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630A - 파일편성용 횡편기 및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파일편성용 횡편기 및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630A
KR20210059630A KR1020200150088A KR20200150088A KR20210059630A KR 20210059630 A KR20210059630 A KR 20210059630A KR 1020200150088 A KR1020200150088 A KR 1020200150088A KR 20200150088 A KR20200150088 A KR 20200150088A KR 20210059630 A KR20210059630 A KR 20210059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sinker
pile
stitch
needle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4594B1 (ko
Inventor
교카 후쿠시마
사토루 미야시타
마사미쓰 이케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059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1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pile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04B15/12Shogg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4Latch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통 모양 편성포를 파일편성에 의하여 편성할 때에, 끝스티치의 파일실의 싱커루프가 축소되는 것을 막는 파일편성용 횡편기 및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끝스티치용 싱커(11)는,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어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7)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끝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32)이 걸리는 파일용 폴(11a)을 갖는다. 끝스티치용 싱커(11)는, 도1의 (c)에서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 후, 도1의 (d)와 같이 파일용 폴(11a)에 의하여 파일실(32)의 싱커루프(38e)를 해제하지 않고 결합한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한다. 다음 코스에서 급사를 받기 직전의 도1의 (a)에서 싱커루프(38e)를 해제한 후에 새로운 싱커루프를 형성한다. 결합을 계속하여 유지함으로써, 끝스티치의 파일실(32)의 싱커루프(38e)는, 형성 시와 비슷한 길이로 유지되어, 축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파일편성용 횡편기 및 편성방법{FLATBED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PILE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筒) 모양의 파일편성포(pile編成布)를 편성하는 파일편성용 횡편기(pile編成用 橫編機) 및 그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1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는, 통(筒) 모양의 파일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 파일편성포는, 바탕실과 파일실(pile yarn)의 2종류의 편사(編絲)를 사용하여 편성되고, 바탕실에 의한 편성포의 면(面)에, 파일실에 의한 링(ring)이 융기된 조직을 갖는다. 바탕실은, 파일실의 링을 조이도록 기능하기 때문에 체결사라고도 불린다. 파일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한 편침(編針)은, 훅(hook)을 래치(latch)에 의하여 개폐하는 래치니들(latch needle)이고, 래치의 내측 가장자리에 편사결합용 갈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파일편성은, 이 편침과 함께, 니들베드갭으로 진퇴하는 가동(可動)의 파일편성용 싱커(pile編成用 sinker)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파일편성용 싱커는, 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 및 바탕실의 싱커루프(sinker loop)가 걸리는 파일용 폴(pile用 pawl) 및 바탕실용 폴을 각각 갖고 있다. 횡편기에 의한 파일편성은, 스티치 형성 시의 파일실의 싱커루프를 바탕실의 싱커루프보다 크게 함으로써 링을 형성한다.
횡편기에 의하여 통 모양으로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는, 니들베드갭을 사이에 두고 편사에 의하여 연결되는 편성포의 종단부(終端部) 부근의 스티치(stitch)인 끝스티치(end stitch)가 수축되어 작아지게 되어, 니들베드갭을 지나는 경계부에서 스티치의 사이가 넓어져서 외관의 미려함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를 참조). 이 문제의 대책으로서 특허문헌2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서는, 끝스티치의 형성 시에, 녹오버(knock over)된 구스티치(舊stitch)에 확경부재(擴徑部材)를 침입시켜서, 스티치의 크기를 회복시키도록 하고 있다.
