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904B1 -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904B1
KR102653904B1 KR1020230128210A KR20230128210A KR102653904B1 KR 102653904 B1 KR102653904 B1 KR 102653904B1 KR 1020230128210 A KR1020230128210 A KR 1020230128210A KR 20230128210 A KR20230128210 A KR 20230128210A KR 102653904 B1 KR102653904 B1 KR 102653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on
unit
collection plate
waste gas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8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원
Original Assignee
우림환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림환경산업(주) filed Critical 우림환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230128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9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8Cleaning-out collecte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8Cleaning the electrodes by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8Parts being easily removable for clean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30/00Other cleaning aspects applicable to all B08B range
    • B08B2230/01Cleaning with steam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는, 상기 집진판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집진판에 고압스팀을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되고, 방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PVC 재질로 구성된 구조의 타공관; 상기 타공관의 지지와 상하 이동, 회전 이동을 위한 집진판 최상부에 설치한 원형 프레임; 및 상기 타공관을 상하로, 그리고 집진판의 원주방향으로 360도로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공압 피스톤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의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스팀을 분사하여 집진판에 누적된 먼지나 유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폐수 발생이 없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집진판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집진판의 고압스팀 세척구조를 적용한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Cleaning Structure For The Dust Collecting Plate of Electric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먼지의 세척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폐수 발생이 없어 친환경적이고 유지관리비가 저렴한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진판에 누적된 먼지를 고압스팀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먼지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진판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집진기 내에 포집된 먼지는 집진판의 표면에 쌓이게 되고, 이 먼지들을 주기적으로 제거해 주어야만 높은 먼지 제거 효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기 집진기의 집진판에 부착된 먼지를 수작업으로 제거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으로, 이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집진판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방법에는 집진판을 추타(追打)하는 방법, 집진판에 고압노즐로 물을 분사하는 습식(濕式)방법, 고온의 고압의 스팀이나 공기를 집진판에 분사하는 방법 등이 있다.
집진판을 추타(追打)하는 방법은, 추타 시 먼지의 재비산이 일어나게 되는 단점이 있고, 집진판에 노즐로 물을 분사하는 방법은 포집된 먼지의 성분에 다량의 유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탈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폐수가 발생하기 때문에 추가로 폐수처리시설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실용신안공보 제20-0207679호(등록일자: 2000년10월10일)에 전기집진기가 게시된 바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7679호 (등록일자: 2000년10월10일)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고압스팀을 분사하여 집진판에 누적된 먼지나 유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폐수 발생이 없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집진판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집진판 세척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고압스팀을 분사하는 타공관이 상하 기동(起動) 및 회전 기동(起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원형 프레임을 집진부의 최상부에 장착한 전기집진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는, 상기 집진판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집진판에 고압스팀을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되고, 방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PVC 재질로 구성된 구조의 타공관; 상기 타공관의 지지와 상하 이동, 회전 이동을 위한 집진판 최상부에 설치한 원형 프레임; 및 상기 타공관을 상하로, 그리고 집진판의 원주방향으로 360도로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공압 