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716B1 - 스타킹용 다중 급사 원편기 - Google Patents

스타킹용 다중 급사 원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716B1
KR950001716B1 KR1019930007136A KR930007136A KR950001716B1 KR 950001716 B1 KR950001716 B1 KR 950001716B1 KR 1019930007136 A KR1019930007136 A KR 1019930007136A KR 930007136 A KR930007136 A KR 930007136A KR 950001716 B1 KR950001716 B1 KR 950001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s
knitting machine
selector
circular knitting
ja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850A (ko
Inventor
로나티 파우스토
로나티 에또레
로나티 티베리오
Original Assignee
산토니 에스.알.엘.
로나티 티베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니 에스.알.엘., 로나티 티베리오 filed Critical 산토니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930021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82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needle cams u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타킹용 다중 급사 원편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원편기의 축방향 부분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원편기의 캠스커트의 평면 전개도이며, 또한 선택장치들, 급사구들 및 스티치 형성 요소들의 유효위치들의 일부가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편기 2 : 실린더
3 : 트릭(trick) 4 : 편침
5 : 잭(jack) 6 : 셀렉터(seclector)
7 : 구조물 8 : 캠
9 : 편침버트(butt) 10 : 잭버트
11 : 셀렉터견부 12 : 패턴버트
13 : 제어비트 14 : 캠
15 : 구조물 17, 18 : 레버
19 : 제어장치 20 : 캠
21 : 셀렉터의 돌출부(appendix) 22 : 잭의 저부 모서리
23 : 셀렉터 받침대(fulcrum) 24 : 캠
25, 26, 27, 28, 29, 30 : 급사구
31, 32, 33, 34, 35, 36 : 실 가이드(guide)
37, 52 : 캠 S1, S2, S3, S4, S5, S6 : 선택위치
본 발명은 특히, 스타킹용 다중 급사 원편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스타킹과 같은 다색 편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소직경형 원편기에 관한 것인데, 이 원편기는 수직 트릭들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편침 실린더를 갖고 있으며, 이 수직 트릭들안에서 편침들, 잭들 및 아래 위치한 셀렉터들이 미끄럼 운동을 하며, 또한 이들은 회전가능한 실린더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이들의 비트들에 작용하는 캠들에 의해 제어된다. 셀렉터들은 급사구들과 관련된 선택장치들에 의해 관련 편침들을 여러 급사구에서 작동시키거나 또는 작동시키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원편기에서, 편침 실린더의 직경, 즉 원주가 작다는 사실을 급사구의 수 및 정확한 선택이 가능한 위치들의 수를 제한하기 때문에, 결국 가능한 패턴들의 수도 제한된다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다. 즉, 가능한 다색 패턴들의 다양성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편침들을 턱크 스티치 위치등과 같은 여러 위치들로 상승시킴으로서 생기는 패턴들의 다양성 또한 제한된다.
이러한 제한은 편침들, 잭들 및 셀렉터들의 상승 및 하강캠들이 일정 최대 경사도, 즉 45°를 초과할 수 없으며, 셀렉터들을 선택하기 위한 공간이 실린더 원주를 따라 남아있어야 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캠들이 더 큰 경사도를 갖게되면, 편침들, 잭들 및 셀렉터들이 움직이지 않게 되어 연속작동이 허용되지 않는다. 캠들이 더 작은 경사도를 갖게되면 선택위치들 사이의 피치가 동일캠 상승 높이 및 실린더 원주에 대해 실질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선택위치들의 최대수는 더욱 감소하게 된다.
