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347B1 -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코이동 방법 - Google Patents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코이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347B1
KR100768347B1 KR1020037002077A KR20037002077A KR100768347B1 KR 100768347 B1 KR100768347 B1 KR 100768347B1 KR 1020037002077 A KR1020037002077 A KR 1020037002077A KR 20037002077 A KR20037002077 A KR 20037002077A KR 100768347 B1 KR100768347 B1 KR 100768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loop
hook
bed
transfer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3755A (ko
Inventor
시부타다케카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23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8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stitch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2Loop-transfer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트랜스퍼 잭에서 하부 니들베드의 편침으로 코이동할 때에 트랜스퍼 잭(57)에 결합되는 루프(88) 내로 편침(13a, 13b)의 훅(21a, 21b)이 진입한 후에 트랜스퍼 잭을 진출시켜 루프를 편침의 훅의 진퇴 궤적 내로 밀어 냄과 아울러 슬라이더(19a, 19b)를 진출시켜 훅을 폐쇄하여 루프를 훅 내에 구속함으로써 드롭 스티치의 발생을 억제하여 트랜스퍼 잭에서 편침으로 확실하게 루프를 반송한다.

Description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코이동 방법{WEF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 MECHANISM AND TRANSFERRING METHOD}
본 발명은, 선단(先端)에 루프 결합부(loop retaining portion)를 구비하는 트랜스퍼 잭(transfer jack)(이하 TRJ라고 한다)이 다수(多數) 나란하게 설치되는 TRJ 베드(transfer jack bed)를 니들베드(needle bed)의 상위(上位)에 구비하고, TRJ 베드의 TRJ와 니들베드의 편침(編針)의 사이에서 코이동할 수 있는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 및 코이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면(上面)에 형성되는 홈(溝) 내에 진퇴(進退) 이동하도록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전후(前後)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그 적어도 일방(一方)의 니들베드가 타방(他方)의 니들베드에 대하여 좌우(左右)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일방의 니들베드 상에 그 상면에 형성되는 홈 내에 TRJ(transfer jack)를 진퇴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TRJ 베드(transfer jack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가 있다. 이 종류의 횡편기에서는 전후의 니들베드의 편침(編針) 사이뿐만 아니라 편침과 TRJ 사이에서도 루프(loop)를 반송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공개평6-25703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횡편기가 있다.
도5는 TRJ에서 편침으로 루프가 코이동될 때의 각 단계에서의 편침과 TRJ의 이동을 나타낸다. 도면 중의 101은 편침, 103은 TRJ, 105는 루프를 나타낸다. 도5A는 직전의 코스 편성에 있어서 TRJ103이 편침101로부터 루프105를 받은 상태에서 TRJ103은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 상으로 진출한 위치에 있고, TRJ의 선단측(先端側)에 형성한 루프 결합부103a에 결합되는 루프105가 니들베드 갭 상의 반송이 가능한 위치에 있다.
