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065B1 -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065B1
KR101529065B1 KR1020080087813A KR20080087813A KR101529065B1 KR 101529065 B1 KR101529065 B1 KR 101529065B1 KR 1020080087813 A KR1020080087813 A KR 1020080087813A KR 20080087813 A KR20080087813 A KR 20080087813A KR 101529065 B1 KR101529065 B1 KR 101529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punch
holder
pressing surfac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8872A (ko
Inventor
윤성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7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0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8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7/00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성형펀치(20)가 구비되는 상형홀더(10)와, 상기 상형홀더(10)와 상대이동되는 하형홀더(30), 그리고 다이조립체(60)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조립체(60)는 상기 하형홀더(30)에 상기 상형홀더(10)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승강다이(70)와 상기 제1승강다이(70)의 내부에 상기 상형홀더(10)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승강다이(80)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펀치(20)와 함께 상기 모재를 성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승강다이(70,80)는 구동장치에 의해 시간차를 두고 각각 상기 상형홀더(1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모재를 순차적으로 가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다이와 펀치에 의해 나누어져 이루어지던 성형공정이 하나의 다이조립체(60)와 펀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어 모재의 가공시간 및 금형조립체의 부피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80087813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 다이조립체, 이중성형

Description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성형장치{Double forming device for progressive mold}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간차를 두고 모재를 연속하여 성형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이중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띠 모양의 작업물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순차적으로 가공을 수행하여 원하는 제품을 만들게 된다. 즉,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각각의 위치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다이와 펀치의 쌍에서 각각의 가공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제품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제품 중에는, 두 개 이상의 모재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제품으로 완성되는 경우도 있다. 즉, 두 개의 모재가 프로그레시브 금형 내에서 교차되도록 이동되고, 교차되는 순간에 두 모재가 합쳐지도록 가공되어 제품이 완성되는 것이다.
도 1에는 프로그레시브금형에서 가공되는 두 개의 모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모재는 금속재질의 얇은 판상으로 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스트랩이다 칭한다. 참고로 상기 모재는 제1모재(A)와 제2모재(B)로 구성되고, 상 기 제1모재(A)와 제2모재(B)는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교차되어, 교차되는 순간에 결합되도록 가공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모재(A)는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모재(B)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모재(A)는 일종의 틀이 되는 캐리어부(A1)와, 상기 캐리어부(A1)를 따라 이송되면서 가공되는 박스부(A2)로 구성된다. 상기 박스부(A2)는 가공을 통해 절곡되어 후술할 제2모재(B)의 스프링부(B2)를 감싸게 된다.
상기 제2모재(B)는 상기 제1모재(A)와 마찬가지로 일종의 틀이 되는 캐리어부(B1)와, 상기 캐리어부(B1)를 따라 이송되는 몸체부(도면부호 부여 않음)로 구성되는데,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는 스프링부(B2)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부(B2)는 상기 제1모재(A)의 박스부(A2)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제1모재(A)와 제2모재(B)가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제1모재(A)와 제2모재(B)가 서로 직교하게 이송되는 과정에서 교차되는 지점에 이르면, 상기 제1모재(A)의 박스부(A2)가 벤딩펀치 및 이에 대응되는 벤딩다이에 의해 절곡되어 상기 스프링부(B2)를 감싸게 된다.
