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200B1 - 횡편기에 의한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 - Google Patents

횡편기에 의한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200B1
KR100554200B1 KR1020000005887A KR20000005887A KR100554200B1 KR 100554200 B1 KR100554200 B1 KR 100554200B1 KR 1020000005887 A KR1020000005887 A KR 1020000005887A KR 20000005887 A KR20000005887 A KR 20000005887A KR 100554200 B1 KR100554200 B1 KR 100554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needle
stitch
stitch loop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6627A (ko
Inventor
다케다고지
에카와도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00076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8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stitch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 줄임 편성 등과 같이 편성포를 편성함에 있어서, 스티치 루프를 코이동시킬 때에 바늘과 더블 스티치를 결합시키지 않으면서 편성포를 편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베드의 복합침의 텅에 스티치 루프를 걸어 놓는 스텝, 제2베드의 스티치 루프 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를 제1베드의 복합침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로 인도하는 스텝, 제1베드의 복합침의 훅을 이동 위치에 있는 제2베드의 편성 부재의 스티치 루프 안으로 진입시키는 스텝, 제2베드의 편성 부재를 후퇴시켜서 제2베드의 스티치 루프를 제1베드의 복합침과 결합시키는 스텝, 제1베드의 복합침을 후퇴시키고 제1베드의 복합침의 슬라이더의 텅 상에 걸어 놓은 상기 스티치 루프를 녹 오버시킴으로써 상기 스티치 루프를 제1베드의 복합침으로 이동된 스티치 루프와 결합시키는 스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횡편기에 의한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A STITCH LOOP RETAINING METHOD BY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도1은 본 발명의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에 사용되는 복합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복합침이 장착된 니들 베드의 종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캐리지의 하면에 설치된 편성용 캠 로크에서 제1실시예의 스텝3을 편성할 때에 뒷 베드의 바늘(o)의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의 버트의 통과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
도4는 제1실시예에 의한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의 편성 스텝을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도3에 있어서의 위상① ∼ ④에서의 뒷 베드의 바늘(o)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도3에 있어서의 위상⑤ ∼ ⑧에서의 뒷 베드의 바늘(o)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7은 제1실시예의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편성포의 루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제2실시예에 의한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의 편성 스텝을 나타내는 도면,
도9는 제3실시예에 의한 내부의 폭 줄임 편성의 편성 스텝을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제3실시예의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편성포의 루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제4실시예에 의한 편성포간의 접합 편성 스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복합침 3 : 니들 베드
5 : 바늘홈 10 : 바늘 본체
11 : 훅(hook) 12 : 블레이드 수용홈
13 : 결합부 14 : 선단부
15 : 잭(jack) 16 : 바늘 본체용 제어 버트
20 : 슬라이더(slider) 22a, 22b : 블레이드(blade)
23a, 23b : 텅(tongue) 25 : 슬라이더 본체
26 : 슬라이더용 제어 버트 31 : 셀렉트 잭(select jack)
32 : 금속판 33 : 셀렉트용 제어 버트
41, 42 : 편성용 캠 로크 44 : 슬라이더 진퇴 구동 캠
45 : 바늘 본체 진퇴 구동 캠 46 : 프레서부(presser部)
51 : 스티치 캠(stitch cam) 52 : 바늘 본체 상승 캠
53 : 수신 캠
54 : 슬라이더 바이패스 경로(slider bypass 經路)
55 : 브릿지 캠(bridge cam) 63, 64 : 급사구
본 발명은, 선단에 훅을 구비한 바늘 본체와, 2장의 블레이드를 겹쳐서 형성된 텅을 구비한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가 개별적으로 전후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합침이 베드에 설치된 횡편기를 이용하는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단에 훅을 구비한 바늘 본체와, 2장의 블레이드를 겹쳐서 형성된 텅을 구비한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가 개별적으로 전후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합침은 본 출원인의 특원평10-109675호, 발명의 명칭 「횡편기의 복합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의 복합침으로는 바늘 본체의 동작에 대하여 슬라이더의 동작을 세밀하게 제어함으로써 래치 편침이나 종래의 복합침으로는 불가능한 새로운 편성을 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런 종류의 복합침에 의한 새로운 편성 기술로서 특원평10-187892호, 발명의 명칭「스티치 루프의 형성 방법 및 이 스티치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특원평10-111842호, 발명의 명칭 「스티치 루프의 예치 방법」을 제안하였다.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스티치 루프가 코이동된다. 이 스티치 루프의 코이동은 편성포의 편성폭을 줄이거나 또는 메시(mesh) 무늬 등과 같은 조직 무늬를 편성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기술이다. 이런 코이동은 전술한 경우 이외에도 앞뒤 베드 상에서 대향한 상태로 편성되는 편성포끼리 접합하는 경우 등에도 이용된다. 예를 들면 편성포의 편성폭을 줄이기 위하여 편성포의 측단의 스티치 루프를 안쪽의 스티치 루프로 이동시켜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를 형성함으로써 편성 폭을 웨일(wale) 하나만큼 줄일 수 있다. 그 다음의 스티치 루프에 대하여 상기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편성폭을 서서히 줄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티치 루프간에 형성된 더블 스티치는 상기 편성포간의 접합 편성 또는 메시 편성의 경우에도 형성된다.
