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497A -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구비한 횡편기 - Google Patents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구비한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497A
KR19990023497A KR1019980032478A KR19980032478A KR19990023497A KR 19990023497 A KR19990023497 A KR 19990023497A KR 1019980032478 A KR1019980032478 A KR 1019980032478A KR 19980032478 A KR19980032478 A KR 19980032478A KR 19990023497 A KR19990023497 A KR 19990023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movable plate
plate
needle
loop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8553B1 (ko
Inventor
마사히로 시마
Original Assignee
마사히로 시마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키세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사히로 시마,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키세사쿠쇼 filed Critical 마사히로 시마
Publication of KR19990023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5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2Loop-transfer poi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0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 양 니들 베드의 트릭 갭측 선단에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수용하는 홈을 형성하여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설치한다.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는 선단에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형성하여 스프링에 의하여 트릭 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수단에 의하여 니들 베드의 트릭 갭 하방에 형성된 지점을 중심으로 진퇴이동한다.

Description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구비한 횡편기
본 발명은 적어도 전후 한쌍의 니들 베드를 갖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전후 양 니들 베드 사이의 개구부(開口部) 중심을 향한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가 니들 베드의 트릭 갭(trick gap) 측에 형성되어,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가 전후 양 니들 베드 사이의 개구부중심을 향하여 가장 진출한 진출위치와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가 가장 후퇴한 후퇴위치 사이에서 진퇴이동될 수 있도록 유지되는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바늘 사이에 형성시킨 횡편기에 관한 것이다.
니들 베드가 전후 한쌍으로 마주보며 배치된 2장의 베드 횡편기에 있어서, 앞쪽의 편성포와 뒤쪽의 편성포가 그 양단에서 연결된 상태로 편성되는 원통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니들 베드상에 앞쪽 편성포 편성용의 바늘과 뒤쪽 편성포 편성용의 바늘을 교대로 배치하여, 대향하는 전후 한쌍의 바늘 중 한쪽 바늘만이 루프와 결합된 상태로 편성되는 편성방법이 특공평 3-75656(Japanese Patent Hei 3-75656)에 개시되어 있다. 이 편성방법에서는 앞쪽 니들 베드의 바늘을 하나씩 건너뛰면서 이용하여 앞쪽 편성포를 편성하고 뒤쪽 니들 베드의 바늘을 하나씩 건너 뛰면서 이용하여 뒤쪽 편성포를 편성하며, 루프형성에 사용되는 하나씩 건너 뛴 바늘 사이에 배치된 공침(空針)을 이용하여 전후 니들 베드 사이에서 한코씩 이동하면서 원통형 편성포를 성형편성하여, 성형된 편성포끼리 접속시킴으로써 편성 완료후의 봉제공정이 필요치 않거나 혹은 큰폭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무봉제 니트로 불리우는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이 편성방법은 앞쪽 편성포 및 뒤쪽 편성포 편성에 있어서 니들 베드상에서 바늘을 하나씩 건너 뛰면서 사용하여 편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것을 하프 편성이라 부르며, 이것은 소위 공침을 사용한 것으로서 전후 니들 베드의 쌍방을 합쳐도 편성에 사용되는 바늘은 베드에 배치된 바늘의 2배의 피치가 된다. 모든 바늘을 사용하는 편성을 풀 편성이라 부르는데, 평편(平編 ; plain stitch)인가 리브 편성(rib 編成)인가의 문제가 아닌 전후 니들 베드의 합계에 있어서 편성에 사용되는 바늘은 니들 베드에 배치된 피치와 같다. 하프 편성에서는 한쪽 편성포 편성에 사용되는 바늘 사이에 또 다른 한쪽의 편성포(앞쪽 편성포 또는 뒤쪽 편성포) 편성에 사용되는 바늘과 2장의 싱커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편성된 편성포는 니들 루프(needle loop)에 비하여 싱커 루프(sinker loop)가 커 편성포의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개평 7-258945(Japanese Provisional Patent Hei 7-258945, E P 672770A)에는 전후 한쌍의 니들 베드를 갖는 횡편기에 있어서 인접하는 한쌍의 싱커 플레이트 사이에 제1, 제2바늘을 배치하여, 앞쪽 편성포의 편성에 제1바늘을 사용하고 뒤쪽 편성포의 편성에 제2바늘을 사용하여 편성되는 횡편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개평 7-258945에 개시되어 있는 횡편기에서는 바늘 2개에 걸러 싱커플레이트가 형성되므르 하프 편성을 하여도 싱커 루프에 2장의 싱커 플레이트가 작용하는 일 없이 싱커 루프와 니들 루프의 균형이 깨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하프 편성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특개평 7-258945에 개시되어 있는 횡편기에서는 하프를 편성함으로써 니들 루프와 싱커 루프의 균형이 잡히도록 구성되어 풀 편성에서는 웰(well) 사이의 간격이 불균일해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고정식 싱커 또는 가동식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에서는 한쪽의 니들 베드만을 사용하여 편성하는 평편조직 등의 편조직과 전후 양 니들 베드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하는 리브 편조직 등의 편조직이 동일 코스내에 혼합되어 있을 경우, 한 쪽의 니들 베드 만을 사용하여 편성되는 편조직 부분의 싱커 루프에 비하여 전후 니들베드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편조직 부분의 싱커 루프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에 있어서 전후 양 니들 베드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되는 편조직에서는 전후 양 니들 베드의 트릭 갭 사이에 걸쳐있는 편사(編絲)가 싱커 루프에 흡수되는 것에 비하여 한 쪽의 니들 베드의 바늘만을 사용하여 편성되는 편조직에서는 이 트릭 갭 사이에 걸쳐있는 편사에 상당하는 부분이 없어 그 차가 싱커 루프의 길이의 차로서 나타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하프 편성과 풀 편성 양방에 있어서 싱커 루프와 니들 루프 크기의 균형이 깨지는 것을 억제하여 편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평편조직과 같이 전후 어느 한쪽의 니들 베드만을 사용하여 편성하는 편조직과, 리브 편조직과 같이 전후 양방의 니들 베드를 사용하여 편성하는 편조직을 편성할 경우에 편조직이 다른 부분 사이의 싱커루프의 크기의 차를 조정하는 것도 목적의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후 한쪽만의 니들 베드를 사용하는 편성조직과 전후 쌍방의 니들 베드를 사용하는 편성조직으로, 조직간의 싱커 루프 길이의 발란스를 니들 베드의 부착위치를 바꾸는 일 없이 조정하는 것도 목적의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편성에 사용되는 편사의 성질이나 그 다른 편성조건을 따라 가동 루프형성 가장자리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싱커 루프의 압력량을 조정하여 원하는 촉감을 실현시키는 것도 목적의 하나이다.
