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199B1 - 인레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인레이 편성포 - Google Patents

인레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인레이 편성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199B1
KR100554199B1 KR1019990040456A KR19990040456A KR100554199B1 KR 100554199 B1 KR100554199 B1 KR 100554199B1 KR 1019990040456 A KR1019990040456 A KR 1019990040456A KR 19990040456 A KR19990040456 A KR 19990040456A KR 100554199 B1 KR100554199 B1 KR 100554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loop
needle
inlay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3313A (ko
Inventor
시마사키요시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00023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3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laid-in unlooped yarn, e.g. fleec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레이사(inlay絲)가 인출되거나 편성포에 구멍이 나거나 하지 않는 인레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인레이 편성포를 개시한다.
바탕 조직부와 인레이사로 구성된 인레이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는 먼저 바탕 조직부를 편성한 다음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제1니들베드상의 편침에 고정된 바탕 조직부의 루프를 대향하는 제2니들베드의 편침에 고정시켜 인레이사 지지용 루프를 형성한다. 이로써 전후의 양쪽 니들베드의 편침에 루프가 고정된 다음에 제1, 제2니들베드의 편침에 고정된 루프상에 인레이사를 걸쳐 놓고 제2니들베드의 편침에 고정되어 있는 인레이사 지지용 루프를 제1니들베드의 편침으로 코옮김을 실행시켜 바탕 조직부의 루프와 겹치게 하고 제1니들베드의 편침에 급사(給絲)하여 다음 코스의 루프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인레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인레이 편성포{METHOD OF KNITTING INLAID FABRIC AND INLAID FABRIC KNITTED BY THE METHO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편성되는 서포터(supporter)의 뒷 편성포의 편성을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편성되는 서포터의 앞 편성포의 편성을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
도3은 도1 및 도2의 편성 코스도에 따라서 편성된 서포터의 뒷 편성포 부분을 편성포의 내측에서 본 루프도,
도4는 바탕 조직부에 탄성사를, 인레이사에 비탄성사를 사용하여 편성된 편성포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도5에 나타낸 편성에 따라서 편성된 인레이 편성포의 루프도,
도7은 종래의 인레이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
도8은 도7의 편성 코스도에 따라서 편성된 인레이 편성포의 루프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바탕 조직부용 급사구 3 : 바탕 조직부의 편성용 급사구
5, 13 : 구 루프 5a, 13a : 인레이사의 지지용 루프
7, 15 : 신 루프 11 : 인레이사
본 발명은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한 횡편기에 있어서, 인레이사(inlay絲)를 편성포내에 삽입시키는 인레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상기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되는 인레이 편성포에 관한 것이다.
인레이사와 바탕 조직이 일체로 편성된 인레이 편조직은 두꺼운 편성포로서 볼륨감과 형태 안정성이 우수하여 외투 등의 편조직으로 이용된다. 또한 인레이사로서 고무실 등의 탄성사(彈性絲)를 사용한 인레이 편성포는 높은 신축성이 요구되는 언더웨어 등에 이용되는 재질로서 적합하다. 이와 같이 인레이 편성포는 편성에 사용되는 편사의 종류와 재질 및 편조직 등의 편성 조건을 바꾸어 편성함으로써 다양한 용도에 적합한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인레이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일례를 도7 및 도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7의 코스1에서는 바탕 조직부를 뒷 베드의 편침(a ∼ s)을 사용하여 평조직으로 편성하고 코스2에서는 뒷 베드를 편침의 반피치 만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코스1에서 급사된 편침과 함께 앞 베드의 편침(E, J, O)에도 급사하여 루프를 형성한다. 그리고 코스3에서는 코스2의 편성에 의한 전후의 양쪽 니들베드에 고정되어 있는 루프상에 인레이사(101)를 걸쳐 놓는다. 코스4에서는 뒷 베드를 편침의 반피치 만큼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앞 베드의 편침(E, J, O)에 고정되어 있던 루프를 뒷 베드의 편침으로 코옮김을 실행시켜 뒷 베드상의 루프와 겹치게 하고 코스5에서는 다시 뒷 베드의 편침을 사용하여 평조직을 편성한다. 상기 코스1부터 코스5에 나타낸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탕 조직부가 평조직으로 편성되고 한 코스 간격으로 인레이사(101)가 삽입된 인레이 편성포가 편성된다.
