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286B1 - 라미네이트 필름, 그 제조방법,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와 포장체 및 이들의 박리방법 - Google Patents

라미네이트 필름, 그 제조방법,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와 포장체 및 이들의 박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286B1
KR100191286B1 KR1019960044689A KR19960044689A KR100191286B1 KR 100191286 B1 KR100191286 B1 KR 100191286B1 KR 1019960044689 A KR1019960044689 A KR 1019960044689A KR 19960044689 A KR19960044689 A KR 19960044689A KR 100191286 B1 KR100191286 B1 KR 100191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ater
portions
laminate
sol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420A (ko
Inventor
요시아키 도키다
다카히로 다카기
Original Assignee
도키타 쇼지
교도 시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191558A external-priority patent/JP2804256B2/ja
Application filed by 도키타 쇼지, 교도 시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키타 쇼지
Publication of KR970020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2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02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laminate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gusseted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6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laminated sheets or wrapp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55/00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70/00Construction of flexible containers
    • B31B2170/20Construction of flexible containers having multi-layered walls, e.g. laminated or l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32B2307/7166Water-soluble, water-disper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14Corona, ionisation, electrical discharge, plasma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라미네이트 필름은 외층용 필름(20)과, 수용성 필름(6)과,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5)으로 구성된다. 이 중간층(5)은 적어도 수용성 필름(6)쪽의 표면이 소망의 정도로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함유한다. 외층용 필름(20)과 중간층(5) 사이가 강접착(强接着)됨과 아울러 중간층(5)과 수용성 필름(6)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弱接着)된다.

Description

라미네이트 필름, 그 제조방법,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包袋)와 포장체 및 이들의 박리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공정의 일부의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공정의 일부의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공정의 일부의 개략도.
제5도는 로울상으로 권취된 라미네이트 필름을 나타낸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부포대 필름의 박리용 실마리를 가진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로울상으로 권취된 다른 라미네이트 필름을 나타낸 도면.
제12a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의 개략 측면도.
제12b도는 제12a도에 나온 포대의 개략 평면도.
제13a도는 서로 겹쳐서 일부를 히이트 시일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평면도.
제13b도는 제13a도의 선 X1-X1'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취한 도면.
제13c도는 외부포대 필름의 박리과정을 나타낸 도면.
제13d도는 제13c도에 나온 과정에 이어 계속되는 박리과정을 나타낸 도면.
제14a도는 서로 겹쳐서 일부를 히이트 시일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평면도.
제14b도는 제14a도의 선 X2-X2'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취한 도면.
제14c도는 외부포대 필름의 박리과정을 나타낸 도면.
제14d도는 제14c도에 나온 과정에 이어 계속되는 박리과정을 나타낸 도면.
제15a도는 서로 겹쳐서 일부를 히이트 시일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평면도.
제15b도는 제15a도의 선 X3-X3'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5c도는 외부포대 필름의 박리과정을 나타낸 도면.
제15d도는 서로 겹쳐서 일부를 히이트 시일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평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1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1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2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2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2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2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2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2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26a도는 서로 겹쳐서 일부를 히이트 시일하여 개방시킨 라미네이트 필름의 투시도.
제26b도는 제26a도의 선 X4-X4'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취한 도면.
제26c도는 외부포대 필름의 박리과정을 나타낸 도면.
제26d도는 제26c도에 나온 과정에 이어 계속되는 박리과정을 나타낸 도면.
제27a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27b도는 제27a도에 나온 포대의 전개도.
제28a도는 제27a도의 선 X5-X5'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취한 도면.
제28b도는 외부포대 필름의 제1의 구체적 박리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28c도는 외부포대 필름의 제2의 구체적 박리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29a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29b도는 제29a도에 나온 포대의 전개도.
제30a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30b도는 제30a도에 나온 포대의 전개도.
제31a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31b도는 제31a도에 나온 포대의 전개도.
제3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33a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33b도는 제33a도에 나온 포대의 전개도.
제34a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34b도는 제34a도에 나온 포대의 전개도.
제35a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35b도는 제35a도에 나온 포대의 전개도.
제36a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대를 나타낸 도면.
제36b도는 제36a도에 나온 포대의 전개도.
본 발명은 라미네이트 필름, 그 제조방법,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와 포장체 및 이들의 박리(또는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제까지는 농약이나 기타 여러 가지 수용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그 구성층이 박리가 불가능하게 강고하게 적층법, 즉 라미네이션법(lamination)에 의해 라미네이트된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구성된 포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가장 안쪽층에 그 자체끼리 서로 열접착 가능한 [즉, 히이트 시일(heat-seal) 가능한] 필름 [예 : LLD-PE(linearlow-density polyethylene :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열접착 가능한 필름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러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에서 서로 마주보는 열접착 가능한 필름의 부분들을 서로 용착(fusion)시켜 밀봉한 포대의 내부에 수용물을 수용하고 있다.
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구성된 밀봉된 포대의 내부에 수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는 포대공급 방식과 자동포장 방식으로 불리우는 두가지 방식이 알려져 있다. 포대공급 방식은 포대 제조업자가 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한쪽변(邊)이 개방된 포대를 먼저 제조하고, 수용물 제조업자가 이들 포대의 공급을 받아 상기 포대의 개구부를 통해 수용물을 포대내에 충전한 후 상기 개구부를 히이트 시일함으로써 밀폐하는 방식이다. 자동포장 방식은 예컨대 수용물 제조업자가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을 히이트 시일하는 등의 포대제조 과정을 순차로 실시하면서 수용물을 제조된 포대에 충전하여 마지막으로 수용물이 수용된 밀봉된 포대를 얻는 방식이다. 이들 두가지 방식사이에 어느 것을 선택하는가에 관계없이 수용물의 제조업자들은 위에 나온 제조공정을 자동화하는 자동기계를 널리 채용하고 있다. 포대공급 방식의 경우에 있어서는, 예컨대 한쪽변이 개방된 포대내에 수용물을 자동적으로 충전한 다음 포대의 개구부를 자동적으로 히이트 시일하는 자동기계가 사용되고 있고, 자동포장 방식의 경우에 있어서는 위에 나온 자동포장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자동기계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용될 수용물이 예컨대 분말상 농약물(이것은 일반적으로 물로 희석한 후 사용됨)인 경우이더라도 위에 나온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된 포대내에 직접 수용하고 있다. 농약 사용자가 포대를 개방할 때에는 분말상 농약이 포대의 개방된 쪽을 통해 올라와서 사용자가 이것을 흡입하거나 사용자의 손에 접촉하게 되어 인체에 해를 주게 된다. 그리고 분말상 농약을 물로 희석하고자 포대에서 탱크속으로 옮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분말상 농약이 올라와서 인체에 해를 주게 된다. 농약을 포대에서 꺼낸후에도 포대의 내벽에는 잔존 농약이 부착해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 포대를 일반 쓰레기중에 폐기하면 환경오염이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에 대해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분말상 농약을 수용성 필름으로 된 포대속에 수용하여 이 포대를 밀봉하고, 이 농약을 수용한 수용성 필름으로 된 포대를 다시 위에 나온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된 포대에 수용하여 외부포대를 밀봉하는 것이 근래에 실시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수용성 필름으로 된 포대는 내부포대로서 기능을 하고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된 포대는 외부포대로서 기능을 한다.그리고 이러한 외부포대를 사용하는 이유는 수용성 필름이 주위환경에 의해 쉽사리 변질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지지 않기 때문이다.
위에 나온 바와 같이 내부포대와 외부포대를 사용할 경우에는 농약이 휩쓸려 올라올 위험이 없이 외부포대를 개방할 수 있고, 또한 농약을 수용하고 있는 내부 포대를 탱크속에 직접 넣어 탱크속에서 물로 희석할 수 있기 때문에(수용성 필름으로 된 내부포대가 물과 접촉하여 용해하기 때문임), 내부포대속에 수용된 농약이 인체에 해를 가한다거나 환경의 안전성을 해칠 가능성이 없어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농약을 외부포대에서 꺼집어 낸 후에도 잔류한 농약이 외부포대의 내벽에 절대적으로 부착하지 않으므로 외부포대를 일반 쓰레기중에 그대로 폐기해도 전혀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위에 나온 설명은 분말상 농약뿐만 아니라 입상 또는 액상의 농약과 기타 각종 수용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내부포대와 외부포대 모두를 사용하는 종래의 방식은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예를 들자면 내부포대와 외부포대 모두를 사용하는 종래의 방식에서는 내부포대를 별도로 제조해야 하므로 별도의 제조비가 소요된다. 그리고 수용물을 수용한 내부포대를 외부포대속에 수용할 때에는 위에 나온 포대공급 방식 및 자동포장 방식에 적합한 위에 나온 기존의 자동기계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설비를 필요하게되어 설비 코스트도 더 소요된다.
따라서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필름을 접착력(접착강도 또는 박리강도)이 약한 접착제로 박리가능하게 서로 약하게 접착시킨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포대공급 방식 또는 자동포장 방식에 의하여 수용성 필름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쳐 소정의 부분을 히이트 시일하여 소정의 부분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의 부분들을 서로 용착시킴으로써 밀봉 포대를 제조하고, 이 포대속에 수용물을 수용하는 아이디어를 생각할 수 있다. 더욱이 수용성 필름은 일반적으로 그 자체끼리 열접착성이다.
이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식에 의하면 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된 포대는 외부포대로 기능을 하는 외층용 필름과 내부포대로 기능을 하는 수용성 필름으로 구성된 이중벽 구조를 하고 있다. 양자의 사이가 박리가능하게 약하게 접착되어 있으므로 이 포대에 수용된 수용물의 사용자는 외층용 필름을 박리(또는 분리)하는 것만으로 위에 나온 내부포대와 외부포대로 구성된 복합포대와 마찬가지로 수용성 필름으로 된 내부포대속에 수용된 수용물을 얻을 수가 있고, 예컨대 농약 등의 수용물이 위로 휩쓸려 올라올 우려가 없다. 그리고 이 내부포대로부터 수용물을 꺼집어 낼 필요가 없이 수용물을 수용한 내부포대를 그대로 탱크중에 넣고 탱크속에 있는 물로 희석하면 되므로(수용성 필름으로 된 포대는 물과 접하면 용해함), 내부포대속에 수용된 수용물은 인체에 해를 준다거나 환경의 안전성을 해롭게 함이 없이 취급이 극히 용이해진다.
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은 수용물의 수용시에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자동기계 및 기타 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위에 나온 내부포대 및 외부포대로 구성된 복합 포대와는 달리 내부포대를 별도로 제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러한 포대는 제조비도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식에서는 상기 접착제로서 이상적인 특성을 가진 접착제를 제조한다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이 방식에 의한 제품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접착제의 성분과 수용성 필름이 반응하므로 접착제와 수용성 필름의 특성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포대속에 수용된 수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외층용 필름이 수용성 필름으로부터 쉽사리 박리되지 않거나, 포대가 사용자에게 도달하기전에 외층용 필름이 수용성 필름으로부터 박리하거나, 수용성 필름에 핀 홀 등이 생긴다거나, 또는 수용성 필름의 수용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더욱이 외층용 필름을 수용성 필름으로부터 박리했을 때에 접착제의 일부가 수용성 필름에 잔존하여 수용성 필름의 용해성을 저해한다거나, 예컨대 농약 등의 수용물의 사용시에 수용성 필름이 물에 용해한 후에 물이 들어 있는 탱크속에서 접착제의 각 성분이 농약 등의 수용물의 각 성분과 반응하여 농약 등의 수용물이 변질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위에 나온 방식에서는 외층용 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실마리가 되는 부분이 포대에 구성되어 있지 않으면 수용물의 사용자는 외층용 필름의 박리시에 불편을 겪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된 것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실질적으로 외부포대 및 수용성 필름으로 된 내부포대로 구성된 이중벽 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외부포대의 박리특성이 우수한 포대를 기존의 설비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라미네이트 필름, 이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 및 포장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질적으로 외부포대 및 수용성 필름으로 된 내부포대로 구성된 이중벽 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기존의 설비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더욱이 수용된 수용물을 사용할 때에 외부포대 필름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포대 및 포장체와 그 박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위에 나온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제1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은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필름과,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으로서 적어도 상기 수용성 필름쪽의 표면이 소망의 정도로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함유한 중간층을 구비하며,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중간층이 서로 강(强)접착(fast adhesion)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과 상기 수용성 필름이 서로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또는 분리가능)하게 약(弱)접착(weak adhesion)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강접착이라 함은 실질적으로 박리가 어려운 정도의 접착력으로 두면이 접착됨을 뜻하고, 약접착이라 함은 위에 나온 강접착보다 약한 접착력으로서 접착면을 박리할 수 있을 정도의 접착력으로 접착됨을 뜻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은 제1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중간층이 고압법 폴리에틸렌과 혼합된 에틸렌·α-올레펜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를 함유한 라미네이트 필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은 제1 및 제2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표면의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카르보닐기가 상기 수용성 필름 표면의 히드록실기에 결합해 있는 라미네이트 필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은 제1 내지 제3실시태양중의 어느 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필름이 폴리비닐 알코올,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된 라미네이트 필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은 제1 내지 제4실시태양중의 어느 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수용성 필름은 이 수용성 필름의 중간층쪽의 표면이 코로나 처리된 라미네이트 필름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은 제1층 또는 복수층으로된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필름 사이에 용융되고 열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필름상으로 압출하고, 상기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필름 및 고압법 폴리에틸렌 필름을 압착하면서 냉각하는 단계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은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필름 사이에, 용융되어 열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과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를 함유한 혼합물을 필름상으로 압출하고, 외층용 필름, 수용성 필름 및 혼합물의 필름을 압착하면서 냉각하는 단계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8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은 제6실시태양 또는 제7실시태양에 의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압착단계 이전에 상기 고압법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상기 혼합물의 필름의 상기 수용성 필름과 접하게 되는 표면에 오존을 취입(blowing)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9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은 제6 내지 제8실시태양중의 어느 실시태양에 의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압착단계 이전에 상기 수용성 필름의 상기 외층용 필름과 접하게 되는 표면을 코로나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0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는 제1 내지 제5실시태양중의 어느 실시태양에 의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상기 수용성 필름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을 서로 용착시켜 한쪽변이 개방된 포대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1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제1 내지 제5실시태양중의 어느 실새태양에 의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라미네이트 필름을 상기 수용성 필름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을 서로 용착시켜 밀봉한 포대의 내부에 소망의 수용물을 수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2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제11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있어서 포장체의 히이트 시일된 부분에 분리용의 천공부를 다수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3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제1 내지 제5실시태양중의 어느 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의 소정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수용성 필름이 라미네이트되어 있지 않은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고, 상기 수용성 필름이 안쪽으로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가장자리 부분이 어긋나서 서로 마주보도록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쳐서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을 용착시켜 밀봉한 포대의 내부에 소망의 수용물을 수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4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제11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있어서 히이트 시일 부분으로 둘러쌓이고 상기 수용물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비(非) 히이트 시일 부분을 가지며, 이 비히이트 시일 부분에 대응하는 가장자리 부분에 분리용의 노치부(notched part)가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5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제11내지 제14실시태양중의 어느 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있어서 수용물이 농약, 의약, 식품 또는 낚시용의 분말상 미끼인 포장체이다.
여기서 제1 내지 제5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의 약접착의 추측 가능한 기본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라미네이트 필름 분야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 상식에서 보면 고압법 폴리에틸렌과 수용성 필름 사이의 직접 접착(접착제가 없는 접착)은 달성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생각되고, 라미네이트 필름 분야에 있어서 이러한 형태의 접착을 하고 있는 사례는 아직까지 절대적으로 보고되어 있지 않다. 적층, 즉 라미네이션(lamination) 기술에는 접착제에 의한 적층법 외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다수의 필름을 서로 직접 접착하는 압출 적층법이 있다. 그러나 적층기술 분야에 있어서 압출적층법은 다수의 필름을 강접착하여 일체로 된 복합체를 제조하는 기술로서 확립되어 있고, 접착된 필름들을 박리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필름을 약접착하기 위해 압출적층법을 사용한다는 착상은 이제까지는 전혀 없엇다. 그리고 압출 적층법을 사용하여 다수의 필름을 약접착하는 사례도 전혀 없고, 특히 고압법 폴리에틸렌과 수용성 필름 사이의 직접 접착을 위해 압출 적층법을 사용한 사례는 전혀 알려진 바 없다.
고압법 폴리에틸렌은 아래의 화학식 (1)으로 나타내어지는 반복 단위를 가지며, 그 말단기가 수소결합으로서 무극성이다.
한편, 수용성 필름은 그 말단기가 히드록실기(-OH-) 형태의 극성기를 가진다. 따라서 두가지 요소의 직접 접착(접착체 등의 매체에 의하지 않은 접착)은 어려운 것이라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은 연구 결과로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가진 필름의 표면을 산화하면 고압법 폴리에틸렌과 수용성 필름 사이에서 산화 정도에 따른 접착력(박리력)을 가진 접착이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즉,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산화시키면 산화 정도에 따른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부분이 아래의 화학식 (2)으로 나타내어지게 된다.
한편, 수용성 필름의 물질, 예컨대 폴리비닐 알코올은 아래의 화학식 (3)으로 나타내어지는 반복단위를 가지며 아래의 화학식 (4)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학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아래의 화학식 (5)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카르보닐기와 폴리비닐 알코올의 히드록실기 사이에서 비교적 약한 결합 강도의 결합을 시킬 수가 있다.
이 결합에 의해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 필름과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 사이에 접착력이 생겨 이들 두가지 필름의 직접 접착이 가능하게 된다.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카르보닐기의 양은 산화 정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 필름과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 사이의 접착력을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산화 정도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타의 수용성 필름도 히드록실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위에 나온 원리는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 뿐만 아니라 기타의 수용성 필름에도 적용된다.
위에 나온 원리에 근거하여 상기한 제1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수용성 필름쪽의 표면이 소망의 정도로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함유한 중간층과 수용성 필름이 서로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한 약접착을 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위에 나온 본 발명의 제1실시태양에서의 중간층에 가장 인접한 외층용 필름의 층으로서는 예컨대 고압법 폴리에틸렌이 열접착할 수 있는 층(즉, 용융상태의 고압법 폴리에틸렌이 강접착을 할 수 있는 층)을 사용하면 충분하므로, 외층용 필름과 중간층 사이에 강접착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외층용 필름으로서 위에 나온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사용되고 있던 각종 외층용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층용 필름으로서는 (1) 단순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2) 단순한 종이, (3) 종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열접착시킨 복합체(종이를 중간층쪽으로 함), (4) 폴리에스테르 필름, 접착제층, 알루미늄박(foil)의 층, 접착제층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순서로 적층하여 상기한 접착제층에 의해 드라이(dry) 적층시켜 제조된 복합체, 및 (5)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테르 필름(알루미늄이 표면에 증착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접착제층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순서로 적층하여 상기한 접착제층에 의해 드라이 적층시켜 제조된 복합체(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중간층쪽으로 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산화는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고온 가열하고(예컨대, 고압법 폴리에틸렌에 용융상태를 부여하여), 고온에 의해 촉진되는 공기중의 산소에 의한 산화(이하, 이 산화를 열산화라 함)에 의하여도 좋고, 예컨대 오존을 취입하여 강제적으로 하는 산화(이하, 이 산화를 강제산화라 함), 이어도 좋고, 열산화와 강제산화의 병용에 의한 산화이어도 좋다. 예컨대 열산화의 경우에 있어서,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온도를 적절히 변화시킴으로써 산화량을 조절할 수 있고, 강제 산화의 경우에는 오존 농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산화량을 조절할 수 있다.
위에 나온 제2실시태양에서와 같이 중간층으로서 고압법 폴리에틸렌과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의 혼합물을 사용할 때는 이 혼합물의 배합비에 따라 중간층과 수용성 필름 사이의 접착력을 조정할 수 있다. 더욱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를 배합한 혼합물에 의해 중간층에 우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용성 필름이 쉽사리 신축하더라도 중간층은 수용성 필름의 신축을 따르게 되므로 수용성 필름의 신축에 의해 중간층과 수용성 필름 사이의 뜻하지 아니한 박리 등이 발생할 가능성은 감소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와 마찬가지의 화학적 특성을 가진 물질을 상기 혼합물중의 엘라스토머 대신에 사용해도 좋고, 또는 상기 엘라스토머에 부가하여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수용성 필름을 위에 나온 제4실시태양에서 인용된 각종 물질로 된 것을 사용해도 좋다. 예컨대, 수용성 필름은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 알코올 등의 수용성 합성 고분자의 필름이어도 좋다. 이러한 수용성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을 수용성 필름으로 사용해도 좋다. 이러한 수용성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혹은 말레산, 이타콘산 등으로 변성시킨 폴리비닐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비누화도(degree of saponification)는 70~98몰%의 범위이어도 좋고 중합도는 500~3000의 범위이어도 좋다. 이들 비누화도 중합도를 수용성의 정도, 필름강도 및 물에 대한 용해시간 등에 대해 적절히 정할 수 있다.
