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373A - 배기정화장치_ - Google Patents

배기정화장치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373A
KR20000016373A KR1019980709947A KR19980709947A KR20000016373A KR 20000016373 A KR20000016373 A KR 20000016373A KR 1019980709947 A KR1019980709947 A KR 1019980709947A KR 19980709947 A KR19980709947 A KR 19980709947A KR 20000016373 A KR20000016373 A KR 20000016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exhaust
cleaning liquid
cleaning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3065B1 (ko
Inventor
노리토 하사마
에미코 하사마
Original Assignee
하사마 에미콰
가부시키가이샤 도테쿠 쟈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사마 에미콰, 가부시키가이샤 도테쿠 쟈판 filed Critical 하사마 에미콰
Publication of KR20000016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0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8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ing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8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ing belts
    • B01D46/2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ing belts the belts combined with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8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ing belts
    • B01D46/2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ing belts the belts travelling during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9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liquid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2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6/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57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 cleaning liquid

Abstract

상부에 배기덕트(14)를 접속하는 아래면이 개구된 천장덮개(8) 내에 배기정화장치 본체(15)를 배치한다. 그리스필터(23)를 배기풍(5)이 유입하는 유입구(19)를 가진 본체케이스(18)의 측판부에 설치한다. 본체케이스(18) 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회전축(25a,25b)에 스텐레스강선 등을 모아 무단벨트형상으로 형성한 필터(33)를 설치한다. 필터(33)는 그리스필터(23) 및 배기풍(5)이 통과하는 유출개구부(10)에 밀접시키고, 본체케이스(18)의 하부에 설치한 세정액탱크(22) 내의 세정액(40)에 일부를 침지시킨다. 유입구(19)에서 그리스필터(23)를 통하여 유입된 배기풍(5)을 회전이동하는 필터(33)에 통과시키고, 공간부(36)로부터 다시한번 필터(33)에 통과시켜 세정후에 배기한다. 배기풍(5)의 정화 및 필터(33)의 세정이 동시에 가능하고, 용이하게 보수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기정화장치
종래에, 예를들어 호텔이나 레스토랑, 튀김 요리, 꼬치요리 등의 특히 유지(油脂)를 포함한 증기나 진애(塵埃)를 갖는 배기풍이 발생하는 음식점 등의 급식시설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방설비나, 가정용 환기팬, 쓰레기소각장 등의 소각설비, 채석장의 파쇄시설, 시멘트 공장 등의 클링커 소성시설 등의 오염물질이 함유된 배기풍 필터를 이용해서 정화하여 배기하는 배기정화장치로서는, 각종 구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주방시설에 배설되어 있는 배기정화장치로서, 예를들면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주방장치는, 옥외로 연이어 통하여 팬을 수납하는 배기덕트(201)에서 아래쪽으로 향하여 확장하는 나팔형상의 천정덮개(202)를 접속하여 천정에 배설하고 있다. 그리고 천정덮개(202) 내에는 배기풍(203)으로부터 유지분이나 진애가 혼합된 타르형상물질을 분리제거하는 그리스필터나 그리스세퍼레이터 등의 필터(204)를 가진 배기정화장치(205)를 배설하고 있다.
그리고, 필터(204)는 소방법이나 각종 기술기준 등에 규정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강판이나 스테인리스강판과 동등 이상의 내열성 및 내부식성을 갖는 불연재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터(204)는 예를들어 도 22 내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풍(203)이 통과할 때에 급격한 기류의 방향전환이나 흐름이 좁혀지는 축류(縮流)가 생기는 루버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방향전환이나 축류에 의해, 배기풍(203) 중의 유지분이 벽면에 접촉하도록 하여 소정량 이상의 유지분을 제거한다. 또한 필터(204)는 분리제거되어 부착되는 유지분을 용이하게 세정제거할 수 있도록 착탈이 용이한 구성으로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필터(204)의 하부에는, 천정덮개(202) 하단부의 둘레가장자리에 설치된 내벽면을 흘러 내리는 유지분을 회수하는 홈통(207)과 마찬가지로, 분리제거한 유지분을 천정덮개(202) 밖으로 소정량 이상 회수하여 배출제거하는 홈통(207)이 설치된다. 또 배기정화장치(205)는 주방의 연소설비(210)나 화염(211)에 유지분이 떨어지지 않고,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필터(204)의 평면이 수평면에 대하여 약 45도 이상 경사져서 천장덮개(202) 내에 배설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도 22 내지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루버구조의 필터(204)를 갖는 배기정화장치(205)에서는, 배기풍(203) 중의 유지분의 부착이 소정량 이상이 되면 흘러 나와서 하부에 배설된 홈통(207,208)으로 회수된다. 그렇지만 이 루버구조의 필터(204)에서는, 배기풍(203) 중에 진애가 혼입된 타르형상물질이 함유되는 경우에는, 유지분의 점성이 높아 흘러 떨어지기 어렵게 되고, 배기풍(203)이 통과하는 성질이 저하하여 효율적으로 분리제거할 수 없게 된다. 또 바람소리 등의 소음이 생기게 되므로, 특히 배기풍(203) 중의 유지분이 많은 환경에서는 필터(204)의 알칼리세제 등에 의한 세정작업을 빈번히 행해야만 하여 세정이 번잡해 진다. 그리고 제거되지 않고 필터(204)를 통과한 유지분이 배기덕트(201)의 내벽면에 부착하여 배기성을 떨어뜨린다. 그리고 또 배기덕트(201)의 내벽면에 부착한 유지분이 진애의 부착에 의해 타르형상으로 되어 달라 붙는다. 그리고 이 타르형상의 유지분은 제거작업이 번잡하고, 유지분이 산화함으로써 발열하여 발화할 우려도 있다. 이 때문에 어려운 배기덕트(201)의 세정작업을 행해야만 하므로 세정비용이 증대한다.
또한, 배기덕트(201) 내에 방화댐퍼나 소화를 위한 노즐을 가진 소화장치 등의 방화설비가 배설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두 제거되지 않고 통과한 유지분이 부착하여, 방화동작이 양호하게 작동하지 않을 우려도 있다. 이 때문에 보수관리도 번잡하고, 보수관리비용이 증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통과하는 배기풍에 세정액 등을 분무하여 오염물질을 분리제거하는 구성, 필터(204)에 세정액을 내뿜어 필터(204)에 부착분리된 오염물질을 씻어 내는 구성, 배기풍을 세정액이나 물 속으로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분리제거하는 구성 등의 자동세정기능을 구비한 그리스 익스트랙터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세정액 등을 분무하는 구성인 것이나 필터(204)에 내뿜는 구성의 자동세정기능을 구비한 것으로서는, 분무하거나 내뿜는 노즐 등이나 배기덕트(201) 속을 흘러 내리는 세정후의 유지분 등을 포함한 오수를 배기풍(203)의 풍로(風路) 저항으로 되지 않도록 회수해야 한다. 이 때문에 회수하는 구조 등이 복잡하게 되고, 제조가 번잡하고 고가로 됨과 동시에 장치가 대형화된다. 또한 배기풍을 세정액이나 물 속으로 통과시키는 구성인 것으로서는, 제거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세정액이나 물과의 접촉시간을 길게 해야 한다. 이 때문에 커다란 풍로 저항으로 되어, 효율적으로 배기풍을 정화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천정덮개(202)에 배설하는 고정형의 구성이기 때문에, 예를들어 주방의 한가운데에서 기름을 이용한 조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천정덮개(202)로부터 흡인되는 증발한 유지분의 회수율은 극히 낮아지게 되어, 조리환경이 악화한다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가정 등의 증발하는 유지분이 적은 환경에서는 내부에 배기정화장치(205)를 배설하는 천정덮개(202)를 부착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 진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배기풍의 정화에 의해 오염되는 필터의 세정이 거의 불필요하여 보수관리가 용이한 배기정화장치, 또한 효율좋게 배기풍을 정화할 수 있는 배기정화장치, 그리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가 용이한 배기정화장치, 또한 특히 포함하는 배기풍에 대하여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는 배기정화장치, 그리고 사용형태에 따라 이동가능한 배기정화장치, 또한 사용환경에 따라 소형의 배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예를들어 레스토랑이나 가정의 주방, 연소시설 및 파쇄시설 등의 오염물질을 가지는 배기풍(排氣風)을 필터를 이용해서 정화하여 배기하는 배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기정화장치의 실시의 일형태를 나타낸 정면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필터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배기정화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필터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배기정화장치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 정면단면도이고, 도 6은 상기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배기정화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정면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배기정화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본체케이스의 가동판 근방을 나타낸 정면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배기정화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배기정화장치 본체를 나타낸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배기정화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정면단면도이고, 도 13은 상기 배기정화장치 본체를 나타낸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배기정화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정면단면도이고, 도 15는 상기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배기정화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정면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배기정화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정면단면도이고, 도 18은 상기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배기정화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정면단면도이고, 도 20은 종래 예의 배기정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1은 상기 정면단면도이고, 도 22는 상기 그리스필터의 루버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3은 종래의 다른 배기정화장치의 그리스필터의 루버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4는 종래의 또 다른 배기정화장치의 그리스필터의 루버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5는 종래의 또 다른 배기정화장치의 그리스필터의 루버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배기정화장치는, 배기풍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배기풍이 배기되는 배기구를 갖는 본체와, 이 본체 내에 배설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배기풍을 통과시켜 상기 배기구로 유출시키는 통기성을 가진 필터와, 이 필터의 적어도 일부를 세정하는 세정수단과, 상기 필터를 이동시켜 상기 세정수단에 의한 상기 필터의 세정위치를 변화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유입구로부터 본체내로 유입된 배기풍은, 본체내에 배설되어 이동수단으로서 이동되는 통기성을 가진 필터를 통과하여 본체의 배기구로 배출될 때에, 배기풍중의 오염물질이 필터에 포착되어 분리제거된다. 또한 필터에 포착된 오염물질은 세정수단에 의해 필터의 적어도 일부를 이동수단에 의해 필터의 세정위치가 변화되어 세정된다.
따라서, 유입구로부터 본체내로 유입된 배기풍을, 본체내의 이동하는 통기성의 필터로 통과하여 본체의 배기구로 배출되고, 배기풍중의 오염물질을 필터로써 포착하여 분리제거하며, 필터에 포착된 오염물질은 이동수단으로서 이동하는 필터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세정수단으로 씻어 버리기때문에, 세정작업을 거의 자동화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배기풍을 정화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보수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세정수단이, 세정액을 가지며, 필터에 상기 세정액을 분출시키는 분출부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하여, 세정수단의 분출부에서 필터에 세정액을 분출시켜 세정한다.
따라서, 세정수단의 분출부에서 필터에 세정액을 분출시켜 세정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자동화할 수 있어 용이하게 필터의 세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분출부가, 배기풍이 통과하는 방향의 상류측에서 필터에 세정액을 분출시키는 것이다.
그리하여, 배기풍이 통과하는 방향의 상류측에서 분출부로서 필터에 세정액을 분출시켜 세정한다.
