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599B1 - 와셔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와셔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599B1
KR102078599B1 KR1020180118074A KR20180118074A KR102078599B1 KR 102078599 B1 KR102078599 B1 KR 102078599B1 KR 1020180118074 A KR1020180118074 A KR 1020180118074A KR 20180118074 A KR20180118074 A KR 20180118074A KR 102078599 B1 KR102078599 B1 KR 102078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ing
washer
punch
cavity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홍기
Original Assignee
백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홍기 filed Critical 백홍기
Priority to KR1020180118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1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rings, e.g. barrel hoops
    • B21D53/2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rings, e.g. barrel hoops washers, e.g. for 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0) 일측에 별도 설치되는 소재공급부에서 연속 공급되는 소재를 펀칭하여 사각와셔의 외형과 중공부를 동시에 성형하는 펀치부재(201)가 설치된 상부금형(20);
상부금형(20)과 형합하도록 본체(10) 하측에서 상부금형(20)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펀치부재(201)가 투입되는 펀칭홀(301)이 형성된 하부금형(3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펀칭금형의 부피를 줄여 펀칭금형의 제작비를 절감하고, 단일 펀칭을 통해 완제품 성형이 완료되게 함으로써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셔 제조장치{Washer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의 기술분야는 와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펀칭금형의 부피를 줄여 펀칭금형의 제작비를 절감하고, 단일 펀칭을 통해 완제품 성형이 완료되게 함으로써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와셔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셔(washers)는 일반적으로 너트 및 볼트와 고정시킬 부분 사이에 들어가는 고리 모양의 부품으로서 압력을 분산하거나, 나사 결합된 너트나 볼트가 풀리지 않도록 체결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기계요소의 일종이다.
첨부도면 도 1은 통상의 사각와셔(P)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과 같이 몸체가 평면상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원형으로 된 중공부(H)가 형성된다.
한편, 통상의 와셔 제조장치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진 소재가 공급되면, 와셔를 성형하기 위한 펀칭금형이 설치된 와셔 제조장치가 소재를 연속 펀칭함으로써 와셔가 성형되고, 성형된 와셔가 펀칭금형에서 배출됨으로서, 와셔가 생산된다.
그런데 종래의 와셔 제조장치로 사각와셔를 제조하는 경우에, 중공부를 형성하는 내경펀치와, 사각와셔의 사각 외형을 형성하는 외형펀치가 소정 간격으로 상부금형의 저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소재가 연속 공급되는 동안 내경펀치와 외형펀치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상부금형이 하강하면, 내경펀치에 의해 소재의 중심부에 먼저 중공부가 형성되고, 소재가 내경펀치와 외형펀치의 설치 간격만큼 이송된 후, 중공부가 형성된 위치에 외형펀치에 의한 펀칭이 이루어지면서 사각와셔의 외형 성형이 이루어짐으로써 사각와셔가 제조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와셔 제조장치는, 사각 와셔를 제조하기 위해서 복수의 펀치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펀칭금형의 부피가 커지면서 금형제작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커진 부피에 따른 금형의 무게 증가로 인해 금형의 체결 설치 및 가동을 위한 작업 시 불편함에 가중되며, 고속 작동이 곤란한 단점이 있다.
또한, 내경펀치와 외형펀치에 의해 두 번의 펀칭공정을 통해 완제품이 배출됨으로 소재 투입 후 완제품 배출에 따른 시간의 지연으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또한, 내경펀치와 외형펀치에 의해 두 번의 펀칭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중공부가 편심되게 형성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와셔의 형상이 동일하지 않은 불량품 발생이 증가하는 단점도 있다.