상기한 코이동의 편성 과정에서 형성되는 더블 스티치는 스티치 루프를 이동시키는 측의 바늘로부터 원래의 스티치 루프가 결합된 상태인 수신측 바늘로 스티치 루프를 이동시킬 때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수신측 바늘의 훅 상에 2개의 스티치 루프가 결합되는 것이다. 바늘의 훅에 2개의 스티치 루프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그 다음의 편성 동작을 실행하는 것은 1개의 스티치 루프만이 훅과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편성 조건이 나빠지게 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높은 편환 밀도를 갖는 촘촘한 스티치 루프를 형성하는 경우나 굵은 편사를 사용하여 편성하는 경우에 현저하게 나타나고, 편성포에 미치는 영향, 예를 들면 봉사 절단이나 코빠짐 등과 바늘 자체에 미치는 영향, 예를 들면 파인 게이지(fine gauge) 장치인 경우에 슬라이더의 강성 문제 등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리브 편성포의 폭 줄임 편성의 경우 등에서는 코이동의 과정에 있어서 1개의 바늘의 훅에 3개의 스티치 루프가 더블 스티치로 결합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편성 조건을 더욱 악화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폭 줄임 편성 등의 편성포 편성에 있어서 스티치 루프를 코이동시킬 때에 바늘과 더블 스티치를 결합시키지 않으면서 편성포를 편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단에 훅을 구비한 바늘 본체와 2장의 블레이드를 겹쳐서 형성한 텅이 구비된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가 개별적으로 전후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합침이 나란히 설치된 적어 도 하나의 제1베드와, 상기 복합침과의 사이에서 스티치 루프를 이동시킬 수 있는 편성 부재를 나란히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베드가 설치된 횡편기를 이용하여 제2베드의 편성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66, 86, 98, 106)를 스티치 루프(65, 85, 97, 105)와 결합되어 있는 제1베드의 복합침으로 이동시킬 때에 제1베드의 복합침과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65, 85, 97, 105)를 바늘로부터 녹 오버시켜서 제2베드의 편성 부재로부터 제1베드의 복합침으로 이동된 스티치 루프(66, 86, 98, 106)와 결합시키는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에 있어서, 이하의 특징을 포함한다;
a) 제1베드에서 복합침의 슬라이더의 텅 상에 스티치 루프(65, 85, 97, 105)를 걸어 놓는 스텝,
b) 제2베드의 편성 부재를 조작하여 이 스티치 루프 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66, 86, 98, 106)를 대향하는 제1베드의 복합침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로 인도하는 스텝,
c) 제1베드의 복합침의 슬라이더의 텅 상에 스티치 루프(65, 85, 97, 105)를 걸어 놓은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제1베드의 복합침의 바늘 본체의 훅을 대향하는 제2베드의 편성 부재와 결합되어 이동 위치에 있는 스티치 루프(66, 86, 98, 106) 안으로 진입시키는 스텝,
d) 제2베드의 편성 부재를 후퇴시켜서 이 편성 부재와 결합되어 있던 스티치 루프(66, 86, 98, 106)를 제1베드의 복합침의 훅과 결합시키는 스텝,
e) 제1베드의 복합침의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를 후퇴시키고 제1베드의 복합침의 슬라이더의 텅 상에 걸어 놓은 상기 스티치 루프(65, 85, 97, 105)가 텅의 선단 및 훅을 넘어 녹 오버됨으로써 상기 스티치 루프(65, 85, 97, 105)를 제1베드의 복합침으로 이동된 스티치 루프(66, 86, 98, 106)와 결합시키는 스텝으로 실행하도록 한다. 따라서 복합침에 2개의 스티치 루프를 결합시키지 않으면서 더블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베드의 복합침에는 제2베드의 편성부재로부터 이동된 스티치 루프만이 그 훅과 결합되게 되고, 슬라이더의 텅 상에 홀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는 녹 오버되어 이전 코스의 스티치 루프로 더블 스티치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제1베드에 나란히 설치된 복합침과 같은 종류의 복합침이 상기 제2베드에 나란히 설치된 횡편기가 이용된다. 따라서 스티치 루프는 한 쪽의 베드의 복합침에서 다른 쪽의 베드의 복합침으로 직접 이동된다.
