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274B1 - 공조 장치 - Google Patents
공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8274B1 KR102248274B1 KR1020190078766A KR20190078766A KR102248274B1 KR 102248274 B1 KR102248274 B1 KR 102248274B1 KR 1020190078766 A KR1020190078766 A KR 1020190078766A KR 20190078766 A KR20190078766 A KR 20190078766A KR 102248274 B1 KR102248274 B1 KR 1022482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collecting
- washing water
- collecting module
- support
- du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8—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flat electrodes arranged with their flat surfaces parallel to the gas strea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the additional use of mechanical effects, e.g. gravity
- B03C3/155—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8—Cleaning the electrodes by wash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6—Lead-in insulators; Lead-through insulators
- H01B17/265—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는,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덕트,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된 프리필터, 상기 프리 필터의 후방에 배치되며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방전극과 상기 방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접지되는 집진극을 포함하는 집진 모듈, 상기 집진 모듈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공급부, 및 상기 덕트에 고정되어 상기 집진 모듈을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집진 모듈에 가압력을 적용한 상태에서 상기 덕트 내부에 고정되는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prestress locking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는,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덕트,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된 프리필터, 상기 프리 필터의 후방에 배치되며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방전극과 상기 방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접지되는 집진극을 포함하는 집진 모듈, 상기 집진 모듈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공급부, 및 상기 덕트에 고정되어 상기 집진 모듈을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집진 모듈에 가압력을 적용한 상태에서 상기 덕트 내부에 고정되는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prestress locking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를 정화하는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공간에 쾌적한 실내공기를 조성하고, 사람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공기여과 장치의 설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들어, 건물이나 지하시설 등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에 냉난방 기능뿐만 아니라 공기정화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거의 필수적인 것으로 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인간의 주거공간 및 사무공간에서의 오염 분진들은 그 입경이 서브미크론 단위에서 수십미크론 단위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게 분포되고 있으며, 화학적 또는 미생물학적으로도 매우 다른 특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오염 분진들의 화학적 또는 미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상기 오염 분진들이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도 달라진다.
이를 위해서 건물 전체의 온도 조절 및 공기 정화를 위해서 공조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공조 장치는 냉풍 또는 온풍을 생성하고, 덕트를 이용하여 실내로 공급한다.
공조 장치는 공기의 정화를 위하여 굵은 입자를 포집하는 프리 필터와 미세 입자를 포집하는 활성탄 필터와 헤파 필터를 구비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미세 필터를 적용하면 압력 손실이 커져서 공기를 송풍하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는,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덕트,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된 프리필터, 상기 프리 필터의 후방에 배치되며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방전극과 상기 방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접지되는 집진극을 포함하는 집진 모듈, 상기 집진 모듈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공급부, 및 상기 덕트에 고정되어 상기 집진 모듈을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집진 모듈에 가압력을 적용한 상태에서 상기 덕트 내부에 고정되는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prestress locking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된 절연 애자와 상기 절연 애자에 결합 설치되며 하부로 돌출된 가압 막대와 상기 가압 막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집진 모듈을 가압하는 가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방전극에 고정되되 상기 집진극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1 타이 로드와 상기 집진극에 고정되되 상기 방전극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2 타이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타이 로드들 중 일부가 고정되는 복수의 상부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는 상기 상부 지지대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는 상기 집진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집진 모듈에서 낙하하는 세정수를 수용하는 세정수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정수 처리부는, 상기 세정수를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수용되며 무한 궤도 형태로 이어져 형성된 흡착 벨트와, 상기 흡착 벨트와 연결되어 상기 흡착 벨트를 이동시키는 롤러와, 상기 흡착 벨트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서 상기 흡착 벨트에서 이탈시키는 스크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흡착 벨트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흡착 벨트의 일부는 상기 세정수에 잠기고 상기 흡착 벨트의 다른 부분은 상기 세정수보다 더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수조의 바닥에서 세워져 설치된 지지 유닛과 상기 지지 유닛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탄성을 갖는 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크래퍼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봉과 상기 회전 봉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되 회전 봉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크래퍼의 하부에는 분리 용기가 설치되고, 상기 분리 용기는 상기 차단벽에 의하여 분리된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덕트에는 차단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집진 모듈과 상기 세정수 처리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수 처리부 상부 공간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덕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차단 플레이트와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폭방향 중심에 연결된 회전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기둥에는 상기 회전 기둥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방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 슬롯을 갖는 제1 세팅 빔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방전극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세팅 빔을 통해서 상기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하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하부 절연 애자와 상기 하부 절연 애자를 관통하는 단자봉을 갖는 절연 연결부재, 상기 덕트의 벽면에 고정되되 복수의 상기 절연 연결부재를 삽입하는 관형 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절연 연결부재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 절연 애자는 상기 관형 거더 내부에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전극에는 상기 방전극의 폭 방향으로 이어진 제1 보강 막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보강 막대는 상기 방전극의 양쪽 측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에 지지되며, 상기 제1 보강 막대는 상기 제1 세팅 빔에 용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집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집진극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2개의 제2 세팅 빔과 상기 제2 세팅 빔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극의 상단을 삽입하는 중앙 세팅 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극에는 제2 보강 막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보강 막대는 상기 제2 세팅 빔에 형성된 슬롯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2 세팅 빔에 용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집진 모듈의 후방에는 활성탄을 포함하는 카본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집진 모듈의 후방에는 면광원으로 이루어진 자외선 조사부와 광촉매가 코팅된 광촉매 반응기를 포함하는 자외선 처리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집진극의 하면에는 다른 부분보다 더 아래에 위치하여 세정수가 집중되는 최하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최하단부의 직하방에는 상기 집진극에서 흘러 내리는 세정수가 수용되는 채널을 형성하는 배출 가이드가 설치되되, 상기 배출 가이드는 상기 집진극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출 가이드는 중앙 부분의 바닥 높이가 측단의 바닥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입되는 세정수를 상기 배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양쪽 측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집진극의 하부에는 고정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홀에는 헹어 고정 막대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헹어 고정 막대에는 상기 배출 가이드를 지지하는 지지 헹어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지지 헹어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집진극의 하부를 삽입하는 복수의 연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돌기에는 상기 헹어 고정 막대가 삽입되는 지지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조 장치 내부에 집진 모듈이 설치되므로 차압을 최소화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로 집진 모듈이 설치되므로 집진 모듈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잘라 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폭 방향으로 잘라 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착 벨트와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전극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극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에서 방전극과 지지부, 및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에 방전극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팅 빔에 집진극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절연 연결부재와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측 상부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앙 상부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의 하부에 설치된 세정수를 처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의 지지 헹어와 배출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잘라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4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잘라 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폭 방향으로 잘라 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착 벨트와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전극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극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에서 방전극과 지지부, 및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에 방전극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팅 빔에 집진극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절연 연결부재와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측 상부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앙 상부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의 하부에 설치된 세정수를 처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의 지지 헹어와 배출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잘라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4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잘라 본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를 따른 공조 장치(1000)는 외부에서 공기 또는 실내 순환 공기를 유입하여 가열하거나 냉각하고,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공조 장치(1000)은 덕트(1200), 프리 필터(1510), 카본 필터(1520), 열교환부(1580), 집진 모듈(100), 프레임 어셈블리(200), 세정수 공급부(1300), 세정수 처리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1200)는 대략 사각형의 관으로 이루어지고, 덕트(1200)의 길이방향(y축 방향) 일단 또는 양단에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덕트(120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10)가 형성되고, 덕트(120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230)가 형성될 수 있다.
