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1743A - 부품실장기 - Google Patents

부품실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1743A
KR20010021743A KR1020007000306A KR20007000306A KR20010021743A KR 20010021743 A KR20010021743 A KR 20010021743A KR 1020007000306 A KR1020007000306 A KR 1020007000306A KR 20007000306 A KR20007000306 A KR 20007000306A KR 20010021743 A KR20010021743 A KR 20010021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huck
nail
hea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1290B1 (ko
Inventor
가도타쇼죠
히구치모토히로
모리오카마나부
후지야마마사미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715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778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64893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505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953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0316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8244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5052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244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513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2447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246453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10021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10T29/53183Multilead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87Multiple station assembly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91Means to apply vacuum directly to position or hold work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313Means to interrelatedly feed plural work parts from plural sources without manual intervention
    • Y10T29/53365Multiple station assembly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313Means to interrelatedly feed plural work parts from plural sources without manual intervention
    • Y10T29/53378Means to interrelatedly feed plural work parts from plural sources without manual intervention including converging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실장기에 관한 것으로, 작업성을 좋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부품반송체와, 이 부품반송체에 설치된 척(13)과, 이 척(13)에 지지된 부품을 수취하는 부품 이체체(19)와, 이 부품 이체체(19)에 지지된 부품을 수취하는 헤드(20)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20)는 헤드 본체(80)와, 이 헤드 본체(80)의 상하 이동 수단(81)과, 상기 헤드 본체(80)의 하부에 설치한 삽입네일(68)과, 이 삽입네일(68)의 개폐수단(82)과, 상기 삽입네일(68)의 전후방향으로의 회동 수단(83)을 가지고, 상기 회동 수단(83)을 구성하는 캠판(84)을 헤드 본체(80)에 대해 탈착 자유롭게 장착했다.

Description

부품실장기{PART MOUNTING MACHINE}
종래 부품실장기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었다. 즉, 부품 반송체와, 이 부품 반송체에 설치된 척(chuck)과, 이 척에 지지된 부품을 수취하는 부품의 이체체와, 이 부품 이체체에 지지된 부품을 수취하는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는 헤드 본체와, 이 헤드 본체의 상하 이동 수단과, 상기 헤드 본체의 하부에 설치한 삽입네일과, 이 삽입네일의 개폐수단과, 상기 삽입네일의 전후방향으로의 회동 수단을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상기 종래예에 있어서, 삽입네일의 전후방향의 회동 수단은 삽입네일에 의한 기판상에의 부품실장 후에 삽입네일을 후방으로 빼내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보통 이 회동 수단은 삽입네일을 많이 빼냄으로써 비록 실장하는 부품이 큰 경우라도 이 후방으로의 회동 후의 상승시에 부품에 삽입네일이 닿지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삽입네일이 후방으로 많이 빠지는 구성에서는 기판상에 이미 다른 부품이 실장되며, 그사이에 작은 간극밖에 없는 경우에는 삽입네일을 빼낼 때에 다른 부품에 이 삽입네일이 맞닿게 된다.
여기서 이 경우에는 삽입네일의 후방으로의 회동량이 작은 헤드로 교환함으로써 대응하게 되는데, 헤드를 교환해 버리면 특히 기판에 대한 삽입네일의 위치 조정이 다시 필요해 져 작업성이 나빠지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작업성을 좋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회동 수단을 구성하는 캠판을 헤드 본체에 대해 탈착 자유롭게 장착한 것이다.
즉, 형상이 다른 캠판을 헤드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삽입네일의 후방으로의 회동 궤적, 즉 부품실장후의 삽입네일을 빼내는 방향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이 결과로서 기판상에의 부품의 실장 밀도를 높힐 수 있고, 또한 캠판만 교환하면 되므로, 그 교환후에 기판에 대한 삽입네일의 위치 조정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이 좋아진다.
본 발명은 부품을 기판에 실장하는 부품실장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2는 동 부품 공급체 부분의 사시도,
도3은 동 벨트 부분의 사시도,
도4는 동 부품 공급체 부분의 정면도,
도5는 동 부품 공급체 부분의 평면도,
도6은 동 부품 공급체의 요부 정면도,
도7은 동 요부 정면도,
도8은 동 요부 정면도,
도9는 동 요부 정면도,
도10은 동 요부 정면도,
도11은 동 요부 정면도,
도12는 동 제2 절단날 부분의 사시도,
도13은 동 극성 반전체 부분의 사시도,
도14는 동 제2 척 개방체 부분의 평면도,
도15는 동 지지위치 보정체 부분의 사시도,
도16은 동 제3 절단날 부분의 사시도,
도17은 동 부품 이체체 부분의 사시도,
도18은 동 부품 이체체 부분 요부의 측면도,
도19는 동 측면도,
도20은 동 부품 이체체 부분과 헤드 부분의 요부 정면도,
도21은 동 정면도,
도22는 부품 이체체 부분과 헤드부분의 요부 평면도,
도23은 동 요부 평면도,
도24는 동 요부 평면도,
도25는 동 부품 이체체 부분의 사시도,
도26은 동 부품 이체체 부분의 요부 사시도,
도27은 동 부품 이체체 부분의 요부 사시도,
도28은 동 부품 이체체와 헤드부의 사시도,
도29는 동 부품 이체체의 정면도,
도30은 동 부품 이체체의 이체 척의 측면도,
도31은 동 부품 이체체의 정면도,
도32는 동 부품 이체체의 이체 척의 측면도,
도33은 동 부품 이체체의 정면도,
도34는 동 부품 이체체의 이체 척의 측면도,
도35는 헤드의 사시도.
도36은 동 헤드의 헤드 본체의 사시도,
도37은 동 헤드의 회동체의 사시도,
도38은 동 헤드의 삽입네일의 사시도,
도39는 동 삽입네일의 분해사시도,
도40은 동 삽입네일의 평면도,
도41은 동 삽입네일의 평면도,
도42는 동 헤드의 동작 설명도,
도43은 동 헤드의 동작 설명도,
도44는 동 헤드의 동작 설명도,
도45는 동 헤드의 동작 설명도,
도46은 동 헤드의 동작 설명도,
도47은 동 헤드의 동작 설명도,
도48은 동 헤드의 동작 설명도,
도49는 동 삽입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50은 동 삽입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51은 동 삽입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52는 동 삽입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53은 동 삽입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54는 동 삽입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55는 동 삽입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56은 동 삽입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57은 동 삽입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58은 동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59는 삽입네일의 비교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60은 삽입네일의 비교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61은 받침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62는 받침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63은 받침핀의 다른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64는 받침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65는 동 앤빌(anvil)기구의 단면도,
도66은 그 부착대의 사시도,
도67은 그 부착대의 단면도,
도68은 동 앤빌기구의 동작 설명용의 단면도,
도69는 동 앤빌기구의 동작 설명용의 단면도,
도70은 동 앤빌기구의 동작 설명용의 단면도,
도71은 동 앤빌기구의 동작 설명용의 단면도,
도72는 동 앤빌기구의 동작 설명용의 단면도,
도73은 동 앤빌기구의 동작 설명용의 단면도,
도74는 동 앤빌기구의 동작 설명용의 단면도,
도75는 동 요부 사시도,
도76은 동 요부의 평면도,
도77은 동 요부의 정면도,
도78은 동 요부의 정면도,
도79는 동 요부의 정면도,
도80은 가동날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81은 동 단면도,
도82는 동 받침핀 부분의 사시도,
도83은 동 분해 사시도,
도84는 동 단면도,
도85는 동 조작지레의 사시도,
도86은 동 평면도,
도87은 동 평면도,
도8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89는 동 측면도,
도90은 동 측면도,
도91은 동 측면도,
도92는 동 제1 레버의 사시도,
도93은 동 제2 레버의 사시도,
도94는 동 제어 블록도,
도95는 동 기판의 이송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96은 동 이송 샤프트의 선단측 사시도,
도97은 동 기판의 이송부분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98은 동 기판의 이송부분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99는 동 기판의 이송부분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100은 동 기판의 이송부분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101은 동 기판의 이송부분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102는 동 기판의 이송부분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103은 동 기판의 이송부분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104는 동 기판의 이송부분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105는 동 기판의 이송부분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에서 1은 본체이고, 이 본체(1)의 배면측에는 다수개의 부품 공급 가이드(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부품 공급 가이드(2)에는 그 하방의 수납부(3)로부터 도2에 도시하는 테이핑(taping) 부품연(連)(4)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부품 공급 가이드(2)의 선단에는 부품 공급체(5)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체(1)내에는 부품 반송체의 일예로서 고무, 또는 합성 수지제 환형상의 벨트(6)가 3개의 풀리(7, 8, 9)에 의해 삼각형으로 걸쳐져 있다. 벨트(6)의 내부에는 수십개의 환형상 금속선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신장이 매우 적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벨트(6)의 표면, 이면에는 요철이 형성되며, 이면의 요철은 상기 풀리(7∼9)의 외주 요철면과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풀리(7)는 통상은 간헐 동작하는 모터(10)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이에따라 벨트(6)도 단속적으로 회동한다.
이 벨트(6)에는 도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소정 간격마다 척 지지체(11)가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벨트(6)의 표면측의 요철에는 척 지지체(11)의 요철면이 끼워지고, 또한 이 척 지지체(11)의 상, 하단을 벨트(6)의 이면측으로 연장시키고, 그 일부를 벨트(6) 이면의 요철의 상, 하단부에 끼움으로써 정해진 위치로의 확실한 부착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척 지지체(11)의 상, 하의 연장부에 의해 가이드부(11a, 11b)도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부(11a, 11b)에는 풀리(7∼8, 8∼9, 9∼7)사이의 벨트(6) 이면측 부분에 배치된 판상의 가이드 레일(12)의 상하단이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벨트(6)가 흔들리지 않고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각 척 지지체(11)의 하단 부분에는 도2, 도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세개의 척(1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척(13)에 의해 테이핑 부품연(14)으로부터 제1 절단날(14)로 절단된 개개 편을 지지하고, 이를 벨트(6)의 회동으로 제2 절단날(15) 부분, 부품의 극성 반전체(16) 부분, 리드 단자의 지지위치 보정체(17) 부분, 리드 단자를 절단하기 위한 제3 절단날(18) 부분, 부품 이체체(19) 부분으로 순서대로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부품 이체체(19)에 의해 지지된 상기 개개 편은 헤드(20)로 바꿔옮겨지고, 레일(21)상에 반송되며, X-Y 테이블(22)상에 위치가 정해진 후술의 기판에 실장되고, 앤빌기구(23)로 여분의 리드 단자가 절단됨과 동시에, 내방으로 구부러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테이핑 부품연(4)은 도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소자(24)와, 이 소자(24)에 접속된 적어도 2개의 리드 단자(25)를 가지는 부품을 소정간격마다 테이핑 부재(26)에 테이핑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부품 공급체(5)는 상기 테이핑 부품연(4)의 소자(24)를 상방, 리드 단자(25)를 하방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척에 지지되는 부품의 2개의 리드 단자(25)를 연결하는 연장선과, 척에 지지되는 바로 앞 부품의 2개의 리드 단자(25)를 연결하는 연장선이 대략 직선상이 되도록, 도2와 같이 상기 척(13)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부품 공급체(5)에 의해 테이핑 부품연(4)을 직선적으로, 부품 반송체로서 이용한 벨트(6)의 척(13)부에 공급하므로, 도1과 같이 부품 공급체(5) 부분의 점유 면적이 작아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와같은 부품 공급체(5)를 도1과 같이 다수 나란히 설치하고 있는데, 각 부품 공급체(5)가 상술과 같이 각각 테이핑 부품연(4)을 직선적으로 척(13)부분에 공급하는 얇은 형상으로 되므로, 이 부품 공급체(5)를 다수개로 나란히 설치한 경우에는 전체로서 컴팩트한 형상으로 할 수 있고, 환언하면 도1과 같이 한정된 스페이스에 보다 많은 부품 공급체(5)를 배치하고, 부분의 공급효율을 높힐 수 있게 된다.
도4, 도5는 부품 공급체(5) 부분을 도시하고, 이 부품 공급체(5)는 테이핑 부품연(4)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27)부분과, 이 가이드 홈(27) 부분에 위치하는 테이핑 부재(26)의 이송 구멍(28)에 래쳇(ratchet)상으로 결합하여 단속적인 이송 동작을 행하게하는 이송체(29) 부분과, 이 이송체(29)와 연동하여 척(13)를 개방하는 제1 척 개방체(30) 부분과, 척(13)에 의해 테이핑 부품연(4)의 리드 단자(25)를 지지한 상태에서 테이핑 부재(26)를 절단하는 제1 절단날(14) 부분과, 이들 이송체(29), 제1 척 개방체(30), 제1 절단날(14)을 구동하기 위한 캠(31) 부분과, 이 캠(3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체로서 이용한 실린더(32) 부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홈(27) 부분에는 도5와 같이 소자 검출기(33)가 면해 있고, 이 소자 검출기(33)에 의해 테이핑 부품연(4)의 소정부에 소자(24)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검출을 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후에 상술하지만, 이 소자 검출기(33)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실린더(32)에 의한 캠(31)의 구동량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캠(31)은 2개의 미끄럼 이동 구멍(34)에 각각 핀(35)을 결합시키고, 그 상태에서 실린더(32)에 의한 왕복 운동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캠(31)의 척 개방면(36)에는 전달기구(37)를 통하여 상기 제1 척 개방체(30)가 연결되어 있다.
