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578B1 - 횡편기 - Google Patents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578B1
KR102226578B1 KR1020190083253A KR20190083253A KR102226578B1 KR 102226578 B1 KR102226578 B1 KR 102226578B1 KR 1020190083253 A KR1020190083253 A KR 1020190083253A KR 20190083253 A KR20190083253 A KR 20190083253A KR 102226578 B1 KR102226578 B1 KR 102226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needle
knitting
cam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693A (ko
Inventor
도루 니시무라
마사미쓰 이케나카
마사히로 시모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03331A external-priority patent/JP723330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00007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04B7/3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스티치 억제판에 의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의 녹오버를 억제하는 작용을 정지시킬 때에, 스티치 억제판의 이동에 수반하여 니들루프가 받는 저항을 종래보다도 작게 하여, 녹오버를 확실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횡편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스티치 억제판(5)의 스티치 억제홈(5a)은, 인접하여 편성되는 손가락부(6, 7) 사이를 오버랩 시키기 위하여,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6)에 있어서 다음에 편성할 손가락부(7) 측의 손가락 연결부(6a)가 되는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4)에 작용된다. 다음 손가락부(7)의 편성이 종료하면,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4)을 프레셔 캠(16)의 귀환 캠면(16c)에 의하여 해제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스티치 억제판(5)을 이동시킨다. 해제위치는, 스티치의 형성 시에 편침(4)을 니들베드(3) 측으로 인입하는 위치보다도 니들베드갭(2) 측이 되고,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의 니들루프는, 스티치 억제홈(5a)으로부터 니들베드갭(2) 측으로 되돌아갈 때에 받는 저항의 증대가 저감되어, 확실하게 녹오버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손가락부(발가락부)를 갖는 장갑이나 양말 등을 통모양의 편성포(編成布)로 편성하고, 손가락부 사이를 오버랩(overlap) 시키기 위한 스티치 억제판(stitch 抑制板)을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버랩을 시키면서 손가락부를 순차적으로 편성하는 장갑 편성기 등의 횡편기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 측의 선단(先端)에 띠모양의 스티치 억제판을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2 참조). 특허문헌1에서는, 스티치 가압판이 스티치 억제판에 상당한다. 니들베드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니들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편침(編針)은, 니들 플레이트 사이의 니들홈에 수용되어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고, 선단의 훅을 니들베드갭으로 진퇴시켜 편성포를 편성한다. 편침의 진퇴는,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캠(cam)에 의하여 구동된다.
스티치 억제판은, 니들베드갭 측의 선단으로부터 니들베드 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스티치 억제홈을 구비한다. 스티치 억제홈은, 길이방향의 일방측(一方側)에서 오버랩을 시키는 구간의 편침에 지지되는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에 작용한다. 스티치 억제홈을 작용시키기 위하여, 스티치 억제판은 길이방향의 일방측에서 타방측(他方側)으로 이동된다.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는, 스티치 억제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되어 스티치 억제홈으로 침입한다.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은, 스티치를 스티치 억제홈의 바로 위의 침간(針幹)에 정지시켜 녹오버(knock over)를 억제한다. 이 편침의 스티치 억제홈보다도 니들베드갭 측의 부분은, 다음 손가락부를 손가락 연결부까지 편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다음 손가락부의 편성이 종료하면, 스티치 억제판을 길이방향의 일방측으로 이동시키고, 스티치 억제홈을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로부터 일방측으로 분리한다. 앞서 편성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는, 스티치 억제판의 경사부를 지나 니들베드갭 측으로 되돌아가고, 니들베드갭 측에서 편성된 다음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에 포개진다. 2개의 손가락부에 계속되는 몸통부의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2개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는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로서 녹오버되어, 오버랩이 이루어진 손가락 연결부가 형성된다.
캐리지에는 가동캠을 포함하는 각종 캠이 탑재되고, 가동캠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어바(control bar)를 통하여 캐리지의 외부로부터 작동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3 참조). 특허문헌3의 도1에 나타내는 가동캠은, 부호14의 스티치 캠과 부호16의 프레셔 캠을 포함한다. 특허문헌3의 도3은, 부호10F로 나타내는 앞쪽 니들베드의 선단측이며 편침으로서 부호S로 나타내는 래치니들(latch needle)의 하측에, 앞쪽 니들베드보다도 가늘게 빗금을 그어 스티치 억제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3은, 래치니들의 뒤쪽에 니들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있다.
스티치 캠은,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스티치의 크기에 대응하는 스티치값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하하는 정도를 변경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프레셔 캠은,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훅으로 지지하는 편침에 작용하도록 이동하고,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하하여, 스티치가 스티치 억제홈으로 침입하기 쉽게 한다. 스티치 억제판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티치를 스티치 억제홈으로 침입시킬 때에, 스티치 억제판의 상면(上面)과 니들 플레이트의 저면(底面) 또는 편침의 저면과의 사이는 슬라이딩한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 제3053376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26741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44077호 공보
최근의 스티치 억제판을 구비하는 횡편기에는, 가는 편사(編絲)를 사용하여 코팅장갑이나 정밀작업용 장갑의 편성 등 얇은 장갑을 편성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편사가 가늘어지면, 스티치 억제판을 손가락 연결부로부터 빼고 스티치 억제홈에 정지되어 있던 스티치를 경사부를 따라 니들베드갭 측으로 되돌릴 때에 문제가 생기기 쉬워진다. 가는 편사는, 스티치 억제판의 상면과 니들 플레이트의 저면 또는 편침의 저면과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기 위한 간극에 말려들어 가 끼기 쉬워진다. 편사가 간극에 끼이면, 앞서 편성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는 계속된다. 스티치는, 몸통부의 편성포의 편성의 진행에 의하여 잡아당겨진 다음에 해제되어 녹오버된다. 이와 같은 녹오버의 지연을 동반하는 편성제품은, 불량이 되어 버린다.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은, 스티치 억제홈의 경사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단면(端面)을 경사면으로 하여, 가는 편사이더라도 스티치 억제판의 상면과 니들 플레이트 등의 저면과의 간극에 말려들어 가기 어렵게 하고 있다. 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은, 스티치 억제판이 니들 플레이트 등의 저면으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수용부재로 제한하여, 스티치 억제판의 상면과 니들 플레이트 등의 저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어렵게 하고 있다.
