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503B1 -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503B1
KR102155503B1 KR1020200079024A KR20200079024A KR102155503B1 KR 102155503 B1 KR102155503 B1 KR 102155503B1 KR 1020200079024 A KR1020200079024 A KR 1020200079024A KR 20200079024 A KR20200079024 A KR 20200079024A KR 102155503 B1 KR102155503 B1 KR 102155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ater spraying
spraying means
moving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만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우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우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우이엔티
Priority to KR1020200079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8Cleaning-out collecte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 집진기용 하우징 내부에 집진판과 방전극이 교변되게 복수로 갖추어져 설치된 집진부의 상부에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집진부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세정수를 분사가능한 분사노즐부를 포함한 세정수분사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세정수 분사에 따른 사각지대 없어 복수의 집진판을 세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수분사수단의 분사노즐부가 스크류방식으로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되므로 정속유지나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Vertical electrostat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집진기용 하우징 내부에 집진판과 방전극이 교변되게 복수로 갖추어져 설치된 집진부의 상부에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집진부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세정수를 분사가능한 분사노즐부를 포함한 세정수분사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세정수 분사에 따른 사각지대 없어 복수의 집진판을 세정시킬 수 있도록 한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집진장치의 전기 집진원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오염된 기체 내에 포함되어 있는 포집대상인 먼지, 백연 내지 오일미스트와 같은 것을 하전(荷電)시킴으로써, 포집대상에 집진전극 방향으로 쿨롱력(정전기(靜電氣)력)을 일으켜 하전된 입자들을 포집한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는 통상적으로 방전극에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후 2개의 전극 사이에서 높은 전압에 의해 전기장이 강한 부분이 전도성을 갖는 현상인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 방전극 주변에서 전하의 생성 및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먼지 등을 하전시킨다.
이렇게 하전된 먼지 등은 전기장 내에서 집진전극 방향으로 발생한 쿨롱력에 의해 힘을 받게 되고, 이와 같은 쿨롱력에 의해 집진전극으로 끌려가 집진극표면에 부착됨으로써 포집된다.
따라서, 전기 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포집된 먼지 등이 부착되어 있는 집진전극을 일정 주기로 세정해야만 한다.
또한, 전기 집진장치는 통상적으로 계속해서 운전되지 않고,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운전이 되거나, 또는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운전이 된다.
즉, 전기 집진장치는 집진을 하는 운전상태와 집진이 이루어지지 않는 대기상태를 반복하고, 대기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어 운전상태로 될 경우 전기 집진장치 내에 이미 포집된 먼지 등이 다시 비산되고, 그로 인해 퇴적됨에 따른 역전리현상이 발생하여 집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전기 집진장치는 집진전극에 포집된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해 소정의 전기 집진장치용 세정장치를 필요로 한다.
통상적으로 건물시설의 대기오염 방지시설 혹은 건물 등의 공조 시스템에 부가되는 집진시설은 공기가 흐르는 유로의 중간에 설치되며, 상기 집진시설은 전기 집진장치와 상기 전기 집진장치의 전단 및 후단에 위치하여 전기 집진장치를 세정하는 동안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셔터와 전단에 위치하는 셔터와 전기 집진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세정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기집진장치용 세정장치는 크게 습식과 건식으로 구분된다. 습식 세정장치는 고압의 세정수를 전기 집진장치의 집진전극에 분사하여 집진전극의 표면에 포집된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로써 소규모의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건식 세정장치는, 고압으로 공기 내지 가스를 집진전극에 분사하여 집진전극에 포집된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로써, 고압의 기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물과 같은 액체를 이용하는 습식 세정장치와 달리 전기 집진장치의 건조 문제가 유발되지 않아 전기 집진장치의 세정 후 바로 전기 집진장치의 운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압의 기체를 이용하는 건식 세정장치는 고압의 액체를 이용하는 습식 세정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세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고압의 기체를 이용해 지속적으로 집진전극을 세정하더라도 제거가 되지 않는 이물질 입자 등이 집진전극에 계속 잔류하게 되고, 전기 집진장치의 사용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제거되지 않은 잔류물의 누적으로 점차 집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기 집진장치를 세정함에 있어서, 건식 세정장치와 습식 세정장치를 모두 설치하여 이를 혼용하여 전기 집진장치를 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두 가지의 세정장치를 모두 설치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서로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서로 다른 두 장치를 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제어의 어려움이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실질적으로 건물이나 지하철 역사와 같은 지하 건축물 등의 공조시설이 설치되는 공간이 대체적으로 협소하기 때문에 전기 집진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두 가지의 세정장치를 모두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0-0052610호에 전기 집진장치를 세정하기 위한 복합 