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060B1 - 힌지 - Google Patents
힌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77060B1 KR100377060B1 KR10-2000-0045230A KR20000045230A KR100377060B1 KR 100377060 B1 KR100377060 B1 KR 100377060B1 KR 20000045230 A KR20000045230 A KR 20000045230A KR 100377060 B1 KR100377060 B1 KR 1003770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hinge
- shaft portions
- cover
- elastic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28 prem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커버(3)에 힌지축(6)을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연결한다. 힌지축(6)에는 두 개의 축부(63, 63)를 형성한다. 축부(63, 63)에는 전화기본체(2)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마련된 탄성편(51, 51)을 눌러 접촉시킨다. 그에 따라 축부(63, 63)를 커버(3 )의 회전운동위치를 규제하는 회전운동규제부로서 기능시킨다. 축부(63, 63)는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그들 사이에 그리스(grease) 등의 윤활유를 수용가능한 간극(間隙)(S)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컨대 휴대전화의 전화기본체와 그 커버, 혹은 변기의 변기본체와 밸브시트(弁座;valve seat)와 같은 기기본체와 개폐부재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힌지는 힌지축과 한 쌍의 판 스프링(plate spring)(탄성부재)을 구비하고 있다. 힌지축은 기기본체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개폐부재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판 스프링은 기기본체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힌지축의 캠(cam)부(회전운동규제부)를 사이에 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힌지축의 회전운동위치가 규제되고, 나아가서는 개폐부재의 회전운동위치가 규제된다(일본국 특허 제 2766074 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 2906346 호 공보 참조).
상기 종래의 힌지에 있어서는, 힌지축의 캠부가 탄성부재에 의해 찰과(擦過)되어 조기에 마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캠부의 외주면에 그리스(grease) 등의 윤활유를 도포하고 있다. 그러나, 캠부에 도포된 윤활유는 탄성부재에 의해 서서히 제거된다. 그에 따라 기름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캠부가 조기에 마모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두 개의 탄성부재가 접촉하는 두 개의 축부간에 형성되는 간극에 그리스 등의 윤활유를 수용할 수 있고, 그 윤활유가 두 개의 축부에 서서히 공급됨으로써 축부와 탄성부재의 사이에 기름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장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축부의 조기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힌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가 이용된 휴대전화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휴대전화의 정면도,
도 3은 전화기본체의 커버가 부착되는 단부(端部)와 힌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전화기본체와 커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전화기본체의 커버가 부착되는 측의 단부를 배면측에서 본 확대도,
도 6은 도 5의 X-X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투영사시도이다.
도 8은 힌지본체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8a는 정면도, 도 8b는 평면도, 도 8c는 도 8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8d, 도 8e는 각각 도 8a의 화살표(D) 방향 및 화살표(E) 방향으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낸 힌지의 힌지본체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9a는 힌지본체를 굽힘가공(bending)하는 도중의 단계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9b는 굽힘가공완료 후의 힌지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힌지의 힌지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나타낸 힌지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11a는 정면도, 도 11b는 평면도, 도 11c는 도 11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d, 도 11e는 각각 도 11a의 화살표(D) 방향 및 화살표(E) 방향으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힌지축을 힌지본체에 삽입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2a는 힌지축의 선단부가 탄성편에 부딪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2b는 힌지축의 선단부가 힌지본체의 지지공에 끼워 맞춘(嵌合) 상태를 나타내며, 도 12c는 힌지축을 힌지본체에 더욱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도 7에 나타낸 힌지의 탄성편과 축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3a는 커버가 닫힘(閉)위치로 회전운동(回動)하고 있을 때의 관계를 나타내고, 도 13b는 커버가 중립위치로 회전운동하고 있을 때의 관계를 나타내며, 도 13c는 커버가 열림(開)위치로 회전운동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있어서의 탄성편과 축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4a, 도14b, 도14c는 각각 도 13a, 도13b, 도13c와 같은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있어서의 탄성편과 축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5a, 도15b, 도15c는 각각 도 13a, 도13b, 도13c와 같은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있어서의 탄성편과 축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6a, 도16b, 도16c는 각각 도 13a, 도13b, 도13c와 같은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7a는 힌지축의 사시도, 도 17b, 도 17c, 도 17d는 각각 도 13a, 도13b, 도13c와 같은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있어서의 탄성편과 축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8a, 도18b, 도18c는 각각 도 13a, 도13b, 도13c와 같은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 : 회전운동축선 S : 간극
1 : 휴대전화 2 : 전화기본체(기기본체)
3 : 개폐부재(커버) 4 : 힌지
5 : 힌지본체 6 : 힌지축
51 : 탄성편(탄성부재) 63, 66 : 축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기본체에 개폐부재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로서,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운동축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개폐부재의 어느 한쪽에는 회전운동 가능하게, 다른쪽에는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연결된 힌지축과,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개폐부재 중 상기 힌지축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쪽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구비된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축에는 상기 회전운동축선과 거의 평행하게 뻗어 상기 탄성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힌지축의 회전운동위치를 규제하는 복수의 축부가 형성되며, 복수의 축부가 그들 사이에 간극(間隙)이 형성되도록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축부를 두 개 마련해도 되고, 세 개 이상 마련하여도 된다.
