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701B1 -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701B1
KR100375701B1 KR10-2001-0032983A KR20010032983A KR100375701B1 KR 100375701 B1 KR100375701 B1 KR 100375701B1 KR 20010032983 A KR20010032983 A KR 20010032983A KR 100375701 B1 KR100375701 B1 KR 100375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haft
slide
cas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2210A (ko
Inventor
하야시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20002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2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7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과제) 제 1 케이싱 및 제 2 케이싱에 부착하지 않더라도 힌지 유닛으로서의 토크 관리가 가능하며, 또한 제 1 케이싱 및 제 2 케이싱으로의 부착이 용이한 힌지구조를 얻는다.
(해결수단) 샤프트(26)에는 고정축(28)이 압입되고, 이 고정축(28)에는 스프링(32)이 끼워짐과 아울러 슬라이드캠(34)이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드캠(34)은 고정축(28)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고정축(28)에 대해서 회전방지되며, 스프링(32)에 의해서 플랜지(30)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지된다. 한편, 샤프트(26)에는 슬라이드캠(34)에 대응하는 고정캠(40)이 끼워져 있으며, 샤프트(26)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샤프트(26)의 단부에는 스토퍼(44)가 압입되어 고정캠(40) 등의 빠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체 및 덮개에 부착하지 않더라도 슬라이드캠(34)과 고정캠(40) 자체를 상대회전시킬 수 있어, 힌지 유닛(10)으로서 하중시험이나 내구성 시험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Hinge unit and Hinge structure}
본 발명은 회전각도를 규제하는 힌지 유닛과, 이 힌지 유닛을 이용하여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7 및 도 18에는 폴더형 휴대전화에 이용되는 종래의 힌지 유닛(102)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힌지 유닛(102)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케이싱(104) 및 제 2 케이싱(106)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 케이싱(106)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제 2 힌지부(108)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주면에는 가이드 돌기(110)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암보스(112)는 바닥부를 가지는 대략 원통체를 이루고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10)에 걸어맞춰지는 가이드 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보스(112)는, 가이드 홈(114)이 가이드 돌기(110)에 걸어맞춰진 상태로 제 2 힌지(108) 내에 배치됨으로써, 제 2 힌지부(108)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게 된다.
암보스(112)의 바닥면에는 그 축중심부에 관통구멍(1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나사(126)가 관통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나사(126)는 후술하는 제 1 힌지부(118)의 바닥면에 나사끼움된다.
고정나사(126)의 샤프트부(126B)에는 스프링(124)이 끼워져 있으며, 이 스프링(124)의 일단부가 고정나사(126)의 플랜지부(126A)에 맞닿게 되고, 그 타단부가 암보스(112)의 바닥면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암보스(112)는 수보스(120) 측으로 탄지된다.
한편, 제 1 케이싱(104)에 형성된 제 1 힌지부(118)는 바닥부를 가지는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축중심부에는 고정나사(126)가 나사끼움되는 암나사부(118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힌지부(118) 내에는 상기 암보스(112)와 대면하는 수보스(120)가 수납되어 있다. 상기 수보스(120)의 축중심부에는 고정나사(126)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20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암보스(112)의 바닥부 외면에는 구체(球體)(122)가 일부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수보스(120)에 형성된 걸어맞춤 홈(120B)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 홈(120B)의 시점에는 오목부(120C)가 형성되어 있고, 종점에도 오목부(120D)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홈(120B), 오목부(120C) 및 오목부(120D)는 각각 그 깊이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으며, 구체(122)의 이동과 함께 암보스(112)가 스프링(124)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제 2 힌지부(108)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구체(122)가 오목부(120C,120D)에 배치되었을 때에 로크됨으로써 제 1 케이싱(104) 및 제 2 케이싱(106)의 회전이 제한된다.