상기 제2베드에는 트랜스퍼 잭이 나란히 설치된 횡편기가 이용된다. 따라서 스티치 루프는 트랜스퍼 잭에서 다른 쪽의 베드의 복합침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스텝a에서 제1베드의 복합침의 슬라이더의 텅 상에 스티치 루프를 걸어 놓는 스텝은, 상기 훅과 스티치 루프가 결합되어 있는 복합침의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를 진출시켜서 상기 훅과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를 슬라이더의 텅 상에 걸어 놓을 수 있게 한 후에 바늘 본체만을 후퇴시켜서 스티치 루프를 슬라이더의 텅 상에 걸어 놓도록 한다. 따 라서 동일한 복합침에 있어서 스티치 루프가 바늘 본체의 훅으로부터 슬라이더의 텅 상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스텝a에서 제1베드의 복합침의 슬라이더의 텅 상에 스티치 루프를 걸어 놓는 스텝은, 스티치 루프와 결합되어 있는 제2베드의 편성 부재를 스티치 루프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로 인도하고, 이것과 대향하는 제1베드의 복합침의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를 함께 전진시켜서 그 훅과 텅을 함께 상기 제2베드의 편성 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 안으로 진입시킨 후에 제2베드의 편성 부재를 후퇴시키고, 상기 스티치 루프를 제1베드의 복합침의 텅 상에 걸어 놓도록 한다. 따라서 제2베드의 복합침 또는 트랜스퍼 잭과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가 제1베드의 복합침의 슬라이더의 텅 상으로 이동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인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1은 복합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2는 상기 복합침이 장착된 니들 베드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3은 캐리지의 하면에 설치된 편성용 캠 로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후에 한 쌍의 베드를 대향하여 설치한 이른바 2 베드 횡편기에 의한 것임을 나타낸다. 횡편기의 전후 각각의 니들 베드에는 선단에 훅을 구비한 바늘 본체와, 2장의 블레이드를 겹쳐서 구성된 텅을 구비한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있고, 베드 상을 왕복 주행하는 캐리지의 하면에 설치된 바늘 조작 캠을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에 형성된 제어 버트와 캠 결합시킴으로써 슬라이더와 바늘 본체가 개별적으로 자유롭게 진퇴 구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합침(1)의 바늘 본체(10)는 선단측에 훅(11)을 구비하고, 훅(11)보다도 후방측인 바늘 본체(10)측에 슬라이더(20)를 수용하며 슬라이더(20)가 바늘 본체(1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자유롭게 진퇴 구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20)를 지지하는 블레이드 수용홈(12)을 구비한다. 슬라이더(20)는 동일 형상의 2장의 블레이드(22a, 22b)가 겹쳐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바늘 본체 (10)에 형성된 블레이드 수용홈(12)에 수납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에는 상기 바늘 본체의 훅(11)을 넘는 위치까지 진출시킬 수 있는 텅(23a, 23b)이 형성되어 있다. 25는 연결 부분에서 블레이드(22)를 고정시키는 슬라이더 본체부이며, 바늘 본체(10)와 함께 니들 베드(3)에 형성된 바늘홈(5)에 수용되어 있다. 슬라이더 본체부(25)는 대략 바늘 본체(10)와 같은 두께를 구비하며 그 후방에는 니들 베드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제어 버트(26)가 형성되어 있다. 15는 잭이고, 바늘 본체의 후방측에 형성된 결합부(13)와 그 선단부(14)를 결합하여 바늘 본체와 일체가 된다. 16은 잭에 형성된 제어 버트이며, 32는 복합침이 니들 베드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금속 판을 나타낸다.
니들 베드 상을 주행하는 캐리지에는 선행과 후행의 2개의 편성용 캠 로크(41, 4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 제어 버트(16, 26)와 캠 결합하여 바늘 본체(10)와 슬라이더(20)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갭부(gap部)에 대한 진출양을 제어하고 니트(knit), 턱(tuck), 미스(miss)의 스티치 루프 형성 및 앞뒤 베드사이에서 스티치 루프를 서로 이동시킬 수 있는 복합 캠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44는 슬라이더 버트(26)의 진퇴 구동을 제어하는 슬라이더 진퇴 구동 캠, 45는 바늘 본체 버트(16)의 진퇴 구동을 제어하는 바늘 본체 진퇴 구동 캠, 46은 잭(15)의 후방측 상방에 배치된 셀렉트 잭(31)의 상면에 돌출된 버트(33)에 선택적으로 힘을 가하는 프레서부를 나타낸다. 51은 스티치 캠, 52는 바늘 본체 상승 캠, 53은 수신 캠을 나타낸다.
선행과 후행의 캠 로크(41, 42)의 사이에는 슬라이더의 바이패스 경로(54)가 형성되어 있고, 선행의 캠 로크(41)에서는 훅(11)으로 스티치 루프를 유지하는 복합침(1)의 바늘 본체(10)를 니트 위치까지 진출시킨 후에 급사하지 않고 바늘 본체(10)를 후퇴시킨다. 이 때에 스티치 루프가 슬라이더(20)의 텅(23a, 23b)의 선단으로부터 녹 오버(knock over)되지 않도록 슬라이더(20)의 버트(26)를 상기 슬라이더의 바이패스 경로(54)로 통과시키고 후속하는 편성 로크로 유도시킴으로써 훅(11)과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를 슬라이더(20)의 텅(23) 상에 걸어 놓은(홀딩(holding))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더의 바이패스 경로(54)가 형성된 횡편기가 본 출원인의 특원평9-202462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횡편기를 이용한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편성을 도4에 나타낸다. 도면에서 FB는 앞 베드, BB는 뒷 베드를 나타내고, 알파벳(a ∼ o)은 각 베드에 장착된 바늘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 베드의 바늘(a ∼ o)을 사용하여 편성하는 편성포의 우측단의 바늘(o)과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65)를 인접해 있는 바늘(n)과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66)와 결합시키는 예를 나타낸다.
