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753B1 - 집진 방법 - Google Patents

집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753B1
KR102213753B1 KR1020190079012A KR20190079012A KR102213753B1 KR 102213753 B1 KR102213753 B1 KR 102213753B1 KR 1020190079012 A KR1020190079012 A KR 1020190079012A KR 20190079012 A KR20190079012 A KR 20190079012A KR 102213753 B1 KR102213753 B1 KR 102213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washing water
dust collecting
dust
discharg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3364A (ko
Inventor
문상철
이진운
이상린
황재동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9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753B1/ko
Priority to CN202010312110.7A priority patent/CN111974547B/zh
Priority to US16/856,286 priority patent/US11577256B2/en
Publication of KR20210003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8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flat electrodes arranged with their flat surfaces parallel to the gas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8Cleaning the electrodes by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6Lead-in insulators; Lead-through ins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가스를 정화하고 세정할 수 있는 집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집진극과 방전극을 갖는 집진 모듈과 내부에 격벽이 형성된 하우징과, 입구측 유로 개폐부재와 출구측 유로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를 이용한 집진 방법은, 기체를 이동시키면서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먼지를 집진하는 전체 집진 단계, 상기 유로 개폐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격벽에 의하여 분할된 유로 공간 중 일부를 폐쇄하는 유로 폐쇄 단계, 및 개방된 상기 유로 공간의 방전극에는 전압을 인가하여 집진을 수행하고, 폐쇄된 상기 유로 공간에는 집진극에 세정수를 공급하여 세정하는 부분 세정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집진 방법{ELECTRIC PRECIPITATOR METHOD}
본 발명은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의 흐름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처리되는 집진 장치를 이용한 집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스 중에 포함된 미세 먼지 등과 같은 입자상 오염물을 제거하는 장치는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며, 그 중의 하나인 전기집진기는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켜 다량의 전자(이온)를 생성하고, 이때 생성된 전자(이온)는 주위의 가스 분자를 이온화 시킨다. 전기 집진기에서 이온화된 가스 분자는 가스 속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 물질(미세먼지 등)과 결합하여 입자상 물질은 하전(전기적인 극성을 가짐)되고, 하전된 입자상 물질은 정전기력에 의하여 집진극에 포집된다.
전기 집진기는 일정 간격으로 집진극이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접지되고, 집진극과 집진극 사이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극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방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방전극과 집진극 사이에 코로나 방전 현상이 발생하는 구조이며 통상적으로 집진극과 방전극 모두 전기적인 도체 재질을 사용한다.
방전극과 집진극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형성되므로 방전극과 집진극은 균일한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구조의 크기와 재료의 강도에 따라 가스의 흐름에서 야기되는 진동에 의해 극간의 흔들림이 발생하는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방전극과 집진극 사이의 간격이 커지면 집진 효율이 저하되고, 코로나 방전을 위해서 큰 전압이 인가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방전극과 집진극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면 대전된 분진의 이동 거리가 짧아져서 집진 효율이 향상되지만, 방전극과 집진극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정밀하고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면 방전극과 집진극의 극간 거리 불균일로 균일한 코로나 발생량이 감소하거나 국부적으로 집속되어 전극이 단락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집진극의이 크기가 커지면 세정수가 공급되지 못하는 영역이 발생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압력이 커지고 많은 양의 세정수가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연속 수세 시에는 부유하거나 떨어지는 물 입자로 인하여 코로나 대신 아크를 발생시켜서 아크 발생의 빈도가 높고, 세정으로 인하여 가스 중으로 재비산되는 발생하는 미스트를 제거하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간헐적 수세 시에는 수세 중에 가스를 정화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9984호(2019.02.13)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가스를 정화하고 세정할 수 있는 집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집진극과 방전극을 갖는 집진 모듈과 내부에 격벽이 형성된 하우징과, 입구측 유로 개폐부재와 출구측 유로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를 이용한 집진 방법은, 기체를 이동시키면서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먼지를 집진하는 전체 집진 단계, 상기 유로 개폐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격벽에 의하여 분할된 유로 공간 중 일부를 폐쇄하는 유로 폐쇄 단계, 및 개방된 상기 유로 공간의 방전극에는 전압을 인가하여 집진을 수행하고, 폐쇄된 상기 유로 공간에는 집진극에 세정수를 공급하여 세정하는 부분 세정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전체 집진 단계는 세정이 완료된 유로 공간을 개방하고 개방된 유로 공간으로 기체를 이동시키면서 집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하우징 측면에는 입구 덕트와 출구 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 개폐부재는 상기 입구 덕트와 출구 덕트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체 집진 단계에서 상기 기체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집진 모듈은 관형 거더와 상기 관형 거더 내에 거치되는 하부 절연 애자와 상기 하부 절연 애자를 관통하는 단자봉을 갖는 절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체 집진 단계는 상기 절연 연결부재에 매달리도록 설치된 하부 프레임을 통해서 상기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유로 폐쇄 단계는 하나의 유로 공간만 폐쇄하되 유로 공간을 순차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유로 폐쇄 단계는 하나의 유로 공간만 폐쇄하되, 세정이 완료된 유로 공간과 이웃하지 않는 유로 공간을 폐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유로 폐쇄 단계는 복수의 유로 공간을 동시에 폐쇄하되, 폐쇄되는 유로 공간 사이에 개방되는 유로 공간이 위치하도록 유로 공간을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부분 세정 단계는 상기 집진 모듈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 단계와 세정을 실시하면서 분사된 세정수를 상기 집진 모듈의 하부에 배치된 집수조에 포집하는 세정수 포집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집진 방법은 출구와 인접하게 설치된 상기 유로 개폐부재를 먼저 개방하여 수분을 배출시킨 후에 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유로 개폐부재를 개방하여 가스를 유로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로 개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전체 집진 단계는 집진하는 동안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집진극에 먼지가 부착된 정도를 측정하는 센싱 단계와 센싱된 정보를 바탕으로 세정 여부를 판단하는 세정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집진 방법은 상기 집진 모듈에서 낙하하는 세정수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수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세정수 처리 단계는 집수조에 수용된 세정수에서 이물질일 제거하되, 무한 궤도 형태로 이어져 형성된 여과 벨트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여과 벨트에 이물질을 부착시켜서 상기 세정수에서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세정수 처리 단계는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여과 벨트에 퇴적된 먼지를 긁어서 상기 여과 벨트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여과 벨트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세정수 처리 단계는 여과 벨트의 일부는 상기 세정수에 잠기고 상기 여과 벨트의 다른 부분은 상기 세정수보다 더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롤러를 이용하여 여과 벨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집수조의 바닥에서 세워져 설치된 지지 막대와 지지 막대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탄성을 갖는 팁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수 처리 단계는 상기 팁부가 상기 여과 벨트와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여과 벨트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세정수 