프리 필터(1510)는 큰 먼지 및 부유물질 등을 포집하는 필터로서, 통상 150㎛ 이상 크기의 먼지를 포집한다. 프리 필터(1510)는 공기의 이동 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집진 모듈(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집진 모듈(100)로 유입되는 대형 먼지를 흡착한다. 프리 필터(1510)는 부직포 및 부직포의 전후에 각각 배치되는 공지의 금속 망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프리 필터(1510)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본 필터(1520)는 높은 흡착성을 지니는 활성탄을 포함한다. 활성탄은 다공질 물질이어서 색소나 냄새를 잘 흡수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카본 필터(1520)는 물리적으로 흡착하여 각종 유해 가스 및 악취를 흡수한다. 카본 필터(1520)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집진 모듈(100)의 후방에 위치하며, 집진 모듈(100)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악취를 흡수할 뿐만 아니라 집진 모듈(100)에서 발생한 오존을 제거한다. 오존은 강력한 살균 작용을 하므로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하지만, 다량의 오존은 인체에 유한 물질로서 제거되어야 한다. 본 제1 실시예와 같이 카본 필터(1520)가 집진 모듈(100)의 후방에 배치되면 집진 모듈(100)에서 발생한 오존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열교환부(1400)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공조기에 적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열교환부(1580)는 카본 필터(15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열교환부(1580)는 프리 필터(1510)의 전방 또는 집진 모듈(100)과 카본 필터(1520)의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집진 모듈(100)은 프리 필터(1510)와 카본 필터(1520) 사이에 배치된다. 집진 모듈(100)의 상부에는 세정수 공급부(1300)가 위치한다. 세정수 공급부(1300)는 집진 모듈(100)로 세정수를 공급하여 집진극(13)에 부착된 먼지를 이탈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폭 방향으로 잘라 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착 벨트와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정수 공급부(1300)는 세정수 공급라인(1310)과 펌프(1320)와 분사라인(1340)을 포함한다. 세정수 공급라인(1310)은 덕트(1200)의 하부에 배치된 수조(1410)에 삽입된 관으로 이루어지며, 수조(1410)에서 덕트(1200)의 상부까지 이어져 설치된다. 펌프(1320)는 세정수 공급라인(1310)에 연결되어 세정수를 이동시킨다. 분사라인(1340)은 집진 모듈(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집진 모듈(100)을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한다. 분사라인(1340)에는 노즐이 설치될 수 있으며, 분사라인(1340)은 방전극(12)과 집진극(13)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설치될 수 있다. 세정수 공급부(1300)는 간헐적으로 작동하며, 예를 들어 수시간 마다 수분씩 작동할 수 있다. 세정수가 공급될 때에 방전극(12)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세정수 처리부(1400)는 집진 모듈(100)에서 낙하하는 세정수를 수용하고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를 고형화 한다. 세정수 처리부(1400)는 세정수를 저장하는 수조(1410)와 수조(1410)의 상부에 설치된 흡착 벨트(1420)와 흡착 벨트(1420)를 이동시키는 롤러(1430)와 흡착 벨트(1420)에 부착된 먼지를 이탈시키는 스크래퍼(1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정수는 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세정수로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사용되면 세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수조(1410)는 덕트(1200)의 바닥 위에 배치되며 세정수 공급부(1300)를 통해서 공급된 세정수를 하부에서 저장한다. 수조(1410)에는 세정수의 보충을 위한 세정수 보충라인(1460)이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세정수 보충라인(1460)에는 밸브(1462)가 설치될 수 있다.
흡착 벨트(1420)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금속 또는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착 벨트(1420)가 메쉬로 이루어지면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는 흡착 벨트(1420)에 부착되고, 세정수는 흡착 벨트(1420)를 통과하여 수조로 이동할 수 있다.
흡착 벨트(1420)는 길이 방향 단부가 연결되어 무한 궤도 형태로 이어져 형성된다. 흡착 벨트(1420)의 하부는 세정수에 잠기며 흡착 벨트(1420)의 상부는 세정수 보다 더 상부에 위치되어 세정수 밖으로 노출된다. 즉, 종단면이 납작한 고리 형태의 흡착 벨트(1420)에서 높이방향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하부는 세정수에 잠기고, 상부는 세정수에 밖에서 위치할 수 있다. 흡착 벨트(1420)는 편평한 상면과 편평한 하면 및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만곡된 측면을 갖는데, 편평한 하면은 세정수 속에 위치하고, 편평한 상면은 세정수 밖에 위치한다.
하부에 배치된 흡착 벨트(1420)는 세정수 내부를 이용하면서 먼지를 흡착하고, 상부에 배치된 흡착 벨트(1420)는 낙하하는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를 흡착한다.
2개의 롤러(1430)는 흡착 벨트(1420)의 길이 방향 양쪽 단부에서 흡착 벨트(1420)를 지지한다. 롤러(1430)에는 롤러(1430)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연결되어 흡착 벨트(1420)를 이동시킨다. 롤러(1430)는 간헐적으로 작동되되 세정수가 공급되는 동안만 작동될 수 있다.
스크래퍼(1450)는 흡착 벨트(1420)의 하부와 맞닿아 흡착 벨트(1420)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서 흡착 벨트(1420)에서 이탈시킨다. 스크래퍼(1450)는 지지 유닛(1451)과 지지 유닛(1451)의 상부에 고정된 팁부(145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유닛(1451)은 수조(1410)에 고정되되 수조의 바닥에서 세워져 설치된다. 팁부(1452)는 지지 유닛(1451)에 대하여 경사지게 상부로 돌출되며,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크래퍼(1450)에 의하여 이탈된 먼지 덩어리는 고형화되어 수조(1410)의 바닥에 축적되며 수조(1410)의 상부에는 비교적 깨끗한 세정수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의 세정수는 세정수 공급부(1300)로 공급되어 추가적인 세정에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수조(1410)에 저장된 세정수가 배출되지 않고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세정수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조(1410) 바닥의 먼지 덩어리를 제거하고, 세정수를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먼지 덩어리가 수조(1410) 바닥에 가라앉아 세정수가 정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정수의 사용 기간이 증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전극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극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집진 모듈(100)은 방전극(12), 집진극(13), 제1 타이 로드(16), 제2 타이 로드(17), 제1 세팅 빔(14), 제2 세팅 빔(15), 및 중앙 세팅 빔(18)을 포함한다. 집진 모듈(100)은 타이 로드들(16, 17)과 세팅 빔들(14, 15, 18)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임 어셈블리(200)를 매개로 덕트(12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 어셈블리(200)는 덕트(1200)의 내벽에 고정되어 집진 모듈(100)을 지지한다.
방전극(12)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방전극(12)에는 복수의 개구(122)가 형성된다. 개구(122)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전극(12)의 엣지 부분에는 복수의 방전핀이 형성된다. 방전핀은 침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전극(12)의 외측 단부 및 개구(122)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열될 수 있다.
방전극(12)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된 제1 보강 막대(121)을 포함하는데, 제1 보강 막대(121)는 제1 세팅 빔(14)에 결합되어 방전극(12)을 지지한다. 제1 보강 막대(121)는 방전극(12)의 양쪽 측단에서 돌출되도록 방전극(12)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또한 방전극(12)에는 제2 타이 로드(17)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1 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전극(12)의 양쪽 하부에는 제1 세팅 빔(14)의 설치를 위한 절개 홈(125)이 형성된다. 제1 세팅 빔(14)은 제1 보강 막대(121)와 절개 홈(125)의 상단을 함께 삽입하여 고정한다.