그러나, 상기 힌지 유닛(102)은 고정나사(126)에 스프링(124), 암보스(112), 제 2 힌지부(108) 및 수보스(120)를 끼운 상태에서 이 고정나사(126)를 제 1 힌지부(118)의 바닥면에 나사고정함에 의해서 비로소 힌지 유닛(102)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 1 케이싱(104) 및 제 2 케이싱(106)에 이들 부품을 부착한 상태가 아니라면, 암보스(112)와 수보스(120)가 상대회전하는데 필요한 토크 등의 기계적인 수치를 구할 수 없다. 또, 고정나사(126)를 제 1 힌지부(118)의 바닥면에 나사고정함에 의해서 힌지 유닛(102)을 조립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실을 고려하여, 제 1 케이싱 및 제 2 케이싱에 부착하지 않더라도 힌지 유닛으로서의 토크 관리가 가능하며, 또한 제 1 케이싱 및 제 2 케이싱에 대한 힌지 유닛의 부착이 용이한 힌지구조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 유닛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 유닛의 부착부분을 일부 절결한 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 유닛의 부착부분을 일부 절결한 사시도
도 5의 (A)는 제 1 실시형태의 힌지 유닛의 측면도, 도 5의 (B)는 휴대전화의 덮개가 폐쇄된 상태의 측면도, 도 5의 (C)는 캠면의 맞물림상태를 나타낸 전개도
도 6의 (A)는 제 1 실시형태의 힌지 유닛의 측면도, 도 6의 (B)는 휴대전화의 덮개가 도중까지 개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6의 (C)는 캠면의 맞물림상태를 나타낸 전개도
도 7의 (A)는 제 1 실시형태의 힌지 유닛의 측면도, 도 7의 (B)는 휴대전화의 덮개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7의 (C)는 캠면의 맞물림상태를 나타낸 전개도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 유닛에 이용되는 커버 및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 유닛에 이용되는 케이스 및 슬라이드캠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 유닛이 부착되는 수납부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 유닛의 부착부분을 일부 절결한 사시도
도 13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 유닛의 부착부분을 일부 절결한 사시도
도 14의 (A)는 제 2 실시형태의 힌지 유닛의 측면도, 도 14의 (B)는 휴대전화의 덮개가 폐쇄된 상태의 측면도, 도 14의 (C)는 캠면의 맞물림상태를 나타낸 전개도
도 15의 (A)는 제 2 실시형태의 힌지 유닛의 측면도, 도 15의 (B)는 휴대전화의 덮개가 도중까지 개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15의 (C)는 캠면의 맞물림상태를 나타낸 전개도
도 16의 (A)는 제 2 실시형태의 힌지 유닛의 측면도, 도 16의 (B)는 휴대전화의 덮개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16의 (C)는 캠면의 맞물림상태를 나타낸 전개도
도 17은 종래의 힌지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8은 종래의 힌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힌지 유닛 14 - 본체(제 1 케이싱)
16 - 지지체(축부) 20 - 덮개(제 2 케이싱)
22 - 축체(축부) 32 - 스프링(탄지수단)
34 - 슬라이드캠 37B - 에지부(캠면)
37 - 캠면 37A - 계곡부(캠면)
40A - 가이드 볼록부(볼록부) 40C - 오목부(수납부)
40 - 고정캠 41 - 캠면
41A - 정상부(캠면) 42A - 가이드 오목부(볼록부)
44 - 스토퍼 46 - O링(슬라이드 부재)
52 - 커버 54 - 케이스
58A - 걸림돌조(걸림수단) 58 - 걸림편
60A - 피걸림돌조(걸림수단) 60 - 피걸림편(걸림수단)
66 - 오목부(걸어맞춤부) 68 - 슬라이드캠
70 - 캠면 70A - 정상부(캠면)
75 - 가이드부(피걸어맞춤부) 76 - 스프링(탄지수단)
78 - 걸림캠 80C - 에지부(캠면)
80 - 캠면 80A - 계곡부(캠면)
80B - 정상부(캠면) 88 - 걸림편
90 - 스토퍼 92 - 덮개
94 - 본체 96 - 힌지 유닛
t - 간극(걸림오목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슬라이드캠은 샤프트에 대해서 회전방지되어 있으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샤프트에서 빠짐방지되어 있다. 한편, 샤프트에는 원통형상의 고정캠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또, 샤프트에는 스토퍼가 끼워맞춰져서 고정캠의 빠짐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탄지수단에 의해서 슬라이드캠은 고정캠 측으로 탄지된다.
여기서, 슬라이드캠 및 고정캠의 맞닿음면에는 캠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캠면은 슬라이드캠과 고정캠의 상대회전각도에 따라서 접촉ㆍ이탈되어 전면 맞닿음에서 일부 맞닿음까지의 맞닿음 형태를 취한다.
상기 힌지 유닛은, 본체 및 덮개에 부착하지 않더라도 슬라이드캠과 고정캠 자체를 상대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토크 등의 기계적인 수치가 결정된다. 따라서, 힌지 유닛으로서의 토크를 관리할 수 있어 제품으로서의 분산이 적다.
또, 상기 힌지 유닛에서는, 예를 들면 일단측에 플랜지를 형성한 샤프트에 슬라이드캠, 탄지수단 및 고정캠을 끼운 후, 샤프트의 타단측에 스토퍼를 끼워맞추는 것만에 의해서 이들 부품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나사를 본체측에 나사끼움함에 의해서 부품의 빠짐을 방지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성이 좋다.
