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088A - 라미네이트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包袋)와 포장체 - Google Patents

라미네이트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包袋)와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088A
KR19980080088A KR1019980007953A KR19980007953A KR19980080088A KR 19980080088 A KR19980080088 A KR 19980080088A KR 1019980007953 A KR1019980007953 A KR 1019980007953A KR 19980007953 A KR19980007953 A KR 19980007953A KR 19980080088 A KR19980080088 A KR 19980080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ater
soluble
ba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8867B1 (ko
Inventor
요시아키 도키타
다카히로 다카기
Original Assignee
도키타 쇼지
교도 시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키타 쇼지, 교도 시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키타 쇼지
Publication of KR19980080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6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laminated sheets or wrapper bl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Y10T428/1341Contains 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55Elemental metal containing [e.g., substrate, foil, film, coating, etc.]
    • Y10T428/1359Three or more layers [continuous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79Contains vapor or gas barrier, polymer derived from vinyl chloride or vinylidene chloride, or polymer containing a vinyl alcohol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10T428/3192Next to vinyl or vinylidene chloride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28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라미네이트 필름은 외층용 필름(20)과, 수용성 필름(6)과, 외층용 필름(20)과 수용성 필름(6)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5)으로 되어 있다. 중간층(5)은 적어도 수용성 필름(6)쪽의 면이 소망의 정도로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함유한다.
외층용 필름(20)과 중간층(5)과의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중간층(5)과 수용성 필름(6)과의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다. 수용성 필름(6)은 수용성 기재 필름(6a)과 그 중간층(5)쪽의 면에 분포된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anchor coating agent)(6b)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라미네이트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包袋)와 포장체
본 발명은 라미네이트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와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이제까지는 농약이나 기타 여러 가지 수용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그 구성층이 박리가 불가능하게 강고하게 적층법, 즉 라미네이션법(lamination)에 의해 라미네이트된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구성된 포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가장 안쪽층에 그 자체끼리 서로 열접착 가능한[즉, 히이트 시일(heat-seal) 가능한] 필름[예 : LDPE(high pressure low-density polyethylene :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필름]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열접착 가능한 필름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러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에서 서로 마주보는 열접착 가능한 필름의 부분들을 서로 용착(fusion)시켜 밀봉한 포대의 내부에 수용물을 수용하고 있다.
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구성된 밀봉된 포대의 내부에 수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는 포대공급 방식과 자동포장 방식으로 불리우는 두가지 방식이 알려져 있다. 포대공급 방식은 포대 제조업자가 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한쪽변(邊)이 개방된 포대를 먼저 제조하고, 수용물 제조업자가 이들 포대의 공급을 받아 상기 포대의 개구부를 통해 수용물을 포대내에 충전한 후 상기 개구부를 히이트 시일함으로써 밀폐하는 방식이다.
자동포장 방식은 예컨대 수용물 제조업자가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을 히이트 시일하는 등의 포대 제조 과정을 순차로 실시하면서 수용물을 제조된 포대에 충전하여 마지막으로 수용물이 수용된 밀봉된 포대를 얻는 방식이다.
이들 두가지 방식사이에 어느 것을 선택하는가에 관계없이 수용물의 제조업자들은 위에 나온 제조공정을 자동화하는 자동기계를 널리 채용하고 있다. 포대공급 방식의 경우에 있어서는, 예컨대 한쪽변이 개방된 포대내에 수용물을 자동적으로 충전한 다음 포대의 개구부를 자동적으로 히이트 시일하는 자동기계가 사용되고 있고, 자동포장 방식의 경우에 있어서는 위에 나온 자동포장 공정을 자동화 할 수 있는 자동기계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용될 수용물이 예컨대 분말상 농약류(이것은 일반적으로 물로 희석한 후 사용됨)인 경우이더라도 위에 나온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된 포대내에 직접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농약 사용자가 포대를 개방할 때에는 분말상 농약이 포대의 개방된 쪽을 통해 올라와서 사용자가 이것을 흡입하거나 사용자의 손에 접촉하게 되어 인체에 해를 주게 된다. 그리고 분말상 농약을 물로 희석하고자 포대에서 탱크속으로 옮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분말상 농약이 올라와서 인체에 해를 주게 된다. 농약을 포대에서 꺼낸후에도 포대의 내벽에는 잔존 농약이 부착해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 포대를 일반 쓰레기중에 폐기하면 환경오염이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에 대해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분말상 농약을 수용성 필름으로 된 포대속에 수용하여 이 포대를 밀봉하고, 이 농약을 수용한 수용성 필름으로 된 포대를 다시 위에 나온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된 포대에 수용하여 외부포대를 밀봉하는 것이 근래에 실시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수용성 필름으로 된 포대는 내부포대로서 기능을 하고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된 포대는 외부포대로서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외부포대를 사용하는 이유는 수용성 필름이 주위환경에 의해 쉽사리 변질하고,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가지지 않기 때문이다.
위에 나온 바와 같이 내부포대와 외부포대를 사용할 경우에는 농약이 휩쓸려 올라올 위험이 없이 외부포대를 개방할 수 있고, 또한 농약을 수용하고 있는 내부포대를 탱크속에 직접 넣어 탱크속에서 물로 희석할 수 있기 때문에(수용성 필름으로 된 내부포대가 물과 접촉하여 용해하기 때문임), 내부포대속에 수용된 농약이 인체에 해를 가한다거나 환경의 안전성을 해칠 가능성이 없어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농약을 외부포대에서 꺼집어 낸 후에도 잔류한 농약이 외부포대의 내벽에 절대적으로 부착하지 않으므로 외부포대를 일반 쓰레기중에 그대로 폐기해도 전혀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위에 나온 설명은 분말상 농약뿐만 아니라 입상 또는 액상의 농약과 기타 각종 수용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내부포대와 외부포대 모두를 사용하는 종래의 방식은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예를 들자면 내부포대와 외부포대 모두를 사용하는 종래의 방식에서는 내부포대를 별도로 제조해야 하므로 별도의 제조비가 소요된다. 그리고 수용물을 수용한 내부포대를 외부포대속에 수용할 때에는 위에 나온 포대공급 방식 및 자동포장 방식에 적합한 위에 나온 기존의 자동기계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설비를 필요하게 되어 설비 코스트도 더 소요된다.
따라서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필름을 접착력(접착 강도 또는 박리강도)이 약한 접착제로 박리가능하게 서로 약하게 접착(약접착)시킨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포대공급 방식 또는 자동포장 방식에 의하여 수용성 필름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쳐 소정의 부분을 히이트 시일하여 소정의 부분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의 부분들을 서로 용착시킴으로써 밀봉한 포대를 제조하고, 이 포대속에 수용물을 수용하는 아이디어를 생각할 수 있다. 더욱이 수용성 필름은 일반적으로 그 자체끼리 열접착성이 가능하다.
이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식에 의하면 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된 포대는 외부포대로 기능을 하는 외층용 필름과 내부포대로 기능을 하는 수용성 필름으로 구성된 이중벽 구조를 하고 있다. 양자의 사이가 박리가능하게 약하게 접착되어 있으므로 이 포대에 수용된 수용물의 사용자는 외층용 필름을 박리(또는 분리)하는 것 만으로 위에 나온 내부포대와 외부포대로 구성된 복합포대와 마찬가지로 수용성 필름으로 된 내부포대속에 수용된 수용물을 얻을 수가 있고, 예컨대 농약 등의 수용물이 위로 휩쓸려 올라올 우려가 없다. 그리고 이 내부포대로부터 수용물을 꺼집어 낼 필요가 없이 수용물을 수용한 내부포대를 그대로 탱크중에 넣고 탱크속에 있는 물로 희석하면 되므로(수용성 필름으로 된 포대는 물과 접하면 용해함), 내부포대속에 수용된 수용물은 인체에 해를 준다거나 환경의 안전성을 해롭게 함이 없이 취급이 극히 용이해 진다.
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은 수용물의 수용시에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자동기계 및 기타 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위에 나온 내부포대 및 외부포대로 구성된 복합 포대와는 달리 내부포대를 별도로 제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러한 포대는 제조비도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식에서는 상기 접착제로서 이상적인 특성을 가진 접착제를 제조한다는 것은 곤난하다. 따라서 이 방식에 의한 제품에서는 시간경과에 따라 접착제의 성분과 수용성 필름이 반응하므로 접착제와 수용성 필름의 특성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포대속에 수용된 수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외층용 필름이 수용성 필름으로부터 쉽사리 박리되지 않거나, 포대가 사용자에게 도달하기전에 외층용 필름이 수용성 필름으로부터 박리하거나, 수용성 필름에 핀홀 등이 생긴다거나, 또는 수용성 필름의 수용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더욱이 외층용 필름을 수용성 필름으로부터 박리했을때에 접착제의 일부가 수용성 필름에 잔존하여 수용성 필름의 용해성을 저해한다거나, 예컨대 농약 등의 수용물의 사용시에 수용성 필름이 물에 용해한 후에 물이 들어 있는 탱크속에서 접착제의 각 성분이 농약 등의 수용물의 각 성분과 반응하여 농약 등의 수용물이 변질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자들은 연구의 결과로서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필름과,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으로서 적어도 상기 수용성 필름쪽의 표면이 소망의 정도로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함유한 중간층을 구비하며,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중간층이 서로 강(强)접착(fast adhesion)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과 상기 수용성 필름이 서로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弱)접착(weak adhesion)된 라미네이트 필름을 개발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장체를 개발하였다. 이 포장체는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상기 수용성 필름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을 서로 용착시켜 밀봉한 포대의 내부에 소망의 수용물을 수용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공정의 일부의 개략도.