수용성 필름의 예로서는, (1) 무변성의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 알코올의 필름, (2) 카르복실산으로 변성시킨 폴리비닐 알코올의 필름, (3) 옥시알킬렌기 또는 양이온성 기를 도입한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의 필름, 또는 (4) 술폰산기를 가진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의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술폰산기를 가진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의 수용성 필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 평 7-118,407호에 개시된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의 수용성 필름을 들 수 있다. 이 수용성 필름은 아래의 화학식 (6)으로 나타내어지는 술폰산기 함유 단위를 0.1~20몰% 함유하는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을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조된다.
위의 화학식 (6)에 있어서, R1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고, R2는 알킬기이며, R3, R4및 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이고, M은 수소 원자, 알칼리 금속 원자, 암모늄기 또는 아민이다.
수용성 필름은 제5실시태양에서와 같이 중간층에 인접한 표면이 코로나 처리된 것이어도 좋다. 이 코로나 처리는 일반적으로 100mmHg 이상, 통상적으로 대기압하의 공기중에서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재료, 특히 고분자 재료의 표면을 개질하는 수단인데, 접착성 등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하다. 이 코로나 처리를 실시할 때 코로나 방전에 의해 미량의 오존 가스가 발생하므로, 이 오존가스를 사용하여 용융상태의 고압법 폴리에틸렌에 취입하므로써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표면을 강제산화시킬 수 있다.
제1실시태양 내지 제5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은, 예컨대 위에 나온 제6 내지 제9 실시태양에 의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데, 이들 제조방법은 압출 적층법에 준한 것이다. 이들 제조방법은 용융상태의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압법 폴리에틸렌은 온도가 높으므로 열산화를 받게 된다. 열산화에 의한 산화량은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온도와 주위 공기에 대한 노출시간 등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위에 나온 제8실시태양에 있어서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산화량을 더욱 증가시킬 목적으로 오존을 취입한다. 취입에 사용되는 오존으로서는 위에 나온 코로나 처리에 의해 발생된 오존 또는 오존 발생기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을 사용해도 좋다.
위에 나온 제10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는 위에 나온 제1 내지 제5실시태양중의 어느 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된 포대의 예인데,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포대공급 방식에 있어서 포대 제조업자로부터 수용물 제조업자에게 포대가 공급된다. 상기한 제11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상기한 제1 내지 제5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구성한 상기 제10실시태양에 의한 포대와 마찬가지의 포대로서 완전히 밀봉한 상태의 포대속에 소망의 수용물을 수용하여 제조된 것이며, 이 포장체는 그 자체가 수용물이 소비자에게 도달하는 최종형태로 되어 있다. 제11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상기한 포대공급 방식에 따라 상기 제10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이어도 좋고, 또한 상기한 자동포장 방식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5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한 것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 내지 제5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외층용 필름과 중간층이 서로 강하게 접착함과 아울러 중간층과 수용성 필름이 서로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도록 약하게 접착하므로,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상기한 제11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외부포대로 작용하는 강접착된 외층용 필름과 중간층(이하, 설명의 편의상 이들 전체를 외부포대 필름이라 함)과, 내부포대로 작용하는 수용성 필름으로 구성된 이중벽 구조를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외부포대 필름과 수용성 필름은 박리가능할 정도로 서로간에 약하게 접착한다. 따라서 포장체내의 수용물을 사용하는 사람은 외부포대 필름을 박리하는 것만으로 상기한 내부포대와 외부포대로 된 포장체와 마찬가지로 수용성 필름으로 된 내부포대에 수용된 수용물에 접근할 수 있다. 수용물이 농약류인 경우에는 박리(분리)할 때 수용물이 휘말려 올라오는 일이 없고, 이 내부포대로부터 수용물을 꺼집어내지 않고 탱크중에 그대로 넣어 탱크속에 들어 있는 물로 희석하면 되므로(이렇게 함으로써 수용성 필름으로 된 내부포대가 물과 접촉하여 용해함), 인체에 해를 준다거나 안전성을 위태롭게 함이 없이 내용물의 취급이 극히 용이해진다.
상기한 수용물을 수용할 때에 제1 내지 제5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자동기계 등의 설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내부포대와 외부포대로 구성된 복합 포대와는 달리 내부포대를 별도로 제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비가 그다지 소요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한 제1 내지 제5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카르보닐기와 수용성 필름의 히드록실기 사이의 결합만이 생길뿐이고, 고압법 폴리에틸렌과 수용성 필름이 시간경과에 따라 기타의 화학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은 전혀 없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식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과 달리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고압법 폴리에틸렌과 수용성 필름의 특성이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할 가능성이 없으므로 중간층과 수용성 필름 사이의 시간경과에 따른 안정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포대에 수용된 수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 외부포대 필름을 수용성 필름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없게 된다거나, 포대가 사용자에게 도달하기 전에 외부포대 필름이 수용성 필름으로부터 박리된다거나, 수용성 필름에 핀홀이 생긴다거나, 수용성 필름의 수용성이 저하한다거나 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 더욱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포대 필름과 수용성 필름 사이(즉, 중간층과 수용성 필름 사이)의 접착력은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카르보닐기와 폴리비닐 알코올의 히드록실기 사이에서 생기는 비교적 약한 결합강도의 결합에 기인하여 생기므로 외부포대 필름을 박리한 후에 수용성 필름에 중간층의 성분이 잔류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 따라서 포대속에 수용된 농약 등의 수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 수용성 필름을 물에 용해한 후에 탱크속에서 중간층의 성분이 포대속에 수용된 농약 등의 수용물의 성분과 반응하여 이 수용물을 변질시킬 가능성은 전혀 없다. 또한 접착제와는 달리 중간층의 두께를 비교적 두껍게 할 수 있으므로 중간층은 기계적인 충격에 대한 보호물로서의 추가적인 기능을 하게 된다.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접착제는 도포시에 핀홀을 생성하므로 충분한 방습성능을 얻을 수 없다. 중간층은 이러한 핀홀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중간층은 방슥성능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상기한 제11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제15실시태양과 마찬가지로 수용되는 수용물은 농약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의약, 식품, 분말상 낚시 미끼 등의 기타 수용물이어도 좋다. 이 포장체는 수용성 필름을 용해하는 액체 등에 넣어 사용하는 기타의 수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인체 피부에 해를 준다거나 악취를 풍긴다거나 주위환경을 오염시키는 등의 수용물을 수용하는데도 특히 유효하다. 그리고 수용물의 형태는 분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입상 물질 또는 액상 물질이어도 좋다. 액상의 수용물이 예컨대 유기용매이면 수용성 필름을 용해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
그런데, 상기한 제11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외부포대 필름을 박리하기 시작하는 실마리 부분이 구성되어 있지 않으면 포대속에 수용된 수용물의 사용자는 외부포장 필름을 박리하는데 있어서 불편을 겪게 된다. 상기한 제12 또는 제13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이러한 박리용 실마리부를 형성한 예이다.
상기한 제12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있어서 히이트 시일된 부분에 분리용 천공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천공부를 따라 히이트 시일된 부분의 일부를 당겨 찢을 때 외부포대 필름과 수용성 필름은 그 신장량이 서로 상이하므로 두 필름의 신장된 부분은 서로간에 분리되며, 이들 신장된 부분이 외부포대 필름의 박리를 개시하게 되는 실마리 부분으로서 작용한다.
상기한 제13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있어서 수용성 필름이 라미네이트되어 있지 않은 외층용 필름의 소정의 가장자리 부분이 어긋나서 서로 마주보므로 이들 부분은 서로 접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부분은 외부포대 필름의 박리를 개시하게 되는 실마리 부분으로서 작용한다.
상기한 제14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있어서 분리용의 노치부(notched part)로부터 히이트 시일된 부분으로 둘러쌓여 수용물이 수용되어 있지 아니한 비(非) 히이트 시일 부분까지 실마리 부분을 잡아댕기면서 찢어주면 외부포대 필름과 수용성 필름의 신장량이 서로 다르므로 이 두가지 필름의 신장된 부분은 서로간에 분리된다. 따라서 이들 신장된 부분은 외부포대 필름의 박리를 개시하게 되는 실마리 부분으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제16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는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필름과,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으로 구성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중간층은 서로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과 상기 수용성 필름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수용성 필름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을 용착시켜, 한쪽변이 개방된 포대형상으로 형성하여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서로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의 수용물의 수용예정 영역을 둘러싼 히이트 시일 부분의 바깥쪽 영역에 서로 이웃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과 히이트 시일 부분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깥쪽 영역의 상기 비히이트 시일 부분과 상기한 바깥쪽 영역의 상기 히이트 시일 부분 사이의 경계선의 한쪽끝은 상기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하여 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도달한다. 상기 바깥쪽 영역의 상기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는 상기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바깥쪽 영역의 상기 히이트 시일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는 상기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17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는 상기 제16실시태양에 의한 포대에 있어서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상대하는 일부가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연속해 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18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는 상기 제17실시태양에 의한 포대에 있어서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에서의 상기 경계선을 따라 있는 부분중에서 적어도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좁은 폭을 가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9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는 상기 제16실시태양에 의한 포대에 있어서 앞쪽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관통하는 슬릿(slit)이 그 한쪽 끝이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도달하도록 바깥쪽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상대하는 일부가 상기 슬릿의 적어도 일부와 일치한다.
본 발명의 제20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는 상기 제19실시태양에 의한 포대에 있어서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의 상기 경계선을 따라 있는 부분중에서 적어도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좁은 폭을 가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21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는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필름과,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으로 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중간층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수용성 필름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을 용착시켜 한쪽 변이 개방된 포대형상으로 형성하여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서로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의 수용물의 수용예정 영역을 둘러싼 히이트 시일 부분의 바깥쪽 영역에 히이트 시일 부분으로 둘러쌓인 비히이트 시일 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바깥쪽 영역에 그 일부를 절제(excising)하기 위한 천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바깥쪽 영역에서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에 잔존하는 바깥쪽 영역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과 히이트 시일 부분 사이의 경계선의 한쪽 끝이 상기 천공부에 도달한다. 상기 바깥쪽 영역에서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에 잔존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는 상기 천공부와 일치한다. 상기 바깥쪽 영역에서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에 잔존하는 상기 히이트 시일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는 상기 천공부와 일치한다.
본 발명의 제22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는 상기 제21실시태양에 의한 포대에 있어서 바깥쪽 영역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에 잔존하는 상기 히이트 시일 부분중에서 적어도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좁은 폭을 가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23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는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필름과,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으로 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중간층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수용성 필름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을 용착시켜 한쪽 변이 개방된 포대형상으로 형성하여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서로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의 수용물의 수용예정 영역의 바깥쪽 영역에 상기 외층용 필름 및 상기 중간층만을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4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필름과,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으로 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중간층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수용성 필름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을 용착시켜 밀봉한 포대의 내부에 소망의 수용물을 수용하여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로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에서의 수용물의 수용영역을 둘러싼 히이트 시일 부분의 바깥쪽 영역에 서로 인접하는 비히이트 시일과 히이트 시일 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바깥쪽 영역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과 상기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 사이의 경계선 한쪽끝은 상기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도달한다. 상기 바깥쪽 영역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는 상기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는 상기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25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상기 제24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상대하는 일부는 상기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6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상기 제25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에서의 상기 경계선을 따라 있는 부분 중에서 적어도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좁은 폭을 가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27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상기 제24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있어서 앞쪽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관통하는 슬릿의 한쪽 끝이 상기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도달하도록 앞쪽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관통하는 슬릿이 상기 바깥쪽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상대하는 일부가 상기 슬릿의 적어도 일부와 일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8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상기 제27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에서의 상기 경계선을 따라 있는 부분중에서 적어도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좁은 폭을 가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29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필름과,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으로 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중간층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수용성 필름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을 용착시켜 밀봉한 포대의 내부에 소망의 수용물을 수용하여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로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에서의 수용물의 수용영역을 둘러싼 히이트 시일 부분의 바깥쪽 영역에 히이트 시일 부분으로 둘러쌓인 비히이트 시일 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바깥쪽 영역에 그 일부를 절제하기 위한 천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바깥쪽 영역에서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상기 바깥쪽 영역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과 히이트 시일 부분 사이의 경계선의 한쪽 끝이 상기 천공부에 도달한다. 상기 바깥쪽 영역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는 상기 천공부와 일치한다. 상기 바깥쪽 영역에서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가 상기 천공부와 일치한다.
본 발명의 제30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상기 제29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있어서 바깥쪽 영역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 중에서 적어도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좁은 폭을 가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31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필름과,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으로 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중간층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수용성 필름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을 용착시켜 밀봉한 포대의 내부에 소망의 수용물을 수용하여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로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에서의 수용물의 수용영역의 바깥쪽 영역에 상기 외층용 필름 및 상기 중간층만을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2실시태양에 의한 박리방법은 상기 제24 내지 제28실시태양중의 어느 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로부터 상기 외층용 필름 및 상기 중간층을 박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바깥쪽 영역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에서의 앞쪽 및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에 힘이 가해지도록 잡아 젖히거나 잡아 당기는 스텝으로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3실시태양에 의한 박리방법은 상기 제29 및 제30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로부터 외층용 필름 및 상기 중간층을 박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천공부를 따라 바깥쪽 영역의 일부를 절제하는 스텝과, 바깥쪽 영역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에서의 앞쪽 및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에 힘이 가해지도록 잡아 젖히거나 잡아 당기는 스텝으로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4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는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필름과,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으로 된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중간층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이 라미네이트 필름이 상기 수용성 필름을 안쪽으로 한 튜우브체를 형성하도록, (a)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1스트립(strip) 부분과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2스트립 부분을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의 수용성 필름이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겹쳐, (b) 히이트 시일하여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의 수용성 필름을 용착함과 동시에, 상기 튜우브체의 수용물의 수용예정 영역이 상기 튜우브체의 제1끝부분 변쪽에 대해 폐색되도록 상기 튜우브체의 소정 부분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을 용착시킴으로써 상기 수용예정 영역이 튜우브체의 제2끝부분 변쪽에서 개방된 포대형상으로 형성되어 된 것이다. 그리고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과 튜우브체 사이의 경계선의 한쪽끝은 제1끝부분 변에 도달한다. 상기 튜우브체에서의 영역으로서 수용예정 영역을 제1끝부분 변쪽에 대해 폐색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의 바깥쪽 영역에서 비히이트 시일 부분이 형성된다. 이 비히이트 시일 부분은 상기 경계선에 접하여 상기 경계선의 한쪽에 형성되거나 상기 경계선을 걸쳐서 경계선의 양쪽에 형성되며, 상기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는 상기 경계선의 한쪽끝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제1끝부분 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35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는 상기 제34실시태양에 의한 포대에 있어서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에서 상기 수용예정 영역을 제1끝부분 변쪽에 대해 폐색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과 비히이트 시일 부분 사이에 주위가 밀봉된 비히이트 시일 부분이 형성되도록 히이트 시일 부분이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6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는 상기 제34 또는 제35실시태양에 의한 포대에 있어서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가 제1끝부분 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이 제1끝부분 변을 따라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되며,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폭이 5mm 이상, 5cm 이하인 것이다. 이 폭은 7mm 이상, 5c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cm 이상, 5c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7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는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필름과,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으로 된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중간층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이 라미네이트 필름이 상기 수용성 필름을 안쪽으로 한 튜우브체를 형성하도록, (a)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1스트립 부분과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2스트립 부분을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의 수용성 필름이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겹쳐, (b) 히이트 시일하여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의 수용성 필름을 용착함과 동시에, 상기 튜우브체의 수용물의 수용예정 영역이 상기 튜우브체의 제1끝부분 변쪽에 대해 폐색되도록 상기 튜우브체의 소정 부분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을 용착시킴으로써 상기 수용예정 영역이 튜우브체의 제2끝부분 변에서 개방된 포대형상으로 형성되어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튜우브체의 영역으로서 상기 수용 예정 영역을 상기 제1끝부분 변쪽에 대해 폐색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의 바깥쪽 영역에서 주위가 밀봉된 비히이트 시일 부분이 형성되도록 히이트 시일 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비히이트 시일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과 상기 튜우브체 사이의 경계선에 접하여 상기 경계선의 한쪽에 형성되거나 상기 경계선을 걸쳐 경계선의 양쪽에 형성된다.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의 영역 및 여기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의 영역에 이들의 일부를 절제하기 위한 천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 및 여기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의 영역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에 잔존하는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이 상기 천공부에 도달한다.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 및 여기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의 영역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는 상기 천공부와 일치한다.
본 발명의 제38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는 상기 제34 내지 제37실시태양중 어느 실시태양에 의한 포대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이 백라이닝(backlining) 부분을 구성하며 상기 포대가 백라이닝형의 포대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39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는 상기 제34 내지 제38실시태양중 어느 실시태양에 의한 포대에 있어서 상기 포대는 덧대는 부분을 가진 거싯형(gusset-type)의 포대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40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필름과,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으로 된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중간층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이 라미네이트 필름이 상기 수용성 필름을 안쪽으로 한 튜우브체를 형성하도록, (a)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1스트립 부분과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2스트립 부분을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의 수용성 필름이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겹쳐, (b) 히이트 시일하여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의 수용성 필름을 용착함과 동시에, 상기 튜우브체의 수용물의 수용영역이 상기 튜우브체의 제1끝부분 변쪽 및 제2끝부분 변쪽에 대해 폐색되도록 상기 튜우브체의 소정의 부분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에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을 용착시켜 밀봉한 포대의 내부에 소망의 수용물을 수용하여 된 것이다. 그리고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과 상기 튜우브체 사이의 경계선의 한쪽끝은 제1끝부분 변쪽에 도달한다. 상기 튜우브체에서의 영역으로서 상기 수용 영역을 상기 제1끝부분 변쪽에 대해 폐색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의 바깥쪽 영역에 비히이트 시일 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비히이트 시일 부분은 상기 경계선에 접하여 상기 경계선의 한쪽에 형성되거나 상기 경계선을 걸쳐 상기 경계선의 양쪽에 형성되며, 상기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는 상기 경계선의 한쪽끝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제1끝부분 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41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상기 제40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에서 상기 수용영역을 상기 제1끝부분 변쪽에 대해 폐색하는 상기 히이트 시일 부분과 상기 비히이트 시일 부분 사이에 주위가 밀봉된 비히이트 시일 부분이 형성되도록 히이트 시일 부분이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2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상기 제40 또는 제41 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있어서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가 상기 제1끝부분 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은 제1끝부분 변을 따라 스트립상으로 형성되고, 이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폭이 5mm 이상, 5cm 이하인 것이다. 이 폭은 7mm 이상, 5c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cm 이상, 5c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3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과, 수용성 필름과,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으로 된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과 상기 중간층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과 상기 수용성 필름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이 라미네이트 필름이 상기 수용성 필름을 안쪽으로 한 튜우브체를 형성하도록, (a)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1스트립 부분과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2스트립 부분을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의 수용성 필름이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겹쳐, (b) 히이트 시일하여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의 수용성 필름을 용착함과 동시에, 상기 튜우브체의 수용물의 수용영역이 상기 튜우브체의 제1끝부분 변쪽 및 제2끝부분 변쪽에 대해 폐색되도록 상기 튜우브체의 소정 부분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을 용착시켜 밀봉한 포대의 내부에 소망의 수용물을 수용하여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튜우브체의 영역으로서 상기 수용여역을 제1끝부분 변쪽에 대해 폐색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의 바깥쪽 영역에 주위가 밀봉된 비히이트 시일 부분이 형성되도록 히이트 시일 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비히이트 시일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과 상기 튜우브체 사이의 경계선에 접하여 상기 경계선의 한쪽에 형성되거나 상기 경계선을 걸쳐 경계선의 양쪽에 형성된다.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의 영역 및 여기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의 영역에 이들의 일부를 절제하기 위한 천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과 여기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의 영역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에 잔존하는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이 상기 천공부에 도달한다.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 및 여기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의 영역에서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는 상기 천공부와 일치한다.
