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665B1 -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 및 횡편기의 슬라이더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 및 횡편기의 슬라이더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665B1
KR101347665B1 KR1020120088684A KR20120088684A KR101347665B1 KR 101347665 B1 KR101347665 B1 KR 101347665B1 KR 1020120088684 A KR1020120088684 A KR 1020120088684A KR 20120088684 A KR20120088684 A KR 20120088684A KR 101347665 B1 KR101347665 B1 KR 101347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lider
hook
cam
kn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005A (ko
Inventor
마사키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30029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D04B15/365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with provision for loop transfer from one needle bed to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니트편성을 할 때에, 구스티치가 텅으로부터 훅 내로 떨어지기 어렵게 되고, 신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훅 내에 포착하는 편사가 텅에 걸리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한,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 및 횡편기의 슬라이더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니들 구동버트(22)가 궤적(22t)을 따라 훅(12a)이 니들베드갭(2)으로 진출하면, 텅(13a)은 훅(12a)의 갈고랑이를 열고, 훅(12a)에서 형성된 구스티치는 텅(13a)으로 이행되어 클리어 된다. 훅(12a)이 니들베드(3, 4)측으로 인입될 때에, 급사구(7a)로부터 편사가 훅(12a)의 갈고랑이가 통과하는 범위를 지나가도록 공급되어 편사가 포착된다. 슬라이더캠(36)에 설치되는 가동캠기구(40)는, 중심선(7c) 부근에서, 캠부재(41)의 제어부(41a)가 슬라이더 구동버트(23)에 대한 작용과 비작용을 절환하여 텅(13a)의 위치에 차이(d)를 발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 및 횡편기의 슬라이더 제어방법{FLAT KNITTING MACHINE HAVING COMPOUND NEEDLES, AND CONTROL METHOD FOR SLIDER IN 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바늘본체와 슬라이더(slider)가 조합되어, 바늘본체의 훅(hook)을 슬라이더의 텅(tongue)에 의하여 개폐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복합바늘(compound needle)을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 및 횡편기의 슬라이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전후에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에는 편침으로서 복합바늘을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도7은, 횡편기(1)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하고 있는 상태를 간략화하여 나타낸다.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2)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한 쌍의 니들베드(3, 4)에는, 니들홈(needle groove)(5)이 형성된다. 니들홈(5)은, 니들베드갭(2)측이 높고,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멀어지면 낮아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되고, 지면(紙面)과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있다. 니들홈(5)의 사이에는, 니들 플레이트(needle plate)나 싱커(sinker)(5a)가 설치되고, 싱커(5a)의 니들베드갭측 선단 부근에는, 톱니가 되는 와이어(wire)(6)가 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니들베드갭(2)의 상방에서는, 얀피더(yarn feeder)(7)가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급사구(給絲口)(7a)로부터 편사(8)를 공급한다. 횡편기(1)에서는, 니들베드(3, 4)를 분별하여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조직의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으며, (a)는 플레인 스티치(plain stitch)(9) 등을 일방의 니들베드(3)만을 사용하여 편성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b)는 리브 편성포(rib 編成布)(10) 등을 양방의 니들베드(3, 4)를 사용하여 편성하는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각 니들홈(5)에는, 편침으로서 복합바늘(11)이 수용된다. 복합바늘(11)에는, 바늘본체(12)와 슬라이더(13)가 조합되어 있다. 선두에 훅(12a)을 구비하는 바늘본체(12)에는, 슬라이더 홈(12b)도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13)는, 슬라이더 홈(12b)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바늘본체(12)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고, 선단에 구비되는 텅(13a)에 의하여 훅(12a)의 갈고랑이를 개폐한다.
(a)에 나타나 있는 플레인 스티치(9)를 편성하는 경우에는, 일방의 니들베드(3)만으로부터 훅(12a)을 니들베드갭(2)으로 진출시킨 후에 니들베드(3)로 인입(引入)할 때에, 급사구(7a)로부터 공급되어 훅(12a)의 갈고랑이가 통과하는 범위 내를 지나가는 편사(8)를 훅(12a) 내에 포착한다. 구스티치(舊stitch)(9a)는, 훅(12a)을 니들베드갭(2)으로 진출시킬 때에 훅(12a) 내로부터 클리어 되어, 니들베드(3)측에서 대기하는 슬라이더(13)의 텅(13a)으로 이동하여 결합되어 있다. (b)에 나타나 있는 리브 편성포(10)를 편성하는 경우에는, 양방의 니들베드(3, 4)로부터 예를 들면 교대로 훅(12a)을 니들베드갭(2)으로 진출시켜서 편사(8)를 포착하고, 클리어 한 구스티치(10a)는 텅(13a)으로 이동시킨다.
