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959B1 - 횡편기 및 그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 - Google Patents

횡편기 및 그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959B1
KR101387959B1 KR1020117013918A KR20117013918A KR101387959B1 KR 101387959 B1 KR101387959 B1 KR 101387959B1 KR 1020117013918 A KR1020117013918 A KR 1020117013918A KR 20117013918 A KR20117013918 A KR 20117013918A KR 101387959 B1 KR101387959 B1 KR 101387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needle
hook
needle bed
to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376A (ko
Inventor
마사노리 고토
요시노리 시마사키
사토시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105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D04B15/365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with provision for loop transfer from one needle bed to the oth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치 드롭이나 스티치를 파괴하는 것과 같은 스티치 트랜스퍼의 불량을 제거하여, 안정한 스티치 트랜스퍼를 할 수 있는 횡편기 및 그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을 제공한다.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횡편기(10)에서는, 스티치 리시빙측의 복합바늘(5)의 슬라이더(7)를, 인입되는 훅(6a)의 선단이 스티치(8)에 도달하기 전에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을 시작시킨다.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텅(7b)의 선단의 바닥부가 스티치(8)의 위치까지 도달한다. 텅(7b)을 더 진출시키면, 도1(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티치(8)를 따라 텅(7b)의 선단의 바닥부가 상승한다. 스티치(8)는 훅(6a)의 선단의 하강궤적(6c)보다 바늘줄기(6b)측으로 가라앉도록 압입된다. 텅(7b)에 의하여 훅(6a)을 닫을 때에, 텅(7b)의 선단이 바늘줄기(6b)에 대하여 일단 뜬 후에 가라앉도록 하면, 스티치(8)가 떠 있더라도 확실하게 가라앉혀서 훅(6a) 내에 포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횡편기 및 그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WEFT KNITTING MACHINE AND STITCH TRANSFER METHOD FOR SAME}
본 발명은, 훅(hook)을 개폐하는 슬라이더(slider)의 선두부(先頭部)가 훅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으로 진출 가능한 2매의 블레이드(blade)로 나누어지는 복합바늘(composite needle)을 편침(編針)으로서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 및 그 횡편기에서의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stitch transfer 方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횡편기의 편침으로서, 훅을 개폐하는 슬라이더의 선두부가 훅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 가능한 2매의 블레이드로 나누어지는 복합바늘을 사용하고 있고,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스티치 트랜스퍼를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블레이드의 선단부에는, 텅(tongue)이라고 불리는 단차(段差)가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횡편기에서는, 니들베드 갭을 사이에 두고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설치하고, 니들베드 상을 왕복주행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캠(cam)에 의하여 복합바늘을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편성동작이나 스티치 트랜스퍼 동작을 하도록 한다. 특허문헌1의 도12에는, 복합바늘의 바늘본체와 슬라이더에 형성되는 버트(butt)를 안내하여 스티치 트랜스퍼 동작을 하도록 하는 캠 배치가 버트의 통과궤적(通過軌跡)과 함께 나타나 있다. 스티치 트랜스퍼를 할 때에는, 스티치 딜리버링(stitch delivering)측이 훅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킨 텅에 의하여 스티치를 지지한다. 지지되는 스티치가 텅 선단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슬라이더가 텅 선단에 의하여 훅 선단측의 개구부를 닫고 있는 상태에서의 녹 오버(knock over)를 원활하게 하게 하기 위하여, 훅을 닫을 때에 텅의 선단과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와의 간격을 일단 증가시킨 후에 감소시키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특허문헌1의 도13에서 도20까지의 각 도면에서는, 도12의 통과궤적 상에서의 주요위치에 대응하는 복합바늘의 동작상태가 니들베드의 측면도로서 나타나 있다. 특히 도16에는,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슬라이더를 훅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켜서, 슬라이더의 선두부에 형성되는 텅에 의하여 스티치를 지지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6의 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의 선단의 블레이드는 훅의 양측으로 분기(分岐)되어 선단이 넓어져 있다. 도17 및 도18에는, 블레이드 사이에 스티치 리시빙(stitch receiving)측의 훅을 침입시키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19에는,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슬라이더를 인입하여, 스티치를 스티치 리시빙측의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에 거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20에는,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을 인입하여, 훅 선단측의 개구부 내 즉 훅 내로 스티치를 받아들이고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횡편기에서의 스티치 트랜스퍼 동작은, 조직패턴(structure pattern)을 편성하는 경우 또는 스티치의 수를 증감시키는 경우에 이루어진다. 전후의 니들베드에서 편성하는 편성포를 편성폭의 양측에서 연결하여 통(筒) 모양으로 편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와 백 스티치(back stitch)를 포함하는 리브 편성(rib 編成) 등을 하는 경우에는, 스티치의 형성과 스티치 트랜스퍼를 교대로 하기 때문에, 스티치 트랜스퍼의 빈도가 높아지게 된다. 드로오프 편성(drawn-off 編成)을 하면,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에서도 리브 편성에 의하여 통 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니들베드 갭의 양측에서 상하 2단으로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4매 베드의 횡편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니들 편성에 의하여 통 모양의 편성포를 리브 편성으로 편성할 수 있다. 4매 베드의 횡편기에서는, 각 니들베드의 하단측에서 프론트 스티치를 편성하고, 상단측에서 백 스티치를 편성한다. 일방의 니들베드의 하단측에는, 프론트 스티치를 편성하는 편침과, 대향하는 상단측의 니들베드에서 편성하는 백 스티치를 지지하는 편침이 교대로 배치된다. 백 스티치의 편성과 지지의 사이에 스티치 트랜스퍼가 이루어진다.