이 전달기구(37)는 척 개방 캠면(36)에 핀(38)을 맞닿게한 레버(39)와, 이 레버(39)를 지축(40)으로 지지한 레버(41)와, 이 레버(41)를 축으로 지지한 지축(4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시 캠(31)으로 되돌아와 설명을 계속하면, 이 캠(31)에는 절단날 개폐 캠면(43)과, 절단날 이동 캠면(44)을 가지고, 절단날 개폐 캠면(43)에는 지축(45)으로 축으로 지지된 레버(46)의 핀(47)이 결합되며, 이 레버(46)를 통하여 제1 절단날(14)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절단날 이동 캠면(44)에는 지축(48)으로 축으로 지지된 레버(49)의 핀(50)이 결합되어 있고, 또한 이 레버(49)의 틈새단측에는 상술의 이송체(29)가 연결되며, 이 틈새단에는 레버(51)를 통하여 제1 절단날(14)이 연결되어 있다.
이후 도6∼도11을 이용하여 테이핑 부품연(4)의 반송과 개개 편으로의 절단, 및 척(13)으로의 수수에 대해 설명한다.
도6은 초기위치를 나타내고, 캠(31)은 실린더(32)에 의해 가장 좌측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는 이 도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 절단날(14)이 부품 공급체(5)측에 위치되는 것이 큰 특징으로 되어 있다.
즉 척(13)와 제1 절단날(14)은 접근한 상태에 있고, 이 도6의 상태에 있어서는 척(13)에 의해 개개 편이 제2 절단날(15) 방향으로 반송을 행하는 상태이므로, 그 반송을 저해하지 않도록 제1 절단날(14)은 부품 공급체(5)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도6의 상태에서 제1 절단날(14)은 개방되어 있고, 다음의 도7에서는 이 개방된 제1 절단날(14) 사이를 테이핑 부품연(14)이 진행하게 된다.
이 도7과 같이 캠(31)이 우측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캠(31)의 우측방으로의 이동 초기에 캠(31)의 척 개방 캠면(36) 상에 핀(38)이 올라감으로써 레버(41)가 지축(42)을 축으로 하여 좌측방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도5와 같이 제1 척 개방체(30)가 척(13) 방향으로 이동한다.
척(13)은 고정네일(52)과, 이 고정네일(52)에 대해 개폐하는 가동네일(53)로 구성되고, 가동네일(53)의 내면측에 탄성체(54)를 부착한 구성으로 한 것으로, 가동네일(53)의 부품 공급체(5)측에는 척 개방체(30)와 결합하는 결합부(55)를 설치하고 있다.
즉, 척(13)의 가동네일(53)의 부품 공급체(5)측에 척 개방체(30)와 결합하는 결합부(55)를 설치하였으므로, 척 개방체(30)의 동작 스트로우크를 작게한 상태에서 먼저 도5와 같이 척(13)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54)는 이 탄성체(54)를 관통하는 핀에 의해 가동네일(53)에 부착시킨 것으로써 탄성체(54)를 관통하는 핀에 의해 가동네일(53)에 부착시킴으로써 척(13)의 개폐에 의해 탄성체(54)에 변형력이 단속적으로 가해져도 탄성체(54)가 가동네일(53)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이 척(13)에 있어서는 고정네일(52)로 개개의 편으로 된 테이핑 부품연(4)의 위치를 정하여 가동네일(53)의 내면측 탄성체(54)의 적당한 탄성에 의해 상기 개개 편의 확실한 지지가 행해지도록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같이 척(13)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핀(50)이 절단날 이동 캠면(44)을 올라감으로써 레버(49)를 통하여 이송체(29)가 구동되고, 이에따라 테이핑 부품연(4)이 이 도7과 같이 개방된 척(13)내로 이송되게 된다.
이 때 척(13)은 테이핑 부품연(4)을 수취하기 위해 정지상태로 되어 있고, 따라서 이 때에 레버(51), 제1 절단날(14)의 지지체(56)를 통하여 제1 절단날(14)을 척(13)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척(13)에 의한 반송을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지지체(56)는 지축(57)에 의해 축으로 지지된 것으로, 그 틈새단측이 레버(51)에 의해 좌측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제1 절단날(14)이 척(13)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도8은 실린더(32)에 의해 캠(31)이 더욱 우측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때는 레버(49)에 의해 이송체(29)가 완전히 이송 동작을 행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때 핀(38)은 척 개방 캠면(36)을 거의 하강한 상태로 되어 있고, 이 상태이면 레버(41)가 우측방으로 회동함으로써 도5의 제1 척 개방체(30)가 우측방으로 이동하여 척(13)도 거의 닫힌 상태로 된다.
즉 테이핑 부품연(4)의 선단측에서 도4와 같이 소자(24)의 리드 단자(25)가 척(13)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된다.
도9는 실린더(32)에 의해 캠(31)으로부터 더욱 우측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상태에서 척(13)에 의해 리드 단자(25)는 완전히 지지된 상태로 된다.
다음에 도10은 실린더(32)에 의해 캠(31)이 가장 우측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이 때 핀(47)이 절단날 개폐 캠면(43)을 완전히 올라간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지축(45)에 의해 축으로 지지된 레버(46)의 좌단측이 하방으로 내려가고, 이에 따라 제1 절단날(14)은 완전히 닫혀지고, 이 결과로 테이핑 부재(26)가 절단되며, 개개 편으로 되어 이 개개 편이 척(13)에 지지된 상태로 된다.
다음에 실린더(32)에 의해 캠(31)은 도11의 상태를 경과하여 도4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 때 도11에서 캠(31)이 좌측방으로 되돌아 올 때에 핀(38)이 척 개방 캠면(36)을 올라가게 되는데, 이 복귀시에 척(13)을 개방하면, 지지하고 있는 개개 편이 탈락되어 버리므로, 그 대책이 중요해 진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달기구(37)에 있어서, 레버(39)의 핀(38)이 이 복귀시에 척 개방 캠면(36)을 상승할 때에는 이 레버(39)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것만으로, 레버(41)는 좌측방으로는 눌리지 않고, 이 결과로서 제1 척 개방체(30)에 의한 척(13)의 개방은 행해지지 않으며, 따라서 개개 편의 탈락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절단날(14)은 개방된 후 다시 부품 공급체(5)측으로 복귀함으로써 상기 개개의 편을 지지한 척(13)의 반송동작을 저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물론 이송체(29)도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고, 다음회의 이송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상술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부품 공급체(5)는 척(13)을 개방하는 제1 척 개방체(30)를 가지므로, 부품 공급체(5)에 의한 척(13)으로의 부품 공급과 척(13)의 개방을 연동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척(13)으로의 부품 공급을 자연스럽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척 개방체(30)는 부품 공급체(5)에 설치한 테이핑 부품연(4)의 이송체(29)를 동작시키는 캠(31)의 척 개방 캠면(36)에 의해 조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써, 부품 공급체(5)의 테이핑 부품연(4)의 이송체(29)와 제1 척 개방체(30)를 하나의 캠(31)에 의해 동작시키므로, 테이핑 부품연(4)의 이송 동작과 척(13)에 의한 지지동작이 연동하게 되어 척(13)으로의 부품 공급을 자연스럽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품 공급체(5)는 이송체(29)와 척(13) 간 부분에 제1 절단날(14)을 가지고, 이 제1 절단날(14)은 캠(31)의 절단날 개폐 캠면(43)과, 절단날 이동 캠면(44)에 의해 조작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서, 제1 절단날(14)도 이송체(29)와 제1 척 개방체(30)와 함께 캠(31)에 의해 동작시키므로, 이송체(29)에 의한 테이핑 부품연(4)의 이송 동작과, 제1 절단날(14)에 의한 개개 편의 절단과, 척(13)에 의한 개개 편의 지지를 연동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척(13)으로의 부품 공급을 자연스럽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도4, 도5와 같이 부품 공급체(5)는 테이핑 부품연(4) 소자(24)의 유무를 검출하는 소자 검출기(33)를 가지고, 이 소자 검출기(33)에 의해 소자(24), 구체적으로는 정상상태에서의 리드 단자(25)가 없는 것으로써 소자(24)가 없는 것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없는 것이 검출된 때에는 실린더(32)에 의해 캠(31)을 제1 이동량(도8의 상태)만큼 이동시킨 후에 도4의 상태로 복귀동작을 행하게 한다.
즉, 소자(24)가 없는 경우에는 캠(31)을 제2 이동량(도10의 상태)만큼 이동시켜 제1 절단날(14)에 의한 테이핑 부품연(4)의 절단 동작을 행하지 않게 소자(24)가 지지된 테이핑 부품연(4) 부분을 보다 멀리 척(13)부로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단, 이 때에 척(13)에 지지된 개개 편에 있어서 척(13) 하부의 벨트(6) 내면측으로 긴 치수의 테이핑 부재(26)가 설치된 상태로 되어 있고, 이를 후의 제2 절단날(15)로 소정 치수로 절단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척(13)으로의 수수가 행해지면 모터(10)의 기동에 의해 벨트(6)에 의한 반송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도1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벨트(6)의 척(13)으로의 부품 공급체(5)에 의한 부품 공급 위치의 하류측에 가외 길이의 테이핑 부재(26)의 유무를 검출하는 긴 치수 검출기(58)를 설치하고, 이 가외 길이 검출기(58)에 의해 상기 가외 길이의 테이핑 부재(26)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제2 절단날(15)을 동작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벨트(6)의 척(13)에 의해 소정치보다 긴 치수의 테이핑 부재(26)가 반송되어 온 경우에는 이를 가외 길이 검출기(58)로 검출하여 제2 절단날(15)로 적정한 치수로 절단하도로 하고 있다.
또한 가외 길이 검출기(58)는 광학식의 발광, 수광소자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가외 길이의 테이핑 부재(26)의 존재에 의해 광이 차단되면, 가외 길이의 테이핑 부재(26)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검출이 행해지면, 승강기(59)에 의해 제2 절단날(15)이 하방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상승되며, 이 상승위치에서 가외 길이의 테이핑 부재(26)를 절단한다. 또한 이 절단후는 승강기(59)에 의해 제2 절단날(15)이 하방 위치로 복귀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써 제2 절단날(15)이 가외 길이의 테이핑 부재(26)의 절단시에만 상승하고, 절단후는 하강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제2 절단날(15)이 벨트(6)에 의한 부품반송을 저해하지 않는다.
다음에 도13은 제2 절단날(15)의 하류측에 설치한 부품의 극성 반전체(16)를 나타내고, 이 극성 반전체(16)는 벨트(6)에 대해 접촉 이탈 자유로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헤드(20)에 의한 기판 실장에 있어 부품의 극성 반전이 미리 필요한 경우에는 극성 반전체(16)를 벨트(6)의 척(13)측으로 이동시키고, 척(13)으로부터 개개 편을 수위한 후에 반전시켜 그 상태에서 척(13)으로 되돌림으로써 극성반전을 행하게 해 이후의 부품 반송을 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 극성 반전체(16)는 극성 반전의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척(13)부로부터 분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부품 반송이 저해되지 않는다.
또한 도13의 극성 반전체(16)에 대해 척(13)으로부터 개개 편을 주고 받기 위해서는 척(13)을 일단 개방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구성을 도14에 의해 설명한다.
도1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척(13)의 가동네일(53)의 결합부(55)와 반대측을 벨트(6)의 이면측으로 연장하고, 이 연장부에 제2 척 개방체(63)를 연결한 것으로써, 이 제2 척 개방체(63)에 의해 척(13)을 개방하도록 하고 있다.
도15는 극성 반전체(16)의 하류측에 설치한 지지 위치 보정체(17)를 나타내고, 필요한 극성 반전을 도13의 극성 반전체(16)에 의해 끝낸 후에 척(13)에 의한 리드 단자(25)의 지지 위치 보정을 행하는 것이다.
