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1610A -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1610A
KR20230021610A KR1020220097095A KR20220097095A KR20230021610A KR 20230021610 A KR20230021610 A KR 20230021610A KR 1020220097095 A KR1020220097095 A KR 1020220097095A KR 20220097095 A KR20220097095 A KR 20220097095A KR 20230021610 A KR20230021610 A KR 20230021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knitting
cam
yarn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리 시마사키
마사오 오쿠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30021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7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opposed 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565Associated thread-clamping or thread-sever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1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pile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편성효율이 우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구성)
루트전환캠(17)을 설치하여, 파일편성을 실시하는 코스에서는, SYS1에 의하여 편성포의 베이스가 되는 쪽의 캠시스템에서는 파일사와 바인딩사의 양방을 인입하고, 파일루프를 형성하는 쪽의 캠시스템에서는 파일사만을 인입하고, 계속되는 SYS2에 의해서는 편성포의 베이스가 되는 쪽의 캠시스템에서는 부가사를 인입하고, 파일루프를 형성하는 쪽의 캠시스템에서는 파일루프의 제거를 실시한다.

Description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METHOD FOR KNITTING PILE KNITTED FABRIC BY 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일 편성포는, 앞쪽 니들베드(이하, FB로 표기한다)와 뒤쪽 니들베드(이하, BB로 표기한다) 중의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의 편침(編針)에 의하여, 파일사(pile yarn)와 바인딩사(binding yarn)에 의한 스티치로 파일 편성포의 베이스를 형성하고, 베이스의 이면측에 파일사만으로 이루어지는 파일루프를 타방(他方)의 니들베드의 편침에 의하여 형성한 것이다.
특허문헌1은, 싱커장치를 구비한 횡편기에 의하여 파일 편성포를 편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은, 파일사를 인출하기 위한 싱커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횡편기로는 편성할 수 없다.
도3은, 특허문헌1과 다른 방법에 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나타낸다. 이 방법에서는, 파일 편성포의 베이스의 편성에 파일사와 바인딩사에 의한 스티치만이 아니라 부가사(附加絲)에 의한 스티치를 추가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베이스의 스티치로서 파일사와 바인딩사에 의한 스티치만이 아니라, 이에 계속하여 부가사에 의한 스티치를 추가함으로써, 파일루프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조일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다.
도3은, 선행측(先行側)의 캠시스템(SYS1)과 후행측(後行側)의 캠시스템(SYS2)의 2대의 캠시스템을 탑재한 캐리지(carriage)에 의한 편성을 나타낸다. 급사구(給絲口)(P)는 파일사(31)용, 급사구(B)는 바인딩사(33)용의 급사구로서, SYS1에 파일사(31), SYS2에 바인딩사(33)를 각각 할당한다.
스텝(1)에서는, SYS1에서 FB, BB의 편침을 진퇴시켜 파일사(31)를 인입한다. 이때에 FB의 편침을, 1코스 전의 코스에서 형성된 구스티치(old stitch)가 편침의 선단(先端)으로부터 녹오버(knock over)되지 않는 정도까지 인입하고, 이 상태를 유지시킨 채로 후행의 SYS2로 안내한다. SYS2에서 BB의 편침을 동작시키지 않고, FB의 상기 상태의 편침만을 다시 진퇴시켜 바인딩사(33)를 물린다. 이에 따라 FB의 편침은, 파일사(31)와 바인딩사(33)의 양방을 인입함으로써 구스티치가 녹오버되어, 파일 편성포의 베이스가 되는 제1스티치 코스를 형성한다.
스텝(2)에서는, SYS1에서 급사구(A)에 의하여 부가사(35)를 FB의 편침에 급사하여 베이스 편성포의 제2스티치 코스를 형성한다. SYS2에서는 편사를 급사시키지 않고 BB의 편침을 진퇴시켜, 스텝(1)의 SYS1에서 형성한 파일루프를 편침으로부터 떨어뜨린다. 또한 스텝(2)에서는 SYS1과 SYS2의 편성은 어느 쪽을 먼저 실시하여도 좋다. 이 스텝(1), (2)의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파일 편성포가 편성되지만, 각 급사구의 대기위치의 관계로 스텝(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을 수반하지 않고 단지 캐리지가 이동하는 빈 코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1사이클의 편성을 완료하기 위하여 캐리지 3코스만큼의 이동이 필요하다.