상기 힌지 유닛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본체측의 축부에 고정캠을 부착하고 덮개측의 축부에 샤프트를 고정한 경우를 상정하면, 덮개를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개방하여 가면, 샤프트에 회전방지되게 끼워진 슬라이드캠이 고정캠에 대해서 회전함과 동시에 캠면의 작용에 의해서 고정캠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캠면의 맞닿음 형태가 일부 맞닿음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 단계에서 덮개를 더 개방하면, 슬라이드캠의 캠면이 고정캠의 캠면의 정상부를 타고 넘게 됨과 동시에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슬라이드캠이 고정캠 측을 향해서 이동하게 된다. 이 이동하는 힘이 캠면에 의해서, 슬라이드캠을 통해서 덮개를 회전시키는 힘으로 변환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고정캠에는 이 고정캠에 슬라이드 저항을 부여하는 슬라이드 부재가 맞닿아 있다. 따라서, 덮개의 회전각도에 관계없이 덮개를 소망하는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에 있어서 편리하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고정캠에는 슬라이드 부재로서의 O링이 수납 가능한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토퍼에 의해서 O링이 수납부 측으로 압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캠에 수납부를 형성하고, 이 수납부 내에 스토퍼를 수납함에 의해서 힌지 유닛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로서 O링을 이용하는데, 이 O링의 경도 혹은 굵기를 변경함에 의해서 슬라이드 저항의 미세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고정캠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1 케이싱에 형성된 축부의 내주벽에는 고정캠의 외주면에 형성된 볼록부가 걸어맞춰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캠을 제 1 케이싱의 축부에 부착하고 제 2 케이싱에 형성된 축부에 샤프트를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서,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정캠과 제 1 케이싱의 축부를 걸어맞추기 위해서, 축부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고정캠에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고정캠에 오목부를 형성한 경우에 비해 고정캠의 볼록부 이외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힌지 유닛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샤프트에는 원통형상의 케이스가 이 샤프트에 대해서 빠짐방지되게 끼워져 있으며,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샤프트에는 슬라이드캠 및 걸림캠이 끼워지며, 케이스에 슬라이드캠이 수납되어 있다. 슬라이드캠에는 피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피가이드부가 케이스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안내됨으로써 슬라이드캠이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회전방지된다.
한편, 걸림캠은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샤프트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샤프트의 일단부에는 스토퍼가 끼워맞춰져서 걸림캠의 빠짐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에 수납된 탄지수단에 의해서 슬라이드캠은 걸림캠 측으로 탄지된다.
여기서, 슬라이드캠 및 걸림캠의 맞닿음면에는 캠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캠면은 슬라이드캠과 걸림캠의 상대회전각도에 따라서 접촉ㆍ이탈되어 전면 맞닿음에서 일부 맞닿음까지의 맞닿음 형태를 취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샤프트의 타단부를 덮는 커버와 케이스가 걸림수단에 의해서 걸어붙여진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케이스에는 피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에는 피걸림부에 걸림 가능한 걸림돌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커버를 간단하게 케이스에 걸어붙일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3 케이싱에 형성된 축부의 내주벽에는 케이스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는 피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케이스를 제 3 케이싱의 축부에 부착하고, 제 4 케이싱에 형성된 축부에 걸림캠을 고정함으로써, 제 3 케이싱과 제 4 케이싱을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 4 케이싱의 축부에는 걸림캠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편이 걸어맞춰지는 걸림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편을 걸림오목부에 걸어맞추는 것만에 의해서 걸림캠을 제 4 케이싱에 걸어붙일 수 있기 때문에, 고정나사를 본체측에 나사끼움에 의해서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간단하므로 작업성이 좋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1에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 유닛(10)(도 2 내지 도 4 참조)이 이용된 휴대전화(1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휴대전화(12)의 본체(14)(제 1 케이싱)의 단부에는 대략 각주(角柱)형상의 지지체(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체(16)의 양측 및 다이얼부(18)는 오목하게 절결되어 있으며, 덮개(20)(제 2 케이싱)가 덮여졌을 때에 본체(14)의 외면과 덮개(20)의 외면이 일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체(16)(축부)와 끼워맞춰지도록 상기 덮개(20)에서 돌출형성된 대략 원기둥형상의 2개의 축체(22)(축부)에는 힌지 유닛(10)이 부착되어 있으며,이 힌지 유닛(10)에 의해서 축체(22)가 지지체(1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기둥형상의 샤프트(26)의 일단측에는 장방형의 폭방향의 변을 원호형상으로 한 대략 타원형의 플랜지(26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원통형상의 고정축(28)의 일단측에는 환형상의 플랜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30)의 축중심에는 상기 플랜지(26A)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오목부(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축(28)의 내경 칫수는 샤프트(26)의 외경 칫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으며, 고정축(28)에 샤프트(26)를 압입할 때에 플랜지(26A)를 끼워맞춤 오목부에 끼워맞춰서 고정축(28)과 샤프트(26)를 일체로 하고 있다. 플랜지(30) 및 끼워맞춤 오목부는 대략 타원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샤프트(26)와 고정축(28)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일이 없다.
플랜지(30)에는 1쌍의 절결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축체(22)에는 상기 지지체(16)와 대향하는 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의 수납부(24)(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납부(24)의 내주면에는 수납부(24)의 축방향을 따라서 돌출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4A)에 플랜지(30)의 절결부(30A)가 걸어맞춰짐에 의해서 고정축(28)이 축체(22)에 고정됨과 아울러 축체(22)에 대해서 회전방지된다. 따라서, 축체(22)를 회전시키면 고정축(28) 및 샤프트(26)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 고정축(28)의 외주면에는 고정축(28)의 축방향을 따라서 1쌍의 걸어맞춤홈(28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축(28)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스프링(32)이 끼워짐과 아울러 대략 원통형상의 슬라이드캠(34)이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드캠(34)은 대경부(大徑部)(36)와 소경부(小經部)(38)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경부(36)에는 후술하는 캠면(3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경부(38)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어맞춤 홈(28A)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돌기(38A)가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슬라이드캠(34)은 고정축(28)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고정축(28)에 대해서 회전방지된다.