도 3은 로울상으로 권취된 라미네이트 필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나온 포대의 일부 확대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서의 선 X2-X2'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취한 도면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포대의 굴곡 테스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에서의 선 X2-X2'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취한 도면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다른 포대의 굴곡 테스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a는 서로 겹쳐서 일부를 히이트 시일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평면도.
도 8b는 도 8a에서의 선 X1-X1'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취한 도면.
도 8c는 외부포대 필름의 박리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d는 도 8c에 나온 과정에 이어 계속되는 박리과정을 나타낸 도면.
여기서,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상기한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의 약접착의 추측 가능한 기본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라미네이트 필름 분야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 상식에서 보면 고압법 폴리에틸렌과 수용성 필름 사이의 직접 접착(접착제가 없는 접착)은 달성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생각되고, 라미네이트 필름 분야에 있어서 이러한 형태의 접착을 하고 있는 사례는 아직까지 전혀 보고되어 있지 않다. 적층, 즉 라미네이션(lamination) 기술에는 접착제에 의한 적층법 외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다수의 필름을 서로 직접 접착하는 압출 적층법이 있다. 그러나 적층기술 분야에 있어서 압출 적층법은 다수의 필름을 강접착하여 일체로 된 복합체를 제조하는 기술로서 확립되어 있고, 접착된 필름들을 박리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필름을 약접착하기 위해 압출 적층법을 사용한다는 착상은 이제까지는 전혀 없었다. 그리고 압출 적층법을 사용하여 다수의 필름을 약접착하는 사례도 전혀 없고, 특히 고압법 폴리에틸렌과 수용성 필름 사이의 직접 접착을 위해 압출 적층법을 사용한 사례는 전혀 알려진바 없다.
고압법 폴리에틸렌은 아래의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반복 단위를 가지며, 그 말단기가 수소결합으로서 무극성이다.
한편, 수용성 필름은 그 말단기가 히드록실기(-OH-)형태의 극성기를 가진다. 따라서 두가지 요소의 직접 접착 (접착제 등의 매체에 의하지 않은 접착)은 어려운 것이라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은 연구 결과로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가진 필름의 표면을 산화시키면 고압법 폴리에틸렌과 수용성 필름 사이에서 산화 정도에 따른 접착력(박리력)을 가진 접착이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즉,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산화시키면 산화 정도에 따라 고압법 폴리에틸렌에서의 산화 정도에 따른 부분이 아래의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게 된다.
한편, 수용성 필름의 물질, 예컨대 폴리비닐 알코올은 아래의 화학식 (3)으로 나타내어지는 반복단위를 가지며 아래의 화학식 (4)로 나타내어지는 화학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아래의 화학식 (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카르보닐기와 폴리비닐 알코올의 히드록실기 사이에서 비교적 약한 결합 강도의 결합을 시킬 수가 있다.
이 결합에 의해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 필름과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 사이에 접착력이 생겨, 이 들 두가지 필름의 직접 접착이 가능하게 된다.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카르보닐기의 양은 산화 정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 필름과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사이의 접착력을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산화 정도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타의 수용성 필름도 히드록실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위에 나온 원리는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뿐만 아니라, 기타의 수용성 필름에도 적용된다.
위에 나온 원리에 근거하여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상기한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수용성 필름쪽의 표면이 소망의 정도로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함유한 중간층과 수용성 필름이 서로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한 약접착을 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상기한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외층용 필름과 중간층이 서로 강하게 접착함과 아울러 중간층과 수용성 필름이 서로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도록 약하게 접착하므로,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상기한 포장체의 포대는 외부포대로 작용하는 강접착된 외층용 필름 및 중간층(이하, 설명의 편의상 이들 전체를 외부포대 필름이라 함)과, 내부포대로 작용하는 수용성 필름으로 구성된 이중벽 구조를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외부포대 필름과 수용성 필름은 박리가능할 정도로 서로간에 약하게 접착한다. 따라서 포장체내의 수용물을 사용하는 사람은 외부포대 필름을 박리하는 것 만으로 상기한 내부포대와 외부포대로 된 포장체와 마찬가지로 수용성 필름으로 된 내부포대에 수용된 수용물에 접근할 수 있다. 수용물이 농약류인 경우에는 박리할 때 수용물이 휘말려 올라오는 일이 없고, 이 내부포대로부터 수용물을 꺼집어 내지 않고 탱크중에 그대로 넣어 탱크속에 들어 있는 물로 희석하면 되므로(이렇게 함으로써 수용성 필름으로 된 내부포대가 물과 접촉하여 용해함), 인체에 해를 준다거나 안전성을 위태롭게 함이 없이 내용물의 취급이 극히 용이해진다.
상기한 수용물을 수용할 때에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상기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자동기계 등의 설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내부포대와 외부포대로 구성된 복합 포대와는 달리 내부포대를 별도로 제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비가 그다지 소요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상기한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카르보닐기와 수용성 필름의 히드록실기 사이의 결합만이 생길뿐이고, 고압법 폴리에틸렌과 수용성 필름이 시간경과에 따라 기타의 화학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은 전혀 없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식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과 달리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고압법 폴리에틸렌과 수용성 필름의 특성이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할 가능성이 적으므로 중간층과 수용성 필름 사이의 시간경과에 따른 안정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포대에 수용된 수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 외부포대 필름을 수용성 필름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없게 된다거나, 포대가 사용자에게 도달하기 전에 외부포대 필름이 수용성 필름으로부터 박리된다거나, 수용성 필름에 핀홀이 생긴다거나, 수용성 필름의 수용성이 저하한다거나 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 더욱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포대 필름과 수용성 필름 사이(즉, 중간층과 수용성 필름 사이)의 접착력은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카르보닐기와 폴리비닐 알코올의 히드록실기 사이에서 생기는 비교적 약한 결합강도의 결합에 기인하여 생기므로 외부포대 필름을 박리한 후에 수용성 필름에 중간층의 성분이 잔류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 따라서 포대속에 수용된 농약등의 수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 수용성 필름을 물에 용해한 후에 탱크속에서 중간층의 성분이 포대속에 수용된 농약등의 수용물의 성분과 반응하여 농약 등의 수용물을 변질시킬 가능성은 전혀 없다. 또한 접착제와는 달리 중간층의 두께를 비교적 두껍게 할 수 있으므로 중간층은 기계적인 충격에 대한 보호물로서의 추가적인 기능을 하게 된다.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접착제는 도포시에 핀홀을 생성하므로 충분한 방습성능을 얻을 수 없으나, 중간층은 이러한 핀홀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중간층은 방습성능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라미네이트 필름 및 이 라미네이프 필름을 사용한 포장체는 극히 우수한 것이다. 그러나 더욱 연구를 진행한 결과, 수용성 필름을 수용성 기재 필름으로만 구성할 경우에는 이 수용성 기재 필름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기 포장체의 포대에서의 히이트 시일 부분에서 중간층과 수용성 필름 사이의 약접착에 의한 접착 상태가 반드시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음을 판명하였다. 즉, 상기 포장체의 포대에서의 히이트 시일 부분을 안쪽 영역으로부터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까지 접은 금이 나도록 1회 내지 2회정도 크게 굴곡시키면, 이 접은 금의 바깥쪽 가장자리 부분에서 중간층과 수용성 필름 사이에 틈새(gap)가 생기는 경우가 있음을 판명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포장체의 수송중에 일어날 우려가 있고, 이러한 틈새가 외부포대 필름의 박리의 발단이 될 수 있어 외부포대 필름의 뜻하지 아니한 박리의 발생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된 것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실질적으로 외부포대 및 수용성 필름으로 된 내부포대로 구성된 이중벽 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외부포대의 박리특성이 우수한 포대를 기존의 설비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더욱이 이 포대에서의 히이트 시일 부분의 수용성 필름과 중간층 사이의 약접착에 의한 접착 상태를 소정의 상태로 설정할 수가 있는 라미네이트 필름과 이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 및 포장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더욱 연구를 한 결과,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상기한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수용성 필름을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 등의 수용성 기재 필름뿐만 아니라 수용성 기재 필름과 이 수용성 기재 필름의 중간층쪽의 면에 분포된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anchor coating agent)로 구성하면 포대에서의 히이트 시일 부분의 수용성 필름과 중간층 사이의 약접착에 의한 접착상태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고, 히이트 시일 부분을 안쪽의 영역으로부터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까지에 이르는 접은 금을 형성하도록 크게 굴곡시키더라도 이 접은 금의 바깥쪽 가장자리 부분에서 중간층과 수용성 필름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기가 어렵도록 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는 수용성을 가지며 수용성 필름의 용해성을 저해하게 될 우려는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근거하여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은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필름과,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으로서 적어도 상기 수용성 필름쪽의 표면이 소망의 정도로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함유한 중간층을 구비하며,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중간층 사이가 서로 강(强)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과 상기 수용성 필름사이가 서로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弱)접착된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필름이 수용성 기재 필름과, 이 수용성 기재 필름의 상기한 중간층쪽의 면에 분포된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를 함유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강접착 이란 용어는 실질적으로 박리가 어려운 정도의 접착력으로 두면이 접착됨을 뜻하고, 약접착 이라 함은 위에 나온 강접착 보다 약한 접착력으로서 접착면을 박리할 수 있을 정도의 접착력으로 접착됨을 뜻한다.
