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781B1 - 횡편기 - Google Patents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781B1
KR101296781B1 KR1020120025284A KR20120025284A KR101296781B1 KR 101296781 B1 KR101296781 B1 KR 101296781B1 KR 1020120025284 A KR1020120025284 A KR 1020120025284A KR 20120025284 A KR20120025284 A KR 20120025284A KR 101296781 B1 KR101296781 B1 KR 101296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plate
needle plate
knitting machine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879A (ko
Inventor
히로유키 우에야마
마사키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20122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니들 플레이트의 상부측에 작용하는 가로방향의 부하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횡편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니들베드(1)에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의 플레이트홈(12)과, 이 각 플레이트홈(12)에 각각 세워서 설치된 니들 플레이트(3)와, 서로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3)의 사이에 배치된 편침(2)을 구비한 횡편기에 있어서, 각 니들 플레이트(3)의 일측면에, 각각의 일측에 있어서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3)에 대하여 접촉하는 위치까지 돌출하여 당해 각 니들 플레이트(3) 자신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제1∼제4볼록부(51∼54)를 형성하고 있다. 각 볼록부(51∼54)를, 니들잭(22), 실렉트잭(23) 및 실렉터(24)를 각 니들 플레이트(3)에 대하여 위치결정 하고 있었던 와이어의 부착위치에 형성한다.

Description

횡편기{A 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니들베드에 나란하게 형성한 복수의 플레이트홈에 각각 니들 플레이트를 세워서 설치하고, 서로 인접하는 그 니들 플레이트 상호간의 사이에 편침을 배치한 횡편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각 니들 플레이트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횡편기에서는, 게이지수가 커지게 됨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편침 상호간의 피치가 좁아지기 때문에, 각 니들 플레이트의 판의 두께도 얇아지게 되어서 가로방향(플레이트홈의 배열방향)으로 쓰러지기 쉽게 된다.
특허문헌1에서는, 니들베드의 후단측(니들베드갭과는 반대측)에 있어서 플레이트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고정홈에 장척(長尺)의 플레이트 고정부재를 수용하고, 이 플레이트 고정부재에 대하여 결합하는 고정 오목부를 각 니들 플레이트의 하면에 형성한다. 그리고 플레이트 고정부재를 하방으로부터 볼트에 의하여 고정함에 따라 플레이트 고정홈의 바닥부를 향하는 압력을 고정 오목부에 작용시킴으로써 니들 플레이트를 플레이트홈으로 당겨서 견고하게 고정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9-161870호 공보
그런데 통상의 사용시에는 문제가 없어도, 편성속도(캐리지의 주행속도)가 빠르게 되면, 니들잭, 실렉트잭, 실렉터 등의 동작제어부재를 통하여 니들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가로방향(편침의 진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부하가 커지게 된다.
그 경우에, 상기 종래의 것에 있어서도 니들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가로방향의 부하에 대처할 수 있지만, 이러한 부하는 니들 플레이트의 상부측(반플레이트홈측)에 작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니들 플레이트에 휨이 발생하기 쉽고, 과도한 부하에 따라서는 쓰러질 우려도 있어, 가로방향의 부하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니들 플레이트의 상부측에 작용하는 가로방향의 부하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니들베드에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의 플레이트홈과, 이 각 플레이트홈에 각각 세워서 설치된 니들 플레이트와, 서로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된 편침을 구비하는 횡편기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니들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각각의 일측에 있어서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에 대하여 접촉하는 위치까지 돌출하여 당해 각 니들 플레이트 자신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다(여기에서 접촉한다고 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정확히 접촉하는 것은 물론, 거의 또는 대략 접촉하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동일하다).
또한 상기 볼록부를, 상기 각 편침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재의 동작시의 궤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록부를, 상기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간의 니들홈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부재를 상기 각 니들 플레이트에 대하여 위치결정 하는 위치결정부재로서 겸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볼록부를, 상기 각 니들 플레이트의 일측면에서 일체적으로 볼록하게 돌출시키도록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횡편기에 의하면, 각 니들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그 일측에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에 대하여 접촉하는 위치까지 돌출하는 볼록부를 형성하여 자신의 쓰러짐을 방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니들 플레이트의 상부측에 작용하는 가로방향의 부하가 볼록부를 통하여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에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휨이나 쓰러지기가 발생하는 일이 없어, 가로방향의 부하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각 니들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 만의 간단한 구성으로 끝난다.