따라서, 배기풍이 통과하는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분출부에서 필터에 세정액을 분출시켜 세정하기 때문에, 외부로의 세정액의 분출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필터를 세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분출된 세정액 및 오염물질이 혼입하는 세정액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고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배기풍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배기풍이 배기되는 배기구를 갖는 본체와, 이 본체내에 상기 배기구를 덮어 배설된 통기성을 가진 필터와, 이 필터의 적어도 일부가 침지되는 세정액을 저장하는 세정수단과, 상기 필터를 이동시켜 상기 세정수단에 의한 상기 필터의 세정위치를 변화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그리하여, 유입구로부터 본체내로 유입된 배기풍은, 본체내에 배설되어 이동수단으로서 이동되는 통기성을 가진 필터를 통과하여 본체의 배기구로 배출될 때에, 배기풍중의 오염물질이 필터에 포착되어 분리제거된다. 또한 필터는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어 세정수단의 세정액중에 적어도 일부 위치를 변화하면서 침지되어 포착된 오염물질을 씻어 낸다.
따라서, 유입구에서 본체내로 유입된 배기풍을, 본체내의 이동하는 통기성의 필터로 통과시켜 본체의 배기구에서 배출하고, 배기풍중의 오염물질을 필터로 포착하여 분리제거하며, 필터는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어 세정수단의 세정액중에 적어도 일부를 위치변화시키면서 침지되어 포착된 오염물질을 씻어내는 것이므로, 세정작업을 거의 자동화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배기풍을 정화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보수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이동수단이, 배기구를 덮은 상태에서 필터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리하여, 필터는 이동수단으로서 배기구를 덮은 상태로 이동된다.
따라서, 필터를 이동수단으로서 배기구를 덮은 상태에서 이동시키기 때문에, 필터의 동일면에서 배기풍중의 오염물질을 포착함에 따른 그물코가 먼지로 막힘 등의 폐해를 방지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필터의 세정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배기풍중의 오염물질의 포착 및 필터의 세정이 동시에 행해져서, 배기풍의 정화효율 및 필터의 세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세정수단이, 세정액에 침지하는 필터를 초음파세정하는 초음파세정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그리하여, 세정수단의 초음파세정수단에 의해 세정액에 침지하는 필터를 초음파세정한다.
따라서, 세정수단의 초음파세정수단에 의해 세정액에 침지하는 필터를 초음파세정하기 때문에, 세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 배기풍을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배기풍을 적어도 2회 이상 통과시킨다.
그리하여, 배기풍을 필터에 적어도 2회 이상 통과시킨다.
따라서, 배기풍을 필터에 적어도 2회 이상 통과시키기 때문에, 배기풍중의 오염물질의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양호하게 배기풍의 정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필터가, 내부에 공간부를 가진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하여, 필터를 내부에 공간부를 가진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필터를 내부에 공간부를 가진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필터가 효율적인 세정이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세정수단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배기풍을 여러번 필터에 통과시켜 정화효율을 향상시키는 구성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필터는, 무단벨트(이음매 없는 벨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하여, 필터를 무단벨트형상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필터를 무단벨트형상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필터의 배치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용이하게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이동수단이 필터를 돌려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동수단으로서 필터를 돌려 이동시킨다.
따라서, 이동수단으로서 필터를 돌려 이동시키기 때문에, 필터의 이동에 필요한 공간을 적게 할 수 있어, 용이하게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이동수단이 필터를 유지하는 필터유지부와, 이 필터유지부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그리하여, 필터를 유지하는 필터유지부를 구동수단으로서 이동시킨다.
따라서, 필터를 유지하는 필터유지부를 구동수단으로서 이동시키기 때문에, 필터의 형상을 유지한 채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시의 부하에 의한 필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기간 안정적으로 효율적인 배기풍의 정화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이동수단이 필터를 유지하는 틀체형상의 필터유지부와, 이 필터유지부를 회전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그리하여, 필터를 유지하는 틀체형상의 필터유지부를 구동수단으로서 회전이동시킨다.
따라서, 필터를 유지하는 틀체형상의 필터유지부를 구동수단으로써 회전이동시키기 때문에, 필터의 이동에 필요한 공간을 적게 할 수 있고 용이하게 소형화할 수 있으며, 필터의 형상이 유지된 채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시의 부하에 의한 필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터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제조성 및 보수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배기풍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배기풍이 배기되는 배기구를 갖은 본체와, 이 본체내에 배설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배기풍을 통과시켜 상기 배기구로 유출시키는 통기성을 가진 필터와, 이 필터에 세정액을 분출하여 적어도 일부를 세정하는 분출부를 가진 세정수단과, 이 세정수단의 상기 분출부를 이동시켜 상기 필터의 세정위치를 변화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그리하여, 유입구로부터 본체내로 유입된 배기풍은, 본체내에 배설된 통기성을 가진 필터를 통과하여 본체의 배기구로부터 배출될 때에, 배기풍중의 오염물질이 필터에 포착되어 분리제거된다. 또한 필터에 포착된 오염물질은 필터에 세정액을 분출하는 세정수단의 분출부를 이동수단으로서 이동시켜 필터의 세정위치를 변화시켜 세정함으로써 씻어 낸다.
따라서, 유입구로부터 본체내로 유입된 배기풍을, 본체내의 통기성의 필터로 통과하여 본체의 배기구로부터 배출하고, 배기풍중의 오염물질을 필터에 포착하여 분리제거하며, 필터에 포착한 오염물질은 이동수단으로서 이동하는 세정액을 필터에 분출하는 세정수단의 분출부를 이동시켜 위치를 변화하면서 씻어내기 때문에, 세정작업을 대략 자동화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배기풍을 정화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보수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필터가 난연성 또는 불연성 및 내식성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하여, 필터를 난연성 또는 불연성 및 내식성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필터를 난연성 또는 불연성 및 내식성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세정액에 의한 세정으로써 열화하지 않고, 열부하를 받는 분위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장기간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배기풍의 정화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인 필터는 가늘고 긴 금속선 및 가늘고 긴 금속박판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짜서 형성된 것이다.
그리하여, 가늘고 긴 금속선 및 가늘고 긴 금속박판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짜서 필터를 형성한다.
따라서, 가늘고 긴 금속선 및 가늘고 긴 금속박판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짜서 필터를 형성하기 때문에, 유연성, 불연성, 내식성 및 고강도가 용이하게 얻어짐과 동시에,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저렴한 가격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장기간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배기풍의 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필터는 스텐레스강으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하여, 스텐레스강으로 필터를 형성한다.
따라서, 스텐레스강으로 필터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불연성, 고내식성 및 고강도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고, 장기간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배기풍의 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본체는 바닥면위에서 이동가능하게 놓여지는 다리부를 가진 것이다.
그리하여, 본체에 이 본체를 바닥면위에 이동가능하게 놓여지는 다리부를 설치한다.
따라서, 본체에 이 본체를 바닥면위에 이동가능하게 놓여지는 다리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배기풍이 발생하는 상황에 대응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배기풍을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세정수단은, 세정액을 공급 및 배출하는 세정액공급배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그리하여, 세정수단에 세정액을 공급 및 배출하는 세정액공급배수단을 설치한다.
따라서, 세정수단에 세저액을 공급 및 배출하는 세정액공급배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세정액공급배수단에 의하여 세정수단으로의 세정액을 공급 및 배출이 다른 부위를 더럽히지 않고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세정액이 불연성이며 식물성인 것이다.
그리하여, 불연성이고 식물성인 세정액을 이용한다.
따라서, 불연성이며 식물성인 세정액을 이용하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고, 배기풍중에서 제거한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세정액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열부하를 받는 분위기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세정액이, 톨오일을 원료로 한 아민소프를 주성분으로 하며, 고급알콜계 비이온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톨오일을 원료로 한 아민소프를 주성분으로 하며, 고급알콜계 비이온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정액을 이용한다.
따라서, 톨오일을 원료로 한 아민소프를 주성분으로 하고, 고급알콜계 비이온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정액을 이용하기 때문에, 처리용이성, 불연성, 취급용이성 및 고세정력를 얻을 수 있어, 양호하고 효율적으로 장기간 안정적인 배기풍을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필터는, 배기풍이 직선상으로 통과 불가능한 유통구멍을 가진 통과규제체로써 덮힌 것이다.
그리하여, 배기풍이 직선상으로 통과불가능한 유통구멍을 갖는 통과규제체로써 필터를 덮는다.
따라서, 배기풍이 직선상으로 통과불가능한 유통구멍을 갖은 통과규제체로써 필터를 덮었기 때문에, 배기풍은 통과규제체의 유통구멍을 비직선상으로 통과하여 배기풍중의 오염물질의 일부가 제거된 후에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되기 때문에, 필터의 오염물질의 제거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고, 배기풍중의 오염물질의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세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기풍을 효율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안정하게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수단이 평면면적이 필터의 평면면적이상의 넓이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의 아래쪽에 배설된 받이탱크를 가진 것이다.
그리하여, 평면면적이 필터의 평면면적이상의 넓이로 형성된 받이탱크를 필터의 아래쪽에 배설한다.
따라서, 평면면적이 필터의 평면면적이상의 넓이로 형성된 받이탱크를 필터의 아래쪽에 배설하였기 때문에, 필터의 세정 및 세정후의 세정액의 회수를 다른 부위를 더럽히는 일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발명의 본체가 화재를 검지하는 화재검지수단과, 배기구를 폐색하는 셔터체를 설치한 것이다.
그리하여, 본체에 화재를 검지하는 화재검지수단 및 배기구를 폐색하는 셔터체를 설치한다.