본 발명의 제1태양에 있어서 중간층은 고압법 폴리에틸렌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졸으나 고압법 폴리에틸렌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elastomer)등의 기타의 물질을 혼합한 것이라도 좋다.
위에 나온 중간층에 가장 인접한 외층용 필름의 층으로서는 예컨대 고압법 폴리에틸렌이 열접착할 수 있는 층(즉, 용융상태의 고압법 폴리에틸렌이 강접착을 할 수 있는 층)을 사용하면 충분하므로, 외층용 필름과 중간층 사이에 강접착을 실현할 수 있다.
외층용 필름으로서는 위에 나온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사용되고 있던 각종 외층용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층용 필름으로서는 (1) 단순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2) 단순한 종이, (3) 종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열접착 시킨 복합체(종이를 중간층쪽으로 함), (4) 폴리에스테르 필름, 접착제층, 알루미늄박(foil)의 층, 접착제층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순서로 적층하여 상기한 접착제층에 의해 드라이(dry) 적층시켜 제조된 복합체, 및 (5)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테르 필름(알루미늄이 표면에 증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접착제층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순서로 적층하여 상기한 접착제층에 의해 드라이 적층시켜 제조된 복합체(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중간층쪽으로 함)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산화는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고온 가열하고(예컨대, 고압법 폴리에틸렌에 용융상태를 부여하여), 고온에 의하여 촉진되는 공기중의 산소에 의한 산화(이하, 이 산화를 열산화라 함)에 의하여도 좋고, 예컨대 오존을 취입하여 강제적으로 하는 산화(이하, 이 산화를 강제산화라 함)이어도 좋고, 열산화와 강제 산화의 병용에 의한 산화이어도 좋다. 예컨대 열산화의 경우에 있어서,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온도를 적절히 변화시킴으로써 산화량을 조절할 수 있고, 강제 산화의 경우에는 취입하는 오존의 농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산화량을 조절할 수 있다.
수용성 필름은 이 수용성 필름의 상기 중간층쪽에 인접한 면이 코로나 처리된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태양에 의한 라미너에트 필름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1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수용성 기재 필름이 폴리비닐 알코올,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아크릴 아미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된 것이다.
상기 수용성기재 필름은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 알코올 등의 수용성 합성 고분자의 필름이어도 좋다. 또한, 예컨대 이러한 수용성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을 수용성 기재 필름으로 사용해도 좋다. 이러한 수용성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혹은 말레산, 이타콘산 등으로 변성시킨 폴리비닐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비누화도(degree of saponification)는 70∼98 몰%의 범위이어도 좋고 중합도는 500∼3000의 범위이어도 좋다. 이들 비누화도와 중합도를 수용성의 정도, 필름강도 및 물에 대한 용해시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정할 수 있다.
수용성 기재 필름의 예로서는, (1) 무변성의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 알코올의 필름, (2) 카르복실산으로 변성시킨 폴리비닐 알코올의 필름, (3) 옥시알킬렌기 또는 양이온성 기를 도입한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의 필름, 또는 (4) 술폰산기를 가진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의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술폰산기를 가진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로 된 수용성 기재 필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 평7-118,407(JP-A-07-118,407)호에 개시된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의 수용성 필름을 들 수 있다. 이 필름은 아래의 화학식 (6)으로 나타내어지는 술폰산기 함유 단위를 0.1∼20 몰% 함유하는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을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조된다.
위의 화학식 (6)에 있어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고, R2는 알킬기이며, R3, R4및 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이고,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원자, 암모늄기 또는 아민이다.
본 발명의 제3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은 제1 또는 제2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가 폴리에틸렌이민계 앵커 코우팅제인 것이다.
폴리에틸렌이민계 앵커 코우팅제는 폴리에틸렌이민을 함유한 것이다. 폴리에틸렌이민은 3원환 구조의 이미노기를 가진 극히 반응성이 큰 에틸렌이민의 중합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고분자의 수용성 수지인데, 이 폴리에틸렌이민은 화학적으로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농약 등을 수용하는 포대를 제조할 때에는 상기한 제3태양에서와 같이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로서 폴리에틸렌이민계 앵커 코우팅제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한 제1 및 제2태양에 있어서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는 유기 티탄계 앵커 코우팅제 또는 폴리부타디엔계 앵커 코우팅제 등의 기타의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를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4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은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과 이 외층용 필름쪽의 수용성 기재 필름의 표면에 미리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가 도포된 수용성 기재 필름 사이에 용융되어 열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필름상으로 압출하는 단계와, 이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가 미리 도포된 수용성 기재 필름 및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필름을 압착하면서 냉각하는 단계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은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고압법 폴리에틸렌층이 미리 형성된 외층용 필름인 고압법 폴리에틸렌층과, 이 외층용 필름쪽의 수용성 기재 필름의 표면에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가 미리 도포된 수용성 기재 필름 사이에 용융되어 열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필름상으로 압출하는 단계와, 고압법 폴리에틸렌층이 미리 형성된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가 미리 도포된 수용성 기재 필름 및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필름을 압착하면서 냉각하는 단계로 되어 있다.
상기한 제4 및 제5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 제조방법은 상기한 제1 내지 제3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 제조방법의 예이다. 상기한 제4태양에 있어서 용융되어 열산화 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필름상으로 압출하는 온도가 비교적 낮으면 외층용 필름과 중간층으로서의 고압법 폴리에틸렌 사이에서 강접착을 완전히 달성할 수 없으므로 외층용 필름과 중간층 사이에 박리가 일어날 가능성이 존재할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한 제5태양에서는 용융되어 열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필름상으로 압출하는 온도가 비교적 낮더라도 압출된 고압법 폴리에틸렌과 외층용 필름위에 미리 형성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층이 일체화된다. 이 일체화된 두가지의 고압법 폴리에틸렌은 상기한 제1 내지 제3태양에 있어서 중간층이 된다. 예컨대 외층용 필름에 대해 미리 고압법 폴리에틸렌층을 형성하는 것은 압출 적층법에 의하여 실시할 수 있다. 외층용 필름에 대해 고압법 폴리에틸렌층을 미리 형성하고자 이 압출 적층법으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압출하는 온도를 높게 하면 외층용 필름과 이 외층용 필름에 대해 미리 형성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층 사이에서 강접착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제5태양에 의하면 수용성 필름에 대한 약접착을 실현하고자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필름상으로 압출하는 온도가 비교적 낮더라도 외층용 필름과 중간층 사이에서 강접착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4 및 제5태양에 있어서 압착단계 이전에 상기 필름상의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상기 수용성 필름쪽의 면에 오존을 취입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제4 및 제5태양에 있어서 압착단계 이전에 표면에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를 도포하기전 또는 도포한 후에, 상기 수용성 기재 필름의 외층용 필름쪽의 면을 코로나 처리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제4 및 제5태양에 있어서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의 도포전에 수용성 기재 필름을 건조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6태양에 의한 포대는 제1 내지 제3태양중의 어느 한가지 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적어도 1매 사용하고,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수용성 필름이 안쪽이 되도록 서로 겹쳐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들 소정의 부분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 사이를 용착시켜 한변이 개방된 포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7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제1 내지 제3태양중의 어느 한가지 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적어도 1매 사용하고,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상기 수용성 필름이 안쪽이 되도록 서로 겹쳐 소정의 부분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 사이를 용착시켜 밀봉한 포대의 내부에 소망의 수용물을 수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8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상기 제7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있어서 수용물이 농약, 약제, 식품 또는 낙시용 미끼인 것이다.
