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145B1 -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145B1
KR100504145B1 KR10-2004-0068468A KR20040068468A KR100504145B1 KR 100504145 B1 KR100504145 B1 KR 100504145B1 KR 20040068468 A KR20040068468 A KR 20040068468A KR 100504145 B1 KR100504145 B1 KR 100504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inge
rotary
folder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0417A (ko
Inventor
강성일
배종근
황성준
정병로
이용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8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폴더가 본체에 대해 개폐되는 한편 개방된 상태에서 폴더의 전후면 반전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힌지 장치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 하우징과, 상기 힌지 하우징에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터리 축을 구비한 로터리 형 힌지 모듈 및 상기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의 힌지 하우징을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는 개폐용 힌지 모듈을 조합함으로써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힌지 장치는 본체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로터리 축을 폴더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폴더가 개방된 상태에서 전후면 반전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로터리 축 내에는 탄성수단에 의해 서로 밀착되는 힌지 캠과 힌지 샤프트 등이 설치되어 로터리 축의 회전을 안정시키면서, 회전이 멈춘 상태를 안정시키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ROTARY TYPE HINGE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본체에 대하여 회전하여 개폐면서 동시에 개방된 상태에서 플립 또는 폴더의 전후면 반전을 가능하게 하는 로터리 형 힌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종류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 type)과 플립형(flip type)과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바형 단말기는 하나의 본체 하우징(housing)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수화부 모듈이 장착되는 형태로서, 데이터 입력 수단이 되는 키패드(keypad)가 항시 노출되어 있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고,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확보 문제로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플립형 단말기는 본체와, 플립과, 상기 본체와 플립을 연결시키는 힌지(hinge) 장치로 구성되는 형태로서, 상기 본체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수화부 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플립이 상기 데이터 입력 수단인 키패드를 덮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나, 플립형 단말기 역시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확보 문제로 인하여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폴더형 단말기는 본체와 폴더,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폴더가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는 형태로, 상기 폴더가 본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통화대기 모드로 키패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화모드에서는 상기 폴더가 펼쳐져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폴더형 단말기가 점차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주종을 이루어 가는 추세이다.
한편, 상기 플립형 단말기나 폴더형 단말기는 플립 또는 폴더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는 플립 또는 폴더가 본체로부터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면 더 이상 힘을 가하지 않아도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받고, 그러한 각도 이하에서는 본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받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힌지 장치는 본 출원인에게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6,292,980호(2001. 9. 25) 등에 개시되고 있다. 개시된 힌지 장치는 각각 산형부와 골형부가 형성된 힌지 캠과 힌지 샤프트, 그리고 상기 힌지 캠과 힌지 샤프트를 밀착시키는 스프링을 힌지 하우징 내에 수용시킴으로써 상기 산형부와 골형부의 곡면 및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폴더 또는 플립을 개폐시키는 원리이다.
그러나, 이동통신 서비스가 점차 다양화되어 가면서, 단말기의 기능 또한 급속하게 다양화되어 가고 있는 반면에 종래의 힌지 장치는 무선 단말기의 플립 또는 폴더를 단순히 본체로부터 개폐시키는 기능만을 보유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단말기의 부가장치 추가 등 단말기의 사양을 변경하는 데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의 힌지 장치만으로는 단말기의 사양 및 디자인 변경에 제약이 따를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서비스의 다양화나 소비자의 욕구에 부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사양 및 디자인 변경에 유리한 힌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 폴더의 전후면 반전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본체와 폴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 및 폴더의 개폐를 위한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에 수직한 제2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본체 및 폴더의 개방시 상기 제2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폴더를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힌지 하우징;
상기 힌지 하우징의 내벽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 하우징의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2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 상에 고정되는 힌지 캠;
상기 샤프트 상에서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 캠과 대면하는 힌지 샤프트;