선택위치들의 수가 커질수록 다색 패턴들, 망사패턴들 등과 같이, 패턴 편성물에 가능한 패턴들 또는 배합의 다양성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실린더 또는 편침 원 직경에 대해 선택의 용이성, 따라서 스타킹용 원편기에서 얻을 수 있는 패턴의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또 하나의 목적은 종래의 스티치 형성요소들, 즉 종래의 방법으로 만들 수 있는 일반적인 편침, 잭, 셀렉터를 사용하며 제작비가 많이드는 특수한 편침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독특한 형태의 원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함에 있어서, 또 하나의 목적은 널리 공지되어 신뢰성 있는 선택장치들을 사용할 수 있는 원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캠들, 실가이드 및 원편기의 대표적인 다른 요소들에도 적용된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고자 할 때, 셀렉터들 또는 잭들 또는 편침들에 대한 상승 및 하강각도가 종래의 최대한계를 넘어서는 안되며, 따라서 완전한 작동신뢰성을 보장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라 수직 트릭들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편침실린더와 비트들과 맞물려 편침들, 잭들 및 셀렉터들을 제어하는 캠들로 구성된 스타킹용 다중급사 원편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데, 이 원편기는 편침들, 잭들 및 셀렉터들이 트릭들 안에서 미끄럼운동을 하며, 편침실린더는 캠들에 대해 구동되며, 또한 이 실린더에는 급사와 관련된 다수의 선택위치들이 제공되며, 셀렉터들은 관련 편침들을 작동시키거나 작동시키지 않도록 선택되며, 또한 받침대에 대해 진동하는 형태를 갖고 있으며, 또한 셀렉터들은 잭들 및 편침들이 미끄럼운동을 하는 트릭부분보다 실린더축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한 편침실린더 트릭의 일부분안에서 미끄럼운동이 가능한 하나의 생크(shank)를 갖고 있으며, 또한 편침실린더를 향해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관련 잭들과 맞물리기 위한 하나의 돌출부를 갖고 있으며, 셀렉터 진동받침대가 관련 잭들의 방사상 바깥모서리 위에 위치하며, 셀렉터 상승캠들이 잭상승캠들보다 더 낮게 위치하며, 또한 셀렉터들은 관련 잭들이 하강할 때, 또는 잭하강 캠들 위에 가장 낮은 위치에 도달하려할 때 관련 잭들과 무관하게 선택위치에 다시 도달하도록 하강캠들에 의해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이다.
이롭게도, 이러한 형태의 원편기에서 셀렉터 상승 및 하강캠들은 원주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따라서 편침원보다 더 큰 원주를 갖게되며, 또한 이 캠들은 잭상승 및 하강 캠들보다 더 낮게 위치하기 때문에 편침들이 작동하는 실린더부분, 즉 편성호스를 형성하는 부분의 동일직경에 대해 더 많은 수의 선택위치들이 제공될 수 있다. 편침실린더의 방사상 안쪽으로 돌출한 셀렉터 돌출부에 의해 잭들의 상승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데, 셀렉터들 및 잭들 사이의 결합이 일반적인 원편기에서처럼 실린더트릭의 저부근처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관련 편침들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승된 셀렉터들은 잭들에게 초기운동만을 제공하며, 잭상승운동의 나머지는 캠들에 의해 제공된다. 따라서, 셀렉터들은 잭들보다 먼저 다시 하강하며, 따라서 잭들에 의해 셀렉터들은 선택이 일어나는 위치로 하강하도록 할 필요가 없게된다. 따라서, 잭들이 최대 하강위치에 도달할 때 셀렉터들은 이미 선택위치에 있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새로운 하나의 선택이 즉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방금 작동된 편침들을 다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얻을 수 있는 패턴들의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셀렉터 받침대를 잭들의 방사상 바깥 모서리 위에 배치시킴으로서 잭들이 운동하고 있는 동안 셀렉터들은 선택을 위해 정상적인 진동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편기에서, 실린더축으로부터 상이한 방사상의 거리에 있는 비트들, 즉 셀렉터 비트들이 잭비트들보다 더 먼 거리에 위치해 있는 셀렉터 비트들 및 잭비트들에 작용하는 셀렉터 및 잭 상승 및 하강캠들은 모두 45°의 한계각 안에 유지될 수 있는데, 이것은 셀렉터에 작용하고 실린더축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캠들이 잭들에 작용하며 실린더축으로 부터 더 가까이 위치한 캠들보다 더 작은 높이 및 길이를 갖고 있기 때문이며, 따라서 잭에 작용하는 캠들은 더 높이 위치하는 것은 물론 더 큰 넓이를 가질 수 있는데, 이것은 셀렉터들을 하강시키는 것이 잭들의 하강운동이 아니라 그대신 셀렉터 하강캠들에 의해 잭들과 무관하게 하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속도 및 신뢰성에 있어서 저하되지 않는 반면, 동일한 편침수 및 편침 원직경, 즉 편성호스의 크기를 결정하는 실린더부분의 직경을 가진 기존의 원편기에서 가능한 것보다 더 많은 선택위치들을 제공한다. 종래의 실린더 직경인 3.5인치의 직경을 가진 본 발명의 원편기에서 6개의 선택위치들로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5가지 색상 및 한 가지 바탕실로 편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상세한 사항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의 목적으로 주어진 본 발명의 우선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면들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스타킹 제조용 소직경형 단일 실린더 원편기 (1)는 공지의 방법으로 수직(세로)트릭들(3)이 제공되어 있는 하나의 실린더(2)를 갖고 있으며, 이 실린더(2)안에서 편침들(4), 잭들(5) 및 하부의 셀렉터들(6)이 미끄럼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실린더(2)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데, 고정된 구조물(7)이 실린더(2)를 둘러싸고 있으며, 또한 이 구조물(7)은 편침들(4), 잭들(5) 및 셀렉터들(6)을 제어하기 위한 캠들(8)을 지니고 있다. 이제부터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 캠들(8)은 편침들(4)의 비트들(9), 잭들(5)의 비트들(10) 및 셀렉터들(6)의 견부들(11) 위에 작용한다.