다음의 도5B는 루프105를 받는 앞쪽 니들베드의 편침101을 진출시켜 훅(hook)101a를 TRJ103의 상기 루프 결합부103a에 결합된 루프105 내로 삽입시킨다. 이어서 도5C와 도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RJ103을 후퇴시켜 루프105를 TRJ103에서 빼내어 편침101에 건다. 도5E는 편침101을 후퇴시킴으로써 루프105는 훅101a로 포착되어 코이동이 완료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런데 도5C와 도5D에서 TRJ103이 후퇴할 때에 루프105가 후퇴하는 TRJ103측으로 당겨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5E에서 편침101이 후퇴하였을 때에 훅101a로 루프105를 포착할 수 없어 드롭 스티치(drop stitch)105a가 발생한다. 드롭 스티치가 발생하는 요인은 여러 가지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루프105가 루프 결합부103a로부터 원활하게 빠져 나올 수 없는 형상으로 TRJ103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루프가 당겨지기 쉽고, 특 히 신축성(伸縮性)이 낮은 편사(編絲)로 편성포(編成布)가 편성되는 경우에는 TRJ103측으로 루프가 당겨지면 TRJ가 빠진 후에도 루프가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여 원상태로 복귀하지 않아 드롭 스티치가 발생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선단(先端)에 훅(hook)을 구비하는 바늘 본체와, 바늘 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훅을 개폐(開閉)하는 슬라이더(slider)로 구성되는 편침(編針)을 진퇴(進退) 이동하도록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전후(前後)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방(一方)의 니들베드가 타방(他方)의 니들베드에 대하여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일방의 니들베드 상에 TRJ(transfer jack)을 진퇴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TRJ 베드(transfer jack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에 있어서, TRJ에 결합하는 루프(loop)를 하부 니들베드(lower needle bed)의 편침으로 코이동할 때에 바늘 본체를 진출시켜 TRJ의 루프 결합부(loop retaining portion)에 지지되는 루프 내로 편침의 훅을 진입시키는 바늘 본체 제어부와, TRJ을 진출시켜 루프 결합부에 지지되는 루프를 편침의 훅의 진퇴 궤적(進退 軌跡) 내로 밀어 내는 TRJ 제어부와, 상기 TRJ 제어부에 의하여 밀린 루프 결합부에 지지되는 루프를 훅 내에 구속하기 위하여 슬라이더를 진출시켜 훅을 폐쇄시키는 슬라이더 제어부를 설치한다.
또한 선단에 훅을 구비하는 바늘 본체와, 바늘 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훅을 개폐하는 슬라이더로 구성되는 편침을 진퇴 이동하도록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방의 니들베드가 타방의 니들베드에 대하여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일방의 니들베드 상에 TRJ을 진퇴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TRJ 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의하여 TRJ에서 편침으로 루프를 코이동하는 횡편기의 코이동 방법에 있어서, TRJ에서 하부 니들베드의 편침으로 코이동할 때에 루프 내로 편침의 훅이 진입한 후에 TRJ을 진출시켜 TRJ에 결합되는 루프를 편침의 훅의 진퇴 궤적 내로 밀어 냄과 아울러 슬라이더를 진출시켜 훅을 폐쇄하여 루프를 훅 내에 구속한다.
이에 의하면 TRJ에 결합한 루프를 하부 니들베드의 편침으로 코이동할 때에 바늘 본체 제어부에 의하여 루프를 받은 쪽의 바늘의 바늘 본체가 진출되어 TRJ의 루프 결합부에 지지되는 루프 내로 통과한다. 이에 연속하여 TRJ가 TRJ 제어부에 의하여 진출되어 루프를 편침의 훅의 진퇴 궤적 내로 밀어 낸다. 루프가 훅의 진퇴 궤적 내에 지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더 제어부에 의하여 슬라이더가 진출되어 훅을 폐쇄한다. 이어서 코이동을 완료하기 위하여 TRJ가 후퇴하여 루프가 TRJ측으로 당겨지더라도 루프는 닫힌 훅 내에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연속하여 바늘이 후퇴하더라도 루프가 훅으로부터 빠지지 않아 드롭 스티치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의 종단면도이다.
도2는 TRJ에서 편침으로 코이동할 때의 캐리지에 설치되는 TRJ 제어부와 편침의 제어 캠의 투시도이다.
