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4002A -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4002A
KR20010024002A KR1020007002731A KR20007002731A KR20010024002A KR 20010024002 A KR20010024002 A KR 20010024002A KR 1020007002731 A KR1020007002731 A KR 1020007002731A KR 20007002731 A KR20007002731 A KR 20007002731A KR 20010024002 A KR20010024002 A KR 20010024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djustment
image
image display
adjustment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5904B1 (ko
Inventor
아카이와쇼이치
Original Assignee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카와 히데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24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4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9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ject the image of a two-dimensional display, such as an array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or a C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화상 신호(S1, S2)가 입력되는 화상 입력 수단(10)과, 화상 신호(S1, S2)에 근거하여 광학 상을 형성하는 화상 표시 수단(30)과, 장치 내부의 상태를 조정하는 장치 조정 수단(40)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1)에는 장치 조정 수단(40)의 조작을 지원하는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이 설정되어 있다.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유저는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에 의해 표시되는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확인하면서, 간단히 화상 표시 장치(1)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조정 방법{Video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djustment thereof}
종래부터, 화상 신호가 입력되는 화상 입력 수단과, 이 화상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광학 상을 형성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장치 내부의 상태를 조정하는 장치 조정 수단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광학적으로 처리하여 화상 정보에 따라 광학 상을 형성하여, 투사 렌즈에 의해 투사면 상에 확대 투사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투사형 표시 장치의 화상 입력 수단은 컴퓨터, 비디오 등의 여러가지의 외부기기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투사형 표시 장치에 이들 컴퓨터 등을 접속함으로써, 컴퓨터 등으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투사면 등의 대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에 의한 멀티미디어 프레전테이션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에는 여러가지의 컴퓨터 등이 접속되기 때문에, 접속되는 컴퓨터 등으로부터의 화상 신호, 음성 신호 등에 따라, 화상 표시 수단 등의 장치 내부의 상태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에는 통상, 화상 표시 수단에 의한 표시 화면 상에서, 화상 조정, 출력 음성 조정 등, 장치 내부의 상태를 조정하는 장치 조정 수단이 설정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장치 조정 수단에 의한 조정 항목에는 예를 들면, 리프레시 속도, 트랙킹, 수평 동기, 수직 동기 등의 전문 용어가 사용되어, 일반 유저에게 있어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일반 유저가 이들의 조정을 행하는 경우, 매뉴얼 등을 참조하면서 조정하지 않으면 안되어, 조정 작업이 번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불합리함이 생긴 경우, 어느 조정 항목을 조정하면 될 것 인가, 일반 유저에게는 알 수 없는 경우도 있고, 가장 적합한 상태의 화면 표시의 실현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신호가 입력되는 화상 입력 수단과, 이 화상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광학 상을 형성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장치 내부의 상태를 조정하는 장치 조정 수단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장치 조정 수단에 의한 조정을 간단히 행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화상 신호가 입력되는 화상 입력 수단과, 이 화상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광학 상을 형성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장치 내부의 상태를 조정하는 장치 조정 수단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조정 방법에 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수단의 광학계의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정 조작 지원 수단에 의한 지원 정보 항목(대분류)을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정 조작 지원 수단에 의한 지원 정보 항목(중분류)을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정 조작 지원 수단에 의한 지원 정보 항목(소분류)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정 조작 지원 수단에 의한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10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11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12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13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 신호가 입력되는 화상 입력 수단과, 이 화상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광학 상을 형성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장치 내부의 상태를 조정하는 장치 조정 수단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장치 조정 수단의 조작을 지원하는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이란, 장치 조정 수단에 의한 조정에 있어서 해당 조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헬프 기능을 가지는 것을 말하며,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장치에 생긴 현상에 따라, 무엇을 조정하면 되는 가 라는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화상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 화면으로서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유저는 이 조정 조작 지원 수단에 의한 조정 조작 지원 정보에 근거하여, 매뉴얼 등을 참조하지 않고, 장치 조정 수단에 의한 조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상술한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은 그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화상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이 화상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되는 조정 조작 지원 정보는 화상 표시 장치 및/또는 해당 화상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에 설정되어진 전환 스위치에 의해 표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정 조작 지원 정보가 전환 스위치에 의해 표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화상 표시 수단에 의해 화상 신호 등에 의한 화상이 표시되어 있어도, 전환 스위치에 의해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화상 표시 수단에 의해 언제라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조정 조작 지원 정보의 호출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특히, 리모트 콘트롤러에 전환 스위치가 설정되어 있으면, 프레전테이션에 있어서의 발표자가 직접,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호출하여 조정할 수 있으므로, 발표자의 발표 내용에 따른 적절한 화면 표시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은 화상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조정 조작 지원 정보에 근거하여, 장치 조정 수단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이 자치 조정 수단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유저가 취득한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참조하면서, 직접 조정 작업을 행할 수 있어, 화상 표시 장치의 조정 작업의 한층 더 간단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화상 표시 장치는 조정 조작 지원 정보가 복수의 지원 정보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복수의 지원 정보 항목 중, 표시 불필요라고 판별한 지원 정보 항목의 표시를 규제하는 정보 표시 판별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보 표시 판별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표시 불필요의 지원 정보 항목을 규제하여 필요 최소한의 지원 정보 항목만을 표시함으로써, 적절한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확실하게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은 복수의 지원 정보 항목을 계층 구조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계층 구조로 표시한다」란, 예를 들면, 지원 정보 항목 중, 화상에 관한 항목, 음성에 관한 항목 등의 조정 대상에 따른 항목을 대분류 항목으로서 표시하고, 선택된 조정 대상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에 따른 항목을 중분류 항목으로서 표시하고, 나타난 현상의 보다 상세한 상태에 관련된 항목을 소분류 항목으로서 표시하도록 한 경우 등을 말한다.