축부를 두 개 마련하는 경우에는, 상기 두 개의 축부의 바깥지름을 두 개의 축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있어서는 작은 지름으로 하고, 이와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는 큰 지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축의 두 개의 축부가 적어도 상기 힌지축 중 상기 다른쪽에 연결된 부분에 대하여 상기 회전운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범위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두 개의 축부를 그 양측으로부터 서로 사이에 둔 상태를 유지하도록 두 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부를 세 개 마련하는 경우에는, 이 세 개의 축부를 삼각형의 꼭지점(頂点)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세 개의 축부의 외측으로부터 적어도 두 개의 축부를 사이에 둔 상태를 유지하도록 두 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1∼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1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4)를 휴대전화(1)에 이용한 것이다. 휴대전화(1) 및 힌지(4)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전화(1)는 전화기본체(기기본체)(2)와 커버(개폐부재)(3)를 구비하고 있다. 전화기본체(2)의 기단부 (基端部)(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우단부)의 양측에는 도 7에 나타낸 힌지(4)가 한 쌍 마련되어 있다. 이 한 쌍의 힌지(4, 4)에 의해 커버(3)의 한쪽끝이 전화기본체(2)의 기단부에 회전운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화기본체(2)의 기단부에는 회전운동축선(L )상을 뻗는 부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부(21)의 양단면에는 단면사각형의 부착공(21a, 21a)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3)의 일단부(一端部)의 양측에는 연결돌기(31, 31)가 형성되어 있다. 각 연결돌기(31, 31)는 부착부(21)의 양단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연결돌기(31)의 부착부(21)와 대향하는 면에는 단면사각형의 계합공(係合孔)(31a)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4)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본체(5)와 힌지축(6)을 가지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본체(5)는 전화기본체(2)의 부착공(21a)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끼워 맞춰져(嵌合) 있다. 힌지축(6)은 그 축선을 회전운동축선(L)과 일치시켜 배치되어 있다. 힌지축(6)의 일단부는 전화기본체(2)에 힌지본체(5)를 개재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힌지축(6)의 타단부는 전화기본체(2)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 커버(3)의 계합공(31a)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그 결과 커버(3)가 전화기본체(2)에 힌지(4)를 개재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힌지본체(5)에 힌지축(6)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는 조건을 만족한다면, 힌지본체(5)를 커버(3)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설치하여 힌지축(6)을 전화기본체(2)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연결하여도 된다.