그러나 니들 플레이트는, 니들베드의 기판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니들베드를 형성하는 복수의 판상부재(板狀部材)이다. 편침은, 니들 플레이트 사이의 니들홈에 수용되어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진퇴하는 복수의 침상부재(針狀部材)이다. 이들 부재는 상호 간에 슬라이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밀착시킬 수 없어, 가는 편사가 말려들어 가는 간극이 생겨 버린다. 스티치 억제홈에 정지되어 있던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경사부를 따라 니들베드갭 측으로 되돌릴 때에, 스티치의 니들루프(needle loop)는 편침의 침간으로부터 훅의 선단측으로 이동한다. 이동하는 니들루프는, 훅을 닫은 상태의 래치 위를 지난다. 래치 위를 지나는 부분의 둘레의 길이는, 래치의 경사에 따라 증대한다. 니들루프는, 이동에 대한 둘레의 길이의 증대로 저항을 받고, 저항이 크면 원활한 이동이 곤란해진다. 특허문헌1과 같은 스티치 억제홈의 형상에 대한 대책이나 특허문헌2와 같은 스티치 억제판의 수용부재에 의한 대책은, 니들루프가 받는 저항을 작게 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들의 대책만으로는, 가는 편사가 이동할 때에 저항을 받는 경우에, 간극으로 말려들어 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티치 억제판에 의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의 녹오버를 억제하는 작용을 정지시킬 때에, 스티치 억제판의 이동에 수반하여 니들루프가 받는 저항을 작게 하여, 녹오버를 확실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는 편침(編針)에 형성되고, 선침결과에 따라 출몰하는 구동 버트(驅動 butt)를, 상기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편성캠(knitting cam)으로,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으로 진퇴하도록 구동하면서, 복수의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통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의 일방측(一方側)에서 인접하여 편성하는 손가락부 사이를 오버랩(overlap) 시키기 위한 스티치 억제판(stitch 抑制板)을 구비하고,
스티치 억제판에 형성하는 스티치 억제홈으로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편침의 침간(針幹)에 정지시켜 지지하고, 다음 손가락부를 손가락 연결부가 포함되는 최종 코스까지 편성하는 사이에, 지지하는 스티치의 녹오버(knock over)를 억제하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캐리지에 탑재되고, 스티치 억제판에 의하여 녹오버를 억제하는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침간에 지지하는 편침의 버트에 작용하고, 스티치 억제판이 스티치를 억제하고 있는 상태에서 니들베드갭 측의 해제위치로 편침을 되돌리는 캠면을 갖는 귀환캠(return cam)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버트는, 상기 구동 버트보다도 상기 니들베드갭 측에 형성되고, 항상 돌출되어 있는 니들베드갭 측 버트이고,
상기 캠면을 니들베드갭 측 버트에 작용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절환하는 절환기구(切換機構)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귀환캠은,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훅으로 지지하는 편침에 대하여, 상기 스티치 억제판을 작용시켜 스티치를 스티치 억제홈으로 안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니들베드 측에 형성되는 구동 캠면을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시켜, 상기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引入)하도록 구동하는 프레셔 캠(pressure cam)이고,
상기 니들베드갭 측 버트에 작용하여,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상기 해제위치로 되돌리는 캠면은, 프레셔 캠의 상기 니들베드갭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귀환캠은, 형성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 캠면으로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하는 스티치 캠(stitch cam)이고,
상기 니들베드갭 측 버트에 작용하여,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상기 해제위치로 되돌리는 캠면은, 스티치 캠의 상기 니들베드갭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귀환캠은, 형성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 캠면으로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하는 스티치 캠이고,
구동 버트에 작용하여,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상기 해제위치로 되돌리는 캠면은, 스티치 캠의 구동 캠면보다도 상기 니들베드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귀환캠은, 형성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 캠면으로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하는 스티치 캠이고,
상기 스티치 캠은, 상기 다음 손가락부를 편성한 후에 급사를 수반하지 않는 빈 코스의 편성동작에서,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상기 해제위치로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인입하여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귀환캠은, 형성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 캠면으로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하는 스티치 캠이고,
상기 스티치 캠은, 상기 다음 손가락부를 편성하기 전에, 상기 스티치 억제판을 작용시킨 후에 급사를 수반하지 않는 빈 코스의 편성동작에서,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구동하여, 적어도 상기 해제위치까지는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인입하여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 억제판에 의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의 녹오버 억제의 정지는,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침간에 지지하는 편침을 니들베드갭 측이 되는 해제위치로 이동시켜 두고 행한다. 이 이동으로, 스티치는 편침에 대하여 느슨해진다. 스티치 억제판이 손가락 연결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멀어지는 이동에 따라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는, 스티치 억제판의 경사부를 따라 니들베드갭 측으로 이동하여, 확실하게 녹오버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돌출되어 있는 니들베드갭 측 버트에 작용하도록 귀환캠에 형성하는 캠면은, 다음 손가락부를 편성한 후에 손가락 연결부를 편성한 편침을 해제위치로 되돌린다. 다음에 편성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는 녹오버하지 않고,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는 편침에 대하여 느슨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귀환캠의 작용은, 절환기구로 작용과 비작용을 절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 억제판을 작용시키기 쉽게 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프레셔 캠은, 니들베드갭 측에 형성하는 캠면에 의하여, 스티치 억제판의 작용을 정지하기 전에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가 편침에 대하여 느슨해지도록 편침을 되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의 형성 시에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하는 스티치 캠은, 니들베드갭 측에 형성하는 캠면에 의하여, 스티치 억제판의 작용을 정지하기 전에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가 편침에 대하여 느슨해지도록 편침을 되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의 형성 시에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하는 스티치 캠은, 구동 캠면의 니들베드 측에 형성하는 캠면에 의하여, 스티치 억제판의 작용을 정지하기 전에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가 편침에 대하여 느슨해지도록 편침을 되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 손가락부를 편성한 후 스티치 억제판을 빼기 전에, 앞서 편성하여 스티치 억제판의 스티치 억제홈으로 편침의 침간에 정지시켜 둔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는, 빈 코스의 편성으로 편침에 대하여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 억제판의 스티치 억제홈을 작용시킨 후에,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는 스티치 억제판의 스티치 억제홈으로 편침의 침간에 정지되고, 빈 코스의 편성으로 편침에 대하여 느슨하게 하여 둔다. 다음 손가락부를 편성한 후에도 스티치 억제판을 손가락 연결부로부터 빼기 쉽게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인 횡편기(1)의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한 캠의 배치도이다.