일본국 특허출원공고 특공소60-59333호 공보
도3에 의한 방법에서는, 스텝(1)의 SYS1에 있어서, FB의 편침이 이전 코스에서 형성된 구스티치를 바늘의 선단으로부터 녹오버하지 않도록 스티치캠의 높이의 위치조정 혹은 제거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2대의 캠시스템으로 부가사를 수반하는 파일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해서는 캐리지 3코스만큼의 이동이 필요하여, 생산성이 매우 떨어진다. 가령 캐리지 1코스로 편성을 완결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4대의 캠시스템을 탑재한 캐리지가 필요하다. 그 때문에, 효율적으로 편성할 수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편성효율이 우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편침을 배치시킨 전후 니들베드 상을 왕복주행하는 전후 캐리지의 각각에 적어도 2대의 캠시스템을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선행측의 캠시스템에서는, 파일사와 바인딩사를 급사하여, 전후 일방의 니들베드의 편침에 의하여 파일사와 바인딩사에 의한 스티치로 파일 편성포의 베이스가 되는 제1스티치 코스를 형성하고, 타방의 니들베드의 편침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의 이면측에 파일사만으로 이루어지는 파일루프를 형성하고, 후행측의 캠시스템에서는, 부가사를 급사하여 상기 제1스티치 코스에 계속되는 제2스티치 코스를 형성하는
편성을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파일 편성포를 편성하는 방법으로서,
각 캠시스템에는,
상기 편침에 구비되는 버트를 상승시키는 상승캠면을 가지고, 상기 편침을 진출시키는 니들 레이징캠과,
상기 버트를 하강시키는 제1인입면을 가지고, 상기 편침을 인하하는 스티치캠을 설치함과 아울러, 전후 캐리지 중에서 파일루프를 형성하는 쪽의 캐리지의 각 캠시스템에는, 상기 스티치캠의 상기 제1인입면의 선행측에 상기 버트를 하강시키는 제2인입면을 가지며 작용상태와 비작용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루트전환캠을 설치하고,
선행측의 캠시스템에서는, 선행측 급사구에 파일사, 후행측 급사구에 바인딩사의 2개의 급사구를 할당함과 아울러, 파일루프를 형성하는 캠시스템에서는, 상기 루트전환캠을 작용상태로 하여 편침이 파일사와 바인딩사 중에서 파일사만을 물고, 파일 편성포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캠시스템에서는, 편침이 파일사와 바인딩사의 양방을 물도록 하여, 파일 편성포의 베이스가 되는 제1스티치 코스를 형성하고,
후행측의 캠시스템에서는, 상기 바인딩사의 연행위치에 상당하는 후행측에 부가사용의 급사구를 할당함과 아울러, 선행측의 캠시스템에서 형성한 파일루프를 편침으로부터 떨어뜨리는 쪽의 캠시스템에서는, 상기 루트전환캠을 작용상태로 함으로써 편침은 부가사를 물지 않고 파일루프만을 떨어뜨리고, 파일 편성포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쪽의 캠시스템에서는, 편침이 부가사를 물도록 하여, 파일 편성포의 베이스가 되는 제2스티치 코스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전후 어느 캠시스템에 의해서도 파일루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전후의 캠시스템의 각각에 루트전환캠을 설치하여, 전후 일방의 캠시스템의 루트전환캠을 작용상태로 하여 파일편성을 실시하는 코스와, 전후 타방의 캠시스템의 루트전환캠을 작용상태로 하여 파일편성을 실시하는 코스를 섞어서 편성함으로써, 파일 편성포의 표리에 파일루프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파일편성을 실시하는 코스에서는, 편성포의 베이스가 되는 쪽의 캠시스템에서는 파일사와 바인딩사의 양방을 인입하지만, 파일루프를 형성하는 쪽의 캠시스템에서는 루트전환캠이 작용상태에 있기 때문에 선행하는 파일사만을 인입하게 된다. 