우선 스텝1에 있어서, 선행과 후행의 각각의 캠 로크(41, 42)에서는 스티치 루프 코스(71, 72)를 각각 형성한다. 63, 64는 급사구를 나타낸다. 다음의 스텝2에서는 선행의 캠 로크(41)에서 우측단의 스티치 루프(65)를 뒷 베드의 바늘(o)로 코이동시킨다.
다음에 스텝3에서는 뒷 베드를 좌측으로 래킹시켜 스티치 루프(65)를 스티치 루프(66)와 대향하도록 위치시킨 후에 선행의 캠 로크(41)에서 스티치 루프(65)와 결합되어 있는 뒷 베드의 바늘(o)을 조작하여 이 바늘(o)의 슬라이더의 버트(26)를 바이패스 경로(54)로 통과시키고, 훅(11)과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65)를 슬라이더(20)의 텅(23) 상에 걸어 놓는 홀딩 상태를 유지하면서 후행의 캠 로크(42)로 유도한다. 그리고 후행의 캠 로크(42)에서는 앞 베드의 바늘(n)과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66)를 대향하는 스티치 루프(65)와 결합되어 있는 바늘(o)로 코이동시켜서 스티치 루프(65)와 스티치 루프(66)를 결합시킨다.
상기 스텝3에 의한 편성에 대하여 도3, 도4, 도5, 도6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에는 뒷 베드의 바늘(o)의 바늘 본체(10)와 슬라이더(20)에 형성된 버트(16, 26)의 통과 궤적을 나타내고, 도5와 도6에는 도3에 나타낸 각 위상① ∼ ⑧에서의 앞 베드의 바늘(n)과 바늘(n)에 대향하는 뒷 베드의 바늘(o)의 동작을 나타낸다.
우선 초기 위치(위상①)의 상태로부터 우선 잭 버트(16)가 상승 캠 (52)의 상승 캠면을 따라서 캠 등성이 위치까지 상승됨으로써 뒷 베드의 바늘(o)의 바늘 본체(10)와 슬라이더(20)가 갭부를 향하여 진출된다(위상②). 이 위치에서는 뒷 베드의 바늘(o)의 슬라이더 버트(26)가 낮은 높이의 슬라이더 캠(44a)의 뒷 가장자리와 접하게 되고, 슬라이더의 텅(23)이 바늘 본체(10)에 형성된 블레이드 수용홈(12)으로 투입되어 바늘 본체(10)와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65)가 슬라이더의 텅(23)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잭 버트(16)는 상승 캠(52)의 상승 캠면을 따라서 더욱 그 정상부까지 상승하고(위상③), 그 동안에 슬라이더 버트(26)는 중간 높이의 슬라이더 가이드 캠(44b)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전진된다. 이 위치에서 바늘 (o)의 슬라이더 텅(23)이 바늘 본체(10)와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65)를 통과하는 상태가 된다.
그 다음으로 바늘(o)의 잭 버트(16)는 상승 캠(52)의 정상부를 통과한 후에는 브릿지 캠(55)에 의하여 캠 등성이의 높이까지 하강하고 후속하는 스티치 캠(51)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후퇴된다. 한편 슬라이더(20)는 그 버트(26)를 바이패스 경로(54)로 통과시키고, 훅(11)과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65)를 슬라이더의 텅(23) 상에 걸어 놓는 홀딩 상태를 유지하면서 후행의 캠 로크(42)로 인도된다(위상④).
후행의 캠 로크(42)에서 스티치 루프(66)와 결합되어 있는 앞 베드의 바늘(n)이 스티치 루프(66)를 뒷 베드의 바늘(o)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진퇴 조작이 이루어진다(캠도는 도시하지 않음). 위상⑤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트랜스퍼 캠에 의하여 바늘(n)의 슬라이더(20)는 스티치 루프(66)를 이동시키는 위치까지 진출된다. 그 동안에도 뒷 베드의 바늘(o)은 여전히 홀딩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위상⑥에서 바늘(o)은 수신 캠(53)에 의하여 스티치 루프를 수용하는 위치로 진출하여 이동 위치에 있는 바늘(n)의 스티치 루프(66) 안쪽으로 그 훅(11)을 진입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스티치 루프(66)와 결합되어 있던 바늘(n)이 후퇴하고 스티치 루프(66)는 스티치 루프(65)와 결합되어 있는 바늘(o)의 훅과 결합된다(위상⑦). 상기 코이동 조작 과정 내내 스티치 루프(65)는 바늘(o)의 슬라이더 상에 홀딩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의 후속하는 스티치 캠(51)에 의하여 스티치 루프(66)와 결합한 바늘(o)의 바늘 본체(10)는 후퇴하고 슬라이더(20)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훅 (11)이 닫혀 진다. 그리고 바늘(o)의 바늘 본체(10)와 슬라이더(20)를 함께 후퇴시켜서 홀딩 상태에 있는 스티치 루프(65)를 텅(23) 상으로부터 훅(11)을 넘어서 녹 오버시키고 스티치 루프(66)와 결합시킨다(위상⑧).