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7815A - 스냅피트 힌지 - Google Patents

스냅피트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7815A
KR20020057815A KR1020020000271A KR20020000271A KR20020057815A KR 20020057815 A KR20020057815 A KR 20020057815A KR 1020020000271 A KR1020020000271 A KR 1020020000271A KR 20020000271 A KR20020000271 A KR 20020000271A KR 20020057815 A KR20020057815 A KR 20020057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se body
axial direction
fastene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9235B1 (ko
Inventor
이사오 나가시마
Original Assignee
야마다 미쯔요시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다 미쯔요시,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다 미쯔요시
Publication of KR20020057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2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45Pivotal connections with at least a pair of arms pivoting relatively to at least one other arm, all arms being mounted on one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80/00Electrical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공지된 스냅피트 힌지의 이점을 유지하면서 가급적 저렴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냅피트 힌지를 제공한다.
일단부에 날부와 타단부에 계합부를 지니는 샤프트(21)와, 그 샤프트(21)를 중심부 축방향으로 삽입,관통시켜 상기 날부에 계지시킨 회전정지부 케이스체와, 그 케이스체(11)의 개방단 측에 설치된 키홈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계지시키고 일단의 면에 접동캠부를 지님과 동시에 중심부 축방향으로 상기 샤프트(21)를 삽입, 관통시킨 회전접동캠(13)과, 그 회전접동캠(13)의 접동캠부와 대향하는 단부의 면에 회전캠부(14c)를 지니며 그 중심부 축방향으로 상기 샤프트(21)를 삽입,관통시킨 회전정지부 회전캠(14)과, 상기 샤프트(21)의 주위에 환권되면서 상기 케이스체(11) 내에 수용되어 케이스체(11)와 회전접동캠(13)과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압축스프링(17)과, 상기 샤프트(21)의 계합부(21a)에 계지되고 힌지 자체의 이탈방지를 위한 계지조부 파스너(25)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냅피트 힌지{snap-fit hinge}
본 발명은, 일방적 또는 상대적으로 개폐되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개폐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에 관한 것으로, 연결부분에 원터치(one touch)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스냅피트(snap fit) 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스냅피트 힌지로서,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 종래의 공지된 것은, 예를 들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피트 힌지(A)가, 휴대전화기(B)의 송화부를 구성하는 제1부재(2)와 수화부를 구성하는 제2부재(6)의 각 연결부(2a, 6a)사이에 양자를 연결하는 상태로 취부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종래의 스냅피트 힌지(A)는, 일단부에 날부(1a)를 지님과 동시에 개폐되는 제1부재(2)의 연결부(2a)에 수납, 고정되는 샤프트(1)와, 그 샤프트(1)를 중심부 축방향으로 삽입, 관통시켜 상기 날부(1a)에서 걸림과 동시에 개폐되는 제1부재(2)의 연결부(2a)에 수납, 고정되는 케이스체(3)와, 그 케이스체(3)에 설치된 키홈(3a)에 결합된 돌출부(4a)를 지니며,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함과 동시에 일단의 면에 돌출부 또는 요홈부로 된 회전미끄럼운동캠부(4b)를 지니고, 그 중심축방향으로 상기 샤프트(1)를 삽입, 관통시킨 회전미끄럼운동캠(4)과, 상기 샤프트(1)를 그 중심부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시켜 상기 회전미끄럼운동캠(4)의 회전미끄럼운동캠부(4b)와 대향하는 일단의 면에 요홈부 또는 돌출부로 되는 캠부(5a)를 지니는 회전캠(5)과, 그 회전캠(5)이 샤프트(1)에서 이탈하지 않도록그 샤프트(1)의 선단에 삽입하여 그 샤프트의 선단을 코킹에 의해 샤프트(1)에 고정됨과 동시에, 제2부재(6)에 설치된 연결부(6a)에 삽입, 결합되는 조부(爪部: 손톱부 또는 걸림부)(7a)를 지니는 파스너(7)와, 상기 케이스체(3)내에 샤프트(1)에 환권되면서 수납되어 회전미끄럼운동캠(4)을 상기 회전캠(5) 측으로 가압시키는 압축스프링(8)과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공지의 종래기술의 힌지는, 조립시에 있어서, 제1부재(2)와 제2부재(6)의 각 연결부(2a,6a)를 축방향으로 맞추고, 외측에 위치하는 연결부(2a)에