예컨대, 상기한 제1 내지 제3태양 중의 어느 한가지 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은 상기한 제4 및 제5태양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이들 제조방법은 압출 적층법에 준한 것이다. 이들 제조방법은 용융상태의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므로 고압법 폴리에틸렌은 그 온도가 높아 열산화를 받게 된다. 열산화에 의한 산화량은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온도와 주위의 공기 등에 노출되는 시간 등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한 제6태양에 의한 포대는 상기한 제1 내지 제3태양중의 어느 한가지 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된 포대의 예이다. 일반적으로 이미 설명한 포대 공급방법에 있어서 포대 제조업자로부터 수용물 제조업자 등에 포대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7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상기한 제1 내지 제3태양 중의 어느 한가지 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한 제6태양에 의한 포대와 유사한 포대속에 소망의 내용물을 수용하여 된 것인데, 이 포대는 완전히 밀봉된 상태의 것이다. 포장체는 그 자체가 수용물이 사용자에세 도달하는 최종형태를 구성하고 있다. 제7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상기한 포대공급 방식에 따라 제6태양에 의한 포대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이어도 좋고, 상기한 자동포장 방식에 따라 상기한 제1 내지 제3태양중의 어느 한가지 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한 것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7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한 제8태양의 경우와 같이 속에 수용되는 수용물은 농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용된 수용물은, 예컨대 약제, 식품 또는 낙시용 미끼이어도 좋다. 이들 이외의 수용물이더라도 포장체에는 수용성 필름을 용해할 수 있는 액체 등을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사람의 피부에 유해하거나 악취를 발산하거나 주위를 오염시키거나 하는 수용물을 수용하는데 특히 효과가 있다. 또한 수용물의 형태는 분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과립상 물질이거나 액상 물질이어도 좋다. 예컨대, 액상의 수용물이 유기용매이면, 수용성 필름을 용해할 우려가 전혀 없다.
상기한 제1 내지 제3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외층용 필름과 중간층 사이가 서로 강접착됨과 동시에 중간층과 수용성 필름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상기한 제7태양에 의한 포장체의 포대는 외부포대로 작용하는 강접착된 외층용 필름 및 중간층(설명의 편의상 이들 전체를 외부포대 필름이라함)과, 내부포대로 작용하는 수용성 필름으로 된 이중벽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외부포대 필름과 수용성 필름이 박리가 가능하도록 약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포장체내의 수용물의 사용자는 외부포대 필름만을 박리하는 것(이 경우,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의 일부가 중간층쪽에 부착된대로 있는가의 여부는 명확하지 않으나 어떠한 경우라도 아무런 문제가 생기지 않음)으로도 상기한 내부포대 및 외부포대로 구성된 복합 포장체와 마찬가지로 수용성 필름으로 된 내부포대에 수용된 수용물에 접근할 수 있다. 수용물이 농약류인 경우에는 박리할때 농약등의 수용물이 휩쓸려 올라오는 일이 없으며, 내부포대로부터 수용물을 꺼집어 내는 일이 없이 탱크속에 넣어 그대로 물을 가해 희석하면 되므로(이렇게 함으로써 수용성 필름으로 된 내부포대가 용해 하므로), 인체에 해를 주지 않게 되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더불어 그 취급이 극히 용이해진다.
그리고 수용물을 수용할 때에는 상기한 제1 내지 제3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은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마찬가지로 취급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자동기계 등의 설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내부포대 및 외부포대로 된 복합 포대와는 달리 내부포대를 별도로 제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 코스트도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한 제1 내지 제3태양중의 어느 한가지 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카르복실기와 수용성 기재 필름의 히드록실기 사이의 결합과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에 의한 앵커 효과 등(이 메카니즘은 불명임)이 생길 뿐이라고 생각되므로, 고압법 폴리에틸렌과 수용성 필름이 시간 경과에 따른 기타의 화학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식의 라미네이트 필름과는 달리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고압법 폴리에틸렌과 수용성 필름의 특성이 시간경과에 따라 변화할 우려가 없으므로 중간층과 수용성 필름 사이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한 접착력을 얻을 수가 있다. 결국에는, 사용자가 포대속의 수용물을 사용하고자 할때 외부포대 필름을 수용성 필름으로부터 박리하기가 곤난하다거나, 포대가 사용자에게 도달하기전에 외부포대 필름이 수용성 필름으로부터 박리하여 버린다거나, 수용성 필름의 수용성을 저하시킨다거나 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 더욱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포대 필름과 수용성 필름 사이(즉, 중간층과 수용성 필름 사이)의 접착력은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카르보닐기와 폴리비닐 알코올의 히드록실기 사이에 생기는 비교적 약한 결합강도 및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에 의한 앵커 효과 등에서 기인하여 생기므로 외부포대 필름을 박리한 후에 중간층의 성분이 수용성 필름에 잔류할 가능성은 없다. 따라서 속에 수용된 농약 등의 수용물을 사용할 때에 수용성 필름이 물에 용해한후에 탱크속에서 중간층의 성분이 농약 등의 수용물의 성분과 반응하여 농약 등의 수용물이 변질할 우려가 없다. 그리고 접착제와는 달리 중간층은 그 두께를 비교적 두껍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중간층은 기계적인 충격에 대해 보호재로서 추가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접착제는 도포에 의한 핀홀을 형성하므로 방습작용이 충분하지 않지만, 중간층은 이러한 핀홀을 발생하지 않으므로 중간층은 방습성을 높이는 기능도 한다.
상기한 제1 내지 제3태양중의 어느 한가지 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수용성 필름은 폴리비닐 알코올 등의 수용성 기재 필름으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수용성 기재 필름과 이 수용성 기재 필름의 중간층쪽의 면에 분포된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해 얻어진 바에 따라 상기한 제7태양에 의한 포장체의 포대에 있어서의 히이트 시일 부분의 수용성 필름과 중간층 사이의 약접착제에 의한 접착상태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 안쪽 영역으로부터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이르기까지의 접은 금을 형성하도록 히이트 시일 부분을 굴곡시켜도 이 접근 금의 바깥쪽 가장자리 부분에 있어서 중간층과 수용성 필름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는 수용성을 가지므로 수용성 필름의 용해성을 손상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 의한 미네이트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은 도 1에 나온 바와 같이 외층용 필름(20), 수용성 필름(6) 및 외층용 필름(20)과 수용성 필름(6)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5)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중간층(5)은 수용성 필름(6)쪽의 적어도 한면이 소망의 정도로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함유하고 있다. 그리고 외층용 필름(20)과 중간층(5)은 서로 강접착되어 있다. 중간층(5)과 수용성 필름(6)은 서로 직접 접하여 박리할 수 있도록 약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외층용 필름(20)과 중간층(5)으로 구성된 필름을 외부포대 필름(60)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성 필름(6)은 수용성 기재 필름(6a)과 이 수용성 기재 필름(6a)의 중간층(5)쪽의 면에 분포된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6b)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층용 필름(20)은 기재 필름(10)과 앵커 코우팅제층(4)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재 필름(10)은 폴리에스테르 필름(1), 고압법 폴리에틸렌층(2) 및 알루미늄 박(箔)층(3)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압출 적층법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필름(1)으로서는 PET#12(일본국의 Unitika 주식회사제의 Emblet Polyester Film으로 불리우는 시판품)을 사용하고, 고압법 폴리에틸렌층(2)으로서는 LDPE(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일본국의 Nippon Polyolefins 주식회사제의 L178로 불리우는 시판품)로 된 두께 20㎛의 층을 사용하며, 알루미늄박(3)으로서는 일본국의 昭和알루미늄 주식회사제의 시판품인 알루미늄박을 사용하였다.
중간층(5)으로서는 고압법 폴리에틸렌층(2)과 마찬가지로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일종인 LDPE(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로서 L178(일본국의 Nippon Polyolefins 주식화사제의 시판품)을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층(5)은 L178을 재료로 한 압출 적층법에 의한 앵커 코우팅제층(4)의 위(도 1에서의 층(4)의 아래면)에 미리 형성된 두께 15㎛의 층과 L178을 재료로 한 압출 적층법에 의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나중에 층(5a)위에 형성된 두께 15㎛의 층(5b)이 일체화 된 것으로 구성되며 총두께를 30㎛로 하였다.
수용성 기재 필름(6a)으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인 VF-HP(일본국의 주식회사 Kuraray제의 시판품)을 사용하여 그 두께를 40㎛로 하였다. VF-HP는 후술하는 일본국 특허공개 평7-118,407호 공보에 개시된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 것이다.