피스톤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의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공관은 세척을 실시하지 않을 경우, 집진판의 상부 일측면에 일정 길이를 가지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관은 세척을 수행할 경우, 집진판의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이동하면서, 집진판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는, 타공관의 외측면에는 배치되고, 고압스팀을 발생시켜 타공관 내부에 제공하는 스팀발생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는, 정화처리하고자 하는 폐기가스 진입구를 하부 일측에 장착하고, 내부로 흡입된 폐기가스에 정화약액을 분사하여 수용성 이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부로 전달하는 타워구조의 흡기부; 상기 흡기부로부터 전달된 폐기가스와 열교환을 수행하여 폐기가스로부터 열에너지를 외부로 전달함으로써 폐기가스의 온도를 기설정된 범위 내로 냉각시킨 후, 냉각처리된 폐기가스를 집진부에 전달하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로부터 전달된 폐기가스에 부유하는 액적을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처리함으로써 폐기가스를 건조처리한 후 집진부에 전달하는 제습부; 상기 제습부를 통과한 공기를 수용하여 폐기가스에 부유하는 먼지를 대전시킨 후 집진처리하는 다수의 집진플레이트를 내부에 내장하고, 집진플레이트의 상부에 집진플레이트 표면상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처리부를 장착하며, 집진플레이트를 통과한 폐기가스를 배기부에 전달하는 집진부; 및 상기 집진부로부터 전달된 폐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는, 상방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원기둥 구조의 흡기본체부; 상기 흡기본체부의 하부일측에 장착되고, 흡기본체부 내부로 폐기가스를 유입하는 폐기가스 진입구; 상기 흡기본체부의 상단에 장착되고, 흡기본체부 내부를 통과한 폐기가스를 냉각부에 전달하는 폐기가스 배출구; 상기 흡기본체부의 하단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흡기본체부 내부 바닥면으로 낙하한 정화약액을 회수하는 약액회수부; 상기 흡기본체부의 측면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정화약액을 약액전달지지부에 전달하는 약액주입배관; 상기 흡기본체부의 내측면을 따라 장착되는 중공형 원기둥 구조이고, 상단에 상부회전실린더를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시키고, 하단에 하부회전실린더를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시키며, 약액주입배관으로부터 전단된 정화약액을 상부회전실린더와 하부회전시린더에 전달하는 구조의 약액전달지지부; 상기 흡기본체부의 내부 측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약액전달지지부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흡기본체부의 내부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원통 구조이고, 약액전달지지부로부터 전달된 약액을 흡기본체부 내부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관통공이 상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상방회전실린더부; 상기 흡기본체부의 내부 측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약액전달지지부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흡기본체부의 내부 하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원통 구조이고, 약액전달지지부로부터 전달된 약액을 흡기본체부 내부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관통공이 상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하방회전실린더부; 상기 상방회전실린더부의 외주면에 다수 장착되고, 상방회전실린더부의 외주면과 흡기본체부의 내주면 사이에 주입되는 약액의 유동에 의해 상방회전실린더부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방회전블레이드; 및 상기 하방회전실린더부의 외주면에 다수 장착되고, 하방회전실린더부의 외주면과 흡기본체부의 내주면 사이에 주입되는 약액의 유동에 의해 하방회전실린더부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하방회전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흡기부로부터 전달되는 폐기가스를 일측으로부터 수용한 후 타측방으로 유동시킨 후 제습부로 전달하는 중공형 박스 구조의 냉각본체부; 상기 흡기부의 내부 바닥면과 인접하여 장착되고, 폐기가스에 의해 가열된 정화약액으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한 후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냉매에 전달하며, 가열된 냉매를 온수가열부에 전달하는 배관구조의 제1흡열부; 상기 냉각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폐기가스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한 후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냉매에 전달하며, 가열된 냉매를 제1흡열부에 전달하는 배관 구조의 제2흡열부; 및 상기 제2흡열부로부터 전달된 냉매를 이용하여 상수를 가열한 후 열교환된 냉매를 제2흡열부에 전달하는 온수가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는, 상기 냉각부와 집진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원통형 구조의 연통부; 상기 연통부 내부 전방에 장착되고, 냉각부로부터 전달되는 폐기가스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동부; 및 상기 연통부 내부 후방에 장착되고, 회전유동부에 의해 회전되며 후방으로 진입하는 폐기가스에 부유하는 액적을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데미스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제습부를 통과한 공기를 수용한 후 일측방으로 유동시킨 후 배기부로 전달하는 밀폐형 박스구조의 집진하우징; 상기 집진하우징의 내부 전방에 장착되고, 다수의 전극와이어가 상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된 구조의 하전부; 상기 집진하우징의 내부 후방에 장착되고, 다수의 전극플레이트가 측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된 구조의 집진플레이트부; 상기 집진하우징의 전방에 장착되고, 세척처리부 작동 시 집진하우징의 전방을 밀폐하여 집진하우징 내부를 밀폐하는 구조의 전방밀폐부; 상기 집진하우징의 후방에 장착되고, 