처리 단계에서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여과 벨트와 맞닿아 회전하면서 상기 여과 벨트에서 먼지를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세정수 처리 단계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봉과 상기 회전 봉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회전 봉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브러쉬를 포함하는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상기 여과 벨트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집수조에는 상기 스크래퍼가 위치하는 공간과 나머지 공간을 분리하는 차단벽이 설치되고, 상기 세정수 처리 단계에서 상기 여과 벨트는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지지 롤러에 의하여 지지되고, 방향 전환 롤러들에 의하여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스크래퍼가 위치하는 공간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기 차단벽에 의하여 분리된 공간 내에는 분리 용기가 설치되며, 상기 세정수 처리 단계는 상기 여과 벨트에서 이탈된 이물질을 상기 분리 용기에 수용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집진 장치 내부에 가스의 진행방향으로 이어진 복수의 격벽이 설치되고, 각 격벽이 형성하는 공간에 유로 개폐부재가 설치되어 일부 공간은 집진은 수행하고 다른 공간은 세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전극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극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전극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이 결합된 상태에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팅 빔과 집진극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연결부재와 관형 거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연결부재와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의 하부에 설치된 세정수를 처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 처리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 처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를 따른 집진 장치(1000)는 공기 또는 연소 가스 등에서 먼지 및 액적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집진 장치(1000)은 하우징(1200), 집진 모듈(100), 세정수 공급부(1300), 내부 격벽(1260), 지지 기둥(1510), 유로 개폐부재(1600), 제어부(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00)은 내부 공간을 갖는 상자로 이루어지며, 집진 모듈들(100)이 삽입되는 설치부(1210)와 설치부(1210)의 양단에 결합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유동 안내부(1230)와 하나의 유동 안내부(1230)에 결합된 입구 덕트(1240)와 다른 유동 안내부(1230)에 결합된 출구 덕트(1250)를 포함한다. 입구 덕트(1240)와 출구 덕트(1250)는 하우징(1200)의 측면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가스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1200)의 바닥에는 세정수의 저장을 위한 저수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격벽(1260)은 입구 덕트(1240)에서 출구 덕트(1250)까지 이어져 형성되며, 하우징(1200)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유로 공간(FS)으로 분리한다. 하우징(1200)의 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내부 격벽(126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격벽(1260)은 가스의 이동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유로 개폐부재(1600)는 입구 덕트(1240)와 출구 덕트(1250)에 각각 설치되며 내부 격벽(1260)에 의하여 분할된 유로 공간(FS) 각각에 유로 개폐부재(1600)가 설치된다. 유로 개폐부재(1600)는 하우징(12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로 개폐부재(1600)는 하우징(1200)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양쪽 측단에서 폭방향 중심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이루어진다.
유로 개폐부재(1600)가 가스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경우에는 가스의 흐름을 균일화할 수 있으며, 유로 개폐부재(1600)가 가스의 이동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된 경우에는 가스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설치부(1210)에는 복수의 집진 모듈(100)이 설치되는데, 집진 모듈(100)은 지지 기둥(1510)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열된다. 집진 모듈(100)은 높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 배열될 수 있으며, 하우징(1200)의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집진 모듈이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집진 모듈(100)은 타이 로드와 프레임들에 의하여 모듈 형태로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1200)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200)의 설치부(1210) 내에는 복수의 지지 기둥(1510)이 설치되며, 지지 기둥(1510)은 하우징(1200)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진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기둥(1510)에는 집진 모듈(100)을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팅 브라켓(1530)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 기둥(1510)의 상부에는 관형 거더(48)가 설치되며, 관형 거더(48)는 지지 기둥(1510)의 상단과 맞닿아 지지될 수 있다. 관형 거더(48)는 집진 모듈(100)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되, 아래에서 설명하는 절연 연결부재(40)를 지지한다.
세정수 공급부(1300)는 집진 모듈(100)의 양쪽 측단에서 이격 배치되어 측방향(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세정수를 분사한다. 세정수 공급부(1300)는 세정수관과 노즐을 포함하며, 설치부(1210)의 폭방향 양쪽 단부와 설치부(1210)의 폭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세정수 공급부(1300)는 집진 모듈(100)로 세정수를 분사하여 집진극(13)에 부착된 먼지를 분리시킨다. 세정수 공급부(1300)는 집진 모듈(10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만 작동한다. 세정수 공급부(1300)는 내부 격벽(1260)에 의하여 분할된 유로 공간(FS)에서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설치된다. 즉, 세정수 공급부(1300)는 복수의 유로 공간(FS) 중 어느 하나의 유로 공간(FS)에만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700)는 유로 개폐부재(1600)의 회전과 세정수 공급부(13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700)는 는 유로 개폐부재(1600)가 어느 하나의 유로 공간(FS)의 가스의 유입과 배출을 막도록 제어하고, 닫힌 유로 공간(FS)에만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세정수 공급부(13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0)는 하나의 유로 공간(FS)에 설치된 입구측 유로 개폐부재(1600)와 출구측 유로 개폐부재(1600)가 가스의 이동 방향에 수직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막힌 공간에만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세정수 공급부(1300)를 제어할 수 있다.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세정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700)는 해당 유로 공간(FS)의 세정수 공급을 중단하고, 유로 개폐부재(1600)를 다시 회전시켜서 가스가 이동하도록 개방한 후, 다른 유로 공간(FS)에 세정을 실시할 수 있다.
하우징(1200) 내에는 집진극(13)에 먼지가 부착된 정보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19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1700)는 센서(19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집진을 수행할 유로 공간(FS)을 결정할 수 있다. 센서(1900)는 초음파 센서, 이미지 센서, 광 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0)에는 세정 주기와 세정 시간이 미리 입력될 수 있으며, 제어부(1700)는 기 설정된 주기와 시간으로 세정을 실시할 수 있다. 세정 주기는 1시간~48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정 시간은 30초~300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0)는 제일 외측에 배치된 유로 공간(FS)을 세정하고, 이웃하는 유로 공간(FS)을 건너 뛰고, 세번째 유로 공간(FS)을 세정하고, 다섯번째 유로 공간(FS)을 세정한 후, 두번째 유로 공간(FS)을 세정하고, 네번째 유로 공간(FS)을 세정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0)는 세정된 유로 공간(FS)과 이웃하지 않는 유로 공간(FS)을 세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격벽(1260)과 유로 개폐부재(1600)가 설치되므로 연속 세정이 가능하면서도 일부 유로 공간(FS)만 세정하여 다른 유로 공간(FS)은 연속적으로 집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세정이 이루어지는 유로 공간(FS)은 밀폐된 상태이므로 세정으로 인한 미스트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전극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극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집진 모듈(100)은 방전극(12), 집진극(13), 제1 타이 로드(16), 제2 타이 로드(17), 제1 세팅 빔(14), 제2 세팅 빔(15), 절연 연결부재(40),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 하부 프레임(30), 및 관형 거더(48)를 포함한다.