상기 산형부와 상기 골형부를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 샤프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힌지 캠, 힌지 샤프트 및 탄성수단을 수용하면서, 상기 힌지 샤프트의 가이드 돌기와 계합하는 가이드 홈을 가지는 실린더 형 로터리 축을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을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rotary type hinge module)(100)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형 힌지 모듈(100)은 힌지 하우징(110), 샤프트(shaft)(130) 및 로터리 축(rotary shaft)(170)을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130)에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로터리 축(170) 내에 수용되는 힌지 캠(hinge cam)(150), 힌지 샤프트(hinge shaft)(160) 및 탄성수단(169)이 포함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하우징(110)의 일단에는 지지홀(119a), 타단에는 샤프트 홀(shaft hole)(119b, 도 3에 도시됨)이 각각 형성되며, 내벽 일측에는 상기 샤프트(130)를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면(113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면(113a)은 원형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샤프트(130)가 상기 힌지 하우징(110)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상기 샤프트(130)를 견고하게 조립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면(113a)의 중심에는 상기 힌지 하우징(110)의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체결공(115)이 형성되어, 소정의 스크류(139)에 의해 상기 샤프트(130)는 상기 힌지 하우징(110)의 고정면(113a)에 체결된다. 상기 힌지 하우징(110)에서 상기 고정면(113a)이 형성된 면과 마주보는 면은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11)은 상기 고정면(113a)에 결합된 샤프트(130)가 상기 힌지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면서, 또한 상기 로터리 축(170)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면(113a)의 둘레에는 상기 고정면(113a)과 단차지게 형성된 슬라이딩 면(113b)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면(113b)은 상기 로터리 축(170)의 회전 궤적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로터리 축(170)의 회전 범위를 180도 이내로 제한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힌지 하우징(110)의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홀(111)의 둘레에 반원형의 슬라이딩 홈(117)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고정면(113a)의 둘레에 구비된 슬라이딩 면(113b)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폴더 하단에 돌기를 형성하여 그 돌기가 상기 슬라이딩 홈(117) 내에서 이동하게 하는 것이며 이는 도 6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 홈(117) 역시 상기 폴더의 회전 범위를 180도 이내로 제한하게 된다. 결국,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면(113b)과 슬라이딩 홈(117)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폴더가 180도 범위 이내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힌지 하우징(110)은 상기 지지홀(119a)과 샤프트 홀(119b)을 통해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폴더가 개폐되는 제1 회전축(A1)을 제공한다.
상기 샤프트(13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힌지 하우징(110)의 고정면(113a)에 상응하는 형상의 고정단(131)과, 상기 고정단(131)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연장되어 상기 샤프트(130)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각형의 단차면(13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130)의 타측 단부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 홈(135)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13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하우징(110)의 체결공(115)을 통해 결합되는 스크류(139)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로터리 축(170) 및 그 내부에 수용된 구성요소들이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한다. 즉, 상기 샤프트(130)는 상기 로터리 축(170)이 회전하게 되는 제2 회전축(A2)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제2 회전(A2)축은 상기 제1 회전축(A1)에 대하여 수직하게 구성된다.
상기 로터리 축(170)은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이며, 일단은 개방단(171a)으로, 타단은 관통홀(173b)이 형성된 폐쇄단(171b)으로 구성된다. 상기 로터리 축(170)에는 상기 개방단(171a)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173a)이 형성되어 상기 로터리 축(170)의 내외부를 연결시키고,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단(171a)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소정 폭을 갖는 회전 돌기(177)가 구비된다. 상기 로터리 축(170)의 폐쇄단(171b) 측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리브(175a)가 구비된다. 상기 리브(175a)에는 소정의 체결공(175b)이 형성되어 무선 단말기의 폴더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로터리 축(170)은 상기 힌지 하우징(110)에 고정된 샤프트(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는 상기 폐쇄단(171b)에 형성되는 관통홀(173b)을 통해 상기 샤프트(130) 단부의 환형 홈(135)이 돌출되고, 상기 환형 홈(135)에 이(E) 링(181)이 체결됨으로써 이루어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 링(181)과 폐쇄단(171b) 사이에는 와셔(183)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축(170)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130)에 결합되는 힌지 캠(150), 힌지 샤프트(160) 및 탄성수단(169)이 수용된다.
상기 힌지 캠(150)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축구멍(153)이 형성되며, 상기 축구멍(153)은 상기 샤프트(130)의 단차면(133) 형상과 상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130)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힌지 캠(150)의 일단에는 골형부(151)가 형성되어 곡면을 이룬다.
