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441B1 -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441B1
KR102060441B1 KR1020190070859A KR20190070859A KR102060441B1 KR 102060441 B1 KR102060441 B1 KR 102060441B1 KR 1020190070859 A KR1020190070859 A KR 1020190070859A KR 20190070859 A KR20190070859 A KR 20190070859A KR 102060441 B1 KR102060441 B1 KR 102060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exhaust path
exhaust gas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형일
Original Assignee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중부발전(주) filed Critical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to KR1020190070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23J15/025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using filters
    • B01D46/0068
    • B01D46/007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10Intercepting solids by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로에서 인입과 인출이 자유롭고, 철산화물의 발생량에 따라 필터의 단면적을 맞춤형으로 설치가능하여 배기가스에 산화철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 산화철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보일러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로(101)의 측방으로 형성되는 관통홀(102)을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필터가이드부(100)와, 필터가이드부(100)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보일러의 배기로(10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200)와, 배기로(101)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로 필터가이드부(100)의 후단에 연결되어, 배기로(101)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필터부(200)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300)와, 배기로(101)의 외측에 위치하며 왕복이동하면서 배기로(101)의 관통홀(102)을 개폐하는 밀폐부(400)와, 후방 지지부(300)로 이송되는 필터부(200)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필터 청소부(500)와, 필터부(200)를 왕복이동 시키는 구동부(6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 집진장치{Exhaust gas dust and iron oxide dust collector of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로에서 인입과 인출이 자유롭고, 철산화물의 발생량에 따라 필터의 단면적을 맞춤형으로 설치가능하여 배기가스에 산화철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 산화철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 또는 산업설비의 각종 제품의 생산공정, 연소공정이나 설비의 부식산화물 등의 입자상 물질이 배기가스와 함께 외부로 누출되어 인체의 건강을 위협하거나 쾌적한 환경을 위협하는 환경오염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기통로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 내에 포함된 입자상 오염 물질을 집진 및 여과하기 위하여 집진장치의 설치가 요구된다. 그런데 보일러에 적용되는 종래의 대부분의 집진장치들은 전기집진기 또는 백필터 등의 대형으로 제작되므로 초기 설치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설치하기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집진장치들이 갖는 여과필터는 다수의 미세한 공극을 형성한 형태이며, 배기가스 내에 포함된 입자상 오염 물질들은 다수의 미세한 공극들에 의해 입자물질이 차폐되거나 여러 개의 입자물질이 서로 가교현상을 일으켜 여과필터의 표면에 쌓이면서 집진 및 여과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집진 및 여과 형태의 종래의 집진장치들을 적용하면, 여과 필터들이 매우 좁은 공극을 필요로 하므로 매우 좁은 공극에 의해 높은 압력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운전동력의 부하가 크게 증가하고, 각종설비의 압력부하가 크게 증가하게 된다. 또한 입자물질의 집진량이 증가함에 따라 압력손실도 크게 증가하게 되어 탈진설비를 갖추고 있는 전형적인 여과집진설비의 경우에도 투과속도 1.5m/min내외에서 약 100 -300mmAq의 압력손실을 갖게 된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여과집진장치들은 운전비용이 높고, 투과속도를 1.5m/min내외로 설계하게 됨에 따라 집진장치의 크기가 크고 탈진에 필요한 복잡한 설비를 동반하게 된다. 특히 입자상오염물질이 간헐적으로 배출되거나 배기가스 량이 매우 많을 때 경제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가스 터빈을 이용한 통상적인 복합 화력 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가스 터빈을 이용한 통상적인 복합 화력 발전 시스템은 가스 터빈 발전 시스템과 증기 터빈 발전 시스템을 포함한다.
가스 터빈(100)은 먼저 공기를 압축기(11)로 압출한 후 연소기(13)로 보내 연료를 연소시켜 고온, 고압의 가스를 만든 후 터빈(12)을 동작시키기 배기가스를 방출하는 것으로서, 압축, 가열, 팽창, 방열의 4 과정을 거치게 된다. 가스 터빈(100)이 회전함에 따라 가스 터빈(100)의 회전축과 연결된 가스 터빈측 발전기(14)를 회전시켜 1차 발전을 수행한다.