한국공개공보 제2000-001812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일 펀치를 통해 사각와셔의 중공부와 외형부가 동시에 성형되게 하여 금형의 부피를 줄인 와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펀치를 이용하여 한 번의 펀칭으로 완제품 성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형상 및 동심도가 정확한 고품질의 와셔 생산이 가능한 와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와셔 제조장치는, 본체(10) 상측에 설치되되, 상부에는 상하 승강을 위한 프레스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본체(10) 일측에 별도 설치되는 소재공급부에서 연속 공급되는 소재를 펀칭하여 사각와셔의 외형과 중공부를 동시에 성형하는 펀치부재(201)가 설치된 상부금형(20);
상기 상부금형(20)과 형합하도록 본체(10) 하측에서 상기 상부금형(20)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펀치부재(201)가 투입되는 펀칭홀(301)이 형성된 하부금형(30); 을 포함하여 한 번의 펀칭으로 사각와셔가 성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치부재(201)는, 사각와셔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사각와셔의 외형 설계치수와 동일한 평면 단면을 가지게 형성되되, 저면 중심부에는 사각와셔의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중공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공동부(20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금형(30)은, 상기 펀칭홀(301) 내부에 승강 가능케 설치되되, 사각와셔의 외형 설계치수와 동일한 평면 단면을 가지며, 중심부에는 사각와셔의 중공부와 동일한 직경의 내경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펀칭홀(301) 내부에 형성된 단턱부(301a)에 걸리는 환상의 걸림턱부(302b)가 형성된 코어부재(302);
상기 펀칭홀(301)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되, 중심부에는 상기 내경부와 동일한 직경의 외경을 가지며, 내경부를 관통하는 성형핀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핀부재(303);
상기 코어부재(302)의 저면과 상기 핀부재(303)의 상면 간에 개재되어 상기 코어부재(302)의 걸림턱부(302b)가 상기 단턱부(301a)에 밀착되게 상방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304);
하부금형(30)의 상단면 일측에서 소정 깊이만큼 형성되되, 바닥면이 상기 코어부재(302)와 핀부재(303)의 상단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배출홈(30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치부재(201)는, 상기 공동부(201a) 내부에 승강 가능케 탄설되는 배출부재(202);를 더 구비하여 소재 펀칭 과정에서 공동부(201a) 내로 투입되는 금속조각(B)을 공동부(201a) 외부로 밀어내어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치부재(201)는, 상기 공동부(201a) 상부에 공동부보다 내경이 작은 안내공(201b)과, 상기 안내공(201b)보다 내경이 큰 설치공(201c)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재(202)는, 상면에 승강안내봉(202a)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201b)을 관통하게 설치되되, 승강안내봉(202a) 상단부에는 상기 설치공(201c) 내에 위치하도록 체결너트(202b)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공동부(201a)의 상측 내면과, 배출부재(202)의 상면 간에는 배출부재(202)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20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펀칭금형의 부피가 현저히 줄어들어 금형 제작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번의 펀칭만으로 완제품 성형이 완료됨으로써, 완제품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번의 펀칭만으로 완제품 성형이 완료됨으로써, 완제품의 형상 및 동심도가 정확한 고품질의 와셔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의 사각와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와셔 제조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와셔 제조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와셔 제조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와셔 제조장치의 소재 펀칭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와셔 제조장치의 펀칭 후 제품 배출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셔 제조장치의 배출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셔 제조장치의 소재 펀칭 과정에서 금속조각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와셔 제조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와셔 제조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와셔 제조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와셔 제조장치는 상부금형(20), 하부금형(30)을 포함한다.
상부금형(20)은, 본체(10) 상측에 설치되되, 상부에는 상하 승강을 위한 프레스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본체(10) 일측에 별도 설치되는 소재공급부에서 연속 공급되는 소재를 펀칭하는 펀치부재(201)가 설치된다.
프레스에 의한 상부금형(20)의 승강을 위하여 상부금형(20)의 네 모서리 중 적어도 두 곳 이상의 모서리 부분에는 상부금형(20)의 승강 작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봉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봉에는 제1탄성부재(304)를 더 구비함으로써, 프레스에 의한 상부금형(20)의 하강시 제1탄성부재(304)가 압축되었다가, 상부금형(20)의 상승 시 압축되었던 제1탄성부재(304)가 상부금형(20)을 상방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상부금형(20)의 상승 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된다.
상기 펀치부재(201)는, 사각와셔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사각와셔의 외형 설계치수와 동일한 평면 단면을 가지게 형성되되, 저면 중심부에는 사각와셔의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중공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공동부(201a)가 형성된다.
따라서 펀치부재(201)에 의한 소재의 펀칭 시 사각와셔의 외형과 중공부가 동시에 펀칭 성형된다.