도3은 TRJ가 도2의 각 위상①∼④에 있을 때의 편침과 TRJ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TRJ가 도2의 각 위상⑤∼⑦에 있을 때의 편침과 TRJ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종래 방법에서의 TRJ에서 편침으로 코이동할 때의 TRJ와 편침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와 그 코이동 방법에 관하여 적합한 실시예를 이하에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1은 횡편기의 종단면도(縱斷面圖)를 나타낸다. 횡편기1은 전후(前後) 한 쌍으로 대향(對向)하여 배치되는 니들베드(needle bed)3a, 3b를 구비한다. 니들베드3a, 3b는 기판5a, 5b 상에 형성되는 홈(groove)7a, 7b 내에 니들 플레이트(needle plate)9a, 9b를 세워서 설치하고, 인접하는 니들 플레이트 사이에 니들 홈(needle groove)11a, 11b를 형성하여 편침(編針)13a, 13b를 니들 베드 갭(needle bed gap)15에 대하여 진퇴(進退) 이동이 가능하도록 각 니들 홈11a, 11b 내에 수용한다.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3b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 구동 수단(驅動 手段)에 의하여 니들베드의 길이 방향으로 래킹(rack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니들 홈11 내에는, 선단(先端)에 훅(hook)21을 형성한 바늘 본체(needle body)17과 슬라이더(slider)19가 편침의 진퇴 방향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여, 이 상대적인 이동에 의하여 훅21을 개폐(開閉)할 수 있는 복합 바늘(compound needle)이 장착되어 있다. 바늘 본체17의 후단(後端)에 형성되는 오목부23에 볼록부25를 결합하여 바늘 본체17과 일체화(一體化)되는 니들 잭(needle jack)27에 형성되는 버트(butt)28과, 슬라이더19의 버트31이 니들베드 상을 왕복 주사(往復 走査)하는 전후 한 쌍의 캐리지(carriage)33a, 33b에 설치되는 제어 캠(control cam)35a, 35b에 의하여 각각 진퇴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43a, 43b는 니들베드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는 밴드(band)에 의하여 편침을 니들 홈11 내에 지지한다. 니들 잭27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 실렉트 잭(select jack), 실렉터(selector)와 함께 니들 홈 내에 장착되고, 캐리지33a, 33b의 프레셔(presser)에 의하여 니들 홈11 내에 몰입하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가압됨으로써 버트28이 캐리지33a, 33b 상의 캠에 결합하지 않는 위치로 몰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전후 니들베드3a, 3b 사이의 니들베드 갭15에는 싱커 플레이트(sinker plate)47a, 47b가 편침13 사이에 설치된다. TRJ 베드51은 앞쪽 베드3a에 장착되는 니들 플레이트9a의 선두(先頭) 부분 상방(上方)으로 연장되는 연장 부분53에 의하여 TRJ 베드51을 지지한다. TRJ 베드51은 니들베드의 니들 홈11과 동일한 피치(pitch)로 형성되는 TRJ 홈55 내에 TRJ57을 진퇴 이동하도록 수용하고, 밴드59에 의하여 TRJ57을 TRJ 베드51의 홈55 내에 지지한다. TRJ57은 선단부(先端部)에 루프 결합부(loop retaining portion)61, 후단부(後端部)에 선택용 버트(selecting butt)63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 진퇴 제어용 버트(進退 制御用 butt)65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TRJ는 캐리지33a의 상부 전방(前方)에 설치되는 TRJ 제어부67과 결합하여 진퇴 조작된다. 60은 버트63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실렉션 엑추에이터(selection actuator)를 나타낸다.
다음에 캐리지33a, 33b에 설치되는 편침13과 TRJ57을 진퇴 제어하는 제어 캠35, TRJ 제어부67에 대하여 도2(앞쪽 캐리지)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편침의 진퇴 제어 캠35는 슬라이더 제어부36과 바늘 본체 제어부37로 구성되고, 니들베드 갭 측으로부터 가이드 캠(guide cam)85, 83, 81이 설치된다. 가이드 캠81과 가이드 캠83의 사이에는 바늘 본체를 진퇴 조작하는 니들 잭27의 버트28용 캠면(cam surface)을 형성하는 캠 홈(cam groove)84가 형성되고, 가이드 캠83과 가이드 캠85의 사이에는 슬라이더19의 버트31용 캠면을 형성하는 캠 홈86이 형성된다.
슬라이더 제어부36은, 캠 홈86 내에 가이드 캠83의 앞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상승 캠면83a와 그에 연속하는 제1평탄면83b, 제2상승 캠면83c, 제2평탄면83d와 가이드 캠85의 뒤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하강 캠면85a를 구비한다. 바늘 본체 제어부37은, 캠 홈84 내에 가이드 캠81의 앞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상승 캠면81a와 이에 연속하는 평탄면81b 및 가이드 캠83의 뒤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하강 캠면83e를 구비한다.