집진극(13)은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집진극(13)에는 제1 타이 로드(16)가 관통하는 복수의 제2 홀(133)이 형성된다. 집진극(13)은 상부에 배치되어 집진극(13)을 지지하는 제2 보강 막대(131)를 포함한다. 제2 보강 막대(131)는 집진극(13)의 양쪽 측단으로 돌출되도록 집진극(13)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방전극(12)과 집진극(13)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복수의 집진극(13) 사이에 방전극(12)이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집진극(13)과 방전극(12)의 간격(G1)은 50mm~70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집진극(13)의 양쪽 하부 측단에는 회피 홈(135)이 형성되고, 제1 세팅 빔(14)은 회피 홈(135)이 형성된 부분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회피 홈(135)의 상단은 제1 보강 막대보다 더 위에 형성되어 집진극(13)이 방전극(12)과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전극(12)에는 고전압이 인가되는데, 이에 의하여 방전극(12)과 집진극(13)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고, 정전기력이 발생한다. 코로나 방전과 정전기력이 발생한 영역으로 기체가 이동하는 중에 입자상 물질은 코로나 방전으로 생성된 이온(전자)와 결합하여 하전되고, 하전된 입자상 물질은 정전기력으로 집진극(13)에 부착된다. 또한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발생한 오존은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집진극(13)의 하단(134)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경사진 부분 중에서 제일 아래에 위치하는 최하단부(138)가 형성된다. 최하단부(138)는 집진극(13)의 중앙이 될 수 있으며, 집진극(13)의 폭방향 일측 측단이 될 수도 있다.
집진극(13)의 하단(134)은 양쪽 측단에서 폭방향 중앙으로 갈수록 지면에 대하여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집진극(13)의 중앙부분은 양쪽 측단보다 더 아래에 위치되며 집진극(13)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세정수는 집진극(13)의 하단을 따라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하는 집진극(13)의 중앙 부분의 최하단부(138)로 모이게 된다.
제1 타이 로드(16)는 복수의 방전극(12)에 끼움 결합 설치되는데, 집진극(13)에 형성된 제2 홀(133)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집진극(13)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방전극(12)의 상부에는 복수의 제1 타이 로드(16)가 설치되고, 방전극(12)의 하부에도 복수의 제1 타이 로드(16)가 결합 설치된다.
제1 타이 로드(16)의 길이 방향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1 타이 로드(16) 중 하부에 배치된 제1 타이 로드(16)는 하부 지지대(51)에 고정되고, 제1 타이 로드(16) 중 상부에 배치된 제1 타이 로드(16)는 상부 지지대(61)에 고정된다.
한편, 제2 타이 로드(17)는 복수의 집진극(13)에 끼움 결합 설치되는데, 제2 타이 로드(17)는 방전극(12)에 형성된 제1 홀(123)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방전극(12)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집진극(1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2 타이 로드(17)가 결합되며, 제2 타이 로드(17)의 길이 방향 단부는 집진극(13)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타이 로드(17)는 덕트(1200) 내의 다른 부재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1 타이 로드(16)와 제2 타이 로드(17)에는 방전극(12)과 집진극(13)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가 설치될 수 있다. 방전극(12)에 설치된 스페이서는 제2 홀(133)을 관통하되 길이방향 단부가 방전극(12)의 표면에 맞닿도록 설치되고, 집진극(13)에 설치된 스페이서는 제1 홀(123)을 관통하되 길이방향 단부가 집진극(13)의 표면에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에서 방전극과 지지부, 및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에 방전극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세팅 빔에 집진극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세팅 빔(14)은 방전극(12)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제1 세팅 빔(14)에는 방전극(12)의 측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 슬롯(143)이 형성된다. 제1 세팅 빔(14)에는 제1 보강 막대(121)가 삽입 설치되는데, 제1 보강 막대(121)는 제1 세팅 빔(14)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제1 보강 막대(121)의 하단은 제1 세팅 빔(14)의 바닥부에 지지된다.
제1 세팅 빔(14)은 하부 빔(141)과 하부 빔(141)에 결합되는 상부 빔(14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빔(141)은 바닥부(141a)와 바닥부(141a)의 양쪽 측단에서 절곡되어 상부로 돌출된 2개의 측벽(141b, 141c)을 포함한다. 한편, 상부 빔(142)은 바닥부(141a)와 맞닿는 하부 지지부(142a)와 하부 지지부(142a)에서 절곡되되 외측에 위치하는 측벽(141c)과 맞닿는 외측 지지부(142b), 외측 지지부(142b)에서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부(142c), 및 경사부(142c)에서 절곡되어 바닥부(141a)와 평행하게 배치된 상부 지지부(142d), 상부 지지부(142d)에서 절곡되어 하부로 이어진 내측 지지부(142e)를 포함한다. 제1 세팅 빔(14) 상에 존재하는 수분은 경사부(142c)를 통해서 외측으로 쉽게 배출될 수 있다.
하부 슬롯(143)은 측벽(141b, 141c)에만 형성되고, 바닥부(141a)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 빔(142)에도 하부 슬롯(143)이 형성되는데, 하부 슬롯(143)은 하부 지지부(142a)와 외측 지지부(142b)에 형성된다. 하부 빔(141)에 형성된 하부 슬롯(143)과 상부 빔(142)에 형성된 하부 슬롯(143)은 서로 연결되며 제1 보강 막대(121)는 외측 측벽(141b)에 형성된 하부 슬롯(143)과 외측 지지부(142b)에 형성된 하부 슬롯(143)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상부 빔(142)과 하부 빔(141)이 결합되면 제1 세팅 빔(14)은 일측 측면이 절개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 세팅 빔(14)이 상부 빔(142)과 하부 빔(141)으로 분리 형성되면 방전극(12)을 하부 빔(141)에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다. 즉, 방전극(12)을 하부 빔(141)에 용접한 후, 상부 빔(142)을 하부 빔(141)에 결합하고 상부 빔(142)에 방전극(12)을 용접하면 제1 세팅 빔(14)이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방전극(12)이 제1 세팅 빔(14)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강 막대(121)는 제1 세팅 빔(14)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방전극(12)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보강 막대(121)는 제1 세팅 빔(14)에 용이하게 용접될 수 있다. 방전극(12)의 두께는 최소화되어야 하며, 전기 전도성이 우수해야 하는데, 방전극(12)의 전도성이 높고 두께가 얇으면 용접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방전극(12)이 제1 보강 막대(121)를 포함하므로 방전극(12)이 제1 세팅 빔(14)에 용이하게 용접될 수 있다.
제2 세팅 빔(15)은 집진극(13)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제2 세팅 빔(15)에는 집진극(13)의 측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상부 슬롯(156)이 형성된다. 상부 슬롯(156)은 제2 세팅 빔(15)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제2 세팅 빔(15)은 제1 세팅 빔(14) 보다 더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극(13)의 상단 폭방향 중앙에는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집진극(13)의 상단 중앙을 삽입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중앙 세팅 빔(18)이 설치된다.
제2 보강 막대(131)는 집진극(13)의 상단에 고정되는데, 제2 세팅 빔(15)에는 제2 보강 막대(131)가 삽입 설치된다. 제2 보강 막대(131)는 제2 세팅 빔(15)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제2 보강 막대(131)의 하단은 제2 세팅 빔(15)에 지지된다.
제2 세팅 빔(15)은 하판(151), 하판(151)에서 절곡되어 상부로 이어진 측판(152), 측판(152)에서 절곡되어 하판(151)과 마주하게 배치된 상판(153), 및 하판(151)에서 절곡되어 하판(151)의 하부에서 하판(151)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지지판(154)을 포함한다. 하판(151)과 측판(152)의 일부에 상부 슬롯(156)이 형성되어 제2 보강 막대(131)가 삽입되며, 제2 보강 막대(131)의 하단은 지지판(154)의 상면과 맞닿는다. 제2 보강 막대(131)는 제2 세팅 빔(15)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100)은 제1 타이 로드(16), 제2 타이 로드(17), 제1 세팅 빔(14), 제2 세팅 빔(15), 중앙 세팅 빔(18)에 의하여 방전극(12)과 집진극(13)의 간격이 유지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절연 연결부재와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레임 어셈블리(200)는 하부 프레임(30), 관형 거더(48), 외측 상부 지지대(61), 하부 지지대(51),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 및 절연 연결부재(40)를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30)은 방전극(12) 및 집진극(13)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절연 연결부재(40)에 의하여 지지된다. 2개의 하부 프레임(30)이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하부 프레임(30)에는 2개의 절연 연결부재(40)가 설치된다. 하부 프레임(30)에는 하부 프레임(30)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거치대(35)가 형성되며, 거치대(35)에 제1 세팅 빔(14)이 거치된다. 하부 프레임(30)은 고압으로 대전되며 제1 세팅 빔(14)과 방전극(12)도 하부 프레임(30)을 통해서 고압으로 대전된다. 여기서 방전극(12)의 대전 전압은 25,000V~75,000V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하부 지지대(51)는 하부 프레임들(30)이 이격된 방향으로 이어져 2개의 하부 프레임(30) 상에 거치되는데, 하부 지지대(51)는 집진 모듈(100)의 외측과 중앙에 각각 배치된다. 하부 지지대(51)는 하부 프레임(30) 상에 위치하는 측단 돌출부(51a)와 하부로 돌출되어 하부 프레임(30)의 측면과 맞닿는 하부 돌출부(51b), 및 제1 타이 로드(16)가 고정되는 지지 바(51c)를 포함한다.