구스티치(9a, 10a)를 텅(13a)에서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서, 훅(12a)을 니들베드(3, 4)로 더 인입하여 훅(12a)의 갈고랑이를 텅(13a)에 의하여 닫은 후에, 바늘본체(12)와 슬라이더(13)를 니들베드(3, 4)로 더 인입하면, 구스티치(9a, 10a)는 녹 오버(knock over) 되어, 플레인 스티치(9)나 리브 편성포(10)가 되어 니들베드갭(2)으로 늘어지고, 닫힌 훅(12a)에는 신스티치(新stitch)가 형성된다. 또 바늘본체(12)나 슬라이더(13)의 니들베드갭(2)으로의 진퇴는, 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왕복주행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고 각 니들베드(3, 4)에 접하여 배치되는 캠기구(cam 機構)에 의하여 구동된다. 얀피더(7)는, 캐리지와 동기(同期)되어 이동한다. 이러한 캐리지와 얀피더(7)의 동작의 반복에 의하여 플레인 스티치(9)나 리브 편성포(10)가 편성된다.
일본국 특허 제3085657호 공보
니들베드갭(2)으로 진출시킨 후에 니들베드(3, 4)로 인입되는 훅(12a)에 편사(8)를 포착하고, 구스티치(9a, 10a)를 녹 오버 시켜서 신스티치를 확실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편사(8)가 텅(13a)에 걸리지 않도록 급사(給絲)할 필요가 있다. 또 급사할 때에 구스티치(9a, 10a)는 텅(13a)에 결합하여 둘 필요가 있다. 도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한쪽의 니들베드(3)를 사용하여 편성하는 플레인 스티치(9)는, 니들베드갭(2)의 중앙 부근보다 니들베드(3)에 치우친 위치에서 아래로 늘어진다. 도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양측의 니들베드(3, 4)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리브 편성포(10)는, 니들베드갭(2)의 중앙 부근에서 아래로 늘어진다. 플레인 스티치(9) 또는 리브 편성포(10)의 하나의 코스에 대하여 편성이 종료되면, 편성폭의 종단측(終端側)의 끝스티치로부터는, 편성폭 외부로 빠진 얀피더(7)에 편사(8)가 연결되어 교차사(cross-over yarn)가 된다. 이 교차사는, 캐리지가 반전하여 이전 코스의 종단측이 시단측(始端側)이 되어 최초의 스티치가 형성될 때에 공급되는 편사(8)가 된다. 얀피더(7)에 연결되는 교차사는, 텅(13a)에 결합되어 있는 구스티치(9a, 10a)를 기점(起點)으로 하여 되돌린 상태가 되고, 플레인 스티치(9)에서는 니들베드(3)의 가까운 위치, 리브 편성포(10)에서는 니들베드갭(2)의 중앙 가까운 위치를 지나간다. 이러한 편사(8)가 지나는 위치의 차이는, 편성폭의 끝스티치 뿐만 아니라, 편성폭의 내부에서 인타샤 편성(intarsia 編成)을 하는 구간의 단부(端部)나 얀피더(7)의 되돌림을 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하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슬라이더(13)의 대기위치에서는, (a)의 플레인 스티치(9)에서는, 텅(13a)에서 구스티치(9a)를 확실하게 결합하면서, 훅(12a)에서 편사(8)를 확실하게 포착할 수 있다. (b)의 리브 편성포(10)에서는, 급사되는 편사(8)의 위치가 플레인 스티치(9)의 경우보다 텅(13a)으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훅(12a)에 의한 편사(8)의 더 확실한 포착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니들베드갭(2)의 중앙 부근에서 아래로 늘어지는 리브 편성포(10)의 구스티치(10a)의 결합은, 플레인 스티치(9)의 구스티치(9a)보다 니들베드갭(2)측이 되는 높은 위치에서 이루어진다. 구스티치(10a)의 결합은, 텅(13a)의 선단위치 부근에서 이루어진다. 텅(13a)의 선단위치 부근에 여유가 없기 때문에 편성속도의 빠르기 등의 조건에 따라서는, 구스티치(10a)가 다시 훅(12a) 내로 떨어져 버릴 우려가 있다. 클리어 된 구스티치가 훅(12a) 내로 떨어질 우려가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텅(13a)의 위치를 니들베드갭(2)측으로 진행시키도록 조정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플레인 스티치(9) 등을 편성하는 경우에, 니들베드갭(2)측으로 진출하고 있는 텅(13a)에 편사(8)가 걸려 버려서, 훅(12a)에서의 포착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니트편성을 할 때에 구스티치가 텅으로부터 훅 내로 떨어지기 어렵고, 신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훅 내로 포착하는 편사가 텅에 걸리기 어렵게 할 수 있는,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 및 횡편기의 슬라이더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선단에 훅(hook)을 구비하는 바늘본체와, 바늘본체에 대하여 슬라딩(sliding) 이동하고 선단에 구비하는 텅(tongue)에 의하여 훅을 개폐하는 슬라이더(slider)가 조합되어, 바늘본체의 니들 구동버트(needle 驅動butt)와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구동버트(slider 驅動butt)를 캠시스템(cam system)에 의하여 구동하여, 훅을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으로 진출시킨 후에 니들베드(needle bed)로 인입(引入)할 때에 편사를 훅에 포착하는 복합바늘(compound needle)을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니트편성에서, 슬라이더 구동버트가 통과하는 니트루트(knit route)의 궤적에서, 훅에 편사를 포착할 때에 대응하는 구간에 접하고, 슬라이더 구동버트에 대한 작용에 의하여 슬라이더의 위치를, 텅에 결합하는 구스티치(舊stitch)가 훅 내로 떨어지기 어렵게 되는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는 방향의 높은 위치, 또는 얀피더(yarn feeder)로부터 급사(給絲)되는 편사가 텅에 걸리기 어렵게 되는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의 낮은 위치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가동캠기구(可動cam機構)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이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가동캠기구는, 상기 슬라이더 구동버트에 대한 작용과 비작용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훅에 편사를 포착할 때에 대응하는 구간에서의 슬라이더의 위치를 2단계로 절환할 수 있는 캠부재(cam部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캠부재는, 레버(lever) 모양이고, 일단(一端)에 상기 슬라이더 구동버트에 대한 제어를 하는 제어부(制御部), 타단(他端)에 제어를 위한 구동을 받는 구동부(驅動部)가 형성되고, 제어부와 구동부의 중간에서 회전변위가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가동캠기구는,
