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7829A - 차량 도어의 힌지 겸용 체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의 힌지 겸용 체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7829A
KR20020047829A KR1020000076444A KR20000076444A KR20020047829A KR 20020047829 A KR20020047829 A KR 20020047829A KR 1020000076444 A KR1020000076444 A KR 1020000076444A KR 20000076444 A KR20000076444 A KR 20000076444A KR 20020047829 A KR20020047829 A KR 20020047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arm
vehic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봉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76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7829A/ko
Publication of KR20020047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82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6Type of motion, e.g. braking ro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와 차체를 연결하는 힌지와 차량 도어의 열림 정도를 조절하는 도어 체커 어셈블리를 일체화시켜 차량의 구성 부품과 작업 공수를 줄이도록 한 차량 도어의 힌지 겸용 체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측에 설치되는 제 1 몸체(10)와 도어측에 설치되는 제 2 몸체(15)로 구성되는 본체(30), 원형으로 형성되고 차량 도어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판(40), 본체(30)의 일측에 회전축으로 고정되고 단부에는 제 1 로드(75)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암(70), 본체(30)의 일측에 회전축으로 고정되고 단부에 제 2 로드(85)가 부착되어 있는 제 2 암(80), 상기 조절판(40)에 연결되어 차량 도어를 닫을 경우 조절판(40)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의 힌지 겸용 체커 어셈블리{Checker assembly combined with door hinge}
본 발명은 도어 체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와 차체를 연결하는 힌지와 차량 도어의 열림 정도를 조절하는 도어 체커 어셈블리를 일체화시켜 차량의 구성 부품과 작업 공수를 줄이도록 한 차량 도어의 힌지 겸용 체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에는 도어와 차체를 연결하여 도어의 개폐시 도어의 회전 중심을 구성하기 위한 힌지가 부착설치되고, 도어의 열림 정도를 여러 각도로 설정하는 도어 체커 어셈블리가 부착된다.
도어 힌지와 도어 체커 어셈블리가 별도로 설치됨에 따라 구성 요소의 수가 증가되므로 작업 공수도 함께 증가하며, 특히 차량 사고 등으로 도어를 수리할 경우 도어 힌지와 도어 체커 어셈블리의 회전축이 일치하지 않아 도어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도어 힌지와 체커 어셈블리를 일체화시켜 구성 요소를 줄여 전체 작업 공수를 줄이며 도어의 작동을 원활히 하도록 한 차량 도어의 힌지 겸용 체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겸용 도어 체커 어셈블리의 일실시예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 겸용 도어 체커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각도 조절판의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제 1 몸체 20 : 제 2 몸체
30 : 회전축 40 : 각도 조절판
60 : 리턴 스프링 70 : 제 1 암
80 : 제 2 암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겸용 도어 체커 어셈블리의 일실시예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 겸용 도어 체커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체측에 설치되는 제 1 몸체(10)와 도어측에 설치되는 제 2 몸체(15)로 구성되는 본체(30), 원형으로 형성되는 각도 조절판(40), 본체(30)의 일측에 회전축으로 고정되고 단부에는 제 1 로드(75)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암(70), 본체(30)의 일측에 회전축으로 고정되고 단부에 제 2 로드(85)가 부착되어 있는 제 2 암(80), 상기 조절판(40)에 연결되어 차량 도어를 닫을 경우 조절판(40)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60)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15)는 회전축(20)으로 연결되고, 이 회전축(20)은 차량 도어의 개폐시 도어의 회전중심축으로 작용하게 된다.
조절판(40)의 원주면상의 일측에는 걸림홈(45)이 연속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조절판(40)의 중심축과 걸림홈(45)사이에 직사각형 형태의 조절홈(50)이 형성된다. 또한, 조절판(40)의 원주면상의 소정 부분에는 제 1, 제 2 돌기(55a, 55b)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돌기에는 리턴 스프링(60)이 연결되어 있다.
제 1 암(70)의 단부에 부착된 제 1 로드(75)는 조절판(40)의 원주면에 형성된 걸림홈(45)에 걸리고, 제 2 암(80)의 단부에 부착된 제 2 로드(85)는 조절판(40)에 형성된 조절홈(50)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제 2 암(80)을 고정하고 있는 회전축은 본체(30)의 회전축(20)과 일치하도록 하여 차량의 도어와 제 2 암(80)이 연동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도어를 열 경우, 도어의 움직임에 따라 차량의 도어측에 설치된 제 2 몸체(15)가 동작하게 되고, 도어의 회전축과 동축을 갖는 제 2 암(80)이 A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 2 암(80)의 회전에 의해, 제 2 암(80)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제 2 로드(85)가 조절홈(50)을 밀게되어 조절판(40)은 B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조절판(40)이 회전하게 되면 조절판(40)의 원주면에 형성된 걸림홈(45)에 제 1 로드(75)가 걸리게 되어 차량 도어의 움직임이 일정 범위에서 멈추도록 한다. 차량의 도어를 더 열 경우에는 제 1 암(70)은 계속 A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조절판(40)도 B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게 되어 제 1 로드(75)가 다른 걸림홈(45)에 걸리면서 다시 차량 도어의 움직임이 일정 범위에서 멈추도록 한다.