방전극(12)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방전극(12)에는 복수의 개구(122)가 형성된다. 개구(122)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방전극(12)에는 다양한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방전핀(12a)이 형성될 수 있다. 방전핀(12a)은 방전극(12)의 외측단 및 개구를 따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방전극(12)은 높이가 폭보다 더 큰 사각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전극(12)은 측단에서 돌출된 복수의 보강 돌기(125)를 포함하며, 보강 돌기(125)는 방전극의 양쪽 측단 및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보강 돌기(125)에는 보강판(126)이 부착되는데, 보강판(126)은 대략 L자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판(126)은 제1 세팅 빔(14)에 결합되어 방전극(12)을 지지한다. 또한 방전극(12)에는 제1 타이 로드(16)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1 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집진극(13)은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집진극(13)에는 제2 타이 로드(17)가 관통하는 복수의 제2 홀(133)이 형성된다. 집진극(13)은 높이가 폭보다 더 큰 사각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집진극(13)은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어 집진극(13)을 지지하는 보강판(131)을 포함한다. 보강판(131)은 집진극(13)의 폭방향으로 길게 이어져 형성되며, 집진극(13)의 양쪽 측단으로 돌출되도록 집진극(13)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방전극(12)과 집진극(13)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복수의 집진극(13) 사이에 방전극(12)이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집진극(13)과 방전극(12)의 간격(G1)은 20mm~40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집진극(13)의 상부와 하부의 측단에는 회피 홈(135)이 형성되고, 제1 세팅 빔(14)은 회피 홈(135)이 형성된 부분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회피 홈(135)의 상단은 제1 보강판보다 더 위에 형성되어 집진극(13)이 방전극(12)과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전극(12)에는 고전압이 인가되는데, 이에 의하여 방전극(12)과 집진극(13)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고, 정전기력이 발생한다. 코로나 방전과 정전기력이 발생한 영역으로 가스 및 액적이 이동하는 중에 입자상 물질은 코로나 방전으로 생성된 이온(전자)와 결합하여 하전되고, 하전된 입자상 물질은 정전기력으로 집진극(13)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먼지 및 미세 액적은 집진극(13)에 부착되어 배출 가스에서 제거된다.
제1 타이 로드(16)는 복수의 집진극(13)에 끼움 결합 설치되는데, 방전극(12)에 형성된 제1 홀(123)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방전극(12)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제1 타이 로드(16)의 길이 방향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1 타이 로드(16)는 집진극 측면 지지대(6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극 측면 지지대(60)는 적층된 방전극(12)들의 제일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방전극(12)의 폭방향으로 이어져 설치되되 상부 지지판(61), 상부 지지판(61)에서 절곡되어 하부로 이어진 사이드 지지판(62), 사이드 지지판(62)에서 절곡되어 상부 지지판(61)과 평행하게 배치된 하부 지지판(63)을 포함한다. 사이드 지지판(62)에 제1 타이 로드(16)가 결합되며, 하부 지지판(63)은 상부 지지판(61)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다. 집진극 측면 지지대(60)는 절연 장치를 매개로 하우징(1200)의 내벽 또는 지지 기둥(15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타이 로드(17)는 복수의 방전극(12) 에 끼움 결합 설치되는데, 제2 타이 로드(17)는 집진극(13)에 형성된 제2 홀(133)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집진극(13)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제2 타이 로드(17)의 길이 방향 단부는 방전극 측면 지지대(8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타이 로드(16)와 제2 타이 로드(17)에는 방전극(12)과 집진극(13)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가 설치될 수 있다. 방전극(12)에 설치된 스페이서는 제2 홀(133)을 관통하되 길이방향 단부가 방전극(12)의 표면에 맞닿도록 설치되고, 집진극(13)에 설치된 스페이서는 제1 홀(123)을 관통하되 길이방향 단부가 집진극(13)의 표면에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타이 로드(16)와 제2 타이 로드(17)는 부도체로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이 결합된 상태에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세팅 빔(14)은 방전극(12)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제1 세팅 빔(14)에는 방전극(12)의 측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슬롯(148)이 형성된다. 제1 세팅 빔(14)에는 보강 돌기(125) 및 보강판(126)이 삽입 설치되는데, 보강 판은 제1 세팅 빔(14)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보강판(126)의의 하단은 제1 세팅 빔(14) 에 지지된다.
제1 세팅 빔(14)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바닥판(141)과 바닥판(141)에서 상부로 이어진 하부 측벽(142), 하부 측벽(142)에서 측방향으로 이어진 중간 지지부(143), 중간 지지부(143)에서 절곡되어 중간 지지부(143)와 마주하는 절곡판(144), 절곡판(144)에서 상부로 이어진 상부 측벽(145), 상부 측벽(145)에서 방전극(12)을 향하여 절곡된 상단 지지턱(146)을 포함한다. 슬롯(148)은 상단 지지턱(146)에 형성되며, 보강판(126)의 하단은 중간 지지부(143)에 거치된다. 절곡판(144)은 중간 지지부(143)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지며, 중간 지지부(143)는 절곡판(144)과 마주하는 부분 및 상단 지지턱(146)과 마주하는 부분을 갖는다.
상부 측벽(145)은 하부 측벽(142)과 평행하게 형성되되 하부 측벽(142)에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다. 한편, 보강 돌기(125)의 일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부 측벽(145)과 하부 측벽(142)은 각각 보강 돌기(125)의 측단과 맞닿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보강판(126)은 제1 세팅 빔(14)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방전극(12)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판(126)은 제1 세팅 빔(14)에 용이하게 용접될 수 있다. 방전극(12)의 두께는 최소화되어야 하며, 전기 전도성이 우수해야 하는데, 방전극(12)의 전도성이 높고 두께가 얇으면 용접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방전극(12)에 보강 판이 설치되므로 방전극(12)이 제1 세팅 빔(14)에 용이하게 용접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팅 빔과 집진극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세팅 빔(15)은 집진극(13)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제2 세팅 빔(15)에는 집진극(13)의 측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슬롯(157)이 형성된다. 슬롯(157)은 제2 세팅 빔(15)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보강 막대(131)는 집진극(13)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되는데, 제2 세팅 빔(15)에는 보강 막대(131)가 삽입 설치된다. 보강 막대(131)는 제2 세팅 빔(15)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보강 막대(131)의 하단은 제2 세팅 빔(15)에 지지된다.