즉, 이와 같이 조정 조작 지원 수단에 의한 지원 정보 항목이 계층 구조로 표시되므로, 화상 표시 장치에 생긴 현상에 대하여 적절한 조정 지원 정보를 확실히 얻을 수 있어, 조작성이 한층 더 향상한다. 또한, 지원 정보 항목의 표시를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화상 신호에 따른 배경 화상의 시인성이 향상한다. 특히, 콘트라스트, 색조 등의 화질에 관한 조정을 행하는 경우, 배경 화상의 변화를 확인하면서 조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은 화상 표시 수단에 장치 내부의 상태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장치 내부의 상태」란 예를 들면, 입력되어 있는 화상 신호의 신호 모드나, 상술한 투사형 표시 장치이면, 광원의 사용 시간, 점등 회수, 광원 램프의 잔여 수명 시간 등을 말한다.
즉,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이 장치 내부의 상태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치 내부의 상태를 미리 확인할 수 있어, 유저가 사전에 조정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여, 조정 작업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조정 방법은 화상 신호가 입력되는 화상 입력 수단과, 이 화상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광학 상을 형성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장치 내부의 상태를 조정하는 장치 조정 수단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의 조정 방법으로서, 상기 장치 조정 수단에 의해 조정하는 조정 대상을 분류한 항목 정보를 제공하는 항목 정보 제공 단계와,
이 항목 정보 제공 단계에서 제공된 항목을 선택하는 항목 선택 단계와, 이 항목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항목에 관련된 조정 대상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 정보를 제공하는 현상 정보 제공 단계와, 이 현상 정보 제공 단계에서 표시된 현상을 선택하는 현상 선택 단계와, 이 현상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현상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 조정 수단에 의한 조정 조작을 지원하는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지원 정보 제공 단계를 구비하여, 이 지원 정보 제공 단계에서 제공된 조정 조작 지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들의 각 단계에 따라서 필요한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유저는 화상 표시 장치를 조정할 때에 매뉴얼 등을 참조하지 않고, 장치 조정 수단에 의한 적절한 조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한, 항목 정보 제공 단계에서 조정 대상을 분류한 항목으로서 제공하여, 선택된 조정 대상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을, 현상 정보 제공 단계에서 제공하고, 선택된 현상에 따른 조정 지원 정보를 지원 정보 제공 단계에서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화상 표시 장치에 생긴 현상에 대하여 적절한 지원 정보를 확실히 얻을 수 있어, 조작성이 한층 더 향상한다.
또한, 각 정보가 화상 표시 수단에 의한 표시 화면 상에 표시되는 경우, 이들 정보를 표시 화면 상에서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화상 신호에 따른 배경 화상의 시인성이 향상한다. 특히, 콘트라스트, 색조 등의 화질에 관한 조정을 행하는 경우, 배경 화상의 변화를 확인하면서 조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련된 화상 표시 장치의 조정 방법에 있어서, 상술의 화상 표시 장치에 따른 발명과 같은 한정을 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한정을 가하면, 상술한 각 작용 및 효과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화상 표시 장치(1)의 전체 구조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화상 표시 장치(1)는 화상 입력 수단(10), 신호 처리 수단(20), 화상 표시 수단(30), 장치 조정 수단(40), 스피커(50), CPU(60), 기억 수단(70) 및 조작 스위치(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상 입력 수단(10)은 컴퓨터, 비디오 기기 등의 외부기기가 접속되는 부분이고, 컴퓨터로부터의 RGB 신호(S1)가 입력되는 RGB 입력단자(11)와, 비디오 기기로부터의 콤포지트 비디오 신호(S2)가 입력되는 비디오 입력 단자(12)와, 컴퓨터 및 비디오 기기로부터의 음성 신호(S3)가 입력되는 음성 입력 단자(13)를 구비하고 있다.
신호 처리 수단(20)은 상기 화상 입력 수단(1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변환 처리하는 부분이고, 비디오 앰플리파이어(21), A/D 콘버터(22), 비디오 디코더(23) 및 오디오 앰플리파이어(24)를 구비하고 있다. 비디오 앰플리파이어(21)는 RGB 입력단자(11)로부터 입력된 RGB 신호(S1)를 증폭하는 부분이고, 그 출력은 A/D 콘버터(22)에 의해 아날로그 투 디지털 변환된다. 비디오 디코더(23)는 비디오 입력 단자(12)로부터 입력된 콤포지트 비디오 신호(S2)를 RGB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탈화하여 출력하는 부분이다. 오디오 앰플리파이어(24)는 음성 입력 단자(13)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S3)를 증폭 처리하는 부분이다.
장치 조정 수단(40)은 화상 입력 수단(10) 및 신호 처리 수단(20)을 거쳐 입력되는 화상 신호(S1, S2) 및 음성 신호(S3)의 조정을 행하는 부분이고, 화상 조정 수단(41) 및 음성 조정 수단(42)을 구비하고 있다. 화상 조정 수단(41)은 입력되는 RGB 신호(S1) 또는 콤포지트 비디오 신호(S2)에 의해, 화상 표시 수단(30)에 의해 적절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부분이다. 본 예의 경우, 이 화상 조정 수단(41)은 RGB 신호(S1)이면, 동기, 트랙킹, 리프레시 속도, 컬러, 표시 위치, 콘트라스트, 밝기 등을 조정할 수 있고, 콤포지트 비디오 신호(S2)이면, NTSC, PAL 등의 신호 방식, 색조, 색의 농도, 콘트라스트, 밝기 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음성 조정 수단(42)은 입력되는 음성 신호(S3)에 의해, 스피커(50)로부터 적절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부분이며, 주로 스피커(50)에서의 음량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CPU(60)는 화상 표시 장치의 내부 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술한 장치 조정 수단(40), 화상 표시 수단(30)에 제어 신호(SS1, SS2)를 출력하는 부분이고,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 및 정보 표시 판별 수단(62)을 구비하고 있다.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은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메뉴 화면으로서 표시시키도록, 화상 표시 수단(30)에 제어 신호(SS2)를 출력하는 동시에, 조작 스위치(80)에 의해 선택된 조정 항목에 근거하여, 화상 조정 수단(41) 및 음성 조정 수단(42)에 제어 신호(SS1)를 출력한다. 정보 표시 판별 수단(62)은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에 의해 화상 표시 수단(30)에 표시시켜야 되는 지원 정보 항목을 판별하는 부분이다.