세척처리부 작동 시 집진하우징의 후방을 밀폐하여 집진하우징 내부를 밀폐하는 구조의 후방밀폐부; 상기 집진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세척수를 집진플레이트부의 전극플레이트의 표면에 분사하는 세척처리부; 및 상기 집진하우징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전극플레이트 표면을 세척한 세척수를 수용하는 구조의 오염수배수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집진기 본체, 방전부, 집진부 및 고압스팀 공급부, 세척먼지 배출부를 구비함으로써, 폐수 발생이 없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집진판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흡기부, 냉각부, 제습부, 집진부 및 배기부를 구비함으로써, 집진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고 집진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하여 세척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손쉽고 유지관리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집진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척구조를 포함하는 전기집진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전기집진기의 흡기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흡기부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전기집진기의 냉각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전기집진기의 제습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전기집진기의 집진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집진부의 세척처리부가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일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세척구조를 포함하는 전기집진기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는, 고전압 인가부가 일면에 부설되고, 일측에는 유입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유출부가 상기 유입부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구비되는 집진 하우징과, 상기 집진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고전압 인가부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도록 다수의 방전극을 갖추어 구비되는 방전부와, 상기 방전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집진판이 상기 방전극과 교번되게 설치되어 상기 방전부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가능하게 구비되는 집진부와, 상기 집진 하우징의 별도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공압 또는 유압의 공급 유무에 대응되게 상기 타공관 전체를 상하 기동(起動) 및 회전 기동(起動)시킬 수 있도록 한 공압 피스톤방식의 타공관의 이동수단과, 상기 방전부와 집진부 사이에 타공관을 위치되게 하여 집진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타공관 노즐로부터 고압스팀을 분사하여 제거하는 세척먼지의 제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 하우징은,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기둥체로 형성되되, 일측에는 이물질이 포함된 대기중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와 마주보는 타측에는 이물질이 포집된 청정의 공기를 유출시킬 수 있도록 유출부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집진 하우징의 전면 일측에는 고전압을 방전부측으로 인가하기 위해 고전압 인가부가 구비된다.
상기한 방전부는 상기 집진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고전압 인가부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코로나 방전이 일어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방전부는 집진 하우징 양 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볼트를 매개로 고정 구비되는 절연애자와, 상기 절연애자의 각 타단에 상기 고전압 인가부와 전원선을 매개로 접속되면서 일단과 타단이 고정볼트를 매개로 고정되되, 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고정홈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방전극 고정부재와, 상기 방전극 고정부재의 고정홈에 각 일단과 타단이 끼움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어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코로나 방전이 일어날 수 있도록 양면은 끝단이 뾰족한 돌출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방전극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방전부는 전류 손실을 줄여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집진 하우징 내부에 상,하 2단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집진부는 상기 방전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집진판이 상기 방전극과 교번되게 설치되어 상기 방전부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 가능하고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한 집진부는, 집진판이 방전극과 교번되게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방전극측으로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면, 다량의 전자들이 상기 집진판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고, 상기 방전극과 집진판 사이의 공기분자는 전자들과 결합하여 이온화되며, 이온화된 공기 분자와 분진의 결합으로 인하여 먼지는 하전되고, 하전된 먼지입자와 접지된 집진판 사이에 전기적인 쿨롱의 힘이 작용하여 대전된 집진판의 표면에 부착되는 원리에 의해 공기 중의 먼지가 상기 집진판에 포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타공관의 이동수단으로는 상기 집진 하우징의 별도 공간부에 설치되어 공압 또는 유압의 공급 유무에 대응되게 상기 타공관 전체를 상하 기동(起動) 및 회전 기동(起動)시킬 수 있는 실린더가 구비된다.