설치한 수납공에서 파스너(7)측을 앞으로 하여 삽입시킴으로써 파스너(7)의 걸림부(7a)가 다른 일방의 연결부(6a)에 걸리며, 케이스체(3)와 회전캠(5)이 각각의 연결부(2a)와 결합하면서 조립이 완료되므로, 조립이 용이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샤프트(1)의 코킹부 측에 와셔(9)를 필요로 하는 것이외에, 전용의 코킹기자재를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와, 샤프트(1)를 금속제의 그것도 가공물 또는 헤더가공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그것이 힌지의 코스트 다운에 장래로 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공지된 스냅피트 힌지의 이점을 지니면서, 가급적으로 코스트 다운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스냅피트 힌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스냅피트 힌지의 취부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냅피트 힌지의 정면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스냅피트 힌지의 동작을 설명하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스냅피트 힌지의 분해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스냅피트 힌지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스냅피트 힌지의 케이스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표시한 스냅피트 힌지의 회전접동캠의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회전접동캠부의 0도에서 180도까지의 전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스냅피트 힌지의 회전캠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회전캠의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회전캠의 0도에서 180도까지의 전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스냅피트 힌지의 파스너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파스너의 선 A-A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스냅피트 힌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스냅피트 힌지의 파스너의 취부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스냅피트 힌지의 분해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스냅피트 힌지의 파스너의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스냅피트 힌지의 파스너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파스너의 선 B-B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스냅피트 힌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분해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케이스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케이스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23은 종래의 스냅피트 힌지를 취부한 휴대전화기를 개방시켜 본 정면도이다.
도 24는 종래의 스냅피트 힌지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스냅피트 힌지의 파스너의 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3의 스냅피트 힌지의 분해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샤프트10a: 날부
10c: 계합부11: 케이스체
11e: 키홈12: 제1부재
12a: 연결부12b: 취부공
12c: 계지돌조13: 회전접동(摺動)캠
13a: 삽입관통공13b: 키부
13c: 돌출부13d: 회전접동캠부
13e: 요홈부14: 회전캠
14b: 요홈부14c: 회전캠부
14e: 돌출부15: 제2부재
15a: 연결부15b: 취부공
16: 파스너16b: 계지조(係止爪)
16e: 분할홈17: 압축스프링
20: 파스너20a: 본체부
20b: 계지조21: 샤프트
21a: 계합부21b: 단부
25: 파스너25a: 기판
25c: 계지조30: 샤프트
31: 케이스체31e: 키홈
33: 회전접동캠34: 회전캠
36: 파스너37: 압축스프링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일단부에 날부(鍔部)와 타단부에 계합부(係合部)를 지니는 샤프트와, 그 샤프트를 중심부 축방향으로 삽입,관통시켜 상기 날부에 계지(係止)시킨 회전정지부 케이스체와, 그 케이스체의 개방단 측에 설치된 키홈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계지시키고 일단의 면에 접동(摺動: 미끄럼운동)캠부를 지님과 동시에 중심부 축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를 삽입, 관통시킨 회전접동캠과, 그 회전접동캠의 접동캠부와 대향하는 단부의 면에 회전캠부를 지니며 그 중심부 축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를 삽입,관통시킨 회전정지부 회전캠과, 상기 샤프트의 주위에 환권되면서 상기 케이스체 내에 수용되어 케이스체와 회전접동캠과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샤프트의 계합부에 계지되고 힌지 자체의 이탈방지를 위한 계지조(係止爪: 결속멈춤손톱)부 파스너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파스너를 상기 샤프트의 계합부에 계지시킴에 