도3은, 4매 베드의 횡편기에서 하단측으로부터 상단측으로 스티치 트랜스퍼를 하는 상태를 부분적으로 간략화 하여 나타낸다. 도3에서는, 도1에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비교하기 위하여 특허문헌1의 도19에 대응하는 동작을 (a), (b) 및 (c)의 3단계로 나누어서 나타낸다. 횡편기(1)는, 니들베드 갭(2)을 사이에 두고 앞쪽에 전측하단 니들베드(前側下段 needle bed)(3a) 및 전측상단 니들베드(前側上段 needle bed)(3b)와, 뒤쪽에 후측하단 니들베드(後側下段 needle bed)(4a) 및 후측상단 니들베드(後側上段 needle bed)(4b)를 구비한다. 각 니들베드는 니들베드 갭(2)측으로 근접하면 높아지고, 멀어지면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전측하단 니들베드(3a) 및 전측상단 니들베드(3b)와, 후측하단 니들베드(4a) 및 후측상단 니들베드(4b)는, 니들베드 갭(2)의 중심면(2a)에 대하여 면대칭(面對稱)이 되도록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니들베드에서 편침이 이동하는 방향으로서,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는 방향을 상(上), 니들베드에 삽입되는 방향을 하(下)로 하여 기재한다.
편침은 각 니들베드에 형성되는 니들홈에 수용되어, 선두부가 니들베드 갭(2)으로 진퇴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니들홈 내에서, 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변위를 뜬다라고 기재하고, 저면에 근접하는 방향의 변위를 가라앉는다라고 기재한다. 편침으로서는, 특허문헌1 또는 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복합바늘(5)이 사용된다. 복합바늘(5)은 바늘본체(6)와 슬라이더(7)를 포함한다. 바늘본체(6)의 선두부에는, 훅(6a)이 바늘줄기(6b)의 선단이 되도록 형성된다. 훅(6a)은 갈고랑이 모양으로 만곡(彎曲)되고, 선단이 바늘줄기(6b)측으로 돌아가도록 구부러져 있다. 훅(6a)의 선단과 바늘줄기(6b)의 사이는 개구(開口)된다. 훅(6a)이 삽입될 때에는, 훅(6a)의 선단은 하강궤적(6c)을 지나간다.
슬라이더(7)는 바늘본체(6)의 바늘줄기(6b)에 형성되는 홈에 수용되어, 바늘본체(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선단부의 블레이드(7a)는 2매로 나누어지고, 각각 선두부에 텅(7b)이 형성되어 있다. 텅(7b)은 훅(6a)의 선단과 바늘줄기(6b) 사이의 개구부를 닫을 수 있다. 전측하단 니들베드(3a)가 스티치 딜리버링측이 되고, 후측상단 니들베드(4b)가 스티치 리시빙측이 되는 경우에, 스티치(8)는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7b)에 의하여 지지되어, 니들베드 갭(2)에 훅(6a)의 상부 가장자리를 넘어서 양측으로 넓어지면서 진출한다. 니들베드 갭(2)의 양측에서, 편침의 사이에는 싱커(sinker)(9)도 형성되어 있다.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6a)이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블레이드(7a) 사이에 침입하면,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슬라이더(7)는 인입된다. 스티치(8)는 슬라이더(7)의 텅(7b)으로부터 빠져서 싱커(9)의 상부 테두리 부근에 멈춘다.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6a)을 인입하면, 스티치(8)를 훅(6a) 내에 포착하여 받을 수 있다.
