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069B1 -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069B1
KR100485069B1 KR10-2002-0048421A KR20020048421A KR100485069B1 KR 100485069 B1 KR100485069 B1 KR 100485069B1 KR 20020048421 A KR20020048421 A KR 20020048421A KR 100485069 B1 KR100485069 B1 KR 100485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unit
right flow
fixing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168A (ko
Inventor
임희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8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069B1/ko
Publication of KR20040016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에 좌우로 일정한 힘을 인가하므로써 위로 열리도록 하는 폴더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며, 폴더부, 몸체부, 힌지부로 이루어지는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부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고정 형성되어 상기 폴더부를 상하 회전하도록 하는 몸체고정부와; 상기 폴더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고정부와 상하 회전 결합하는 폴더고정부와; 상기 폴더고정부와 좌우회전 결합상태로 일체 구성되며 상기 폴더부와 고정 결합하는 좌우유동부와; 상기 폴더고정부와 좌우유동부를 고정상태로 회전 결합하는 폴더축부와; 상기 좌우유동부에 일체로 회전 결합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좌우유동부와 스위치부를 회전상태로 고정 결합하는 스위치축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에 의하여, 폴더부를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 이상 회전하도록 힘을 인가하면, 폴더부가 몸체부로부터 분리되어 위로 열리도록 하므로써 폴더를 용이하게 여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장치{A DEVICE OF FOLDER OPENING FOR FOLDER TYPE MOBILE PHONE}
본 발명은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에 좌우로 일정한 각도 이상 움직이도록 힘을 인가하므로써 위로 열리도록 하는 폴더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는 관련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소형화되고, 일상업무를 하면서 통신 할 수 있는 장점에 의하여 개인통신용 수단으로 정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는 휴대하기 적당하도록, 소형이고 가벼워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디자인 중에서 현재, 폴더형이 가장 선호되는 외형이다.
그러나, 상기 폴더형 또는 이와 유사한 외형의 휴대단말기는 길이를 작게하는 장점이 있으나, 통신을 하기 위하여서는 접혀진 폴더를 상하로 열어야 하며, 상기와 같이 폴더를 상하로 열기 위하여서는 양손을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용방법이므로, 한 손으로 간편하게 여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외형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의 폴더형 휴대단말기 폴더개폐 동작설명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폴더(FOLDER)형 휴대단말기는 소리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는 스피커와 휴대단말기의 운용정보 및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등이 구비되면서 접혀지는 폴더부(10)와,
상기 폴더부(10)에 회전연결되는 것으로써, 다이얼링(DIALING)을 하는 다이얼부와 소리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 등이 구비되면서 기본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20)와,
상기 폴더부(10)와 몸체부(20)를 고정상태로 회전연결하며, 폴더의 열림(OPEN) 및 닫힘(CLOSE) 상태가 유지되도록 스프링이 내장되는 힌지부(30)와,
상기 몸체부(20)의 일측에 착탈식으로 부착되며, 휴대단말기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일반적인 폴더(FOLDER)형 휴대단말기 동작을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폴더부(10)와 몸체부(20)는 힌지부(30)에 형성되는 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만 접혔다 펴졌다 하고, 상기 상하방향으로 접혔다 펴졌다 하는 개폐상태의 유지는 상기 힌지(HINGE)부(30)에 내장된 스프링에 의한 작용이다.
상기 폴더부(10)에는 소리신호를 들을 수 있는 스피커(SPEAKER)와 각종 정보를 표시(DISPLAY)하는 것으로써, 일 예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20)에는 상대방 호출의 고유번호를 입력하고 문자정보 입력 및 특수기능을 수행하도록 해당 신호를 입력하는 다이얼(DIAL)부와, 사용자의 소리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MIC) 그리고, 내부에는 휴대단말기의 기능을 하는 회로부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0)에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써 충방전용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로 이루어지는 배터리부(40)가 착탈식으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폴더(FOLDER)형 휴대단말기는, 상기 힌지부(30)가 형성하는 일 축에 의하여 상기 폴더부(10)와 몸체부(20)가 상하방향으로만 열리(OPEN)고 닫히는(CLOSE) 일 방향 회전운동을 한다.