터빈(12)을 회전시키고 배출된 배기가스는 배열회수 보일러(HRSG :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20)로 전달된다. 배열회수 보일러(20)에는 복수기(21)에서 응축된 복수가 복수 펌프(22)를 통해 공급되는데, 복수 펌프(22)에서 공급된 복수는 배열 회수 보일러(20)를 통과하며 1차 가열된 후 급수 펌프(23)로 공급된다. 급수 펌프(23)는 배열 회수 보일러(20)에서 필요한 급수를 공급한다.
급수 펌프(23)에서 공급된 급수는 배열 회수 보일러(20)에서 가열되어 증기로 된 후 증기 터빈(24)으로 전달되어 증기 터빈(24)을 회전시킨다. 증기 터빈(24)을 회전시킨 증기는 복수기(21)에서 냉각된 후 다시 보일러 작동을 위해 공급된다. 증기 터빈(24)에는 증기 터빈측 발전기(25)가 연결되어 증기 터빈(24)의 회전에 따라 증기터빈측 발전기(25)도 회전하여 2차 발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배열 회수 보일러(20)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최종적으로 배열 회수 보일러(20)의 후단에 위치하는 배기로(2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복합 화력 발전 시스템에서 배열 회수 보일러(20)의 배기로(26)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 내에는 인체에 유해한 입자상 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배열 회수 보일러(20)의 배기로(26)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대기중으로 그대로 배출될 경우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종래기술은 필터가 롤러에 의해 감기는 형태로 다양한 형태의 필터사용이 어렵고 광폭으로 설치가 불가하여 롤 어셈블리 교체에 많은 인력이 투입되고 장시간 소요되며, 소모량이 많아 장치 운영자의 경제적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39060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로에서 인입과 인출이 자유롭고, 철산화물의 발생량에 따라 필터의 단면적을 맞춤형으로 설치가능하여 배기가스에 산화철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 산화철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배기로에서 인입ㅇ인출되는 필터케이스에 기존의 섬유 필터뿐만 아니라 금속필터 등 다양한 필터를 장착이 가능한 필터케이스에 설치된 필터에서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수명을 연장시켜 재사용 할 수 있는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 산화철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 산화철 집진장치는, 보일러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로(101)의 측방으로 형성되는 관통홀(102)을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필터가이드부(100)와, 필터가이드부(100)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보일러의 배기로(10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200)와, 배기로(101)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로 필터가이드부(100)의 후단에 연결되어, 배기로(101)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필터부(200)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300)와, 배기로(101)의 외측에 위치하며 왕복이동하면서 배기로(101)의 관통홀(102)을 개폐하는 밀폐부(400)와, 후방 지지부(300)로 이송되는 필터부(200)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필터 청소부(500)와, 필터부(200)를 왕복이동 시키는 구동부(600)를 포함하고, 필터 청소부(500)는 필터가이드부(100) 및 후방 지지부(300)의 사이에 위치하여 관통되는 필터부(200)에서 낙하되는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오염물질 포집부(510)와, 오염물질 포집부(510)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필터부(200)에서 오염물질이 낙하되도록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 분사노즐(520)과, 오염물질 포집부(510)의 하부에 연통되어 포집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염물질 배출관(530)으로 이루어지며, 구동부(600)는 필터부(200)의 필터케이스(220)에 연결되는 체인(610)와, 배기로(101)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감겨진 체인(610)의 이동을 안내하는 피동피니언(620)와, 배기로(101)의 타측에 고정된 상태로 감겨진 체인(610)을 이동시키는 구동피니언(630)와, 구동피니언(630)을 정회전이나 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필터부(200)는 배기가스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다수의 필터(210)와, 필터(210)가 장착되는 다수의 필터케이스(220)와, 필터케이스(220)의 일단 및 타단에서 양측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필터가이드부(100)를 따라 이동하는 캐스터(230)와, 필터케이스(220)의 일단 및 타단에 고정된 캐스터(230)들의 축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필터케이스(220)들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연결편(2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후방 지지부(300)는 'L'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필터부(200)의 필터케이스(220)들이 절곡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체인(610)은 필터부(200)의 필터케이스(220)들 중 첫 번째 필터케이스(220)에 연결되고, 피동피니언(620) 및 구동피니언(630)은 필터케이스(220)들 중 첫 번째 및 마지막 필터케이스(220)에 근접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필터부(200)는 배기가스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다수의 필터(210)와, 필터(210)가 장착되는 다수의 필터케이스(220)와, 서로 인접하는 필터케이스(220)들의 각각의 일단에서 양측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필터가이드부(100)를 따라 이동하는 캐스터(230)와, 서로 인접하는 필터케이스(220)들에 결합된 캐스터(230)들의 축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필터케이스(220)들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연결편(240)과, 서로 인접하는 필터케이스(220)들의 각각의 타단에 양단이 연결되어 필터케이스(220)들이 하방으로 회전되지 않으면서 상방으로 회전되는 연결힌지(2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배기로(101)의 