도2는, 도1의 프레셔 캠(16)의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캠의 배치도이다.
도3은, 도1의 횡편기(1)에서 사용하는 니들베드(3) 및 편침(4)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에 나타내는 편침(4)의 훅(4a) 부근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는, 도1의 횡편기(1)에서 사용하는 캐리지(10F, 10B)의 캠의 배치도이다.
도6은, 도1의 횡편기(1)에서 프레셔 캠(16)의 동작을 절환하는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인 횡편기(41)의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한 캠의 배치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3인 횡편기(51)의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한 캠의 배치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4인 횡편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5인 횡편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1∼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인 횡편기(橫編機)(1)의 동작과 주요부분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인 횡편기(41)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3인 횡편기(51)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4 및 실시예5인 횡편기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설명대상의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다른 도면에 기재된 참조부호를 붙여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각 실시예에서의 절환(切換) 등에 필요한 제어는, 횡편기(1)에 구비되는 제어기 등의 제어수단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순서에 따라 이루어진다.
[실시예1]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인 횡편기(1)의 주요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과 동작을 나타낸다. 횡편기(1)는,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2)을 사이에 두고,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로서 후술하는 앞쪽 니들베드(3F)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는 뒤쪽 니들베드를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앞쪽 니들베드(3F)에 관한 구성에는 번호에 F를 붙이고, 뒤쪽 니들베드에 관한 구성에는 번호에 B를 붙이고, 전후의 니들베드에 공통인 사항에 대하여 총칭할 때에는 번호만을 붙인다. 니들베드(3)는, 도면에서는 가로방향이 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pitch)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편침(編針)(4)을 구비한다. 편침(4)은, 니들베드갭(2) 측의 선단(先端)에 훅(4a)을 구비하고,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떨어진 니들베드(3) 측으로 구동 버트(4b), 및 구동 버트(4b)보다도 니들베드갭(2) 측으로 니들베드갭 측 버트(4c)를 구비한다. 스티치 억제판(5)은, 편침(4)의 선단 부근의 저면측에 배치된다. 스티치 억제판(5)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편침(4)을 구동하는 동작은, 편침(4)의 훅(4a) 부근의 선단부, 구동 버트(4b) 및 니들베드갭 측 버트(4c)의 궤적으로 나타낸다.
스티치 억제판(5)은, 니들베드갭(2) 측의 선단으로부터 니들베드(3) 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스티치 억제홈(5a)을 구비한다. 스티치 억제홈(5a)은, 니들베드(3)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일방측(一方側)인 좌측에서 닫히고, 타방측(他方側)인 우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니들베드갭(2) 측을 향하여 개구(開口)한다. 개구부보다도 좌측방향이며 스티치 억제홈(5a)의 니들베드갭(2) 측의 상측 테두리는 스티치 억제편(5b)이 되고, 우측방향이며 스티치 억제홈(5a)의 니들베드(3) 측의 하측 테두리는 니들베드갭(2) 측으로 접근하여 니들베드갭(2) 측의 선단에 이르는 경사부(5c)가 된다. 스티치 억제판(5)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인접하여 편성되는 손가락부(6, 7) 사이를 오버랩(overlap) 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스티치 억제홈(5a)은,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6)에 있어서 다음에 편성할 손가락부(7) 측의 손가락 연결부(6a)가 되는 스티치를, 훅(4a)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침입하도록 사용한다. 다음 손가락부(7)의 편성에서 편침(4)을 니들베드갭(2) 측으로 구동하면,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는 훅(4a)으로부터 침간(針幹)으로 이동하고, 스티치 억제홈(5a)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범위에서 정지되어 지지된다. 본 실시예1에서 4개의 편침(4)은, 침간으로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를 지지하면서, 스티치 억제편(5b)보다도 니들베드갭(2) 측이 되는 부분에서 다음 손가락부(7)를 손가락 연결부(7a)를 포함하는 최종 코스까지 편성한다. 스티치 억제홈(5a)은, 다음 손가락부(7)의 편성 중에 지지하는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의 녹오버(knock over)를 억제하도록 작용한다. 손가락 연결부(6a, 7a)의 지지와 편성에 사용하는 편침(4)의 개수는, 편성하는 스티치의 밀도인 게이지수나 손가락부(6, 7)의 편성에 사용하는 편침(4)의 총수(總數) 등에 따라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음 손가락부(7)의 편성이 종료하면, 스티치 억제편(5b)이 손가락부(7)로부터 빠질 때까지 스티치 억제판(5)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티치 억제판(5)의 이동은, 손가락 연결부(6a, 7a)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4)이 해제위치로 되돌아가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해제위치는, 예를 들어 편침(4)의 훅(4a)의 선단위치로 나타내면, 스티치 기준위치(2a) 또는 이에 가까운 위치로 한다. 