: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60―59333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156085호 공보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에서는, 경계부의 스티치 크기의 변화뿐만 아니라, 파일실에 의한 링의 크기가 경계부에서 작아지게 되기 때문에, 외관의 미려함이 손상되기 쉽다. 특허문헌2와 같이 수축된 구스티치를 확경하여도, 싱커루프에는 직접적인 작용이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싱커루프의 확경에는 아직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 모양 편성포를 파일편성에 의하여 편성할 때에, 끝스티치의 파일실의 싱커루프가 축소되는 것을 막는 파일편성용 횡편기 및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니들베드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1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편사로서 바탕실 및 파일실을, 일방의 니들베드에는 일방향으로, 타방의 니들베드에는 역방향으로, 전체로서 일정한 방향으로 주회하도록 급사하면서,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편성포를 편성폭의 양단에서 연결하여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를 편성하는 파일편성용 횡편기에 있어서,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어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끝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이 걸리는 파일용 폴을 니들베드갭으로 진퇴하는 선단부에 갖는 끝스티치용 싱커와,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어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편침과 편성폭의 시단이 되는 편침과의 사이의 편침 사이에 배치되고, 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이 걸리는 파일용 폴 및 바탕실이 걸리는 바탕실용 폴을 니들베드갭으로 진퇴하는 선단부에 갖는 파일편성용 싱커와,
각 편침에서의 스티치 형성에 맞추어서 파일편성용 싱커 및 끝스티치용 싱커의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으로 진입시키고, 스티치 형성 후에 파일편성용 싱커는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시키고, 끝스티치용 싱커는 파일용 폴에 파일실에 의한 싱커루프를 형성시키고, 싱커루프 형성 후, 다음 코스에서 끝스티치 형성을 위한 편사의 급사를 받기 직전까지, 싱커루프를 결합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에 멈추게 하는 제어를 하는 싱커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편성용 횡편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끝스티치용 싱커는, 상기 파일용 폴만 갖고, 상기 끝스티치 형성 시에 상기 바탕실이 걸리는 부분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끝스티치용 싱커의 상기 파일용 폴에 의하여 상기 싱커루프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는, 상기 선단부를 상기 니들베드갭의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여 진입시키는 경우에, 진입방향의 연직 하방에 대한 경사보다 연직 하방에 대한 경사가 커지게 되는 경사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끝스티치용 싱커 및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는, 돌출량이 다른 버트를 각각 갖고,
상기 싱커 제어수단은, 끝스티치용 싱커 및 파일편성용 싱커를 버트의 돌출량에 의하여 구별하여 구동시켜서, 상기 제어를 하는 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니들베드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1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의하여, 편사로서 바탕실 및 파일실을, 일방의 니들베드에는 일방향으로, 타방의 니들베드에는 역방향으로, 전체로서 일정한 방향으로 주회하도록 급사하면서,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편성포를 편성폭의 양단에서 연결하여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를 편성하는 파일편성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어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끝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이 걸리는 파일용 폴을 갖는 끝스티치용 싱커를 배치하고,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어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편침과 편성폭의 시단이 되는 편침과의 사이의 편침 사이에, 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이 걸리는 파일용 폴 및 바탕실이 걸리는 바탕실용 폴을 니들베드갭으로 진퇴하는 선단부에 갖는 파일편성용 싱커를 배치하여 두고,
각 편침에서의 스티치 형성에 맞추어서 파일편성용 싱커 및 끝스티치용 싱커의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으로 진입시키고, 스티치 형성 후에 파일편성용 싱커는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시키고, 끝스티치용 싱커는 파일용 폴에 파일실에 의한 싱커루프를 형성시키고, 싱커루프 형성 후, 다음 코스에서 끝스티치 형성을 위한 편사의 급사를 받기 직전까지, 싱커루프를 결합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에 멈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편성의 편성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끝스티치의 형성 시에 끝스티치용 싱커의 파일용 폴에 형성되는 파일실의 싱커루프는, 싱커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하여, 다음 코스에서 끝스티치 형성을 위한 편사의 급사를 받기 직전까지, 파일용 폴에 의하여 결합된다. 결합에 의하여, 끝스티치의 파일실의 싱커루프는, 형성 시와 비슷한 길이로 유지되어, 축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끝스티치용 싱커는 끝스티치 형성 시에 바탕실이 걸리는 부분을 갖지 않기 때문에, 끝스티치 형성 시에 형성되는 바탕실의 싱커루프는 짧아지게 된다. 대향하는 니들베드에서 편성개시되는 편성포에 끝스티치로부터 바탕실이 인입되기 어렵게 되고, 바탕실에 동반되어 파일실도 인입되기 어렵게 되어, 파일실의 싱커루프에 의한 링도 축소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일용 폴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경사의 연직 하방에 대한 각도는, 끝스티치용 싱커가 니들베드갭의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여 진입하는 방향의 연직 하방에 대한 각도보다 커지게 된다. 파일실의 싱커루프는, 가장자리부에서 형성된 후에 파일용 폴로부터 이탈하기 어렵게 되어, 결합상태를 안정하게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끝스티치용 싱커와 파일편성용 싱커는, 공통의 캠에 의하여 구동되고, 버트의 돌출량의 차이에 의하여 제어를 구별하여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끝스티치의 형성 시에 끝스티치용 싱커의 파일용 폴에 형성되는 파일실의 싱커루프를, 다음 코스에서 끝스티치 형성을 위한 편사의 급사를 받기 직전까지, 파일용 폴에 의하여 결합하기 때문에, 끝스티치의 파일실의 싱커루프가 축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인 파일편성용 횡편기(1)의 주요부분의 동작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의 니들베드(3F, 3B)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평면도이다.