상기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된 인레이 편성포는 리브 편조직의 앞 편환과 뒷 편환 사이에서 인레이사가 지지되지만 전후 니들베드 사이의 트릭 갭을 따라서 형성된 리브 편조직의 루프는 앞 편환과 뒷 편환 사이에 걸쳐 있는 편사가 루프에 흡수되어 루프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인레이사를 지지하고 있는 앞 편환과 뒷 편환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고, 지지 되는 인레이사가 착용시에 편성포가 코스 방향, 즉 늘어나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와 인레이사가 무언가에 잡아 당겨지는 경우 등에 인레이사가 인출될 우려가 있다.
또한 리브 편조직 부분에서 전방의 니들베드의 편침에 새롭게 형성된 루프에는 이전 코스의 루프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로운 루프를 형성한 부분(103)에 구멍이 나서 상품 가치가 저하된다.
전술한 문제는 리브 편조직 부분에서 앞 베드에 새롭게 형성되는 루프(105)가 이전 코스의 루프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는 것에 기인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지지되어 있는 인레이사의 이동으로 인레이사가 인출되거나 편성포에 구멍이 나거나 하지 않는 상품 가치가 높은 인레이 편성포를 편성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편성된 새로운 편성포를 개시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인레이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좌우로 연장하며 또한 트릭 갭(trick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의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니들베드는 각각 복수의 편침을 구비하고, 상기 니들베드 사이에서 루프의 코옮김이 실행 가능하며 또한 한 쪽 또는 양 쪽의 니들베드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횡편기를 이용하고, 바탕 조직부와 인레이사(inlay絲)로 구성된 인레이 편성포를 편성하는 편성방법에 있어서, 바탕 조직부를 편성하는 공정과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제1의 니들베드상의 편침에 고정된 바탕 조직부의 루프를 대향하는 제2의 니들베드의 편침에 고정시키고 인레이사 지지용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전후의 양쪽 니들베드의 편침으로 루프를 고정시키는 공정과 제1, 제2의 니들베드의 편침에 고정된 루프상에 인레이사를 걸쳐 놓는 공정과 제2의 니들베드의 편침에 고정되어 있는 인레이사의 지지용 루프를 제1의 니들베드의 편침으로 코옮김이 실행되고 바탕 조직부의 루프와 겹쳐 지는 공정과 제1의 니들베드의 편침에 급사하여 다음 코스의 루프를 형성하는 공정에 의하여 인레이 편성포를 편성한다. 전술한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전후의 편침에 고정된 루프상에 인레이사를 걸쳐 놓은 후,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새롭게 형성된 루프와 대향하는 니들베드상의 인레이사의 지지용 루프를 겹치게 하고 그 겹쳐진 루프에 다음 코스의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인레이사를 지지한다.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형성된 인레이사의 지지용 루프는 원래 1개인 루프를 2개로 분할하며 한 쪽을 인레이사의 지지용 루프로 하고 다른 쪽을 스플릿 편성시에 새롭게 형성된 루프를 지지하는 이전 코스의 루프로 하기 때문에 인레이사 지지용 루프가 통상의 루프보다도 작은 루프로 형성됨으로써 바탕 조직부의 루프와 인레이사의 지지용 루프 사이의 간격이 좁아 지고 인레이사가 인레이사의 지지용 루프와 바탕 조직부의 루프 사이에 확실하게 협지(挾 持)되어 인레이사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전술한 인레이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바탕 조직부에 탄성사를, 인레이사로서 비탄성사를 사용하고 편성시에 탄성사를 확장시킨 상태에서 편성함으로써 인레이사를 파일(pile)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특징의 하나이다. 