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함으로써 바늘 상에 2개의 스티치 루프를 결합시키지 않으면서 더블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스텝4에서는 전단계인 스텝3과 동일한 과정으로 처리하고 바늘(o)을 조작하여 스티치 루프(66)를 슬라이더(20)의 텅(23) 상에 홀딩시킨 다음에 후행의 캠 로크(42)에서 앞 베드의 바늘(m)과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67)를 대향하는 스티치 루프(66)와 결합되어 있는 바늘(o)로 코이동시켜서 스티치 루프(66)와 스티치 루프(67)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편성을 다음의 스티치 루프(68, 69…)에 대하여 반복하여 실행하면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치 루프 코스(72)가 좌측을 향하여 차례로 코빼기 처리된다. 또한 편성 도중에 뒷 베드의 래킹양이 부족할 경우에는 일단 되돌리고 나서 다시 편성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캐리지에 슬라이더의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하는 것 외에 후속하는 2개의 캠 시스템(41, 42)을 사용하여 선행의 캠 로크(41)에서는 니트 작업, 후행의 캠 로크(42)에서는 코이동 작업의 각각에 약간의 변화를 줌으로써 본 발명인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방법은 마찬가지로 1개의 편성 캠 로크만을 구비한 싱글 캠 시스템에서도 실시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후속하는 캠 로크는 다음 코스의 캠 로크(즉, 동일한 캠 로크)를 의미하며 캠 로크의 양단에는 캐리지가 통과한 후에도 슬라이더가 홀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캐리지가 반전한 후에 캠 로크로 인도되어 슬라이더의 버트가 캠 로크 안으로 인도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제2실시예)
다음에 훅과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를 슬라이더의 텅 상에 걸어 놓기 위한 다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것은 스티치 루프를 바늘에서 바늘로 이동시킬 때에, 또는 트랜스퍼 잭에서 바늘로 이동시킬 때에 스티치 루프와 결합되어 있는 바늘 또는 트랜스퍼 잭을 코이동 위치로 인도하고 이것에 대향하는 베드의 바늘의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를 함께 전진시키고, 그 훅과 텅을 함께 상기 스티치 루프 안으로 진입시킨 후에 스티치 루프와 결합하고 있던 바늘 또는 트랜스퍼 잭을 후퇴시키고 상기 스티치 루프를 상기 복합침의 텅 상에 걸어 놓도록 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의 특원평10-111842호, 발명의 명칭 「스티치 루프의 예치 방법」과 특원평10-132922호, 발명의 명칭 「횡편기에서 스티치 루프의 예치 방법」에는 상기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이 방법의 경우에는 홀딩 캠과 트랜스퍼 잭 버트가 설치되어 있는 횡편기가 이용된다.
도8에 상기 방법에 의한 편성 스텝을 나타낸다. 도면은 트랜스퍼 잭을 사용하지 않고 바늘로부터 대향하는 바늘의 슬라이더의 텅에 스티치 루프를 직접 홀딩시키는 예로서 싱글 캠 시스템의 경우를 나타낸다.
스텝1에서 스티치 루프의 코스가 형성된다. 스텝2에서는 앞 베드의 바늘(o)과 결합되어 있는 우측단의 스티치 루프(85)를 뒷 베드의 바늘(o)의 슬라이더의 텅 상에 홀딩시킨다. 이 홀딩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음의 스텝3에서 뒷 베드를 좌측으로 래킹하여 스티치 루프(85)와 스티치 루프 (86)를 대향시키고, 스티치 루프(86)와 결합되어 있는 바늘(n)을 코이동 위치로 인도하고 스티치 루프(86)에 대향하는 스티치 루프(85)와 결합되어 있는 바늘(o)이 스티치 루프(86)를 수용한다. 이 스텝3에서의 처리 과정은 제1실시예의 스텝3에서 후행의 캠 로크에서의 처리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다음으로 스텝4에서는 스티치 루프(86)를 앞 베드의 원래의 바늘(n)로 다시 이동시킨 다음에 스텝5에서 뒷 베드의 바늘(n)의 슬라이더의 텅에 홀딩시킨다. 그리고 스텝6에서 뒷 베드를 좌측으로 래킹시켜서 스티치 루프(86)와 스티치 루프(87)를 대향시키고, 스티치 루프(87)를 대향하는 스티치 루프(86)와 결합되어 있는 바늘(n)로 이동시켜서 스티치 루프(86)와 스티치 루프(87)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편성을 다음의 스티치 루프(88, 89 …)에 대하여 반복하여 실행함으로써 도7에 나타낸 제1실시예의 편성에 의한 것과 같은 스티치 루프 구조의 편성포를 얻을 수 있다.