세정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전기 집진장치를 세정하기 위한 복합 세정장치는, 전기 집진장치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집진장치를 세정하는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측 및 좌/우측 프레임과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프레임의 내측면은 폐쇄되거나 복합 분사부의 이동을 위해 개방되도록 개폐도어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좌/우측 프레임에 결합되어 복합 분사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구동부와, 상기 상하 구동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에어 분사노즐이 다수 형성된 에어관과 세정수 분사노즐이 다수 형성된 세정수관으로 이루어진 복합 분사부와, 상기 복합 분사부의 에어관 및 세정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에어관에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세정수관에는 고압의 세정수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구성들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전기 집진장치를 세정하기 위한 복합 세정장치는, 세정수 분사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정수가 수평방향으로 분사되므로 집진전극의 끝단부까지 세정수를 분사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압이 필요로 하게 되고, 그로 인해, 집진전극의 전단부분에는 세정수가 분사되지 않는 사각구역(Daed Zone)이 발생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전기 집진장치를 세정하기 위한 복합 세정장치는, 복합 분사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상하 구동부가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서, 세정장치를 장시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체인이 늘어나게 되어 결국, 정속유지나 정확한 위치제어가 불가능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10-0052610호, 출원일; 2010년06월04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 집진기용 하우징 내부에 집진판과 방전극이 교변되게 복수로 갖추어져 설치된 집진부의 상부에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집진부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세정수를 분사가능한 분사노즐부를 포함한 세정수분사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세정수 분사에 따른 사각지대 없어 복수의 집진판을 세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수분사수단의 분사노즐부가 스크류방식으로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되므로 정속유지나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는, 상단부에 형성된 유입구와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구가 서로 연통된 중공의 통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게 구비되는 전기 집진용 하우징과,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고전압인가부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코로나방전이 일어나도록 다수의 방전극을 갖추어 구비되는 방전부와, 상기 방전부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집진판이 상기 방전극과 교번되게 설치되어 상기 방전부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공기중의 이물질 입자를 집진가능하게 구비되는 집진부와,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에 횡방향으로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집진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모터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세정수분사수단의 세정수분사노즐부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와,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의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집진부의 집진판측으로 세정수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정수분사수단과,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사용수를 내부로 유입시켜 여과필터를 통과시켜 상기 세정수분사수단측으로 공급하는 것에 의해 세정수를 재사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세정수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전기 집진용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방전부의 절연애자를 내부에 위치되게 고정 설치되어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로 상기 절연애자에 묻어 있는 수분을 제거가능하도록 퍼지챔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전기 집진용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의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 양측에 위치되어 세정수분사수단의 세정수분사노즐부를 가이드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지지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에 따르면, 집진부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세정수를 복수의 집진판측으로 분사하게 되므로 세정수 분사에 따른 사각지대 없어 복수의 집진판을 세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수분사수단의 분사노즐부가 스크류방식으로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되므로 정속유지나 정확한 위치제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의 전기 집진용 하우징 내부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의 전기 집진용 하우징 내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의 전기 집진용 하우징 내부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의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의 세정수분사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의 세정수순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의 세정수분사수단 가이드지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는, 복수의 집진판에 집진된 오일미스트 또는 백연 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을 세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세정수분사노즐부가 수평으로 왕복운동하는 것에 의해 사각구역(Daed Zone) 없이 복수의 집진판에 집진된 이물질 입자를 제거하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100)는 상단부에 