한편, 소재공급부는 본체(10) 일측에 설치되되, 롤 형태로 권취된 소재코일을 장착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소재코일을 풀어내어 소재를 연속 공급하는 언코일러(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언코일러(40)와 본체(10) 간에는 언코일러(40)에서 풀린 소재가 본체(10)로 연속 공급될 때, 다수의 가이드롤러가 구비되어 언코일러(40)에서 공급되는 소재의 곡률을 펴주면서 본체(10)로 공급하는 소재가이드(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금형(30)은 상부금형(20)과 형합하도록 본체(10) 하측에서 상부금형(20)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부금형(20) 저면에 설치된 펀치부재(201)가 투입되는 펀칭홀(301)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금형(30)은, 코어부재(302), 핀부재(303), 제1탄성부재(304), 배출홈(305)을 포함한다.
상기 코어부재(302)는 펀칭홀(301) 내부에 승강 가능케 설치되되, 사각와셔의 외형 설계치수와 동일한 평면 단면을 가지며, 중심부에는 사각와셔의 중공부와 동일한 직경의 내경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펀칭홀(301) 내부에 형성된 단턱부(301a)에 걸리는 환상의 걸림턱부(302b)가 형성된다.
상기 핀부재(303)는 펀칭홀(301)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되, 중심부에는 내경부와 동일한 직경의 외경을 가지며, 내경부를 관통하는 성형핀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304)는 코어부재(302)의 저면과 상기 핀부재(303)의 상면 간에 개재되어 상기 코어부재(302)의 걸림턱부(302b)가 상기 단턱부(301a)에 밀착되게 상방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상부금형(20)의 하강에 의해 펀치부재(201)가 펀칭홀(301) 내부로 투입되면, 하강하는 펀치부재(201)에 코어부재(302)가 하강함에 따라 제1탄성부재(304)가 압축되고, 상부금형(20)과 함께 펀치부재(201)가 상승하면서 펀칭홀(301) 외부로 배출되면 압축되었던 제1탄성부재(304)가 코어부재(302)를 상방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펀치부재(201)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코어부재(302)는 제1탄성부재(304)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한 위치가 유지된다.
상기 배출홈(305)은 하부금형(30)의 상단면 일측에서 소정 깊이만큼 형성되되, 바닥면이 코어부재(302)와 핀부재(303)의 상단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와셔 제조장치의 소재 펀칭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와셔 제조장치의 펀칭 후 제품 배출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소정 두께의 금속 판재로 된 소재가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30) 사이로 투입되되, 소재의 저면은 하부금형(30)의 상단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된다.
프레스에 의해 상부금형(20)이 하강하면, 상부금형(20) 저면의 펀치부재(201)가 소재를 관통하면서 하부금형(30)의 펀칭홀(301) 내부로 삽입되는 펀칭이 이루어진다.
이때, 사각와셔의 외형 설계치수와 동일한 평면 단면을 가지는 펀치부재(201)에 의해 사각와셔의 외형에 대한 펀칭 성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수직 하방으로 가해지는 펀치부재(201)에 의한 압력에 의해 외형 성형이 이루어진 사각와셔와 코어부재(302)는 하방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코어부재(302)와 핀부재(303) 간에 설치된 제1탄성부재(304)가 압축된다.
또한, 펀치부재(201)에 의해 사각와셔와 코어부재(302)가 하강함에 따라 펀칭홀(301)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핀부재(303)의 성형핀 상단면에 사각와셔의 저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펀치부재(201)에 의해 사각와셔가 계속 하강하면, 사각와셔의 중심부가 성형핀에 의해 펀칭되면서 중공부가 형성된다.
도 5와 같이 프레스에 의해 상부금형(20)이 상승하면, 펀칭홀(301)에 삽입되었던 펀치부재(201)가 펀칭홀(301)에서 배출됨과 동시에 펀칭 성형된 사각와셔는 코어부재(302) 상면에 남고, 중공부 성형 과정에서 형성된 금속조각(B)은 성형핀 상면에 남게 된다.
또한, 펀치부재(201)의 하강 과정에서 압축되었던 제1탄성부재(304)가 인장되면서 코어부재(302)를 상방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펀칭 성형된 사각와셔는 배출홈(305)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금형(30)의 상면과 밀착되게 이송되는 소재보다 하부에 위치한 배출홈(305)과 동일한 높이 상에 펀칭 성형된 사각와셔와 금속조각(B)이 동시에 위치함에 따라 상기 배출홈(305)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인-아웃되는 별도의 배출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해 사각와셔와 금속조각(B)을 밀어내어 배출함으로써, 한 번의 펀칭 공정으로도 중공부가 형성된 사각와셔의 제조가 완료된다.