또한 동작제어부재의 동작시의 궤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볼록부가 동작제어부재와 충돌하는 일이 없어, 동작제어부재에 의한 각 편침의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동작제어부재를 각 니들 플레이트에 대하여 위치결정 하는 위치결정부재로서 볼록부를 겸용함으로써 위치결정부재를 없앨 수 있으므로 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를 각 니들 플레이트의 일측면에서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볼록하게 돌출시킴으로써 새로운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볼록부가 얻어지므로, 부품수의 더한층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횡편기에 있어서 플레이트홈의 배열방향에 있어서 플레이트홈의 직후에서 절단한 니들베드의 종단 측면도다.
도2는, 도1의 플레이트홈의 배열방향에 있어서 플레이트홈의 직전에서 절단한 니들베드의 종단 측면도다.
도3은 도2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다.
다음에 본 발명의 횡편기의 적합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횡편기의 플레이트홈의 배열방향 직후에서 절단한 니들베드의 종단 측면도다. 도2는 플레이트홈의 배열방향 직전에서 절단한 니들베드의 종단 측면도다.
본 발명의 횡편기는, 니들베드(1)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의 플레이트홈(12)과, 이 각 플레이트홈(12)에 각각 세워서 설치된 니들 플레이트(3)와, 서로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3, 3)의 사이에 배치된 편침(2)을 구비하고 있다. 이 편침(2)은, 니들베드(1)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3, 3) 상호간의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니들홈(11)에 1개씩 배치되어 있다. 각 니들홈(11)은, 서로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3, 3) 상호간과, 니들베드(1)의 상면(10)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또, 도1 및 도2에서는, 니들 플레이트(3)에 있어서 니들베드갭(g)측(선단측)에 설치하는 이동 싱커를 생략하고 있다.
니들베드(1)에 있어서 니들베드갭(g) 측에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플레이트홈(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단 결합홈(13)이 형성되고, 이 선단 결합홈(13)의 내부에 와이어(41)가 배치되어 있다. 각 니들 플레이트(3)에 있어서 니들베드갭(g) 측에는, 와이어(41)와 결합하는 선단결합 오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각 니들 플레이트(3)는 그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와이어(41)를 선단결합 오목부(31)의 내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플레이트홈(12)의 최심부(最深部)에 접촉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각 니들 플레이트(3)에 있어서 니들베드갭(g)과 반대측(후단측)에는 V자 절단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각 니들 플레이트(3)는, V자 절단부(32)를 선단부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햄머링하여 코킹함으로써 쐐기효과에 의하여 니들베드(1)에 고정된다. 즉, 각 니들 플레이트(3)는 니들베드갭(g) 측으로 압입되어 있다.
각 니들 플레이트(3)에는, 니들베드갭(g) 측에 결합홈(33) 및 결합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각 니들 플레이트(3)는, 당해 각 니들 플레이트(3)의 배열방향으로 연장되는 강대(42) 및 와이어(43)가 결합홈(33) 및 결합구멍(34)에 각각 삽입되고 위치결정 되어, 높이가 일정하게 되어 있다.
편침(2)은, 니들 본체(21)와, 이 니들 본체(21)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재로서의 니들잭(22), 실렉트잭(23) 및 실렉터(2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니들 본체(21) 이외의 부재(22∼24)는, 당해 각 부재(22∼24)에 설치된 버트에 캠이나 프레서 등에 의한 압력이 작용하면, 니들홈(11)내로 가라앉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편침(2)은, 니들 본체(21)의 상면이 스페이서(5)의 하면과 거의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니들베드갭(g) 방향으로 진퇴하는 편성동작을 할 때에 니들홈(11)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고 있다. 스페이서(5)는, 강대(42)와 와이어(43)와 각각 결합함으로써 위치결정 된다.
각 니들 플레이트(3)의 일측면(도1 및 도2에서는 지면 전방 측면)에 있어서 니들베드갭(g)과는 반대측(도1 및 도2에서는 좌측)에는, 선단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제4볼록부(51∼54)가 형성되어 있다.
도3은 도2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다. 이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볼록부(51∼54)(도3에서는 제3볼록부(53) 만을 나타낸다)는, 각각의 일측(도3에서는 우측)에 있어서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3)에 대하여 접촉하는 위치까지 돌출하여, 당해 각 니들 플레이트(3) 자신의 쓰러짐을 방지하고 있다.