차량의 도어를 닫을 경우에는 조절판(40)과 제 1 암(70)은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조절판(40)의 각 제 1, 제 2 돌기(55a, 55b)에 연결되어 있는 리턴 스프링(60)은 조절판(40)의 원상 복귀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도어와 차체를 연결하는 힌지와 차량 도어의 열림 정도를 제한하는 도어 체커 어셈블리를 별도의 구성요소에서 단일 구성 요소로 통합됨으로서 구성요소의 수를 줄여 차체 조립시 작업 공정을 줄이고 작업 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차체측에 설치되는 'ㄷ' 형태의 제 1 몸체(10)와 도어측에 설치되는 'ㄷ' 형태의 제 2 몸체(15)로 구성되는 본체(30), 원형으로 형성되고 차량 도어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판(40), 상기 본체(30)의 일측에 회전축으로 고정되고 단부에는 제 1 로드(75)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암(70), 상기 본체(30)의 일측에 회전축으로 고정되고 단부에 제 2 로드(85)가 부착되어 있는 제 2 암(80), 상기 조절판(40)에 연결되어 차량 도어를 닫을 경우 조절판(40)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힌지 겸용 체커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15)는 회전축(20)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힌지 겸용 체커 어셈블리.
  3. 제 1 항 및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15)를 연결하는 회전축(20)은 제 2 암(80)의 회전축과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힌지 겸용 체커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판(40)은 원주면의 일측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걸림홈(45), 중심축과 걸림홈(45)사이에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조절홈(50), 원주면상의 소정 부분에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1, 제 2 돌기(55a, 55b)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힌지 겸용 체커 어셈블리.
  5. 제 1 항 및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암(70)의 단부에 형성된 제 1 로드(75)는 각도 조절판(40)의 걸림홈(45)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힌지 겸용 체커 어셈블리.
  6. 제 1 항 및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암(80)의 단부에 형성된 제 2 로드(85)는 각도 조절판(40)의 조절홈(50)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힌지 겸용 체커 어셈블리.
KR1020000076444A 2000-12-14 2000-12-14 차량 도어의 힌지 겸용 체커 어셈블리 KR20020047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444A KR20020047829A (ko) 2000-12-14 2000-12-14 차량 도어의 힌지 겸용 체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444A KR20020047829A (ko) 2000-12-14 2000-12-14 차량 도어의 힌지 겸용 체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829A true KR20020047829A (ko) 2002-06-22

Family

ID=27681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444A KR20020047829A (ko) 2000-12-14 2000-12-14 차량 도어의 힌지 겸용 체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78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256B1 (ko) * 2007-12-12 2008-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열림 각도 조정장치
CN103556899A (zh) * 2013-11-01 2014-02-05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门铰链及汽车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256B1 (ko) * 2007-12-12 2008-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열림 각도 조정장치
CN103556899A (zh) * 2013-11-01 2014-02-05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门铰链及汽车
CN103556899B (zh) * 2013-11-01 2016-03-23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门铰链及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2185A (ko) 힌지 핸들을 포함하는 도어 로크, 특히 차량 로크용 작동장치
WO2001001027A8 (es) Valvula para instalaciones de obtencion de alumina
WO2005095742A1 (ja) ダンパー付きヒンジ
US10914109B2 (en) Hinge device
KR20020047829A (ko) 차량 도어의 힌지 겸용 체커 어셈블리
US6006722A (en) Fine resolution air control valve
US6902213B2 (en) Tail gate locking system
KR20040056345A (ko) 리버서블 냉장고 도어스토퍼 구조
KR940015142A (ko) 자동차용 도어힌지
US5896783A (en) Safety switch device
JPH0232817Y2 (ko)
KR0152334B1 (ko) 냉장고 도어의 힌지구조
JP2548912Y2 (ja) 吸気制御弁
JP2730418B2 (ja) 折畳型電子機器のヒンジ部構造
KR0123332Y1 (ko) 도어내 배치형 4축은폐경첩
KR100704500B1 (ko) 도어용 힌지
JPH0641510Y2 (ja) 仏壇の扉開閉装置
JPH0396605A (ja) 動弁機構のバルブタイミング・リフト量可変機構
JPH0127933Y2 (ko)
JP2000233722A (ja) 車両用ワイパ装置
JPH1122278A (ja) ヒンジ装置
JPH041608U (ko)
KR200161821Y1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 구조
JP2572650Y2 (ja) 扉閉鎖順位調整器
KR200342537Y1 (ko)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