본 발명의 제44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상기 제40 내지 제43실시태양중 어느 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이 백라이닝 부분을 구성하며 상기 포대가 백라이닝형의 포대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45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상기 제40 내지 제44실시태양중 어느 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포대는 덧대는 부분을 가진 거싯형의 포대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46실시태양에 의한 박리방법은 상기 제40 내지 제42실시태양중의 어느 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로부터 상기 외층용 필름과 중간층을 박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에 힘이 가해지도록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가 상기 제1끝부분 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에서의 상기 경계선의 양쪽에 라미네이트 필름을 잡아 당기거나 비히이트 시일 부분에서 서로 겹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잡아 젖히는 스텝으로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7실시태양에 의한 박리방법은 상기 제43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로부터 외층용 필름과 중간층을 박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천공부를 따라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과 여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의 영역의 상기 일부를 절제하는 스텝과,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에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과 여기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의 영역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에서의 상기 경계선의 양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잡아당기거나 이 비히이트 시일 부분에서 서로 겹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잡아 젖히는 스텝으로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8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6 내지 제9실시태양중의 어느 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압착전에 수용성 필름을 건조시키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16 내지 제47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은 상기 제1 내지 제5실시태양중의 어느 실시태양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이라도 좋다. 그러나 상기 제16 내지 제47실시태양에 있어서 중간층은 적어도 수용성 필름쪽의 표면이 소정의 정도로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함유한 중간층일 필요는 없고, 예컨대 접착제층이라도 좋다.
제16 내지 제23실시태양 및 제34 내지 제39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는 한쪽이 개방되어 있고 일반적으로는 이미 설명한 포대공급 방식에 있어서 포대공급업자로부터 수용물 제조업자에게 공급되는 것인데 대하여 제24 내지 제31실시태양 및 제40 내지 제45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완전히 밀봉된 포대의 내부에 소요의 수용물을 수용한 것이며, 수용물이 사용자에게 도달하게 될 때의 최종제품 형태이므로 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16 내지 제23실시태양 및 제34 내지 제39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는 수용물이 사용자에게 도달할때에는 제24 내지 제31실시태양 및 제40 내지 제45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로 된다. 그리고 제24 내지 제31실시태양 및 제40 내지 제45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는 상기한 포대공급 방식에 따라 상기 제16 내지 제23실시태양 및 제34 내지 제39실시태양에 의한 포대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어도 좋고, 상기한 자동포장 방식에 따라 제조한 것이어도 좋다.
제16 내지 제31실시태양 및 제40 내지 제45실시태양에 의한 포대 및 포장체에서 사용되고 있는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외층용 필름과 중간층 사이가 서로 강접착됨과 동시에 중간층과 수용성 필름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장체의 포대는 외부포대로 작용하는 강접착된 외층용 필름 및 중간층(설명의 편의상 이들 전체를 외부포대 필름이라 함)과, 내부포대로 작용하는 수용성 필름으로 된 이중벽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외부포대 필름과 수용성 필름이 박리가 가능하도록 약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포장체내의 내용물의 사용자는 외부포대 필름만을 박리하는 것으로도 상기한 내부포대 및 외부포대로 구성된 복합 포장체와 마찬가지로 수용성 필름으로 된 내부포대에 수용된 수용물에 접근할 수 있고, 내용물이 농약류인 경우에는 박리할 때 농약등의 내용물이 휩쓸려 올라오는 일이 없으며, 내부포대로부터 수용물을 꺼집어 내는 일이 없어 탱크속에 넣어 그대로 물을 가해 희석하면 되므로(이렇게 함으로써 수용성 필름으로 된 내부포대가 용해하므로), 인체에 해를 주지 않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더불어 그 취급이 극히 용이해진다. 그리고 수용물을 수용할 때에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은 종래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마찬가지로 취급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자동기계 등의 설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내부포대 및 외부포대로 된 복합 포대와는 달리 내부포대를 별도로 제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 코스트도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24 내지 제28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수용된 수용물을 사용할 때에 외부포대 필름을 박리할 경우에는 수용물의 사용자는 상기 제32실시태양과 마찬가지로 바깥쪽 영역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앞쪽 및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에 힘이 가해지도록 잡아 젖히거나 잡아 당기면 좋다. 그결과, 라미네이트 필름을 잡아 젖혔을 경우에는 수용성 필름이 신축성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경계선을 경계로 한 히이트 시일 부분의 앞뒤의 라미네이트 필름의 수용성 필름이 서로 용착해 있기 때문에 수용성 필름의 상기 경계선의 한쪽끝 부분이 앞쪽으로 이동하는데 대하여 앞뒤의 라미네이트 필름의 외부포대 필름(외층용 필름 및 중간층)의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 부근의 부분은 바깥쪽으로 젖혀진다. 따라서 경계선의 한쪽끝 부근으로부터 수용성 필름과 외부포대 필름 사이에 틈새가 생기게 된다. 그리고 잡아 당겼을 경우에는 수용성 필름의 신장량은 외부포대 필름의 신장량에 비해 크기 때문에 경계선의 한쪽끝 부근의 부분에서 수용성 필름과 외부포대 필름 사이에 틈새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들 틈새를 외부포대 필름을 박리하기 시작하는 실마리로서 이용함으로써 외부포대 필름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25 또는 제27실시태양에서와 마찬가지로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을 상대하는 일부가 상기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않은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혹은 상기 슬릿의 적어도 일부와 일치하도록 하여 두면, 바깥쪽 영역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앞쪽 및 뒤쪽 라미네이트 필름을 잡아 젖히는 량 또는 잡아 당기는 량을 많게 함으로써 상기 틈새가 비(非)히이트 시일 부분의 모서리 부분에까지 확대하여 가므로 외부포대 필름을 한층 더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26 및 제28실시태양과 마찬가지로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에서의 경계선을 따라 있는 부분중에서 적어도 경계선의 한쪽 끝쪽에 위치한 부분의 폭을 좁게 해둠으로써 상기 잡아 젖히는 량 또는 잡아 당기는 량이 적더라도 상기 틈새가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모서리 부분까지 확대해가므로 외부포대 필름을 보다 더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29 및 제30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수용된 수용물질을 사용하고자 외부포대 필름을 박리할 경우에는 수용물의 사용자는 상기 제33의 실시태양과 같이 먼저 상기 천공부를 따라 바깥쪽 영역의 일부를 절제(절단)한다. 그 결과, 제24 내지 제28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와 동일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제33실시태양과 같이 바깥쪽 영역의 일부를 절제했을 때에 잔존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에서의 앞쪽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에 힘이 가해지도록 잡아 젖히거나 잡아 당기면 상기 경계선의 한쪽끝 부근으로부터 수용성 필름과 외부포대 필름사이에 틈새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 틈새를 외부포대 필름을 박리하는 실마리로 이용함으로써 외부포대 필름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9 및 제30실시태양의 경우에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이 히이트 시일 부분에 의해 둘러쌓여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수용성 필름이 천공부를 제외하고 외부에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수용성 필름도 외부환경에 의해 변질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
그리고 제31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수용된 수용물을 사용하고자 외부포대 필름을 박리할 경우에는 수용물의 사용자는 상기 슬릿을 따라 포대를 절곡한다. 그결과, 상기 슬릿을 따라 있는 부분에서 외부포대 필름이 수용성 필름으로부터 박리하어 위로 들뜨게 된다. 따라서 위로 들뜬 부분을 외부포대 필름을 박리하는 실마리로 이용함으로써 외부포대 필름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또한 제40 내지 제42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수용된 수용물을 사용하고자 외부포대 필름을 박리할 경우에는 수용물의 사용자는 상기 제46실시태양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경계선의 한쪽 끝에 힘이 가해지도록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가 제1끝부분 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상기 경계선의 양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잡아당기거나 비히이트 시일 부분에서 서로 겹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잡아 젖히면 좋다. 그 결과 제24 내지 제28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경계선의 한쪽끝 부근의 부분에서 수용성 필름과 외부포대 필름 사이에 틈새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들 틈새를 외부포대 필름을 박리하는 실마리로서 이용함으로써 외부포대 필름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상기 제43 및 제44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에 수용된 수용물을 사용하고자 외부포대 필름을 박리할 경우에는 수용물의 사용자는 상기 제47실시태양에서처럼 먼저 상기 천공부를 따라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 및 여기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의 일부를 절제(절단)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40 내지 제42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와 동일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그 후는 제40 내지 제42실시태양에 의한 포장체와 마찬가지로 외부포대 필름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35 및 제41실시태양의 경우에는 수용예정 영역이 튜우브체의 제1끝부분 변쪽에 대해 히이트 시일 부분에 의하여 적어도 2중으로 폐색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가장 제1끝부분 변쪽에 위치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수용성 필름이 외부환경에 의해 변질하더라도 그 영향이 수용예정 영역의 부분에까지 미칠 가능성은 전혀 없다.
또한 상기 제36 및 제42실시태양에서와 마찬가지로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가 제1끝부분 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은 제1끝부분 변을 따라 스트립상으로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비히이트 시일부분의 폭을 5mm 이상으로 하면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손에 잡기가 쉽기 때문에 외부포대 필름의 박리를 한층 더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러나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폭이 너무 넓으면 수용물의 수용에 기여하지 않는 부분이 쓸데없이 증가하게 되므로 비히이트 시일 부분의 폭은 5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6 내지 제31실시태양에 의한 포대 및 포장체는 앞쪽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분리된 2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구성된 것이어도 좋고,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구성된 것이어도 좋다. 상기 제34 내지 제45실시태양에 의한 포대 및 포장체는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구성된 것이다.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구성했을 경우에는 2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구성했을 경우에 비해 포대 및 포장체의 가장자리 부분 대다수가 절곡된 가장자리가 된다. 절곡된 가장자리로 되어 있지 않고 앞쪽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않은 가장자리부에서는 이 가장자리부에 힘이 가해진다거나 꺾인다거나 주름이 잡히는 등에 의해 우발적으로 외부포대 필름이 쉽사리 박리한다. 한편, 절곡된 가장자리에서는 이러한 우발적인 외부포대 필름의 박리 가능성은 없다. 따라서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구성한 포대 및 포장체에서는 2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구성한 포대 및 포장체에 비하여 수송중에 우발적인 외부포대 필름의 박리가 생길 가능성이 낮아지게 되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포대 및 포장체를 구성할 경우, 상기 제38 및 제44실시태양과 같이 백라이닝형 포대 및 포장체로 하면 백라닝형이 아닌 포대 및 포장체에 비하여 절곡된 가장자리가 증가하여 앞쪽 및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않은 가장자리부가 감소하므로 수송중 등에 있어서 우발적인 외부포대 필름의 박리가 생길 가능성이 한층 더 감소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 그 제조방법, 이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제조된 포대 및 포장체와 이것의 박리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제1도에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은 외층용 필름(20), 수용성 필름(6), 및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수용성 필름(6) 사이에 개재되고 적어도 상기 수용성 필름(6)에 인접한 표면이 소정의 정도로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으로 함유한 중간층(5)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층용 필름(20)과 중간층(5)은 서로 강접착되어 있다. 중간층(5)과 수용성 필름(6)은 서로 직접 접하여 박리 가능하게 약 접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층용 필름(20)은 기재 필름(substrative film)(10)과 앵커 코우트제층(anchorcoat agent layer)(4)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기재 필름(10)은 폴리에스테르 필름(1)과, 접착제층(2) 및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테르 필름(3)을 건식 적층(dry-lamination)하여 제조된 것이고, 상기 앵커 코우트제층(4)은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테르 필름(3)과 중간층(5) 사이의 강접착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특히 폴리에스테르 필름(1)으로서는 시판품인 PET#12(일본국의 Unitika 주식회사제의 상표 Emblet Polyester Film)을 사용하고,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테르 필름(3)으로서는 시판품인 MLPET#12(일본국의 Tohcello 주식회사제의 상표 MLPET-C)을 사용한다.
중간층(5)은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일종인 LPDE(고압 저밀도 폴리에틸렌) 시판품인 L178[일본국의 Nippon Polyoflefins 주식회사(昭和電工 주식회사의 수지 부문과 日本石油化學 주식회사의 수지부문이 합병하여 설립된 주식회사) 제의 상품명]만을 원료로 하거나, 상기 원료와 시판품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인 Tafmer(일본국의 三井 석유화학공업 주식회사제의 상품명)를 아래에나온 여러 가지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원료로 하여 압출 적층법으로 두께 20㎛의 층(layer)으로 성형하여 제조한다. 수용성 필름(6)으로서는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일본국의 주식회사 Kuraray제)을 사용한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에 나온 바와 같이 소정의 제조조건의 일부와 중간층(5)의 재료만을 변화시켜 실제로 이러한 구성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다수 제조하였다.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2도는 그 제조공정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Emblet PET [폴리에스테르 필름(1)]와 MLPET-C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테르 필름(3)]을 접착제(2)로 건식 적층하여 기재 필름(10)을 제조한 다음, 제2도에 있는 바와 같이 적층장치(30)의 안내 로울러(34)를 통해 상기 적층장치(30)의 가압 로울러(32)와 냉각 로울러(33) 사이에 유도하였다. 기재 필름(10)의 MLPET-C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테르 필름(3)]쪽을 제2도중의 윗쪽으로 하여 배치하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코우팅 로울러로 기재 필름(10)의 윗표면을 앵커 코우트제(4)로 이미 코우팅하여 두었으므로 외층용 필름(20)으로 완성되어 있다. 한편,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 [수용성 필름(6)](일본국의 주식회사 Kurary제)을 적층장치(30)의 안내 로울러(34)를 통해 외층용 필름(20)과 반대쪽에서 가압 로울러(32)와 냉각 로울러(33) 사이로 유도하였다. 이와 동시에 가압 로울러(32)와 냉각로울러(33) 사이의 위치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에 나온 바와 같은 용융된 중간층 물질 [중간층(5)을 형성하는 물질]을 외층용 필름(20)과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6) 사이의 위치쪽으로 압출장치(40)를 사용하여 필름상태로 압출하였다. 그 결과, 외층용 필름(20), 중간층 물질의 필름 및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6)이 가압 로울러(32)와 냉각 로울러(33)에 의해 압착되면서 냉각되어 상기한 제1도에 있는 바와 같은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되었다.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안내 로울러(35)에 도입하여 다음에 나오는 제5도 또는 제11도에 있는 바와 같이 권취하였다.
여기에 사용된 압출장치(40)는 L/D = 32이고, D = 90mm(직경)의 것이었는데, 여기서 L은 스크루우의 길이이고 D는 스크루우의 직경이다. 적층장치(30)의 끌어당김 속도를 100m/min으로 설정하였다.
중간층 물질 [중간층(5)을 형성하는 물질]을 A, B, C 및 D의 4가지로 종류로 변화시키고, 각각에 대해 압출장치(40)에서 압출되기 전의중간층 물질의 온도를 320℃, 325℃ 및 330℃의 세가지로 하여 변화시켰다. 기타의 조건들을 모두 동일하게 하여 제1도에 나온 구조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합계 8종류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중간층 물질(A)은 100중량%의 L178(고압법 폴리에틸렌)으로 된 순수 물질이고, 중간층 물질(B)은 97중량%의 L178과 3중량%의 Tafmer(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로 된 혼합물이고, 중간층 물질(C)은 95중량%의 L178과 5중량%의 Tafmer로 된 혼합물이며, 중간층 물질(D)은 90중량%의 L178과 10중량%의 Tafmer로 된 혼합물이다.
위에서 제조한 8종류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외층용 필름(20) 및 중간층(5)으로 구성된 필름과 수용성 필름(6) 사이의 박리강도(접착강도 또는 접착력)은 아래의 표 1에 나온 바와 같이 변하였다. 박리강도는 수평식 인장강도 시험기(일본국의 Tester 산업주식회사제)를 사용하여 폭 15mm에서 180°박리조건하에서 JIS(일본 공업규격) P8113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각각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상이한 부분으로부터 수십개의 시험편을 절취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표 1에는 각 종류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대해 각 시험편의 측정에서 얻은 측정치의 범위가 나와 있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간층(5)에 있어서 고압법 폴리에틸렌에 대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의 혼합비에 따라 박리강도가 변하였다. 또한 중간층 물질의 온도가 높을수록 박리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 관계는 온도가 높을수록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열산화량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자명한 것이므로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산화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박리강도를 크게 할 수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표에 나온 데이타로부터 시험에서 얻은 박리강도의 전체 범위가 0.2~40.3g /15mm임이 밝혀졌다. 본 명세서에는 약접착의 접착력은 이 특수한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층용 필름(20)과 중간층(5)으로 된 필름을 수용성 필름(6)으로부터 박리한 후에는 중간층(5)의 성분이 수용성 필름(6)에 잔존하는 현상은 이 시험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중간층 물질(A)을 사용하여 330℃의 조건에서 제조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밀봉상태로 제조된 포대를 습도 90%에서 상온의 환경하에서 48시간 방치한 후 습도 30%에서 상온의 환경하에서 3주간 방치한 후에도 박리강도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산화량을 증가시키면 박리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보다 큰 박리강도를 필요로 할 경우에는 중간층 물질의 온도를 더욱 올리거나, 또는 열산화외에도 용융상태로 유지된 중간층 물질에 오존을 취입함으로써 중간층 물질을 강제 산화하여도 좋다.
제3도에 있는 바와 같이 예컨대 코로나 처리장치(50)를 설치하여 코로나 처리장치(50)로부터 배출된 오존을 압출장치(40)에서 필름상으로 압출된 중간층 물질의 수용성 필름(6)쪽의 표면에다 취입함으로써 오존에 의한 강제 산화를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코로나 처리장치(50)를 사용하여 오존을 발생시키고 오존발생시에는 코로나 방전을 필요로 하므로 수용성 필름(6)을 압착시켜 접착시키기 전에 코로나 처리장치(50)에서 중간층 물질에 대해 코로나 처리를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코로나 처리에 의해 수용성 필름(6)의 표면이 물리적 변화(예컨대 표면이 거칠어짐)함으로 인하여 수용성 필름(6)과 중간층(5) 사이의 접착력을 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코로나 처리장치(50)를 사용하는 대신 오존 발생장치(도면에 없음)를 사용하여 압출장치(40)에서 압출된 필름상의 중간층 물질의 수용성 필름(6)쪽의 표면에 취입해도 좋다. 또한 코로나 처리장치(50)를 사용하여 수용성 필름(6)에 코로나 처리를 함과 동시에 코로나 처리장치(50)로부터 배출된 오존을 압출장치(40)에서 압출된 필름상의 중간층 물질에 취입하지 않고 그대로 대기로 직접 배출시켜도 좋다.
실험에서 확인된 것으로서는 수용성 필름(6)의 수분 함량이 증가할수록 수용성 필름(6)과 중간층(5) 사이의 접착력은 저하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목적으로 하는 레벨로 안정하게 접착력을 유지하자면 수용성 필름(6)은 미리 보관할 때에는 조습실(humidity adjustion chamber)에서 보관하여 수분함량을 소정의 레벨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성 필름(6)을 보관한 후에도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조할 때 주위의 습도에 따라서는 수분 함량이 변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대 제4도에 있는 바와 같이 건조실(2000)을 설치하여 수용성 필름(6)을 건조실(2000)을 통과시켜 수용성 필름(6)을 건조시킴으로써 접착력을 소망의 레벨로 안정하게 얻은 다음 적층 처리를 해도 좋다. 그리고 건조실(2000)은 예컨대 원적외선 발생장치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제1도에 나온 기본 구조를 가진 기타 여러 가지 종류의 라미네이트 필름(시료 No. 1~19)을 제조하였다. 시료 No. 1~19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대해 외층용 필름(20) 및 중간층(5)으로 된 필름과 수용성 필름(6) 사이의 박리강도(접찰력 또는 접착강도)를 시험하였다. 이 시험 결과는 표 2에 나와 있다. 이 경우의 박리강도의 측정은 표 1에 결과가 나와 았는 박리강도의 측정시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하였다. 표 2에 나와있는 박리강도 측정은 라미네이트 필름 제조후 40℃로 유지된 보온실에서 48시간 보관한 후에 하였다.