각 볼록부(51∼54)는, 니들잭(22), 실렉트잭(23) 및 실렉터(24)의 소정의 동작(진퇴 및 부침)의 궤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당해 각 부재(22∼24)의 동작시에 충돌이 회피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볼록부(51∼54)는, 종래부터 니들잭(22), 실렉트잭(23) 및 실렉터(24)를 니들홈(1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각 니들 플레이트(3)에 대하여 위치결정 하고 있었던 와이어의 부착위치에 형성된다. 요컨대, 각 볼록부(51∼54)는, 종래의 와이어를 대신하여 니들잭(22), 실렉트잭(23) 및 실렉터(24)를 각 니들 플레이트(3)에 대하여 위치결정 하는 위치결정부재로서 겸용되고 있다.
각 볼록부(51∼54)는, 각 니들 플레이트(3)의 일측면에서 일체적으로 볼록하게 돌출하도록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각 볼록부(51∼54)는, 일측으로 볼록하게 돌출하는 돌출단의 일측면의 지름(s)이 타측(도3에서는 좌측)에 있어서 오목하게 들어가는 타측면의 오목 가장자리의 지름(t)보다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편성속도(캐리지의 주행속도)가 빠르게 될 때 등에 니들 플레이트(3)의 상부측에 작용하는 가로방향의 부하가 각 볼록부(51∼54)를 통하여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3)에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이 경우에, 프레스 가공에 의한 각 볼록부(51∼54)의 형성은, 각 니들 플레이트(3)의 펀칭 가공과 동시 또는 펀칭 가공후에 이루어진다. 또, 각 니들 플레이트(3)에 그 일측면에서 돌출하는 핀부재 등을 부착하여 볼록부가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각 니들 플레이트(3)의 제2볼록부(52)의 상방에는 결합홈(35)이 형성되어 있다. 각 니들 플레이트(3)의 제3볼록부(53)와 제4볼록부(54) 사이에는 결합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각 니들 플레이트(3)는, 당해 각 니들 플레이트(3)의 배열방향으로 연장되는 강대(44) 및 와이어(45)가 결합홈(35) 및 결합구멍(36)에 각각 삽입되고 위치결정 되어 높이가 일정하게 되어 있다. 또, 각 니들 플레이트(3)에 있어서 결합구멍(36)의 대응위치에도, 와이어를 대신하여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니들 플레이트(3)의 일측면에 제1∼제4볼록부(51∼54)를 형성하는 것만의 간단한 구성으로, 각 니들 플레이트(3)의 상부측에 작용하는 가로방향의 부하가 각 볼록부(51∼54)를 통하여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3)에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휨이나 쓰러지기가 발생하는 일이 없어, 가로방향의 부하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각 볼록부(51∼54)를, 종래의 와이어의 부착위치에 형성함으로써 니들잭(22), 실렉트잭(23) 및 실렉터(24)에 의한 니들 본체(21)의 동작의 제어를 각 볼록부(51∼54)와 충돌하지 않고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니들잭(22), 실렉트잭(23) 및 실렉터(24)의 위치결정부재로서 제1∼제4볼록부(51∼54)를 겸용함으로써 위치결정부재를 없앨 수 있으므로 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각 니들 플레이트(3)의 일측면에서 제1∼제4볼록부(51∼54)를 일체적으로 볼록하게 돌출시킴으로써 새로운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각 볼록부(51∼54)가 얻어지므로, 부품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주지(主旨)에서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실시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니들잭(22), 실렉트잭(23) 및 실렉터(24)를 위치결정 하는 와이어의 부착위치에 각 볼록부(51∼54)를 형성했지만, 이들 부재(22∼24)의 동작시의 궤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이면 어디에 볼록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니들 플레이트(3)의 일측면에 4개의 볼록부(51∼54)를 형성했지만, 볼록부의 갯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 또는 3개 또는 5개 이상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1 : 니들베드
11 : 니들홈
12 : 플레이트홈
2 : 편침
22 : 니들잭(동작제어부재)
23 : 실렉트잭(동작제어부재)
24 : 실렉터(동작제어부재)
3 : 니들 플레이트
51∼54 : 볼록부

Claims (4)

  1. 니들베드에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의 플레이트홈과, 이 각 플레이트홈에 각각 세워서 설치된 니들 플레이트와, 서로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된 편침을 구비하는 횡편기에 있어서,
    상기 각 니들 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각각의 일측에 있어서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에 대하여 접촉하는 위치까지 돌출하여 당해 각 니들 플레이트 자신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각 편침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재의 동작시의 궤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간의 니들홈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부재를 상기 각 니들 플레이트에 대하여 위치결정 하는 위치결정부재로서 겸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4. 제1항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각 니들 플레이트의 일측면에서 일체적으로 볼록하게 돌출하도록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KR1020120025284A 2011-04-28 2012-03-13 횡편기 KR101296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01451 2011-04-28
JP2011101451A JP5695964B2 (ja) 2011-04-28 2011-04-28 横編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879A KR20120122879A (ko) 2012-11-07