그리고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6b)로서는 폴리에틸렌이민계 앵커 코우팅제인 AC-P[일본국의 Tosoh 주식회사 (구 東洋曹達 주식회사)제의 시판품]을 사용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조시에 AC-P를 메탄올로써 소정의 비율로 희석하고, 희석된 AC-P를 수용성 기재 필름(6a)위에 소정량 도포함으로써 수용성 기재 필름(6a)의 중간층(5)쪽의 면에 분포시켰다. 그리고 AC-P의 고형분(주로 폴리에틸렌이민이며 이 고형분이 실질적인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임)은 약 5%이고, 고형분 이외의 것은 이 라미네이트 필름에는 거의 함유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제조조건의 일부와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6b)의 상기 고형분의 도포량만을 변화시켜 실제로 이와 같은 구성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복수 종류(시료 No.1∼3)를 제조하였다.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도 2는 그 제조공정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Emblet PET(폴리에스테르 필름(1))와 알루미늄박(3)을 층(2)이 되는 L178에다 압출하여 기재 필름(10)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기재 필름(10)의 알루미늄박(3)의 면위에 앵커 코우팅제(4)를 도포하고, 그 위에 압출적층에 의해 미리 L178의 층(5a)를 형성해 둔다. 그리고 기재 필름(10)과 앵커 코우팅제(4)가 외층용 필름(20)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앵커 코우팅제(4) 및 L178의 층(5a)가 미리 형성된 기재 필름(10)을 도 2에 나온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기(30)의 안내 로울러(31)를 거쳐 라미네이트기(30)의 가압 로울러(32)와 냉각 로울러(33) 사이의 위치에 유도한다. 앵커 코우팅제(4) 및 L178의 층(5a)이 미리 형성된 기재 필름(10)은 L178의 층(5a)의 쪽을 도 2중에서 위쪽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한편, VF-HP(수용성 기재 필름(6a))을 라미네이트기(30)의 안내 로울러(39, 38)를 거쳐 도포 로울러(28)와 안내 로울러(37)의 사이에 유도하고, 도포 로울러(28)에 의해 VF-HP (수용성 기재 필름(6a))의 한쪽면에다 AC-P를 메탄올로 희석한 것(수용성 앵커 코우팅제(6b)에 상당함)을 도포량 4.7g/m2으로 도포한다.
도 2에서 29는 AC-P를 메탄올에 희석한 것(수용성 앵커 코우팅제(6b)에 상당함)을 도포 로울러(28)에 공급하도록 이 희석물을 수용하는 용기이다. 이 희석된 AC-P로 도포된 VF-HP(수용성 필름(6)에 상당함)는 안내 로울러(36, 34)를 거쳐, 이 희석물(수용성 앵커 코우팅제(6b)에 상당함)이 도 2중의 위쪽이 되어 앵커 코우팅제(4) 및 L178의 층(5a)이 미리 형성된 기재 필름(10)의 반대쪽으로부터 가압 로울러(32)와 냉각 로울러(33) 사이에 도입된다. 그리고 가압 로울러(32)와 냉각 로울러(33) 사이에 안내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착되기까지 이 희석물중의 상기 고형분 이외의 물질의 대부분은 휘발한다. 이와 동시에 가압 로울러(32)와 냉각 로울러(33) 사이의 위치의 위쪽으로부터는 용융된 L178(층(5a)과 더불어 중간층(5)을 구성하는 층(5b)이 됨)이 앵커 코우팅제(4) 및 L178의 층(5a)이 미리 형성된 기재 필름(10)과 상기 희석물이 도포된 VF-HP(이들 전체가 수용성 필름(6)에 상당함)와의 사이에서 압출기(40)에 의해 필름상으로 압출된다. 그 결과, L178층(5a)이 미리 형성된 외층용 필름(20), L178의 필름(5b) 및 AC-P의 고형분(수용성 앵커 코우팅제(6b))이 미리 도포된 VF-HP(수용성 필름(6))가 가압 로울러(32) 및 냉각 로울러(33)에 의해 압착되면서 냉각되어 상기한 도 1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되고, 이 라미네이트 필름은 안내 로울러(5)쪽으로 안내되어 후술하는 도 3에 나온 바와 같이 권취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압출기(40)는 L/D=32이고, D=90mm(직경)의 것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L은 스크루우의 길이이고 D는 스크루우의 직경이다. 라미네이트기(30)의 인취 속도(pulling speed)는 100m/min으로 하였다. 이 제조방법에 의하여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6b)로서의 AC-P의 고형분의 도포량 및 압출기(40)의 다이스(dies)의 온도(L178이 압출기(40)에 의해 압출되기 전의 L178 (5b)의 온도)만을 변화시켜 도 1에 나온 바와 같은 구성의 시료 No.1∼No.3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표 1에 나온 바와 같이 시료 No.1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AC-P 1kg을 메탄올 14kg으로 희석하여 제조한 용액을 4.7g/m2의 도포량으로 도포(따라서 AC-P의 고형분이 약 5%인 것으로 하여 산출하면 AC-P의 고형분의 도포량은 0.016g/m2가 됨)함과 동시에 다이스 온도를 325℃로 설정하고 실린더 온도를 이 다이스 온도에 준하여 설정한 조건하에서 제조한 것이다.
시료 No. AC제 도포량(g/m2) 다이스 온도(℃)
1 0.016 325
2 0.034 310
3 0.034 320
4 0 335
시료 No.2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AC-P 2kg을 메탄올 12kg으로 희석하여 제조한 용액을 4.7g/m2의 도포량으로 도포(따라서 AC-P의 고형분이 약 5%인 것으로 하여 산출하면 AC-P의 고형분의 도포량은 0.034g/m2가 됨)함과 동시에 다이스 온도를 310℃로 설정하고 실린더 온도를 이 다이스 온도에 준하여 설정한 조건하에서 제조한 것이다.
시료 No.3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AC-P 2kg을 메탄올 12kg으로 희석하여 제조한 용액을 4.7g/m2의 도포량으로 도포(따라서 AC-P의 고형분이 약 5%인 것으로 하여 산출하면 AC-P의 고형분의 도포량은 0.034g/m2가 됨)함과 동시에 다이스 온도를 320℃로 설정하고 실린더 온도를 이 다이스 온도에 준하여 설정한 조건하에서 제조한 것이다.
더욱이 비교예로서 상기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AC-P를 메탄올로 희석하여 제조한 용액(즉,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6b))을 VF-HP에 모두 도포하지 않고 다이스 온도를 335℃로 설정하고 실린더 온도를 이 다이스 온도에 준하여 설정한 조건하에서 도 1에 나온 바와 같은 구성(그러나 수용성 필름(6)은 수용성 기재 필름(6a)으로서의 VF-HP만으로 됨)의 시료 No.4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또한 기재 필름(10)에는 미리 앵커 코우팅제(4)를 도포하였으나 L178의 층(5a)은 형성하지 않고 이 앵커 코우팅제(4)를 도포한 기재 필름(10)을 가압 로울러(32)와 냉각 로울러(33) 사이에 도입함으로써 시료 No.4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시료 No.4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중간층(5)은 압출기(40)에 의해 압출된 L178 (5b)만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 이유는 다이스 온도를 335℃로 높게 설정하였기 때문에 L178을 압출 적층법에 의해 앵커 코우팅제(4)를 통해 알루미늄박(3)에 강접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자면 시료 No.1∼3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다이스 온도가 비교적 낮으므로 시료 No.4의 라미네이트 필름같이 중간층(5)을 압출기(40)에서 압출된 L178 (5b)만으로 구성하면 중간층(5)과 외층용 필름(20)이 서로 확실하게 강접착시킬 수가 없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시료 No.1∼3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은 다이스 온도를 비교적 높은 온도로 설정하면 시료 No.4의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시료 No.4의 라미네이트 필름의 중간층(5)의 두께는 15㎛로 하였다. 시료 No.4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상기한 점을 제외하고는 시료 No.3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제조하였다.
이어서 도 1의 구성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구성한 대표적인 포대의 예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외층용 필름(20)의 전체면에 중간층(5)을 통해 수용성 필름(6)이 적층되어 로울형상으로 권취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3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제조된 포대의 예를 나타낸 것인데, 이 포대에 있어서 라미네이트 필름을 절곡하여 수용성 필름(6)이 안쪽이 되도록 서로 겹쳐 소정의 부분의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6) 사이를 용착시키고 한변이 개방된 포대형상으로 형성된 포대이다. 도 4에 나온 포대는 오른쪽변이 절곡선을 구성하고, 왼쪽변을 따른 부분(302, 301)과 윗변을 따른 부분(305) 및 윗변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스트립 형상의 부분(306)이 히이트 시일되며, 아래변이 개방되어 기본적으로는 소위 L형 시일 포대(sealed bag)로 되어 있다. 도 4에 나온 포대에 있어서 히이트 시일 부분(302, 306)과 수용물이 아래변의 개구로부터 수용된 후에 히이트 시일되는 아래변을 따라 있는 부분(307)에 의하여 둘러쌓인 부분이 수용물의 수용예정 영역[비(非)히이트 시일 부분](306)을 구성하고 있다. 도 4에 310은 재봉틀 구멍(천공부)이며, 이들은 히이트 시일 부분(305)의 아래변의 약간 아래쪽의 위치에서 히이트 시일 부분(305)의 아래변과 평행하게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히이트 시일 부분(301)의 왼쪽변 및 비히이트 시일 부분(309)의 오른쪽변까지 도달하고 있다. 재봉틀 구멍(310)의 왼쪽끝(즉, 히이트 시일 부분(301))에는 재봉틀 구멍(310)을 따라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노치[절결부(切缺部)](3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포대의 형태는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3변 시일 포대(three-side sealed bag), 거싯 타입(gusset-type) 포대 및 백라이닝 타입(back lining type) 포대 등의 임의의 형태의 포대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온 포대에 있어서 다음에 나오는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히이트 시일 부분(301, 305), 비히이트 시일 부분(309) 및 재봉틀 구멍(천공부)(310) 및 노치(절결부)(311)는 외부포대 필름(60)을 박리하기 위한 실마리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실마리를 형성하는 구조는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나온 아래변이 개방된 포대는 포대 공급방식의 경우에 있어서는 포대 제조업자에 의해 제조되어 수용물의 제조업자에게 공급되는 것이다. 포대공급 방식의 경우에 있어서 수용물의 제조업자는 도 4에 나온 포대속으로 아래변의 구멍을 통해 수용물을 넣은 후에 아래변을 따라 있는 부분(307)을 히이트 시일하여 수용물의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최종형태인 포장체를 완성한다. 자동포장 방식의 경우에 있어서 수용물 제조업자는 도 3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으로부터 도 4에 나온 포대를 제조하면서 포대속에 수용물을 충전하고 아래변을 따라 있는 부분(307)의 히이트 시일을 연속하여 하는 것이다.
