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9579A - 휴대단말기용 힌지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9579A
KR20050039579A KR1020040083558A KR20040083558A KR20050039579A KR 20050039579 A KR20050039579 A KR 20050039579A KR 1020040083558 A KR1020040083558 A KR 1020040083558A KR 20040083558 A KR20040083558 A KR 20040083558A KR 20050039579 A KR20050039579 A KR 20050039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hinge shaft
hinge
shaft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0614B1 (ko
Inventor
히데오 카토오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9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7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axial friction, e.g. friction dis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0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non-parallel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15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anted-coil torsion spring
    • E05Y2999/00

Abstract

본 발명은 각 구성부재의 위치어긋남의 발생을 저지하고, 동작불량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방동작시와 폐쇄동작시에 있어서 다른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를 제공하기 위해, 2개의 절첩타입의 휴대단말기의, 키보드부를 지니는 제1부재와 디스플레이부를 지니는 제2부재를, 종방향으로는 개폐가능하며 소정의 개방각도에서 수평방향으로는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연결하는 제1힌지축을 상기 종방향의 개폐동작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연결하는 제2힌지축을 상기 수평방향의 회전동작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힌지축과 상기 제2힌지축을 서로 교차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종방향의 개폐동작시에 수반하는 상기 제1힌지축의 소정의 회전각도에 있어서만, 상기 제2힌지축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힌지{hinge for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또는 소형 OA기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 채용되기 적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중에서 휴대전화기는 휴대용이성과 키보드면의 보호, 오동작방지 등의 이유에서 제1부재인 송화부와 제2부재인 수화부를 힌지를 개재하여 연결한 2개의 절첩타입의 것이 주류를 이루었다. 휴대전화기는 또, 근년 다양한 기능(예를 들어 카메라기능 등)이 부가됨으로써 이에 수반되어 개폐용 힌지에 요구되는 기능도 또, 복잡화하고 있다.
그 중에서 2축을 이용하여 송화부와 수화부를 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화부에 대해 수화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더욱 수화부를 수평방향으로 축주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힌지가, 일본국특개2003-133764호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그 공개특허공보에 기재된 힌지는 2축을 이용한 것이라도 그 2축을 서로 간섭하도록 크로스시키고 있지 아니한 것이므로, 개폐시에 수화부가 송화부에 대해 이탈하는 방향으로 힘이 발생하고, 좌우방향으로도 위치어긋남이 발생하여 동작불량으로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 공지의 것은 힌지의 강도의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작감각에 있어 개폐동작이 개방방향과 폐쇄방향에 동일하여 단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구성부재의 위치어긋남의 발생을 저지하고, 동작불량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방동작시와 폐쇄동작시에 있어서 다른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휴대전화기에 실시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다른 소형 OA기기와 같은 2개의 절첩타입의 휴대단말기에도 실시될 수 있는 것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목적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개의 절첩타입의 휴대단말기의, 키보드부를 지니는 제1부재와 디스플레이부를 지니는 제2부재를, 종방향으로는 개폐가능하며 소정의 개방각도에서 수평방향으로는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연결하는 제1힌지축을 상기 종방향의 개폐동작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연결하는 제2힌지축을 상기 수평방향의 회전동작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힌지축과 상기 제2힌지축을 서로 교차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종방향의 개폐동작시에 수반하는 상기 제1힌지축의 소정의 회전각도에 있어서만, 상기 제2힌지축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2개의 절첩타입의 휴대단말기의 키보드부를 지니는 제1부재와 디스플레이부를 지니는 제2부재를 종방향으로 개폐가능하고 또 소정의 개방각도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단부에 설치한 취부부사이에 종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취부한 케이스카버와, 그 케이스카버의 축방향에 취부한 제1힌지축과, 그 제1힌지축과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힌지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카버에 상기 제1힌지축을 결합시켜서 상기 제1힌지축이 소정 각도 회전한 때만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취부된 제2힌지축과, 상기 제1힌지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2부재의 취부부에 설치한 삽입구로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삽입고정된 카버와, 일단부에 캠부를 