스티치 기준위치(2a)는, 형성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스티치 캠(14)에 설정되는 스티치값 0에 대응하여 인입(引入)되는 편침(4)의 위치가 된다.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를 훅(4a)으로 지지하는 편침(4)을 니들베드갭(2)으로 진출시킬 때에, 스티치는 훅(4a)으로부터 래치를 넘어 침간측에 안착된다. 스티치 억제판(5)은, 편침(4)을 인입하더라도 스티치가 녹오버하지 않도록 억제한다. 편침(4)을 니들베드(3) 측으로 인입하면, 훅(4a)에 손가락 연결부(7a)의 스티치가 형성되고, 침간에 이전 손가락부(6)의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가 지지된다. 이와 같이 손가락 연결부(6a, 7a)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4)은, 캠에 의하여 해제위치로 되돌아간다. 스티치 억제판(5)은, 손가락 연결부(6a, 7a)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4)이 적어도 해제위치로 되돌아간 후에 손가락 연결부(6a, 7a)로부터 좌측방향으로 멀어진다. 스티치 억제판(5)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편침(4)의 침간에 지지되어 있던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는 억제가 풀려, 경사부(5c)를 따라 니들베드갭(2) 측으로 이동한다. 도4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전 손가락부(6)의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는, 편침(4)의 침간을 니들베드갭(2) 측으로 이동할 때에 받는 저항이 감소한다. 저항의 감소는, 스티치 억제판(5)의 경사부를 따라 스티치가 이동할 때에 말려들어 가는 일이 없이 스티치가 니들베드갭(2) 측으로 되돌아가기 쉽게 한다. 편침(4)이 해제위치로 되돌아가 있기 때문에,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는 녹오버하지 않고 침간에 정지하지만, 다음 편성동작에서 확실히 녹오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해제위치는, 편침(4)을 니들베드(3) 측으로 인입하더라도 스티치가 래치를 넘어 녹오버하지 않고 침간에 정지하는 범위의 인입위치로 하면 좋다.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10F)는, 스티치 캠(14), 프레셔 캠(16) 및 니들 가이드 캠(17)을 포함하는 캠을 탑재한다. 스티치 캠(14)은 경사진 안내홈(14a)을 따라 이동하고, 편침(4)의 구동 버트(4b)를 구동하는 구동 캠면(14b)으로서 경사진 캠면과, 구동 캠면(14b)의 하방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보조 캠면(14c)을 구비한다. 스티치 캠(14)은, 선침결과에 따라 선침상태로 되어 있는 구동 버트(4b)를 캠면(14b)의 경사를 따라 하단까지 인하하고, 구동 캠면(14b)의 하측과 보조 캠면(14c)의 상측의 사이를 지나도록 안내한다. 프레셔 캠(16)은, 상하방향의 안내홈(16a)을 따라 이동한다. 본 실시예1의 프레셔 캠(16)은, 안내홈(16a)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편침(4)의 니들베드갭 측 버트(4c)에 접하여 훅(4a)의 선단이 스티치 기준위치(2a)에 도달할 때까지 편침(4)을 니들베드갭(2) 측으로 되돌아가도록 구동하는 귀환 캠면(16c)을 상부에 구비한다. 이 귀환 캠면(16c)은, 니들베드갭 측 버트(4c)를 눌러 내리는 니들 가이드 캠(17)의 우측방향에서, 접하는 니들베드갭 측 버트(4c)를 항상 니들베드갭(2) 측으로 밀어 올려 편침(4)을 되돌린다. 도4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가동싱커(8)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편침(4)을 되돌릴 때에 가동싱커(8)로 스티치를 니들베드갭(2)의 하방으로 압입(壓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는, 도1의 프레셔 캠(16)의 다른 동작을 편침(4)에 관련되는 궤적으로 나타낸다. 프레셔 캠(16)은, 안내홈(16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고, 구동 버트(4b)에 접하여 편침(4)을 니들베드(3)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캠면(16b)을 하부에 구비한다. 또한 니들베드(3) 측으로 인입되는 편침(4)의 우측에 배열되는 편침(4)의 구동 버트(4b)는, 손가락부(6)의 편성이 종료되어 있기 때문에 비선침상태이며, 구동 캠면(16b)에 접하지 않는다. 이 동작을 할 때에 도면에서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스티치 억제판(5)의 스티치 억제홈(5a)은,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멀어져 있다. 프레셔 캠(16)은,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6)의 손가락 연결부(6a)가 되는 스티치에 스티치 억제홈(5a)을 작용시키기 전에,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를 훅(4a)으로 지지하는 편침(4)을 니들베드(3) 측으로 인입하여, 스티치가 스티치 억제홈(5a)에 침입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도3은, 도1의 횡편기(1)에 사용하는 니들베드(3) 및 편침(4)의 구성을 나타낸다. 니들베드(3)는, 기판(3a)에 대하여 도면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배열되는 니들 플레이트(3b)를 구비한다. 편침(4)은, 니들 플레이트(3b) 사이의 니들홈에 수용되어 니들베드(3)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선단의 훅(4a)을 니들베드갭(2)으로 진퇴시켜 편성포를 편성한다. 편침(4)의 진퇴는, 니들베드(3)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10)에 탑재되는 스티치 캠(14) 등의 캠에 의하여 구동된다. 니들베드갭 측 버트(4c)는, 선단에 훅(4a)을 구비하는 바늘본체(4d)의 기단부(基端部)에 형성되고, 니들베드(3)로부터 캐리지(10) 측으로 항상 돌출되어 있다. 바늘본체(4d)의 기단부에는, 잭(4e)의 선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잭(4e)은, 선단부로부터 기단측으로 간격을 두고 구동 버트(4b)를 구비하고, 또한 기단측에서 제어 잭(4f)의 작용을 받는다. 제어 잭(4f)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는 선침 드럼의 외주(外周)에 접하는 선침 볼록부(4g)를 구비하고, 선침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선침 패턴을 구동 버트(4b)의 니들베드(3)로부터 캐리지(10) 측에 대한 출몰에 반영시킨다. 또한 선침방법은 선침 드럼을 사용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캐리지(10)의 전기적인 제어에 의하여 절환되는 선침기구를 탑재하도록 하여도 좋다. 구동 버트(4b)는, 선침결과에 따라 선침상태에서는 캐리지(10) 측으로 돌출하고, 비선침상태에서는 돌출하지 않는다.
