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316B1 -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 - Google Patents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316B1
KR102095316B1 KR1020190176544A KR20190176544A KR102095316B1 KR 102095316 B1 KR102095316 B1 KR 102095316B1 KR 1020190176544 A KR1020190176544 A KR 1020190176544A KR 20190176544 A KR20190176544 A KR 20190176544A KR 102095316 B1 KR102095316 B1 KR 102095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iquid
dust collecting
harmful gas
dust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만곤
Original Assignee
허만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만곤 filed Critical 허만곤
Priority to KR1020190176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8Cleaning the electrodes by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the additional use of mechanical effects, e.g. gravity
    • B03C3/155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03C3/68Control syste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는, 유입덕트로 통해 유입되는 유해가스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플라즈마 집진기에 있어서, 유해가스의 오염물질을 플라즈마로 제거하여 배출하도록 격벽에 의해 병렬로 구성된 제1,2집진기를 포함하는 집진기 하우징; 상기 제1,2집진기로 세정액을 전달하는 세정액 탱크;로 구성되되, 상기 제1집진기와 제2집진기 중 하나는 유해가스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제1집진기와 제2집진기 중 다른 하나는 내부 오염물질을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2개의 집진기를 갖추고 1개의 집진기에서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동안 나머지 1개의 집진기를 세정(세척)함으로써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연속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Plasma Dust Collector with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플라즈마 방전에 의하여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플라즈마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집진기로 구성하여 하나의 집진기를 세정해도 다른 하나의 집진기로 유해가스를 정화할 수 있는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집진기는 소각로, 보일러 탈황설비 기타 백연을 포함한 미세분진 및 유해가스 제거설비에 설치되어 대기오염을 방지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전기집진기 중에는 코로나 방전을 통해 집진판(집진극)에 입자상 혹은 가스상 오염물질을 전기적으로 부착 제거시키는 코로나 방식의 전기집진기와 유해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을 하전시켜 처리하는 플라즈마 반응기(장치)를 이용한 플라즈마 집진기가 있다.
이 중 플라즈마 집진기는, 오염된 공기 측으로부터 1차적으로 큰 입자를 걸러내기 위한 물리적인 필터인 프리필터(PRE-FILTER)와, 물리적인 필터를 통과한 미세 이물질은 이온아이저(IONIZER)에서 하전 된 후 집진부인 콜렉터(COLLECTOR)를 통과하면서 대전된 오염물질이 상기 집진판에 흡착 집진되어 청정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플라즈마 집진기는 프리필터와 전기적인 필터에 의하여 오염공기를 정화하는 것으로서 오염된 공기의 정화에 있어서 효율이 매우 우수한 편이다.
그러나,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Plasma Collector)는 유해가스의 정화시 오염물질이 집진판(집진극, 집진 Cell)에 퇴적되어 방전을 불량하게 하여 일정시간이 경과 하면 집진효율이 거의 없어지게 되고, 성능 회복을 위해 집진부(집진 Cell)를 일일이 분해하여 세척하는 번거러움 때문에 기술적으로는 매우 우수한 성능을 가진 대기오염물질 정화시설임에도 불구하고 널리 보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집진이 행해지게 되면 집진판에는 오염물질의 퇴적이 발생하게 되는데, 과도한 오염물질의 퇴적은 과도한 불꽃방전(스파크)을 발생시켜 전기집진기의 고전압 공급시스템 또는 방전극, 집진판 시스템에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연속적인 운전을 위해서는 집진된 오염물질의 청소하는 세정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전기집진기는 집진부에 퇴적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에 따라 습식과 건식으로 구분된다.
종래의 습식 전기집진기는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하여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세정액 분사를 통한 집진판의 세정을 행한다.
그러나, 습식 세정방식은 세정액 분사시에 유해가스 정화 동작을 정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집진기의 가동 중단에 따른 생산시설의 가동 중단으로 생산공정의 운영 효율성을 저하시킨다.
구체적으로, 집진기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처리과정에서 집진플레이트에 오염물질(먼지, 입자상 오염물질) 등이 쌓이게 되고, 상기의 집진플레이트에 일정 두께 이상 먼지가 쌓이게 되면 집진 효율이 현저히 감소하므로, 이때는 부득이하게 집진기의 가동을 멈추고 집진셀을 하우징 외부로 분리하여 세정작업을 한 다음 재 설치 후 다시 가동하는 방법밖에 없다.
