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766B1 - 양면 환편기에 있어서의 선침 장치 - Google Patents

양면 환편기에 있어서의 선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766B1
KR100264766B1 KR1019930004585A KR930004585A KR100264766B1 KR 100264766 B1 KR100264766 B1 KR 100264766B1 KR 1019930004585 A KR1019930004585 A KR 1019930004585A KR 930004585 A KR930004585 A KR 930004585A KR 100264766 B1 KR100264766 B1 KR 100264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jacks
cam
cylinder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4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403A (ko
Inventor
히데도시 소오
Original Assignee
다나까 에이오
가부시키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까 에이오, 가부시키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다나까 에이오
Publication of KR940009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0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for ribbed goods
    • D04B9/0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for ribbed goods for interlock goo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9/2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실린더 편침과 다이얼 편침의 핀헤드끼리 충돌하지 않는 안전성이 뛰어난 인터록 마주침에서의 자카아드 편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전자 선침부(8,9,10)와 이 전자 선침부에 의하여 흡인되는 적어도 2종류의 접극자를 지닌 로킹잭(21a,21b)을 설치한다.
로킹잭(21a,21b)의 상부에 로킹잭(21a,21b)과 동수종류의 버트를 지닌 중간잭(20a,20b)과 그 복수 종류의 버트를 제어하는 복수의 캠트랙을 설치한다. 중간잭(20a,20b)의 상부에 한 종류의 버트를 지닌 실린더 편침(19)을 설치한다.
또한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버트를 지닌 다이얼 편침(22a,22b)과, 그 복수 종류의 버트를 제어하는 복수의 캠트랙으로 된 다이얼캠(23)을 설치한다.

Description

양면 환편기에 있어서의 선침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캠과 핀·잭의 배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제1도의 A-A 단면에 있어서의 로우 버트(low butt)의 선침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하이 버트(high butt)의 선침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제1도의 A-A 단면에 있어서의 하이 전기자의 선침미스 발생을 나타낸 단면도. 이때 핀헤드의 충돌은 면하고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제1도의 B-B 단면에 있어서의 로우 버트의 선침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종래예의 하이 전기자의 선침미스 발생을 나타낸 단면도. 이때 핀헤드가 충돌하고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장치로 편성되는 자카아드 무늬의 한가지 예.
제8도는 제7도의 자카아드 무늬의 편성방법을 나타낸 실린더 핀 및 다이얼 핀의 배열도.
제9도는 제8도의 배열에 따라 형성되는 각 피이더에 있어서의 루우프의 개념도.
제10도는 제9도의 각 루우프의 합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실린더침 상승캠(raising cam) 6 : 중간잭 상승캠
8 : 하부잭(로킹잭) 상승캠 19 : 실린더 편침
20a,20b : 중간잭 21a,21b : 하부잭(로킹잭)
22a,22b : 다이얼 편침
본 발명은 양면 환편기에 있어서 자카아드(jacquard) 편성을 하기 위한 선침(選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양면 환편기에 있어서의 편성에서는 다이얼 편침과 실린더 편침의 상대 위치관계가 리브 마주침(rib encounter)(다이얼 편침과 실린더 편침이 상대하는 위치가 서로 차이지게 배치되어 있는 마주침)의 경우와 인터록 마주침(inlerlock encounter)(다이얼 편침과 실린더 편침이 완전히 상대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마주침)의 경우는 주지되어 있다.
리브 마주침에 있어서는 니트(knit) 위치 또는 턱(tuck) 위치까지 선침되는 실린더 편침의 헤드가 니트위치 또는 턱위치까지 선침되는 다이얼침의 헤드와 서로 충돌하는 일은 없다. 예컨대 본원 출원인 자신의 특허인 일본국 특공소 53-1865호 발명의 선침장치(첨부한 제6도에 거의 상당함)에 의한 양면 환편기에서는 리브 마주침만의 편성을 하고 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선침 미스가 있었을 때나 정전이 발생하여 선침을 할 수 없을 때, 모든 실린더 침(19)이 니트위치 또는 턱위치까지 상승하는 한편, 다이얼 캠(23)에 의하여 선침된 다이얼 편침(22a, 22b)은 턱위치 또는 니트위치까지 전진하므로, 실린더 편침(19)과 다이얼 편침(22a,22b)의 헤드가 충돌하여 버리기 때문이다.