이 지지 위치 보정체(17)는 테이핑 부재(26)의 바닥변을 싣는 재치대(60)와, 테이핑 부재(26)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체(61)와, 부품의 리드 단자(25)부를 테이핑 부재(26)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부품을 이동시키는 가압체(62)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우선 개개 편의 테이핑 부재(26)를 재치대(60)에 싣고, 다음에 척(13)을 이 부분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도14와 같은 구성의 제2 척 개방체(63)로 개방하고, 양측의 가압체(62)로 중간에 모으고, 이와같은 리드 단자(25)의 지지 위치 보정을 행한 후, 다시 척(13)을 닫아 리드 단자(25)의 적절한 지지를 행하는 것이다.
도16은 제3 절단날(18) 부분을 도시하는 것으로, 지지 위치 보정체(17)의 하류측에 리드 단자(25)를 절단하도록 설치하고, 이 제3 절단날(18)은 벨트(6)의 척(13)에 대해 접착 이탈 자유로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척(13)에 의한 리드 단자(25)의 지지 위치 보정이 완료된 후에 제3 절단날(18)로 리드 단자(25)의 절단을 행하므로, 적절한 절단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제3 절단날(18)은 개폐 자유로운 2매의 날(64)로 구성되며, 이들 2매의 날(64)의 선단 하면측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테이퍼면에 척(13)으로 지지된 개개 편의 테이핑 부재(26)의 상변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절단하므로, 절단후의 리드 단자 길이가 안정되게 된다.
도17은 척(13)에 의해 지지된 부품을 헤드(20)로 바꿔옮긴 부품 이체체(19)를 도시하고 있다. 이 부품 이체체(19)는 도18과 같이 리드 단자(25)의 하부를 끼워 지지하는 2개의 협지(끼워 지지)네일(65, 66)과, 이 리드 단자(25)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네일(67)을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중 하나의 협지네일(65)과 지지네일(67)을 일체화하고, 다른 협지네일(66)을 협지네일(65)에 대해 가동 자유롭게 한 것으로, 하나의 협지네일(65)과 지지네일(67)을 일체화하고 있으므로, 구성이 간단하게 될 뿐만 아니라, 도19와 같이 다른 협지네일(66)을 가동시켜, 리드 단자(25)의 협지를 안정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도20, 도21은 부품 이체체(19)로부터 헤드(20)로의 부품 이체체를 도시한 것으로, 부품 이체체(19)의 협지네일(65, 66)과 지지네일(67)간의 리드 단자(25) 부분을 헤드(20)의 삽입네일(68)로 끼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상, 하로 지지된 상태의 리드 단자(25)의 중부를 헤드(20)의 삽입네일(68)로 끼워 지지하고 있으므로, 이 삽입네일(68)에 의한 협지가 안정되고, 이 결과로서 헤드(20)에 의한 기판에의 실장도 안정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도22∼도24는 부품 이체체(19)의 각 동작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22는 통상의 부품 이체체(19)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그 이체 척(69)이 우선 화살표A와 같이 척(13)측으로 회동하고, 그 상태에서 척(13)에 지지되어 있는 소자(24)로 향해 화살표B와 같이 진행하며 그 상태에서 소자(24)의 척킹을 행한 후, 화살표C와 같이 헤드(20)의 삽입네일(68)측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소자(24)를 헤드(20)의 삽입네일에 주고받으며, 그 후, 화살표A와 같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이 도22에 도시하는 동작이 통상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22에 도시한 통상의 동작에서는 헤드(20)의 삽입네일(68)이 소자(24)를 수취한 후에 기판에 실장되는데, 실장 미스를 한 경우, 구체적으로 예를들면 기판의 삽입구멍에 소자(24)의 리드 단자(25)를 삽입 못 하거나, 이 소자(24)가 전도된 경우 등에는 그 리커버리는 도23과 같이 행해진다. 즉, 이 소자(24)가 전도된 상태에서 이미 이체 척(69)으로부터 헤드(20)의 삽입네일(68)에 대해 다음 소자(24)의 주고받음이 행해지므로, 이 때는 그 다음 소자(24)를 헤드(20)의 삽입네일(68)로부터 다시 이체 척(69)으로 주고받지 않으면 안된다. 구체적으로 도23과 같이 이체 척(69)은 삽입네일(68)이 수취한 다음 소자(24)를 다시 이체 척(69)에서 수취하고, 그 후, 이체 척(69)은 화살표 D와 같이 헤드(20)로부터 떨어진 곳으로 이동하고, 이 상태에서 대기하게 된다. 또한, 이체 척(69)은 헤드(20)의 삽입네일(68)로부터 분리될 때(구체적으로는 화살표A방향)는 통상 열린 상태로 되므로, 도23, 도24의 화살표D, G의 경우와 같이 소자(24)를 척한 상태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회동판(77)을 특별 개폐수단의 일예로서 이용한 구동체(80)의 조작체(81)로 가압해 이체 척(69)의 닫힘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같이 하여 빈 상태로 된 헤드(20)의 삽입네일(68)에 대해 앞서 전도된 소자(24)의 리드 단자(25)를 예를들면 수작업으로 삽입네일(68)로 지지시키고, 이 상태에서 그 전도된 소자(24)의 재실장을 행하게 한다. 그리고 이 실장이 완료된 후에는 이체 척(69)을 화살표 E와 같이 진행시키고, 대기해 있던 다음 소자(24)의 헤드(20)로의 수수를 행하여,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고, 리커버리 동작은 종료된다. 그 후, 다시 이체 척(69)은 도22에 도시하는 통상 동작의 반복으로 되돌아가 통상의 실장이 행해지도록 된다. 도24는 먼저 헤드(20)의 삽입네일(68)에 의한 기판으로의 실장 미스가 발생한 경우에, 그 실장 미스를 소자(24)를 다시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대응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즉, 이 상태일 때에 실장 미스를 하여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된 소자(24)를 벨트(6)에 의해 반송되는 것으로 부터 다시 가져와 이를 실장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체 척(69)이 이미 삽입네일(68)로 넘어간 다음 소자(24)를 화살표 F로 받고, 이를 화살표 G와 같이 벨트(6)가 부착된 척(13)으로 되돌리고, 다시 헤드(20)의 삽입네일(68)의 바로 앞으로 되돌아간다. 이 상태에서 벨트(6)가 회동하고, 먼저 기술한 실장 미스를 한 소자(24)가 반송된 후, 도22의 상태의 궤적을 그리는 이체 척(69)은 벨트(6)에 부착된 척(13)으로부터 그 소자(24)를 수취하고, 헤드(20)의 삽입네일(68)로 수수하고, 실장 미스에 대한 리커버리를 행한다. 이와같이, 도22∼도24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품 이체체(19)에 그 이체 척(69)을 도22∼도2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원호상으로 회동시키거나, 그 상태에서 그 원호의 내외에 이체 척(69)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동작시키므로, 이 부품 이체체(19)는 도25∼34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품 이체체(19)는 도25, 도28, 도29, 도31, 도3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동축상으로 된 3개의 축(70, 71, 7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중 가장 외측에 설치된 축(70)은 이 부품 이체체(19)를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고, 또한, 그 내측에 설치된 축(71)은 이체 척(69)을 헤드(20)의 삽입네일(68)측이나 혹은 벨트(6)에 설치된 척(13)측 혹은 그 반대측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이고, 또한, 가장 내측의 축(72)에 이체 척(69)을 개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이들 점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가장 외측의 축(70)은 도25에 도시하는 상방에서, 도시하지 않지만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캠부를 가지고, 이 캠에 대해 구동하기 위한 레버가 설치되어 있고, 이 캠과 레버의 조합에 의해 부품 이체체(19)를 도23, 도2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회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다음에 중간 축(71)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도31에 잘 나타나 있는데, 중간 축(71)에는 그 하단부분에 이동 레버(73)가 회동 자유롭게 결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이동 레버(73)는 도29, 도31, 도3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L자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중간 부분이 축(74)에 의해 축으로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이동 레버(73)의 일단측이 예를 들면 도29의 상태에서 도31과 같이, 축(71)의 하단측에서 하방으로 눌러내려진 경우에는 이 이동 레버(73)의 하단측에 의해, 이체 척(69)을 도29와 도31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헤드(20)의 삽입네일(68)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가장 내측의 축(72)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26, 도2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축(72)의 하단에는 레버(75)의 상단이 부착되고, 이 레버(75)의 하단에는 롤러(76)가 부착되어 있다. 이 롤러(76)는 회동판(77)의 상면에 접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회동판(77)은 회동축(78)에 고정된 것으로, 이 회동축(78)의 도26의 좌단측에는 이체 척(69)을 구성하는 협지네일(66)을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레버(79)가 부착되어 있다. 즉 이체 척(69)을 구성하는 협지네일(65, 66) 및 지지네일(67)중, 협지네일(66)만이 다른 두개에 대해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고, 이 슬라이드를 시키는 것이 레버(79)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레버(79)의 회동에 의해 협지네일(66)이 슬라이드하면, 상술한 바와같이, 소자(24)의 리드 단자(25)에 대한 협지, 혹은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이체 척(69)의 소위 개폐동작은 이체 척(69)이 도22∼도2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체 척(69)이 회동호의 내외에서 이동한 상태에서 각각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이 개폐를 행하게 하는 것이 가장 내측에 설치한 축(72)에 의해 행해지도록 되는데, 이와같이 축(72)의 상하 이동만에 의해 이체 척(69)을 개폐시키기 위해서는, 이 축(72)의 하단측에 설치한 롤러(76)가 그 이체 척(69)의 회동호의 내외로의 이동시에도 회동판(77)을 압압할 수 있지 않으면 안된다. 반대로 말하면, 롤러(76)에 의해 회동판(77)을 통하여 회동축(78)을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회동판(77)은 도26, 도2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회동축(78)을 따라 판형상의 것이지 않으면 안된다. 즉, 이와같은 판상의 회동판(77)을 설치함으로써 축(72)의 상하 이동만으로 이체 척(69)의 개폐를 행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이체 척(69)을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의 축(70)과, 상기 회동 수단에 의한 이체 척(69)의 회동호의 내·외방향으로 이체 척(69)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의 축(71)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한 이동후에 이체 척(69)을 열거나 또는 닫는 개폐수단의 축(72)을 동축상으로 함으로써 이체 척(69)의 회동, 이동, 개폐시키기 위한 구성을 콤팩트화할 수 있고, 또한 구성도 심플하게 되어 동작의 안정성도 높아진다.
도35는 헤드(20)를 나타내고, 이 헤드(20)는 단면이 L자형상인 측벽(80a)과 천면(80b)을 가지는 헤드 본체(80)와, 이 헤드 본체(80)의 상하 이동 수단(81)과, 상기 헤드 본체(80)의 하부에 설치한 삽입네일(68)과, 이 삽입네일(68)의 개폐수단(82)과, 상기 삽입네일(68)의 전후방향으로의 회동 수단(63)을 가지고, 상기 회동 수단(83)을 구성하는 캠판(84)은 후에 상술하지만, 헤드 본체(80)에 대해 탈착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상하 이동 수단(81)은 헤드 본체(80)의 천면(80b)에 장착된 외축(81a)으로 구성하고, 이 외축(81a)내에 설치한 중축(81b)의 하부에 장착한 부착부(81c)에 캠판(84)을 나사(81d)에 의해 탈착 자유롭게 장착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회동 수단(83)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회동수단(83)은 도35, 도3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헤드 본체(80)의 측벽(80a)에 설치한 2개의 관통공(A)에 축으로 지지된 회동축(83a)을 가지고 있다.
이 회동축(83a)의 도35의 우측 부분에는 도38에도 도시하는 구동 레버가 일렬로 되는 개폐 레버(85) 또한 좌단측에는 도35의 탄성 레버(86)를 각각 고정 일체화하고 있다.
또한 이 개폐 레버(85)의 후방에는 ⊃자상의 회동체(87)을 설치하고 있다.
이 회동체(87)의 우측의 측벽(87a)은 헤드 본체(80)의 측벽(80a)의 개구(81e)를 관통하여 헤드 본체(80)측으로 도35와 같이 돌입하고, 또한 좌측의 측벽(87b)은 헤드 본체(80) 외에서 전방으로 돌출하여, 이 상태에서 좌우의 측벽(80b, 80a)은 관통공(B)에 의해 회동축(83a)에 회동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동체(87)는 도3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측벽(87b)의 외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레버(87c)를 가지고, 이 레버(87c)의 선단은 헤드 본체(80) 하단의 당접부(80c)에 맞닿아 이 이상(도35의 상태) 전방측으로의 회동이 저지되어 있다.
또한 회동체(87)의 저벽(87d)에는 도35, 도3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 삽입네일(68a)의 상단이, 도시하지 않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삽입네일(68a)과 제2 삽입네일(68b)을 중합시킴과 동시에, 제2 삽입네일(68b)의 중부를 제1 삽입네일(68a)의 중부에 핀(88)에 의해 축으로 지지하고 있고, 제1, 제2 삽입네일(68a, 68b)을 중합시킴으로써 콤팩트화가 도모됨과 동시에, 제1, 제2 삽입네일(68a, 68b) 상호간의 위치정밀도를 내기쉽고, 이에따라 동작에 대한 신뢰성의 높아진다.