지녀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부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관통시켜서 상기 케이스카버내에 배치한 인너캠과, 그 인너캠을 내부에 소정의 회전각도만큼 회전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수납시켜 그 자체는 상기 케이스카버내에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수납된 일단부의 상기 인너캠의 캠부와 동일한 방향에 캠부를 설치한 아우터캠과, 상기 인너캠을 일방향으로 회전을 가하면서 일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을 가하기 위해 상기 제2힌지축에 환권시켜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제1힌지축을 축심부 축방향으로 삽입관통시켜 상기 카버내에 일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수납된 상기 인너캠과 대응하는 측에 캠부를 설치한 캠폴로우어과, 그 캠폴로우어를 일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을 가하는 압축스프링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제2힌지축에 취부된 제2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수단을,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부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관통시켜서 상기 케이스카버측이던가, 상기 제2힌지축에 취부되는 상기 제2부재의 측에 설치한 스위블(swivel)용 제1캠과, 상기 제2힌지축을 그 중심부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관통시키면서 상기 케이스카버측이던가 상기 제2부재의 어느 것의 타방에 취부한 스위블용 제2캠과, 그 스위블용 제2캠을 상기 스위블용 제1캠측으로 가압시키는 스프링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카버에,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연결하는 도선을 통과시키는 도선안내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부재를 취부한 제2힌지축은 상기 제1축와 교차로 결합되고, 그 제1축의 소정의 회전각도에 있어서만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개폐동작을 반복하여도 서로의 제2힌지축과 제1힌지축이 축방향으로 벗어나 엇갈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위치어긋남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동작불량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개폐동작시에 캠폴로우어의 캠부가 인너캠과 아우터캠의 이중으로 된 각 캠부에 압접하는 것으로부터, 개방동작시와 폐쇄동작시에 변화를 주어 각각 다른 조작감각이 얻어지는 개폐동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를 지닌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은 2개의 절첩타입의 휴대전화기(A)의 제1부재를 구성하는 송화부로서, 상면측에 키보드부(1a) 및/또는 마이크부(1b)를 설치하고 있다. 도면부호 "2"는 제2부재를 구성하는 수화부로서, 폐쇄한 때에 키보드측에 면하는 측에 디스플레이부(2a), 스피커부(2b) 및 카메라부(2c)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힌지(B)는 특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화부(1)의 연결용의 취부부(1c,1d)사이에 취부되어 있고, 그 구성은, 도 2 내지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의하면, 특히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단측에 위치하여 있는 도면부호 "3"이 통형상을 한 일단부 개방의 케이스이다. 그 케이스(3)는, 특히 도 8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에 축방향으로 설치한 요홈형상 걸림홈(3a,3a)를 지니며, 송화부(1)의 취부부(1c)의 축방향으로 설치한 삽입공(1e)에 삽입되고, 특히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삽입공(1e)의 내측에 설치한 돌출형상 걸림부(1f,1f)를 요홈형상 걸림홈(3a,3a)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취부부(1c)에 고정되어 있다.
그 케이스(3)는, 특히 도 5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욱, 일단부에 측벽(3d)을 지니며, 그 측벽(3d)의 중심부 축방향에 설치한 D형상의 걸림공(3e)으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1힌지축(4)의 단부에 설치한 D형상단면의 취부부(4a)를 삽입결합시킴으로써, 제1힌지축(4)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제1힌지축(4)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3)의 걸림공(3e)을 관통한 측에 제1원주홈(4b)을 지니며, 그 제1원주홈(4b)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E링(5)을 결합시킴으로써, 케이스(3)가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걸려 정지되어 있다. 제1힌지축(4)은, 더욱 케이스(3)의 중심부 축방향을 관통하여 그 일단부측을, 취부부(1d)에 설치한 공동부(1g)에 삽입하여 축으로 지지시킨 케이스카버(6)의 분리벽(6a)의 축방향에 설치한 축받침공(6b)를 관통하여 와셔(7)와 푸쉬너트(8)를 개재하여 케이스카버(6)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 케이스카버(6)는, 또, 특히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받침공(6b)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약간 위치를 벗어나 스라스트 축받침공(6c)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스라스트 축받침공(6c)과 평행하게 핀공(6d)을 설치하고 있다. 스라스트 축받침공(6c)에는, 제2힌지축(9)이 삽입되고, 그 삽입단측에 설치한 원주홈(9a)을 핀공(6d)에 압입시킨 핀(10)과 결합시킴으로써 이탈이 방지되어 있다. 그 제2힌지축(9)과 제1힌지축(4)은, 서로 접촉하여 교차함으로써 서로 간섭하여 있고, 그 교차부분에 회피부(9b,4c)를 설치함으로써 제1힌지축(4)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지만, 제2힌지축(9)은, 제1힌지축(4)이 소정의 각도(실시례에서는 90도)만큼 회전한 때에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 그 케이스카버(6)에는, 우측(도 5)에 도선안내부(6j)가 설치되고, 특히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재(1)측에서 도출한 도선(30)이, 그 도선안내부(6j)를 거쳐 제2부재(2)측에 연결되는 것이다.