이때, 상기 박스부(A2)가 상기 스프링부(B2)를 정확하게 감쌀 수 있도록, 상기 박스부(A2)를 절곡하는 과정은 여러 번에 걸쳐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박스부(A2)를 절곡하여 상기 박스부(A2)가 상기 스프링부(B2)를 어느 정도 감싸도록 한 후에, 상기 박스부(A2)가 스프링부(B2)를 완전히 감싸 정확한 박스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모재를 여러 번에 걸쳐 절곡하기 위해서는 상기 모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별도의 벤딩펀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1모재(A)의 박스부(A2)가 제2모재(B)의 스프링부(B2)를 어느 정도 감싸도록 절곡시키는 제1벤딩펀치 및 이에 대응되는 제1벤딩다이와, 상기 박스부(A2)를 완전히 절곡하여 정확한 박스형상이 되도록 하는 제2벤딩펀치 및 이에 대응되는 제2벤딩다이가 각각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되면, 벤딩펀치 및 벤딩다이의 개수가 모재의 가공수만큼 증가하게 되어 금형조립체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품수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모재가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교차된 지점에서 가공되는 경우에, 제1벤딩펀치에 의해 가공된 후에는 제1모재(A)와 제2모재(B)가 함께 제2벤딩펀치 위치로 이송되어야 하는데 제1모재(A)와 제2모재(B)는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이러한 이송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제1모재(A)와 제2모재(B)가 함께 이송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또는 제2모재(B) 중 어느 하나는 원래의 이송경로에서 벗어나야 함을 의미하므로, 이러한 이송이 어려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재가 일정한 위치에 안착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형상의 절곡펀치 또는 절곡다이에 의해 연속적으로 가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모재를 가공하기 위한 벤딩펀치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에 상기 상형홀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승강다이와 상기 제1승강다이의 내부에 상기 상형홀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승강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펀치와 함께 상기 모재를 성형하는 다이조립체와, 상기 다이조립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시간차를 두고 상기 제1 및 제2승강다이를 각각 상기 상형홀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모재를 순차적으로 가공하도록 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상형홀더에 설치되어 상기 상형홀더와 함께 승강되는 구동펀치와, 상기 하형홀더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펀치에 의해 일단이 눌려 상기 상형홀더 및 하형홀더의 상대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승강다이에 순차적으로 접하여 이동시키는 연동펀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동펀치의 상기 다이조립체를 향하는 일측에는 제1누름면과 제2누름면 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승강다이의 일측에는 상기 제1누름면에 대응되는 제1눌림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승강다이의 일측에는 상기 제2누름면에 대응되는 제2눌림면이 형성되어, 상기 연동펀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눌림면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누름면에 시간차를 두고 눌려진다.
상기 연동펀치의 상기 제1누름면은 상기 제2누름면 보다 상기 연동펀치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다이조립체를 향해 더 돌출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누름면이 상기 제1승강다이의 제1눌림면과 접한 후에 상기 제2누름면이 상기 제2승강다이의 제2눌림면에 접한다.
상기 다이조립체는 상기 하형홀더에 상기 하형홀더 및 상형홀더의 상대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동펀치를 향한 일단에는 제1눌림면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이수납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승강다이와, 상기 제1승강다이의 상기 다이수납부에 수납되어 상기 하형홀더 및 상형홀더의 상대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은 상기 제1눌림면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상기 다이수납부의 일측을 통해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제2눌림면이 형성되는 제2승강다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승강다이의 다이수납부에는 리턴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제2승강다이에 상기 하형홀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승강다이의 외면에는 걸이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승강다이에는 상기 걸이채널에 대응되는 걸림핀이 형성되어, 상기 제2승강다이가 상기 제1승강다이의 다이수납부 내부에서 승강되는 이동행정이 제한된다.
상기 연동펀치의 일단에는 상기 구동펀치의 구동면에 의해 눌려지는 연동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누름면 및 제2누름면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펀치는 제1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다이조립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상기 제1승강다이에는 리턴핀이 결합되고, 상기 리턴핀에는 제2탄성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연동펀치가 상기 다이조립체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제1승강다이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금형조립체의 상형홀더와 하형홀더가 밀착되는 과정에서 다이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승강다이와 제2승강다이가 시간차를 두고 이동하면서 모재를 가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다이와 펀치에 의해 나누어져 이루어지던 성형공정이 하나의 다이조립체와 펀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어 부품수가 줄어들고 금형조립체의 부피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서로 교차되는 두 모재가 위치 변경 없이 한 위치에서 적어도 2번 이상 가공될 수 있어, 모재의 가공시간이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이중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이중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 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동펀치의 구성이 평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승강다이 및 제2승강다이의 구성이 정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 모재에 대한 내용은 상기 배경기술의 내용 및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형홀더(10)에는 백킹플레이트(12)가 설치되고, 상기 백킹플레이트(12)에는 상형리테이너(15)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형홀더(10)에는 상기 백킹플레이트(12)를 관통하도록 푸시핀(11)이 설치된다. 상기 푸시핀(11)의 일단에는 푸시스프링(S1)이 연결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성형펀치(20)를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15)에는 가동스트리퍼(16)가 설치된다. 상기 가동스트리퍼(16)는 성형펀치(20)에 앞서 제1모재(A) 및 제2모재(B)를 선택적으로 눌러주어 제1모재(A) 및 제2모재(B)가 정확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15)에는 성형펀치(20)가 설치된다. 상기 성형펀치(20)는 상기 상형리테이너(15)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제1모재(A)를 타격하여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성형펀치(20)는 제1모재(A)를 절곡하여 상기 제1모재(A)가 상기 제2모재(B)와 결합되도록하는 벤딩펀치이다.