도4는, 도3에 나타내는 편침(4)의 훅(4a) 부근의 구성을 앞쪽 니들베드(3F)에 대하여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편침(4)은, 도1의 동작에서 해제위치까지 되돌아가 있다.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편침(4)이 니들베드(3) 측으로 인입되는 위치는, 도면보다도 하방이 된다. 훅(4a)을 선단에 구비하는 편침(4)의 바늘본체(4d)는, 저부(底部)가 바늘의 바닥선(3Fc)을 따라 니들베드갭(2)으로 진퇴한다. 뒤쪽 니들베드(3B) 측은, 바늘의 바닥선(3Bc)으로 나타낸다. 니들베드갭(2)의 중심을 지나는 연직선(2v)은, 바늘의 바닥선(3Fc, 3Bc)의 교점을 지난다. 바늘의 바닥선(3Fc, 3Bc)은, 니들베드갭(2) 측이 높아지고, 니들베드(3F, 3B) 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진다. 편침(4)의 훅(4a)의 개구부(開口部)는, 녹오버되는 스티치가 통과할 때에 래치(4h)로 덮여 닫혀 있다.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는, 스티치 억제판(5)의 스티치 억제홈(5a)으로부터 탈출할 때에 도2에 나타내는 경사부(5c)에 의한 밀어 올리기로,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이행한다.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의 니들루프에서 침간에 걸리는 부분(6b)은, 훅(4a)을 닫는 래치(4h)의 외연부분을 이동한다. 니들루프에서 스티치 억제홈(5a) 내를 지나는 부분(6c)은, 경사부(5c)를 따라 스티치 억제판(5)의 니들베드갭(2) 측의 선단까지 되돌아간다. 도2에 나타내는 귀환 캠면(16c)에서 되돌아가기 전의 편침(4)의 위치는 도면보다도 하방이 되기 때문에, 니들루프는 보다 둘레의 길이가 긴 부분을 이동하여야만 한다. 편침(4)을 해제위치까지 되돌림으로써, 니들루프가 이동할 때에 받는 저항이 증대하는 정도를 되돌리기 전보다도 저감시킬 수 있다.
니들베드(3)의 니들베드갭(2) 측에는, 가동싱커(8)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싱커(8)는, 길이방향으로는 편침(4)의 사이에 배치되고, 훅(4a)에 의한 스티치의 형성 시에 싱커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벽면(8a)과 아울러, 스티치를 니들베드갭(2)의 하방으로 압입하기 위한 압입부(8b)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동싱커(8)는, 본 도면에서는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지만, 상기의 스티치 기준위치(2a)보다도 약간 니들베드(3) 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뒤쪽 니들베드(3B) 측의 바늘의 바닥선(3Bc)은, 스티치 기준위치(2a)보다도 니들베드갭(2) 측이 된다. 손가락부를 순차적으로 편성하기 위해서는,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와 다음에 편성할 손가락부의 편성시작부분과의 사이에 편사가 걸쳐지기 때문에, 교차사(cross-over yarn)의 절단이나 단사(端絲)를 편입시키는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처리에 필요한 장치는, 바늘의 바닥선(3Fc, 3Bc)이나 스티치값 0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니들베드갭(2) 측을 이동한다. 해제위치를 보다 니들베드갭(2)으로 진출한 위치로 하면, 니들루프가 이동할 때에 받는 저항증대의 저감효과는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니들베드갭(2) 측을 이동하는 장치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해제위치는 스티치값 0에 대응하는 위치나 바늘의 바닥선(3Fc)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5는, 도1의 횡편기(1)에 사용하는 캐리지(10F, 10B)에 탑재되는 캠의 배치를 나타낸다. 전후의 캐리지(10F, 10B)는, 도면의 가로방향으로 연동하여 왕복한다. 횡편기(1)로 편성하는 통모양의 편성포는, 도면의 좌측방향으로의 이동에 앞쪽 캐리지(10F), 우측방향으로의 이동에 뒤쪽 캐리지(10B)를 사용하고, 전후의 니들베드(3)를 교대로 사용하여 통모양으로 편성한다. 앞쪽 캐리지(10F)에는, 도면의 우측방향으로의 이동에도 스티치의 편성을 가능하게 하는 편성시작용 캠(11)이 탑재된다. 편성시작용 캠(11)은 출몰이 가능한 가동캠이며, 전후 니들베드(3)의 편침(4)을 사용하여 편성을 시작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탄성 레이징 캠(12)은, 니들베드(3)로부터의 돌출높이가 다른 니들베드갭 측 버트(4c)에 작용하여, 편성포에 탄성사를 삽입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센터캠(13), 스티치 캠(14) 및 니들 레이징 캠(15)은, 선침되어 니들베드(3)로부터 돌출한 상태의 구동 버트(4b)에 작용하여, 스티치를 형성하도록 안내한다. 니들 가이드 캠(17) 및 브릿지 캠(18)은, 편침(4)의 니들베드갭(2) 측으로의 진출을 제한한다. 도1 및 도2의 동작은, 전후의 캐리지(10F, 10B)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프레셔 캠(16)을 동시에 작동시켜 이루어진다.
도6은, 도1의 횡편기(1)에서 프레셔 캠(16)의 동작을 절환하는 절환기구의 구성을 나타낸다. 캐리지(10)는, 도면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이 되는 니들베드(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특허문헌3에서와 같이 캐리지(10)의 외부로부터 가동캠에 대한 제어를 받는다. 가동캠에 대한 제어는, 제어바 가이드(20)에 형성되는 홈에 수용되는 제어바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바로서는 프레셔 캠 제어바(21), 편성시작용 캠 제어바(22), 탄성 레이징 캠 제어바(23), 스티치 캠 조정 제어바(24)가 설치된다. 프레셔 캠 제어바(21)는, 제어바 가이드(20)에 형성되는 홈으로부터 캐리지측으로 출몰하도록 구동된다.