형성된 유입구(110a)와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구(110b)가 서로 연통된 중공의 통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게 구비되는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과,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고전압인가부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코로나방전이 일어나도록 다수의 방전극(124)을 갖추어 구비되는 방전부(120)와, 상기 방전부(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집진판(133)이 상기 방전극(124)과 교번되게 설치되어 상기 방전부(120)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공기중의 이물질 입자를 집진가능하게 구비되는 집진부(130)와,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에 횡방향으로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집진부(130)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모터(142)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세정수분사수단의 세정수분사노즐부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와,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의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집진부(130)의 집진판(133)측으로 세정수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정수분사수단(150)과,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 일측에 설치되어 배출구(110b)를 통하여 배출되는 사용수를 내부로 유입시켜 여과필터를 통과시켜 상기 세정수분사수단(150)측으로 공급하는 것에 의해 세정수를 재사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세정수순환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방전부(120)의 절연애자 보호용 함체(121) 상면에 설치되어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로 상기 절연애자 보호용 함체(121)에 내설된 절연애자(122)측으로 공기를 공급가능하게 가능하게 퍼지챔버(170)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의 배출구(110b)에 연결 설치되되, 외측면에는 일단이 배기용 송풍기와 연결된 배기관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배기용 송풍기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배기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세정수분사수단(150)을 통하여 분사되어 상기 집진부(130)의 집진판(133)을 세정한 사용수를 포집시켜 상기 세정수순환부(160)측으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사용수 배출구가 형성된 포집부(18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의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세정수분사수단(150)의 세정수분사노즐부(153)를 가이드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지지수단(190)이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의 전기 집진용 하우징은, 직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부측으로 이물질 입자가 포함된 가스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는 유입구(110a)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0a)와 마주보는 하부에는 이물질 입자가 집진된 청정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구(110b)가 형성된 기둥체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의 서로 대향되는 외주면에는 상기 방전부에 포함된 절연애자(122)를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의 외부에 설치하여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외향 돌출된 방전부설치용 돌출부(111)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의 방전부설치용 돌출부(111) 상부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세정수분사수단(150)의 세정수공급호스를 배관시킬 수 있도록 배관용 홀(도면부호 생략)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의 배출구(110b) 상부 내측면에는 청정의 공기의 배출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정류용 홀이 타공된 정류판(112)이 더 고정 구비된다.
상기한 방전부(120)는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고전압인가부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코로나방전이 일어나도록 다수의 방전극을 갖추어 구비된다.
즉, 상기한 방전부(120)는 상기 전기 집진기용 하우징(110)의 방전부설치용 돌출부(111) 상부에 절연애자 설치브라켓(121a)을 횡방향으로 각각 고정 설치하여 절연애자를 수분으로부터 보호가능하게 구비되는 절연애자 보호용 함체(121)와, 상기 절연애자 보호용 함체(121)의 절연애자 설치브라켓(121a)에 각각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절연애자(122)와, 상기 절연애자 설치브라켓(121a)에 연결브라켓을 매개로 각 일단이 각각 고정 연결되어 복수의 방전극을 고정 설치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방전부 거치대(123)와, 상기 방전부 거치대(123)에 각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어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코로나 방전이 일어날 수 있도록 양면은 끝단이 뾰족한 돌출부(124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밴드 형상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방전극(124)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집진부(130)는 상기 방전부(120)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집진판(133)이 상기 방전극(124)과 교번되게 설치되어 상기 방전부(120)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공기중의 이물질 입자를 집진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집진부(130)는 상기 전기 집진기용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대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방전부(120)의 방전부 거치대(123) 사이에 각각 위치되게 구비되는 집진판 설치프레임(131)과, 상기 집진판 설치프레임(131)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집진판 설치프레임(131) 사이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전극봉(132) 상에 일단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타단은 상기 방전부(120)의 방전극(124) 사이에 교번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집진판(133)으로 구성된다.