상기 힌지 샤프트(160)는 길이방향으로 양단부를 관통하는 축구멍(163)이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는 상기 힌지 캠(150)의 골형부(151)와 상응하는 산형부(161)가 형성되어 곡면을 이룬다. 상기 골형부(151)와 산형부(161)는 상호 미끄럼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힌지 샤프트(160)의 외주면에는 상기 로터리 축(170)에 형성된 가이드 홈(173a)에 상응하는 가이드 돌기(165)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160)는 상기 로터리 축(170) 내부에서 직선운동을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165)와 가이드 홈(173a)이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로터리 축(17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힌지 샤프트(160)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탄성수단(169)은 일단이 상기 로터리 축 폐쇄단(171b)의 내벽에 지지되어 상기 산형부(161)와 골형부(151)가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 샤프트(160)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산형부(161)의 최고점과 골형부(151)의 최저점이 밀착되었을 때 상기 힌지 샤프트(160)의 회전은 멈추게 된다. 또한, 상기 산형부(161)의 최고점과 골형부(151)의 최저점이 밀착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탄성수단(16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산형부(161)의 최고점과 골형부(151)의 최저점이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 샤프트(160)가 회전하면서 상기 힌지 캠(150)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탄성수단(169)이 제공하는 탄성력과, 상기 힌지 캠(150)의 골형부(151)와 상기 힌지 샤프트(160)의 산형부(161)에 각각 형성된 곡면에 의해 상기 힌지 샤프트(160)의 회전은 초기 위치에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면 더 이상 힘을 가하지 않아도 상기 힌지 샤프트(160)는 상기 골형부(151)의 최고점과 산형부(161)의 최저점이 밀착되는 위치까지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골형부(151)와 산형부(161)가 각각 지름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이라면, 상기 힌지 샤프트(160)의 회전이 멈추는 위치는 초기 위치로부터 180도 회전한 위치가 되는 것이며 상기 힌지 샤프트(160)를 초기 위치로부터 90도 이상 회전시키면 상기 골형부(150) 및 산형부(160)의 곡면형상에 의해 더 이상 힘을 가하지 않아도 180도까지 상기 힌지 샤프트(160)가 회전하여 멈추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골형부(151)와 산형부(161)의 형태에 따라 상기 힌지 샤프트(160)가 멈추는 위치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름방향으로 서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골형부를 두 개 형성한다면, 상기 힌지 샤프트(160)는 초기 위치로부터 45도 이상 회전시키면 더 이상 회전력을 가하지 않아도 90도 위치에서 회전이 멈추게 될 것이다. 또한, 90도 회전한 위치에서 45도 이상 더 회전시키면 상기 힌지 샤프트(160)는 더 이상 회전력을 가하지 않아도 180도 위치에서 회전이 멈추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100)은 상기 힌지 하우징(110)이 무선 단말기의 본체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폴더를 개폐시키면서, 상기 로터리 축(170)이 회전함으로써 개방된 상태의 폴더를 180도 범위 이내에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500)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형 힌지 모듈(500)은 힌지 하우징(510), 샤프트(530) 및 로터리 축(570)을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530)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로터리 축(570) 내에 수용되는 제1 슬립 와셔(550), 제2 슬립 와셔(560) 및 탄성수단(569)이 포함된다.
상기 힌지 하우징(510)의 일단에는 지지홀(미도시), 타단에는 샤프트 홀(519)이 각각 형성되며, 내벽 일측으로부터 상기 샤프트(530)가 일체형으로 연장된다. 상기 샤프트(530)는 상기 힌지 하우징(510) 내벽의 타측에 마주보게 형성된 관통홀(511)을 통해 상기 힌지 하우징(5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관통홀(510)은 상기 샤프트(530)를 돌출시키면서 상기 로터리 축(570)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힌지 하우징(510)은 상기 지지홀과 샤프트 홀(519)을 이용해 본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무선 단말기 폴더의 개폐동작에 따라 본체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형 힌지 모듈(500)은 상기한 제1 실시 예와 달리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530)는 상기 힌지 하우징(510)의 내벽 일측에서 일체형으로 연장되며, 상기 힌지 하우징(510)의 내벽과 접하는 상기 샤프트(530)의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 하우징(510)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연장된 각형의 단차면(533)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530)의 단부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 홈(535)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530)는 상기 로터리 축(570) 및 그 내부에 수용된 구성요소들이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로터리 축(570)은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으로 일단은 개방단(571a), 타단은 관통홀(573b)이 형성된 폐쇄단(571a)으로 구성된다. 상기 로터리 축(570)에는 상기 로터리 축(570)의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개방단(571a)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573a)이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축(570)의 폐쇄단(571b) 측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리브(575a)가 구비된다. 상기 리브(575a)에는 소정의 체결공(575b)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 모듈(500)을 무선 단말기의 폴더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로터리 축(570)은 상기 힌지 하우징(510)에 결합된 샤프트(510)에 결합된다. 이는 상기 폐쇄단(571b)의 관통홀(573b)을 통해 상기 샤프트(530) 단부의 환형 홈(535)이 돌출되고, 상기 환형 홈(535)에 이(E) 링(581)이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이 링(581)과 폐쇄단(571b) 사이에는 와셔(583)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축(570)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530)에 결합되는 제1 슬립 와셔(550), 제2 슬립 와셔(560) 및 탄성수단(569)이 수용된다.