또한 도3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 제2 삽입네일(68a, 68b)의 선단측에는 각각 3개, 합계 6개의 협지네일(89∼91, 92∼94)을 형성하고 있고, 도40, 도4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부품으로서 3개의 리드 단자(25)를 가지는 것이라도 그들 리드 단자(25)를 도40, 도41과 같이 확실하게 협지네일(89∼94)로 끼워 지지할 수있고, 또한 각 리드 단자(25)는 제1, 제2 삽입네일(68a, 68b)의 협지네일(89∼91, 92∼94)로 각각 끼워 지지되므로, 리드 단자(25)간의 피치가 변동되지 않고, 그 결과 실장도 자연스럽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도59, 도60과 같이 내방의 삽입네일(89A)의 양측에서 삽입네일(89B, 89C)로 리드 단자(25)를 끼워 지지하는 것은 리드 단자(25)의 두께에 의해 피치가 A와 A+α로 변동하고, 기판(106)의 관통공(107)에 대해 편심되어 실장 불량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다시 도39∼도41로 되돌아가 설명을 계속하면 제2 삽입네일(68b)의 한쪽측 협지네일(92)은 다른쪽측의 협지네일(93) 및 내측방의 협지네일(94)보다 좁은 피치이고, 큰 탄성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제2 삽입네일(68b)의 한쪽 협지네일(92)을 다른쪽 협지네일(93, 94)보다 좁은 피치로 함으로써 부품 단자 직경의 편차 발생시에 있어서도 이 탄성을 가지는 협지네일(92)로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부품 단자의 직경이 커진 경우, 제1, 제2 삽입네일(68a, 68b)의 한쌍의 협지네일만 리드 단자(25)의 지지가 행해지는 상태로 되는 것을 이와같은 좁은 피치로 탄성을 가지는 협지네일(92)을 제2 삽입네일(68b)에 설치함으로써 이 탄성 협지네일(92)부에서도 리드 단자(25)가 끼워 지지되어 리드 단자(25)의 지지가 안정되게 된다.
제2 삽입네일(68b)의 상단에는 도38과 같이 캠 종동부(95)가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이 캠 종동부(95)가 개폐 레버(85) 좌단의 캠면(96)에 맞닿아 있다.
또한 이 도3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개폐 레버(85) 우단의 캠 종동부(97)는 캠판(84)의 캠면(98)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이상의 구성에서 도3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탄성 레버(86)의 핀(99)과 헤드 본체(80) 당접부(80c)의 핀(100) 사이에는 용수철(101), 회동체(87)의 핀(102)과 당접부(80c)의 핀(103)사이에는 용수철(104)이 걸쳐져 장력을 가하고 있다. 또한 레버(87c)와 제2 삽입네일(68b)의 상부사이에는 스프링(105)이 설치되어 반발력을 가하고 있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4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측방으로 소자(24)가 부품 이체체(19)의 이체 척(69)에 의해 삽입네일(68)로 바꿔 옮겨진다.
이 때, 제1, 제2 삽입네일(68a, 68b)은 도40과 같이 개방되지 않으면 안되고, 이 때문에 중축(81b)이 눌러내려지고, 이에따라 캠판(84)에서 개폐 레버(85)가 눌러내려지게 된다.
이 결과 개폐 레버(85)의 캠면(96)이 후방으로 회동하고, 이에따라 제2 삽입네일(68b) 상단의 캠 종동부(95)에는 캠면(96)의 전방이 대향하게 되고, 용수철(105)의 반발력으로 제2 삽입네일(68b)의 상부는 도35, 도38의 우측방으로 눌려지게 된다.
그리고 이에따라 제1, 제2 삽입네일(68a, 68b)은 도40과 같이 개방되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이체 척(69)으로부터의 소자(24)의 이체가 행해지게 된다.
다음에 제1, 제2 삽입네일(68a, 68b)을 닫기 위해 중축(81b)이 상승하고, 이로서 리드 단자(25)는 도41과 같이 협지네일(89∼94)에 의해 끼워 지지되며, 도43과 같이 소자(24)의 지지가 행해진다.
다음에 외축(81a)과 중축(81b)을 동기하여 하강시킴으로써 헤드 본체(80)를 도44와 같이 기판(106)으로 내리고, 도49의 기판(106)의 관통공(107)내에 리드 단자(25)를 삽입한다.
이 때 기판(106)의 하방에는 받침 핀(108)이 상승하여 리드 단자(25)의 하강을 대기하고 있고, 이와 같이 리드 단자(25)가 관통공(107)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자(24)의 상단에는 중축(81b)내에 동축상으로 설치한 푸셔(109)가 눌려져 맞닿아 있고, 이에따라 소자(24)는 그 상, 하단을 푸셔(109)와 받침 핀(108)으로 끼워 지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45는 중축(81b)을 눌러내려 제1, 제2 삽입네일(68a, 68b)을 도40과 같이 개방한 상태인데, 이 때는 도49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소자(24)의 상, 하단은 푸셔(109)와 받침 핀(108)으로 끼워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제1, 제2 삽입네일(68a, 68b)을 개방해도 소자(24)가 전도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도50과 같이 먼저 삽입네일(68)이 소자(24)의 외방으로 빠지고, 이것이 완료되면, 푸셔(109)와 받침 핀(108)이 하강을 시작해 결국에는 도46, 도51과 같이 소자(24)의 하단이 기판(106) 상면에 맞닿는다. 다음에 소자(24)의 상면을 푸셔(109)로 압압한 상태에서 받침 핀(108)을 도51과 같이 더욱 하강시키고, 그 후 리드 단자(25)의 하단을 도시하지 않은 앤빌기구(23)로 컷트와 클린치를 행하여 소자(24)의 실장이 완료된다.
이 때 삽입네일(68)은 도46∼도48과 같이 후측방으로 회동하면서 상승한다.
삽입네일(68)의 후방으로의 회동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중축(81b)은 제1, 제2 삽입네일(68a, 68b)을 개방시키기 위해 외축(81a)에 대해 상대적으로 눌러내린 상태로 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외축(81a)만을 상승시킨다.
그러면, 개폐 레버(85)는 헤드 본체(80)와 함께 외축(81a)에 장착된 것이므로, 이 개폐 레버(85)도 상승하려 한다.
그런데 중축(81b)에 고정된 캠판(84)은 하강한 그대로이므로, 개폐 레버(85)는 도35의 화살표 K와 같이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고, 결국에는 캠면(96)의 후방의 후단면(110)이 회동체(87)의 측벽(87b) 내측의 관통공(B)보다 하방의 당접면(111)에 맞닿아 이를 후방으로 도37의 화살표 S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 회동체(87)에는 삽입네일(68)이 상술과 같이 부착되어 있고, 따라서 삽입네일(68)은 도46, 도47과 같이 실장한 소자(24)를 피하도록 후방으로 회동하면서 상승해 간다.
그리고, 도47의 상태에서는 중축(81b)도 상승되기 시작하므로, 삽입네일(68)의 자세도 서서히 도48과 같이 원래로 되돌아가게 된다.
또한 중축(81b)과 동축상으로 된 푸셔(109)도 도47에서는 상승을 시작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특징점의 하나는 캠판(84)이 나사(81d)의 탈착에 의해 부착부(81c)로부터 간단하게 탈착되고,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
도52∼도54는 기판(106)상의 소자(24)간의 간극이 큰 경우, 도55∼도57은 기판(106)상의 소자(24)간의 간극이 작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52∼54는 소자(24)간의 간극이 크므로, 예를들면 이들 도52∼도54와 같이 큰 소자(24)라도 대응할 수 있도록 삽입네일(68)의 후방으로의 회동량(빠지는 량)을 크게 한 것이라도 삽입네일(68)이 후방에 이미 실장된 소자(24)에 닿는 일은 없다.
그러나 기판(106)상의 실장밀도를 높히는 기판(106)상 소자(24)간의 간극이 작아지는 경우에는 삽입네일(68)이 후방으로 크게 빠져서는 후방의 소자(24)에 삽입네일(68)이 맞닿아 버린다.
이 경우에는 도55∼도57과 같이 소자(24)도 도52∼도54의 경우에 비교해 작아지는 것이 많고, 따라서 삽입네일(68)의 후방으로의 회동량(빠지는 량)도 작아지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81d)를 풀어 캠판(84)을 교환하는 것으로 했다. 도55∼57에 도시하는 캠판(84)은 도52∼도54에 도시하는 캠판(84)에 비교해 캠 종동부(97)에 맞닿는 캠면의 경사부(84a)가 길고, 천면부(84b)가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즉, 삽입네일(68)이 후방으로 회동하는 것은 상술과 같이 캠 종동부(97)가 캠판(84)에 상대적으로 눌려 결국에는 회동체(87)를 회동시킴으로써 행해지는 것이므로, 캠판(84)의 경사부(84a)가 길고 천면부(84b)가 높으면 후방으로의 회동량이 도58과 같이 Y선보다 작은 X선으로 변경되게 된다.
이에따라 기판(106)상 소자(24)간의 간극이 작은 경우라도 도56과 같이 소자(24)의 실장을 행하고, 이에따라 기판(106)상 소자(24)의 실장밀도를 높힐 수 있다.
도61∼도64는 받침 핀을 나타내고, 받침 핀(108a)은 상부의 오목부가 원형인 것, 받침 핀(108b)은 오목부가 원추형인 것, 받침 핀(108c)은 오목부가 깊은 것, 받침 핀(108d)은 원통체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받침 핀(108, 108a∼108d)의 직경은 도49와 같이 기판(106)에 설치한 관통공(107)의 직경보다 크고, 받침 핀(108, 108a∼108d)의 직경이 기판(106)의 관통공(107)의 직경보다 크므로, 소자(24)의 리드 단자(25)가 약간 편심된 경우에도 소자(24)의 상하를 푸셔(109)와 받침 핀(108, 108a∼108d)으로 확실하게 지지하여 기판(106)에의 실장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부품 반송체와 이 부품 반송체에 설치된 척(13)과 이 척(13)에 지지된 부품을 수취하는 부품 이체체(19)와, 이 부품 이체체(19)에 지지된 부품을 수취하는 헤드(20)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20)는 헤드 본체(80)와, 이 헤드 본체(80)의 상하 이동 수단(81)과, 상기 헤드 본체(80)의 하부에 설치한 삽입네일(68)과, 이 삽입네일(68)의 개폐수단(82)과, 상기 삽입네일(68)의 전후방향으로의 회동수단(83)을 가지고, 상기 회동수단(83)을 구성하는 캠판(84)을 헤드 본체(80)에 대해 탈착 자유롭게 장착한 것으로써, 형상이 다른 캠판(84)을 헤드 본체(80)에 장착함으로써 삽입네일(68)의 후방으로의 회동 궤적, 즉 부품 실장후의 삽입네일(68)이 빠지는 방향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이 결과로서 기판상에의 부품의 실장밀도를 높힐 수 있으며, 또한 캠판(84)만 교환하면 되므로, 그 교환후에 기판에 대한 삽입네일(68)의 위치 조정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이 좋아진다.
도65는 앤빌기구(23)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앤빌기구(23)는 대향하는 2개의 경사면(112a)을 가지는 부착대(112)와, 이 부착대(112)의 경사면(112a)에 도75와 같이 설치한 제1∼제3 가동날(113, 114, 115) 및 제1, 제2 고정날(116, 117)과 상술한 받침 핀(108)과 이들의 회전, 상하 이동 기구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 회전, 상하 이동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65의 118은 운동 기준이 되는 베이스로, 이 베이스(118)는 회전도 상하 이동도 하지 않는다.
그리고 베이스(118)에 회전 베어링(119)이 고정되어 있고, 회전 베어링(119)의 내면에 회전축(120)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20)의 하단에는 타이밍 풀리(121)가 고정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지만 이 타이밍 풀리(121)의 외주에 벨트가 걸쳐져 있다.
회전축(120)의 내면에는 통체(1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통체(122)는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하 방향은 회전축(120)에 대해 자유롭게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하단의 캠 종동부 받침(124)내에 도시하지 않은 캠 종동부가 삽입되어 이에따라 통체(122)와 함께 부착대(112)가 상하 이동한다.
즉 이 통체(122)상에 상기 부착대(112)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통체(122)내에는 통형상의 조작지레(12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조작지레(123)도 통체(122)와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것도 통체(122)에 대해 자유롭게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작지레(123) 하단의 캠 종동부 받침(125)에 도시하지 않은 다른 캠 종동부가 삽입되고, 이에따라 조작지레(123)가 상하 이동하고, 이에따라 연결 레버(126)를 통하여 도75에 도시한 제1∼제3 가동날(113∼115)이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지레(123)내에는 통체(127)가 조작지레(123)와 함께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 통체(127)도 조작지레(123)에 대해 자유롭게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이 상하 이동은 캠 종동부 받침(128)내에 도시하지 않은 캠 종동부를 삽입하여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통체(127)의 상단부에는 받침 핀(108)이 도82, 도83과 같이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체(127)의 상단 개구부에 교가상으로 지지체(129)를 설치하고 있다.