이 결과, 단일의 캠시스템으로 파일사와 바인딩사에 의한 편성을 완결시킬 수 있고, 또 부가사의 편성과 파일루프의 제거에 있어서도 후속되는 단일의 캠시스템으로 완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캐리지에 적어도 2대의 캠시스템을 탑재한 횡편기를 사용하면, 파일 편성포의 편성에 부가사에 의한 스티치를 추가하는 경우에도 캐리지의 단 1회의 이동으로 파일 편성포의 코스편성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전후의 캠시스템의 각각에 루트전환캠을 설치하면, 전후 어느 캠시스템에 의해서도 파일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편성포의 베이스의 표리(전후)에 파일루프를 형성한 편성포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실시형태에 관한 파일편성을 실시하는 캠시스템(SYS1)과 편침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실시형태에 관한 파일편성을 실시하는 캠시스템(SYS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종래의 횡편기에 의한 파일편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서는 2베드 횡편기를 사용한 예를 설명한다. 횡편기는, 복수의 편침(1)을 배치시킨 FB·BB 상을 왕복주행하는 전후 캐리지에 캠시스템(3)을 각각 2대 및 복수의 급사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캠시스템(3)에 탑재되는 캠이나 프레서의 구동방식, 니들베드의 구성이나 편침의 선침방법 등은, 일본국 특허 제5057996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공지의 횡편기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실시형태는, 후술하는 루트전환캠을 전후의 캠시스템(3)의 각각에 설치한 예로 한다.
도1은, 편침(1)과 캠시스템(3)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SYS1과 SYS2는 동일한 구성이다. 편침(1)은, 니들본체(5)와 니들잭(7)과 실렉트잭(9)과 실렉터(11)를 구비한다. 니들잭(7)에는 편침(1)의 진퇴조작용의 버트(7a), 실렉트잭(9)에는 A, H, B의 포지션 선택용의 버트(9a)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실렉트잭(9)은 중간의 H포지션으로 선침되어 있다.
캠시스템(3)은, 니트(knit)·턱(tuck)·미스(miss)를 실시할 수 있는 캠시스템이지만, 스티치의 트랜스퍼가 가능한 복합 캠시스템이어도 좋다. 도면은, 캠시스템(3)이 좌측으로 주행하여 편성을 실시할 때의 SYS1의 상태를 나타낸다. 캠시스템(3)은, 버트(7a)에 작용하는 복수의 캠과 버트(9a)에 작용하는 복수의 프레서를 구비한다. 중앙에 배치되는 니들 레이징캠(13)과, 이를 사이에 두고 좌우로 설치되는 스티치캠(15, 15), 루트전환캠(17, 17)은, 버트(7a)에 작용한다.
니들 레이징캠(13)은, 버트(7a)에 작용하여 편침(1)을 니트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상승캠면(13a)을 구비한다. 스티치캠(15)은, 버트(7a)를 하강시키는 제1인입면(15a)을 구비한다. 니트나 턱 등의 통상의 편성에서는, 버트(7a)는 루트전환캠(17)을 그대로 지나쳐 스티치캠(15)의 제1인입면(15a)으로 가이드되어 인입루트(통상루트)를 통과한다. 파일편성을 하는 경우에 파일루프를 형성하지 않는 편성포의 베이스가 되는 쪽을 편성하는 캠시스템(3)에서는, 버트(7a)가 통상루트를 통과하도록 한다.
웰트 프레서(welt presser)(19)는, 선침의 초기위치가 되는 B포지션에 배치되고, 선침되지 않은 실렉트잭(9)을 가압하여 편침(1)을 미스시킨다. 턱프레서(21)는 A포지션에 배치되고, 이 좌우에 있어서 루트전환 프레서(23)가 설치되어 있다. 루트전환캠(17)은, 편침(1)에 파일사(31)를 물리고 바인딩사(33)는 물지 않도록 작용하는 것으로서, 스티치캠(15)의 제1인입면(15a)의 상방측에 배치된다. 루트전환캠(17)은, 버트(7a)를 하강시키는 제2인입면(17a)을 구비한다.