캠부재를 회전변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actuator)와,
액추에이터의 출력에 의하여 캠부재의 구동부를, 회전변위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加壓部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캠시스템은, 탑재되는 캐리지(carriage)가 왕복주행하더라도 동등한 작용을 하도록, 중심선의 양측이 대칭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동캠기구는,
중심선 부근에 배치되는 1조의 상기 액추에이터 및 상기 가압부재와,
중심선의 양측에서, 중심선으로부터 가까운 위치가 상기 구동부, 먼 위치가 상기 제어부가 되도록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캠부재(cam 部材)를
포함하고,
한 쌍의 캠부재의 구동부를, 1조의 액추에이터 및 가압부재에 의하여 공통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니들베드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니들홈에, 선단에 훅을 구비하는 바늘본체와, 바늘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고 선단에 구비하는 텅에 의하여 훅을 개폐하는 슬라이더가 조합되어, 바늘본체의 니들 구동버트와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구동버트를 캠시스템에 의하여 구동하여, 훅을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킨 후에 니들베드로 인입할 때에 편사를 훅에 포착하는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의 슬라이더 제어방법에 있어서,
니트편성에서, 슬라이더 구동버트가 통과하는 니트루트의 궤적 중에서, 훅에 의하여 편사를 포착할 때에 대응하는 구간에 캠을 형성하여 두고, 캠에 의한 슬라이더 구동버트에 대한 작용에 의하여 슬라이더의 위치를, 텅에 결합하는 구스티치가 훅 내로 떨어지기 어렵게 되는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는 방향의 높은 위치, 또는 얀피더로부터 급사되는 편사가 텅에 걸리기 어렵게 되는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의 낮은 위치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슬라이더 제어방법이다.
또 본 발명에서, 슬라이더의 위치의 제어에 의한 상기 변경은 선침상태(選針狀態)에 따라 하고,
얀피더로부터, 편성되어 니들베드갭으로 늘어지는 편성포에 연장되는 편사가 편성포에 연결되는 위치가, 니들베드갭의 중간보다, 편사를 포착하는 상기 복합바늘이 구비되는 니들베드에 가까운 것인가 아닌가에 의하여, 상기 캠을 통하는 상기 슬라이더 구동버트에 대한 작용을 다르게 되도록 하여, 상기 낮은 위치 또는 상기 높은 위치로 각각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캠기구는, 훅에서 편사를 포착할 때에 텅에 구스티치를 결합하는 슬라이더의 위치를,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는 방향의 높은 위치에서 구스티치가 훅 내로 떨어지기 어렵게 하거나, 또는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의 낮은 위치에서 편사가 텅에 걸리기 어렵게 하거나 하는 변경의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편성하는 편성포의 조직에 따라 구스티치가 텅으로부터 훅 내로 떨어지기 어렵게 되고, 신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훅 내로 포착하는 편사가 텅에 걸리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캠기구는 슬라이더의 위치를 2단계로 절환하면 좋기 때문에, 구성을 간략화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캠시스템 내에서 슬라이더 구동버트에 작용하는 부분에 레버 모양의 캠부재와 액추에이터와 가압부재를 추가하여, 훅에서 편사를 포착할 때의 슬라이더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캠시스템을 탑재하는 캐리지가 왕복주행하더라도 동등한 작용을 하도록 가동캠기구를 포함하는 캠시스템이 중심선의 양측에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액추에이터와 가압부재는 중심선 부근에 배치되기 때문에, 1조로 양측의 캠부재를 동시에 구동하여 캐리지의 주행방향이 어떻게 되더라도 마찬가지로 슬라이더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편성포의 조직에 따라 니들베드갭의 한쪽의 니들베드를 사용하는 경우와, 양측의 니들베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캠에 의한 슬라이더 구동버트에 대한 작용에 의하여 슬라이더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여 확실하게 편성포의 편성을 계속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선침상태에 따라 캠을 통하는 슬라이더 구동버트에 대한 작용을 다르게 하여, 슬라이더의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도1은, 복합바늘(11)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의 횡편기(21)에 사용되는 캠시스템(30)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캠 배치도이다.