도6은, 도6(a)가 도1에, 도6(b)가 도2에 각각 대응하는 프레셔 캠(16)의 절환상태를 나타낸다. 캐리지(10)는, 안내축(30)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한다. 프레셔 캠(16)을 포함하는 도5에 나타내는 캠은, 캐리지(10)의 저판(底板)(31)에 설치된다. 저판(31)의 표면측은 니들베드(3)의 상면(上面)과 마주 본다. 저판(31)의 이면측에는 레버(32), 이동부재(33), 지주(支柱)(34) 및 스프링(35)이 설치된다. 레버(32)는, 중간의 지지축(32a)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搖動)이 가능하고, 일단(一端)이 프레셔 캠 제어바(21)에 접하고, 타단(他端)이 이동부재(33)에 결합한다. 이동부재(33)는, 안내홈(16a)을 통하여 프레셔 캠(16)에 연결되어 있다. 이동부재(33)와 저판(31)에 세워서 설치하는 지주(34)와의 사이에 걸쳐 있는 스프링(35)은, 레버(32)의 일단이 프레셔 캠 제어바(21)에 접하도록 가압한다. 프레셔 캠 제어바(21), 레버(32), 이동부재(33), 지주(34) 및 스프링(35)은, 프레셔 캠(16)의 귀환 캠면(16c)을 니들베드갭 측 버트(4c)에 작용시킬 것인지 작용시키지 않을 것인지를 절환하는 절환기구를 형성한다. 절환기구는 이 구동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캐리지(10)에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원을 탑재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1에서는, 스티치 억제홈(5a)을 작용시키기 직전에 도6(b)의 상태로 하고, 그 외에는 도6(a)의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은 프레셔 캠(16)의 절환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종래의 프레셔 캠에는 귀환 캠면(16c)이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 본 실시예1과 같이 귀환 캠면(16c)을 구비하는 프레셔 캠(16)을 사용하면, 도1의 동작은, 니들베드갭 측 버트(4c)를 작용시켜 되돌리기 때문에 선침과는 관계없이 항상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티치 억제홈(5a)을 작용시켜 손가락부(6, 7)를 순차적으로 편성하는 경우 뿐만이 아니라 장갑의 몸통부 등의 다른 부분을 편성하는 경우도 포함하여, 편침(4)을 되돌리도록 한다. 편침(4)의 귀환은, 다음 손가락부(7)의 최종 코스를 편성한 후에만, 또는 최종 코스를 편성한 후에 급사하지 않고 편침을 니트 루트(knit route)로 구동하는 전용의 빈 코스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턱 루트(tuck route)를 선택할 수 있는 캠의 배치이면, 빈 코스를 턱 루트로 하여도 좋다. 프레셔 캠(16)의 이동에 도6(a)와 도6(b)의 중간단계를 형성하여, 중간단계에서는 구동 캠면(16b) 및 귀환 캠면(16c)이 구동 버트(4b) 및 니들베드갭 측 버트(4c)에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두면, 종래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1에 의하면, 스티치 억제홈(5a)을 작용시키기 쉽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프레셔 캠(16)은, 스티치 억제홈(5a)의 작용을 정지하기 전에 편침(4)을 니들베드갭(2) 측으로 되돌리도록 구동하는 것에도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귀환 캠면(16c)에 의한 귀환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니들 가이드 캠(17)을 프레셔 캠(16)과 일체화(一體化)하여 상하로 가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2]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인 횡편기(41)의 주요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과 동작을 앞쪽 니들베드(3F) 측의 캐리지(40F)에 대하여 나타낸다. 본 실시예2는, 스티치 캠(44)의 니들베드갭(2) 측에 귀환 캠면(44c)을 형성하여, 니들베드갭 측 버트(4c)에 대한 작용으로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4)을 스티치 기준위치(2a) 등의 해제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하고 있다. 니들베드갭(2) 측으로의 귀환은, 니들베드갭 측 버트(4c)를 사용하여 하기 때문에 선침결과와는 관계없이 할 수 있고, 실시예1과 같이, 다음 손가락부(7)의 최종 코스를 편성한 후에 또는 전용의 빈 코스를 형성하여 할 수 있다. 또한 뒤쪽 니들베드 측의 캐리지에서도, 스티치 캠에 의한 귀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스티치 억제판(5)을 손가락 연결부(6a)에 작용시키기 전의 스티치의 인하는 프레셔 캠(46)으로 한다.
본 실시예2에 의하면 귀환 캠면(44c)은, 구동 버트(4b)에 작용하는 구동 캠면(44b)으로 스티치값에 대응하는 크기의 스티치가 형성되도록 편침(4)을 니들베드(3) 측으로 인입하는 스티치 캠(44)에 형성된다. 이 스티치 캠(44)은, 다음 손가락부(7)를 편성한 후에,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6)의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4)을 니들베드갭(2) 측으로 되돌아가도록 구동할 수 있다.
[실시예3]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3인 횡편기(51)의 주요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과 동작을 앞쪽 니들베드(3F) 측의 캐리지(50F)에 대하여 나타낸다. 뒤쪽 니들베드 측에서는, 도5에서의 스티치 캠(14)과 같이, 스티치 캠(54)의 배치가 대각위치(對角位置)로 어긋나 있기 때문에, 뒤쪽 캐리지 측의 스티치 캠(54)의 동작은 선행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3에서는, 스티치 캠(54)의 경사진 구동 캠면(54b)의 하단과 대향하는 귀환 캠면(54c)을 구동 버트(4b)가 통과할 때에, 손가락 연결부(6a, 7a)의 편침(4)을 해제위치까지 되돌린다. 다음 손가락부(7)의 스티치를 최종 코스까지 편성한 후에,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4)의 구동 버트(4b)만을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침상태로 하고, 다른 편침(4)의 구동 버트(4b)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선침상태로 한다. 선침상태의 구동 버트(4b)는, 니들 레이징 캠(15)에서 센터캠(13)을 거쳐 편침(4)을 니들베드갭(2) 측으로 진출시키는 니트 루트로 안내하여 버리기 때문에, 니들 레이징 캠(15)을 출몰할 수 있도록 하여, 귀환할 때에는 침몰상태로 하여 두면 좋다.
실시예2 및 실시예3에 있어서 스티치 캠(44, 54)의 절환을 위한 구동은, 도6의 스티치 캠 조정 제어바(24)를 포함하는 절환기구를 통하여 한다. 또한 실시예2 및 실시예3에서 스티치 억제판(5)을 뺀다면, 손가락 연결부(6a)의 편침(4)이 해제위치로 되돌아가 있는 상태에서 캐리지(10)를 정지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1, 실시예2 및 실시예3에서는, 편침(4)을 해제위치로 되돌림으로써, 침간에 지지되는 스티치를 느슨하게 하여 녹오버를 할 때에 받는 저항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다.