또한, 도 1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이 CPU(60)는 램프 수명 비교 수단 및 과열 판별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램프 수명 비교 수단은 광원 램프 유닛(8)(후술)에 담지되는 광원 램프의 수명 시간, 수명 점등 회수, 교환 한계 시간 및 교환 한계점 등 회수 등의 데이터와, 기억 수단(70)을 구성하는 E2PROM(71)에 기억된 광원 램프(181)의 사용 시간 등의 데이터를 비교한다. 점등 회수의 데이터에 대해서도 비교하여도 관계없다. 과열 판별 수단은 장치 내부의 각 부분에 설정된 온도 센서(도시 생략)을를이용하여, 화상 표시 장치(1)의 내부에 과열된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광원 램프(181)의 사용 시간 등이 수명 시간 등을 상회하는 경우, 또는 장치 내부가 과열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화상 표시 수단(30)에 광원 램프(181)를 강제적으로 소등하는 취지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화상 표시 장치(1)의 전원의 투입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램프(도시 생략)를 점멸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1)는 화상 조정 수단(41)에 입력된 화상 신호가,RGB 신호(S1)인 것인가 콤포지트 비디오 신호(S2)인 것인가를 검출하는 신호 모드 검출 수단(6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신호 모드 검출 수단(63)에 의해 검출된 화상 신호의 신호 모드는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에 출력되고, 조정 조작 지원 정보와 함께, 화상 표시 수단(30) 상에 표시된다. 또한, 검출된 신호 모드는 정보 표시 판별 수단(62)에 출력되어,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에 의해 표시시키는 지원 정보 항목의 판별의 기준이 된다.
기억 수단(70)은 화상 표시 장치(1)의 내부 정보,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부분이고, E2PROM(Electric Eraser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71) 및 메모리(72)로 구성되어 있다. E2PROM(71)에는 후술하는 광원 램프(181)의 점등 회수, 사용 시간, 화상 표시 장치(1)의 사용 시간 등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메모리(72)도 마찬가지로 화상 표시 장치(1)의 전원을 차단하여도 기억 내용이 손실되지 않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이 메모리(72)에는 소정의 언어로 구성된 프로그램이 기억되고, 이 프로그램이 CPU(60)에 호출됨으로써, CPU(60)에 상술한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 및 정보 표시 판별 수단(62)이 구성된다.
(2) 화상 표시 수단(30)의 광학계 구조
화상 표시 수단(30)은 광원 램프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화상 신호에 따라 변조하는 광 변조계(925)(후술)와, 이 광 변조계(925)에 의해 변조된 변조 광속을 투사면에 확대 투사하는 형식의 투사형의 것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램프 유닛(8)과, 광원 램프 유닛(8)으로부터의 광속(W)의 면내 조도 분포를 균일화하는 조명 광학계(923)와, 이 조명 광학계(923)로부터의 광속(W)을, 적(R), 녹(G), 청(B)으로 분리하는 색 분리 광학계(924)와, 각 색 광속(R, G, B)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는 광 변조계(925)와, 변조 후의 각 색 광속을 합성하는 색 합성 광학계로서의 프리즘 유닛(9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광원 램프 유닛(8)은 광원 램프(181)와, 광원 램프(181) 및 리플렉터(182)로구성된 광원 장치를 수납하는 램프 가이드(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다. 이 램프 가이드에는 광원 램프(181)의 출력, 수명 시간, 수명 점등 회수 등의 램프 정보가 담지되어 있다. 이 담지된 램프 정보에 근거하여, 광원 램프(181)의 사용 시간의 적산, 수명 시간과의 비교 등이 행하여진다.
조명 광학계(923)는 광원 램프(181)로부터 출사된 광속(W)의 광축(1a)을 장치 전방향에 절곡되는 반사 미러(931)와, 이 반사 미러(931)를 끼워 배치된 제 1 렌즈판(921) 및 제 2 렌즈판(922)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렌즈판(921)은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구형 렌즈를 가지고 있고,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복수의 부분 광속으로 분할하여, 각 부분 광속을 제 2 렌즈판(922)의 근방에서 집광시킨다.
제 2 렌즈판(922)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구형 렌즈를 가지고 있고, 제 1 렌즈판(921)으로부터 출사된 각 부분 광속을 광 변조계(925)를 구성하는 라이트 밸브(925R, 925G, 925B)(후술) 상에 중첩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의 화상 표시 장치(1)에서는 조명 광학계(923)에 의해, 액정 라이트 밸브(925R, 925G, 925B) 상을 거의 균일한 조도의 빛으로 조명할 수 있으므로, 조도 불균일이 없는 투사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색 분리 광학계(924)는 청록 반사 다이크로익 미러(941)와, 녹색 반사 다이크로익 미러(942)와, 반사 미러(943)로 구성된다. 우선, 청록 반사 다이크로익 미러(941)에 있어서, 조명 광학계(923)로부터 출사되는 광속(W)에 포함되어 있는 청색 광속(B) 및 녹색 광속(G)이 직각으로 반사되고, 녹색 반사 다이크로익 미러(942)의 측을 향한다.
적색 광속(R)은 이 청록 반사 다이크로익 미러(941)를 통과하여, 후방의 반사 미러(943)에서 직각으로 반사되어, 적색 광속(R)의 출사부(944)로부터 프리즘 유닛(910) 측으로 출사된다. 다음에, 청록 반사 다이크로익 미러(941)에 있어서 반사된 청색, 녹색 광속(B, G) 중, 녹색 반사 다이크로익 미러(942)에 있어서, 녹색 광속(G)만이 직각으로 반사되어, 녹색 광속(G)의 출사부(945)로부터 색 합성 광학계 측으로 출사된다. 이 녹색 반사 다이크로익 미러(942)를 통과한 청색 광속(B)은 청색 광속(B)의 출사부(946)로부터 도광계(927) 측으로 출사된다. 본 예에서는 조명 광학계(923)의 광속(W)의 출사부로부터, 색 분리 광학계(924)에 있어서의 각 색 광속의 출사부(944, 945, 946) 까지의 거리가 모두 같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색 분리 광학계(924)의 적색, 녹색 광속(R, G)의 출사부(944, 945)의 출사측에는 각각 집광 렌즈(951, 952)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출사부로부터 출사된 적색, 녹색 광속(R,G)은 이들의 집광 렌즈(951, 952)에 입사하여 평행화된다.