도2는, 도1의 가동캠기구(40)의 동작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캠 배치도이다.
도3은, 도1의 횡편기(21)의 동작을 나타내는 간략화한 측면도이다.
도4는, 도1의 가동캠기구(4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는, 도1의 가동캠기구(40)에 포함되는 가압부재(42) 및 캠부재(41)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6은, 도1의 가동캠기구(40)가 설치되는 슬라이더캠(36)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절단면선(C-C)으로부터 본 단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7은, 종래로부터의 횡편기(1)에 있어서 복합바늘(11)의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간략화한 측면도이다.
이하, 도1∼도6에 의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의 횡편기(橫編機)(21)의 구성 및 동작을, 도7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설명에서는, 당해 도면에는 존재하지 않고 앞에서 설명하는 도면에는 존재하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
도1(a)는 복합바늘(compound needle)(11)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복합바늘(11)의 바늘본체(12) 및 슬라이더(slider)(13)에는, 니들 구동버트(needle 驅動butt)(22) 및 슬라이더 구동버트(slider 驅動butt)(23)가 각각 형성된다. 다만 니들 구동버트(22)는, 바늘본체(12)의 꼬리 부분에 결합되는 니들잭(needle jack)(24)에 형성된다. 니들 구동버트(22) 및 슬라이더 구동버트(23)는, 복합바늘(11)의 꼬리 부분측에 형성되고,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는 선침부재(選針部材)의 작용에 의하여 니들홈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할 것인가 아닌가가 제어된다.
도1(b)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나의 실시예로서의 횡편기(21)에서 사용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캠시스템(cam system)(30)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캠시스템(30)은, 니들베드(needle bed)(3, 4)에 접하는 캐리지의 기판(基板)(31)에 배치되고, 니들 레이징캠(needle raising cam)(32), 센터캠(center cam)(33), 스티치캠(stitch cam)(34, 35) 및 슬라이더캠(slider cam)(36) 등을 포함한다. 캠시스템(30)은 중심선(30c)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좌우로의 캐리지의 주행에 대하여 니들 구동버트(22) 및 슬라이더 구동버트(23)에 대한 작용을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스티치캠(34, 35)은, 캐리지의 주행방향을 따라 경사진 안내로를 따르는 슬라이드(slide)에 의하여 위치가 변경되도록 제어된다. 스티치캠(34, 35)의 선행측(先行側)은, 슬라이더캠(36)측으로 대피한다. 스티치캠(34, 35)의 후행측(後行側)은, 신스티치(新stitch)로서 형성되는 루프의 크기를 나타내는 스티치 값에 따라 니들 레이징캠(32)측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면 캠시스템(30)이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캐리지의 주행방향의 경우에, 니들 구동버트(22)는, 니들 레이징캠(32)과, 센터캠(33) 및 스티치캠(34, 35)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니들 안내경로(needle 案內徑路)(37)에 의하여 궤적(軌跡)(22t)을 따라 안내된다. 슬라이더 구동버트(23)는, 슬라이더캠(36)에 형성되는 슬라이더 안내경로(38)에 의하여 궤적(23t)을 따라 안내된다.