루트전환캠(17)을 스티치캠(15)이나 니들 레이징캠(13)의 반 정도의 두께로 하고, 루트전환 프레서(23)의 버트(9a)에 대한 가압량을 웰트 프레서(19)나 턱프레서(21)의 반 정도(하프 높이의 프레서)로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에, 루트전환 프레서(23)에 의하여 실렉트잭(9)의 버트(9a)는 반만 압입되기 때문에 니들잭(7)의 버트(7a)도 반만 가라앉는다. 그 결과, 버트(7a)는 루트전환캠(17)의 작용을 받지 않고 통과하여, 스티치캠(15)의 제1인입면(15a)에 의하여 인입된다.
루트전환 프레서(23)는,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고, 도면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시킨 비작용위치와 도면의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시킨 작용위치(H포지션)의 사이를 요동(搖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를 대신하여, 루트전환 프레서(23)를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출몰을 제어하여 작용위치와 비작용위치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급사구에 관해서는, 파일사(31)를 급사하는 선행 급사구(P)와 바인딩사(33)를 급사하는 후행 급사구(B)를, 캠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를 유지하여 주행시킨다.
이하에, 상기 캠시스템(3)을 구비한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파일 편성포의 베이스는 FB의 편침으로 형성되고, 파일루프는 BB의 편침으로 형성되는 예로 한다.
도1은, 캐리지가 좌측으로 주행할 때의 파일 편성포의 베이스(제1스티치 코스)를 형성하는 SYS1의 상태를 나타낸다. 편침(1)의 실렉트잭의 버트(9a)는 H포지션, 선행측 루트전환 프레서(23)는 비작용위치, 후행측 루트전환 프레서(23)는 H포지션에 각각 세팅된다. 한편 파일루프를 형성하는 BB의 캠시스템(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서는, 편침(1)이 H포지션, 루트전환 프레서(23)는 선행과 후행 모두 상승시킨 비작용위치에 각각 세팅된다.
Ⅰ위치에서는, FB, BB의 H포지션으로 선침된 실렉트잭(9)의 버트(9a)는 둘 다 어느 프레서의 작용도 받지 않기 때문에, 편침(1)은 니트위치까지 진출하여 파일사(31)를 훅으로 물 수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Ⅱ위치에서는, 편성포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FB의 캠시스템(3)에서는 버트(9a)가 루트전환 프레서(23)의 가압작용을 받기 때문에, 편침(1)은 루트전환캠(17)의 제2인입면(17a)의 작용을 받지 않고 그대로 지나친다. 그 결과, 편침(1)은 Ⅰ위치와 거의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후행 급사구(B)로부터 급사되는 바인딩사(33)도 훅으로 물 수 있다. 그 후에, 후속의 스티치캠(15)의 제1인입면(15a)에 의하여 인하되어 파일사(31)와 바인딩사(33)의 양방으로 파일 편성포의 베이스가 되는 제1스티치 코스를 형성한다.
이에 대하여 파일루프를 형성하는 BB의 캠시스템(3)에서는, 루트전환 프레서(23)는 비작용위치에 있기 때문에, 버트(9a)는 루트전환캠(17)의 제2인입면(17a)을 따라 인하된 후에, 스티치캠(15)의 제1인입면(15a)에 의하여 더 인하된다. 즉 편침(1)은 바인딩사(33)가 급사되기 전에 인하되기 때문에, 편침(1)에는 파일사(31)만이 훅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2는, 파일 편성포의 베이스(제2스티치 코스)를 형성하는 SYS2의 상태를 나타낸다. SYS1에 있어서의 바인딩사(33)의 연행위치(連行位置)에 상당하는 후행측에 부가사(35)용의 급사구(A)가 할당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SYS2는 SYS1과 동일한 상태이다. 즉 Ⅰ위치에서는, FB, BB의 H포지션으로 선침된 실렉트잭(9)의 버트(9a)는 둘 다 어느 프레서의 작용도 받지 않기 때문에, 편침(1)은 니트위치까지 진출하고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Ⅱ위치에서는, 편성포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FB의 버트(9a)는 루트전환 프레서(23)의 가압작용을 받아, 루트전환캠(17)의 제2인입면(17a)의 작용은 받지 않고 그대로 지나친다. 그 결과, 편침(1)은 Ⅰ위치와 거의 같은 높이를 유지하기 때문에, 급사구(A)로부터의 부가사(35)를 훅으로 문 후에, 제1인입면(15a)에 의하여 인하되어 파일 편성포의 베이스가 되는 제2스티치 코스를 형성한다.
