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951B1 -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951B1
KR100868951B1 KR1020070051664A KR20070051664A KR100868951B1 KR 100868951 B1 KR100868951 B1 KR 100868951B1 KR 1020070051664 A KR1020070051664 A KR 1020070051664A KR 20070051664 A KR20070051664 A KR 20070051664A KR 100868951 B1 KR100868951 B1 KR 100868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unch
pin
guide
holder
punch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미리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1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7/00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이(15)가 설치되는 하형리테이너(14)가 구비되는 하형홀더(10)와, 상기 하형홀더(10)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하형홀더(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상형리테이너(40)가 구비되며 탄성부재(25)가 안착되는 관통공(21)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형홀더(20)와, 상기 상형리테이너(40)에 설치되어 상기 상형홀더(20)와 함께 승강되고, 상기 탄성부재(25)에 의해 그 일단이 지지되며, 타단에는 핀홈(52)이 형성되어 상기 다이(15)에 안착되는 작업물의 일측을 고정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펀치핀(50)와, 상기 가이드펀치핀(50) 사이에 위치하여 인접한 두 가이드펀치핀(50)이 함께 승강되도록 결합하는 키블록(60)과, 상기 가이드펀치핀(50)이 상기 탄성부재(25)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승하는 동작에 의해 연동되는 연동바(45)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접한 가이드펀치핀(50) 사이가 키블록(60)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연동바(45)의 개수가 줄어들 수 있어 미스피드방지장치의 부품수가 줄어들고 연동바(45)의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프로그레시브금형, 미스피드, 가이드펀치핀, 키블록

Description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Misfeed preventing apparatus for progressive mold}
도 1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의해 가공되는 엔드타입 터미널스트랩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형측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키블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펀치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키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형홀더 12: 백킹플레이트
14: 하형리테이너 15: 다이
17: 삽입공 20: 상형홀더
25: 제1탄성부재 30: 백킹플레이트
35: 구동로드 40: 상형리테이너
41: 펀치케이스 42,43: 제1펀치, 제2펀치
45: 연동바 46: 가이드면
48: 제2탄성부재 50: 가이드펀치핀
55: 경사면 60: 키블록
61: 몸체 62a,62b: 결합돌기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작업물의 이송이 잘못되는 것을 방지하는 미스피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띠 모양의 작업물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순차적으로 가공을 수행하여 원하는 제품을 만들게 된다. 즉,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각각의 위치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다이와 펀치의 쌍에서 각각의 가공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제품이 만들어진다.
여기서, 상기 다이에는 작업물이 얹어지고, 상기 펀치는 다이에 얹어진 작업물을 타격하여 작업물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절곡하여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만들어나간다.
도 1에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가공되는 일반적인 엔드타입 터미널스트랩 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터미널스트랩(1)는 다수개의 터미널형상(2)이 연결된 상태로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스트랩(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형상(2)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장되는데, 이러한 형태를 소위 엔드타입(End-type)이라고 칭한다. 상기 터미널스트랩(1)은 도면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상기 프로그레시브 금형 상을 이동하게 된다.
상기 터미널형상(2)에는 바렐부(3')가 형성되는데, 도면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터미널형상(2)에 형성된 바렐부(3)들은 아직 벤딩작업을 거치지 않은 상태이다. 즉, 상기 벤딩되기 전의 바렐부(3)들이 펀치 등에 의해 벤딩되어, 와이어(미도시) 혹은 와이어를 감싸는 인슐레이션과 서로 결합되는 바렐부(3')형상을 갖추게 된다.