제1힌지축(4)은, 또, 특히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주에 설치한 제2원주홈(4d)에 취부한 E링(11)과 푸쉬너트(8)와의 사이에서 케이스카버(6)의 분리벽(6a)을 끼게 함으로써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아니하도록 축방향으로 규제됨과 동시에, 그 E링(11)에 접하여 그 중심부 축방향에 설치한 삽입관통공(12a)으로 그 제1힌지축(4)을 삽입관통시켜서 가이드플레이트(12)가 취부되어 있다.
그 E링(11)과, 제1힌지축(4)의 중간부에 설치한 플랜지부(4e)와의 사이에는, 동일하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부 축방향에 설치한 삽입관통공(13a)으로 제1힌지축(4)을 삽입관통시키면서, 인너캠(13)이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취부됨과 동시에, 그 인너캠(13)과 가이드플레이트(12)의 사이에는, 제1축(4)에 환권시키면서 압축스프링과 토션스프링을 겸하는 코일스프링(14)이, 일단부를 특히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플레이트(12)의 삽입관통공(12a)에 설치한 걸림홈(12b)으로, 타단부를 특히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너캠(13)의 삽입관통공(13a)에 설치한 걸림홈(13b)으로, 각각 걸려 정지되게 함으로써 인너캠(13)을, 일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가해짐과 동시에 회전이 가해지도록 탄성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인너캠(13)은, 특히 도 8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단부측 외주에 한쌍의 걸림돌출부(13c,13c)가 설치됨과 동시에, 도 5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단부의 단면에 제1캠부(15)를 형성하고 있고, 그 외주에 배치한 통형상의 아우터캠(16)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 아우터캠(16)은, 케이스카버(6)에 설치한 수납부(6e)에 그 대부분을 삽입시키고 있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주 축방향에 설치한 가이드홈(16a,16a)을 수납부(6e)에 설치한 도 9에 도시한 돌조부(6f,6f)와 결합시킴으로써 고정시킴과 동시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단부 측에 제2캠부(17)를 형성하고 있다. 그와 같이 하여 제1캠부(15)와 제2캠부(17)는 도 5및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반경방향으로 중첩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플레이트(12)는, 특히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주에 설치한 결합요홈부(12c,12c)를,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터캠(16)에 설치한 걸림홈(16b,16b)과 결합시킴으로써 코일스프링(14)을 거쳐 인너캠(13)에 회전토크를 가하고 있다.
제1힌지축(4)의 좌측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부 축방향에 설치한 삽입관통공(18a)으로 제1힌지축(4)을 삽입관통시키면서, 캠폴로우어(18)가 그 단면에 설치한 제3캠부(20)를 제1 및 제2캠부(15,17)에 대향시켜서 취부되어 있고, 그 캠폴로우어(18)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주 축방향에 설치한 돌조부(18b,18b)를 케이스(3)의 내벽에 설치한 요홈(3f,3f)(도 9참조)에 결합시킴으로써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3)에 회전이 구속되면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캠폴로우어(18)와 케이스(3)의 측벽(3d)내측과의 사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힌지축(4)에 환권시키면서 압축스프링(19)이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캠폴로우어(18)에 항상 인너캠(13)과 아우터캠(16)의 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을 가하고 있다.
그와 같이 하여, 캠폴로우어(18)는 압축스프링(19)를 개재하여 인너캠(13)과 아우터캠(16)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고, 인너캠(13)과 아우터캠(16)은, 코일스프링(14)를 개재하여 캠폴로우어(18)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서로의 제1캠부(15) 및 제2캠부(17)와 제3캠부(20)는, 서로 압접상태에 있고, 더욱 인너캠(13)에는, 코일스프링(14)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이 가하여지고 있다.