상기한 세척먼지의 제거수단으로는 상기 방전부와 집진부 사이에 위치되게 상하 기동(起動) 또는 회전 기동(起動)하면서 상기 집진판에 부착된 먼지를 세척 제거할 수 있는 타공관 분사노즐이 구비된다.
도 2, 도 6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흡기부(110)는, 정화처리하고자 하는 폐기가스 진입구(111a)를 하부 일측에 장착하는 구성으로서, 내부로 흡입된 폐기가스에 정화약액을 분사하여 수용성 이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부(120)로 전달하는 타워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흡기부(110)는 특정 구조의 흡기본체부(111), 폐기가스 진입구(111a), 폐기가스 배출구(111b), 약액회수부(112), 약액주입배관(113a), 약액전달지지부(113b), 상방회전실린더부(113c), 하방회전실린더부(113d), 상방회전블레이드(113e) 및 하방회전블레이드(113f)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기부(110)의 흡기본체부(111)는,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원기둥 구조이다. 흡기본체부(111)의 하부일측에 장착되는 폐기가스 진입구(111a)는, 흡기본체부(111) 내부로 폐기가스를 유입하는 구조이다. 흡기본체부(111)의 상단에 장착되는 폐기가스 배출구(111b)는, 흡기본체부(111) 내부를 통과한 폐기가스를 냉각부(120)에 전달하는 구조이다. 약액회수부(112)는 흡기본체부(111)의 하단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흡기본체부(111) 내부 바닥면으로 낙하한 정화약액을 회수할 수 있다. 약액주입배관(113a)은 흡기본체부(111)의 측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정화약액을 약액전달지지부(113b)에 전달할 수 있다. 약액전달지지부(113b)는, 흡기본체부(111)의 내측면을 따라 장착되는 중공형 원기둥 구조로서, 상단에 상부회전실린더를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시키고, 하단에 하부회전실린더를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시키며, 약액주입배관(113a)으로부터 전단된 정화약액을 상부회전실린더와 하부회전시린더에 전달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기부(110)의 상방회전실린더부(113c)는, 흡기본체부(111)의 내부 측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약액전달지지부(113b)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흡기본체부(111)의 내부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원통 구조이고, 약액전달지지부(113b)로부터 전달된 약액을 흡기본체부(111) 내부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관통공(114a)이 상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방회전실린더부(113d)는, 흡기본체부(111)의 내부 측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약액전달지지부(113b)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흡기본체부(111)의 내부 하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원통 구조이고, 약액전달지지부(113b)로부터 전달된 약액을 흡기본체부(111) 내부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관통공(114b)이 상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상방회전블레이드(113e)는, 상방회전실린더부(113c)의 외주면에 다수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상방회전실린더부(113c)의 외주면과 흡기본체부(111)의 내주면 사이에 주입되는 약액의 유동에 의해 상방회전실린더부(113c)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하방회전블레이드(113f)는, 하방회전실린더부(113d)의 외주면에 다수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하방회전실린더부(113d)의 외주면과 흡기본체부(111)의 내주면 사이에 주입되는 약액의 유동에 의해 하방회전실린더부(113d)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 2에 도시된 전기집진기의 냉각부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120)는, 흡기부(110)로부터 전달된 폐기가스와 열교환을 수행하여 폐기가스로부터 열에너지를 외부로 전달함으로써 폐기가스의 온도를 기설정된 범위 내로 냉각시킨 후, 냉각처리된 폐기가스를 집진부(140)에 전달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120)는, 특정 구조의 냉각본체부(121), 제1흡열부(122), 제2흡열부(123) 및 온수가열부(12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냉각부(120)의 냉각본체부(121)는, 흡기부(110)로부터 전달되는 폐기가스를 일측으로부터 수용한 후 타측방으로 유동시킨 후 제습부(130)로 전달하는 중공형 박스 구조이다. 제1흡열부(122)는, 흡기부(110)의 내부 바닥면과 인접하여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폐기가스에 의해 가열된 정화약액으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한 후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냉매에 전달하며, 가열된 냉매를 온수가열부(124)에 전달하는 배관구조이다. 제2흡열부(123)는, 냉각본체부(121)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폐기가스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한 후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냉매에 전달하며, 가열된 냉매를 제1흡열부(122)에 전달하는 배관 구조이다. 또한, 온수가열부(124)는, 제2흡열부(123)로부터 전달된 냉매를 이용하여 상수를 가열한 후 열교환된 냉매를 제2흡열부(123)에 전달하는 구조이다.