이때, 상기 바렐부(3,3')는 와이어바렐(3a,3a')와 인슐레이션바렐(3b.3b')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바렐(3a,3a')은 와이어(미도시)의 심선을 감싸는 부분이고, 인슐레이션바렐(3b,3b')은 와이어의 피복에 해당하는 부분을 감싸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터미널형상(2)은 캐리어(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스트랩(1)은 프로그레시브금형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가공되는데,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이동을 정확히 안내하고, 펀치나 캠 등에 의한 가공에 앞서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정확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가이드펀치핀(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펀치핀은 상기 캐리어(5)부분을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다이(미도시) 상에 정확하게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스트랩(1)이 다수개의 열(도 1에서는 총 3개 의 열)을 이루어 한꺼번에 가공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터미널스트랩(1)을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펀치핀 역시 다수개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터미널스트랩(1)이 다이 상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펀치핀이 상기 캐리어(5)부분을 누르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오류는 미스피드방지장치에 의해 감지되어 작업자가 인식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이드펀치핀이 상기 캐리어(5)를 정확하게 누르지 못하므로 저항을 받게 되고, 이러한 저항은 가이드펀치핀과 연동되는 연동바를 이동시켜 미스피드방지장치의 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스트랩(1)이 다수개가 열을 이루어 이동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터미널스트랩(1)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펀치핀이 구비된다. 그리고, 각각의 가이드펀치핀은 상기 캐리어(5)를 눌러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미스피드가 발생하면 상기 연동바가 상기 가이드펀치핀에 연동하여 스위치를 온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동바는 상기 각각의 가이드펀치핀과 연결되어야 하므로, 상기 가이드펀치핀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가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부품수가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펀치핀은 일반적으로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므로, 이와 연동되는 연동바들 사이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2열 이상의 엔드타입 터미널스트랩을 동시에 제작하는 프로그레시브금형에서 가이드펀치핀 사이가 연결되는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미스피드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이가 설치되는 하형리테이너가 구비되고,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펀치포켓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상형리테이너에 설치되어 상기 상형홀더와 함께 승강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그 일단이 지지되며, 타단에는 핀홈이 형성되어 상기 다이에 안착되는 작업물의 일측을 고정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펀치핀과, 상기 가이드펀치핀 사이에 위치하여 인접한 두 가이드펀치핀이 함께 승강되도록 결합하는 키블록과, 상기 가이드펀치핀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승하는 동작에 의해 연동되는 연동바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펀치핀의 일측에는 결합홈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키블록의 양단은 각각 인접한 상기 가이드펀치핀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두 가이드펀치핀을 결합시킨다.
상기 키블록은 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서로 반대측면의 엇갈린 위치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펀치핀의 결합홈에 각각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동바의 선단은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펀치핀 중에서 가장 외측에 구비되는 가이드펀치핀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펀치핀과 상기 연동바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경사면 및 가이드면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펀치핀이 상기 상형홀더 방향으로 상승하면 상기 연동바는 상기 가이드펀치핀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접한 가이드펀치핀 사이가 키블록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연동바의 개수가 줄어들 수 있어 미스피드방지장치의 부품수가 줄어들고 연동바의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형측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키블록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a 및 도 5c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이드펀치핀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 작업물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형홀더(10) 상에는 백킹플레이트(12)와 하형리테이너(14)가 장착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12)와 하형리테이너(14)는 상기 하형홀더(10)상에 함께 체결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12)는 실질적으로 하형리테이너(14)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상기 하형리테이너(14)에는 다이(15)가 설치된다. 상기 다이(15)는 터미널스트랩(1)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후술할 펀치(42,43)와 협력하여 터미널스트랩(1)을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이(15)에는 삽입공(17)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1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펀치핀(50)의 선단이 일부 삽입되고, 그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캐리어(5)를 상기 다이(15)상에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하형홀더(10)의 타측에는 상형홀더(20)가 장착된다. 상기 상형홀더(20)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승강된다. 이때, 상기 상형홀더(20)에는 관통공(21)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제1탄성부재(25)가 삽입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25)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로드(35)의 일측을 지지하여 구동로드(35)에 상기 하형홀더(1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형홀더(20)의 하면에는 백킹플레이트(30)와 상형리테이너(40)가 설치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30)와 상형리테이너(40)는 상기 상형홀더(20)에 함께 장착된다. 실제로 상기 백킹플레이트(30)는 상기 상형리테이너(40)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상형리테이너(40)에는 상기 하형리테이너(14)의 다이(15)와 대응되는 위치에 펀치가 설치된다.