셀렉터들(6)은 로커형태를 갖고 있으며, 셀렉터들(6)이 공지된 방법으로 각각의 편침들(4)을 작동시키기 위해 선택될 때 하나의 고정된 구조물(15)에 고정된 삼각캠들(14)의 외형을 따르기 위하여 셀렉터들(6)은 공지된 방법의 패턴비트들(12) 및 하나의 제어비트(13)를 갖고 있다. 이러한 선택은 공지의 로커레버(17,18)형태를 가진 선택장치들에 의해 선택위치들(S1,S2,S3,S4,S5,S6)에서 발생하는데, 선택장치들은 제어장치(19)에 의해 공지의 방법으로 예를 들면, 전자기적으로 선택적으로 제어된다.
레버들(17)은 제1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패턴비트들(12)과 연동하여 관련 셀렉터들(6)을 관련 트릭들(3)의 저부까지 밀게되므로서 셀렉터들(6)이 캠들(14) 위에 오르지 못하여 관련 편침들(4)을 작동시킬 수 없게 된다. 레버들(17)이 패턴비트들(12)과 연동할 수 없는 위치에 있다면 관련 셀렉터들(6)은 캠들(14) 위에 오르게 되어 공지의 방법으로 관련 편침들(14)을 작동시키게 된다. 논리적으로 셀렉터의 형태가 본 발명의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셀렉터는 슬라이더 또는 다른 공지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선택캠들(20)은 선택위치들 바로 위에 설치되어 선택을 위해 셀렉터들(6)을 공지의 방법으로 선택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셀렉터들(6)은 편침들(4) 및 잭들(5)이 미끄럼운동을 하는 공간인 트릭들(3)의 일부분(3b)이 실린더(2)의 축(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떨어진 거리보다 더 멀리 떨어져 위치에 있는 실린더 트릭들(3)의 또다른 일부분(a) 안에서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셀렉터들(6)은 관련 잭들(5)의 저부모서리(22)와 맞물리도록 하기 위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돌출한 하나의 돌출부(21)를 갖고 있다.
트릭(3)의 두부분들(3a,3b)은 바람직하게도 아치형의 저부분(3c)에 의해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셀렉터(6)의 받침대(23)가 관련책(5)의 방사상 바깥 모서리 위에 있는 셀렉터(6)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잭(5)은 상부보다 더 넓은 하부를 갖고 있으며, 책의 상하부를 연결하는 부분에 비트(10)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들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셀렉터(6)의 돌출부(21)는 잭(5)의 저부모서리(22)의 방사상의 길이와 같은 길이만큼 방사상으로 뻗어있다. 셀렉터(6)의 견부(11)는 캠스커트안에 형성된 하강캠들(24)과 맞물리도록 하기 위하여 방사상 외측에 하나의 계단을 형성한다. 견부(11)는 셀렉터(6)의 돌출부(21)의 위치보다 더 높게 위치되어 있다. 돌출부(21)는 삼각형이며, 트릭(3)의 두부분들(3a,3b)의 단부들이 아치부분(3c)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곳에 형성된 경사부분을 갖고 있다.