상기 제1 슬립 와셔(550)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축구멍(553)이 형성되며 상기 축구멍(553)은 상기 샤프트(530)의 단차면(533) 형상과 상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530)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슬립 와셔(550)의 외주면에는 요홈(55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슬립 와셔(560)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축구멍(563)이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5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로터리 축(570)에 형성된 가이드 홈(573a)에 상응하는 가이드 돌기(56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슬립 와셔(560)은 상기 로터리 축(570) 내부에서 직선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561)와 가이드 홈(573a)이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로터리 축(57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슬립 와셔(56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561)는 상기 제1 슬립 와셔(550)와 마주하는 면까지 돌출 연장되어 상기 제1 슬립 와셔(550)의 요홈(551)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제1 슬립 와셔(550)의 요홈(551)과 제2 슬립 와셔(560)의 가이드 돌기(561)는 서로 맞물려 위치를 고정시키는 래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요홈(551)과 가이드 돌기(561)가 맞물리는 부분은 일정 정도의 회전력에 의해 이탈이 용이하도록 곡면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수단(569)은 일단이 상기 로터리 축(570) 폐쇄단(571b)의 내벽에 지지되어 상기 제1 슬립 와셔(550)와 제2 슬립 와셔(560)가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슬립 와셔(560)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슬립 와셔(550)의 요홈(551)과 제2 슬립 와셔(560)의 가이드 돌기(561)가 맞물려 있을 때는 제2 슬립 와셔(560)의 자유 회전이 불가능하며, 사용자가 일정 정도의 회전력을 가하면 상기 가이드 돌기(561)는 상기 요홈(551)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제1 슬립 와셔(550)의 단부 면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되며, 이때 제2 슬립 와셔(560)는 상기 탄성수단(569) 측으로 후퇴하여 상기 탄성수단(569)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상기 제2 슬립 와셔(560)가 계속 회전하면 상기 요홈(551)과 가이드 돌기(561)가 마주하는 위치에서 상기 탄성수단(569)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요홈(551)과 가이드 돌기(561)가 다시 맞물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500)은 상기 힌지 하우징(510)이 무선 단말기의 본체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폴더를 개폐시키면서, 상기 로터리 축(570)이 회전함으로써 개방된 상태의 폴더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은 일정 각도 이상 회전시키면 힌지 캠의 동작에 의해 일정 각도까지 자동으로 회전하는 구성이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회전을 멈추게 할 수 있는 구조이며 필요에 따라 소정 각도에서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래치구조를 적용한 구성이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3의 제1 회전축(A1)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하우징(110, 510)의 회전축으로서 무선 단말기 폴더의 개폐동작에 따른 본체에 대한 폴더의 회전축이다. 또한 제2 회전축(A2)는 상기 로터리 축(170, 570)의 회전축으로서 개방된 폴더의 전후면을 반전시키기 위한 폴더의 회전축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형 힌지 모듈(100)을 무선 단말기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형 힌지 모듈(500)을 무선 단말기에 적용시키는 것은 상기 제1 실시 예의 적용 예를 통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100)이 적용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형 힌지 모듈(100)은 힌지 하우징의 지지홀(119a)이 본체(210)의 지지돌기(201)에 결합되고, 힌지 하우징의 샤프트 홀(119b)은 본체(210) 하우징에 수용된 개폐용 힌지 모듈(300)에 결합되어 본체(2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로터리 형 힌지 모듈(100)의 로터리 축(170)의 폐쇄단 측에 구비된 리브(175a)는 폴더(250)에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폴더(250)는 상기 힌지 모듈(100)과 함께 본체(210)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며,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폴더(250)는 상기 힌지 모듈의 샤프트(130)를 축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폴더(250)의 하단에 구비된 돌기(291)는 상기 힌지 하우징(110)의 슬라이딩 홈(117) 내에 위치하게 되며, 개방된 상태의 상기 폴더(250)가 회전할 때 상기 돌기(291)는 상기 슬라이딩 홈(117) 내에서 가이드된다. 상기 폴더(250)의 하단에 구비된 돌기(291)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형 힌지 모듈(500) 적용시 제거되어야 함에 유의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개폐용 힌지 모듈(300)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에 개시된 개폐용 힌지 모듈(300)은 하우징(310)의 수용공간(311) 내에 탄성수단(340), 힌지 캠(320) 및 힌지 샤프트(330)가 순차적으로 수용된다.
상기 힌지 캠(320)은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325)가 상기 하우징(310)에 형성된 가이드 홈(313)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우징(310) 내에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힌지 샤프트(330)는 상기 하우징(310) 단부의 관통홀(315)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 되는 힌지 돌기(333)가 상기 로터리 형 힌지 모듈(100)의 샤프트 홀(119b)에 결합된다.