트랜스퍼 잭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티치 루프(85)를 일단 앞 베드의 바늘(o)로부터 트랜스퍼 잭(도시 생략)에 걸어 놓은 후에 이 트랜스퍼 잭으로부터 뒷 베드의 바늘(o)의 슬라이더의 텅 상으로 스티치 루프를 홀딩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며, 이 경우에는 바늘에서 바늘로 직접 실행되는 경 우에 비하여 복합침의 캠 로크(41, 42)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인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을 응용한 편성포의 편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9는 본 발명의 방법을 편성포 내부의 폭 줄임에 적용시킨 예를 나타내는 편성도이고, 도10은 그 루프 구조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2개의 캠 로크를 구비한 캐리지에 의하여 2코스의 스티치 루프 코스가 형성될 때마다 편성포의 측단의 3개의 스티치 루프가 편성포 내측을 향하여 한 바늘만큼 이동된다.
우선 스텝1에서 앞 베드의 바늘(a ∼ o)과 결합하여 스티치 루프의 코스(91, 92)를 형성한 다음에 스텝2에서는 선행의 캠 로크에서 앞 베드의 바늘(n, o)과 결합되어 있는 측단의 2개의 스티치 루프(95, 96)를 뒷 베드의 바늘(n, o)로 코이동시키고, 후속하는 후행의 캠 로크에 있어서 측단으로부터 3번째의 웨일인 스티치 루프(97)를 뒷 베드의 바늘(m)의 슬라이더의 텅 상에 홀딩시킨다.
스텝3에서는 뒷 베드를 한 바늘만큼 좌측으로 래킹시키고 선행의 캠 로크에서 앞 베드의 바늘(1)과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98)를 뒷 베드의 텅 상에 스티치 루프(97)가 홀딩되어 있는 바늘(m)로 코이동시켜서 스티치 루프(97)와 스티치 루프(98)를 결합시키고, 이 스티치 루프(98)와 결합되는 이전 코스의 스티치 루프(100)로 더블 스티치를 형성한다. 그리고 후행의 캠 로크에서 뒷 베드의 바늘(l, m, n)과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 (98, 96, 95)를 앞 베드의 바늘(l, m, n)로 다시 이동시켜 1회의 처리 과정을 종료한다. 그리고 전술한 스텝과 동일한 스텝을 반복함으로써 편성 폭을 줄여간다.
상기 내부의 폭 줄임 방법의 경우에서도 코이동에 의하여 형성되는 더블 스티치는 바늘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형성됨으로써 훅에는 항상 스티치 루프가 하나만 결합되게 된다. 더블 스티치를 훅에 형성하지 않으면서 편성 폭을 줄일 수 있으므로 편성포의 편성이 매우 원활해진다. 또한 폭 줄임 편성시에 3개의 스티치 루프가 하나의 바늘과 결합되도록 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어떤 스티치 루프를 바늘로부터 이탈시켜서 이전 코스의 스티치 루프와 겹치도록 하여 바늘과 결합되는 스티치 루프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편성 조건을 개선시킬 수도 있다.
(제4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인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을 편성포간의 접합 편성에 적용시키는 예를 설명한다. 이하에 앞 몸통부를 어깨 부분부터 편성하기 시작하여 소매 부분에서 편성을 종료하는, 즉 리버스(reverce) 편성으로 편성하는 도중에 편성되는 포켓 부분의 편성포를 앞 몸통부에 접합시켜서 꿰매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11은 그 편성 스텝을 나타낸다.
스텝S에서는 각 베드에서의 각 스티치 루프가 바늘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앞 몸통부(101)의 스티치 루프는 앞 베드의 바늘(a ∼ o)과 결합되어 있고 포켓 부분(103)의 스티치 루프군(105)은 뒷 베드의 바늘(f ∼ k) 과 결합되어 있다. 스텝1에서는 뒷 베드의 바늘과 결합되어 있는 포켓 부분(103)의 스티치 루프군(105)을 각 바늘의 슬라이더의 텅 상에 홀딩시킨다. 다음의 스텝2에서는 슬라이더의 텅 상에 포켓 부분(103)의 스티치 루프군(105)이 홀딩된 바늘(f ∼ k)에 대향하는 앞 베드의 바늘(f ∼ k)과 결합되어 있는 앞 몸통부(101)의 스티치 루프군(106)을 코이동시켜서 포켓 부분 (103)의 스티치 루프군(105)과 앞 몸통부(101)의 스티치 루프군(106)을 결합시킴으로써 앞 몸통부(101)의 이전 코스의 스티치 루프군(도시 생략)과 포켓 부분(103)의 스티치 루프군(105)으로 더블 스티치를 형성한다. 스텝3에서는 뒷 베드의 바늘(f ∼ k)로 이동된 앞 몸통부(101)의 스.티치 루프군(106)을 앞 베드의 원래의 바늘(f ∼ k)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바늘의 훅에 더블 스티치를 결합시키지 않으면서 포켓 부분(103)의 최종 코스는 앞 몸통부 (101)와 접합된다. 그리고 다음으로 스텝4의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포켓 부분(103)과 앞 몸통부(101)가 접합된 이후의 앞 몸통부(101)의 코스 편성을 실행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앞뒤로 한 쌍이 대향하여 설치된 베드 상에 각각 복합침이 나란히 설치된 2베드 횡편기를 이용한 경우를 주로 설명하였지만, 사용하는 횡편기는 2베드 횡편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2장의 베드 중 하나 또는 쌍방의 베드의 상부에 트랜스퍼 잭이 나란히 설치된 트랜스퍼 잭 베드를 구비한 횡편기를 사용함으로써 트랜스퍼 잭을 통하여 스티치 루프가 이동되도록 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상기 2베드 횡편기의 각 베드의 상부에 다른 한 쌍의 복합침이 나란히 설치된 4베드 