잭(5) 및 셀렉터(6)의 배열은 소형구조를 유지하며 셀렉터(6)의 진동조건을 만족시키고, 셀렉터(6)가 잭(5)에 정확한 추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캠이 정확한 제어작용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도에서, 급사구들(25,26,27,28,29,30)에는 각각 대응하는 여러개의 실가이드들(31,32,33,34,35,36)이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급사구 25와 28은 바탕실 또는 헬란카(helanca) 형태의 실을 공급할 수 있으며, 급사구 26,27,29 및 30은 예를 들면, 여러 색깔의 실들을 공급할 수 있는데, 하나의 급사구에 의해 다른 색깔의 실들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급사구 28은 다른 색깔을 실들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며 원편기는 편성코스마다 다섯색깔의 실들 및 바탕실 또는 헬란카실과 함께 작업이 가능하다. 실가이드들은 제2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공지의 방법으로 작동 및 정지위치들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작동이 가능한데, 제2도에서는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작동중인 수개의 실가아드들이 보여지며, 정지된 다른 실가이드들이 나타나있다.
제2도의 하반부는 반경에 대한 원주의 전개도를 나타내므로 상부의 전개된 길이보다 하반부의 길이가 더 크기 때문에(하반부의 반경이 상부보다 크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원편기에서 동일 수직축방향 평면에 정렬되어 있는 부품들은 제2도의 평면 전개도에서는 엇갈리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선들(A,B,C,D,E,F,G,H,I)은 실제 원편기 자체에서는 각각 일치하게 된다.
잭들(5)을 위한 상승캠들(37,38,39,40,41,42)은 적어도 일부가 방사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즉 배제될 수 있는 캠들 또는 캠요소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잭상승캠들(37-42)은 셀렉터 상승캠들(14)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셀렉터(6) 하강캠들(24)은 셀렉터 상승캠들(14)의 상승궤적과 일치하는 하강궤적을 나타낸다. 또한, 잭(5)의 비트(10)에 작용하는 잭하강캠들(43,44,45,46,47,48,)은 셀렉터 하강캠들(24)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도의 중앙위치(선택위치 S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그러나, 또한 다른 선택위치들 S1,S3,S4,S5,S6에도 적용된다), 관련 편침들(4)을 작동시키기 위해 선택된 셀렉터들(6)이 먼저 관련잭(5)을 상승시키며, 그 다음 이 잭들(5)은 상승캠들(37-42)에 의해 더욱 상승하여 관련편침들(4)을 여러 급사구들에 있는 편침의 작동위치로 상승시키는 반면, 관련 잭들(5)로부터 분리된 셀렉터들(6)은 잭들(5)이 상승을 완료하기전에, 즉 잭들(5)과 무관하게, 셀렉터(6)의 견부들(11)에 작용하는 하강캠들(24)에 의해 하부경로를 따라 하강되어, 관련잭들이 하강캠들(43-48)에 의해 하강하고 있거나 또는 최저위치에 도달하려할 때 셀렉터(6)은 다시 선택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잭관련 캠들(37-43 및 43-48)과 비교할 때 셀렉터 관련캠들(14 및 24)의 배열이 더 낮고, 원주상으로 간격이 더 짧기 때문에, 셀렉터들(6)의 운동의 대부분이 잭들(5)과 무관하게 진행되며, 또한 선택위치들(S1-S6) 또는 이들의 대부분이 서로 매우 가깝게 배치됨으로서 실린더(20)의 동일한 상부직경 또는 편침들(4)의 원주직경에 대해 가능한 선택의 숫자가 증가하고, 따라서 선택 및 패턴의 가능성이 증가하게된다.
제2도에서, 편침하강캠들(49,50,51,52)은 각각 급사구들(29,30,26,27)과 관련된 비트들(9)에 작용한다. 급사구들(25 및 28)의 하강캠들이 각각 53 및 54로 표시되어 있다. 이롭게도, 캠들(49-52)중 적어도 수개가 방사상으로 움직임이 가능하여 배제될 수 있다.
제2도는 또다른 캠들을 보이고 있는데, 이 캠들은 본 발명과 무관한 종래의 기술에 속하기 때문에 더 이상 고려하지 않을 것이다.
제1도 및 2도를 비교함으로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편침(4), 잭(5) 및 셀렉터(6) 제어캠들은 다른 원주들상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미 언급된 이유 및 효과 때문에 셀렉터 제어캠들이 더 큰 반경의 원주상에 배치되어 있다. 셀렉터 상승캠들(14)은 셀렉터 하강캠들(24)이 배치되어 있는 원주보다 더 큰 직경의 원주상에 배치되어 있다.