상기 힌지 캠(320)과 힌지 샤프트(330)는 각각 곡면형상의 골형부(321)와 산형부(331)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 캠(320)은 상기 탄성수단(340)에 의해 상기 골형부(321)와 산형부(331)가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따라서, 상기 골형부(321)와 산형부(331)가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수단(3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힌지 캠(320)이 상기 힌지 샤프트(330) 측으로 전진하게 되고, 상기 골형부(321)와 산형부(331)의 곡면 형상에 의해 상기 힌지 샤프트(330)가 회전하게 된다. 이를 거꾸로 동작시켜보면, 상기 로터리 형 힌지 모듈(100)에 연결된 힌지 샤프트(330)를 회전시키면 상기 힌지 캠(320)은 후퇴하게 되고 상기 탄성수단(340)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상기 힌지 샤프트(330)를 더 회전시켜 상기 골형부(321)와 산형부(331) 각각의 최고점이 교차하게 되면 상기 탄성수단(3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힌지 캠(320)이 상기 힌지 샤프트(330)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힌지 캠(320)의 가압에 의해 상기 힌지 샤프트(330)는 회전하여 상기 골형부(321)와 산형부(331)가 완전히 밀착되는 위치에서 회전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용 힌지 모듈(300)은 부가적으로 상기 하우징(310) 일단의 내벽에 상기 탄성수단(340)의 위치를 지지하는 돌기(31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개폐용 힌지 모듈(300)의 탄성수단(340)은 필요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지름이 다른 두 개의 탄성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작은 지름의 탄성수단을 더 큰 지름의 탄성수단 내에 수용시켜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100)과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결합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의 하우징에는 상기 힌지 모듈(100)의 지지홀(119a)이 결합되는 지지돌기(201)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 모듈(100)의 샤프트 홀(119b)은 상기 본체(210)의 하우징에 수용된 개폐용 힌지 모듈에 결합(도 6에 도시됨)됨으로써, 상기 힌지 모듈(100)은 상기 본체(2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1 회전축(A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무선 단말기의 폴더(250)에는 상기 힌지 모듈(100)의 로터리 축(170)이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터리 축(170)의 폐쇄단 측에 구비된 리브(175a)가 상기 폴더(250)에 형성된 결합돌기(202)에 결합되는 것이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체결공(175b)과 결합돌기(202) 대신에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700)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7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형 힌지 모듈(700)은 힌지 하우징(710) 및 로터리 축(770)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힌지 하우징(710)과 로터리 축(770)에 한정될 것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700)의 힌지 하우징(71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하우징(710)의 일단에는 도 7에 도시된 개폐용 힌지 모듈(3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홀(719b)이 형성된 점에서 상기 제1 실시 예의 힌지 하우징(110)과 다르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개폐용 힌지 모듈(300)이 무선 단말기의 본체(210)에 수용되는 구조인 반면에, 본 제3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형 힌지 모듈(700)은 개폐용 힌지 모듈(300)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개폐용 힌지 모듈(300)이 상기 로터리 형 힌지 모듈(700)의 힌지 하우징(710) 수용홀(719b) 내에 수용되어 상기 힌지 하우징(710)의 일단부로 힌지 돌기(333)를 돌출시키므로, 무선 단말기의 본체(210)에는 상기 개폐용 힌지 모듈(300)의 힌지 돌기(333)에 상응하는 샤프트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700)의 로터리 축(77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로터리 축(770)은 폴더와의 결합수단으로서 폐쇄단(771b) 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고정편(775a)과, 상기 로터리 축(770)의 단부 외주면에 소정의 평면(779)을 형성한 점에서 상기 제1 실시 예와 차이점을 보인다.
상기 고정편(775a) 및 평면(779)은 무선 단말기의 폴더가 회전할 때, 폴더의 회전력에 의한 하중이 상기 로터리 축(770) 또는 폴더 하우징의 특정 부분에 집중되어 힌지 모듈(700) 또는 폴더 하우징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편(775a)은 상기 로터리 축(770)의 폐쇄단(771b) 측 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양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고정편(775a)의 양면이 각각 상기 로터리 축(770)의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회전력에 의한 하중에 더 잘 견딜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편(775a)은 상기 힌지 하우징(710)보다 더 길게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폴더의 폭에 근접하도록 최대한 연장된다. 이는 상기 고정편(775a)의 길이가 길수록 하중의 분산이 잘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고정편(775a)의 단부에는 상기 로터리 축(770)의 길이방향으로 리브(775b)가 연장된다. 상기 리브(775b)에는 무선 단말기의 폴더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775c)이 구비된다. 상기 리브(775b)는 폴더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폴더 내에서 스크류 등을 통해 체결된다.