상기와 같은 폴더형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방을 호출하거나 또는 수신을 하는 경우, 상기 폴더부(10)를 몸체부(2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개폐를 위하여, 한 손으로는 몸체부(2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폴더부(10)에 힘을 인가하므로써 폴더가 열리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폴더형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이 완료되면, 상기 폴더부(10)와 몸체부(20)가 일체화되도록 닫으므로써 통신이 종료되고, 배터리부(40)로부터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폴더형 휴대단말기는, 폴더를 개폐하기 위하여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히, 일상 업무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착신에 의한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폴더부(10)를 몸체부(20)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므로, 현재 시급하게 진행하던 업무를 잠시 중단하여야 하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폴더부를 여는데 있어서, 한 손만으로 간편하게 열수 있는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폴더부, 몸체부, 힌지부로 이루어지는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힌지부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고정형성되어 상기 폴더부를 상하 회전하도록 하는 몸체고정부와; 상기 폴더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고정부와 상하 회전 결합하는 폴더고정부와; 상기 폴더고정부와 좌우회전 결합상태로 일체 구성되며 상기 폴더부와 고정 결합하는 좌우유동부와; 상기 폴더고정부와 좌우유동부를 고정상태로 회전 결합하는 폴더축부와; 상기 좌우유동부에 일체로 회전 결합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좌우유동부와 스위치부를 회전상태로 고정 결합하는 스위치축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폴더형 휴대단말기 폴더개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외형 상태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부의 동작상태 설명 정면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부의 동작상태 설명 평면도 이고,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 동작설명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장치는,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몸체부(25)의 상측 끝단 좌우 측에 일체로 각각 고정형성되어 폴더부(15)를 상하 회전하도록 하는 몸체고정부(100)와,
상기 폴더부(15)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고정부(100)와 상하회전 결합하는 폴더고정부(110)와,
상기 폴더고정부(110)와 좌우회전 결합상태로 일체 구성되며 상기 폴더부(15)와 고정 결합하는 좌우유동부(150)와,
상기 폴더고정부(110)와 좌우유동부(150)를 고정상태로 회전 결합하는 폴더축부(140)와,
상기 좌우유동부(150)에 일체로 회전 결합하는 스위치부(160)와,
상기 좌우유동부(150)와 스위치부(160)를 회전상태로 고정 결합하는 스위치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고정부(100)와 폴더고정부(110)는 제1 스프링(120)에 의하여 열리고 닫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좌우유동부(150)는 제2 스프링(130)에 의하여 상기 폴더부(15)의 중심선이 상기 몸체부(25)의 중심선과 일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160)는 일측 끝단에 작동자(165)를 형성하고,
상기 작동자(165)는 상기 좌우유동부(150)에 고정 결합되는 폴더부(15)의 좌우 이동에 의하여 상기 몸체고정부(10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고정자(170)와 접촉하므로써 상기 좌우유동부(150)를 상측으로 미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몸체고정부(100)는 일측단에 직경이 작고 중심축이 동일하며 상기 제1 스프링(120)의 일측단을 고정하는 단턱형상부(102)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폴더고정부(110)는 상기 몸체고정부(100)의 단턱형상부(102)가 삽입되어 회전체결되고 상기 제1 스프링(120)의 다른 일측을 고정하는 홈을 양측단에 각각 구비하며, 길이방향의 가운데 부분에는 상기 폴더축부(140)가 삽입고정되고 제2 스프링(130)이 실장되는 형상의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장치를 첨부된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단말기는, 몸체부(25)와 폴더부(15)와 힌지부(35)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힌지부(35)의 세부 구성이 본 발명에 의한 폴더개폐장치이다.
상기 몸체부(25)의 상측 끝단, 좌우 양측에는 몸체고정부(100)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몸체고정부(100)에는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동시에 지름 또는 직경이 작은 단턱형상부(102)가 형성되어 상기 폴더고정부(110)의 홈에 삽입된다.
상기 폴더고정부(110)는 양측단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고정부(100)의 단턱형성부(102)를 삽입하므로써 회전상태로 고정시키는 동시에 단턱형성부(102)와 상기 홈에는 제1 스프링(120)의 일단이 각각 고정된다.
상기 폴더고정부(110)의 길이방향 가운데 부분에는, 좌우유동부(150)가 폴더축부(140)에 의하여 회전상태로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좌우유동부(150)는 제2 스프링(130)에 의하여 힘이 외부로부터 인가되면, 좌우로 회전되고, 상기 외부로부터 인가된 힘이 제거되는 경우 설정된 원래의 상태로 원상 복귀된다.