한편, 인터록 마주침에 있어서는 상대하는 다이얼 편침과 실린더 편침의 쌍방을 동시에 작동시키면 핀끼리 충돌하여 손상하므로, 다이얼 편침과 실린더 편침의 어느 한쪽밖에 선침할 수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린더 편침과 다이얼 편침의 헤드끼리 충돌하지 않는 극히 안전성이 뛰어난 인터록 마주침에서의 자카아드 편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면 환편기에 있어서의 선침장치는, 다음의 (A)~(D)의 구성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선침부와 이 선침부에 의하여 선침되는 복수 종류의 버트 또는 접극자(接極子)를 지닌 하부잭을 설치하고, 이때 하부잭은 보텀(bottom) 위치로부터 웰트(welt) 위치까지 상하 작동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B) 하부잭의 상부에 하부잭과 같은 수의 종류의 버트를 지닌 중간잭을 설치하고, 이때 중간잭은 보텀위치로부터 턱위치까지 상하 작동할 수 있도록 설정하며, 또한 하부잭과 중간잭이 동일 종류의 조합이 되도록 배열하고, 중간잭 선침부는 중간잭의 복수 종류의 버트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대응한 수의 캠트랙을 설치한다.
(C) 중간잭의 상부에 실린더 편침을 설치하고, 이때 핀은 웰트 위치로부터 니트위치까지 상하 작동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D)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버트를 지닌 다이얼 편침과, 그 복수 종류의 버트를 제어하는 복수의 캠트랙으로 된 다이얼캠을 설치한다.
하부잭은, 예컨대 전자(電磁) 선침부에 의하여 흡인되는 적어도 2 종류의 접극자를 지닌 록킹잭이다.
중간잭 선침부의 캠구성으로서는, 예컨대 중간잭 상하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업퍼 가아드 캠(upper guard cam)·로우워(lower) 가아드 캠과, 하부잭에 의해 밀려 상방으로 올려진 중간잭을 더욱 상승시키기 위하여, 중간잭의 버트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있어서, 작용, 비작용의 위치로 선택할 수 있는 중간잭 상승캠을 설치한다.
실린더 선침부의 캠구성은, 예컨대 실린더 편침 상하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업퍼 가아드 캠·로우워 가아드 캠과, 중간잭에 의하여 밀려 상방으로 올려진 실린더 편침을 더욱 상승시키기 위하여 실린더 편침의 버트선택에서 작용·비작용의 위치로 선택할 수 있는 실린더 편침 상승캠과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한 스티치캠을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선침부에 의하여 선침되는 하부잭의 상부에 배열된 중간잭을 재선침하여, 중간잭의 상부에 배열된 실린더 편침을 선침한다. 따라서, 본래 웰트선침되는 개소의 선침부에서 선침미스가 발생하여도, 하부잭은 보텀위치로부터 웰트위치까지 밖에 상승하지 않으며, 하부잭에 의하여 밀려 상승된 중간잭 상승캠을 비작용 위치로 설정하여두면 중간잭 상승캠과 중간잭의 버트가 맞물리지 않아서 중간잭은 웰트위치를 유지한다. 그 결과, 중간잭 상부에 배열된 실린더 핀은 웰트 선침되므로, 실린더 편침과 다이얼 핀의 헤드끼리 충돌하는 일은 없다.
다음에 첨부 도면을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주요부분의 캠과 핀 잭의 배열도이다.