지지체(129)는 판형상으로, 이 판형상의 지지체(129)에는 수평방향으로 지지핀(130)을 관통시켜, 받침 핀(108)의 하단을 지지 핀(130)상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이 받침 핀(108)을 지지체(129)상에 고정함으로써 받침 핀(108)의 높이가 안정되고, 따라서 이 받침 핀(108)에 의한 리드 단자(25)의 하단의 지지도 안정되게 된다.
또한, 도83, 도8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통체(127)의 상단부 외주에 수나사부(131)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수나사부(131)에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입(베어냄)(132)을 형성하고, 이 절입(132)내에 지지 핀(130)을 결합시킨 것으로서, 지지 핀(130)을 통체(127)의 절입(132)내에 결합시키면, 통체(127)에 대한 받침 핀(108)의 높이가 소정치로 규제되며, 이 결과로서 이 받침 핀(108)에 의한 리드 단자(25) 하단의 지지가 안정되게 된다.
또한, 지지체(129)의 하단부에는 통체(127)의 내면에 합치하는 감합부(133)가 설치되고, 이에따라 지지체(129)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통체(127)의 상단부에는 외주부 내면에 수나사, 상면에 개구(134)를 가지는 캠(135)을 탈착 자유롭게 나사 결합시키고 있고, 캡(135)을 상단부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받침 핀(108)의 상방으로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을뿐아니라, 받침 핀(108)의 교환시에는 캡(135)을 떼어내면 용이하게 이 핀 교환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부착대(112)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이 부착대(112)에는 상술과 같이 제1∼제3 가동날(113∼115), 제1, 제2 고정날(116, 117)이 그 대향하는 경사면(112a)을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는데, 이들 위치관계는 도75, 도7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되어 있다.
즉, 한쪽측에 2개의 가동날(113, 114), 한개의 고정날(117), 다른측에 한개의 가동날(115), 한개의 고정날(116)이 설치되며, 이에따라 3개의 리드 단자(25)라도 한번에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1, 제2 고정날(117, 117)의 외방측에는 각각 도75, 도7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가이드면(136, 137)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가이드면(136, 137)보다는 각각에 대응하는 제1, 제2 가동날(113, 114) 및 제3 가동날(115)과는 반대방향으로 날면(138, 139, 140)이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75, 76의 상태에서는 제1∼제3 가동날(113∼115)과 제1, 제2 고정날(116, 117) 사이는 열린 상태로 되어 있다.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이 열린 상태에서 리드 단자(25)가 삽입되며, 그 후 상기 날면(138∼140)과 제1∼제3의 가동날(113∼115)이 닫히면 그 절단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리드 단자(25)의 절단을 행하기 위해서는 제1∼제3 가동날(113∼115)과 제1, 제2 고정날(116, 117)의 날면(138∼140)과의 사이에 불필요한 간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고정날(116, 117)도 부착대(112)의 경사면(112a)에 대해 자유로운 상태로 해 두고, 우선 제1, 제2 가동날(113, 114)을 한셋트로 하여 부착대(112)의 경사면(112a)을 따라 제1 고정날(116)의 날면(138, 139)의 당접 예정점보다 조금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시키고, 다음에 제1 고정날(116)을 부착대(112)의 경사면(112a)을 따라 상승시킨다.
그러면 먼저 상승시킨 제1 가동날(113)의 하면에 제1 고정날(116)의 가이드면(136)이 맞닿게 되고, 이 점에서 제1 고정날(116)을 부착대(112)에 고정한다.
그리고 이와같이 하면 제1 가동날(113)은 경사면(112a)을 따라 미끄럼 이동 상승후 반드시 제1 고정날(116)의 가이드면(136)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상승하게 되고, 이 결과로서 제1 가동날(113)과 제1 고정날(116)의 날면(138) 사이에는 불필요한 간극이 형성되지 않고, 이에따라 리드 단자(25)는 자연스럽게 절단되게 된다.
또한 제2 가동날(114)은 제1 가동날(113)과 같은 부착대(112)의 경사면(112a)을 미끄럼 이동하는 것이므로, 상기 순서에 따라 제1 고정날(116)의 위치가 정해지면, 이 제2 가동날(114)과 제2 날면(139)과의 사이에도 불필요한 간극이 형성되지 않고, 이에따라 이 제2 가동날(114)과 제2 날면(139)에 의한 리드 단자(25)의 절단도 자연스럽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고정날(117)의 위치 설정도 우선 부착대(112)의 경사면(112a)을 제3 가동날(115)을 상방으로 제2 고정날(117)의 날면(140)과의 당접 예정점보다 조금 상방까지 상승시키고, 다음에 이 제3 가동날(115)의 하면에 제2 고정날(117)의 가이드면(137)이 맞닿을때까지 제2 고정날(17)을 부착대(112)의 경사면(112a)을 따라 상승시키고, 당접후에 제2 고정날(117)을 그 위치에서 부착대(112)에 고정하면, 그 후 제3 가동날(115)을 가동시켰을 시는 그것이 가이드면(137)을 미끄럼 이동후에 날면(140)에 도달하고, 양자간에는 불필요한 간극은 형성되지 않아 리드 단자(25)는 자연스럽게 절단되게 된다.
다음에 기판(106)에 대한 소자(24)의 실장에 대해 설명한다.
도68은 실장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이 때는 부착대(112)는 기판(106)의 하방에 위치하고, 삽입네일(68)은 기판(106)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이 도68의 상태에서 도69와 같이 다음에 캠 종동부 받침(125, 128)을 각각의 캠 종동부로 상승시킨다.
이 때, 통체(127)의 상승량을 통체(122)의 상승량보다 크게 하고 있으므로, 도49와 같이 기판(106)의 하면에 접근하기까지 받침 핀(108)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도68∼도72의 사이는 제1∼제3 가동날(113∼115)과 제1, 제2 고정날(116, 117) 사이는 도75, 도76과 같이 개구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이 개구부를 통하여 받침 핀(108)이 상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삽입네일(68)을 하강시킴으로써 리드 단자(25)의 하단을 기판(106)의 관통공(107)을 관통시킨 후에 받침 핀(108)에 맞닿게 하고, 이 상태에서 도70과 같이 소자(24)의 상방으로부터 푸셔(109)가 소자(24)에 맞닿을 때까지 하강시킨다.
이렇게 하면 소자(24)는 그 상하부를 푸셔(109)와 받침 핀(108)으로 상하로 지지된 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삽입네일(68)은 도70, 도71과 같이 외방으로 빠지게 된다.
다음에 푸셔(109)와 받침 핀(108)을 동기하여 하강시키면 도72와 같이 소자(24)의 하단이 기판(106)의 상면에 맞닿게 되고, 한쪽 받침 핀(108)은 리드 단자(25)의 하단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다음에 도73과 같이 조작지레(123)를 하강시키면, 이에따라 연결 레버(126)의 역점이 하강하고, 지점을 중심으로 작용점이 상승하고, 이에따라 제1∼제3 가동날(113∼115)이 상승하며, 도77, 도78의 상태에서 제1∼제3 날면(138∼140)과 제1 제3 가동날(113∼115)에 의해 리드 단자(25)의 절단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1∼제3 가동날(113∼115)은 경사면(112a)을 따라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도79와 같이 리드 단자(25)의 절단 하단을 기판(106)측으로 구부리고, 이에따라 소자(24)가 기판(106)의 관통공(107)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78에 도시하는 리드 단자(25)의 절단층(141)은 도82, 도83에 도시하는 캡(135)의 개구(134)로부터 통체(127)내로 낙하하고, 이 통체(127)의 하단 개구외에 설치한 수납 박스내에 저장되게 된다.
다음에 도74와 같이 통체(122)를 조작지레(123)와 함께 하강시키는데, 이 때의 하강량은 통체(122) 쪽을 도73에서 먼저 하강되는 조작지레(123)보다 크게 하강시킴으로써 도68의 대기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다음에 제1∼제3 가동날(113∼115)이나 제1, 제2 고정날(116, 117)의 교환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이 때는 우선 도66에 도시하는 나사(142)를 풀어 부착대(112)가 도65의 통체(122)의 상단 부착부(143)로부터 분리되고, 이 상태에서 부착대(112)를 90도 회동시킨다.
즉 조작지레(123)의 상부 외주에는 도85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고 2매의 차양(144, 145)을 설치하고, 상방의 차양(144)에는 그 대향하는 부분에 절결(146)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부착대(112)의 부착시에는 이 부착대(112)(또는 조작지레(123))를 90도 회전시키면 절결(146)부로부터 조작지레(123)와 부착대(112)의 연결 레버(126)에 의한 연결이 분리되게 되고, 또한 부착시에도 이를 회전시키면 용이하게 조작지레(123)와 부착대(112)의 연결이 행해지게 되어 작업성이 좋아진다.
또한 도6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조작지레(123)로부터 분리된 부착대(112)에서 연결 레버(126)는 그 작용점 부분이 제1∼제3 가동날(113∼115)로부터 분리되게 되므로, 특히 제1∼제3 가동날(113∼115)은 경사면(112a)으로부터 자체 무게로 낙하하도록 되어 있다.
도80, 도81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이 예에서는 제1∼제3 가동날(113∼115)의 상하면에 홈(147)을 형성한 것으로써, 제1∼제3 가동날(113∼115)의 고정날(116, 117)에 의한 리드 단자(25)의 절단시에 리드 단자(25)의 절단부로부터 발생하는 분말상의 절단층이 제1∼제3 가동날(113∼115)의 상면, 혹은 하면부로 강하하고, 그 부분에 쌓여 제1∼제3 가동날(113∼115)의 미끄럼 이동의 저해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절단층은 제1∼제3 가동날(113∼115)과 그 미끄럼 이동면 부분에 강하하고, 이것이 쌓이면 제1∼제3 가동날(113∼115)과 미끄럼 이동면 부분에서 맞물려 제1∼제3 가동날(113∼115)의 동작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술과 같이 제1∼제3 가동날(113∼115)의 상하면에 홈(147)을 형성하면 절단층은 제1∼제3 가동날(113∼115)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홈(147)내로 이동하고, 이 결과로서 제1∼제3 가동날(113∼115)과 미끄럼 이동면 부분에는 퇴적하지 않고, 이에따라 그 동작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하 홈(147)의 하단부에 관통공(148)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홈(147)내로 이동한 절단조각을 관통공(148)을 통하여 외방으로 배출함으로써 홈(147)내에 절단조각이 퇴적하는 결과로서 제1∼제3 날(113∼115)과 그 미끄럼 이동면 부분에서의 절단조각내로의 이동이 행해지지 않고 결국에는 제1∼제3 가동날(113∼115)의 동작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앤빌기구(23)는 대향하는 2개의 경사면(112a)을 가지는 부착대(112)와, 이 부착대(112)의 한쪽 경사면(112a)에 장착한 고정날(116, 117)과 상기 부착대(112)의 다른쪽 경사면(112a)에 장착한 가동날(113∼115)을 가지고, 부착대(112)의 경사면(112a)에 장착한 가동날(113∼115)을 그 경사면(112a)을 따라 고정날(116, 117)과 맞닿는 예정점보다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시키고, 그 상태에서 고정날(116, 117)을 부착대(112)의 경사면(112a)을 따라 가동날(113∼115)에 맞닿을 때까지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시켜 위치를 정한 후, 고정수단에 의해 이 고정날(116, 117)을 부착대(112)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부착대(112)의 다른쪽 경사면에 장착된 가동날(113∼115)을 그 다른쪽 경사면을 따라 고정날(116, 117)과 맞닿는 예정점보다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시키고, 그 상태에서 고정날(116, 117)을 부착대(112)의 한쪽 경사면을 따라 가동날(113∼115)에 맞닿을 때까지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시켜 위치를 정한 후, 고정수단에 의해 이 고정날(116, 117)을 부착대(112)에 고정하면, 결과로서 고정날(116, 117)과 가동날(113∼115)의 상대관계가 적절하게 된다.