상기한 포장체의 포대는 외부포대로서 작용하는 강접착된 외층용 필름(20) 및 중간층(5)(이하, 설명의 편의상 이들 전체를 외부포대 필름(60)이라 함)과, 내부포대로 작용하는 수용성 필름(6)으로 구성된 이중벽 구조로 되어 있다. 외부포대 필름(60)과 수용성 필름(6)은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물의 사용자는 외부포대 필름(60)만을 박리하는 것만으로도 상기한 내부포대 및 외부포대로 구성된 복합 포대와 마찬가지로 수용성 필름(6)으로 구성된 내부포대에 수용된 상태의 수용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시료 No.1∼4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각각 사용하여 도 4에 나온 포대를 4종류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들 포대에 있어서 시험용으로서 이 포대속에 수용물을 넣지 않고 아래변을 따라 있는 부분(307)을 히이트 시일하였다. 그리고 이들 포대는 시료 No.1∼4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각각 그 제조직후부터 48시간 에이징(aging)(라미네이트 필름을 온도 40∼45℃로 유지된 환경중에서 두는 처리)을 하고, 그 후 정상적인 환경하에 3일 이상 방치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에이징은 반드시 할 필요는 없다.
시료 No.1∼4의 라미네이트 필름 각각을 사용하여 상기한 방식으로 제조한 포대에 대해 다음에 나오는 바와 같은 박리강도(접착력 또는 접착강도)를 측정하고 굴곡시험을 하였다. 이들 측정 및 시험 결과는 표 2에 나와 있다. 박리강도의 측정은 각 포대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308)과 히이트 시일 부분(302)으로부터 절취한 시험편을 각각 그 측정대상으로 하였고, 시험편의 외부포대 필름(60)과 수용성 필름(6) 사이의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박리강도의 측정시에는 일본국의 Tester Sangyo 사제의 수평형 인장강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폭 15mm에서 180°박리조건에서 JIS(일본 공업규격) P8113에 따라 실시하였다.
시료No. 포대 제조후 1∼2일후의 박리강도(g/15mm) 포대 제조후 1∼2주후의 박리강도(g/15mm) 히이트 시일부분의 굴곡시험
비히이트시일 부분 히이트시일 부분 비히이트시일 부분 히이트시일 부분
1 22∼35 30∼40 5∼10 10∼15 5회 시험시틈새 발생 없음
2 20∼50 160 약 10 약 10 5회 시험시틈새 발생 없음
3 40∼85 170 약 10 약 10 5회 시험시틈새 발생 없음
4 5 5 5 5 1회 시험에서틈새 발생
시료 No.1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에 있어서, 표 2에 나온 바와 같이 포대 제조후(즉, 히이트 시일한 후) 정상적인 환경하에서 1일 경과한 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308)과 히이트 시일 부분(302)의 박리강도는 각각 25∼35g/15mm 및 30∼40g/15mm이었다. 그리고 시료 No.1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에 있어서, 포대 제조후(즉, 히이트 시일한 후) 정상적인 환경하에서 1∼2주 경과한 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308) 및 히이트 시일 부분(302)의 박리강도는 각각 5∼10g/15mm 및 10∼15g/15mm이었다.
시료 No.2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에 있어서, 표 2에 나온 바와 같이 포대 제조후(즉, 히이트 시일한 후) 정상적인 환경하에서 2일 경과한 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308)과 히이트 시일 부분(302)의 박리강도는 각각 20∼50g/15mm 및 160g/15mm이었다. 그리고 시료 No.2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에 있어서, 포대 제조후(즉, 히이트 시일한 후) 정상적인 환경하에서 1∼2주 경과한 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308) 및 히이트 시일 부분(302)의 박리강도는 모두 약 10g/15mm이었다.
시료 No.3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에 있어서, 표 2에 나온 바와 같이 포대 제조후(즉, 히이트 시일한 후) 정상적인 환경하에서 2일 경과한 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308)과 히이트 시일 부분(302)의 박리강도는 각각 40∼85g/15mm 및 170g/15mm이었다. 그리고 시료 No.3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에 있어서, 포대 제조후(즉, 히이트 시일한 후) 정상적인 환경하에서 1∼2주 경과한 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308) 및 히이트 시일 부분(302)의 박리강도는 모두 약 10g/15mm이었다.
시료 No.4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에 있어서, 표 2에 나온 바와 같이 포대 제조후(즉, 히이트 시일한 후) 정상적인 환경하에서 약 2일 경과한 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308)과 히이트 시일 부분(302)의 박리강도는 모두 5g/15mm이었다. 그리고 시료 No.4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에 있어서, 포대 제조후(즉, 히이트 시일한 후) 정상적인 환경하에서 1∼2주 경과한 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308) 및 히이트 시일 부분(302)의 박리강도는 모두 약 5g/15mm이었다.
히이트 시일 부분(302)의 굴곡 시험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나온 포대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온 선 X2-X2'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취한 도면에 상당한 것으로서 시료 No.1∼3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각각 사용한 포대의 굴곡시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의 선 X2-X2'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취한 도면에서 상당한 것으로서 시료 No.4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굴곡시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히이트 시일 부분(302)의 굴곡시험은 도 5 내지 도 7에 나온 바와 같이 선 L을 따라 포대 각각을 180°굴곡한 후 원래의 상태로 회복하고, 이 과정을 1회로 하여 복수회를 반복하여 외부포대 필름(60)과 수용성 필름(6) 사이(시료 No.1∼3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의 경우) 또는 외부포대 필름(60)과 수용성 기재 필름(6a) 사이(시료 No.4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의 경우)에 상기 과정을 몇회 반복했을 때 접힌 금 L의 외부 가장자리 부분에서 도 7에 나온 바와 같은 틈새 S가 생겼는가를 조사하는 시험이다. 이 굴곡시험은 시료 No.1∼4를 사용한 각각의 포대에 있어서 포대 제조후(즉, 히이트 시일한 후)에 정상적인 환경하에서 1∼2주 동안 방치한 후에 실시하였다.
표 2에 나온 바와 같이 이 굴곡시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시료 No.1∼3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에 있어서 상기한 과정을 5회 반복하여도 접은 금 L의 외부 가장자리 부분에서 틈새 S는 생기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의 시료 No.4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에서는 상기한 과정을 1회 실시하면 접은 금 L의 외부 가장자리 부분에서 틈새 S가 생겼다.