도4는,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의 끝스티치용 싱커(11)의 형상을, 종래의 파일편성용 싱커(12)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5는,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에서, 캐리지 순행 시의 캠 배치와 캠의 구동을 받는 부분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에서, 캐리지 역행 시의 캠 배치와 캠의 구동을 받는 부분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에 의하여 편성되는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도1부터 도7은, 본 발명의 1실시예인 파일편성용 횡편기(pile編成用 橫編機)(1)의 구성과 사용상태에 관한 것이다. 각 도면에서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 설명의 편의상, 설명대상인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다른 도면에 기재된 참조부호를 붙여서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인 파일편성용 횡편기(1)의 주요부분의 동작 및 구성을 각각 나타낸다. 파일편성용 횡편기(1)는,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2)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1쌍의 니들베드(needle bed)(3F, 3B)를 구비한다. 단, 도2에서는 일방(一方)의 니들베드(3F)만을 나타낸다.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니들베드(3B)는, 니들베드갭(2)의 가상중심면(假想中心面)(2a)에 대하여 니들베드(3F)와 거의 대칭인 위치에 배치된다. 니들베드(3F, 3B)는, 도1 및 도2의 지면(紙面)과 수직방향인 편성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기판(基板)(4)에, 니들 플레이트(needle plate)(5)가 나란하게 형성된다. 니들 플레이트(5)의 사이는 니들홈(needle groove)(6)이 되고, 편침(編針)(7)이 수용된다. 편침(7)은, 니들베드갭(2)측의 선단(先端)에 훅(hook)(7a)을 갖고, 훅(7a)을 개폐하기 위한 래치(latch)(7b)도 갖고, 니들홈(6)을 따라 선단이 니들베드갭(2)으로 진퇴하도록 슬라이딩(sliding)한다. 밴드(band)(8)는, 편침(7)이 니들홈(6)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막는다. 편성폭방향의 양단(兩端)에 설치되는 싱커베드 부착판(sinker bed 附着板)(9)은 싱커베드(10)를 지탱한다. 싱커베드(10)는, 끝스티치용 싱커(end stitch用 sinker)(11) 및 파일편성용 싱커(pile編成用 sinker)(12)를 각각의 선단부가 니들베드갭(2)으로 진퇴할 수 있도록 수용한다.
도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니들베드(3F, 3B)에서 통(筒) 모양의 파일편성포(pile編成布)(30)를 편성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1 및 도2는, 도2의 (d2)를 제외하고, 도3의 절단선(I―I)으로부터 본 측단면 구성에 대응한다. 도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파일편성용 싱커(12)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1에는, 끝스티치용 싱커(11)의 선단부가 나타나 있다. 이 선단부에는 파일용 폴(pile用 pawl)(11a)이 형성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지(carriage)(20)는, 편침(7)과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파일편성용 싱커(12)를 구동하는 편성캠(knitting cam)(21)과 싱커캠(sinker cam)(22)을 각각 탑재한다. 편침(7)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구동은, 편침(7)의 꼬리 끝측에 연결되는 잭(jack)(7c)으로부터 캐리지(20)측으로 돌출되는 버트(butt)(7d)를 안내하는 편성캠(21)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파일편성을 하기 위한 바탕실(31) 및 파일실(pile yarn)(32)은, 얀피더(yarn feeder)(33, 34)로부터 각각 공급된다. 캐리지(20)는, 편성폭방향으로 왕복주행할 수 있고, 얀피더(33, 34)를 선택적으로 연동(連動)할 수 있다.
도1의 (a), (b), (c), (d)는, 끝스티치용 싱커(11)의 동작을 나타낸다. (a)는, 선단부가 편사(編絲)에 작용하지 않고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퇴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끝스티치용 싱커(11)는, 끝스티치의 형성 후, 다음 코스에서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한 급사(給絲)를 얀피더(33, 34)로부터 받기 직전까지, 끝스티치의 형성 시부터 도7에 나타내는 싱커루프(sinker loop)(38e)를 파일용 폴(11a)에 결합하여 지지하는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한다. 얀피더(33, 34)는, 지면의 표면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주행한다. 얀피더(33, 34)가 접근하면, 끝스티치용 싱커(11)의 선단부는,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퇴출되어, 싱커루프(38e)를 해제한 후에 새로운 싱커루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훅(7a)에 지지되어 있던 스티치의 니들루프(needle loop)는, 래치(7b)를 열어서 편침(7)의 침간(針幹)으로 이동하고 있지만, 도시는 생략한다.
도1의 (b)는, 새로운 끝스티치의 형성을 개시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얀피더(33)로부터 바탕실(31)을 공급하여, 래치(7b)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편사결합용 갈고리에 걸친 상태에서 편침(7)을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퇴출시키도록 인입하면서, 끝스티치용 싱커(11)의 선단부를 니들베드갭(2)으로 진입시킨다. 편사결합용 갈고리는, 특허문헌1에 설명되어 있다. 바탕실(31)은, 끝스티치용 싱커(11)의 선단부의 바닥부 하측을 통과하도록 눌린다.