따라서, 본체에 화재를 검지하는 화재검지수단 및 배기구를 폐색하는 셔터체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가령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셔터체로 배기구를 폐색함으로써, 장치내로의 화염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고, 화염에 의한 손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염물질이 거의 제거된 배기풍이 통과하는 배기구에 셔터체가 설치되기 때문에, 셔터체가 오염물질로써 오염되지 않아, 셔터체가 정상으로 작동할 수 있고, 보수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1)은 주방설비이며, 이 주방설비(1)는 조리기구(2)가 놓여지는 가스렌지 등의 화염(3)을 가진 연소설비(4)와, 이 연소설비(4)의 위쪽에 배설되어, 조리시에 생기는 배기풍(5)을 흡기하여 옥외로 배출하는 배기설비(6)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배기설비(6)는 주방실(7)의 도시하지 않은 천정에 부착된 천정덮개(8)를 갖고 있다. 이 천정덮개(8)는 아래면에 유입개구부(9)가 개구된 대략 상자형으로서, 윗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유출개구부(10)가 개구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정덮개(8)의 유출개구부(10)는, 이 유출개구부(10)의 개구상태를 가변, 즉 화재의 발생 등에 의해 유출개구부(10)를 폐색시키는 셔터체로서의 방화댐퍼(11)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방화댐퍼(11)는 수동으로 유출개구부(10)를 개폐시키거나, 도시하지 않은 연기나 화염, 열 등을 검지하는 센서의 검지에 의해 동작하는 어느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천정덮개(8)의 유입개구부(9)의 둘레가장자리, 예컨대 전면 및 양측면에는, 내측에 향하여 굴곡형성된 홈형상의 홈통(1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천정덮개(8)의 상부에는, 일끝단이 유출개구부(10)를 덮도록 연이어 통하고 다른 끝단이 옥외로 도출하여 도시하지 않은 팬이나 송풍기 등을 구비한 배기덕트(1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천장덮개(8) 내에는 배기정화장치 본체(15)가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배기정화장치 본체(15)는 내열성 및 내부식성의 불연재인 예컨대 스테인리스강판으로써 대략 등각사다리꼴 판형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끝판부(16,16)를 가지고 있다. 또한 끝판부(16,16)의 옆테두리에는, 스테인리스강판으로서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된 측판부(17,17)가 한쌍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끝판부(16,16) 및 측판부(17,17)로서, 위아래면을 개구하여 윗쪽을 향해 확장하는 상자형으로 형성된 본체로서의 본체케이스(18)가 구성되어 있다. 또 끝판부(16)의 한쪽에는, 도시하지 않은 덮개로써 개폐가 자유롭고 본체케이스(18) 내를 점검가능한 대략 원형의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측판부(17,17)는, 유입구(19,19)를 각각 개구하는 틀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유입구(19,19)에서 본체케이스(18) 내로 유입된 공기는, 본체케이스(18)의 윗면의 개구인 배기구(20)에서 배출된다. 그리고 측판부(17)는 평면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대략 45도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이 본체케이스(18)의 하부에는, 아래면의 개구를 덮도록 윗면을 개구하는 상자형의 받이탱크로 되는 세정액탱크(22)가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케이스(18)의 측판부(17,17)의 내면측에는 유입구(19,19)를 폐색하도록, 통과규제체로서의 루버구조인 그리스필터(23,23)가 착탈이 자유롭게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 이 그리스필터(23)는 종래의 그리스필터와 마찬가지로, 배기풍(5)이 비직선상으로 통과하는 도시하지 않은 유통구멍을 여러개 가진 루버구조이다. 또한 그리스필터(23)는 대략 45도로 경사진 측판부(17)에 부착된 상태에서, 부착되는 유지분이나 타르형상물질 등의 오염물질 등이 아래쪽으로 떨어지지 않는 루버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리스필터(23)에는 오염물질 등이 아래쪽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별도로 회수부재 등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본체케이스(18)의 아래쪽에는, 배기정화장치 본체(15)에서 떨어지는 액체를 회수하는 평편한 접시형상의 회수부(24)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케이스(18)는 한쌍의 끝판부(16)의 대향방향을 따라 축방향을 가지는 회전축(25a,25b)이 설치된다. 이들 회전축(25a,25b)은 양끝단부를 끝판부(16,16)에 각각 설정된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으로서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되며, 또한 이들 회전축(25a,25b)은 여러개, 예를들면 3개가, 끝판부(16,16)의 형상에 따라 대략 역삼각형의 정점에 위치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또한 아래쪽에 위치하는 회전축(25b)은, 세정액탱크(22)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25a)의 하나는, 일끝단부가 끝판부(16)에서 뚫려 나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축(25a)의 돌출된 끝단부에는, 본체 케이스리터의 끝판부(16)의 외면측에 배설된 구동수단로서의 모터(26)의 출력축(27)이 연결되어 있다. 또 이 모터(26)는 전원선(28)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으로써 적시에 위상제어된 상용교류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되며, 이동수단(29)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25a,25b)의 양끝단부에는, 치차(30,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치차(30,30)에는 무단형상의 체인(31,31)이 각각 걸려 있다. 그리고 모터(26)의 구동에 의해 회전축(25a,2b)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25a,25b)의 양끝단부에 위치하는 체인(31,31)에는 각각 연결되도록 무단벨트형상의 필터(33)의 양측 테두리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필터(3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들어 스테인리스강선으로서 그물코형상으로 형성된 무단형상의 네트(34)와, 이 네트(34)의 외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예컨대 스테인리스강선으로서 매트형상으로 짜서 이루어진 매트부(35)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네트(34)의 양측 테두리가 체인(31,31)에 각각 부착된다. 또 필터(33)를 구성하는 스테인리스강선은, 예컨대 100μm 정도의 가는 선형상의 스테인리스강선이나 가늘고 긴 리본형상의 스테인리스강 박판 등이 이용된다. 또한 매트부(35)는 마이크로 파이버화된 섬유형태로 짜서 통기성을 갖는 매트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필터(33)는 대략 역삼각형의 정점에 위치하도록 배설된 회전축(25a,25b)에 걸린 체인(31,31)에 양측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필터(33)는 내부에 공간부(36)를 구획하여 대략 삼각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아래끝단의 각진부분이 세정액탱크(22) 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필터(33)는, 윗쪽에 위치하는 회전축(25a,25a) 사이에 걸려지는 부분의 윗면은, 본체케이스(18)의 윗끝단 테두리와 대략 같은 위치에서, 이 윗면부분이 유출개구부(10)를 빈틈없이 덮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필터(33)는 윗쪽에 위치하는 회전축(25a,25a)과 아래쪽에 위치하는 회전축(25b)과의 사이에 걸려지는 부분의 외측면은, 그리스필터(23,23)의 내면에 대략 접촉하여 밀접되어 있다.
또한, 필터(33)의 배기구(20)를 덮는 윗면부분의 평면면적은, 세정액탱크(22)의 윗면개구면적과 대략 같은 정도로 되어있다. 즉 평면에서 보아, 세정액탱크(22)의 면적이 필터(33)의 면적과같은 정도이거나 혹은 크다. 이 때문에 필터(33)로부터 세정액 등이 떨어지더라도 세정액탱크(22)로 회수되도록 되어 있다.
또, 그리스필터(23)에 부착되는 유지분이나 타르형상물질, 필터(33)에서 떨어진 세정액 등은, 세정액탱크(22)로 유도되어 회수된다. 이것은 그리스필터(23)에서 떨어지더라도 그리스필터(23)가 루버구조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리스필터(23)는 종래와 같은 오염물질의 제거율만큼 높은 제거율이 아니어도 된다. 즉 필터(33)로써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보조적으로 제거 혹은 거의 제거할 수 없더라도 좋다. 그리고 필터(33)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보호하고, 외부에서 조리기구가 이동하는 필터(33)에 끼워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커버부재로서의 기능을 갖는 구조이면 된다.
그리고, 배기정화장치 본체(15)는, 본체케이스(18)의 윗끝단부가 천정덮개(8)의 상부 아래면에 유출개구부(10)를 덮어 본체케이스(18)의 윗면의 배기구(20)를 유출개구부(10)에 기밀하게 이어져 있다. 또한 필터(33)의 윗면부분이 유출개구부(10)를 폐색, 즉 빈틈없이 덮도록 밀접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천정덮개(8)의 유입개구부(9)로부터 유입된 배기풍(5), 즉 조리시에 조리유가 증발한 유지분이나 이 유지분이 공기중의 진애와 부착되어 타프형상물질을 포함한 공기인 배기풍(5)은 소정의 배기풍통로를 통과한다. 즉 배기정화장치본체(15)의 유입구(19,19)에서 그리스필터(23,23), 필터(33)의 그리스필터(23)에 밀접하는 측면부, 필터(33) 내의 공간부(36), 필터(33)의 유출개구부(10)를 덮는 상태의 윗면부를 통해 방화댐퍼(11)가 설치된 유출개구부(10)에서 배기덕터(14)를 통하여 옥외로 배출된다. 이 배기풍(5)의 흐름이 배기풍통로가 된다.
또한, 세정액탱크(22)의 일끝단측 상부는, 천정덮개(8)의 외면측 정면에 부착된 세정액(40)을 저장하는 탱크(41)에 공급밸브(42)를 가진 공급관(43)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세정액(40)은 탱크(41)로부터 공급관(43)을 통해 세정액탱크(22) 내로 공급되어서 저장되어 있다. 또 이 세정액(40)의 조성은 예컨대 소나무재 등의 식물로부터 추출된 올레인산이나 리놀산 등으로 조정된 톨오일로 제작된 아민소프를 주성분으로 한다. 또한 이 아민소프에 고급알콜계 비이온계면활성제 등이 혼합되어 있다. 그 이외에 특히 유지에 대하여 세정성이 높고, 항균성을 가지며, 중성이고, 방부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무인, 무착색, 불연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액탱크(22)의 다른 끝단측 바닥부에는, 세정액탱크(22) 내 에 저장되는 세정액(40)을 배출시키는 배출밸브(45)를 갖는 배출관(46)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다른 끝단측 상부에는 세정액탱크(22)에 저장되는 세정액(40)을 일정량으로 조정하는 오버플로우관(47)의 일끝단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버플로우관(47)은 배출관(46)의 배출밸브(45)보다 하류측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세정액탱크(22) 내에 세정액(40)이 소정량 이상 공급된 경우에는, 오버플로우관(47)로부터 배출관(46)에 오버플로우하여 배출된다. 또 이 세정액(40)의 양은 세정액탱크(22) 내에 아래끝단부가 위치하는 필터(33)가 세정액(40)에 침지하는 양이 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세정액(40), 탱크(41), 공급밸브(42)를 갖은 공급관(43), 배출밸브(45)를 가지는 배출관(46) 및 오버플로우관(47)에 의해 세정액급배수단(48)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세정액탱크(22) 내에는 미세진동하는 진동자(50)가 배설되어 있다. 또 이 진동자(50)는 천정덮개(8)의 외면측의 정면으로 배설된 초음파발신장치(51)에 도선(52) 등으로써 접속되어 있다. 이 초음파발신장치(51)에 접속된 진동자(50)로서 초음파세정수단(53)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초음파세정수단(53)은 초음파발신장치(51)의 조작에 의해 진동자(50)가 진동한다. 또한 세정액탱크(22) 내에 저장된 세정액(40)이 초음파진동한다. 그리고 세정액탱크(22) 내의 세정액(40)에 일부가 침지하는 필터(33)를 초음파세정한다.
그리고, 이 초음파세정수단(53)과 세정액급배수단(48)과 세정액탱크(22)로서 세정수단(55)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세정액탱크(22)에는, 외부에서 세정액(40)의 액면이 눈으로 관찰가능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게이지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미리 천정덮개(8) 내에 맞붙어질 수 있는 배기정화장치 본체(15)에 천정덮개(8)에 배설된 탱크(41) 및 초음파발진장치(51)를 각각 접속해서 배기설비(6)를 조립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탱크(41) 내에 세정액(40)을 충전하여 배출밸브(45)가 닫혀 있는 것을 확인한 후, 공급밸브(42)를 열어 배기정화장치 본체(15)의 세정액탱크(22) 내에 도시하지 않은 게이지를 보면서 세정액(40)을 소정량 공급한다. 또 소정량 이상의 세정액(40)이 유입된 경우에는 오버플로우관(47)을 통해 배출관(46)에서 오버플로우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배기덕트(14)의 도시하지 않은 팬이나 송풍기 등을 동작시켜 흡기를 행한다. 또한 모터(26)를 구동시켜 필터(33)가 순환하도록 돌려 이동시킴과 동시에, 초음파세정수단(53)을 작동시켜 조리준비를 한다.
다음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배기풍(5)의 정화 동작을 설명한다.