이 때문에 가동날(113∼115)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고정날(116, 117)에 충돌하거나 또한 이 충돌을 피하기 위해 양날간의 간극이 너무 커지거나 하는 일 없이 리드 단자(25)를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도88∼도9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푸셔(109)를 부품을 구성하는 소자(24)에 맞닿게 하고, 이를 기판(106)측으로 눌러내리기 전에 소자(24)상의 대기위치에서 대기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대기위치는 헤드(20)에 지지된 소자(24)의 높이에 따라 설정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8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푸셔(109)의 상단부에는 도92에 도시하는 ∧자상의 제1 레버(112K)의 작용점이 틈새에 끼워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때 푸셔(109)의 상단은 용수철(113K)에 의해 하방으로 항상 부세되어 있다. 제1 레버(112K)의 지점(114K)은 도93에 도시하는 제2 레버(115K)에 축으로 지지되어 있고, 또한 이 제1 레버(112K)의 역점이 되는 캠 종동부(116K)에는 축(117K)으로 회전축 지지된 제1 캠(118K)이 맞닿아 있다. 제2 레버(115K)는 축(117K)으로 지지되어 있고, 그 역점이 되는 캠 종동부(119K)는 축(120K)으로 회전 축 지지된 제2 캠(121K)에 맞닿아 있다.
또한 제2 레버(115K)는 용수철(112K)에 의해 항상 하방으로 부세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8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실장해야할 부품(소자(24))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 실제로 푸셔(109)에 의해 소자(24)를 기판(106)측으로 가압하기 전의 푸셔(109)에 있어서의 유체시간을 이용하여 제1 캠(118K)을 도94의 서포트 모터(124K)로 회동시키고, 이 제1 캠(118K)의 골짜기부분에 캠 종동부(116K)를 위치시킨다. 그러면, 제1 레버(112K)의 작용점이 지점(114K)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고, 이에따라 푸셔(109)는 느슨하게 소자(24)상에 맞닿을 때 까지 하강한다.
푸셔(109)가 소자(24)상에 닿으면 도시하지 않은 당접 감지 스위치(도94의 검출기(123K))가 작용하고, 그 시점의 제1 캠(118K)의 회동 각도에서 소자(24)의 높이가 연산된다.
따라서 이를 가지고 현재 실장해야할 소자(24)의 높이가 어느 정도인지가 확인됨과 동시에 이 상태에서 푸셔(109)는 대기하고, 푸셔(109)에 의해 소자(24)를 눌러내릴 시에는 이 대기위치로부터 도89와 같이 소자(24)를 기판(106)측으로 가압한다.
또한 도88∼도91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기판(106)의 하방에는 받침 핀(108)이 존재하고, 도49∼도51과 같이 푸셔(109)와 받침 핀(108)으로 소자(24)와 리드 단자(25)를 상하에서 끼워 지지한 상태에서 실장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도90, 도91은 소자(24)의 높이가 낮은 것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푸셔(109)에 의한 가압 동작 전의 푸셔(109)에 있어서의 유체시간에 제1 캠(118K)을 회동시키고, 푸셔(109)를 도90과 같이 소자(24)상에 맞닿게 한다.
이 경우에는 도90과 도88의 비교에서 이해되는 바와같이 제1 레버(112K)의 캠 종동부(116K)가 제1 캠(118K)의 보다 깊은 골짜기 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따라 도90의 경우에는 소자(24)가 높은 것이 인식되고, 이후는 푸셔(109)에 의한 가압이 도91과 같이 행해진다.
실제 실장작업에서는 1매의 기판(106)에 예를들면 100개의 소자(24)가 실장되는 경우에는 모든 소자(24)에 대해 상기와 같은 높이 인식이 행해지고, 이것은 모두 도94에 도시하는 메모리(125K)에 제어장치(126K)를 통하여 기억된다.
이 때문에 2매째 이후의 기판(106)에 있어서는 상기 각각 인식된 소자(24)의 높이에 예를들면 1mm를 가산한 높이까지 푸셔(109)의 유체시간을 이용하여 그 사전 하강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실장시에는 각 100개의 소자(24) 모두 불과 1mm 상방으로부터 푸셔(109)를 눌러내리게 되므로, 이 푸셔(109)의 눌러내림에 의한 실장시간은 매우 짧아지게 된다.
여기서 푸셔(109)를 예를들면 1mm 상방에서 대기시키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그 이유는 푸셔(109)가 헤드(20)와 일체화되어 있고, 도21과 같이 헤드(20)의 삽입네일(68)에 부품 이체체(19)로부터 소자(24)를 바꿔옮길 때에 소자(24)가 하강하는 푸셔(109)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하방으로 연장된 리드 단자(25)를 가지는 부품과, 이 부품을 지지하여 그 리드 단자(25)를, 기판(106)을 삽입해야할 관통공(107)상으로 이동시키는 헤드(20)와, 이 헤드(20)에 지지된 부품을 기판(106)측으로 눌러내리는 푸셔(109)를 구비하고, 상기 푸셔(109)는 부품에 닿아 이를 기판측으로 눌러내리기 전에 부품상의 대기위치에서 대기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대기위치는 헤드(20)에 지지된 부품의 높이에 따라 설정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써, 기판에 실장해야할 부품 높이에 따라 미리 푸셔(109)의 대기위치를 상하 이동 조정하므로, 푸셔(109)에 의한 부품의 눌러내리는 동작 시간이 단축되고, 그 결과로서 실장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95∼도105는 도1의 레일(21)을 따라 기판(106)을 위치 결정 테이블의 일예로서 이용한 X-Y 테이블(22)상에 가이드하면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이송수단은 샤프트 홀더(112N)와 이 샤프트 홀더(112N)에서 X-Y 테이블(22)측으로 출몰 자유롭게 설치한 이송 샤프트(113N)와 이 이송 샤프트(113N)의 X-Y 테이블(22) 측단부에 기판(106)을 향해 설치한 도97의 이송 핀(114N) 등을 가지고 있다. 이송 핀(114N)은 이송 샤프트(113N)의 X-Y 테이블(22) 측단부에 기판(106)측으로 향해 설치한 축(115N)에 미끄럼 이동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이송 핀(114N)에 힘을 가하는 것으로서 용수철(116N)을 결합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이송 핀(114N)을 이동시키기 위한 핀 이동체는 샤프트 홀더(112N)의 X-Y 테이블(22) 측단부에 설치한 레버(117N)와 이 레버(117N)의 일단측에 결합시킨 레버 동작체(118N)를 가지고, 상기 레버(117N)의 타단부를 이송 핀(114N)에 결합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면 이에따라 상기 각 부품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1의 레일(21)은 X-Y 테이블(22)의 우측 부분에서 길이방향으로 분단된 것을 연결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1의 최우단측의 레일(21)은 도95와 같이 판체(120N)의 내면측에 고정되며, 샤프트(119N)로 그 틈새단측(X-Y 테이블(22)측)이 상하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쪽 판체(120N)의 외면측에는 샤프트 홀더(112N)가 고정되며, 이 샤프트 홀더(112N)도 샤프트(119N)에 의해 그 X-Y 테이블(22)측이 상하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샤프트 홀더(112N)내에는 이송 샤프트(113N)가 출몰 자유롭게 수납되어 있고, 이를 출몰시키는 것이 벨트(121N)이다.
이상의 구성에서 도105와 같이 도1의 우단측 레일(21)은 도95의 설명에서 이해되는 바와같이 샤프트(119N)를 축으로 하여 그 X-Y 테이블(22)측이 도105와 같이 상방으로 밀어올려진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좌우 레일상에는 도95와 같이 벨트(122N)개 설치되어 있고, 이 벨트(22N)의 구동에 의해 도100과 같이 기판(106)이 레일(21)의 선단부에 설치한 당접부(도시하지 않음)에 닿기까지 이동된다.
이 때 레일(21) 선단부 바로 앞에는 광 센서(123N)가 설치되어 있고, 이 광 센서(123N)를 기판(106)이 통과하면 벨트(122N)를 구동시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로의 통전을 정지하는데, 이후는 관성에 의해 이 기판(106)은 상술과 같이 당접부에 맞닿아 위치가 정해진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도97의 레버 동작체(118N)에 의해 레버(117N)의 우단을 도98과 같이 좌측방으로 이동시킨다.
레버(117N)의 좌단은 도97과 같이 이송 핀(114N) 홀더(124N)의 오목부(125N)에 결합되어 있고, 이 홀더(124N)가 축(115N)에 미끄럼 이동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레버(117N)의 좌단이 도98과 같이 하방으로 내려가면 홀더(124N)와 함께 이송 핀(114N)도 하강하고, 도98과 같이 기판(106)의 관통공(126N)내에 삽입되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샤프트 홀더(112N)는 샤프트(119N)를 축으로 하여 그 선단이 도101과 같이 하강하고, 이 상태에서는 도95에 도시하는 레일(21)과 도1에 도시하는 X-Y 테이블(22)까지의 레일(21)이 면일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벨트(121)를 회동시켜 이송 샤프트(113N)만을 도102와 같이 X-Y 테이블(22)측으로 샤프트 홀더(112N)로부터 돌출시킨다.
그러면 기판(106)은 도99, 도102와 같이 X-Y 테이블(22)상으로 이송되며, 여기서 위치가 정해진다.
이 때, 홀더(124N)의 선단측에는 도96과 같이 압압 레버(127N)가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이미 X-Y 테이블(22)상에 먼저 헤드(20)에 의해 소자(24)가 실장된 기판(106)은 회수측의 레일(21)로 밀려나오게 된다.
다음에 이송 샤프트(113N)는 도103과 같이 샤프트(119N)를 축으로 하여 들어올려지고, 이에따라 이송 핀(114N)은 기판(106)의 관통공(126N)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이 상태 이후에서 X-Y 테이블(22)상의 기판(106)은 이송 핀(114N)에 의한 구속에서 해제되며, X-Y 테이블(22)의 동작과 헤드(20)의 동작에 의해 소자(24)의 실장이 행해지게 된다.
한편 들어올려진 이송 샤프트(113N)는 도104와 같이 벨트(121N)의 반전에 의해 샤프트 홀더(112N)내로 몰입되게 된다.
그리고 다음은 도97, 도105와 같이 레버 동작체(118N)에 의해 레버(117N)의 우단을 우측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홀더(124N)를 통하여 이송 핀(114N)을 상방으로 들어올리고, 다음 기판(106)이 이송되어 오는 것을 기다리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 샤프트(113N)의 X-Y 테이블(22)측에는 이송 핀(114N)과 이를 기판(106)측으로 힘을 가한 용수철(116N)을 설치한것만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경량화 및 이에 따른 고속화를 쉽게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21)에 가이드된 상태에서 기판(106)을 X-Y테이블(22)상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샤프트 홀더(112N)와, 이 샤프트 홀더(112N)로부터 X-Y 테이블(22)측으로 출몰 자유롭게 설치한 이송 샤프트(113N)와, 이 이송 샤프트(113N)의 X-Y 테이블(22) 측단부에 기판(106)을 향해 설치한 이송 핀(114N)과, 이 이송 핀(114N)을 기판(106)측으로 힘을 가한 용수철(116N)과, 이 용수철(116N)에 저항하여 이송 핀(114N)을 기판(106)과는 반대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샤프트 홀더(112N)의 X-Y 테이블(22) 측단부에 설치한 레버(117N)를 구비한 구성으로 했다.
이를위해 이송 샤프트의 위치 결정 테이블측에는 이송 핀(114N)과 이를 기판(106)측으로 힘을 가한 용수철(116N)을 설치한 것만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경량화 및 이에 따른 고속화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부품 반송체와 이 부품 반송체에 설치된 척과, 이 척에 지지된 부품을 수취하는 부품 이체체와, 이 부품 이체체에 지지된 부품을 수취하는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는 헤드 본체와 이 헤드 본체의 상하 이동 수단과, 상기 헤드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네일과, 이 삽입네일의 개폐수단과, 상기 삽입네일의 전후방향으로의 회동 수단을 가지고, 상기 회동 수단을 구성하는 캠판을 헤드 본체에 대해 탈착 자유롭게 장착한 것으로서, 형상이 다른 캠판을 헤드 본체에 장착하여 삽입네일의 후방으로의 회동궤적, 즉 부품 실장후의 삽입네일이 빠지는 방향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이 결과로서 기판상에의 부품의 실장 밀도를 높힐 수 있고, 또한, 캠판만의 교환으로 되므로, 그 교환후에 기판에 대한 삽입네일의 위치 조정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이 좋아진다.