도1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 하프 편성(half 編成)할 때의 니들 베드의 평면도,
도2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니들 베드와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2-a는 도1의 X-X선이 위치하는 곳에 있어서의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 도2-b, 도2-c는 도2-a의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와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를 발췌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하프 편성할 때의 캠 유닛(cam unit) 및 버트(butt)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
도4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풀 편성(full 編成)할 때의 니들베드의 평면도,
도5는 도4의 Y - Y 방향의 단면도,
도6은 풀 편성시의 캠 유닛 및 버트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
도7은 제2실시예에 있어서 니들 베드와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7-a는 니들베드의 단면도, 도7-b 및 도7-c는 도2-a의 루프형성 고정플레이트와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발췌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8은 제2실시예에 있어서 하프 편성시의 캠 유닛 및 버트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
도9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풀 편성시의 캠 유닛 및 버트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제3실시예에 있어서 니들 베드와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10-a는 니들베드의 단면도, 도10-b는 도10-a의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발췌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제4실시예에 있어서 니들 베드와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와 유지부재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11 - a는 니들 베드의 평면도, 도11 - b, 도11-a의 Z-Z 방향의 단면도, 도11-c는 가동 싱커 플레이트(可動 sinker plate)를 나타내는 도면, 도11 - d는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 및 유지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5, 301 : 니들 베드(needle bed)
5, 24, 45, 313, 323, 333 : 홈
9, 115 : 바늘 홈 11, 353 : 바늘
15a :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15b :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17a, 17b, 109, 129, 341 :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
23 : 탄성 레그(彈性 leg)
101, 305 :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303 : 가동 싱커 플레이트(可動 sinker plate)
327 : 편사 결합부(編絲 結合部) 329 : 선단부(先端部)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구비한 횡편기는, 적어도 한쌍의 니들 베드를 구비하여, 적어도 그 한쪽의 니들 베드가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음으로써 각 니들베드의 상면에 형성된 바늘 홈내에 다수의 바늘이 자유로이 진퇴하도록 유지되고 상기 바늘의 두부가 니들 베드 사이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한 횡편기에 있어서,
상기 각 니들 베드에 판상인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바늘과 평행하게 다수 형성함과 아울러
각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측 선단부 부근에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각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바늘 진퇴방향으로 진퇴이동시키는 제어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바늘이 진퇴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진퇴이동시킴으로써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가 진퇴할 때에 싱커 루프의 압력에 적합한 바늘이 진퇴하는 방향을 따라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 진퇴궤적을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니들 베드의 개구부측 선단부 하면에 형성된 홈에 수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가 진퇴이동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로서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와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의 2종류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어수단에 있어서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진퇴이동시키기 위한 제1제어수단과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진퇴이동시키기 위한 제2제어수단의 두 종류를 형성하여,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작용위치로 제어하고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비작용 위치로 제어하여 하나씩 건너 뛴 바늘에 급사하여 편성하는 하프 편성과,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함께 작용위치로 제어하고 각 바늘에 급사하여 편성하는 풀 편성으로 모두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풀 편성 및 하프 편성 양방을 싱커루프와 니들 루프의 균형이 깨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편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니들 베드에 있어서, 바늘 2개 중 1개에 상기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형성하고 남는 바늘에 대하여 루프형성 고정 플레이트를 형성하여,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진출시켜 하나씩 건너 뛴 바늘에 급사하여 편성하는 하프 편성과,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후퇴시켜 각 바늘에 급사하여 편성하는 풀 편성으로 모두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풀 편성 및 하프 편성 양방을 싱커 루프와 니들 루프의 균형이 깨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편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선단에 바늘 사이에 걸쳐있는 편사를 결합시키는 편사 결합부를 형성하고, 니들 베드 사이의 개구부 중심에 대하여 진퇴이동할 수 있으며 바늘의 상승에 따른 본래 루프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가동 싱커 플레이트를 상기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와 겹쳐 배치시키고,
가동 싱커 플레이트의 진퇴이동과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의 진퇴이동에 의하여 상기 편사 결합부와 상기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가 십자형이 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편사 결합부에 결합되는 편사를 가동 싱커 플레이트의 편사 결합부에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가동 싱커 플레이트로부터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로서의 기능을 제거하고 루프를 하강시키는 목적만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가동 싱커 플레이트의 형상·이동궤적을 루프의 하강에 적절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수단에 있어서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 진출위치를 복수단계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하면 코스단위 혹은 편성포 단위로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의 진출량을 변화시켜 싱커 루프의 길이를 짧게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예를들어 다른 편조직 사이의 싱커 루프의 길이의 차를 작게 함으로써 편조직이 다른 부분 사이에 있어서의 편성포의 촉감이 급격하게 변한다든지 부분적으로 촉감이 다른 부분이 형성되는 일 없이 상품가치가 높은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또한 편사의 성질이나 편성포의 감아 내리는 장력 등의 편성조건에 따라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의 진출량을 조정하면 녹 오버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어, 그 결과 원하는 촉감의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압력수단에 의하여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상기 개구부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상기 개구부 중심으로 전진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하면 압력수단은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가 니들 베드 사이의 개구부 중심을 넘어 진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대향하는 니들 베드 선단부의 바늘이나 루프 형성 플레이트와의 간섭을 방지함과 아울러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진출시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 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후퇴시키는 방향에 있어서 제어수단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 니들 베드의 상기 개구부측 선단부 하면에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의 회전지점을 형성하여 그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와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탄성 레그를 상기 압력수단으로서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형성하고, 그 탄성 레그를 니들 베드의 개구부측 선단부 하면에 닿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편성상 장애가되는 편성을 니들 베드상이나 편성포의 하강 궤적내에 만들지 않고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횡편기의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니트(knit)또는 미스(mis)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는데, 코뜨기 기능이나 주름편성 기능을 구비한 일반적인 횡편기로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면 편조직, 양면 편조직에 관계없이 니들 루프 사이에 연장되는 부분을 싱커 루프라 부른다.