[실시예4]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4인 횡편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9(a)는, 본 실시예4에서 편성하는 손가락부(6, 7) 및 몸통부(9)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9(b)는, 손가락부(7)의 편성순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4에서는, 손가락부(6)에 계속하여 손가락부(7)를 최종 코스(7y)까지 편성한 후에, 급사하지 않고 편침(4)을 니트 루트로 이동시키는 1회 또는 복수 회의 빈 코스(빈 코스(7z)라고 한다)를 삽입한다. 턱 루트를 선택할 수 있는 캠의 배치이면, 턱 루트를 빈 코스로 하여도 좋다. 손가락부(7)는, 손가락 연결부(7a)를 포함하는 전체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최후 전의 코스(7x)로부터 최종 코스(7y)까지 편성하고, 빈 코스(7z)의 삽입에서 편침(4)을 니들베드갭 측으로 인입하는 위치를 최종 코스(7y)에서 인입하는 위치보다도 니들베드갭(2) 측의 해제위치로 되돌린다. 이와 같은 빈 코스(7z)에 의한 편침(4)의 진퇴는, 편침(4)의 침간에 정지되어 있는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의 이동을 수반하고, 편침(4)에 대하여 스티치를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스티치 억제판(5)을 좌측방향으로 뺀 후에, 몸통부(9)의 최초의 코스(9c)나 다른 손가락부를 편성한다.
본 실시예4는, 실시예3의 횡편기(51)로 실현할 수 있다. 다만, 스티치 캠(54)은 편침(4)에 대한 귀환 캠면(54c)을 형성할 필요는 없고, 도1에 나타내는 스티치 캠(14)을 사용하는 경우에, 구동 캠면(14b)은 편침(4)을 해제위치까지 인입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프레셔 캠(16)에는 귀환 캠면(16c)을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최종 코스(7y)에 계속되는 최초의 빈 코스(7z)는, 손가락부(7)의 최종 코스(7y)에서 형성한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4)의 훅(4a)을 니들베드갭(2)으로 진출시키고, 손가락부(7)의 스티치를 안착시켜 훅(4a)으로부터 침간으로 이동시킨다. 편침(4)은, 스티치 캠(14)에 의하여 해제위치로 인입된다. 해제위치까지의 인입이기 때문에, 손가락 연결부(7a)의 스티치는 녹오버하지 않는다. 손가락 연결부(7a)의 스티치는, 스티치 억제판(5)을 좌측방향으로 뺀 후에 이동하는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와 함께 몸통부(9)의 최초의 코스(9c)의 편성동작으로 녹오버된다. 도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편성순서는, 제어 데이터를 변경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빈 코스(7z)의 폭은, 손가락 연결부(6a, 7a)를 포함하고 있으면 좋다.
[실시예5]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5인 횡편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10(a)는, 본 실시예5에서 편성하는 손가락부(6, 7)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10(b)는, 손가락부(6, 7)의 편성순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5에서는 손가락부(6)를, 손가락 연결부(6a)를 포함하는 손가락부(6)의 전체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코스(6x)로부터 최종 코스(6y)까지 편성한 후에, 스티치 억제판(5)을 우측방향으로 진출시킨다. 손가락부(7)는, 최초의 코스(7f)의 편성을 시작하기 전에 1회 또는 복수 회의 빈 코스(7z)를 삽입한다.
본 실시예5에 있어서,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는 스티치 억제판(5)에 의한 억제에 의하여 녹오버하지 않고 편침(4)의 침간에 정지하기 때문에, 편침(4)은 스티치값 0에 대응하는 것보다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5의 빈 코스(7z)는, 적어도 실시예1∼4와 같은 해제위치까지 인입하여, 니들베드갭(2)으로 진출시킨 편침(4)을 되돌릴 수 있다. 본 실시예5도, 실시예4와 같이 횡편기(51)로, 또한 도1의 스티치 캠(14)을 사용하여도 제어 데이터를 변경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빈 코스(7z)의 효과나 폭은 실시예4에서와 같다.
또한 실시예2, 3에서는, 스티치 억제판(5)을 빼기 전에, 손가락 연결부(6a)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4)이 해제위치로 되돌아가 있는 상태에서 캐리지(10)가 정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1∼5에서는, 종래 캐리지(10)에 탑재되어 있는 스티치 캠(14, 44, 54)이나 프레셔 캠(16)을 겸용하여 편침(4)을 되돌리도록 하고 있지만, 전용의 캠을 설치하여도 좋다.