조리에 의해 유지분의 증기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 증기를 포함한 공기인 배기풍(5)이 팬이나 송풍기 등의 동작으로서 천정덮개(8)의 유입개구부(10)로부터 흡인된다. 또한 천장덮개(8) 내로 흡인된 배기풍(5)은 배기정화장치 본체(15)의 유입구(19,19)에서 흡인되어, 그리스필터(23,23)의 도시하지 않은 유통구멍을 비직선상으로 통과한다. 이 그리스필터(23)의 통과시에 공기중의 진애나 유지분, 타르형상물질의 일부가 부착하여 배기풍(5)으로부터 분리제거된다.
또한, 이 그리스필터(23)를 통과한 배기풍(5)은, 그리스필터(23)에 밀접하는 필터(33)의 측면부분을 통과하여 필터(33)내의 공간부(36)에 유입한다. 또, 이 필터(33)의 통과시에, 배기풍(5)은 필터(33)의 내부의 좁은 빈틈을 스테인리스강선을 꿰매듯이 비직선상으로 통과한다. 이것은 필터(33)가 가는 스테인리스강선을 짜서 구성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필터(33)는 그리스필터(23)에 비하여 비표면적이 대단히 넓고, 배기풍(5)이 통과하는 유로도 대단히 좁다. 이것은 가는 스테인리스강선으로 짜서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리스필터(23)와 같이, 축류가 빈번하게 반복된다. 이 때문에, 배기풍(5)중의 미세한 진애나 유지분, 타르형상물질 등의 오염물질의 거의가 필터(33)에 포착되어 분리제거된다.
또한, 공간부(36)에 흡인되어 유입한 배기풍(5)은 필터(33)의 상부를 통과한다. 이 필터(33)를 두 번째 통과함으로써, 같은 작용에 의해 배기풍(5)중의 오염물질이 거의 완전히 분리제거되어 정화된다. 그리고 방화댐퍼(11)의 유출개구부(10)를 통해 배기덕트(14)에 흡인되어 옥외로 배기된다.
또한, 필터(33)는 모터(26)의 구동에 의해 돌려져서 이동함에 따라, 배기풍(5)으로부터 분리제거한 오염물질을 부착하는 부분이, 초음파세정수단(53)이 작동하는 세정액(40)이 저장된 세정액탱크(22)에 침지한다. 그리고 세정액(40)에 의한 세정 및 초음파에 의한 세정의 상승작용에 의해 필터(33)로부터 오염물질이 거의 확실하게 제거된다. 또한 세정액탱크(22) 내에 세정된 새로운 부분은, 모터(26)의 구동에 의해 돌려져서 이동함에 따라, 유입구(19)에 대향하는 상태가 된다.
또, 소정시간의 사용에 의해 세정액(40)이 오염된 경우에는, 배출밸브(45)를 열어 내부에 저장하는 오염된 세정액(40)을 배출관(46)을 통해 유출시킨다. 그 다음 다시 배출밸브(45)를 닫고, 공급밸브리터를 열어 배기정화장치 본체(15)의 세정액탱크(22) 내부로 게이지를 보면서 세정액(40)을 소정량 공급한다. 또 세정액(40)은 별도 폐액용기 등으로써 회수하고, 별도 처리함으로서 하수처리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중에 세정액(40)의 오염상태가 낮아, 세정액(40)을 교환할 필요가 없지만, 휘발 등에 의해 세정액판이 적어진 것을 예컨대 게이지로써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세정액(40)이 적어졌을 경우에는, 공급밸브(42)를 열어 배기정화장치 본체(15)의 세정액탱크(22) 내부로 게이지를 보면서 세정액(40)을 공급하여 보급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배기정화장치 본체(15)의 유입구(19,19)로부터 유입된 배기풍(5)을 통기성을 갖는 필터(33)를 통과시켜 배기풍(5) 중의 오염물질을 필터(33)로써 포착하여 분리제거하여 정화한다. 그리고 배기구(20)에 연이어 통하는 유출개구부(10)로 배출한다. 또한 배기풍(5) 중에서 분리제거한 오염물질이 부착된 필터(33)는 세정수단(55)으로써 세정액(40)을 접촉, 즉 세정액(40) 중에 필터(33)를 침지시켜 세정한다. 이 때문에 주방설비(1)의 사용 후에, 각 부위를 떼어내어 세정하거나, 배기덕트(14) 내부를 세정하는 등의 세정작업이 불필요하여, 거의 자동적으로 세정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배기풍(5)을 정화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보수관리할 수 있다.
또한, 필터(33)를 이동시켜 세정액(40)이 저장된 세정액탱크(22)에 침지하여 세정하기 때문에, 세정액(40)이 흩날리는 등 다른 부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흩날린 세정액이 배기덕트(14)를 통해 배기풍(5)과 동시에 배기되는 것에 의한 세정액(40)의 손실이 없어, 세정액(40)을 효율적으로 세정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필터(33)를 배기풍(5)이 배기되는 배기구(20)에 연이어 통하는 유출개구부(10)를 폐색한 상태에서 이동시키기 때문에, 배기풍(5) 중의 오염물질을 분리제거하면서 이동전에서 필터(33)의 세정이 동시에 가능하다. 그리고 자동화에 의해 필터(33)를 세정하기 때문에, 조리를 중단하여 배기정화장치 본체(15)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다.
더구나, 종래의 고정된 필터로서 배기풍(5)을 정화하는 경우에는, 동일면에서 배기풍(5)이 정화되기 때문에, 필터의 일부분에 편중되어 오염물질이 포착되므로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없다. 또한 편중된 배기풍(5)의 통과에 따른 바람소리 등의 소음이 생길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필터(33)를 이동시킴으로써, 필터(33)의 전면에서 편중되지 않고 오염물질을 포착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배기풍(5)의 정화를 할 수 있다.
또한, 무단벨트형상의 필터(33)를 걸어 내부에 공간부(36)를 구획하여 대략 역삼각 통형상으로 구성하여 돌려 이동시키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배기풍(5)을 필터(33)에 2회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풍(5) 중의 오염물질을 거의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고, 청소가 곤란한 방화댐퍼(11)나 배기덕트(14), 팬이나 송풍기 등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또한 방화댐퍼(11)나 팬 또는 송풍기 등을 정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보수관리가 용이해 진다. 또한 필터(33)도 박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형상으로든 자유롭게 변형하는 필터(33)이기 때문에, 감아 거는 등의 조립작업이 용이해 진다. 또한 배기정화장치 본체(15)를 부착하는 설치스페이스에 대응하여 필터(33)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도 있으며, 시공성 및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통형상으로 구성된 필터(33)를 돌려서 이동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이동전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아, 용이하게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를 가늘고 긴 스테인리스강선이나 스테인리스강 박판을 짜서 형성하였기 때문에, 필터(33)를 유연성 있게, 불연성, 고내식성, 고강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주방설비(1) 등의 열부하가 걸리는 분위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세정액(40)에 의한 세정이나 유지분 등의 오염물질이 부착하더라도 부식이나 녹 등이 생기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배기풍(5)의 정화를 행할 수 있어, 보수관리가 용이해 진다. 그리고 종래 금속선을 짜는 공정을 그대로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염가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33)를 모터(26)로써 회전축(25a,25b)에 걸쳐 체인(31,31)에 부착하여 돌려 이동시키기 때문에, 직접 필터(33)에서 이동을 위한 부하가 걸리지 않아, 필터(3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5a,25b)에 의해 필터(33)의 원통형상이 축방향으로 느슨해지지 않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느슨해짐에 의한 배기풍(5)이 편중된 정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다른 부위에 걸리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필터(33)의 세정은 세정액(40)에 의한 화학적인 세정과 초음파세정수단(53)에 의한 물리적인 초음파세정과의 상승작용에 의해 세정하기 때문에, 필터(33)에 포착한 오염물질을 거의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33)의 그물코가 먼지로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에 걸쳐 효율적으로 배기풍(5)을 정화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세정수단(53)의 초음파의 발진을 천정덮개(8)의 외부에 설치한 초음파발신장치(51)에 의해 조정, 제어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세정액탱크(22)를 윗면 개구면적이, 필터(33)의 평면면적과 대략 동등한 넓이가 되도록 형성하여 필터(33)의 아래쪽으로 배설하였기 때문에, 필터(33)의 세정액(40)으로의 침지세정을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필터(33)가 세정액(40)에서 윗쪽에 이동하였을 때에 필터(33)로부터 세정액(40)이 떨어지더라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연소설비(4) 등으로 떨어지지 않아 회수할 수 있으며, 다른 부위를 더럽히는 일이 없다.
또한, 필터(33)가 침지하는 세정액탱크(22)에 저장하는 세정액(40)을 세정액급배수단(48)에 의해 공급 및 폐기하기 때문에, 세정액(40)을 세정액탱크(22)에 쏟아 넣는 등의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 세정액(40)을 쏟아 넣을 때에 넘쳐흐르거나, 흩날려 다른 부위를 더럽히는 일도 없다. 또한 보충이 용이하도록 외부에 설치한 탱크(41)에 적절하게 세정액(40)이 저장되어 있으면, 공급밸브(42) 및 배출밸브(45)의 개폐동작만으로 용이하게 세정액(40)을 공급 및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액탱크(22)에 게이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세정액(40)의 공급 및 배출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세정액(40)이 소정량 저장되어 있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세정액(40)으로서, 불연성으로 식물성의 중성 세제인 톨오일을 원료로 한 아민소프를 주성분으로서 고급알콜계 비이온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고세정력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미생물이라도 분해가능한 식물성인 것부터 세정후의 세정액(40)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손에 닿아도 자극이 없어,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주방설비(1) 등의 열부하가 걸리는 분위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세정액판이 중성식물세제이기 때문에, 필터(33)에 부착하는 세정액(40)에 배기풍(5) 중의 다른 냄새성분이 결합하여 냄새 제거효과도 얻어진다.
한편, 필터(33)의 배기풍(5)이 통과하는 방향의 상류측에 필터(33)를 덮듯이 배기풍(5)이 직선적으로 통과불가능한 유통구멍을 갖는 그리스필터(23)를 밀접하여 배설하였기 때문에, 필터(33)에 의한 오염물질의 제거전에, 어느 정도의 오염물질을 분리제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필터(33)의 오염물질의 제거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어, 필터(33)의 세정부하도 저감한다. 또한 오염물질의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장기간에 걸쳐 효율적으로 배기풍(5)을 정화할 수 있다. 또한 필터(33)가 루버구조인 그리스필터(23)로 덮여져 있는 점에서, 외부에 필터(33)가 위치하는 일은 없어, 외관이 향상한다.
그리고, 그리스필터(23)를 경사지게 부착하였을 때, 그리스필터(23)에 부착되는 오염물질이 떨어지지 않는 루버구조에 형성하였기 때문에, 다른 부위를 더럽히는 일이 없다.