하부 지지대(51)에는 제1 타이 로드(16)가 결합되는 복수의 커넥터(55)가 설치되는데, 커넥터(55)는 제1 타이 로드(16)와 나사 결합되어 제1 타이 로드(16)를 고정한다. 제1 타이 로드(16)는 길이방향 일측 단부는 외측에 배치된 하부 지지대(51)에 고정되고, 길이 방향 타측 단부는 중앙에 배치된 하부 지지대(51)에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타이 로드(16)를 하부 지지대에 체결하는 것으로 집진 모듈(100)을 프레임 어셈블리(200)에 용이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한편, 하부 프레임(30)에는 절연 연결부재(40)가 설치되는데, 절연 연결부재(40)에는 방전극(12)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단자봉(42)과 절연을 위한 하부 절연 애자(41)가 설치된다. 절연 연결부재(40)의 하부에는 하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홀을 통해서 단자봉(42)은 하부로 돌출되어 하부 프레임(30)에 고정된다. 단자봉(42)에는 하부 프레임(30)을 지지하기 위한 앵커(43)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하부 프레임(30)과 제1 세팅 빔(14)을 통해서 방전극(12)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하부 프레임(30)은 절연 연결부재(40)에 매달린 구조로 설치된다.
절연 연결부재(40)는 내부 공간을 갖는 관형 거더(48)에 삽입 설치되며, 관형 거더(48)는 하부 프레임(30)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관형 거더(48)는 덕트(1200)의 내벽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관형 거더(48)에는 퍼지 공기 공급관(49)이 설치될 수 있다. 관형 거더(48)의 하부에는 퍼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홀(44)이 형성될 수 있다.
관형 거더(48)의 내부에는 하부 절연 애자(41)를 지지하는 거치대(46)가 설치되며 하부 절연 애자(41)는 거치대(46) 상에 거치된다. 절연 연결부재(40)에는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이 연결되며, 단자봉(42)은 하부 절연 애자(41)를 매개로 관형 거더(48)에 고정 설치되어 절연된다. 단자봉(42)은 하부 절연 애자(41)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단자봉(42)의 상단에는 전력 공급 라인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봉(42)은 고압으로 대전되고, 관형 거더(48)는 접지될 수 있다.
제2 세팅 빔(15)은 관형 거더(48)의 상면에 고정되는데 제2 세팅 빔(15)의 하단은 관형 거더(48)에 용접 등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2 세팅 빔(15)은 관형 거더(48)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어져 배치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측 상부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중앙 상부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측 상부 지지대(61)는 집진 모듈(100)의 상부측에 배치되되 집진 모듈(100)의 양쪽 외측단에 각각 배치된다. 중앙 상부 지지대(63)는 외측 상부 지지대(61) 사이에 배치되며 집진 모듈(100)의 중앙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외측 상부 지지대(61)와 중앙 상부 지지대(63)에는 제1 타이 로드(16)가 결합되는 복수의 커넥터(65, 도 10에 도시)가 설치되는데, 커넥터(65)는 제1 타이 로드(16)와 나사 결합되어 제1 타이 로드(16)를 고정한다. 제1 타이 로드(16)는 길이방향 일측 단부가 외측 상부 지지대(61)에 고정되고, 길이 방향 타측 단부는 중앙 상부 지지대(63)에 고정된다.
외측 상부 지지대(61)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전면판(611)과 후면판(612), 전면판(611) 및 후면판(612)을 연결하는 지지판(613)을 포함한다. 전면판(611)과 후면판(612)은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지지판(613)은 곡면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613)에는 세정수의 배출을 위한 복수의 홀(619)이 형성된다. 또한 전면판(611)에는 커넥터의 결합을 위한 홀(618)이 형성될 수 있다.
후면판(612)은 전면판(611)보다 더 작은 높이를 갖는데, 후면판(612)에서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하부로 돌출된 결합판(615)이 형성된다. 결합판(615)은 외측 상부 지지대(61)의 길이방향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또한 외측 상부 지지대(61)는 보강 리브(617)를 더 포함하는데, 보강 리브(617)는 전면판(611)과 후면판(612) 사이에 위치하며, 전면판(611)과 후면판(612)의 내면과 맞닿아 지지한다. 보강 리브(617)는 외측 상부 지지대(6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된다.
한편, 중앙 상부 지지대(63)는 하부로 이어진 2개의 벽면(631, 632)과 벽면(631, 632)을 연결하되 곡면으로 이루어진 지지면(633)을 포함한다. 벽면(631, 632)에는 커넥터(65)가 삽입되는 복수의 홈(635)이 형성되고, 지지면(633)에는 세정수의 배출을 위한 복수의 홀(636)이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상부 지지대(61)에는 가압 지지하는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prestress rocking member)(70)가 연결 설치되는데,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는 집진 모듈(100)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외측 상부 지지대(61)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적용한 상태에서 고정 설치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는 덕트(1200)의 내벽에 고정되며, 케이싱(73)과 케이싱(73) 내에 설치된 절연 애자(75)와 절연 애자(75)에 결합 설치된 가압 막대(71)와 가압 막대(71)에 결합된 가압 지지대(72)를 포함한다.
케이싱(73)은 내부 공간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케이싱(73)의 일측에는 덕트(1200)에 고정되기 위한 브라켓(76)이 고정 설치된다. 또한 케이싱(73)에는 공기 유입구(731)가 설치되고 공기 유입구(731)에는 퍼지 공기 공급관(79)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73) 내부로 유입된 퍼지 공기는 하부로 배출되면서 수분에 의한 단락을 방지한다.
절연 애자(75)는 케이싱(73)의 상부에 고정된 상부 애자(75a), 케이싱(73)의 하부에 고정된 하부 애자(75b), 상부 애자(75a)와 하부 애자(75b)를 연결하는 절연관(75c)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막대(71)는 절연 애자(75)에 고정 설치되며,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의 하부로 돌출된다. 가압 막대(71)의 하부에는 가압 지지대(72)와의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가압 지지대(72)는 가압 막대(71)의 하부에 고정되며 가압 지지대(72)에는 가압 막대(71)와의 고정을 위한 내부 지지판(721)을 포함한다. 내부 지지판(721)은 가압 막대(71)와 나사 결합된다. 가압 지지대(72)는 외측 상부 지지대(61)와 맞닿아 외측 상부 지지대(61)를 집진 모듈(100)의 내측으로 가압한다.
본 제1 실시예와 같이 이와 같이 외측 상부 지지대(61)가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70)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로 설치되면 집진 모듈(100)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2000)는 외부에서 공기 또는 실내 순환 공기를 유입하여 가열하거나 냉각하고,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공조 장치(2000)은 덕트(2200), 프리 필터(2510), 카본 필터(2520), 자외선 처리부(2600), 열교환부(2580), 집진 모듈(100), 프레임 어셈블리, 세정수 공급부(2300), 세정수 처리부(240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2200)는 대략 사각형의 관으로 이루어지고, 덕트(2200)의 길이방향 일단 또는 양단에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덕트(220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210)가 형성되고, 덕트(220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230)가 형성될 수 있다.