제2 세팅 빔(15)은 하판(152), 하판(152)에서 절곡되어 상부로 이어진 제1 측판(153), 제1 측판(153)에서 절곡되어 하판(152)과 마주하게 배치된 상판(154), 상판(154)에서 절곡되어 제1 측판(153)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2 측판(156), 및 제2 측판(156)에서 절곡되어 하판(152)의 하부에 배치된 바닥 지지부(151)를 포함한다. 하판(152)과 제1 측판(153)에 보강 막대(131)가 삽입 설치되며, 보강 막대(131)의 하단은 바닥 지지부(151)의 상면과 맞닿아 거치된다. 보강 막대(131)는 제2 세팅 빔(15)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팅 빔(15)은 서포팅 브라켓(1530)을 매개로 지지 기둥(1510)에 거치될 수 있다. 서포팅 브라켓(1530)은 지지 기둥(1510)에 고정되며, 부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100)은 제1 타이 로드(16), 제2 타이 로드(17), 제1 세팅 빔(14), 제2 세팅 빔(15)에 의하여 방전극(12)과 집진극(13)의 간격이 유지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연결부재와 관형 거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연 연결부재와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부 프레임(30)은 방전극(12) 및 집진극(13)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절연 연결부재(40)에 의하여 지지된다. 하나의 집진 모듈(100)에는 2개의 하부 프레임(30)이 설치되며, 하부 프레임(30)은 2개의 연결 막대(36)에 의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30)은 대략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파이프(31)와 하부 파이프(31)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 프레임(32)과, 돌출 프레임(32)의 측부 및 상부로 돌출된 거치 프레임(35)을 포함한다. 하부 파이프(31)는 사각 단면을 갖는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 프레임(32)은 하부 파이프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판과 상판에서 하부로 굽어진 두개의 측판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치 프레임(35)은 제1 세팅 빔(14)과 결합되어 제1 세팅 빔(14)을 지지한다. 거치 프레임(35)은 바닥판(141)과 중간 지지부(143) 사이에 삽입되어 제1 세팅 빔(14)과 결합되며, 하부 프레임(30)은 2개의 거치 프레임(3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부 프레임(30)은 높은 전압으로 대전되며 제1 세팅 빔(14)과 방전극(12)도 하부 프레임(30)을 통해서 고압으로 대전된다. 여기서 방전극(12)의 대전 전압은 15,000V~25,000V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하부 프레임(30) 중 제일 상부에 배치된 하부 프레임(30)에는 절연 연결부재(40)가 설치되어 고압으로 대전된다. 하부에 배치된 하부 프레임(30)은 연결 막대(36)를 매개로 대전될 수 있다. 절연 연결부재(40)에는 방전극(12)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단자봉(42)과 절연을 위한 하부 절연 애자(41)가 설치된다. 절연 연결부재(40)의 하부에는 하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홀을 통해서 단자봉(42)은 하부로 돌출되어 하부 프레임(30)에 고정된다. 단자봉(42)에는 하부 프레임(30)을 지지하기 위한 앵커(미도시)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하부 프레임(30)과 제1 세팅 빔(14)을 통해서 방전극(12)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하부 프레임(30)은 절연 연결부재(40)에 매달린 구조로 설치된다.
절연 연결부재(40)는 내부 공간을 갖는 관형 거더(48)에 삽입 설치되며, 관형 거더(48)는 하부 프레임(30)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관형 거더(48)는 지지 기둥(1510)의 상단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관형 거더(48)에는 퍼지 공기 공급관(49)이 설치될 수 있다. 관형 거더(48)의 하부에는 퍼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홀(44)이 형성될 수 있다.
관형 거더(48)의 내부에는 하부 절연 애자(41)를 지지하는 거치대(46)가 설치되며 하부 절연 애자(41)는 거치대(46) 상에 거치된다. 절연 연결부재(40)에는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이 연결되며, 단자봉(42)은 하부 절연 애자(41)를 매개로 관형 거더(48)에 고정 설치되어 절연된다. 단자봉(42)은 하부 절연 애자(41)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단자봉(42)의 상단에는 전력 공급 라인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봉(42)은 고압으로 대전되고, 관형 거더(48)는 접지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는 하우징(1200)의 내벽에 고정되며, 케이싱(73)과 케이싱(73) 내에 설치된 절연 애자(75)와 절연 애자(75)에 결합 설치된 가압 막대(71)를 포함한다. 집진 모듈의 하나의 측면에는 3개의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가 설치되며, 2개의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는 상부에 배치되고, 하나의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73)은 내부 공간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케이싱(73)의 일측에는 하우징(1200)에 고정되기 위한 브라켓(76)이 고정 설치된다. 또한 케이싱(73)에는 공기 유입구(731)가 설치되고 공기 유입구(731)에는 퍼지 공기 공급관(79)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73) 내부로 유입된 퍼지 공기는 하부로 배출되면서 내부가스의 응축과 수분 유입에의한 절연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절연 애자(75)는 케이싱(73)의 상부에 고정된 상부 애자(75a), 케이싱(73)의 하부에 고정된 하부 애자(75b), 상부 애자(75a)와 하부 애자(75b)를 연결하는 절연관(75c)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막대(71)는 절연 애자(75)에 고정 설치되며,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의 하부로 돌출된다.
가압 막대(71)에는 방전극 측면 지지대(80)와 결합되는데,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는 방전극 측면 지지대(80)를 중앙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방전극 측면 지지대(80)는 적층된 방전극(12)의 제일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방전극(12)의 폭방향으로 이어져 설치된다. 집진 모듈(100)의 측단에는 제2 타이 로드(17)와 결합된 복수의 방전극 측면 지지대(80)가 설치되며,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는 이들 중 2개의 방전극 측면 지지대(80)와 결합될 수 있다.
방전극 측면 지지대(80)는 상부 지지판(81), 상부 지지판(81)에서 절곡되어 하부로 이어진 사이드 지지판(82), 사이드 지지판(82)에서 절곡되어 상부 지지판(81)과 평행하게 배치된 하부 지지판(83)을 포함한다. 사이드 지지판(82)에 제2 타이 로드(17)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전극 측면 지지대(80)가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에 의하여 가압 및 절연된 상태로 설치되면 집진 모듈(100)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 격벽(1260)에 의하여 하우징(1200) 내부의 공간이 복수로 분할되므로 수세와 동시에 집진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를 이용한 집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방법은 전체 집진 단계(S101), 부분 유로 폐쇄 단계(S102), 부분 세정 단계(S103), 및 유로 개방 단계(S10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체 집진 단계(S101)는 유로 개폐부재(1600)가 유로 공간(FS)을 모두 개방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유로 공간(FS)으로 공기, 연소 가스 등의 기체를 이동시키면서, 방전극(12)에는 기 설정된 전압을 인가하고 집진극(13)은 접지하여 집진극(13)에 미세 먼지를 집진한다.