환편기의 회전실린더(24)의 외주에는 실린더홈이 있고, 각 실린더 홈에는 한 종류의 실린더 편침(19)이 설정되어 있다. 실린더 편침(19)은 대향하는 캠호울더에 부착되어 있는 캠(1,2,3,4)의 작용을 받아서 실린더홈안을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각 실린더 편침(19)의 밑에는 2종류의 중간잭(20a,20b)이 번갈아 설정되어 있다. 2종류의 중간잭은 버트위치가 다르며(하이 버트, 로우 버트라 함), 대향하는 캠호울더에 부착되어 있는 2 레이스(lace)의 캠(5,6,7)의 작용을 받아서 실린더홈안을 세로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중간잭 상승캠(6)은 중간잭의 버트선택에서 작용·비작용의 위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중간잭 상승캠(6)은 각 레이스에 대하여 작용 또는 비작용 위치로 선택 설정할 수 있는데, 제1도의 실선 부분이 작용위치이며 파선부분이 비작용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각 중간잭(20a,20b)의 밑에는 2종류의 하부잭(예컨대 로킹잭)(21a,21b)이 번갈아 설정되어 있다. 2종류의 로킹잭(21a,21b)은 접극자(21c,21d)의 높이가 다르며(하이 접극자, 로우 접극자라 함), 각기 세로 방향 및 실린더 축 방향에 대하여 중앙부를 받침전으로 하여 자유로이 요동할 수 있다. 로킹잭(21a,21b)과 중간잭(20a,20b)은 동일종류의 조합이 되도록 배열한다.
한편, 환편기의 다이얼(25)쪽에는 다이얼홈이 있고, 각 다이얼홈에는 2종류의 다이얼 편침(22a,22b)이 설정되어 있다(제2도, 제3도 참조). 2종류의 다이얼 편침(22a,22b)은 버트위치가 다르고(하이 버트, 로우 버트라 함), 대향하는 캠트랙에 설치된 2레이스의 캠의 작용을 받아서 다이얼홈안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다이얼 편침 상승캠(23)은 다이얼 편침(22a,22b)의 버트선택에서 작용 또는 비작용 위치로 선택할 수 있다. 다이얼 편침 상승캠(23)이 작용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턱 또는 니트 선침하고 비작용시에는 웰트선침한다.
제2도는 제1도의 A-A 단면에 있어서의 로우 버트를 구비한 중간잭(20b)의 선침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A-A 단면에 있어서의 하이 버트를 구비한 중간잭(20a)의 선침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중간잭 상승캠(6)이 작용위치에 있을 경우, 홀수 피이더에서는 로우 버트를 구비한 중간잭(20b)만을 웰트 또는 니트 선침하고(제2도 참조), 하이 버트를 구비한 중간잭(20a)은 웰트 선침한다(제3도 참조).
짝수 피이더에서는 하이 버트를 구비한 중간잭(20a)만을 웰트 또는 니트 선침하고, 로우 버트를 구비한 중간잭(20b)은 웰트 선침한다.
이때 다이얼(25)쪽의 캠배열에 있어서도 제1피이더에서는 하이 버트를 구비한 다이얼 편침(22a)을 웰트하고(제2도 참조), 로우 버트를 구비한 다이얼 편침(22b)은 니트선침한다(제3도 참조).
다이얼(25)쪽의 제2피이더에서는 로우 버트를 구비한 다이얼 편침(22b)을 웰트 선침하고, 하이 버트를 구비한 다이얼 편침(22a)은 니트선침한다.
