Handle assembly
DE4229930C1 (ko) * 1992-09-08 1993-04-29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US5377450A (en) * 1993-12-27 1995-01-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Adjustable door handle assembly
JP3054030B2 (ja) * 1994-05-13 2000-06-19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とアウターハンドル装置
US5632061A (en) * 1994-09-29 1997-05-27 Prince Corporation Assist strap
DE4445320B4 (de) * 1994-12-03 2005-04-28 Ewald Witte Gmbh & Co Kg In eine Öffnung einer Tür,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 einsetzbarer Griffbeschlag
BR9509850A (pt) * 1994-12-02 1997-12-30 Donnely Corp Conjunto de grampo de montagem adaptado para montar um acessório numa estrutura de suporte e montagem de acessório
DE4443117B4 (de) * 1994-12-02 2005-03-03 Ewald Witte Gmbh & Co Kg In eine Öffnung einer Tür, insbesondere Kraftfahrzeug-Tür einsetzbarer Griffbeschlag
DE19508518A1 (de) 1995-03-10 1996-09-12 Huelsbeck & Fuerst Türverschluß für Fahrzeuge
DE29521917U1 (de) * 1995-06-02 1998-09-17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mit Ziehgriff
FR2742467B1 (fr) * 1995-12-15 1998-01-09 Renault Commande exterieure universelle de port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JP3379333B2 (ja) * 1996-05-13 2003-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
JP3234537B2 (ja) * 1997-05-19 2001-12-04 セントラル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スライドドアの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DE19758078C2 (de) * 1997-12-30 2000-05-04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US6267543B1 (en) * 1999-10-13 2001-07-31 Avaya Technology Corp. Latch with sp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13316A1 (de) 1999-10-07
CN1295642A (zh) 2001-05-16
BR9909033A (pt) 2000-12-05
EP1066439A1 (de) 2001-01-10
PT1066439E (pt) 2002-08-30
KR100566649B1 (ko) 2006-03-31
DE59901118D1 (de) 2002-05-08
ES2172315T3 (es) 2002-09-16
US6439626B1 (en) 2002-08-27
AU3142799A (en) 1999-10-18
WO1999049162A1 (de) 1999-09-30
JP2002507683A (ja) 2002-03-12
CN1187511C (zh) 2005-02-02
EP1066439B1 (de) 2002-04-03
AU738586B2 (en) 2001-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2185A (ko) 힌지 핸들을 포함하는 도어 로크, 특히 차량 로크용 작동장치
US5707092A (en) Self-aligning loop striker
EP1781877B1 (en) A door module and a method for connecting an operating device for a closing and opening mechanism in a vehicle door and a handle
US5492380A (en) Door latch operating assembly
GB2052618A (en) Hinge and hold-open assembly
EP1377715B1 (en) A locking device for a ventilating window
US6279200B1 (en) Hinge with levers for fastening to a piece of furniture
US7117921B2 (en) Device having several points of closure securement for a sectional closure
JPH0513882Y2 (ko)
CZ20013841A3 (cs) Závěs pro okna, dveře a podobné konstrukce
KR102117779B1 (ko) 도어의 클로저 속도 조절 허용 구조
JP2500175Y2 (ja) 車両のスイングスライド式ドア構造
JP2002537506A (ja) 施錠用回転動作及び施錠用並進動作が組み合わせられた鍵操作式ラッチ
KR100405759B1 (ko) 자동차 도어의 힌지 마운팅부의 규제 전용 지그
US4514878A (en) Reversible adjustable torsion door closer
JP2696494B2 (ja) 扉外配置型4軸隠し蝶番
KR100200287B1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
KR100320851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및 연료 필라의 도어 조작장치
JP3670976B2 (ja) 車両アクセスパネルドアのハンドル装置
KR101631088B1 (ko) 로드 연동장치
KR20020047829A (ko) 차량 도어의 힌지 겸용 체커 어셈블리
JP2696495B2 (ja) 扉内配置型4軸隠し蝶番
US20040078931A1 (en) Door jig assembly for use during manufacture of a vehicle
WO2008059549A2 (en) Handle
JP3041562U (ja) 二軸型蝶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