또, 소경부(38)의 외주면에는 스프링(32)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32)의 일단부는 소경부(38)와 대경부(36)에 의해서 구성되는 단차부(38B)에 맞닿고, 그 타단부는 고정축(28)의 플랜지(30)에 맞닿아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캠(34)은 플랜지(30)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지된다.
이와 같이, 소경부(38)의 외주면에 스프링(32)을 장착함으로써 스프링(32)의 내경 칫수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32)의 탄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26)의 타단측에는 슬라이드캠(34)에 대응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고정캠(40)이 끼워져 있으며, 샤프트(26)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프링(32)의 탄지력은, 슬라이드캠(34)의 캠면(37) 및 고정캠(40)에 형성된 후술하는 캠면(41)에 의해서, 슬라이드캠(34)을 통해서 덮개(20)를 회전시키는 힘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스프링(32)의 탄지력을 증대시킴으로써 토크를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고정캠(40)의 외주면에는 고정캠(40)의 축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가이드 볼록부(4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볼록부(40A)는 상기 지지체(16)에 형성된 후술하는 원통형상의 수납부(42)(축부)의 내주면에 이 수납부(42)의 축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 오목부(42A)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가이드 오목부(42A)는 가이드 볼록부(40A)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으며, 고정캠(40)은 그 가이드 볼록부(40A)가 가이드 오목부(42A)의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끼워져서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이, 고정캠(40)에 형성된 가이드 볼록부(40A)와 수납부(42)에 형성된 가이드 오목부(42A)를 걸어맞춤으로써, 고정캠(40)은 수납부(42)에 대해서 회전방지된다.
또, 종래와 같이 고정캠의 외주면에 가이드 홈을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면, 고정캠(40)의 가이드 볼록부(40A) 이외의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전화(12)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고정캠(40)의 일단측에는 상기 슬라이드캠(34)의 캠면(37)에 대응하는 캠면(41)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측에는 오목부(40C)(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샤프트(26)의 타단측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스토퍼(44)가 압입되며, 스토퍼(44)와 샤프트(26)를 일체화 함으로써 고정캠(40) 등의 빠짐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고정나사를 본체측에 나사끼움함에 의해서 부품의 빠짐을 방지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성이 좋다.
스토퍼(44)에는 플랜지(4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토퍼(44)는 플랜지(44A)와 샤프트(26)의 단면이 일치하는 위치에서 고정된다. 플랜지(44A)의 외경 칫수는고정캠(40)에 형성된 오목부(40C)의 내경 칫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또 스토퍼(44)의 길이는 오목부(40C)의 깊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스토퍼(44)는 오목부(40C) 내에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퍼(44)는 그 선단면이 오목부(40C)의 저면에 맞닿는 상태로 오목부(40C) 내에 수납되며, 축체(22)가 회전하면 샤프트(26)를 통해서 스토퍼(44)가 회전한다. 이 때, 스토퍼(44)의 선단면이 오목부(40C)의 저면과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회전하게 됨으로써, 축체(22)에는 슬라이드 저항이 부여된다.
한편, 스토퍼(44)의 외주면(44B)에는 슬라이드 접촉부재로서의 O링(46)이 장착되어 있다. 이 O링(46)은 스토퍼(44)의 외주면(44B)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 외주면(44B)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으며, 스토퍼(44)에 의해서 오목부(40C)(수납부) 측으로 압압된다.
따라서, 축체(22)를 회전시키면, 샤프트(26)를 통해서 스토퍼(44)가 회전함과 동시에 O링(46)이 오목부(40C)의 내주부와 슬라이드 접촉함으로써, 축체(22)에는 슬라이드 저항이 부여된다.
이와 같이, 축체(22)에 슬라이드 저항을 부여함으로써, 덮개(20)를 회전시켰을 때, 회전각도에 관계없이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프리 스토퍼기능), 사용상에 있어서 편리하다. 또, O링(46)의 경도 및 굵기 등을 변경함에 의해서 축체(22)에 부여되는 슬라이드 저항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캠(40)에 가이드 볼록부(40A)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이 고정캠(40)에는 캠면(41)이 형성되는 캠부와는 별도로 가이드 볼록부(40A)를 형성하기 위한 축부가 필요하게 된다. 이 축부를 솔리드 축으로 할 경우에는, 성형 후에 오목부(40C)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이 오목부(40C)에 스토퍼(44)를 수납함으로써 힌지 유닛(10)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힌지 유닛(10)에서는, 본체(14) 및 덮개(20)에 부착하지 않더라도 슬라이드캠(34)과 고정캠(40) 자체를 상대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힌지 유닛(10)으로서 하중시험이나 내구성 시험을 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캠(34)과 고정캠(40) 자체를 상대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토크 등의 기계적인 수치는 힌지 유닛(10)으로서 결정되기 때문에, 휴대전화(12)로서의 토크의 분산이 적다.