제4도는 제1도의 A-A 단면에 있어서의 하이 접극자(21c)를 구비한 로킹잭(21a)의 선침 미스 발생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때 중간잭 상승캠(6)은 비작용위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잭(20a)의 버트는 중간잭 상승캠(6)에 맞물리지 않으며, 중간잭(20a)은 웰트위치를 유지하여 실린더(24)의 원주방향으로 가로로 이동한다. 즉, 중간잭(20a)에 작용되지 않는 실린더 편침(19)은 웰트 위치에 있기 때문에 다이얼 편침(22b이 턱 또는 니트 선침되어도 실린더 편침(19)과 다이얼 편침(22b)의 헤드끼리 충돌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터록 마주침에서는 본래 웰트 선침되는 개소(본 실시예에서는 하이 접극자(21c)를 구비한 로킹잭(21a)이 홀수 피이더로써 웰트 선침되는 경우)의 전자(電磁) 선침부에서 선침미스가 발생하여도 로킹잭(21a)은 보텀위치로부터 웰트위치까지 밖에 상승하지 않으며, 로킹잭에 의하여 밀려 상승된 중간잭 상승캠(6)을 비작용 위치로 설정하여 두면 중간잭 상승캠(6)과 중간잭(20a)의 버트가 맞물리지 않아서 중간잭(20a)은 웰트 위치를 유지한다. 그 결과 중간잭 상부에 배열된 실린더 편침(19)은 웰트 선침되므로, 실린더 편침(19)과 다이얼 편침(22b)의 핀헤드끼리는 충돌하는 일이 없다.
다음에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의 웰트, 니트, 턱의 각 선침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여러 개의 접극자를 구비한 하부잭(21a,21b)을 전자(電磁) 선침하고 있으나, 여러 개의 버트를 설치한 하부잭을 기계적으로 선침하는 것도 가능하다.
[웰트 선침]
a) 전자 선침부(8,9,10)에서 웰트 선침된 하부잭(예컨대 로킹잭)(21a,21b)은 전자 선침부의 제어 전자석(9)에 의하여 로킹잭(21a,21b) 하부의 접극자(21c,21d)가 흡인되어 보텀위치(18)를 실린더(24)의 원주방향으로 가로로 이동한다.
b) 중간잭(20a,20b)은 중간잭용 로우워 가아드 캠(5)을 따라서 보텀위치(16a,16b)를 실린더(24)의 원주방향으로 가로로 이동한다.
c) 실린더 편침(19)은 실린더 편침용 로우워 가아드 캠(3)과 스티치캠 하부(4)를 따라서 웰트위치(13)를 실린더(24)의 원주방향으로 가로로 이동한다.
이때, 로킹잭(21a,21b)과 중간잭(20a,20b), 그리고 실린더 편침(19)은 각각 접하고 있지 않다.
[니트 선침]
a) 전자 선침부(8,9,10)에서 니트 선침된 로킹잭(21a,21b)은 전자 선침부의 영구자석(10)에 의하여 로킹잭 상부의 접극자(21e)가, 흡인되어 상부의 접극자가 로킹잭 상승캠(8) 상면에 걸리고, 로킹잭(21a,21b)이 로킹잭 상승캠(8) 상면을 따라서 보텀위치(18)로부터 웰트위치(17)까지 상승하여, 로킹잭(21a,21b) 상면에서 보텀위치(16a,16b)에 있는 중간잭(20a,20b)을 웰트위치(15a,15b)까지 밀어올린다(제2도 참조).
b) 중간잭(20a,20b)의 버트가 중간잭 상승캠(6) 상면에 걸리고, 중간잭(20a,20b)이 중간잭 상승캠(6) 상면을 따라서 웰트위치(15a,15b)로부터 턱위치(14a,14b)까지 상승하여, 중간잭(20a,20b) 상면에서 웰트위치(13)에 있는 실린더 편침(19)을 턱위치(12)까지 밀어 상승시킨다.
c) 실린더 편침(19)의 버트가 핀상승캠(2) 상면에 걸리어 실린더 편침(19)이 핀상승캠(2) 상면을 따라서 턱위치(12)로부터 니트위치(11)까지 상승한다(제5도 참조).