또한, 그리스필터(23)를 대략 45도로 경사시켜 배설하였기 때문에, 작은 스페이스에서 배기풍(5)이 원활하게 통과하는 풍로가 되도록 배기정화장치 본체(15)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효율적으로 배기풍(5)을 흡인정화할 수 있어, 배기풍(5)의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구(20)에 방화댐퍼(11)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가령 조리중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배기구(20)를 폐색시킴으로써, 배기정화장치 본체(15) 내로의 화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화염에 의한 각 부위의 손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화된 배기풍(5)이 통과하는 배기구(20)의 위치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방화댐퍼(11)에 오염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정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용이하게 보수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케이스(18)에 점검구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보수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세정액탱크(22)의 아래쪽에 회수부(24)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세정액탱크(22)의 바깥둘레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이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세정액탱크(22)는 세정액(40)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외면이 차가워져 있는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배기풍(5) 중의 오염물질이 세정액탱크의 외면에 얼어붙는 등의 상태로 되어, 이 오염물질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회수부(24)는 평편한 접시형상이기 때문에, 조리시의 열로써 따뜻하게 되어, 오염물질이 얼어붙기 어려우며, 가령 얼어붙었다 하더라도 다시 증발하기 때문에, 회수부(24)의 아래면으로 떨어질 우려는 거의 없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터(33)를 무단벨트형상으로 형성하고, 체인(31,31)에 부착하여 이동시키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 이외에 예를들면 회전축(25a,25b)의 양끝단부에 위치하는 체인(31,31)에, 각각이 연결되도록 필터유지부로서의 예컨대 스테인리스강판으로써 가늘고 긴 판형상의 가교부재를 소정간격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무단벨트형상의 필터(33)를 가교부재에 유지하여 부착하고, 회전축(25a,25b)의 회전에 따른 체인(31,31)의 이동에 따라, 필터(33)를 돌려서 이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축(25a,25b) 사이에 위치하는 필터(33)의 느슨해짐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느슨해짐에 의한 배기풍(5)이 치우친 정화 및 다른 부위에 걸리는 등의 이동장해를 방지할 수 있어, 원활하게 필터(33)를 돌려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즉 길이 방향의 양측으로 서로 가동이 가능하도록 걸어맞춤된 나비판 등을 가지며 창문(61)을 갖는 틀체형상으로 형성한 필터유지부로서의 유지부재(62)에, 매트형상의 필터(63)나 그리스필트(23) 등을 창문(61)이 폐색되도록 유지한다. 또한 유지부재(62)에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서로 가동이 가능하도록 걸어맞춤하는 나비판 등을 설치한다. 그리고 유지부재(62)를 무단연쇄상태로 연결하여 무단벨트형상으로 구성한다. 또한 유지부재(62)의 양끝단부를 체인(31,31)에 부착부재(62a) 등으로 접속하여 대략 통형상으로 구성하고, 돌아서 이동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도 4에 나타낸 구성에 의하면, 직접 필터(63)에 이동을 위한 부하가 걸리지 않아, 필터(6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63)를 느슨해지지 않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63)를 유지부재(62)에 창문(61)에서 착탈하는 것만으로도 용이하게 필터(63)를 착탈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63)도 직사각형 형상의 간단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제조성 및 필터(63)의 교환 등의 보수관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필터(33)를 3개의 회전축(25a,25b)에 걸어서 대략 역삼각형의 통형상으로 구성하여 설명하였다. 그 이외에, 다각형, 원주형, 예를들어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통형상, 또한 예를들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무단벨트형상의 필터(33)를 다수회 반복하도록 걸려진 통형상으로 구성, 또한 예컨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벨트 콘베이어형상의 편평형의 통형상 등, 걸쳐지는 것에 의해 통형상으로 구성되거나 일체구조의 통형상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실시형태는, 매트형상의 필터(65)를 드럼 틀체형상으로 형성한 필터유지부(66)에 유지시켜 일체 구조의 원통형상의 필터체(67)로 형성한다. 그리고 이 필터체(67)를 필터유지부(66)를 중심축을 회전축으로서 회전시켜 배기풍(5)의 정화 및 세정을 하는 구성이다. 이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필터체(67)가 드럼형상의 어태치먼트구조로 되어, 필터(65)의 교환 등도 필터체(67)의 교환에 의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로, 직접 필터(65)에 이동을 위한 부하가 걸리지 않아, 필터(6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필터(65)를 느슨하게 하지 않고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무단벨트형상의 필터(33)를 다수회 반복하도록 걸쳐서 통형상으로 구성한 것에는, 배기풍(5)을 복수회 필터(33)에 통과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특히 오염상태가 심한 배기풍(5)이라도 거의 완전하게 정화할 수가 있다.
또한, 다각형이나 도 8에 나타낸 것 같은 편평형의 통형상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각이진 부분이나 편평한 한쪽을 세정액탱크(22) 내의 세정액(40)에 침지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용이하게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도 8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필터(33)를 한쌍 대칭형상으로 배설하였으나 한쪽만으로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편평형의 필터(33)는 작은 스페이스에서 배설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도 8에 구성에 있어서, 필터(33)를 한쪽만으로 한 구성, 예를들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실시형태이다.
이 도 9 및 도 10도에 나타낸 실시형태는, 무단벨트형상의 필터(33)를 편평한 통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필터(33)의 평면부분을 환기팬(70)에 대향시키고, 윗쪽이 환기팬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건다. 또한 필터(33)의 아래면측이 되는 환기팬(70)과 대향하지 않은 면쪽에, 유입구(19)가 펀칭형성된 통과규제체가 되는 그리스필터(71)를 착탈이 가능하게 위치시켜, 천장덮개(8) 내에 배설한다. 이 구성에 의해 소형화되어 가정용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또 필터(33)는 경사시키지 않고 대략 수직방향으로 걸어도 좋다.
한편, 세정액(40)으로서는 아민소프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세정성이 높고, 필터(33,63,65)나 세정액탱크(22) 등의 각 부위를 부식하지 않는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 세정액(40)은 처리가 용이하고 취급성이 높으며, 특히 주방 등의 열부하를 받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불연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33,63,65)는, 스테인리스강선 등을 짜서 형성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배기풍(5)이 통과가능한 통기성을 가지고 배기풍(5)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가능하고 세정액(40)이 접촉하더라도 손상되지 않는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 주방 등의 열부하를 받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들어 알루미늄합금선 등의 부식이나 녹이 생기기 어려운 불연성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배기풍(5) 중에 유해가스성분이 포함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필터(33,63,65)에 활성탄입자를 담지시키거나, 통기성을 가지는 활성탄시트(영국 국방성개발 SGS Yarsley International Certification Services Ltd제 상품명 ACC)를 필터로서 이용하거나, 공간부(36)측에 활성탄시트가 위치하도록 필터(33,63,65)와 포개어 이용하거나, 섬유형상의 활성탄을 짜서 필터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이들 활성탄을 이용한 경우에는 유해가스성분을 흡착제거할 수 있고, 또한 냄새도 없앨 수 있다.
그리고, 배출관(46)의 선단측에 오염된 세정액(40)을 정화처리하는 정화처리장치 등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이 정화처리된 세정액(40)을 세정액탱크(22)로 되돌리는 순환장치 등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세정액(40)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오염된 세정액(40)을 그대로 하수(下水)로 흘려보냄으로써 하수처리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정액탱크(22) 내에 세정액(40)의 양을 검지하는 수단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 세정액(40)이 적어진 것을 검지함으로써, 세정액(40)을 탱크(41)로부터 공급시키는 구성, 예컨대 플로우밸브 등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세정액이 적어져 필터(33,63,65)가 세정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확실히 장기간에 걸쳐 효율적인 배기풍(5)의 정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세정액(40)으로부터 필터(33,63,65)가 이동하는 쪽에 로울러나 공기분출수단 등을 설치하고, 필터(33,63,65)로부터 세정액(40)의 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필터(33,63,65)로부터의 세정액(40)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른 부위를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울러 등의 필터(33,63,65)에 접촉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배기풍(5)을 필터(33,63,65)에 통과시키는 풍로가 간단한 구조로 동시에 구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배기풍(5)을 빠짐 없이 정화처리할 수 있고, 정화처리효율의 향상도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 필터(33,63,65)에 접촉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그리스필터(23)에 밀접하여 필터(33,63,65)가 돌거나 회전이동할 때에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는 로울러를 설치하면 좋다. 즉 필터(33,63,65)가 돌거나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로울러로써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밀접에 의한 마찰로써 회전이동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어, 원활하게 필터(33,63,65)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공기분출수단 등의 필터(33,63,65)에 비접촉으로 한 구성에서는,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이 없다.
또한, 필터(33)를 배기구(20)에 밀접시킴과 동시에, 그리스필터(23)에 밀접시켜 배설하였지만, 예컨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즉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실시형태는, 본체로서의 본체케이스(75)의 배기구(20)가 대략 중앙에 개구하는 천정판부(76)에, 코일스프링(77) 등에 의해 힘이 가해지고 일끝단측이 자유단인 가동판(78)을 설치한다. 그리고 이 가동판(78)을 필터체(67)의 바깥둘레면에 가압력으로써 밀접시킨 구성이다. 이 구성을 이용하여 필터(65)의 외면측에 가동판(78)을 밀접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필터(33,63,65)를 배기구(20) 및 그리스필터(23)에 밀접시키지 않더라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배기풍(5)이 필터(33,63,65)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배기풍(5)을 빠짐 없이 정화처리할 수 있고, 정화처리효율의 향상도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같이, 외면이 곡면형상으로 배기풍(5)이 빠짐 없이 통과가능한 풍로를 구성시키기 위한 구조인 경우에는 간단한 구성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필터(33,63,65)의 차단효과도 얻어진다.
한편, 그리스필터(23)를 배설하여 설명하였는데, 예를들어 도 9 및 도 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물코 형상이나 펀칭형성된 격자체를 본체케이스(18)의 측판부(17)의 유입구(19)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예컨대 측판부(17)를 직접 펀칭가공하고, 펀칭구멍을 유입구(19)로 하여도 좋다. 이들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유지분이 그다지 많지 않은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소형 경량의 배기정화장치 본체(15)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세정수단(53)을 작동시키고 나서 배기풍(5)의 정화를 행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정화 초기에는 세정액(40)의 세정능력만으로 필터(33,63,65)를 세정하고, 세정력이 떨어지기 시작하면서 초음파세정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운전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풍(5)의 오염상태가 낮은 경우나 세정액으로써 용이하게 오염물질을 제거가능한 경우에는, 별도의 초음파세정수단(53)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간단한 구성으로 염가의 구조를 얻을 수 있어, 제조성의 향상 및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한편, 필터(33,63,65)를 배기풍(5)의 정화시에 돌리거나 회전이동시켜서 일부를 세정액(40) 중에 침지하여 세정도 맞추어 행하였다. 그 이외에 연속운전하는 시간이 짧고, 간헐운전으로써 배기풍(5)의 정화를 행하는 경우에는, 예를들어 배기풍(5)의 정화시는 필터(33,63,65)를 이동시키지 않고, 운전정지시에 필터(33,63,65)를 평행이동시킨다. 그리고 세정액탱크(22)를 이동시켜, 필터(33,6365)의 전체를 세정액(40) 중에 침지하여 세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필터(33,63,65)의 이동을 간헐적으로 이동시켜도 좋다. 또한 적시에 반대로 돌거나 역회전 이동시켜도 좋다.