상기 성형펀치(20)의 일측에는 걸림턱(21)이 구비되어 상기 상형리테이너(15)에 형성된 걸이턱(15')에 걸어져 이동행정이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성형펀치(20)의 내부에는 성형핀(22)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성형핀(22)은 그 일단은 상기 성형펀치(20)의 일단으로부터 입출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푸시핀(11)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상기 상형리테이너(15)에는 구동펀치(25)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펀치(25)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펀치(40)를 눌러 연동펀치(40)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펀치(25)의 선단에는 구동면(26)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상형홀더(10)의 반대편에는 하형홀더(30)가 설치된다. 상기 하형홀더(30)에는 가이드채널(3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32)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펀치(40)의 가이드부(42)가 이동되는 부분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이드채널(32)에는 제1탄성부재(S2)가 설치되어 연동펀치(40)의 가이드부(42)를 탄성지지하여, 연동펀치(40)가 상기 구동펀치(25)에 의해 눌려진 상태가 해제되면 원위치(도 2를 중심으로 보았을 때 우측)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하형홀더(30)에는 리턴핀(34)이 설치된다. 상기 리턴핀(34)은 아래에서 설명될 다이조립체(60)에 결합되어 다이조립체(60)가 원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리턴핀(34)에는 제2탄성부재(S3)가 연결된다. 즉, 상기 제2탄성부재(S3)는 상기 리턴핀(34)에 상기 상형홀더(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상기 리턴핀(34)에 연결된 다이조립체(60) 역시 상기 상형홀더(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원위치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형홀더(30)에는 백킹플레이트(35)가 설치되고, 상기 백킹플레이트(35)에는 연동펀치(40)가 설치된다. 상기 연동펀치(40)는 상기 백킹플레이트(35)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펀치(25)에 의해 일단이 눌려 상기 상형홀더(10) 및 하형홀더(30)의 상대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물론, 상기 백킹플레이트(35) 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연동펀치(40)에는 하형홀더(30) 또는 하형리테이너(5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별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구동펀치(25)와 연동펀치(40)는 하나의 구동장치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펀치(25)와 연동펀치(40)는 상기 상형홀더(10)와 하형홀더(30)의 상대이동과정에서 유기적으로 작동하면서 다이조립체(6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동펀치(40)의 구성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연동펀치(40)의 골격은 연동펀치몸체(4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연동펀치(40)에는 가이드부(4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42)는 상기 하형홀더(30)의 가이드채널(32)에 삽입되어 연동펀치(40)의 이동을 안내하는 부분으로, 그 내부에는 설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S2)의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연동펀치몸체(41)의 일단에는 연동면(45)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연동면(45)은 상기 구동펀치(25)의 구동면(26)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면(26)과 실질적으로 접하여 밀리게 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동펀치(40)의 타단에는 제1 및 제2누름면(47,49)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누름면(47,49)은 아래에서 설명될 다이조립체(60)의 제1 및 제2승강다이(70,80)의 제1 및 제2눌림면(72,82)이 각각 대응되는 것으로, 제1 및 제2눌림면(72,82)을 각각 눌러 다이조립체(60)를 구성하는 후술할 제1 및 제2승강다이(70,8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누름면(47)은 상기 연동펀치몸체(41)의 일단으로 부터 돌출되는 돌출부(46)에 형성되어, 제2누름면(49) 보다 다이조립체(60)에 더 가까운 위치에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누름면(47)이 먼저 다이조립체(60)에 접한 이후에 제2누름면(49)이 다이조립체(60)에 접하게 된다.