이와 같이 평행화된 적색, 녹색 광속(R,G)은 입사측 편광판(960R, 960G)을 통과하여 액정 라이트 밸브(925R, 925G)에 입사하여 변조된다. 한편, 청색 광속(B)은 도광계(927)를 통해 대응하는 액정 라이트 밸브(925B)에 유도되어, 마찬가지로 변조가 실시된다.
액정 라이트 밸브(925R, 925G, 925B)는 p-si-TFT을 스위칭 소자로서 사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패널이고, 도 2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각 액정 라이트 밸브(925R, 925G, 925B)의 화소를 구동하기 위해, 데이터측 구동 드라이버 및 주사측 구동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있다.
도광계(927)는 청색 광속(B)의 출사부(946)의 출사측에 배치한 집광 렌즈(954)와, 입사측 반사 미러(971)와, 출사측 반사 미러(972)와, 이들 반사 미러 사이에 배치한 중간 렌즈(973)와, 액정 라이트 밸브(925B)의 앞측에 배치한 집광 렌즈(953)로 구성되어 있고, 집광 렌즈(953)로부터 출사된 청색 광속(B)은 입사측 편광판(960B)를 통과하여 액정 라이트 밸브(925B)에 입사하여 변조된다. 각 색 광속의 광로 길이, 즉, 광원 램프(181)로부터 각 액정 패널까지의 거리는 청색 광속(B)이 가장 길게 되고, 따라서, 이 광속의 광량 손실이 가장 많아진다. 그러나, 도광계(927)를 개재시킴으로써, 광량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액정 라이트 밸브(925R, 925G, 925B)를 통과하여 변조된 각 색 광속(R,G,B)은 출사측 편광판(961R, 961G, 961B)을 통과하여 프리즘 유닛(910)에 입사되어, 여기서 합성된다. 그리고, 이 프리즘 유닛(910)에 의해 합성된 컬러 화상이 투사 렌즈 유닛(6)을 통해 소정의 위치에 있는 투사면(100) 상에 확대 투사 되도록 되어 있다.
(3) 조작 스위치(80)의 구조
상술한 투사형 화상 표시 장치(1)의 각 구성 부재는 비도시의 외장 케이스 내에 수납되고, 이 외장 케이스의 상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내부의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80)가 설정되어 있다.
조작 스위치(80)는 전원 스위치 버튼(81), 입력 전환 버튼(82), 메뉴 버튼(83), 리사이즈 버튼(84), AV/뮤트 버튼(85), 트랙킹 조정 버튼(86), 동기 조정 버튼(87), 결정 버튼(88), 헬프 버튼(89) 및 음량 조정 버튼(91)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 버튼(81)은 화상 표시 장치(1)의 전원 투입 및 전원 차단을 행하는 버튼이고, 입력 전환 버튼(82)은 투사면(100)에 투사하는 투사 화상을, RGB 신호(S1)에서의 것으로 할것인가, 콤포지트 비디오 신호(S2)에서의 것으로 할 것인 가를 전환하는 버튼이다. 메뉴 버튼(83)은 화상 표시 장치(1)의 현재의 설정이 어떻게 되어 있는 가를 확인하는 버튼이며, 화상 신호(S1, S2)에 근거한 투사 화상의 투사 중에 이 메뉴 버튼(83)을 누르면, 수직, 수평 동기 주파수, 해상도, 램프 구동 시간 등의 화상 표시 장치(1)의 현재의 상태가 표시된다.
리사이즈 버튼(84)은 투사면(100)상에 투사되는 투사 화상의 크기를 조정하는버튼이고, AV/뮤트 버튼(85)은 투사 화상 표시 중의 조작에 의해 일정색의 블랭크 화면이나 유저 로고 마크를 전환 표시하는 동시에 스피커(50)로부터의 음성 출력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버튼이다. 트랙킹 조정 버튼(86)은 화상 표시 수단(30)의 트랙킹 조정을 행하기 위한 버튼이고, + 방향 조정 버튼(861) 및 -방향 조정 버튼(862)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기 조정 버튼(87)은 화상 표시 수단(30)의 수평 동기 조정을 행하기 위한 버튼이고, 트랙킹 조정 버튼(86)과 같이, + 방향 조정 버튼(871) 및 -방향 조정 버튼(872)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트랙킹 조정 버튼(86) 및 동기 조정 버튼(87)은 후술하는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표시하는 헬프 메뉴 화면(102)의 표시 상태에 있어서는 커서 이동 키로서의 역할도 가지고 있다.
결정 버튼(88)은 트랙킹 조정 버튼(86) 및 동기 조정 버튼(87)으로 조정한 트랙킹, 수평 동기에 의해, 투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결정하는 버튼이고, 그 버튼상에는 조작의 용이를 위해, 행바꿈(Enter) 마크가 부가되어 있다. 헬프 버튼(89)은 후술하는 투사 화상(101)을 배경으로 하여 헬프 메뉴 화면(102)을 바꾸어 표시하는 전환 스위치로서의 버튼이고, 그 버튼상에는 결정 버튼(88)과 마찬가지로 조작의 용이를 위해, 매H매}-쿠가 부가되어 있다. 또한, 음량 조정 버튼(91)은 스피커(5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음량을 조정하는 버튼이다.
한편,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본 예의 화상 표시 장치(1)는 해당 화상 표시 장치(1)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리모트 콘트롤러를 구비하며, 이 리모트 콘트롤러에는 상술한 조작 스위치(80)와 대략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조정·전환 버튼이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유저인 발표자 등이 발표 중, 투사 화상을 부분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E-줌용 커스텀 버튼이 설정되어 있다.