또한, 한 번의 펀칭 공정으로 사각와셔의 외형과 중공부(H)가 동시에 형성됨으로써, 사각와셔의 형상 및 동심도가 정확한 일치하게 되어 형상이 일정한 고품질의 사각와셔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셔 제조장치의 배출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셔 제조장치의 소재 펀칭 과정에서 금속조각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펀치부재(201)는, 소재 펀칭 과정에서 공동부(201a) 내로 투입되는 금속조각(B)을 공동부(201a) 외부로 밀어내어 배출하는 배출부재(20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펀치부재(201)의 공동부(201a) 상부에는 공동부보다 내경이 작은 안내공(201b)과, 안내공(201b)보다 내경이 큰 설치공(201c)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재(202)는, 상면에 승강안내봉(202a)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201b)을 관통하게 설치되되, 승강안내봉(202a) 상단부에는 상기 설치공(201c) 내에 위치하도록 체결너트(202b)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배출부재(202)는 공동부(201a) 내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케 된다.
또한, 공동부(201a)의 상측 내면과, 배출부재(202)의 상면 간에는 배출부재(202)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203)가 설치된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펀치부재(201)의 공동부(201) 내부에서 승강 가능케 설치된 배출부재(202)는 상부금형(20)이 하강하여 소재를 펀칭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금속조각(B)과 밀착되면서 상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제2탄성부재(203)가 압축됨과 동시에 배출부재(202)는 상방으로 상승하고, 그로 인해 개방된 공동부(201a)의 개구부를 통해 금속조각(B)이 공동부(201a) 내부로 투입된다.
그리하여 상부금형(20)의 하강에 의한 펀치 완료 후, 상부금형이 다시 상승하면 금속조각(B)과 밀착되면서 배출부재(202)의 상방으로 가해지던 압력이 해소됨에 따라, 압축되었던 제2탄성부재(203)가 인장되면서 배출부재(202)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배출부재(202)가 하강한다.
따라서 펀칭 과정에서 공동부(201a) 내부로 투입되었던 금속조각(B)은 제2탄성부재(203)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는 배출부재(202)에 의해 공동부(201a)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펀칭 작업 시 금속조각(B)이 공동부(201a) 내부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연속적인 펀칭 작업이 원만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소재 10: 본체
20: 상부금형 201: 펀치부재
201a: 공동부 201b: 안내공
201c: 설치공 202: 배출부재
202a: 승강안내봉 202b: 체결너트
203: 제2탄성부재 30: 하부금형
301: 펀칭홀 302: 코어부재
303: 핀부재 304: 제1탄성부재
305: 배출홈 40: 언코일러
50: 소재가이드

Claims (5)

  1. 본체(10) 상측에 설치되되, 상부에는 상하 승강을 위한 프레스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본체(10) 일측에 별도 설치되는 소재공급부에서 연속 공급되는 소재를 펀칭하여 사각와셔의 외형과 중공부를 동시에 성형하는 펀치부재(201)가 설치된 상부금형(20);
    상기 상부금형(20)과 형합하도록 본체(10) 하측에서 상기 상부금형(20)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펀치부재(201)가 투입되는 펀칭홀(301)이 형성된 하부금형(30); 을 포함하고,
    상기 펀치부재(201)는,
    사각와셔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사각와셔의 외형 설계치수와 동일한 평면 단면을 가지게 형성되되, 저면 중심부에는 사각와셔의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중공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공동부(201a)가 형성되며,
    상기 펀치부재(201)는,
    상기 공동부(201a) 내부에 승강 가능케 탄설되는 배출부재(202); 를 더 구비하여 소재 펀칭 과정에서 공동부(201a) 내로 투입되는 금속조각(B)을 공동부(201a) 외부로 밀어내어 배출되게 하고,
    상기 펀치부재(201)는, 상기 공동부(201a) 상부에 공동부보다 내경이 작은 안내공(201b)과, 상기 안내공(201b)보다 내경이 큰 설치공(201c)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재(202)는, 상면에 승강안내봉(202a)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201b)을 관통하게 설치되되, 승강안내봉(202a) 상단부에는 상기 설치공(201c) 내에 위치하도록 체결너트(202b)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공동부(201a)의 상측 내면과, 배출부재(202)의 상면 간에는 배출부재(202)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제2탄성부재(203)가 설치되어 한 번의 펀칭으로 사각와셔가 성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셔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30)은,
