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537Y1 -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537Y1
KR200342537Y1 KR20-2003-0035754U KR20030035754U KR200342537Y1 KR 200342537 Y1 KR200342537 Y1 KR 200342537Y1 KR 20030035754 U KR20030035754 U KR 20030035754U KR 200342537 Y1 KR200342537 Y1 KR 200342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upport shaft
sleeve
hinge modul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7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수
남도현
Original Assignee
(주)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노텍 filed Critical (주)나노텍
Priority to KR20-2003-00357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5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5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 메인 바디에서 개폐되는 서브 바디가 개폐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선회가 가능하도록 한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메인바디측에 설치되고 중앙에 축결합공을 갖는 제1암과; 제1암의 축결합공에 일단이 수직으로 입설 고정된 지지축과; 지지축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암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암과; 상기 지지축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암에 고정되고, 제2암의 회전동작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된 슬리브와;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과 슬리브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직경 방향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분할된 원통판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과 상기 슬리브는 상기 원통판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서로 테이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Rotatory hinge module for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에 적용되는 로터리 힌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 메인 바디에서 개폐되는 서브 바디가 개폐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축으로 선회가 가능하도록 한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로터리 힌지축상에 직경방향으로 탄성 마찰력을 일으키는 구조에 의해 적당한 선회력을 얻음과 동시에 조립이 간편하도록 한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정의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등록번호 제20-317847호(등록일: 2003.06.14)에 언급되어 있다.
위 등록고안에 기재된 기술내용의 요지는 힌지캠과 힌지샤프트를 캠면으로 물림시키고, 이들 물림력을 로터리 축방향으로 탄성반발력을 발휘하는 힌지스프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같이 종래의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은 회전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힌지스프링을 사용한다. 이 힌지스프링은 압축된 상태로 조립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 로터리 힌지 모듈은 회전축에 수직의 접촉 단면에서 미끄럼동작이 일어난다. 따라서 이 미끄럼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회전력을 조절할 경우)는 힌지스프링의 탄반력을 증가시켜야 하나 콤팩트한 힌지 모듈에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서브 바디의 선회력을 제어하는 방식을 달리하여 제어력이 우수하고 조립 설치성이 뛰어난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메인바디에서 서브바디가 개방되는 축에 대한 수직한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서브바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힌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측에 설치되고 중앙에 축결합공을 갖는 제1암과;
상기 제1암의 축결합공에 일단이 수직으로 입설 고정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암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암과;
상기 지지축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암에 고정되고, 제2암의 회전동작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된 슬리브와;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과 슬리브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직경 방향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분할된 원통판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과 상기 슬리브는 상기 원통판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서로 테이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로터리 힌지 모듈이 적용되는 핸드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힌지 모듈의 조립된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원통판 스프링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슬리브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톱퍼장치의 변형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제1암
21 : 축결합공
30 : 지지축
40 : 제2암
50 : 슬리브
51 : 슬릿
60 : 원통판 스프링
70 : 스톱퍼
71 : 멈춤돌기
80 : 멈춤스프링
81 : 걸림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힌지 모듈(10)은 도 1과 같이 메인바디(1)에서 서브바디(2)가 개방되는 축에 대한 수직한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서브바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힌지 모듈(10)은 상기 메인바디(1)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2,3과 같이 중앙에 축결합공(21)을 갖는 제1암(20)이 구비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힌지 모듈의 조립된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상기 제1암(20)의 축결합공(21)에는 지지축(30)의 일단이 수직으로 입설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30)의 타단에는 제2암(40)이 연결되어 제1암(20)과 수평상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30)은 중앙의 대직경부(31)와 양단의 소직경부(32,32)로 구성되고, 대직경부(31)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암(40)은 서브바디(2)에 장착홀(40a)을 통해 장착되는 것으로 중앙에 축결합공(41)과 보스부(42)를 갖고, 이 축결합공(41)에는 지지축(30)의 소직경부(32)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30)에는 테이퍼 형태의 원통형 슬리브(50)가 삽입되어 있고, 이 슬리브(50)는 제2암(40)의 보스부(42)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고정방법은 일예로 슬리브(50)를 압입 변형시켜 보스부(42)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50)는 탄반력을 발휘하기 위해 도 5와 같이 하나 이상의 슬릿(5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슬리브(50)는 대향하는 2개의 슬릿(51)을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2암(40)이 회전되면 일체로 슬리브(50)가 동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슬리브(50)의 회전을 탄성 마찰력을 이용하여 적당하게 억제하기 위해 금속재의 원통판 스프링(60)이 구비된다.
상기 원통판 스프링(60)은 상기 지지축(30)의 외주면과 슬리브(5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직경 방향으로 탄발력을 발휘하게 되어 있다. 이때 원통판 스프링(60)은 도 4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분할된 슬릿(61)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지지축(30)과 상기 슬리브(50)는 상기 원통판 스프링(60)을 사이에 두고 서로 테이퍼 결합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서브바디(2)가 180도 회전시마다 멈춤동작과 함께 클릭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스톱퍼(70)와 멈춤스프링(80)이 구비된다.
상기 스톱퍼(70)는 상기 지지축(30)의 일단에 연결 고정되고 원주면에 멈춤돌기(7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멈춤스프링(80)은 대략 'ㄷ'자 형태로서 내측으로 대향되어 돌출된 걸림턱(81)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걸림턱(81)은 지지축(30)의 중심에서 0도와 180도 위상에 위치한다.