이와 같이 품질 관리된 힌지 유닛(10)을 본체(14) 및 덮개(20)에 부착한다. 이 때, 수납부(24) 측에는 샤프트(26), 고정축(28), 스프링(32) 및 슬라이드캠(34)이 배치되고, 수납부(42) 측에는 고정캠(40)이 배치된다. 다만, 고정캠(40)의 캠면(41)은 수납부(42)에서 돌출되어 수납부(24) 측에 수납된다.
여기서, 슬라이드캠(34)과 고정캠(4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슬라이드캠(34)에는 고정캠(40)의 캠면(41)과 걸어맞춤 가능한 캠면(37)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 5의 (A),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20)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드캠(34)의 캠면(37)의 계곡부(37A)와 고정캠(40)의 캠면(41)의 정상부(41A)가 이맞물림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캠면(37,41)끼리가 전면에 걸쳐서 맞닿아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스프링(32)에 의해서 탄지되는 슬라이드캠(34)은, 슬라이드캠(34)의 캠면(37)과 고정캠(40)의 캠면(41)의 맞닿음에 의해서, 스프링(32)으로부터 받는 추진력에 화살표 F1방향으로 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스프링(23)의 추진력은 샤프트(26)를 중심으로 덮개(2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회전력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덮개(20)는 요동되는 일 없이 본체(14)를 커버할 수 있으며, 덮개(20)를 거꾸로 하더라도 개방되지 않는다.
이어서, 도 3 및 도 6의 (A),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20)를 화살표 M방향으로 스프링(32)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개방시키면, 캠면(37)의 정상부와 캠면(41)의 정상부(41A)의 맞닿음에 의해서, 슬라이드캠(34)이 고정캠(40)에 의해서 눌려짐으로써 수납부(24)의 내측으로 되밀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덮개(20)가 정지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캠(40)의 캠면(41)의 정상부(41A)와 슬라이드캠(34)의 캠면(37)의 에지부(37B)가 맞닿는 위치까지 덮개(20)를 개방시킨다. 여기서, 슬라이드캠(34) 및 고정캠(40)이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캠면(41)의 정상부(41A)와 캠면(37)의 에지부(37B)가 맞닿는 위치에서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상태에서의 덮개(20)의 개방각도가 θ=150˚로 설정되어 있다).
이어서, 도 7의 (A),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면(41)의 정상부(41A)가 캠면(37)의 계곡부(37A)를 향해서 미끄러져 들어감으로써, 덮개(20)가 자연스럽게 M방향으로 개방된다(개방각도 θ=160˚).
즉, 스프링(32)에 의해서 탄지되는 슬라이드캠(34)은, 슬라이드캠(34)의 캠면(37)과 고정캠(40)의 캠면(41)의 맞닿음에 의해서, 스프링(32)으로부터 받는 추진력에 화살표 F2방향으로 부하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32)의 추진력은 샤프트(26)를 중심으로 덮개(2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회전력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캠(34)과 고정캠(40)의 맞닿음면에 각각 캠면(37,41)을 형성함으로써, 힌지 유닛(10)을 콤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힌지 유닛(10)을 본체(14) 및 덮개(20)의 좌우 양측에 형성하고 있으나, 반드시 힌지 유닛(10)이 복수개 필요한 것이 아니며, 본체(14) 및 덮개(20)의 형상에 따라서는 1개의 힌지 유닛(10)으로도 충분히 요동없는 상태로 회전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캠(34)을 덮개(20) 측에 고정캠(40)을 본체(14) 측에 배치하고 있으나, 반대로 배치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조립의 간편성을 고려한 힌지 유닛(10)으로서가 아니라, 단순히 힌지구조로서 상정한 경우에는, 축체(22)의 일측을 축재(軸材)로 축지지하고, 축체(22)의 타측에 슬라이드캠(34) 및 고정캠(40)을 배치하고서 스프링(32)에 의해서 탄지력을 부여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샤프트(26)에 고정축(28)을 끼워맞추고, 이 고정축(28)에 슬라이드캠(34)을 걸어맞추도록 하였으나, 슬라이드캠(34)의 소경부(38)의 내주면에 축방향을 따라서 1쌍의 가이드 벽을 돌출형성하고, 이 1쌍의 가이드벽 사이에 끼워맞춰지는 가이드 돌기를 샤프트(26)의 외주면에 형성하여, 샤프트와 슬라이드캠을 걸어맞추도록 하여도 된다.