횡편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하는 2개의 캠 로크를 사용하여 그 선행의 캠 로크에서 스티치 루프를 홀딩시키고 후속하는 후행의 캠 로크에서 코이동 조작을 실행하도록 하였지만, 하나의 캠 로크안에서 상기 홀딩과 코이동의 양방의 과정을 처리하도록 캠 로크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복합침의 각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의 진퇴 구동은 캐리지에 설치된 캠에 의하지 않고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등의 구동기와 이들을 연결하여 구동하여도 무방하다는 등과 같이 본 발명인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은 다양한 편성포의 편성에 적절히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에서는 폭 줄임 편성 등과 같이 편성포를 편성함에 있어서 코이동시에 형성되는 더블 스티치가 바늘에서 제거된 때에 형성된다. 따라서 바늘의 훅에 더블 스티치를 결합시키지 않으므로, 예를 들면 파인 게이지 장치로 높은 편환 밀도를 갖는 스티치 루프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봉사 절단과 슬라이더의 강성 등의 문제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선단에 훅을 구비한 바늘 본체와 2장의 블레이드를 겹쳐서 형성한 텅이 구비된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가 개별적으로 전후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합침이 나란히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베드와, 상기 복합침과의 사이에서 스티치 루프를 이동시킬 수 있는 편성 부재를 나란히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베드가 설치된 횡편기를 이용하여 제2베드의 편성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66, 86, 98, 106)를 스티치 루프(65, 85, 97, 105)와 결합되어 있는 제1베드의 복합침으로 이동시킬 때에 제1베드의 복합침과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65, 85, 97, 105)를 바늘로부터 녹 오버시켜서 제2베드의 편성 부재로부터 제1베드의 복합침으로 이동된 스티치 루프(66, 86, 98, 106)와 결합시키는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에 있어서,
    a) 제1베드에서 복합침의 슬라이더의 텅 상에 스티치 루프(65, 85, 97, 105)를 걸어 놓는 스텝과,
    b) 제2베드의 편성 부재를 조작하여 이 스티치 루프 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66, 86, 98, 106)를 대향하는 제1베드의 복합침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로 인도하는 스텝과,
    c) 제1베드의 복합침의 슬라이더의 텅 상에 스티치 루프(65, 85, 97, 105)를 걸어 놓은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제1베드의 복합침의 바늘 본체 의 훅을 대향하는 제2베드의 편성 부재와 결합되어 이동 위치에 있는 스티치 루프(66, 86, 98, 106) 안으로 진입시키는 스텝과,
    d) 제2베드의 편성 부재를 후퇴시켜서 이 편성 부재와 결합되어 있던 스티치 루프(66, 86, 98, 106)를 제1베드의 복합침의 훅과 결합시키는 스텝과,
    e) 제1베드의 복합침의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를 후퇴시키고 제1베드의 복합침의 슬라이더의 텅 상에 걸어 놓은 상기 스티치 루프(65, 85, 97, 105)가 텅의 선단 및 훅을 넘어 녹 오버됨으로써 상기 스티치 루프(65, 85, 97, 105)를 제1베드의 복합침으로 이동된 스티치 루프(66, 86, 98, 106)와 결합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베드에 나란히 설치된 복합침과 같은 종류의 복합침이 상기 제2베드에 나란히 설치된 횡편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드에는 트랜스퍼 잭이 나란히 설치된 횡편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a에서 제1베드의 복합침의 슬라이더의 텅 상에 스티치 루프(65)를 걸어 놓는 스텝은, 상기 훅과 스티치 루프(65)가 결합되어 있는 복합침의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를 진출시켜서 상기 훅과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65)를 슬라이더의 텅 상에 걸어 놓을 수 있게 한 후에 바늘 본체만을 후퇴시켜서 스티치 루프(65)를 슬라이더의 텅 상에 걸어 놓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a에서 제1베드의 복합침의 슬라이더의 텅 상에 스티치 루프(85, 97)를 걸어 놓는 스텝은, 스티치 루프(85, 97)와 결합되어 있는 제2베드의 편성 부재를 스티치 루프(85, 97)가 이동될 수 있는 위치로 인도하고, 이것과 대향하는 제1베드의 복합침의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를 함께 전진시켜서 그 훅과 텅을 함께 상기 제2베드의 편성 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85, 97) 안으로 진입시킨 후에 제2베드의 편성 부재를 후퇴시키고, 상기 스티치 루프(85, 97)를 제1베드의 복합침의 텅 상에 걸어 놓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치 루프를 결합시키는 방법.