하우징(1200) 측면에는 입구 덕트(1240)와 출구 덕트(1250)가 형성되고, 유로 개폐부재(1600)는 입구 덕트(1240)와 출구 덕트(1250) 내부에 각각 설치되고, 전체 집진 단계(S101)에서 기체는 지면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집진 단계(S101)는 절연 연결부재(40)에 매달리도록 설치된 하부 프레임(30)을 통해서 방전극(12)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전체 집진 단계(S101)는 집진하는 동안 센서(1900)를 이용하여 집진극(13)에 먼지가 부착된 정도를 측정하는 센싱 단계와 센싱된 정보를 바탕으로 세정 여부를 판단하는 세정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정 판단 단계에서 세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부분 유로 폐쇄 단계(S102)로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은 필요한 부분에만 진행되며 나머지 부분은 집진 연속적으로 집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부분 세정은 미리 입력된 주기와 시간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세정 주기는 1시간~48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정 시간은 30초~300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분 유로 폐쇄 단계(S102)는 유로 개폐부재(1600)를 이용하여 내부 격벽(1260)에 의하여 분할된 유로 공간(FS) 중 일부를 폐쇄한다. 부분 유로 폐쇄 단계(S102)는 어느 하나의 유로 공간(FS)의 입구측에 설치된 유로 개폐부재(1600)와 출구측에 설치된 유로 개폐부재(1600)를 회전시켜서 유로 공간(FS)을 폐쇄한다. 또한 부분 유로 폐쇄 단계(S102)는 폐쇄된 유로 공간(FS)에 위치하는 집진극(13)에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한다. 부분 유로 폐쇄 단계(S102)는 하나의 유로 공간(FS)만 폐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일측 측단에서 타측 측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유로 공간(FS)을 순차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부분 유로 폐쇄 단계(S102)는 복수의 유로 공간(FS)을 동시에 폐쇄할 수 있다. 복수의 유로 공간(FS)을 폐쇄하는 경우에는 개방되는 유로 공간(FS)과 폐쇄되는 유로 공간(FS)이 교대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부분 유로 폐쇄 단계(S102)는 폐쇄되는 유로 공간(FS) 사이에 개방되는 유로 공간(FS)이 위치하도록 유로 공간(FS)을 폐쇄하여, 가스의 유동을 최소한으로 방해하면서 개방과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부분 유로 폐쇄 단계(S102)는 하나의 유로 공간(FS)만 폐쇄하되 제일 외측에 배치된 유로 공간(FS)의 세정이 이루어진 후에, 이웃하는 유로 공간(FS)을 건너 뛰고, 세번째 유로 공간(FS)을 세정하고, 다섯번째 유로 공간(FS)을 세정하며, 이후에 두번째 유로 공간(FS)을 세정하고, 네번째 유로 공간(FS)을 세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부분 유로 폐쇄 단계(S102)는 세정이 완료된 유로 공간(FS)과 이웃하지 않는 유로 공간(FS)을 폐쇄할 수 있다.
부분 세정 단계(S103)는 개방된 유로 공간(FS)의 방전극(12)에는 전압을 인가하여 집진을 수행하고, 폐쇄된 유로 공간(FS)에는 집진극(13)에 세정수를 공급하여 세정한다. 부분 세정 단계(S103)는 집진 모듈(100)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 단계와 세정을 실시하면서 분사된 세정수를 집진 모듈(100)의 하부에 배치된 집수조에 포집하는 세정수 포집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수 분사 단계는 집진 모듈(100)의 양쪽 측단에 설치된 노즐을 이용하여 세정수를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분 세정이 이루어지므로 집진의 중단 없이 일 부분만 세정하여 집진극(13)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부분 세정 단계(S103)에서 세정수는 하우징(1200)의 하부에 설치된 집수조로 이동할 수 있다.
유로 개방 단계(S104)는 출구와 인접하게 설치된 유로 개폐부재(1600)를 먼저 개방하여 수분을 배출시킨 후에 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된 유로 개폐부재(1600)를 개방하여 가스를 유로 공간(FS)으로 유입시킨다. 이에 따라 전압이 인가되기 전에 가스를 유로 공간(FS)에서 미세 액적이 제거되어 집진극(13)과 방전극(12)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유로 개방 단계(S104)가 완료되면 세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다른 유로 공간(FS)의 세정을 위해서 부분 유로 폐쇄 단계(S102), 부분 세정 단계(S103), 유로 개방 단계(S104)를 반복하며, 유로 공간들(FS)의 세정이 완료되면 단계를 종료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세정수를 처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 처리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는 세정수 처리부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세정수 처리부(2400)는 하우징(2200)의 바닥에 배치되어 집진 모듈에서 낙하하는 세정수를 수용하고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를 고형화 한다. 세정수 처리부(2400)는 세정수를 저장하는 집수조(2410)와 집수조(2410)의 상부에 설치된 여과 벨트(2420)와 여과 벨트(2420)를 이동시키는 롤러(2430)와 여과 벨트(2420)에 부착된 먼지를 분리시키는 스크래퍼(2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정수는 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세성수로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사용되면 세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집수조(2410)는 하우징(2200)의 바닥 위에 배치되며 세정수 공급부(2300)를 통해서 공급된 세정수를 하부에서 저장한다. 집수조(2410)에는 세정수의 보충을 위한 세정수 보충라인(2460)이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세정수 보충라인(2460)에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여과 벨트(2420)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과 벨트(2420)가 메쉬로 이루어지면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는 여과 벨트(2420)에 부착되고, 세정수는 여과 벨트(2420)를 통과하여 집수조로 이동할 수 있다.
여과 벨트(2420)는 길이 방향 단부가 연결되어 무한 궤도 형태로 이어져 형성된다. 여과 벨트(2420)의 하부는 세정수에 잠기며 여과 벨트(2420)의 상부는 세정수 보다 더 상부에 위치되어 세정수 밖으로 노출된다. 즉, 종단면이 납작한 고리 형태의 여과 벨트(2420)에서 높이방향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하부는 세정수에 잠기고, 상부는 세정수에 밖에서 위치할 수 있다. 여과 벨트(2420)는 편평한 상면과 편평한 하면 및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만곡된 측면을 갖는데, 편평한 하면은 세정수 속에 위치하고, 편평한 상면은 세정수 밖에 위치한다.
하부에 배치된 여과 벨트(2420)는 세정수 내부를 이동하면서 먼지를 흡착하여 걸러내고, 상부에 배치된 여과 벨트(2420)는 낙하하는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를 걸러 낸다.
2개의 롤러(2430)는 여과 벨트(2420)의 길이 방향 양쪽 단부에서 여과 벨트(2420)를 지지한다. 롤러(2430)에는 롤러(2430)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연결되어 여과 벨트(2420)를 이동시킨다. 롤러(2430)는 간헐적으로 작동되되 세정수가 공급되는 동안만 작동될 수 있다.