프리 필터(2510)는 큰 먼지 및 부유물질 등을 포집하는 필터로서, 통상 150㎛ 이상 크기의 먼지를 포집한다. 프리 필터(2510)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집진 모듈(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집진 모듈(100)로 유입되는 대형 먼지를 흡착한다. 프리 필터(2510)는 부직포 및 부직포의 전후에 각각 배치되는 공지의 금속망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프리 필터(2510)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 처리부(2600)는 집진 모듈(100)의 후방에 배치되며 자외선 처리부(2600)를 통과한 공기에서 오존을 제거하고 공기를 정화한다. 자외선 처리부(2600)는 면광원으로 이루어진 자외선 조사부(2610)와 광촉매 반응기(2630)를 포함할 수 있다. 판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자외선 조사부(2610)는 덕트(2200)의 내벽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자외선 조사부(2610) 사이에 광촉매 반응기(2630)가 설치되며, 광촉매 반응기(2630)는 다공성 플레이트 또는 메쉬체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산화티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광촉매가 코팅되어 잇다. 광촉매 반응기(2630)는 공기의 흐름과 교체하는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촉매 반응기(2630)는 자외선 조사부(2610)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자외선 처리부(2600)에서 자외선이 조사되면 공기 중의 오존이 자외선에 의하여 산소 이온과 산소 라디칼로 변화되면서 살균 작용을 한다. 또한, 자외선에 의하여 직접 유해균이 살균될 수도 있다. 또한, 자외선에 의하여 광촉매 반응기에서 광촉매가 강력한 산화력을 지닌 수산화라디칼을 발생시키고, 수산화라디칼은 각종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반응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하여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카본 필터(2520)는 공기의 진행 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자외선 처리부(2600)의 후방에 위치하며, 집진 모듈(100)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악취를 흡수할 뿐만 아니라 집진 모듈(100)에서 발생한 오존을 제거한다. 카본 필터(2520)는 높은 흡착성을 지니는 활성탄을 포함한다. 활성탄은 다공질 물질이어서 색소나 냄새를 잘 흡수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카본 필터(2520)는 물리적으로 흡착하여 각종 유해 가스 및 악취를 흡수한다.
열교환부(2580)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공조기에 적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열교환부(2580)는 카본 필터(25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열교환부(2580)는 프리 필터(2510)의 전방 또는 집진 모듈(100)과 카본 필터(2520)의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세정수 처리부(2400)는 집진 모듈(100)에서 낙하하는 세정수를 수용하고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를 고형화 한다. 세정수 처리부(2400)는 세정수를 저장하는 수조(2410)와 수조(2410)의 상부에 설치된 흡착 벨트(2420)와 흡착 벨트(2420)를 이동시키는 롤러와 흡착 벨트(2420)에 부착된 먼지를 이탈시키는 스크래퍼(2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정수는 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세성수로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사용되면 세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수조(2410)는 타워의 바닥 위에 배치되며 세정수 공급부(2300)를 통해서 공급된 세정수를 하부에서 저장한다. 수조(2410)에는 세정수의 보충을 위한 세정수 보충라인이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세정수 보충라인에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흡착 벨트(2420)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금속 또는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착 벨트(2420)가 메쉬로 이루어지면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는 흡착 벨트(2420)에 부착되고, 세정수는 흡착 벨트(2420)를 통과하여 수조(2410)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흡착 벨트(2420)는 날줄과 씨줄이 얽힌 그물 구조로서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흡착 벨트(2420)를 이루는 와이어에는 먼지의 흡착을 위한 복수의 미세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 돌기는 0.1mm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돌기를 의미한다. 한편, 흡착 벨트(2420)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금속 또는 합성수지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흡착 벨트(2420)가 메쉬로 이루어지면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는 흡착 벨트(2420)에 부착되고, 세정수는 흡착 벨트(2420)를 통과하여 수조(2410)로 이동할 수 있다.
흡착 벨트(2420)는 길이 방향 단부가 연결되어 무한 궤도 형태로 이어져 형성된다. 흡착 벨트(2420)의 하부는 세정수에 잠기며 흡착 벨트(2420)의 상부는 세정수 보다 더 상부에 위치되어 세정수 밖으로 노출된다. 하부에 배치된 흡착 벨트(2420)는 세정수 내부를 이용하면서 먼지를 흡착하고, 상부에 배치된 흡착 벨트(2420)는 낙하하는 세정수에 포함된 먼지를 흡착한다. 노출된 부분이 먼지를 흡착하고 스크래퍼(245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흡착 벨트(2420)에는 흡착 벨트(2420)를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복수의 롤러들이 설치되는데, 롤러는 흡착 벨트의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지지 롤러(2431, 3432)와 지지 롤러들(2431, 3432) 사이에 배치되되 하부에 배치된 흡착 벨트(2420)가 상하방향으로 굽어지도록 지지하는 제1 방향 전환 롤러(2433)와 제2 방향 전환 롤러(2434)를 포함한다. 지지 롤러(2431, 3432)는 흡착 벨트(2420)에서 내측을 향하는 면과 맞닿고, 제1 방향 전환 롤러(2433)는 흡착 벨트(2420)의 외측에 맞닿으며, 제2 방향 전환 롤러(2434)는 흡착 벨트(2420)의 과 외측을 향하는 면에 맞닿는다.
제1 방향 전환 롤러(2433)는 흡착 벨트(2420)의 하단이 상부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며, 이에 따라 흡착 벨트(2420)의 하단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측 지지 롤러(2432)에서 제1 방향 전환 롤러(2433)로 갈수록 상부로 흡착 벨트(2420) 사이의 간격은 감소한다. 제2 방향 전환 롤러(2434)는 제1 방향 전환 롤러(2433)와 지지 롤러(2431) 사이에 배치되며 흡착 벨트(2420)의 하단이 상부로 경사지도록 지지한다.
제2 방향 전환 롤러(2434)에 의하여 흡착 벨트(2420)의 하단은 차단벽(2415)의 상단보다 더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1 방향 전환 롤러(2433)는 흡착 벨트(2420)가 차단벽(2415)의 상단보다 더 위로 이동하도록 지지하여, 흡착 벨트(2420)와 차단벽(2415)의 간섭을 방지하고, 제2 방향 전환 롤러(2434)는 흡착 벨트(2420)의 하단이 차닥벽(2415)보다 더 아래로 위치하도록 하여 먼지 덩어리가 차단벽(2415)을 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스크래퍼(2450)는 제2 방향 전환 롤러(2434)와 지지 롤러(2431)와 사이에서 흡착 벨트(2420)와 맞닿는다.
수조(2410)에는 차단벽(2415)이 설치되는데, 차단벽(2415)은 스크래퍼(2450)가 위치하는 공간과 나머지 공간을 분리한다. 차단벽(2415)은 제1 방향 전환 롤러(2433)와 제2 방향 전환 롤러(2434)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차단벽(2415)은 스크래퍼(245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 전환 롤러(2433)는 차단벽(2415)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스크래퍼(2450)는 수조 내에 설치되며, 흡착 벨트(2420)의 하부와 맞닿아 흡착 벨트(2420)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서 흡착 벨트(2420)에서 이탈시킨다. 스크래퍼(2450)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봉(2451)과 회전 봉(2451)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패들(2452)을 포함한다. 패들(2452)은 회전 봉(2451)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회전 봉(2451)에는 복수의 패들(2452)이 회전 봉(2451)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패들(2452)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흡착 벨트(2420)와 맞닿아 먼지를 긁어 낸다. 회전 봉(2451)에는 회전 봉(2451)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스크래퍼(2450)에 의하여 이탈된 먼지 덩어리는 고형화되어 수조(2410)의 바닥에 축적되며 수조(2410)의 상부에는 비교적 깨끗한 세정수가 위치하게 된다. 먼지 덩어리는 차단벽(2415)에 의하여 분할된 공간 내에 위치하므로 나머지 부분의 세정수는 정화될 수 있다.