KR101296781B1 true KR101296781B1 (ko) 2013-08-14

Family

ID=4608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284A KR101296781B1 (ko) 2011-04-28 2012-03-13 횡편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518199A3 (ko)
JP (1) JP5695964B2 (ko)
KR (1) KR101296781B1 (ko)
CN (1) CN102758304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1952A (ja) * 1995-06-15 1997-09-16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選針装置
KR19990023497A (ko) * 1997-08-11 1999-03-25 마사히로 시마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구비한 횡편기
JPH1193045A (ja) * 1997-09-10 1999-04-06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編針保持機構
KR20030000258A (ko) * 2001-06-22 2003-01-06 이문형 환편기의 니들 및 니들 실린더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9278A (en) * 1929-09-16 1933-02-28 Hemphill Co Needle bed
US1850817A (en) * 1930-12-16 1932-03-22 Scott & Williams Inc Knitting machine cylinder
DE1965385A1 (de) * 1969-12-30 1971-07-15 Harry Apprich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Maschenware
DE3738655C2 (de) * 1987-11-13 1996-09-05 Saxonia Umformtechnik Gmbh Nadelbett für Flach- und Rundstrickmaschinen
JPH03232823A (ja) * 1990-02-07 1991-10-16 Shima Seiki Seisakusho:Kk ノックオーバータイミング調整可変な機能を有する横編機
EP0519652B1 (en) * 1991-06-18 1996-04-24 Shima Seiki Mfg., Ltd. Double V bed knitting machine
JP2618312B2 (ja) * 1992-07-09 1997-06-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JP2724676B2 (ja) * 1994-03-17 1998-03-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CN2411265Y (zh) * 1999-12-16 2000-12-20 陈永昌 单一凹凸型插片组合式针板
CN2658186Y (zh) * 2003-09-27 2004-11-24 孙平范 组合式针床
CN2887920Y (zh) * 2006-04-20 2007-04-11 宁波红旗马纺织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针织横机针床
CN201016133Y (zh) * 2007-01-30 2008-02-06 杭州辰光智能纺织机器有限公司 精密针床
JP4977580B2 (ja) * 2007-11-02 2012-07-1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JP2009161870A (ja) * 2007-12-28 2009-07-23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
CN201176497Y (zh) * 2008-04-01 2009-01-07 常熟市金龙机械有限公司 针床插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1952A (ja) * 1995-06-15 1997-09-16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選針装置
KR19990023497A (ko) * 1997-08-11 1999-03-25 마사히로 시마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구비한 횡편기
JPH1193045A (ja) * 1997-09-10 1999-04-06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編針保持機構
KR20030000258A (ko) * 2001-06-22 2003-01-06 이문형 환편기의 니들 및 니들 실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18199A3 (en) 2015-01-28
JP2012233274A (ja) 2012-11-29
CN102758304B (zh) 2014-12-31
KR20120122879A (ko) 2012-11-07
CN102758304A (zh) 2012-10-31
EP2518199A2 (en) 2012-10-31
JP5695964B2 (ja)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7694B2 (en) System component having a braking spring
EP2063009A1 (en) Sinker for a knitting system and knitting system showing reduced wear
JP4287883B2 (ja) 編機バー
KR100859110B1 (ko) 편물바늘 및 바늘대
US11414797B2 (en) Device for loop-forming, sinker means and method for loop forming
KR101296781B1 (ko) 횡편기
US3949572A (en) High impact knitting needle
EP2050849A1 (en) Movable sinker and weft knitting machine
KR100868951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
CN107851947B (zh) 夹具和具有该夹具的压入装置
KR102366041B1 (ko) 횡편기
CN211689423U (zh) 针织横机中的复合针床
JP2009161870A (ja) 横編機
JPH0413462B2 (ko)
EP1505185B1 (en) Fla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 jack and stitch transfer method using transfer jack
JP5330383B2 (ja) 編針
CN111020845A (zh) 针织横机中的复合针床
JP4977580B2 (ja) 横編機
KR100897375B1 (ko) 터미널의 박스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CN201158738Y (zh) 挺针片
CN209836469U (zh) 一种电脑横机插片针板
TW202223189A (zh) 針織機的針織系統及針
CN215051061U (zh) 一种针织横机
CN220364685U (zh) 一种压电陶瓷贾卡提花装置及纺织机械
CN102443963A (zh) 导纱针保持器和导纱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