있어 상기 계합부를 반경방향으로 설치한 원주홈에 의해 형성된 단부로 하고, 상기 파스너에 축방향으로 분할홈을 설치하며, 그 분할홈을 상기 단부에 접촉시켜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양자를 계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본발명은, 상기 파스너를 상기 샤프트의 계합부로 계지시킴에 있어, 그 계합부를 반경방향으로 설치한 원주홈에 의해 형성된 단부로 하고, 상기 파스너의 중심부 축방향으로 설치한 삽입관통공내에 계지 단부를 설치하며, 그 삽입관통공으로 상기 샤프트의 선단을 접촉시켜 파스너를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단부와 상기 계지 단부가 서로 계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부에 계합부와 타단부에 날부를 지니는 샤프트와 그 샤프트를 중심부 축방향으로 삽입관통시켜 상기 계합부에 계지된 회전정지부 케이스체와, 그 케이스체의 개방단 측에 설치된 키홈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계지되며, 일단의 면에 접동캠부를 지님과 동시에 중심부 축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를 삽입,관통시킨 회전접동캠과, 그 회전접동캠의 회전접동캠부와 대향하는 단부의 면에 회전캠부를 지니고 그 중심부 축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를 삽입관통시킨 회전정지부 회전캠과, 상기 샤프트의 주위에 환권되면서 상기 케이스체내에 수용되고 그 케이스체와 회전접동캠와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압축스프링과, 그 샤프트의 날부에 계지되고 힌지 그 자신의 이탈방지를 위한 계지조부의 파스너와로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를 상기 파스너 측으로부터 순차로 회전캠, 회전접동캠, 상기 압축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체로 삽입시켜 상기 케이스체로 이탈방지, 계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체의 외주 또는 힌지를 삽입시키는 연결부의 취부공의 어느 것인가 하나 또는 그 쌍방에 경사(테이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휴대전화기에 실시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관한 스냅피트 힌지는, 여타의 전자수첩과 같은 소형 퍼스날 컴퓨터, 소형 워드프로세서 등의 제1부재인 키보드본체측과 제2부재인 디스플레이체와를 개폐가능하게 구성한 소형OA기기 등과 같이 널리 개폐체의 개폐용 힌지로서도이용될 수 있다.
도면에 의하면, 도 1 내지 도 13에 있어서, 도면부호 "10"은 샤프트이고, 특히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단부에는 날부(10a)가 설치되며, 타단부측에는 원주홈(10b)에 의해 형성된 단부(段部)(10d)로 되는 계합부(10c)가 설치되어 있다. 그 샤프트(10)의 재료는 예를 들면, SUM24L 등의 금속봉의 가공물이지만, POM 등의 합성수지제의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부호 "11"의 것은, 원통상의 케이스체로서, 그 외주에는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회전정지용의 홈(11a,11a)이 설치되어 있다. 그 홈(11a,11a)이 제1부재(12)의 연결부(12a)에 설치된 취부공(12b)의 내측에 설치된 계지돌조(12c)와 계합됨으로써 제1부재(12)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체(11)는, 특히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에 설치된 벽부(11b)에 형성시킨 삽입관통공(11c) 및 내부의 공동부(11d)의 각 중심부 축방향으로 샤프트(10)를 회전가능하게 삽입, 관통시키고, 날부(10a)에 의해 그 샤프트(10)의 일단부측으로부터 이탈하지 아니하도록 샤프트(10)에 회전가능하게 계지되어 있다. 케이스체(11)에는 또, 그 개방단측으로부터 특히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키홈(11e,11e)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13"의 것은, 예를 들면 SMF5040 등의 소결금속제이면서 수지함침제의 회전접동캠이고, 소입한 후, 표면에 Ni도금(무전해)을 실시한 것이다. 그 회전접동캠(13)은, 그 중심축방향으로 샤프트(10)를 회전가능하게 삽입, 관통시키는 .삽입관통공(13a)이 설치됨과 동시에 외주에 케이스체(11)의 키홈(11e,11e)과 결속하는 키부(13b,13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키홈(11e,11e)의 부분의 일단면에는 특히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돌출부(13c,13c)와 요홈부(13e,13e)로 되는 회전접동캠부(13d)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14"의 것은, 예를 들면, SMF5040 등의 소결금속제이면서 수지함침제의 회전캠이고, 소입후, 표면에 Ni도금(무전해)을 실시한 것이다. 이 회전캠(14)은, 특히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부 축방향으로 설치된 삽입관통공(14a)에 샤프트(10)를 회전가능하게 삽입, 관통시켜 구성되고, 회전접동캠(13)의 회전접동캠부(13d)와 대향하는 면에 요홈부(14e,14e)로 구성되는 회전캠부(14c)가 180도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 회전캠(14)의 외주 축방향으로는, 회전정지용 홈(14d,14d)이 설치되며, 그 홈(14d,14d)은 제2부재(15)의 연결부(15a)의 취부공(15b)에 설치된 계지돌조(15c,15c)와 계합되어 있다.