따라서, 집진기의 세정 중에도 유해가스를 정화 동작을 수행하는 집진기의 가동을 중단하지 않도록 개선된 형태의 플라즈마 진집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992743호(2019.06.19.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785421호(2017.09.29.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37350호(2011.05.20.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가스 중의 제거되는 오염물질이 플라즈마 집진기의 집진부에 부착됨으로서 집진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개의 집진기를 갖추고 1개의 집진기에서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동안 나머지 1개의 집진기의 집진부를 세정함으로서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연속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는, 유입덕트로 통해 유입되는 유해가스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플라즈마 집진기에 있어서, 유해가스의 오염물질을 플라즈마로 제거하여 배출하도록 격벽에 의해 병렬로 구성된 제1,2집진기를 포함하는 집진기 하우징; 상기 제1,2집진기로 세정액을 전달하는 세정액 탱크;로 구성되되, 상기 제1집진기와 제2집진기 중 하나는 유해가스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제1집진기와 제2집진기 중 다른 하나는 내부 오염물질을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집진기는,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 전단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차단 또는 유입시키기 위해 개폐하는 전동식 댐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를 통과한 유해가스를 물리적으로 걸러내는 프리필터(PRE-FILTER)와, 상기 프리필터를 통과한 유해가스를 흡착 집진하는 1차 집진판과, 상기 1차 집진판을 통과한 유해가스를 흡착 집진하는 2차 집진판 및 상기 1차 집진판과 2차 집진판으로 상기 세정액 탱크의 세정액을 토출하는 세정액 분사용 노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정액 탱크와 세정액 분사용 노즐은 세정액 공급용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세정액 공급용 배관에는 세정액 분사 펌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2차 집진판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파워팩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동식 댐퍼, 상기 세정액 분사용 펌프 및 상기 파워팩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집진기 중 하나의 파워팩은 구동시키고, 다른 하나의 파워팩은 구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집진기 중 하나의 파워팩의 구동시간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구동을 정지시킨 후 다른 하나의 파워팩을 구동시키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구동중인 상기 파워팩의 입구인 상기 가스유입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전동식 댐퍼를 제어하고, 구동중이지 않은 상기 파워팩의 입구인 상기 가스유입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전동식 댐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중이지 않은 파워팩과 연결된 상기 1,2차 집진판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상기 세정액 분사용 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에 따르면, 유해가스 중의 제거되는 오염물질이 플라즈마 집진기의 집진부에 부착됨으로서 집진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개의 집진기를 갖추고 1개의 집진기에서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동안 나머지 1개의 집진기를 세정(세척)함으로써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연속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일정시간 또는 24시간 연속적으로 가동되어 대기오염물질 포함한 배기가스를 배출하고 있는 공정 또는 시설의 운영시 상기의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해 설치되는 정화시설의 가동 중단에 따른 생산시설의 가동 중단을 최소화 또는 없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생산공정의 운영에 있어서 효율성을 갖출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하전식 프라즈마 집진기에서 집진셀이 오염되면 부득이하게 인력으로 분해하여 청소할 수밖에 없었는데 본 장치는 수시 또는 연속으로 기계적인 세정작업을 실행함으로 인력과 시간을 동시에 절감하는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2단 하전식 저온 플라즈마 공법의 구성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2단 하전식 저온 플라즈마 집진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세정장치의 배관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인 집진셀 세정장치를 갖춘 수직형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의 세정액 저장조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인 세정액 저장조 내부에 설치되는 수분 비산방지판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2단 하전식 저온 플라즈마 공법의 구성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2단 하전식 저온 플라즈마 집진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세정장치의 배관 설명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인 집진셀 세정장치를 갖춘 수직형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의 세정액 저장조 설명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인 세정액 저장조 내부에 설치되는 수분 비산방지판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입덕트(10)로 통해 유입되는 유해가스의 오일미스트, 백연, VOCs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플라즈마 집진기(A)는, 유해가스의 오염물질을 플라즈마로 제거하여 배출하도록 격벽(101)에 의해 병렬로 구성된 제1,2집진기(100a,100b)를 포함하는 집진기 하우징(100)과, 상기 제1,2집진기(100a100b)로 세정액을 전달하는 세정액 탱크(60)로 구성된다.