한편, 상기 고정편(775a)에는 상기 힌지 하우징(710)과 마주하는 면에 스토퍼(775d)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710)에는 상기 스토퍼(775d)의 회전궤적에 상응하는 슬라이딩 홈(717)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홈(717)은 상기 스토퍼(775d)의 회전범위를 180도 이내로 제한하게 된다.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700)과 폴더의 하우징(290)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 로터리 형 힌지 모듈(700)과 상기 폴더 하우징(29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프레임(27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270)은 상기 로터리 형 힌지 모듈(700)의 로터리 축(770)과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70) 역시 폴더(250)의 회전력을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즉, 폴더가 본체에 대하여 개폐하는 동작에서 폴더의 회전력이 상기 고정편(775a) 단부의 체결부위, 즉 상기 리브(775b)에 집중되어 상기 리브(775b) 또는 상기 폴더 하우징(27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폴더 하우징(270)에 수용되는 회로부(280)가 상기 프레임(270) 내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회로부(280)를 상기 폴더 하우징(270)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단은 불필요하게 된다. 상기 회로부(280)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엘씨디(LCD)(281)와 가요성 인쇄회로(283)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폴더 하우징(270)에는 상기 리브(775b)의 체결홀(775c)을 이용하여 상기 로터리 형 힌지 모듈(700)을 고정하기 위해 내부 하단 양측에 체결구(291)가 구비되며, 리브(293) 등을 이용하여 상기 로터리 형 힌지 모듈(700)의 로터리 축(770) 및 고정편(775a)이 수용되는 수용홈(295)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폴더 하우징(290)의 체결구(291)에는 상기 로터리 형 힌지 모듈(700)의 리브(775b)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270)으로부터 연장된 체결구(271)도 함께 스크류(299)로 체결할 수 있다.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700)이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형 힌지 모듈(700)은 힌지 하우징(710) 내에 상기 개폐용 힌지 모듈(300)이 수용되며, 상기 개폐용 힌지 모듈(300)의 힌지 돌기(333)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본체(210)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800)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8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800)은 선행 실시 예의 힌지 캠-힌지 샤프트 구조를 로터리 축(170) 내부의 판스프링(810) 구조로 대체한 점에서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형 힌지 모듈(8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판스프링(810)에 관련된 구조에 한정될 것이다.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형 힌지 모듈(800)은 로터리 축(170)의 내부에 판스프링(810), 와셔(821a, 821b) 및 코일스프링(825)으로 구성된다.
상기 판스프링은 샤프트(130)에 회전하지 않도록 결합되며, 상기 와셔(821a, 821b) 중 어느 한 와셔(821a)는 상기 판스프링(810)과 마찰하도록 결합되고, 다른 한 와셔(821b)는 상기 로터리 축(170)의 폐쇄단 내측 단부에 접촉하게 결합된다. 상기 두 와셔(821a, 821b)는 각각 상기 코일스프링(825)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형 힌지 모듈(800)은 판스프링(810)과 와셔(821a)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로터리 축(170)이 임의의 각도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힌지 캠-힌지 샤프트 구조를 이용한 선행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은 힌지 캠의 골형부가 형성된 각도에서만 폴더가 정지할 수 있는 구성이지만, 판스프링(810)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가 임의의 각도에서 폴더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과 와셔의 마찰을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코일스프링을 이용하였으나, 구성에 따라서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다수의 와셔를 상기 로터리 축 내에 수용시켜 판스프링만의 탄성력으로 마찰을 일으킬 수도 있다. 또한, 와셔의 두께 또는 상기 로터리 축 내부 공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판스프링만의 탄성력으로 마찰력을 일으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형 힌지 모듈(100)이 적용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200)의 폰 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200)의 PDA 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형 힌지 모듈(100)이 적용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200)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250)를 구비하며, 상기 폴더(250)의 전후면을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210) 상단부 상면(220)의 소정 위치에 상기 로터리 형 힌지 모듈(100)이 결합되며, 스피커 장치(221)와, 상기 스피커 장치(221)의 일측으로 카메라 렌즈 수용부(223)가 설치되고, 측면에는 카메라 렌즈 작동을 위한 셔터 키(K)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210) 하단부 상면(230)에는 마이크로 폰(233)과 소정의 키패드(231)가 설치된다. 상기 키패드(231)는 상기 무선 단말기(200)가 폰 모드 또는 PDA 모드에서 각종 기능 호출 및 선택에 이용된다.