스크래퍼(2450)는 여과 벨트(2420)의 하부와 맞닿아 여과 벨트(2420)에 퇴적된 먼지를 긁어서 여과 벨트(2420)에서 분리시킨다. 스크래퍼(2450)는 지지 막대(2451)와 지지 막대(2451)의 상부에 고정된 팁부(245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막대(2451)는 집수조(2410)에 고정되되 집수조의 바닥에서 세워져 설치된다. 팁부(2452)는 지지 막대(2451)에 대하여 경사지게 상부로 돌출되며,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크래퍼(2450)에 의하여 분리된 먼지 덩어리는 고형화되어 집수조(2410)의 바닥에 축적되며 집수조(2410)의 상부에는 비교적 깨끗한 세정수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의 세정수는 세정수 공급부(2300)로 공급되어 추가적인 세정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를 이용한 집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방법은 전체 집진 단계(S201), 부분 유로 폐쇄 단계(S202), 부분 세정 단계(S203), 유로 개방 단계(S204), 및 세정수 처리 단계(S20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방법은 부분 세정 단계(S203)와 세정수 처리 단계(S205)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방법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부분 세정 단계(S203)는 개방된 유로 공간의 방전극에는 전압을 인가하여 집진을 수행하고, 폐쇄된 유로 공간에는 집진극에 세정수를 공급하여 세정한다. 부분 세정 단계(S203)는 집진 모듈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 단계와 세정을 실시하면서 분사된 세정수를 집진 모듈의 하부에 배치된 집수조에 포집하는 세정수 포집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수 처리 단계(S205)는 부분 세정 단계(S203)와 동시에 실시되거나 부분 세정 단계(S203) 이후에 실시되며, 집진 모듈에서 낙하하는 세정수에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세정수 처리 단계(S205)는 집수조(2410)에 저장된 세정수에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세정수 처리 단계(S205)는 무한 궤도 형태로 이어져 형성된 여과 벨트(2420)를 이동시키면서 여과 벨트(2420)에 이물질을 흡착하여 걸러낸다. 또한, 세정수 처리 단계(S205)는 스크래퍼(2450)를 이용하여 메쉬 형태의 여과 벨트(2420)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서 여과 벨트(2420)에서 분리시키고 고형화된 이물질을 집수조(2410)의 바닥에 축적한다.
세정수 처리 단계(S205)는 여과 벨트(2420)의 일부는 세정수에 잠기고 여과 벨트(2420)의 다른 부분은 세정수보다 더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롤러(2430)를 이용하여 세정수를 이동시키되, 상부에 위치하는 여과 벨트(2420)에 먼지를 포집하고 하부로 이동된 여과 벨트(2420)에서 먼지를 분리한다. 또한, 세정수 처리 단계(S205)는 탄성을 갖는 팁부(2452)가 여과 벨트(2420)와 접촉하도록 하여 여과 벨트(2420)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집수조(2410)에 저장된 세정수가 배출되지 않고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세정수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집수조(2410) 바닥의 먼지 덩어리를 제거하고, 세정수를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먼지 덩어리가 집수조(2410) 바닥에 가라앉아 세정수가 정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정수의 사용 기간이 증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세정수 처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는 세정수 처리부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타워의 하부에는 세정수 처리부(3400)가 배치되는데, 세정수 처리부(3400)는 집진 모듈(300)에서 낙하하는 세정수를 수용하고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를 고형화 한다. 세정수 처리부(3400)는 세정수를 저장하는 집수조(3410)와 집수조(3410)의 상부에 설치된 여과 벨트(3420)와 여과 벨트(3420)를 이동시키는 롤러와 여과 벨트(3420)에 부착된 먼지를 분리시키는 스크래퍼(3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정수는 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세성수로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사용되면 세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집수조(3410)는 타워의 바닥 위에 배치되며 세정수 공급부(3300)를 통해서 공급된 세정수를 하부에서 저장한다. 집수조(3410)에는 세정수의 보충을 위한 세정수 보충라인이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세정수 보충라인에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여과 벨트(3420)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금속 또는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과 벨트(3420)가 메쉬로 이루어지면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는 여과 벨트(3420)에 부착되고, 세정수는 여과 벨트(3420)를 통과하여 집수조(3410)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여과 벨트(3420)는 날줄과 씨줄이 얽힌 그물 구조로서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여과 벨트(3420)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금속 또는 합성수지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과 벨트(3420)가 메쉬로 이루어지면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는 여과 벨트(3420)에 흡착되어 걸러지고, 세정수는 여과 벨트(3420)를 통과하여 집수조(3410)로 이동할 수 있다.
여과 벨트(3420)는 길이 방향 단부가 연결되어 무한 궤도 형태로 이어져 형성된다. 여과 벨트(3420)의 하부는 세정수에 잠기며 여과 벨트(3420)의 상부는 세정수 보다 더 상부에 위치되어 세정수 밖으로 노출된다. 하부에 배치된 여과 벨트(3420)는 세정수 내부를 이용하면서 먼지를 흡착하여 걸러내고, 상부에 배치된 여과 벨트(3420)는 낙하하는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를 흡착하여 걸러낸다. 노출된 부분이 먼지를 걸러내어 스크래퍼(345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여과 벨트(3420)에는 여과 벨트(3420)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복수의 롤러들이 설치되는데, 롤러는 여과 벨트의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지지 롤러(3431, 3432)와 지지 롤러들(3431, 3432) 사이에 배치되되 하부에 배치된 여과 벨트(3420)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지지하는 제1 방향 전환 롤러(3433)와 제2 방향 전환 롤러(3434)를 포함한다. 지지 롤러(3431, 3432)는 여과 벨트(3420)에서 내측을 향하는 면과 맞닿고, 제1 방향 전환 롤러(3433)는 여과 벨트(3420)의 외측에 맞닿으며, 제2 방향 전환 롤러(3434)는 여과 벨트(3420)의 과 외측을 향하는 면에 맞닿는다.
제1 방향 전환 롤러(3433)는 여과 벨트(3420)의 하단이 상부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며, 이에 따라 여과 벨트(3420)의 하단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측 지지 롤러(3432)에서 제1 방향 전환 롤러(3433)로 갈수록 상부로 여과 벨트(3420) 사이의 간격은 감소한다. 제2 방향 전환 롤러(3434)는 제1 방향 전환 롤러(3433)와 지지 롤러(3431) 사이에 배치되며 여과 벨트(3420)의 하단이 상부로 경사지도록 지지한다.
제2 방향 전환 롤러(3434)에 의하여 여과 벨트(3420)의 하단은 차단벽(3415)의 상단보다 더 아래에 위치하여 여과 벨트(3420)는 스크래퍼(3450)가 위치하는 공간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즉, 제1 방향 전환 롤러(3433)는 여과 벨트(3420)가 차단벽(3415)의 상단보다 더 위로 이동하도록 지지하여, 여과 벨트(3420)와 차단벽(3415)의 간섭을 방지하고, 제2 방향 전환 롤러(3434)는 여과 벨트(3420)의 하단이 차닥벽(3415)보다 더 아래로 위치하도록 하여 먼지 덩어리가 차단벽(3415)을 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스크래퍼(3450)는 제2 방향 전환 롤러(3434)와 지지 롤러(3431)와 사이에서 여과 벨트(3420)와 맞닿는다.