(제1실시예)
도1∼도6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의 횡편기에서는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15b)를 작용위치(作用位置)와 비작용 위치(非作用 位置)의 사이에서 진퇴이동시켜 편성하고, 모든 바늘을 루프 형성에 사용하는 풀 편성과 바늘을 하나씩 건너 뛰면서 루프 형성에 사용하는 하프 편성의 양방을 싱커 루프와 니들 루프의 균형이 깨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편성한다. 도1은 하프 편성시 니들 베드(1)의 평면도, 도2-a는 도1의 X-X방향의 단면도이며, 도2-b, 도2-c는 도2-a로부터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와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캠 유닛 및 버트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1 및 도3에서는 알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니들 플레이트(needle plate) 및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생략하여 나타낸다.
제1실시예의 횡편기에서는 니들 베드 기판(3)상에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홈(5)내에 니들 플레이트(7)를 형성한다. 인접하는 한쌍의 니들 플레이트(7,7) 측면과 니들 베드 기판(3)의 상면으로 구성되는 오목 모양의 바늘 홈(9) 내에 바늘(11)을 자유롭게 진퇴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유지시키는 니들 베드(1)를 바늘(11)의 선단이 근접하는 상태로 전후 한쌍으로 대향하여 배치시킨다. 니들 베드(1)의 트릭 갭측 선단에, 전후 쌍방의 니들 베드(1)의 길이방향으로 전역에 걸쳐 형상이 다른 제1, 제2루프 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15b)를 바늘 사이에 교대로 배치한다. 전후 니들 베드(1,1)는 대칭으로서, 이하 한쪽의 니들 베드만을 설명한다.
도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15b)는 니들 베드의 트릭 갭측에 형성되어 전후 양 니들 베드 사이의 개구부(트릭갭)의 중심(C-C)방향을 향하고 있다. 도2-b, 도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15b)는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7a, 17b)와 축공(軸孔)(21)과 굴곡된 탄성 레그(23)를 구비하여 니들 베드 선단의 홈(24) 내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시킨다.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7a, 17b)는 바늘 사이에 걸쳐져 있는 편사에 대하여 압력작용을 하고 축공(21)은 니들 베드(1)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와이어(wire)(19)에 지지되어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15b)의 회전지점이 된다(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및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의 공통부분에는 공통부호를 붙임).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15b)에 있어서 탄성 레그(23) 선단의 오목부(25)를 니들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걸쳐서 장착된 와이어(27)에 결합시켜,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7a, 17b)를 전후 니들 베드 사이의 개구부 중심(C-C)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본 실시예의 횡편기에서는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의 회전지점을 니들 베드의 트릭갭측 하면에 형성하여,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7a, 17b)를 회전에 의하여 바늘(11)의 진퇴방향으로 진퇴이동시킨다. 또한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15b)가 트릭 갭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압력수단을 니들 베드의 이면에 형성하므로, 니들 베드 상면이나 편성된 편성포의 하강 경로내에 압력수단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15b)는, 그 후단에 버트의 위치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29a,29b)에 닿는다.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가 진퇴이동하면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는 개구부의 중심(C-C)을 향하여 진퇴이동한다.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29a,29b)는 후술하는 바늘(11)의 슬라이더 컨트롤 잭(slider control jack)(31)의 상방에 진퇴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니들 베드(1)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형성된 더브테일(dovetail) 모양의 홈(33)에 압력판(35)이 장착된다. 이렇게 하면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29a,29b)는 진퇴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고 바늘 홈내로부터 탈락되지 않고 유지된다.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15b)에 있어서,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는 선단에 직선형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7a)가 형성되고, 제2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는 오목모양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7b)가 형성된다.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29a)에는 컨트롤 버트(control butt)(37a)가 형성되고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29b)에는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보다도 후방의 위치에 컨트롤 버트(3건)가 형성된다. 또한 39 ,41은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29a,29b)의 이동범위를 규정하는 규제편(規制片)이다.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및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는, 가장 후퇴한 위치에 있는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7a)와 가장 진출한 위치에 있는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7b)는 바늘이 진퇴하는 방향의 가장 끝부분이 측면에서 볼 때에 겹치도록 형성된다.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29a, 29b)는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에 있어서 좌측으로 굴곡되어 그 선단에서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15b)와 접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횡편기의 바늘(11)은 바늘 본체부(53)와 슬라이더(slider)(43)와 슬라이더 컨트롤 잭(31)으로 구성된다. 바늘 본체부(53)는 슬라이더(43)가 홈(45) 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유지시키고, 후방에 있어서 셀렉터 잭(select jack)(47)의 연결부(49)와 연결용 오목부(51)로 연결된다. 또한 바늘 본체부(53)는 선단에 훅(54)이 형성된다. 슬라이더(43)에는 선단에 루프 결합부(55)가 형성되고 후방부에 컨트롤 버트(57)가 형성된다. 슬라이더 컨트롤 잭(31)은 슬라이더(43)와 일체로 연결되어 후부에 컨트롤 버트(59)가 형성된다. 셀렉터 잭(47)의 상면에 컨트롤버트(63)를 형성한다. 캐리지(carriage)(61)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프레스기로 컨트롤 버트(63)를 누르면 컨트롤 버트(63)는 니팅 캠(knitting cam)(93)과 결합되지 않은 바늘 홈내로 들어간다. 셀렉터 잭(47)은 도시하지 않은 공지(公知)의 선택수단에 의하여 니트 또는 미스로 선택된다. 또한 67은 니들 베드 기판(3)과 니들 플레이트(7)를 고정시키는 와이어이며, 69는 셀렉터 잭(47)을 바늘 홈내로 유지시키기 위한 와이어이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되는 바늘(11)은 모두 똑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설명을 알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도1에 있어서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의 좌측에 배치되어 하프 편성시 진출하는 바늘(11a)을 제1바늘로 표현하고,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 좌측에 배치되어 하프 편성시 후퇴위치에 유지되는 바늘(11b)을 제2바늘로 표현하여, 제1바늘(11a)과 제2바늘(11b)을 교대로 배치한다.