KR1020000005887A 1999-02-12 2000-02-09 횡편기에 의한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 KR100554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3444799A JP3158109B2 (ja) 1999-02-12 1999-02-12 横編機による編目係止方法
JP11-34447 1999-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627A KR20000076627A (ko) 2000-12-26
KR100554200B1 true KR100554200B1 (ko) 2006-02-22

Family

ID=1241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887A KR100554200B1 (ko) 1999-02-12 2000-02-09 횡편기에 의한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78782B1 (ko)
EP (1) EP1033428B1 (ko)
JP (1) JP3158109B2 (ko)
KR (1) KR100554200B1 (ko)
DE (1) DE60011492T2 (ko)
ES (1) ES2220341T3 (ko)
TW (1) TW4467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4477A1 (de) * 1999-11-12 2001-06-07 Stoll & Co 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mhängen von Maschen auf einer Strickmaschine
DE19962032A1 (de) * 1999-12-22 2001-06-28 Stoll & Co H Verfahrung zur Bildung neuer Maschen auf einer Strickmaschine
DE50115563D1 (de) * 2001-06-01 2010-09-02 Stoll & Co H Verfahren zum Verschleifen von Maschen
CN100539640C (zh) * 2002-03-15 2009-09-09 夏普株式会社 有摄影功能的便携式装置及移动电话机
JP4015982B2 (ja) * 2003-10-10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編成用カム装置
EP1582613B1 (de) * 2004-04-03 2007-08-08 H. Stoll GmbH & Co. KG Verfahren zum Abketteln eines Gestrickstücks
EP1703006B1 (de) * 2005-03-19 2010-04-14 H. Stoll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maschenfesten Gestrickabschlüssen an einem Schlauch-Rund-Fertiggestrick
JP5618778B2 (ja) * 2010-11-22 2014-11-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複合針
CN102061563B (zh) * 2011-01-17 2012-05-23 桐乡市国丰缝制设备厂 一种双段组合式电脑横机织针
CN111648011B (zh) * 2020-04-07 2022-04-12 汕头连兴实业有限公司 一种套针走编织工位方法
CN112609303B (zh) * 2020-12-12 2022-04-05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针织球形鼓波结构的编织方法及其鼓波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1060A (ja) 1984-08-16 1986-03-13 Kanebo Ltd 導電性組成物
DE3433628C2 (de) * 1984-09-13 1986-12-18 H. Stoll Gmbh & Co, 7410 Reutlingen Schloßsystem für Flachstrickmaschinen und Verfahren zum kombinierten Bilden und Umhängen von Maschen an Flachstrickmaschinen
JPS6221851A (ja) * 1985-07-18 1987-01-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針を使用した横編機
US5305619A (en) * 1990-03-26 1994-04-26 Shima Seiki Mfg. Ltd. Stitch increasing method and cams for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stitch increasing function
JP2700203B2 (ja) * 1991-10-04 1998-01-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の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498270B2 (ja) * 1994-04-28 2004-02-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糸案内方法及び装置
US5937673A (en) * 1997-05-01 1999-08-17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Compound needle of a flat knitting machine
US5987932A (en) 1997-05-27 1999-11-23 Atelier De Construction Steiger S.A. Slider type needle for knitting machine
US6047569A (en) * 1997-05-27 2000-04-11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Method for holding a stitch loop
CH691543A5 (fr) 1997-05-27 2001-08-15 Steiger Sa Atelier Constr Aiguille à coulisse pour machine à tricoter.
EP0890667B1 (en) * 1997-07-11 2002-11-06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A stitch forming method and a flat knitting machine therefor
JP2995464B2 (ja) * 1998-05-15 1999-12-2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編目ループの預け置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11492T2 (de) 2004-10-28
EP1033428A2 (en) 2000-09-06
EP1033428B1 (en) 2004-06-16
JP2000234245A (ja) 2000-08-29
US6178782B1 (en) 2001-01-30
KR20000076627A (ko) 2000-12-26
JP3158109B2 (ja) 2001-04-23
DE60011492D1 (de) 2004-07-22
ES2220341T3 (es) 2004-12-16
TW446770B (en) 2001-07-21
EP1033428A3 (en) 200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4015B2 (ja) 横編機におけ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横編機
KR100554200B1 (ko) 횡편기에 의한 스티치 루프의 결합 방법
JP4977383B2 (ja) 横編機の編成用カム装置
US6857294B2 (en) Method for knitting intarsia pattern knitting fabric and knitting program producing device therefor
JP3968081B2 (ja) インターシャ柄編地の編成方法
KR101709944B1 (ko) 스플릿 스티치 방법
KR20000070011A (ko) 개선된 파일 직물, 이 파일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파일
KR101061821B1 (ko)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방법
KR20200007693A (ko) 횡편기
US7269975B2 (en) Cam apparatus for knitting fabric
EP2025785B1 (en) Knitting method of intersia pattern fabric and weft knitting machine
EP2116643B1 (en) Method for selecting needle and weft knitting machine
JP5856783B2 (ja) 編地の編出し方法
KR101537935B1 (ko)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 및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JP2004332191A (ja) 丸編み機
JPS6252063B2 (ko)
KR100768347B1 (ko)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코이동 방법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JP2023064006A (ja) パイル編成用横編機およびシンカー、ならびに横編機でのパイル編成方法
KR20230021610A (ko)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JPH093753A (ja) 横編機におけるヤーンフィーダ
JPS631714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