다음에, 제2힌지축(9)의 대략 중앙부에는, 도 6 내지 도 8과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9c)가 설치되어, 제2힌지축(9)의 축방향의 이동의 규제가 행하여짐과 동시에, 그 제2축(9)은 케이스카버(6)에설치한 수납부(6h)내에 수납, 고정된 베이스캠(21)에 설치한 삽입관통공(21a)내를 회전가능하게 삽입관통하여 케이스카버(6)의 밖으로 돌출하며, 그 선단에 설치한 대략 D형상단면의 취부부(9d)를, 도 6과 도 7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T자형상의 평면을 지니는 취부부재(22)의 중앙부의 취부부(22a)에 설치한 변형취부공(22b)에 삽입결합시키고 있다. 제2힌지축(9)에는, 변형취부공(22b)에서 돌출한 자유단부에 원주홈(9e)을 지니며, 그 원주홈(9e)에 E링(23)를 취부하는 것에 의해, 취부부재(22)가 제2힌지축(9)에서 이탈되지 아니하며, 또한, 취부부재(22)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 취부부재(22)의 취부부(22a)에는,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취부공(22b)과 축심을 공통으로 하여, 수납부(22c)가 설치되고 있고, 그 수납부(22c)에 회전이 구속되어, 취부부재(22)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로타리캠(24)이, 그 삽입관통공(24a)으로 제2축(9)을 삽입관통시키면서 취부되어 있다.
베이스캠(21)과 로타리캠(24)의 서로의 대향면에는, 특히 도 19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블용 제1캠부(25)와 스위블용 제2캠부(26)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스위블용 제1캠부(25)와 스위블용 제2캠부(26)는, 제2축(9)에 환권시키면서 수납부(22c)내에 수납되고 취부부재(22)의 측벽(22d)과 로타리캠(24)과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압축스프링(27)에 의해 서로 압접상태에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관한 힌지(B)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A)의 송화부(1)에 대해, 수화부(2)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캠폴로우어(18)의 제3캠부(20)의 돌출부(20a)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너캠(13)과 아우터캠(16)의 제1캠부(15)의 제1돌출부(15a)와 제2캠부(17)의 돌출부(17a)의 각 제1경사면(15b,17b)에 위치하여 있기 때문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19)의 탄력에 의해 수화부(2)를 송화부(1)에 대해 폐쇄하는 방향의 힘을 받아 로크상태에 있다.
그때, 인너캠(13)의 걸림돌출부(13c,13c)의 선단은, 아우터캠(16)의 걸림홈(16b,16b)의 선단부의 제1단부(16c,16c)(도 13참조)의 위치에 있어서, 코일스프링(14)의 탄력에 대항하여, 아우터캠(16)내로 인입된 상태에 있고, 더욱, 그 인너캠(13)은 코일스프링(14)의 회전토크에 의해 도면중 좌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지만, 돌출부(20a)에 의해 회전이 저지된 상태에 있다.
그 위치로부터, 수화부(2)를 송화부(1)에 대하여 열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폴로우어(18)의 제3캠부(20)의 돌출부(20a)가, 아우터캠(16)의 제2캠부(17)의 돌출부(17a)를 타고 넘어 제2경사면(17c)에 도달하는 것으로부터, 그 제2경사면(17c) 위를 활주하여,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150도까지 개방된다. 한편, 인너캠(13)은 코일스프링(14)의 복원력(회전토크)에의해 좌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22에 도시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150도까지 열리면,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폴로우어(18)의 제3캠부(20)의 돌출부(20a)는, 아우터캠(16)의 제2캠부(17)의 요홈부(17d) 내로 떨어지는 것에 의해 정지한다. 그 위치에서의 제1부재(1)와 제2부재(2)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 도 27이다. 그때, 인너캠(13)은, 제2캠(17)의 요홈부(17d)와 중첩하고 있는 제1캠(15)의 제1돌출부(15a)를, 캠폴로우어(18)의 돌출부(20a)에 의해 가압하는 것에 의해, 코일스프링(14)의 회전토크에 대항하여 우방향으로 회전하며, 또한, 걸림돌출부(13c,13c)의 선단이 아우터캠(16)의 걸림홈(16b,16b)의 선단부의 제2단부(16d,16d)(도 13참조)의 위치에 있고, 아우터캠에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23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이어서, 그 150도의 개방상태로부터, 제2부재(2)를 제1부재(1)측으로 폐쇄하면, 90도의 위치에서 캠폴로우어(18)의 돌출부(20a)가, 인너캠(13)의 제2경사부(15f)를 타고 제2돌출부(15e)를 넘어서 제1요홈부(15c)측으로 떨어지며, 여기서 클리크 정지되게 된다. 그 상태를 도시한 것이 도 24 및 도 28이다.