일본국 특허 제3085657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3886903호 공보
종래로부터의 복합바늘(5)을 사용하는 스티치 트랜스퍼에서는, 스티치 리시빙측의 슬라이더(7)는 후측상단 니들베드(4b)로부터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지 않는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다. 바늘본체(6)만이 훅(6a)을 연 상태에서 인입된다. 스티치 딜리버링측으로부터 스티치 트랜스퍼 되는 스티치(8)는,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6a)이 인입되는 도중에 포착된다.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6a)에 포착되는 스티치(8)는,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7b)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빠져서 싱커(9)의 상부 테두리 부근에 멈추고 있다. 스티치(8)가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7b)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스티치(8)를 넓히는 힘이 편사에 결려 있다. 스티치(8)가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7)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빠지면, 스티치(8)에는 편성포를 낮추는 힘 등이 걸린다. 편사에 충분한 신축성(伸縮性)이나 미끄러짐이 있으면, 스티치(8)의 크기는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7b)에 걸려 있는 상태보다 작아진다. 스티치(8)가 작아지면,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6a)이 후측상단 니들베드(4b)에 인입될 때에, 훅(6a) 내에 포착하기 쉽다.
편사로서 미끄러짐이 나쁜 경우 또는 신장이 적은 경우, 편성포를 낮추는 힘이 작용하기 어려운 경우 등에는, 스티치(8)가 작아지지 않아, 싱커(9)의 상부 테두리 부근에서 떠 있는 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 편성포를 낮추는 힘이 작용하기 어려운 경우로서는, 스티치를 늘려서 편성폭을 크게 하는 경우 또는 되돌림 편성을 하는 경우가 있다. 후측상단 니들베드(4b)에서 백 스티치로서 편성하는 스티치(8)를, 전측하단 니들베드(3a)로부터 후측상단 니들베드(4b)로 스티치 트랜스퍼 하는 경우에는, 스티치(8) 자체의 성질로서,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6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뜨기 쉬워진다.
스티치(8)가 떠 있는 상태가 되면,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6a)의 선단의 하강궤적(6c)에 걸리거나 하강궤적(6c)보다 더 떠 버릴 우려가 있다. 스티치(8)가 훅(6a)의 선단의 하강궤적(6c)보다 떠 버리면, 스티치(8)를 훅(6a) 내에 포착할 수 없어, 스티치(8)는 니들베드 갭(2)으로 이탈하는 스티치 드롭(stitch drop)이 발생하여 버린다. 스티치(8)가 하강궤적(6c)에 걸리면, 스티치(8)를 형성하는 편사를 훅(6a)의 선단에서 파괴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티치 드롭이나 스티치를 파괴하는 것과 같은 스티치 트랜스퍼의 불량을 제거하여, 안정한 스티치 트랜스퍼를 할 수 있는 횡편기 및 그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도록 설치되는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에는 선두부(先頭部)에 훅(hook)을 구비하는 바늘본체와, 바늘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相對移動)하여 훅의 선단측의 개구부(開口部)를 개폐하는 슬라이더(slider)를 구비하는 복합바늘(composite needle)이 편침(編針)으로서 나란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더의 선두부는 훅을 양측으로부터 삽입하도록 하여 훅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 가능한 2매의 블레이드(blade)로 나누어지고, 각 블레이드의 선두부에는 텅(tongue)이 형성되고, 스티치 딜리버링(stitch delivering)측에서는 훅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하여 상호간이 열리는 텅 사이에 스티치(stitch)를 지지하고, 스티치 리시빙(stitch receiving)측에서는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키는 바늘본체의 훅을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킨 후에 인입하고,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의 개구부 내에 스티치를 수취하여 스티치 트랜스퍼(stitch transfer)를 하는 것이 가능한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을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켜서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키는 훅 진출수단(hook 進出手段)과,
상기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이 인입되어, 훅의 선단이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서 지지되는 스티치에 도달하기 전에, 훅 선단의 하강궤적(下降軌跡)보다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측으로, 텅 선단의 바닥부에서 상기 스티치를 가라앉힐 때까지 스티치 리시빙측의 슬라이더를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키는 텅 진출수단(tongue 進出手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橫編機)이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스티치 리시빙측의 슬라이더는, 상기 훅의 선단측의 개구부를 닫도록 상기 바늘본체에 대하여 상기 텅 선단이 상대이동할 때에, 스티치 리시빙측의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와 텅 선단의 간격이 일단 증가한 후에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바늘은, 각 니들베드를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에 탑재되는 캠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캠은, 상기 훅 진출수단 및 상기 텅 진출수단을 구동의 경로로서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니들베드는, 상기 니들베드 갭의 적어도 일방측(一方側)에서는 상하에 2단 설치되고,