미설명 부호 90은 미관용 외통체이고, 91,92,93은 와셔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제2암(40)이 지지축(30)을 지나는 축선(Z)에 대해 0도의 위치에 있을때는 멈춤스프링(80)의 일측 걸림턱(81)이 스톱퍼(70)의 멈춤돌기(71)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제1암(4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제1암(40)이 지지축(30)을 중심으로 선회하고 이와 동시에 제1암(40)과 일체로 멈춤스프링(80)이 회전하고 이때 걸림턱(81)을 멈춤돌기(71)를 벗어난다.
또한 제1암(40)과 연결 고정된 슬리브(50)가 회전하고, 이때 슬리브(50)는 원통판 스프링(60)의 탄성 마찰력의 스므스한 부하를 받으면서 회전력이 제어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제1암(40)과 연결된 서브바디(2)를 선회시키다 멈추게 되면 그 위치에서 원통판 스프링(60)의 탄성 마찰력에 의해 서브바디(2)는 정지한다.
제1암(40)을 선회시켜 180도에 이르게 되면 멈춤스프링(80)의 타측 걸림턱(81)이 스톱퍼(70)의 멈춤돌기(71)에 탄착되고, 이때 찰깍하는 클릭음이 발생된다.
이같이 본 고안의 힌지 모듈(10)은 제2암(40)이 제1암(20)의 제1축(X)을 기준으로 선회가 가능하고, 또 제2암(40)이 제1축(X)에 수직인 제2축(Y)을 기준으로 선회가 가능하여 휴대폰과 같이 서브바디(2)를 접었다 폈다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360도 이내에서 선회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멈춤돌기(71)와 걸림턱(81)을 갖기 스톱퍼(70)와 멈춤스프링(80)에 구성하였으나 본 고안은 도 6과 같이 걸림돌기(71)를 멈춤스프링(80)에 구성하고 걸림턱(81)을 갖기 스톱퍼(70)에 구성하여도 좋다.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스톱퍼장치의 변형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서브바디와 연결되는 제2암의 선회 동작에 마찰력을 제어하는 부분이 원통판 스프링의 둘레면에 닿는 탄성 접촉면을 이용하기 때문에 선회의 원할하고 부드러운 정지력이 신뢰된다. 또한 부품이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메인바디(1)에서 서브바디(2)가 개방되는 축에 대한 수직한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서브바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힌지 모듈(10)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1)측에 설치되고 중앙에 축결합공(21)을 갖는 제1암(20)과;
    상기 제1암(20)의 축결합공(21)에 일단이 수직으로 입설 고정된 지지축(30)과;
    상기 지지축(3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암(2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암(40)과;
    상기 지지축(30)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암(40)에 고정되고, 제2암(40)의 회전동작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된 슬리브(50)와;
    상기 지지축(30)의 외주면과 슬리브(5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직경 방향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분할된 원통판 스프링(6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축(30)과 상기 슬리브(50)는 상기 원통판 스프링(60)을 사이에 두고 서로 테이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바디(2)가 180도 회전시마다 멈춤동작과 함께 클릭음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상기 지지축(30)의 일단에 멈춤돌기(71)를 갖는 스톱퍼(70)가 고정되고, 상기 제2암(40)에는 상기 스톱퍼(70)의 둘레에 고정 배치되어 제2암(40)과 일체로회전하고 상기 멈춤돌기(71)와 0도와 180도 위상에서 만나는 걸림턱(81)을 갖는 멈춤스프링(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50)는 탄반력을 발휘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슬릿(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
KR20-2003-0035754U 2003-11-15 2003-11-15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 KR200342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754U KR200342537Y1 (ko) 2003-11-15 2003-11-15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754U KR200342537Y1 (ko) 2003-11-15 2003-11-15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537Y1 true KR200342537Y1 (ko) 2004-02-18

Family

ID=49425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754U KR200342537Y1 (ko) 2003-11-15 2003-11-15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5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3117B2 (ja) ダンパヒンジ
JP4308254B2 (ja) ダンパー付きヒンジ
KR100439744B1 (ko) 휴대폰의 자동 개폐 장치
WO2004059182A1 (ja) 一時角度設定機能付ヒンジ装置
KR200342537Y1 (ko)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
KR100377060B1 (ko) 힌지
KR100851964B1 (ko) 힌지 장치
KR0142057B1 (ko) 냉장고 도어 힌지조립체
WO2000079145A1 (fr) Articulation
KR100672467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모듈
JP2004052887A (ja) 折畳式機器の開閉保持用ヒンジ装置
KR10051403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JP4660892B2 (ja) 開閉装置
JPH0719277A (ja) 有限角回転ダンピング装置
KR100692265B1 (ko) 토션력을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로테이팅 힌지 모듈
KR1007431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1005265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방식 개폐장치
JP4057991B2 (ja) ドア用ヒンジ
KR200353381Y1 (ko) 휴대폰용 힌지장치
KR200372886Y1 (ko) 휴대용단말기의 회전장치
JP2008106793A (ja) 携帯通信機
KR20010061539A (ko) 힌지장치
KR200353076Y1 (ko) 휴대폰의 힌지장치
JP2002048126A (ja) 連結機構
KR200290356Y1 (ko) 위치결정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