그로 인해, 상기한 집진부(130)는 집진판(133)이 방전극(124) 사이에 교번되게 설치되어, 상기 방전극(124)에 고전압 인가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면, 다량의 전자들이 상기 집진판(133)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고, 상기 방전극(124)과 집진판(133) 사이의 공기분자는 전자들과 결합하여 이온화되며, 이온화된 공기분자와 분진의 결합으로 인하여 분진은 하전되고, 하전된 분진입자와 접지된 접진판(133) 사이에 전기적인 쿨롱힘이 작용하여 대전된 집진판(134)의 표면에 부착되는 원리에 의해 공기 중의 이물질 분자가 상기 집진판(133)에 포집된다.
상기한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는,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에 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집진부(130)의 상부에 위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집진부(130)측으로 세정수를 분사시키는 상기 세정수분사수단(150)을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는 일단이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 외주면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내주면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집진부(130)의 상부에 위치되고, 타단은 베어링을 개재시켜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의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외주면에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와, 상기 전기집진기용 하우징(110) 외주면에 고정 브라켓을 매개로 고정되어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와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정,역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모터(142)와,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를 내측으로 수용하는 것에 의해 이물질 입자가 외주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를 따라 상기 세정수분사수단의 세정수분사노즐부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벨로우즈 신축관(143)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세정수분사수단(150)은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의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집진부(130)의 집진판(133)측으로 세정수를 분사시켜 상기 집진판(133)에 집진된 이물질 입자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세정수분사수단(150)은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의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중앙부에는 나선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세정수분사용 이동부(151)와, 상기 세정수분사용 이동부(151)에 일단이 고정된 러그(152)를 매개로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에 직교되되, 저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세정액분사노즐(153a)이 복수로 갖추져 구비되는 세정수분사노즐부(153)와, 상기 세정수분사노즐부(153) 외주면 상부 일측에 일단이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구비되는 회전식 엘보우 관(154)과, 상기 엘보우 관(154)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에 형성된 배관용 홀을 통하여 상기 세정수순환부에 연결되어 세정수를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세정수공급호스(15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세정수분사노즐부(153)의 일측 끝단부에는 상기 세정수분사노즐부(153)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 내부 양측에 고정 설치된 근접센서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근접센서 감지판(156)이 더 구비된다.
상기한 세정수순환부(160)는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 일측에 설치되어 배출구(110b)를 통하여 배출되는 사용수를 내부로 유입시켜 여과필터를 통과시켜 상기 세정수분사수단(150)의 세정수분사노즐부(153)측으로 공급시키는 것에 의해 세정수를 순환시켜 재사용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세정수순환부(160)는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의 배출구(110b)에 구비된 포집부(180)의 사용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사용수를 내부에 저장시켜 공급가능하게 일측면에는 세정수공급호스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공급구를 갖는 함체로 형성되되, 내부는 유수분리판(162)이 설치되어 구비되는 세정수순환조(161)와, 상기 세정수순환조(161)의 내부에 설치된 유수분리판(162)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사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여과필터(163)와, 상기 세정수순환조(161)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어 세정수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히터부(164)와, 상기 세정수순환조(161)의 공급구와 연결된 세정수공급호스(155) 상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공급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세정수공급펌프(165)로 구성된다.
상기한 가이드지지수단(190)은,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의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고정되도록 "ㄱ"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지지바(191)와, 상기 가이드지지바(191)의 각 상면에 고정 구비되는 엘엠가이드부(192)와, 상기 엘엠가이드부(192)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세정수분사수단(150)의 세정수분사노즐부(153)가 이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엘엠가이드부(192)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지지용 이동부(193)와, 상기 가이드지지용 이동부(193)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정수분사수단(150)의 세정수분사노즐부(153)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가이드지지용 연결부(19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를 장시간 구동함에 따른 집진부(130)의 집진판(133)에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수순환부(160)의 세정수공급펌프(165)의 구동과 함께,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의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모터(142)가 구동하게 된다.
즉, 먼저, 상기한 세정수순환부(160)의 세정수공급펌프(165)의 구동의 구동으로 세정수순환조(161)에 저장된 세정수가 세정수공급호스(155)를 통하여 세정수분사수단(150)의 세정수분사노즐부(153)로 공급된다.