    상기 펀칭홀(301) 내부에 승강 가능케 설치되되, 사각와셔의 외형 설계치수와 동일한 평면 단면을 가지며, 중심부에는 사각와셔의 중공부와 동일한 직경의 내경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펀칭홀(301) 내부에 형성된 단턱부(301a)에 걸리는 환상의 걸림턱부(302b)가 형성된 코어부재(302);
    상기 펀칭홀(301)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되, 중심부에는 상기 내경부와 동일한 직경의 외경을 가지며, 내경부를 관통하는 성형핀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핀부재(303);
    상기 코어부재(302)의 저면과 상기 핀부재(303)의 상면 간에 개재되어 상기 코어부재(302)의 걸림턱부(302b)가 상기 단턱부(301a)에 밀착되게 상방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재(304);
    하부금형(30)의 상단면 일측에서 소정 깊이만큼 형성되되, 바닥면이 상기 코어부재(302)와 핀부재(303)의 상단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배출홈(30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셔 제조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80118074A 2018-10-04 2018-10-04 와셔 제조장치 KR102078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74A KR102078599B1 (ko) 2018-10-04 2018-10-04 와셔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74A KR102078599B1 (ko) 2018-10-04 2018-10-04 와셔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599B1 true KR102078599B1 (ko) 2020-02-19

Family

ID=6966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074A KR102078599B1 (ko) 2018-10-04 2018-10-04 와셔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7599A (zh) * 2020-10-14 2021-02-05 常熟市鑫美金属制品厂 一种金属制品加工模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279A (ja) * 1992-09-30 1994-04-19 Nichiden Mach Ltd ワッシャ加工供給方法及び装置
KR20000018128A (ko) 2000-01-13 2000-04-06 박국철 와셔 제조장치
KR20090091406A (ko) * 2008-02-25 2009-08-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
KR20100061508A (ko) * 2007-09-28 2010-06-07 노드-락 에이비 록킹용 와셔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와 록킹용 와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279A (ja) * 1992-09-30 1994-04-19 Nichiden Mach Ltd ワッシャ加工供給方法及び装置
KR20000018128A (ko) 2000-01-13 2000-04-06 박국철 와셔 제조장치
KR20100061508A (ko) * 2007-09-28 2010-06-07 노드-락 에이비 록킹용 와셔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와 록킹용 와셔
KR20090091406A (ko) * 2008-02-25 2009-08-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7599A (zh) * 2020-10-14 2021-02-05 常熟市鑫美金属制品厂 一种金属制品加工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346595Y (zh) 一种复合冷冲模
CN204817682U (zh) 一种新型的冲压复合模
CN209110009U (zh) 一种刚凸成型的模具
CN203853457U (zh) 一种顶料型落料冲孔复合模
CN103084488A (zh) 双向压边的拉深及压印一体化模具
KR102078599B1 (ko) 와셔 제조장치
CN111630685B (zh) 二次电池的顶板安全阀制造方法和制造装置、顶板制造方法、二次电池用顶板
CN102218485A (zh) 一种电梯用绳头锥套生产工艺
CN205599916U (zh) 一次冲压可成型数个带孔产品的模具
CN216757937U (zh) 一种金属抱箍批量化一体冲压成型设备
CN216938245U (zh) 一种新型的压铆装置
CN210023531U (zh) 一种五金模具自动上料设备
CN114309330A (zh) 一种金属抱箍批量化一体冲压成型设备
CN205629077U (zh) 一种微波炉门内板小孔精密冲模
CN213350437U (zh) 一种冲压铆合一体化的模具
CN205463927U (zh) 一种改进的冲孔落料复合模具
CN209811039U (zh) 一种钣金冲压模具
JP2000042794A (ja) プレスライン
CN210817115U (zh) 机械式模内送料机构
CN106077247A (zh) 管桩端板锚孔、钢筋孔、沉孔一次成型模具
JP5237027B2 (ja) 筒部材の製造方法
CN103909155A (zh) 一种顶料型落料冲孔复合模
CN113967946B (zh) 冲切模具
CN220781847U (zh) 车削工艺加工吸能盒用整形设备
CN210996273U (zh) 一种液压机锻压成型法兰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