편침들(4), 잭들(5) 및 셀렉터들(6)에 작용하는 모든 캠들은 45° 또는 45°이하의 상승 및 하강 경사부위를 갖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선택 및 급사위치들(동일한 편침 원직경 및 섬도에 대하여)에도 불구하고, 원편기는 고속 및 높은 신뢰성을 가진 상태로 작동될 수 있다.
편침들(4)은 상향운동시 45°보다 더 큰 각도로 상승하게 되면 이들의 상승은 더 큰 반경의 원주상에 배치된 45°상승캠들에 의해 제어되는 잭(5) 및 셀릭터들(6)이 상승하는 원주공간보다 작은 원주공간 안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50°를 초과할 수 있는 큰 편침 경사도는 캠들로 작동되는 종래의 장치들로는 불가능하게 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편침들(4)은 45° 캠들을 따르는 잭들(5)에 의해 상승되며, 따라서 편침에 대한 손상 또는 고장 가능성이 없어진다. 이것은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이며, 편침들에 대한 상승 원주공간이 더 작기 때문에 편침들이 동일실린더 원주에 대해 더 많은 횟수로 상승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더 많은 수의 선택위치들이 허용 된다. 편침들(4)은 45° 경사캠들에 의해 하강되므로 문제가 없게 된다. 제2도를 관찰해 보면, 잭제어캠들이 편침들(4)을 앞서 형성된 루프들이 제거되는 최고위치 또는 턱크스티치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을 동기술의 전문가들은 명백히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원편기에서는 필요한 형태의 편성품에 대한 정확한 실린더직경 및 섬도를 유지하면서 선택위치들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편침들(4)은 일반적으로 편침들이 사용되며, 잭들(5) 및 셀렉터들(6)은 특수한 형태를 갖지만 종래의 기술로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것들과 같은 비용이 들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편기는 실린더 안에서만 편침들이 작동하는 단일면 형태이거나 실린더 및 다이얼 안에서 편침들이 작동하는 이중면 형태일 수 있다.

Claims (17)

  1. 수직 트릭들을 가진 하나의 편침실린더, 및 편침들, 잭들 및 셀렉터들의 비트들과 맞물려 이들을 제어하는 캠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편침들, 잭들 및 아래 위치한 셀렉터들이 트릭들안에 미끄럼운동을 하며, 편침실린더는 캠들에 대해 구동되며, 또한 급사구와 관련된 다수의 선택위치들이 제공되며, 셀렉터들은 관련 편침들을 작동시키거나 또는 작동시키지 않도록 선택되며, 또한 셀렉터들이 하나의 받침대에 대해 진동하는 형태를 갖고 있는 스타킹 제조용 다중 급사 원편기에 있어서, 셀렉터들은 잭들 및 편침들이 미끄럼운동을 하는 트릭부분의 거리보다 실린더축으로부터 더 먼거리에 위치한 편침실린더 트릭의 일부분안에서 미끄럼운동이 가능한 하나의 생크(shank) 및 편침실린더를 향해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관련잭들과 결합하기위한 하나의 돌출부를 갖고 있으며, 셀렉터 진동또한 받침대가 관련 잭들의 방사상 외부 모서리 위에 배치되어 있고, 셀렉터 상승캠들이 잭상승캠들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셀렉터들이 관련잭들과 무관하게 셀렉터 하강캠들에 의해 하강되므로써 관련잭들이 잭하강캠들 위에 최저위치에 도달할 때 셀렉터들이 선택위치에 다시 도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급사 원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셀렉터 돌출부가 잭들의 저부 모서리의 방사상 길이와 같은 길이만큼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급사 원편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셀렉터들 각각이 하강캠들과 맞물리기 위해 방사상 외측면에 하나의 계단을 형성하는 견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급사 원편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진동받침대가 셀렉터들의 상단부 근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급사 원편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셀렉터 견부가 셀렉터 돌출부보다 더 높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급사 원편기.
  6. 제 1 항에 또는 2 항에 있어서, 셀렉터 돌출부가 삼각형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급사 원편기.