도1의 (c)는, 편침(7)의 인입에 의하여 새로운 끝스티치를 형성하고, 구스티치(舊stitch)가 되는 끝스티치의 녹오버(knock over)에 의하여 래치(7b)로 훅(7a)을 닫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파일실(32)은, 얀피더(34)로부터 훅(7a)에 공급되고,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훅(7a)에 의한 바탕실(31) 및 파일실(32)의 니들루프(35e, 36e)와, 끝스티치용 싱커(11)의 파일용 폴(11a)에 의한 파일실(32)의 싱커루프(38e)가 형성된다. 바탕실(31)의 싱커루프(37e)는, 도2(a)에 나타내는 니들 플레이트(5)의 니들베드갭(2)을 향하는 선단 가장자리(5a)에 걸쳐서 형성된다. 파일편성용 싱커(12)에는, 파일용 폴(12a)과 함께 바탕실용 폴(12c)도 형성되기 때문에, 바탕실(31)의 싱커루프(37)는 바탕실용 폴(12c)에 걸쳐서 형성된다. 바탕실용 폴(12c)은, 니들 플레이트(5)의 선단 가장자리(5a)보다 니들베드갭(2)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파일편성용 싱커(12)에 의하여 형성되는 바탕실(31)의 싱커루프(37)는, 끝스티치용 싱커(11)를 사용하는 경우의 싱커루프(37e)보다 길어지게 된다.
도1의 (d)는, 끝스티치용 싱커(11)에 의하여, 스티치 크기 결정 후에도 끝스티치의 파일실(32)에 의한 싱커루프(38e)를 결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싱커캠(22)은, 진입 가장자리(22a)와 퇴출 가장자리(22b)를 갖는다. 진입 가장자리(22a), 퇴출 가장자리(22b)는, 도4(a)에 나타내는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b)에 나타내는 파일편성용 싱커(12)의 선단측(11d, 12d) 및 버트측(11e, 12e)에 각각 작용한다. 도1의 (a), (b), (c)에서는, 끝스티치용 싱커(11)와 파일편성용 싱커(12)는, 동일한 구동을 받는다. 도1의 (d)는 도2의 (d1)에 대응하고, 끝스티치용 싱커(11)는 도2의 (d2)에 나타내는 파일편성용 싱커(12)와 다른 구동을 받는다. 도2의 (d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치 형성에서의 스티치 크기 결정 후에, 파일편성용 싱커(12)는, 싱커캠(22)의 퇴출 가장자리(22b)에 의한 구동에 의하여 선단부가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퇴출되고, 형성된 싱커루프(38)를 해제한다. 싱커캠(22)은, 끝스티치용 싱커(11)와 파일편성용 싱커(12)를 기본적으로 공통으로 구동하지만, 퇴출 가장자리(22b)측에 단차부(段差部)(22c)를 갖는다. 단차부(22c)의 외주가 되는 퇴출 가장자리(22b)는, 파일편성용 싱커(12)의 버트(12b)에는 작용하여, 선단부를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퇴출시키고, 파일용 폴(12a) 및 바탕실용 폴(12c)로부터 파일실(32) 및 바탕실(31)의 싱커루프(38, 37)를 해제한다. 단차부(22c)의 퇴출 가장자리(22b)는, 돌출량이 작은 끝스티치용 싱커(11)의 버트(11b)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버트(11b)는, 단차부(22c)의 내주가 되는 지지 가장자리(22d)로 안내되어, 파일용 폴(11a)로부터 싱커루프(38e)를 해제하지 않는다. 끝스티치용 싱커(11)에 의하여 결합되는 파일실(32)의 싱커루프(38e)는, 다음 편성코스의 (a)에서 해제한다.