관통홀(102)에서 상부에는 필터케이스(220)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03)가 형성되고, 가이드부(103)는 배기로(101)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필터케이스(220)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롤러(104)와, 롤러(104)가 공회전되게 설치되는 브래킷(105)과, 브래킷(105)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케이스(10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브래킷(105)이 수직되는 샤프트로 구성되어 하부에 롤러(104)가 설치되고, 상부에 가이드케이스(106)이 형성되며, 가이드케이스(106)는 브래킷(105)이 내장되어 승강되는 내부공간이 하부로 개방되고, 하부에는 브래킷(105)의 가이드케이스(106)이 걸려서 고정되는 내향턱(10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체인(610)은 필터부(200)의 필터케이스(220)들 중 마지막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로에서 인입과 인출이 자유롭고, 철산화물의 발생량에 따라 필터의 단면적을 맞춤형으로 설치하여 배기가스에 산화철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의 단면적을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면 필터링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필터가 장착된 필터케이스를 배열회수보일러 내부로 이동시켜서 필터링을 시행할 수 있고, 운전 중 언제든지 배열회수보일러 외부로 이송시켜서 필터의 이물질을 제거(털어내기) 또는 대기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 크리닝 설비인 필터 청소부가 구성되어 오염된 필터의 크리닝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필터 교체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고, 이물질 제거(털어내기) 후 재사용이 가능하여 필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어 운영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수명이 다한 필터는 필터케이스에서 인출하여 교체하므로 많은 인력이 필요하지 않고 교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가스터빈을 이용한 통상적인 복합 화력 발전 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 집진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필터부가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로에서 외부로 배출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필터부가 필터가이드부에 이동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필터부 하부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필터부를 이송시키는 구동부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밀폐부가 개방되고 필터 청소부가 필터를 청소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필터부가 후방 지지부로 회수되고 밀폐부가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로를 폐쇄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1(a)(b)는 본 발명의 필터부가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배기로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2(a)(b)는 본 발명의 필터부가 배기로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열회수 보일러의 집진장치는, 필터가이드부(100), 필터부(200), 후방 지지부(300), 밀폐부(400), 필터 청소부(500), 구동부(600)를 포함한다.
필터가이드부(100)는 보일러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로(101)를 관통하여서 가로지르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필터부(200)의 폭만큼 이격되는 복수의 샤프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샤프트의 단면형상이 'U'형상이나 'H'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내측에 형성되는 홈이 서로 마주되게 하는 상태에서, 후술되는 필터부(200)의 캐스터(230)들이 각각의 홈에 삽입된 상태로 굴러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20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되어도 필터가이드부(100)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이동될 수 있다.
필터부(200)는 필터가이드부(100)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보일러의 배기로(10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여기서, 배기가스의 이물질은 배기가스의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을 포함한다.
이러한, 필터부(200)는 배기가스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다수의 필터(210)와, 필터(210)가 장착되는 다수의 필터케이스(220)와, 필터케이스(220)의 일단 및 타단에서 양측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필터가이드부(100)를 따라 이동하는 캐스터(230)와, 필터케이스(220)의 일단 및 타단에 고정된 캐스터(230)들의 축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필터케이스(220)들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연결편(2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210)는 다수의 미세한 공극이 형성되는 여과필터나 금속필터로 구성되어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을 집진할 수 있다.
필터케이스(220)는 필터(210)의 둘레를 감싸면서 볼트로 고정될 수 있다.
캐스터(230)는 필터케이스(220)의 양측에서 일단 및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캐스터(230)는 필터케이스(220)에서 4곳에 고정되어 필터가이드부(100)에 삽입된 상태로 필터가이드부(1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캐스터(230)들에 의해 필터케이스(220)들이 수평된 상태로 필터가이드부(1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회전연결편(240)은 양단이 캐스터(230)들의 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므로 필터케이스(220)들이 각각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케이스(220)들이 회전연결편(240)의 양단에서 각각 회전될 수 있다.