얀피더(yarn feeder)(7)는, 급사구(給絲口)(7a)의 중심선(7c)이 캠시스템(30)의 중심선(30c)으로부터 후행측으로 멀어진 위상을 유지하도록 캐리지와 동기(同期)되어 주행한다. 슬라이더(13)는, 캠시스템(30)의 중심선(30c) 부근까지는 바늘본체(12)를 따라 니들베드갭(2)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슬라이더 안내경로(38)에 의한 제한에 의하여 제지되어, 니들베드(3, 4) 내에 대기한다. 니들 구동버트(22)가 궤적(22t)을 따라 훅(12a)을 니들베드갭(2)으로 진출시키면, 텅(tongue)(13a)은 훅(12a)의 갈고랑이를 열어서, 이전 편성코스에서 훅(12a)에 형성되어 결합되어 있었던 구스티치(舊stitch)는 텅(13a)으로 이행되어 클리어 된다. 중심선(30c)에 있어서, 훅(12a)은 니들베드갭(2)으로 가장 진출하고, 이후에는 니들베드(3, 4)측으로 인입된다. 중심선(30c)으로부터 후행측에서는, 얀피더(7)의 중심선(7c)의 위상에서 급사구(7a)로부터 편사가 훅(12a)의 갈고랑이가 통과하는 범위를 지나가도록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캠(36)에 가동캠기구(可動cam機構)(40)를 설치한다. 가동캠기구(40)는, 슬라이더캠(36)의 슬라이더 안내경로(38) 중 얀피더(7)의 중심선(7c)의 위상 부근에 상당하는 구간에서 궤적(23t)의 일부를 절환하는 작용을 하는 캠부재(cam部材)(41)를 포함한다. 캠부재(41)는, 일단(一端)에 제어부(制御部)(41a)를 구비하고, 회전변위에 의하여 제어부(41a)의 슬라이더 구동버트(23)에 대한 작용과 비작용을 절환하여, 슬라이더 구동버트(23)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슬라이더(13)의 위치에 차이(d)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캠부재(41)의 회전변위는, 타단(他端)의 구동부(驅動部)(4lb)에 대하여 가압부재(加壓部材)(42)가 가압됨으로써 발생한다.
도2는, 도1에서의 가동캠기구(40)의 동작을 나타낸다. 캠부재(41)는, 제어부(41a)가 궤적(23t)을 지나가는 슬라이더 구동버트(23)에 대하여 (a)에서는 비작용이고, (b)에서는 작용하도록 절환된다. 캠부재(41)는 레버 모양이고, 타단에는 구동부(4lb)가 형성된다. 슬라이더캠(36)에는, 니들베드(3, 4)에 접하는 표면에 대한 이면측에, 캠부재(41)를 수용하는 수용오목부(36a)가 형성된다. 슬라이더캠(36)의 수용오목부(36a) 내에는, 캠부재(41)를 제어부(41a)와 구동부(4lb)의 중간에서 지지축선(支持軸線)(41c)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변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보스(boss)(36b)가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캠부재(41)에는, 가압부재(42) 및 토크스프링(torque spring)(43)이 작용한다. 또 도2에서는, 캠부재(41)에 있어서 수용오목부(36a)에 수용되는 부분과, 수용오목부(36a) 내의 토크스프링(43)을 편의상 실선으로 표시한다. 이들은 슬라이더캠(36)의 내부에 존재하며, 다른 도면에서는 대응하는 부분이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토크스프링(43)은,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어부(41a)가 슬라이더 구동버트(23)에 비작용이 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가압부재(42)는 출몰(出沒)하는 가압경사면(加壓傾斜面)(42a)을 구비하고 있다. 가압경사면(42a)은, 도면의 전방측이 되는 선단이 하방으로 경사져 있어, (a)에 나타나 있는 침몰상태에서는 캠부재(41)의 구동부(4lb)와 선단 부근에서 접촉하고 있다. 가압경사면(42a)을 지면(紙面)의 표면측으로 돌출시키면,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42)에 대한 구동부(4lb)의 접촉부분이 가압경사면(42a)을 넘어서, 가압부재(42)의 상면이 되는 가압평탄면(加壓平坦面)(42b)으로 이행한다. 이 접촉부분의 이행은, 캠부재(41)를 토크스프링(43)에 의한 가압에 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변위시켜서, 제어부(41a)는 슬라이더 구동버트(23)에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41a)의 회전변위가 아니라, 스티치캠(34, 35)과 같은 슬라이드나 가압부재(42)와 같은 출몰에 의한 작용과 비작용의 절환에 의하여 슬라이더 구동버트(23)의 위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변위나 슬라이드에 의한 경우에, 모두 작용시켜서 그 위치의 차이에 의하여 슬라이더 구동버트(23)의 위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더 구동버트(23)에 작용하는 캠은 고정하여 두더라도 슬라이더 구동버트(23)가 니들홈(5)으로부터 캠측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절환하도록 제어하면, 캠에 의하여 작용과 비작용을 절환하여 슬라이더 구동버트(23)의 위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캠에 높이가 다른 작용부분을 형성하여 두면, 슬라이더 구동버트(23)의 돌출높이의 차이에 의하여 다른 경로로 안내시킬 수도 있다.