이때, 도 3(a)에서 보듯이, 상기 돌출부(46)의 사이에는 도피홈(S)이 형성된다. 상기 도피홈(S)은 상기 제1누름면(47)이 아래에서 설명될 제2승강다이(80)의 제2눌림면(82)을 누르지 않고, 제1승강다이(70)의 제1눌림면(72)만을 누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1누름면(47)이 제1눌림면(72)과 접하여 제1승강다이(70)를 누르는 과정에서, 제1누름면(47)에 의해 제2승강다이(80)는 눌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46)의 상면에는 안착면(48)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48)에는 제1승강다이(70)의 저면이 안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누름면(47)에 의해 제1승강다이(70)가 상형홀더(10) 방향으로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돌출부(46)가 제1승강다이(70)의 하방으로 파고 들어 제1승강다이(70)의 저면이 상기 안착면(48)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백킹플레이트(35)에는 하형리테이너(50)가 설치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50)는 상기 상형리테이너(15)에 대응되는 것으로, 서로 선택적으로 밀착되면서 제1모재(A)를 가공하게 된다.
상기 하형리테이너(50)에는 다이조립체(60)가 설치된다. 상기 다이조립체(60)는 상기 제1모재(A)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성형펀치(20)와 협력하여 상기 제1모재(A)를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이조립체(60)는 상기 하형리테이 너(50)에 상기 상형홀더(10)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다이조립체(60)는 제1승강다이(70)와 제2승강다이(80)로 구성되는데 이하에서 순차적으로 살피기로 한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승강다이(70)는 제1몸체(71)가 그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제1몸체(71)는 상기 연동펀치(40)에 의해 눌려 상기 상형홀더(10)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모재(A)를 성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몸체(71)의 일측에는 제1눌림면(72)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눌림면(7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다이수납부(75)의 입구부(72')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도 4(b)에서 보듯이, 상기 입구부(72')는 상기 제1눌림면(72)의 일부가 원형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다이수납부(75)의 내부와 연통되어 후술할 제2승강다이(80)의 제2눌림면(82)이 돌출된다. 물론 상기 입구부(72')의 형상은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제2승강다이(80)의 제2눌림면(82)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71)에는 체결홈(7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73)은 상기 리턴핀(34)의 선단이 나사체결되는 부분으로, 그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71)에는 다이수납부(75)가 형성된다. 상기 다이수납부(75)는 상기 제1몸체(7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빈 공간으로, 그 내부에는 제2승강다이(80)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다이수납부(75)의 양단은 각각 개구되어 형성되는데, 그 일측으로는 후술할 제2승강다이(80)의 제2성형부(87)가 입출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입구부(72')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다이수납부(75)의 일측에는 걸이채널(7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채널(74)은 상기 제1몸체(71)의 외면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제2승강다이(80)의 걸림핀(P)이 그 내부로 삽입되어 제2승강다이(80)의 이동행정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몸체(71)의 선단에는 제1성형부(77)가 구비된다. 상기 제1성형부(77)는 상기 제1모재(A)가 실질적으로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성형펀치(20)와 협력하여 제1모재(A)를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성형부(77)의 내측에 형성된 절곡면(77')에 의해 제1모재(A)가 절곡되어 진다. 도면부호 76은 단차턱으로, 제2승강다이(80)의 선단이 걸려 더 이상 상승되는 것이 방지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제2승강다이(8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제2승강다이(80)의 외관 및 골격은 제2몸체(81)가 형성한다. 상기 제2승강다이(80)는 상기 제1승강다이(70)의 다이수납부(75) 내부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승강다이(80)는 상기 연동펀치(40)에 의해 상기 상형홀더(1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모재(A)를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몸체(81)에는 제2눌림면(82)이 형성된다. 상기 제2눌림면(82)은 상기 연동펀치(40)의 제2누름면(49)에 의해 눌려지는 부분으로, 상기 제1승강다이(70)의 다이수납부(75)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제2눌림면(82)이 상기 다이수납부(75),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다이수납부(75)의 입구부(72')를 통해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연동펀치(40)의 제2누름면(49)에 접하게 되면 상기 제2 몸체(81)는 상기 다이수납부(75)를 따라 상형홀더(10)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몸체(81)에는 체결공(8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83)에는 걸림핀(P)이 삽입되어 상기 제1몸체(71)의 걸이채널(74)에 걸어지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몸체(81)가 상기 다이수납부(75) 내부에서 이동되는 거리가 제한된다.