이에 대하여 BB에서는, 니트위치까지 진출한 편침에 있어서, 루트전환 프레서(23)가 비작용위치에 있기 때문에 버트(9a)는 루트전환캠(17)의 제2인입면(17a)을 따라 인하된 후에, 제1인입면(15a)에 의하여 더 인하된다. 즉 편침(1)은 부가사(35)의 공급을 받기 전에 인하되기 때문에, SYS1에서 형성된 파일루프를 편침으로부터 떨어뜨린다.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하여 2대의 캠시스템을 사용하여, SYS1에 의하여 파일사(31)와 바인딩사(33)에 의한 편성을 실시하고, SYS2에 의하여 파일루프를 결합한 BB의 편침(1)에 대하여 급사하지 않고 진퇴시켜 파일루프를 편침(1)으로부터 제외시킴과 아울러, FB의 편침(1)에 대하여 부가사(35)에 의한 코스편성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1회의 캐리지의 이동(1코스)으로 편성을 완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편성을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편성포의 베이스의 이면측에 파일루프를 구비하는 파일 편성포(편면 파일(片面 pile))의 편성을 종래에 비하여 비약적으로 생산성을 높여 실시할 수 있다.
전후 어느 캠시스템(3)에 의해서도 파일루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전후의 캠시스템(3)의 각각에 루트전환캠(17)을 설치하여도 좋다. 캐리지의 이동코스별로 전후 일방의 캠시스템(3)의 루트전환캠(17)을 작용상태로 하여 파일편성을 실시하는 코스와, 전후 타방의 캠시스템(3)의 루트전환캠(17)을 작용상태로 하여 파일편성을 실시하는 코스를 섞어서 편성함으로써, 편성포의 베이스의 표리(表裏) 양방에 파일루프를 구비하는 파일 편성포(양면 파일)를 편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출원의 편성방법은, 하프 게이지(half gauge)에 의한 파일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에도 적용할 수 있다. 통모양 편성포의 내측에 파일루프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편성방법과 동일하게 편성하여, 전후의 각 편성포의 편성을 각각 1회의 캐리지의 이동(1코스)으로 완결시킬 수 있다. 통모양 편성포의 외측에 파일루프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트랜스퍼도 가능한 복합 캠시스템을 4대 구비하는 캐리지에 의하여, 전후의 각 편성포의 편성을 각각 1회의 캐리지의 이동(1코스)으로 완결시킬 수 있다.
1 : 편침
3 : 캠시스템
5 : 니들본체
7 : 니들잭
7a : 버트
9 : 실렉트잭
9a : 버트
11 : 실렉터
13 : 니들 레이징캠
13a : 상승캠면
15 : 스티치캠
15a : 제1인입면
17 : 루트전환캠
17a : 제2인입면
19 : 웰트 프레서
21 : 턱프레서
23 : 루트전환 프레서
31 : 파일사
33 : 바인딩사
35 : 부가사
P, B, A : 급사구

Claims (2)

  1. 복수의 편침(編針)을 배치시킨 전후 니들베드(needle bed) 상을 왕복주행하는 전후 캐리지(carriage)의 각각에 적어도 2대의 캠시스템을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선행측(先行側)의 캠시스템에서는, 파일사(pile yarn)와 바인딩사(binding yarn)를 급사(給絲)하여, 전후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의 편침에 의하여 파일사와 바인딩사에 의한 스티치로 파일 편성포의 베이스가 되는 제1스티치 코스를 형성하고, 타방(他方)의 니들베드의 편침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의 이면측에 파일사만으로 이루어지는 파일루프(pile loop)를 형성하고, 후행측(後行側)의 캠시스템에서는, 부가사(附加絲)를 급사하여 상기 제1스티치 코스에 계속되는 제2스티치 코스를 형성하는
    편성을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파일 편성포를 편성하는 방법으로서,
    각 캠시스템에는,
    상기 편침에 구비되는 버트(butt)를 상승시키는 상승캠면을 가지고, 상기 편침을 진출시키는 니들 레이징캠과,
    상기 버트를 하강시키는 제1인입면을 가지고, 상기 편침을 인하하는 스티치캠을 설치함과 아울러, 전후 캐리지 중에서 파일루프를 형성하는 쪽의 캐리지의 각 캠시스템에는, 상기 스티치캠의 상기 제1인입면의 선행측에 상기 버트를 하강시키는 제2인입면을 가지며 작용상태와 비작용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루트전환캠을 설치하고,
    선행측의 캠시스템에서는,
    선행측 급사구에 파일사, 후행측 급사구에 바인딩사의 2개의 급사구를 할당함과 아울러, 파일루프를 형성하는 캠시스템에서는, 상기 루트전환캠을 작용상태로 하여 편침이 파일사와 바인딩사 중에서 파일사만을 물고, 파일 편성포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캠시스템에서는, 편침이 파일사와 바인딩사의 양방을 물도록 하여, 파일 편성포의 베이스가 되는 제1스티치 코스를 형성하고,
    후행측의 캠시스템에서는,