도3에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횡편기의 캠 유닛(71)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화살표(L)는 캐리지의 진행방향을 나타내고 도2-a는 도3의 V-V선이 위치하는 곳의 니들베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3에서는 풀 편성시의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29a)의 컨트롤 버트(37a)를 검정 버트로 나타내고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29b)의 컨트롤 버트(37a)를 검정 버트로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하프 편성에 있어서 도3에서는 슬라이더 컨트롤 잭(31) 및 셀렉터 잭(47)의 버트 중에서 니트로 선택된 제1바늘(11a)의 컨트롤 버트(59a,63a)를 검정 버트로 나타내고 미스로 선택된 제2바늘(11b)의 컨트롤 버트(59b,63b)를 흰 버트로 나타낸다.
니들 베드상을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61)상에 형성되는 캠 유닛(71)에는,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29a, 29b)를 제어하는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컨트롤 캠의 집단, 슬라이더 컨트롤 잭을 제어하는 슬라이더 캠의 집단, 셀렉터 잭을 제어하는 니팅 캠 집단이 형성된다. 이들 캠에 의하여 상방으로부터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의 통로(Ⅰ),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의 통로(Ⅱ), 슬라이더 컨트롤 잭의 통로(Ⅲ), 셀렉터 잭의 통로(Ⅳ)가 구성된다.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컨트롤 캠의 집단은 고정식 어퍼 캠(upper cam)(75), 미들 캠(middle cam)(77), 보톰 캠(bottom cam)(79)과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29a)를 진퇴이동시키는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컨트롤 캠(81a, 81b)과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29b)를 진퇴이동시키는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컨트롤 캠(83a, 83b)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더 컨트롤 캠(slider control cam)의 집단은 고정식 슬라이더 가이드캠(85)과 좌우 한쌍의 슬라이더 가이드 캠(slider guide cam)(87a, 87b)으로 이루어진다. 니팅캠 집단은 고정식 센터 레이징 캠(center raising cam)(89)과 가이드캠(91)과 양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좌우 한쌍의 니팅 캠(93a, 93b) 및 그 밖의 가이드 캠(95a, 95b, 97a, 97b)으로 이루어진다.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15b)는 바늘(11)과 동기하여 동작하고, 니팅 캠(93a, 93b)에 의하여 바늘(11)이 스티치 루프를 형성할때에 편사를 규제하여 싱커 루프의 크기를 조정한다. 또한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는 평편조직에 대하여 작용하고 리브조직에 대해서는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횡편기의 다른 구성은 일반적인 횡편기와 공통이므로, 이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횡편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하프 편성을 할 경우를 설명한다. 하프 편성에서는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를 편사(99) 쪽으로 압력을 작용시키는 작용위치(作用位置)로 제어하고,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를 편사(99)쪽으로 압력을 작용시키지 않는 비작용 위치로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컨트롤 캠(81a, 81b)을 작용위치로 제어하고,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컨트롤 캠(83a, 83b)을 비작용 위치로 제어함으로써,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가 진출위치로 제어되고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가 후퇴위치로 제어된다. 제1바늘(11a)을 니트, 제2바늘(11b)을 미스로 하여 제1바늘(11a)에 연속적으로 급사하여 하프 편성을 한다. 하프 편성에 있어서 미스로 선침(選針)된 제2바늘(11b)은 도시하지 않은 프레스기 기구에 의하여 셀렉터 잭(47)의 컨트롤 버트(63)가 바늘 홈 내로 들어가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집단과 닿지 않고 이동한다. 또한 니트로 선침된 제1바늘(11a)은 센터 레이징 캠(89)에 의하여 최상승 위치로 상승된 후 가이드 캠(91) 및 후행측의 니팅 캠(93b)에 의하여 하강한다. 실제의 편성에서는 캐리지의 진행방향에 있어서 선행측에 위치하는 컨트롤 캠(81a, 83a)에 의하여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15b)가 개구부의 중심(C-C)을 향하여 진퇴이동한다. 그러나 선행측의 컨트롤캠(81a, 83a)에 의한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15b)의 진퇴이동은 편성상의 의미를 갖지 않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후행측의 컨트롤 캠(81b, 83b)에의한 진퇴이동만을 설명한다.
니팅 캠(93b)에 의하여 바늘이 하강하는 과정에 있어서, 급사구(98)에 의하여 제1바늘(11a)의 훅(54)에 급사되고 계속해서 훅(54)내에 편사(99)를 결합시킨 제1바늘(11a)이 하강한다. 이 때 작용위치로 제어되는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컨트롤 캠(81b)에 의하여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가 전진위치(前進位置)로 제어된다. 이 때문에 제1바늘(11a)에 의하여 인입된 편사(99)는 작용위치에 있는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에 닿은 후 후퇴위치에 있는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에 닿는다. 이 때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는 비작용 위치에 위치하여 편사에 대하여 거의 밀어내는 동작없이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특개평7-258945에 개시되는 횡편기와 같은 구성이 된다. 따라서 싱커 루프와 니들루프의 균형이 깨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편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1∼도3에 대응하는 도4∼도6을 참조하여 풀 편성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4는 풀 편성시의 니들 베드의 평면도, 도5는 도4의 Y- Y방향의 단면도, 도6은 캠 유닛과 버트의 궤적을 나타내고, 여기서 도5는 도6의 W-W선이 위치하는 곳에 달하였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풀 편성에서는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및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를 함께 작용위치로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를 진퇴이동시키는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컨트롤 캠(81a, 81b)을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의 컨트롤 버트에 닿지 않는 비작용 위치로 제어하고,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를 진퇴이동 시키는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컨트롤 캠(83a, 83b)을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의 컨트롤 버트에 닿는 작용위치로 제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후퇴위치로 제어하고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전진위치로 제어하여,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와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가 측면에서 볼 때에 겹쳐지는 상태로 제1, 제2바늘을 이용하여 함께 편성한다. 캐리지(61)의 이동에 의하여 센터 레이징 캠(89)에 셀렉터 잭(47)의 버트(63a,63b)가 닿아 바늘 본체부(53)가 상승하고 바늘 본체부(53)에 밀려 슬라이더(43)도 상승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제2바늘(11a, 11b)의 슬라이더 컨트롤 잭(31)의 버트(59a, 59b)가 슬라이더 가이드 캠(87a)에 닿아 그 이상의 상승이 제한된다. 이 때 슬라이더(43)는 바늘(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하게 됨으로써 제1, 제2바늘(11a, 11b)의 훅(54)이 열린다.