한편, 스크래퍼(2450)의 하부에는 먼지 덩어리는 수용하는 분리 용기(2460)가 설치될 수 있다. 분리 용기(2460)는 차단벽(2415)에 의하여 분리된 공간 내에 위치하며, 삼각형의 종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 용기(2460) 내부의 먼지 덩어리가 쉽게 분리 용기에서 이탈하지 못하며,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분리 용기를 교체하는 것으로 세정수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집진 모듈(100)은 프리 필터(2510)와 자외선 처리부(2600) 사이에 배치된다. 집진 모듈(100)의 상부에는 세정수 공급부(2300)가 위치한다. 세정수 공급부(2300)는 집진 모듈(100)로 세정수를 공급하여 집진극에 부착된 먼지를 이탈시킨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100)과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과 프레임 어셈블리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잘라 본 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의 지지 헹어와 배출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3000)는 덕트(3200), 프리 필터(3510), 헤파 필터(3550), 카본 필터(3520), 열교환부(3580), 집진 모듈(100), 프레임 어셈블리, 세정수 공급부(330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3200)는 대략 사각형의 관으로 이루어지고, 덕트(3200)의 길이방향 일단 또는 양단에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덕트(320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210)가 형성되고, 덕트(320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3230)가 형성될 수 있다.
프리 필터(3510)는 큰 먼지 및 부유물질 등을 포집하는 필터로서, 통상 150㎛ 이상 크기의 먼지를 포집한다. 프리 필터(3510)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집진 모듈(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집진 모듈(100)로 유입되는 대형 먼지를 흡착한다. 프리 필터(3510)는 부직포 및 부직포의 전후에 각각 배치되는 공지의 금속망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프리 필터(3510)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본 필터(3520)는 공기의 진행 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집진 모듈(100)의 후방에 위치하며, 집진 모듈(100)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악취를 흡수할 뿐만 아니라 집진 모듈(100)에서 발생한 오존을 제거한다. 카본 필터(3520)는 높은 흡착성을 지니는 활성탄을 포함한다. 활성탄은 다공질 물질이어서 색소나 냄새를 잘 흡수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카본 필터(3520)는 물리적으로 흡착하여 각종 유해 가스 및 악취를 흡수한다.
헤파 필터(3550)는 카본 필터(3520)의 후방에 배치되며 미세 먼지를 흡착한다. 헤파 필터(3550)는 통상적으로 공기 정화에 적용되는 헤파 필터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파 필터(3550)는 주름진 구조의 필터 섬유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헤파 필터는 큰 압력 강하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으나, 미세 먼지를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열교환부(3400)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공조기에 적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열교환부(3580)는 헤파 필터(355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열교환부(3580)는 프리 필터(3510)의 전방 또는 집진 모듈(100)과 카본 필터(3520)의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집진 모듈(100)은 프리 필터(3510)와 카본 필터(3520) 사이에 배치된다. 집진 모듈(100)의 상부에는 세정수 공급부(3300)가 위치한다. 세정수 공급부(3300)는 집진 모듈(100)로 세정수를 공급하여 집진극에 부착된 먼지를 이탈시킨다.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100)과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과 프레임 어셈블리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집진 모듈(100)의 하부에는 집진극(13)에서 배출되는 오염된 세정수를 수집하기 위한 지지 헹어(350)와 배출 가이드(310)가 설치된다. 지지 헹어(350)는 배출 가이드(310)와 결합되어 배출 가이드(310)를 지지한다. 집진극(13)의 중앙 부분에는 고정용 홀(137)이 형성되며 고정용 홀(137)에는 집진극(13)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진 헹어 고정 막대(330)가 삽입 설치된다. 헹어 고정 막대(330)는 지지 헹어(350)와 결합되어 지지 헹어(350)를 집진극들(13)에 고정한다.
지지 헹어(350)는 집진극(13)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지되 배출 가이드(310)에 고정된 하부 지지 막대(351)와 하부 지지 막대(351)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집진극(13)의 하단을 끼움하는 연결 돌기(352)를 포함한다. 연결 돌기(352)에는 집진극(13)의 하단이 삽입되는 연결 홈(354)이 형성되고 연결 홈(354)에는 헹어 고정 막대(330)가 삽입되는 지지 홀(353)이 형성된다.
연결 돌기(352)는 이격된 2개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판 사이에 연결 홈(354)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돌기(352)는 하부 지지 막대(35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열되어 각각의 집진극(13) 하단에 결합된다. 지지 홀(353)은 고정용 홀(137)과 연결되어 헹어 고정 막대(330)는 지지 홀(353)과 고정용 홀(137)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에 따라 지지 헹어(350)는 집진극(13)의 하단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배출 가이드(31)는 집진극(13)의 폭방향 중앙에 배치되며 배출 가이드(31)의 폭은 집진극(13)의 폭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배출 가이드(31)의 폭은 집진극(13)의 폭의 1/100~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 가이드(31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측에 세정수가 이동하는 채널이 형성된다. 배출 가이드(310)는 중앙 부분의 바닥이 양쪽 측단 부분이 바닥보다 더 높게 형성되며 중앙에서 양쪽 측단으로 갈수록 바닥이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 가이드(310)로 유입된 세정수는 배출 가이드(310)의 길이방향 양쪽 측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배출 가이드(310)의 양쪽 측단에는 세정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관(미도시)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집진극(13)은 중앙부분이 하부로 돌출되도록 하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집진극(13)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세정수는 집진극(13)의 하단을 따라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하는 집진극(13)의 중앙 부분의 최하단부로 모이게 된다. 집진극(13)의 중앙 부분 하단으로 집중된 세정수는 배출 가이드(310)로 삽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집진극(13)의 하단에 지지 헹어(350) 및 배출 가이드(310)가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최소한으로 방해하면서 세정수를 안정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불순물이 포함된 세정수가 냉각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2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잘라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4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4000)는 세정수 공급부(4300), 덕트(4200) 구조 및 차단부재(4600)가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집진 모듈(100)의 상부에는 세정수 공급부(4300)가 설치되며 세정수 공급부(4300)는 수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정수 공급부(4300)의 하면에는 노즐이 설치되며 노즐은 기 설정된 주기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덕트(4200)에는 하부로 돌출된 지지 용기(4450)가 설치되고, 지지 용기(4450) 내부에 세정수 처리부(4400)가 배치된다. 또한, 덕트(4200)에는 세정수 처리부(4400) 상부 공간의 개폐를 제어하는 차단부재(4600)가 설치된다.
차단부재(4600)는 집진 모듈(400)과 세정수 처리부(4400) 사이에 설치된다. 차단부재(4600)는 덕트(4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차단 플레이트(4620)와 차단 플레이트(4620)의 폭방향 중심에 연결된 회전 기둥(461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기둥(4610)에는 회전 기둥(461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단부재(4500)는 회전 기둥(46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차단 플레이트(4610)가 지면과 수평으로 배치되면 차단 플레이트(4620)들의 측단이 맞닿아 집진 모듈(100)이 위치하는 공간과 세정수 처리부(4400)가 위치하는 공간이 분리된다. 또한, 세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차단 플레이트(4620)가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세정수가 집진 모듈(100)에서 세정수 처리부(4400)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제4 실시예와 같이 차단부재(4600)가 설치되면 공기의 유동이 세정수 처리부(4400)에 의하여 방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3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5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은 제1 세팅 빔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 장치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세팅 빔(540)은 방전극(12)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제1 세팅 빔(540)에는 방전극(12)의 측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 슬롯(543)이 형성된다. 제1 세팅 빔(540)에는 제1 보강 막대(121)가 삽입 설치되는데, 제1 보강 막대(121)는 제1 세팅 빔(54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제1 보강 막대(121)의 하단은 제1 세팅 빔(540)에 지지된다.