상기 집진기 하우징(100)에는 도어(102)가 구비되어 있어 조립 및 정비에 이용된다.
상기 제1,2집진기(100a,100b)는 유해가스를 집진기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집진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지면과 수직으로 설치된 유입구(12a,12b)와, 상기 유입구(12a,12b)와 연결되어 상기 유해가스가 통과하면서 유해가스가 정화 처리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공기통로(103)와, 상기 공기통로(103)와 연결되어 정화 처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3a,13b)가 구비된다.
상기 세정액 탱크(60)는 상기 집진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1,2차 집진판(30,40)의 세정을 위한 세정액(61)이 담지된다.
또한, 세정액 탱크(60)의 측면 하단부에는 세정액 분사 펌프(70)의 흡입용 배관(63)이 설치되며, 상기 흡입용 배관(63)에 연결된 세정액 분사 펌프(70)로 세정액(61)을 펌핑하여 집진기 내부의 1차 집진판(30) 상단에 이물질 세정액 분사용 노즐(74)이 부착된 배관(73)을 통해 지면과 수직으로 세정액(61)을 분사하여 1차, 2차 집진판(30,40)을 세정하며, 분사된 세정액(61)은 하부의 세정액 탱크(60)로 낙하하여 집수된다. 미설명 부호 72, 75는 압력계와 흡입용 배관 삽입관이다.
이때, 낙하되는 세정액(61)이 가동 중인 집진기의 배기가스에 의해 재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의 세정액 탱크(60) 내부의 수면 위쪽에 배기가스의 흐름 방향과 수직으로 수분 비산 방지판(62)을 설치한다.
상기 수분 비산 방지판(52)은 금속재의 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세정액 유입홀(200)이 형성된 다공판으로서 세정액 탱크(60)의 내부 수면의 수직 상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세정액 탱크(60)의 상부 측면에는 배기송풍기(80) 배기용 덕트(81)와 연결되어 정화된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64, 65, 67은 상수도 공급홀과 드레인홀 및 드레인 배관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집진기(100a)와 제2집진기(100b) 중 하나는 유해가스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제1집진기(100a)와 제2집진기(100b) 중 다른 하나는 내부 오염물질을 세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2집진기(100a,100b)는,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2a,12b)와, 상기 유입구(12a,12b)의 전단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차단 또는 유입시키기 위해 개폐하는 전동식 댐퍼(11a,11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입구(12a,12b)를 통과한 유해가스를 물리적으로 걸러내는 프리필터(20, PRE-FILTER)와, 상기 프리필터(20)를 통과한 유해가스를 흡착 집진하는 1차 집진판(30)과, 상기 1차 집진판(30)을 통과한 유해가스를 흡착 집진하는 2차 집진판(40) 및 상기 1차 집진판(30)과 2차 집진판(40)으로 상기 세정액 탱크(60)의 세정액을 토출하는 세정액 분사용 노즐(7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1차, 2차 집진판(30,40)은 상기 공기유입구(12a,12b)를 통과하는 상기 유해가스 중의 오염물질을 양극 또는 음극으로 이온화시켜주는 이오나이저와 집진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액 탱크(60)와 세정액 분사용 노즐(74)은 세정액 공급용 배관(71)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세정액 공급용 배관(71)에는 세정액 분사 펌프(7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1,2차 집진판(30,40)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파워팩(50, 고전압공급장치)이 더 구비된다. 상기 파워팩(50)은 상기 1차 집진판(30)에는 최고 전압12kV로 2차 집진판(40)에는 최고전압 6kV로 각각 공급이 가능한 장치이다.