또, 주방설비(1)에 배기정화장치 본체(15)를 조립하여 설명하였으나, 조리에 의해 생기는 배기풍(5)을 정화처리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배기풍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쓰레기처리시에 생기는 배기풍이나 쇄석의 분쇄시에 생기는 배기풍, 시멘트클링커 등의 소성화로에서 생기는 배기풍 등을 정화하는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경우 천정덮개(8) 대신에 예를들면 배기덕트나 굴뚝내에 직접 배기정화장치 본체(15)를 조립하여 배기덕트나 굴뚝내를 통과하는 오염된 배기풍을 정화처리한다. 또 분쇄시설에 부착되는 경우에 있어서, 배기중의 분쇄시에 생긴 미세한 쓰레기를 제거하여 정화하는 경우에 화학적으로 세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물을 세정액으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황산계가스나 염소계가스 등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흡착이나 중화 등의 작용을 갖는 수용액을 세정액으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세정액탱크(22)의 외면 등으로부터 오염물질 등이 떨어질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회수부(24)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가 용이한 소형의 배기정화장치 본체(15)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제 2 실시형태를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배기설비(6)를 이동가능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즉, 도 11 내지 도 13에 있어서, (81)은 배기설비로서, 이 배기설비(81)는 아래면에 유입개구부(9)가 개구된 대략 상자형으로, 윗면 대략 중앙부에 방화댐퍼(11)가 부착된 유출개구부(10)를 개구형성한 후드(82)를 가지고 있다. 또한 후드(82)의 유출개구부(10)는 팬(83)을 가진 배기덕트(84)가 굴뚝형상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후드(82) 아래끝단의 각이진 부분에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축방향을 갖는 대략 막대형상의 신축가능한 다리부(85)가 각각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다리부(85)는 이음부재(86)로서 후드(82)에 부착되는 상부다리부(87)와 아래끝단부에 평판상의 올려놓음부(88)를 플랜지형상으로 구비한 하부다리부(89)가 동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음부재(86)에 따라 길이 치수가 가변하도록 신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드(82) 내에는, 배기정화장치 본체(91)가 부착되어 있다. 이 배기정화장치 본체(91)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배기정화장치 본체(15)에 그리스필터(23)를 설치하지 않고, 측판부(92)를 펀칭가공하여 대략 원형의 유입구(93)를 복수설치하여 형성한 본체로서의 본체케이스(94)를 가진 것이다.
그리고, 사용에 있어서는, 연소설비인 가스프라이어(96)의 윗쪽에 후드(82)가 위치하도록 배기설비(81)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같이 조리준비하여 조리, 즉 가스프라이어(96)를 점화시켜 가스프라이어(96) 내의 튀김용 기름(97)을 가열하여 튀김(98)을 조리한다. 이 조리에 의해 생긴 배기풍(5)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팬(83)의 구동에 의해 후드(82) 내로 흡인되어 유입구(93)로부터 배기정화장치 본체(91)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공기중의 진애 등의 비교적 큰 오염물질을 분리제거하면서, 또한 필터(33)의 측면부분, 공간부(36), 필터(33)의 윗면부분을 통과하여 정화된다. 또한 방화댐퍼(11)의 유출개구부(10)를 통해 배기덕트(84)로 통과하여, 배기덕트(84)의 상부로부터 주방실(7) 내로 배기된다. 또 세정액(40)은 냄새제거작용을 갖기 때문에 배기되어 정화된 배기풍(5)은 그다지 냄새가 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주방(7) 내에 악취가 떠도는 환경의 악화가 생기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이 상기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실시형태는, 후드(82)에 다리부(85)를 설치하여 배기정화장치 본체(91)를 구비하고 배기설비(81)를 이동가능한 이동형으로 하였다. 이 때문에 가스프라이어(96) 등의 연소설비의 사용형태 등의 배기풍(5)이 발생하는 상황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이동시키면 되므로, 효율적으로 배기풍(5)을 정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연소설비(4)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조리를 한장소에서 행하는 경우에는 그 연소설비(4)의 위쪽에 후드(82)가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면 된다. 따라서 연소설비(4)에 대응하여 각각 배기설비(6)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주방설비(1)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리부(85)를 신축가능하게 형성하였으므로, 연소설비(4,96) 등의 배기풍(5)이 발생하는 상황에 따라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효율적으로 배기풍(5)을 정화할 수 있다. 또 후드(82)나 배기정화장치 본체(91)의 보수점검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다리부(85)를 후드(82)에 착탈이 자유롭도록 부착하였기 때문에, 다리부(85)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용적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제조후의 보관이나 반송시의 스페이스를 축소시킬 수 있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분해수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배기정화장치 본체(91) 등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다리부(82)의 아래끝단부에 올려놓음부(88)를 설치하여 바닥면위에 얹어 놓은 구조로써 설명하였다. 그 이외에 올려놓음부(88)의 대신에 회전멈춤을 갖는 차륜 등을 각각 설치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용이하게 배기설비(81)를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어, 이동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후드(82)의 아래끝단 테두리에 난연 또는 불연성의 시트를 매달아서 지지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기풍(5)을 거의 확실히 배기정화장치 본체(91)로써 정화처리할 수 있어, 주방환경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방실(7)내의 각 부위에 정화할 수 없는 배기풍(5) 중의 오염물질이 부착하여 더러워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시트는 투광성이면 내부상황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투광성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리부(85)를 후드(82)에 부착하여 설명하였는데, 배기풍(5)의 상태에 따라 후드(82)로써 흡기하는 구성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직접 배기정화장치 본체(91)의 본체케이스(94)에 다리부(85)를 부착하여도 좋다.
다음에,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제 3 실시형태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필터(33)를 원판형상에 형성한 것이다.
즉, 배기정화장치 본체(101) 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배기정화장치 본체(15)의 본체케이스(18)와 같은 재질로서, 위아래면이 개구된 상자형으로 형성된 본체로서의 본체케이스(104)를 갖고 있다. 이 본체케이스(104)는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인 한쌍의 끝판부(102,102)와, 이들 끝판부(102,102)의 옆테두리에 한쌍이 설정된 스테인리스강판에 의해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된 측판부(103,103)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 한쪽 끝판부(102)에는 마찬가지로 점검구가 설치된다. 또한 측판부(103,103)는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같이 펀칭가공에 의해 대략 원형의 유입구(93)를 대략 반원형상에 위치하도록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본체케이스(104)의 하부에는, 상기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아래면의 개구를 덮도록 윗면을 개구하는 상자형의 세정액탱크(22)가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이 세정액탱크(22)에는 세정액급배수단(48), 회수부(24) 및 초음파세정수단(53)의 진동자(50)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케이스(104)의 측판부(103)에는, 대향방향을 따라 축방향을 갖는 회전축(106)이 배설되어 있다. 이 회전축(106)은 양끝단부를 측판부(103,103)에 각각 설정된 도시하지 않는 베어링으로써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 배설되어 있다. 또한 이 회전축(106)은 일끝단부가 측판부(103)보다 돌출하여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하는 선단부에는, 측판부(103)의 외면측에 배설된 모터(26)의 출력축(27)이 연결되어, 회전축(106)이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축(106)의 양끝단부에 대략 원판형상의 필터체(107)가 한쌍 설치된다.
이 필터체(107)는 원형 틀체형상으로 형성된 필터유지부(111)를 가지고 있다. 이 필터유지부(111)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끝단면에 창(108)이 개구하는 외주부(109)를 가지며, 외주부(109)의 양끝단 테두리에 지름방향으로 보강부재(110,110)가 다리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필터유지부(111)의 보강부재(110,110)가 교차하는 중심이 되는 중앙부분에는, 회전축(106)이 끼워맞춤하는 장착부재(112)가 설치된다. 또한 외주부(109)의 일면측에는, 축방향으로 링형상으로 돌출하는 고무 등의 탄성부재(113)가 설치된다. 또 필터유지부(111) 내에는, 창(108)으로부터 보강부재(110, 11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이 스테인리스강선 등의 금속선 등으로써 매트형상으로 짜여진 대략 원판형의 필터(115)가 유지되어 있다. 이 필터유지부(111) 내에 필터(115)가 유지되어 필터체(107)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필터체(107)는 회전축(106)의 끝단부가 장착부재(112)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또한 본체케이스(104)의 측판부(103)에 탄성부재(113)의 선단부가 접촉하여, 탄성부재(113)의 안쪽에 유입구(93)가 위치하도록 대향한다. 그리고 본체케이스(104) 내에 필터체(107)의 중심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모터(26)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이 탄성부재(113)가 측판부(103)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유입구(93)로부터 본체케이스(104) 내로 유입되는 배기풍(5)은 탄성부재(113)에 밀폐된 안쪽을 통하여 필터체(107)의 필터(115)를 통과한다. 또한 이 필터체(107)는 아래끝단부가 세정액탱크(22) 내에 위치하여 세정액(40)에 침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케이스(104)는 윗끝단부가 천정덮개(8)의 상부아래면에 유출개구부(10)를 덮어 본체케이스(104)의 윗면의 배기구(20)를 유출개구부(10)로 기밀하게 연이어져 부착되어 있고, 배기정화장치 본체(101)가 천장덮개(8) 내에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배기풍(5)은 유입구(93)로부터 필터체(107)의 필터(115)를 통과하여 방화댐퍼(11)가 설치된 유출개구부(10)보다 배기덕트(14)를 통하여 옥외로 배출된다.
또, 한쌍의 필터체(107,107)의 대향하는 간격 및 필터체(107)의 지름치수는, 모두 유출개구부(10)의 같은 방향의 길이 치수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필터체(107,107)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필터(115)를 통과하기까지의 배기풍(5)의 풍속보다 필터체(107,107) 사이에서 유출개구부(10)에 이르는 풍속이 빨라진다. 이 때문에 다시 배기덕트(14) 내로 유입되었을 때는 풍속이 시간이 느려지는 상태가 생겨, 바람가르는 소리가 생기거나, 배기풍(5)의 흡인저항이 증대하여 효율적으로 배기풍(5)을 흡인할 수 없게 되어, 정화효율이 저하하는 등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필터체(107,107)가 대향하는 간격 및 필터체(107)의 지름치수를 소정치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필터(115)를 가진 필터체(107)가 대략 원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터체(107)가 차지하는 부피가 작아진다. 따라서 본체케이스(104) 내의 스페이스를 작게 형성할 수 있어, 용이하게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이 대략 원판형상의 필터체(107)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별도로 이동하는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아, 용이하게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대략 원판형상의 필터체(107,107)를 1개의 회전축(106)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필터체(107,107)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배기정화장치 본체(101)의 간략, 소형화가 용이하여, 제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필터유지부(111)로써 매트형상의 필터(115)를 유지하여 대략 원판형상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필터(115)가 방심하는 등이 없고, 용이하고 확실히 회전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배기풍(5)을 필터(115)에 통과시키는 탄성부재(113)를 필터유지부(111)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배기풍(5)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새지 않고 필터(115)로 통과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효율적으로 배기풍(5)을 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쌍의 필터체(107,107)를 대향시키고 1개의 회전축(106)에 축지지하여 설명하였다. 그 이외에 필터체(107,107)를 축방향이 교차하는 방향, 즉 대향하는 면이 윗쪽으로 향하여 확장하도록 각각 회전 자유롭게 유지하여도 가능하다.