힌지(4)의 힌지본체(5) 및 힌지축(6)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힌지본체(5)는 금속제의 판재(板材)를 굽힘가공(bending)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끝이 개구(開口)하고, 다른쪽 끝이 바닥부(底部; 52)에 의해 닫혀진 단면이 대략 사각형의 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힌지본체(5)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두 쌍의 측벽을 가지고 있다. 한쪽의 한 쌍의 측벽간 치수는 개구부측에 있어서는 부착공(21a)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다. 게다가 다른 한 쌍의 측벽에 슬릿(53, 5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한쪽의 한 쌍의 측벽간 치수가 탄성적으로 지름을 확대, 축소 가능하게 되어 있다. 힌지본체(5)는 부착공(21a)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탄성변형하여 축소되고, 부착공(21a)의 내면에 눌려(押壓) 접촉되어 있다. 그에 따라 힌지본체(5)와 전화기본체(2)의 사이에 흔들거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힌지본체(5)는 그 전체를 부착공(21a)에 삽입가능하며,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개구측의 단면이 부착부(21)의 단면과 거의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힌지본체(5)의 내부에는 바닥부(52)로부터 개구부측을 향하여 뻗는 한 쌍의 탄성편(51, 51)(탄성부재)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편(51, 51)은 힌지본체(5)가 전화기본체(2)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전화기본체(2)에 대하여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탄성편(51, 51)은 서로 별개로 형성하여도 되고, 전화기본체(2)에 직접 마련하여도 된다. 힌지본체(5)의 바닥부(52)의 중앙부에는 지지공(支持孔;52a)이 회전운동축선(L)과 같은 축에 형성되어 있다.
힌지축(6)은 수지를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도 7,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측에서 타단측을 향하여 순차 형성된 단면사각형의 계합부(61), 단면원형의 기판부(62), 서로 평행한 단면원형의 두 개의 축부(63, 63), 단면타원형 모양을 이루는 보강판부(64) 및 단면원형의 연결축부(65)를 가지고 있다. 계합부(61), 기판부(62), 보강판부(64) 및 연결축부(65)는 회전운동축선(L)과 동축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축부(65)의 선단부에는 고리모양(環狀)의 돌출부(凸部)(65a)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선단면중앙부로부터 기단측으로 뻗는 슬릿(65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65b)이 형성됨으로써 연결축부(65)의 선단부 및 고리모양의 돌출부( 65a)가 지름을 확대,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축부(63, 63)는 종래의 힌지축의 캠(cam)부(회전운동규제부)에 대응하는 것이며, 회전운동축선(L)과 평행하게 동시에 회전운동축선(L)을 사이에 두고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회전운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여 주(周)방향으로 180℃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두 개의 축부(63, 63) 사이에는 축부(63)를 따라 뻗는 간극(間隙)(S)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S)의 회전운동축선(L)방향의 양단부는 기판부(62) 및 보강판부(64)에 의해 닫혀져 있다. 따라서 간극(S)에 그리스 그밖의 윤활유(미도시)를 수용하면 그 윤활유는 축부(63, 63)의 사이에서 외부로 나올 뿐이며, 다른 개소로부터 새나가는 경우는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된 힌지축(6)은 다음과 같이 하여 힌지본체(5)에 그 개구부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즉, 힌지축(6)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축부(63, 63)의 대향방향이 힌지본체(5)의 한 쌍의 탄성편(51, 51)의 대향방향과 직교하는 관계가 되는 것과 같은 자세가 된다. 그리고, 힌지축(6)은 그 연결축부(65)측에서 힌지본체(5) 안으로 삽입된다. 힌지축(6)을 힌지본체(5)에 삽입하면,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모양의 돌출부(65a)가 탄성편(51, 51)의 선단부에 부딪친다. 고리모양의 돌출부(65a) 및 탄성편(51, 51)의 선단부가 테이퍼모양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리모양의 돌출부(65a)는 탄성편(51, 51)의 선단부 사이를 용이하게 빠져 나간다. 이것은 보강판부(64)도 같다.