Claims (67)

  1. 부품반송체와, 이 부품반송체에 설치된 척과, 이 척에 지지된 부품을 수취하는 부품 이체체와, 이 부품 이체체에 지지된 부품을 수취하는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는 헤드 본체와, 이 헤드 본체의 상하 이동 수단과, 상기 헤드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삽입네일과, 이 삽입네일의 개폐수단과, 상기 삽입네일의 전후방향으로의 회동 수단을 가지고, 상기 회동 수단을 구성하는 캠판을 헤드 본체에 대해 탈착 자유롭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하 이동 수단은 헤드 본체의 상부에 장착한 외축에 의해 구성하고, 이 외축내에 설치한 중축의 하부에 장착한 부착부에 캠판을 탈착 자유롭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3. 제1항에 있어서, 캠판에 결합함과 동시에, 헤드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체를 설치하고, 이 회동체에 삽입네일을 구성하는 제1 삽입네일을 장착하고, 이 제1 삽입네일에 상기 삽입네일을 구성하는 제2 삽입네일을 개폐 자유롭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4. 제3항에 있어서, 제2 삽입네일의 상부와, 이 상부에 대응하는 구동 레버 부분이 캠면을 통하여 맞닿게 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5. 제3항에 있어서, 제1, 제2 삽입네일의 선단측에는 각각 3개 이상의 협지네일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6. 제5항에 있어서, 제2 삽입네일 한쪽측의 협지네일은 다른쪽측의 협지네일 및 내측방 협지네일보다 좁은 피치이고, 탄성을 부여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7. 제3항에 있어서, 제1 삽입네일과 상기 제2 삽입네일을 중합시킴과 동시에, 제2 삽입네일의 중부를 제1 삽입네일의 중부에 축으로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8. 제1항에 있어서, 삽입네일에 의해 지지된 부품의 상부를 압압하는 푸셔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부품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출한 단자를 받는 받침 핀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 핀은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의 하면측에서 단자의 하단을 받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9. 제8항에 있어서, 받침 핀의 직경을 기판에 형성한 관통공의 직경보다 크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10. 부품반송체와, 이 부품반송체에 설치된 척과, 이 척에 지지되며 하방으로 연장된 리드 단자를 가지는 부품을 수취하는 부품 이체체와, 이 부품 이체체에 지지된 부품을 받아 그 리드 단자를 기판이 삽입 해야할 관통공상으로 이동시키는 헤드와, 이 헤드에 지지된 부품을 기판측으로 눌러내리는 푸셔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는 헤드 본체와, 이 헤드 본체의 상하 이동 수단과, 상기 헤드 본체의 하부에 설치한 삽입네일과, 이 삽입네일의 개폐수단과, 상기 삽입네일의 전후방향으로의 회동 수단을 가지고, 상기 회동 수단을 구성하는 캠판을 헤드 본체에 대해 탈착 자유롭게 장착하고, 상기 푸셔는 부품에 맞닿아 이를 기판측으로 눌러내리기 전에 부품상의 대기위치에서 대기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대기위치는 헤드에 지지된 부품의 높이에 따라 설정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11. 제10항에 있어서, 기판의 관통공 하방에는 부품 리드 단자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 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12. 제10항에 있어서, 대기위치 설정은 실장해야할 부품의 높이로부터 연산하여 구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13. 제12항에 있어서, 대기위치 설정은 푸셔를 미리 헤드에 지지된 부품에 맞닿을 때까지 강하시켜, 이 강하량으로부터 연산하여 구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14. 제10항에 있어서, 푸셔에 제1 레버의 작용점을 맞닿게 하고, 이 제1 레버의 지점을 제2 레버에 축으로 지지시키고, 제1 레버 역점에는 제1 캠을 맞닿게 하고, 상기 제2 레버의 역점에는 제2 캠을 맞닿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 캠의 회전축을 제2 레버의 지점과 동축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16. 부품반송체와, 이 부품반송체에 설치된 척과, 이 척에 지지된 리드 단자 부착 부품을 수취하는 부품 이체체와, 이 부품 이체체에 지지된 부품을 수취하는 헤드와, 이 헤드의 상하 이동 수단과, 이 헤드의 하방에 배치한 기판 지지용의 테이블과, 이 테이블의 하방에 배치한 앤빌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는 헤드 본체와, 이 헤드 본체의 상하 이동 수단과, 상기 헤드 본체의 하부에 설치한 삽입네일과, 이 삽입네일의 개폐수단과, 상기 삽입네일의 전후방향으로의 회동 수단을 가지고, 상기 회동 수단을 구성하는 캠판을 헤드 본체에 대해 탈착 자유롭게 장착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앤빌기구는 대향하는 2개의 경사면을 가지는 부착대와, 이 부착대의 한쪽 경사면에 장착한 고정날과, 상기 부착대의 다른쪽 경사면에 장착한 가동날을 가지고, 상기 고정날에는 상기 부착대 한쪽 경사면에 미끄럼 이동 위치 결정후의 고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17. 제16항에 있어서, 부착대의 하방에 조작지레를 설치하고, 이 조작지레에 가동날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조작지레와 가동날은 부착대에 축으로 지지된 연결 레버를 통하여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조작 지레의 상부 외주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2매의 차양을 설치하고, 상방의 차양에는 절결을 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조작지레를 통형상으로 하고, 이 통형상의 조작지레내에 동축상으로 상하 이동 자유롭게 리드 단자 지지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21. 제20항에 있어서, 리드 단자 지지구는 통체의 상단 개구부내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핀을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22. 제21항에 있어서, 통체의 상단 개구부에 교가상으로 지지체를 설치하고, 이 지지체에 핀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지지체는 판형상이고, 이 판형상의 지지체에는 수평방향으로 지지 핀을 관통시키고, 핀의 하단을 지지 핀상에 맞닿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24. 제23항에 있어서, 통체의 상단부 외주에 수나사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수나사부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잘라내고, 이 잘라낸 곳에 지지핀을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잘라낸 하방에 지지핀을 결합시키고, 이 잘라낸 곳 상방에는 지지체의 돌출부를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26. 제20항에 있어서, 통체의 상단부에는 외부주 내면에 수나사, 상면에 개구를 가지는 캡을 탈착 자유롭게 나사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27. 제16항에 있어서, 가동날의 상면과 하면의 적어도 한쪽에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28. 제27항에 있어서, 가동날의 상면에 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홈의 하단부에 관통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29. 제16항에 있어서, 앤빌기구는 대향하는 2개의 경사면을 가지는 부착대와, 이 부착대 한쪽 경사면에 장착한 고정날과, 상기 부착대 다른쪽 경사면에 장착한 가동날을 가지고, 상기 고정날에는 상기 부착대의 한쪽 경사면에 미끄럼 이동 위치 결정 후의 고정수단을 형성하고, 부착대의 다른쪽 경사면을 따라 가동날을 고정날과의 당접 예정점보다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시키고, 다음에 상기 고정날을 부착대의 한쪽 경사면을 따라 가동날에 맞닿을 때까지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고정날을 부착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30. 환형상의 부품 반송체와, 이 부품반송체의 외주면에 설치된 다수의 척과, 이 척 외방으로 설치된 다수의 부품 공급체와, 이들 부품 공급체에 의해 상기 척 방향으로 공급되는 테이핑 부품연과, 상기 척에 지지된 부품을 수취하는 부품 이체체와, 이 부품 이체체에 지지된 부품을 수취하는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핑 부품연은 소자와 이 소자에 접속된 적어도 2개의 리드 단자를 가지는 부품을 소정간격마다 테이핑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품 공급체는 상기 테이핑 부품연의 소자를 상방, 리드 단자를 하방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척에 지지되는 부품의 2개의 리드 단자를 연결하는 연장선과, 척에 지지되는 바로 앞 부품의 리드 단자를 연결하는 연장선이 대략 직선상으로 되도록, 상기 척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31. 제30항에 있어서, 다수의 부품공급체를 나란히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32. 제30항에 있어서, 부품공급체는 척을 개방하는 제1 척 개방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제1 척 개방체는 부품공급체에 설치한 테이핑 부품연의 이송체를 동작시키는 캠의 척 개방 캠면을 따라 조작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이송체와 척간 부분에 제1 절단날을 가지고, 이 제1 절단날은 캠의 절단날 개폐 캠면과, 절단날 이동 캠면에 의해 조작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35. 제34항에 있어서, 캠은 한개 또는 다수의 구동체에 의해 제1 이동량과, 이 제1 이동량보다 큰 제2 이동량을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제1 이동량으로 제1 척 개방체와 이송체를 동작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36. 제35항에 있어서, 캠은 제2 이동량 이동함으로써 제1 절단날을 닫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37. 제36항에 있어서, 부품공급체는 테이핑 부품연 소자의 유무를 검출하는 소자 검출기를 가지고, 이 소자 검출기에 의해 소자가 없는 것이 검출되었을 시에는 구동체에 의해 캠을 제1 이동량만큼 다수회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38. 제33항에 있어서, 제1 척 개방체와, 캠의 척 개방 캠면과의 사이에 전달기구를 설치하고, 이 전달기구는 캠의 제1 방향으로의 동작시만 제1 척 개방체를 동작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39. 제30항에 있어서, 부품반송체는 가요(휘어짐)성의 벨트로 구성하고, 이 벨트의 이면측에는 구동용 요철을 형성하고, 이 요철부에 의해 척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40. 제39항에 있어서, 벨트에 다수의 척 지지체를 소정간격마다 부착하고, 상기 각 척 지지체에는 척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41. 제40항에 있어서, 척 지지체에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이 가이드부는 가이드 레일에 결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42. 제41항에 있어서, 척 지지체의 상, 하단의 적어도 하나를 벨트 이면측으로 연장하고, 이 연장부에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이 가이드부는 가이드 레일에 결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43. 제42항에 있어서, 척의 부품 공급체측에는 척 개방체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44. 제43항에 있어서, 척 결합부와 반대측을 벨트의 이면측으로 연장하고, 이 연장부에 제2 척 개방체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45. 제30항에 있어서, 척은 개폐되는 2쌍의 네일로 구성하고, 한쪽 네일 내면측에 탄성체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46. 제30항에 있어서, 척은 고정네일과, 이 고정네일에 대해 개폐하는 가동네일로 구성하고, 가동네일의 내면측에 탄성체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47. 제46항에 있어서, 탄성체는 이 탄성체를 관통하는 핀에 의해 네일에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48. 제30항에 있어서, 부품반송체의 부품공급체에 의한 부품 공급 위치의 하류측에 가외 길이의 테이핑 부재의 유무를 검출하는 가외 길이 검출기를 설치하고, 이 가외 길이 검출기에 의해 상기 가외 길이의 테이핑 부재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제2 절단날을 동작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49. 제48항에 있어서, 제2 절단날은 하방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상승후에 가외 길이의 테이핑 부재를 절단하고, 절단후는 하방위치로 복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50. 제30항에 있어서, 부품 반송체의 부품 공급부에 의한 부품 공급 위치의 하류측에 부품의 극성 반전체를 설치하고, 이 극성 반전체는 부품 반송체에 대해 접촉 이탈 자유로운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51. 제50항에 있어서, 극성 반전체는 제2 절단날의 하류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52. 제30항에 있어서, 부품 반송체의 부품 공급부에 의한 부품 공급위치의 하류측에 척에 의한 부품 리드 단자의 지지 위치 보정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53. 제52항에 있어서, 지지 위치 보정체는 극성 반전체의 하류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54. 제53항에 있어서, 지지 위치 보정체는 테이핑 부재의 저변을 싣는 재치대와 테이핑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체와, 부품의 리드 단자부를 테이핑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부품을 이동시키는 가압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55. 제52항에 있어서, 부품 반송체의 지지 위치 보정체의 하류측에 리드 단자를 절단하기 위한 제3 절단날을 설치하고, 이 제3 절단날은 부품 반송체에 대해 접촉 이탈 자유롭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56. 제55항에 있어서, 제3 절단날은 개폐 자유로운 2쌍의 날로 구성되며, 이들 2쌍의 날의 선단 하면측에는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이 테이퍼면에 테이핑 부재의 상변이 맞닿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57. 제30항에 있어서, 척에 의해 지지된 부품을 헤드로 바꿔 싣는 부품 이체체를 가지고, 부품 이체체는 리드 단자의 하부를 끼워 지지하는 2개의 협지네일과, 이 리드 단자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네일을 가지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58. 제57항에 있어서, 한개의 협지네일과 지지네일을 일체화하고, 다른 협지네일을 상기 지지네일과 일체화된 협지네일에 대해 가동 자유롭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59. 제58항에 있어서, 협지네일과 지지네일간의 리드 단자부를 헤드의 삽입네일로 끼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60. 부품반송체와, 이 부품반송체에 설치된 척과, 이 척에 지지된 부품을 수취하는 부품 이체체와, 이 부품 이체체에 지지된 부품을 수취하는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는 헤드 본체와, 이 헤드 본체의 상하 이동 수단과, 상기 헤드 본체의 하부에 설치한 삽입네일과, 이 삽입네일의 개폐수단과, 상기 삽입네일의 전후방향으로의 회동 수단을 가지고, 상기 회동 수단을 구성하는 캠판을 헤드 본체에 대해 탈착 자유롭게 장착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부품 이체체는 상기 척에 지지된 부품을 수취하는 이체 척과, 이 이체 척을 회동시키는 회동 수단과, 이 회동 수단에 의한 이체 척의 회동호의 내·외방향으로 이체 척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이 이동수단에 의한 이체 척의 상기 회동호의 내·외방향으로의 이동후에 이 이체 척을 열거나 또는 닫는 개폐수단을 가지고, 상기 회동 수단의 회동축과, 상기 이동수단의 구동축과, 상기 개폐수단의 개폐축을 동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61. 