후방 지지부(300)는 배기로(101)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로 필터가이드부(100)의 후단에 연결되어, 배기로(101)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필터부(200)를 지지한다. 이러한 후방 지지부(300)에 의해 필터부(200)를 배기로(101)의 외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필터부(200)의 청소 및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필터부(200)가 필터가이드부(100)에서 후방 지지부(300)로 이동될 수 있고, 후방 지지부(300)에서 필터가이드부(100)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지지부(300)는 필터가이드부(10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서, 후반부가 'L'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전체적인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어서, 필터부(200)의 필터케이스(220)들이 절곡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밀폐부(400)는 배기로(101)의 외측에 위치하며 왕복이동하면서 배기로(101)의 측방에 형성되는 관통홀(102)을 개폐한다. 이러한, 밀폐부(400)는 실린더축을 신장시키는 실린더(410)와, 실린더(410)의 실린더축에 결합되어 실린더축의 신축에 의해 배기로(101)의 관통홀(102)을 개폐하는 개폐판(42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밀폐부(400)가 관통홀(102)을 개방하면 필터부(200)가 관통홀(102)을 관통할 수 있고, 밀폐부(400)가 관통홀(102)을 폐쇄하면 배기로(101)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관통홀(102)을 통해 누출됨이 차단될 수 있다.
필터 청소부(500)는 후방 지지부(300)로 이송되는 필터부(200)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한다. 이러한 필터 청소부(500)는 필터가이드부(100) 및 후방 지지부(300)의 사이에 위치하여 관통되는 필터부(200)에서 낙하되는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오염물질 포집부(510)와, 오염물질 포집부(510)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필터부(200)에서 오염물질이 낙하되도록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 분사노즐(520)과, 오염물질 포집부(510)의 하부에 연통되어 포집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염물질 배출관(530)으로 이루어진다.
오염물질 포집부(510)는 함체형태로 형성되어 양측이 개방되므로 필터부(200)가 관통되어 배기로(101)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 포집부(510)에는 필터부(200)에서 탈리되는 오염물질이 모여질 수 있다.
압축공기 분사노즐(520)은 오염물질 포집부(510)의 상부에 연통되게 설치되되, 복수로 구성되어 오염물질 포집부(51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오염물질 포집부(510)의 내부에는 필터부(200)에서 오염물질이 낙하되도록 필터부(200)에 진동을 전달하는 바이브레이터(54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압축공기 분사노즐(520)에서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동안 바이브레이터(540)가 필터부(200)에 진동을 전달하므로 필터부(200)에 부착된 오염물질이 용이하게 낙하될 수 있다.
이러한, 바이브레이터(540)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와, 진동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필터부(200)로 전달하는 진동전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바이브레이터(540)는 압축공기 분사노즐(520)이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작동될 수 있다.
오염물질 배출관(530)은 오염물질 포집부(510)의 하부에 연통되는 호스로 구성되어, 분사되는 압축공기 또는 바이브레이터(540)의 진동에 의해 필터부(200)에서 탈리되어 낙하되는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압축공기 분사노즐(520) 또는 바이브레이터(540)에 의해 오염물질 배출관(530)을 통해 오염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오염물질 배출관(530)에는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팬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압축공기 분사노즐(520) 및 오염물질 포집부(510)는 배기로(101)의 외측면과 후방 지지부(30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필터부(200)가 오염물질 포집부(5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청소될 수 있다.
구동부(600)는 필터부(200)를 왕복이동 시키는 것으로, 일단이 필터부(200)의 필터케이스(220)에 연결되는 래크(650)와 구동구동모터(640)에 연결된 피니언(66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구동부(600)는 필터부(200)의 필터케이스(220)에 연결되는 체인(610)와, 배기로(101)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감겨진 체인(610)의 이동을 안내하는 피동피니언(620)와, 배기로(101)의 타측에 고정된 상태로 감겨진 체인(610)을 이동시키는 구동피니언(630)와, 구동피니언(630)을 정회전이나 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640)를 포함한다.
체인(610)은 필터부(200)의 필터케이스(220)들 중 첫 번째 필터케이스(22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피동피니언(620) 및 구동피니언(630)은 필터케이스(220)들 중 첫 번째 및 마지막 필터케이스(220)에 근접되게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640)는 구동피니언(630)에 축결합되거나 별도의 기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640)가 구동피니언(630)을 회전시키면 체인(610)이 이동되므로 체인(610)에 연결된 필터부(200)의 필터케이스(220)들이 이동되어서 배기로(101)를 가로지르는 상태가 되거나 배기로(101)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열회수 보일러의 집진장치는, 필터가이드부(100), 필터부(200), 후방 지지부(300), 밀폐부(400), 필터 청소부(500), 구동부(600)를 포함한다.