축부(63, 63)의 기단부가 한 쌍의 탄성편(51, 51)에 접촉할 때까지 힌지축(6)이 힌지본체(5)에 삽입되면, 고리모양의 돌출부(65a)가 지지공(52a)의 내주면에 부딪쳐서 지름을 축소(縮徑)하고 빠져 나간다. 그리고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축부(65)의 선단부가 힌지본체(5)의 바닥부(52)의 지지공(52a)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게다가 이 때 힌지축(6)의 기판부(62)가 힌지본체(5)의 내주면에 거의 접한다. 그에 따라 힌지축(6)이 힌지본체(5)에 회전운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나아가서는 전화기본체(2)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고리모양의 돌출부(65a)는 지지공(52a)을 빠져 나간 후 지름을 확대(擴徑)함으로써 바닥부(52)에 맞물려져 힌지축(6)이 힌지본체(5)의 개구부측에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4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축(6)의 계합부(61)는 힌지본체(5)의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 계합부(61)를 커버(3)의 계합공(31a)에 끼워 맞출 경우에는 힌지축(6)을 힌지본체(5)의 바닥부(52)측으로 더욱 이동시킨다. 그러면 탄성편(51, 51)의 선단부가 기판부(62)에 부딪친다. 그리고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편(51, 51)의 선단부가 기판부(62)의 테이퍼면(62a, 62a)을 타고 올라간다. 그에 따라 힌지축(6)이 바닥부(52)측으로 더욱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두 개의 힌지(4, 4)의 힌지축(6, 6)을 그들의 계합부(61)의 전체가 힌지본체 (5) 내에 들어갈 정도까지 이동시키면, 커버(3)의 연결돌기부(31, 31) 사이에 전화기본체(2)의 부착부(21)를 삽입한다. 그리고 힌지축(6, 6)의 계합부(61, 61)가 연결돌기부(31, 31)의 계합공(31a, 31a)에 대향하면, 탄성편(51, 51)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축(6, 6)이 밀려서 되돌려지고, 계합부(61, 61)가 연결돌기부(31a, 31a)에 끼워 맞춰진다. 그에 따라 힌지축(6, 6)이 커버(3)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커버(3)가 힌지축(6) 및 힌지본체(5)를 개재하여 전화기본체(2)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3은 커버(3)가 각 위치로 회전운동했을 때의 두 개의 축부(63, 63)와 탄성편(51, 51)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3)가 도 2의 부호(Ⅰ)로 나타낸 닫힘(閉)위치로 회전운동하고 있을 때에는 탄성편(51, 51)이 축부(63, 63)에 각각 접촉하고 있으며, 각 축부(63, 63)를 도 13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따라서 커버(3)는 도 2에 있어서 부호(Ⅱ)로 나타낸 열림(開)위치에서 닫힘위치(Ⅰ)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전화기본체(2)에 부딪쳐 있다. 따라서 커버(3)는 닫힘위치(Ⅰ)를 유지한다.
닫힘위치(Ⅰ)에 위치하는 커버(3)를 탄성편(51, 51)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열림위치(Ⅱ)측으로 거의 60℃ 회전운동시키면,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축부(63, 63)에 대한 탄성편(51, 51)의 탄성력이 회전운동축선(L)과 직교하는 선상 (線上)에 작용하게 된다(이하, 이 때의 커버(3)의 회전운동위치를 중립위치라 함). 따라서 커버(3)가 중립위치로 회전운동하면 커버(3)는 탄성편(51)의 회전운동탄성력을 받는 경우없이 탄성편(51)과 축부(63)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저항에 의해 중립위치로 유지된다. 커버(3)는 중립위치에서 닫힘위치(Ⅰ)측으로 약간이라도 회전운동하면 탄성편(51)에 의해 닫힘위치(Ⅰ)측으로 힘이 가해져 회전운동되고, 열림위치(Ⅱ)측으로 회전운동하면 열림위치(Ⅱ)측으로 회전운동 힘이 가해진다. 중립위치는 닫힘위치(Ⅰ)에서 60°의 위치 이외의 위치로 설정하여도 된다.