상기 제2몸체(81)의 선단에는 제2성형부(87)가 형성된다. 상기 제2성형부(87)는 상기 성형펀치(20)와 협력하여 제1모재(A)를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성형부(87)는 그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가공면(87')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성형부(87)의 형상은 가공되는 제품의 설계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승강다이(70)의 다이수납부(75)에는 리턴스프링(S4)이 설치된다. 상기 리턴스프링(S4)은 제2승강다이(80)의 일측과 상기 다이수납부(75)의 일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승강다이(80)에 상기 하형홀더(30)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동펀치(4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상기 제2승강다이(80)는 상기 리턴스프링(S4)에 의해 상기 다이수납부(75) 내부에서 상기 하형홀더(30)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금형의 이중성형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이중성형장 치의 작동과정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다이조립체(60) 및 펀치의 작동을 간략하게 보인 동작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형홀더(10)와 하형홀더(30)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된 상태이다. 즉, 상기 상형홀더(10)가 상기 하형홀더(30)를 향해 이동되기 전으로, 상형리테이너(15)에 설치된 구동펀치(25)가 하형홀더(30)에 설치된 연동펀치(40)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형홀더(10)가 상기 하형홀더(30)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구동펀치(25)의 구동면(26)이 상기 연동펀치(40)의 연동면(45)에 접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구동펀치(25)가 더 하강하게 되면 상기 연동펀치(40)는 상기 상형홀더(10)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 즉 도 6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연동펀치(40)가 상기 구동펀치(25)에 의해 눌려 이동하게 되면, 상기 연동펀치(40)의 선단, 즉 상기 연동펀치(40)의 제1누름면(47)이 다이조립체(60)의 제1승강다이(70)의 제1눌림면(72)이 닿게 된다. 이때, 상기 연동펀치(40)의 제2누름면(49)은 상기 제1누름면(47)보다 상기 구동펀치(25)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므로 제2승강다이(80)의 제2눌림면(82)에 닿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동펀치(25)가 계속하여 하강하게 되면, 상기 연동펀치(40)는 상기 다이조립체(60)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동펀치(40)의 제1누름면(47)은 상기 제1승강다이(70)의 제1눌림면(72)과 접한 상태로 이동되어 제1승강다이(70)를 상형홀더(10) 방향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상기 제1승강다이(70)가 상기 상형홀더(10)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성형펀치(20)가 제1승강다이(70) 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제1모재(A)를 절곡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펀치(25)가 더욱 하강하면, 상기 연동펀치(40)가 상기 다이조립체(60)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상기 연동펀치(40)의 제2누름면(49)은 상기 제2승강다이(80)의 제2눌림면(82)에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눌림면(82)은 상기 제1승강다이(70)에 형성된 입구부(72')를 통해 돌출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2누름면(49)에 의해 쉽게 눌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동펀치(40)의 제2누름면(49)이 상기 제2승강다이(80)의 제2눌림면(82)에 접한 상태로 연동펀치(40)가 이동되면, 상기 제2승강다이(80)는 상기 제1승강다이(70)의 다이수납부(75)를 따라 상기 제1모재(A)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2승강다이(80)의 제2성형부(87)는 상기 제1모재(A)를 타격하여 상기 제1모재(A)를 다시 한번 확실하게 절곡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도 9에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9(a)는 상기 연동펀치(40)에 의해 상기 제1승강다이(70)가 아직 상승되기 전의 모습이고, 도 9(b)는 상기 연동펀치(40)에 의해 상기 제1승강다이(70)가 이동하여 제1모재(A)를 절곡시킨 모습이다.