상기 세정수분사노즐부(153)로 공급된 세정수는 복수의 세정액분사노즐(153a)를 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집진부(130)의 집진판(133)측으로 분사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한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의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모터(142)의 구동으로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의 회전으로 세정수분사용 이동부(151)가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를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그리고 우측에서 좌측으로 반복적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방전부(120)의 방전극(124)과 교변되게 구비된 복수의 집진판(133)측으로 일직선되게 분사된다.
그로 인해, 낮은 수압으로도 세정수를 분사시킬 수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세정액분사노즐(153a)를 통하여 분사되는 세정수가 복수의 상기 집진판(133)의 양측면 상단부터 하단까지 분사됨에 따른 사각지대 없어 상기 집진판(133) 전체면에 대해서 분사되어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 110 ; 전기 집진용 하우징
120 ; 방전부 130 ; 집진부
140 ;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 150 ; 세정수분사수단
160 ; 세정수순환부 170 ; 퍼지챔버
180 ; 포집부 190 ; 가이드지지수단

Claims (6)

  1.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는,
    상단부에 형성된 유입구(110a)와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구(110b)가 서로 연통된 중공의 통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게 구비되는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과;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고전압인가부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코로나방전이 일어나도록 다수의 방전극(124)을 갖추어 구비되는 방전부(120)와;
    상기 방전부(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집진판(133)이 상기 방전극(124)과 교번되게 설치되어 상기 방전부(120)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공기중의 이물질 입자를 집진가능하게 구비되는 집진부(130)와;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에 횡방향으로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집진부(130)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모터(142)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세정수분사수단의 세정수분사노즐부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와;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의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집진부(130)의 집진판(133)측으로 세정수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정수분사수단(150)과;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 일측에 설치되어 배출구(110b)를 통하여 배출되는 사용수를 내부로 유입시켜 여과필터를 통과시켜 상기 세정수분사수단(150)측으로 공급하는 것에 의해 세정수를 재사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세정수순환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수분사수단(150)은,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의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중앙부에는 나선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세정수분사용 이동부(151)와, 상기 세정수분사용 이동부(151)에 일단이 고정된 러그(152)를 매개로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에 직교되되, 저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세정액분사노즐(153a)이 복수로 갖추져 구비되는 세정수분사노즐부(153)와, 상기 세정수분사노즐부(153) 외주면 상부 일측에 일단이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구비되는 회전식 엘보우 관(154)과, 상기 엘보우 관(154)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에 형성된 배관용 홀을 통하여 상기 세정수순환부에 연결되어 세정수를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세정수공급호스(155)와, 상기 세정수분사노즐부(153)의 일측 끝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수분사노즐부(153)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 내부 양측에 고정 설치된 근접센서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근접센서 감지판(15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방전부(120)의 절연애자 보호용 함체(121) 상면에 설치되어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로 상기 절연애자 보호용 함체(121)에 내설된 절연애자(122)측으로 공기를 공급가능하게 가능하게 퍼지챔버(17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는, 일단이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 외주면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내주면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집진부(130)의 상부에 위치되고, 타단은 베어링을 개재시켜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의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외주면에는 나선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와,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 외주면에 고정 브라켓을 매개로 고정되어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와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정,역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모터(142)와,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를 내측으로 수용하는 것에 의해 이물질 입자가 외주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를 따라 상기 세정수분사수단의 세정수분사노즐부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벨로우즈 신축관(14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
  5. 삭제
  6.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는,