커버(3)를 닫힘위치(Ⅰ)에서 거의 150℃ 회전운동시키면 커버(3)가 열림위치 (Ⅱ)에 도달한다. 열림위치(Ⅱ)에 있어서는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탄성편(51)이 두 개의 축부(63, 63)에 한쪽에서 동시에 눌러 접촉시킴과 동시에 다른쪽의 탄성편(51)이 두 개의 축부(63, 63)에 다른쪽으로부터 동시에 눌러 접촉한다. 즉, 탄성편(51, 51)이 두 개의 축부(63, 63)를 동시에 사이에 둔 상태를 유지한다. 그 결과 커버(3)는 열림위치(Ⅱ)로 안정되어 유지된다. 커버(3)는 열림위치(Ⅱ)로부터 전개(全開)위치(Ⅲ)까지 더욱 소정의 각도(닫힘위치로부터 거의 180℃)만큼 회전운동 가능하지만, 열림위치(Ⅱ)와 전개위치(Ⅲ)의 사이에 회전운동한 커버(3)는 탄성편(51, 51)의 탄성력에 의해 열림위치(Ⅱ)로 되돌려진다.
상기 구성의 힌지(4)에 있어서는 커버(3)의 회전운동에 따라 축부(63, 63)가 탄성편(51, 51)에 의해 찰과(擦過)되지만, 축부(63, 63) 사이의 간극(S)에 수용된 그리스 그밖의 윤활유가 축부(63)와 탄성편(51)의 사이에 서서히 공급된다. 따라서 기름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장기간에 걸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축부(63)가 조기에 마모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구성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낸 실시예는 축부(63, 63)에 더하여 별개의 축부(66)를 형성한 것이며, 이 축부(66)는 축부(63, 63)를 잇는 선을 밑변(底邊)으로 하는 이등변삼각형의 꼭지점(頂点)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축부(66)는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3)가 닫힘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한쪽의 탄성편(51)에 접촉하고, 탄성편(51)에 의해 회전운동 힘이 가해진다. 축부(66)에 작용하는 회전운동탄성력은 탄성편(51, 51)의 축부(53, 53)에 대한 회전운동탄성력과 역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탄성편(51, 51)의 축부(63, 63)에 작용하는 회전운동탄성력력이 축부(66)에 작용하는 회전운동탄성력에 의해 약해진다. 따라서 커버(3)가 탄성편(51, 51)의 탄성력에 의해 열림위치측에서 닫힘위치측으로 회전운동했을 때에는 커버(3)가 전화기본체(2)에 고속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3)가 중립위치로 회전운동했을 때는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와 같지만, 커버(3)가 열림위치로 회전운동했을 때에는 한쪽의 탄성편(51)이 축부(63, 63)에 접촉하고, 다른쪽의 탄성편(51)이 축부(66)에 접촉한다. 따라서 커버(3)가 열림위치로 회전운동했을 때에 있어서의 편성편(51, 51)의 간격을 상기 실시형태의 것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버(3)를 보다 큰 탄성력으로 열림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실시예는 축부(63, 63)를 단면타원형 모양으로 한 것이며, 축부(63)의 바깥지름은 축부(63, 63)를 잇는 방향에 있어서 작고, 이와 직교하는방향에 있어서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3)를 열림위치로 회전운동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탄성편(51, 51)의 간격을 상기 실시예의 간격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커버(3)를 보다 큰 탄성력으로 열림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실시예는 도 15에 나타낸 실시예를 변형한 것이다. 즉, 도 15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축부(63, 63)가 회전운동축선(L)에 관하여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비하여 도 16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축부(63, 63)가 회전운동축선(L)에 관하여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한쪽의 축부(63)는 그 내부에 회전운동축선(L)을 포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두 개의 축부(63, 63)가 힌지축(6)의 다른 부분과 별개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판부(62)와 보강판부(64)가 회전운동축선(L) 위를 뻗는 중심축부(67)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그에 따라 힌지축(6) 전체가 일체화되어 있다. 중심축(67)과 축부(63, 63)의 각 사이에는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부(62)와 보강판부(64)의 대향면에는 회전운동축선(L)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만큼 주(周)방향으로 뻗는 가이드홈(보강판부(64)에 형성된 가이드홈( 64a)만 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축부(63)의 양단부는 기판부(62)의 가이드홈과 보강판부(64)의 가이드홈(64a)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기판부(62)와 보강판부(64)를 중심축부(67)를 개재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면, 축부(63, 63)는 기판부(62)와 일체(一體)로 형성하고, 보강판부(64)에 대해서만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여도 된다. 