상기 훅 진출수단 및 상기 텅 진출수단은, 상단(上段)의 니들베드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합바늘을,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하단(下段)측으로부터 스티치 딜리버링 되는 스티치를 수취하는 스티치 리시빙측으로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니들베드 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에는 선두부에 훅을 구비하는 바늘본체와, 바늘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하여 훅의 선단측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복합바늘이 편침으로서 나란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더의 선두부는 훅을 양측으로부터 삽입하도록 하여 훅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 가능한 2매의 블레이드로 나누어지고, 각 블레이드의 선두부에는 텅이 형성되고, 스티치 딜리버링측에서는 훅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하여 상호간이 열리는 텅 사이에 스티치를 지지하고, 스티치 리시빙측에서는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키는 바늘본체의 훅을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킨 후에 인입하고,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의 개구부 내에 스티치를 수취하여 스티치 트랜스퍼를 하는 것이 가능한 횡편기의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에 있어서,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을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켜서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킨 후에, 상기 훅의 선단이 상기 텅 사이에서 지지되는 스티치에 도달할 때까지 인입되기 전에,
스티치 리시빙측의 슬라이더를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켜서, 훅 선단의 하강궤적보다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측으로, 텅 선단의 바닥부에서 상기 스티치를 가라앉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 딜리버링측에서는 바늘본체의 선두부의 훅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하여 상호간이 열리는 슬라이더의 선두부의 텅 사이에 스티치를 지지한다. 스티치 리시빙측에서는, 훅 진출수단에 의하여 바늘본체의 훅을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킨다. 텅 진출수단은,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이 인입되어 훅의 선단이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서 지지되는 스티치에 도달하기 전에, 텅 선단의 바닥부에서 스티치를 가라앉힌다. 스티치는 적어도 훅 선단의 하강궤적보다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측에 가라앉힐 수 있기 때문에, 훅을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킨 상태에서는 스티치가 떠 있더라도, 훅을 인입할 때의 스티치 드롭이나 스티치를 파괴하는 것과 같은 스티치 트랜스퍼 불량을 제거하여, 안정한 스티치 트랜스퍼를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 리시빙측의 슬라이더는, 훅의 선단측의 개구부를 닫도록 바늘본체에 대하여 텅 선단이 상대이동할 때에,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와 텅 선단의 간격이 일단 증가한 후에 감소한다. 텅 선단의 바닥부가 바늘줄기에 대하여 부침(浮沈)하기 때문에, 바늘줄기로부터 떠 있는 상태의 스티치를 바늘줄기측으로 밀어 내릴 수 있다. 스티치가 떠 있는 것을 해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훅을 스티치 리시빙측의 니들베드에 인입할 때에 확실하게 훅 선단측의 개구부 내에 포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지에 탑재되는 캠에 형성되는 구동의 경로로 훅 진출수단 및 텅 진출수단으로서 동작시켜서, 스티치 트랜스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백 스티치를 편성하는 상단의 니들베드에, 니들베드 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하단의 니들베드에서 결합하는 백 스티치를 스티치 트랜스퍼 할 때에, 떠 있기 쉬운 백 스티치를 텅의 선단에서 압입하여,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 내에 포착함으로써 안정한 스티치 트랜스퍼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치 리시빙측의 슬라이더의 텅 선단의 바닥부에서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지지되어 있는 스티치를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 선단의 하강궤적보다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측으로 가라앉힌다. 스티치가 바늘줄기로부터 떠 있더라도 하강하는 훅 선단의 개구부 내에 확실하게 포착하여 안정한 스티치 트랜스퍼를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로서, 4매 베드의 횡편기(10)에서, 하단측의 니들베드로부터 상단측의 니들베드로의 스티치 트랜스퍼를 하는 도중의 특징적인 동작을 간략화 한 것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횡편기(10)에 사용하는 스티치 트랜스퍼 캠(11)의 캠 배치도이다.
도3은 종래로부터의 4매 베드의 횡편기(1)에서, 하단측으로부터 상단측으로 스티치 트랜스퍼를 하는 상태를 간략화 하여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로서, 4매 베드의 횡편기(10)에서, 하단측의 니들베드로부터 상단측의 니들베드로의 스티치 트랜스퍼를 하는 도중의 특징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도1의 (a), (b) 및 (C)는 도3의 (a), (b) 및 (c)에 각각 대응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횡편기(10)에 대하여 횡편기(1)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횡편기(橫編機)(10)에서는, 스티치 리시빙(stitch receiving)측의 후측상단 니들베드(後側上段 needle bed)(4b)에 있어서 복합바늘(composite needle)(5)의 슬라이더(slider)(7)를, 훅(hook)(6a)을 인입하기 전에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2)으로 진출시킨다. 도1(a)에서 텅(tongue)(7b)의 진출을 시작하여, 도1(b)에서는 텅(7b)의 선단의 바닥부가 스티치(stitch)(8)의 위치까지 도달한다. 텅(7b)의 선단은 바닥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만곡(彎曲)되어 있다. 텅(7b)을 더 진출시키면, 도1(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티치(8)를 따라 텅(7b)의 선단의 바닥부가 상승한다. 스티치(8)는, 싱커(sinker)(9)의 상부 가장자리에 멈추는 싱커 루프(sinker loop)가 요동지점(搖動支點)이 되어, 싱커(9) 사이의 니들 루프(needle loop)의 부분이 훅(6a) 내로의 방향 즉 훅(6a)의 선단의 하강궤적(下降軌跡)(6c)보다 바늘줄기(6b)측으로 가라앉도록 압입(壓入)된다.