TRJ 제어부67은 니들베드 갭 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캠71과 그 후방(後方)에 설치되는 가이드 캠73, 75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TRJ57을 진퇴 조작하기 위한 캠면을 형성한 캠 홈9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캠75의 앞쪽 가장자리에 제1상승 캠면75a와 이에 연속하는 평탄면75b가, 가이드 캠71의 뒤쪽 가장자리에 하강 캠면71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캠73의 뒤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하강 캠면73a는 하강 캠면71a에서 후퇴된 TRJ의 버트65에 작용하여 버트를 더 후퇴시킨 정지 위치로 안내한다.
바늘 본체 제어부37, 슬라이더 제어부36 및 TRJ 제어부67에 형성되는 각 캠면은 캐리지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위상에 설치되고, TRJ에서 편침으로 코이동을 할 때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용한다. 도면 중의 실선95는 TRJ에서 편침으로 루프를 코이동할 때의 TRJ의 버트65의 루트(route)를 나타내고, 실선96, 97은 각각 슬라이더 버트31과 니들 잭 버트28의 루트를 나타낸다. 일점 쇄선98은 편침에서 TRJ로 루프를 코이동할 때의 TRJ의 제어 버트65의 루트를 나타내고, 파선99는 후퇴 위치에서 편성에 관여하지 않는 TRJ의 버트65가 통과하는 루트를 나타낸다.
이하에 도2∼도4를 사용하여 캐리지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루프88이 편침에서 TRJ으로 이동된 후에 앞쪽 니들베드3a와 TRJ 베드51이 래킹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이어서 캐리지33이 반전(反轉)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할 때에 TRJ57에서 앞쪽 니들베드3a의 편침13a로 루프를 코이동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에 나타내는 각 ①∼⑦의 위상에 있어서의 TRJ57과 편침13a를 측면에서 본 것을 도3A∼도3D와 도4A∼도4C에 나타낸다.
도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2의 위상①에서는, TRJ57은 이전 코스에서 편침으로부터 TRJ57로 루프88이 이동된 상태 그대로 진출한 위치에 있고, 루프 결합부61은 니들베드 갭 상의 루프 반송 위치에 있다. 이 때 편침13a의 바늘 본체17a와 슬라이더19a는 함께 후퇴 위치에 있다.
위상②에서는 앞쪽 베드3a의 편침13a의 바늘 본체17a와 슬라이더19a의 각 버트28a, 31a는 상승 캠면81a, 83a에 결합되어 바늘 본체17a와 슬라이더19a를 진출시킨다. 이 때에 훅21a의 선단 부분은 TRJ57의 상기 루프 결합부61에 결합된 루프88 내에 진입하는 위치까지 진출하여 측면에서 볼 때에 바늘 본체17a와 슬라이더19a는 루프 결합부61과 교차하는 높이까지 진출되어 있다(도3B).
위상③에서는 버트28a가 상승 캠면81a의 정상부까지 상승하고, 훅21a가 루프 결합부61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진출하여 루프88의 상단을 완전하게 넘는 위치에 있다(도3C).
위상④에서는 상승 캠면75a에 의하여 TRJ57을 진출시켜 그 어깨 부분에서 루프88을 훅21의 진퇴 궤적 내로 밀어 낸다(도3D).
위상⑤에서는 TRJ57은 위상④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고, 루프88은 훅의 진퇴 궤적 내로 밀려 있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제2상승 캠면83c에 의하여 진출되어 훅21a를 폐쇄하여 루프88을 훅 내에 구속한다(도4A).
위상⑥에서는 TRJ57은 하강 캠면71a에 의하여 후퇴하여 루프88을 TRJ57에서 빼낸다(도4B). 이 때에 루프88은 훅 내에 구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TRJ가 후퇴할 때에 루프88이 TRJ측으로 당겨지더라도 훅21a로부터 루프88이 빠지지 않는다.