표 1 및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6b)를 도포하지 않은 시료 No.4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에서는 포대 제조 직후부터 박리강도가 안정하기는 하지만 히이트 비시일 부분의 박리강도는 히이트 시일 부분의 박리강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비교적 적다. 시료 No.4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에서는 상기 굴곡시험의 결과로부터 접은금에 의해 틈새 S가 쉽사리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 사실은 틈새 S가 외부포대 필름(60)의 박리를 위한 실마리가 되므로 이 포대의 수송중에 외부포대 필름(60)이 뜻하지 아니하게 쉽사리 박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6b)를 도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시료 No.1∼3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에서는 포대 제조 직후부터 시간 경과에 따라 박리강도가 저하하고, 포대 제조 직후부터 1∼2주일 경과하면 시료 No.4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의 박리강도 보다 약간 큰 박리강도가 된다. 그리고 그 후에, 표에는 없지만 박리강도가 시간경과에 따라 거의 변화하지 않고 안정하다. 이 박리강도의 값은 외부포대 필름(60)을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박리하는데 적당한 값이다. 시료 No.1∼3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에서는 시료 No.4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에 비하여 굴곡시험에 의한 틈새 S가 현저하게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이 포대를 수송하는 도중에 외부포대 필름(60)이 뜻하지 아니하게 박리될 가능성은 없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성 기재 필름(6a)에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6b)를 도포함으로써 히이트 시일 부분의 최종적인 박리강도의 상승 정도가 그다지 없는데도 불구하고 수용성 필름(6)과 중간층(5) 사이의 접착상태를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료 No.1∼4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외부포대 필름(60)을 박리한 후에 중간층(5)의 성분이 수용성 필름(6)에 잔존하는 현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어서, 도 4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서의 외부포대 필름(60)의 박리 원리에 대해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도 1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을 수용성 필름(6)이 안쪽이 되도록 서로 겹쳐 그 일부를 히이트 시일한 것의 표면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서의 선 X1-X1'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취한 도면이고, 도 8c 및 도 8d는 각각 외부포대 필름(60)의 박리과정을 순차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b에 대응하고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나온 바와 같이 히이트 시일 부분(100)과 비히이트 시일 부분(101)은 경계선(102)을 경계로 하여 서로 인접해 있다. 히이트 시일 부분(100)에서는 수용성 필름(6)의 서로 마주보는 앞뒤의 면이 서로 용착되어 있다. 도 8a중의 윗변에 있어서 표면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뒷면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서로 연속해 있지 않다. 다시 말하자면, 도 8a중의 윗변은 라미네이트 필름의 절곡선으로 되어 있지 않다. 경계선(102)의 한쪽끝인 점 A는 윗변에 이르고 있다. 도 8a 내지 도 8d에 나온 예에서는 히이트 시일 부분(100)의 윗변의 길이, 즉 히이트 시일 부분(100)에서의 경계선(102)을 따른 부분의 폭(도 8a중의 히이트 시일 부분(100)의 윗변의 길이)는 비교적 넓게 되어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나온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진 상태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부터 도 8c 및 도 8d에 나온 바와 같이 하여 외부포대 필름(60)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101)의 라미네이트 필름의 표면쪽과 이면쪽을 점 A에 힘이 가해지도록 젖히면 먼저 외부포대 필름(60)은 박리를 시작하기 직전에 도 8c에 나온 상태로 되고, 이어서 도 8d에 나온 바와 같이 수용성 필름(6)의 점 A의 부분이 앞쪽(도 8d의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한편, 앞뒤쪽 라미네이트 필름의 외부포대 필름(60)의 경계선(102)부근의 부분은 바깥쪽으로 점차 젖혀진다. 그 이유는 수용성 필름(6)이 신축성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경계선(102)한 경계로 한 히이트 시일 부분(100)에서의 앞뒤쪽 라미네이트 필름의 수용성 필름(6)이 서로 용착해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도 8d에 나온 바와 같이 점 A부근에서 수용성 필름(6)과 외부포대 필름(60) 사이에 틈새(103)가 점차로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 틈새(103)를 외부포대 필름(60)을 박리하기 위한 실마리로 이용함으로써 외부포대 필름(60)을 쉽사리 박리할 수 있다.
도 4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 있어서 외부포대 필름(60)의 박리는, 먼저 재봉틀 구멍(천공부)(310)을 따라 이 재봉틀 구멍(310)의 위쪽 부분을 절제함으로써 개시된다. 따라서 나머지 히이트 시일 부분(301)은 도 8a에서의 히이트 시일 부분(100)에 상당하며, 점 B는 도 8a에서의 점 B에 상당하고, 나머지 비히이트 시일 부분(309)은 도 8a에서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101)에 상당하다. 따라서 도 8a의 경우에서 처럼 외부포대 필름(60)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가 있다. 도 4에 나온 포대에 있어서, 비히이트 시일 부분(309)이 히이트 시일 부분(301, 305, 306)으로 둘러싸여 있고, 비히이트 시일 부분(309)은 재봉틀 구멍(310)의 부분을 제외하고 외부에 대해 개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히이트 시일 부분(309)의 수용성 필름(6)도 외부 환경에 의해 변질될 가능성은 없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외부포대 및 수용성 필름으로 된 내부포대로 구성된 2중벽 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외부포대의 박리특성이 우수한 포대를 기존의 설비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가 있고, 더욱이 이 포대에서의 히이트 시일 부분에서의 수용성 필름과 중간층 사이의 약접착에 의한 접착상태를 소정의 상태로 설정할 수 있는 라미네이트 필름 및 이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과,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 및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필름과,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으로서 적어도 상기 수용성 필름쪽의 면이 소망의 정도로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함유한 중간층을 구비하고,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중간층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되며, 상기 수용성 필름이 수용성 기재 필름과 이 수용성 기재 필름의 상기 중간층쪽의 면에 분포된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기재 필름이 폴리비닐 알코올, 아세트산 비닐, 아세트산 비닐계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 옥사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라미네이트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가 폴리에틸렌이민계 앵커 코우팅제인 라미네이트 필름.
  4. (가)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과 이 외층용 필름쪽의 면에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가 미리 도포된 수용성 기재 필름과의 사이에 용융되어 열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필름상으로 압출하는 스텝과,
    (나) 상기 외층용 필름, 상기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가 미리 도포된 상기 수용성 기재 필름 및 상기 필름상의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압착하면서 냉각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5. (가)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으로서 적어도 한쪽 면이 미리 고압법 폴리에틸렌층이 형성된 외층용 필름의 이 고압법 폴리에틸렌층과, 상기 외층용 필름쪽의 면에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가 미리 도포된 수용성 기재 필름과의 사이에 용융되어 열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필름상으로 압출하는 스텝과,
    (나) 상기 고압법 폴리에틸렌층이 미리 형성된 상기 외층용 필름, 상기 수용성 앵커 코우팅제가 미리 도포된 상기 수용성 기재 필름 및 상기 필름상의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압착하면서 냉각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의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상기 수용성 필름이 안쪽이 되도록 서로 겹쳐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 사이를 용착시켜 한변이 개방된 포대형상으로 형성하여서 된 포대.
  7.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의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상기 수용성 필름이 안쪽이 되도록 서로 겹쳐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 사이를 용착시켜 밀봉한 포대의 내부에 소망의 수용물을 수용하여 된 포장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물이 농약, 약제, 식품 또는 모이인 포장체.
KR10-1998-0007953A 1997-03-26 1998-03-10 라미네이트필름과그제조방법및이라미네이트필름을사용한포대(包袋)와포장체 KR100358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91480 1997-03-26
JP09148097A JP3756937B2 (ja) 1997-03-26 1997-03-26 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袋体及び袋詰め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088A true KR19980080088A (ko) 1998-11-25
KR100358867B1 KR100358867B1 (ko) 2003-03-06

Family

ID=1402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953A KR100358867B1 (ko) 1997-03-26 1998-03-10 라미네이트필름과그제조방법및이라미네이트필름을사용한포대(包袋)와포장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40024A (ko)
EP (1) EP0867276A3 (ko)
JP (1) JP3756937B2 (ko)
KR (1) KR100358867B1 (ko)
BR (1) BR98009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289B1 (ko) * 2000-12-05 2003-06-12 안순근 방수방습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원통형 직포 및 그 원통형 직포에의 방수방습 필름의 라미네이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0508B1 (en) * 1997-11-13 2002-08-27 Kyodo Shiko Co. Laminated film,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bag and package using the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separation thereof
US20040167256A1 (en) * 2003-02-26 2004-08-26 Verrall Andrew P. Water soluble film for trigger spray bottle solution
US7651579B1 (en) * 2006-01-27 2010-01-26 The Glad Products Company Storage bag
CN101830086A (zh) * 2010-05-31 2010-09-15 徐建学 一种新型复合膜
CN103072357A (zh) * 2012-10-19 2013-05-01 大连富利达塑料制品有限公司 耐高温、抗腐蚀性复合型膜
WO2018116117A1 (en) * 2016-12-19 2018-06-28 Upl Ltd Moisture barrier package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4808A (ko) * 1900-01-01
GB922317A (en) * 1958-05-05 1963-03-27 Associated Fumigator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ans for packaging pesticides
US3114643A (en) * 1961-11-02 1963-12-17 Bartelt Engineering Co Inc Food package
US3272424A (en) * 1965-01-11 1966-09-13 Dow Chemical Co Flexible container
US3419137A (en) * 1967-11-14 1968-12-31 Bard Inc C R Closed-end peel package
US3454210A (en) * 1968-05-23 1969-07-08 Standard Packaging Corp Easy opening and reclosable package,film therefor and process
FR1600060A (ko) * 1968-12-30 1970-07-20
US3768725A (en) * 1971-11-11 1973-10-30 Nat Distillers Chem Corp Breathable, sterilizable and peelable pouch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S5497193A (en) * 1978-01-13 1979-08-01 Sumitomo Chem Co Ltd Packaging of pesticides
US4289815A (en) * 1978-06-26 1981-09-15 Airwick Industries, Inc. Cold water-insoluble polyvinyl alcohol pouch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active ingredients
MX151028A (es) * 1978-11-17 1984-09-11 Unilever Nv Mejoras en bolsa insoluble pero permeable al agua que tiene una capa protectora dispersable o soluble en agua,que contiene una composicion detergente en particulas
US4365716A (en) * 1978-11-29 1982-12-28 Pharmachem Corporation Peelable seal
JPS5672006A (en) * 1979-11-15 1981-06-16 Kuraray Co Ltd Novel copolymer and production thereof
US4279344A (en) * 1979-12-26 1981-07-21 Reynolds Metals Company Heat-sealable and peelable laminated packaging construction
US4787517A (en) * 1981-04-06 1988-11-29 Martin Andrew Mcg Easily opened and reclosable bag with tear-guiding ridges
US4416791A (en) * 1981-11-11 1983-11-22 Lever Brothers Company Packaging film and packaging of detergent compositions therewith
GB8332687D0 (en) * 1983-12-07 1984-01-11 Allen Davies & Co Ltd Securing items for display
NL8500076A (nl) * 1985-01-14 1986-08-01 Leer Koninklijke Emballage Verpakking gevuld met een in water oplosbaar giftig poeder- of korrelproduct.