  7. 제 1 항에 있어서, 트릭들의 부분들이 트릭들의 저부에서 반원형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급사 원편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잭들의 하부가 편침실린더의 방사상 방향으로 잭들의 상부보다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급사 원편기.
  9. 제 1 항에 있어서, 편침잭 및 셀렉터 제어캠들이 상이한 원주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셀렉터 제어캠들이 더 큰 반경의 원주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급사 원편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셀렉터 상승캠들은 셀렉터 하강캠들이 배치되어 있는 원주보다 더 큰 직경의 원주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급사 원편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진동 레버형태의 선택장치들이 선택위치들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급사 원편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잭상승 캠들 중 적어도 일부가 방사상으로 이동이 가능한 캠들 또는 캠요소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급사 원편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편침 하강캠들 중 적어도 일부가 방사상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급사 원편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잭 및 셀렉터 상승 및 하강캠들의 상승 및 하강 경사부분이 45°의 각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급사 원편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잭상승 캠들이 앞서 형성된 스티치 루프들을 제거하기 위한 위치 또는 턱크 스티치 위치안으로 편침들을 이동하기 위해 배치된 캠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급사 원편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이한 색상의 실들 및 상이한 형태의 실들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급사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급사 원편기.
  17.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은 스타킹용 다중 급사 원편기.
KR1019930007136A 1992-04-30 1993-04-28 스타킹용 다중 급사 원편기 KR950001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921044A IT1254963B (it) 1992-04-30 1992-04-30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in particolare per calze, a piu' alimentazione di filo.
ITMI92A001044 1992-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850A KR930021850A (ko) 1993-11-23
KR950001716B1 true KR950001716B1 (ko) 1995-02-28

Family

ID=1136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136A KR950001716B1 (ko) 1992-04-30 1993-04-28 스타킹용 다중 급사 원편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323627A (ko)
EP (1) EP0568154B1 (ko)
JP (1) JP3455562B2 (ko)
KR (1) KR950001716B1 (ko)
CZ (1) CZ283511B6 (ko)
DE (2) DE568154T1 (ko)
ES (1) ES2046966T3 (ko)
IT (1) IT1254963B (ko)
SK (1) SK281039B6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53724B1 (es) * 1997-10-07 2001-08-01 Jumberca Sa Sistema de seleccion de agujas para mquina circular de genero de punto.
ES2171108B1 (es) * 2000-02-18 2003-12-16 Jumberca Sa Dispositivo automatico para la seleccion de agujas en una maquina circular para genero de punto.
IT1314651B1 (it) * 2000-02-29 2002-12-31 Sangiacomo Spa Metodo di selezione degli aghi in macchine circolari da calzetteria emaglieria e macchina per l'attuazione del metodo
US7752775B2 (en) 2000-03-10 2010-07-13 Lyden Robert M Footwear with removable lasting board and cleats
CZ298570B6 (cs) * 2001-03-20 2007-11-07 Uniplet Trebíc, A. S. Zarízení pro volbu jehel
US7347011B2 (en) 2004-03-03 2008-03-2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textile upper
CN100447323C (zh) * 2004-12-29 2008-12-31 楼清明 无缝针织内衣单面毛圈编织工艺
ITFI20120209A1 (it) * 2012-10-15 2014-04-16 Renato Pilotelli "macchina monocilindro da maglieria"
CN102899801A (zh) * 2012-10-16 2013-01-30 无锡市佳龙纺织机械有限公司 提花起针三角机构
DE102013207163B4 (de) 2013-04-19 2022-09-22 Adidas Ag Schuhoberteil
US11666113B2 (en) 2013-04-19 2023-06-06 Adidas Ag Shoe with knitted outer sole
DE102013207156A1 (de) 2013-04-19 2014-10-23 Adidas Ag Schuh, insbesondere ein Sportschuh
DE102013207155B4 (de) 2013-04-19 2020-04-23 Adidas Ag Schuhoberteil
CN103306033A (zh) * 2013-06-28 2013-09-18 无锡市金龙人造毛皮机械有限公司 针织机添沙组织编织机构
CN103485058A (zh) * 2013-10-11 2014-01-01 王坤锋 一种应用于纬编针织小圆机中的新型下盘提花编织机构
DE102014202432B4 (de) 2014-02-11 2017-07-27 Adidas Ag Verbesserter Fußballschuh
DE102014220087B4 (de) 2014-10-02 2016-05-12 Adidas Ag Flachgestricktes Schuhoberteil für Sportschuh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85153A1 (de) * 1964-11-21 1970-11-05 Francesco Lonati Vorrichtung zur Hoehenverstellung der Nadeln von Hochzylinder-Rundstrickmaschinen