상기 백킹플레이트(30)를 관통하여 관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1) 에는 구동로드(35)가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구동로드(35)는 그 일단은 상기 제1탄성부재(25)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가이드펀치핀(50)의 선단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로드(35)는 상기 제1탄성부재(25)의 탄성력을 가이드펀치핀(5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상형리테이너(40)에는 펀치케이스(41)가 설치된다. 상기 펀치케이스(41)는 상기 상형리테이너(4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펀치(42,43) 및 가이드펀치핀(50)을 감싸는 일종의 하우징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치케이스(41)는 다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연결되나,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펀치케이스(41) 내부에는 펀치(42,43)가 구비된다. 상기 펀치(42,43)는 상기 터미널스트랩(1)을 타격하여 가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와이어바렐부(3a') 및 인슐레이션바렐부(3b')를 각각 절곡하는 제1펀치(42) 및 제2펀치(43)가 다수개 구비된다. 물론,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캐리어(5)를 타발하거나 터미널형상(2)을 노칭하기 위한 펀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상형리테이너(40)에는 설치통공(44)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통공(44)은 상기 상형리테이너(40)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할 연동바(45) 및 제2탄성부재(48)가 장착되는 공간이다. 상기 설치통공(44)은 그 일측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그 내경이 달라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후술할 연동바(45)의 걸이턱(45')이 걸어져 그 이동행정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서는 상기 설치통공(44)은, 도 2를 중심으로, 상기 상형리테이너(40)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설치통공(44)에는 연동바(45)가 설치된다. 상기 연동바(45)는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가이드펀치핀(50)의 이동에 연동되어 후술할 스위치(72)를 온오프시켜 터미널스트랩(1)의 미스피드를 작업자에게 인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동바(45)의 외면 일측에는 걸이턱(45')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45')은 상기 설치통공(44)의 단차진 부분에 걸어져 상기 연동바(45)의 이동행정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동바(45)의 선단에는 가이드면(4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46)은 후술할 가이드펀치핀(50)의 경사면(55)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가이드펀치핀(50)에 의해 연동바(45)가 연동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2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터미널스트랩(1)의 미스피드에 의해 가이드펀치핀(50)의 선단이 터미널스트랩(1)에 걸려 상기 탄성부재(25)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상형홀더(20) 및 상형리테이너(40)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승된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연동바(45)는 가이드펀치핀(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동바(45)의 타단에는 누름면(47)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면(47)은 후술할 스위치(72)의 돌출부(73)를 선택적으로 누르는 부분으로서, 상기 연동바(45)가 가이드펀치핀(50)에 연동되어 가이드펀치핀(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만 스위치(72)를 온시키게 된다.