물론 그 경우에는 보강판부(64)에만 가이드홈(64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힌지에 있어서는 커버(3)가 중립위치로부터 약간 회전운동했을 때 바로 커버(3)에 큰 탄성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 1실시예의 힌지(4)의 경우 커버(3)가 중립위치 근방으로 회전운동하면, 두 개의 탄성편(51, 51)이 크게 벌어지는 결과 그들의 탄성력이 커진다. 그런데 탄성력이 거의 회전운동축선(L)을 향하여 작용하기 때문에 커버(3)에 작용하는 회전운동부세력은 매우 작다. 그래서 축부(63, 63)를 기판부(62) 및 보강판부(64)에 대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면, 예컨대 커버(3)를 닫힘위치에서 열림위치를 향하여 회전운동시킨 경우에 있어서 회전운동부재(3)가 중립위치를 넘으면 축부(63, 63)만이 탄성편(51, 51)에 의해 가이드홈(64a)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 회전운동된다. 그 결과 탄성편(51, 51)의 간격은 좁아지지만 탄성편(51, 51)의 탄성력의 작용방향이 회전운동축선(L)으로부터 크게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커버(3)가 중립위치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바로 커버(3 )를 탄성편(51, 51)에 의해 강하게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탄성편(51)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축부(63)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1a)는 탄성편(51)의 길이(長手)방향으로 뻗어 있다. 돌출부(51a)는 축부(63)측과 역측(逆側)을 향하여 돌출시켜도 된다.
탄성편(51)에 돌출부(51a)를 형성하면 탄성편(51)의 굽힘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도 18a에 나타낸 경우와 같이 축부(63)가 탄성편(51)의 중앙부에서 벗어나 한쪽의 측부에 부딪쳤을 때에 동 도면에 있어서 점선(想像線)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탄성편(51)이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비틀리는 경우가 없고, 축부(63)에 대한 탄성력을 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3)를 큰 힘으로 닫힘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하게 변경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힌지를 휴대전화에 적용한 것이지만, 변기본체(기기본체)와 변기뚜껑(개폐부재)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시트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탄성편(51)을 두 개 마련하였지만 한 개만 마련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탄성부재가 접촉하는 두 개의 축부간에 형성되는 간극에 그리스 등의 윤활유를 수용할 수 있고, 그 윤활유가 두 개의 축부에 서서히 공급된다. 따라서 축부와 탄성부재의 사이에 기름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장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축부의 조기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 기기본체에 개폐부재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로서,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운동축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개폐부재의 어느 한쪽에는 회전가능하게, 다른쪽에는 회전불가능하게 연결된 힌지축과,상기 기기본체와 상기 개폐부재 중 상기 힌지축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쪽에 회전운동 불가능하게 마련된 탄성부재를 구비하고,상기 힌지축에는, 상기 회전운동축선과 거의 평행하게 병렬로 뻗어, 상기 탄성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힌지축의 회전운동위치를 규제하는 복수의 축부가 형성되며,상기 복수의 축부가 이들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이에 의하여 복수의 축부 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축부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가 두 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축부의 바깥지름을 두 개의 축부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있어서는 작은 지름으로 하고, 이와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는 큰 지름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의 두 개의 축부가 적어도 상기 힌지축 중 상기 다른쪽에 연결된 부분에 대하여 상기 회전운동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범위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두 개의 축부를 그 양측으로부터 서로 사이에 둔 상태를 유지하도록 두 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가 세 개 마련되고, 이 세 개의 축부가 삼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세 개의 축부의 외측으로부터 적어도 두 개의 축부를 사이에 둔 상태를 유지하도록 두 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2354799A JP3658250B2 (ja) | 1999-08-06 | 1999-08-06 | ヒンジ |