[턱 선침]
a) b)에 대하여는 니트선침과 같은 동작을 한다.
c) 실린더 편침(19)의 버트는 핀 상승캠(2)이 비작용 위치에 있기 때문에 핀 상승캠(2)의 작용을 받지 않고 실린더 편침(19)은 턱 위치를 실린더(24)의 원주방향으로 가로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한 편성 방법의 한 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7도의 자카아드 무늬를 검은실과 흰실의 2가지 색실을 사용하여 제8도와 같이 배열된 실린더 핀 및 다이얼 편침을 사용하여 편성한다. 제1피이더 및 제4피이더에서는 흰실을 공급하고, 제2피이더 및 제3피이더에서는 검은 실을 공급한다.
제8도에 있어서, 「H」는 하이 버트를 구비한 다이얼 편침 또는 하이 버트를 구비한 중간잭을 의미한다. 「L」은 로우 버트를 구비한 다이얼 편침 또는 로우 버트를 구비한 중간잭을 의미한다.
제8(a),(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수 피이더(제1피이더, 제3피이더)에서는 로우 버트를 구비한 다이얼 편침 및 로우 버트를 구비한 중간잭만을 니트 선침하며, 하이 버트를 구비한 다이얼 편침 및 하이 버트를 구비한 중간잭은 모두 웰트선침한다.
제8(b),(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짝수 피이더(제2피이더, 제4피이더)에서는 하이 버트를 구비한 다이얼 편침 및 하이 버트를 구비한 중간잭만을 니트선침하고, 로우 버트를 구비한 다이얼 편침 및 로우 버트를 구비한 중간잭은 모두 웰트 선침한다.
더욱이 도면에서는 니트 선침만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턱 선침도 가능하다. 또, 홀수 피이더와 짝수 피이더에서의 선침이 대체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하여 각 피이더에서는 제9(a),(b),(c),(d)도와 같이 루우프가 형성되어, 상기한 4피이더에서 편성된 루우프가 중합되어서 제10도와 같은 자카아드 무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선침부에서 선침 미스가 발생하여도 하부잭은 보텀위치로부터 웰트위치까지 밖에 상승하지 않으며, 하부잭에 의하여 밀려 상승된 중간잭 상승캠을 비작용위치로 설정하여 두면 중간잭 상승캠과 중간잭의 버트가 맞물리지 않아서, 중간잭은 웰트위치를 유지한다. 그 결과 중간잭 상부에 배열된 실린더 편침은 웰트 선침되므로 실린더와 다이얼의 핀헤드끼리 충돌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극히 안정성이 높은 인터록 마주침에서의 자카아드 편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서 성취한 인터록 마주침의 자카아드의 직물은 직물표면의 표면사 루우프의 사이로부터 이면사 루우프(裏面絲 loop)가 보이는 뒤묻음(set-off)이 적고, 또 가로줄 무늬모양의 선이 요철의 물결상태로 되기 어렵고, 또한 직물의 유연성이 풍부하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가) 선침부(8,9,10)와 이 선침부에 의하여 선침되는 복수 종류의 버트 또는 접극자를 지닌 하부잭(21a,21b)을 설치하고, 이때 하부잭은 보텀위치(18)로부터 웰트위치(17)까지 상하 작동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나) 하부잭(21a,21b)의 상부에 하부잭(21a,21b)과 같은 수의 종류의 버트를 지닌 중간잭(20a,20b)을 설치하고, 이때 중간잭은 보텀위치(16a,16b)로부터 턱위치(14a,14b)까지 상하 작동할 수 있도록 설정하며, 또한 하부잭(21a,21b)과 중간잭(20a,20b)이 동일 종류의 조합이 되도록 배열하고, 중간잭 선침부(5,6,7)는 중간잭(20a,20b)의 복수 종류의 버트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그 버트에 대응한 수의 캠트랙을 설치하며, (다) 중간잭(20a,20b)의 상부에 실린더 편침(19)을 설치하며, 이때 핀은 웰트위치(13)로부터 니트위치(11)까지 상하 작동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라)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버트를 지닌 다이얼 편침(22a,22b)과, 그 복수 종류의 버트를 제어하는 복수의 캠트랙으로 된 다이얼캠(23)을 설치한 구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환편기에 있어서의 선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잭(21a,21b)이 전자 선침부(8,9,10)에 의하여 흡인되는 적어도 2종류의 접극자(21c,21d)를 지닌 로킹잭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환편기에 있어서의 선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간잭 선침부(5,6,7)의 캠구성으로서 중간잭(20a,20b) 상하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업퍼 가아드 캠(5)· 로우워 가아드 캠(7)과, 하부잭(21a,21b)에 의하여 밀려 상승된 중간잭(20a,20b)을 더욱 상승시키기 위하여 중간잭(20a,20b)의 버트를 규제하는 제어수단에 있어서 작용·비작용의 위치로 선택할 수 있는 중간잭 상승캠(6)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환편기에 있어서의 선침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실린더 편침 선침부(1,2,3,4)의 캠구성으로서 실린더 편침(19) 상하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업퍼 가아드 캠(1)·로우워 가아드 캠(3)과, 중간잭(20a,20b)에 의하여 밀려 상승된 실린더 편침(19)을 더욱 상승시키기 위하여 실린더 편침(19)의 버트 선택에 있어서 작용·비작용의 위치로 선택할 수 있는 실린더 편침 상승캠(2)과,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한 스티치캠(4) 등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환편기에 있어서의 선침장치.