전술한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편성 완료시에 수축되는 바탕 조직부에 의하여 인레이사로 구성된 파일(pile) 형태의 루프가 편성포의 뒷면에 형성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인레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인레이 편성포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탕 조직 부분의 편성용 편사로 탄성사이며 110데니어(denier) 합연사(合撚絲)인 울리 나일론(woollie nylon)을 사용하고, 인레이사용 편사로 비탄성계이며 7번수(番手)의 단사인 셔닐 사(chenille絲)를 사용하며, 앞 편성포와 뒷 편성포의 각 단부끼리 접속되어 자루 모양으로 편성되고 편성 공정후의 봉제가 필요 없는 무봉제의 서포터를 편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인레이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침의 일측면에 코옮김용 클립을 구비함과 아울러 훅의 개폐를 래치로 조정하는 래치 편침이 다수 장착된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뒷 베드가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2장의 베드를 구비한 횡편기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장의 베드를 구비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자루 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과정에서 전후 니들베드 사이에서 코옮김이 실행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특개평3-75656호 공보에 개시된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한다. 특개평3-75656호 공보에서는 전후에 니들베드를 대향하도록 위치시킨 2장의 베드를 구비한 횡편기를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앞 편성포의 편성을 홀수번째의 편침에, 뒷 편성포의 편성을 짝수번째의 편침에 할당하고 그 할당된 편침을 사용하여 편성포를 자루 모양으로 편성하는 방법이다. 앞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는 뒷 편성포가 뒷 베드의 편침에 부속되고 반대로 뒷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는 앞 편성포를 앞 베드의 편침에 부속되어 전후에 겹친 상태로 편성포를 편성함으로써 각 편성포는 대향하는 니들베드상에 코옮김용 편침을 항상 비워둘 수 있으며 그 결과 링크스, 커터, 리브 등의 앞 편환과 뒷 편환이 혼재하는 조직 형태를 자루 모양으로 편성할 수 있다. 전후에 한 쌍의 니들베드를 더 추가한 4장의 베드로 구성된 횡편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앞 편성포를 하부의 앞 베드와 상부의 뒷 베드의 편침으로 편성하고 같은 방법으로 뒷 편성포를 하부의 뒷베드와 상부의 앞 베드의 편침을 사용하여 편성할 수 있으므로 2장의 베드로 구성된 횡편기와 같이 앞 편성포를 홀수번째에, 뒷 편성포를 짝수번째의 편침에 할당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후 각각의 캐리지상에 4세트의 캠 시스템을 구비한 횡편기를 사용하고 캐리지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동 일 캐리지상에 설치된 4세트의 캠내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캠 시스템을 제1캠으로 하고 이하의 순서로 제2캠, 제3캠, 제4캠이라고 하기로 한다. 편성코스도1 및 도2에 있어서 좌측에 캠 번호를 표시하고 제1캠의 편성을 제일 위에 표시하고 밑으로 향하는 순서로 제2캠, 제3캠, 제4캠의 편성을 나타낸다. 편성코스도 우측의 좌우 방향의 화살표는 급사 방향을, 상하 방향의 화살표는 코옮김 방향을 나타내고 각 편성코스의 상하에 표시된 알파벳의 대문자는 앞 베드의 편침을, 소문자는 뒷 베드의 편침을 나타낸다.
우선 도1의 코스에서는 캐리지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캐리지의 진행 방향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제1캠에서 뒷 베드의 편침(a)부터 홀수번째 편침(c, e··s, u, w)에 바탕 조직부의 편성용 울리 나일론을 급사구(1)에서 급사하여 뒷 편성포의 바탕 조직 부분을 편성한다. 제2캠에서는, 제1캠에서 루프를 형성한 뒷 베드의 홀수번째 편침(a, c, e··s, u, w)에 울리 나일론을 급사구(3)에서 급사하여 다음 코스의 루프를 형성할 때에 뒷 베드의 편침(c, m, w)에서는 스플릿 편성이 실행되어 뒷 베드의 편침(c, m, w)에 고정되어 있는 구루프(5)를 앞 베드의 편침(C, M, W)으로 코옮김을 실행시켜 후술하는 인레이사 지지용 루프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하여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양 니들베드의 편침이 루프를 고정시킨 상태가 된다. 