또한, 필터체(107)는 2장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설함으로써 1장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여러장을 포개듯이 배설하더라도 가능하다. 또한 방사상으로 대향하도록 배설하여도 좋다. 또 1장만을 배설한 경우에는 필터체(107)가 배설되는 스페이스를 축소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정용 등의 소형 경량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제조성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여러장을 포개어 배설한 경우에는 배기풍(5)이 여러번 필터(115)를 통과하게 되어, 배기풍(5)의 세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필터체(107)에 설치한 탄성부재(113)나 로울러 등을 측판부(103)에 설치하여 첨단부가 필터체(107)에 밀접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제 4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16에 나타낸 제 4 실시형태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실시형태인 무단벨트형상의 필터(33)를 띠형상으로 한 필터(120)를 이용한 것이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필터(33)와 같이 금속선 등을 짜서 가요성을 가진 띠형상으로 필터(1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필터(120)의 길이방향의 양끝단부를, 세정액탱크(22) 내에 위치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한 회전축(121a,121a)에 고정한다. 또한 윗쪽에 위치하는 회전축(121b,121b)에 유출개구부(10)를 빈틈없이 덮도록 건다. 그리고 한편의 회전축(121a)이 회전함으로써 필터(120)가 셔터와 같이 감기고, 다른쪽의 회전축(121a)에 감겨져 있던 부분이 다시 되감기도록 평행이동한다.
이 도 16에 나타낸 배기정화장치 본체(122)의 구성에 의하면, 필터(120)를 통형상으로 구성하지 않더라도 배기풍(5)을 필터(120)에 여러번 통과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필터(120)는 끝단이 있기 때문에, 회전축(121a,121b)에서 느슨해지지 않고 용이하게 걸 수 있다. 또 필터(120)의 착탈이 용이하게 되어 보수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도 16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터(120)를 셔터와 같은 권회가능한 벨트형상으로 구성하여 설명하였다. 그 이외에 예를들면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체적으로 필터체(125)를 구성하여, 이 필터체(125)를 평행이동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즉,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한 필터체(67)를 편위시켜, 축방향의 양측을 같은 방향으로 확장하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한다. 그리고 필터유지부(126)로써 무단벨트형상의 필터(33)를 유지하여 필터체(125)를 일체 구조로 구성한다. 또한 이 필터체(125)를 양측의 경사진 부분이 아래쪽으로 향하여 확장하도록 본체로서의 본체케이스(127)안에 배설한다. 그리고 경사진 부분의 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유출개구부(10)를 폐색한 상태로 필터체(125)를 세정액(40)에 침지세정할 수 있는 배기정화장치 본체(128)를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제 5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19에 나타낸 실시형태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세정액탱크(22) 내의 세정액(40)에 필터(33)를 침지하여 세정하는 방법대신에, 세정액(40)을 필터에 접촉, 즉 분출시켜 세정하는 구성이다.
즉, 세정액(40)을 저장하는 탱크(41)에 세정액(40)을 압송하는 펌프 등의 분출수단(131)을 연결한다. 또한 이 분출수단(131)의 선단부에 분출부로서의 노즐(132)을 가진 분출관(133)을 접속한다. 그리고 노즐(132)을 필터(33)에 대향하도록 배설하고, 세정액(40)을 필터(33)에 분출하여 포착한 오염물질을 세정분리한다. 또한 노즐(132)은 세정액탱크(22)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세정된 폐기액은 세정액탱크(22)에 회수되어 다시 분출수단(131)으로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이 도 19에 나타낸 배기정화장치 본체(135)의 구성에 의하면, 초음파세정에 의한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또한, 세정액탱크(22) 내에 노즐(132)가 위치하도록 배설하였기 때문에, 분출된 세정액(40)은 아래쪽의 세정액탱크(22)에 회수된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배기풍(5)을 정화하면서 세정하고 세정액(40)을 회수할 수 있다.
또, 노즐(132)부터의 세정액(40)의 분출에 의해 세정액(40)이 안개형태로 되어도, 유출개구부(10)에 밀접하는 부분의 필터(33)로써 회수되어 배기덕트(14)까지는 빨아 들여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배기덕트(14) 내를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정액탱크(22) 내에 저류하는 세정액(40) 내에 노즐(132)이 침지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분출되는 세정액(40)이 안개형태로 되지 않아, 주위를 더럽히는 일이 없다.
또한, 필터(33)의 표면측인 배기풍(5)이 통과하는 방향의 상류측에서 세정액(40)을 분출시키기 때문에, 안개형상으로 세정액(40)이 날라다녀도 필터(33)에 포착되어 통과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이 때문에 다른 부위를 더럽히지 않는다. 또한 세정액(40)의 회수도 용이하고, 노즐(132)의 배설치나 필터(33)의 조립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세정액(40)을 분출시키기 때문에, 분출하는 운반에너지로써 물리적인 세정력도 부여할 수 있다.
또, 세정액(40)을 분출시켜 설명하였지만, 윗쪽으로부터 필터(33)로 흘려 떨어지도록 하여 세정액(40)을 접촉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들어 분출부로서의 노즐(132)을, 필터(33)의 평면에 수평방향을 따라 길이방향을 가지고 필터(33)와 대향하는 면에 세정액을 분출하는 분출구를 갖은 관형상으로 분출부를 형성한다. 또한 이 관형상 분출부의 양끝단부를 레일부 등으로써 유지하여 필터(33)의 평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 분출부에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하여, 이동하는 분출부에서 필터(33)를 세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배기정화장치는, 예를들어 호텔이나 레스토랑, 튀김요리, 꼬치요리 등의 특히 유지를 포함한 증기나 먼지를 갖는 배기풍을 발생하는 음식점 등의 급식시설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방설비, 가정용의 환기팬, 쓰레기소각장 등의 소각설비, 채석장의 파쇄시설, 시멘트공장 등의 클링커 소성시설 등의 오염물질이 함유된 배기풍을 정화하여 배기하는 배기정화처리에 이용된다.

Claims (23)

  1. 배기풍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배기풍이 배기되는 배기구를 가진 본체와,
    이 본체내에 배설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배기풍을 통과시켜 상기 배기구로부터 유출시키는 통기성을 가진 필터와,
    이 필터가 적어도 일부를 세정하는 세정수단과,
    상기 필터를 이동시켜 상기 세정수단에 의한 상기 필터의 세정위치를 변화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세정수단은, 세정액을 가지며, 필터에 상기 세정액을 분출시키는 분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정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분출부는, 배기풍의 통과방향의 상류측에서 필터에 세정액을 분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배기정화장치.
  4. 배기풍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배기풍이 배기되는 배기구를 갖는 본체와,
    이 본체내에 상기 배기구를 덮어 배설된 통기성을 갖는 필터와,
    이 필터가 적어도 일부가 침지되는 세정액을 저장하는 세정수단과,
    상기 필터를 이동시켜 상기 세정수단에 의한 상기 필터의 세정위치를 변화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정화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은, 배기구를 덮은 상태에서 필터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정화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세정수단은, 세정액에 침지하는 필터를 초음파세정하는 초음파세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정화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배기풍은, 적어도 2회 이상 필터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배기정화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필터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진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정화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필터는, 무단벨트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정화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은, 필터를 돌려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정화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은, 필터를 유지하는 필터유지부와, 이 필터유지부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정화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은, 필터를 유지하는 틀체형상의 필터유지부와, 이 필터유지부를 회전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정화장치.
  13. 배기풍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배기풍이 배기되는 배기구를 갖는 본체와,
    이 본체내에 배설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상기 배기풍을 통과시켜 상기 배기구로부터 유출시키는 통기성을 갖는 필터와,
    이 필터에 세정액을 분출하여 적어도 일부를 세정하는 분출부를 갖는 세정수단과,
    이 세정수단의 상기 분출부를 이동시켜 상기 필터의 세정위치를 변화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정화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필터는, 난연성 또는 불연성 및 내식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 배기정화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필터는, 가늘고 긴 금속선 및 가늘고 긴 금속박판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정화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필터는,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정화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본체는, 바닥면 위로 이동가능하게 얹어 놓은 다리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정화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세정수단은, 세정액을 공급 및 배출하는 세정액 급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정화장치.
  19. 제 2 항 내지 제 18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세정액은, 불연성이고 식물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 배기정화장치.
  20. 제 2 항 내지 제 19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세정액은, 톨오일을 원료로 한 아미소프를 주성분으로 하여, 고급알콜계 비이온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배기정화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필터는, 배기풍이 직선상으로 통과불가능한 유통구멍을 갖은 통과규제체로서 덮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정화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세정수단은, 평면면적이 필터의 평면면적 이상의 넓이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의 아래쪽에 배설된 받이탱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정화장치.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본체는, 화재를 검지하는 화재검지수단과, 배기구를 폐색하는 셔터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정화장치.