도면부호 "16"의 것은 예를 들면, 합성수지제의 파스너이고, 그 파스너(16)는 특히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6a)와 그 본체부(16a)의 일단부측에서 축방향으로 2개로 분할됨으로써 형성된 각 선단에 계지조(16b)를 지니는 다리부(16c)를 지니며, 특히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6a)의 축방향으로 설치된 삽입관통공(16d)에 샤프트(10)의 계합부(10c)의 부분을 삽입, 관통시키면서 계합부(10c)의 단부(10d)와 계합됨으로써 축방향으로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샤프트(10)의 단부에 계지되어 있다. 그 파스너(16)는, 특히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 반경방향으로부터 삽입관통공(16d)을 향하여 설치된 분할홈(16e)을 지니며, 그 분할홈(16e)을 계합부(10c)의 원주홈(10b)에 반경방향에서 접촉시키고, 그대로 반경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계합부(10c)와 결합되는 구성이며, 그 파스너(16)에 의해 회전캠(14)은 샤프트(10)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계지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체(11)의 공동부(11d)내에는, 특히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0)에 환권되면서 압축스프링(17)이 그 케이스체(11)와 회전접동캠(13)과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회전접동캠(13)을 회전캠(14)측으로 가압시키고 있다. 또, 도면부호 "18"로 지시된 상상선의 것은, 캡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스냅피트 힌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의 것은 앞의 실시형태의 것과 비교하여 파스너(20)의 부분이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도면부호가 같은 것은 앞의 실시형태의 것과 같은 부재를 칭한다.
도면에 의하면, 이 실시형태의 것은, 파스너(20)을 샤프트(21)의 축방향으로 압입시켜 계지시키고 있는 것으로, 파스너(20)의 본체부(20a)로부터는 4개로 분할시킴으로써 형성된 선단에 계지조(20b)를 지니는 다리부(20c)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과, 삽입관통공을 향하여 반경방향에서 그것을 하나분할로 하는 분할홈이 설치되어 있지 아니하다는 점이, 앞의 실시형태의 것과 상이하다. 그 대신에 특히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1)의 선단을 삽입관통공(20d)에 대서 그것을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파스너(20)의 삽입관통공(20d)과 샤프트(21)의 계합부(21a)의 단부(21b)가 계합하여 파스너(20)가 샤프트(21)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8과 도 19는 파스너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한 합성수지제의 파스너를 프레스가공에 의해 만든 금속제의 것으로 한 파스너(25)이고, 샤프트를 삽입,관통시키는 기판(25a)에 설치된 삽입관통공(25b) 및 기판(25a)에서 세워 설치한 각 계지조(25c)를 지니는 한쌍의 다리부(25d,25d)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면부호 "25e"는 분할홈이다.