상기 폴더(250)의 전면(251)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단말기(200)가 폰 모드에서 이용될 때 단말기 작동을 위한 키패드(253) 및 단말기 상태 정보, 데이터 송수신 정보 등을 표시하는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255)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무선 단말기(200)를 PDA 모드에서 이용할 때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더(250)의 전후면을 반전시켜 상기 폴더(250)의 후면(26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263)를 노출시키게 된다. 상기 폴더(250)의 전후면을 반전시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로터리 형 힌지 모듈(100, 500)을 상기 무선 단말기(200)에 적용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도 19는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 폴더(250)의 전후면을 반전시켜 모드 전환을 실시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210)는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폴더(250)가 결합되는 면에는 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213)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폴더(25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상기 무선 단말기(200)를 PDA 모드로 이용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상기 본체(21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213)를 터치 패드로 구성하면 PDA 모드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200)를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더(250)의 전후면을 반전시키는 것은 우선 상기 폴더(250)를 본체(210)로부터 개방시켜야 한다. 이는 상기 본체(210)에 수용된 개폐용 힌지 모듈(300)의 동작에 의한 것이며, 상기 폴더(250)는 제1 회전축(A1)에 대하여 회전하여 개방된다. 상기 폴더(250)의 전후면 반전은 실질적으로 상기 폴더(25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폴더(250)를 상기 로터리 형 힌지 모듈(100),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 모듈(100)의 로터리 축(170)이 제2 회전축(A2)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로터리 형 힌지 모듈(100)에 수용된 힌지 캠(150) 및 힌지 샤프트(160)에 각각 형성된 골형부(151)와 산형부(161)의 곡면형상과 탄성수단(169)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힌지 샤프트(160) 및 상기 힌지 샤프트(160)와 연동하는 로터리 축(170)과 함께 상기 폴더(250)는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면 더 이상 회전력을 가하지 않아도 180도 위치까지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200)의 후면(215)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10)의 카메라 렌즈 수용부(223)에 수용된 카메라 렌즈는 상기 본체(210)의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본체(210)의 후면(215) 상단에는 회전축 A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210)에 수용되거나, 통화 또는 데이터 송수신 시 상기 본체(210)로부터 이탈시켜 사용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217)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 렌즈가 구비된 단말기(200)에서는 상기 폴더(250)를 개방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63)를 상기 본체(210)의 상측으로 향하게 하면 상기 카메라 렌즈와 상기 폴더(250)의 디스플레이 장치(263)를 이용하여 화상통화도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초점 방향은 반드시 상기 본체(210)의 상측일 필요는 없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63)가 허용하는 각도 범위 내에서 어느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더라도 화상통화가 가능함은 자명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을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적용함으로써, 특히 폴더형 단말기의 이용 범위가 확대되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서비스의 다양화에 따른 동영상 서비스, 화상 통화 등에 적절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카메라 렌즈의 설치 위치 등이 단말기의 특정 위치에 국한되지 않으며, 단말기의 디자인 또는 사양 등을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었다. 또한, 무선 단말기를 폰 모드, 또는 PDA 모드 어떠한 형태로 이용하더라도 단말기의 개폐상태에는 큰 변화가 없으므로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게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은 로터리 축 내에 힌지 캠과 힌지 샤프트 등을 설치하여, 로터리 축의 회전을 안정시킴과 동시에 폴더가 회전하는 동안 기 설정된 위치에 안정된 상태로 멈추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의 힌지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의 로터리 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이 적용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개폐형 힌지 모듈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과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결합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의 힌지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의 로터리 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과 폴더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이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형 힌지 모듈이 적용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폰 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PDA 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모드 전환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Claims (20)

  1.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본체와 폴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 및 폴더의 개폐를 위한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에 수직한 제2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본체 및 폴더의 개방시 상기 제2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폴더를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일측에 관통홀이 형성된 힌지 하우징;
    상기 힌지 하우징의 내벽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 하우징의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2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 상에 고정되는 힌지 캠;
    상기 샤프트 상에서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 캠과 대면하는 힌지 샤프트;
    상기 힌지 캠과 힌지 샤프트를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 샤프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힌지 캠, 힌지 샤프트 및 탄성수단을 수용하면서, 상기 힌지 샤프트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실린더 형 로터리 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관통홀을 통해 노출되어 상기 샤프트가 체결되는 고정면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면은 상기 힌지 하우징의 일측 내벽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고정면의 중심에는 상기 힌지 하우징의 외부와 관통하는 체결공이 더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힌지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체결공을 통해 결합되는 스크류에 의해 상기 힌지 하우징의 고정면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그의 하단부에 상기 고정면에 상응하는 형상의 고정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그의 하단부에 소정 높이로 연장되어 상기 샤프트의 원주방향으로 각형의 단차면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 캠에는 상기 단차면과 상응하게 형성되는 축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힌지 캠은 상기 샤프트에 고정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와, 상기 로터리 축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와 맞물리는 가이드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홈은 상기 힌지 샤프트의 직선왕복 운동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환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축의 일단부에는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가 통과하여 상기 환형 홈을 상기 로터리 축의 폐쇄단 외측으로 노출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해 노출된 환형 홈에 이(E) 링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로터리 축은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이 링과 로터리 축의 일단부 사이에는 와셔가 더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축의 외주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폴더의 일단에 고정되는 결합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10. 제9 항에 있어서,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로터리 축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체결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로터리 축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양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 각각의 단부에서 상기 로터리 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각각 상기 힌지 하우징의 단부보다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리브에는 각각 체결공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로터리 축이 회전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스토퍼의 회전궤적에 상응하는 슬라이딩 홈이 상기 힌지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홈은,