(4)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의 동작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투사형 화상 표시 장치(1)에 있어서,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의 동작에 관해서, 도 4의 플로우챠트 및 도 5 내지 도 8의 표시 화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은 화상 표시 장치(1)에 컴퓨터를 접속하여, RGB 신호(S1)가 입력되어 투사 화상이 표시된 경우에 있어서, 투사 화상에 흔들림이 생기기 때문에, 트랙킹 조정을 행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1) 투사 화상의 표시 중에 조작 스위치(80)의 헬프 버튼(89)을 누르면, 항목 정보 제공 단계가 실행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사 화상(101)을 배경으로서 헬프 메뉴 화면(102)이 표시되고, 화상 표시 장치(1)의 어느 부분에 문제가 생겼는 가를 선택하는 대분류 항목이 표시된다(도 4에 있어서의 A1). 본 예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대분류 항목은 「영상에 관한 항목」,「음성에 관한 항목」,「인디케이터가 점멸」로 구성되어 있다. 「영상에 관한 항목」은 화상 신호(S1, S2)와 화상 표시 수단(30)과의 매칭에 문제가 생긴 경우, 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항목이다. 「음성에 관한 항목」은 음성 신호(S3)가 입력되어 있어도, 스피커(50)로부터 적절한 음성 출력되지 않는 경우, 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항목이다. 「인디케이터가 점멸」은 화상 표시 장치(1)의 전원을 투입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광원 램프(181)가 점등하지 않을 때, 또는 온도 센서가 과열 상태를 감지했을 때에, 인디케이터 램프가 점멸하고 있는 경우, 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항목이다.
(2) 상기 헬프 메뉴 화면(102)의 하부에는 헬프 메뉴 화면(102) 상에 있어서의 조작 방법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며, 조작자는 투사 화상(101)을 보면서, 조작 스위치동기 조정 버튼(87)의 + 방향 조정 버튼(871) 및 -방향 조정 버튼(872)에 의해, 선택하는 대분류 항목에 커서를 이동하여, 행바꿈 마크가 붙은 결정 버튼(88)을 누르면, 항목 선택 단계가 실행된다(도 4에 있어서의 A2). 한편,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작 스위치(80)의 「?」 마크가 부가된 헬프 버튼(89)을 누르면, 헬프 메뉴 표시 화면(102)이 표시된 상태에서, 통상의 화면으로 복귀한다.
(3) 결정 버튼(88)에 의해 대분류 항목을 선택하면, 현상 정보 제공 단계가 실행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한 대분류 항목에 속하는 중분류 항목이 헬프 메뉴 화면(102)상에 표시된다(도 4에 있어서의 A3). 본 예의 경우, 투사 화상에 흔들림이 생기고 있으므로, 대분류 항목에서 「영상에 관한 항목」을 선택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에 관한 중분류 항목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술과 같은 순서로「화상이 흔들린다」를 선택, 결정한다(도 4에 있어서의 A4). 한편, 상기 중분류 항목에 관련된 헬프 메뉴 화면(102)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대분류 항목에 관련된 헬프 메뉴 화면(102)(도 5 참조)으로 되돌아가고 싶은 경우,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메뉴 버튼(83)을 누르면 되고, 통상의 화면으로 복귀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헬프 버튼(88)을 누르면 된다.
(4) 화상 표시 장치(1)의 내부에서는 상술한 정보 표시 판별 수단(62)이 신호 모드 검출 수단(63)을 통해 입력된 화상 신호가 RGB 신호(S1)인 것을 인식하여,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이 콤포지트 비디오 신호(S2)에 근거한 소분류 항목을 표시하는 것을 규제한다(도 4에 있어서의 A5). 또한, 상술한 중분류 항목에는 소분류 항목을 갖지 않은 항목도 있음으로, 그 경우는 소분류 항목의 표시를 스킵하고,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표시한다(도 4에 있어서의 분기 처리 A6).
(5) 중분류 항목이 결정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한 중분류 항목에 속하는 소분류 항목이 표시된다(도 4에 있어서의 A7). 그리고, 상술과 같은 순서로「화면에 세로 줄무늬의 노이즈가 나타난다」를 선택하여, 현상 선택 단계를 실행하면(도 4에 있어서의 A8),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소분류 항목에 대응하는 조정 조작 지원 정보가 헬프 메뉴 화면(102)상에 표시된다(도 4에 있어서의 A9).
(6) 도 8에 도시된 트랙킹에 관한 조정 조작 지원 정보의 표시에 있어서, 헬프 메뉴 화면(102)상에서 화상 조정 수단(41)을 조작하여, 조정 실행 단계를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조정 조작 지원 정보에 의해서는 헬프 메뉴 화면(102)상에서 조정할 수 없는 것도 있다. 따라서,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은 선택된 지원 정보 항목이 화면상에서 화상 조정 가능한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도 4에 있어서의 분기 처리 A10), 화상 조정 가능한 경우에만 화면상에서 화상 조정에 대한 제어 신호(SS1)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4에 있어서의 처리 A11). 구체적으로는 조정 실행 단계의 실행시에서는 트랙킹 조정 버튼(86)의 + 방향 조정 버튼(861) 및 -방향 조정 버튼(872)을 조작함으로써, 도 8의 헬프 메뉴 화면(102) 중의 트랙킹의 수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트랙킹 조정에 따른 헬프 메뉴 화면(102)에 있어서, 화면 하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뉴 버튼(83) 또는 결정 버튼(88)을 누르면, 전단의 소분류 항목을 표시한 헬프 메뉴 화면(102)(도 7 참조)으로 되돌아갈 수 있으며, 헬프 버튼(89)을 누르면, 통상의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5)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 및 정보 표시 판별 수단(62)의 구체적인 구성
이상과 같은 동작을 하는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 및 정보 표시 판별 수단(62)은 헬프 버튼(89)을 누르면, 메모리(72)로부터 CPU(60)에 호출되는 프로그램이며, 도 4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된다.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은 항목 정보 제공 단계, 현상 정보 제공 단계 및 조정 지원 정보 제공 단계를 실행하기 위해서, 대분류 항목, 중분류 항목, 소분류 항목 등의 지원 정보 항목의 선택에 따라 다른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표시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분류 항목, 중분류 항목, 분기 조건 및 소분류 항목에 따라, 분기 처리를 행하는 계층 구조의 프로그램으로서 구성된다. 최종적으로 헬프 메뉴 화면(102)에 표시되는 조정 조작 지원 정보의 표시 메세지는 소분류 항목의 분기 패턴에 따라 설정되고, 도 9 내지 도 11의 우측 끝의 메세지 번호에 따라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메세지 표시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된 메세지에 대응하는 조정이 헬프 메뉴 화면(102)상에서 가능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스위치(80)의 각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1)의 내부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은 지원 정보 항목의 선택에 따라서는 E2PROM((71) )로부터 취득한 광원 램프(181)의 사용 시간, 점등 회수나, 신호 모드 검출 수단(63)에 의해 검출된 화상 신호의 신호 모드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정보 표시 판별 수단(62)은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에 부수적으로 설정된 프로그램이며, 대분류 항목 내지 소분류 항목에 이르는 지원 정보 항목에 있어서, 신호 모드 검출 수단(63), E2PROM(71) 등에 의해 취득된 장치 내부의 상태에 관한 정보로부터, 표시 불필요한 지원 정보 항목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에 의한 그의 표시를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예의 경우, 도 9 내지 도 11의 지원 정보 항목 중, 다음과 같은 경우, 정보 표시 규제 수단(62)이 지원 정보 항목의 표시를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 화상 표시 장치(1)의 전원 투입 시, 상술한 CPU(60)의 램프 수명 비교 수단에서는 광원 램프(181)의 사용 시간과 수명 시간과의 비교를 행하고, 과열 판별 수단에서는 장치 내부의 과열 상태를 판별하고 있다. 이들이 소정의 임계치에 달하지 않고, 이대로 사용 가능하다고 판별된 경우, 정보 표시 판별 수단(62)은 대분류 항목의「인디케이터의 점멸」이라고 하는 표시를 규제한다.