KR1019930004585A 1992-10-09 1993-03-24 양면 환편기에 있어서의 선침 장치 KR100264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797792A JP3462226B2 (ja) 1992-10-09 1992-10-09 両面丸編機における選針装置
JP92-297977 1992-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403A KR940009403A (ko) 1994-05-20
KR100264766B1 true KR100264766B1 (ko) 2000-09-01

Family

ID=1785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4585A KR100264766B1 (ko) 1992-10-09 1993-03-24 양면 환편기에 있어서의 선침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59865A (ko)
EP (1) EP0591987B1 (ko)
JP (1) JP3462226B2 (ko)
KR (1) KR100264766B1 (ko)
DE (1) DE69312621T2 (ko)
ES (1) ES2106241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784A1 (ko) * 2018-08-31 2020-03-05 동일편직기계 주식회사 환편기의 선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358A (ja) * 1996-06-20 1998-01-13 Fukuhara Seiki Seisakusho:Kk 丸編機における編みツール制御装置
ES2153724B1 (es) * 1997-10-07 2001-08-01 Jumberca Sa Sistema de seleccion de agujas para mquina circular de genero de punto.
US6101848A (en) * 1999-08-05 2000-08-15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Computer controlled needle selection structure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CA2363425A1 (en) 2001-11-20 2003-05-20 Francois Masse Knit construction
GB0220181D0 (en) 2002-08-30 2002-10-09 Monarch Knitting Machinery Uk Weft knitted spacer fabrics
JPWO2004086889A1 (ja) * 2003-03-28 2006-06-29 グンゼ株式会社 インナーウェアー及びハイゲージ丸編み機及びハイゲージ丸編み機を用いた編成方法
US7849715B2 (en) * 2006-02-13 2010-12-14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Variable power zone spacer fabric
EP1975294B2 (en) 2007-03-27 2021-03-10 Lava BVBA Method for knitting a double jersey knit fabric on a double jacquard circular knitting machine
KR200464663Y1 (ko) * 2011-10-12 2013-01-15 김영수 환편기용 실린더 바늘구조체
US10368590B2 (en) 2015-11-03 2019-08-06 Nike, Inc. Flat-knit support garment for upper torso
US10612169B2 (en) * 2017-04-13 2020-04-07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Knitting mechanism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US10179960B2 (en) 2017-05-02 2019-01-15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ubular-jacquard knit structure
US10145042B2 (en) * 2017-05-02 2018-12-04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ubular-jacquard knit structure
US10912340B2 (en) 2017-05-02 2021-02-09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ubular-jacquard knit structure
US10415164B2 (en) 2017-05-02 2019-09-17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hree-dimensional knit structures
CN107574553B (zh) * 2017-08-08 2023-04-28 泉州全能智控机械研究所有限公司 可分段走针的提花片组件、纬编机针床提花机构及纬编机
EP3441510A1 (en) 2017-08-11 2019-02-13 Terrot GmbH Method for producing a double knit fabric on a circular double jersey knitting machine
US11142854B2 (en) 2018-10-03 2021-10-12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hree-dimensional knit structures
US11819064B2 (en) * 2018-11-30 2023-11-21 Nike, Inc. Upper torso garment with varied tuck binder knit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2213A (en) * 1937-09-11 1941-11-11 Lefier Patent Company Inc Textile machine
ES439702A1 (es) * 1975-07-24 1977-03-01 Jumberca Sa Perfeccionamientos en los telares de generos de punto.