따라서,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각 연결부를 축방향으로 중첩하여 맞추고, 외측에 위치하는 연결부의 취부공(12b)에서 본 발명에 관한 스냅피트 힌지(C)를 파스너의 측을 앞으로 하여 삽입시키면, 회전캠은 각 연결부와 계합하고, 또, 파스너의 조부가 내측으로 위치하는 연결부의 취부공에서 돌출하여 그 취부공의 주위에 계지되는 것에 의해, 스냅피트 힌지(C)의 취부를, 말하자면, 원타치(one touch)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스냅피트 힌지는, 사용시에는,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각 연결부의 양측에 취부되어 한쌍으로 이용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그 사용방법에 한정됨이 없이 한 개만이 취부되는 것도 좋다. 취부에 있어서는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2)의 연결부(12a)와 제2부재(15)의 연결부(15a)를 축방향으로 중첩하여 맞춘 다음, 스냅피트 힌지(C)를 파스너(16)측을 앞으로 하여 또, 홈(14d)과 홈(11a)을 계지돌조(15c)와 계지돌조(12c)의 위치에 맞추어 제1의 연결부(12a)의 취부공(12b) 측에서 삽입시키고, 계지조(16b)를 특히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15)의 연결부(15a)의 취부공(15b)에 설치한 계지공(15d)에 계합시킴으로써 취부 또는 조립이 원터치로 완료되는 것이다.
지금,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중첩하여 맞추고 폐쇄시킨 상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캠(14)의 회전캠부(14c)의 요홈부(14b)에 회전접동캠(13)의 회전접동캠부(13d)의 돌출부(13c,13c)를 결속시키고, 이 상태에서 압축스프링(17)에 의해 회전접동캠(13)이 회전캠(14)측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제1부재(12)와 제2부재(15)의 중첩하여 맞추는 것에 의한 폐쇄상태는 안정성을 유지하며, 외력이 가하여지지 아니하면 자연적으로 개방하여 버리는 일은 없다. 이 상태에서 제2부재(15)를 제1부재에 대해 또는 양 부재를 상대적으로 개방시키면, 최조에는 회전접동캠부(13d)의 돌출부(13c)가 회전캠부(14c)의 요홈부(14b)로부터 탈출하는 때의 저항을 만나지만, 그다지 힘을 필요로 하는 것없이 개방되고, 그런 후, 140도의 개방각도까지는 회전접동캠부(13d)의 돌출부(13c)가 회전캠부(14c)의 돌출부(14e)와 압접상태에서 프리쿠션 회전미끄럼운동하는 것으로부터 임의의 위치에서 양 부재를 안정적으로 정지, 유지시켜 두는 것이 가능하다.
양 부재의 개방각도가 140도를 넘으면, 회전접동캠부(13d)의 돌출부(13c)가 회전캠부(14c)의 다른 일방의 요홈부(14b)로 떨어져 들어가는 때에 생기는 회전토크에 의해, 양 부재는 자동적으로 개방되고, 그 뒤 165도까지 개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양 부재가 165도까지 개방되면, 연결부에 설치한 도시생략의 스토퍼 수단에 의해 양 부재는 그 이상 개방되지 아니한다.