집수조(3410)에는 차단벽(3415)이 설치되는데, 차단벽(3415)은 스크래퍼(3450)가 위치하는 공간과 나머지 공간을 분리한다. 차단벽(3415)은 제1 방향 전환 롤러(3433)와 제2 방향 전환 롤러(3434)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차단벽(3415)은 스크래퍼(345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 전환 롤러(3433)는 차단벽(3415)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스크래퍼(3450)는 집수조 내에 설치되며, 여과 벨트(3420)의 하부와 맞닿아 여과 벨트(3420)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서 여과 벨트(3420)에서 분리시킨다. 스크래퍼(3450)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봉(3451)과 회전 봉(3451)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브러쉬(3452)를 포함한다. 브러쉬(3452)는 회전 봉(3451)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배치되며, 회전 봉(3451)에는 복수의 브러쉬(3452)가 회전 봉(3451)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브러쉬(3452)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과 벨트(3420)와 맞닿아 먼지를 긁어 낸다. 회전 봉(3451)에는 회전 봉(3451)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스크래퍼(3450)에 의하여 분리된 먼지 덩어리는 고형화되어 집수조(3410)의 바닥에 축적되며 집수조(3410)의 상부에는 비교적 깨끗한 세정수가 위치하게 된다. 먼지 덩어리는 차단벽(3415)에 의하여 분할된 공간 내에 위치하므로 나머지 부분의 세정수는 정화될 수 있다.
한편, 스크래퍼(3450)의 하부에는 먼지 덩어리는 수용하는 분리 용기(3460)가 설치될 수 있다. 분리 용기(3460)는 차단벽(3415)에 의하여 분리된 공간 내에 위치하며, 삼각형의 종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 용기(3460) 내부의 먼지 덩어리가 쉽게 분리 용기에서 이탈하지 못하며,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분리 용기를 교체하는 것으로 세정수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를 이용한 집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방법은 전체 집진 단계(S301), 부분 유로 폐쇄 단계(S302), 부분 세정 단계(S303), 유로 개방 단계유로 개방 단계(S304), 및 세정수 처리 단계(S30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방법은 세정수 처리 단계(S305)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방법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세정수 처리 단계(S305)는 부분 세정 단계(S203)와 동시에 실시되거나 부분 세정 단계(S304) 이후에 실시되며, 집진 모듈에서 낙하하는 세정수에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세정수 처리 단계(S305)는 집진 모듈의 하부에 배치된 집수조(3410)에 세정수를 수용하고, 무한 궤도 형태로 이어져 형성된 여과 벨트(3420)를 이동시키면서 여과 벨트(3420)에 이물질을 부착시킨다. 또한, 세정수 처리 단계(S305)는 스크래퍼(3450)를 이용하여 메쉬 형태의 여과 벨트(3420)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서 여과 벨트(3420)에서 분리시키고 고형화된 이물질을 집수조(3410)의 바닥에 축적한다.
세정수 처리 단계(S305)는 여과 벨트(3420)의 일부는 세정수에 잠기고 여과 벨트(3420)의 다른 부분은 세정수보다 더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롤러를 이용하여 세정수를 이동시키되, 상부에 위치하는 여과 벨트(3420)에 먼지를 포집하고 하부로 이동된 여과 벨트(3420)에서 먼지를 분리한다. 또한, 세정수 처리 단계(S305)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봉(3451)과 회전 봉(345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되 회전 봉(3451)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브러쉬(3452)를 포함하는 스크래퍼(3450)를 이용하여 여과 벨트(3420)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킨다. 세정수 처리 단계(S305)에서 스크래퍼(3450)는 여과 벨트(3420)와 맞닿아 회전하면서 여과 벨트(3420)에서 먼지를 분리시킬 수 있다.
집수조(3410)에는 스크래퍼(3450)가 위치하는 공간과 나머지 공간을 분리하는 차단벽(3415)이 설치되고, 차단벽(3415)에 의하여 분리된 공간 내에는 분리 용기(34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정수 처리 단계에서 여과 벨트()는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지지 롤러들(3431, 3432)에 의하여 지지되고, 방향 전환 롤러들(3433, 3434)에 의하여 하부로 돌출되어 스크래퍼(3450)가 위치하는 공간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수 처리 단계(S305)에서 여과 벨트(3420)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분리 용기(3460)에 수용될 수 있다.
본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집수조(3410)에 저장된 세정수가 배출되지 않고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세정수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집수조(3410) 바닥의 먼지 덩어리를 제거하고, 세정수를 교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0: 집진 장치
1200, 2200: 하우징
1210: 설치부
1230: 유동 안내부
1240: 입구 덕트
1250: 출구 덕트
1260: 내부 격벽
1300: 세정수 공급부
1510: 지지 기둥
1530: 서포팅 브라켓
1600: 유로 개폐부재
1700: 제어부
100: 집진 모듈
12: 방전극
125: 보강 돌기
126: 보강판
13: 집진극
131: 보강 막대
16: 제1 타이 로드
17: 제2 타이 로드
14: 제1 세팅 빔
141: 바닥판
142: 하부 측벽
143: 중간 지지부
144: 절곡판
146: 상단 지지턱
148, 157: 슬롯
15: 제2 세팅 빔
151: 바닥 지지부
152: 하판
153: 제1 측판
154: 상판
156: 제2 측판
30: 하부 프레임
31: 하부 파이프
32: 돌출 프레임
35: 거치 프레임
40: 절연 연결부재
41: 하부 절연 애자
42: 단자봉
46: 거치대
48: 관형 거더
60: 집진극 측면 지지대
61, 81: 상부 지지판
62, 82: 사이드 지지판
63, 83: 하부 지지판
70: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
71: 가압 막대
73: 케이싱
75: 절연 애자
76: 브라켓
80: 방전극 측면 지지대
2400, 3400: 세정수 처리부
2410, 3410: 집수조
2420, 3420: 여과 벨트
2430: 롤러
2450, 3450: 스크래퍼
3431, 3432: 지지 롤러
3433: 제1 방향 전환 롤러
3434: 제2 방향 전환 롤러
3415: 차단벽
3451: 회전 봉
3452: 브러쉬
3460: 분리 용기

Claims (20)

  1. 집진극과 방전극을 갖는 집진 모듈과 내부에 격벽이 형성된 하우징과, 입구측 유로 개폐부재와 출구측 유로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를 이용한 집진 방법에 있어서,
    기체를 이동시키면서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먼지를 집진하는 전체 집진 단계;
    상기 유로 개폐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격벽에 의하여 분할된 유로 공간 중 일부를 폐쇄하는 유로 폐쇄 단계; 및
    개방된 상기 유로 공간의 방전극에는 전압을 인가하여 집진을 수행하고, 폐쇄된 상기 유로 공간에는 집진극에 세정수를 공급하여 세정하는 부분 세정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 모듈에는 상기 방전극들에 끼움 결합된 제2 타이 로드가 설치되고, 제2 타이 로드들의 길이 방향 단부에는 방전극 측면 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전체 집진 단계에서는 절연 애자에서 돌출된 가압 막대가 상기 방전극 측면 지지대를 중앙으로 가압하도록 지지하면서 상기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먼지를 집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집진 단계는 세정이 완료된 유로 공간을 개방하고 개방된 유로 공간으로 기체를 이동시키면서 집진을 수행하는 집진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측면에는 입구 덕트와 출구 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 개폐부재는 상기 입구 덕트와 출구 덕트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체 집진 단계에서 상기 기체는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모듈은 관형 거더와 상기 관형 거더 내에 거치되는 하부 절연 애자와 상기 하부 절연 애자를 관통하는 단자봉을 갖는 절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체 집진 단계는 상기 절연 연결부재에 매달리도록 설치된 하부 프레임을 통해서 상기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폐쇄 단계는 하나의 유로 공간만 폐쇄하되 유로 공간을 순차적으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6. 집진극과 방전극을 갖는 집진 모듈과 내부에 격벽이 형성된 하우징과, 입구측 유로 개폐부재와 출구측 유로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를 이용한 집진 방법에 있어서,
    기체를 이동시키면서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먼지를 집진하는 전체 집진 단계;