JP1999-223547 | 1999-08-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9992A KR20010049992A (ko) | 2001-06-15 |
KR100377060B1 true KR100377060B1 (ko) | 2003-03-26 |
Family
ID=16799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45230A KR100377060B1 (ko) | 1999-08-06 | 2000-08-04 | 힌지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6587676B1 (ko) |
EP (1) | EP1074685A3 (ko) |
JP (1) | JP3658250B2 (ko) |
KR (1) | KR100377060B1 (ko) |
CN (1) | CN1136373C (ko) |
ID (1) | ID28065A (ko) |
TW (1) | TW43657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6492B1 (ko) * | 2001-07-05 | 2004-09-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저장고용 힌지장치 및 이를 갖춘 저장고 |
JP4021184B2 (ja) * | 2001-12-06 | 2007-12-12 |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 キャッチ付きヒンジ |
AU2003218961A1 (en) * | 2002-02-07 | 2003-09-02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Pin lock for mobile phone housing |
KR100734631B1 (ko) * | 2005-08-16 | 2007-07-02 | 주식회사 팬택 | 스윙방식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모듈 |
US20080115323A1 (en) * | 2006-11-17 | 2008-05-22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Spring loaded hinge mechanism |
WO2008105131A1 (ja) * | 2007-02-28 | 2008-09-04 | Nec Corporation | 携帯電子機器 |
US20090013498A1 (en) * | 2007-07-11 | 2009-01-15 | Jr-Jiun Chern | Hinge Assembly |
CN101541153B (zh) * | 2008-03-19 | 2011-12-07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便携式电子装置的转轴结构及组装该转轴结构的方法 |
CN108386091A (zh) * | 2018-04-03 | 2018-08-10 | 广东恒中门业有限公司 | 一种新型曲铰 |
JP2021047266A (ja) * | 2019-09-18 | 2021-03-25 | 株式会社オーエスエム | 巻取繰出装置 |
US11564538B2 (en) | 2019-10-21 | 2023-01-31 | Bemis Manufacturing Company | Hinge post for toilet seat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93317A (ja) * | 1995-09-26 | 1997-04-04 | Fujitsu Ltd | 蓋を備えた電話機 |
EP0772333A2 (en) * | 1995-11-01 | 1997-05-07 | Nokia Mobile Phones Ltd. | Hinge mechanism for a portable telephone |
US5629979A (en) * | 1991-05-06 | 1997-05-13 | Motorola, Inc. | Hinge apparatus having a self-latching hinge shaft for foldable radiotelephones |
US5640690A (en) * | 1992-03-11 | 1997-06-17 | Motorola, Inc. | Hinge assembly having cam follower |
JPH09284165A (ja) * | 1996-04-19 | 1997-10-31 | Mitsubishi Electric Corp | 携帯無線機のヒンジ装置 |
JPH1051526A (ja) * | 1996-08-01 | 1998-02-20 | Fujitsu Ltd | ヒンジ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有する折り畳み携帯電話機 |
KR19980014749U (ko) * | 1996-09-02 | 1998-06-25 | 김광호 |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
EP0851644A2 (en) * | 1996-12-23 | 1998-07-01 | Nokia Mobile Phones Ltd. | Radiotelephone |
KR19980072158A (ko) * | 1998-07-27 | 1998-10-26 | 한영수 | 무선전화기용 힌지 및 그 제조방법과 힌지 제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811591A (en) | 1956-09-04 | 1959-04-08 | Ft Products Ltd | An improved fastener |
DE2215330A1 (de) | 1972-03-29 | 1973-10-11 | Porsche Ag | Elastisches gelenk, insbesondere fuer lenkgestaenge von kraftfahrzeugen |
GB2187228B (en) | 1985-11-09 | 1988-10-26 | H & L Appleby Limited | Housing having a lid hinged to a base |
JP2766074B2 (ja) | 1990-02-27 | 1998-06-18 | 富士通株式会社 | 携帯電話機 |
US5316168A (en) * | 1993-07-06 | 1994-05-31 | Motorola, Inc. | Door cover assembly |
US5715575A (en) * | 1995-03-13 | 1998-02-10 | Kato Spring Works Co., Ltd. | Hinge device |