스플릿 편성이라는 것은 구루프(5)를 지지하고 있는 편침을 진출시켜서 새롭게 급사되는 편사를 걸어 끌어 당기어 다음 코스의 루프(7)를 형성할 때에 구루프(5)를 대향하는 편침으로 인도하여 대향하는 전후의 편침에 각각 루프를 고정시키는 것을 말한다. 래치 편침에 의한 스플릿 편성에 관해서는 특공소 62-52063호의 공보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뒷 베드의 편침(c, m, w)으로 코옮김이 실행된 구루프(5)는 원래 1개인 루프가 2개의 루프(5a, 5b)로 분할되고 분할된 한 쪽의 루프(5a)가 앞 베드의 편침(C, M, W)에 고정되고 다른 쪽의 루프(5b)가 새롭게 형성되는 신루프(7)의 이전 코스의 루프(5b)가 된다. 제2캠에서의 편성 과정에 의하여 전후 양 니들베드의 편침에 루프가 고정된 후에 제3캠에서는 전후 양 니들베드의 편침에 고정되어 있는 루프상에 급사구(9)에서 공급하는 인레이사(11)인 셔닐 사를 걸쳐 놓는다. 그리고 제4캠에서는 앞 베드의 편침(C, M, W)에 고정되어 있는 인레이사의 지지용 루프(5a)를 대향하는 뒷 베드의 편침(c, m, w)으로 코옮김을 실행시켜서 루프를 겹치게 함으로써 인레이사(11)가 바탕 조직부의 신루프(7)와 인레이사 지지용 루프(5a)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되어 뒷 베드의 편침(c, m, w)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러고 나서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 편성포의 편성으로 이동한다. 제1캠에서는 앞 베드상의 우측에서부터 홀수번째의 편침(X, V, T···F, D, B)으로 급사구(1)에서 울리 나일론을 급사하여 앞 편성포의 바탕 조직부를 편성한다. 제2캠에서는 급사구(3)에서 앞 베드의 편침(D, F, H, J, N, P, R, T, X)으로 울리 나일론을 급사함과 아울러 편침(B, L, V)에서는 스플릿 편성이 실행됨으로써 앞 베드의 편침(B, L, V)으로 루프(15)를 형성하고 뒷 베드의 편침(b, l, v)에 인레이사의 지지용 루프(13a)를 고정시킨다. 제3캠에서는 급사구(9)에서 공급되는 인레이사(11)인 셔닐 사를 전후의 루프 상에 걸쳐 놓고 제4캠에서는 뒷 베드의 편침(b, l, v)에 고정되어 있는 루프(13a)를 앞 베드의 편침(B, M, L)으로 코옮김을 실행시켜서 바탕 조직부의 루프(15)와 겹치게 함으로써 인레이사(11)가 바탕 조직부의 루프(15)와 인레이사의 지지용 루프(13a)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되어 앞 베드의 편침(B, M, L)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1 및 도2의 편성을 반복 실행함으로써 바탕 조직부의 신루프(7, 15)와 인레이사의 지지용 루프(5a, 13a)가 겹쳐진 루프에 다음 코스의 루프가 형성되어 인레이사(11)와 바탕 조직부는 하나로 결합된다. 상기 편성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는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번의 코스에 한번 인레이사(11)가 삽입된 편성포(도3은 뒷 편성포를 편성포의 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가 된다. 그리고 횡편기로부터 분리되면 울리 나일론으로 편성된 바탕 조직부가 도4와 같이 수축하고 B부분에서 바탕 조직부와 하나로 결합되는 인레이사가 A부분에서 휘어지고 셔닐 사에 의하여 파일(pile) 형태의 루프가 형성된 편성포가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래치에 의하여 편침의 훅이 개폐되는 래치 편침을 사용하는 횡편기에서 편성을 실행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베드의 트릭 갭부(trick gap部)를 중심으로 선두부를 대향하여 설치한 각각의 니들베드의 선두부에 특원평 9-24574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텅(tongue)을 형성한 2장의 탄성판에 의하여 편침 본체의 훅을 자유자재로 접었다 필 수 있도록 협지(挾持)하고 상기 텅에 의하여 훅을 개폐함과 아울러 텅을 사용하여 코옮김이 실행 가능한 슬라이더 편침을 병렬로 구성한 횡편기에 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더 편침에 의하여 편성하는 경우에는 구루프를 지지하는 편침이 니트 위치까지 상승·진출하고 다음에 새로운 편사를 훅을 이용하여 상기 구루프 안쪽으로 끌어 들여 하강·후퇴할 때에 구루프가 슬라이더의 선단을 넘어서 녹오버(knock over)되지 않도록 슬라이더의 선단이 훅을 넘어서 베드의 트릭 갭상으로 상승·진출시킨 위치를 유지하고 슬라이더의 텅에 구루프를 고정하여 구루프 안쪽으로 신루프를 끌어 들인다. 