1, 41, 51 : 횡편기
2 : 니들베드갭
3 : 니들베드
3a : 기판
3b : 니들 플레이트
3F : 앞쪽 니들베드
4 : 편침
4a : 훅
4b : 구동 버트
4c : 니들베드갭 측 버트
5 : 스티치 억제판
5a : 스티치 억제홈
5b : 스티치 억제편
5c : 경사부
6, 7 : 손가락부
6a, 7a : 손가락 연결부
10, 10F, 10B, 40F, 50F : 캐리지
14, 44, 54 : 스티치 캠
14b, 16b, 44b, 54b : 구동 캠면
16 : 프레셔 캠
16c, 44c, 54c : 귀환 캠면
21 : 프레셔 캠 제어바
31 : 저판
32 : 레버
33 : 이동부재
34 : 지주
35 : 스프링

Claims (7)

  1.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열되는 편침(編針)에 형성되고, 선침결과에 따라 출몰하는 구동 버트(驅動 butt)를, 상기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편성캠(knitting cam)으로, 편침이 니들베드 사이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으로 진퇴하도록 구동하면서, 복수의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통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손가락부 사이를 오버랩(overlap) 시키기 위한 스티치 억제판(stitch 抑制板)을 구비하고,
    스티치 억제판에 형성하는 스티치 억제홈으로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편침의 침간(針幹)에 정지시켜 지지하고, 다음 손가락부를 손가락 연결부가 포함되는 최종 코스까지 편성하는 사이에, 지지하는 스티치의 녹오버(knock over)를 억제하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캐리지에 탑재되고, 스티치 억제판에 의하여 녹오버를 억제하는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침간에 지지하는 편침의 버트에 작용하고, 스티치 억제판이 스티치를 억제하고 있는 상태에서 니들베드갭 측의 해제위치로 편침을 되돌림으로써 침간에 지지되는 스티치를 느슨하게 하는 캠면을 갖는 귀환캠(return cam)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트는, 상기 구동 버트보다도 상기 니들베드갭 측에 형성되고, 항상 돌출되어 있는 니들베드갭 측 버트이고,
    상기 캠면을 니들베드갭 측 버트에 작용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절환하는 절환기구(切換機構)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캠은,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부의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훅으로 지지하는 편침에 대하여, 상기 스티치 억제판을 작용시켜 스티치를 스티치 억제홈으로 안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니들베드 측에 형성되는 구동 캠면을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시켜, 상기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引入)하도록 구동하는 프레셔 캠(pressure cam)이고,
    상기 니들베드갭 측 버트에 작용하여,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상기 해제위치로 되돌리는 캠면은, 프레셔 캠의 상기 니들베드갭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캠은, 형성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 캠면으로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하는 스티치 캠(stitch cam)이고,
    상기 니들베드갭 측 버트에 작용하여,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상기 해제위치로 되돌리는 캠면은, 스티치 캠의 상기 니들베드갭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캠은, 형성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 캠면으로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하는 스티치 캠이고,
    구동 버트에 작용하여,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상기 해제위치로 되돌리는 캠면은, 스티치 캠의 구동 캠면보다도 상기 니들베드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캠은, 형성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 캠면으로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하는 스티치 캠이고,
    상기 스티치 캠은, 상기 다음 손가락부를 편성한 후에 급사를 수반하지 않는 빈 코스의 편성동작에서,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상기 해제위치로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인입하여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캠은, 형성하는 스티치의 크기에 따라 편침을 니들베드 측으로 인입하도록, 구동 캠면으로 상기 구동 버트에 작용하는 스티치 캠이고,
    상기 스티치 캠은, 상기 다음 손가락부를 편성하기 전에, 상기 스티치 억제판을 작용시킨 후에 급사를 수반하지 않는 빈 코스의 편성동작에서, 상기 앞서 편성한 손가락 연결부의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을 구동하여, 적어도 상기 해제위치까지는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인입하여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KR1020190083253A 2018-07-13 2019-07-10 횡편기 KR102226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33754 2018-07-13
JPJP-P-2018-133754 2018-07-13
JP2019103331A JP7233309B2 (ja) 2018-07-13 2019-05-31 横編機
JPJP-P-2019-103331 2019-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693A KR20200007693A (ko) 2020-01-22
KR102226578B1 true KR102226578B1 (ko) 2021-03-10

Family

ID=6921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253A KR102226578B1 (ko) 2018-07-13 2019-07-10 횡편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26578B1 (ko)
CN (1) CN1107142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158B1 (ko) 2020-11-05 2021-11-05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류 제작용 3d 프린터
EP4023801A4 (en) 2020-11-05 2022-10-05 Kookmin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3D PRINTER FOR CLOTHING MANUFACTURING
KR102323161B1 (ko) 2020-11-05 2021-11-05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류 제작용 3d 프린터
KR102323156B1 (ko) 2020-11-05 2021-11-05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류 제작용 3d 프린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6741A (ja) * 2009-07-27 2011-02-10 Shima Seiki Mfg Ltd 編目抑止板を備えた横編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376U (ja) 1998-03-13 1998-10-27 東洋興産株式会社 護岸石覆
KR100929606B1 (ko) * 2008-08-12 2009-12-03 한길용 장갑 편직기
JP5431002B2 (ja) * 2009-04-03 2014-03-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編成用横編機
JP2013044077A (ja) 2011-08-26 2013-03-04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可動カム作動装置
CN102517777A (zh) * 2011-12-08 2012-06-27 浙江海森纺机科技有限公司 一种电脑手套机上的三角底板上的前板
CN102517778A (zh) * 2011-12-08 2012-06-27 浙江海森纺机科技有限公司 一种电脑手套机上的三角底板上的后板
CN202509211U (zh) * 2012-03-27 2012-10-31 浙江海森纺机科技有限公司 一种电脑手套机上的7针三角底板上的前板
CN203583129U (zh) * 2013-07-14 2014-05-07 绍兴汉翔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电脑手套机前复合三角编织装置
CN206970815U (zh) * 2017-03-27 2018-02-06 浙江海森纺机科技有限公司 一种手套横机三角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6741A (ja) * 2009-07-27 2011-02-10 Shima Seiki Mfg Ltd 編目抑止板を備えた横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14267B (zh) 2021-02-26
CN110714267A (zh) 2020-01-21
KR20200007693A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578B1 (ko) 횡편기
KR101025153B1 (ko)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
JP4944015B2 (ja) 横編機におけ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横編機
KR19990023497A (ko)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구비한 횡편기
KR960013904B1 (ko) 횡편기에 있어서 실안내방법 및 장치
US6018966A (en) Stitch forming method and a flat knitting machine therefor
KR101516154B1 (ko)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
CN110678593B (zh) 横机中的添纱编织方法
JP2013064205A (ja) ループプレッサーを備えた横編機
EP2025785A1 (en) Knitting method of intersia pattern fabric and weft knitting machine
US6978642B2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device
KR101347668B1 (ko) 양말 편성기
JP2604677B2 (ja)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
KR101347665B1 (ko)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 및 횡편기의 슬라이더 제어방법
JPH0860499A (ja) ニッティングカムおよびカム装置
KR100768347B1 (ko)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코이동 방법
US5163305A (en) Knitting machine with stitch retention sinkers
JPS6252063B2 (ko)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JPS5837421B2 (ja) インタ−シヤ編編成方法
JP7233309B2 (ja) 横編機
KR20240031145A (ko) 파일편성용 횡편기 및 파일편성방법
CN114657684B (zh) 横机或编织机的针织三角
KR20230021610A (ko)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JP2022138703A (ja) 横編機によるパイル編地の編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