도3은,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의 니들베드(3F, 3B)에서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30)를 편성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다. 편사로서 바탕실(31) 및 파일실(32)은, 일방(一方)의 니들베드(3F), 예를 들면 앞쪽 니들베드에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의 일방향(一方向)으로 주행하는 캐리지(20)가 연동하는 얀피더(33, 34)로부터 급사된다. 타방(他方)의 니들베드(3B)로서의 뒤쪽 니들베드에서는, 캐리지(20)의 주행방향을 반전시켜서, 역방향인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급사된다. 이와 같이 전체로서 시계방향의 일정한 방향으로 주회(周回)하도록 급사한다. 각 니들베드(3F, 3B)에서 편성되는 1코스의 편성포는, 기본적으로 동등하고, 편성폭의 양단에서 연결되어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30)가 된다. 편침(7)은 총칭(總稱)으로서, 소속되는 니들베드(3F, 3B)에 따라 부호 F, B를 부호 7에 부가하고, 또한 위치에 대응하는 부호를 부가하는 경우가 있다. 편침(7)의 사이에는, 기본적으로 파일편성용 싱커(12)가 배치된다. 끝스티치용 싱커(11)는, 각 니들베드(3F, 3B)에서 편성폭의 종단(終端)이 되어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7Fe, 7Be)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끝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32)이 걸리는 파일용 폴(11a)을 갖는다. 파일편성용 싱커(12)는, 다른 편침(7)의 사이, 즉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7Fe, 7Be)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편침(7F, 7B)과 편성폭의 시단(始端)이 되는 편침(7Fs, 7Bs)과의 사이의 편침(7F, 7Fs, 7B, 7Bs)의 사이에 배치된다.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7Fe, 7Be)의 하류측에 인접하는 싱커(13)는, 끝스티치용 싱커(11)나 파일편성용 싱커(12)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싱커, 또는 없게 할 수 있다. 시단이 되는 편침(7Fs, 7Bs)의 상류측의 싱커(14)는 없어도 좋다.
도4는,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의 끝스티치용 싱커(11)의 형상을 (a)에서 정면도, 평면도 및 좌측면도로서 비교하여 나타내고, 종래의 파일편성용 싱커(12)의 형상을 (b)에서 정면도, 평면도 및 좌측면도로서 비교하여 나타낸다. (c)는 파일용 폴(11a, 12a)과 버트(11b, 12b)를 비교하여 나타낸다. 정면도 및 평면도에서, 도면의 우측에 나타내는 선단부는 스티치 형성 시에 작용한다. 이 작용은, 선단측(11d, 12d), 버트측(11e, 12e) 및 종단측(11f, 12f)에 대한 구동에 의하여 제어된다. 끝스티치용 싱커(11)의 버트(11b)는, 돌출량이 파일편성용 싱커(12)의 버트(12b)의 돌출량보다 작다. 끝스티치용 싱커(11)와 파일편성용 싱커(12)는, 공통의 싱커캠(22)에 의하여 구동되고, 이 돌출량의 차이에 의하여, 도2의 (d1), (d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를 구별하여 할 수 있다.
끝스티치용 싱커(11)는, 선단부에 파일용 폴(11a)만 갖고, 끝스티치 형성 시에 바탕실(31)이 걸리는 부분을 갖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파일편성용 싱커(12)는, 파일용 폴(12a)과 함께, 끝스티치 형성 시에 바탕실(31)이 걸리는 바탕실용 폴(12c)을 선단부에 갖는다. 또한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끝스티치용 싱커(11)의 파일용 폴(11a)은, 파일편성용 싱커(12)의 파일용 폴(12a)에 대하여, 싱커루프(38e)를 형성하기 위한 가장자리부(11g)가 경사각도(θ)로 경사져 있다.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파일편성용 싱커(12)는,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의 방향으로 니들베드갭(2)으로 진입하도록 사용된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침(7)의 진퇴방향은, 가상중심면(2a)으로 나타내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파일편성용 싱커(12)의 진퇴방향은, 편침(7)의 진퇴방향과 직교한다. 따라서 도4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의 진입방향은, 니들베드갭(2)에서는 연직 하방에 대하여 45도 경사진 비스듬한 하방이 된다. 경사각도(θ)가 45도가 되면, 가장자리부(11g)가 수평이 되어 싱커루프(38e)는 결합하기 쉽게 되지만, 해제할 때의 저항이 커지게 되어 빠지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 가장자리부(11g)가 선단부를 니들베드갭(2)으로 진입시키는 비스듬한 하방의 방향보다, 45도 미만의 경사각도(θ) 예를 들면 30도 정도 커지게 되는 경사를 가짐으로써, 파일실(32)의 싱커루프(38e)를 형성한 후에 이탈하기 어렵게 되어, 결합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필요 시에 해제할 수 있다.