필터가이드부(100), 밀폐부(400), 필터 청소부(500), 구동부(6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필터부(200)는 배기가스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다수의 필터(210)와, 필터(210)가 장착되는 다수의 필터케이스(220)와, 서로 인접하는 필터케이스(220)들의 각각의 일단에서 양측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필터가이드부(100)를 따라 이동하는 캐스터(230)와, 서로 인접하는 필터케이스(220)들에 결합된 캐스터(230)들의 축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필터케이스(220)들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연결편(240)과, 서로 인접하는 필터케이스(220)들의 각각의 타단에 양단이 연결되어 필터케이스(220)들이 하방으로 회전되지 않으면서 상방으로 회전되는 연결힌지(25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캐스터(230)들이 일렬로 배열되는 필터케이스(220)들의 사이에서 필터케이스(220)들 각각의 일단에 연결되고, 연결힌지(250)가 필터케이스(220)들의 사이에서 필터케이스(220)들 각각의 타단에 양단이 연결된다. 즉, 캐스터(230)들이 필터케이스(220)들의 사이사이에 1번째, 3번째, 5번째 등으로 설치되고, 연결힌지(250)가 캐스터(230)들이 필터케이스(220)들의 사이사이에 2번째, 4번째, 6번째 등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필터케이스(220)들 중 마지막 필터케이스(220)를 당기면 필터케이스(220)들이 연결힌지(250)들을 기준으로 펴져서 수평상태를 이루게 되고, 마지막 필터케이스(220)를 밀면 첫 번째 필터케이스(220)가 지지되어서 고정됨에 따라 필터케이스(220)들이 연결힌지(250)들을 기준으로 접혀져서 지그재그형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연결힌지(250)는 회전축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날개에 돌기(251)가 형성된다. 돌기(251)는 한쪽의 회전날개에만 형성되거나 양쪽의 회전날개에 서로 마주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날개가 서로 마주되면 돌기(251)에 의해 회전날개들이 밀착되지 않으면서 이격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날개들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으면서 약간 이격되므로, 연결힌지(250)의 양측에 위치하는 필터케이스(220)들이 연결힌지(250)를 중심으로 약간씩 기울어져서 상부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의해, 필터케이스(220)가 수평상태에서 밀리면 필터케이스(220)들이 이동하게 되지만, 끝에 위치하는 필터케이스(220)가 필터가이드부(100)의 끝단에 접촉되어서 지지되면, 접혀졌던 연결힌지(250)가 펼쳐지면서 필터케이스(220)들이 연결힌지(25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서 '^'형태로 절곡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배기로(101)의 관통홀(102)에서 상부에는 필터케이스(220)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03)는 배기로(101)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필터케이스(220)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롤러(104)와, 롤러(104)가 공회전되게 설치되는 브래킷(105)과, 브래킷(105)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케이스(10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래킷(105)이 수직되는 샤프트로 구성되어 하부에 롤러(104)가 설치되고, 상부에 걸림턱(107)이 형성된다.
가이드케이스(106)는 브래킷(105)이 내장되어 승강되는 내부공간이 하부로 개방되고, 하부에는 브래킷(105)의 걸림턱(107)이 걸려서 고정되는 내향턱(108)이 형성된다.