제1, 제2바늘(11a, 11b)은 센터 레이징 캠(89)에 의하여 최상승 위치로 상승된 후 가이드 캠(91) 및 캐리지의 진행방향 후방측의 니팅 캠(93b)에 의하여 하강된다. 이 때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컨트롤 캠(83b)에 의하여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가 진출위치로 진출된다. 이 상태에서 캐리지(61)와 동행하는 급사구에 의하여 바늘(11)의 훅(54)내에 편사(99)가 급사된다. 또한 캐리지(61)가 이동하면 니팅 캠(93b)에 의하여 제1, 제2바늘(11a, 11b)이 하강한다. 이 때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가 후퇴위치로 제어되고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가 진출위치로 제어되어,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가 측면에서 볼 때에 겹치는 위치로 제어된다. 이 때문에 제1, 제2바늘(11a, 11b)에 의하여 인입된 편사(99)는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와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에 의한 싱커 루프의 압력량이 같게 형성되고 제1, 제2바늘(11a, 11b)로 싱커 루프 길이와 같은 루프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횡편기에서는 전후 양 니들 베드 사이의 개구부 중심(C-C)방향을 향한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가 니들베드의 트릭 갭측에 형성된다. 니들 베드의 트릭 갭 하방에 형성된 지점을 중심으로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7a, 17b)가,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7a, 17b)가 전후 니들 베드 사이의 개구부 중심을 향하여 가장진출한 진출위치와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7a, 17b)가 가장 후퇴한 후퇴위치 사이에서 지지되고, 니들 베드의 트릭 갭 선단부에 형성된 홈(24)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축지(軸支)된다. 그러므로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15b) 진퇴시 싱커 루프를 밀어내기에 가장 적합한 방향이 되는, 바늘이 진퇴하는 방향으로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7a, 17b)의 진퇴궤적을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15b)의 회전지점을 니들 베드의 하방에 형성하여 니들 베드의 트릭 갭측에 형성된 홈(24)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유지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편성상의 장애가 되는 구성을 니들 베드상이나 편성포의 하강 궤적내에 만들지 않고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15b)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작용위치로 제어하고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비작용 위치로 제어하는 하프 편성과,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함께 작용위치로 제어하는 풀 편성으로 절환하여 편성함으로써 하프 편성과 풀 편성 양방은 싱커 루프와 니들 루프의 균형이 깨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편성할 수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가 가장 후퇴한 위치와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가 가장 진출한 위치를 같은 위치로 하여,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와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의 이동범위를 바늘의 진출방향과 달리한다. 즉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서는 진출위치 및 후퇴위치의 양방으로 작용위치를 취하고,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서는 진출위치로 작용위치를 취하고 후퇴위치로 비작용 위치를 취하도록 구성하여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의 이동량을 작게 한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와 같이 구성할 필요는 없으므로, 예를 들어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15b)에 있어서 진출위치는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가 가장 진출한 위치로 하고 후퇴위치는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가 가장 후퇴한 위치로 함과 아울러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건트롤 캠의 진출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15b)의 작용·비작용을 절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프 편성에 있어서 니들 루프와 싱커 루프의 차가 허용범위가 되는 범위 내로, 편사(99)가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7b)와 접하는 위치에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의 후퇴위치를 설정하였으므로 플레이트 루프형성가장자리(1개)가 편사쪽으로 약간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7b)를 편사(99)에 완전히 닿지 않은 위치까지 후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풀 편성에 있어서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와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7a, 17b)가 측면에서 볼 때에 같은 위치가 되도록 제어하여 편성하였으나, 싱커 루프와 니들 루프의 차가 허용범위가 되는 범위 내에서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7a)와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7b)를 다른 위치로 제어하여 편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 모양이 다른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 15b)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가 같은 형상의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다음에 제2실시예를 도7∼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한 종류의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01)와 루프형성 고정 플레이트(103)를 바늘 사이에 교대로 배치한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싱커 루프와 니들루프의 균형이 깨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하프 편성과 풀 편성 양방을 편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2실시예 이후의 각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1실시예와 공통이므로 제1실시예와 같은 부분에는 제1실시예에서 사용한 부호와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횡편기의 측면도를 도7에 나타낸다. 도7-a는 제2실시예의 횡편기에 있어서 니들베드(105)의 단면도이며, 도7-b 및 도7-c는 도7-a로부터 루프형성 고정플레이트(103)와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01)와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107)를 발췌한 도면이다. 도8은 하프 편성시의 캠 유닛(108)을 나타내고 도9는 풀 편성시의 캠 유닛(108)을 나타낸다.
제2실시예의 횡편기에는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01)와 루프형성 고정 플레이트(103)를 바늘 사이에 교대로 배치시킨다.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01)에는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29)가 형성되며, 이것은 제1실시예에서 사용한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의 플레이트 루프형성가장자리(17a)와 같은 형상이다. 또한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01)가 가장후퇴한 위치는 제1실시예의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a)가 가장 후퇴한 위치보다 후방에 설정한다. 루프형성 고정 플레이트(103)에는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09)가 형성되며, 이것은 제1실시예에서 사용한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7b)와 같은 형상이다. 또한 루프형성 고정 플레이트(103)는 제1실시예의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가 가장 후퇴한 위치와 같은 위치에 형성한다.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01)는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107)의 버트(110)가 캠유닛(108)과 결합하여 진퇴조작된다. 루프형성 고정 플레이트(103)는 오목부(113, 119)를 니들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장착된 와이어(111, 117)에 결합시킴으로써 고정된다. 루프형성 고정 플레이트(103)가 장착되는 바늘 홈(115)내에는 스페이서(spacer)(120)가 래치 바늘(125)의 상면과 압력판(122) 사이에 장착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래치(latch)(121)의 회전에 의하여 훅(123)을 개폐하는 래치 바늘(125)을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는데, 제1실시예에서 사용한 복합침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래치바늘과 복합침 양방을 사용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캠 유닛은 도8 및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캠 유닛(71)으로부터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진퇴이동시키는 캠 및 슬라이더 컨트롤용 캠의 구성을 생략하고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컨트롤 캠보다도 스트로크(stroke)가 확대된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컨트롤 캠(127a, 127b)을 형성한다. 또한 도8은 하프 편성 하였을 때를 나타내며 도9는 풀 편성하였을 때를 나타낸다.