FR2585248B1 (fr) * 1985-07-25 1987-10-09 Rhodic Sa Sachet de parfum perfectionne utilisable dans les lave-vaisselle
EP0221651A1 (en) * 1985-09-27 1987-05-13 Kao Corporation Water soluble polyvinyl alcohol derivative
JPH0532288Y2 (ko) * 1986-04-07 1993-08-18
GB8612706D0 (en) * 1986-05-23 1986-07-02 Unilever Plc Sealable container
GB2193925B (en) * 1986-08-18 1990-07-04 Enak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wc-disposable sheet material
US4889731A (en) * 1988-02-12 1989-12-26 W. R. Grace & Co.-Conn. Package having peelable film
JPH01226569A (ja) * 1988-02-25 1989-09-1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包装用袋
JPH0242748A (ja) * 1988-08-03 1990-02-13 Fuji Xerox Co Ltd 半導体装置
JPH062770B2 (ja) * 1988-12-16 1994-01-12 花王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
US4923309A (en) * 1989-02-27 1990-05-08 Illinois Tool Works Tamper-evident package
CA2019761C (en) * 1989-06-30 2000-04-25 Gerald O. Hustad Tamper-evident, flexible, reclosable packages
US5005695A (en) * 1990-03-15 1991-04-09 Tennefos David A Condom caddy package
US5080226A (en) * 1990-07-18 1992-01-14 Rhone-Poulenc Ag Company Containerization system for agrochemicals and the like
IE64670B1 (en) * 1990-05-02 1995-08-23 Rhone Poulenc Agriculture Soluble sachets
AU649039B2 (en) * 1990-05-17 1994-05-12 W.R. Grace & Co.-Conn. Water soluble film
JP3015071B2 (ja) * 1990-06-22 2000-02-28 ライオン株式会社 水解性シートおよび水解性包装体
NZ242597A (en) * 1991-05-14 1995-07-26 Grace W R & Co Co-extruded water soluble laminated polymeric film and methods of extruding it
EP0513692A1 (en) * 1991-05-17 1992-11-19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Water soluble multilayer film for packaging alkaline materials
AU655282B2 (en) * 1991-06-14 1994-12-15 Rhone-Poulenc Agro New aqueous formulations
DE4120685A1 (de) * 1991-06-22 1992-12-24 Hoechst Ag Schichtstoffmaterial mit latent inhaerentem delaminierungspotential
JP2565815B2 (ja) * 1991-11-21 1996-12-18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複合フィルム及びその製法
US5487940A (en) * 1991-12-23 1996-01-30 Mobil Oil Corp. Oxygen and moisture barrier metallized film structure
US5330047A (en) * 1992-04-27 1994-07-19 Rhone-Poulenc Inc. Packaging for agrichemicals
US5253754A (en) * 1992-08-14 1993-10-19 American Fluoroseal Corporation Peel package and method of packaging organs
JPH0672469A (ja) * 1992-08-18 1994-03-15 Mitsubishi Materials Corp 吸湿物質を包含する水溶性フィルムのための封体
JPH06127593A (ja) * 1992-10-14 1994-05-10 Toyo Alum Kk 農薬包装用袋
JP3270539B2 (ja) * 1992-10-23 2002-04-02 三菱化学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155690A (ja) * 1992-11-17 1994-06-03 Mitsubishi Plastics Ind Ltd 積層方法
US5691015A (en) * 1993-01-25 1997-11-25 Aicello Chemical Co., Ltd. Composite film bags for packaging
JP2741564B2 (ja) * 1993-01-25 1998-04-22 アイセロ化学 株式会社 包装用複合フィルム袋
US5341922A (en) * 1993-02-24 1994-08-30 Ethicon, Inc. Peelable foil suture packaging
JP3255486B2 (ja) * 1993-04-02 2002-02-12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積層フィルム
JP3424211B2 (ja) * 1993-05-21 2003-07-07 日本製紙株式会社 剥離容易な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法
JPH072272A (ja) * 1993-06-15 1995-01-06 Nippon Chibagaigii Kk 水溶性フィルムを用いた薬剤包装材料及び包装容器
US5441805A (en) * 1993-06-30 1995-08-15 Camelot Technologies Inc. Soluble laminates
JP2735996B2 (ja) * 1993-08-03 1998-04-02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水溶性複合フィルム
DE69423791T2 (de) * 1993-09-21 2000-08-10 Sumitomo Chemical Co., Ltd. Mehrschichtige Foli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3118352B2 (ja) * 1993-10-27 2000-12-18 株式会社クラレ 農薬包装用水溶性フィルム
JPH08127755A (ja) * 1994-10-31 1996-05-21 Arutetsuku Kk 帯電防止性アンカーコート剤及び積層複合フィルム
US5786092A (en) * 1994-11-21 1998-07-28 W.R. Grace & Co.-Conn. Peelable laminate
JPH0966261A (ja) * 1995-08-31 1997-03-11 Mitsubishi Chem Corp 紙−エチレン系樹脂積層体の製造方法
EP0769369B1 (en) * 1995-10-09 2004-07-14 Kyodo Shiko Co., Ltd. Laminated film,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bag and package using the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separation thereof
JP2875217B2 (ja) * 1995-10-09 1999-03-31 共同紙工株式会社 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袋体及び袋詰め体
JP2804256B2 (ja) * 1995-12-14 1998-09-24 共同紙工株式会社 袋体及び袋詰め体並びにこれの剥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289B1 (ko) * 2000-12-05 2003-06-12 안순근 방수방습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원통형 직포 및 그 원통형 직포에의 방수방습 필름의 라미네이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8867B1 (ko) 2003-03-06
BR9800959A (pt) 1999-09-21
EP0867276A3 (en) 1998-12-23
US6040024A (en) 2000-03-21
JP3756937B2 (ja) 2006-03-22
JPH10264333A (ja) 1998-10-06
EP0867276A2 (en) 1998-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1286B1 (ko) 라미네이트 필름, 그 제조방법,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와 포장체 및 이들의 박리방법
EP2019049B1 (en) Package body for cooking by microwave oven
KR0153745B1 (ko) 니코틴 포장 물질
US7364359B2 (en) Laminated film,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bag and package using the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separation thereof
JP5641596B2 (ja) ラミネートチューブ
KR100344580B1 (ko) 포장체
CA2276120A1 (en) Closure membranes
JP2010137886A (ja) ラミネートチューブ
JP7535883B2 (ja) 複合フィルム、包装袋、蓋材、蓋付き容器、及び複合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9980080088A (ko) 라미네이트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包袋)와 포장체
JP6583658B2 (ja) 易開封性包装体用の積層フィルム及び易開封性包装体
PL198393B1 (pl) Wielowarstwowa folia do laminowania, materiał opakowaniowy i zastosowanie materiału opakowaniowego
JP2012066868A (ja) 液体用紙容器
JP2009269640A (ja) 再封可能袋体およびチャックテープ
EP1415930A1 (en) Improved flexible packaging container and method of sealing a flexible container
US20230382575A1 (en) Method for producing a packaging from a recyclable material
JP5030704B2 (ja) ポリプロピレン製容器の蓋材用シーラントフィルム
CN111278745B (zh) 泡罩包装用盖材
JP3808541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食品の包装用シート材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JP2875217B2 (ja) 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袋体及び袋詰め体
JP2017039494A (ja) 包装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容器
JP7565878B2 (ja) 再封可能容器
JP2000225667A (ja) ラミネート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袋体及び袋詰め体
JP3273388B2 (ja) 電子部品包装用積層フィルム
JP2003063558A (ja) 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