따라서, 배기로(101)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필터케이스(220)가 롤러(104)에 충돌되면서 접촉되면 하강되어 있던 롤러(104)가 상승되므로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케이스(220)가 가이드부(103)에 의해 하방으로 안내되므로 필터케이스(220)가 배기로(101)의 내벽에 충돌됨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1(a)에서와 같이, 배기로(101)에 필터케이스(220)가 지그재그형태로 절곡되게 배치되어 배기가스를 필터링하는 상태에서, 체인(610)이 이동됨에 따라 마지막의 필터케이스(220)가 당겨져서 필터가이드부(100)에서 후방 지지부(300)로 이동된다. 이때, 도 11(b)에서와 같이, 배기로(101)에서 배출되는 필터케이스(220)가 가이드부(103)에 의해 하방으로 안내되므로 배기로(101)의 내벽에 충돌되지 않으면서 절곡된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도 12(a)에서와 같이, 필터케이스(220)들이 계속적으로 당겨짐에 따라 지그재그 형태가 전체적으로 낮아지면서 배기로(101)에서 배출되게 된다. 또한, 도 12(b)에서와 같이, 계속적으로 당겨지는 필터케이스(220)들이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필터케이스(220)들이 수평상태로 이동하면서 오염물질 포집부(510)를 통과하면 분사노즐(520)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청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케이스(220)들이 펼쳐져서 수평상태로 배기로(101)에 위치되면 필터(210)가 배기가스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필터케이스(220)들이 접혀진 상태로 배기로(101)에 위치되어도 필터(210)가 배기가스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때, 필터케이스(220)들이 지그재그로 접혀진 상태인 경우에는 필터케이스(220)들이 수평상태보다 많은 수가 위치되므로, 필터링면적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후방 지지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가이드부(100)와 동일하게 구성되면서 전체적으로 일직선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로에 위치된 상태로 배기가스 및 산화철을 집진할 수 있으므로, 배기가스 및 산화철을 집진하는 장치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1 : 배기로 102 : 관통홀
103 : 가이드부 104 : 롤러
105 : 브래킷 106 : 가이드케이스
107 : 걸림턱 108 : 내향턱
100 : 필터가이드부 200 : 필터부
210 : 필터 220 : 필터케이스
230 : 캐스터 240 : 회전연결편
250 : 연결힌지 300 : 후방 지지부
400 : 밀폐부 500 : 필터 청소부
510 : 오염물질 포집부 520 : 압축공기 분사노즐
530 : 오염물질 배출관 540 : 바이브레이터
600 : 구동부 610 : 체인
620 : 피동피니언 630 : 구동피니언
640 : 구동모터

Claims (8)

  1. 보일러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로(101)의 측방으로 형성되는 관통홀(102)을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필터가이드부(100)와,
    필터가이드부(100)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보일러의 배기로(10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200)와,
    배기로(101)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로 필터가이드부(100)의 후단에 연결되어, 배기로(101)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필터부(200)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300)와,
    배기로(101)의 외측에 위치하며 왕복이동하면서 배기로(101)의 관통홀(102)을 개폐하는 밀폐부(400)와,
    후방 지지부(300)로 이송되는 필터부(200)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필터 청소부(500)와,
    필터부(200)를 왕복이동 시키는 구동부(600)를 포함하고,
    필터 청소부(500)는
    필터가이드부(100) 및 후방 지지부(300)의 사이에 위치하여 관통되는 필터부(200)에서 낙하되는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오염물질 포집부(510)와,
    오염물질 포집부(510)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필터부(200)에서 오염물질이 낙하되도록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 분사노즐(520)과,
    오염물질 포집부(510)의 하부에 연통되어 포집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염물질 배출관(530)으로 이루어지며,
    구동부(600)는
    필터부(200)의 필터케이스(220)에 연결되는 체인(610)와,
    배기로(101)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감겨진 체인(610)의 이동을 안내하는 피동피니언(620)와,
    배기로(101)의 타측에 고정된 상태로 감겨진 체인(610)을 이동시키는 구동피니언(630)와,
    구동피니언(630)을 정회전이나 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640)를 포함하고,
    필터부(200)는
    배기가스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다수의 필터(210)와,
    필터(210)가 장착되는 다수의 필터케이스(220)와,
    필터케이스(220)의 일단 및 타단에서 양측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필터가이드부(100)를 따라 이동하는 캐스터(230)와,
    필터케이스(220)의 일단 및 타단에 고정된 캐스터(230)들의 축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필터케이스(220)들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연결편(2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 집진장치.