도3은, 도2와 같이 절환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13)의 대기위치는 니들베드갭(2)까지의 거리에 관한 것으로서, 차이(d)를 형성하여 절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7(a)에 나타나 있는 플레인 스티치(plain stitch)(9) 등을 편성할 때에는, 텅(13a)의 선단위치를,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의 낮은 위치로 절환한다. 도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브 편성포(rib 編成布)(10) 등을 편성할 때에는, 텅(13a)의 선단위치를, 니들베드갭(2)으로 진출하는 방향의 높은 위치로 절환하여 둔다. 높은 위치에서는, 텅(13a)의 선단위치가 니들베드갭(2)에 근접하기 때문에 일단 클리어 된 구스티치(10a)의 결합위치로부터 텅(13a)의 선단위치까지 여유가 있어, 구스티치(10a)가 훅(12a)측으로는 떨어지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절환을 적절하게 하면, 플레인 스티치(9)나 리브 편성포(10) 등을 편성할 때에, 편성포의 조직에 따라 편성포의 단부(端部)나 편성포의 편성폭 내에서도 인타샤(intarsia) 구간의 단부나 되돌림에 의하여 스티치를 형성하는 부분 등에서도 확실한 스티치 형성을 하도록 할 수 있다. 횡편기(21)는, 컴퓨터를 탑재하여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되기 때문에 자동으로 절환을 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니들베드갭(2)의 한쪽의 니들베드(3)를 사용하는 경우와 양측의 니들베드(3, 4)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선침상태에 의거하여 판단할 수 있다. 미리 횡편기(21)나 디자인 장치에, 이러한 선침상태를 선침 데이터로부터 자동으로 판단하여 텅(13a)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가동캠기구(40)를 통하여 슬라이더 구동버트(23)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다. 텅(13a)이 높은 위치이면, 구스티치(9a, 10a)는 텅(13a)에서 확실하게 결합된다. 텅(13a)이 낮은 위치이면, 편사(8)는 훅(12a)의 갈고랑이 내에 포착되는 위치를 지나갈 때에 텅(13a)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4는, 가동캠기구(40)의 개략적인 측면구성을 나타낸다.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심선(30c)의 양측의 캠부재(41)는, 근접하여 배치되는 구동부(4lb)에 가압부재(42)의 가압경사면(42a) 또는 가압평탄면(42b)이 동시에 작용한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42)는, 축선(軸線)(42c)을 중심으로 하는 축부(軸部)(42d)가 지지블록(支持 block)(44)에 삽입된다. 기단측(基端側)의 솔레노이드(solenoid) 등의 액추에이터(actuator)(43)가 축선(42c)을 따르도록 구동되면, 선단측의 가압경사면(42a) 및 가압평탄면(42b)이 기판(31)의 표면으로 출몰하도록 구동된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압평탄면(42b)까지가 기판(31)으로부터 돌출되면, 도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캠부재(41)의 구동부(4lb)가 도면의 상방으로 밀어 올려져서, 캠부재(41)가 회전변위하여 작용부(41a)가 하방으로 변위된다. 또 가압부재(42)는, 지지블록(44)과 액추에이터(43)의 사이에 삽입되는 압축스프링(45)에 의하여 가압평탄면(42b)이 기판(31)으로 가라앉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가동캠기구(40)에서는, 텅(13a)의 위치를 2단계로 절환하고 있지만, 액추에이터(43)는 에어실린더나 모터를 사용하여 다단계나 무단계로 텅(13a)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텅(13a)의 위치는, 편성포를 하방으로 내리는 힘이나 편성하는 스티치의 막힘상태 등에 의하여 변경하면 좋다.
도5는, (a)에서 가동캠기구(40)에 포함되는 가압부재(42), (b)에서 캠부재(41)의 평면구성, 정면구성 및 우측면구성을 각각 나타낸다. 가압부재(42)의 가압경사면(42a) 또는 가압평탄면(42b)의 작용에 의하여 회전변위하는 캠부재(41)는, 제어부(41a)와 구동부(4lb)의 사이에 지지축선(41c)을 중심선으로 하는 보스삽입구멍(41d)을 구비한다. 보스삽입구멍(41d)에 슬라이더캠(36)의 보스(36b)가 삽입되어, 캠부재(41)는 회전변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도6은, 가동캠기구(40)가 설치되는 슬라이더캠(36)의 평면구성을 (a), 정면구성을 (b), (a)의 절단면선(C-C)으로부터 본 단면구성을 (c) 및 우측구성을 (d)에 각각 나타낸다. (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캠(36)에는, 좌우의 작용부재(41)를 수용하는 수용오목부(36a)가 형성된다. 수용오목부(36a)의 중앙 부근에는, 가압부재(42)의 가압경사면(42a) 및 가압평탄면(42b)을 포함하는 출몰부분을 삽입시키는 가압삽입구멍(36d)이 형성되고, 양단의 하부에는 슬라이더 안내경로(38)와 통하는 개구부(開口部)(36e)가 형성된다. 개구부(36e)를 통하여 캠부재(41)의 제어부(41a)가 슬라이더 안내경로(38)로 돌출되어, 슬라이더 구동버트(23)에 작용할 수 있다.