다음에, 양 부재가 폐쇄하는 때에는 위와는 반대로 회전접동캠부(13d)의 돌출부(13c)가 회전캠부(14c)의 요홈부(14b)를 탈출하는 때의 저항을 받지만, 그다지 힘을 필요로 함이 없이 도중의 폐쇄각도에서는 프리스탑(free-stop)으로 폐쇄되며,약 20도정도의 폐쇄각도에 이르면, 회전접동캠부(13d)의 돌출부(13c)가 회전캠부(14c)의 요홈부(14b)로 떨어져 들어가는 때에 생기는 회전토크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쇄되는 것으로 된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스냅피트 힌지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그 실시형태의 것은,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것과 비교하여 샤프트(30)의 삽입방향이 파스너(36)의 방향으로부터인 점과, 케이스체(31)에 설치된 키홈(31e)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케이스체(31) 내에 설치되고 외주에 노출되지 아니하는 점과, 또, 와샤(35)와 E-링(36)을 이용하는 점에서 상위하지만, 다른 회전접동캠(33), 회전캠(34), 파스너(36), 및 압축스프링(37) 등의 구성은, 그 형상이나 직경 및 길이에 약간의 상위가 있어도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즉, 샤프트(30)는 일단부에 날부(30a)가, 타단부에는 원주홈(30b)이 설치되어 있고, 원주홈(30b)이 설치된 측에서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파스너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파스너(36)의 도시생략의 삽입관통공으로 삽입되며, 순차로 회전캠(34), 회전접동캠(33), 압축스프링(37) 및 케이스체(31)르 관통하여 그 케이스체(31)에서 돌출된 측에 와셔(38)를 설치하고, 또, 원주홈(30b)에 취부된 E-링(39)으로 케이스체(31)에 계지되어 있다. 따라서, 파스너(36)는 샤프트(30)의 날부(30a)에서 계지되고 있다. 또, 케이스체(31)의 외주 축방향으로는, 180도 간격으로 회전방지 원주홈(31a,31a)이 설치되어 있다. 기타, 도면부호 "31d"는 벽부, "31c"는 샤프트(30)의 삽입관통공, "31d"는 공동부, "31f"는 테두리(??)취부부이고, 케이스체(31)에는 삽입방향 즉 키홈(31e)측에서 누름버턴(押??) 취부부(31f)측으로 향하여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부의 취부공으로 삽입시에 덜거덕거림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연결부의 취부공에 테이퍼가 설치될 수도 있다. 테이퍼는 케이스체(31) 또는 취부공의 일방 또는 쌍방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 파스너(36)의 다른 도면부호 "36a"는 본체, "36b"는 계지조, "36c"는 다리부이다. 또, "34c"는 회전캠부, "33d"는 회전접동캠부이다. 그리고, 샤프트(30)의 재질은, 앞의 실시형태의 것과 같이 예를 들면, SUM24L 등의 금속봉의가공물로 한다. 회전접동캠(33)과 회전캠(34)의 소재는, 어느 쪽이든지 앞의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것과 같고, 바람직하게는 SMF5040 등의 소결금속제이면서 수지함침의 것이지만, 재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상의 설명은 주로 휴대전화기에 이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그 휴대전화기를 포함하여 최대 개방각도 및 양 부재를 자동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시키거나 하는 자동으로 빨려 들어가는 각도 등에 대해서는, 이상의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된다.
또, 회전접동캠과 회전캠의 양방, 또는 일방의 것을 소결금속이외의 것, 예를 들면, 다이캐스팅 주물, 단조프레스, 합성수지, 세라믹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접동캠에 설치되는 회전접동캠부의 돌출부 및 요홈부의 형상 및 회전캠에 설치되는 회전캠부의 요홈부와 돌출부의 형상, 수 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상호 설치되는 요홈부와 돌출부의 설치위치를 실시형태의 것과 반대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스너는 케이스체 측에 일체 또는 분리되게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힌지는 케이스체 측에서 연결부의 취부공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샤프트의 삽입방향은 케이스체 측으로부터이어도 좋으며, 회전캠의 측으로부터이어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냅피트 힌지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지닌다.
청구항 1과 같이 구성하면,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어느 쪽인가 일방의 개폐조작, 또는 상대적인 개폐조작에 따라 회전접동캠의 회전접동캠부과 회전캠의 회전캠부와의 사이의 일방적인 또는 상대적인 압접되어 미끄럼 회전운동작용에 의해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소정의 개폐각도범위에 있어서 프리스탑으로 개폐조작을 행하며, 또한, 소정의 개방각도이상, 및/또는 소정의 폐쇄각도이하에서 자동적으로 개방 또한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폐쇄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된다.