그러고 나서 대향하는 베드의 슬라이더 편침의 훅을 상기 루프를 고정시키고 있는 2장의 텅 사이로 진출시켜서 구루프 안쪽으로 삽입한 다음에 상기 슬라이더를 하강·후퇴시킴과 아울러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편침의 훅을 이용하여 구루프를 끌어 당김으로써 대향하는 양 니들베드의 편침에 신·구루프를 고정시켜서 스플릿 편성을 실행한다. 전술한 편성에서는 구루프 안쪽으로 신루프를 끌어 들여 신루프를 형성할 때 까지의 스플릿 편성의 전반부가 선행하는 캠 시스템에서 실행되고 구루프를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편침으로 코옮김을 실행시키는 스플릿 편성의 후반부가 후행하는 캠 시스템에서 실행된다. 상기 횡편기에는 캐리 지에 레이싱 캠(racing cam)과 그 양측에 설치된 니팅 캠(knitting cam)으로 구성된 편침 승강용 캠 로크(cam lock)의 트릭 갭부에 슬라이더 조작용 캠 로크가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캠 시스템을 병렬로 설치한다. 또한 선행하는 캠 시스템에서 니트 편성을 하기 위하여 트릭 갭부에 진출한 편침 본체의 훅이 편사를 끌어 들여 후퇴하여도 슬라이더 상의 구루프가 녹오버되지 않도록 슬라이더의 텅이 훅을 넘어서는 위치가 유지됨과 아울러 루프를 스플릿 편성하는 위치(코가 옮겨지는 위치)로 진출시키는 슬라이더 버트의 궤도가 서로 이웃하는 편성 로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슬라이더 편침과 슬라이더 편침 조작용 캠로크를 사용한 경우의 편성 코스를 도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5의 제1코스에서는 오른쪽 방향의 화살표로 나타낸 캐리지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최전방에 위치하는 제1캠에서 도시하지 않은 이전 코스까지의 편성에 의하여 전후 양 니들베드의 편침에 고정된 루프상에 앞 편성포의 인레이사를 삽입하고 제2캠에서는 뒷 베드상의 편침에 고정되어 있던 앞 편성포의 인레이사 지지용 루프를 앞 베드의 편침으로 코옮김을 실행하고 제3캠에서는 뒷 편성포의 바탕 조직부를 편성한다. 다음에 제2코스에서는 캐리지를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1캠에서 앞 편성포의 바탕 조직부를 편성한다. 제3코스에서는 캐리지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3캠에서 뒷 편성포의 바탕 조직부의 편성과 뒷 편성포 루프의 스플릿 편성의 전반부(스플릿 편성1)를 실행하고 제4캠에서는 제3캠의 편성에서 형성된 루프가 고정된 편침을 끌어 내려서 스플릿 편성의 후반부(스플릿 편성2)를 실행한다. 제4코스에서는 캐리지를 왼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1캠에서 뒷 편성포 인레이사를 걸쳐 놓고 제2캠에서는 뒷 편성포의 인레이사 지지용 루프를 뒷 베드의 편침으로 코옮김을 실행시키고 제3캠에서는 앞 편성포의 바탕 조직부의 편성과 앞 편성포의 스플릿 편성의 전반부(스플릿 편성1)가 실행되고 제4캠에서는 스플릿 편성의 후반부(스플릿 편성2)가 실행된다. 상기 제1코스 ∼ 제4코스의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편성되는 편성포의 루프도를 도6에 나타낸다. 11이 인레이사이고 5가 바탕 조직부의 루프이고 7이 인레이사 지지용 루프이다. 도6의 루프도와 도3의 루프도의 차이점은 제1실시예는 수취 편침으로 편침의 측면에 설치된 코옮김용 클립 안쪽으로 편침의 훅을 진출시키고 코옮김을 실행하는 래치 편침을 사용하는 데에 비하여 제2실시예는 2장의 탄성판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내에 편침의 훅을 진출시키고 코옮김을 실행하는 슬라이더 편침을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인레이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스플릿 편성을 실행함으로써 원래 1개인 루프(5, 13)를 2개의 루프(5a, 5b, 13a, 13b)로 분할하고 한 쪽 루프(5b, 13b)를 공침(空針)에 새롭게 형성되는 루프(7, 15)를 지지하는 이전 코스의 루프로 하고 다른 루프(5a, 13a)를 대향하는 니들베드상의 편침에 인레이사 지지용 루프로 고정시키며 전후 양 니들베드의 편침에 루프를 걸쳐 놓고 인레이사를 삽입시킨 후 인레이사 지지용 루프를 바탕 조직부의 루프와 겹쳐서 인레이사를 지지한 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인레이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인레이사 지지용 루프를 원래 1개인 루프를 2개의 루프로 스플릿 편성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상의 루프보다도 작은 루프로 형성된다. 