그 상태로 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축(4)에 설치한 회피부(4c)와 제2축(9)에 설치한 회피부(9b)가 합치하는 것으로 되므로, 제2축(9)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제2부재(2)는 제1부재(1)에 대해 수평방향의 좌우로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가능하게 된다. 그 회전각도는, 도 8과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부부재(22)의 스토퍼부(22e)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카버(6)에 설치한 제2수납부(6h)에 설치한 스토퍼벽(6i)에 당접하는 것에 의해 규제되며, 본 실시례(1)의 것에 있어서는, 좌우 어느 회전방향에 있어서도 180도이다.
제2부재(2)는, 압축스프링(27)의 탄력과, 스위블용 제1캠부(25)와 스위블용 제2캠부(26)의 각 캠부(28,29)에 의해, 0도의 위치에 있어서, 각 돌출부(28a,29a)와 요홈부(28b,29b)에 결합상태에 의해 폐쇄방향으로 회전이 가하여지고 있고, 로크상태로 되며, 중간회전각도에서는, 각 돌출부(28a,29a)가 압접상태로 되기 위한 프리쿠션토크가 작용하여 프리스탑으로 정지될 수 있고, 180도의 위치에 있어서, 다시 회전이 가하여져 각 돌출부(28a,29a)와 요홈부(28b,29b)가 결합하는 것에 의해, 180도의 위치를 지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부재(2)를 제1부재(1)에 대해, 90도까지 폐쇄한 상태로부터 더욱 폐쇄방향으로 누르면, 캠폴로우어(18)의 제3캠부(20)의 돌출부(20a)는, 아우터캠(15)의 제2캠부(17)의 제2경사면(17c)를 타고 폐쇄되어, 도 25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이보다 더 폐쇄하면, 도 21에 도시한 상태로 되어, 0도의 폐쇄위치에서 로크된다.
제2부재(2)가 제1부재(1)에 대해, 150도 개방되기 직전에 있어서, 캠폴로우어(18)의 제3캠부(20)의 돌출부(20a)는, 아우터캠(16)의 제2캠부(17)의 요홈부(17d)로 떨어지는 것에 의해 개방위치에서 로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힌지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제2부재를 취부한 제2힌지축은 상기 제1축와 교차로 결합되고, 그 제1축의 소정의 회전각도에 있어서만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개폐동작을 반복하여도 서로의 제2힌지축과 제1힌지축이 축방향으로 벗어나 엇갈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위치어긋남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동작불량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개폐동작시에 캠폴로우어의 캠부가 인너캠과 아우터캠의 이중으로 된 각 캠부에 압접하는 것으로부터, 개방동작시와 폐쇄동작시에 변화를 주어 각각 다른 조작감각이 얻어지는 개폐동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를 실시한 2개의 절첩타입의 휴대전화기를 열어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단말기용 힌지의 취부상태를 평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단말기용 힌지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단말기용 힌지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단말기용 힌지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선A-A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으로부터 수화부를 송화부에 대해 90도 개방시켜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단말기용 힌지의 일부단면분해도이다.
 도 9는 케이스카버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케이스카버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가이드플레이트의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인너캠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아우터캠의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캠폴로우어의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카버의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제1축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제2축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취부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9는 베이스캠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로타리캠의 배면도이다.
 도 21은 제1캠부, 제2캠부, 제3캠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제1캠부, 제2캠부, 제3캠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제1캠부, 제2캠부, 제3캠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제1캠부, 제2캠부, 제3캠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이다.
 도 25는 제1캠부, 제2캠부, 제3캠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를 이용하는 휴대전화기의 수화부를 송화부에 대하여 접어서 본 측면도이다.