제2실시예의 횡편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하프 편성의 경우에는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컨트롤 캠(127a, 127b)을 작용위치로 제어하고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01)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29)를 루프형성 고정 플레이트(103)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09)보다도 진출한 진출위치로 제어한다. 그리고 제1바늘을 니트로 하고 제2바늘을 미스로 하여 하나씩 건너 뛴 제1바늘에 급사하여 니트한다. 루프형성 고정 플레이트(103)는 제1실시예의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5b)가 가장 후퇴한 위치와 같은 위치에 있으므로, 루프형성 고정 플레이트(103)에 의한 루프의 압력량이 적으므로 제1바늘에 공급된 편사에 의하여 형성된 루프는 싱커 루프와 니들 루프의 균형이 깨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편성할수 있다. 풀 편성의 경우에는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컨트롤 캠(127a, 127b)을 비작용 위치로 제어하고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01)를 같이 비작용 위치인 후퇴위치로 제어한다. 이러면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01)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29)와 루프형성 고정 플레이트(103)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109)를 측면에서 볼 때에 겹쳐지는 상태로 편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01)와 루프형성 고정 플레이트(103)에 의한 싱커 루프의 압력량을 같게 형성하고 제1, 제2바늘로 같은 싱커 루프 길이의 루프를 형성한다.
(제3실시예)
다음에 제3실시예를 도10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도10-a는 제3실시예의 횡편기에 있어서 니들 베드(203)의 단면도이며, 도10-b는 도10-a로부터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201) 및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205)를 발췌한 도면이다. 제3실시예에서는 모든 바늘 사이에 한 종류의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201)를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쪽의 니들 베드상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되는 편면 편조직(片面 編組織)과 전후 양 니들 베드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되는 양면 편조직을 동일 코스내에 형성하는 경우나 편면 편조직과 양면 편조직을 코스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편성하는 경우에, 편면 편조직 부분과 양면 편조직 부분에 있어서의 루프의 균형이 깨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편성한다. 본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201) 및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205)는 제2실시예의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101) 및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107)와 공통의 구성을 지닌다.
제3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캠 유닛은 제2실시예의 캠 유닛(108)과 같은 구성의캠 유닛이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2실시예에서 사용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예의 횡편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풀편성을 할 때에 편면 편조직에 의하여 편성되는 편성 코스나 편성포에서는, 예를 들어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컨트롤 캠(127a, 127b)을 비작용 위치로 제어한다. 이 때문에 편면 편조직의 싱커 루프는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양면 편조직으로 편성되는 편성 코스나 편성포 혹은 편면 편조직과 양면 편조직이 혼합되는 편성 코스나 편성포에서는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컨트롤 캠(127a, 127b)을 작용위치로 제어한다. 양면 편조직에있어서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는 싱커 루프에 거의 접촉하지 않고 편면 편조직에서만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는 작용한다. 그러므로 양면 편조직에 대하여 편면 편조직의 싱커 루프를 길게 하고 조직의 차에 의한 싱커 루프 길이의 차를 작게 한다.
편면 편조직만의 코스와 양면 편조직과의 혼합 코스인 쌍방이 있는 편성포의 경우, 혼합 코스에서는 편면 편조직의 싱커 루프를 연장시키고 편면 편조직만의 코스에서 싱커 루프를 통상값(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의 비작용)으로 하면 편성포 내에서의 스티치의 사이즈가 고르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혼합 코스가 있다면 편성포 전체에 대하여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작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컨트롤 캠(127a, 127b)이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205)의 이동량을 0,1의 2단계가 아닌 다계단으로 가변시키고, 편성에 사용되는 편사성질 등의 편성조건에 따라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위치가 바뀌면 편사가 바늘로 부터 벗어날 때의 녹 오버 타이밍(kock over timing)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녹 오버되기 쉽거나 되기 어려운 편사의 성질에 좌우하지 않고 원하는 촉감을 실현시킬 수 있다.
(제4실시예)
제4실시예를 도11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도11 - a는 제4실시예의 횡편기에 있어서 니들 베드(301)의 평면도이고, 도11-b는 도11-a의 Z-Z 방향의 단면도, 도11-c는 도11-a로부터 가동 싱커 플레이트(303)를 발췌시킨 도면, 도11 - d는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305),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307), 유지부재(309)를 발췌한 도면이다. 제4실시예의 횡편기에는 니들 베드 선단부로 바늘이 상승함에 따라 본래의 루프가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는 공지(公知)의 가동 싱커 플레이트(303)를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305)와 적층으로 배치시킨다. 가동 싱커 플레이트(303)는 니들 플레이트(311)에 형성된 홈(313) 내에서 J자형의 레그부(315)를 지점으로 가동 싱커 플레이트(303)의 결합부(317)에 결합되는 스프링(319)에 의하여 전후 양 니들 베드의 트릭 갭 사이에 루프를 누르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가동 싱커 플레이트(303)의 상부에는 회전 제어용의 전후 한쌍의 컨트롤 버트(321a, 321b)가 형성된다. 컨트롤 버트(321a, 321b) 사이에 니들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323)내에 압력판(325)을 장착함으로써 가동 싱커 플레이트(303)는 회전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 가동 싱커 플레이트(303)의 선단부(329)는 니들 플레이트 기판(331)에 형성되는 홈(333) 내에서 회전된다.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단부(337)를 바늘홈측으로 굴곡시켜 후단을 바늘 홈내에 위치시키면 바늘 홈내에 장착된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제어부재(307)에 의하여 진퇴가 제어된다.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305)는 그 일단에 형성된 U자형 부분(335)을 니들베드의 하면(339)에 닿게 한다. 그러면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341)가 전후 양 니들 베드 사이의 개구부 중심을 향하여 진출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305) 중간부에는 니들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된 와이어(347)를 회전지점으로 하여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305)를 유지하는 오목부(343)가 형성된다. 또한 345는 가동 싱커의 홈(333)내에 있어서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305) 상방으로 이동 및 가장 후퇴한 위치를 규제하는 와이어이다. 와이어(345)는 니들 베드의 하면에 장착된 와이어(347, 349) 사이에 걸쳐있는 유지부재(351)에 의하여 유지된다. 본 실시예의 캠 유닛은 제2실시예 있어서의 캠 유닛(108)에 공지의 가동 싱커 컨트롤용 캠을 추가시킨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횡편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횡편기에서는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305) 및 가동 싱커 플레이트(303) 각각을 바늘(353)에 맞추어 진퇴이동시켜 편성한다. 본 실시예의 횡편기에서는 바늘(353)이 상승할 때 가동 싱커 플레이트(303)에 의하여 본래의 루프가 딸려 올라가는 것이 방지된다. 가동 싱커 플레이트(303)가 전후 양 니들 베드 사이의 개구부 중심을 향하여 진출할 때에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305)에 있어서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341)에 접하고 있는 편사가 가동 싱커 플레이트(303)의 편사 걸합부(327)에 확실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횡편기에서는 루프 형성시에 있어서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로서의 기능을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집중시킴으로써, 가동싱커 플레이트를, 루프를 누르기에 적합한 형상·이동궤적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전후 한쌍의 니들 베드만을 구비한 2장의 베드 횡편기에 있어서 실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후 한쌍의 하부 니들 베드상에 각각 상부 베드를 구비한 4장의 횡편기에 있어서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전후 양 니들 베드의 개구부 중심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압력수단을 형성하였으나, 압력수단을 생략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한 횡편기의 구성은 본 발명 실시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가 진퇴할 때에 싱커 루프의 압력에 적합한 바늘이 진퇴하는 방향을 따라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 진퇴궤적을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풀 편성 및 하프 편성 양방을 싱커 루프와 니들 루프의 균형이 깨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편성할 수 있다.