도1(c)에서는, 훅(6a)도 후측상단 니들베드(4b)의 방향으로 인입되어, 텅(7b)의 선단에서 훅(6a)이 닫힌다. 이와 같이 훅(6a)을 닫은 후에 후측상단 니들베드(4b)에 인입하면, 훅(6a) 내에 포착된 스티치(8)를 확실하게 받을 수 있다. 훅(6a)을 텅(7b)의 선단에서 닫을 때에, 특허문헌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텅의 선단과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와의 간격을 일단 증가시킨 후에 감소시킬 수도 있다. 텅(7b)의 선단 바닥부에서 스티치(8)를 압입할 때에 텅(7b)의 선단을 바늘줄기(6b)로부터 일단 뜨게 한 후에 가라앉히기 때문에, 스티치(8)가 떠 있더라도 확실하게 가라앉혀서 훅(6a) 내에 포착할 수 있다.
도2는, 도1의 횡편기(10)에 있어서 각 니들베드에 설치하는 캐리지에 탑재되는 스티치 트랜스퍼 캠(stitch transfer cam)(11)의 개략적인 캠 배치를 나타낸다. 전측하단 니들베드(前側下段 needle bed)(3a)의 복합바늘(5)은 전측하단 캠(前側下段 cam)(13)에 의하여 구동되고, 후측상단 니들베드(4b)의 복합바늘(5)은 후측상단 캠(後側上段 cam)(14)에 의하여 구동된다. 후측하단 니들베드(4a) 및 전측상단 니들베드(3b)의 복합바늘(5)을 구동하는 캠은, 전측하단 캠(13) 및 후측상단 캠(14)과 각각 동등하다. 스티치 트랜스퍼 캠(11)은, 캐리지의 주행방향이 반전(反轉)되더라도 동등한 동작을 하도록 중심선(11a)과 대칭으로 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방향에 대하여 중심선(11a)보다 선행측을 전반(前半), 후행측을 후반(後半)으로 하여 나타낸다.
도2에는, 캐리지의 좌행(左行)에 의하여 전측하단 니들베드(3a)의 복합바늘(5)로부터 후측상단 니들베드(4b)의 복합바늘(5)로 스티치를 이동하는 경우에, 복합바늘(5)의 바늘본체(6) 및 슬라이더(7)의 버트(butt)가 안내되는 경로(16, 17)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전측하단 니들베드(3a)가 스티치 딜리버링(stitch delivering)측이 되고, 후측상단 니들베드(4b)가 스티치 리시빙(stitch receiving)측이 되는 것은, 경로(18)에 의하여 나타내는 실렉트잭(select jack)으로의 선침(選針) 결과에 의거한다. 실렉트잭은 각 편침에서 바늘본체보다 니들베드 갭(2)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접속되고, 니들홈으로부터 뜨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버트가 프레서 군(presser 群)(19)에 의하여 가압되면, 바늘본체(6)의 버트를 니들홈 내에 가라앉힌다.
전측하단 캠(13)에는, 니들 조작캠(needle 操作cam)(20) 및 슬라이더 조작캠(slider 操作cam)(21)이 포함된다. 니들 조작캠(20)에는, 스티치 딜리버링측 훅 진출경로(20a)와 스티치 리시빙측 훅 진출경로(20b)가 형성된다. 슬라이더 조작캠(21)에는, 스티치 딜리버링측 텅 진출경로(21a)와 스티치 리시빙측 텅 진출경로(21b)가 형성된다. 스티치 딜리버링측과 스티치 리시빙측의 절환(切換)은, 편침마다의 선침 결과에 의거하는 실렉트잭의 버트의 경로(18)의 선택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면과 같이 스티치 딜리버링측이 되는 경우에는 H포지션의 선침이 이루어져서, 실렉트잭의 버트는 프레서(22a, 22b)가 설치되는 경로를 지나간다. 전반의 프레서(22a)를 비작용(非作用), 후반의 프레서(22b)를 작용으로 설정하여 두면, 바늘본체(6)의 버트는 전반의 스티치 딜리버링측 훅 진출경로(20a)로 안내되어 훅(6a)을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시킨다. 전반에서는, 슬라이더(7)는 바늘본체(6)의 니들베드 갭(2)으로의 진출에 부수되어 니들베드 갭(2)측으로 조금 진출한다. 또한 슬라이더(7)의 버트는 후반의 스티치 리시빙측 텅 진출경로(21a)로 안내되어, 텅(7b)은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한다. 바늘본체(6)의 버트는 스티치 딜리버링측 훅 진출경로(20a)의 정상부를 지나쳐서 하강하여, 훅(6a)은 전측하단 니들베드(3a)에 인입된다. 실렉트잭의 버트는 후반의 프레서(22b)의 작용을 받아서 가라앉기 때문에, 바늘본체(6)의 버트는 후반의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지 않는다.