도 9에는 도 2에 도시된 전기집진기의 제습부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제습부(130)는, 냉각부(120)로부터 전달된 폐기가스에 부유하는 액적을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처리함으로써 폐기가스를 건조처리한 후 집진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부(130)는 특정 구조의 연통부(131), 회전유동부(132) 및 데미스터 조립체(13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습부(130)의 연통부(131)는, 냉각부(120)와 집진부(140)를 서로 연통시키는 원통형 구조이다. 회전유동부(132)는, 연통부(131) 내부 전방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냉각부(120)로부터 전달되는 폐기가스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데미스터 조립체(133)는, 연통부(131) 내부 후방에 장착되고, 회전유동부(132)에 의해 회전되며 후방으로 진입하는 폐기가스에 부유하는 액적을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이다.
도 10에는 도 2에 도시된 전기집진기의 집진부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2에 도시된 집진부의 세척처리부가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140)는, 제습부(130)를 통과한 공기를 수용하여 폐기가스에 부유하는 먼지를 대전시킨 후 집진처리하는 다수의 집진플레이트를 내부에 내장하고, 집진플레이트의 상부에 집진플레이트 표면상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처리부(145)를 장착하며, 집진플레이트를 통과한 폐기가스를 배기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부(150)는, 집진부(140)로부터 전달된 폐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140)는, 특정 구조의 집진하우징(141), 하전부(142), 집진플레이트부(143), 전방밀폐부(144a), 후방밀폐부(144b), 세척처리부(145) 및 오염수배수부(146)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집진부(140)의 집진하우징(141)은, 제습부(130)를 통과한 공기를 수용한 후 일측방으로 유동시킨 후 배기부(150)로 전달하는 밀폐형 박스구조이다. 집진하우징(141)의 내부 전방에 장착되는 하전부(142)는, 다수의 전극와이어가 상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된 구조이다. 집진하우징(141)의 내부 후방에 장착되는 집진플레이트부(143)는, 다수의 전극플레이트가 측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140)의 전방밀폐부(144a)는, 집진하우징(141)의 전방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세척처리부(145) 작동 시 집진하우징(141)의 전방을 밀폐하여 집진하우징(141) 내부를 밀폐하는 구조이다. 또한, 후방밀폐부(144b)는, 집진하우징(141)의 후방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세척처리부(145) 작동 시 집진하우징(141)의 후방을 밀폐하여 집진하우징(141) 내부를 밀폐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척처리부(145)는, 집진하우징(141)의 상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세척수를 집진플레이트부(143)의 전극플레이트(143a)의 표면에 분사하는 구조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오염수배수부(146)는, 집진하우징(141)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전극플레이트(143a) 표면을 세척한 세척수를 수용하는 구조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집진판
20: 타공관
30: 이동수단
100: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
110: 흡기부
111: 흡기본체부
111a: 폐기가스 진입구
111b: 폐기가스 배출구
112: 약액회수부
113a: 약액주입배관
113b: 약액전달지지부
113c: 상방회전실린더부
113d: 하방회전실린더부
113e: 상방회전블레이드
113f: 하방회전블레이드
114a: 분사관통공
114b: 분사관통공
115a: 베어링
115b: 베어링
120: 냉각부
121: 냉각본체부
122: 제1흡열부
123: 제2흡열부
124: 온수가열부
130: 제습부
131: 연통부
132: 회전유동부
133: 데미스터 조립체
140: 집진부
141: 집진하우징
142: 하전부
143: 집진플레이트부
144a: 전방밀폐부
144b: 후방밀폐부
145: 세척처리부
146: 오염수배수부
150: 배기부

Claims (8)