따라서 인레이사가 지지되는 인레이사 지지용 루프와 바탕 조직부의 루프 사이의 간격이 좁아 지고 인레이사가 인레이사의 지지용 루프와 바탕 조직부의 루프 사이에 확실하게 파지(把持)되어 인레이사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바탕 조직부를 평편조직으로 편성하고 있지만 바탕 조직부의 편조직은 리브(rib) 편조직과 와이드 리브(wide rib) 편조직 등, 평편 조직이외의 편조직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두 번의 코스 주기로 인레이사를 삽입하고 바탕 조직의 5개의 루프에 대하여 인레이사의 지지용 루프를 1개 형성하지만 인레이사를 삽입하는 주기와 인레이사의 지지용 루프를 형성하는 비율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자루 모양으로 형성된 무봉제의 서포터를 편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편성방법은 자루 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바탕 조직부에 탄성사인 울리 나일론을 사용하고 인레이사로서 비탄성사인 셔닐 사를 사용하여 파일 형태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편성에 사용하는 편사는 전술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인레이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전후의 편침에 고정된 루프상에 인레이사를 걸쳐 놓은 후에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새롭게 형성된 루프와 대향하는 니들베드상으로 코옮김이 실행된 루프를 겹치게 하고 그 겹쳐진 루프에 다음 코스의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인레이사를 지지한다.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형성된 인레이사의 지지용 루프는 원래 1개인 루프를 2개로 분할하고 한 쪽을 인레이사 지지용 루프로 하고 다른 쪽을 스플릿 편성시에 새롭게 형성된 루프를 지지하는 전 코스의 루프로 하기 때문에 인레이사의 지지용 루프가 통상의 루프보다도 작은 루프로 형성됨으로써 바탕 조직부의 루프와 인레이사의 지지용 루프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따라서 인레이사가 인레이사의 지지용 루프와 바탕 조직부의 루프 사이에 확실하게 협지되어 인레이사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바탕 조직부에 탄성사를, 인레이사에 비탄성사를 사용하고 편성시에 탄성사를 확장시킨 상태에서 편성하여 편성 완료시에 바탕 조직부가 수축됨으로써, 인레이사에 의한 파일 형태의 루프가 편성포의 뒷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파일 편성을 위한 특별한 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횡편기에 있어서도 파일편(pile編)에 유사한 질감의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Claims (2)

  1. 좌우로 연장하며 또한 트릭 갭(trick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의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니들베드는 각각 복수의 편침을 구비하고, 상기 니들베드 사이에서 루프의 코옮김이 실행 가능하며 또한 한 쪽 또는 양 쪽의 니들베드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횡편기를 이용하고,
    바탕 조직부와,
    인레이사(inlay絲)로
    구성된 인레이 편성포를 편성하는 편성방법에 있어서,
    바탕 조직부를 편성하는 공정과,
    스플릿 편성에 의하여 제1니들베드상의 편침에 고정된 바탕 조직부의 루프를 대향하는 제2니들베드의 편침에 고정시키고 인레이사 지지용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전후의 양쪽 니들베드의 편침으로 루프를 고정시키는 공정과,
    제1, 제2니들베드의 편침에 고정된 루프상에 인레이사를 걸쳐 놓는 공정과,
    제2니들베드의 편침에 고정되어 있는 인레이사의 지지용 루프를 제1의 니들베드의 편침으로 코옮김이 실행되고 바탕 조직부의 루프와 겹쳐 지는 공정과,
    제1니들베드의 편침에 급사하여 다음 코스의 루프를 형성하는 공정,
    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의 인레이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되는 편성포로서,
    바탕 조직부에 탄성사(彈性薩)를, 인레이사로서 비탄성사(非彈性薩)를 사용하고 편성시에 탄성사를 확장시킨 상태에서 편성함으로써 인레이사를 파일(pile)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레이 편성포.