제1 세팅 빔(540)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관형상의 지지관(541)과 지지관(541)의 하단에 고정된 하부 지지판(542)을 포함한다. 지지관(541)에 복수의 하부 슬롯(543)이 형성되며 하부 슬롯(543)에는 제1 보강 막대(121)와 방전극(12)의 측단이 삽입된다.
한편, 하부 지지판(542)은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지지관(54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된다. 하부 지지판(542)은 제1 보강 막대(121)의 하면과 맞닿아 제1 보강 막대(121)를 지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세팅 빔(540)과 방전극(12)을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집전 모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4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제1 세팅 빔과 방전극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6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은 제1 보강 막대(630)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모듈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방전극(12)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된 제1 보강 막대(630)을 포함하는데, 제1 보강 막대(630)는 제1 세팅 빔(14)에 결합되어 방전극(12)을 지지한다. 제1 보강 막대(630)는 방전극(12)의 양쪽 측단에서 돌출되도록 방전극(12)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제1 보강 막대(630)는 제1 세팅 빔(14)에 제1 용접부(651)를 매개로 접합될 수 있다.
제1 보강 막대(630)에는 상부로 돌출된 지지 돌기(631)가 형성된다. 지지 돌기(631)는 제1 세팅 빔(14)의 상단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제1 세팅 빔(14)에 용접으로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돌기(631)는 제1 세팅 빔(14)에 제2 용접부(652)를 매개로 접합된다.
제1 세팅 빔(14)은 방전극(12)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제1 세팅 빔(14)에는 방전극(12)의 측단이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 슬롯(143)이 형성된다. 제1 세팅 빔(14)에는 제1 보강 막대(630)가 삽입 설치되는데, 제1 보강 막대(630)는 제1 세팅 빔(14)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제1 보강 막대(630)의 하단은 제1 세팅 빔(14)에 지지된다.
제1 세팅 빔(14)은 하부 빔(141)과 하부 빔(141)에 결합되는 상부 빔(1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용접부(651)는 제1 보강 막대(630)에서 방전극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부분과 하부 빔(141)을 고정하고, 제2 용접부(652)는 지지 돌기(631)와 상부 빔(142)을 고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6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보강 막대(630)에 지지 돌기(631)가 형성되고 제1 보강 막대(630)가 제1 세팅 빔(14)과 제1 용접부(651) 및 제2 용접부(652)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방전극(12)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0, 2000, 3000, 4000: 공조 장치 1200, 2200, 3200, 4200: 덕트
1210, 2210. 3210: 유입구 1230, 2230, 3230: 배출구
1300, 2300, 3300, 4300: 세정수 공급부
1400. 2400. 4400: 세정수 처리부
1410: 수조 1420: 흡착 벨트
1430: 롤러 1450: 스크래퍼
1510, 2510, 3510: 프리 필터 1520, 2520, 3520: 카본 필터
1580, 2580, 3580: 열교환부 100: 집진 모듈
200: 프레임 어셈블리 12: 방전극
121, 630: 제1 보강 막대 13: 집진극
131: 제2 보강 막대 16: 제1 타이 로드
17: 제2 타이 로드 14, 540: 제1 세팅 빔
142: 상부 빔 143, 543: 하부 슬롯
15: 제2 세팅 빔 151: 하판
152: 측판 153: 상판
154: 지지판 18: 중앙 세팅 빔
30: 하부 프레임 35: 거치대
40: 절연 연결부재 41: 하부 절연 애자
42: 단자봉 43: 앵커
46: 거치대 48: 관형 거더
49: 퍼지 공기 공급관 51: 하부 지지대
61: 외측 상부 지지대 611: 전면판
612: 후면판 613: 지지판
615: 결합판 617: 보강 리브
63: 중앙 상부 지지대 631, 632: 벽면
633: 지지면 70: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
71: 가압 막대 72: 가압 지지대
73: 케이싱 75: 절연 애자
310: 배출 가이드 330: 헹어 고정 막대
350: 지지 헹어 2600: 자외선 처리부
2610: 자외선 조사부 2630: 광촉매 반응기
4600: 차단부재 4610: 회전 기둥
4610: 차단 플레이트
1210, 2210. 3210: 유입구 1230, 2230, 3230: 배출구
1300, 2300, 3300, 4300: 세정수 공급부
1400. 2400. 4400: 세정수 처리부
1410: 수조 1420: 흡착 벨트
1430: 롤러 1450: 스크래퍼
1510, 2510, 3510: 프리 필터 1520, 2520, 3520: 카본 필터
1580, 2580, 3580: 열교환부 100: 집진 모듈
200: 프레임 어셈블리 12: 방전극
121, 630: 제1 보강 막대 13: 집진극
131: 제2 보강 막대 16: 제1 타이 로드
17: 제2 타이 로드 14, 540: 제1 세팅 빔
142: 상부 빔 143, 543: 하부 슬롯
15: 제2 세팅 빔 151: 하판
152: 측판 153: 상판
154: 지지판 18: 중앙 세팅 빔
30: 하부 프레임 35: 거치대
40: 절연 연결부재 41: 하부 절연 애자
42: 단자봉 43: 앵커
46: 거치대 48: 관형 거더
49: 퍼지 공기 공급관 51: 하부 지지대
61: 외측 상부 지지대 611: 전면판
612: 후면판 613: 지지판
615: 결합판 617: 보강 리브
63: 중앙 상부 지지대 631, 632: 벽면
633: 지지면 70: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
71: 가압 막대 72: 가압 지지대
73: 케이싱 75: 절연 애자
310: 배출 가이드 330: 헹어 고정 막대
350: 지지 헹어 2600: 자외선 처리부
2610: 자외선 조사부 2630: 광촉매 반응기
4600: 차단부재 4610: 회전 기둥
4610: 차단 플레이트
Claims (20)
-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덕트;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된 프리필터;
상기 프리 필터의 후방에 배치되며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방전극과 상기 방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접지되는 집진극을 포함하는 집진 모듈;
상기 집진 모듈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공급부;
상기 덕트에 고정되어 상기 집진 모듈을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및
상기 집진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집진 모듈에서 낙하하는 세정수를 수용하는 세정수 처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집진 모듈에 가압력을 적용한 상태에서 상기 덕트 내부에 고정되는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prestress locking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에는 차단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집진 모듈과 상기 세정수 처리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수 처리부 상부 공간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된 절연 애자와 상기 절연 애자에 결합 설치되며 하부로 돌출된 가압 막대와 상기 가압 막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집진 모듈을 가압하는 가압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 -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덕트;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된 프리필터;
상기 프리 필터의 후방에 배치되며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방전극과 상기 방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접지되는 집진극을 포함하는 집진 모듈;
상기 집진 모듈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공급부; 및
상기 덕트에 고정되어 상기 집진 모듈을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집진 모듈에 가압력을 적용한 상태에서 상기 덕트 내부에 고정되는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prestress locking member)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방전극에 고정되되 상기 집진극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1 타이 로드와 상기 집진극에 고정되되 상기 방전극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2 타이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타이 로드들 중 일부가 고정되는 복수의 상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는 상기 상부 지지대를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처리부는,
상기 세정수를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수용되며 무한 궤도 형태로 이어져 형성된 흡착 벨트와,
상기 흡착 벨트와 연결되어 상기 흡착 벨트를 이동시키는 롤러와,
상기 흡착 벨트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서 상기 흡착 벨트에서 이탈시키는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벨트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벨트의 일부는 상기 세정수에 잠기고 상기 흡착 벨트의 다른 부분은 상기 세정수보다 더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수조의 바닥에서 세워져 설치된 지지 유닛과 상기 지지 유닛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탄성을 갖는 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봉과 상기 회전 봉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되 회전 봉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패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 - 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덕트;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된 프리필터;
상기 프리 필터의 후방에 배치되며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방전극과 상기 방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접지되는 집진극을 포함하는 집진 모듈;