또, 덮개(20)의 개방각도는 캠면(41)의 형상을 변환시킴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또, 본체(14)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덮개(20)를 이용한 휴대전화(12)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힌지 유닛(10)을 이용하는 제품이라면 어떠한 형식의 것에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폴더형 휴대전화에 대해서도 본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전화 뿐만 아니라, AV기기의 덮개와 같이 개방각도가 결정되어 있는 것에도 사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 유닛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힌지 유닛(96)에 이용되는 샤프트(50)는 대경부(50A)와 소경부(50B)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경부(50A) 측의 단부에는 환형상의 플랜지(50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50C)에는 돔형상의 커버(52)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커버(52)의 이면에는 환형상의 오목부(5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50C)가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52)의 외주면에는 1쌍의 절결부(5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56)는 플랫면으로 되어 있다. 이 절결부(56)의 가장자리부에는 1쌍의 걸림편(58)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편(58)의 외면에는 걸림돌조(58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걸림돌조(58A)는 절결부(56)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후술하는 케이스(54)에 형성된 피걸림편(60)에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케이스(54)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일단측에는 플랜지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53)에 상기 커버(52)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랜지부(53)의 축중심부에는 관통구멍(5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53A)에 샤프트(50)의 대경부(50A)가 끼워맞춰져서 샤프트(50)와 케이스(54)가 일체로 된다.
또, 플랜지부(53)에는 그 단면(53B)에서 외주면(53C)에 걸쳐서 절결부(62)가 형성됨으로써 공간(55)을 형성하고 있다. 절결부(62)의 외주면(53C) 측의 가장자리부(62A)에는 피걸림편(60)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이 피걸림편(60)은 단면(53B)에서 약간 돌출되는 길이로 되어 있으며, 피걸림편(60)의 내면에는 피걸림돌조(60A)가 돌출되어 있다.
플랜지부(53)의 외경 칫수는 커버(52)의 외경 칫수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으며, 커버(52)의 주연부(52B)와 플랜지부(53)의 단면(53B)이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절결부(62)의 단면(53B) 측의 양 가장자리부(62B)간의 이간거리는 1쌍의 걸림돌조(58A)의 내면(58B)의 이간거리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또, 대향하는 절결부(56)의 이간거리는 피걸림편(60)의 내면(60B)간의 거리보다도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52)의 주연부(52B)와 플랜지부(53)의 단면(53B)이 맞닿을 때, 걸림돌조(58A)는 절결부(62)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55)에 끼워진다.
여기서, 피걸림편(60)은 외팔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걸림돌조(58A)가 피걸림돌조(60A)에 맞닿으면, 피걸림돌조(60)가 외측으로 탄성변형되고, 이후 걸림돌조(58A)가 피걸림돌조(60A)를 통과하여 피걸림편(60)의 내면(60B)에 맞닿으면, 피걸림편(60)이 탄성복원함으로써 걸림돌조(58A)가 피걸림돌조(60A)에 의해서 걸어붙여지게 된다.
한편,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54)의 내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1쌍의 볼록부(64)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54)내에는 슬라이드캠(68)이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캠(68)에는 후술하는 캠면(70)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중심부에는 관통구멍(68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68A)에는 샤프트(50)(도 8 참조)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캠(68)의 이면에는 1쌍의 슬라이드편(72)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드편(72)의 외면의 형상은 케이스(54)의 내주면을 따라서 형성되며, 볼록부(64) 이외의 부분의 형상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슬라이드편(72)이 케이스(54)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볼록부(64)에 의해서 슬라이드편(72)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슬라이드캠(68)은 케이스(54)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회전방지된다.
한편, 케이스(54)의 외주면에는 1쌍의 오목부(6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66)는 수납부(74)의 내주면에 축방향을 따라서 돌출형성된 가이드부(75)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11 참조).
가이드부(75)의 폭은 케이스(54)에 형성된 오목부(66)의 폭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으며, 케이스(54)는 가이드부(75)를 따라서 수납부(74) 내로 안내됨과 아울러, 수납부(74)에 대해서 회전방지된다. 케이스(54)의 플랜지(53)가 가이드부(75)의 단면(75A)에 맞닿으면, 케이스(54)는 수납부(74)의 축방향에 대해서 위치결정된다.
또, 슬라이드캠(68)의 슬라이드편(72) 사이에는 스프링(76)이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스프링(76)의 일단부가 케이스(54)의 저면에 맞닿아 있다. 한편, 스프링(76)의 타단부는 슬라이드캠(68)의 이면에 맞닿아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캠(68)은 스프링(76)에 의해서 케이스(54)에서 압출되는 방향으로 탄지된다.
여기서, 도 8에 나타낸 샤프트(50)의 소경부(50B)에는, 축중심부에 관통구멍(79)을 가지는 대략 원통형상의 걸림캠(78)이 끼워지며, 걸림캠(78)은 샤프트(5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걸림캠(78)에는 후술하는 캠면(80)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캠(68)의 캠면(70)에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걸림캠(78)의 외주면에는 1쌍의 오목부(81)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 11에 나타낸 수납부(74)에 대면하여 형성된 수납부(82)의 내주면에 축방향을 따라서 돌출형성된 가이드부(84)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84)의 내측에는 위치결정부(86)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부(84)와 위치결정부(86)의 사이에는 간극(t)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캠(78)의 저면에는 1쌍의 걸림편(88)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편(88)의 외면에는 걸림돌조(88A)가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캠(78)의 외주면보다 약간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 걸림편(88)은 수납부(82)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부(84)와 위치결정부(86)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t)에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11 참조).