 도 27은 수화부를 송화부에 대해 150도 열어서 본 측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수화부를 송화부에 대하여 90도까지 폐쇄하여서 본 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상태로부터 수화부를 90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A: 휴대전화기 B: 힌지
1: 제1부재(송화부) 2: 제2부재(수화부)
3: 케이스 4: 제1힌지축
5,11: E링 6: 케이스카버
7: 와셔 8: 푸쉬너트
9: 제2힌지축 10: 핀
12: 가이드플레이트 13: 인너캠
14: 코일스프링 15: 제1캠
16: 아우터캠 17: 제2캠
18: 캠폴로우어 19,27: 압축스프링
20: 제3캠부 21: 베이스캠
22: 취부부재 23: E링
24: 로타리캠 25: 스위블용 제1캠부
26: 스위블용 제2캠부 28,29: 캠부
30: 도선

Claims (4)

  1. 2개의 절첩타입의 휴대단말기의, 키보드부를 지니는 제1부재와 디스플레이부를 지니는 제2부재를, 종방향으로는 개폐가능하며 소정의 개방각도에서 수평방향으로는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연결하는 제1힌지축을 상기 종방향의 개폐동작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연결하는 제2힌지축을 상기 수평방향의 회전동작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힌지축과 상기 제2힌지축을 서로 교차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종방향의 개폐동작시에 수반하는 상기 제1힌지축의 소정의 회전각도에 있어서만, 상기 제2힌지축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휴대단말기용 힌지.
  2. 2개의 절첩타입의 휴대단말기의 키보드부를 지니는 제1부재와 디스플레이부를 지니는 제2부재를 종방향으로 개폐가능하고 또 소정의 개방각도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단부에 설치한 취부부사이에 종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취부한 케이스카버와, 그 케이스카버의 축방향에 취부한 제1힌지축과, 그 제1힌지축과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힌지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카버에 상기 제1힌지축을 결합시켜서 상기 제1힌지축이 소정 각도 회전한 때만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취부된 제2힌지축과, 상기 제1힌지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2부재의 취부부에 설치한 삽입구로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삽입고정된 카버와, 일단부에 캠부를 지녀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부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관통시켜서 상기 케이스카버내에 배치한 인너캠과, 그 인너캠을 내부에 소정의 회전각도만큼 회전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수납시켜 그 자체는 상기 케이스카버내에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수납된 일단부의 상기 인너캠의 캠부와 동일한 방향에 캠부를 설치한 아우터캠과, 상기 인너캠을 일방향으로 회전을 가하면서 일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을 가하기 위해 상기 제2힌지축에 환권시켜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제1힌지축을 축심부 축방향으로 삽입관통시켜 상기 카버내에 일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수납된 상기 인너캠과 대응하는 측에 캠부를 설치한 캠폴로우어과, 그 캠폴로우어를 일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을 가하는 압축스프링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힌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축에 취부된 제2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수단을 ,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부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관통시켜서 상기 케이스카버측이던가, 상기 제2힌지축에 취부되는 상기 제2부재의 측에 설치한 스위블(swivel)용 제1캠과, 상기 제2힌지축을 그 중심부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관통시키면서 상기 케이스카버측이던가 상기 제2부재의 어느 것의 타방에 취부한 스위블용 제2캠과, 그 스위블용 제2캠을 상기 스위블용 제1캠측으로 가압시키는 스프링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힌지.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카버에,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연결하는 도선을 통과시키는 도선안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힌지.
KR1020040083558A 2003-10-22 2004-10-19 휴대단말기용 힌지 KR100600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61670 2003-10-22
JP2003361670A JP4215614B2 (ja) 2003-10-22 2003-10-22 携帯端末用ヒン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579A true KR20050039579A (ko) 2005-04-29
KR100600614B1 KR100600614B1 (ko) 2006-07-13

Family

ID=3456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558A KR100600614B1 (ko) 2003-10-22 2004-10-19 휴대단말기용 힌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50075B2 (ko)
JP (1) JP4215614B2 (ko)
KR (1) KR100600614B1 (ko)
CN (1) CN1610497A (ko)
TW (1) TWI2520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0627B2 (ja) * 2005-03-31 2011-08-03 加藤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の二軸ヒンジ装置
US7532459B2 (en) * 2005-04-22 2009-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TWI258889B (en) * 2005-05-27 2006-07-21 Mitac Int Corp Biaxial antenna structur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602006015885D1 (de) * 2005-09-02 2010-09-16 Lg Electronics Inc Klappbares Mobilkommunikationsendgerät mit Mechanismus zum automatischen Öffnen in verschiedenen Öffnungswinkeln