상기 연동바(45)의 외주면에는 제2탄성부재(48)가 구비된다. 상기 제2탄성부 재(48)는 상기 설치통공(44)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연동바(45)의 외주면, 보다 정확하게는 그 일단은 상기 걸이턱(45')과 접하고 타단은 설치통공(44)의 말단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탄성부재(48)는 상기 연동바(45)에 가이드펀치핀(5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펀치케이스(41)의 내부에는 가이드펀치핀(50)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펀치핀(50)은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상형리테이너(40)로부터 상기 하형리테이너(14)를 향해 일부가 돌출되는, 대략 바형상의 몸체(51)가 그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펀치핀(50)은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캐리어(5)를 상기 다이(15) 상의 정확한 위치에 터미널스트랩(1)이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펀치핀(50)의 몸체(51)의 선단에는 핀홈(52)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핀홈(52) 사이에 상기 캐리어(5)가 삽입된다. 즉, 상기 가이드펀치핀(50)의 선단이 상기 다이(15)의 삽입공(17)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핀홈(52)에 상기 캐리어(5)가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몸체(51)의 상기 핀홈(52)이 형성된 측과 반대되는 측에는 경사면(55)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55)은 상기 연동바(45)의 가이드면(46)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펀치핀(50)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면(55)이 가이드면(46)을 눌러 연동바(45)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펀치핀(50)은 3열의 터미널스트랩을 한번에 생산하는 경우에는 3개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55)은 가장 외측에 구비되는 가이드펀치에 형성된다. 편의를 위해 총 3개의 가이드펀치핀(50)을 각각 제1핀(50a), 제2핀(50b) 및 제 3핀(50c)으로 한다면, 도 2에서 보듯이,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제1핀(50a) 및 제3핀(50c)에만 상기 경사면(55)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후술할 키블록(60)에 의해 상기 제1핀(50a)과 제2핀(50b)이 서로 결합되므로, 상기 제2핀(50b)에는 별도의 경사면(55)이 형성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도 5a 및 도 5b에는 각각 제1핀(50a) 및 제2핀(50b)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핀(50a)에만 경사면(55)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핀(50b)에는 경사면(55)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핀(50a) 및 제2핀(50b)에는 각각 결합홈(57,57')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57,57')은 키블록(60)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두 가이드펀치핀(50)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결합홈(57,57')에는 후술할 키블록(60)의 몸체(61)가 직접 삽입될 수도 있고, 키블록(6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62a)가 삽입될 수도 있다. 이는 키블록(60)의 형상이 펀치케이스(41) 주변의 구조물에 대응되어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총 3개의 가이드펀치핀(50a,50b,50c)이 구비되나, 2개 혹은 4개 이상의 가이드펀치핀(50)이 구비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도 가장 외측의 가이드펀치핀(50)에 경사면(5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펀치핀(50) 사이에는 키블록(60)이 결합된다. 상기 키블록(60)은 인접한 두 가이드펀치핀(5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어느 하나의 가이드펀치핀(50)이 터미널스트랩(1)의 미스피드에 의해 상승되는 경우에 함께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키블록(60)은 대략 육면체 형상의 몸체(61)와, 상기 몸체(61)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62a)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돌기(62a)는 상기 제1핀(50a)의 결합홈(57)에 삽입되고, 상기 몸체(61)중에서 상기 결합돌기(62a)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면의 말단은 상기 제2핀(50b)의 결합홈(57')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돌기(62a)는 상기 펀치케이스(41)의 내부공간 사정에 따라 몸체(61)의 일측에만 형성되거나, 혹은 도 6에서와 같이 두 개(62a,62b)가 각각 몸체(61)의 서로 타측면의 엇갈린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펀치케이스(41) 내부에서 제1 및 제2펀치(42,43)에 비해 상기 제1 및 제2핀(50a,50b)이 서로를 향해 더 돌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돌기(62a)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상기 키블록(60)이 상기 결합홈(57,57')에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키블록(60)의 몸체(61)가 제1 및 제2펀치(42,43)에 간섭되지 않고 두 가이드펀치핀(50) 사이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키블록(60)의 형상은 펀치케이스(41) 내부의 구성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형리테이너(4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케이스(70)가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케이스(70)는 상기 상형리테이너(40)의 외면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되고, 그 내부에는 스위치(72)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72)는 상기 연동바(45)의 누름면(47)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져 제어수단(도시되지 않음)으로 그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동바(45)의 누름면(47)을 향한 상기 스위치(72)의 선단에는 돌출부(7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73)는 상기 연동바(45)의 누름면(47)에 의해 실질적으로 눌려지는 부분이다. 