  1.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집진판에 고압스팀을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되고, 방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PVC 재질로 구성된 구조의 타공관;
    상기 타공관의 지지와 상하 이동, 회전 이동을 위한 집진판 최상부에 설치한 원형 프레임; 및
    상기 타공관을 상하로, 그리고 집진판의 원주방향으로 360도로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공압 피스톤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의 이동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타공관은,
    세척을 실시하지 않을 경우, 집진판의 상부 일측면에 일정 길이를 가지는 구조로 배치되고,
    세척을 수행할 경우,
    집진판의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이동하면서, 집진판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세척을 수행하고,
    상기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는,
    상기 타공관의 외측면에는 배치되고, 고압스팀을 발생시켜 타공관 내부에 제공하는 스팀발생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는,
    정화처리하고자 하는 폐기가스 진입구(111a)를 하부 일측에 장착하고, 내부로 흡입된 폐기가스에 정화약액을 분사하여 수용성 이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부(120)로 전달하는 타워구조의 흡기부(110);
    상기 흡기부(110)로부터 전달된 폐기가스와 열교환을 수행하여 폐기가스로부터 열에너지를 외부로 전달함으로써 폐기가스의 온도를 기설정된 범위 내로 냉각시킨 후, 냉각처리된 폐기가스를 집진부(140)에 전달하는 냉각부(120);
    상기 냉각부(120)로부터 전달된 폐기가스에 부유하는 액적을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처리함으로써 폐기가스를 건조처리한 후 집진부(140)에 전달하는 제습부(130);
    상기 제습부(130)를 통과한 공기를 수용하여 폐기가스에 부유하는 먼지를 대전시킨 후 집진처리하는 다수의 집진플레이트를 내부에 내장하고, 집진플레이트의 상부에 집진플레이트 표면상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처리부(145)를 장착하며, 집진플레이트를 통과한 폐기가스를 배기부(150)에 전달하는 집진부(140); 및
    상기 집진부(140)로부터 전달된 폐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110)는,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원기둥 구조의 흡기본체부(111);
    상기 흡기본체부(111)의 하부일측에 장착되고, 흡기본체부(111) 내부로 폐기가스를 유입하는 폐기가스 진입구(111a);
    상기 흡기본체부(111)의 상단에 장착되고, 흡기본체부(111) 내부를 통과한 폐기가스를 냉각부(120)에 전달하는 폐기가스 배출구(111b);
    상기 흡기본체부(111)의 하단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흡기본체부(111) 내부 바닥면으로 낙하한 정화약액을 회수하는 약액회수부(112);
    상기 흡기본체부(111)의 측면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정화약액을 약액전달지지부(113b)에 전달하는 약액주입배관(113a);
    상기 흡기본체부(111)의 내측면을 따라 장착되는 중공형 원기둥 구조이고, 상단에 상부회전실린더를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시키고, 하단에 하부회전실린더를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시키며, 약액주입배관(113a)으로부터 전단된 정화약액을 상부회전실린더와 하부회전시린더에 전달하는 구조의 약액전달지지부(113b);
    상기 흡기본체부(111)의 내부 측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약액전달지지부(113b)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흡기본체부(111)의 내부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원통 구조이고, 약액전달지지부(113b)로부터 전달된 약액을 흡기본체부(111) 내부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관통공(114a)이 상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상방회전실린더부(113c);