그리고, 도 9(c)에는 상기 연동펀치(40)에 의해 상기 제2승강다이(80)가 상승하면서 상기 제1모재(A)를 절곡시키고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다이조립체(60)를 구성하는 제1승강다이(70)와 제2승강다이(80)가 어느 정도 시간차를 두고 상기 제1모재(A)를 성형하므로,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제1승강다이(70)와 제2승강다이(80)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금형조립체의 전체 부피가 줄어들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모재(A)의 가공이 모두 끝나면, 상기 상형홀더(10)는 상기 하형홀더(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동펀치(40)를 누르고 있던 구동펀치(25) 역시 원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연동펀치(40)에는 제1탄성부재(S2)이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연동펀치(40)는 원위치, 즉 상기 다이조립체(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다이조립체(60)를 누르고 있던 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상기 다이조립체(60)에는 제2탄성부재(S3)가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연동펀치(40)가 원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상기 다이조립체(60) 역시 상기 상형홀더(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다음으로, 별도의 피더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기 제1모재(A) 및 제2모재(B)가 각각 한피치씩 이동하게 되고, 다시 상기 상형홀더(10)가 하강하면서 상기한 공정이 반복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장치가 구동펀치(25)와 연동펀치(40)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구동장치는 별도의 유압실린더와 같은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상형홀더(10)와 하형홀더(30)의 상대이동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되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승강다이(70,80)가 이동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로그레시브금형에서 가공되는 두 개의 모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이중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동펀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승강다이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승강다이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이중성형장치의 작동과정을 보인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9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다이조립체 및 펀치의 작동을 간략하게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형홀더 11: 푸시핀
12: 백킹플레이트 15: 상형리테이너
20: 성형펀치 22: 성형핀
25: 구동펀치 26: 구동면
30: 하형홀더 32: 가이드채널
34: 리턴핀 35: 백킹플레이트
40: 연동펀치 41: 연동펀치몸체
42: 가이드부 45: 연동면
46: 돌출부 47: 제1누름면
48: 안착면 49: 제2누름면
50: 하형리테이너 60: 다이조립체
70: 제1승강다이 71: 제1몸체
72: 제1눌림면 73: 체결홈
74: 걸이채널 75: 다이수납부
77: 제1성형부 77': 절곡면
80: 제2승강다이 81: 제2몸체
82: 제2눌림면 83: 체결공
87: 제2성형부 87': 가공면
A: 제1모재 B: 제2모재
S1: 푸시스프링 S2: 제1탄성부재
S3: 제2탄성부재 S4: 리턴스프링

Claims (10)

  1. 하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하형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모재를 가공하기 위한 성형펀치가 구비되는 상형홀더와,
    상기 하형홀더에 상기 상형홀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승강다이와 상기 제1승강다이의 내부에 상기 상형홀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승강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펀치와 함께 상기 모재를 성형하는 다이조립체와,
    상기 다이조립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시간차를 두고 상기 제1 및 제2승강다이를 각각 상기 상형홀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모재를 순차적으로 가공하도록 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상형홀더에 설치되어 상기 상형홀더와 함께 승강되는 구동펀치와,
    상기 하형홀더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펀치에 의해 일단이 눌려 상기 구동펀치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승강다이에 순차적으로 접하여 이동시키는 연동펀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 성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펀치의 상기 다이조립체를 향하는 일측에는 제1누름면과 제2누름면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승강다이 및 상기 제2승강다이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누름면에 각각 대응되는 제1눌림면과 제2눌림면이 형성되어, 상기 연동펀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눌림면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누름면에 시간차를 두고 눌려짐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성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펀치의 상기 제1누름면은 상기 제2누름면 보다 상기 연동펀치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다이조립체를 향해 더 돌출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누름면이 상기 제1승강다이의 제1눌림면과 접한 후에 상기 제2누름면이 상기 제2승강다이의 제2눌림면에 접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성형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조립체는
    상기 하형홀더에 상기 하형홀더 및 상형홀더의 상대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 게 설치되고 상기 연동펀치를 향한 일단에는 제1눌림면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다이수납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제1승강다이와,
    상기 제1승강다이의 상기 다이수납부에 수납되어 상기 하형홀더 및 상형홀더의 상대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에는 상기 다이수납부의 일측을 통해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제2눌림면이 형성되는 제2승강다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성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다이의 다이수납부에는 리턴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제2승강다이에 상기 하형홀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성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다이의 외면에는 걸이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승강다이에는 상기 걸이채널에 대응되는 걸림핀이 형성되어, 상기 제2승강다이가 상기 제1승강다이의 다이수납부 내부에서 이동행정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성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펀치의 일단에는 상기 구동펀치의 구동면에 의 해 눌려지는 연동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누름면 및 제2누름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성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펀치는 제1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다이조립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성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다이에는 리턴핀이 결합되고, 상기 리턴핀에는 제2탄성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연동펀치가 상기 다이조립체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제1승강다이는 원위치로 복귀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성형장치.