위상⑦에서는 바늘 본체17a와 슬라이더19a는 이미 하강 캠면83e, 85a에 의하여 후퇴되어 있고, TRJ57도 하강 캠면73a에 의하여 니들베드 갭15에서 후퇴하여 TRJ57에서 편침13a로의 루프88의 코이동이 완료된다(도4C).
상기에 본 발명의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와 그 코이동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TRJ에서 편침으로 루프를 코이동할 때에 TRJ에서 루프를 훅으로 포착 가능한 위치까지 훅 측으로 밀어 냄과 아울러 이 훅이 슬라이더가 후퇴할 때에 당겨지더라도 훅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슬라이더를 진출시켜 훅을 닫음으로써 이를 억제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이 코이동을 할 때에 드롭 스티치(drop stitch)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에서는 루프 결합부가 수평 방향으로 진퇴 이동하는 TRJ의 실시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루프 결합부가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훅으로 루프를 관통시킨 후에 TRJ를 후퇴시킬 때에 루프 결합부를 마치 사람이 인사하는 것처럼 하방(下方)으로 회전시키면 루프를 보다 스무스하게 TRJ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TRJ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롭 스티치의 발생을 억제하여 TRJ에서 편침으로 확실하게 루프를 반송할 수 있다.

Claims (2)

  1. 선단(先端)에 훅(hook)을 구비하는 바늘 본체와, 바늘 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훅을 개폐(開閉)하는 슬라이더(slider)로 구성되는 편침(編針)을 진퇴(進退) 이동하도록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전후(前後)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방(一方)의 니들베드가 타방(他方)의 니들베드에 대하여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일방의 니들베드 상에 트랜스퍼 잭(transfer jack)을 진퇴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트랜스퍼 잭 베드(transfer jack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에 있어서,
    트랜스퍼 잭에 결합하는 루프(loop)를 하부 니들베드(lower needle bed)의 편침으로 코이동할 때에 바늘 본체를 진출시켜 트랜스퍼 잭의 루프 결합부(loop retaining portion)에 지지되는 루프 내로 편침의 훅을 진입시키는 바늘 본체 제어부와,
    트랜스퍼 잭을 진출시켜 루프 결합부에 지지되는 루프를 편침의 훅의 진퇴 궤적(進退 軌跡) 내로 밀어 내는 트랜스퍼 잭 제어부와,
    상기 트랜스퍼 잭 제어부에 의하여 밀린 루프 결합부에 지지되는 루프를 훅 내에 구속하기 위하여 슬라이더를 진출시켜 훅을 폐쇄시키는 슬라이더 제어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2. 선단에 훅을 구비하는 바늘 본체와, 바늘 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훅을 개폐하는 슬라이더로 구성되는 편침을 진퇴 이동하도록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방의 니들베드가 타방의 니들베드에 대하여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일방의 니들베드 상에 트랜스퍼 잭을 진퇴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트랜스퍼 잭 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의하여 트랜스퍼 잭에서 편침으로 루프를 코이동하는 횡편기의 코이동 방법에 있어서,
    트랜스퍼 잭에서 하부 니들베드의 편침으로 코이동할 때에 루프 내로 편침의 훅이 진입한 후에 트랜스퍼 잭을 진출시켜 트랜스퍼 잭에 결합되는 루프를 편침의 훅의 진퇴 궤적 내로 밀어 냄과 아울러 슬라이더를 진출시켜 훅을 폐쇄하여 루프를 훅 내에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코이동 방법.