    상기 흡기본체부(111)의 내부 측벽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약액전달지지부(113b)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흡기본체부(111)의 내부 하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원통 구조이고, 약액전달지지부(113b)로부터 전달된 약액을 흡기본체부(111) 내부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관통공(114b)이 상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하방회전실린더부(113d);
    상기 상방회전실린더부(113c)의 외주면에 다수 장착되고, 상방회전실린더부(113c)의 외주면과 흡기본체부(111)의 내주면 사이에 주입되는 약액의 유동에 의해 상방회전실린더부(113c)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방회전블레이드(113e); 및
    상기 하방회전실린더부(113d)의 외주면에 다수 장착되고, 하방회전실린더부(113d)의 외주면과 흡기본체부(111)의 내주면 사이에 주입되는 약액의 유동에 의해 하방회전실린더부(113d)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하방회전블레이드(113f);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120)는,
    상기 흡기부(110)로부터 전달되는 폐기가스를 일측으로부터 수용한 후 타측방으로 유동시킨 후 제습부(130)로 전달하는 중공형 박스 구조의 냉각본체부(121);
    상기 흡기부(110)의 내부 바닥면과 인접하여 장착되고, 폐기가스에 의해 가열된 정화약액으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한 후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냉매에 전달하며, 가열된 냉매를 온수가열부(124)에 전달하는 배관구조의 제1흡열부(122);
    상기 냉각본체부(121)의 내부에 장착되고, 폐기가스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한 후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냉매에 전달하며, 가열된 냉매를 제1흡열부(122)에 전달하는 배관 구조의 제2흡열부(123); 및
    상기 제2흡열부(123)로부터 전달된 냉매를 이용하여 상수를 가열한 후 열교환된 냉매를 제2흡열부(123)에 전달하는 온수가열부(1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130)는,
    상기 냉각부(120)와 집진부(140)를 서로 연통시키는 원통형 구조의 연통부(131);
    상기 연통부(131) 내부 전방에 장착되고, 냉각부(120)로부터 전달되는 폐기가스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동부(132); 및
    상기 연통부(131) 내부 후방에 장착되고, 회전유동부(132)에 의해 회전되며 후방으로 진입하는 폐기가스에 부유하는 액적을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데미스터 조립체(1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140)는,
    상기 제습부(130)를 통과한 공기를 수용한 후 일측방으로 유동시킨 후 배기부(150)로 전달하는 밀폐형 박스구조의 집진하우징(141);
    상기 집진하우징(141)의 내부 전방에 장착되고, 다수의 전극와이어가 상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장착된 구조의 하전부(142);
    상기 집진하우징(141)의 내부 후방에 장착되고, 다수의 전극플레이트가 측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된 구조의 집진플레이트부(143);
    상기 집진하우징(141)의 전방에 장착되고, 세척처리부(145) 작동 시 집진하우징(141)의 전방을 밀폐하여 집진하우징(141) 내부를 밀폐하는 구조의 전방밀폐부(144a);
    상기 집진하우징(141)의 후방에 장착되고, 세척처리부(145) 작동 시 집진하우징(141)의 후방을 밀폐하여 집진하우징(141) 내부를 밀폐하는 구조의 후방밀폐부(144b);
    상기 집진하우징(141)의 상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세척수를 집진플레이트부(143)의 전극플레이트(143a)의 표면에 분사하는 세척처리부(145); 및
    상기 집진하우징(141)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전극플레이트(143a) 표면을 세척한 세척수를 수용하는 구조의 오염수배수부(14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
KR1020230128210A 2023-09-25 2023-09-25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 KR10265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8210A KR102653904B1 (ko) 2023-09-25 2023-09-25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8210A KR102653904B1 (ko) 2023-09-25 2023-09-25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904B1 true KR102653904B1 (ko) 2024-04-02