시료 No. 1~19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시판품인 두께 35㎛의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일본국의 Tohcello 주식회사제의 상표 Tosslon ET-20 35)을 수용성 필름(6)으로 사용하였다.
시료 No. 1~10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외층용 필름(20)은 폴리에스테르 필름(1), 접착제층(2) 및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테르 필름(3)을 건식 적층법으로 제조한 기재 필름(10)과,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테르 필름(3)과 중간층(5)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앵커 코우트제층(4)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료 No. 1~10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시판품인 PET (일본국의 Unitika 주식회사제의 상표 Emblet PET)을 폴리에스테르 필름(1)으로 사용하였고,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테르 필름(3)으로서는 시판품인 MLPET (일본국의 Tohccello 주식회사제의 상표 MLPET-C)을 사용하였다.
시료 No. 11~19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외층용 필름(20)은 폴리에스테르 필름(1), 고압법 폴리에틸렌 필름(2) 및 알루미늄박(foil)(3)을 압출적층하여 제조한 기재 필름(10)과 앵커 코우트제층(4)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료 No.11~19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1)으로서는 시판품인 PET (일본국의 Unitika 주식회사제의 상표 Emblet PET)를 사용하였고, 고압법 폴리에틸렌 필름(2)으로서는 시판품인 두께 25㎛의 LDPE [일본국의 Nippon Polyolefins 주식회사(昭和電工 주식회사의 수지 부문과 日本석유화학 주식회사의 수지부문을 합병하여 설립된 회사)제의 제품 코우드 L178]을 사용하였으며, 알루미늄 박(3)으로서는 시판품인 두께 7㎛의 알루미늄박(일본국의 昭和 알루미늄 주식회사제)을 사용하였다.
시료 No. 1~19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중간층(5)은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일종인 LDPE(고압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일본국의 Nippon Polyolefins 주식회사제의 제품 코우드 L178만을 원료로 사용하거나, 혹은 상기 원료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인 일본국의 三井 석유화학 주식회사제의 상품인 Tafmer를 아래에 나온 여러 가지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원료로 하여 압출 적층법으로 두께 20㎛의 층으로 해서 제조한 것이다.
중간층(5)의 중간층 물질은 시료 No. 1, 2, 3, 4, 11, 12 및 13의 라미네이트 필름에서는 100중량%의 L178로 된 것이고, 시료 No. 5 및 14의 라미네이트 필름에서는 97중량%의 L178과 3중량%의 Tafmer의 혼합물로 딘 것이며, 시료 No. 6 및 15의 라미네이트 필름에서는 95중량%의 L178과 5중량%의 Tafmer의 혼합물로 된 것이고, 시료 No. 7~10 및 16~19의 라미네이트 필름에서는 90중량%의 L178과 10중량%의 Tafmer의 혼합물로 된 것이다.
시료 No. 1~19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제2도와 관련하여 위에 나온 제조방법에서 사용된 것과 마찬가지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이다. 시료 No. 2~4, 8~10, 12, 13, 17 및 19의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제3도에 나온 코로나 처리장치(50)를 사용하여 수용성 필름(6)에 대해 코로나 처리를 하였다. 그러나 코로나 처리장치(50)에서 배출된 오존을 압출장치(40)에 의해 필름상으로 압출된 중간층 물질에 취입하지 않고 그대로 대기중으로 직접 배출하였다. 이 경우에 있어서 코로나 처리장치(50)로서는 일본국의 巴工業 주식회사제의 로울 전극 스테이션(Roll Electrode Station)이라 불리우는 기계를 사용하였다. 시료 No. 2 및 12의 라미네이트 필름 제조시에는 1.0KW에서, 시료 No. 3, 8, 13 및 17의 라미네이트 필름 제조시에는 1.5KW에서, 시료 No. 4의 라미네이트 필름 제조시에는 1.8KW에서, 시료 No. 9 및 18의 라미네이트 필름 제조시에는 2.5KW에서, 그리고 시료 No. 10 및 19의 라미네이트 필름 제조시에는 3.0KW에서 각각 코로나 처리를 하였다. 시료 No. 1, 5~7, 11 및 14~16의 라미네이트 필름 제조시에는 수용성 필름(6)에 대해 코로나 처리를 하지 않았다.
시료 No. 1~19의 라미네이트 필름 제조시에는 사용된 압출장치(40)로서는 L/D=32이고 D=90mm(직경)의 것을 사용하였고, 라미네이트 필름의 끌어당김 속도는 100m/min으로 하였다. 시료 No. 1~9의 라미네이트 필름 제조시에 중간층 물질 [중간층(5)을 형성하는 물질]의 압출장치(40)로부터의 압출전의 온도를 330℃로 하였다.
표 2로부터 중간층(5)에서의 고압법 폴리에틸렌에 대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의 혼합비, 코로나 처리의 유무 및 코로나 처리정도에 따라 박리강도가 변함을 알 수 있다. 시료 No. 1~19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외층용 필름(20)과 중간층(5)으로 된 필름을 수용성 필름(6)으로부터 박리한 후에도 수용성 필름(6)에 중간층(5)의 성분이 잔존하는 현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수용성 필름(6)의 시판품의 다른 예로서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인 일본국의 주식회사 Kuraray제의 제품 코우드 VF-HP를 들 수 있다.
이어서 제1도에 나온 구조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대표적인 포대에 대해 제5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5도는 제1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을 나타낸 것인데 외층용 필름(20)의 전체면에 수용성 필름(6)이 라미네이트되어 로울상으로 권취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6도 내지 제8도는 각각 제5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된 포대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포대에 있어서 라미네이트 필름은 한변이 개방된 포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라미네이트 필름을 절곡하여 수용성 필름(6)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서로 겹쳐지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6)의 부분들을 용착시켜 된 것이다. 제6도에 나온 포대에서는 왼쪽변, 오른쪽변 또는 아래쪽변이 절곡선을 이루고 있고, 왼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1060), 오른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1061) 및 아래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1062)이 히이트 시일되며 윗쪽변은 개방되어 있어 소위 3변 시일 포대(three-side sealed bag)로 되어 있다. 제7도에 나온 포대에서는 오른쪽변이 절곡선을 이루고 있고, 왼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1070)과 오른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1071)이 히이트 시일되며 윗쪽변은 개방되어 있어 소위 L형 시일 포대(L-shaped sealed bag)로 되어 있다. 제8도에 나온 포대에서는 왼쪽변과 오른쪽변 각각은 절곡선을 이루고, 백라이닝(backling) 부분(1080)과 아래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1081)이 히이트 시일되며 위쪽변이 개방되어 있어 소위 백라이닝형 포대로 되어 있다. 이 포대의 형상은 위에 나온 형상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거싯(gusset) 타입의 포대를 비롯한 임의의 선택된 형상의 포대를 제조할 수 있다.
제6도 내지 제8도에 나온 포대들은 위쪽변이 개방된 것으로서 포대공급 방식의 경우에 있어서 포대 제조업자 등에 의해 제조되어 수용을 제종버자 등에게 공급되는 것이다. 포대공급 방식의 경우에 있어서 수용물 제조업자는 제6도 내지 제8도에 나온 포대속으로 위쪽변의 개구부를 통해 수용물을 넣은 다음 위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1063, 1072, 1082)을 히이트 시일하여 수용물의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최종형태의 제품인 포장체를 완성하게 된다. 자동포장 방식의 경우에서는 수용물 제조업자가 제5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제6도 내지 제8도에 나온 포대를 제조하면서 이들 포대속에 수용물을 충전하고 위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1063, 1072, 1082)을 히이트 시일을 하여 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다.
이 포장체의 포대는 외부포대로서 작용하는 강접착된 외층용 필름(20) 및 중간층(5) [설명의 편의상 이들 전체를 이후부터 외부포대 필름(60)이라 함]과 내부포대로 작용하는 수용성 필름(6)으로 된 이중벽 구조로 되어 있으며, 외부포대 필름(60)과 수용성 필름(6)은 박리가능하도록 약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포장체내의 수용물의 사용자는 외부포대 필름(60)을 박리하는 것만으로도 내부포대와 외부포대로 된 위에 나온 포대와 마찬가지로 수용성 필름(6)으로 형성된 내부포대속에 수용된 수용물을 얻을 수 있다.
제6도 내지 제8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서는 외부포대 필름(60)을 박리하기 시작하게 되는 실마리 부분이 없으므로 포장체내의 수용물의 사용자는 외부포대 필름(60)을 박리할 때 불편을 겪게 된다. 이하, 포대 박리용의 이러한 실마리가 형성된 제9도 및 제10도에 나온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9도에 나온 제6도에 나온 3변(邊) 시일 포대의 시일 부분(1062)에 분리용의 천공부(1064)를 형성하여 된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 천공부(1064)의 끝부분에는 노치부(notch)(1065)가 형성되어 있다. 제9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하는 포장체에 있어서 천공부(1064)를 따라 히이트 시일 부분(1062)의 아래쪽 부분을 잡아당기면, 외부포대 필름(60)과 수용성 필름(6)의 신장량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들 두 필름의 신장된 부분이 서로 분리하게 되어 이들 부분이 외부포대 필름(60)의 박리용 실마리가 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는 노치부(106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아래부분이 천공부(1064)를 따라 쉽사리 찢겨 떨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반드시 노치부(1065)를 형성해둘 필요는 없다. 제6도 내지 제8도에 나온 포대내에 수용물을 채운 후에 천공부(1064)와 노치부(1065)를 형성해도 좋다.
제10도는 제6도에 나온 3변 시일 포대에 아래쪽변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부분(1062)과 약간 간격을 두고 평행한 부분(1067)을 히이트 시일하여 히이트 부분으로 둘러쌓이고 수용물이 수용되지 않은 비히이트 시일 부분(1068)을 형성하고, 이 비히이트 시일 부분(1068)에 대응하는 가장자리부에 분리용의 노치부(1069a, 1069b)를 형성하여 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노치부(1069a, 1069b) 사이에 비히이트 시일 부분(1068)을 통하도록 천공부(1069c)가 형성되어 있다. 제10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 있어서 노치부(1069a) 또는 노치부(1069b)로부터 천공부(1069c)를 따라 비히이트 시일 부분(1068)까지 포대를 당겨 찢어줄 때 외부포대 필름(60)과 수용성 필름(6)의 신장량이 서로 다르므로 이 두 필름의 신장된 부분이 서로 분리하게 되어 이 부분이 외부포대 필름(60)의 박리용 실마리가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노치부(1069a, 1069ba)와 천공부(1069c)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천공부(1069c)를 따라 포대를 쉽사리 찢을 수가 있는 장점이 있으나, 두 개의 노치부(1069a, 1069b)중의 하나와 천공부(1069c)를 형성하여 두지 않아도 좋다.
제11도는 제1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외층용 필름(20)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20a, 20b)을 제외하고, 수용성 필름(6)이 외층용 필름(20)에 적층되어 접착하여 로울상으로 권취된 것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가장자리 부분(20a, 20b)에는 중간층(5)이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중간층(5)을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가장자리 부분(20a, 20b)은 기재 필름(10)만으로 형성해도 좋다. 가장자리 부분(20a)의 폭보다 가장자리 부분(20b)의 폭이 넓게 되어 있다. 제12b도에 나온 포대는 제11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수용성 필름(6)이 적층되어 있는 부분의 중심선을 따라 절곡하여 수용성 필름(6)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가장자리 부분(20a, 20b)이 어긋나서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겹치고 (이러한 상태의 측면도는 제12a도에 나와 있음),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6)을 용착시킴으로써 한쪽변이 개방된 형상의 포대로 형성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2b도중의 포대의 왼쪽변이 절곡선이 되고 왼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1090), 위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 [가장자리 부분(20a, 20b)을 제외함](1091) 및 아래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 [가장자리 부분(20a, 20b)을 제외함](1092)이 히이트 시일되고, 오른쪽변이 개방되어 있다.
제12b도에 나온 오른쪽변이 개방된 포대는 포대공급 방식의 경우에 있어서 포대 제조업자에 의해 제조되어 수용물의 제조업자에게 공급되는 것이다. 포대공급 방식의 경우에 있어서 수용물의 제조업자는 제12b도에 나온 포대속에 오른쪽변의 개구부로부터 내용물을 넣은 후에 오른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 [가장자리 부분(20a, 20b)을 제외함](1093)을 히이트 시일함으로써 수용물의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최종형태의 제품인 포장체를 완성하게 된다. 자동포장 방식의 경우에 있어서는 수용물의 제조업자는 제11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제12b도에 나온 포대를 제조하면서 포대에 수용물을 충전하고, 다시 오른쪽 변을 따라 있는 부분(1093)을 히이트 시일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다.
제12b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 있어서 수용성 필름(6)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외층용 필름(20)의 소정의 부분들의 가장자리 부분(20a, 20b)이 어긋나서 서로 마주보며, 이들 부분은 서로 접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들 부분(20a, 20b)은 외부포대 필름(60)의 박리용 실마리가 되는 부분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라미네이트 필름(특히, 제13a도 내지 제36b도에 나와 있는 여러 가지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은 제1도에 나온 구조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중간층으로써 접착제층을 사용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외층용 필름의 가장 중간층쪽 부분의 재료 및 중간층의 재료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외층용 필름과 중간층이 서로 강접착됨과 동시에 중간층과 수용성 필름이 서로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도록 약접착된 상태로 할 수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 의한 포대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 의한 포장체에 있어서의 외층용 필름(20)과 중간층(5)으로 된 외부포대 필름(60)의 박리에 대한 기본 원리에 대해 아래의 제13a도 내지 제13d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3a도는 제1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을 수용성 필름(6)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일부를 히이트 시일한 것의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제13b도는 제13a도의 선 X1-X1'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취한 도면이고, 제13c도와 제13d도는 제13b도에 대응한 것으로서 각각 외부포대 필름(60)의 박리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3a도와 제13b도에 나온 바와 같이 히이트 시일 부분(100)과 비히이트 시일 부분(101)은 경계선(102)에서 서로 이웃하고 있다.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6)의 앞면과 뒷면의 히이트 시일 붑준(100)에서 용착되어 있다. 제13a도의 위쪽변에 있어서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서로 연속해 있지 않다. 즉, 제13a도의 위쪽변은 그 자체가 라미네이트 필름의 절곡선을 형성하지 않는다. 경계선(102)의 한쪽끝인 점 A는 위쪽변에 이르고 있다. 제13a도와 제13b도에 나온 실시예에서 히이트 시일 부분(100)의 위쪽변의 길이, 즉 히이트 시일 부분(100)의 경계선(102)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의 폭(제13a도에서 히이트 시일 부분(100)의 위쪽변의 길이)은 넓다.
제13a도와 제13도에 나온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으로부터 제13c도 및 제13d도에 나온 바와 같이 하여 외부포대 필름(60)을 쉽사리 박리할 수 있다. 즉, 비히이트 시일 부분(101)에서의 앞쪽 및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점 A에 힘이 가해지도록 젖히면, 먼저 외부포대 필름(60)이 박리를 개시하기 직전에 제13c도의 상태로 되고, 그 후, 제13d도에 나온 바와 같이 수용성 필름(6)의 점 A부분이 앞쪽(제13d도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는데 대하여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의 외부포대 필름(60)의 경계선(102) 부근의 부분은 바깥쪽으로 젖혀지게 된다. 이것은 수용성 필름(6)이 신축성을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경계선(102)을 경계로 한 히이트 시일 부분(100)에서의 앞 뒤 라미네이트 필름의 수용성 필름(6)이 서로 용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3d도에 나온 바와 같이 점 A 부근으로부터 수용성 필름(6)과 외부포대 필름(60) 사이에 틈새(103)가 생기게 되므로, 이 틈새(103)를 외부포대 필름(60)을 박리하는 실마리로서 이용함으로써 외부포대 필름(60)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14a도 내지 제14d도는 제13a도 내지 제13d도에 각각 대응하는 도면인데, 제14a도 내지 제14d도에 있어서 제13a도 내지 제13d도 중의 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동일부호로 나타내었으므로 이들 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14a도 내지 제14d도의 경우에 있어서 히이트 시일 부분(100)의 왼쪽변은 제14a도에 나온 바와 같이 그 자체가 가장자리변으로 되어 있고, 이 왼쪽변에 있어서도 앞쪽 라미네이트 필름과 뒤쪽 라미네이트 필름은 서로 연속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히이트 시일 부분(100)의 위쪽변의 길이, 즉 경계선(102)을 따라 연장되는 히이트 시일 부분(100)의 폭(제14a도 중의 히이트 시일 부분(100)의 위쪽변의 길이)은 좁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3a도 내지 제13d도에 나온 바와 같이 비히이트 시일 부분(101)에서의 앞쪽 및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점 A에 힘이 가해지도록 젖히면 제14c도의 상태를 거쳐 제14d도의 상태로 된다. 그런데 제14a도 내지 제14d도에 나온 실시예에 있어서 제14a도에 나온 바와 같이 틈새(103)가 제14a도중의 히이트 시일 부분(100)의 왼쪽변까지 도달하여 모서리 부분까지 확대되므로 외부포대 필름(60)을 한층 더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더욱이 제14a도 내지 제14d도에 나온 경우에 있어서 히이트 시일 부분(100)의 위쪽변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젖혀지는 량이 적더라도 틈새(103)가 제14a도중의 히이트 시일 부분(100)의 왼쪽변까지 도달하므로 외부포대 필름(60)을 보다 더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포장체에서의 외층용 필름(20)과 중간층(5)으로 된 외부포대 필름(60)의 박리에 대한 다른 원리에 대해 제26a도 내지 제26d도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제26a도는 제14a도에 나온 상태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 히이트 시일 부분(100)의 앞쪽 및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101a,101b)을 경계선(102)으로부터 양쪽으로 개방한 것을 나타낸 투시도이다. 제26b도는 제26a도의 선 X4-X4'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취한 도면이다. 제26c도와 제26d도는 제26b도에 대응한 것으로서 각각 외부포대 필름(60)의 박리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6a도 내지 제26d도에서 제14a도 내지 제14d도에 나온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효소는 동일부호로 나타내었으므로 이들 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26a도 내지 제26b도에 나온 상태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부터 제26c도와 제26d도에 나온 바와 같이 하여 외부포대 필름(60)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즉, 점 A에 힘이 가해지도록 경계선(102)의 양쪽의 라미네이트 필름(101a,101b)을 양쪽으로 잡아당기면, 제26c도에 나온 바와 같이 점 A 부근에서 외부포대 필름(60)이 박리되고, 수용성 필름(6)과 외부포대 필름(60) 사이에 틈새(103)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박리(또는 분리)의 이유는 수용성 필름(6)의 신장량이 외부포대 필름(60)의 신장량보다 많고 경계선(102)을 경계로 한 히이트 시일 부분(100)의 앞쪽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의 수용성 필름(6)이 서로 용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틈새(103)를 외부포대 필름(60)을 박리하기 위한 실마리로 이용함으로써 외부포대 필름(60)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6a도 내지 제26d도에 나온 실시예에 있어서 히이트 시일 부분(100)의 폭(제26b도중의 수직방향의 길이)이 좁으므로 이 틈새(103)는 제26c도의 상태를 거쳐 제26d도에 나온 바와 같이 히이트 시일 부분(100)의 모서리 부분까지 확대하게 된다 이 히이트 시일 부분(100)의 폭은 반드시 좁게 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포장체의 외층용 필름(20)과 중간층(5)으로 된 외부포대 필름(60)의 박리에 대한 또 다른 원리에 대해 제15a도 내지 제15d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5a도는 제1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을 수용성 필름(6)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일부를 히이트 시일해서 제조된 것을 앞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제15b도는 제15a도의 선 X3-X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제15c도는 제15b도에 대응한 것으로서 외부포대 필름(60)의 박리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제15d도는 제15a도에 대응한 것으로서 슬릿(111)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15a도와 제15b도에 있는 바와 같이 앞쪽 라미네이트 필름의 외부포대 필름(60)만을 관통하는 직선상의 슬릿(111)이 히이트 시일 부분(100)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슬릿(111)은 예컨대 외부포대 필름(60)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가진 블레이드(blade)를 눌러줌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제15a도와 제15b도에 나온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으로부터 제15c도에 나온 바와 같이 외부포대 필름(60)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즉, 제15c도에 나온 바와 같이 슬릿(111)을 따라 외부포대 필름(60)을 절곡하는 것만으로도 박리가 된다. 그 결과, 슬릿(111)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에서 외부포대 필름(60)이 수용성 필름(6)으로부터 박리하여 위로 들뜨게 한다. 따라서 들뜬 부분을 외부포대 필름(60)을 박리하는 실마리로 이용함으로써 외부포대 필름(60)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15a도 내지 제15c도에 나온 경우에 있어서 슬릿(111)을 직선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제15d도에 나온 바와 같이 U자형(또는 ㄷ형)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외부포대 필름(60)을 혀(舌) 형상으로 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5a도 내지 제15c도에 나온 예에서는 히이트 시일 부분에 슬릿(111)을 형성하고 있으나 비히이트 시일 부분(도면에 없음)에 형성해도 좋다. 앞쪽 라미네이트 필름과 뒤쪽 라미네이트 필름이 절곡선에 의해 서로 연속해 있는 부분을 형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면에는 없지만 뒤쪽 라미네이트 필름의 외부포대 필름(60)만을 관통하는 슬릿을 형성해도 좋다.