실렉트잭이 A포지션이 되도록 선침하면, 실렉트잭의 버트는 프레서(23a, 23b, 23c, 23d)가 설치되는 경로를 지나간다. 전반의 프레서(23a, 23b)를 작용, 후반의 프레서(23c, 23d)를 비작용으로 설정하여 두면, 바늘본체(6)의 버트는 전반의 스티치 딜리버링측 훅 진출경로(20a)를 지나가지 않고, 후반의 스티치 리시빙측 훅 진출경로(20b)를 지나간다. 슬라이더(7)의 버트는, 후반의 스티치 리시빙측 텅 진출경로(21b)로 조금만 니들베드 갭(2)측으로 진출하는 것뿐이다.
실렉트잭이 B포지션이 되도록 선침하면, 실렉트잭의 버트는 프레서(24)가 설치되는 경로를 지나간다. 프레서(24)는 항상 돌출되어 있어, 바늘본체(6) 및 슬라이더(7)는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지 않아, 스티치 트랜스퍼에 관한 동작은 하지 않는다. 또 도1(a), (b) 및 (c)에 대응하는 바늘본체(6)의 버트의 위치를 26a, 26b, 26c로 각각 나타내고, 슬라이더(7)의 버트의 위치를 27a, 27b, 27c로 각각 나타낸다.
후측상단 캠(14)에는, 니들 조작캠(30) 및 슬라이더 조작캠(31)이 포함된다. 니들 조작캠(30)에는, 스티치 리시빙측 훅 진출경로(30a)와 스티치 딜리버링측 훅 진출경로(30b)가 형성된다. 슬라이더 조작캠(31)에는, 스티치 리시빙측 텅 진출경로(31a)와 스티치 딜리버링측 텅 진출경로(31b)가 형성된다. 스티치 리시빙측과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절환은, 편침마다의 선침 결과에 의거하는 실렉트잭의 버트의 경로(18)의 선택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면과 같이 스티치 리시빙측이 되는 경우에는, H포지션의 선침이 이루어져서, 실렉트잭의 버트는 프레서(32a, 32b)가 설치되는 경로를 지나간다. 전반의 프레서(32a)를 작용, 후반의 프레서(32b)를 비작용으로 설정하여 두면, 바늘본체(6)의 버트는 후반의 스티치 리시빙측 훅 진출경로(30a)로 안내되어, 훅(6a)을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시킨다. 슬라이더(7)의 버트는 후반의 스티치 리시빙측 텅 진출경로(31a)로 안내되어, 텅(7b)은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기 때문에, 도1(a), (b) 및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실렉트잭이 A포지션이 되도록 선침하면, 실렉트잭의 버트는 프레서(33a, 33b)가 설치되는 경로를 지나간다. 전반의 프레서(33a)를 비작용, 후반의 프레서(33b)를 작용으로 설정하여 두면, 바늘본체(6)의 버트는 전반의 스티치 딜리버링측 훅 진출경로(30b)를 통하여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고, 후반은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지 않는다. 슬라이더(7)의 버트는, 전반은 바늘본체(6)에 부수되어 스티치 딜리버링측 텅 진출경로(31b)를 통하여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고, 후반은 스티치 리시빙측 텅 진출경로(31a)를 통하여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한다. 스티치 딜리버링측에서는 텅(7b)을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시킬 필요는 없지만, 경로를 공용(共用)하고 있다. 경로를 절환하여, 스티치 딜리버링측에서는 텅(7b)이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슬라이더 조작캠(31)으로서는 절환을 하지 않는 것이 구성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렉트잭이 B포지션이 되도록 선침하면, 실렉트잭의 버트는 프레서(34)가 설치되는 경로를 지나간다. 프레서(34)는 항상 돌출되어 있어, 바늘본체(6) 및 슬라이더(7)는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지 않아, 스티치 트랜스퍼에 관한 동작은 하지 않는다. 또 도1(a), (b) 및 (c)에 대응하는 바늘본체(6)의 버트의 위치를 36a, 36b, 36c로 각각 나타내고, 슬라이더(7)의 버트의 위치를 37a, 37b, 37c로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을 적용하는 스티치 트랜스퍼에서는,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6a)을 조금 인입하여, 니들베드 갭(2)으로 진출하는 텅(7b)에 의하여 닫은 후에 후측상단 니들베드(4b)에 인입하도록 하고 있지만, 닫힐 때까지 훅(6a)의 인입은 하지 않고, 텅(7b)만을 진출시켜도 좋다. 또한 텅(7b)은 스티치(8)를 밀어 내릴 때까지 진출시켜서 멈추게 하여 두고, 훅(6a)만을 낮추도록 하여도 좋다.