그리고, 파스너를 샤프트에 취부하는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샤프트의 재료에 대한 제약을 없게 하며, E-링이나 와셔를 생략하여 여분의 부품을 생략하는 것에 의해 저비용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고,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각 연결부에 대한 조립도, 원터치로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청구항 2와 같이 구성하면, 샤프트의 반경방향에서 파스너를 결합시키는 구성으로부터 이를 위하여 샤프트에 형성한 계합부를 구성하는 원주홈의 단부가 파스너의 결합시에 압궤(壓潰)작용을 받을 염려가 없으므로, 샤프트를 합성수지제로 하는 것이 보다 한층 용이하게 되고, 더욱, 저렴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기 쉽다고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청구항 3과 같이 구성하면, 파스너는 샤프트의 선단의 축방향에서 압입되는 구성으로 되므로, 파스너의 샤프트에 대한 취부조작을 행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4와 같이 구성하면, 파스너를 예를 들면 합성수지제의 것으로 한 경우, 조립시에 그 파스너는 샤프트의 날부에서 계지시키고, 케이스체 측에서 돌출한 부분을 와셔를 개재하여 E-링으로 계지시키는 것만으로 되므로, 그 파스너를 E-링으로 샤프트에 계지시키거나 또는 샤프트의 단부를 코킹이나 리벳팅한 것과 비교하여 작업중에 파스너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 쪼개져 버리거나 부서져 버리거나할 염려가 없게 되며, 조립이 쉽게 될 뿐만 아니라, 재료의 낭비가 줄어든다고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청구항 5와 같이 구성하면, 힌지를 연결부의 취부공으로 삽입하는 때에 덜거덕거림이 생기는 것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일단부에 날부와 타단부에 계합부를 지니는 샤프트와, 그 샤프트를 중심부 축방향으로 삽입,관통시켜 상기 날부에 계지시킨 회전정지부 케이스체와, 그 케이스체의 개방단 측에 설치된 키홈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계지시키고 일단의 면에 접동캠부를 지님과 동시에 중심부 축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를 삽입, 관통시킨 회전접동캠과, 그 회전접동캠의 접동캠부와 대향하는 단부의 면에 회전캠부를 지니며 그 중심부 축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를 삽입,관통시킨 회전정지부 회전캠과, 상기 샤프트의 주위에 환권되면서 상기 케이스체 내에 수용되어 케이스체와 회전접동캠과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샤프트의 계합부에 계지되고 힌지 자체의 이탈방지를 위한 계지조부 파스너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피트 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를 상기 샤프트의 계합부에 계지시킴에 있어 상기 계합부를 반경방향으로 설치한 원주홈에 의해 형성된 단부로 하고, 상기 파스너에 축방향으로 분할홈을 설치하며, 그 분할홈을 상기 단부에 접촉시켜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양자를 계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피트 힌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를 상기 샤프트의 계합부로 계지시킴에 있어, 그 계합부를 반경방향으로 설치한 원주홈에 의해 형성된 단부로 하고, 상기 파스너의 중심부 축방향으로 설치한 삽입관통공내에 계지 단부를 설치하며, 그 삽입관통공으로 상기 샤프트의 선단을 접촉시켜 파스너를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부와 상기 계지 단부가 서로 계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피트 힌지.
  4. 일단부에 계합부와 타단부에 날부를 지니는 샤프트와 그 샤프트를 중심부 축방향으로 삽입관통시켜 상기 계합부에 계지된 회전정지부 케이스체와, 그 케이스체의 개방단 측에 설치된 키홈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계지되며, 일단의 면에 접동캠부를 지님과 동시에 중심부 축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를 삽입,관통시킨 회전접동캠과, 그 회전접동캠의 회전접동캠부와 대향하는 단부의 면에 회전캠부를 지니고 그 중심부 축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를 삽입관통시킨 회전정지부 회전캠과, 상기 샤프트의 주위에 환권되면서 상기 케이스체내에 수용되고 그 케이스체와 회전접동캠와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압축스프링과, 그 샤프트의 날부에 계지되고 힌지 그 자신의 이탈방지를 위한 계지조부의 파스너와로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를 상기 파스너 측으로부터 순차로 회전캠, 회전접동캠, 상기 압축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체로 삽입시켜 상기 케이스체로 이탈방지, 계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피트 힌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의 외주 또는 힌지를 삽입시키는 연결부의 취부공의 어느 것인가 하나 또는 그 쌍방에는, 그 삽입방향 또는 케이스체를 받아들이는 방향에 맞추어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냅피트 힌지.