도5는,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에서, 니들베드(3F)에 대하여 캐리지(20)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좌측방향으로 주행하는 순행(順行) 시의 캠 배치를 나타내고, 캠의 구동을 받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궤적도 2점쇄선 및 파선에 대응하도록 나타낸다.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파일편성용 싱커(12)에서 공통되는 궤적은 2점쇄선으로 나타낸다. 편침(7)의 기본적인 구동은, 버트에 작용하는 니들 레이징캠(needle raising cam)(21a), 센터캠(center cam)(21b) 및 스티치캠(stitch cam)(21c)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편성캠(21)에 대한 편침(7)의 궤적은 버트와 훅(7a)으로 대표된다. 싱커캠(22)은,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파일편성용 싱커(12)를 니들베드갭(2)으로 진입시키는 진입 가장자리(22a)와,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퇴출시키는 퇴출 가장자리(22b)를 갖는다. 퇴출 가장자리(22b)측의 일부에는, 전술한 단차부(22c)가 형성된다. 단차부(22c)의 작용에 의하여,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끝스티치용 싱커(11)의 궤적과 파선으로 나타내는 파일편성용 싱커(12)의 궤적은 다르게 된다. 싱커캠(22)에 부속되어 가동캠(可動cam)(23, 24)도 설치된다. 가동캠(23, 24)은, 순행 시에만 작동되고,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파일편성용 싱커의 종단측(11f, 12f) 및 버트측(11e, 12e)에 작용한다.
도5는, 도1의 (a), (b), (c) 및 (d)에 대응하는 위상을 a, b, c 및 d로 각각 나타낸다. a에 선행(先行)하여, 가동캠(23)은,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파일편성용 싱커(12)의 선단부를 니들베드갭(2)으로 일단 진출시키고, 바닥부에서 스티치를 누르기 위하여 설치된다. 가동캠(24)은,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파일편성용 싱커(12)의 선단부를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퇴출시키고, 특히 끝스티치 형성 시에 끝스티치용 싱커(11)에 결합된 파일실(32)의 싱커루프(38e)를, 다음 코스에서 끝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한 급사를 받기 직전에 해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a는, 버트(7d)가 센터캠(21b)에 의한 안내에 의하여 편침(7)이 니들베드갭(2)으로 가장 많이 진입하고, 훅(7a)에 걸쳐 있었던 니들루프가 래치(7b)를 열어서 침간측으로 이행되어 클리어(clear)된 후의 위상이 된다. 싱커캠(22)의 퇴출 가장자리(22b)에는 단차부(22c)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d에서, 파일편성용 싱커(12)에서는 싱커루프를 해제하더라도, 끝스티치용 싱커(11)에 의하여 파일실(32)의 싱커루프(38e)를 해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6은,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에서, 니들베드(3F)에 대하여 캐리지(20)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우측방향으로 주행하는 캐리지 역행(逆行) 시의 캠 배치를 나타내고, 캠의 구동을 받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궤적도 대응하도록 나타낸다. 역행 시에는, 니들베드(3B)에서 편성포가 편성되고, 니들베드(3F)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편성캠(21)은 작용하지 않게 되어, 싱커캠(22)에 의한 끝스티치용 싱커(11)의 작용은 싱커루프(38e)를 해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끝스티치용 싱커(11)는, 순행 시의 위상 a에서만 가동캠(24)의 작용을 받아서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퇴출되고, 이전 코스의 위상 c에서 형성된 후에 결합되어 있는 싱커루프(38e)를 해제한다.
도7은,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에 의하여 편성되는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30)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파일편성에 의한 스티치는, 바탕실(31) 및 파일실(32)에 의한 니들루프(35, 36) 및 싱커루프(37, 38)로부터 각각 형성된다. 끝스티치에 있어서 파일실(32)의 싱커루프(38e)는, 다음 코스에서 편침(7Fe)에 급사를 받아서 끝스티치가 형성되기 직전까지 지지된다. 끝스티치용 싱커(11)를 사용하면, 끝스티치에 있어서 바탕실(31)의 싱커루프(37e)는, 다른 싱커루프(37)보다 짧아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한 통 지름으로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가 편성된다. 통 지름을 바꾸는 경우에는, 니들베드(3F, 3B) 중 적어도 일방에서 끝스티치용 싱커(11)를 설치하는 위치를 바꾸면 좋다.
본 실시예는, 도5 및 도6에 나타내는 싱커캠(22)에 의하여 끝스티치용 싱커(11)의 선단부를 니들베드갭(2)으로 진퇴시키고, 끝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용 폴(11a)을 니들베드갭(2)으로 진입시켜서, 끝스티치의 파일실(32)에 의한 싱커루프(38e)를 형성시키고, 싱커루프(38e)의 형성 후, 다음 코스에서 끝스티치 형성을 위한 편사의 급사를 받기 직전까지, 싱커루프(38e)를 결합시킨 상태를 유지하도록, 파일용 폴(11a)을 니들베드갭(2)에 멈추게 하는 제어를 하는 싱커 제어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싱커 제어수단으로서는, 끝스티치용 싱커(11)를 직접 구동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를 설치하여도 좋다.