2 : 니들베드갭
3, 4 : 니들베드
7 : 얀피더
7a : 급사구
8 : 편사
9 : 플레인 스티치
9a, 10a : 구스티치
10 : 리브 편성포
11 : 복합바늘
12 : 바늘 본체
12a : 훅
13 : 슬라이더
13a : 텅
21 : 횡편기
22 : 니들 구동버트
23 : 슬라이더 구동버트
30 : 캠시스템
36 : 슬라이더캠
38 : 슬라이더 안내경로
40 : 가동캠기구
41 : 캠부재
41a : 제어부
4lb : 구동부
42 : 가압부재
42a : 가압경사면
42b : 가압평탄면
43 : 액추에이터

Claims (6)

  1. 선단에 훅(hook)을 구비하는 바늘본체와, 바늘본체에 대하여 슬라딩(sliding) 이동하고 선단에 구비하는 텅(tongue)에 의하여 훅을 개폐하는 슬라이더(slider)가 조합되어, 바늘본체의 니들 구동버트(needle 驅動butt)와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구동버트(slider 驅動butt)를 캠시스템(cam system)에 의하여 구동하여, 훅을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으로 진출시킨 후에 니들베드(needle bed)로 인입(引入)할 때에 편사를 훅에 포착하는 복합바늘(compound needle)을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니트편성에서, 슬라이더 구동버트가 통과하는 니트루트(knit route)의 궤적에서, 훅에 편사를 포착할 때에 대응하는 구간에 접하고, 슬라이더 구동버트에 대한 작용에 의하여 슬라이더의 위치를, 텅에 결합하는 구스티치(舊stitch)가 훅 내로 떨어지기 어렵게 되는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는 방향의 높은 위치, 또는 얀피더(yarn feeder)로부터 급사(給絲)되는 편사가 텅에 걸리기 어렵게 되는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의 낮은 위치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가동캠기구(可動cam機構)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캠기구는, 상기 슬라이더 구동버트에 대한 작용과 비작용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훅에 편사를 포착할 때에 대응하는 구간에서의 슬라이더의 위치를 2단계로 절환할 수 있는 캠부재(cam部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는, 레버(lever) 모양이고, 일단(一端)에 상기 슬라이더 구동버트에 대한 제어를 하는 제어부(制御部), 타단(他端)에 제어를 위한 구동을 받는 구동부(驅動部)가 형성되고, 제어부와 구동부의 중간에서 회전변위가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가동캠기구는,
    캠부재를 회전변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actuator)와,
    액추에이터의 출력에 의하여 캠부재의 구동부를, 회전변위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加壓部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시스템은, 탑재되는 캐리지(carriage)가 왕복주행하더라도 동등한 작용을 하도록, 중심선의 양측이 대칭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동캠기구는,
    중심선 부근에 배치되는 1조의 상기 액추에이터 및 상기 가압부재와,
    중심선의 양측에서, 중심선으로부터 가까운 위치가 상기 구동부, 먼 위치가 상기 제어부가 되도록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캠부재(cam 部材)를
    포함하고,
    한 쌍의 캠부재의 구동부를, 1조의 액추에이터 및 가압부재에 의하여 공통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
  5. 니들베드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니들홈에, 선단에 훅을 구비하는 바늘본체와, 바늘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고 선단에 구비하는 텅에 의하여 훅을 개폐하는 슬라이더가 조합되어, 바늘본체의 니들 구동버트와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구동버트를 캠시스템에 의하여 구동하여, 훅을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킨 후에 니들베드로 인입할 때에 편사를 훅에 포착하는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의 슬라이더 제어방법에 있어서,
    니트편성에서, 슬라이더 구동버트가 통과하는 니트루트의 궤적 중에서, 훅에 의하여 편사를 포착할 때에 대응하는 구간에 캠을 형성하여 두고, 캠에 의한 슬라이더 구동버트에 대한 작용에 의하여 슬라이더의 위치를, 텅에 결합하는 구스티치가 훅 내로 떨어지기 어렵게 되는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는 방향의 높은 위치, 또는 얀피더로부터 급사되는 편사가 텅에 걸리기 어렵게 되는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의 낮은 위치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슬라이더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슬라이더의 위치의 제어에 의한 상기 변경은 선침상태(選針狀態)에 따라 하고,
    얀피더로부터, 편성되어 니들베드갭으로 늘어지는 편성포에 연장되는 편사가 편성포에 연결되는 위치가, 니들베드갭의 중간보다, 편사를 포착하는 상기 복합바늘이 구비되는 니들베드에 가까운 것인가 아닌가에 의하여, 상기 캠을 통하는 상기 슬라이더 구동버트에 대한 작용을 다르게 되도록 하여, 상기 낮은 위치 또는 상기 높은 위치로 각각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슬라이더 제어방법.