제60항에 있어서, 개폐축에 의한 통상의 이체 척의 개폐동작과는 별도로 이체 척의 개폐를 행하는 특별 개폐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62. 제60항에 있어서, 이체 척은 부품 리드 단자의 하부를 끼워 지지하는 2개의 협지네일과, 이 리드 단자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네일을 가지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63. 제62항에 있어서, 하나의 협지네일과 지지네일을 일체화하고, 다른 협지네일을 상기 지지네일과 일체화된 협지네일에 대해 가동 자유롭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64. 제60항에 있어서, 개폐축과 이체 척간에 개폐축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판과, 이 회동판의 회동에 의해 이체 척을 개폐하는 개폐가구를 설치하고, 상기 회동판을 개폐축에 의해 힘을 가함으로써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65. 제60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구동축과 이체 척간에 구동축에 의해 힘이 가해져 이체 척을 회동호의 내·외로 이동시키는 이동 레버를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66. 부품반송체와, 이 부품반송체에 설치된 척과, 이 척에 지지된 부품을 수취하는 부품 이체체와, 이 부품 이체체에 지지된 부품을 받아 위치 결정 테이블상에 위치 결정된 기판상에 실장하기 위한 헤드와, 기판을 상기 위치 결정 테이블상에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과, 이 레일에 가이드된 상태에서 기판을 위치결정 테이블상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는 헤드 본체와, 이 헤드 본체의 상하 이동 수단과, 상기 헤드 본체의 하부에 설치한 삽입네일과, 이 삽입네일의 개폐수단과, 상기 삽입네일의 전후방향으로의 회동수단을 가지고, 상기 회동수단을 구성하는 캠판을 헤드 본체에 대해 탈착 자유롭게 장착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이송수단은 샤프트 홀더와, 이 샤프트 홀더로부터 위치 결정 테이블측으로 출몰 자유롭게 설치한 이송 샤프트와, 이 이송 샤프트의 위치 결정 테이블측 단부에 기판을 향해 설치한 이송 핀과, 이 이송 핀을 기판측으로 힘을 가한 부세체와, 이 부세체에 저항하여 이송 핀을 기판과는 반대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샤프트 홀더의 위치 결정 테이블측 단부에 설치한 핀 이동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67. 제66항에 있어서, 이송 핀은 이송 샤프트의 위치 결정 테이블측 단부에 기판측으로 향해 설치한 축에 미끄럼 이동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이송 핀에 힘을 가하는 것으로서 용수철을 결합시키고, 핀 이동체는 샤프트 홀더의 위치 결정 테이블측 단부에 설치한 레버와, 이 레버의 단측에 결합시킨 레버 동작체를 가지고, 상기 레버의 타단부를 이송 핀에 결합시킨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KR1020007000306A 1998-05-11 1999-05-07 부품실장기 KR100341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715098A JP3277882B2 (ja) 1998-05-11 1998-05-11 部品実装機
JP98-127150 1998-05-11
JP98-164893 1998-06-12
JP16489398A JP3250521B2 (ja) 1998-06-12 1998-06-12 部品実装機
JP10195392A JP2000031692A (ja) 1998-07-10 1998-07-10 部品実装機
JP98-195392 1998-07-10
JP98-282449 1998-10-05
JP28244898A JP3250528B2 (ja) 1998-10-05 1998-10-05 部品実装機
JP28244998A JP3351356B2 (ja) 1998-10-05 1998-10-05 部品実装機
JP98-282447 1998-10-05
JP28244798A JP3246453B2 (ja) 1998-10-05 1998-10-05 部品実装機とその調整方法
JP98-282448 1998-10-05
PCT/JP1999/002391 WO1999059390A1 (fr) 1998-05-11 1999-05-07 Machine de montage de pie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743A true KR20010021743A (ko) 2001-03-15
KR100341290B1 KR100341290B1 (ko) 2002-06-21

Family

ID=27552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306A KR100341290B1 (ko) 1998-05-11 1999-05-07 부품실장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71946B1 (ko)
EP (1) EP0999733B1 (ko)
KR (1) KR100341290B1 (ko)
CN (1) CN1299875C (ko)
DE (1) DE69937935T2 (ko)
WO (1) WO19990593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07492B (en) * 2000-11-24 2002-10-21 Mirae Corpration Feeder for surface mounting device
KR100348406B1 (ko) * 2000-11-24 2002-08-10 미래산업 주식회사 표면실장기의 부품공급장치
US7568284B2 (en) * 2002-07-19 2009-08-04 Panasonic Corporation Components insertion method
US20090242457A1 (en) * 2008-03-31 2009-10-01 Accu-Assembly Incorporated Electronic component orientation for assembly to circuit boards
JP5345592B2 (ja) * 2010-08-27 2013-11-20 コマツNtc株式会社 工作機械
CN102596484B (zh) * 2010-09-24 2014-12-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激光加工装置
CN102189403A (zh) * 2011-05-24 2011-09-21 杭州三晶工艺塑料有限公司 指甲刷组装机
CN102724860B (zh) * 2012-06-29 2015-04-29 东莞市新泽谷机械制造股份有限公司 带有检测转向功能的供料装置
CN102724859B (zh) * 2012-06-29 2015-04-29 东莞市新泽谷机械制造股份有限公司 散装立式电子元件供料器
CN102724861B (zh) * 2012-06-29 2015-04-29 东莞市新泽谷机械制造股份有限公司 供料器用检测转向装置
CN102762087B (zh) * 2012-07-30 2015-03-11 东莞市新泽谷机械制造股份有限公司 链式供料立式插件机
JP6262736B2 (ja) * 2013-08-07 2018-01-17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部品挿入機
CN103659221B (zh) * 2013-12-06 2015-12-09 苏州朗迅工业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翻盖产品旋转销钉的安装机及其安装方法
US10617013B2 (en) * 2014-05-20 2020-04-07 Fuji Corporation Lead component mounting machine and lead component mounting method
KR101565124B1 (ko) 2014-09-05 2015-11-02 주식회사 청명이엔지 절단 위치 조절이 용이한 피씨비 리드선 절단용 엔빌구조체
JP6742334B2 (ja) * 2015-11-25 2020-08-19 株式会社Fuji ツール検索装置及びツール検索方法
CN106028778B (zh) * 2016-07-01 2019-01-08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安装装置及安装方法
KR101783993B1 (ko) * 2017-03-30 2017-10-1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부품 유지 헤드
JP7397564B2 (ja) * 2017-06-06 2023-12-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リード線の挿入方法
JP7008233B2 (ja) * 2017-08-28 2022-0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部品実装基板の製造方法
JP7084738B2 (ja) * 2018-02-14 2022-06-1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JP6993506B2 (ja) * 2018-05-30 2022-01-13 株式会社Fuji 部品実装システム
JP7339729B2 (ja) * 2018-05-31 2023-09-0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ロボット
CN108817009A (zh) * 2018-07-10 2018-11-16 罗娜娜 批量水桶清洗设备
JP6975430B2 (ja) * 2019-02-08 2021-12-01 マコー株式会社 ワーク表面処理装置及びワーク表面処理方法
CN109774077A (zh) * 2019-02-15 2019-05-21 台州市黄岩美鼎模具有限公司 模具型腔内置油缸垂直驱动斜向抽芯机构
CN111920133A (zh) * 2020-08-14 2020-11-13 安徽润宏塑料制品有限公司 安全帽顶带与帽箍环带自动压装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6141A (en) * 1968-01-08 1970-06-23 Burroughs Corp Machine for assembling electronic components with printed circuit boards
US3608175A (en) * 1969-12-29 1971-09-28 Union Carbide Corp System for the storage,transportation and feeding of electronic components
US3720475A (en) * 1970-12-22 1973-03-13 R Leacock Automatic machine tool
JPS5449567A (en) * 1977-09-19 1979-04-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vice for detecting insertion of electronic parts
US4293999A (en) * 1978-10-31 1981-10-13 Usm Corporation Radial lead inserting machine
JPS55108796A (en) * 1979-02-14 1980-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vice for inserting component
US4356949A (en) * 1980-04-18 1982-11-02 Universal Instruments Corporation Rotary transfer assembly for high speed radial lead component sequencing and inserting machine
US4403723A (en) * 1980-04-18 1983-09-13 Universal Instruments Corporation Sequencer loading head for high speed radial lead component sequencing and inserting machine
US4464833A (en) * 1982-09-01 1984-08-14 Usm Corporation Variable rate control logic for component insertion machine
US4569550A (en) * 1983-07-15 1986-02-11 Tdk Corporatio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ounting electronic circuit element on printed circuit board
JPS60202998A (ja) * 1984-03-28 1985-10-14 三菱電機株式会社 産業用ロボツトのハンド装置
JPS60235497A (ja) * 1984-05-09 1985-11-22 シルバー精工株式会社 電子部品の装着方法
JP2541220B2 (ja) * 1987-05-19 1996-10-09 ソニー株式会社 電子部品装着装置
US5177864A (en) * 1989-09-06 1993-01-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US5145047A (en) * 1989-09-27 1992-09-08 Merlin Gerin Flexible production system comprising individually motorized mechanical modules whose operation is selected and synchronized by electronic means
US5210933A (en) * 1990-10-30 1993-05-18 Komatsu Giken Co., Ltd. Circuit assembly robot
US5259500A (en) * 1991-12-23 1993-11-09 Joseph Alvite Tape packaging system with removeable covers
JPH05261606A (ja) * 1992-03-18 1993-10-12 Okuma Mach Works Ltd 広範囲カムロックチャック
US5934162A (en) * 1993-02-17 1999-08-10 Habermehl; G. Lyle Screwdriver with dual cam slot for collated screws
JPH06302992A (ja) * 1993-04-14 1994-10-28 Toshiba Corp 部品実装機のカートリッジ構造及び部品実装機の管理システム
JP3012463B2 (ja) * 1993-12-22 2000-02-21 松下電工株式会社 組立装置
JP3330247B2 (ja) * 1995-01-31 2002-09-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挿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271461B2 (ja) * 1995-02-07 2002-04-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田ボールの搭載装置および搭載方法
JPH0955599A (ja) * 1995-08-12 1997-02-25 Denso Corp 電子部品装着装置
JP3402876B2 (ja) * 1995-10-04 2003-05-0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表面実装機
JP3677108B2 (ja) * 1996-01-29 2005-07-27 三星テクウィン株式会社 部品搭載装置
JPH1029186A (ja) * 1996-07-10 1998-0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の把持ユニット
JP3477321B2 (ja) * 1996-07-25 2003-12-10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電子部品装着装置
JPH10163693A (ja) * 1996-11-28 1998-06-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の自動挿入装置
JP3387881B2 (ja) * 1999-03-17 2003-03-17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電子部品挿入ヘッドおよび電子部品挿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99733A1 (en) 2000-05-10
US6671946B1 (en) 2004-01-06
WO1999059390A1 (fr) 1999-11-18
CN1299875C (zh) 2007-02-14
DE69937935D1 (de) 2008-02-21
EP0999733B1 (en) 2008-01-09
DE69937935T2 (de) 2008-05-21
CN1269122A (zh) 2000-10-04
KR100341290B1 (ko) 2002-06-21
EP0999733A4 (en) 200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1290B1 (ko) 부품실장기
CN110267519B (zh) 插件机械手装置及相应的自动插件机
JP6681344B2 (ja) フィーダ装置
CN106465578B (zh) 元件安装装置
JPWO2005081611A1 (ja) 支持ピン把持装置および基板支持装置
CN109128784B (zh) 机器人腕部与小臂中减速机的安装装置及安装方法
JP2021180312A (ja) フィーダ
JP3246453B2 (ja) 部品実装機とその調整方法
EP3429327B1 (en) Part extracting method
JP6678416B2 (ja) フィーダ
US11420829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mponents
WO2022149204A1 (ja) アキシャルフィーダ、及びアキシャルリード部品を保持する方法
KR100513283B1 (ko) 부품실장기용 테이프피더
JP7554274B2 (ja) アキシャル部品供給装置、及び供給方法
JP3000808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CN113519208B (zh) 折弯装置、元件供给装置及折弯方法
JP2001102795A (ja) 部品実装機
CN114175871B (zh) 带式供料器
CN209956799U (zh) 部件输送装置
JPH07144739A (ja) ワークの搬送装置
KR200319203Y1 (ko) 부품실장기용 테이프피더
KR860000022B1 (ko) Ic소켓 자동조립방법과 그 장치
JP6378054B2 (ja) 部品実装機のツール保持装置および部品実装機のノズルツール
JP4739828B2 (ja) 板状部材搬送装置
JP2000114790A (ja) 部品実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