KR1020080087813A 2008-09-05 2008-09-05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성형장치 KR101529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813A KR101529065B1 (ko) 2008-09-05 2008-09-05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813A KR101529065B1 (ko) 2008-09-05 2008-09-05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872A KR20100028872A (ko) 2010-03-15
KR101529065B1 true KR101529065B1 (ko) 2015-06-17

Family

ID=4217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813A KR101529065B1 (ko) 2008-09-05 2008-09-05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0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550B1 (ko) * 2014-12-18 2015-06-09 최호규 복합 프레스 금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685A (ja) * 1997-06-27 1999-01-29 Mitsui High Tec Inc 半導体装置用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に使用する金型装置
KR100189201B1 (ko) * 1995-12-22 1999-06-01 김영환 순차이송 금형의 절곡장치
KR200418688Y1 (ko) * 2006-03-24 2006-06-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의 바렐성형장치
KR100652197B1 (ko) * 2005-11-15 2006-12-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의 박스부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201B1 (ko) * 1995-12-22 1999-06-01 김영환 순차이송 금형의 절곡장치
JPH1126685A (ja) * 1997-06-27 1999-01-29 Mitsui High Tec Inc 半導体装置用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に使用する金型装置
KR100652197B1 (ko) * 2005-11-15 2006-12-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의 박스부 성형장치
KR200418688Y1 (ko) * 2006-03-24 2006-06-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의 바렐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872A (ko) 201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8952B2 (ja) パイプ材にナットを固着するプレス装置
CN101406919B (zh) 多级组合浮动式斜楔机构
CA2573116C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duction of stampings
WO2012042326A1 (en) An improved mechanism for upward lancing in a progressive die assembly
CN211386578U (zh) 一种一步完成内扣折弯模具
KR101529065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이중성형장치
CN210648102U (zh) 一种冲压模具及冲压设备
KR100868951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미스피드방지장치
CN216938245U (zh) 一种新型的压铆装置
CN212826481U (zh) 五金塑胶一体件的生产装置
JPH11290951A (ja) 高強度鋼板のプレス成形方法およびプレス成形装置
CN112439846A (zh) 金属制品的排出装置以及金属制品的制造方法
CN212822202U (zh) 一种筒状工件扣位成型模具
KR10149398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벤딩장치
CN213350437U (zh) 一种冲压铆合一体化的模具
CN209998239U (zh) 一种大步距模具送料行程缩短结构
KR102078599B1 (ko) 와셔 제조장치
JP2013166152A (ja) プレス加工方法及びプレス金型
KR101116625B1 (ko) 리프트 핀 결합 방식의 가이드 핀 및 이를 구비하는 연속 프레스 장치
KR100957490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벤딩장치
CN215236964U (zh) 板材折弯成型模具
CN218192188U (zh) 一种薄材带料模内拉料装置
CN220497520U (zh) 汽车a柱加强板成型模具
CN110026488B (zh) 压料翻边模具和压力机
CN218611346U (zh) 一种模内送线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