    상기 스토퍼의 회전범위를 180도 이내로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축 일단부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평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축의 타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 폭만큼 연장되는 회전 돌기와;
    상기 로터리 축의 회전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회전 돌기의 회전 궤적을 따라 상기 힌지 하우징의 내벽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면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면은 상기 회전 돌기의 회전 범위를 180도 이내로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샤프트는 그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축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로터리 축 내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 방향을 따라 상기 힌지 하우징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홀과, 상기 힌지 하우징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 홀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캠의 일면에 형성되는 골형부; 및
    상기 힌지 샤프트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골형부와 대면하는 산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 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골형부와 산형부가 기 설정된 위치에서 서로 맞물려 상기 로터리 축의 회전을 정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KR10-2004-0068468A 2001-08-24 2004-08-30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KR100504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51282 2001-08-24
KR1020010051282 2001-08-24
KR1020020031342 2002-06-04
KR20020031342 2002-06-0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354A Division KR100547740B1 (ko) 2001-08-24 2002-07-15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417A KR20040080417A (ko) 2004-09-18
KR100504145B1 true KR100504145B1 (ko) 2005-07-27

Family

ID=277366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354A KR100547740B1 (ko) 2001-08-24 2002-07-15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KR10-2004-0068468A KR100504145B1 (ko) 2001-08-24 2004-08-30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354A KR100547740B1 (ko) 2001-08-24 2002-07-15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5477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635B1 (ko) * 2002-11-02 2005-03-11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의 개폐장치
KR100474633B1 (ko) * 2002-10-30 2005-03-11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의 개폐장치
KR100485069B1 (ko) * 2002-08-16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장치
KR100485631B1 (ko) * 2002-12-11 2005-04-27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의 커버 개폐 및 로테이션장치
KR100974680B1 (ko) * 2003-03-27 201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영상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체결 구조
KR100965725B1 (ko) * 2003-04-25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100981560B1 (ko) * 2003-07-12 201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고정 장치
JP4215614B2 (ja) * 2003-10-22 2009-01-28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用ヒンジ
KR100983276B1 (ko) 2004-03-19 2010-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22241A (ko) * 2005-05-26 2006-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60126114A (ko) * 2005-06-03 200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KR20070065189A (ko) 2005-12-19 2007-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US7870645B2 (en) 2005-12-19 2011-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device and mobile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449754B1 (ko) 2008-05-14 2014-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KR101630459B1 (ko) * 2009-12-29 2016-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217B2 (ja) * 1997-07-08 2000-04-24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型電子機器
JP4298908B2 (ja) * 2000-11-20 2009-07-22 三菱製鋼株式会社 複数のトルク発生部を有する2軸ヒンジ
KR100465227B1 (ko) * 2002-04-01 2005-01-13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100455545B1 (ko) * 2002-06-17 2004-11-06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100450167B1 (ko) * 2002-03-02 2004-09-24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100468368B1 (ko) * 2002-04-03 2005-01-27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2축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417A (ko) 2004-09-18
KR20030017321A (ko) 2003-03-03
KR100547740B1 (ko) 200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88414B1 (en) Rotary type hinge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5941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10050414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KR10049035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US7522946B2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842529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7844050B2 (en) Biaxial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ounting mechanism thereof
US20040203517A1 (en) Mobile terminal and hinge device thereof
US7450978B2 (en) Sliding/folding-type portable terminal
US7036186B2 (en) Swing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KR20050097455A (ko) 스윙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JPH0879346A (ja) 携帯用電話機のヒンジ機構
KR100539919B1 (ko)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59401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KR1007035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US765702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1010587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8953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856221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403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112642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2 축 힌지 장치
KR101138539B1 (ko)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50114388A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439440Y1 (ko) 평행한 두 회전축을 갖는 힌지장치 및 그 힌지장치가장착된 휴대전화기
KR20070042713A (ko) 힌지 어셈블리 및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