KR1019990040456A 1998-09-25 1999-09-20 인레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인레이 편성포 KR100554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139098A JP3523501B2 (ja) 1998-09-25 1998-09-25 インレイ編地編成方法およびインレイ編地
JP10-271390 1998-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313A KR20000023313A (ko) 2000-04-25
KR100554199B1 true KR100554199B1 (ko) 2006-02-22

Family

ID=1749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456A KR100554199B1 (ko) 1998-09-25 1999-09-20 인레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인레이 편성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51922A (ko)
EP (1) EP0989219B1 (ko)
JP (1) JP3523501B2 (ko)
KR (1) KR100554199B1 (ko)
DE (1) DE69914844T2 (ko)
TW (1) TW4440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3771B1 (fr) * 2001-04-23 2003-06-13 Terrot Procede de tricotage d'un article ayant au moins localement une structure tramee et un article tricote
JP4353765B2 (ja) * 2003-10-10 2009-10-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突起部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突起部を有する筒状編地。
JP4559053B2 (ja) 2003-10-10 2010-10-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高サポート特性を有するシームレス手袋。
FR2866033B1 (fr) * 2004-02-06 2006-03-10 Marcoux Lafay Sa Tricot elastique et article de contention.
DE102004036344B4 (de) * 2004-07-27 2007-05-24 Bsn-Jobst Gmbh Strickware zum Stützen und/oder Komprimieren und/oder Kompressionsbehandlung von Körperteil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Strickware
JP4503428B2 (ja) * 2004-12-14 2010-07-1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成方法で編成された編地
US7748241B2 (en) 2007-04-25 2010-07-06 Seamless Technologies, Llc Tubular cut pile knit fabric for paint roller covers
US8882957B2 (en) 2007-04-25 2014-11-11 Seamless Technologies, Llc Methods of manufacturing paint roller covers from a tubular fabric sleeve
JP5306997B2 (ja) * 2007-04-27 2013-10-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DE502007005757D1 (de) * 2007-06-15 2011-01-05 Stoll H Gmbh & Co Kg Verfahren zum Einbinden eines Strickfadenfangs und/oder-endes
JP5436279B2 (ja) * 2010-03-15 2014-03-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ならびにデザイン装置
JP5618809B2 (ja) * 2010-12-16 2014-11-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US8839532B2 (en) 2011-03-15 2014-09-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US9060570B2 (en) 2011-03-15 2015-06-23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knitted component
JP5865730B2 (ja) * 2012-02-28 2016-02-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フリンジ付編地の編成方法
FR2995525B1 (fr) * 2012-09-19 2014-10-10 Thuasne Procede de fabrication d'un article tubulaire de compression et article ainsi obtenu.
JP5955197B2 (ja) 2012-10-31 2016-07-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US9498023B2 (en) 2012-11-20 2016-11-22 Nike, Inc. Footwear uppe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sock and tongue portions
TWI585255B (zh) * 2013-04-02 2017-06-01 島精機製作所股份有限公司 編織物之編織方法、及編織物
CN103882617B (zh) * 2014-03-10 2015-08-19 江苏金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由双针床横编机编织织可穿织物的加针编织方法
US9510637B2 (en) 2014-06-16 2016-12-06 Nike, Inc. Article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zonal stretch limiter
US11053614B2 (en) 2015-06-16 2021-07-06 The Boeing Company Single-layer ceramic-based knit fabric for high temperature bulb seals
JP6257565B2 (ja) * 2015-09-09 2018-01-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糸の固定方法
US10337130B2 (en) 2016-02-01 2019-07-02 The Boeing Company Metal alloy knit fabric for high temperature insulating materials
TWI629390B (zh) * 2016-04-19 2018-07-11 艾尼特國際有限公司 嵌有連續線性材料並形成曲狀的雙面針織物
US9644291B1 (en) 2016-04-25 2017-05-09 Aknit International Ltd. Double-sided fabric embedded with continuous linear material and formed as curved form
ES2881052T3 (es) 2016-04-27 2021-11-26 Aknit Int Ltd Método para tejer una tela de doble cara integrada con material lineal continuo y con forma curvada
US9637846B1 (en) 2016-06-09 2017-05-02 Aknit International Ltd. Double-sided fabric stacked with continuous linear material in predetermined knitting section