(2) 상술과 같이, 램프 수명 비교 수단에 의해 광원 램프의 사용 시간이 교환 한계 시간에 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 정보 표시 판별 수단(62)은 대분류 항목「영상에 관한 항목」의 중분류 항목「색조가 어둡다」 및 「영상이 어둡다」에 있어서의 「램프를 교환하여 주십시오. 이후 xxxx 시간에 자동적으로 램프가 소등됩니다」라고 하는 조정 조작 지원 정보의 표시를 규제한다.
(3) 화상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신호 모드 검출 수단(63)이 RGB 신호(S1) 또는 콤포지트 비디오 신호(S2) 중 어느 하나인 것을 검출하고 있는 경우, 정보 표시 판별 수단(62)은 대분류 항목「영상에 관한 항목」의 중분류 항목「『이 신호는 본 프로젝터에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형태입니다』라고 표시된다」의 표시를 규제한다. 마찬가지로, 신호 모드 검출 수단(63)이 화상 신호를 검출하고 있는 경우, 정보 표시 판별 수단(62)은 대분류「영상에 관한 항목」의 중분류 항목「『영상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습니다』라고 표시된다」의 표시를 규제한다.
(4) 마찬가지로, 음성 신호(S3)가 CPU(60)에 의해 검출되어 있는 경우, 정보 표시 판별 수단(62)은 대분류 항목「음성에 관한 항목」의 중분류 항목「소리가 나지 않는다」에 있어서의 「외부 오디오 기기의 전원은 들어가 있습니까 ?」 및 「음량이 작은 설정으로 되어 있습니다.」라고 하는 조정 조작 지원 정보의 표시를 규제한다.
(6) 실시예의 효과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즉, 화상 표시 장치(1)가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유저는 이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에 의한 조정 조작 지원 정보에 근거하여, 매뉴얼 등을 참조하지 않고, 장치 조정 수단(40)에 의한 조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예와 같은 투사형 화상 표시 장치(1)는 학회 발표 등에서 다수의 발표자에 의해 이용되는 경우가 많고, 그 효과는 크다.
(2) 또한, 조정 조작 지원 정보가 전환 스위치가 되는 헬프 버튼(89)에 의해 표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화상 표시 수단(30)에 화상 신호(S1, S2) 등에 의한 투사 화상(101)이 표시되어 있어도,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표시하는 헬프 메뉴 화면(102)을 언제나 표시할 수 있어, 조정 조작 지원 정보의 호출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3) 또한,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이 조정 실행 단계에 의해 장치 조정 수단(40)을 표시 화면 상에서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유저가 취득한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참조하면서, 직접 조정 작업을 행할 수 있어, 화상 표시 장치(1)의 조정 작업의 한층 더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4)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1)가 정보 표시 판별 수단(62)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표시 불필요의 지원 정보 항목을 규제하여 필요 최소한의 지원 정보 항목만을 표시함으로써, 적절한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확실히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5) 또한,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계층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항목 정보 제공 단계, 항목 선택 단계, 현상 정보 제공 단계, 현상 선택 단계 및 조정 지원 정보 제공 단계를 단계적으로 실행하고 있으므로, 화상 표시 장치(1)에 생긴 현상에 대하여 적절한 조정 지원 정보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지원 정보 항목의 표시를 필요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화상 신호(S1, S2)에 따른 배경 화상(101)의 시인성이 향상한다. 특히, 콘트라스트, 색조 등의 화질에 관한 조정을 행하는 경우, 배경 화상(101)의 변화를 확인하면서 조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6) 또한,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이, 광원 램프(181)의 사용 시간, 입력된 화상 신호(S1, S2)의 신호 모드, 신호 방식 등의 장치 내부의 상태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장치 내부의 상태를 미리 확인할 수 있어, 유저가 사전에 조정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여, 조정 작업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7) 실시예의 변형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에 예시되는 바와 같은 변형도 포함하는 것이다.
(1) 상기 실시예의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은 화상 표시 장치(1)의 외장 케이스에 설정된 조작 스위치(80)를 조작함으로써 동작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화상 표시 장치(1)를 원격 조작하는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을 동작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동작시킴으로써, 프레전테이션 등에 있어서의 발표자가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확인하면서 직접 조정할 수 있으므로, 발표자의 발표 내용에 따른 적절한 화면 표시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2)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지원 정보 항목의 계층 구조를, 프로그램 내부의 분기 처리를 이용하여 구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조정 조작 지원 수단(61)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테이블 구조를 가지는 데이터 베이스형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3)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1)는 액정 라이트 가이드(925R, 925G, 925B)를 변조 소자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TI 사의 등록 상표) 등 다른 방식의 것을 변조소자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본 발명을 이용하여도 된다.