  2. 삭제
  3. 보일러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로(101)의 측방으로 형성되는 관통홀(102)을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필터가이드부(100)와,
    필터가이드부(100)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보일러의 배기로(10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200)와,
    배기로(101)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로 필터가이드부(100)의 후단에 연결되어, 배기로(101)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필터부(200)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300)와,
    배기로(101)의 외측에 위치하며 왕복이동하면서 배기로(101)의 관통홀(102)을 개폐하는 밀폐부(400)와,
    후방 지지부(300)로 이송되는 필터부(200)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필터 청소부(500)와,
    필터부(200)를 왕복이동 시키는 구동부(600)를 포함하고,
    필터 청소부(500)는
    필터가이드부(100) 및 후방 지지부(300)의 사이에 위치하여 관통되는 필터부(200)에서 낙하되는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오염물질 포집부(510)와,
    오염물질 포집부(510)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필터부(200)에서 오염물질이 낙하되도록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 분사노즐(520)과,
    오염물질 포집부(510)의 하부에 연통되어 포집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염물질 배출관(530)으로 이루어지며,
    구동부(600)는
    필터부(200)의 필터케이스(220)에 연결되는 체인(610)와,
    배기로(101)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감겨진 체인(610)의 이동을 안내하는 피동피니언(620)와,
    배기로(101)의 타측에 고정된 상태로 감겨진 체인(610)을 이동시키는 구동피니언(630)와,
    구동피니언(630)을 정회전이나 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640)를 포함하고,
    후방 지지부(300)는 필터부(200)의 필터케이스(220)들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 집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체인(610)은 필터부(200)의 필터케이스(220)들 중 첫 번째 필터케이스(220)에 연결되고,
    피동피니언(620) 및 구동피니언(630)은 필터케이스(220)들 중 첫 번째 및 마지막 필터케이스(220)에 근접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 집진장치.
  5. 보일러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로(101)의 측방으로 형성되는 관통홀(102)을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필터가이드부(100)와,
    필터가이드부(100)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보일러의 배기로(101)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200)와,
    배기로(101)의 외측에 위치된 상태로 필터가이드부(100)의 후단에 연결되어, 배기로(101)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필터부(200)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300)와,
    배기로(101)의 외측에 위치하며 왕복이동하면서 배기로(101)의 관통홀(102)을 개폐하는 밀폐부(400)와,
    후방 지지부(300)로 이송되는 필터부(200)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필터 청소부(500)와,
    필터부(200)를 왕복이동 시키는 구동부(600)를 포함하고,
    필터 청소부(500)는
    필터가이드부(100) 및 후방 지지부(300)의 사이에 위치하여 관통되는 필터부(200)에서 낙하되는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오염물질 포집부(510)와,
    오염물질 포집부(510)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로 필터부(200)에서 오염물질이 낙하되도록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 분사노즐(520)과,
    오염물질 포집부(510)의 하부에 연통되어 포집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염물질 배출관(530)으로 이루어지며,
    구동부(600)는
    필터부(200)의 필터케이스(220)에 연결되는 체인(610)와,
    배기로(101)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감겨진 체인(610)의 이동을 안내하는 피동피니언(620)와,
    배기로(101)의 타측에 고정된 상태로 감겨진 체인(610)을 이동시키는 구동피니언(630)와,
    구동피니언(630)을 정회전이나 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640)를 포함하고,
    필터부(200)는
    배기가스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다수의 필터(210)와,
    필터(210)가 장착되는 다수의 필터케이스(220)와,
    서로 인접하는 필터케이스(220)들의 각각의 일단에서 양측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필터가이드부(100)를 따라 이동하는 캐스터(230)와,
    서로 인접하는 필터케이스(220)들에 결합된 캐스터(230)들의 축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필터케이스(220)들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연결편(240)과,
    서로 인접하는 필터케이스(220)들의 각각의 타단에 양단이 연결되어 필터케이스(220)들이 하방으로 회전되지 않으면서 상방으로 회전되는 연결힌지(2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 집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배기로(101)의 관통홀(102)에서 상부에는 필터케이스(220)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03)가 형성되고,
    가이드부(103)는
    배기로(101)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필터케이스(220)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롤러(104)와,
    롤러(104)가 공회전되게 설치되는 브래킷(105)과,
    브래킷(105)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케이스(10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 집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브래킷(105)이 수직되는 샤프트로 구성되어 하부에 롤러(104)가 설치되고, 상부에 가이드케이스(106)이 형성되며,
    가이드케이스(106)는 브래킷(105)이 내장되어 승강되는 내부공간이 하부로 개방되고, 하부에는 브래킷(105)의 가이드케이스(106)이 걸려서 고정되는 내향턱(10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 집진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체인(610)은 필터부(200)의 필터케이스(220)들 중 마지막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 집진장치.