이어서 제1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은 사용해서 위에 나온 박리원리에 따라 구성된 포대의 예에 대하여 제16도 내지 제2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6도 내지 제25도는 각각 제1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수용성 필름(6)이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고, 이 소정의 부분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6)의 부분들을 용착시킴으로써 한쪽변이 개방된 포대상으로 형성되어 된 포대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이들 포대는 앞쪽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분리된 2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쳐 구성해도 좋다. 더욱이 이들 포대는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절곡하여 서로 겹쳐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게 하는 그 절곡선은 소정의 위치(예컨대 후술하는 제16도에 나온 포대에 있어서 왼쪽변 또는 오른쪽변)가 되도록 정해진다. 또한 제16도 내지 제25도에 나온 포대는 어느 것이나 소위 3변 시일 포대의 예이지만 본 발명에 의한 포대는 이러한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6도에 나온 포대에 있어서는 왼쪽변과 오른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201~204)과 위쪽변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쪽변과 평행한 스트립 부분(205)이 히이트 시일되어 있고 아래쪽변은 개방되어 있다. 히이트 시일 부분(202,204,205) 및 수용물이 아래쪽변의 개구부로부터 수용된 후에 히이트 시일되는 아래쪽변을 따라 연장된 부분(206)으로 포위된 부분이 수용예정 영역(207)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예정 영역(207)을 둘러싼 히이트 시일 부분(205)의 바깥쪽 영역에 서로 인접한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과 히이트 시일 부분(201,20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깥쪽 영역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과 상기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201,203) 사이의 경계선의 한쪽끝(점 B 및 C)은 앞쪽 라미네이트 필름과 뒤쪽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않는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이르고 있다. 바깥쪽 영역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즉,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의 위쪽변)는 앞쪽 라미네이트 필름과 뒤쪽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않은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201,203)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즉, 히이트 시일 부분(201,203)의 위쪽변)은 앞쪽 라미네이트 필름과 뒤쪽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않은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히이트 시일 부분(201,203)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상대하는 일부(즉, 히이트 시일 부분(201)의 왼쪽변 및 히이트 시일 부분(203)의 오른쪽변)는 앞쪽 라미네이트 필름과 뒤쪽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않은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히이트 시일 부분(201,203)의 측방향의 폭이 비교적 넓다.
제16도에 나온 아래쪽변이 개방된 포대는 포대공급 방식에 있어서 포대 제조업자에 의해 제조되어 수용물의 제조업자에게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포대공급 방식에 있어서 수용물 제조업자는 제16도에 나온 포대속에 아래쪽변의 개구부로부터 수용물을 넣은 후에 아래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206)을 히이트 시일하여 수용물의 사용자에게 도달하는 최종상태의 제품인 포장체를 완성하게 된다. 자동포장 방식의 경우에 있어서는 수용물의 제조업자가 제1도에 있는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로울상으로 권취된 라미네이트 필름으로부터 제16도에 나온 포대를 제조하면서 포대에 수용물을 채우고 아래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206)을 히이트 시일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한다. 이러한 사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각 포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포장체의 포대는 외부포대로서 작용하는 강접착된 외층용 필름(20) 및 중간층(5) [외부포대 필름(60)]과, 내부포대로 작용하는 수용성 필름(6)으로 된 이중벽 구조로 되어 있다. 외부포대 필름(60)과 수용성 필름(6)은 박리 가능하도록 서로간에 약접착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수용물의 사용자는 외부포대 필름(60)을 박리하는 것만으로도 내부포대와 외부포대로 된 위에 나온 포대의 방식과 마찬가지로 수용성 필름(6)으로 된 내부포대에 수용된 상태의 수용물에 접근할 수 있다.
제16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 있어서 제16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은 제13a도 내지 제13d도중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101)에 상당하고, 제16도중의 히이트 시일 부분(201,203)은 제13a도 내지 제13d도중의 히이트 시일 부분(100)에 상당하며, 제16도중의 점 B 및 C는 제13a도 내지 제13d도 중의 점 A에 상당하다. 따라서 제13a도 내지 제13d도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박리방법에 의하여 외부포대 필름(60)을 이 포장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16도에 나온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의 앞쪽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26a도 및 제26b도에 나온 바와 같이 개방할 때는 제26a도 내지 제2d도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박리방법에 의해 외부포대 필름(60)을 이 포장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17도에 있어서 제16도에 나온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를 동일 부호로 나타내었으므로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17도에 나온 포대는 왼쪽변을 따라 있는 히이트 시일 부분(201,203)의 폭이 좁다는 점에 있어서만 제16도에 나온 포대와 다르다. 따라서 제17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 있어서 제17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은 제14a도 내지 제14d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101)에 상당하고, 제17도의 히이트 시일 부분(201)은 제14a도 내지 제14d도의 히이트 시일 부분(100)에 상당하며, 제17도의 점 B는 제14a도 내지 제14d도의 점 A에 상당하다. 따라서 제14a도 내지 제14d도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박리방법에 의해 외부포대 필름(60)을 이 포장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7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에서의 앞쪽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26a도와 제26b도에 나온 바와 같이 개방할 때는 제26a도 내지 제26d도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박리방법에 의해 외부포대 필름(60)을 이 포장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18도에 있어서 제16도에 나온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었으므로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18도에 나온 포대가 제16도에 나온 포대와 다른 것은, 제18도의 포대에서의 제16도의 히이트 시일 부분(201)의 왼쪽변의 부분이 절제되어 히이트 시일 부분(201)의 폭이 좁아지고, 제16도의 히이트 시일 부분(203)의 오른쪽변의 부분이 절제되어 히이트 시일 부분(203)의 폭이 좁아지며, 앞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관통하는 슬릿(209)이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는 점뿐이다. 따라서 제18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 있어서 제18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은 제14a도 내지 제14d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101)에 상당하고, 제18도의 히이트 시일 부분(201,203)은 제14a도 내지 제14d도의 히이트 시일 부분(100)에 상당하며, 제18도의 점 B 및 C는 제 14a도 내지 제14d도의 점 A에 상당하다. 따라서 제14a 내지 제14d도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박리방법에 의하여 외부포대 필름(60)을 이 포장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슬릿(20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을 용이하게 젖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8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에서의 앞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26a도 및 제26b도와 마찬가지로 개방할 때는 제26a도 내지 제26d도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박리방법에 의하여 외부포대 필름(60)을 이 포장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19도에 있어서 제16도에 나온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었으므로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19도에 나온 포대는, 제19도의 포대에서 히이트 시일 부분(201,203)의 폭이 좁다는 점에서만 제16도의 포대와 상이하다. 제19도에 나온 포대는 제18도에 나온 포대와는 달리 절제되어 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제19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 있어서 제14a도 내지 제14d도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박리방법에 의하여 외부포대 필름(60)을 이 포장체로부터 한층 더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9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에서의 앞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26a도 및 제26b도와 마찬가지로 개방하면 제26a도 내지 제26d도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박리방법에 의하여 외부포대 필름(60)을 이 포장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20도에 있어서 제16도중의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었으므로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20도에 나온 포대는, 제20도의 포대에서 제16도의 히이트 시일 부분(203)과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의 오른쪽 부분이 절제되고, 제16도의 히이트 시일 부분(201)이 절제되어 히이트 시일 부분(201)의 폭이 좁게 되어 있다는 점에서만 제16도에 나온 포대와 상이하다. 따라서 제20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 있어서 제20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은 제5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101)에 상당하고, 제20도의 히이트 시일 부분(201)은 제14a도 내지 제14d도의 히이트 시일 부분(100)에 상당하며, 제20도의 점 B는 제14a도 내지 제14d도의 점 A에 상당하다. 따라서 제14a도 내지 제14d도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박리방법에 의하여 외부포대 필름(60)을 이 포장체로부터 한층 더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0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에서의 앞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26a도 및 제26b도와 마찬가지로 개방하면 제26a도 내지 제26d도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박리방법에 의하여 외부포대 필름(60)을 이 포장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21도에 있어서 제16도중의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었으므로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21도에 나온 포대는, 제21도에 나온 포대에 있어서 제16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앞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관통하는 슬릿(210)이 형성되고, 이 슬릿(210)의 좌우양쪽에 히이트 시일 부분(211,212)이 형성되며, 제16도중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이 두 개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a,208b)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만 제16도에 나온 포대와 상이하다. 슬릿(210)의 한쪽끝은 앞쪽 라미네이트 필름과 뒤쪽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않은 이 포대의 바깥 가장자리(즉, 위쪽변)에 이르고 있다. 히이트 시일 부분(211)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히이트 시일 부분(211)과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a) 사이의 경계선과 상대하는 일부(즉, 히이트 시일 부분(211)의 오른쪽변)는 슬릿(210)과 일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히이트 시일 부분(212)의 일부로서 히이트 시일 부분(212)과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b) 사이의 경계선과 상대하는 일부(즉, 히이트 시일 부분(211)의 왼쪽변)는 슬릿(210)과 일치하고 있다. 히이트 시일 부분(211)에서의 상기 경계선을 따라 있는 부분의 폭(즉, 히이트 시일 부분(211)의 위쪽변의 길이)은 좁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히이트 시일 부분(212)에서의 상기 경계선을 따라 있는 부분의 폭(즉, 히이트 시일 부분(212)의 위쪽변의 길이)은 좁게 되어 있다. 제21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 있어서 제21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a,208b)은 제14a도 내지 제14d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101)에 상당하고, 제21도의 히이트 시일 부분(211,212)은 제14a도 내지 제14d도의 히이트 시일 부분(100)에 상당하며, 제21도의 점 D 및 E는 제14a도 내지 제14d도의 점 A에 상당하다. 따라서 제14도 내지 제14d도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박리방법에 의하여 외부포대 필름(60)을 이 포장체로부터 한층 더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1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a 또는 208b)에서의 앞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26a도 및 제26b도와 마찬가지로 개방하면 제26a도 내지 제26d도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박리방법에 의하여 외부포대 필름(60)을 이 포장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22도에 나온 포대는 왼쪽변과 오른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301~304)과 위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305) 및 위쪽변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위쪽변과 평행하게 연장된 스트립 부분(306)이 히이트 시일되고, 아래쪽변이 개방되어 있다. 히이트 시일 부분(302,304,306) 및 소정의 수용물이 아래쪽변의 개구부를 통해 포대속에 수용된 후에 히이트 시일되는 아래쪽변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307)으로 포위된 부분이 수용예정 영역(308)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히이트 시일 부분(301,303,305,306)으로 포위된 비히이트 시일 부분(309)은 수용예정 영역(308)을 둘러싸는 히이트 시일 부분(306)의 바깥쪽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 바깥쪽 영역에서는 영역의 일부를 절제하기 위한 천공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 천공부(310)는 히이트 시일 부분(305)의 아래쪽변보다 다소 낮은 위치에서 히이트 시일 부분(305)의 아래쪽변과 평행하게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히이트 시일 부분(301)의 왼쪽변과 히이트 시일 부분(303)의 오른쪽변에 이르고 있다. 천공부(310)의 왼쪽끝 [즉, 히이트 시일 부분(301)]에는 천공부(310)를 따라 절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노치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공부(310)의 오른쪽끝 부근 [즉, 히이트 시일 부준(303)]에는 제18도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히이트 시일 부분(203)의 절제부분에 상당하는 노치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깥쪽 영역에서의 천공부(310)의 위쪽 부분을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상기 바깥쪽 영역의 서로 인접한 비히이트 시일 부분(309)과 히이트 시일 부분(301,303) 사이의 경계선의 한쪽끝(점 F 및 G)은 천공부(310)에 이르고 있다. 상기 바깥쪽 영역에서의 천공부(310)의 위쪽부분을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309)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가 천공부(310)와 일치하고 있다. 상기 바깥쪽 영역에서의 천공부(310)의 위쪽부분을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301,303)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가 천공부(310)와 일치하고 있다.
제22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 있어서 외부포대 필름(60)의 박리는 천공부(310)를 따라 천공부(310)의 위쪽부분을 절제함으로써 개시된다. 그 결과, 남아있던 히이트 시일 부분(301)은 제16도의 히이트 시일 부분(201)에 상당하고, 점 F는 제16도중의 점 B에 상당하며, 히이트 시일 부분(306)은 제16도 및 제18도의 히이트 시일 부분(205)에 상당하고, 남아있던 히이트 시일 부분(303)은 제18도의 히이트 시일 부분(208)에 상당하고, 점 G는 제18도의 점 C에 상당하다. 따라서 외부포대 필름(60)을 제16도 및 제18도의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22도에 나온 포대에 있어서 비히이트 시일 부분(309)이 히이트 시일 부분(301,303,305,306)으로 포위되어 있고 히이트 시일 부분(309)은 천공부(310)를 제외하고 외부에 개방되어 있지 않으므로 비히이트 시일 부분(309)의 수용성 필름(6)이 외부조건에 의해 변질될 가능성이 전혀 없다.
제23도에 나온 포대에 있어서 왼쪽변과 오른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401~404), 위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405) 및 위쪽변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위쪽변과 평행한 스트립 부분(406)이 히이트 시일되고, 아래쪽변이 개방되어 있다. 히이트 시일 부분(402,404,406) 및 수용물이 아래쪽변의 개구부에서 수용된 후에 히이트 시일되는 아래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407)으로 둘러쌓인 부분은 그 자체가 수용예정 영역(408)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히이트 시일 부분(401,403,405,406)으로 둘러쌓인 비히이트 시일 부분(409)은 수용물의 수용예정 영역(408)을 둘러싼 히이트 시일 부분(406)의 바깥쪽 영역에 형성된다. 히이트 시일 부분(401)은 그 왼쪽변이 절제되어 폭이 좁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깥쪽 영역에는 그 일부를 절제하기 위한 천공부(4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이 천공부(410)는 왼쪽에서는 히이트 시일 부분(405)의 아래쪽변의 약간 낮은 위치에서 히이트 시일 부분(405)의 아래쪽변과 평행하게 직선상으로 형성되며, 오른쪽에서는 히이트 시일 부분(406)의 위쪽변의 약간 높은 위치에서 히이트 시일 부분(406)과 평행하게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천공부(410)가 단계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히이트 시일 부분(401)의 왼쪽변과 히이트 시일 부분(403)의 오른쪽변에 이르고 있다. 이 천공부(410)의 왼쪽변[즉, 히이트 시일 부분(401)]에는 천공부(410)를 따라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노치부(4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깥쪽 영역에서의 천공부(410)의 위쪽부분을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바깥쪽 영역에서의 서로 이접한 비히이트 시일 부분(409)과 히이트 시일 부분(401) 사이에 경계선의 한쪽끝(점 H)은 천공부(410)에 이르고 있다. 상기 바깥쪽 영역에서의 천공부(410)의 위쪽부분을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409)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는 천공부(410)와 일치하고 있다. 상기 바깥쪽 영역에서의 천공부(410)의 위쪽부분을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401,403)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는 천공부(410)와 일치하고 있다.
제23도에 나오는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 있어서 외부포대 필름(60)의 박리는 천공부(410)를 따라 천공부(410)의 위쪽부분을 절제함으로써 개시된다. 그 결과, 남아있는 히이트 시일 부분(401)은 제20도의 히이트 시일 부분(201)에 상당하고, 점 H는 제20도의 점 B에 상당하며, 히이트 시일 부분((406)은 제20도의 히이트 시일 부분(205)에 상당하다. 따라서 외부포대 필름(60)을 제20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23도에 나온 포대에서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409)이 히이트 시일 부분(401,403,405,406)에 의해 포위되고 비히이트 시일 부분(409)은 천공부(410)를 제외하고 외부에 개방되어 있지 않으므로 비히이트 시일 부분(409)의 수용성 필름(6)이 외부환경에 의해 변질될 가능성은 전혀 없다.
제24도에 나온 포대에서 왼쪽변, 오른쪽변 및 위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501~503)이 히이트 시일되고 아래쪽 변이 개방되어 있다. 히이트 시일 부분((501~503) 및 수용물이 아래쪽변의 개구부로부터 수용된 후에 히이트 시일되는 아래쪽변을 따라 있는 부분(504)으로 둘러쌓인 부분은 수용예정 영역(505)을 구성하고 있다. 수용예정 영역(505)의 바깥쪽 영역을 형성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503)에는 앞쪽 외부포대 필름(60)만을 관통하는 슬릿(506)과 뒤쪽 외부포대 필름(60)만을 관통하는 슬릿(507)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슬릿(506,507)을 직선상으로 형성하여 포대의 왼쪽변과 오른쪽변에 이르도록 하고 있다.
제24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서 히이트 시일 부분(503)은 제15a도 내지 제15c도의 히이트 시일 부분(110)에 상당하고, 슬릿(506,507)은 제15a도 내지 제15c도의 슬릿(111)에 상당하다. 따라서 제15a도 내지 제15c도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박리방법에 의해 외부포대 필름(60)을 이 포장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25도에서 제24도에 나온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나타내었으므로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25도에 나온 포대는 슬릿(506,507)이 각각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만 제24도에 나온 포대와 상이하다. 따라서 제25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서 히이트 시일 부분(503)은 제15d도의 히이트 시일 부분(110)에 상당하고 슬릿(506,507)은 제15d도의 슬릿(111)에 상당하다. 따라서 제15d도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박리방법에 의하여 외부포대 필름(60)을 이 포장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이어서 제1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위에 나온 박리 원리에 따라 구성한 기타 포대의 예에 대하여 제27a도 내지 제36b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7a도, 제29a도, 제30a도, 제31a도, 제32도, 제33a도, 제34a도, 제35a도, 및 제36도는 각각 제1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 1매를 사용하여,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수용성 필름(6)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한 튜우브체를 형성하도록, (a)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1스트립 부분과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2스트립 부분을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의 수용성 필름이 서로 마주 보도록 서로 겹쳐, (b) 히이트 시일하여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의 수용성 필름의 상응한 부분들을 용착함과 동시에, 상기 튜우브체에서의 수용물의 수용예정 영역이 상기 뉴우브체의 제1끝부분 변쪽에 대해 폐색되도록 상기 튜우브체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며 이 소정의 부분들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을 서로 용착시킴으로써 상기 수용예정 영역이 상기 튜우브체의 제2끝부분 변쪽으로부터 개방된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된 포대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27a도에 나온 포대는 제28b도에 나온 1매의 장방형 라미네이트 필름(제1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으로 구성된 것이다. 제27b도는 제27a도에 나온 포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27b도에서 도면의 지면(紙面)에 대해 앞쪽에 수용성 필름(6)이 배치되어 있고 뒤쪽에 외부포대 필름(60)이 배치되어 있다. 제27a도에 나온 포대에 있어서 제27b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의 왼쪽변을 따라 연장되는 제1스트립 부분(600a)과 오른쪽 변을 따라 연장되는 제2스트립 부분(600b)이 이들 스트립 부분(600a,600b)의 수용성 필름이 서로 마주 보도록 서로 겹쳐져서 히이트 시일되고, 스트립 부분(600a,600b)의 수용성 필름(6)의 상응한 부분들이 서로 용착되어 라미네이트 필름에서의 스트립 부분(600a,600b) 이외의 부분이 튜우브체를 형성하고 있다. 제27a도에 있어서 (600)은 스트립 부분(600a,600b)으로 구성된 히이트 시일 부분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히이트 시일 부분(600)은 백라이닝 부분으로 되어 있고 제27a도에 나온 포대는 백라이닝형 포대이다. 이 실시예에서 라미네이트 필름은 제27b도에서 선(601,602)을 따라 안쪽으로 접혀지는데, 이들 선(601,602)은 제27a도에 나온 포대의 왼쪽변과 오른쪽변에 상당하다. 제27a도에 나온 포대에서 튜우브체의 위쪽 끝부분변(603)으로부터 일정 간격(W)을 두고 끝부분변(603)과 평행하게 연장된 스트립 부분(히이트 시일 부분)(604)은 히이트 시일되어 있다. 즉, 제27b도중의 부분(604a)의 수용성 필름(6)과 부분(604b)의 수용성 필름(6)이 서로 겹쳐져서 용착되고, 부분(604c)의 수용성 필름(6)과 부분(604d)의 수용성 필름(6)이 겹쳐져서 용착되어 이들 부분(604a~604d)이 히이트 시일 부분(604)을 구성하고 있다. 히이트 시일 부분(600)과 상기 뉴우브체 사이의 경계선(605)을 구성하고 있다. 히이트 시일 부분(600)과 상기 튜우브체 사이의 경계선(605)의 한쪽끝(위쪽끝, 점 I)은 끝부분변(603)에 이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마찬가지로 경계선(605)의 다른쪽끝(아래쪽)도 아래쪽의 끝부분변(606)에 이르고 있다. 제27b도에 나온 포대에서는 히이트 시일 부분(604)과 개방되어 있는 끝부분변(606)으로부터 수용물이 수용된후에 히이트 시일되는 끝부분변(606)을 따라 연장된 스트립 부분(607) [히이트 시일되는 스트립 부분(607)은 끝부분변(606)으로부터 약간 간격을 두도록 해도 좋음]과의 사이의 상기 튜우브체에서의 영역이 수용예정 영역(608)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히이트 시일 부분(604)는 수용예정 영역(608)을 끝부분변(603)쪽에 대해 폐색하고 있다. 상기 튜우브체에서의 히이트 시일 부분(604)의 바깥쪽 영역에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이 끝부분변(603)을 따라 폭(W)의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은 경계선을 걸쳐 경계선(605)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고,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의 주변 가장자리 일부 [즉,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의 위쪽변]는 경계선(605)의 한쪽끝(점 I)을 포함함과 동시에 끝부분변(603)을 형성한다.