상기 스위치케이스(70) 및 상기 스위치(72)는 상기 상형리테이너(4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상기 터미너스트랩의 가공을 위해 터미널스트랩(1)이 상기 다이(15) 상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펀치(42,43)에 의해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와이어바렐부(3a') 및 인슐레이션바렐부(3b')가 벤딩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펀치(42,43)는 상기 상형홀더(20)와 함께 하강하여 상기 터미널스트랩(1)을 타격하게 되는데, 이에 앞서, 상기 가이드펀치핀(50)이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정확한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상형홀더(20)가 하강하면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펀치핀(50) 역시 하강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펀치핀(50)의 선단에 형성된 상기 핀홈(52) 사이에 상기 캐리어(5)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펀치핀(50)이 계속하여 하강하게 되면, 상기 핀홈(52)에 상기 캐리어(5)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가이드펀치핀(50)의 선단이 상기 다이(15)의 삽입공(17) 내부로 소정 깊이만큼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스트랩(1)이 다이(15)상에 정확한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미널스트랩(1)은 총 3개의 열을 이루어 이동하므로, 상기 가이드펀치핀(50) 역시 3개가 구비되고 각각 하강하여 상기 캐리어(5)를 눌러주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상기 제1펀치(42) 및 제2펀치(43)가 하강하여 상기 터미널스트랩(1)을 타격함으로써 상기 와이어바렐부(3a') 및 인슐레이션바렐 부(3b')를 벤딩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터미널스트랩(1)이 상기 다이(15)상의 정확한 위치로 이동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펀치핀(50)이 상기 터미널스트랩(1)을 향해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핀홈(52)에 캐리어(5)가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펀치핀(50)의 선단이 터미널스트랩(1)에 걸려 상기 탄성부재(25)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상형홀더(20) 및 상형리테이너(40)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승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펀치핀(50)의 경사면(55)은 상기 연동바(45)의 가이드면(46)을 누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바(45)는 상기 제2탄성부재(48)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가이드펀치핀(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교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동바(45)의 누름면(47)이 상기 스위치(72)의 돌출부(73)를 눌러 스위치(72)를 온시키게 되고, 따라서 상기 터미널스트랩(1)의 위치가 정확하지 않은 것이 감지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펀치핀(50) 중에서 제1핀(50a)과 제2핀(50b)은 키블록(6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핀(50a)의 하방에 위치되는 터미널스트랩(1)이나 제2핀(50b)의 하방에 위치되는 터미널스트랩(1)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잘못되면 두 핀(50a,50b) 모두 상기 상형홀더(20)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스위치(72)를 작동하게 된다.
총 3개의 터미널스트랩(1)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그 위치가 잘못되어 있다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그 위치를 재조정하는 등의 작업을 거쳐야 하므로, 두 가이드펀치핀(50a,50b))이 연결되어 있다 하더라도 미스피드여부의 확 인 작업에는 지장이 없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핀(50b)과 연동되기 위한 연동바(45)가 필요 없게 되고, 따라서 상기 스위치(72)의 개수 역시 줄어들게 된다.
한편, 상기 상형홀더(20)측이 다시 상승하면 상기 가이드펀치핀(50)이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연동바(45)는 상기 제2탄성부재(48)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총 3개의 가이드펀치핀(50)이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총 4개의 가이드펀치핀(5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가장 외측의 두 가이드펀치핀(50)과 그 내측에 구비되는 가이드펀치핀(50)을 각각 키블록(60)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스트랩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펀치핀사이가 키블록에 의해 연결되므로, 가이드펀치핀과 연동되어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연동바의 개수가 줄어들게 되어, 결과적으로 부품수가 줄어들고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구성이 간소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펀치케이스의 내부구성에 따라 다양한 키블록을 적용할 수 있어, 프로그레시브금형의 규격이나 설계변경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활용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다이가 설치되는 하형리테이너가 구비되는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하고 상형리테이너가 구비되며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관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상형리테이너에 설치되어 상기 상형홀더와 함께 승강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그 일단이 지지되며, 타단에는 핀홈이 형성되어 상기 다이에 안착되는 작업물의 일측을 고정하는 다수개의 가이드펀치핀과,