US5628089A (en) | 1995-05-18 | 1997-05-13 | Motorola, Inc. | Radiotelephone having a self contained hinge |
JP2906346B1 (ja) | 1998-02-09 | 1999-06-21 |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 ヒンジ装置 |
-
1999
- 1999-08-06 JP JP22354799A patent/JP365825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
- 2000-07-14 EP EP00306007A patent/EP1074685A3/en not_active Withdrawn
- 2000-07-24 TW TW089114697A patent/TW43657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7-31 CN CNB001222252A patent/CN1136373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08-02 US US09/630,893 patent/US658767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08-04 KR KR10-2000-0045230A patent/KR10037706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8-07 ID IDP20000661D patent/ID28065A/id unknown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29979A (en) * | 1991-05-06 | 1997-05-13 | Motorola, Inc. | Hinge apparatus having a self-latching hinge shaft for foldable radiotelephones |
US5640690A (en) * | 1992-03-11 | 1997-06-17 | Motorola, Inc. | Hinge assembly having cam follower |
JPH0993317A (ja) * | 1995-09-26 | 1997-04-04 | Fujitsu Ltd | 蓋を備えた電話機 |
EP0772333A2 (en) * | 1995-11-01 | 1997-05-07 | Nokia Mobile Phones Ltd. | Hinge mechanism for a portable telephone |
JPH09284165A (ja) * | 1996-04-19 | 1997-10-31 | Mitsubishi Electric Corp | 携帯無線機のヒンジ装置 |
JPH1051526A (ja) * | 1996-08-01 | 1998-02-20 | Fujitsu Ltd | ヒンジ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有する折り畳み携帯電話機 |
KR19980014749U (ko) * | 1996-09-02 | 1998-06-25 | 김광호 |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
EP0851644A2 (en) * | 1996-12-23 | 1998-07-01 | Nokia Mobile Phones Ltd. | Radiotelephone |
KR19980072158A (ko) * | 1998-07-27 | 1998-10-26 | 한영수 | 무선전화기용 힌지 및 그 제조방법과 힌지 제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074685A2 (en) | 2001-02-07 |
EP1074685A3 (en) | 2001-11-14 |
US6587676B1 (en) | 2003-07-01 |
JP3658250B2 (ja) | 2005-06-08 |
CN1136373C (zh) | 2004-01-28 |
CN1283730A (zh) | 2001-02-14 |
TW436575B (en) | 2001-05-28 |
KR20010049992A (ko) | 2001-06-15 |
JP2001049938A (ja) | 2001-02-20 |
ID28065A (id) | 2001-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77060B1 (ko) | 힌지 | |
US6115886A (en) | Hinge apparatus | |
EP1288414B1 (en) | Rotary type hinge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US7059018B2 (en) | Hinge with catch | |
JP2001289238A (ja) | ヒンジ | |
KR100397358B1 (ko) | 힌지 | |
US6588063B2 (en) | Hinge assembly | |
EP1321684B1 (en) | Hinge device | |
KR100375701B1 (ko) |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 |
US20010036265A1 (en) |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s | |
KR20040027273A (ko) | 접철식 전자기기 | |
EP1113136B1 (en) | Hinge assembly | |
KR20050039579A (ko) | 휴대단말기용 힌지 | |
KR100418050B1 (ko) |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 |
KR100405055B1 (ko) | 힌지장치 | |
US7076280B2 (en) | Foldable type cellular telephone | |
KR200352046Y1 (ko) | 힌지장치 | |
JP3658275B2 (ja) | ヒンジ | |
WO2024116760A1 (ja) | ヒンジ装置 | |
KR200364025Y1 (ko) | 커버 개폐용 힌지장치 | |
KR100536079B1 (ko) | 휴대단말기의 이중 힌지구조 | |
KR200342537Y1 (ko) | 휴대폰의 로터리 힌지 모듈 | |
KR200353381Y1 (ko) | 휴대폰용 힌지장치 | |
KR200346616Y1 (ko) | 힌지 | |
KR200321555Y1 (ko) | 힌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203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