제27a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서 제26a도 내지 제26d도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박리방법에 의하여 외부포대 필름(60)을 이 포장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이 박리방법에 대해 제28a도 내지 제28c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8a도는 제27a도의 선 X5-X5'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취한 도면이고, 제28b도는 제28a도에 대응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제1박리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며, 제28c도는 제28a도에 대응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제2박리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외부포대 필름(60)의 박리는 끝부분변(603)을 개방하고, 예컨대 제28b도에 나온 바와 같이 왼손의 집게 손가락(610) 및 오른손의 집게 손가락(611)을 비히이트 시일 부분(610) 속으로 삽입하여 양쪽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상기 경계선(605)의 점 I에 힘이 가해지게 됨으로써 달성된다. 제27a도 및 제28a도 내지 제28c도중의 히이트 시일 부분(600)이 제26a도 내지 제26d도중의 히이트 시일 부분(100)에 상당하고,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에서의 경계선(605)의 양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라미네이트 필름(101a,101b)에 상당하다. 따라서 제26a도 내지 제26d도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박리원리에 의하여 외부포대 필름(60)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포대 필름(60)을 박리할 때에는 제28c도에 나온 바와 같이 왼손의 집게 손가락(610)과 엄지 손가락(612)으로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의 경계선(605)의 왼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집음과 아울러 오른손 집게 손가락(611)과 엄지 손가락(613)으로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의 경계선(605)의 오른쪽 라미네이트 필름을 집고, 양쪽으로 잡아 당겨도 좋다. 이러한 조작을 효율적으로 하자면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의 폭(W)은 5mm 이상인 것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7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cm 이상이다.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의 폭(W)이 너무 넓으면 수용물의 수용에 기여하지 않는 부분이 불필요하게 증가하게 되므로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의 폭을 5c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7a도와 제27b도에 나온 포대에서 히이트 시일 부분(600)을 형성하게 되는 스트립 부분(600a,,600b)은 라미네이트 필름의 왼쪽변과 오른쪽변을 따라 배치되어 있지만, 제27b도에서는 스트립 부분(600a)만을 왼쪽변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스트립 부분(600b)만을 오른쪽 변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도 좋고, 또는 스트립 부분(600a,600b)을 각각 왼쪽변과 오른쪽변으로부터 일정 간격(동일한 간격 또는 상이한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도 좋다. 이점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기타 여러 가지 포대도 마찬가지이다.
제29a도 및 제29b도에서 제27a도와 제27b도에 나온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었으므로 그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제29b도는 제29a도에 나온 포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29a도에 나온 포대가 제27a도에 나온 포대와 다른 점은 상기 튜우브체에서의 왼쪽변과 오른쪽변을 따라 연장된 스트립 부분(히이트 시일 부분)(620,621)이 히이트 시일되어 있다는 점 뿐이다. 즉, 제29b도중의 스트립 부분(620a)의 수용성 필름(6)과 스트립 부분(620b)의 수용성 필름(6)이 서로 겹쳐져서 용착되어 이들 스트립 부분(620a,620b)이 히이트 시일 부분(620)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29b도중의 스트립 부분(621a)의 수용성 필름(6)과 스트립 부분(621b)의 수용성 필름(6)이 서로 겹쳐져서 용착되어 이들 스트립 부분(621a,621b)이 히이트 시일 부분(621)을 구성하고 있다.
제29a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서도 제27a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부포대 필름(60)을 박리할 수 있다. 그런데 위에 나온 포대공급 방식에서도 수용물을 수용하는 포대를 다수 겹쳐서 자동 충전기에 설치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27a도에 나온 포대는 왼쪽변(601)과 오른쪽변(602)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단순히 접어 형성된 것이므로 양쪽변(601,602)이 그 웹(web) 부분위로 다소간 올라오기 때문에 다수의 포대를 정연하게 겹치기가 어렵다. 따라서 자동 충전기의 조작에 장애를 주는 등의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제29a도에 나온 포대는 양쪽변(601,602)을 따라 히이트 시일 부분(620,6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위에 나온 바와 같은 불편 등이 없이 다수의 포대를 정연하게 겹칠 수가 있다.
제30a도 및 제30b도에 있어서 제27a도 및 제27b도에 나온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나타내었으므로 그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제30b도는 제30a도에 나온 포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30a도에 나온 포대가 제27a도에 나온 포대와 다른 점은 끝부분변(603)쪽에 대해 수용예정 영역(608)을 폐색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604)과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 사이에 주변이 밀봉된 비히이트 시일 부분(631)이 형성되도록 히이트 시일 부분(630)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30a도에 나온 바와 같이 히이트 시일 부분(630)은 히이트 시일 부분(604)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히이트 시일 부분(604)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30b도에서 부분(630a)의 수용성 필름(6)과 부분(630b)의 수용성 필름(6)이 서로 겹쳐져서 용착되고, 부분(630c)의 수용성 필름(6)과 부분(630d)의 수용성 필름(6)이 서로 겹쳐져서 되어 이들 부분(630a~630d)이 히이트 시일 부분(630)을 구성하고 있다.
제30a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 있어서 제27a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와 마찬가지로 외부포대 필름(60)을 박리할 수 있다. 제30a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 있어서 수용예정 영역(608)은 끝부분변(603)쪽에 대하여 히이트 시일 부분(604,630)에 의해 2중으로 폐색된다. 따라서 비히이트 시일 부분(603)의 수용성 필름(6)이 외부조건에 의해 변질된다고 하더라도 수용예정 영역에 악영향을 미쳐 변질시킬 가능성은 전혀 없다.
제30a도에 나온 바와 같이 포대속에 수용물을 수용한 후에 스트립 부분(607)뿐만 아니라 이것과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스트립 부분(632)까지 히이트 시일하는 방법에서는 끝부분변(606)쪽으로부터 외부포대 필름(60)이 우발적으로 박리할 가능성이 없어진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반드시 스트립 부분(632)을 추가로 히이트 시일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히이트 시일되는 스트립 부분(632)을 끝부분변(60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어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점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여러 가지 포대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다.
제31a도 및 제31b도에 있어서 제27a도 및 제27b도에 나온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나타내었으므로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31b도는 제31a도에 나온 포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31a도에 나온 포대는 아래와 같은 점에 있어서서만 제27a도에 나온 포대와 다르다. 즉, 제31a도에 나온 포대에서는 끝부분변(603)쪽에 대하여 수용예정 영역(608)을 폐색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604)의 바깥쪽 영역에서 주변이 밀봉된 비히이트 시일 부분(640)이 형성되도록 히이트 시일 부분(6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31a도에 나온 바와 같이 끝부분변(603)과 히이트 시일 부분(604)으로부터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히이트 시일 부분(604)과 평형하게 히이트 시일 부분(641)이 형성되어 있다. 제31b도에서 부분(641a)의 수용성 필름(6)과 부분(641b)의 수용성 필름(6)이 서로 겹쳐져서 용착되고, 부분(641c)의 수용성 필름(6)과 부분(641d)의 수용성 필름(6)이 서로 겹쳐져서 용착되어 이들 부분(641a~641d)이 히이트 시일 부분(641)을 구성하고 있다. 경계선(605)을 걸쳐 이 경계선(605)의 양쪽에 비히이트 시일 부분(6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튜우브체에서의 바깥쪽 영역과 여기에 대응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600)의 영역에 이들의 일부의 영역을 절제하기 위한 천공부(6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천공부(642)는 히이트 시일 부분(641)의 아래쪽변 보다 다소 낮은 위치에서 히이트 시일 부분(641)의 아래쪽변과 평행하게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깥쪽 영역과 여기에 대응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600)의 영역에서의 천공부(642)의 위쪽 부분을 절제했을 때에 잔존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600)과 상기 튜우브체 사이의 경계선(605)의 한쪽끝(점 J)은 천공부(642)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천공부(642)의 위쪽 부분을 절제했을 때에 잔존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640)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 [이 실시예에서는 잔존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640)의 위쪽변]는 천공부(642)와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비히이트 시일 부분(640)의 아래쪽변으로부터 천공부(642)까지의 폭(W')은 제27a도에서의 폭(W)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1a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 있어서 외부포대 필름(60)의 박리는 이 천공부(642)를 따라 천공부(642)의 위쪽 부분을 절제함으로써 개시된다. 그 결과, 이 포장체는 제13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태로 되는데, 잔존해 있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640)은 제27a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에 상당하고 점 J는 점 I에 상당하다. 따라서 천공부(642)의 위쪽 부분을 절제한 후에는 제27a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와 마찬가지로 외부포대 필름(60)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31a도에 나온 포대에서는 천공부(642)를 제외하고 비히이트 시일 부분(640)은 주위 환경에 개방되지 않으므로 이 비히이트 시일 부분(640)의 수용성 필름(6)이 주위 환경에 의해 변질될 가능성은 전혀 없다.
제31a도에 나온 실시예에서 끝부분변(606)을 따라 있는 스트립 부분(607)은 포대속에 내용물을 수용한 후에는 히이트 시일된다. 또한 제30a도에 나온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2도에 있는 바와 같이 스트립 부분(607,632)을 히이트 시일하여도 좋다. 이점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기타 여러 가지 포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제32도에 나온 포대는 제31a도에 나온 포대와 동일하다.
제33a도 및 제33b도에 있어서 제27a도와 제27b도에 나온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 대해 동일부호로 나타내었으므로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33b도는 제33a도에 나온 포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33a도에 나온 포대는 제27a도에 나온 포대와 마찬가지로 백라이닝형 포대인 반면 제33a도에 나온 포대는 덧댐부(gesset)(650,651)를 가진 거싯형 포대이다. 제33a도에서 장방형 라미네이트 필름은 제33b도의 선(652~655)을 따라 안쪽으로 접혀지고, 선(656,657)을 따라 바깥쪽으로 접혀져 있어 덧댐부(650,651)를 형성하고 있다. 제33b도에서 부분(640a)과 부분(604f), 부분(604b)과 부분(604c), 부분(604d)과 부분(604e), 부분(604g)과 부분(604l), 부분(604h)과 부분(604i) 및 부분(604j)과 부분(604k)이 각각 서로 겹쳐져서 각각 대응하는 부분의 수용성 필름(6)끼리 용착되어 이들 부분(604a~604l)이 히이트 시일 부분(604)을 구성하고 있다.
제33a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서도 제27a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와 마찬가지로 외부포대 필름(60)을 박리할 수 있다.
제34a도 및 제34b도에 있어서 제33a도 및 제33b도에 나온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 대해 동일부호로 나타내었으므로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34b도는 제34a도에 나온 포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34a도에 나온 포대는 아래와 같은 점에 있어서만 제33a도에 나온 포대와 다르다. 즉, 제34a도에 나온 포대에서는 끝부분변(603)쪽에 대하여 수용예정 영역(608)을 폐색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604)의 바깥쪽 영역에서 주변이 밀봉된 비히이트 시일 부분(660)이 형성되도록 히이트 시일 부분(66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34a도에 나온 바와 같이 끝부분변(603)과 히이트 시일 부분(604)으로부터 각각 일정간격을 두고 히이트 시일 부분(604)과 평형하게 히이트 시일 부분(661)이 형성되어 있다. 제34b도중에서 부분(661a)과 부분(661f), 부분(661b)과 부분(661c), 부분(661d)과 부분(661e), 부분(661g)과 부분(661l), 부분(661h)과 부분(661i) 및 부분(661j)과 부분(661k)이 각각 서로 겹쳐져서 각각 대응하는 부분의 수용성 필름(6)끼리 용착되어 이들 부분(661a~661l)이 히이트 시일 부분(661)을 구성하고 있다. 경계선(605)을 걸쳐 이 경계선(605)의 양쪽에 비히이트 시일 부분(6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튜우브체에서의 바깥쪽 영역과 여기에 대응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600)의 영역에 이들의 일부의 영역을 절제하기 위한 천공부(66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천공부(662)는 히이트 시일 부분(661)의 아래쪽변보다 다소 낮은 위치에서 히이트 시일 부분(661)의 아래쪽변과 평행하게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깥쪽 영역과 여기에 대응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600)의 영역에서의 천공부(662)의 위쪽부분을 절제했을 때에 잔존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600)과 상기 튜우브체 사이의 경계선(605)의 한쪽끝(점 K)은 천공부(662)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천공부(662)의 위쪽 부분을 절제했을 때에 잔존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660)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이 실시예에서는 잔존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660)의 위쪽변]는 천공부(662)와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비히이트 시일 부분(660)의 아래쪽변으로부터 천공부(662)까지의 폭(W')은 제27a도에서의 폭(W)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4a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 있어서 외부포대 필름(60)의 박리는 이 천공부(662)를 따라 천공부(662)의 위쪽 부분을 절제함으로써 개시된다. 그 결과, 이 포장체는 제33a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태로 되는데, 잔존해 있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660)은 제13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에 상당하고 점 K는 점 I에 상당하다. 따라서 천공부(662)의 위쪽 부분을 절제한 후에는 제27a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와 마찬가지로 외부포대 필름(60)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34a도에 나온 포대에서는 천공부(642)를 제외하고 비히이트 시일 부분(660)은 주위환경에 개방되지 않으므로 이 비히이트 시일 부분(660)의 수용성 필름(6)이 주위환경에 의해 변질될 가능성은 전혀 없다.
제35a도에 나온 포대는 제35b도에 나온 장방형의 라미네이트 필름(제1도에 나온 구조의 라미네이트 필름) 1매를 사용하여 거싯형의 포대로 구성된 것이다. 제35b도는 제35a도에 나온 포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35b도에서 위에 나온 전개도와 마찬가지로 도면의 지면에 대하여 수용성 필름(6)은 앞쪽에 배치되어 있고, 뒤쪽에는 외부포대 필름(60)이 배치되어 있다. 제35a도에 나온 포대에서는 제35b도에 나온 라미네이트 필름의 왼쪽변을 따라 연장되는 제1스트립 부분(700a)과 오른쪽변을 따라 연장되는 제2스트립 부분(700b)이 이들 스트립 부분(700a,700b)의 수용성 필름(6)이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겹쳐져서 히이트 시일되어 스트립 부분(700a,700b)의 수용성 필름(6)이 용착됨으로써 라미네이트 필름에서의 스트립 부분(700a,700b) 이외의 부분이 튜우브체를 형성하고 있다. 제35a도에서 (700)은 스트립 부분(700a,700b)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으로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히이트 시일 부분(700)은 변쪽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백라이닝 부분 구성하고 있지 않다. 제35a도에 나온 포대에서는 덤댐부(gusset)(720,721)를 형성하고자 장방형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제35b도중의 선(704~706)을 따라 안쪽으로 접혀져 있고 선(707,708)을 따라 바깥쪽으로 접혀져 있다. 제35a도에 나온 포대에서는 위에 나온 튜우브체의 위쪽의 끝부분변(709)으로부터 일정 간격(W)을 두고 끝부분변(709)과 평행한 스트립 부분(히이트 시일 부분)(710)이 히이트 시일되어 있다. 즉, 제35b도중에서 부분(710a)과 부분(710j), 부분(710b)과 부분(710c), 부분(710d)과 부분(710i), 부분(710e)과 부분(710f) 및 부분(710g)과 부분(710h)가 각각 서로 겹쳐져서 각각 대응하는 부분의 수용성 필름(6)끼리 용착되어 이들 부분(710a~710j)이 히이트 시일 부분(710)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35a도에 나온 포대에서는 상기 절곡선(704~706)에 상응한 변을 따라 있는 스트립 부분(히이트 시일 부분)(701~703)이 히이트 시일되어 있다. 즉, 제35b도의 부분(710a)과 부분(710b), 부분(702a)과 부분(702b) 및 부분(703a)과 부분(703b)이 각각 서로 서로 겹쳐져서 각기 대응하는 부분의 수용성 필름(6)끼리 용착되어 있다. 부분(701a)과 부분(701b)은 히이트 시일 부분(701)을 형성하고, 부분(702a)과 부분(702b)은 히이트 시일 부분(702)을 형성하며, 부분(703a)과 부분(703b)은 히이트 시일 부분(703)을 형성하고 있다. 히이트 시일 부분(700)과 상기 튜우브체 사이의 경계선(711)의 한쪽끝(위쪽끝, 점 L)은 끝부분변(709)에 이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마찬가지로 경계선(711)의 다른쪽끝(아래쪽끝)도 아래쪽의 끌부분변(712)에 이르고 있다. 제35a도에 나온 포대에서는 개방되어 있는 끌부분변(712)을 통해 수용물이 수용된 후에 히이트 시일되는 끌부분변(712)을 따라 연장된 스트립 부분(713)[히이트 시일되는 스트립 부분(713)은 끌부분변(712)으로부터 약간 간격을 두도록 해도 좋음]과 히이트 시일 부분(710) 사이의 상기 튜우브체에서의 영역이 수용예정 영역(714)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히이트 시일 부분(710)은 수용예정 영역(714)을 끌부분변(709)쪽에 대해 폐색하고 있다. 위에 나온 튜우브체에서의 히이트 시일 부분(710)의 바깥쪽 영역에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7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715)이 끌부분변(709)을 따라 폭(W)의 스트립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비히이트 시일 부분(715)은 경계선(711)에 접하여 경계선(711)의 한쪽(오른쪽)에 형성되어 있다. 비히이트 시일 부분(715)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즉, 비히이트 시일 부분(715)의 위쪽변)는 경계선(711)의 한쪽끝(점 L)을 포함하여 끌부분변(709)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제35a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는 제35a도중의 점 L이 제14a도 내지 제14d도중의 점 A 및 제26a도 내지 제26d도중의 점 A에 상당하다. 제14a도 내지 제14d도 및 제26a도 내지 제26d도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박리방법에 의하여 외부포대 필름(60)을 이 포장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35a도에 나온 포대는 히이트 시일 부분(700~703)에 의하여 자립성이 커짐과 동시에 다수의 포대를 정연하게 겹쳐 놓을 수 있다. 제33a도와 제34a도에 나온 포대에 있어서도 히이트 시일 부분(700~703)에 상당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을 형성해도 좋다.