US3967468A (en) * 1975-10-14 1976-07-06 The Singer Company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producing interlock fabric
GB1565948A (en) * 1976-10-13 1980-04-23 Marathon Knitwear Ltd Interlock knitting machines
DE3542178A1 (de) * 1985-11-29 1987-06-04 Kaiser Peter Verfahren zur erweiterung von jaquard-maschinen mit 2-weg-technik auf 3-weg-technik, insbesondere fuer strickmaschinen
JPS63211348A (ja) * 1987-02-27 1988-09-02 株式会社 福原精機製作所 丸編機の選針装置
ES2082920T3 (es) * 1990-10-05 1996-04-01 Matec Srl Dispositivo de seleccion de agujas en una maquina tricotosa circular con empujadores elastico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784A1 (ko) * 2018-08-31 2020-03-05 동일편직기계 주식회사 환편기의 선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12621D1 (de) 1997-09-04
DE69312621T2 (de) 1998-03-12
US5359865A (en) 1994-11-01
JPH06123048A (ja) 1994-05-06
EP0591987B1 (en) 1997-07-30
JP3462226B2 (ja) 2003-11-05
EP0591987A1 (en) 1994-04-13
KR940009403A (ko) 1994-05-20
ES2106241T3 (es) 199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4766B1 (ko) 양면 환편기에 있어서의 선침 장치
KR100478553B1 (ko)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구비한 횡편기
US6735987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plush fabrics
JPH0157173B2 (ko)
EP0449549B1 (en) Stitch increasing method and cams for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stitch increasing function
US4926660A (en) Method of knitting jacquard knit fabric by circular knitting machine
US4519221A (en) Knitting machine
KR950001716B1 (ko) 스타킹용 다중 급사 원편기
EP0422917B1 (en) Knit fabric with inlay pile yarn and method
US5109680A (en) Method and machine for knitting jacquard pile fabric
EP0634510B1 (en) Method of knitting a fabric having improved non-run and elasticity characteristics
JPH04316647A (ja) 丸編み機の針選択装置
TWI746478B (zh) 圓編機之編織方法及編織機構以及該圓編機
EP12532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nitting a fabric with a lay-in yarn o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US6854294B2 (en) Method and knitting machine for producing knitwear, especially from hard, inelastic thread material
US4956981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multiple number of feeds
US3967468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producing interlock fabric
US4516412A (en) Cambox for a flat knitting machine
GB2173220A (en) Multisystem circular knitting machine
US4559791A (en) Flat knitting machine with selective needle selection
US10612169B2 (en) Knitting mechanism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US3681941A (en) Yarn feeding arrangement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EP0325551B1 (en) A device for positioning a yarn relative to a needle in a knitting machine
KR200286576Y1 (ko) 환편기의 수평캠 구조
KR100318757B1 (ko) 원형 편성기용 컴퓨터 제어방식의 니이들 선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