    상기 유로 개폐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격벽에 의하여 분할된 유로 공간 중 일부를 폐쇄하는 유로 폐쇄 단계; 및
    개방된 상기 유로 공간의 방전극에는 전압을 인가하여 집진을 수행하고, 폐쇄된 상기 유로 공간에는 집진극에 세정수를 공급하여 세정하는 부분 세정 단계;
    를 포함하며,
    출구와 인접하게 설치된 상기 유로 개폐부재를 먼저 개방하여 수분을 배출시킨 후에 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유로 개폐부재를 개방하여 가스를 유로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로 개방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 폐쇄 단계는 하나의 유로 공간만 폐쇄하되, 세정이 완료된 유로 공간과 이웃하지 않는 유로 공간을 폐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폐쇄 단계는 복수의 유로 공간을 동시에 폐쇄하되, 폐쇄되는 유로 공간 사이에 개방되는 유로 공간이 위치하도록 유로 공간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세정 단계는 상기 집진 모듈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 단계와 세정을 실시하면서 분사된 세정수를 상기 집진 모듈의 하부에 배치된 집수조에 포집하는 세정수 포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출구와 인접하게 설치된 상기 유로 개폐부재를 먼저 개방하여 수분을 배출시킨 후에 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유로 개폐부재를 개방하여 가스를 유로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로 개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집진 단계는 집진하는 동안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집진극에 먼지가 부착된 정도를 측정하는 센싱 단계와 센싱된 정보를 바탕으로 세정 여부를 판단하는 세정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모듈에서 낙하하는 세정수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수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처리 단계는 집수조에 수용된 세정수에서 이물질일 제거하되, 무한 궤도 형태로 이어져 형성된 여과 벨트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여과 벨트에 이물질을 부착시켜서 상기 세정수에서 이물질을 걸러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처리 단계는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여과 벨트에 퇴적된 먼지를 긁어서 상기 여과 벨트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벨트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처리 단계는 여과 벨트의 일부는 상기 세정수에 잠기고 상기 여과 벨트의 다른 부분은 상기 세정수보다 더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롤러를 이용하여 여과 벨트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집수조의 바닥에서 세워져 설치된 지지 막대와 지지 막대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탄성을 갖는 팁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수 처리 단계는 상기 팁부가 상기 여과 벨트와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여과 벨트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처리 단계에서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여과 벨트와 맞닿아 회전하면서 상기 여과 벨트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처리 단계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봉과 상기 회전 봉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회전 봉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브러쉬를 포함하는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상기 여과 벨트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에는 상기 스크래퍼가 위치하는 공간과 나머지 공간을 분리하는 차단벽이 설치되고,
    상기 세정수 처리 단계에서 상기 여과 벨트는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지지 롤러에 의하여 지지되고, 방향 전환 롤러들에 의하여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스크래퍼가 위치하는 공간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에 의하여 분리된 공간 내에는 분리 용기가 설치되며,
    상기 세정수 처리 단계는 상기 여과 벨트에서 이탈된 이물질을 상기 분리 용기에 수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방법.
KR1020190079012A 2019-05-22 2019-07-01 집진 방법 KR102213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012A KR102213753B1 (ko) 2019-07-01 2019-07-01 집진 방법
CN202010312110.7A CN111974547B (zh) 2019-05-22 2020-04-20 水平型集尘装置及利用该水平型集尘装置的集尘方法
US16/856,286 US11577256B2 (en) 2019-05-22 2020-04-23 Horizontal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012A KR102213753B1 (ko) 2019-07-01 2019-07-01 집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364A KR20210003364A (ko) 2021-01-12
KR102213753B1 true KR102213753B1 (ko) 2021-02-09

Family

ID=7413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012A KR102213753B1 (ko) 2019-05-22 2019-07-01 집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9170B (zh) * 2021-08-17 2023-12-26 烟台精一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电除尘器及其相邻电场互冗供电系统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637A (ja) * 1998-10-01 2000-04-18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電気集塵装置と排煙処理システム
JP2018008221A (ja) * 2016-07-13 2018-01-18 四国工業株式会社 切削研削液のスラッジ分離装置とスラッジ分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6899B2 (ja) * 1997-03-06 2003-07-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気集塵装置及びその逆洗掃気方法
KR20100091734A (ko) * 2009-02-11 2010-08-19 이은관 공기정화기
KR101949984B1 (ko) 2017-06-19 2019-04-29 주식회사 경인기계 백연 저감 냉각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637A (ja) * 1998-10-01 2000-04-18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電気集塵装置と排煙処理システム
JP2018008221A (ja) * 2016-07-13 2018-01-18 四国工業株式会社 切削研削液のスラッジ分離装置とスラッジ分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364A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7256B2 (en) Horizontal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209791B1 (ko) 수평형 집진 장치
US11524305B2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pparatus
CN104994960B (zh) 集尘器、集尘系统,及集尘方法
KR102209792B1 (ko) 집진탑
KR101867373B1 (ko)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
JP4894739B2 (ja) 湿式電気集塵機
KR102095316B1 (ko)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
US200700094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culate removal and undesirable vapor scrubbing from a moving gas stream
KR102213753B1 (ko) 집진 방법
KR101971917B1 (ko) 정전분무 집진장치
KR101233390B1 (ko) 전기집진 장치 및 전기집진 방법
KR102225473B1 (ko) 집진 장치
KR20190055964A (ko) 액체분사부를 포함하는 정전분무방식을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TWI577447B (zh) Electrical dust collection device of the transformation method, electrical dust collection device
KR101914775B1 (ko) 합성가스 정제를 위한 습식전기집진장치 및 습식전기집진방법
JP5833573B2 (ja) 対象物、特に車体を、コーティング、特に塗装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H11207207A (ja) 電気集塵機のコレクタ部
KR102230219B1 (ko) 공조 시스템용 집진 장치
KR102209793B1 (ko) 승강장 집진 장치
JP2004167453A (ja) 除塵装置
KR20130024589A (ko) 전기집진 장치 및 그 방법
KR102244644B1 (ko) 공조 장치
KR102248274B1 (ko) 공조 장치
JP2007301457A (ja) 静電集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