제35a도 및 제36b도에 있어서 제35a도와 제35b도에 나온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 대해 동일부호로 나타내었으므로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36b도는 제36a도에 나온 포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36a도에 나온 포대는 아래와 같은 점에 있어서만 제35a도에 나온 포대와 다르다. 즉, 제36a도에 나온 포대에서는 끌부분변(709)쪽에 대하여 수용예정 영역(714)을 폐색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710)의 바깥쪽 영역에서 주변이 밀봉된 비히이트 시일 부분(740)이 형성되도록 히이트 시일 부분(7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36b도에 나온 바와 같이 끌부분변(709)과 히이트 시일 부분(710)으로부터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히이트 시일 부분(710)과 평형하게 히이트 시일 부분(741)이 형성되어 있다. 제36b도중에서 부분(741a)과 부분(741j), 부분(741b)과 부분(741c), 부분(741d)과 부분(741i), 부분(741e)과 부분(741f), 부분(741g)과 부분(741h)이 각각 서로 겹쳐져서 각각 대응하는 부분의 수용성 필름(6)끼리 용착되어 이들 부분741a~741j)이 히이트 시일 부분(741)을 구성하고 있다. 경계선(711)에 접하여 이 경계선(711)의 한쪽(오른쪽)에 비히이트 시일 부분(7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튜우브체에서의 바깥쪽 영역과 여기에 대응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700)의 영역에 이들의 일부의 영역을 절제하기 위한 천공부(7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천공부(742)는 히이트 시일 부분(741)의 아래쪽변보다 다소 낮은 위치에서 히이트 시일 부분(741)의 아래쪽변과 평행하게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깥쪽 영역과 여기에 대응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700)의 영역에서의 천공부(742)의 위쪽부분을 절제했을 때에 잔존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700)과 상기 튜우브체 사이의 경계선(711)의 한쪽끝(점 M)은 천공부(742)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천공부(742)의 위쪽 부분을 절제했을 때에 잔존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740)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이 실시예에서는 잔존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740)의 위쪽변]는 천공부(742)와 일치한다. 그리고 비히이트 시일 부분(740)의 아래쪽변으로부터 천공부(742)까지의 폭(W')은 제13도에서의 폭(W)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6a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에 있어서 외부포대 필름(60)의 박리는 이 천공부(742)를 따라 천공부(742)의 위쪽 부분을 절제함으로써 개시된다. 그 결과, 이 포장체는 제35a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태로 되는데, 잔존해 있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740)은 제34a도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715)에 상당하고 점 M은 점 L에 상당하다. 따라서 천공부(742)의 위쪽 부분을 절제한 후에는 제35a도에 나온 포대를 사용한 포장체와 마찬가지로 외부포대 필름(60)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제36a도에 나온 포대에서는 천공부(742)를 제외하고 비히이트 시일 부분(740)은 주위환경에 개방되지 않으므로 이 비히이트 시일 부분(740)의 수용성 필름(6)이 주위환경에 의해 변질될 가능성은 전혀 없다.
위에서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기타 여러 가지로 구체화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외부포대와 수용성 필름으로 된 내부포대로 구성된 이중벽 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우수한 박리특성을 가진 외부포대를 가진 포대를 기존의 설비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라미네이트 필름 및 그 제조방법과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 및 포장체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외부포대와 수용성 필름으로 된 내부포대로 구성된 이중벽 구조를 가지며 기존의 설비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수용물을 사용할 경우 외부포대 필름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포대 및 포장체와 외부포대 필름의 박리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48)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20)과, 수용성 필름(6)과,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5)으로서 적어도 상기 수용성 필름(6)쪽의 표면이 소망의 정도로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을 함유한 중간층(5)을 구비하며,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중간층(5)이 서로 강(强)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5)과 상기 수용성 필름(6)이 서로 집적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弱)접착되어서 된 라미네이트 필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5)이 고압법 폴리에틸렌과 혼합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라미네이트 필름.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5) 표면의 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의 카르보닐기와 상기 수용성 필름(6) 표면의 히드록실기가 결합해 있는 라미네이트 필름.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필름(6)이 폴리 비닐 알코올,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된 라미네이트 필름.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필름(6)은 이 수용성 필름(6)의 상기 중간층(5)쪽의 표면이 코로나 처리된 것인 라미네이트 필름.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20)과 수용성 필름(6) 사이에 용융되고 열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에 필름상으로 압출하는 스텝과,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수용성 필름(6) 및 상기 고압법 폴리에틸필름을 압착하면서 냉각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부포대 필름(20)과 수용성 필름(6) 사이에, 용융되고 열산화된 고압법 폴리에틸렌과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를 함유한 혼합물을 필름상으로 압출하는 스텝과, 상기 외층용 필름(20), 상기 수용성 필름(6) 및 상기 혼합물의 필름을 압착하면서 냉각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단계 전에 상기 고압법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상기 혼합물의 필름의 상기 수용성 필름(6)쪽의 표면에 오존을 취입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제6항 또는 제8항중에 있어서, 상기 압착단계전에 상기 수용성 필름(6)의 상기 외층용 필름(20) 쪽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하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제1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의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수용성 필름(6)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6)을 서로 용착시켜 한쪽변이 개방된 포대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된 포대.
제1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수용성 필름(6)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6)을 서로 용착시켜 밀봉한 포대의 내부에 소망의 수용물을 수용해서 된 포장체.
제11항에 있어서, 히이트 시일 부분(1062)에 분리용의 천공부(1064)가 형성되는 포장체.
제1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의한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20)의 소정의 가장자리 부분(20a,20b)에는 상기 수용성 필름(6)이 라미네이트되어 있지 않은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고, 상기 수용성 필름(6)이 안족으로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가장자리 부분(20a,20b)이 어긋나서 서로 마주보도록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쳐서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6)을 용착시켜 밀봉한 포대의 내부에 소망의 수용물을 수용해서 된 포장체.
제11항에 있어서, 히이트 시일 부분으로 둘러쌓이고 상기 수용물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비(非)히이트 시일 부분(1068)을 가지며, 이 비히이트 시일 부분(1068)에 대응하는 가장자리 부분에 분리용의 노치부(1069a)가 형성된 포장체.
제11항, 제12항, 제1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물이 농약, 의약, 식품 또는 낚시용의 분말상 미끼인 포장체.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20)과, 수용성 필름(6)과,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5)으로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중간층(5)은 서로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5)과 상기 수용성 필름(6)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수용성 필름(6)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6)을 용착시켜, 한쪽변이 개방된 포대형상으로 형성하여 된 포대로서, 상기한 서로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의 수용물의 수용예정 영역(207)을 둘러싼 히이트 시일 부분(205)의 바깥쪽 영역에 서로 이웃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과 히이트 시일 부분(201)이 형성되고, 상기한 바깥쪽 영역의 상기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과 상기한 바깥쪽 영역의 상기 히이트 시일 부분(201) 사이의 경계선의 한쪽끝(B)은 상기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하여 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도달하고, 상기 바깥쪽 영역의 상기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는 상기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바깥쪽 영역의 상기 히이트 시일 부분(201)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는 상기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는 포대.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201)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상대하는 일부가 상기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서로 연속해 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는 포대.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201)에서의 상기 경계선을 따라 있는 부분중에서 적어도 상기 경계선의 한쪽끝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좁은 폭을 가진 포대.
제16항에 있어서, 앞쪽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관통하는 슬릿(210)의 한쪽 끝이 상기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도달하도록 앞쪽과 뒤쪽 라미네이트 필름을 관통하는 슬릿(210)이 상기 바깥쪽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바깥쪽 영역의 상기 히이트 시일 부분(211)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상대하는 일부가 상기 슬릿(210)의 적어도 일부와 일치하는 포대.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211)의 상기 경게선을 따라 있는 부분중에서 적어도 상기 경계선의 한쪽의 끝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좁은 폭을 가진 포대.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20)과, 수용성 필름(6)과,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5)으로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중간층(5)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5)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수용성 필름(6)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6)을 용착시켜 한쪽변이 개방된 포대형상으로 형성하여 된 포대로서, 상기한 서로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에 있어서의 수용물의 수용예정 영역(308,408)을 둘러싼 히이트 시일 부분(306,406)의 바깥쪽 영역에 히이트 시일 부분으로 둘러쌓인 비히이트 시일 부분(309,409)이 형성되고, 상기 바깥쪽 영역에 그 일부를 절제하기 위한 천공부(310,410)가 형성되며, 상기 바깥쪽 영역에서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에 잔존하는 바깥쪽 영역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309,409)과 히이트 시일 부분(301,401) 사이의 경계선의 한쪽 끝(F, H)이 상기 천공부(310,410)에 도달하고, 상기 바깥쪽 영역에서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에 잔존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309,409)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는 상기 천공부(310,410)와 일치하며, 상기 바깥쪽 영역에서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에 잔존하는 상기 히이트 시일 부분(301,401)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는 상기 천공부(310,410)와 일치하는 포대.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영역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에 잔존하는 상기 히이트 시일 부분(401)중에서 적어도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좁은 폭을 가진 포대.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20)과, 수용성 필름(6)과,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5)으로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중간층(5)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5)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수용성 필름(6)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6)을 용착시켜 한쪽변이 개방된 포대형상으로 형성하여 된 포대로서, 상기 서로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에서의 수용물의 수용예정 영역(505)의 바깥쪽 영역에 상기 외층용 필름(20) 및 상기 중간층(5)만을 관통하는 슬릿(506,507)이 형성된 포대.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20)과, 수용성 필름(6)과,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5)으로 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중간층(5)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5)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수용성 필름(6)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6)을 용착시켜 밀봉한 포대의 내부에 소망의 수용물을 수용하여 된 포장체로서, 상기 서로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에서의 수용물의 수용영역(207)을 둘러싼 히이트 시일 부분(205)의 바깥쪽 영역에 서로 인접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과 히이트 시일 부분(201)이 형성되고, 상기 바깥쪽 영역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과 상기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201) 사이의 경계선의 한쪽끝 (B)은 상기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도달하고, 상기 바깥쪽 영역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는 상기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201)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는 상기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는 포장체.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201)의 주변 가장자리의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상대하는 일부는 상기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는 포장체.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201)에서의 상기 경계선을 따라 있는 부분 중에서 적어도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좁은 폭을 가진 포장체.
제24항에 있어서, 앞쪽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관통하는 슬릿(210)의 한쪽 끝이 상기 앞쪽의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이 연속해 있지 아니한 이 포대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도달하도록 앞쪽과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관통하는 슬릿(210)이 상기 바깥쪽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211)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상대하는 일부가 상기 슬릿(210)의 적어도 일부와 일치하는 포장체.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영역의 히이트 시일 부분(211)에서의 상기 경계선을 따라 있는 부분중에서 적어도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좁은 폭을 가진 포장체.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20)과, 수용성 필름(6)과,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5)으로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중간층(5)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5)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수용성 필름(6)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6)을 용착시켜 밀봉한 포대의 내부에 소망의 수용물을 수용하여 된 포장체로서, 상기 서로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에서의 수용물의 수용영역(308,408)을 둘러싼 히이트 시일 부분(306,406)의 바깥쪽 영역에 히이트 시일 부분으로 둘러쌓인 비히이트 시일 부분(309,409)이 형성되고, 상기 바깥쪽 영역에 그 일부를 절제하기 위한 천공부(310,410)가 형성되고, 상기 바깥쪽 영역에서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상기 바깥쪽 영역에서의 서로 인접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309,409)과 히이트 시일 부분(301,401) 사이의 경계선의 한쪽 끝(F, H)이 상기 천공부(310,410)에 도달하고, 상기 바깥쪽 영역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309,409)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는 상기 천공부(310,410)와 일치하며, 상기 바깥쪽 영역에서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301,401)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로서 상기 경계선과 연속하는 일부가 상기 천공부(310,410)와 일치하는 포장체.
제29항에 있어서, 바깥쪽 영역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401) 중에서 적어도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쪽에 위치하는 부분은 좁은 폭을 가진 포장체.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20)과, 수용성 필름(6)과,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5)으로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중간층(5)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5)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적어도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수용성 필름(6)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서로 겹치고,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의 소정의 부분들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들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6)을 용착시켜 밀봉한 포대의 내부에 소망의 수용물을 수용하여 된 포장체로서, 상기 서로 겹쳐진 라미네이트 필름에서의 수용물의 수용영역(505)의 바깥쪽 영역에 상기 외층용 필름(20) 및 상기 중간층(5)만을 관통하는 슬릿(506,507)이 형성된 포장체.
제24항 내지 제28항중의 어느 한 항에 의한 포장체로부터 상기 외층용 필름(20) 및 상기 중간층(5)을 박리하는 박리하는 박리 방법으로서, 상기 바깥쪽 영역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208)에서의 앞쪽 및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상기 경계선의 한쪽끝(B)에 힘이 가해지도록 잡아 젖히거나 잡아당기는 스텝을 포함하는 박리방법.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의한 포장체로부터 외층용 필름(20) 및 상기 중간층(5)을 박리하는 박리방법으로서, 상기 천공부(310,410)를 따라 바깥쪽 영역의 일부를 절제하는 스텝과 바깥쪽 영역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301,401)에서의 앞쪽 및 뒤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상기 경계선의 한쪽 끝에 힘이 가해지도록 잡아 젖히거나 잡아 당기는 스텝을 포함하는 박리방법.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20)과, 수용성 필름(6)과,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5)으로된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중간층(5)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5)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이 라미네이트 필름이 상기 수용성 필름(6)을 안쪽으로 한 튜우브체를 형성하도록, (a)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1스트립 부분(600a,700a)과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2스트립 부분(600b,700b)을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의 수용성 필름(6)이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겹쳐, (b) 히이트 시일하여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의 수용성 필름(6)을 용착함과 동시에, 상기 튜우브체의 수용물의 수용예정 영역(608,714)이 상기 튜우브체의 제1끝부분 변쪽에 대해 폐색되도록 상기 튜우브체의 소정 부분(604,710)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604,710)의 부분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6)을 용착시킴으로써 상기 수용예정 영역(608,714)이 튜우브체의 제2끝부분 변쪽에서 개방된 포대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된 포대로서, 상기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600,700)과 튜우브체 사이의 경계선(605,711)의 한쪽끝은 제1끝부분 변에 도달하고, 상기 튜우브체에서의 영역으로서 상기 수용예정 영역(608,714)을 상기 제1끝부분 변쪽에 대해 폐색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604,710)의 바깥쪽 영역에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715)이 형성되고, 상기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715)은 상기 경계선(711)에 접하여 상기 경계선(711)의 한쪽에 형성되거나 상기 경계선(609,711)을 걸쳐서 경계선(605)의 양쪽에 형성되며, 상기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715)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는 상기 경계선(605)의 한쪽끝(I, L)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제1끝부분 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여서 된 포대.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에서 상기 수용예정 영역(608)을 상기 제1끝부분 변에 대해 폐색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604)과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 사이에 주위가 밀봉된 비히이트 시일 부분(631)이 형성되도록 히이트 시일 부분(630)이 형성된 포대.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가 제1끝부분 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715)이 제1끝부분 변을 따라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되며,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715)의 폭이 5mm 이상, 5cm 이하인 포대.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20)과, 수용성 필름(6)과,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5)으로된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중간층(5)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5)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이 라미네이트 필름이 상기 수용성 필름(6)을 안쪽으로 한 튜우브체를 형성하도록, (a)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1스트립 부분(600a,700a)과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2스트립 부분(600b,700b)을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의 수용성 필름(6)이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겹쳐, (b) 히이트 시일하여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의 수용성 필름(6)을 용착함과 동시에, 이 튜우브체의 수용물의 수용예정 영역(608,714)이 상기 튜우브체의 제1끝부분 변에 대해 폐색되도록 상기 튜우브체의 소정 부분(604,710)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604,710)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6)을 용착시킴으로써 상기 수용예정 영역(608,714)이 튜우브체의 제2끝부분 변쪽에서 개방된 포대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된 포대로서, 상기 튜우브체의 영역으로서 상기 수용예정 영역(608,714)을 상기 제1끝부분 변에 대해 폐색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604,710)의 바깥쪽 영역에서 주위가 밀봉된 비히이트 시일 부분(640,660,740)이 형성되도록 히이트 시일 부분(641,661,741)이 형성되고, 상기 비히이트 시일 부분(640,660,740)은 상기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600,700)과 상기 튜우브체 사이의 경계선(711)에 접하여 상기 경계선(711)의 한쪽에 형성되거나 상기 경계선(605)을 걸쳐 경계선(605)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의 영역 및 여기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600,700)의 영역에 이들의 일부를 절제하기 위한 천공부(642,662,742)가 형성되고,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 및 여기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600,700)의 영역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에 잔존하는 상기 경계선(605,711)의 한쪽 끝(J, K, M)이 상기 천공부(642,662,742)에 도달하며,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 및 여기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600,700)의 영역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640,660,740)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는 상기 천공부(642,662,742)와 일치하는 포대.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600,700)이 백라이닝 부분을 구성하며 상기 포대가 백라이닝형의 포대인 포대.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는 덧대는 부분(650,651,720,721)을 가진 거싯형(gusset-type)의 포대인 포대.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20)과, 수용성 필름(6)과,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5)으로된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중간층(5)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5)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이 라미네이트 필름이 상기 수용성 필름(6)을 안쪽으로 한 튜우브체를 형성하도록, (a)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1스트립 부분(600a,700a)과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2스트립 부분(600b,700b)을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의 수용성 필름(6)이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겹쳐, (b) 히이트 시일하여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의 수용성 필름(6)을 용착함과 동시에, 이 튜우브체의 수용물의 수용 영역(608,714)이 상기 튜우브체의 제1끝부분 변쪽 및 제2끝부분 변쪽에 대해 폐색되도록 상기 튜우브체의 소정의 부분(604,607,710,713)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604,607,710,713)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6)을 용착시켜 밀봉한 포대의 내부에 소망의 수용물을 수용하여 된 포장체로서, 상기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600,700)과 상기 튜우브체 사이의 경계선(605,711)의 한쪽 끝은 제1끝부분 변쪽에 도달하고, 상기 튜우브체에서의 영역으로서 상기 수용영역(608,714)을 상기 제1끝부분 변쪽에 대해 폐색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604,710)의 바깥쪽 영역에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715)이 형성되고, 상기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715)은 상기 경계선(711)에 접하여 상기 경계선(711)의 한쪽에 형성되거나 상기 경계선(605)을 걸쳐 상기 경계선(605)의 양쪽에 형성되며, 상기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715)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는 상기 경계선(605,711)의 한쪽 끝(I, L)을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제1끝부분 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포장체.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에서 상기 수용영역(608)을 상기 제1끝부분 변쪽에 대해 폐색하는 상기 히이트 시일 부분(604)과 상기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 사이에 주위가 밀봉된 비히이트 시일 부분(631)이 형성되도록 히이트 시일 부분(630)이 형성된 포장체.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가 상기 제1끝부분 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715)은 제1끝부분 변을 따라 스트립상으로 형성되고, 이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715)의 폭이 5mm 이상, 5cm 이하인 포장체.
1층 또는 복수층으로 된 외층용 필름(20)과, 수용성 필름(6)과,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5)으로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중간층(5) 사이가 강접착됨과 아울러 상기 중간층(5)과 상기 수용성 필름(6) 사이가 직접 접하여 박리가능하게 약접착된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하여 이 라미네이트 필름이 상기 수용성 필름(6)을 안쪽으로 한 튜우브체를 형성하도록, (a)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1스트립 부분(600a,700a)과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2스트립 부분(600b,700b)을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의 수용성 필름(6)이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겹쳐, (b) 히이트 시일하여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의 수용성 필름(6)을 용착함과 동시에, 이 튜우브체의 수용물의 수용영역(608,714)이 상기 튜우브체의 제1끝부분 변쪽 및 제2끝부분 변쪽에 대해 폐색되도록 상기 튜우브체의 소정 부분(604,607,710,713)을 히이트 시일하여 이 소정의 부분(604,607,710,713)에서 서로 마주보는 수용성 필름(6)을 용착시켜 밀봉한 포대의 내부에 소망의 수용물을 수용하여 된 포장체로서, 상기 튜우브체의 영역으로서 상기 수용영역(608,714)을 제1끝부분 변쪽에 대해 폐색하는 히이트 시일 부분(604,710)의 바깥쪽 영역에서 주위가 밀봉된 비히이트 시일 부분(640,660,740)이 형성되도록 히이트 시일 부분(641,661,741)이 형성되고, 상기 비히이트 시일 부분(640,660,740)은 상기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600,700)과 상기 튜우브체 사이의 경계선(711)에 접하여 상기 경계선(711)의 한쪽에 형성되거나 상기 경계선(605)을 걸쳐 경계선(605)의 양쪽에 형성되고,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의 영역과 여기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600,700)의 영역에 이들의 일부를 절제하기 위한 천공부(662,742)가 형성되고,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 및 여기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600,700)의 영역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에 잔존하는 상기 경계선(605,711)의 한쪽 끝(J, K, M)이 상기 천공부(642,662,742)에 도달하고,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 및 여기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600,700)의 영역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644,660,740)의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는 상기 천공부(642,662,742)와 일치하는 포장체.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600,700)이 백라이닝 부분을 구성하며 상기 포대가 백라이닝형의 포대인 포장체.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는 덧대는 부분(650,651,720,721)을 가진 거싯형의 포대인 포장체.