도1의 횡편기(10)는 4매 배드기(4枚 bed 機))로서, 하단측의 니들베드로부터 니들베드 갭(2)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상단측의 니들베드로의 스티치 트랜스퍼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주지(主旨)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라면, 다른 경우에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매 배드기에 있어서 상단측의 니들베드로부터 하단측의 니들베드로의 스티치 트랜스퍼 또는 하단측의 니들베드 사이에서의 스티치 트랜스퍼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2매 베드기에서도 니들베드 사이의 스티치 트랜스퍼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편침의 구동은 스티치 트랜스퍼 캠(11)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지만, 스티치 트랜스퍼와 편성과의 양방의 기능을 구비하는 복합 캠에서도 경로의 절환을 하면,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스티치 트랜스퍼 캠(11)에서는 캐리지의 왕복주행의 양쪽 방향으로 같은 스티치 트랜스퍼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특정한 방향으로만 스티치 트랜스퍼를 하더라도 좋다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편침의 구동은 캠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바늘본체(6)나 슬라이더(7)에 개별적으로 구동용 액추에이터 등을 설치하더라도 좋다.
2 : 니들베드 갭
3a : 전측하단 니들베드
3b : 전측상단 니들베드
4a : 후측하단니들베드
4b : 후측상단니들베드
5 : 복합바늘
6 : 바늘본체
6a : 훅
6b : 바늘줄기
7 : 슬라이더
7a : 블레이드
7b : 텅
8 : 스티치
10 : 횡편기
11 : 스티치 트랜스퍼 캠
20, 30 : 니들 조작캠
21, 31 : 슬라이더 조작캠
30a : 스티치 리시빙측 훅 진출경로
31a : 스티치 리시빙측 텅 진출경로

Claims (6)

  1.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도록 설치되는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에는 선두부(先頭部)에 훅(hook)을 구비하는 바늘본체와, 바늘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相對移動)하여 훅의 선단측의 개구부(開口部)를 개폐하는 슬라이더(slider)를 구비하는 복합바늘(composite needle)이 편침(編針)으로서 나란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더의 선두부는 훅을 양측으로부터 삽입하도록 하여 훅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 가능한 2매의 블레이드(blade)로 나누어지고, 각 블레이드의 선두부에는 텅(tongue)이 형성되고, 스티치 딜리버링(stitch delivering)측에서는 훅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하여 상호간이 열리는 텅 사이에 스티치(stitch)를 지지하고, 스티치 리시빙(stitch receiving)측에서는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키는 바늘본체의 훅을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킨 후에 인입하고,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의 개구부 내에 스티치를 수취하여 스티치 트랜스퍼(stitch transfer)를 하는 것이 가능한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을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켜서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키는 훅 진출수단(hook 進出手段)과,
    상기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이 인입되어, 훅의 선단이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서 지지되는 스티치에 도달하기 전에, 훅 선단의 하강궤적(下降軌跡)보다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측으로, 텅 선단의 바닥부에서 상기 스티치를 가라앉힐 때까지 스티치 리시빙측의 슬라이더를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키는 텅 진출수단(tongue 進出手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橫編機).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치 리시빙측의 슬라이더는, 상기 훅의 선단측의 개구부를 닫도록 상기 바늘본체에 대하여 상기 텅 선단이 상대이동할 때에, 스티치 리시빙측의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와 텅 선단의 간격이 일단 증가한 후에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바늘은, 각 니들베드를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에 탑재되는 캠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캠은, 상기 훅 진출수단 및 상기 텅 진출수단을 구동의 경로로서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베드는, 상기 니들베드 갭의 적어도 일방측(一方側)에서는 상하에 2단 설치되고,
    상기 훅 진출수단 및 상기 텅 진출수단은, 상단(上段)의 니들베드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합바늘을,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하단(下段)측으로부터 스티치 딜리버링 되는 스티치를 수취하는 스티치 리시빙측으로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5. 니들베드 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에는 선두부에 훅을 구비하는 바늘본체와, 바늘본체에 대하여 상대이동하여 훅의 선단측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복합바늘이 편침으로서 나란하게 설치되고, 슬라이더의 선두부는 훅을 양측으로부터 삽입하도록 하여 훅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 가능한 2매의 블레이드로 나누어지고, 각 블레이드의 선두부에는 텅이 형성되고, 스티치 딜리버링측에서는 훅의 상부 가장자리보다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하여 상호간이 열리는 텅 사이에 스티치를 지지하고, 스티치 리시빙측에서는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키는 바늘본체의 훅을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킨 후에 인입하고,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의 개구부 내에 스티치를 수취하여 스티치 트랜스퍼를 하는 것이 가능한 횡편기의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에 있어서,
    스티치 리시빙측의 훅을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켜서 스티치 딜리버링측의 텅 사이에 침입시킨 후에, 상기 훅의 선단이 상기 텅 사이에서 지지되는 스티치에 도달할 때까지 인입되기 전에,