KR1020190070859A 2019-06-14 2019-06-14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 집진장치 KR102060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859A KR102060441B1 (ko) 2019-06-14 2019-06-14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859A KR102060441B1 (ko) 2019-06-14 2019-06-14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441B1 true KR102060441B1 (ko) 2019-12-27

Family

ID=69062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859A KR102060441B1 (ko) 2019-06-14 2019-06-14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44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317B1 (ko) * 2021-09-01 2022-05-11 블루버드환경 주식회사 가변 블레이드를 가지는 철산화물 등 이물질 처리장치
KR102396331B1 (ko) * 2021-09-01 2022-05-11 블루버드환경 주식회사 탈착가능한 필터 지지체를 가지는 이물질 처리장치
KR102397649B1 (ko) * 2021-09-01 2022-05-16 블루버드환경 주식회사 철산화물을 포함하는 이물질 처리장치
KR20220090606A (ko)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삼인비엔에프 보일러 연소가스 집진장치
KR102454946B1 (ko) 2021-09-30 2022-10-17 문동석 배기 가스 미세먼지 집진장치
KR102549969B1 (ko) * 2022-11-15 2023-07-17 한국중부발전(주) 인입 인출이 가능한 필터 무교환식 hrsg 산화철 비산예방장치
KR20230172641A (ko) 2022-06-15 2023-12-26 주식회사 이엠코 연돌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5535A (ja) * 1996-06-01 1998-04-07 Tooteku Japan:Kk 排気浄化装置
KR101390602B1 (ko) 2012-09-04 2014-04-29 주식회사 이엠코 배열회수 보일러 철산화물 고효율 집진장치
KR20160043559A (ko) * 2014-10-13 2016-04-22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오염물질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5535A (ja) * 1996-06-01 1998-04-07 Tooteku Japan:Kk 排気浄化装置
KR101390602B1 (ko) 2012-09-04 2014-04-29 주식회사 이엠코 배열회수 보일러 철산화물 고효율 집진장치
KR20160043559A (ko) * 2014-10-13 2016-04-22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오염물질 정화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606A (ko)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삼인비엔에프 보일러 연소가스 집진장치
KR102396317B1 (ko) * 2021-09-01 2022-05-11 블루버드환경 주식회사 가변 블레이드를 가지는 철산화물 등 이물질 처리장치
KR102396331B1 (ko) * 2021-09-01 2022-05-11 블루버드환경 주식회사 탈착가능한 필터 지지체를 가지는 이물질 처리장치
KR102397649B1 (ko) * 2021-09-01 2022-05-16 블루버드환경 주식회사 철산화물을 포함하는 이물질 처리장치
KR102454946B1 (ko) 2021-09-30 2022-10-17 문동석 배기 가스 미세먼지 집진장치
KR20230172641A (ko) 2022-06-15 2023-12-26 주식회사 이엠코 연돌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2549969B1 (ko) * 2022-11-15 2023-07-17 한국중부발전(주) 인입 인출이 가능한 필터 무교환식 hrsg 산화철 비산예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441B1 (ko)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 집진장치
CN211215862U (zh) 一种用于高温烟气除尘的袋式除尘器
CN211799688U (zh) 一种对垃圾焚烧发电产生灰尘的环保型过滤回收装置
CN111359380A (zh) 一种用于环保设备的废气处理输送控制方法
CN101314097A (zh) 一种除尘器
CN115945000A (zh) 垃圾焚烧用烟气处理设备
CN112619382A (zh) 一种用于烯烃分离的化工废气处理装置
CN113101774A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工业除尘器
CN216844735U (zh) 一种脱硫脱硝的锅炉余热回收装置
CN216986781U (zh) 一种pncr脱硝设备用除尘装置
JP4020437B2 (ja) 電動機用の軸受洗浄装置
CN213995234U (zh) 一种voc废气处理设备
CN108607313A (zh) 一种用于废气过滤的环保设备
CN210473341U (zh) 一种布袋除尘器
CN210278660U (zh) 一种工业废气处理装置
JP2008068152A (ja) 循環型フィルタ再生機構、該循環型フィルタ再生機構を備えたフィルタユニット、空気浄化装置及び循環型フィルタ再生方法
KR101408859B1 (ko) 공장의 배가스 중에 포함된 분진 물질의 제거를 위한 더스트 박스
KR102653904B1 (ko)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
CN206944171U (zh) 一种移动式车载垃圾处理发电装置
CN219433312U (zh) 一种具有余热回收功能的排烟结构
JP4434673B2 (ja) 排ガス処理方法
CN219817414U (zh) 一种围蔽式空气净化设备
CN203830349U (zh) 发电机组高效碳刷除尘器
CN217274214U (zh) 一种锅炉烟道除尘装置
CN219682002U (zh) 一种废气净化环保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