한편, 샤프트(50)의 소경부(50B)의 단부에는 원통형상의 스토퍼(90)가 끼워맞춰져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수납부(82)에서 걸림캠(78)이 빠지는 일이 없다.
상기 스토퍼(90)의 외경 칫수는 걸림편(88)의 내면(88B)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편(88)은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캠(78)을 수납부(82) 내로 수납할 때에는 걸림편(88)이 가이드부(84)에 압압되어 축소되고, 그 후 걸림편(88)의 선단부가 위치결정부(86)에 맞닿았을 때에 걸림편(88)이 탄성복원됨으로써, 걸림돌조(88A)가 가이드부(84)와 위치결정부(86)와의 사이{극간(t)}에 걸리게 된다.
여기서, 슬라이드캠(68)과 걸림캠(78)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92)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슬라이드캠(68)의 캠면(70)과 걸림캠(78)의 캠면(80)의 맞닿음 형태가 달라지게 된다.
도 14의 (A),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92)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드캠(68)의 캠면(70)의 정상부(70A)와 걸림캠(78)의 캠면(80)의 계곡부(80A)가 이맞물림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캠면(70,80)끼리가 전면에 걸쳐서 맞닿아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스프링(76)에 의해서 탄지되는 슬라이드캠(68)은, 슬라이드캠(68)의 캠면(70)과 걸림캠(78)의 캠면(80)의 맞닿음에 의해서, 스프링(76)으로부터 받는 추진력이 샤프트(50)를 중심으로 화살표 Q1방향{덮개(92)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력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덮개(92)는 요동되는 일 없이 본체(94)를 커버할 수 있으며, 덮개(92)를 거꾸로 하여도 개방되지 않는다.
이어서, 도 12 및 도 15의 (A),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92)를 스프링(76)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화살표 M방향으로 개방시키면, 캠면(70)의 정상부(70A)와 캠면(80)의 정상부(80B)의 맞닿음에 의해서, 슬라이드캠(68)이 걸림캠(78)에 의해서 눌려짐으로써 수납부(74)의 내측으로 되밀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덮개(92)가 정지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캠(68)의 캠면(70)의 정상부(70A)와 걸림캠(78)의 캠면(80)의 에지부(80C)가 맞닿는 위치까지 덮개(92)를 개방시키면,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상태에서의 덮개(92)의 개방각도가 θ=150˚로 설정되어 있다).
이어서, 도 16의 (A),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면(70)의 정상부(70A)가 캠면(80)의 계곡부(80A)를 향해서 미끄러져 들러감으로써, 덮개(92)가 자연스럽게 M방향으로 개방된다(개방각도 θ=160˚).
즉, 스프링(76)에 의해서 탄지되는 슬라이드캠(68)은, 슬라이드캠(68)의 캠 면(70)과 걸림캠(78)의 캠면(80)의 맞닿음에 의해서, 스프링(76)으로부터 받는 추진력이 샤프트(50)를 중심으로 화살표 Q2방향{덮개(9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력으로 변환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청구항 1 및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본체 및 덮개에 부착하지 않더라도 슬라이드캠과 고정캠 자체를 상대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토크 등의 기계적인 수치가 결정된다. 따라서, 힌지 유닛으로서의 토크를 관리할 수 있어 제품으로서의 분산이 적다. 또, 고정나사를 본체측에 나사끼움함에 의해서 부품의 빠짐을 방지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성이 좋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덮개의 회전각도에 관계없이 덮개의 소망하는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에 있어서 편리하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수납부 내에 스토퍼를 수납함에 의해서 힌지 유닛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로서 O링을 이용하는데, 이 O링의 경도 혹은 굵기를 변경함에 의해서 슬라이드 저항의 미세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고정캠에 오목부를 형성한 경우에 비해 고정캠의 볼록부 이외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힌지 유닛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 및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커버를 간단하게 케이스에 걸어붙일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고정나사를 본체측에 나사끼움에 의해서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간단하므로 작업성이 좋다.

Claims (9)

  1. 샤프트에 대해서 회전방지되며,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샤프트에서 빠짐방지된 슬라이드캠과,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고정캠과,
    상기 슬라이드캠을 상기 고정캠 측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샤프트에 끼워맞춰져서 상기 고정캠의 빠짐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상기 고정캠과 상기 슬라이드캠의 맞닿음면에 형성되며, 슬라이드캠과 고정캠의 상대회전각도에 따라서 접촉ㆍ이탈되어 전면 맞닿음에서 일부 맞닿음까지의 맞닿음 형태를 취하는 캠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에 맞닿아서 고정캠에 슬라이드 저항을 부여하는 슬라이드 부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로서의 O링이 수납 가능한 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토퍼로 O링을 상기 수납부를 향해서 압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유닛.