    스티치 리시빙측의 슬라이더를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켜서, 훅 선단의 하강궤적보다 바늘본체의 바늘줄기측으로, 텅 선단의 바닥부에서 상기 스티치를 가라앉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베드는, 상기 니들베드 갭의 적어도 일방측(一方側)에서는 상하에 2단 설치되고,
    상기 훅 진출수단 및 상기 텅 진출수단은, 상단(上段)의 니들베드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합바늘을,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하단(下段)측으로부터 스티치 딜리버링 되는 스티치를 수취하는 스티치 리시빙측으로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KR1020117013918A 2008-12-27 2009-12-17 횡편기 및 그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 KR101387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35577 2008-12-27
JP2008335577 2008-12-27
PCT/JP2009/006980 WO2010073558A1 (ja) 2008-12-27 2009-12-17 横編機およびその目移し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376A KR20110105376A (ko) 2011-09-26
KR101387959B1 true KR101387959B1 (ko) 2014-04-22

Family

ID=4228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918A KR101387959B1 (ko) 2008-12-27 2009-12-17 횡편기 및 그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90395B1 (ko)
JP (1) JP5414698B2 (ko)
KR (1) KR101387959B1 (ko)
CN (1) CN102264965B (ko)
WO (1) WO20100735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6254B2 (ja) * 2011-06-30 2015-06-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出し方法、および編地
JP5856783B2 (ja) 2011-09-07 2016-02-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出し方法
CN109825940A (zh) * 2019-03-14 2019-05-31 桐乡市巨星针织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多层插片及包含多层插片的复合针床
JP7271398B2 (ja) * 2019-11-15 2023-05-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パイル編み用横編機および編成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657B2 (ja) * 1997-08-08 2000-09-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WO2002016684A1 (fr) 2000-08-22 2002-02-28 Shima Seiki Mfg.,Ltd. Machine de tricotage - maillage a mecanisme de transfert et technique de transfert
JP3886903B2 (ja) * 2000-10-20 2007-02-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針
WO2007037285A1 (ja) 2005-09-28 2007-04-05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可動ヤーンガイドを備える横編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5982B2 (ja) * 2003-10-10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編成用カ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657B2 (ja) * 1997-08-08 2000-09-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WO2002016684A1 (fr) 2000-08-22 2002-02-28 Shima Seiki Mfg.,Ltd. Machine de tricotage - maillage a mecanisme de transfert et technique de transfert
JP3886903B2 (ja) * 2000-10-20 2007-02-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針
WO2007037285A1 (ja) 2005-09-28 2007-04-05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可動ヤーンガイドを備える横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0395A1 (en) 2011-11-30
EP2390395B1 (en) 2015-03-04
JPWO2010073558A1 (ja) 2012-06-07
CN102264965A (zh) 2011-11-30
CN102264965B (zh) 2013-09-11
KR20110105376A (ko) 2011-09-26
WO2010073558A1 (ja) 2010-07-01
JP5414698B2 (ja) 2014-02-12
EP2390395A4 (en)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2706B1 (en) Wef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inserting warp and knitting method by that weft knitting machine
KR101209645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디자인 장치
KR101025153B1 (ko)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
KR101387959B1 (ko) 횡편기 및 그 스티치 트랜스퍼 방법
JP2007231447A (ja) 横編機の編成用カム装置
JP5010588B2 (ja) インターシャ柄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横編機
TW202223188A (zh) 圓編機中之提花針織物編織機構、使用該編織機構的編織方法及在該編織機構使用的沈降片
CN201864888U (zh) 可动沉降片及横机
JP5010460B2 (ja) 横編機およびその目移し方法ならびにそのカム機構
KR102434594B1 (ko) 파일편성용 횡편기 및 편성방법
KR102291231B1 (ko)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JP4015973B2 (ja) 編糸保持切断方法および装置
JP5757830B2 (ja) 複合針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横編機のスライダー制御方法
JP2018178293A (ja) カムシステムおよび横編機
EP4332286A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for pile knitting and pile knitting method
KR20030023755A (ko)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코이동 방법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CN214782463U (zh) 一种横机中的织针
CN115074897B (zh) 由横编机编织的绒头编织物的编织方法
CN104342839B (zh) 用于在平型针织机上制造针织件的方法
CN116024727A (zh) 毛圈编织用横机和沉降片以及横机中的毛圈编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