또한, 상기 전동식 댐퍼(11a,11b), 상기 세정액 분사용 펌프(70), 배기용 송풍기(80) 및 상기 파워팩(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1,2집진기(100a,100b) 중 하나의 파워팩(50)은 구동시키고, 다른 하나의 파워팩(50)은 구동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 즉, 제1,2집진기(100a100b) 중 하나만 정화동작을 구동시키고 다른 하나는 집진판(30,40)을 세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2집진기(100a,100b) 중 하나의 파워팩(50)의 구동시간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구동을 정지시킨 후 다른 하나의 파워팩(50)을 구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상기 설정값은 오염가스의 정화공정을 진행 후 1,2차 집진판(40,50)의 성능이 약해지는 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설정함에 따라 1,2차 집진판(40,50)의 세정주기를 자동화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구동중인 상기 파워팩(50)의 입구인 상기 가스유입구(12a)는 전동식 댐퍼(11a)에 의해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구동중이지 않은 상기 파워팩(50)의 입구인 상기 가스유입구(12b)는 전동식 댐퍼(11b)에 의해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구동중이지 않은 파워팩(50)과 연결된 상기 1,2차 집진판(30,40)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상기 세정액 분사용 펌프(70)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세정액 분사용 노즐(74)에는 각각 전자밸브(74a,74b)가 구비되어 제어부(300)의 구동에 의해 개폐된다.
본 발명의 구성을 동작과 함께 다시 설명한다. 가스 흐름의 수직방향으로 이오나이저와 1차 집진셀로 구성된 1차 집진판(30)과 그 하단에 설치되는 2차 집진판(40)의 최상부에는 상기의 세정액 저장조(60)에 설치된 세정액 분사용 펌프(60)로 세정액(61)을 펌핑(P)하여 복수의 세정액 분사용 노즐(74)을 통해 상기 1차, 2차 집진판(30,40)의 수직방향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는 세정액 분사용 배관(7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정액 분사용 배관(73)의 하측에는 유입되는 입자상의 오염물질을 하전시키기 위한 복수의 이오나이즈가 각 셀당 4개씩의 애자를 이용해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결합된 복수의 1차 집진판(30)이 서로 접촉되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의 도어(102)의 내측에는 파워팩(50,고전압 공급장치)과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1차, 2차 집진판(30, 40)은 도 2와 같이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는 세정액의 분사 방향과 일치시켜 이물질 세정효과를 증대시키고자 하는 목적이며, 아울러 세정작업시 사용된 세정액이 중력에 의해 신속히 상기의 세정액 탱크(60)로 낙하함으로써 판형의 집진셀의 표면에 세정액이 잔존하여 건조됨으로서 집진셀 플레이트에 고착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응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세정액 분사용 노즐(73)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액은 1, 2차 집진판(30, 40)의 수직으로 위쪽에서 분사되며, 분사된 세정액은 집진 플레이트의 벽면을 타고 흐르면서 집진플레이트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과 함께 상기 하우징 하부의 세정액 탱크(60) 집수된다.
이러한, 세정액 분사용 노즐(73)은 세정액 탱크(6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세정액을 세정액 순환수단으로 공급받아 연속적으로 세정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세정액 분사를 위한 배관에 세정액을 직접 분사하는 다수개의 세정액 분사용 노즐(74)로 구성된다.
상기 세정액 분사용 노즐(74)은 도 5와 같이 동일한 간격으로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판형의 집진판(30, 40)의 내부면을 균일하게 세정하도록 한다.