상기 집진 모듈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공급부; 및
상기 덕트에 고정되어 상기 집진 모듈을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집진 모듈에 가압력을 적용한 상태에서 상기 덕트 내부에 고정되는 프리스트레스 락킹부재(prestress locking member)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어 집진 모듈에서 낙하하는 세정수를 수용하는 세정수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정수 처리부는, 상기 세정수를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수용되며 무한 궤도 형태로 이어져 형성된 흡착 벨트와, 상기 흡착 벨트와 연결되어 상기 흡착 벨트를 이동시키는 롤러와, 상기 흡착 벨트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서 상기 흡착 벨트에서 이탈시키는 스크래퍼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흡착 벨트의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지지 롤러와 상기 지지 롤러들 사이에 배치되되 하부에 배치된 흡착 벨트가 굽어지도록 지지하는 제1 방향 전환 롤러와 제2 방향 전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래퍼가 위치하는 공간과 나머지 공간을 분리하는 차단벽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방향 전환 롤러에 의하여 상기 흡착 벨트의 하단은 상기 차단벽의 상단보다 더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래퍼의 하부에는 분리 용기가 설치되고, 상기 분리 용기는 상기 차단벽에 의하여 분리된 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덕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차단 플레이트와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폭방향 중심에 연결된 회전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기둥에는 상기 회전 기둥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방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하부 슬롯을 갖는 제1 세팅 빔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방전극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세팅 빔을 통해서 상기 방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하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하부 절연 애자와 상기 하부 절연 애자를 관통하는 단자봉을 갖는 절연 연결부재, 상기 덕트의 벽면에 고정되되 복수의 상기 절연 연결부재를 삽입하는 관형 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절연 연결부재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 절연 애자는 상기 관형 거더 내부에 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극에는 상기 방전극의 폭 방향으로 이어진 제1 보강 막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보강 막대는 상기 방전극의 양쪽 측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세팅 빔에 지지되며, 상기 제1 보강 막대는 상기 제1 세팅 빔에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모듈은 상기 집진극이 삽입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집진극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2개의 제2 세팅 빔과 상기 제2 세팅 빔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극의 상단을 삽입하는 중앙 세팅 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극에는 제2 보강 막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보강 막대는 상기 제2 세팅 빔에 형성된 슬롯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2 세팅 빔에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모듈의 후방에는 활성탄을 포함하는 카본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모듈의 후방에는 면광원으로 이루어진 자외선 조사부와 광촉매가 코팅된 광촉매 반응기를 포함하는 자외선 처리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극의 하면에는 다른 부분보다 더 아래에 위치하여 세정수가 집중되는 최하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최하단부의 직하방에는 상기 집진극에서 흘러 내리는 세정수가 수용되는 채널을 형성하는 배출 가이드가 설치되되, 상기 배출 가이드는 상기 집진극의 적층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 -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가이드는 중앙 부분의 바닥 높이가 측단의 바닥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유입되는 세정수를 상기 배출 가이드의 길이방향 양쪽 측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 -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극의 하부에는 고정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홀에는 헹어 고정 막대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헹어 고정 막대에는 상기 배출 가이드를 지지하는 지지 헹어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지지 헹어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집진극의 하부를 삽입하는 복수의 연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돌기에는 상기 헹어 고정 막대가 삽입되는 지지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8766A KR102248274B1 (ko) | 2019-07-01 | 2019-07-01 | 공조 장치 |
CN202010273083.7A CN111947239B (zh) | 2019-05-14 | 2020-04-09 | 空调系统用集尘装置及包含该集尘装置的空调装置 |
US16/856,004 US11654386B2 (en) | 2019-05-14 | 2020-04-22 | Electrostatic precipitat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8766A KR102248274B1 (ko) | 2019-07-01 | 2019-07-01 | 공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3338A KR20210003338A (ko) | 2021-01-12 |
KR102248274B1 true KR102248274B1 (ko) | 2021-05-06 |
Family
ID=7412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8766A KR102248274B1 (ko) | 2019-05-14 | 2019-07-01 | 공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8274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07637A (ja) * | 1998-10-01 | 2000-04-18 |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 電気集塵装置と排煙処理システム |
JP2009034599A (ja) * | 2007-08-01 | 2009-02-19 | Panasonic Corp | 電気集塵装置 |
JP2009095799A (ja) * | 2007-10-18 | 2009-05-07 | Midori Anzen Co Ltd | 電気集塵機 |
JP2013212455A (ja) * | 2012-04-02 | 2013-10-17 | Amano Corp | 電気集塵機 |
JP2016209791A (ja) * | 2015-04-30 | 2016-12-15 | 株式会社オーデン | 空気清浄機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8945B1 (ko) | 2002-12-23 | 2007-03-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조기 집진 장치 |
KR20100091734A (ko) * | 2009-02-11 | 2010-08-19 | 이은관 | 공기정화기 |
KR20170076944A (ko) * | 2015-12-24 | 2017-07-05 | (주)에코솔루텍 | 수평형 습식 전기집진기의 수막형성장치 |
-
2019
- 2019-07-01 KR KR1020190078766A patent/KR1022482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07637A (ja) * | 1998-10-01 | 2000-04-18 |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 電気集塵装置と排煙処理システム |
JP2009034599A (ja) * | 2007-08-01 | 2009-02-19 | Panasonic Corp | 電気集塵装置 |
JP2009095799A (ja) * | 2007-10-18 | 2009-05-07 | Midori Anzen Co Ltd | 電気集塵機 |
JP2013212455A (ja) * | 2012-04-02 | 2013-10-17 | Amano Corp | 電気集塵機 |
JP2016209791A (ja) * | 2015-04-30 | 2016-12-15 | 株式会社オーデン | 空気清浄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3338A (ko) | 2021-0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947239B (zh) | 空调系统用集尘装置及包含该集尘装置的空调装置 | |
KR102209792B1 (ko) | 집진탑 | |
KR101005636B1 (ko) |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이용한 유해가스 및 복합악취 제거용 정화시스템 | |
KR100317798B1 (ko) | 공기정화장치 | |
CN111974547B (zh) | 水平型集尘装置及利用该水平型集尘装置的集尘方法 | |
CN111905927B (zh) | 集尘装置 | |
KR102230219B1 (ko) | 공조 시스템용 집진 장치 | |
JP2012525258A (ja) | 湿式空気浄化装置 | |
KR102209791B1 (ko) | 수평형 집진 장치 | |
US1129201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ication of air | |
KR102214470B1 (ko) | 분무노즐을 이용해 집진판의 세척이 가능한 공기정화장치 | |
KR102244644B1 (ko) | 공조 장치 | |
CN102836611B (zh) | 空气净化器 | |
KR101544387B1 (ko) | 공기 청정 장치 | |
KR20110001637A (ko) | 공기정화장치 | |
CN202803044U (zh) | 空气净化器 | |
KR102248274B1 (ko) | 공조 장치 | |
KR101667235B1 (ko) | 오존 활성화 반응존을 갖는 탈취 유니트 | |
KR20100123787A (ko) | 일체형 악취제거 시스템 | |
KR20200129656A (ko) | 집진 장치 | |
KR200328357Y1 (ko) | 광촉매필터유니트 및 그를 적용한 공기정화기 | |
CN216384483U (zh) | 集尘模块及净化器 | |
KR101295506B1 (ko) | 광촉매와 음이온을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 |
KR20040108481A (ko) | 광촉매필터유니트 및 그를 적용한 공기정화기 | |
KR102213753B1 (ko) | 집진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