상기 좌우유동부(150)에는 폴더부(15)가 고정상태로 부착되므로써, 외부로부터 상기 폴더부(15)에 일정한 힘이 인가되면, 상기 좌우유동부(15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좌우유동부(150)의 일측에는 스위치부(160)가 스위치축(162)에 의하여 회전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스위치부(160)의 끝단은 작동자(165)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고정부(100)에 일체로 구비되는 단턱형상부(102)는 그 끝단에 고정자(170)를 일체로 형성하므로써, 상기 스위치부(160)의 작동자(165)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폴더부(15)가 외부의 힘에 의하여 좌우로 움직이면, 상기 좌우유동부(150)는 폴더축부(140)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동시에 스위치축(162)에 의하여 좌우유동부(150)에 회전상태로 고정되는 스위치부(160)의 작동자(165)는 상기 고정자(170)의 일측면에 접촉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자(170)에 접촉하는 작동자(165)에 의하여 좌우회전운동을 더 이상 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좌우유동부(150)는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폴더부(15)에 좌우로 힘을 인가하면, 어느 정도 좌우로 회전하다가, 일정한 각도 이상이 되면, 상하 운동을 하게 되므로써 폴더부(15)가 열리게 된다.
따라서, 폴더형 휴대단말기를 한 손으로 잡고, 손가락을 이용하여 폴더부(15)에 일정한 각도의 힘을 인가하면, 상기 폴더부(15)가 열리게 된다.
상기 첨부된 도6을 참조하여 일 예로, 폴더가 열기는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폴더부(15)를 중심선 대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한 각도(θ) 이상 밀면, 상기 폴더가 열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스위치부(160)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좌우유동부(150)에 일체로 고정되는 폴더부(15)에 상기 중심선 대비 일정한 각도(θ) 이상의 힘을 인가하면, 또는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밀면, 상기 작동자(165)가 고정자(170) 쪽으로 밀리게 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자(170)의 일측 벽면에 의하여 더 이상 밀리지 못하고 멈추게 된다.
상기 폴더부(15)를 통하여 계속 힘이 인가되는 경우, 즉, 상기 중심선 대비 일정한 각도(θ) 이상 회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160)는 작동자(165)가 고정자(170)에 의하여 움직이지 못하고 길이는 줄이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갖는 스위치부(160)는 계속 인가되는 힘 또는 상기 중심선 대비 일정한 각도(θ) 이상 회전되는 힘에 의하여 줄어들지 못하므로, 상기 스위치축(162) 부위를 위 또는 아래도 움직이게 된다.
즉, 상기 스위치축(162)에 회전고정되는 좌우유동부(150)가 위 또는 아래로 움직여야 하며, 아래는 폴더고정부(110)에 의하여 더 이상 움직일 여유가 없게 되고, 따라서, 상기 좌우유동부(150)는 위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좌우유동부(150)가 위로 움직이게 되므로, 상기 폴더고정부(110)가 상기 몸체고정부(10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게 되고, 상기 좌우유동부(150)에 고정되는 폴더부(15)가 위로 열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폴더부(15)가 위로 열리게 되는 것은 상기 제1 스프링(120)의 탄성에 의하여 용이하게 열리는 동시에 열린 상태를 유지시켜주고, 상기 폴더부(15)에 인가되는 힘에 제거된 상태에서는 제2 스프링(130)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25)의 중심선과 폴더부(15)의 중심선이 일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폴더부(15)에 일정한 크기의 힘을 인가하여 일정한 각도(θ) 이상 회전하도록 하면, 상기 폴더고정부(110)가 회전하여 상기 폴더부(15)가 열리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폴더부를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 이상 회전하도록 힘을 인가하면, 폴더부가 몸체부로부터 분리되어 위로 용이하게 열리도록 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1 은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외형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의 폴더형 휴대단말기 폴더개폐 동작설명도 이며,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외형 상태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부의 동작상태 설명 정면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부의 동작상태 설명 평면도 이고,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 동작설명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15 : 폴더부 20,25 : 몸체부
30,35 : 힌지부 40 : 배터리부
100 : 몸체고정부 110 : 폴더고정부
120 : 제1 스프링 130 : 제2 스프링
140 : 폴더축부 150 : 좌우유동부
160 : 스위치부 162 : 스위치축
165 : 작동자 170 : 고정자

Claims (4)

  1. 폴더부, 몸체부, 힌지부로 이루어지는 폴더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고정형성되어 상기 폴더부를 상하 회전하도록 하는 몸체고정부와,
    상기 폴더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고정부와 상하회전 결합하는 폴더고정부와,
    상기 폴더고정부와 좌우회전 결합상태로 일체 구성되며 상기 폴더부와 고정 결합하는 좌우유동부와,
    상기 폴더고정부와 좌우유동부를 고정상태로 회전 결합하는 폴더축부와,
    상기 좌우유동부에 일체로 회전결합되고 일측 끝단에 작동자를 형성하며, 상기 작동자는 상기 좌우유동부에 고정 결합되는 폴더부의 좌우 이동에 의하여 상기 몸체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자와 접촉하므로써 상기 좌우유동부를 상측으로 미는 구성을 가지는 스위칭부와,