상기 세정액 탱크(60)는 배출구(13a,13b) 수직 하측에 배치(형성)되어 1,2차 집진판(30, 40)의 세정시 사용된 세정액을 모집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해가스 중의 제거되는 오염물질이 플라즈마 집진기의 집진부에 부착됨으로서 집진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개의 제1,2집진기(100a,100b)를 갖추고 있어 1개의 집진기에서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동안 나머지 1개의 집진기를 세정함으로써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연속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일정시간 또는 24시간 연속적으로 가동되어 대기오염물질 포함한 배기가스를 배출하고 있는 공정 또는 시설의 운영시 상기의 배기가스를 정화하기 위해 설치되는 정화시설의 가동 중단에 따른 생산시설의 가동 중단을 최소화 또는 없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생산공정의 운영에 있어서 효율성을 갖출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하전식 프라즈마 집진기에서 집진셀이 오염되면 부득이하게 인력으로 분해하여 청소할 수밖에 없었는데 본 장치는 수시 또는 연속으로 자동적인 세정작업을 실행함으로 인력과 시간을 동시에 절감하는데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A - 플라즈마 집진기
100 - 집진기 하우징
100a - 제1집진기
100b - 제2집진기

Claims (10)

  1. 유입덕트로 통해 유입되는 유해가스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플라즈마 집진기에 있어서,
    유해가스의 오염물질을 플라즈마로 제거하여 배출하도록 격벽에 의해 병렬로 구성된 제1,2집진기를 포함하는 집진기 하우징; 상기 제1,2집진기로 세정액을 전달하는 세정액 탱크;로 구성되되, 상기 제1집진기와 제2집진기 중 하나는 유해가스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제1집진기와 제2집진기 중 다른 하나는 내부 오염물질을 세정하며,
    상기 집진기 하우징에는 유해가스를 집진기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상부에 지면과 수직으로 설치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유해가스가 통과하면서 유해가스가 정화 처리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공기통로와, 상기 공기통로와 연결되어 정화 처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집진기 하우징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며,
    상기의 세정액 탱크 내부의 수면 위쪽에 배기가스의 흐름 방향과 수직으로 유입홀이 형성된 다공판인 수분 비산 방지판을 설치되며,
    상기 제1,2집진기는,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 전단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차단 또는 유입시키기 위해 개폐하는 전동식 댐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구를 통과한 유해가스를 물리적으로 걸러내는 프리필터(PRE-FILTER)와, 상기 프리필터를 통과한 유해가스를 흡착 집진하는 1차 집진판과, 상기 1차 집진판을 통과한 유해가스를 흡착 집진하는 2차 집진판 및 상기 1차 집진판과 2차 집진판으로 상기 세정액 탱크의 세정액을 토출하는 세정액 분사용 노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를 구비히며,
    상기 세정액 탱크와 세정액 분사용 노즐은 세정액 공급용 배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세정액 공급용 배관에는 세정액 분사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1,2차 집진판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파워팩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전동식 댐퍼, 상기 세정액 분사용 펌프 및 상기 파워팩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집진기 중 하나의 파워팩은 구동시키고, 다른 하나의 파워팩은 구동시키지 않으며,
    상기 제1,2집진기 중 하나의 파워팩의 구동시간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구동을 정지시킨 후 다른 하나의 파워팩을 구동시키지 않으며,
    상기 제어부는, 구동중인 상기 파워팩의 입구인 상기 가스유입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전동식 댐퍼를 제어하고, 구동중이지 않은 상기 파워팩의 입구인 상기 가스유입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전동식 댐퍼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중이지 않은 파워팩과 연결된 상기 1,2차 집진판으로 세정액을 분사하도록 상기 세정액 분사용 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76544A 2019-12-27 2019-12-27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 KR102095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544A KR102095316B1 (ko) 2019-12-27 2019-12-27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544A KR102095316B1 (ko) 2019-12-27 2019-12-27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316B1 true KR102095316B1 (ko) 2020-03-31

Family

ID=7000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544A KR102095316B1 (ko) 2019-12-27 2019-12-27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31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503B1 (ko) * 2020-06-29 2020-09-14 주식회사 동우이엔티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