또한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편사 결합부에 결합되는 편사를 가동 싱커 플레이트의 편사 결합부에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가동 싱커 플레이트로부터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로서의 기능을 제거하고 루프를 하강시키는 목적만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가동 싱커 플레이트의 형상·이동궤적을 루프의 하강에 적절하게 대응시킬수 있다.
또한 편조직 사이의 싱커 루프 길이의 차를 작게 하여 편조직이 다른 부분 사이에 있어서 편성포의 촉감이 급격하게 변한다든지 부분적으로 촉감이 다른 부분이 형성되는 일 없이 상품가치가 높은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압력수단은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가 니들 베드 사이의 개구부 중심을 넘어 진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대향하는 니들 베드 선단부의 바늘이나 루프 형성 플레이트와의 간섭을 방지함과 아울러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 진출시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 위치를 구비할 수있다. 또한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후퇴시키는 방향에 있어서 제어수단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편성상 장애가 되는 편성을 니들 베드상이나 편성포의 하강 궤적내에 만들지 않고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8)

  1. 적어도 한쌍의 니들 베드(needle bed)를 구비하여,
    적어도 그 한쪽의 니들 베드가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음으로써 각 니들 베드의 상면에 형성된 바늘 홈내에 다수의 바늘이 자유로이 진퇴하도록 유지되고 상기 바늘의 두부(頭部)가 니들베드 사이의 개구부(開口部)를 향하도록 한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상기 각 니들 베드에 판상(板狀)인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바늘과 평행하게 다수 형성함과 아울러
    각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측 선단부 부근에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각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바늘이 진퇴하는 방향으로 진퇴이동시키는 제어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니들 베드의 개구부측 선단부 하면에 형성된 홈에 수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가 진퇴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로서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와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의 2종류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어수단에 있어서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진퇴이동시키기 위한 제1제어수단과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진퇴이동시키기위한 제2제어수단의 2종류를 형성하여,
    제1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작용위치(作用位置)로 제어하고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비작용 위치(非作用 位置)로 제어하여 하나씩 건너 뛴 바늘에 급사하여 편성하는 하프 편성(half 編成)과,
    제1, 제2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함께 작용위치로 제어하고 각 바늘에 급사하여 편성하는 풀 편성(full 編成)으로 모두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니들 베드에 있어서, 바늘 2개 중 1개에 상기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형성하고 남는 바늘에 대하여 루프형성 고정 플레이트를 형성하여,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진출시켜 하나씩 건너 뛴 바늘에 급사하여 편성하는 하프 편성과,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후퇴시켜 각 바늘에 급사하여 편성하는 풀 편성으로 모두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5. 제1항에 있어서,
    선단에 바늘 사이에 걸쳐 있는 편사를 결합시키는 편사 결합부를 형성하고,
    니들 베드 사이의 개구부 중심에 대하여 진퇴이동할 수 있으며 바늘의 상승에 따른 본래 루프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가동 싱커 플레이트(可動 sinker plate)를 상기의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와 겹쳐 배치시키고,
    가동 싱커 플레이트의 진퇴이동과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의 진퇴이동에 의하여 상기 편사 결합부와 상기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가 십자형(cross)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 있어서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 진출위치를 복수단계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7. 제2항에 있어서,
    압력수단에 의하여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상기 개구부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를 상기 개구부 중심으로 전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8. 제7항에 있어서,
    각 니들 베드의 상기 개구부측 선단부 하면에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의 회전지점을 형성하여 그 지점으로부터 플레이트 루프형성 가장자리와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탄성 레그(彈性 leg)를 상기 압력수단으로서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에 형성하고, 그 탄성 레그를 니들 베드의 개구부측 선단부 하면에 닿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KR10-1998-0032478A 1997-08-11 1998-08-11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구비한 횡편기 KR100478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6234 1997-08-11
JP09216234A JP3140990B2 (ja) 1997-08-11 1997-08-11 可動ループ形成プレートを備えた横編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497A true KR19990023497A (ko) 1999-03-25
KR100478553B1 KR100478553B1 (ko) 2005-08-31

Family

ID=1668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478A KR100478553B1 (ko) 1997-08-11 1998-08-11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구비한 횡편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79233A (ko)
EP (1) EP0897027B1 (ko)
JP (1) JP3140990B2 (ko)
KR (1) KR100478553B1 (ko)
CN (1) CN1133764C (ko)
DE (1) DE69819253T2 (ko)
ES (1) ES2205387T3 (ko)
TW (1) TW455637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984B1 (ko) * 2011-09-21 2013-07-26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횡편기용 니들 베드 장치
KR101296781B1 (ko) * 2011-04-28 2013-08-1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
KR20210035759A (ko) * 2019-09-24 2021-04-0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22186B (en) * 1999-11-17 2003-03-01 Shima Seiki Mfg Sinker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DE10031684A1 (de) * 2000-06-29 2002-01-10 Stoll & Co H Flachstrickmaschine
CN1263913C (zh) * 2000-12-04 2006-07-12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横向编织机
EP1550752B1 (en) 2002-08-29 2013-01-02 Shima Seiki Mfg., Ltd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JP4176108B2 (ja) * 2003-02-05 2008-11-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ステッチプレッサー
ES2262919T3 (es) * 2003-04-11 2006-12-01 H. STOLL GMBH & CO. Maquina tricotosa rectilinea con al menos dos fonturas de agujas.