    상단부에 형성된 유입구(110a)와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구(110b)가 서로 연통된 중공의 통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게 구비되는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과;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고전압인가부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코로나방전이 일어나도록 다수의 방전극(124)을 갖추어 구비되는 방전부(120)와;
    상기 방전부(12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집진판(133)이 상기 방전극(124)과 교번되게 설치되어 상기 방전부(120)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공기중의 이물질 입자를 집진가능하게 구비되는 집진부(130)와;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에 횡방향으로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집진부(130)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모터(142)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세정수분사수단의 세정수분사노즐부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와;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의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집진부(130)의 집진판(133)측으로 세정수를 분사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정수분사수단(150)과;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 일측에 설치되어 배출구(110b)를 통하여 배출되는 사용수를 내부로 유입시켜 여과필터를 통과시켜 상기 세정수분사수단(150)측으로 공급하는 것에 의해 세정수를 재사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세정수순환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구동부(140)의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 양측에 위치되어 세정수분사수단(150)의 세정수분사노즐부(153)를 가이드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지지수단(190)이 더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지지수단(190)은, 상기 세정수분사수단 이동용 회전바(141)의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전기 집진용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지지바(191)와, 상기 가이드지지바(191)의 각 상면에 고정 구비되는 엘엠가이드부(192)와, 상기 엘엠가이드부(192)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세정수분사수단(150)의 세정수분사노즐부(153)가 이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엘엠가이드부(192)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지지용 이동부(193)와, 상기 가이드지지용 이동부(193)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정수분사수단(150)의 세정수분사노즐부(153)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가이드지지용 연결부(19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
KR1020200079024A 2020-06-29 2020-06-29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 KR102155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024A KR102155503B1 (ko) 2020-06-29 2020-06-29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024A KR102155503B1 (ko) 2020-06-29 2020-06-29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503B1 true KR102155503B1 (ko) 2020-09-14

Family

ID=72471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024A KR102155503B1 (ko) 2020-06-29 2020-06-29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5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6346A (ja) * 1990-02-05 1992-06-24 Mitsubishi Heavy Ind Ltd 電気集じん装置
JPH0847654A (ja) * 1994-08-04 1996-02-20 Kawasaki Heavy Ind Ltd 電気集塵機
KR20100052610A (ko) 2008-11-11 2010-05-20 (주)비알네트콤 서적정보 제공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2079796B1 (ko) * 2018-10-04 2020-02-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집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탈황 장치
KR102095316B1 (ko) * 2019-12-27 2020-03-31 허만곤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6346A (ja) * 1990-02-05 1992-06-24 Mitsubishi Heavy Ind Ltd 電気集じん装置
JPH0847654A (ja) * 1994-08-04 1996-02-20 Kawasaki Heavy Ind Ltd 電気集塵機
KR20100052610A (ko) 2008-11-11 2010-05-20 (주)비알네트콤 서적정보 제공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2079796B1 (ko) * 2018-10-04 2020-02-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집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탈황 장치
KR102095316B1 (ko) * 2019-12-27 2020-03-31 허만곤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935B1 (ko) 전기집진장치를 세정하기 위한 복합 세정장치
KR101924311B1 (ko) 전기 집진 장치용 세척 장치
KR101610240B1 (ko) 양방향 집진 시스템
KR102017653B1 (ko) 습식 및 건식 혼합 전기집진기
CN111974547B (zh) 水平型集尘装置及利用该水平型集尘装置的集尘方法
CN111905927B (zh) 集尘装置
CN104994960A (zh) 集尘器、集尘系统,及集尘方法
KR20010102032A (ko) 대전된 액적 가스 세척 장치 및 방법
KR102340176B1 (ko) 지하철역사의 공기정화 시스템
KR101549793B1 (ko) 전기집진장치를 세정하기 위한 복합 세정장치
KR101115605B1 (ko) 전기집진장치
JP4685008B2 (ja) 電気集塵器
KR101436381B1 (ko) 세정이 가능한 전기 집진장치
KR102155503B1 (ko) 수직형 전기 집진장치
CN115213013B (zh) 一种烟气净化机
KR101404056B1 (ko)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전기필터부를 포함하는 집진형 터널고속팬
KR20120139885A (ko) 간이 제연장치
JP2020065974A (ja) 湿式電気集塵装置
KR100773757B1 (ko) 자동세정형 여과장치
KR101982201B1 (ko) 전기 집진 장치용 공기압 세척 장치
CN215843604U (zh) 净化组件及空气净化器
KR20170005547A (ko) 전기 집진 장치의 자동 세척 제어 시스템
KR101863676B1 (ko) 전기 집진장치
KR102213753B1 (ko) 집진 방법
KR100215285B1 (ko) 자동세정식 전기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