(4)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1)는 투사형 화상 표시 장치이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CRT 디스플레이, LCD 디스플레이 등, 통상의 화상 표시 장치에 본 발명을 이용하여도 된다.
(5) 기타,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구조 등으로 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조정 방법에 의하면, 조정 조작 지원 정보에 근거하여 장치 조정 수단에 의한 조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어, 특히,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광학적으로 처리하여 화상 정보에 따라 광학 상을 형성하고, 투사 렌즈에 의해 투사면 위에 확대 투사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데 적합하다.

Claims (11)

  1. 화상 신호가 입력되는 화상 입력 수단과, 이 화상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광학 상을 형성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장치 내부의 상태를 조정하는 장치 조정 수단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장치 조정 수단의 조작을 지원하는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은 그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상기 화상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이 화상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조정 조작 지원 정보는 해당 화상 표시 장치 및/또는 해당 화상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에 설정된 전환 스위치에 의해 표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은 상기 화상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조정 조작 지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 조정 수단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조작 지원 정보는 복수의 지원 정보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복수의 지원 정보 항목 중, 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별된 지원 정보 항목의 표시를 규제하는 정보 표시 판별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은 상기 복수의 지원 정보 항목을 계층 구조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조작 지원 수단은 상기 화상 표시 수단에 장치 내부의 상태를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7. 화상 신호가 입력되는 화상 입력 수단과, 이 화상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광학 상을 형성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장치 내부의 상태를 조정하는 장치 조정 수단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의 조정 방법으로서,
    상기 장치 조정 수단에 의해 조정하는 조정 대상을 분류한 항목 정보를 제공하는 항목 정보 제공 단계와,
    이 항목 정보 제공 단계에서 제공된 항목을 선택하는 항목 선택 단계와,
    이 항목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항목에 관계되는 조정 대상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 정보를 제공하는 현상 정보 제공 단계와,
    이 현상 정보 제공 단계에서 표시된 현상을 선택하는 현상 선택 단계와,
    이 현상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현상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 조정 수단에 의한 조정 조작을 지원하는 조정 조작 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지원 정보 제공 단계를 구비하며,
    이 지원 정보 제공 단계에서 제공된 조정 조작 지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조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조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정보, 상기 현상 정보 및 상기 지원 정보는 상기 화상 표시 수단에 의한 표시 화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항목 선택 단계 및 상기 현상 선택 단계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 및/또는 상기 화상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에 설정된 조작 스위치에 의해 실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조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 정보 제공 단계에서 제공된 조정 조작 지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화면 상에서 상기 장치 조정 수단을 실행하는 조정 실행 단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조정 방법.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현상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화상 입력 수단에 입력되는 화상 신호 등의 장치 내부의 정보를 취득하는 동시에, 제공하는 항목 정보 및 현상 정보 중, 표시가 불필요하다고 판별된 정보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조정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정보 제공 단계는 취득한 장치 내부의 정보를 상기 현상 정보와 함께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조정 방법.
KR10-2000-7002731A 1998-07-15 1999-07-02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조정 방법 KR100505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01007 1998-07-15
JP20100798 1998-07-15
PCT/JP1999/003606 WO2000004530A1 (fr) 1998-07-15 1999-07-02 Dispositif d'affichage pour video et procede de reglage correspond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4002A true KR20010024002A (ko) 2001-03-26
KR100505904B1 KR100505904B1 (ko) 2005-08-04

Family

ID=1643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731A KR100505904B1 (ko) 1998-07-15 1999-07-02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7265765B1 (ko)
EP (1) EP1022717B1 (ko)
JP (4) JP4554079B2 (ko)
KR (1) KR100505904B1 (ko)
CN (1) CN1107937C (ko)
AU (1) AU765536B2 (ko)
BR (1) BR9906598A (ko)
CA (1) CA2302422C (ko)
DE (1) DE69938815D1 (ko)
TW (1) TW416225B (ko)
WO (1) WO20000045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5666B2 (ja) 2002-03-25 2008-05-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AU2003288615A1 (en) * 2003-01-29 2004-08-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projection display system with image source memory and additional integrated memory for storing supplementary images
JP4331488B2 (ja) * 2003-02-20 2009-09-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集積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228854B2 (ja) * 2003-09-18 2009-02-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US20080018810A1 (en) * 2004-11-25 2008-01-24 Toshihiro Moriiwa Picture Display Device
CN101472146B (zh) * 2007-12-28 2010-11-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视频监控系统及方法
CN102378039A (zh) * 2010-08-12 2012-03-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影像感测板检测装置、系统及方法
JP6168353B2 (ja) * 2013-09-13 2017-07-26 株式会社リコー 光偏向装置、画像形成装置、車両、光偏向装置の制御方法、及び光偏向装置の調整方法
JP6277075B2 (ja) * 2014-07-16 2018-02-07 株式会社ミツトヨ 硬さ試験機
CN106531099A (zh) * 2016-12-13 2017-03-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屏的亮度调节装置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4764A (en) * 1983-03-07 1985-04-30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Video monitor with automatic switching between RF and baseband video signals
JPS6439991A (en) * 1987-08-07 1989-02-10 Taiyo Kagaku Kk Silencer base sequence
JPH01269578A (ja) * 1988-04-20 1989-10-27 Brother Ind Ltd 電子機器のオプション検出装置
JP3178531B2 (ja) * 1988-11-15 2001-06-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メニュー提示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