EP1655398B1 (en) 2003-07-30 2011-04-20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movable sinker
JP4015972B2 (ja) * 2003-07-30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シンカー装置
JP4015978B2 (ja) * 2003-09-02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糸ガイド部材を備えた横編機
ITBO20030596A1 (it) * 2003-10-14 2005-04-15 Emm Srl Sistema per variare il grado di finezza del tessuto ottenuto con macchine rettilinee per maglieria, e relativo procedimento
JP4519636B2 (ja) * 2004-12-28 2010-08-0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シンカを備える横編機
EP1956126B1 (de) * 2007-02-08 2013-08-21 H. Stoll GmbH & Co. KG Flachstrickmaschine
US8468855B2 (en) * 2011-09-16 2013-06-25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Downward pressing mesh mechanism and sinker thereof for flat knitting machines
CN102995275A (zh) * 2011-09-19 2013-03-27 佰龙机械厂股份有限公司 横式编织机针床结构
JP6223194B2 (ja) * 2014-01-10 2017-11-0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シンカー装置を備えた横編機
TW201540887A (zh) * 2014-04-29 2015-11-01 Yang Xu 圓編織機之編織機構
EP3250737B1 (en) * 2015-01-28 2019-09-25 NIKE Innovate C.V. Knitting machine with biased cam member for actuating a sinker
US9834871B2 (en) * 2015-03-11 2017-12-05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Method for knitting interchanged plating on a technical face of a fabric for flat bed knitting machines
JP6333229B2 (ja) * 2015-11-06 2018-05-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固定シンカーを有する横編機
CN108589000B (zh) * 2018-03-21 2023-09-26 浙江丰帆数控机械有限公司 一种针织横机
CN108642694A (zh) * 2018-07-05 2018-10-12 蒋伊柠 横机织针面板结构及包含它的横机
CN108842277A (zh) * 2018-08-31 2018-11-20 泰州市天圣针织机械实业有限公司 一种电机款单双山板用抬针换向机构
CN109440283B (zh) * 2018-12-17 2023-09-22 宁波博日机械有限公司 一种双系统横机底板及控制方法
JP6557430B1 (ja) * 2019-02-13 2019-08-07 佰龍機械廠股▲ふん▼有限公司 歯口隙間の大きさが変更可能な横編機構造
US11313058B2 (en) * 2019-02-27 2022-04-26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Flat knitting machine structure with adjustable gap between two knock-over bits
US11639566B2 (en) * 2019-02-27 2023-05-02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Method for knitting three-dimensional fabric with variable thickness through a flat knitt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3800A (en) * 1872-02-20 Improvement in cutter-heads
DE3609539A1 (de) * 1986-03-21 1987-10-01 Stoll & Co H Zweibettige flachstrickmaschine mit zwischen den nadeln angeordneten platinen
JPH06100831B2 (ja) * 1989-08-17 1994-12-12 三田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
JP2694626B2 (ja) * 1991-09-17 1997-12-2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JP2618312B2 (ja) * 1992-07-09 1997-06-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JP2700204B2 (ja) * 1992-12-15 1998-01-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JP2724676B2 (ja) * 1994-03-17 1998-03-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KR0148422B1 (ko) * 1994-10-14 1999-02-18 류기철 철도차량 하부 프레임 선행배관 작업방법 및 그 장치
JPH0931806A (ja) * 1995-07-14 1997-02-04 Shima Seiki Mfg Ltd 可動シンカー装置を備えた横編機
JP2900146B2 (ja) * 1995-10-18 1999-06-02 晴生 山本 シンカープレート
DE19704644B4 (de) * 1997-02-07 2006-06-14 H. Stoll Gmbh & Co. Flachstrick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trick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781B1 (ko) * 2011-04-28 2013-08-14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
KR101289984B1 (ko) * 2011-09-21 2013-07-26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횡편기용 니들 베드 장치
KR20210035759A (ko) * 2019-09-24 2021-04-0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8086A (zh) 1999-02-17
US6079233A (en) 2000-06-27
DE69819253D1 (de) 2003-12-04
JP3140990B2 (ja) 2001-03-05
ES2205387T3 (es) 2004-05-01
DE69819253T2 (de) 2004-07-15
JPH1161604A (ja) 1999-03-05
CN1133764C (zh) 2004-01-07
EP0897027B1 (en) 2003-10-29
EP0897027A2 (en) 1999-02-17
KR100478553B1 (ko) 2005-08-31
EP0897027A3 (en) 2000-03-15
TW455637B (en) 200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553B1 (ko)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구비한 횡편기
US6079231A (en) Stitch loop holding apparatus for a flat knitting machine
KR960013904B1 (ko) 횡편기에 있어서 실안내방법 및 장치
KR100264766B1 (ko) 양면 환편기에 있어서의 선침 장치
US4989421A (en) Process for producing a patterned plush fabric as well as a multisystem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KR102226578B1 (ko) 횡편기
EP0890667B1 (en) A stitch forming method and a flat knitting machine therefor
JP7483257B2 (ja) 丸編機におけるジャカード編地編成機構、その編成機構を用いた編成方法及びその編成機構で用いられるシンカー
EP0567282B1 (en) Flat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rocking sinker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JPH05214639A (ja) プラッシュ生地製造用の丸編み機およびシンカ
US6240749B1 (en) Flat knitting machine
KR102291231B1 (ko)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KR19990029256A (ko) 루프 프레스기를 구비한 횡편기 및 이 횡편기를 사용한 편성방법
JP2023109287A (ja) 円形編み機構造
US5275022A (en) Process for the fully-fashioned knitting of intarsia jacquard fabric
US4662192A (en) Flat knitting machine
US6978642B2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device
CN107663709B (zh) 经编机和用于制造经编织物的方法
KR20050014665A (ko) 편사의 지지절단 방법 및 장치
JPH08232144A (ja) 立ち毛メリヤス生地を生産するための方法及び編機並びに立ち毛メリヤス生地を生産するための編機用シンカ
CN100408741C (zh) 有至少两个针床的横机
KR100451314B1 (ko) 더블 랏셀 편직기 및 그 편물지
JPS5837421B2 (ja) インタ−シヤ編編成方法
US4516412A (en) Cambox for a flat knitting machine
US3979927A (en) Knitt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