Family

ID=9071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8210A KR102653904B1 (ko) 2023-09-25 2023-09-25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90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840A (ja) * 1996-12-04 1998-06-23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乾式電気集塵機用洗浄装置
KR200207679Y1 (ko) 2000-08-08 2000-12-15 한국중공업주식회사 유해가스 처리를 위한 플라즈마 반응기와 부산물 제거용전기집진기의 일체형 설비
KR20010111225A (ko) * 2000-06-09 2001-12-17 이구택 방전극에 세척용 노즐이 장착된 습식 전기집진기
KR100805701B1 (ko) * 2001-09-27 2008-02-21 주식회사 포스코 필터세척장치
KR20120054978A (ko) * 2010-11-22 2012-05-31 (주) 브이에스아이 엑스선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
KR20140089722A (ko) * 2013-01-07 2014-07-16 세이브기술 (주) 습식 전기집진기용 수막형성장치
CN218774970U (zh) * 2022-10-13 2023-03-31 郑州天之蓝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油烟净化设备中电场的清洗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840A (ja) * 1996-12-04 1998-06-23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乾式電気集塵機用洗浄装置
KR20010111225A (ko) * 2000-06-09 2001-12-17 이구택 방전극에 세척용 노즐이 장착된 습식 전기집진기
KR200207679Y1 (ko) 2000-08-08 2000-12-15 한국중공업주식회사 유해가스 처리를 위한 플라즈마 반응기와 부산물 제거용전기집진기의 일체형 설비
KR100805701B1 (ko) * 2001-09-27 2008-02-21 주식회사 포스코 필터세척장치
KR20120054978A (ko) * 2010-11-22 2012-05-31 (주) 브이에스아이 엑스선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
KR20140089722A (ko) * 2013-01-07 2014-07-16 세이브기술 (주) 습식 전기집진기용 수막형성장치
CN218774970U (zh) * 2022-10-13 2023-03-31 郑州天之蓝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油烟净化设备中电场的清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5549B1 (ko) 텐터후단 배기가스 상의 악취와 백연의 저감 수단 및 고점성 오염물질의 회수 수단을 갖는 다단형 배기가스 처리 공정 시스템
KR101322886B1 (ko) 지하시설 공기 정화용 세트형 고효율 전기 집진 시스템
CN101780435A (zh) 一种湿式静电除尘装置
KR102060441B1 (ko) 배열회수보일러의 배기가스먼지 및 산화철 집진장치
KR101833390B1 (ko) 화력발전소의 연소가스 처리공정에서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과열증기를 이용한 순환 필터링 시스템
KR102095316B1 (ko)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
KR102387292B1 (ko) 활성탄 필터부 및 회전형 세정수 공급수단을 갖는 사이클론 스크러버가 추가된 텐터후단 배기가스의 처리 공정 시스템
CN209438817U (zh) 高效湿式静电除尘器
CN111632459A (zh) 一种定型机废气处理系统
CN202343325U (zh) 微孔板式静电除尘器
CN111632460A (zh) 一种节水型定型机废气处理系统
CN112495113A (zh) 一种含湿烟气的高效净化装置
KR101436381B1 (ko) 세정이 가능한 전기 집진장치
CN104923021B (zh) 一种热定型机高温含油废气的净化方法及其装置
CN105521871A (zh) 一种湿式静电除尘器水膜形成装置
KR102653904B1 (ko) 전기집진기의 집진판 세척구조
CN109621609B (zh) 一种漆雾收集装置
CN107297113A (zh) 一种废气余热回收及污染物综合处理方法及系统
CN115213013B (zh) 一种烟气净化机
CN104668090A (zh) 双区湿式静电油烟净化器
CN106179742A (zh) 一种带蒸发冷却段的干湿复合型静电除尘器
CN105597474A (zh) 纤维除尘器
CN214680821U (zh) 一种含湿烟气的高效除尘净化装置
CN105771502A (zh) 定型机废气高压静电除尘装置及进行静电除尘的方法
CN210057731U (zh) 一种用于粉料投加的水幕除尘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