KR100653212B1 (ko) * 2005-11-17 2006-12-05 주식회사 팬택 폴더형 힌지장치 및 폴더형 힌지장치를 사용한개인휴대단말기
CN101360925A (zh) * 2005-12-13 2009-02-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开闭装置和使用其的便携式设备
JP4578419B2 (ja) * 2006-02-27 2010-11-1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CN101431543B (zh) * 2007-11-05 2011-08-3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定位机构
JP5545216B2 (ja) * 2008-09-25 2014-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装置およびそのヒンジ機構
US7954203B2 (en) * 2008-12-19 2011-06-07 Shin Zu Shing Co., Ltd. Hinge and an electronic device with the hinge
US7971321B2 (en) * 2008-12-19 2011-07-05 Shin Zu Shing Co., Ltd. Hinge and an electronic device with the hinge
CN108964442A (zh) 2011-05-05 2018-12-07 北极砂技术有限公司 用于电源转换的装置
US8619445B1 (en) 2013-03-15 2013-12-31 Arctic Sand Technologies, Inc. Protection of switched capacitor power converter
TWI539889B (zh) * 2014-12-01 2016-06-21 宏碁股份有限公司 樞接模組與電子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6837B1 (en) * 2000-01-05 2001-07-10 Usa Spec, Inc. Hinge assembly for car-mounted video display unit
JP3390718B2 (ja) * 2000-02-18 2003-03-31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二軸ヒンジ装置
US7006853B2 (en) * 2001-08-24 2006-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tary type hinge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547740B1 (ko) * 2001-08-24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KR20030019979A (ko) * 2001-08-28 2003-03-08 금호산업 주식회사 검 체파용 고무조성물
JP3902439B2 (ja) 2001-10-25 2007-04-04 株式会社オーハシテクニカ 2軸ヒンジ装置
JP4007037B2 (ja) * 2001-11-16 2007-1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開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3158306A (ja) * 2001-11-21 2003-05-30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超伝導配線及びその作製方法
JP2003239943A (ja) * 2002-02-18 2003-08-27 Strawberry Corporation 携帯電話,モバイル等の電子機器並びにヒンジ装置
US7168135B2 (en) * 2002-03-02 2007-01-30 M2Sys Co., Ltd Rotary hinge mechanism of portable phone
JP4063571B2 (ja) * 2002-04-10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
KR100513015B1 (ko) * 2003-04-08 2005-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200319732Y1 (ko) * 2003-04-09 2003-07-22 주식회사 엠투시스 통신기기의 2단 개폐장치
JP4079833B2 (ja) * 2003-06-03 2008-04-23 三菱製鋼株式会社 回転規制機構付2軸ヒンジ
JP2005023958A (ja) * 2003-06-30 2005-01-27 Strawberry Corporation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5054891A (ja) * 2003-08-04 2005-03-03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端末用ヒンジ
KR100594106B1 (ko) * 2004-01-27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18564A (en) 2005-06-01
TWI252016B (en) 2006-03-21
CN1610497A (zh) 2005-04-27
JP4215614B2 (ja) 2009-01-28
KR100600614B1 (ko) 2006-07-13
US7150075B2 (en) 2006-12-19
JP2005130073A (ja) 2005-05-19
US20050102798A1 (en) 200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296B1 (ko) 힌지장치
KR100630424B1 (ko) 휴대단말용 힌지
US5937062A (en) Hinge module for mounting a flip onto a portable telephone set
EP1559859B1 (en) Rotary-type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KR20050039579A (ko) 휴대단말기용 힌지
KR20050020567A (ko) 소형정보단말용 슬라이드 힌지
KR100722817B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
US20050188502A1 (en) Hinge assembly
JP3828643B2 (ja) ヒンジ装置
US7027294B2 (en) Hinge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KR10050414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KR10054772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폴더의 회전 멈춤 장치
US20060154701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0596635B1 (ko) 소형개폐장치
JP3697339B2 (ja) ヒンジ装置
US765702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JP2002333012A (ja) ヒンジ装置
KR200222454Y1 (ko) 휴대폰 힌지장치
KR200403684Y1 (ko) 휴대폰용 로터리 힌지 모듈
KR10053185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379274Y1 (ko) 휴대폰용 로터리 힌지 모듈
KR200353384Y1 (ko) 휴대폰의 통합 힌지장치
KR200353084Y1 (ko) 특정 위치에 폴더를 멈출 수 있는 회전 폴더형 이동 통신단말기
KR20050035032A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JP2002039160A (ja) ヒン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