KR10-1998-0709947A 1996-06-01 1997-04-17 배기정화장치 KR100433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539096 1996-06-01
JP175390 1996-06-01
JP214006 1996-07-10
JP21400696 1996-07-10
JP22578896 1996-07-24
JP225788 1996-07-24
JP96261 1997-04-14
JP09626197A JP3268229B2 (ja) 1996-06-01 1997-04-14 排気浄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373A true KR20000016373A (ko) 2000-03-25
KR100433065B1 KR100433065B1 (ko) 2004-08-25

Family

ID=27468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947A KR100433065B1 (ko) 1996-06-01 1997-04-17 배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162286A (ko)
EP (1) EP0909576A4 (ko)
JP (1) JP3268229B2 (ko)
KR (1) KR100433065B1 (ko)
CN (1) CN1079033C (ko)
AU (1) AU717077B2 (ko)
BR (1) BR9709515A (ko)
CA (1) CA2257102A1 (ko)
TW (1) TW438630B (ko)
WO (1) WO19970463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599A (ko) *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한진기공 공조기용 미세먼지 필터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6226A1 (fr) * 2000-03-08 2001-09-13 Kwongkeung Leung Procede et dispositif de purification et de collecte des microparticules de gaz de combustion s'echappant des conduits d'evacuation
CN100455905C (zh) * 2000-08-01 2009-01-28 汤健中 分体式柜式抽油烟机
JP2002186680A (ja) * 2000-12-20 2002-07-02 Hiroyuki Kaede 防火ダンパーを内蔵したグリスフィルタ
JP2002286268A (ja) * 2001-03-28 2002-10-03 Fuji Industrial Co Ltd レンジフード
JP2002331215A (ja) * 2001-05-10 2002-11-19 Takasago Thermal Eng Co Ltd オイルミスト除去装置及び運転方法
US6866693B2 (en) * 2002-06-06 2005-03-15 Shuetsutechnica Co., Ltd. Washable air filt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101420B1 (en) * 2004-02-23 2006-09-05 Adria Valley Anne Nelson Ellis Self cleaning air filtration machine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060042622A1 (en) * 2004-08-26 2006-03-02 Searer Floyd A Wall-mounted range hood
JP2007057204A (ja) * 2005-08-26 2007-03-08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の室内機
SG135068A1 (en) * 2006-02-21 2007-09-28 Kim Lui So Controls for ventilation and exhaust ducts and fans
US7785382B2 (en) * 2006-02-23 2010-08-31 Illinois Tool Works Inc Exhaust hood with grease absorbing material on a roll
CN100410587C (zh) * 2006-04-06 2008-08-13 肖德新 一种清理油烟的移动网装置
JP2008049313A (ja) * 2006-08-28 2008-03-06 Kowa Co Ltd ダスト等捕捉装置
JP5130864B2 (ja) * 2006-10-18 2013-01-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ジフード
JP5130925B2 (ja) * 2007-01-29 2013-01-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ジフード
JP2009008275A (ja) * 2007-06-26 2009-01-15 Panasonic Corp レンジフードおよびレンジフードにおけるフィルタ洗浄方法
JP5003316B2 (ja) * 2007-07-04 2012-08-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ィルタ洗浄装置
US8378834B1 (en) 2008-05-02 2013-02-19 Captive-Aire Systems, Inc. Kitchen hood assembly with fire suppression control system including multiple monitoring circuits
US7963282B2 (en) * 2008-05-02 2011-06-21 Captive-Aire Systems, Inc. Kitchen hood assembly with a combination cleaning and fire suppression system
DE102008047595A1 (de) * 2008-09-17 2010-03-25 Berbel Ablufttechnik Gmbh Dunstabzugshaube
JP5202600B2 (ja) * 2010-10-13 2013-06-0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A2878501A1 (en) * 2012-07-06 2014-01-09 Cornelius STRAIN Enhanced momentum cleaning device for rotating belt screens and filters
SI24329B (sl) * 2013-03-14 2022-05-31 Provent D.O.O. Kuhinjska napa
CN103256640B (zh) * 2013-05-17 2016-04-06 广西华信恒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油烟净化器
FR3006613B1 (fr) * 2013-06-11 2016-05-06 Gs Environnement Dispositif de nettoyage et de degraissage et installation de traitement d’air telle qu’une hotte ou un plafond filtrant equipe d’un tel dispositif
CN103557543B (zh) * 2013-10-17 2016-05-2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具有油烟净化功能的油烟机
CN103742957B (zh) * 2013-12-31 2016-08-2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动态分离油烟结构
DE202014002982U1 (de) * 2014-04-08 2015-07-09 Big Dutchman International Gmbh Abluftreinigungsvorrichtung
CN104474809B (zh) * 2014-12-01 2016-11-23 东南大学 一种核电站空冷系统用自清洁空气过滤装置及其实现方法
CA3014500C (en) * 2016-02-15 2021-06-08 Andreas ROUSSOS Kitchen ventilation system
CN106693545A (zh) * 2017-01-17 2017-05-24 张家港市超声电气有限公司 气体净化装置
CN106765414B (zh) * 2017-01-23 2023-05-30 广东产品质量监督检验研究院 一种环保减排的自洁油烟机
US11161621B2 (en) * 2018-01-18 2021-11-02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Heat exchanger with moving ice filter
JP2019173998A (ja) * 2018-03-27 2019-10-10 東京瓦斯株式会社 厨房用レンジフード
US11885505B2 (en) 2018-04-10 2024-01-30 BSH Hausgeräte GmbH Filter device and fume extraction device comprising filter device
CN108895038A (zh) * 2018-05-21 2018-11-27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风机和吸油烟机
CN108758949A (zh) * 2018-06-26 2018-11-06 安徽应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v型过滤结构的新风系统及其控制方法
CN108758947A (zh) * 2018-06-26 2018-11-06 安徽应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风系统的自清洁过滤系统
KR101935734B1 (ko) 2018-07-16 2019-01-04 이승호 폐열을 활용한 보일러 시스템
US20220154947A1 (en) * 2019-04-17 2022-05-19 BSH Hausgeräte GmbH Filter device for a vapour extraction device, and vapour extraction device with a filter device
KR102060441B1 (ko) * 2019-06-14 2019-12-27 한국중부발전(주)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 집진장치
JP7312440B2 (ja) * 2019-07-09 2023-07-21 富士工業株式会社 調理用換気装置
US20210121811A1 (en) * 2019-10-28 2021-04-29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for oil and other contaminants
US20220410056A1 (en) * 2019-11-15 2022-12-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 Securement Assembly
CN111841182A (zh) * 2020-07-30 2020-10-30 广东速科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油烟净化器及油烟净化方法
WO2022030767A1 (ko) * 2020-08-06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정화기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WO2022035103A1 (en) * 2020-08-13 2022-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nge hood
DE212020000456U1 (de) * 2020-11-06 2021-06-10 Nanjing Ruixiang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Intelligente Dunstabzugshaube mit einer Reinigungsbaugruppe
US11446597B2 (en) * 2020-11-18 2022-09-20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Feathered baffle filter
KR102492431B1 (ko) 2021-06-30 2023-01-30 주식회사 지템퍼러쳐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
CN114534397B (zh) * 2022-02-28 2024-04-23 湖南华深电气工程有限公司 一种工业窑炉排烟净化处理中心
CN114653708B (zh) * 2022-03-09 2023-07-25 云南曲靖钢铁集团凤凰钢铁有限公司 一种无缝钢管圆管高纯度管坯冶炼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93776A (ko) * 1959-11-04
US700858A (en) * 1901-04-18 1902-05-27 Richard H Thomas Air purifying and cooling apparatus.
US1843182A (en) * 1927-11-14 1932-02-02 American Air Filter Co Sludge remover for self-cleaning air filters
US1749594A (en) * 1928-04-17 1930-03-04 Harry C Lyons Smoke separator
US1836131A (en) * 1928-07-07 1931-12-15 Richter Bernhard Gas filter
BE381015A (ko) * 1930-09-10
US1995378A (en) * 1932-07-09 1935-03-26 Independent Air Filter Company Air filter
US2403261A (en) * 1944-04-01 1946-07-02 Tanglefoot Company Filter
US2511295A (en) * 1947-08-22 1950-06-13 Continental Air Filters Inc Air filter
US2920718A (en) * 1955-04-27 1960-01-12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Air filter
DE1047172B (de) * 1956-03-05 1958-12-24 Aloys Schirp Prallflaechen-Umlauffilter fuer Luft oder Gase
US2961710A (en) * 1957-01-04 1960-11-29 Norman H Stark Method for making a foamed polyurethane filter
BE625893A (ko) * 1961-03-27
US3252691A (en) * 1962-03-30 1966-05-24 American Air Filter Co Gas cleaning apparatus
US3370403A (en) * 1966-10-21 1968-02-27 Anthony N. D'elia Environmental control unit
US3487620A (en) * 1968-02-16 1970-01-06 Nicholas Klein Smoke cleaning apparatus
JPS4750702B1 (ko) * 1969-10-09 1972-12-20
US3717978A (en) * 1971-07-09 1973-02-27 E Osborne Air filter system
US3853514A (en) * 1973-07-30 1974-12-10 Universal Oil Prod Co Movable demister system
DE2606829A1 (de) * 1976-02-20 1977-09-01 Nukem Gmbh Verfahren zur reinigung feststoffhaltiger abgasstroeme, insbesondere zur reinigung von mit anorganischen und organischen stoffen beladenen abgasen
US4363642A (en) * 1977-03-25 1982-12-14 Hardee's Food Systems, Inc. Control of range hood emissions
JPS5662512A (en) * 1979-10-25 1981-05-28 Kanai Hiroyuki Endless automatic winding type air filter apparatus
JPS5814931U (ja) * 1981-07-21 1983-01-29 アマノ株式会社 集塵機の火災防止装置
DE3221288A1 (de) * 1982-06-05 1983-12-08 Steag Ag, 4300 Essen Verfahren zum reinigen eines umlauffilters und anwendung des verfahrens
JPS6218252A (ja) * 1985-07-18 1987-01-27 東レ株式会社 複合積層生地
JPS6377513A (ja) * 1986-09-19 1988-04-07 Matsushita Seiko Co Ltd フイルタ−ユニツト
JPS6391117A (ja) * 1986-10-03 1988-04-21 Hitachi Ltd 車両のエア−フイルタ装置
JPH0197136A (ja) * 1987-10-06 1989-04-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消費電力低減装置
JPH01156721A (ja) * 1987-12-15 1989-06-20 Toshiba Corp 液晶表示素子
JPH01224025A (ja) * 1988-03-01 1989-09-07 Seibu Denki Kogyo Kk レンジフード用自洗式グリスフイルター
DE3915010A1 (de) * 1989-05-08 1990-11-15 Wenzel & Weidmann Gmbh Verfahren zur reinigung von gasen mittels oelgetraenkter gasfilter
JPH0724423A (ja) * 1993-07-05 1995-01-27 Murata Mach Ltd 空ボビン判別装置
US5437701A (en) * 1993-08-05 1995-08-01 S.T. Technologies, Inc. Air filt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JP3088311B2 (ja) * 1996-11-19 2000-09-18 山形日本電気株式会社 充填塔式集塵装置
AU7599098A (en) * 1997-05-28 1998-12-30 Douglas P. Gibbs Method of preparing and maintaining a wet fil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3599A (ko) *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한진기공 공조기용 미세먼지 필터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85535A (ja) 1998-04-07
CA2257102A1 (en) 1997-12-11
US6162286A (en) 2000-12-19
TW438630B (en) 2001-06-07
BR9709515A (pt) 2000-01-11
AU717077B2 (en) 2000-03-16
WO1997046302A1 (fr) 1997-12-11
EP0909576A1 (en) 1999-04-21
CN1223598A (zh) 1999-07-21
AU2575997A (en) 1998-01-05
CN1079033C (zh) 2002-02-13
EP0909576A4 (en) 1999-09-08
KR100433065B1 (ko) 2004-08-25
JP3268229B2 (ja) 200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065B1 (ko) 배기정화장치
CA2494814C (en) Self-cleaning exhaust system and method
KR100859446B1 (ko) 세정액 순환장치를 구비한 배기후드
US7101420B1 (en) Self cleaning air filtration machine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JP2007152223A (ja) 水の浄化装置、排ガス処理装置用の浄化装置並びに排ガス処理装置用の浄化システム
KR101044658B1 (ko) 필터의 분진제거가 용이한 집진기
JP2017104843A (ja) 湿式ガス状物質処理装置
WO2013027383A1 (ja) レンジフード
JP3886120B2 (ja) 排気浄化装置
JP5185525B2 (ja) 湿式集塵機
JP4821180B2 (ja) 調理廃気浄化装置
JPH11207136A (ja) 排気浄化装置
CN214891427U (zh) 多功能空气净化机
JP3851234B2 (ja) 排気設備
KR101109490B1 (ko) 격자형 그리스 필터
CN112902266A (zh) 多功能空气净化机
KR100372393B1 (ko) 세정기능을 구비한 주방용 환기 시스템
JPH07308534A (ja) オイルミスト除去装置
KR20070009027A (ko) 렌지후드용 필터 세정장치
CN215138264U (zh) 一种涂料生产用废气处理装置
JPH09287790A (ja) 油脂分解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レンジフード
TR2024000279A2 (tr) Sulu duman fi̇ltresi̇
GB2081600A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0903752B1 (ko) 실내용 환기장치
KR20200113876A (ko) 물 미립자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