KR1020037002077A 2000-08-22 2001-08-13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코이동 방법 KR100768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51689 2000-08-22
JPJP-P-2000-00251689 2000-08-22
PCT/JP2001/007005 WO2002016684A1 (fr) 2000-08-22 2001-08-13 Machine de tricotage - maillage a mecanisme de transfert et technique de transfe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755A KR20030023755A (ko) 2003-03-19
KR100768347B1 true KR100768347B1 (ko) 2007-10-18

Family

ID=1874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077A KR100768347B1 (ko) 2000-08-22 2001-08-13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코이동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688140B2 (ko)
EP (1) EP1325973B1 (ko)
JP (1) JP3886900B2 (ko)
KR (1) KR100768347B1 (ko)
CN (1) CN1283865C (ko)
AU (1) AU2001278726A1 (ko)
DE (1) DE60132795T2 (ko)
TW (1) TW548358B (ko)
WO (1) WO20020166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9298B2 (ja) * 2006-10-11 2012-11-2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KR101387959B1 (ko) 2008-12-27 2014-04-2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 및 그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
FR2986242B1 (fr) * 2012-01-26 2014-02-14 Steiger Participations Sa Procede de tricotage pour machine a tricoter rectiligne et machine a tricoter rectiligne
JP2014025159A (ja) * 2012-07-25 2014-02-06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
US10669658B2 (en) * 2017-12-06 2020-06-02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Electronic yarn chang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IT201900023433A1 (it) * 2019-12-10 2021-06-10 Lonati Spa Dispositivo prelevatore per operare il prelievo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da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3204A (en) 1992-12-17 1995-06-13 Shima Seiki Mfg., Ltd. Transferring jack of a flat knitting machine
EP0955402A2 (en) * 1998-05-07 1999-11-10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A flat bed knitting machine having a transfer mechanism and a transferring method thereby
US6079231A (en) 1998-05-15 2000-06-27 Shima Seiki Mfg., Ltd. Stitch loop holding apparatus for a flat knitt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4144B2 (ja) * 1992-10-22 1998-09-0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目移し装置を有する横編機
JP3192510B2 (ja) * 1992-12-22 2001-07-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交差柄編成方法及び交差柄編成装置
JP3408735B2 (ja) * 1997-12-19 2003-05-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目移し機構を備えた横編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3204A (en) 1992-12-17 1995-06-13 Shima Seiki Mfg., Ltd. Transferring jack of a flat knitting machine
EP0955402A2 (en) * 1998-05-07 1999-11-10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A flat bed knitting machine having a transfer mechanism and a transferring method thereby
US6079231A (en) 1998-05-15 2000-06-27 Shima Seiki Mfg., Ltd. Stitch loop holding apparatus for a flat knit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78726A1 (en) 2002-03-04
CN1454269A (zh) 2003-11-05
JP3886900B2 (ja) 2007-02-28
DE60132795D1 (de) 2008-03-27
KR20030023755A (ko) 2003-03-19
DE60132795T2 (de) 2009-03-19
US20030159473A1 (en) 2003-08-28
CN1283865C (zh) 2006-11-08
US6688140B2 (en) 2004-02-10
TW548358B (en) 2003-08-21
EP1325973B1 (en) 2008-02-13
WO2002016684A1 (fr) 2002-02-28
EP1325973A1 (en) 2003-07-09
EP1325973A4 (en) 200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5661A (en) Flat knitting machine
EP0594169B1 (en)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transferring mechanism
EP0890667B1 (en) A stitch forming method and a flat knitting machine therefor
KR102226578B1 (ko) 횡편기
US7269975B2 (en) Cam apparatus for knitting fabric
EP0751248B1 (en) Knitting and transfer cam for flat knitting machine
EP2116643B1 (en) Method for selecting needle and weft knitting machine
EP2025785B1 (en) Knitting method of intersia pattern fabric and weft knitting machine
KR100768347B1 (ko)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코이동 방법
EP1279758B1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ring mechanism and transferring method
EP1033428B1 (en) A stitch loop retaining method by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JP2604677B2 (ja)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
JP3408735B2 (ja) 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目移し機構を備えた横編機
EP0698679B1 (en) Knitting cam and cam apparatus
EP0955402B1 (en) A flat bed knitting machine having a transfer mechanism and a transferring method thereby
EP1505185B1 (en) Fla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 jack and stitch transfer method using transfer jack
US6668595B2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 mechanism
EP4306698A1 (en) Method for knitting punch-lace knitted fabric produced by flat-knitting machine
EP0604164A2 (en) A method for knitting a crossing pattern and an apparatus for knitting a crossing pattern in a flat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