    상기 가이드펀치핀 사이에 위치하여 인접한 두 가이드펀치핀이 함께 승강되도록 결합하는 키블록과,
    상기 가이드펀치핀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승하는 동작에 의해 연동되는 연동바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펀치핀의 일측에는 결합홈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키블록의 양단은 각각 인접한 상기 가이드펀치핀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두 가이드펀치핀을 결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블록은
    육면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서로 반대측면의 엇갈린 위치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펀치핀의 결합홈에 각각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바의 선단은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펀치핀 중에서 가장 외측에 구비되는 가이드펀치핀과 접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펀치핀과 상기 연동바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경사면 및 가이드면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펀치핀이 상기 상형홀더 방향으로 상승하면 상기 연동바는 상기 가이드펀치핀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
KR1020070051664A 2007-05-28 2007-05-28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 KR100868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664A KR100868951B1 (ko) 2007-05-28 2007-05-28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664A KR100868951B1 (ko) 2007-05-28 2007-05-28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951B1 true KR100868951B1 (ko) 2008-11-17

Family

ID=4028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664A KR100868951B1 (ko) 2007-05-28 2007-05-28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9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625B1 (ko) 2010-11-30 2012-03-07 주식회사진영정기 리프트 핀 결합 방식의 가이드 핀 및 이를 구비하는 연속 프레스 장치
CN102974686A (zh) * 2012-11-30 2013-03-20 重庆市北碚区枫火机械制造有限公司 铁压板连续模
CN103042074A (zh) * 2013-01-25 2013-04-17 江苏凡润电子有限公司 一种led显示器背板冲孔的检测治具及检测方法
CN106513503A (zh) * 2016-12-15 2017-03-22 浙江立祥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点火开关弹片冷冲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1829A (ja) * 1990-08-07 1992-03-25 Fujitsu Ltd プレス加工装置
KR200439072Y1 (ko) 2006-10-30 2008-03-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1829A (ja) * 1990-08-07 1992-03-25 Fujitsu Ltd プレス加工装置
KR200439072Y1 (ko) 2006-10-30 2008-03-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625B1 (ko) 2010-11-30 2012-03-07 주식회사진영정기 리프트 핀 결합 방식의 가이드 핀 및 이를 구비하는 연속 프레스 장치
CN102974686A (zh) * 2012-11-30 2013-03-20 重庆市北碚区枫火机械制造有限公司 铁压板连续模
CN102974686B (zh) * 2012-11-30 2015-04-29 重庆市北碚区枫火机械制造有限公司 铁压板连续模
CN103042074A (zh) * 2013-01-25 2013-04-17 江苏凡润电子有限公司 一种led显示器背板冲孔的检测治具及检测方法
CN106513503A (zh) * 2016-12-15 2017-03-22 浙江立祥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点火开关弹片冷冲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120Y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
WO2012042326A1 (en) An improved mechanism for upward lancing in a progressive die assembly
KR100868951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
JP2009521075A (ja) 電気技術的な接続端子用の締付け本体
KR100745823B1 (ko) 터미널 성형장치
KR100756022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가동스트리퍼 및 그 가공방법
KR101372311B1 (ko)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타발금형
KR100874973B1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캐리어홀 형성장치
CN212822202U (zh) 一种筒状工件扣位成型模具
JP2002292440A (ja) クランプバネの製造方法
KR10149398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벤딩장치
KR100897375B1 (ko) 터미널의 박스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200445638Y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가이드장치
KR100783162B1 (ko) 편겹침 탭터미널의 성형장치 및 방법
KR20090091402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안내장치
KR100846845B1 (ko) 터미널성형장치 및 방법
CN110802172A (zh) 压簧片压弯模
KR100838778B1 (ko) 2열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터미널스트립 안내장치
KR100957490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벤딩장치
KR20100013644A (ko) 터미널의 스프링부 성형장치
CN218242535U (zh) 冲压折弯模具及冲压折弯设备
CN218252494U (zh) 一种冲压模具的模内送料机构
KR20090016313A (ko) 프로그레시브금형의 성형장치
KR101529065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성형장치
KR101115347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동시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