    상기 좌우유동부와 스위치부를 회전상태로 고정 결합하는 스위치축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고정부와 폴더고정부는 제1 스프링에 의하여 열리고 닫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좌우유동부는 제2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폴더부의 중심선이 상기 몸체부의 중심선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고정부는 일측단에 직경이 작고 중심축이 동일하며 상기 제1 스프링의 일측단을 고정하는 단턱형상부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폴더고정부는 상기 몸체고정부의 단턱형상부가 삽입되어 회전체결되며 상기 제1 스프링의 다른 일측을 고정하는 홈을 양측단에 각각 구비하며, 길이방향의 가운데 부분에는 상기 폴더축부가 삽입고정되고 제2 스프링이 실장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장치.
KR10-2002-0048421A 2002-08-16 2002-08-16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장치 KR100485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421A KR100485069B1 (ko) 2002-08-16 2002-08-16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421A KR100485069B1 (ko) 2002-08-16 2002-08-16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168A KR20040016168A (ko) 2004-02-21
KR100485069B1 true KR100485069B1 (ko) 2005-04-22

Family

ID=37322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421A KR100485069B1 (ko) 2002-08-16 2002-08-16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0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0636A (ja) * 1998-12-25 2000-09-05 Mitsubishi Steel Mfg Co Ltd ヒンジ機構
JP2002209000A (ja) * 2001-01-11 2002-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
JP2002227826A (ja) * 2001-02-06 2002-08-14 Precision Spring Kk ヒンジ装置
KR20030017321A (ko) * 2001-08-24 2003-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KR20030079258A (ko) * 2002-04-03 2003-10-10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2축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0636A (ja) * 1998-12-25 2000-09-05 Mitsubishi Steel Mfg Co Ltd ヒンジ機構
JP2002209000A (ja) * 2001-01-11 2002-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
JP2002227826A (ja) * 2001-02-06 2002-08-14 Precision Spring Kk ヒンジ装置
KR20030017321A (ko) * 2001-08-24 2003-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KR20030079258A (ko) * 2002-04-03 2003-10-10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2축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168A (ko) 200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58928B2 (ja) 携帯通信機
US20040203496A1 (en) Sliding type mobile telephone terminal
US20070146977A1 (en) Sliding and folding type portable terminal
KR20040079134A (ko) 바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탁상용 충전기
US7450968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lide portion
KR100663486B1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커버 개폐장치
KR100312546B1 (ko) 외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덮개가 슬라이딩개폐되는 폴더형휴대폰
KR20050050334A (ko) 스틱 기능을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장치
KR100485069B1 (ko)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폴더개폐장치
AU2004202349A1 (en) A wrist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sectioned keypad and antenna system
KR100337086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20010073959A (ko)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
KR20050117815A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350503B1 (ko) 목걸이 모듈 폰을 구비한 폴더형 단말기
KR100487223B1 (ko) 지향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마이크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KR100652627B1 (ko) 휴대폰의 자동 개폐 장치
KR200276837Y1 (ko) 폴더형 휴대전화기
KR100592182B1 (ko) 360도 회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4528B1 (ko) 회전형 폴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10448B1 (ko) 폴더 타입 및 바 타입 겸용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372884Y1 (ko) 회전형 폴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1102953A (ja) 折り畳み型携帯無線通信装置
KR100396522B1 (ko) 폴더형 통신 장치
KR200229956Y1 (ko) 폴더의 개폐구조
JPH07212440A (ja) 携帯移動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