KR102233714B1 (ko) * 2020-08-20 2021-04-01 주식회사 원익홀딩스 습식 스크러버
KR102284032B1 (ko) * 2020-11-30 2021-07-30 탑스이앤씨 주식회사 악취 처리 장치
CN114682385A (zh) * 2020-12-28 2022-07-01 陕西青朗万城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除尘方法及其控制系统
KR102427935B1 (ko) * 2022-05-23 2022-08-03 주식회사 동우이엔티 습식 스크러버를 포함한 입자상 및 가스상 오염물질이 혼합된 복합가스의 동시 처리가 가능한 습식 전기집진시스템
CN115921113A (zh) * 2022-11-14 2023-04-07 核工业西南物理研究院 一种放射性尾气除尘装置及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2172A (ja) * 2006-09-07 2008-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集じん機
KR100878683B1 (ko) * 2008-01-14 2009-01-13 주식회사 중외엔비텍 공기정화용 3차 집진장치
KR101037350B1 (ko) 2008-12-08 2011-05-26 주식회사 동명길광 습식 전기집진장치의 집진극 연속 세정장치
KR20170004441A (ko) * 2015-07-02 2017-01-11 박병천 공기 정화 살균장치
JP2017154035A (ja) * 2016-02-29 2017-09-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集じん機
KR101785421B1 (ko) 2015-10-01 2017-10-17 (주)플라즈마텍 백연 제거 장치
KR20180041877A (ko) * 2016-10-17 2018-04-25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합성가스 정제를 위한 습식전기집진장치 및 습식전기집진방법
KR101992743B1 (ko) 2018-11-28 2019-06-27 (주)플라즈마텍 공기 청정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2172A (ja) * 2006-09-07 2008-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集じん機
KR100878683B1 (ko) * 2008-01-14 2009-01-13 주식회사 중외엔비텍 공기정화용 3차 집진장치
KR101037350B1 (ko) 2008-12-08 2011-05-26 주식회사 동명길광 습식 전기집진장치의 집진극 연속 세정장치
KR20170004441A (ko) * 2015-07-02 2017-01-11 박병천 공기 정화 살균장치
KR101785421B1 (ko) 2015-10-01 2017-10-17 (주)플라즈마텍 백연 제거 장치
JP2017154035A (ja) * 2016-02-29 2017-09-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集じん機
KR20180041877A (ko) * 2016-10-17 2018-04-25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합성가스 정제를 위한 습식전기집진장치 및 습식전기집진방법
KR101992743B1 (ko) 2018-11-28 2019-06-27 (주)플라즈마텍 공기 청정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503B1 (ko) * 2020-06-29 2020-09-14 주식회사 동우이엔티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
KR102233714B1 (ko) * 2020-08-20 2021-04-01 주식회사 원익홀딩스 습식 스크러버
KR102284032B1 (ko) * 2020-11-30 2021-07-30 탑스이앤씨 주식회사 악취 처리 장치
CN114682385A (zh) * 2020-12-28 2022-07-01 陕西青朗万城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除尘方法及其控制系统
KR102427935B1 (ko) * 2022-05-23 2022-08-03 주식회사 동우이엔티 습식 스크러버를 포함한 입자상 및 가스상 오염물질이 혼합된 복합가스의 동시 처리가 가능한 습식 전기집진시스템
CN115921113A (zh) * 2022-11-14 2023-04-07 核工业西南物理研究院 一种放射性尾气除尘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316B1 (ko)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
KR101322886B1 (ko) 지하시설 공기 정화용 세트형 고효율 전기 집진 시스템
KR100768842B1 (ko) 습식 전기집진을 이용한 폐 가스 정화처리장치
CN104190543A (zh) 一种湿式电除尘器及包含该湿式电除尘器的电除尘脱硫装置
KR101469509B1 (ko) 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KR102017653B1 (ko) 습식 및 건식 혼합 전기집진기
KR102130634B1 (ko) 전기집진필터를 구비하는 환기장치
KR101864480B1 (ko) 폭발성 배기가스 입자의 정전 제거 장치
KR101573292B1 (ko) 일체형 원통 집진설비
CN114508819B (zh) 一种用于车间的环境净化系统及其检测系统
KR20070048563A (ko) 공기 정화 장치
KR102174694B1 (ko) 자가정화 기능을 가지는 기체 정화장치
CN210544086U (zh) 湿式粉尘过滤器
KR101863676B1 (ko) 전기 집진장치
JP4041677B2 (ja) オイルミスト除去用空気調和機
CN109751646B (zh) 自动清洗油烟机中静电除尘单元的清洗方法
KR200406028Y1 (ko) 공기 정화 장치
KR102249174B1 (ko) 자갈 순환식 습식 전기 집진장치
KR20130024589A (ko) 전기집진 장치 및 그 방법
CN207708759U (zh) 一种机械加工产生油雾的治理系统
KR20050030335A (ko) 정전분사세정집진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61561A (ko) 굴뚝 분진 저감장치
CN102225309B (zh) 一种燃煤烟气两级棒栅水膜除尘装置及除尘方法
CN2761248Y (zh) 磁增强雾化电晕放电低温等离子体烟气除尘净化器
JP2009136816A (ja) 集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