1 : 파일편성용 횡편기
2 : 니들베드갭
3F, 3B : 니들베드
7, 7F, 7B, 7Fe, 7Be, 7Fs, 7Bs : 편침
7a : 훅
7b : 래치
7d, 11b, 12b : 버트
10 : 싱커베드
11 : 끝스티치용 싱커
11a, 12a : 파일용 폴
11g : 가장자리부
12 : 파일편성용 싱커
12c : 바탕실용 폴
20 : 캐리지
21 : 편성캠
22 : 싱커캠
22a : 진입 가장자리
22b : 퇴출 가장자리
22c : 단차부
23, 24 : 가동캠
30 :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
31 : 바탕실
32 : 파일실
38, 38e : 싱커루프

Claims (5)

  1.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1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편사(編絲)로서 바탕실 및 파일실(pile yarn)을,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에는 일방향(一方向)으로, 타방(他方)의 니들베드에는 역방향으로, 전체로서 일정한 방향으로 주회(周回)하도록 급사(給絲)하면서,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편성포(編成布)를 편성폭의 양단(兩端)에서 연결하여 통(筒) 모양의 파일편성포(pile編成布)를 편성하는 파일편성용 횡편기(pile編成用 橫編機)에 있어서,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終端)이 되어 끝스티치(end stitch)를 형성하는 편침(編針)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끝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이 걸리는 파일용 폴(pile用 pawl)을 니들베드갭으로 진퇴하는 선단부(先端部)에 갖는 끝스티치용 싱커(end stitch用 sinker)와,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어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편침과 편성폭의 시단(始端)이 되는 편침과의 사이의 편침 사이에 배치되고, 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이 걸리는 파일용 폴 및 바탕실이 걸리는 바탕실용 폴을 니들베드갭으로 진퇴하는 선단부에 갖는 파일편성용 싱커(pile編成用 sinker)와,
    각 편침에서의 스티치 형성에 맞추어서 파일편성용 싱커 및 끝스티치용 싱커의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으로 진입시키고, 스티치 형성 후에 파일편성용 싱커는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시키고, 끝스티치용 싱커는 파일용 폴에 파일실에 의한 싱커루프를 형성시키고, 싱커루프 형성 후, 다음 코스에서 끝스티치 형성을 위한 편사의 급사를 받기 직전까지, 싱커루프를 결합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에 멈추게 하는 제어를 하는 싱커 제어수단(sinker 制御手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편성용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끝스티치용 싱커는, 상기 파일용 폴만 갖고, 상기 끝스티치 형성 시에 상기 바탕실이 걸리는 부분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편성용 횡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끝스티치용 싱커의 상기 파일용 폴에 의하여 상기 싱커루프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는, 상기 선단부를 상기 니들베드갭의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여 진입시키는 경우에, 진입방향의 연직 하방에 대한 경사보다 연직 하방에 대한 경사가 커지게 되는 경사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편성용 횡편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끝스티치용 싱커 및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는, 돌출량이 다른 버트(butt)를 각각 갖고,
    상기 싱커 제어수단은, 끝스티치용 싱커 및 파일편성용 싱커를 버트의 돌출량에 의하여 구별하여 구동시켜서, 상기 제어를 하는 캠(cam)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편성용 횡편기.
  5. 니들베드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1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의하여, 편사로서 바탕실 및 파일실을, 일방의 니들베드에는 일방향으로, 타방의 니들베드에는 역방향으로, 전체로서 일정한 방향으로 주회하도록 급사하면서,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편성포를 편성폭의 양단에서 연결하여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를 편성하는 파일편성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어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끝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이 걸리는 파일용 폴을 갖는 끝스티치용 싱커를 배치하고,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어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편침과 편성폭의 시단이 되는 편침과의 사이의 편침 사이에, 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이 걸리는 파일용 폴 및 바탕실이 걸리는 바탕실용 폴을 니들베드갭으로 진퇴하는 선단부에 갖는 파일편성용 싱커를 배치하여 두고,
    각 편침에서의 스티치 형성에 맞추어서 파일편성용 싱커 및 끝스티치용 싱커의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으로 진입시키고, 스티치 형성 후에 파일편성용 싱커는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시키고, 끝스티치용 싱커는 파일용 폴에 파일실에 의한 싱커루프를 형성시키고, 싱커루프 형성 후, 다음 코스에서 끝스티치 형성을 위한 편사의 급사를 받기 직전까지, 싱커루프를 결합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에 멈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편성의 편성방법.