KR10-2002-0000271A 2001-01-04 2002-01-03 스냅피트 힌지 KR100449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00253 2001-01-04
JP2001000253 2001-0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815A true KR20020057815A (ko) 2002-07-12
KR100449235B1 KR100449235B1 (ko) 2004-09-18

Family

ID=1886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271A KR100449235B1 (ko) 2001-01-04 2002-01-03 스냅피트 힌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49235B1 (ko)
CN (1) CN1161531C (ko)
TW (1) TW52111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220B1 (ko) 2005-12-08 2007-08-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부품 체결을 위한 패스너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02029B (zh) * 2008-04-03 2013-07-11 Fih Hong Kong Ltd 攜帶式電子裝置之鉸鏈結構及組裝該鉸鏈結構之方法
CN103511419B (zh) * 2012-06-29 2017-04-05 富昱能源科技(昆山)有限公司 锁固装置
DE202015005678U1 (de) * 2015-08-10 2016-11-11 Dieter Ramsauer Rastbolzen
CN107228111B (zh) * 2017-06-16 2019-06-18 徐州银河灌排有限公司 一种五金扣件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099Y1 (ko) * 1995-09-19 1999-05-15 김광호 휴대용 전화기의 버튼커버 개페장치
KR19980014749U (ko) * 1996-09-02 1998-06-25 김광호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JPH10205568A (ja) * 1997-01-24 1998-08-04 Kato Electrical Mach Co Ltd 複合トルクヒンジ
JPH10201668A (ja) * 1997-01-24 1998-08-04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洋式便器の便座や便蓋等の開閉装置
JP3732619B2 (ja) * 1997-06-16 2006-01-05 加藤電機株式会社 ヒンジ装置
JP2000000186A (ja) * 1998-06-16 2000-01-07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洋式便器の便座と便蓋の開閉用ヒンジ
JP2000000185A (ja) * 1998-06-16 2000-01-07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洋式便器の便座や便蓋の開閉用ヒンジのホルダー
KR19990068461A (ko) * 1999-05-24 1999-09-06 김기영 폴더형휴대폰의덮개펼침방법및그장치
KR200214694Y1 (ko) * 2000-08-30 2001-02-15 주식회사이엘에스 휴대폰의 자동 개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220B1 (ko) 2005-12-08 2007-08-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부품 체결을 위한 패스너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21117B (en) 2003-02-21
CN1161531C (zh) 2004-08-11
CN1363754A (zh) 2002-08-14
KR100449235B1 (ko) 200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2531B1 (ko) 휴대용전화기의 개폐장치
US20060185123A1 (en) Hinge device of portable equipment and portable telephone
US20050235459A1 (en) Hinge device having temporary angle set function
US8370994B2 (en)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895710B2 (en) Hinge device
US20100050385A1 (en)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375701B1 (ko)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US20120140387A1 (en) Button activated spring-loaded hinge assembly
KR100460409B1 (ko) 스냅피트 힌지
US7027294B2 (en) Hinge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JPWO2005010379A1 (ja) 移動式無線通信装置
KR100449235B1 (ko) 스냅피트 힌지
JPH10311327A (ja) ヒンジ機構及びヒンジユニット
JPWO2005010378A1 (ja) 移動式無線通信装置
US2006005086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ts openning closing mechanism
US20110138577A1 (en) Hinge
JP3249757B2 (ja) ヒンジ機構及びヒンジユニット
KR20030043712A (ko) 전자기기용 힌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기기
KR100791266B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식 덮개 개폐장치
KR20010062704A (ko) 힌지장치
KR100374969B1 (ko) 휴대폰 힌지장치
JP2002295449A (ja) スナップフィットヒンジ
JP2002333012A (ja) ヒンジ装置
KR100339925B1 (ko) 휴대폰 덮개의 원터치 개폐용 힌지 조립체
JP2001223479A (ja) ヒンジ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