  4.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힌지 유닛을 구비한 힌지구조로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정캠의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서 볼록부를 형성하고, 제 1 케이싱에 형성된 축부의 내주벽에 상기 볼록부가 걸어맞춰지는 오목부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캠을 상기 축부에 부착하고,
    제 2 케이싱에 형성된 축부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샤프트를 고정하여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구조.
  5. 샤프트에 빠짐방지되게 끼워지며, 내주면에 가이드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부에 안내되는 피가이드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어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캠과,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원통형상의 걸림캠과,
    상기 슬라이드캠을 상기 걸림캠 측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에 끼워맞춰져서 상기 걸림캠의 빠짐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상기 슬라이드캠과 상기 걸림캠이 맞닿음면에 형성되며, 슬라이드캠과 걸림캠의 상대회전각도에 따라서 접촉ㆍ이탈되어 전면 맞닿음에서 일부 맞닿음까지의 맞닿음 형태를 취하는 캠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케이스와 상기 커버를 걸어 고정하는 걸림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피걸림부와, 상기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피걸림부에 걸림 가능한 걸림돌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유닛.
  8. 상기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힌지 유닛을 구비한 힌지구조로서,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케이스의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서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제 3 케이싱이 형성된 축부의 내주벽에 상기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 가능한 피걸어맞춤부를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를 상기 축부에 부착하고,
    제 4 케이싱에 형성된 축부에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걸림캠을 고정하여 제 3 케이싱과 제 4 케이싱을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4 케이싱의 축부에 상기 걸림캠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편이 걸림 가능한 걸림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구조.
KR10-2001-0032983A 2000-06-30 2001-06-12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KR100375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98615A JP2002013523A (ja) 2000-06-30 2000-06-30 ヒンジユニット及びヒンジ構造
JP2000-198615 2000-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210A KR20020002210A (ko) 2002-01-09
KR100375701B1 true KR100375701B1 (ko) 2003-03-15

Family

ID=18696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983A KR100375701B1 (ko) 2000-06-30 2001-06-12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013523A (ko)
KR (1) KR100375701B1 (ko)
TW (1) TW5784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113B1 (ko) * 2001-04-06 2003-05-09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100468369B1 (ko) * 2002-03-13 2005-01-27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힌지장치
JP4205367B2 (ja) * 2002-05-22 2009-01-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KR20040035064A (ko) * 2002-10-18 2004-04-29 (주) 프렉코 휴대폰 힌지구조
WO2005010379A1 (ja) * 2003-07-28 2005-02-03 Fujitsu Limited 移動式無線通信装置
KR100662325B1 (ko) * 2004-12-02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 스탠드
KR100703876B1 (ko) * 2005-05-28 2007-04-06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힌지장치
JP4554454B2 (ja) * 2005-07-05 2010-09-29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4641998B2 (ja) * 2006-10-05 2011-03-02 株式会社オーハシテクニカ ヒンジ装置
JP5309821B2 (ja) * 2008-09-15 2013-10-09 富士通株式会社 携帯機器
CN102367832B (zh) * 2011-10-17 2013-06-05 苏州诚骏科技有限公司 一种枢纽器
JP5100905B1 (ja) * 2012-06-09 2012-12-19 東海加工紙株式会社 ペーパータオルキャビネットの開閉構造
TWI569935B (zh) * 2015-03-12 2017-02-11 Cantilever structure
JP6471204B1 (ja) * 2017-10-17 2019-02-13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果実支持体用支持具
WO2019168499A1 (en) * 2018-02-27 2019-09-06 Illinois Tool Works Inc. Welding torch handle with a cover cap and a cap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78419B (en) 2004-03-01
KR20020002210A (ko) 2002-01-09
JP2002013523A (ja) 200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5701B1 (ko)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JP3739717B2 (ja) 移動通信端末機のカバー開閉装置
KR100421083B1 (ko)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US7647674B2 (en)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60185123A1 (en) Hinge device of portable equipment and portable telephone
US20050235459A1 (en) Hinge device having temporary angle set function
US20100050385A1 (en)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6148079A (en) Hinge apparatus for flip style portable phone
KR100508719B1 (ko) 접철식 전자기기
US7027294B2 (en) Hinge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KR100397358B1 (ko) 힌지
US20050102798A1 (en) Hinge for portable terminal
KR100227866B1 (ko) 힌지기구 및 힌지유니트
KR100418050B1 (ko)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KR100377060B1 (ko) 힌지
JPH10317779A (ja) 折り畳み式機器のカバーを広角度開閉保持可能としたヒンジ装置
JP3145652B2 (ja) ヒンジ装置
KR100374969B1 (ko) 휴대폰 힌지장치
KR20010062704A (ko) 힌지장치
JP2004052887A (ja) 折畳式機器の開閉保持用ヒンジ装置
JP2005147344A (ja) ヒンジ装置
JP2002333012A (ja) ヒンジ装置
KR200222454Y1 (ko) 휴대폰 힌지장치
JP3762876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KR20020057815A (ko) 스냅피트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