제40항 내지 제4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의한 포장체로부터 상기 외층용 필름(20)과 상기 중간층(5)을 박리하는 박리방법으로서, 상기 경계선(605,711)의 한쪽 끝에 힘이 가해지도록 주변 가장자리의 일부가 상기 제1끝부분 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715)에서의 상기 경계선(605,711)의 양쪽에 라미네이트 필름을 잡아 당기거나 비히이트 시일 부분(609,715,)에서 서로 겹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잡아 젖히는 스텝을 포함하는 박리 방법.
제43항에 의한 포장체로부터 외층용 필름(20)과 중간층(5)을 박리하는 박리방법으로서, 상기 천공부(642,662,772)를 따라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과 여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600,700)의 영역의 상기 일부를 절제하는 스텝과, 상기 경계선(605,711)의 한쪽 끝에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과 여기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스트립 부분(600a,700a,600b,700b)으로 된 히이트 시일 부분(600,700)의 영역의 상기 일부를 절제했을 때 잔존하는 튜우브체의 바깥쪽 영역의 비히이트 시일 부분(640,660,740)에서의 상기 경계선(605,711)의 양쪽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잡아 당기거나 이 비히이트 시일 부분(640,660,740)에서 서로 겹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잡아 젖히는 스텝을 포함하는 박리방법.
제6항에 있어서, 압착전에 상기 수용성 필름(6)을 건조시키는 스텝을 추가로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KR1019960044689A 1995-10-09 1996-10-09 라미네이트 필름, 그 제조방법,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와 포장체 및 이들의 박리방법 KR100191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782395 1995-10-09
JP95-287823 1995-10-09
JP34774295 1995-12-14
JP95-347742 1995-12-14
JP8191558A JP2804256B2 (ja) 1995-12-14 1996-07-02 袋体及び袋詰め体並びにこれの剥離方法
JP96-191558 1996-07-02
US08/969,792 US6244746B1 (en) 1995-10-09 1997-11-13 Laminated film,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bag and package using the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separatio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420A KR970020420A (ko) 1997-05-28
KR100191286B1 true KR100191286B1 (ko) 1999-06-15

Family

ID=2747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689A KR100191286B1 (ko) 1995-10-09 1996-10-09 라미네이트 필름, 그 제조방법,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와 포장체 및 이들의 박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44746B1 (ko)
EP (1) EP0769369B1 (ko)
KR (1) KR100191286B1 (ko)
BR (1) BR96050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1401B1 (en) 1997-11-13 2002-10-29 Kyodo Shiko Co., Ltd. Laminated film,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bag and package using the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separation thereof
EP0769369B1 (en) 1995-10-09 2004-07-14 Kyodo Shiko Co., Ltd. Laminated film,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bag and package using the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separation thereof
JP3756937B2 (ja) * 1997-03-26 2006-03-22 共同紙工株式会社 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袋体及び袋詰め体
US6477820B1 (en) 1999-07-29 2002-11-12 Kraft Foods Holdings, Inc. Method of making a package with a zipper closure
US6779922B2 (en) * 2000-05-02 2004-08-24 Gates Automation, Inc. Bag for automated filling and sealing machine
US6461044B1 (en) * 2000-06-12 2002-10-08 Sonoco Development, Inc. Reclosable bag formed on form, fill and seal machine
US6616333B2 (en) 2000-09-22 2003-09-09 Kraft Foods Holdings, Inc. Fastener closure arrangement for flexible packages
US7125828B2 (en) 2000-11-27 2006-10-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products, methods and manufacture
US8940676B2 (en) 2000-11-27 2015-0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products, methods and manufacture
WO2002042401A2 (en) 2000-11-27 2002-05-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hwashing method
US8658585B2 (en) 2000-11-27 2014-02-25 Tanguy Marie Louise Alexandre Catlin Detergent products, methods and manufacture
CA2426023C (en) 2000-11-27 2007-05-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hwashing method
US7219484B2 (en) 2001-01-26 2007-05-22 Reckitt Benckiser (Uk) Limited Process for preparing a laminated, thermoformed film
US6675558B2 (en) * 2001-04-18 2004-01-13 Kraft Foods Holding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packages having slide closures
US6820393B2 (en) 2001-04-18 2004-11-23 Kraft Foods Holdings, Inc.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exible packages having slide closures
US6688079B2 (en) 2001-04-18 2004-02-10 Kraft Foods Holding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packages having slide closures
US6769229B2 (en) 2001-08-30 2004-08-03 Kraft Foods Holding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packages having slide closures
US6688080B2 (en) * 2001-04-18 2004-02-10 Kraft Foods Holding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packages having slide closures
WO2003106273A2 (en) * 2002-06-17 2003-12-24 Pliant Corporation Peel seal tamper evident slider bag
US6863646B2 (en) * 2002-06-19 2005-03-08 Kraft Foods Holdings, Inc. Reclosable system for flexible packages having interlocking fasteners
US8590282B2 (en) 2002-09-19 2013-11-26 Poppack, Llc Package with unique opening device and method for opening package
US6884207B2 (en) 2002-10-25 2005-04-26 Kraft Foods Holdings, Inc. Fastener closure arrangement for flexible packages
US6939041B2 (en) * 2003-01-29 2005-09-06 Kraft Foods Holdings, Inc. Fastener closure arrangement for flexible packages
US7247329B2 (en) * 2003-01-31 2007-07-24 Kraft Foods Holdings, Inc. Double sealed pizza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US20040167256A1 (en) * 2003-02-26 2004-08-26 Verrall Andrew P. Water soluble film for trigger spray bottle solution
US6883683B1 (en) * 2003-04-25 2005-04-26 Daniel A. Cunningham Tamper resistant beverage dispensing bag
US7306370B2 (en) * 2003-07-31 2007-12-11 Kraft Foods Holdings, Inc. Shrouded flexible packages
US8122687B2 (en) 2003-07-31 2012-02-28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Method of making flexible packages having slide closures
US20050042443A1 (en) * 2003-08-22 2005-02-24 Miller Gerald D. PVOH barrier performance on substrates
WO2006038700A1 (ja) * 2004-10-04 2006-04-13 Kyoraku Co., Ltd. 充填包装体
EP1746043A1 (en) * 2005-07-18 2007-01-24 Mars, Incorporated Easy-open package made of two-or-more ply laminate including adhesive-free lines
ES2350266T3 (es) * 2006-12-05 2011-01-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Bolsa de cierre repetido.
DE102007042450B4 (de) * 2007-09-06 2009-12-31 Andreas Siggelkow Wasserlösliche Verpackung mit Funktionsdepot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r Verpackung
US9139038B1 (en) 2009-02-17 2015-09-22 Jonathan Edward Trollen Barrier device for storing a paint roller
US10906700B2 (en) 2009-02-17 2021-02-02 Jonathan Edward Trollen Barrier device for storing a wet paint application device
US20100278462A1 (en) * 2009-05-01 2010-11-04 Poppack, Llc Package With One or More Access Points For Breaking One or More Seals and Accessing the Contents of the Package
DE102009043310A1 (de) * 2009-09-29 2011-04-28 Constantia Hueck Folien Gmbh & Co. Kg Reißfeste Verpackungs-Verbundfolie und Verpackung
US9090383B2 (en) 2011-12-01 2015-07-28 Sealstrip Corporation Tape sealed reclosable bag
CN103508075A (zh) * 2012-06-28 2014-01-15 浙江新安化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百草枯制剂包装法及使用方法
US9533813B1 (en) * 2015-09-27 2017-01-03 Sealstrip Corporation Re-closable, tamper-resistant, stand-up package
US10807312B2 (en) * 2016-04-26 2020-10-20 Dietz & Watson Inc. Packaging seal bar and method of forming a package using the same
PL3317205T3 (pl) * 2016-07-06 2019-06-28 Nestec S.A. Opakowanie nadające się do recyklingu zawierające miękką torebkę
US11724866B2 (en) 2019-02-15 2023-08-15 Poppack Llc Package with unique open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packages
US11383909B2 (en) 2019-02-27 2022-07-12 Poppack Llc Easy to open package with controlled dispensing device
US20230086652A1 (en) * 2021-09-23 2023-03-23 Proampac Holdings Inc. Water soluble bubble pack paper mailer

Family Cites Families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4808A (ko) 1900-01-01
GB922317A (en) 1958-05-05 1963-03-27 Associated Fumigator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ans for packaging pesticides
US3114643A (en) * 1961-11-02 1963-12-17 Bartelt Engineering Co Inc Food package
US3272424A (en) * 1965-01-11 1966-09-13 Dow Chemical Co Flexible container
SE303252B (ko) * 1965-10-01 1968-08-19 Wernborg Och Barton Ab
US3419137A (en) * 1967-11-14 1968-12-31 Bard Inc C R Closed-end peel package
US3454210A (en) * 1968-05-23 1969-07-08 Standard Packaging Corp Easy opening and reclosable package,film therefor and process
FR1600060A (ko) 1968-12-30 1970-07-20
US3768725A (en) * 1971-11-11 1973-10-30 Nat Distillers Chem Corp Breathable, sterilizable and peelable pouch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S5497193A (en) 1978-01-13 1979-08-01 Sumitomo Chem Co Ltd Packaging of pesticides
US4289815A (en) 1978-06-26 1981-09-15 Airwick Industries, Inc. Cold water-insoluble polyvinyl alcohol pouch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active ingredients
MX151028A (es) 1978-11-17 1984-09-11 Unilever Nv Mejoras en bolsa insoluble pero permeable al agua que tiene una capa protectora dispersable o soluble en agua,que contiene una composicion detergente en particulas
US4365716A (en) * 1978-11-29 1982-12-28 Pharmachem Corporation Peelable seal
JPS5672006A (en) 1979-11-15 1981-06-16 Kuraray Co Ltd Novel copolymer and production thereof
US4279344A (en) * 1979-12-26 1981-07-21 Reynolds Metals Company Heat-sealable and peelable laminated packaging construction
US4787517A (en) * 1981-04-06 1988-11-29 Martin Andrew Mcg Easily opened and reclosable bag with tear-guiding ridges
US4416791A (en) 1981-11-11 1983-11-22 Lever Brothers Company Packaging film and packaging of detergent compositions therewith
JPS6032273U (ja) 1983-08-08 1985-03-05 大阪化学合金株式会社 水溶性包装体
GB8332687D0 (en) * 1983-12-07 1984-01-11 Allen Davies & Co Ltd Securing items for display
NL8500076A (nl) 1985-01-14 1986-08-01 Leer Koninklijke Emballage Verpakking gevuld met een in water oplosbaar giftig poeder- of korrelproduct.
DE3504463A1 (de) 1985-02-09 1986-08-14 W.R. Grace & Co., New York, N.Y. Leicht oeffenbare pack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4875587A (en) 1985-02-21 1989-10-24 W. R. Grace & Co.-Conn. Easy open shrinkable laminate
FR2585248B1 (fr) 1985-07-25 1987-10-09 Rhodic Sa Sachet de parfum perfectionne utilisable dans les lave-vaisselle
US4886615A (en) 1985-08-05 1989-12-12 Colgate-Palmolive Company Hydroxy polycarboxylic acid built non-aqueous liquid clean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use, and package therefor
EP0221651A1 (en) 1985-09-27 1987-05-13 Kao Corporation Water soluble polyvinyl alcohol derivative
JPH0532288Y2 (ko) * 1986-04-07 1993-08-18
GB8612706D0 (en) 1986-05-23 1986-07-02 Unilever Plc Sealable container
GB2193925B (en) 1986-08-18 1990-07-04 Enak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wc-disposable sheet material
US5078301A (en) 1987-10-02 1992-01-07 Ecolab Inc. Article comprising a water soluble bag containing a multiple use amount of a pelletized functional material and methods of its use
US4886690A (en) 1987-12-21 1989-12-12 W. R. Grace & Co. Peelable barrier film for vacuum skin packages and the like
CN1036967A (zh) 1988-02-04 1989-11-08 武田药品工业株式会社 可食用薄膜
DE3804325A1 (de) * 1988-02-12 1989-08-24 Scheuch Folien Papier Kg Gasdichte verpackung
US4889731A (en) * 1988-02-12 1989-12-26 W. R. Grace & Co.-Conn. Package having peelable film
JPH01226569A (ja) * 1988-02-25 1989-09-1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包装用袋
US5395616A (en) 1988-06-15 1995-03-07 May & Baker Ltd. Packaging for liquid products
JPH0242748A (ja) * 1988-08-03 1990-02-13 Fuji Xerox Co Ltd 半導体装置
JPH062770B2 (ja) 1988-12-16 1994-01-12 花王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
US4923309A (en) * 1989-02-27 1990-05-08 Illinois Tool Works Tamper-evident package
CA2019761C (en) * 1989-06-30 2000-04-25 Gerald O. Hustad Tamper-evident, flexible, reclosable packages
US5005695A (en) * 1990-03-15 1991-04-09 Tennefos David A Condom caddy package
IE64670B1 (en) 1990-05-02 1995-08-23 Rhone Poulenc Agriculture Soluble sachets
US5080226A (en) 1990-07-18 1992-01-14 Rhone-Poulenc Ag Company Containerization system for agrochemicals and the like
AU649039B2 (en) 1990-05-17 1994-05-12 W.R. Grace & Co.-Conn. Water soluble film
US5281027A (en) 1990-06-06 1994-01-25 Bemis Company, Inc. Multiple ply bag with detachable inner seal pouch for packaging products
JP3015071B2 (ja) 1990-06-22 2000-02-28 ライオン株式会社 水解性シートおよび水解性包装体
JP2704457B2 (ja) 1990-09-20 1998-01-2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ハロゲン化銀写真用感光材料
NZ242597A (en) 1991-05-14 1995-07-26 Grace W R & Co Co-extruded water soluble laminated polymeric film and methods of extruding it
US5316688A (en) 1991-05-14 1994-05-31 Ecolab Inc. Water soluble or dispersible film covered alkaline composition
EP0513692A1 (en) 1991-05-17 1992-11-19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Water soluble multilayer film for packaging alkaline materials
AU655282B2 (en) 1991-06-14 1994-12-15 Rhone-Poulenc Agro New aqueous formulations
DE4120685A1 (de) 1991-06-22 1992-12-24 Hoechst Ag Schichtstoffmaterial mit latent inhaerentem delaminierungspotential
JP2565815B2 (ja) 1991-11-21 1996-12-18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複合フィルム及びその製法
US5487940A (en) 1991-12-23 1996-01-30 Mobil Oil Corp. Oxygen and moisture barrier metallized film structure
US5330047A (en) 1992-04-27 1994-07-19 Rhone-Poulenc Inc. Packaging for agrichemicals
US5253754A (en) * 1992-08-14 1993-10-19 American Fluoroseal Corporation Peel package and method of packaging organs
JPH0672469A (ja) 1992-08-18 1994-03-15 Mitsubishi Materials Corp 吸湿物質を包含する水溶性フィルムのための封体
JPH06127593A (ja) 1992-10-14 1994-05-10 Toyo Alum Kk 農薬包装用袋
JP3270539B2 (ja) * 1992-10-23 2002-04-02 三菱化学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155690A (ja) 1992-11-17 1994-06-03 Mitsubishi Plastics Ind Ltd 積層方法
JP2741564B2 (ja) 1993-01-25 1998-04-22 アイセロ化学 株式会社 包装用複合フィルム袋
US5691015A (en) * 1993-01-25 1997-11-25 Aicello Chemical Co., Ltd. Composite film bags for packaging
US5341922A (en) * 1993-02-24 1994-08-30 Ethicon, Inc. Peelable foil suture packaging
JP3255486B2 (ja) 1993-04-02 2002-02-12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積層フィルム
USD355436S (en) 1993-05-20 1995-02-1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ribbon cassette
JP3424211B2 (ja) * 1993-05-21 2003-07-07 日本製紙株式会社 剥離容易な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法
JP3438256B2 (ja) 1993-05-27 2003-08-18 凸版印刷株式会社 耐ボイル性を有するガスバリア材
JP3438257B2 (ja) 1993-05-27 2003-08-18 凸版印刷株式会社 耐ボイル性を有するガスバリア材
JPH072272A (ja) 1993-06-15 1995-01-06 Nippon Chibagaigii Kk 水溶性フィルムを用いた薬剤包装材料及び包装容器
US5441805A (en) 1993-06-30 1995-08-15 Camelot Technologies Inc. Soluble laminates
JP2735996B2 (ja) 1993-08-03 1998-04-02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水溶性複合フィルム
US5468526A (en) 1993-09-20 1995-11-21 The Dow Chemical Company Multilayer barrier film for ostomy applications
EP0818306B1 (en) * 1993-09-21 2000-03-29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laminated film and laminated sheet
JP3118352B2 (ja) 1993-10-27 2000-12-18 株式会社クラレ 農薬包装用水溶性フィルム
JPH07195647A (ja) 1993-12-28 1995-08-01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複合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法
JPH08127755A (ja) 1994-10-31 1996-05-21 Arutetsuku Kk 帯電防止性アンカーコート剤及び積層複合フィルム
US5786092A (en) * 1994-11-21 1998-07-28 W.R. Grace & Co.-Conn. Peelable laminate
JPH0966261A (ja) 1995-08-31 1997-03-11 Mitsubishi Chem Corp 紙−エチレン系樹脂積層体の製造方法
JP2804256B2 (ja) 1995-12-14 1998-09-24 共同紙工株式会社 袋体及び袋詰め体並びにこれの剥離方法
EP0769369B1 (en) 1995-10-09 2004-07-14 Kyodo Shiko Co., Ltd. Laminated film,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bag and package using the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separation thereof
JP2875217B2 (ja) 1995-10-09 1999-03-31 共同紙工株式会社 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袋体及び袋詰め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69369A3 (en) 1998-12-23
EP0769369A2 (en) 1997-04-23
US6244746B1 (en) 2001-06-12
BR9605025A (pt) 1998-06-30
KR970020420A (ko) 1997-05-28
EP0769369B1 (en)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1286B1 (ko) 라미네이트 필름, 그 제조방법,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와 포장체 및 이들의 박리방법
KR100969526B1 (ko) 수지로 만들어진 패키징 백
WO1998014383A1 (fr) Recipient en plastique avec fermeture
MXPA00010932A (es) Contenedor de material compuesto y metodo para sellar por calor contenedores de material compuesto.
JP2006321493A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7137472A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2007112488A (ja) 蒸気抜き包装袋
US20070257030A1 (en) Microwaveable package
JP2005015015A (ja) 易開封性ガセット貼り袋
JPH1191807A (ja) 注出口付きパウチ
JP4010038B2 (ja) 開閉部を有する密封包装袋
JP2017171373A (ja)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2005324846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袋
JP2007131302A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4713091B2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袋
JPH10218199A (ja) 分岐した小室を設けたパウチ
JP4614334B2 (ja) 自立性電子レンジ用包装容器およびその包装体
JP2804256B2 (ja) 袋体及び袋詰め体並びにこれの剥離方法
KR19980080088A (ko) 라미네이트 필름과 그 제조방법 및 이 라미네이트 필름을 사용한 포대(包袋)와 포장체
JP2013049474A (ja) イージーピール性包装袋
JP4614294B2 (ja)
JP2011011755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袋及び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体
JP5332250B2 (ja) 注出口部付き自立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54800A (ja) 易開封性包装袋
JP2004026169A (ja) 易開封性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