DE1944169A1 (de) * 1969-08-30 1971-03-04 Terrot Soehne & Co C Mustervorrichtung fuer Rundstrickmaschinen
DE2032693A1 (de) * 1970-07-02 1972-01-13 Fouquet Werk Frauz & Planck, 7407 Rottenburg Verfahren zur mustergemaßen Nadelauswahl fur die Herstellung von Jacquardmustern auf mehrsystemigen Rundstrickmaschinen und mehrsystemige Rundstrickmaschine zur Durchfuhrung d'eses Verfahrens
US3875764A (en) * 1970-07-16 1975-04-08 Wills Moren William James Patterning system for a multi-feed circular knitting machine
JPS5421465B2 (ko) * 1973-02-23 1979-07-31
CH571602A5 (ko) * 1973-02-28 1976-01-15 Junberca Etabl Sa
JPS5417867B2 (ko) * 1973-09-21 1979-07-03
CH600013A5 (en) * 1975-07-21 1978-06-15 Vyzk Vyvojovy Ustav Vseobe Circular knitter needle selection
IT1198896B (it) * 1984-08-06 1988-12-21 Meritex Srl Macchina circolare da maglieria con sistemi di selezione elettromagnetici degli aghi
IT1186223B (it) * 1985-12-02 1987-11-18 Lonati Sp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a doppio cilindro con disositivo di azionamento delle platine di trasferimento perfezionato
DE3701743C2 (de) * 1987-01-22 1995-03-23 Terrot Strickmaschinen Gmbh Strickmaschine
JPS63211348A (ja) * 1987-02-27 1988-09-02 株式会社 福原精機製作所 丸編機の選針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MI921044A0 (it) 1992-04-30
CZ283511B6 (cs) 1998-04-15
EP0568154A1 (en) 1993-11-03
JP3455562B2 (ja) 2003-10-14
DE568154T1 (de) 1994-03-03
SK281039B6 (sk) 2000-11-07
DE69304124T2 (de) 1997-03-20
US5323627A (en) 1994-06-28
KR930021850A (ko) 1993-11-23
DE69304124D1 (de) 1996-09-26
CZ76593A3 (en) 1993-11-17
JPH06207351A (ja) 1994-07-26
SK41093A3 (en) 1994-02-02
ITMI921044A1 (it) 1993-10-30
ES2046966T3 (es) 1996-12-16
ES2046966T1 (es) 1994-02-16
IT1254963B (it) 1995-10-11
EP0568154B1 (en) 1996-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716B1 (ko) 스타킹용 다중 급사 원편기
US7207196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particularly for producing items of clothing with three-dimensional shapes
KR100264766B1 (ko) 양면 환편기에 있어서의 선침 장치
US4920767A (en) Annular knitting machine with slide needles
WO2007074486A1 (en) Method for making knitted fabric and related weft knitting machine
US3004413A (en) Knitting machine
US3293887A (en) Sinker arrangement and control mean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US5647230A (en) Needle selection mechanism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1186899B1 (ko) 니들 활성화가 향상된 중-직경 타입의 환편기
US7065989B2 (en) Sinker selection device i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US6854294B2 (en) Method and knitting machine for producing knitwear, especially from hard, inelastic thread material
US5335518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socks, stockings and the like, with device for producing patterns with toweling stitches
US5170649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socks, stockings or the like, in particular for producing knitting with towelling stitches
US6101848A (en) Computer controlled needle selection structure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US3301012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s for the production of hosiery with double, outwardly turned-over welts
EP3956505B1 (e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en-work knitted fabric
KR100602060B1 (ko) 직물용환편기
US3380265A (en) Knitting machines
US3763667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pattern wheels and adjustable cams
US2230213A (en) Wrap stripe knitting machine
EP3956508B1 (e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for making terry stitches i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EP3956510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sinkers selection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knitted fabric using the machine
US4068497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US20230002940A1 (en) Circular hosiery knitt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tubular items
EP0962569A2 (en) Highly versatile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hosiery and the like with multiple drops or fee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