KR1020120088684A 2011-09-13 2012-08-14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 및 횡편기의 슬라이더 제어방법 KR101347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99173A JP5757830B2 (ja) 2011-09-13 2011-09-13 複合針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横編機のスライダー制御方法
JPJP-P-2011-199173 2011-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005A KR20130029005A (ko) 2013-03-21
KR101347665B1 true KR101347665B1 (ko) 2014-01-03

Family

ID=4688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684A KR101347665B1 (ko) 2011-09-13 2012-08-14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 및 횡편기의 슬라이더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570535B1 (ko)
JP (1) JP5757830B2 (ko)
KR (1) KR101347665B1 (ko)
CN (1) CN1029952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2867A (zh) * 2016-08-30 2016-12-14 浙江巨福科技有限公司 一种一电机控制两度目结构
CN108221164B (zh) * 2018-03-15 2023-10-13 泉州鹏太机械有限公司 一种基于经编机凸轮机构的贾卡装置
EP4019680B1 (de) * 2020-12-23 2023-06-07 KARL MAYER STOLL R&D GmbH Stricksystem für eine flachstrickmaschine, flachstrickmaschine mit demselbe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flachstrickmas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0762A1 (ja) 2004-12-27 2006-07-06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複合カムシステム
EP2196569A1 (en) 2007-09-05 2010-06-16 Shima Seiki Mfg., Ltd Weft knitting machine
KR101022347B1 (ko) 2003-10-10 2011-03-2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포 편성용 캠 장치
KR101061821B1 (ko) 2004-03-31 2011-09-0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0533B2 (ja) * 1990-02-14 1997-05-1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トランスファー兼用カム
JP3333304B2 (ja) * 1994-03-18 2002-10-1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糸ガイド部材を備えた横編機
JP3465174B2 (ja) * 1995-06-30 2003-11-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ニット,トランスファー兼用カム
JP3085657B2 (ja) * 1997-08-08 2000-09-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DE19914080A1 (de) * 1999-03-27 2000-09-28 Stoll & Co H Flachstrickmaschine
JP4102430B2 (ja) * 2001-08-24 2008-06-1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ループプレッサ、ループプレッサ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ループプレッサを用いる編地編成方法
JP4015978B2 (ja) * 2003-09-02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糸ガイド部材を備えた横編機
EP2336410B1 (en) * 2008-07-23 2016-03-30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Cam for driving knitting needle and weft knitt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347B1 (ko) 2003-10-10 2011-03-2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포 편성용 캠 장치
KR101061821B1 (ko) 2004-03-31 2011-09-0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에 의한 파일 편성방법
WO2006070762A1 (ja) 2004-12-27 2006-07-06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複合カムシステム
EP2196569A1 (en) 2007-09-05 2010-06-16 Shima Seiki Mfg., Ltd Weft knit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70535A1 (en) 2013-03-20
CN102995285A (zh) 2013-03-27
CN102995285B (zh) 2014-07-09
JP5757830B2 (ja) 2015-08-05
EP2570535B1 (en) 2016-04-06
KR20130029005A (ko) 2013-03-21
JP2013060679A (ja)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153B1 (ko) 가동 얀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
JP5330249B2 (ja) 横編機
KR102226578B1 (ko) 횡편기
KR101347665B1 (ko) 복합바늘을 구비하는 횡편기 및 횡편기의 슬라이더 제어방법
JP4125319B2 (ja) 横編機の給糸装置
JP5010588B2 (ja) インターシャ柄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横編機
JP4015973B2 (ja) 編糸保持切断方法および装置
CN110678593B (zh) 横机中的添纱编织方法
CN112813572B (zh) 毛圈编织用横机及编织方法
JP6854688B2 (ja) カムシステムおよび横編機
JP5010460B2 (ja) 横編機およびその目移し方法ならびにそのカム機構
CN102264965B (zh) 横编机及其移圈方法
JP5632277B2 (ja) 横編機の複合針
KR101356443B1 (ko) 트랜스퍼 리시빙 니들용 캠 장치
JP6177263B2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JP2022060095A (ja) 横編機
JP4374313B2 (ja) 横編機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KR20240031145A (ko) 파일편성용 횡편기 및 파일편성방법
KR20230142356A (ko) 횡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