US5086385A (en) * 1989-01-31 1992-02-04 Custom Command Systems Expandable home automation system
JPH02287872A (ja) * 1989-04-28 1990-11-27 Toshiba Corp データ処理装置
US5136397A (en) * 1989-10-31 1992-08-04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video projector having lamp and cooling control and remote optics and picture attribute controls
JP3052318B2 (ja) 1989-10-31 2000-06-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809234B2 (ja) 1990-10-31 1998-10-08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多画面プロジェクタ
JPH0511953A (ja) 1991-07-03 1993-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操作ガイダンス表示装置
JP3341290B2 (ja) * 1991-09-10 2002-11-05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JPH0593953A (ja) 1991-10-01 1993-04-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投写型画像表示装置
JPH05130685A (ja) 1991-11-05 1993-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JP2730363B2 (ja) 1991-12-09 1998-03-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05183964A (ja) 1991-12-27 1993-07-23 Nec Eng Ltd モニタ信号読み込み回路
JPH05183946A (ja) * 1992-01-07 1993-07-23 Sony Corp オンスクリーン表示装置
JPH06125479A (ja) 1992-10-12 1994-05-06 Stanley Electric Co Ltd 液晶ビデオ投影装置
JPH07111624A (ja) 1993-10-12 1995-04-25 Sony Corp ビデオ機器の操作装置
JPH07123404A (ja) 1993-10-20 1995-05-12 Fujitsu General Ltd 衛星放送チューナ
JPH0865587A (ja) 1994-08-25 1996-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イド機能付きテレビ受信機
JP3046508B2 (ja) 1994-10-27 2000-05-2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操作ガイダンス表示装置
US5602625A (en) * 1994-08-31 1997-02-11 Sharp Kabushiki Kaisha Operation guidance display apparatus of image forming apparatus
CA2157623C (en) * 1994-09-20 1999-12-21 Lars Stig Sorens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radio communication menu
JPH08245062A (ja) 1995-03-15 1996-09-24 Ricoh Co Ltd 記録装置における記録紙の取り出し方法とその装置
US6009234A (en) * 1995-04-14 1999-12-28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reproducing information
US5821932A (en) * 1995-05-18 1998-10-13 Sun Microsystems, Inc. Dynamic dialog box facility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mputer system video display
JPH08331608A (ja) 1995-06-01 1996-12-13 Sony Corp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の調整方法
JPH08340585A (ja) 1995-06-13 1996-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操作ガイド装置
JPH099171A (ja) * 1995-06-22 1997-01-10 Sony Corp 画像出力装置
JPH0955895A (ja) 1995-08-17 1997-02-25 Hitachi Ltd テレビジョン表示装置
JP3781812B2 (ja) * 1995-10-31 2006-05-31 ソニー株式会社 背面投射型映像装置及びランプ管理情報表示制御装置
JP3525589B2 (ja) 1995-11-06 2004-05-1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5794142A (en) * 1996-01-29 1998-08-1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obile terminal having network services activation through the use of point-to-point short message service
DE69733390T2 (de) * 1996-04-10 2005-10-13 Seiko Epson Corp. Beleuchtungseinheit, lichtquellen- und projektionsanzeigevorrichtung
SG71025A1 (en) * 1996-05-14 2000-03-21 Sony Corp Display control device
JP3894240B2 (ja) * 1996-05-14 2007-03-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US6008836A (en) 1996-06-03 1999-12-28 Webtv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elevision display control using a browser
KR100213098B1 (ko) * 1997-03-14 1999-08-02 윤종용 전자 화폐 단말 기능을 내장한 방송 수신기와 그 수행방법
JPH10301624A (ja) * 1997-04-24 1998-11-13 Hitachi Ltd 適応型情報表示装置
FR2766592B1 (fr) * 1997-07-23 1999-08-27 Bull Sa Dispositif et procede de regulation dynamique de l'attribution des ressources sur un systeme informatique
JP3527633B2 (ja) * 1997-10-22 2004-05-1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
US6452607B1 (en) * 1998-02-04 2002-09-17 Hewlett-Packard Company Context sensitive user interface help feature
US6100886A (en) * 1998-02-18 2000-08-08 Tatung Co., Ltd. Help service function control device added to a multi-channel monitor of a personal computer
US6799327B1 (en) * 1998-07-14 2004-09-28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 guide with selectable advertisements and pseudo-ads
US6542163B2 (en) * 1999-05-05 2003-04-0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levant tips to a user of an application program
US7000187B2 (en) * 1999-07-01 2006-02-14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ware technical support and trai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42169A1 (en) 2007-10-18
EP1022717B1 (en) 2008-05-28
AU765536B2 (en) 2003-09-18
CA2302422C (en) 2009-02-24
US8395563B2 (en) 2013-03-12
CN1107937C (zh) 2003-05-07
BR9906598A (pt) 2000-07-18
TW416225B (en) 2000-12-21
JP2010044396A (ja) 2010-02-25
US8354976B2 (en) 2013-01-15
CN1274455A (zh) 2000-11-22
WO2000004530A1 (fr) 2000-01-27
CA2302422A1 (en) 2000-01-27
EP1022717A1 (en) 2000-07-26
JP2012008590A (ja) 2012-01-12
JP4957772B2 (ja) 2012-06-20
AU5194699A (en) 2000-02-07
DE69938815D1 (de) 2008-07-10
JP4554079B2 (ja) 2010-09-29
JP2010039494A (ja) 2010-02-18
JP4957771B2 (ja) 2012-06-20
KR100505904B1 (ko) 2005-08-04
JP4993029B2 (ja) 2012-08-08
US20110209060A1 (en) 2011-08-25
US7265765B1 (en) 2007-09-04
EP1022717A4 (en) 2004-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7771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調整方法
JPH0823501A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US7119855B2 (en) Image display with display-switching function
JP3812126B2 (ja) 画像表示装置
US7370980B2 (en) Projection type video display
US6820984B2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ler
JP2011128257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3968853B2 (ja) 画像表示装置
JP3829873B2 (ja) 画像表示装置
JP4238923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5017495A (ja) プロジェクタ
JP2010107864A (ja) プロジェクタ
JPH11295811A (ja) プロジェクタ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2006293124A (ja) プロジェクタ
KR101017150B1 (ko) 프로젝터의 화면크기 조정장치 및 방법
JP2009069258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H11298830A (ja) 投写型表示装置
JP2017107088A (ja) 画像投射装置
JP2004151658A (ja) プロジェクタ
JP2015215479A (ja) 演台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
KR20060104806A (ko) 프로젝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