ES2902793T3 (es) 2016-06-10 2022-03-29 Aknit Int Ltd Tejido de doble cara apilado con material lineal continuo en una sección de tricotaje predeterminada
US10753018B2 (en) * 2016-06-28 2020-08-25 Aknit International Ltd. Double-sided fabric and method for knitting double-sided fabric
DE102016112585B4 (de) * 2016-07-08 2019-10-24 H. Stoll Ag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tricks mit Stehfaden
WO2018173094A1 (ja) * 2017-03-20 2018-09-27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のアッパー
JP6635988B2 (ja) * 2017-08-01 2020-01-2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US10743608B2 (en) 2017-12-28 2020-08-18 Under Armour, Inc. Fiber reinforced plate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methods of making
EP3572570B1 (de) 2018-05-23 2022-05-18 BSN-Jobst GmbH Kompressionsartikel
CN110872738B (zh) * 2018-08-31 2021-12-28 贝卡特德思丽创新有限公司 针织方法
US11414796B2 (en) 2018-12-10 2022-08-16 Nike, Inc. Knitted component with vertical inla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A3136506A1 (en) * 2019-04-12 2020-10-15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Method to produce a double-layer knitted fabric
CN110565245B (zh) * 2019-07-30 2021-04-02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一种针织锁口无痕编织方式
CN111549430B (zh) * 2020-04-01 2021-09-03 山东舒朗服装服饰股份有限公司 一种仿梭织面料加装饰性浮线组织的编织方法
CN111549431B (zh) * 2020-04-30 2021-05-18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无浮线镂空组织的编织方法
CN112195555B (zh) * 2020-10-26 2022-04-01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一种网状纹路针织物及其加工方法、应用
JP2024034121A (ja) 2022-08-31 2024-03-1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480A (en) * 1902-10-24 1905-02-14 Albin Benndorf Straight-knitting machine.
US2069819A (en) * 1934-02-27 1937-02-09 Firm Edouard Dubied & Cie Stitched fabric
DE908057C (de) * 1943-06-04 1954-04-01 Max Nebel Maschenwar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GB2233989B (en) * 1989-07-11 1993-12-01 Courtaulds Plc Structured knitted fabrics
FR2719606B1 (fr) * 1994-05-05 1996-07-19 Protecma Procédé pour la réalisation d'un article tricoté et nouveau type de tricot ainsi réalis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89219A2 (en) 2000-03-29
DE69914844T2 (de) 2004-07-08
KR20000023313A (ko) 2000-04-25
US6151922A (en) 2000-11-28
EP0989219B1 (en) 2004-02-18
EP0989219A3 (en) 2000-11-29
JP2000096398A (ja) 2000-04-04
JP3523501B2 (ja) 2004-04-26
TW444075B (en) 2001-07-01
DE69914844D1 (de) 200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199B1 (ko) 인레이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인레이 편성포
US4019350A (en) Method of producing double-knit fabric having additional fleece threads incorporated into one face or both faces thereof
US6047569A (en) Method for holding a stitch loop
EP1731647B1 (en) Pile knitting method by weft knitting machine
KR20140029166A (ko) 파일편성방법, 파일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편성포
JPH07258945A (ja) 横編機
US5016450A (en) Knit fabric with inlay pile yarn and method
EP2180093B1 (en) Cylindrical fabric knitting method
US4043151A (en) Method of producing pile or plush goods on double-bed circular knitting machines by means of plush hooks
JP2694495B2 (ja) インターシヤジヤカード編地を成形編成する方法
US6178782B1 (en) Stitch loop retaining method by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EP0867547B1 (en) A method of knitting tubular fabrics
JP2573101B2 (ja) ニット製品におけるボタンホールの編成方法
EP0638678A1 (en) A method for increasing stitches at an intermediate position in a row of stitches of a rib knit fabric
JP3870332B2 (ja) 編機上で編目を移す方法及び装置
US5174134A (en) Knitting method of thick fabric less in elasticity
JPS6252063B2 (ko)
JPS62289657A (ja) ジヤカ−ド両面パイル経編地の編成方法
GB2012828A (en) Run-Resistant Pile Loop Knitted Fabric, Method and Crochet Galloon Machine for its production.
US1982257A (en) Knitting machine and method for making open-work fabric
GB2121841A (en) A knitted sandwich trimming with selvedge edge
SU1622450A1 (ru) Способ в зани трикотажа на двухфонтурной плосков зальной машине
JPH04214451A (ja) 高密度両面立毛パイル経編地の製法
SU1392161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трикотажа дл ворсовани
JPH05287649A (ja) ウエルト糸の編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