    상기 바인딩사의 연행위치에 상당하는 후행측에 부가사용의 급사구를 할당함과 아울러, 선행측의 캠시스템에서 형성한 파일루프를 편침으로부터 떨어뜨리는 쪽의 캠시스템에서는, 상기 루트전환캠을 작용상태로 함으로써 편침은 부가사를 물지 않고 파일루프만을 떨어뜨리고, 파일 편성포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쪽의 캠시스템에서는, 편침이 부가사를 물도록 하여, 파일 편성포의 베이스가 되는 제2스티치 코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후 어느 캠시스템에 의해서도 파일루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전후의 캠시스템의 각각에 루트전환캠을 설치하여, 전후 일방의 캠시스템의 루트전환캠을 작용상태로 하여 파일편성을 실시하는 코스와, 전후 타방의 캠시스템의 루트전환캠을 작용상태로 하여 파일편성을 실시하는 코스를 섞어서 편성함으로써, 파일 편성포의 표리(表裏)에 파일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0220097095A 2021-08-05 2022-08-04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KR202300216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29291A JP2023023617A (ja) 2021-08-05 2021-08-05 横編機によるパイル編地の編成方法
JPJP-P-2021-129291 2021-08-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610A true KR20230021610A (ko) 2023-02-14

Family

ID=8497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095A KR20230021610A (ko) 2021-08-05 2022-08-04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023617A (ko)
KR (1) KR20230021610A (ko)
CN (1) CN115704126A (ko)
DE (1) DE10202220805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333A (ja) 1983-09-12 1985-04-05 Fuji Photo Film Co Ltd フイルム画像の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333B2 (ja) 1979-09-13 1985-12-24 株式会社島アイデア・センタ− パイル編編成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333A (ja) 1983-09-12 1985-04-05 Fuji Photo Film Co Ltd フイルム画像の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04126A (zh) 2023-02-17
DE102022208055A1 (de) 2023-02-09
JP2023023617A (ja)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9350A (en) Method of producing double-knit fabric having additional fleece threads incorporated into one face or both faces thereof
US6151922A (en) Method of knitting inlaid fabric and inlaid fabric knitted by the method
EP0897027B1 (en) A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loop forming plates
KR20230014641A (ko)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JPWO2006103957A1 (ja) 横編機におけ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横編機
KR102226578B1 (ko) 횡편기
EP2942428B1 (en) Method for split-knitting
KR101523498B1 (ko) 편사의 풀림방지방법
CN110387636B (zh) 用于制造金银丝针织物的针织横机和方法
KR20000070011A (ko) 개선된 파일 직물, 이 파일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파일
KR101061821B1 (ko)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방법
KR101347668B1 (ko) 양말 편성기
CN110678593B (zh) 横机中的添纱编织方法
KR100554200B1 (ko) 횡편기에 의한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
CN107663709B (zh) 经编机和用于制造经编织物的方法
KR20210059630A (ko) 파일편성용 횡편기 및 편성방법
US3080740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KR20230021610A (ko)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JP7438011B2 (ja) 横編機によるパイル編地の編成方法
CN115074897B (zh) 由横编机编织的绒头编织物的编织方法
US716767A (en) Rib-knitting machine.
US20030159473A1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 mechanism and transferring method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CN114657685B (zh) 用于横机或编织机的针织系统
US3979927A (en) Knitt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