KR1020200150088A 2019-11-15 2020-11-11 파일편성용 횡편기 및 편성방법 KR102434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07514 2019-11-15
JP2019207514A JP7271398B2 (ja) 2019-11-15 2019-11-15 パイル編み用横編機および編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630A true KR20210059630A (ko) 2021-05-25
KR102434594B1 KR102434594B1 (ko) 2022-08-19

Family

ID=7585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088A KR102434594B1 (ko) 2019-11-15 2020-11-11 파일편성용 횡편기 및 편성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71398B2 (ko)
KR (1) KR102434594B1 (ko)
CN (1) CN11281357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5033A (zh) * 2022-07-04 2022-09-13 汕头市连兴实业有限公司 一种织领机用线头钩藏处理方法及织领机
KR20230014641A (ko) * 2021-07-21 2023-01-3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333A (ja) 1983-09-12 1985-04-05 Fuji Photo Film Co Ltd フイルム画像の処理方法
KR20070022681A (ko) * 2004-03-31 2007-02-2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방법
KR20100080359A (ko) * 2008-12-29 2010-07-0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 및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KR20110105376A (ko) * 2008-12-27 2011-09-2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 및 그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
JP5179878B2 (ja) * 2005-09-28 2013-04-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ヤーンガイドを備える横編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333B2 (ja) * 1979-09-13 1985-12-24 株式会社島アイデア・センタ− パイル編編成方法
JPS5663051A (en) * 1979-10-19 1981-05-29 Shima Idea Center Knitting of pile sock
DE4033735C2 (de) * 1990-10-24 1999-01-21 Sipra Patent Beteiligung Strickmaschine zur Herstellung von Plüschwaren
DE19707053B4 (de) * 1997-02-21 2008-03-27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Hoch/Tief-Plüschstrickwar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ihrer Herstellung
ATE274084T1 (de) * 1998-07-01 2004-09-15 Malden Mills Ind Inc Doppelseitige polschlingenstrickware mit farbdifferenzierung zwischen vorder- und hinterseite
JP3116200U (ja) * 2005-08-29 2005-12-02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パイル編地編成用のシンカーカム及びこれを有する丸編機
CN203440584U (zh) * 2013-07-25 2014-02-19 韦增机械(佛山高明)有限公司 圆编编织机的生克片
JP6341038B2 (ja) 2014-09-29 2018-06-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からの排出用紙の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111509B2 (ja) * 2018-05-31 2022-08-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パイル編地の編成方法、シンカー、及び横編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333A (ja) 1983-09-12 1985-04-05 Fuji Photo Film Co Ltd フイルム画像の処理方法
KR20070022681A (ko) * 2004-03-31 2007-02-2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방법
JP5179878B2 (ja) * 2005-09-28 2013-04-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ヤーンガイドを備える横編機
KR20110105376A (ko) * 2008-12-27 2011-09-2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 및 그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
KR20100080359A (ko) * 2008-12-29 2010-07-0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 및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JP2010156085A (ja) 2008-12-29 2010-07-15 Shima Seiki Mfg Ltd 筒状編地編成用横編機および筒状編地の編成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641A (ko) * 2021-07-21 2023-01-3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CN115045033A (zh) * 2022-07-04 2022-09-13 汕头市连兴实业有限公司 一种织领机用线头钩藏处理方法及织领机
CN115045033B (zh) * 2022-07-04 2024-01-23 汕头市连兴实业有限公司 一种织领机用线头钩藏处理方法及织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13572A (zh) 2021-05-18
CN112813572B (zh) 2022-05-10
KR102434594B1 (ko) 2022-08-19
JP2021080592A (ja) 2021-05-27
JP7271398B2 (ja)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199B1 (ko) 인레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인레이 편성포
KR102637903B1 (ko)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US4019350A (en) Method of producing double-knit fabric having additional fleece threads incorporated into one face or both faces thereof
KR20210059630A (ko) 파일편성용 횡편기 및 편성방법
KR101061821B1 (ko)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방법
KR20070113269A (ko)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
KR102226578B1 (ko) 횡편기
KR20000070011A (ko) 개선된 파일 직물, 이 파일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파일
KR101347648B1 (ko) 편성포의 편성시작방법
EP2025785B1 (en) Knitting method of intersia pattern fabric and weft knitting machine
JP6807451B2 (ja) 横編機でのプレーティング編成方法
JPH03234847A (ja) 横編機における可動シンカー
KR100554200B1 (ko) 횡편기에 의한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
KR940009399A (ko) 자카아드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하는 싱커
JP2021021163A (ja) 編糸の位置が変更可能な緯編機編成構造
US5163305A (en) Knitting machine with stitch retention sinkers
JP3240325B2 (ja) プラッシュ生地の製造方法および編み機
US2385056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US2178317A (en) Knitting machine
JP7438011B2 (ja) 横編機によるパイル編地の編成方法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US2692488A (en) Full-fashioned knitting
KR20230021610A (ko)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JP2022138703A (ja) 横編機によるパイル編地の編成方法
CN113265752A (zh) 编织物的编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